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자연휴식년제 후 개방, 죽음의 골짜기 지리산 칠선계곡 [환경스페셜-최후의 원시림 지리산 칠선계곡] / KBS 20080611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93,888

환경스페셜

환경스페셜

2 жыл бұрын

▶ 지리산의 마지막 원시림인 칠선계곡. 칠선계곡은 천왕봉을 기점으로 지리산 북사면으로 9.7km에 걸쳐 이어진다. 지리산 계곡 중 가장 길고 험해 ‘죽음의 골짜기’라고도 불렸던 칠선계곡이 생명의 계곡이 되어 우리 곁에 돌아왔다. 안전사고와 자연훼손을 막기 위해 지난 1999년 특별보호구역으로 지정,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돼 왔지만, 올해 5월 새로운 개방을 맞게 된 것이다. 험준한 산세와 자연휴식년제를 통해 지켜져 온 신비의 공간 칠선계곡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한국 고유종 씨앗과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동·식물을 지켜내고 있는 칠선계곡의 아름다운 생태와 지난 10년간의 변화 모습을 통해 칠선계곡의 자연보존 가치를 알린다.
▶ 신비의 칠선계곡, 베일을 벗다
지리산의 험난한 산세 속에서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며, 우리나라 3대 계곡의 하나로 꼽히는 칠선계곡! 지리산 최고봉 천왕봉에서 발원해 칠선폭포를 거쳐 용소까지, 7개의 폭포수와 33개의 소(沼)가 9.7km에 걸쳐 늘어서 있다.
특히 칠선계곡의 숲은 전쟁 후에도 거의 훼손되지 않은데다 험한 산세 덕분에 사람의 발길이 뜸해 남한에서 유일한 천연 침엽수림으로 지켜져 왔는데. 5월 개방에 앞서, 10년간의 휴식을 보내고 난 칠선계곡에 최초로 들어간 제작진!
▶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숲은 쓰러진 고목과 이끼로 태고적 신비를 자아내고, 계곡에서는 전 세계에서 한반도에만 살고 있으며, 멸종위기종 1급으로 최근 한반도 에서도 발견하기 힘들었던 얼룩새코미꾸리가 발견된다.
▶ 지리산 북사면 칠선계곡의 특별한 봄
4월, 지리산 다른 곳은 이미 봄의 끝자락이지만, 봄기운은 해발 1915미터의 천왕봉을 쉽게 넘지 못한다. 지리산 북사면에 위치한 칠선계곡은 흰 눈꽃산과 얼음 계곡으로 특별한 봄을 그려낸다. 계곡의 얼음이 녹을 무렵 계곡 최고의 수영꾼 물까마귀와 아름다운 빛깔의 쉬리가 번식을 위해 칠선계곡 상류 계곡으로 돌아오는데...
5월이 다 되어서야 지리산 다른 계곡의 봄 풍경과 비슷해지는 칠선계곡. 지리산의 젖줄인 칠선계곡을 따라 살아가는 다양한 야생 동식물들이 봄과 함께 새로운 생명을 탄생 시키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 10년의 힘! 숲도 휴식이 필요하다
칠선계곡의 숲은 지난 10년간 자연휴식년제로 사람들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옛 모습을 되찾고 있다. 남한 최대의 주목으로 꼽히는 수령 500년 주목이 그 위용을 자랑하는 가운데, 한국 고유종인 구상나무 숲은 지난 10년 간 단위 면적당 밀도가 약 15% 증가 했고, 칠선계곡 내 식물은 무려 70여종이나 증가한 것으로 보고된다.
특히 칠선계곡의 숲에는 점차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는 땃두릅나무, 돌단풍 등 한국 고유종들과 만병초, 백작약, 자주솜대 등 희귀 및 멸종위기종이 지켜지고 있어 그 가치를 더한다.
