1,300만 인구 도쿄 중심의 빌딩 두 채가 어느 날 감쪽같이 사라졌다 │먼지도 소음도 확실히 잡은 컷 앤 다운 신공법│원더풀사이언스│다큐프라임│

  Рет қаралды 452,876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1년 8월 4일에 방송된 <다큐프라임 - 건물의 재탄생, 친환경 건물 해체>의 일부입니다.
밀집 된 지역에 늘어만 가는 건물들. 낙후되는 건물들도 늘어나고 있다.
건물을 해체할 때 피할 수 없는 먼지와 소음은 어떤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을까?
환경을 고려하는 최첨단 건물해체 공법을 알아본다
✔ 프로그램명 : 다큐프라임 - 건물의 재탄생, 친환경 건물 해체
✔ 방송 일자 : 2011.08.04
#골라듄다큐 #다큐프라임 #원더풀사이언스 #건물 #해체 #건축 #건물해체 #친환경 #먼지 #석면 #도시 #도심 #빌딩 #아파트 #철거 #도쿄 #신공법

Пікірлер: 476
@Lynnmabell
@Lynnmabell Жыл бұрын
기술도 기술인데 작업현장이 엄청 깨끗하네 ㄷㄷ
@user-fn4dg6qq9l
@user-fn4dg6qq9l Жыл бұрын
일본이니까요..
@mymessi16
@mymessi16 Жыл бұрын
아마 수평이 발라야하고 자키에 뭐가 들어가면 안되니까 그런거 같기도 함
@user-nt1lz3mi2k
@user-nt1lz3mi2k Жыл бұрын
스게
@Gomsolnurifotest
@Gomsolnurifotest Жыл бұрын
​@@user-fn4dg6qq9l지진이 많은 일본이니 내진설계에 건물 무너질때 옆에건물 피해주닌까 개발한 거네 훌륭해
@user-xo9zq4qo4c
@user-xo9zq4qo4c 3 ай бұрын
해체 잔여물 실은 트럭들도 삐까삐까함.
@raraland1004
@raraland1004 Жыл бұрын
늘 지나다닐때는 모르고 있다가 한 10층정도 남았을때 이 시간에 여기가 이렇게 밝았나 . . 하다가 5층정도 남았을땐 햇빛이 이리 잘들었나 . . 바람이 이리 불었었나 . . . 하다가 건물이 닞아졌단걸 알게된다눈 ~ 😂 몇년전 몇달전부터계속 몇일 날 해체 공사한다고 공지하고 알려주더니 언제 시작하려고 아직도 안하나 했었다눈 ㅎㅎㅎㅎ 무엇보다 소음도 그리 심하지 않았구 분진이 거의 없어서 그게 좋았음 👍 👍 👍 공사 현장 지나가는데 큰 중장비 사용이 적어서 그런건지 ㄷㄷㄷ진동듀 없고 흙먼지 전혀 없어서 불안함이나 불편함을 거의 못느낌 👍 👍 👍 그 때가 15년 전인가 ....? 이 건물 해체 할때 매일 이 근처 왔다갔다해서 암튼 10년은 한 참 지난 일이라 우연히 보게된 영상 덕분에 그 때의 기억이 새록새록 😂 진짜 꼭 필요한 최고의 기술이라 생각했었음 !! ㅎㅎㅎ😊
@jisy7562
@jisy7562 Жыл бұрын
40년 지난 건물의 골조가 진짜 깨끗해서 놀랬어요 빔도 많이 쓰이고
@seyongpark205
@seyongpark205 Жыл бұрын
그때가 일본 리즈시절(70~80년대)여서, 주택같은 경우는 그때 지은 건물이 레이와(2019년 이후) 건축물보다 방음이 잘된다고 하는 소리도 있을정도죠... 저 시절 이후에도 저것보다 획기적인 발전이 있는 건축물이 그렇게 많이는 안나왔어요...
@user-mt5jx6tx2i
@user-mt5jx6tx2i Ай бұрын
??? 건축법은 더 엄격하고 강해졌는데 알고 씨부리셈
@user-nn2fr6xj1j
@user-nn2fr6xj1j Жыл бұрын
공법도 대단한데, 건물 자체의, 내구성이나 상태에 더 놀라게 되네요~ 역시는 역시!
