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0년대 프랑스 파리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Рет қаралды 1,411,501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3 жыл бұрын

내친 김에 연습용으로 해본 1890년대 프랑스 파리 영상도 올려봅니다. 다음은 언어학 영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이번 영상 또한 수익창출을 하지 않습니다.
0:08 - 노트르담 대성당 (1896)
0:58 - 알마다리 (1900)
1:37 - 샹젤리제 거리 (1899)
2:33 - 콩코르드 광장 (1897)
3:58 - 튀일리 정원 (1896)
4:48 - 파리 박람회의 무빙워크 (1900)
5:24 - 에펠탑 (1897)
원본 - • Video

Пікірлер: 5 800
@bungbungnue
@bungbungnue 3 жыл бұрын
같은 소스로 컬러라이징을 진행한 영상이 있음을 뒤늦게 확인했습니다: kzfaq.info/get/bejne/r6mPeLmjmZychH0.html 저 영상을 그대로 퍼온 것이 아니라, 영상 설명란에 있는 흑백 영상을 DeOldify 모델로 채색한 것이니 오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antonioluciovivaldi8015
@antonioluciovivaldi8015 3 жыл бұрын
^오^
@hyjong19
@hyjong19 3 жыл бұрын
우와
@hyjong19
@hyjong19 3 жыл бұрын
오호라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жыл бұрын
요까이
@user-wi6xn4bc8f
@user-wi6xn4bc8f 3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리
@user-yk2qf5vp5x
@user-yk2qf5vp5x 3 жыл бұрын
ㄹㅇ진짜 기분 묘하네 현재는 다 죽고 자연으로 돌아간 사람들을 이렇게 몇백년 뒤에 핸드폰으로 그 당시 현장을 생생히 본다는게 ...뭐 흑백이면 그냥 그런가보다 할꺼같은데 컬러로 보니깐 진짜 뭔가 확 와닿네요
@user-fk2sx3ht2m
@user-fk2sx3ht2m 3 жыл бұрын
원본 kzfaq.info/get/bejne/r6mPeLmjmZychH0.html
@ringdeves
@ringdeves 3 жыл бұрын
@파자마 소라카 종교쟁이들 풀발할만한 발언이다 조심해야됑
@user-mh8xx7lr9s
@user-mh8xx7lr9s 3 жыл бұрын
@파자마 소라카 ? 하느님이 있는한 하느님과 함께입니다. 하느님이 저희를 만드셨구요. ㅋㅋㅋㅋ
@bjhkkk
@bjhkkk 3 жыл бұрын
맞아여 가까운우리의 먼모습일듯 흑백일땐진짜 몰랐는데 칼라로보니 옛날배경외국영화랑 다른게그렇게없네요
@firstmew
@firstmew 3 жыл бұрын
한국 1930~40년대 컬러 필름 보시면 진짜 더 확 와닿으실듯
@kellettjaehyuk4763
@kellettjaehyuk4763 3 жыл бұрын
5:02 에 두명의 아저씨들이 비디오에 찍힐려고 뛰어감 ㅋㅋ.100년전 아저씨들이 현대 인류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주네.
@zieglerstudio-learningeuro2656
@zieglerstudio-learningeuro2656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user-vr3vl4ob5s
@user-vr3vl4ob5s 3 жыл бұрын
이게 바로 시대를 교차하는 개그ㄷㄷ
@user-gy6rh8ou1z
@user-gy6rh8ou1z 3 жыл бұрын
100년전부터 유튜브 각잡고 들어가는 설계 미쳤다 ..
@dmz9489
@dmz9489 3 жыл бұрын
우리 5대 조상뻘쯤 되시려나..
@user-zc8lc4by5m
@user-zc8lc4by5m 3 жыл бұрын
아재들 귀여우시네 ㅋㅋㅋ
@mallinhaesam5509
@mallinhaesam5509 3 жыл бұрын
4:49 이마트에서 보는 무빙워크가 이당시에 존재 했었다니... 경악을 금치 못하네
@user-xw7ui1eb6p
@user-xw7ui1eb6p 3 жыл бұрын
이건 ㄹㅇ 충격...
