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 돌파 "파묘" 오니의 정체 완전 분석!! 실제 역사 속 인물 누구?!

  Рет қаралды 194,878

역주행-한국사, 세계사

역주행-한국사, 세계사

2 ай бұрын

📖 [역주행 고려사-고려거란전쟁 편 구매 링크]
🏛️ YES24
www.yes24.com/Product/Goods/1...
🏛️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
🏛️ 알라딘
aladin.kr/p/RqylY
[BGM]
메이플스토리 BGM 호영 - 괴력난신
메이플스토리 BGM 호영 - 선유산기슭
메이플스토리 BGM 아랫마을 - 금지된 절벽
메이플스토리 BGM 고스트파크 - 고스트하우스
메이플스토리 BGM - 까막산
메이플스토리 BGM - 미남법사의 사원
메이플스토리 BGM - 퀘스트 중 긴급상황
메이플스토리 BGM - 네트의 피라미드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소멸의 여로 - 망각의 호수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시간의 신전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시그너스의 정원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에델슈타인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에레브 수련의 숲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엘리니아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메이플스토리 BGM - 흩어진 시간 - 국악버전 (feat. flow music)
거상 BGM - 조선 필드
BGM팩토리 - 보드게임의 세계 - 장기
[참고서적]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 박시백 / 휴머니스트
'조선국왕 이야기' - 임용한 / 혜안
'조선왕조실록 1 태조~세종 편' - 이성무 / 살림
'한 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 박영규 / 웅진지식하우스
'1분 조선왕조실록 1: 태조~태종' - 정명섭 / 21세기북스
'왕, 왕비, 참모로 산다는 것' - 신병주 / 매일경제신문사
[참고자료]
(유튜브) 최태성 1TV - 전설의 한능검 고급
(유튜브) 황현필 한국사 - 조선사
(유튜브) 임용한TV

Пікірлер: 213
@Joseon-Dynasty
@Joseon-Dynasty 2 ай бұрын
참치(X) -> 참외(O) 분명히 참외라 알고 있고 대본도 참외라 적었고 그림도 참외를 넣었는데 귀신에 홀렸는지 참치라고 읽었더라고요..? 검토까지 했는데 말이죠 ㄷㄷ... 잘못 읽어서 죄송합니다 ㅠㅠ 📖 [역주행 고려사-고려거란전쟁 편 구매 링크] 🏛 YES24 www.yes24.com/Product/Goods/1... 🏛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 🏛 알라딘 aladin.kr/p/RqylY
@donghyukcho3586
@donghyukcho3586 2 ай бұрын
ㅋㅋ운전하면서 듣다가 윙(?)함
@dj_kim2556
@dj_kim2556 2 ай бұрын
참치가 드시고 싶으셨군요 :)
@naldawson7336
@naldawson7336 2 ай бұрын
성우를 쓴게 뭐 흉이라고
@user-vj5gz6mb5b
@user-vj5gz6mb5b 2 ай бұрын
참치 못 참치
@user-km7mu1un9l
@user-km7mu1un9l Ай бұрын
귀여우시다ㅋㅋ
@user-el5pk9wt5s
@user-el5pk9wt5s 2 ай бұрын
꿀잼 영상 감사합니다
@lbh1472
@lbh1472 11 күн бұрын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user-ko2kt5jk5z
@user-ko2kt5jk5z 20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재미있내요 ^^
@joonyanjoony
@joonyanjoony 2 ай бұрын
참외인데 참치로 나와버렸네요. 잘보고 있습니다. 저도 생선까스를 치킨까스로 계속 발음하게 된 경우가 있었네요.
@user-qs1mz3ef1i
@user-qs1mz3ef1i 17 күн бұрын
같은 관심사이기에 구독!!
@many2533
@many2533 Ай бұрын
오니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지만 파묘에 나온 무명 독립운동가들의 일대기도 알려주시면 좋을꺼 같아요
@user-gn7oi6fr8i
@user-gn7oi6fr8i 24 күн бұрын
오오? 영상 마지막에 게임 군주 배경음악이 깔리네요? 역주행님 군주유저?