@user-tc2zj8qr8v
@user-tc2zj8qr8v Жыл бұрын
내진설계도 얼마나 과학적으로 했을지..
@jeaduckseo596
@jeaduckseo596 5 ай бұрын
40년 연한도 못채운거 노후화 됐다고 재건축 한건데 내구성이라…
@mlm8402
@mlm8402 Жыл бұрын
와… 일본 건축 진짜 대단하네요. 이게 2011년 자료라니 더욱 놀랍구요
@user-fh1bb4os8m
@user-fh1bb4os8m Жыл бұрын
님 토착ㅇㄱ신가요?
@Nimjalhane
@Nimjalhane Жыл бұрын
​@@user-fh1bb4os8m잘했다는걸 잘했다고 칭찬도 못하냐
@user-fh1bb4os8m
@user-fh1bb4os8m Жыл бұрын
@@Nimjalhane 왜 일본을 칭찬함? 2찍이나 하는걸
@dolmangee
@dolmangee 11 ай бұрын
얼간이들이 자격지심이 들어서 ....
@user-wk6uo1ct9e
@user-wk6uo1ct9e 10 ай бұрын
혐일 진보대학생 여러분 그만해주세요
@Fashion_Newbie
@Fashion_Newbie Жыл бұрын
발상자체가 대단하네요. 또 그걸 실현한 기술도 대단하고요. 그리고 건물이 일률적으로 내려오는 것도 신기해요. 지을 때부터 정확히 제대로 지었기 때문에 가능할 것 같기도 하네요.
@BoziJazi
@BoziJazi Жыл бұрын
일본이 세계건축1위급이다 기술은 당연한거다 ㅋ
@user-qy8lp8zb2r
@user-qy8lp8zb2r Жыл бұрын
자키를 사용 했다는데요 그러니 일정하게 내려오겠죠
@juk1192
@juk1192 Жыл бұрын
@@BoziJazi 부르즈 할리파 ?
@BoziJazi
@BoziJazi Жыл бұрын
ㅋㅋ 그거하나로 일본1도 못비빔 ㅋ 한국건축이 유명하다 소리 국뽕티비에서 밖에 ^^
@user-gq7vf5bm6v
@user-gq7vf5bm6v Жыл бұрын
@@BoziJazi 한국 노가다 건설기술 다 일본에서 넘어왔는데 당연한 소릴
@user-ee1qg3pn8i
@user-ee1qg3pn8i Жыл бұрын
역시 일본은 대단한 기술력의 나라군요 해체에도 어느 하나 피해없도록 노력하는 분위기가 참 인상적입니다 우리나라는 건설에만 집중하다보니 해체는 하청에 하청만 주고 대충 부수는데.. 배울 점이 많습니다
@GODENERG
@GODENERG Жыл бұрын
진짜 기술은 대단하네 ㄷㄷ 게다가 이제 2011년에 방송된거면 진짜 엄청난 기술이네 시간과 돈이 좀 들어가지만 그리고 컷앤다운 공법 진짜 창조적이네 아래부터 하나씩 잘라나간다니 ㅎㅎ
@CrayonPop2
@CrayonPop2 Жыл бұрын
일본이라 가능한거임 건물을 지을때 내진설계를 기반으로 각종 첨단기술이 다들어감 그러니 유압쟉키를 맞대고있는 부분이 건물의 하중을 견디는거임 한국에선 절대불가능
@sync2ne198
@sync2ne198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한 기술력입니다. 당장에 들어가는 비용과 어려운 기술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그 부분을 극복하면 얻을수있는 엄청난 경제적인 효과와 고용창출효과 그리고 환경이나 안전 등에 대한 부분까지.. 그 장벽을 넘어서는 순간 저 공법의 기대비용은 가늠이 잘 안되는 수준이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굉장하네요
@pmj1554
@pmj1554 Жыл бұрын
도심 속에서 고층건물을 해체하는 또 다른 공법...이건 정말 대단한데.
@psungwan1
@psungwan1 Жыл бұрын
건물부수는 것에서도 장인정신이 보인다... 와...