@krnyorga
@krnyorga 3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위에랑 아래랑 속도도 다름
@user-dt2yb6xk8q
@user-dt2yb6xk8q 3 жыл бұрын
@C Dragon 충포와 공격..
@filmictime
@filmictime 3 жыл бұрын
저런건 지금도 없는데
@blacktakefich
@blacktakefich 3 жыл бұрын
와 개신기.....
@jihunpiano
@jihunpiano 3 жыл бұрын
1:10 카메라를 신기해하는 눈빛들이 신기하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내가 이 영상을 편하게 본다는것도 신기하고ㅋㅋㅋㅋ
@watering__plants
@watering__plants 2 жыл бұрын
400번째 좋아요입니다.
@user-pc2lz8qd6d
@user-pc2lz8qd6d 2 жыл бұрын
?.. 프랑스는 조선처럼 후진국 아니여서 안신기해함 걍처다본거임 ㅋㅋ
@user-jp5nu6yj4x
@user-jp5nu6yj4x 2 жыл бұрын
찐이다
@stafftglove
@stafftglove 2 жыл бұрын
@@user-pc2lz8qd6d 지금처럼 카메라가 대중화되던 시절이 아니라서 선진국 사람들도 카메라가 신기하긴 매한가지였어요. 신기함으로 끝났다면 다행인거고 카메라에 찍히는 것에 대해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많았답니다.
@user-le9vm5cf8d
@user-le9vm5cf8d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교류를 햇더라면..
@user-hp6bh3tu9u
@user-hp6bh3tu9u 3 жыл бұрын
우선 이 영상에서 살아 움직이는 것 모두가, 죽고 없다라는 것에 뭔가 이상한 기분이 든다...
@haecho01
@haecho01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영상보면 뭔가 기분이 묘해짐...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3 жыл бұрын
타임머신을 타고 날아온거같아서 정말 이상합니다 기분이 ㅡㅡ;;;;
@user-bo7nw2dw6f
@user-bo7nw2dw6f 3 жыл бұрын
나무도 2차례의 전쟁중 없어진게 많을듯..
@user-vx5up6wi4g
@user-vx5up6wi4g 3 жыл бұрын
Wls
@user-ii6ve1cz2g
@user-ii6ve1cz2g 3 жыл бұрын
@@user-vx5up6wi4g 기연아 아가리 싸물어라
@user-mh4qm6mh1o
@user-mh4qm6mh1o 3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백여년 전 사람들을 보고 신기해 하는 것처럼 지금으로부터 백년 후에도 후세들은 현재의 우리 일상들을 보고 신기해 하겠지..? 우린 모두 그 자리에 없겠지만.. 이런 영상들을 보면 기분이 참 묘해진다.
@user-sh5th3to4u
@user-sh5th3to4u 3 жыл бұрын
저런 옛날영상 보면 괜히 저승같음 다 죽은사람이란게 참
@eulerleonhard2506
@eulerleonhard2506 3 жыл бұрын
@청개구리 불로장생이기때문에 당신은 불로죽을 거임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hekimhyeonseo
@thekimhyeonseo 3 жыл бұрын
???: 와 뭔 씨발 백 년전 한국 사람들은 유튜브에서 하나 같이 이상한 것들만 골라서 쳐 봤어
@user-js5rq3bp8m
@user-js5rq3bp8m 3 жыл бұрын
1890년대 → 2020년대보다 2020년대 → 2150년대의 기술 및 시대상의 변화가 더 빠를려나....?
@Aisne-gh6xn
@Aisne-gh6xn 3 жыл бұрын
100년후에도 충분히 살아있을 가능성 있습니다 생명공학기업 칼리코에서도 인간의 수명을 500세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했고 과학계에서도 인간의 수명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갈거라고 말하고있어요 기술의 발전은 우리가 생각하고 체감하는것보다 훨신 빠릅니다
@user-yr1dk2mn4z
@user-yr1dk2mn4z 3 жыл бұрын
4:53 김정호가 대동여지도 만들때 프랑스는 무빙워크가 있었네?