@user-in9ww9bl7m
@user-in9ww9bl7m Ай бұрын
드라마인문학 이라는 유투브채널에서 주인장님 이영상 그대로 목소리만 ai로변경 복사 사용중입니다. 증거 그대로 참치라고 표현
@user-km7mu1un9l
@user-km7mu1un9l 2 ай бұрын
3:00 참치아니고 참외입니다ㅋㅋ 영상이 너무늦게올라오네요. 건강보다 영상이 우선인거잊지마세요..^^;;
@aroktv
@aroktv 2 ай бұрын
2:5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참치에서 빵터졌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e7jc7vk4d
@user-re7jc7vk4d 2 ай бұрын
으이그 그냥 보면되는걸
@user-tr4ir4iz6i
@user-tr4ir4iz6i 2 ай бұрын
하람이 정령 처음 만나고 은어를 대령하겠습니다 라는 대사를 보면 하림은 지네투구가 서군의 다이묘라는 걸 알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묘지를 바라보는 극에 나오는 여우의 숫자가 여러장군을 섞어 만든 걸 뜻하는 걸 수도 있겠네요!
@hyeonwoojeong7858
@hyeonwoojeong7858 2 ай бұрын
참외를 참지로 바꿔서 말하시는거 보고 놀랐네요.. 정확히 일본에는 참외가 없다는 장재현 감독님의 인터뷰를 보고 영상을 봤는데 장재현 감독님은 은어와 참외에 대해서 음양사 만화에서 모티브로 가져왔다고 인터뷰 하시고 그 이후 다른곳에서 인터뷰하실때는 일본의 고어 "마쿠와" 를 화림이 못알아 들어서 당황하는 장면이 있는데 관객들은 화면 아래 "참외"라는 자막에 시선이 가서 정확하게 화림이 "마쿠와" 라는 단어를 못알아 듣고 은어만 준비해서 갔다고 설명하시네요. kzfaq.info/get/bejne/f9V2ocZku5rNf40.htmlsi=7hc7SU8grqjhwdvn&t=1018
@2345pok
@2345pok 2 ай бұрын
진짜 넘 잼나여
@kju42
@kju42 2 ай бұрын
썩지않고 미라화 되면 수천년도 견디는데 조선시대에서는 양반들이 주로 파묘를 못하도록 석회로 두껍게 도포하는게 석회가 굳으면서 높은 열을 내기때문에 관안쪽이 멸균이 되어 묘지가 배수가 잘되는 곳이면 미라화 되는 경우가 많다.
@lolLOL-sn7xz
@lolLOL-sn7xz 2 ай бұрын
음 굳이 실존 인물에서 찾을려 하면 이 영상의 추측이 맞겠군요 그런데 작가가 공인했듯이 본인은 음양사 만화를 참고했고 망가(아니메)쪽 매니아인 사람이다보니 아무래도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한거 같진 않습니다 일단 오니의 설정 자체가 음양사에 나오는 일본 3대악귀인 백면구미 구미호/오오타케마루/쇼텐도지 를 하나로 엮은 설정을 보여줍니다 간을 먹고 도깨비불(여우불이라고 하며 쳐다보는자를 매혹시킨다는 설정이 있습니다) 백면구미 구미호에서 가져왔고 불타는 검과 소나기를 부르는건 오오타케마루에서 가져왔으며 다이묘진에 안장되고 목이 잘린 장수이자 만명의 피를 적신건 쇼텐도지에서 가져왔습니다 (음양사의 세이메이는 구미호의 자손이라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여기에 추가 설정으로 역시 음양사에 나오는 타이라노 마사카도(실존 인물? 이자 창작물상 악귀로 자주 등장하는)를 묘사하는 장면도 나옵니다 몸만 있으면 영원히 싸우겠다는 "북진, 북진!"과 목이 베어져 죽었으나 사후에 다시 목을 봉합하자 눈을 뜨는 장면은 마사카도 설화에 나오는 이야기와 동일합니다 마사카도는 목이 베여도 살아있었고 몸을 찾으면 다시 전쟁을 하겠다고 외쳤기에 그가 다시 몸을 찾지 못하도록 2개의 다이묘진을 만들어 각각 나누어 매장해 모셨다는 일본설화에 나오며 음양사에도 나옵니다 지네투구의 모티브는 굳이 찾자면 오오무카데가 아닐까 싶습니다 마찬가지로 요괴만화인 게게게의 키타로 라던지 음양사라던지에서 미디어매체에서 꽤나 자주 등장하는 거대 장로지네이고 속성을 "쇠붙이" 로서 용신 일족에 맞서 싸우며 강철쇠를만들어 부렸다고 전해지고 후에 후지와라노 히데사토가 오오무카데를 토벌하자 용신일족이 그에게 마사카도의 약점을 알려줘 마사카도또한 토벌한다는 설정이죠 파묘에서 일본 오니의 속성은 쇠말뚝과 같은 "강철"로 묘사되는게 이부분과 동일하다고 봅니다