@user-ew5zd6tn7j
@user-ew5zd6tn7j Жыл бұрын
철거하는건 정말 기술력이 최고인듯 워낙 철거를 많이하다보니
@user-ri9yt5dv3t
@user-ri9yt5dv3t Жыл бұрын
해체기술도 기술인데 40년넘은 건물디자인이 대단하네.. 처음보고 멀쩡한 새건물을 왜 부수나 생각함
@ddddddddddd514
@ddddddddddd514 Жыл бұрын
나도 ㅋㅋㅋㅋㅋ 새건물인지 알았는데 ㅋㅋㅋㅋㅋ
@suwonroad6800
@suwonroad6800 Жыл бұрын
이 부분에 대한 기술력은 대단하네요 생각지도 못한 공법이네요
@BoziJazi
@BoziJazi Жыл бұрын
사람이 뇌가있으면 생각도하자
@memo-be9fo
@memo-be9fo Жыл бұрын
@@BoziJazi 대단하다는데 왜시비지 뇌는 니가 없는듯한데
@BoziJazi
@BoziJazi Жыл бұрын
@@memo-be9fo 맞기싫으면 갈길가 ㅋㅋ 꼽끼지말고 ㅎ
@memo-be9fo
@memo-be9fo Жыл бұрын
@@BoziJazi 아~뇌가 중국가있다고? ㅇㅋ
@user-wi7yj1bg4i
@user-wi7yj1bg4i Жыл бұрын
@@BoziJazi 깝ㄴㄴ
@Pooky605
@Pooky605 Жыл бұрын
화장은 하는것보다 지우는게 중요하다 라는 카피문구가 생각나는군요. 우리나라 원전만 봐도 답이 나왔지요 건설만 해봣지 해체는 안해봐서 월성.고리원전도 부실로 누수가 된지 10년째인데 쉬쉬하고있음. 후쿠시마가 문제가 아님 이미 경북.경남지역 바다로 내륙에 지하수로 누수된지 오래되었는데 문제는 해체할 기술도 대안책도 없다는것. 미국.러시아.일본.프랑스 빼고는 원전해체경험이 있는 국가도 없음. 건축물 해체는 아주 중요한기술이라는
@user-yc4rn7ow5t
@user-yc4rn7ow5t Жыл бұрын
대단한 기술이고 실행력입니다 지금 이기술은 철골라멘조에 가능합니다 철근콘크리트라멘조에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특히 내력벽조 (아파트)는 적용불가로 보입니다,
@ObscurObjet
@ObscurObjet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건물철거하는거 보면 주변에 소음 먼지 등 민폐 장난아니던데 저기는 먼지도 얼마 안날리는게 신기하네요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Жыл бұрын
보행자 통로도 없고 안전요원도 없음 ㅋㅋㅋ
@user-ec5oc8ku5z
@user-ec5oc8ku5z Жыл бұрын
보행자 안전은 일본 - 중국 - 한국 순서임
@user-ol5qz3ub8f
@user-ol5qz3ub8f Жыл бұрын
농업, 건축기술은 진짜 배워와야합니다
@user-yl9kq4ug2z
@user-yl9kq4ug2z Жыл бұрын
진짜 기술력만큼은 대단하다... 배울 건 배워야 된다...
@jong2hak
@jong2hak Жыл бұрын
한국의 건설기술이 훨씬뛰어나다
@user-gq7vf5bm6v
@user-gq7vf5bm6v Жыл бұрын
@@jong2hak 한국의 시공기술 다 일본에서 넘어옴 ㅋㅋㅋ 아직도 아재들 일본용어들 남발하고 다닌다 일본 싫다면서 ㅋㅋ
@user-gq7vf5bm6v
@user-gq7vf5bm6v Жыл бұрын
@@jong2hak 솔까말 반도체랑 조선 빼고는 다 일본이 한국보다 뛰어나 ㅋㅋㅋ
@user-xp2tc4hy9q
@user-xp2tc4hy9q Жыл бұрын
그냥 이정도면 일본을 갖가붙여야하는 수준ㅋㅋㅋ 모든 분야에서 배워야함ㅋㅋ
@wonseok_song
@wonseok_song Жыл бұрын
1:36 카지마 사옥 뒤로 보이는 부메랑같은 모양의 건물은 아카사카 프린스 호텔인데 이 건물도 철거되었습니다. 옥상을 그대로 두고 중간을 잘라서 내려왔다고 해요.