▶ 개방, 공존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다
칠선계곡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두지마을. 이곳엔 칠선계곡이 출입금지와 개방에 대한 논란을 겪기 훨씬 오래 전부터 칠선계곡에 기대어 함께 살아온 사람들이 있다. 흙집을 짓고, 약초를 캐먹으며 칠선계곡의 여느 생명들과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살아온 이들은 이제 공존을 꿈꾼다.
국내 최초로 실시되는 생태예약탐방제! 칠선계곡을 가장 잘 아는 주민들이 가이드로 나서 자연훼손이 없도록 탐방객을 이끌며, 미리 인터넷으로 신청한 한정된 인원만이 1년에 4개월 동안만 칠선계곡을 오를 수 있다. 칠선계곡의 빗장이 풀리고, 조심스레 첫걸음을 내딛는 사람들. 산을 정복하는 인간이 아니라, 산에 기대어 사는 인간이 그려내는 공존의 공간으로 칠선계곡의 역사가 새롭게 쓰여질 수 있을까.
※ 이 영상은 [환경스페셜-최후의 원시림 지리산 칠선계곡(2008년 6월 11일 방송)]입니다. 일부 내용이 현재와 다를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국내 최초 환경 전문 다큐멘터리, 환경스페셜 공식채널입니다.
구독/좋아요/알림설정!
▶구독:url.kr/ikg6th
▶방송 다시보기(홈페이지): program.kbs.co.kr/2tv/culture/...

Пікірлер: 80
@soonmyonglewis6306
@soonmyonglewis6306 Жыл бұрын
KBS환경스페셜 촬영팀분들 수고하셨습니다. 덕분에 자연의신비로움을 볼수있는 프로그램 최고입니다.👍❤
@user-oo7vv5vn6n
@user-oo7vv5vn6n 2 жыл бұрын
한 장면 한 장면이 너무 재밌네요 칠선계곡이 훼손되는 일 없이 잘 보존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환경스페셜 제작진 분들 칠선계곡의 아름다움을 영상으로 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wn6ye4qr7o
@user-wn6ye4qr7o 2 жыл бұрын
지리산 칠선계곡의 동식물들 영상 재미있게 자알 시청하고 좋아요 꾸욱 누르고 갑니다♥
@user-iz1xt1ym7t
@user-iz1xt1ym7t Жыл бұрын
참좋운풍경넝아름다운곳참좋아요이렇게좋운영상 보여주셔서감사드림니다^~~
@user-we1go1wk4g
@user-we1go1wk4g 2 жыл бұрын
지리산 공비들이 툭 하면 목욕하고 쉬던 쉼터가 칠선계곡이라 헀죠 저기 가보면 진짜 전방 2~3m 앞도 안보일 정도로 울창한 곳입니다 또 높은 산의 특징이 언제 어떻게 기후가 변할지 아무도 모른다는것이 가장 무섭고 위험한 것이지요 여름이라도 높은곳이다 보니 밤이 되면 엄청 추워집니다 특히 비를 훔뻑 맞고 길을 잃는 조난사고라도 당하면 더 위험해지고요
@user-jc3vr1sc5g
@user-jc3vr1sc5g 2 жыл бұрын
모두가다 우리인생 산을보고한사람 모두행한인생을 잘보네서요 건강과가정에행복을 빕니다
@notso6116
@notso6116 2 жыл бұрын
90년대 초반 칠선계곡을 다닐 수 있을때 일부러 칠선계곡을 몇번 찾았었다 길이 계곡을 왔다갔다 하게 되어있고 양쪽은 절벽처럼 가파르고 나무들이 빽빽했다 비가 와서 계곡물이 불어나면 꼼짝없이 물빠질때까지 기달릴수 밖에 없었다 그때도 칠선계곡은 여름 성수기 빼고는 사람들이 많이 찾지 않았고 칠선계곡을 들어간다는 것은 상당히 마음을 다잡아야 했다 하산하는데만 7-8시간 걸렸으니 우리나라 하산길로는 제일 먼 거리이다 산세가 너무 험해서 산꾼들이 다니는 길도 없었으며 빨치산이 제일 오랬동안 은거했다는데 그 이유를 알 수가 있었다 어떤 구간은 말그대로 원시림같이 하늘이 나무에 가려 안보였으며 사람들이 안다니니 거미줄이 너무 많아 팔을 내젖고 걸어가야했다 크고 작은 폭포들도 많았는데 이름이 없어 무명폭폭라고 불렀다 달밝은 어느날 선녀폭포옆 공터에 텐트를 치고 잠이 들었는데 새벽녘 인기척에 잠이 깨어서 누가 왔나 하고 밖으로 나와 계곡쪽을 바라보니 달빛 아래 계곡 물에 어여쁜 선녀들이 서로 웃으며 물장구를 치고 있었고 옆에 있는 나무꾼 바위위에 선녀의 옷이 개어져 있길래 몰래 가서 하나를 가져왔던가 아니었던가 기억이 아련하네....