@user-fj9pj2sz4p
@user-fj9pj2sz4p 2 ай бұрын
이분이 제대로 파악하신듯
@gs8034
@gs8034 2 ай бұрын
그래도 투구때문에 시게자네. 일본 장수의 갑옷은 그들의 명함이었어요
@user-qy3mb9hr4f
@user-qy3mb9hr4f 22 күн бұрын
재밌는 해석! 공감하고 갑니다 ^^
@user-ee9ph3vb4k
@user-ee9ph3vb4k 2 ай бұрын
선조 임진왜란 이후 마무리하고 광해군편 해주세요
@user-lr8pj9uc2i
@user-lr8pj9uc2i Ай бұрын
귀신도 사람들도 죽어서 무서운게 많네 무서우니까 겁도 먹네
@user-zf3nd1df3f
@user-zf3nd1df3f 2 ай бұрын
참외?!참치?!순간 제가 잘못 들은줄 알았는데 저만 그런게 아니군요 ㅎㅎㅎ
@user-vj1zc7qj6y
@user-vj1zc7qj6y 18 күн бұрын
영혼이 깃든 칼을 죽은 시체에 넣어서 오니를 만든건데요... 칼을 여러개 넣었나 봐요?! 영화에서 보면 정기를 끊기 위해 여러개의 말뚝을 박았다고 해요.... 픽션이니 특정 어느 인물로 정하기는 어려울듯해요~
@user-fm1jm9ed2f
@user-fm1jm9ed2f 2 ай бұрын
극중에서도 다이묘의 시체가 아닌 그의 '검'을 시체에 박고 꿰매서 만들었다고 나왔던것 같아요~
@user-nw6he5tk5v
@user-nw6he5tk5v 2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user-tk9ou3yi4i
@user-tk9ou3yi4i Ай бұрын
그 장면 미개하던데 😅
@Dafuq777
@Dafuq777 Ай бұрын
@@user-tk9ou3yi4i 그게 왜 미개하죠? 영화적인 설정인데?😮
@garammaru3272
@garammaru3272 Ай бұрын
근데 저 오니도 따지고보면 피해자긴 함. 원래는 다이토쿠에 묻혀서 신처럼 떠받들여졌는데 무라야마 준지의 음모로 쇠말뚝신세가 되버렸음. 나중에 신령인척하는 화림과의 대화에서 보면 자기가 왜 한반도 중반에 지박령처럼 말뚝신세가 됐는지도 모르는 눈치. 어찌보면 자신 위에 첩장됐던 박근현처럼 무라야마 준지 (기순에)에게 사기당하고 본인 의지와는 무관하게 악령+괴물이 되버린 피해자인셈. 오히려 본성자체는 악역 3인중 (박근현, 오니, 무라야마 준지) 가장 나은편에 속하는데 박근현은 일제시대때 나라팔아먹어서 부귀영화를 누렸던 친일파 매국노고 (심지어 후작 작위에 중추원 부의장까지 지냈고 나중에 자기 손자에게 빙의하여 경례하는 모습은 진짜 일제에게 광적으로 충성하던 거물급 악질 친일파다. 그래서인지 후손들도 박근현의 과거를 말하길 꺼렸다. 본인의 딸도 아버지에 대한 애정은 제처두고 김상덕이 그가 친일파인것을 언급하자 눈을 질끈 감고 부끄러워할 정도) 무라야마 준지는 조선 백두대간 정기를 끊기 위해 주술로 다이묘 무장을 오니로 만들어 쇠말뚝으로 삼은데다 박근현의 묘를 위에 첩장시켜서 이용하기까지 한 사기꾼에 귀신이나 산사람이나 자기 목적을 이루어줄 도구로 보는 미친놈이다. 물론 저 오니도 생전에 1만이 넘는 적들을 베어넘긴 인물이긴 하지만 군인이자 무사로서 의무를 다한것에 불과하고 (중세시대때 전사들은 자신의 전공을 자랑스러워 했다. 1만이 넘는 적들을 베어넘긴 것은 그 당시 무사로서는 자랑스러운 업적일 것이다) 근처에 있는 인간들을 마구잡이로 죽인 것도 오니가 되버린 부작용에 가까운걸 생각하면 과거 신당에 모셔졌을때나 살아있었을때는 악인이나 악신이라고 볼 수 없었다.