@user-rr9he6rs6z
@user-rr9he6rs6z Жыл бұрын
대단해 디테일이 살아있어 !!! 저거 우리나라도 하면 좋겠네요
@user-bu3jn1kn3x
@user-bu3jn1kn3x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했다가는한순간에 폭삭! 무셔~~
@user-tt2ut3eg5f
@user-tt2ut3eg5f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요 정말 좋은기술입니다
@user-jn8xo7fv6b
@user-jn8xo7fv6b Жыл бұрын
진짜 신박하네 노후되면 철거 하기도 쉽고 내진설계도 잘되어있고 갓본 ㅎㅎ
@TOYEMPEROR
@TOYEMPEROR Жыл бұрын
신박하네. 이런건 배워야한다.
@Barbie-yo2cq
@Barbie-yo2cq Жыл бұрын
진짜 기술력 하나는 인정이네,
@albioncrescent9339
@albioncrescent9339 Жыл бұрын
이것이 진정한 공영방송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CrayonPop2
@CrayonPop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지진이 많은 나라라서 건물 내구도가 우리나라와는 비교가 안되죠 그러니까 가능한공법입니다. 한국마냥 부실공사를 밥먹듯이 하는나라에선 절대불가능 예전에 노가다할때 생각나네요 시멘트의 밀도가 높을수록 내구성이 강해진다고 합니다. 근데 밀도가 높으면 작업자들이 시멘트를 넓게 펴기 힘드니까 일부로 생수 뿌려서 밀도를 낮춘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야 점도가 낮아져서 고루 피기 편하다고 시멘트 검사 다해서 인정된 재료를 쓰면 뭐합니까? 작업자들이 지들 편하자고 시멘트위에 생수를 더 뿌려서 점도 낮추고, 그만큼 내구성이 떨어지는데
@tsyoon6433
@tsyoon6433 Жыл бұрын
자키가 그걸 견디다니.. 정말 대단하네요.
@lisazz3036
@lisazz3036 Жыл бұрын
와... 엄청 신기하네요... 주거지역의 재개발이 많이 있을 한국도 생각해 볼 부분 같아요~
@nsa01862
@nsa01862 Жыл бұрын
한국은안될거같음 ㅋㅋ 야매로지은게 넘많아서 저러다 주변건물 다 무너트릴거같음
@hopjo6356
@hopjo6356 Жыл бұрын
비용때문에 안되요 야메가 문제가 아니라 님집을 저렇게 철거한다고 하며는 철거비용으로 님집 5채 짓을수있음
@Huber.boji.eunhye
@Huber.boji.eunhye Жыл бұрын
​@@hopjo6356 동탄 1기 신도시 봐봐요 거기 아파트들 재개발 했을때 어캐 철거해요ㅋㅋㅋㅋ 꽝하고 무너트리면 먼지 소음 등등 보상금액이나 저렇게 철거하나 거기서 거기일꺼 같은데
@yoon2106
@yoon2106 Жыл бұрын
한국 아파트는 콘크리트내진벽구조라 불가능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기둥구조가 아니라 콘크리트내진벽 구조 또는 조척식 구조라 불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명동대성당같은 경우는 아예 콘크리트 없이 벽돌로 쌓아서 만든 구조물이라 더 그렇죠. 일본 같은 경우는 내진벽이 아니고 두꺼운 기둥이 건물을 받치는 구조다보니 가능한거에요.
@SHEnHIM
@SHEnHIM Жыл бұрын
일본은 법이 있는 건지 모르겠는데, 공사용 트럭, 쓰레기 수거 트럭도 깨끗하더라. 도로에 운행 할 때는 차량 청소를 해야 가능 한 건 지 신기함
@user-cz8nf7em4i
@user-cz8nf7em4i Жыл бұрын
기둥이 철근콘크리트가 아니라 강재로 돼있어서 정밀한 컷팅이 가능하고, 컷팅 후에도 길이만 짧아질 뿐 강도가 그대로 유지됨. 만일 철근콘크리트 기둥이라면 정밀한 컷팅도 안 되지만 컷팅하는 순간 강도가 유지 안 돼서 바로 붕괴할 것임. 결론: 처음 지을 때부터 저렇게 철거할 것을 예정한 건물임.
@vakion1
@vakion1 Жыл бұрын
전재조건 몇가지가 필요하긴 하지만 상황에따라 쓸수있다는게 좋네
@tedkim9801
@tedkim9801 Жыл бұрын
참 지혜롭네요.
@kimmr.9119
@kimmr.9119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단한 기술입니다.