@user-pj6cr2ez4t
@user-pj6cr2ez4t 2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칠성계곡 영상 잘 봤습니다
@user-uy3tl3en1b
@user-uy3tl3en1b 2 жыл бұрын
칠선 계곡 ㅡ어느 여름날 밤 12시경 도착ㅡ시원한 계곡 물에 알탕 후 금방이라도 쏟아질듯 밤하늘 무수한 별들의 향연을 보며 바위에 누워 비박을 나홀로 한적 있었다 2003년도 8월 어느 여름날 밤이었으니 ㅡ꼭 20 여년전이네 교양 과목 통계학 수강중 교수님이 수업중에 한 얘기 ㅡ그대로 체험 했던 감동깊은 날이었다 무수한 별☆☆☆☆☆☆들이 온통 밤하늘을 새하얗게 수놓았던 그날밤 그 풍경은 세월이 20년 흘러도 잔잔히 내가슴속에 그대로 녹아있네
@user-jc3vr1sc5g
@user-jc3vr1sc5g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y6yq8gm8v
@user-ny6yq8gm8v 2 жыл бұрын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sancnic
@sancnic 2 жыл бұрын
탐방예약하고 직원분 인솔하에 칠선계곡 탐방해봤는데 왜 3대계곡인지 알겠더라구요 꼭 다시 가보고 싶네요 잘봤습니다~
@user-en2lb9yg7i
@user-en2lb9yg7i Жыл бұрын
약 46년전 대학 2학년이던 시절에 15일간의 종주 등정중 첫 시발점이된 지리산 칠선계곡에 정보도 시원찮게 획득한 것으로 칠선계곡에서 2박3일중 마지막날 엄청난 호우를 만나 천황봉 산장까지 죽을 고생을 했던 잊을 수 없던곳이었죠 그후 수 많은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 칠선계곡의 루트는 오랫동안 막혔었죠
@user-es7xc8is2q
@user-es7xc8is2q 22 күн бұрын
활엽수가 많아야 다양한식물이 자란다,침엽수만 많으면 안됨. 햇빛이안들고 침엽수낙엽이 쌓이면 작은씨앗이 발아되어도 위로올라오기힘듬.또한 물도 맑지않음.혹시 불이나도 끄기가 힘듬.
@user-xk5xq1jz8d
@user-xk5xq1jz8d 2 жыл бұрын
개방 안했으면 좋겠어요. 미지의 세계....좋다
@user-hw5si7yo9w
@user-hw5si7yo9w Жыл бұрын
개방하지안은칠선게곡너무나아름답읍니다
@user-hw5si7yo9w
@user-hw5si7yo9w Жыл бұрын
압으로도개방하지안앚으면좆게읍니다
@user-wb5lz4zi1d
@user-wb5lz4zi1d 2 жыл бұрын
한반도의 마지막 남은 원시림 아. . 울창하네요
@user-wp8nz3zd5n
@user-wp8nz3zd5n 2 жыл бұрын
거제도나 여서도, 제주도, 양구&인제에도 원시림은 있죠
@rtksw
@rtksw Жыл бұрын
있으나 마나 한선이 그리좋냐
@user-wf6qu2or3t
@user-wf6qu2or3t 2 жыл бұрын
지금 은 어떻게 변했을지 궁금하네요..!!