@user-ke3wd8rk4o
@user-ke3wd8rk4o 29 күн бұрын
검아니고 몸에 쇠말뚝 집어넣는거아닌가요
@user-or3kc3qh2l
@user-or3kc3qh2l Ай бұрын
파묘 역시 재미있죠
@joseonghyun9420
@joseonghyun9420 2 ай бұрын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가장 가능성이 있다고 봤는데 아니군요.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여했지만 동군이라서 천수를 누렸죠. 미역만 먹어서 한국 와서 은어와 참외를 찾는지 알았는데 말이죠
@user-eo8go4sq6g
@user-eo8go4sq6g Ай бұрын
조선실록은 언제쯤 다시 하시나요? 조선부터 끝내고 다른거 해주시지 ㅜㅜ
@user-or1dv5xs5l
@user-or1dv5xs5l 2 ай бұрын
아니 근데 이거 왜케 중독적이고 재밌냐 ㅋㅋ
@user-dy9vi9mb2p
@user-dy9vi9mb2p 24 күн бұрын
아마 여러가지 섞은게 아닐까 생각이듭니다 오니의 투구에서는 장식이 지네였는데 지네투쿠는 다테 시게자네의 투구입니다 하지만 시게자네는 세키가하라에는 참전하지 않은걸로 알고있습니다
@user-vv8wv5sy3y
@user-vv8wv5sy3y Ай бұрын
3:12 참치
@elapsedtime.
@elapsedtime. 19 күн бұрын
실존했던 인물을 써서 혹시나 생길 분쟁 문제도 생각했을듯 일본에 거론된 무장들증엔 아직 후손들이 살아있기도 하니까요
@user-hv4xd3xc3g
@user-hv4xd3xc3g 2 ай бұрын
전 볼때 당시엔 키가 상당히 큰 오니인걸 보니 당대 침략한 무장중에 키가 큰 '도도 다카토라'를 생각했지요.(명량해전) 근데 생각해보니 작중에 시체들을 모아서 만든걸 고려해보면 ㅎㅎ tmi.참고로 오니의 성우분이 코야미 리키야씨라고 하는군요.
@akawassup
@akawassup 2 ай бұрын
영화 보시고 참치드시고 오셧나요???
@EnjoyYourCar
@EnjoyYourCar Күн бұрын
오니기리다!
@baekyul7473
@baekyul7473 14 күн бұрын
은어는 키요스성인지 아즈치성인지 모르겠으나 오다 노부나가의 주성이였던 곳의 특산물이였다고 본적이 있는 거 같네요.
@David-gq9oq
@David-gq9oq 2 ай бұрын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유일하게 참수된 다이묘가 고니시임.. 다른 몇 몇 다이묘는 다들 할복 함..
@stockwalker
@stockwalker 2 ай бұрын
아닙니다 안코쿠지 에케이, 그리고 이시다 미츠나리도 참수됐습니다. 그리고 할복도 가이샤쿠라고 결국은 목 뱁니다. 고니시는 할복을 거부해서 목이 잘린거구요,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2 ай бұрын
참수된 3명과 오타니 요시쓰구 같이 전쟁 중 사망한 다이묘 몇 명 외에는 전후 영지가 줄거나 뺐겼을 뿐 할복하거나 죽은 자는 없음.
@osmth3935
@osmth3935 Ай бұрын
거짓 정보는 수정하거나 삭제부탁드립니다😀
@Ichizo_tatchan
@Ichizo_tatchan Ай бұрын
​@@user-if1bk9sg3v 정정해드립니다, 마시타 나가모리 부자, 나츠카 마사이에 같은 인물들은 영지몰수 및 할복을 명 받아 할복했습니다
@user-if1bk9sg3v
@user-if1bk9sg3v Ай бұрын
@@Ichizo_tatchan 아 맞다 부교들이 할복했죠. 잊고 있었네요. 선생님 오랜만입니다. 블로그나 유튜브로 전국시대 얘기 썰 좀 풀어주시면 챙겨볼텐데 안하시죠?