@kristal1624
@kristal1624 Жыл бұрын
Great !!!, 최고의 해체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bangu311
@bangu311 Жыл бұрын
지진많은 나라에서 저런공법을 개발하다니... 아이러니하네 ㅎㅎ
@kyd9877
@kyd9877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이거안씀...철거기간이 길어서 안쓸듯...또한 일속도가 성급하고 하청에 재하청하다보면 사고일어날듯...
@jiguin11
@jiguin11 Жыл бұрын
최고네요
@MissTerry709
@MissTerry709 Жыл бұрын
지을때도 1층서 짓고 위로 올려서 꼭대기부터 만들더니 해체도 비슷한 방식으로 하내요
@chriskim7123
@chriskim7123 Жыл бұрын
역시 대단하네요
@Hyucklee73
@Hyucklee73 Жыл бұрын
이건 획기적인 것이 초기 비용은 많이 들겠지만 환경, 안전문제로 발생하는 민원발생비용등 각종 간접비용이 대폭절감할 수 있겠네요.
@jkl4697
@jkl4697 Жыл бұрын
항상 우리보다 앞서가는 기술이나 발상의 전환은 진심 부럽고 대단하다고 봄.
@NN-kx4ih
@NN-kx4ih Жыл бұрын
우리조상들의 피눈물을 쥐어짜내어 간 결과물이라고 봐도 될듯요... 특히 의료쪽 발전은 끔찍한 생체실험의 결과물...
@user-xp2tc4hy9q
@user-xp2tc4hy9q Жыл бұрын
@@NN-kx4ih 아 네..ㅋㅋ
@heroyam5117
@heroyam5117 Жыл бұрын
@@NN-kx4ih 또라이네진짜 한심하다
@user-de4ms4nh2b
@user-de4ms4nh2b Жыл бұрын
건물도 자키로 올리면 되긋네요, 높게 올라갈 필요도 없고 추락없이 안전하게- 마무리는 지하에 방진 설계 ㅋㅋ
@user-gw6cx7uz1c
@user-gw6cx7uz1c Жыл бұрын
아주 느리게 이루어지는 발파해체공법 느낌이다. 저 방식은 라멘공법(Rahmen)같은 프레임 골조방식 해체에 어울리는 방식같다. 콘크리트 기둥의 경우에도 자키 모양과 방법에 따라 잘라낼 수 있을 것 같으나, 조적식(벽돌)구조의 쌓아올린 집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듯.
@user-rq5fx6pl5t
@user-rq5fx6pl5t 6 ай бұрын
라맨? 라면?
@kosin2021
@kosin2021 8 ай бұрын
good advice
@rlaalsgh56
@rlaalsgh56 Жыл бұрын
특정인물들때문에 싫어하지만, 저런 국민을 위한 정책들을 정말 대단하다고 인정해줘야한다. 일본이 기술력이 대단하다는건 다 아는사실이니까. 세계최초로 했다니 배아프지만 박수를 보내고싶다.
@hahahahoho
@hahahahoho Жыл бұрын
이게 12년전 영상이었네 ㄷㄷ 지금 또 새로운 공법이 나왔을까나
@coreahistory
@coreahistory Жыл бұрын
2011년에 방영한 내용이니, 지금은 그때보다 더 많이 발전됐겠다.
@YHGu-oc3xw
@YHGu-oc3xw Жыл бұрын
기존철거방법에 비해서 기간도 줄어들고 소음도 분진도 없는데 장점만 있을린 없고 단점은 뭐가 있으려나... 비용이려나?
@user-wy5hg7ts8l
@user-wy5hg7ts8l Жыл бұрын
철골구조라 가능한 방식인듯. 기존 방식도 절차 다 지키고 공사기간 늘리고 하면 불편한점 많이 줄어듬. 빨리 해체해야 비용이 싸니까 소음이나 먼지에 대한 신경을 안 쓰는거지.
@_nyong_
@_nyong_ Жыл бұрын
며칠전에 우리나라에 노후화 된 목욕탕 굴뚝 골칫거리라고 영상 본 적 있는데 굴뚝들도 주택가 사이에 있어서 철거가 여간 까다로워 보이던데 굴뚝이라 컷 앤 다운 공법이 안될 것 같긴한데 가능하다면 저런식으로 철거하면 좋긴하겠네..
