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의 기술 등산화 수입vs국산.나만의 등산화

  Рет қаралды 8,971

오르다 트레킹

오르다 트레킹

6 күн бұрын

#등산화 #OT파우치 #등산화 기술 #설악산 #등산복
오르다트레킹 네이버스토어
smartstore.naver.com/best-onion

Пікірлер: 31
@sukjoocho
@sukjoocho 4 күн бұрын
저랑 아내는 장거리 산행도 자주 하지만 암릉의 미끌림이 염려가 되어 국내산 켐프라인 중에서 골라 신고 다닙니다 단 한 번 이라도 미끌어지면 부상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에 접지력을 대체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파우치는 아내 거랑 두 개를 이미 구입했습니다
@user-rs6ce1zv5s
@user-rs6ce1zv5s 4 күн бұрын
가려운 곳을 콕 찝어 시원하게 긁어주시는 느낌.. 두번 정주행했습니다. 감사합니다.
@zombie9909
@zombie9909 4 күн бұрын
동의합니다 대부분의 유튜버 등산장비는 협찬이 많아서 참고만 해야지요
@user-be9co2fb4u
@user-be9co2fb4u 3 күн бұрын
좋아요. 요즘, 어설픈 유튜브들이 어설픈 장비 설명이 있더라고요..
@santafa
@santafa 4 күн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alfredooh1475
@alfredooh1475 Күн бұрын
저하고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계셔서 중간까지는 주의깊게 영상을 봤습니다 다만, 중등산화 vs 경등산화에 대해 너무 많은 설명을 하셔서 조금 줄이시고 신어보신 등산화중에 수입,국산 등산화의 장,단점과 가성비가 좋은 등산화 소개를 해 주셨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되네요 저는 캠프라인 애호가로 지금까지 약 30컬레 이상 신어봤는데 항상 만족하고 수입 등산화는 정보도 없고 비싸고 너무 무거운 전문가용이 많아 국내산 갈때는 꼭 필요할까 생각도 들어 아직 구매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user-ls9zj1pd5q
@user-ls9zj1pd5q 3 күн бұрын
제가 365일 캠프라인 신고 다니는데 우리나라 산은 캠프라인이면 충분한 것 같아요~
@softstone4651
@softstone4651 3 күн бұрын
영상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5시간 이내의 등반이 잦고 당일산행 및 거리가 15키로 이내인 등산이 주인 이유로 발의 편안함과 가격경쟁력이 좋은 국산 등산화 신고 있습니다. 아 그리고 파우치 구매도 완료.
@user-vu1on9vs5b
@user-vu1on9vs5b 3 күн бұрын
발목높이가 발 접질를 때 조금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등산화의 등급은 목높이가 아니라 창의 굽어지는 정도로 구분됩니다. 미드컷도 다져진 빙설면에서의 킥스탭 등을 위해 빙벽화처럼 완전히 b3등급도 가지고 있답니다^^
@csb4345
@csb4345 3 күн бұрын
역시 전문가의 사려깊은 식견! 완벽한 장비는 있을 수 없죠, ㅊ잘 봤습니다.🎉
@user-gc6mm1if3c
@user-gc6mm1if3c 4 күн бұрын
등산이 힐링이 될지, 아니면 지옥같은 시간이 될지~ 를 판가름 해주는 중요한 요소중에 하나가 바로 좋은 등산화임.!! 등산화는 전문 등산화 기업이 만든 등산화를 신는게 가장좋음.. 그리고 우리나라 100대 명산 정도의 산들은 무조건 중목 이상의 신발을 신어 발목부상이나 장거리 발목피로등을 줄여주는...용도에 알맞는 등산화를 꼭 신어야 한다고 봄...
@somethingaboutwood
@somethingaboutwood 4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 주문하고 올 때까지 ㅋㅋㅋ
@user-op9sn3lw1n
@user-op9sn3lw1n 4 күн бұрын
파우치 사용 중인데 아주 유용한 물건입니다. 다만 배낭을 벗게 되면 분리가 되어 좀 불편하더 군요. 고정 장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vu1on9vs5b
@user-vu1on9vs5b 3 күн бұрын
창고로 등산화 창등급을 소개드려 볼께요.b0: 트레킹화나 위쪽 어퍼부분이 약해서 아이젠밴드를 설치하기 위험?한 부츠. 산에가면 대부분이 이 등급입니다.b1: 워킹용 크럼프(아이젠)을 끼울 수 있는 등급. 마인들이나 잠발란또는 캠프라인의 대부분 중등산화에 해당됩니다. b2: 앞부분은 스트랩 뒷부분의 원터치 아이젠을 끼울 수 있는 세미원터치 크럼폰을 끼울 수 있게 뒤축부분에 턱이 있는 부츠. 체중을 가하면 살짝 휠 정도의 regidity이며 뒤축부분에 턱이 잇어도 마인들 히말리야는 창의 휨세로 봐서 b1등급으로 생각됩니다. b3:빙벽및 고산용으로 바닥이 전혀 휘지않는 c3등급의 크럼폰 알파인부츠라고 합니다. 라스포티바빙벽화나 고산화 등. 이상 오지랍 길게 떨었는데 참고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user-hk5hl6oe6y
@user-hk5hl6oe6y 4 күн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장비 갖추었다고 자만하지말고 늘 정신 똑바로 차리고 산행하셨음 합니다. 산에서 술좀 먹지 맙시다~~~~