@David_H_An0408
@David_H_An0408 2 ай бұрын
참치를 좋아하셔서 참치를 넣으셨습니다
@guraguracipal
@guraguracipal 2 ай бұрын
참치?
@user-pp1yv7vp8b
@user-pp1yv7vp8b 2 ай бұрын
영화 무서움 😂기대 너무많이했네요 ㅋ😊
@raphaelko4715
@raphaelko4715 19 күн бұрын
참외는 잘모르겠지만 전국시대때 수백년간 육고기를 금했었습니다. 그래서 생선이 주 단백질 공급원.. . 은어는 별미로 설명하신 부분과 일치 할듯합니다. 멜론이 일본으로 들어온 후 참외는 거의 안먹고 경작을 안해서 이젠 코리안멜론으로만 남아있습니다요.
@DSPark-
@DSPark- Ай бұрын
은어를 좋아한장수가. 있습니다 데와의여우 모가미 요시아키 무덤에서 여우가 나온이유
@user-yu3tg5sp3i
@user-yu3tg5sp3i 18 күн бұрын
아마도 가등청정을 염두에 둔 모티브가 아니었을까요?
@user-zn1tk4ki5q
@user-zn1tk4ki5q 2 ай бұрын
맹장 시마사콘 같아요
@jamiepark1248
@jamiepark1248 Ай бұрын
왜 갑자기 2주동안 없으신가요 ㅠㅠ
@stockwalker
@stockwalker 2 ай бұрын
가장 비슷한건 고니시인듯한데, 키리시탄이어서 그냥 여기저기 인물들을 붙여보자로 간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다테모노도 고니시의 것으로 봤고, 한반도 전국 곳곳을 알았다는 것도, 1만명을 죽여서 신의 경지에 올랐다는 것도, 가장 조선에 많이 피해를 준 고니시가 그래도 가장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세키가하라에서 죽었다고 하니까요! 모티브는 고니시에서 시작해서, 여러 인물들의 개성을 추가했다에 한표입니다! 고니시 가토편 기대됩니다!
@junhyunkwon7836
@junhyunkwon7836 20 күн бұрын
일본에는 참외가 없는데요..예전에는 있었나?
@mingtube5349
@mingtube5349 2 ай бұрын
재밌게봤어요 ;) 최민식의 차번호가 0815 너무 대놓고 나와서 ㅋㅋ 근데 정말로 부잣집이나 정치인분들 풍수지리엄청 믿고 관련하여 첩장도 많다고 하더라구요
@tangadream
@tangadream 2 ай бұрын
참외를 참치로 발음하셨네요. 즐겁게 잘봤습니다.
@user-fu7eu4ib4f
@user-fu7eu4ib4f 2 ай бұрын
그것도 두번이나
@7D3M2N
@7D3M2N Ай бұрын
본적없는듯
@jiwon9327
@jiwon9327 23 күн бұрын
참외회 안먹어봣어요?
@Killer__cat
@Killer__cat 21 күн бұрын
참외 참치랑 싸서먹으면 맛있지
@forthebetterjk236
@forthebetterjk236 19 күн бұрын
에바참치네요
@user-kg3mj5ep2l
@user-kg3mj5ep2l 23 күн бұрын
참치회 좋아하시는듯
@interpreter7
@interpreter7 Ай бұрын
다이묘가 다이토쿠에 믇힐 예정이었는데 기순애가 조선으로 자기를 대려왔다는 말을 하는데...여기서 다이토쿠는 도쿠가와 가문을 모시는 신사입니다
@Dru-Zod
@Dru-Zod 2 ай бұрын
참치요?ㅎㅎ 영상잘보겠습니닷
@user-fv2ym1yv3v
@user-fv2ym1yv3v 2 ай бұрын
ㅋㅋㅋ 듣자마자 댓봄
@user-vt9nx7jj7w
@user-vt9nx7jj7w Ай бұрын
영화에 여우도 4마리가 나옵니다.
@hyeongjungkim0441
@hyeongjungkim0441 29 күн бұрын
행주대첩 에 참전한 왜군 장수 중에 당시 왜군 총사령관 이 우키타 히데이에 는 빠졋네요
@user-fs3uq5zb8s
@user-fs3uq5zb8s 20 күн бұрын
한쪽 눈으로 보는 장면과 지네투구 그리고 전장에 직접 나선 무장이라니까 "다테 마사무네"를 모티브로 한듯
@user-fr7uz9ch9r
@user-fr7uz9ch9r 19 күн бұрын
일본에 장수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끼일 수 있으니 그렇지ㅠ않긋나 노량이나 그 외에 전쟁들은 실제 있었던 일을 모티브로 하니까 상관없지만 파묘는 어쨋든 분묘에대한 상상으로 만든 창작물이잔어 대놓고 실제장수 이름을 갖다 붙이면 아마 뭐가 걸리든 걸렸을거같은데??