@JKPark-nq2en
@JKPark-nq2en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지은 건축물도, 짓고 있는 건축물도 무너지기 일수인데 건설업체들 첨단 공법 같은 거 바라지도 않으니 제발 멀쩡하게만 지었으면
@taemoonkim8313
@taemoonkim8313 Жыл бұрын
대단하다!
@Sean-nx8mh
@Sean-nx8mh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공법이다
@jinsim1004
@jinsim1004 Жыл бұрын
이야 대박
@user-zu6qt7cn8m
@user-zu6qt7cn8m Жыл бұрын
벌써 12년전.. 본 방송 보고난 후에 일본 기술력에 감탄했죠. 그리고 가끔 문뜩 생각나는 궁금한점 있었는데 드디어 해결 됐네요!
@tuiop390
@tuiop390 Жыл бұрын
공법도 공법인데 철거 건물 자체의 강도도 어느정도 받쳐줘야 안정적으로 해체가 가능해보이네 광주 화정 아이파크마냥 스스로 무너질정도의 부실건물에는 적용 불가능할듯 ㅋㅋㅋ
@rerk
@rerk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식인데 딱 몇몇 조건에 들어맞는 건물만 가능해보이네요.
@user-cy8ub1tc5x
@user-cy8ub1tc5x Жыл бұрын
이런 철거는 첨보네..
@Ithygukdr
@Ithygukdr Жыл бұрын
신기하긴 하겠다 저거ㅋㅋㅋ 건물 리모델링 하는건가 했는데 건물이 낮아지고 있으면 어? 할듯ㅋㅋㅋ
@user-qd4rs8rm4f
@user-qd4rs8rm4f Жыл бұрын
부러워하면 지는거라 했는데 그래도 대단하다 😅
@kyle__kim
@kyle__kim Жыл бұрын
국민학교 어린시절에는 영상매체도 없고 기회비용 개념도 없고 그래서, 빌딩이란게 옆건물에 피해가 가니까 아래부터 해체하는걸로 알고 있던적이 있었는데.. 지금와서 다큐를 보니 새롭내요 :)
@050574100
@050574100 Жыл бұрын
기술력 지린다...
@user-sf7vp6vj6m
@user-sf7vp6vj6m Жыл бұрын
저런 공법...배울것은 우리도 배워야 한다.😮
@user-oj7sj3oz1d
@user-oj7sj3oz1d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우리는 일본서 자키부터. 임대해야겠지요 철거비가 어마어마합니다
@user-wt2ij6gr6f
@user-wt2ij6gr6f Жыл бұрын
저건 그냥 선전용임 사업성 제로 그냥 일본스러운 워크맨의 확장판??? 그 누구도 원치않을 공법. 저런 자키는 조선소 블럭조인할때 마니씀 사업성만 있고 해체왕이 없었더라면 충분히 개발했었을수 있음 그리고 우리나라같은 경우 재개발을 위한 철거나 일반적인 철거모두 8-90년대 날림공사와 무분별적인 리모델링으로 하중계산자체가 불가능에 가까움.
@hunkunlee
@hunkunlee Жыл бұрын
@@user-wt2ij6gr6f 중간까지만 해도 일본 억지로 까시는 줄 알았는데ㅋㅋㅋ 식견이 있으신가보네요
@ayeseven8466
@ayeseven8466 Жыл бұрын
@@user-wt2ij6gr6f 조선에서나 사업성이 없겠지; 일본같은 시민의식 높은 국가에선 사업성이 다분하지 그래서 저런 공법도 개발된 거겠지만
@user-wt2ij6gr6f
@user-wt2ij6gr6f Жыл бұрын
​@@ayeseven8466 일본분이시라 한글이해력이 떨어지시나보네요...일본이 우월한 시민의식이라 저건 일본밖에 그리고 저 건물밖에 쓸수 없을듯하네요
@kyd9877
@kyd9877 Жыл бұрын
타워크레인 설치및 해체방법 에서 나온 기술이네...