@user-nh1pl1ig2n
@user-nh1pl1ig2n 2 жыл бұрын
가급적이면 개방 안했으면 인간들 발자취에 자연훼손이 걱정된다
@rtksw
@rtksw Жыл бұрын
사람없는 자연이 필요하나
@mooyook2
@mooyook2 Жыл бұрын
80년대 초반만 해도 호랑이가 숨어 살던 계곡...
@user-se3tv3yf5l
@user-se3tv3yf5l Жыл бұрын
30년전 그 모습 다시보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원시 그 자체의 계곡 우리나라 넘버 원 이었어요 이건 개인적의견입니다....그 깊이가 비교불가!!!!
@user-xh9kr1nh5c
@user-xh9kr1nh5c 2 жыл бұрын
너무좋다
@fernandoviana2990
@fernandoviana2990 11 ай бұрын
👏👏
@user-oi9nk7zi5k
@user-oi9nk7zi5k 2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욕심이지요.보존하는것은 탐방예약제로 실시바람.직원 인수하에 탐방.사람발길 딘는곳은 언제나 훼손되는법.보존하여 후세에 길이남길을.
@user-we1go1wk4g
@user-we1go1wk4g 2 жыл бұрын
약 47년전 대학2학년 여름방학때 친구들과 지리산에 여행갔는데 많은 준비소홀과 부족으로 첫 산행부터 남원쪽에서 오르는 칠선계곡을 타고 올랐죠 그때가 여름이 한창이던 7월말쯤이라 비도 많이오던 장마철이었죠 결국 칠선계곡에서 하룻밤 비박하고 새벽에 비 엄청 맞으면서 천황봉 대피소에서 3일간 꼼짝 못했던 아련한 추억이 다시 기억나네요 그후 하도 많은 사고로 많은 분들이 죽어나가자 칠선계곡쪽은 산행을 완전히 금지시켰더만 더 늦기전에 한번은 다녀와야 할거 같네요
@user-ou1eo1pt8u
@user-ou1eo1pt8u 2 жыл бұрын
그당시에는 천왕봉에 대피소가 있었나요??
@user-yv1pk4mx9u
@user-yv1pk4mx9u Жыл бұрын
예끼인석아 지방 하빠리 전문대인건말안허냐
@dabl5141
@dabl5141 2 жыл бұрын
역시 자연을 훼손 하는 건 인간 뿐이구나...개방이 되었기에 무너지는건 시간 문제일뿐...
@user-catheart
@user-catheart 2 жыл бұрын
개방안했음좋겠다. 자연과 동물이 편히 쉴수있게 제발..
@user-co2pf3pw9d
@user-co2pf3pw9d Жыл бұрын
맞아요
@inyeun1980
@inyeun1980 2 жыл бұрын
하루에 일정 인원만 예약제로 탐방할수 있도록하면 좋겠다.
@user-gz1lc9xm1r
@user-gz1lc9xm1r Жыл бұрын
자연유산사랑
@gbkim3973
@gbkim3973 2 жыл бұрын
빨치산들이 지리산으로 숨을만 했구만 ㅋㅋ 멸공!!
@user-fb1rl4ic8m
@user-fb1rl4ic8m Жыл бұрын
지리산 천왕봉 해발 1915m 무지무지 높네요
@user-ks4pe5jw9o
@user-ks4pe5jw9o 2 жыл бұрын
자연 친화!
@user-hn6oz1uf2w
@user-hn6oz1uf2w 2 жыл бұрын
산을 제대로 보호할라면 사람들이 지킬것은 제대로 지켜야지 안지키면 또 더러워 질것이다
@jungsu98
@jungsu98 2 жыл бұрын
자기팀은 비탐만 다닌다고 정말 자랑스럽게 말하던 산악회를 바래봉에서 봤지요..