@karlmarx3211
@karlmarx3211 5 күн бұрын
세세한 역사적 팩트를 내려놓고 가등청정, 가토 기요마사의 흔적이 많이 느껴졌는데, 이유는 네임드에다가 독실한 불교신자였고, 호랑이 허리를 끊었다라는게 가토의 별명으로 호랑이 사냥꾼이라는 별칭도 있어서 큰 생각없이 생각한듯.
@jyang5939
@jyang5939 28 күн бұрын
아니아니 정령 인물을 특정하지 못하게 한 것은 여러사정이 있겠으나 (영화니까) 명당에서처럼 그 자리가 있어도 들어갈 자는 살아있으면 안되는 거니까요. 정령못을 만든다 해도 죽어야 가능 하겠죠. 그리고 도요토미같은 이긴 자들은 살아서 신이 되려고 하는 자들이었는데 무슨 못이 되겠어요. 또 여러 영혼을 합쳐봤자 결국 사람인데 이 땅의 맥을 끊을 수나 있겠습니까? 만약에 정말 만가지에 하나 그런짓을 하려면 여러명을 때려넣은 못을 여러개 만들면 더 효과적인데요? (그럼 2탄의 예고?!?!) 그부분은 다시 생각해봐 주시면 더 재밌는 가설이 나오지 않을까요?
@user-nh2it9zl7u
@user-nh2it9zl7u 2 ай бұрын
다들 왜 난리임??.? 참치는 저렇게 생긴게 맞아요 참치 생김새를 모르네 참치는 노랗구요 속살은 하얘요. 씨도 들어있구요 씨겉에는 달콤한부분들이 많구요 그걸 잘라서 회간장에 와사비 풀어서 함점사면 크야 그 참외 아니 참치맛이란♡
@byeonghaJang
@byeonghaJang Ай бұрын
정신 차리세요
@parkgoogle
@parkgoogle 2 ай бұрын
그냥 복잡한거 없이 실존인물 넣었다가 반발우려해서 믹스한게 아닐지
@user-ti6sx9is6u
@user-ti6sx9is6u 17 күн бұрын
시마즈 요시히로? 사천전투에서 조.명 연합군 삼천으로돌파 오니시만즈 별명생김 세키가히라 서군측가담 이후 참수당함
@hangrand2585
@hangrand2585 Ай бұрын
머리가 아파온다
@capt94
@capt94 18 күн бұрын
명나라 이여송의 지형/전략가인 두사충을 잘아는 일본 장수를 연결시켜도 될 듯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두사충이 우리나라의 정맥을 끊었다는 이야기가 있으니...
@Asdfe693
@Asdfe693 17 күн бұрын
그냥 감독은 섞은 영혼들 즉 모두다 도그베이비다 이것을 말하는건 아닐까요ㅋㅋ
@user-gb8sv2pt1o
@user-gb8sv2pt1o 2 ай бұрын
최민식이 땅사용료로 백원(이순신)던지죠? 함축적의미가 있다봅니다. 오니이건 정령이건 이순신앞에 꼼짝마라는뜻 아닌가싶네요.