@poisam6402
@poisam6402 Жыл бұрын
노벨상만봐도 넘사수준 ,,, 기초과학자체가 다르고 ㅜㅜ 한국은 못따라가지 ㅜ
@hopjo6356
@hopjo6356 Жыл бұрын
이공법 60년대 미국에서 만든거 문제가 고층은 안되고 층수가 낮은빌딩안 가능 문제는 저거 약간만 각도가 틀려도 철거하다가 무너짐 철거비용은 상상초월함 그리고 지하층이 많으며는 안되고 한국아파트는 이런공법으로 철거못함 결론은 이공법으로 철거가 한정적이고 비용생각하며는 혈압으로 사망할수있음
@user-st3qc5ir9u
@user-st3qc5ir9u Жыл бұрын
사단장님도 놀라자빠지시것다ㅠ
@user-rq8ix6zm6q
@user-rq8ix6zm6q Жыл бұрын
옛날에 건물부수기 플래시게임 생각나네 ㅋㅋㅋㅋ
@user-fx3kq1rn4m
@user-fx3kq1rn4m Жыл бұрын
그럼 그 자키는 어떻게 빼내는건데? 썼떤 자키 빼내면 기존하중은 어떻게 버티게 하나? 아예 자키를 회수하지 않고 계속 적층해서 하중을 버티고 있게 하는건가?
@ruxmia
@ruxmia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박이네요
@koniis3654
@koniis3654 Жыл бұрын
해체후 자키제거는 어떻게하는거죠?
@tiny_toon
@tiny_toon Жыл бұрын
근데 저건 강구조인 경우에만 가능하지 않나요...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적용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요
@jsj0113k
@jsj0113k Жыл бұрын
폭사 공법은 폐자재 재활용 불가능 한데 이건 가능한게 제일 좋네요
@Gt_34tbbs667
@Gt_34tbbs667 5 ай бұрын
고층빌딩 쳐다보면 나중에 어떻게 저거 다 치우나 싶어서 찾다가 이렇게 보니 이 기법 진짜 좋네요.. 대단하다 예술적
@patricseo3121
@patricseo3121 Жыл бұрын
12년전 영상이라는것이 놀라울뿐 ㄷㄷ
@prettyhips438
@prettyhips438 Жыл бұрын
철거대상의 건물은 정상적이지 못할텐데... 전 이게 더 위험해보이는데;;;; 위에서부터 하고.. 안전을 강화하는게 더 좋아보이는건 저뿐인가요?
@lego-official
@lego-official Жыл бұрын
와우. 저 건물무게를 버티는 유압자키라니 ㄷㄷㄷㄷㄷㄷㄷㄷ
@user-su3wc8fe4x
@user-su3wc8fe4x Жыл бұрын
오 굳
@user-dt5eo9sx7p
@user-dt5eo9sx7p Жыл бұрын
더 복잡하게 보인다 대형작키 설치시 위험도가 크고 층층마다 반복적으로 하는게 비용도 비싸지고 장점은 먼지가 좀덜난다 는 빌딩밀집 지역 공법이네
@Gonjiam-2023
@Gonjiam-2023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컷앤다운 철거 방식을 따라서 배워야해!!!
@user-uq4it6ct4s
@user-uq4it6ct4s Жыл бұрын
철거 비용땜에 울나라 건설사들은 싫어함...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하고 일본하고 구조자체가 달라서 불가능합니다. 기둥중심의 구조라 두꺼운 기둥을 설치하여 건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방식이라 가능한데 우리나라는 그게 아니라 콘크리트 내진벽을 만들어서 벽이 건물하중을 지탱하는 방식이라 컷앤다운공법이 불가능합니다.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거기에 더 더욱 핵심은 콘크리트 없이 벽돌로만 지어진 옛건물들은 더욱더 그걸 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Ycmjg37143
@Ycmjg37143 Жыл бұрын
그렇다보니 우리나라 건물은 콘크리트 기둥을 자르는 게 불가능하도록 되어있어요.
@burgerham5594
@burgerham5594 Жыл бұрын
기존철거공사 대비 금액이 관건일듯 나도 저런생각은 했는데 개간안나던데..
@user-hv3ht3tz7i
@user-hv3ht3tz7i Жыл бұрын
생각은 누구나하되 그 구현에서 클래스 차이가 드러나는거지
@burgerham5594
@burgerham5594 Жыл бұрын
@@user-hv3ht3tz7i 그쵸 월급쟁이는 월급이나 제때받음 장땡이니깐 ㅠㅠ
@bangu311
@bangu311 Жыл бұрын
근데 저런 1자로된 건물만 가능하겠네 화려하게 만든 건물은 좀 힘들겠네
@user-nr4sy6mh3t
@user-nr4sy6mh3t Жыл бұрын
라멘구조는 되는데, 벽식구조는 컷앤다운 공법이 안되겠죠?