@s.p.r6980
@s.p.r6980 4 күн бұрын
전형적인 아시안 체형으로 아쉬움을 많이 느끼는 한 사람으로 길게 적게 되었습니다. 국산이라고 한국인 족형에 맞는 다고는 할수 없을거 같아요 이건 의류도 마찬가지인데 의류도 입다보면 국산브랜드지만 아시아인 체형에 맞게 만들지 않고 외국의 브랜드 의류와 신발 본을 그대로 떠와 기술력을 발전 시킨것인지 별차이가 없다고 느끼는 1인입니다. 몇몇 브랜드의 몇가지 모델은 상대적으로 한국인 체형과 족형에 맞게 나오는게 있는데 그건 특별한 경우거나 그 모델만 그런 경우인듯 합니다 유명한 국산 모 등산화 브랜드도 따지고 보면 신발 토박스나 발볼 부분은 미국 등산화 브랜드에 비하면 오히려 신경쓰지 않는다고도 볼수있습니다 외국 브랜드들이 오히려 한국 시장을 의식하고 매출과 구매자들의 요구를 들어주는것인지 신발이 와이드형으로 출시를 많이하고 있습니다. 선글라스 의류 신발 많은 분야에서 아시안핏이나 와이드 버전 숏 롱 이렇게 놔눠서 추가적인 모델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에 반해 국산 브랜드는 규모가 작아서 그런것인지 위에 언급한 저런 정도의 한국인 체형에 맞출려는 노력이나 다양한 사이즈의 라인업을 준비해 출시를 하지 않더군요 (이미 한국인 체형에 맞춰 출시하고 있다고 느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저는 조금 아쉽다고 생각합니다)
@user-hy5ys9hu8i
@user-hy5ys9hu8i 4 күн бұрын
가격도 중요한 선택 기준이것죠
@henry9773
@henry9773 4 күн бұрын
파우치 강추 등산은 물론 평소에 착용중
@user-mx4se7iw3i
@user-mx4se7iw3i 4 күн бұрын
산 정상에서 마른흙에 미끄러져 발목 골절로 철심을 5개나 박는 수술한 사람으로서~개인적인 견해입니다만 산행 높이에 따라~ 발목을 보호 할수 있는 등산화가 안정적이란 생각 입니다! ~
@user-cr5nx8tb4g
@user-cr5nx8tb4g 3 күн бұрын
가벼운 등산화는 머렐이 좋고 장기산행은 마인들 좋아요 !!!
@inote_hiking
@inote_hiking 4 күн бұрын
파우치 버클과 찍찍이가 같이 지원되었으면 좋겠어요. 버클이 고정이 안되요. 그리고 고리 박음질은 더 단단하게 검수가 되었으면 합니다. 조금 달고 다녔더니 실밥터져 버렸어요.
@user-ge8eo8kz7l
@user-ge8eo8kz7l 3 күн бұрын
네.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초뱐에 검수를 꼼꼼히 하지못해 체결 똑딱이 단추가 헐거운게 있었는데 지금은 조치가 완료되었고, 말씀 해주신 부분들도 검수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ge8eo8kz7l
@user-ge8eo8kz7l 3 күн бұрын
언제든 연락 주시면 지금꺼로 다시 보내드리겠습니다
@blankooo2115
@blankooo2115 4 күн бұрын
너덜길은 바닥이 좀더 두꺼운 것이 좋더라고요
@user-mx4se7iw3i
@user-mx4se7iw3i 4 күн бұрын
물통 힙백 구매하려고 들어 갔는데~후기에 똑딱이가 헐겁다네요?~벹트로 연결되어 가볍게 풀수 있도록 만드시면 유용하게 쓰임이 있을것 같아요!~조금더 연구해 보세요?
@Mong1307_
@Mong1307_ 4 күн бұрын
지금 들고계신것은 마인들인가봐요 그ㄷ등산화는 바위가 많은 산에서는 아주 불편 합니다~😊
@user-fs9xx9en3o
@user-fs9xx9en3o 4 күн бұрын
개인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최근 구입한 마인들 히말라야, 코오롱 2744, 로바 , 호카, 테크니카 등 주로 고가 라인들로 착용해 봤는데 제 발 기준 가장 착화감이 좋은 등산화는 마인들과 테크니카였습니다. 마인들의 경우 발목을 높게 잡아줘서 오히려 장거리 산행에서 발목 피로도가 덜해서 좋았습니다. 모두 좋은 등산화는 맞지만 자신의 족형에 맞는 등산화가 가장 좋은게 맞는거 같습니다.
@Mong1307_
@Mong1307_ 4 күн бұрын
@@user-fs9xx9en3o 저는 마인들 신다가 발바닥 높이가 너무높아 당근에 팔았어요
@sanghunlee2238
@sanghunlee2238 4 күн бұрын
마인들은 마크가 선명하게 보이는데 이건 한바그입니다. 나도 마인들 신고 공룡능선 갔다가 미끄러져서 바로 밑창을 수제(부틸100%)로 교체 했습니다. 참고로 나이는 60대후반입니다. 등산화는 캠프라인은 여름용(미드컷) 겨울용(하이컷)있고, 마인들(하이컷) 트레킹화는 호카( 와이드, 메가그립)을 신고 다녀요~
@sanghunlee2238
@sanghunlee2238 4 күн бұрын
@@user-fs9xx9en3o 내가 신고 다니는 마인들의 좋은점은 발목이 너무 편한것은 좋아요. 단 비브람창이라도 바닥창은 미끄러워서 할 수 없이 갈았다는것입니다.
@user-rb5zi1yb3t
@user-rb5zi1yb3t 4 күн бұрын
이번에 캠프라인 중등산화 를 밑창 갈이 했는데.예전 밑창 보단 더 두꺼워 졌는데.저 한테는 훨씬 좋은 발의 컨디션을 유지할수 있어 너무 좋았습니다. 장거리 산행시 예전 등산화는 발가락 쪽이 불편 했는데.창 갈이 이후.발의 불편함이 많이 개선 됐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파우치 두개는 이미 주문 배달 됐습니다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6 МЛН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