@gogang3622
@gogang3622 3 жыл бұрын
왜곡은 하지말자 ㅋㅋㅋㅋㅋ 김정호는 1860년대다 뭐 변한건없겠지만
@kerkk5622
@kerkk5622 3 жыл бұрын
김정호가 대동여지도 만들 때 서구는 이미 거의 400년 전에 대서양 횡단해서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죵 유럽 철학과 학문은 동양의 그것과 달리 개인의 능력을 중시하고 실용적인 가치를 추구하게 만든 덕에 수많은 인재들과 유용한 학문들이 나왔죵
@user-dd1kl4ty7t
@user-dd1kl4ty7t 3 жыл бұрын
@@gogang3622 우짜노 김정호가 1860년대 대동여지도 만들동안 프랑스는 1769년에 자동차 개발했노..
@gogang3622
@gogang3622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병신새기들인가 잘못된거 짚어줬더니 개거품물고 달려드노 ㅋㅋㅋㅋㅋㅋㅋ
@user-qp7jy4fk1o
@user-qp7jy4fk1o 3 жыл бұрын
@@user-mq5fs4zt7v 그러는 지도 욕박으면서 달려드네ㅋ 어우 찐따는 본인이었고ㅋㅋ
@user-jk9hr7eq5k
@user-jk9hr7eq5k 3 жыл бұрын
옷이 너무너무 예쁘다... 특히 어린 애기들이 입고 있는 옷 진짜 예쁘다
@user-bjresegj18hyd
@user-bjresegj18hyd 4 ай бұрын
패션이 괜히 발달한게 아닌듯
@PrideDefiler
@PrideDefiler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이 시절 나이가 엄청 많은 사람은 프랑스혁명 끝물에 태어나서 나퐁레옹 황제 시대에 유년기를 보냈을것이고 이시절 갓난아기는 장수했다면 1970년대까지 살아서 마이클 잭슨이나 KISS를 컬러TV로 봤을수도 있다 생각하니 묘하네 ㅋㅋㅋ
@ssong_jyan
@ssong_jyan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불과 몇달전만해도 몸 성하신대없이 돌아다니시던 증조할머니께서 그러셨죠. 태어나시기를 1900년대 대한제국때 태어나셔서 뭔가 느낌이 묘하드라구요 ㅋㅋ
@user-jk4gd4pw8v
@user-jk4gd4pw8v 3 жыл бұрын
1,2차 세계대전도 다 겪고 다사다난한 삶이었을듯
@user-xs1so9nq9f
@user-xs1so9nq9f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 혁명은 크게 3차례 정도로 구분되는걸로 알고있는디 나폴레옹이면 그 중에서도 젤 마지막임 1789년 아님
@user-vd2xk2we9w
@user-vd2xk2we9w 3 жыл бұрын
그럼뭐하냐ㅋㅋ 죽으면 끝인데
@philiphsuful
@philiphsuful 3 жыл бұрын
그때도 그랬겠죠... 프랑스 혁명때 갓난아기였던분이...저시대에 할배가되서.. 요즘것들은.근성이없네.. 우리때 혁명해서 자유를 쟁취한거야... 이 편한것만 찾는 젊읔것들아... 했겠죠? ㅋㅋㅋㅋ 그리고 손주들은 1차대전....ㄷ ㄷ
@shinjukujk
@shinjukujk 3 жыл бұрын
20세기를 앞둔 모습인데, 저때까지만 해도 마차가 정말 많이 다녔네요.. 인류 문명 변화의 속도란... 2:17 그 와중에 완벽한 타이밍으로 마차 사이를 돌파하는 자전거 마스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olyonomata
@polyonomata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100년이 뭐야 80년 전정도만 해도 거리에 인력거가 다니고 전차가 다니던 시절이 있었지요.