@mingtube5349
@mingtube5349 2 ай бұрын
실제로 모티브가 되신 국민장 많이하셨던 장의사분께서 원래 파묘하고나면 땅을 잘썼다고 10원짜리를 던지곤 하는데 10원짜리가 흙색이랑 비슷해서 안보이니까 100원짜리를 던진거같다라고 하셨어요. 파묘관련 찍을때 관련하여 주변에 계시면서 보셨대요
@user-gb8sv2pt1o
@user-gb8sv2pt1o 2 ай бұрын
@@mingtube5349 그것도 맞고 상황도 맞아떨어져서 백원썻답니다
@user-mo2xv4ec3z
@user-mo2xv4ec3z 2 ай бұрын
오 엑조디아 오니
@user-ie7ro4cl2y
@user-ie7ro4cl2y 2 ай бұрын
참외그림 나오는데 은어와 참치라길래 내가 잘못들었나 했네;;;
@user-cs6dl9hf9g
@user-cs6dl9hf9g 16 күн бұрын
미츠나리를 피신시키고 끝까지 일당백으로싸운 팔천장신 장군이 있었다
@KimBuRal
@KimBuRal 19 күн бұрын
뭔가 거창한 이유보다는 그냥 가상의 인물로 설정하는게 더 나아보여서 그런거 같은데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논란거리를 굳이 넣고싶지 않았던게 아닐까 싶음 주인공 4인방은 모두 독립운동가의 이름을 가져왔지만 막상 작품 내에서 독립이라는 단어 자체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점부터 시작해서 독립운동가의 이름을 가진 주인공 4인방이 모이게 된 계기 자체가 돈이었다는 점 친일파 후손 역할들이 뭔가 악역으로써의 역할을 하진 않는 점 막상 사람 죽이던 조상이 주인공들에겐 딱히 어떠한 해를 끼치지 않고 오히려 힌트를 준 점 등등 일제시대에 관련한 이야기를 쓰긴 했지만 굳이 국뽕적인 요소는 일부러 배재한 느낌이 들었음 제작에 참여한 사람 중에 일본인도 있는것으로 보아할 때 이 공포 영화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묘, 땅, 풍수, 귀신 같은 요소를 뺴고는 논란거리가 될 만한걸 다 빼고 이야기만을 담담하게 풀어놓은 느낌 한국사람 입장에서야 저 사람들 죄다 죽일놈들이지만 외국인들은 아닐 수도 있고 일본인들은 오히려 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으니 이래저래 다 섞은 가상의 인물을 만들어 이 영화가 대체역사물이나 국뽕영화가 되는 것을 최대한 경계한 게 아닐까 생각함 뭐 물론 쓸데없이 얼굴에 글자 좀 몇개 적었다고 반대쪽 나라에서 지랄할 줄은 상상도 못했겠지만
@dkgbq
@dkgbq 17 күн бұрын
다테시게자네와 고니시유키나가 안코쿠지엔케이 섞은거갘은대
@user-go9tf1ch8w
@user-go9tf1ch8w Ай бұрын
와씨 나는 투구나오고부터 그냥 만화구나 했었는데 ㅋㅋㅋ 완전반대네
@user-wm8vz3vp6q
@user-wm8vz3vp6q 18 күн бұрын
그냥 장수는 사람이 아니라 일본이라는 그자체를 표현한듯합니다. 그걸 직접 밝히는건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기엔 충분하죠. 일본개봉도 어려울테고 외교문제도 생기도...
@user-gz9sj5xi4i
@user-gz9sj5xi4i 24 күн бұрын
영화 곡성에 비해서 그닥 오니 나오는 순간 코미 퐌타지물 되어버림
@user-hd4le7xz8z
@user-hd4le7xz8z Ай бұрын
일본 갑옷과 투구는 사나다 유키무라 아니면 다케다 신켄이 개간지지...
@Yarorepapa
@Yarorepapa 25 күн бұрын
킹치만...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오니쨩이 날 봐주지 않는걸...?
@user-bh3xy8vf5s
@user-bh3xy8vf5s 22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참치는 어디서 나옴??>??
@user-qd5vx6eq2b
@user-qd5vx6eq2b Ай бұрын
네??.참치요??
@samgukjilover
@samgukjilover 2 ай бұрын
3:00 역주행님…참치가 드시고 싶으셨나 봅니다…부디 영상 편집하고 나서 맛있는 동원참치캔으로 배부른 식사하셨길 빌어요 ㅋㅋㅋㅋㅋㅋㅋ +조선사 본격적으로 올라가는 5월달까지 존버하겠습니다:)
@user-fo7lu1lf3x
@user-fo7lu1lf3x 28 күн бұрын
참치에서부터 집중 ㅋㅋㅋㅋㅋㅋㅋㅋㅋ
@yang4327
@yang4327 22 күн бұрын
영화를본건지안본건지 모르겠네 내가영화를 잘못봤나싶어 결제하고 다시보기했다 ㅋㅋㅋㅋㅋ
@user-op3dz6mh3v
@user-op3dz6mh3v Ай бұрын
점심을 참치 드셨나
@user-ko1sx9zp3k
@user-ko1sx9zp3k 28 күн бұрын
오니는요 내가 아는 타짜 중 최고였어요
@jmkim1566
@jmkim1566 Ай бұрын
참외를 웬 참치..?