@user-fd1og3we3u
@user-fd1og3we3u 2 жыл бұрын
그런 분들이 자연을 가장 많이 훼손 합니다.
@user-wf8qf2yu9m
@user-wf8qf2yu9m Жыл бұрын
자랑할게 어지간히 없어서 하지마란거 하면서 자랑하고 다니네 애도 아닌 어른들이 부끄러운줄 모르고 ㅉㅉ
@makalu3200
@makalu3200 Жыл бұрын
낚시인도 문제가 많지만 등산인도 이와 동일하다...순 개인주의다...가지고 온건 안 가져 가는 게 미덕인냥...다 두고 온다...그러고도 쓰레기 보면 욕 한다...지가 버린 쓰레기 인줄도 모름서...
@user-fd1og3we3u
@user-fd1og3we3u 2 жыл бұрын
사람들 이 자연을 훠 손 하지 않는 다고 하지만 발을 들 여 놓는 순간 부터 사람들 발자국 때문에 흙이 먼저 페어나가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자연히 풀뿌리 가 페이 고 풀뿌리 빠져 나가면 흙이 빗물에 씻기고 다음에 는 나무뿌리 가 드러나는 현상 이 나타남니다. 내가 산에 한번 덜 가는 것도 자연보호에 동참하는 것이 라 생각합니다.
@callmejoker5414
@callmejoker5414 Жыл бұрын
진짜 보존하려면 사람이 발길을 끊어야죠. 사람이 가는 자체가 동식물들한테 스트레스입니다
@user-xh5bg6jw3s
@user-xh5bg6jw3s 2 жыл бұрын
이간 쓰게기들이 들락 거리먄 자연이 황페화됨 전부 입산 금지 해야할 것임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 2 жыл бұрын
칠선계곡
@driverx1037
@driverx1037 2 жыл бұрын
6:10 어릴때 도랑에 지천으로 있었는대... 미꾸라지보다 징그러워서 만지지도 않았던...ㅎ
@skylake7957
@skylake7957 2 жыл бұрын
대학때 가면서도 식겁
@user-mu7hx8qx1p
@user-mu7hx8qx1p Жыл бұрын
아직도 천왕봉이라는 말을 쓰다니....빨리 없애야 하지 않겠나? 어감과 느낌이 좋지 않다
@ysoomoon
@ysoomoon 2 жыл бұрын
쓰레기 같은 인간들이 쓰레기를 버리는 일만 없었으면 정말 좋겟네
@lnymjb
@lnymjb Жыл бұрын
저곳에 뱀장어.?-_-???
@user-xh9kr1nh5c
@user-xh9kr1nh5c 2 жыл бұрын
스틱은 조금 자제하자, 그 소리에 동물들 스트레스가 장난아니다ㆍ
@user-co2pf3pw9d
@user-co2pf3pw9d Жыл бұрын
근데 다르게 생각하면.. 그소리 때문에 죽음을 피할수 있는거래요.. 그래서 스님들이 지팡이를 들고 다니는 거래요
@user-fs8mw3sq5e
@user-fs8mw3sq5e 2 жыл бұрын
그냥 놔둡시다. 사람 다니면 금방 훼손돼요.