@HosPital-gd2yu
@HosPital-gd2yu 3 жыл бұрын
저때 상대성이론 있었다구 생각해보면... 어우 정말 경이롭다 아인슈타인 짜리짱짱짱짱짱
@user-bg9wm4fh2r
@user-bg9wm4fh2r 3 жыл бұрын
저때 지하철도있었음
@dd-fb6vn
@dd-fb6vn 3 жыл бұрын
저때도 자라니가 있었네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shinjukujk 글쎄요 기술자랑 과학자는 달라서
@noir1910
@noir1910 3 жыл бұрын
2:35 저 당시도 콩코드 광장의 분수는 힘차게 솟구쳤구나..
@xhachx4544
@xhachx4544 2 жыл бұрын
와 어떡해 저기 가봤는데 너무 신기함 기억이 새록새록나네
@user-xprktuvjwa
@user-xprktuvjwa 2 жыл бұрын
@@jhjoesjoe 어쩔테레비
@user-sz5pm5vx2s
@user-sz5pm5vx2s 2 жыл бұрын
@@jhjoesjoe ㅂㅅ
@user-bw6hh7rh6l
@user-bw6hh7rh6l 2 жыл бұрын
ㅗㅜㅑ
@user-le9vm5cf8d
@user-le9vm5cf8d 2 жыл бұрын
옛날에 교류를 햇더라면..
@user-fu9yk1fj1y
@user-fu9yk1fj1y 3 жыл бұрын
3:58 여기부터 이어폰 끼고 눈 감으면 좋다 묘해
@parkokoa9978
@parkokoa9978 3 жыл бұрын
조선이 개화 하냐마냐 하면서 윗대가리들이 처싸울동안 저기는 이미 있을거 다있는 그런곳이였네
@user-gv2rf2vb4x
@user-gv2rf2vb4x 3 жыл бұрын
결국 근대화 실패하고 일본한테 먹힘 ㅜㅜ
@parkokoa9978
@parkokoa9978 3 жыл бұрын
@@user-gv2rf2vb4x ㅠㅠ
@goguma1360
@goguma1360 3 жыл бұрын
그런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가 역사를 통해 배워야죠 :)
@manmoon251
@manmoon251 3 жыл бұрын
맞죠. 그래서 저런 근대화된 유럽에서 세상 최악의 세계대전으로 몇천만명이 뒈지죠.
@user-gv2rf2vb4x
@user-gv2rf2vb4x 3 жыл бұрын
@@manmoon251 그래서 조선은 자기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전쟁에 휘말려들게 되었고 마찬가지로 많이 뒈졌습니다. 남의 나라를 위해서 말이죠. 2차대전때 조선은 일제의 일원으로 전쟁에 참가한 걸로 돼서 하마터면 일본과 마찬가지로 패전국 취급받을 뻔하기도 했습니다. 천운이 있었고 몇몇의 노력으로 그런 사태만은 피했지만요.
@user-oy6eq8tc1m
@user-oy6eq8tc1m 3 жыл бұрын
그냥..영화보는 것 같다..처음부분 진짜 무슨 영화의 한 장면인줄
@user-qn7ze4wd2x
@user-qn7ze4wd2x 3 жыл бұрын
ㅇㅈ ㅋㅋㅋ 그리고 저때 유럽의 140년전 모습이 우리나라의 50년전 모습조다 더 미래인거 같지
@Seaweed_o3o
@Seaweed_o3o 3 жыл бұрын
60년대 정도에 만든 시대극 영화 같음...
@min_dory
@min_dory 3 жыл бұрын
0:10 노트르담 대성당을 이렇게 보니까 또 새롭네
@user-ru4xw7is5x
@user-ru4xw7is5x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곁에 없지만..