@user-yt6mm9ho4r
@user-yt6mm9ho4r Ай бұрын
먹고싶었나보죠
@user-yz1iz5ql8g
@user-yz1iz5ql8g 24 күн бұрын
고니시가 저 오니라면 좀 영화 그럴듯. 가톨릭신자가 승탑 보고 저럴일이 있으려나. 차라리 가토가맞다고봄
@user-ux6vl7xk6e
@user-ux6vl7xk6e 20 күн бұрын
파묘도 나름 앞뒤로 서사가 이어지고 설정도 그럴듯하게 이어져 있는데 본인들이 이해 못해놓고 알아볼 생각도 안하고 개연성이 없네 어쩌네 까내리는 애들이 안타까움...
@FOX.ROCKSHOX
@FOX.ROCKSHOX 11 күн бұрын
주인장이 참치를 좋아하나보네 참외를 참치라고 말한것 보니까
@spluto83
@spluto83 21 күн бұрын
참치는 동원이죠~
@markryu1863
@markryu1863 Ай бұрын
이시다 미츠나리 는 아님, 애당초 행정가 출신임, 무력도 그렇게 높지 않았을 텐데 만명을 베었다는 말 자체가 성립이 안됨 토오토미 히데요시의 칠본창이였고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가토 기요마사는 무력도 높을 가능성이 크지만 세기가하라 전투때 도꾸가와 이에야스 편에 들었던 인물이고. 이후에 잘먹고 잘살다가 매독에 걸려죽었음. 내 생각에는 그냥 모티브 자체가 없는 가상의 인물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그게 누군지도 중요한 영화도 아니고.
@yoonee72
@yoonee72 Ай бұрын
참치캔을 준비 못했어 ㅋㅋㅋㅋ
@takisira4
@takisira4 2 ай бұрын
나같은사람이 저혼자만은 아니군요 ㅋ
@user-np8hm2tu1l
@user-np8hm2tu1l Ай бұрын
여우가 호랑이의 허리를 끊었다.
@user-kj1gz7zp8r
@user-kj1gz7zp8r 11 күн бұрын
오니 는 일본에서 도깨비를 뜻하는 말 아닌가?
@Dear_Bloom
@Dear_Bloom 4 күн бұрын
여러명을 기웠다는건 좀 너무 간거 같은데
@user-uy4od1pf2y
@user-uy4od1pf2y Ай бұрын
어서어 선조때부터어어
@user-pp1yv7vp8b
@user-pp1yv7vp8b 2 ай бұрын
무당굿판
@user-io2pn8xl9b
@user-io2pn8xl9b Ай бұрын
참치 먹고싶다
@10-ym6lx
@10-ym6lx 2 ай бұрын
참외를 참치라 연달아 말하길래 일본발음이 그건줄
@Cassiopeia_JY
@Cassiopeia_JY 16 күн бұрын
참치는 너무커서 배달이 안되요 ㅎㅎㅎ
@user-fr4pi4on7r
@user-fr4pi4on7r 23 күн бұрын
참치 먹고싶네..
@user-rb3cy4ui4v
@user-rb3cy4ui4v 4 сағат бұрын
히데요리아니고 히데요시 그리고참치아니고참외입니다
@user-ym5yk1el1i
@user-ym5yk1el1i 20 күн бұрын
여우가 수십마리가 있어도 성체호랑이는 당해내지 못할듯
@user-pi7ed3px3p
@user-pi7ed3px3p 21 күн бұрын
파묘가 전달하고자한건 아마도 일본이 전국 혈자리에박은 말뚝이 아닐까 싶네요 국가 정치적인이유로 돌려만들었다봄
@doublejoker5019
@doublejoker5019 2 ай бұрын
6:22 군사적 재능 뿐만아니라 인성도 조금 안좋았던 것으로......
@tv-gk9zf
@tv-gk9zf 2 ай бұрын
아군 죽인것도 포함인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히틀러는 대체 왜?! 이런 멍청한 작전을 실행한 걸까? (feat. 벌지 전투)
9:15
"넷플릭스" 제작, 전국시대 3인방 일대기 - 종합본
1:07:14
역주행-한국사,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파묘, 험한 것이 나왔다|역사는재밌다_16
6:58
최태성 2TV
Рет қаралды 788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