@user-fj4nc1xm1s
@user-fj4nc1xm1s 2 жыл бұрын
허가없이, 대물이나 귀한 약재나 동식물을 몰래 채취하는 사람들을 단속해야지요
@du-bu0418
@du-bu0418 2 жыл бұрын
지게차가 부럽지않은 실력이래ㅋㅋㅋㅋㅋㅋ
@2chil1
@2chil1 2 жыл бұрын
자연은 하나같이 예쁜데 인간들 얼굴 나오니까 토나올 거 같이 거북스럽네
@user-wk4ew6hi4u
@user-wk4ew6hi4u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는 생각으로는 그다지 아름답지 않다~
@NEWMr-uc8xc
@NEWMr-uc8xc 2 жыл бұрын
주목베어가거나 나무베는 인간들 잡아넣어되요 인간들아 환경보전좀하자
@user-co2pf3pw9d
@user-co2pf3pw9d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다람쥐가 벌목으로 집을 잃었어요 ㅠ
@user-oi2bj1yk1v
@user-oi2bj1yk1v 2 жыл бұрын
환경스페셜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참새라든가 집비둘기, 쥐, 까치, 바퀴벌레 등의 생태에 대해서는 왜 관심이 없는지 궁금, 이런 생물도 분명 생태계의 일원이고 인간과의 불편한 관계일지라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생태계의 한종인대 환경스페셜에서 본 적이 없음. 환경스페셜이 지나치게 고상한 것 위주의 편향된 방송을 하고 있다는 느낌이 듬
@kaka-hd4ok
@kaka-hd4ok 2 жыл бұрын
집비둘기,쥐,까치,바퀴벌레에 관한 다큐는 흔해요..좀만 찾아보시면..kbs같은 규모의 방송들이니깐 저정도 제작비투자해서 만드는거지 누가 만들겟습니까..그리고 환경스페셜(도시, 야생을 부르다)편 등등 주변생물에 대한 편들도 여러가지 잇으니 찾아보세요..환경스페셜pd들 억울하게 비난하지마시구요.?
@user-wp8nz3zd5n
@user-wp8nz3zd5n 2 жыл бұрын
그것들은 흔하게 볼 수 있으니까...그리고 윗 분 말대로 그쪽 다큐도 찾아보면 많습니다
@user-se3tv3yf5l
@user-se3tv3yf5l Жыл бұрын
님의 생각도 일리는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사람들의 환경의식은 이 보다 더 낮아서 이 수준도 여러번 내보낼수 있었으면 합니다
@ForYsl
@ForYsl 2 жыл бұрын
반달곰이 사람을 잡아먹은 사례가 일본에 몇건있다 군을 동원해 곰을 찾아 도륙내고 관광지로 개발해야한다
@user-kq6ur8bc6w
@user-kq6ur8bc6w 2 жыл бұрын
너 39사단 소속 대대장이니? 그렇게해서 웅담 빼먹을라고 ㅎ
@user-wk6ri7ym8t
@user-wk6ri7ym8t 2 жыл бұрын
곰은 위험하다고 도륙내자고 하면서 최근 단 댓글 보니까 호랑이랑 표범 산에 풀어놔야한다 ㅇㅈㄹ하고있네 ㅋㅋ 무지성 틀딱ㄴ 수준
@user-cd6kh5li6f
@user-cd6kh5li6f 2 жыл бұрын
서겨리하고 지능,감성이 삐까삐까여 ㅋㅋ
@billy1060
@billy1060 2 жыл бұрын
관종인가....왜 살아요?
@igsookwon3630
@igsookwon3630 2 жыл бұрын
그런 논리이면 동물을 잡아먹는 인간을 동물들이 인간을 잡아 먹어도 되지요 인간도 동물도 자연계의 일부분
@user-oe7mt8vr1j
@user-oe7mt8vr1j 3 ай бұрын
개방하면 안된다. 자연은 사람손과 발이 안 닿아야 보존되고 유지됨 사람이 없는 자연이 필요하냐는 ㅁㅊ한 댓글도 보이는데 자연은 인간들것만은 아니다라는것도 알아야하지 않겠나?
@user-gg8fc3yf1j
@user-gg8fc3yf1j Жыл бұрын
지리산 온갖 나무 베어내고 사꾸라 심어서. 가꿔야됨 ㅡ산불 예방 차원에서
@bn1009
@bn1009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116 МЛН
[Full] 한국기행 - 우리 같이 살까요 제1부 지리산에 살아볼래요?
17:50
Pass or fail?🤔 @Colapsbbx #pedro #beatbox #beatboxchallenge
0:45
BEATPELLA HOUSE
Рет қаралды 72 МЛН
1 or 2?🐄
0:12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Он сильно об этом пожалел...
0:25
По ту сторону Гугла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