@user-yn2ys9cc4s
@user-yn2ys9cc4s 3 жыл бұрын
뭔가 저때가 더 세련되 보이는건 뭐지 건축부터 예술이고 옷 모자 다 세련되게입네
@hy-sp2kt
@hy-sp2kt 3 жыл бұрын
백년전인데 옷이랑 건물 개이쁜거봐 ㄷㄷㄷ
@gus1992
@gus1992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프랑스 패션 패션한느거같음... 지금봐도 안이상한../
@user-oq4js7xg9t
@user-oq4js7xg9t 2 жыл бұрын
@@user-mw6ub7mw5m 솔직히 조상들왜알아야하는지 특히조선시대새끼들 이순신이랑 세종대왕빼면굳이존경할필요가없지
@user-fm8yx9vv5r
@user-fm8yx9vv5r 2 жыл бұрын
@@user-oq4js7xg9t 공부 ㅈㄴ많이해서 그나마 이순신 세종대왕기억하는거임
@user-mt7xh9yj1m
@user-mt7xh9yj1m 2 жыл бұрын
@@user-mw6ub7mw5m 우리가 침략당했던 역사와 중국에서 하는 동북공정? 예를들면 한복을 자기네꺼라고 우기고 김치도 자기네꺼라고 우길때 우리역사를 우리가 모르면 뺏기고 나중에 우리도 중국에 민족중하나다라고 할 수 도 있어요 독도도 마찬가지죠 이런영상보면 당연히 차이가 나니까 알아야할까 이러겠지만 빼앗기지 않으려면 알아야 합니다..
@ericshin8632
@ericshin8632 2 жыл бұрын
그나마 유럽은 저때 건물이 지금도 사용되니
@songchungmon
@songchungmon 3 жыл бұрын
3:27 와~ 소방 마차 저때도 다급했네, 영웅들은 저때도 간지난다.
@deveers184
@deveers184 3 жыл бұрын
머가영웅임?그냥 자기 직업일하는건데
@yjkkk_bb
@yjkkk_bb 3 жыл бұрын
아가리 싸물어라 옹조야
@Nirbana
@Nirbana 3 жыл бұрын
소방마차ㅋㅋ 다 탄다음에 도착
@deveers184
@deveers184 3 жыл бұрын
@@yjkkk_bb 인성보소
@yjkkk_bb
@yjkkk_bb 3 жыл бұрын
옹조 미얀
@GreenMushroom.
@GreenMushroom. 3 жыл бұрын
격차가.. 왜 서양이 그 당시 전세계를 다 먹을수 있었는지 이해되는 영상
@user-cl1jb2fz8l
@user-cl1jb2fz8l 3 жыл бұрын
“나는 암흑세계에서 태어나 광명세계에 갔다가 다시 암흑세계로 돌아왔다. 아직 내가 갈 길을 분명하게 내다볼 수는 없으나 머지않아 찾아 낼 수 있기를 바랄뿐이다”라고 보빙사로 파견된 민영익께서 남기신 소감이신데 기와,초가집에 가마타니던 조선에서 저런 광경보면 어디서 부터 고쳐야 될지 막막하셧겟어요ㅠ
@orangesean
@orangesean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jiyeon212
@jiyeon212 2 жыл бұрын
@@orangesean 프사 같은데 닉넴이 다르네 암흑세계에 있다 광명세계를 갔다온건가?
@Seunghyun_theFreedom
@Seunghyun_theFreedom 2 жыл бұрын
펭구의 그림자분신술
@user-qz4px9yl7g
@user-qz4px9yl7g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발전할수 없었던게 유교의 유입으로 보수적인 문화와 개방성과 자유성이 부족했고 한자 사용으로 인한 높은 문맹율과 국토의 70%가 산지인 점 등.....
@halu_halu_
@halu_halu_ 2 жыл бұрын
민영익께서요?
@bubbleshark
@bubbleshark 3 жыл бұрын
0:50 노트르담 대성당..
@user-cp1hi3uy3x
@user-cp1hi3uy3x 3 жыл бұрын
있었는데요....
@user-kf8fh9kl4t
@user-kf8fh9kl4t 2 жыл бұрын
없었습니다....