@windows0470
@windows0470 Жыл бұрын
거꾸로하면 고층부터 건물지을수있겠네요
@user-lj4rk9gj7x
@user-lj4rk9gj7x Жыл бұрын
홀수층 해체후 짝수층 해체하는 공법은 없나요❓
@centurionkwk
@centurionkwk Жыл бұрын
초고층도 이렇게 해체할 수 있을까요? 궁금.
@xnsowuwhjdie8euwu576
@xnsowuwhjdie8euwu576 4 ай бұрын
유압자키 한쪽방향 고장나면 한순간에 무너지고 다아래로깔림 위험
@user-gd5ee6vx2l
@user-gd5ee6vx2l Жыл бұрын
그냥 궁금해서 그런데 폭파하는 해체 방식으로 하면 시간과 경제성을 살릴 수 있지 않나요? 물론 위험성이 순간 감수해야하지만요.
@user-kf4ch5mm7l
@user-kf4ch5mm7l Жыл бұрын
대단하네
@user-wn3pl5zw9t
@user-wn3pl5zw9t Жыл бұрын
부럽네 우리나라 기업들은 지금당장 돈아끼면 끝인데.. 대단하네 친환경적으로 하면서 아낄꺼아끼고 재활용도 할수있고 기술력까지 인정받고 깨끗한 이미지까지 ... 노동하시는분들 장비 복장만 봐도 참 훌룡하네요 대우도 좋아보이고
@user-gg7zo3xp2o
@user-gg7zo3xp2o Жыл бұрын
12년전에 방송된거고. 2008년에 처음 시행한 철거공법인데..이거 이제 안쓰는 공법 아닌가요? 지하나 h빔으로 기둥잡고하지..왠만한 건물에는 h빔 안들어가서 이리 철거는 힘들듯.
@fastexecute
@fastexecute Жыл бұрын
딱 돈지랄하는 일본스타일이죠. 건설판 아시모 .
@bluecandy-
@bluecandy- Жыл бұрын
와 4개월 ㅋㅋ 비용 미쳤네 ㅋㅋ
@DBDBDIB7
@DBDBDIB7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부실공사 발견될거같아 건설업계에서 반대할듯
@bakingKu
@bakingKu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쓰지 않는 굴뚝해채때 쓰면 너무 좋을 것 같다...!
@user-ce9es6tm7f
@user-ce9es6tm7f Жыл бұрын
대단한 기술이기는 한데 한국에서는 적용이 안될것같네요 첫째로 비용문제 둘때로는 철거시간이 많이 늘어날것입니다 한국에서는 앞으로도 저 방식으로 철거하는곳은 없을듯 한국은 속도를 중요하게 생각하니
@user-bg3bx4fo1q
@user-bg3bx4fo1q Жыл бұрын
앞으로 20~30년 후 우리 나라에서 고층건문 해체 시장이 엄청나게 흥함. 엄청 지어대고 있거든.
@user-te5ip4bv2c
@user-te5ip4bv2c 4 ай бұрын
그냥 겁나신게하다 이론적으로도 겁나 힘든거지만 저걸 직접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한다는거 자체가 겁나신기하다
@ddachilee4971
@ddachilee4971 Жыл бұрын
이건 ㄹㅇ 오지는데
@Might_Boy
@Might_Boy Жыл бұрын
와 무슨 아이스크림 녹는 것처럼 없어지네요 ~
@jony2747
@jony2747 Жыл бұрын
자키 설치 후 어떻게 건물을 내리는 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ㅜㅜ 설명 부탁합니다
@user-js6bu1rt4b
@user-js6bu1rt4b Жыл бұрын
자키내리는데 2.5일 든다고 했고 자동화로 움직임이 조절된다고 하였으니 외부에서 자키를 동시에 움직이도록 조종하는듯하네요.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Cute Barbie Gadget 🥰 #gadgets
01:00
FLIP FLOP Hacks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34 МЛН
하루 3시간 트럭타고 일해 빚 다 청산한 30대 청년
16:16
당신이주인공
Рет қаралды 448 М.
The amazing level of Korean country houses that shocked everyone
13:18
오지는 오진다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굴착기는 어떻게 돌을 깰까? | 힘의 진화, 중장비
7:40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20 М.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