@ukgosaljaa
@ukgosaljaa 3 жыл бұрын
5:13 남자 둘이 카메라 의식하는거 졸귀ㅋㅋㅋㅋ
@bubbleshark
@bubbleshark 3 жыл бұрын
연인같네ㅋㅋ
@drqruz
@drqruz 3 жыл бұрын
@@bubbleshark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nb3fz5xo7u
@user-nb3fz5xo7u 3 жыл бұрын
@@bubbleshark :)
@user-wk8je9dw7q
@user-wk8je9dw7q 3 жыл бұрын
근데 지금 살아있다면 150 정도
@user-it4fq1gm4i
@user-it4fq1gm4i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 아니냐
@mintg4492
@mintg4492 3 жыл бұрын
4:10 사람들에게 훌륭한 배를 만들게 하는 방법이란, 나무를 가져오게 하고 톱질과 못질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다. 넓고 끝없는 바다를 동경하게 하는 것이다.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user-be7qe1dr1m
@user-be7qe1dr1m 2 жыл бұрын
오... 와 닿는 말이다
@B0nz0n0
@B0nz0n0 2 жыл бұрын
줄여서 -생쥐-
@bbggww6089
@bbggww6089 2 жыл бұрын
유럽은 저때 건물들 안 부시고 그걸 이용해서 거리를 이쁘게 꾸미는게 너무 이쁜거같음…부럽다
@user-md3uc4su2f
@user-md3uc4su2f 2 жыл бұрын
그때문에 관광수입 어마무시하죠
@user-rg8pr7bg1g
@user-rg8pr7bg1g 8 ай бұрын
1.2차대전때 다 박살난거 보수공사한거임
@Error-rk3lg
@Error-rk3lg 8 ай бұрын
저때건물도 예슐이지
@hololo1452
@hololo1452 7 ай бұрын
초가집에서 살고 싶음? ㅋㅋ
@LEE-hj2oo
@LEE-hj2oo 3 жыл бұрын
이영상에서 주목해야할점은 현재 "똘레랑스" 라고 불리는 현재 프랑스가 인권운동이 활발하지 않아 흑인이 한명도 다니지 않는 ㄹㅇ 1890 프랑스 모습을 보고있다는걸 인지해야합니다.
@estherl.7969
@estherl.7969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자주 오가는 거리들인데 지금과 변한게 거의 없는데.. 흑인과 동양인들이 없다는게 참 낯서네요
@user-ym5xg1uy5m
@user-ym5xg1uy5m 3 жыл бұрын
@한정수 흑인이 입국 금지였다는게 아니라 노예여서 못다닌건데 이슬람이랑은 핀트가 많이 다른뎅
@user-xv1ly4xy3m
@user-xv1ly4xy3m 3 жыл бұрын
저땐 노예제 시절 아닌데
@KGJ-user
@KGJ-user 3 жыл бұрын
프랑스는 19세기에도 유럽중에서 흑인인권이 제일 좋았던 나라가 아닌가?
@vikamikhail
@vikamikhail 3 жыл бұрын
당시 유색인종은 전시장 가야 볼 수 있음
@user-mz6sg4tb8w
@user-mz6sg4tb8w 3 жыл бұрын
4:08 이땐 카메라도 잘 모르는 시대였을거 같은데 고개숙이고 가는 매너 뭐야뭐야~
@pud2310
@pud2310 3 жыл бұрын
@@user-tt4nk9no3i ?뭔 개소리인지 서양인들이 매너가 좋다니?해외 가면 우리 나라 사람들이 정말 매너가 좋구나 뼈속까지 느껴지는데
@user-vi3cg9ce6d
@user-vi3cg9ce6d 3 жыл бұрын
스~윗
@user-wy7xt5rq4n
@user-wy7xt5rq4n 3 жыл бұрын
근데 별로 도움은 안됨 ㅋ
@user-lh5rw6ci7s
@user-lh5rw6ci7s 3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라 저 영상 찍는 사람이 가리지 않게 애들한테 주의를 계속 준거같음 어른들도 잘보면 다 모르는데 애들이 알겠나 4:20 보면 애들이 가리니까 우산으로 툭툭 치는거 보임.
@qsiad292t-fkaqp5
@qsiad292t-fkaqp5 3 жыл бұрын
@@pud2310 매너가 좋긴 뭐가 좋아 맨날 뭐잘못하면 욕이나 쳐박는게 ㅋㅋㅋ
@ymshin417
@ymshin417 3 жыл бұрын
와... 저때인데 소리가 녹음이 돼다니 ..
@JD-ws1ul
@JD-ws1ul 2 жыл бұрын
되 돼 이거를 왜 구분 못할까
@sswim_
@sswim_ 2 жыл бұрын
@@user-vh5yq8qj8h 녹음이랑 증기기관이랑 무슨 연관 이예요?
@user-nk2mt5cv8o
@user-nk2mt5cv8o 2 жыл бұрын
@@user-vh5yq8qj8h 1920년 후반까지 기술 부족으로 모두 무성영화였다고 하네요 최근에 추가한거같습니다
@PP-fh2mk
@PP-fh2mk 2 жыл бұрын
잘들어보면 똑같은 말소리가 반복됩니다. 그냥영상에 대충입힌거예요 특히 컨베어 소리 같은건 실제로 진동때문에 마이크에 직접적으로 전달될텐데 안들리는거 보면 그냥 덮어 씌운거
@PP-fh2mk
@PP-fh2mk 2 жыл бұрын
저거 에이지오브 엠파이어 말 소리 같은데 저만 그렇게 들리나요
@user-wx2kl5ev8w
@user-wx2kl5ev8w 3 жыл бұрын
와 존나 옛날인데 사람들 ㄹㅇ 고급져보임 ㄷㄷ
@user-uw5zg4wp2h
@user-uw5zg4wp2h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핵 달라졌으니까..ㅎㅎ
@user-ji5gm2ps1q
@user-ji5gm2ps1q 2 жыл бұрын
그것은 우리가 저 시대 사람이 아니기 때문..
@user-ka3qui8lo7e
@user-ka3qui8lo7e 2 жыл бұрын
왜냐면 현대 문물 대다수가 서양에서 온 거니깐...
@user-bw2ef5nk3l
@user-bw2ef5nk3l 2 жыл бұрын
저때는 진짜로 고급이였으니까..
@user-uc8gv8kd4b
@user-uc8gv8kd4b Ай бұрын
옷이 날개다
@user-pk8hv8gq1x
@user-pk8hv8gq1x 3 жыл бұрын
김정호가 대동여지도 완성했을때 영국에선 이미 지하철 1호선 개통했다는거 보고 ㅈㄴ 혼란왔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기가 우리나라 댓글러들의 현실입니다
@Blue19172
@Blue19172 3 жыл бұрын
진짜 한국 오지게 발전했네
@Isabella-gg4pb
@Isabella-gg4pb 3 жыл бұрын
ㅅㅂ그러니까 식민지를당히지
@user-ew3ik2sm1w
@user-ew3ik2sm1w 3 жыл бұрын
@@Isabella-gg4pb 너 선넘는다?
@Isabella-gg4pb
@Isabella-gg4pb 3 жыл бұрын
짭플릭스 팩트인데 댓글보이지 우리나라가 대동여지도 완성했을깨 영국은 이미 지하철 1호선 개통함 다른나라들은 개혁하고 근대화 성공하고 있을때 우리나라는 뭐했냐 유교사상만 고집하고 외교거부정책펼치고 이러니까 국력이 약해지고 일본한테 식민지배당한거야 우리나라가 저러고 있을때 일본은 이미 서양문물 받아들이고 발전해서 어마무시한 나라가 되어가고있는데 .. 일본이 아니었어도 우리나라는 백퍼 이미 러시아나 중국한테 지배당했을걸
@alsdnwjs
@alsdnwjs 3 жыл бұрын
Wolfie Cindy 그래서 니는 지금 우리나라를 위해 어떤 일을 하는데
@user-jh6re4nu1y
@user-jh6re4nu1y 3 жыл бұрын
1:18 오른쪽으로 지나사는 여자분 허리 실화야...? 진짜 저 안에 장기가 다 들어간다는게 신기하다...나오기 전에 코르셋 숨 끊어지기 전까지 조이셨을 듯...세상에...
@eugene4270
@eugene4270 3 жыл бұрын
@user-jn4pz5sw1i
@user-jn4pz5sw1i 3 жыл бұрын
저때도 코르셋 했나?
@user-hr8ii8og1k
@user-hr8ii8og1k 3 жыл бұрын
@@user-jn4pz5sw1i ㅇㅇ 허리 ㅈㄴ 쪼맸음
@user-dn8by9td3d
@user-dn8by9td3d 3 жыл бұрын
저때는 장기가 뒤틀리는 철제코르셋 안썼을텐데
@user-dn8by9td3d
@user-dn8by9td3d 3 жыл бұрын
@@mo-mt5le 철제는 옛날에 그 완전 돔처럼 풍성한 치마입을때 썼을꺼에여..
@user-ym5xg1uy5m
@user-ym5xg1uy5m 3 жыл бұрын
5:02 폴짝폴짝
@user-qk5jb4sp3d
@user-qk5jb4sp3d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user-df9no6gl3e
@user-df9no6gl3e 3 жыл бұрын
좀 억지네
@user-qt8jz8sl1w
@user-qt8jz8sl1w 3 жыл бұрын
@@user-df9no6gl3e 좀 넘어가길 바라네
@Eric-eb3be
@Eric-eb3be 3 жыл бұрын
@@user-df9no6gl3e 진짜 어딜가나 찐은 있구나
@user-df9no6gl3e
@user-df9no6gl3e 3 жыл бұрын
@@Eric-eb3be 찐에게 한마디 툭던지며 찐아닌척 는 찐이 존재 했었구나..
@rhdfyddhkdrn
@rhdfyddhkdrn 3 жыл бұрын
4:30 저 분수는 기계펌프로 작동될텐데 1890년대에 저런게 가능했다는것도 놀랍네요... 비슷하게 엔진이 1860년에 처음 나왔는데 말이죠. 물론 엔진이 더 복잡한 구조이긴하지만 신기하긴하네요.
@alcohol_soju_drunk1218
@alcohol_soju_drunk1218 2 жыл бұрын
증기기관 펌프요
@jiwant
@jiwant Жыл бұрын
5:30
@user-fq5uy9yu2o
@user-fq5uy9yu2o 3 жыл бұрын
4:00 키야 우린 초가집짓고사는데 저기는 벌써 분수가 나오고 있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조선은 무슨 원주민들 수준이었구나
@user-dr5ze8ns4x
@user-dr5ze8ns4x 3 жыл бұрын
이러니 식민지 당하지 (식민사관이 아니라 팩트야^^)
@user-op5xj3vt4n
@user-op5xj3vt4n 3 жыл бұрын
@@user-dr5ze8ns4x 선 넘네
@oo-eo2gr
@oo-eo2gr 3 жыл бұрын
오죽하면 조선에 온 선교사가 초가집보고 얼마나 나라가 잘살면 집집마다 마굿간이 있냐 ㅇㅈㄹ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프리카보다 못사는 나라는 첨본다고라더라
@user-enfp
@user-enfp 3 жыл бұрын
@@user-dr5ze8ns4x ㅋㅋㅋㅋㅋ 너 프사랑 이름 다 때라ㅋㅋ 너 딴대서도 그러고 다니지? 다봤어~ 개념이랑 같이 애미도 사라졌니?
@sslurline8290
@sslurline8290 3 жыл бұрын
@@user-op5xj3vt4n 시발 맞는말인데 뭘 선넘어 선넘기는ㅋㅋㅋㅋ 조선이 미개한 정도가 선넘은거지
@user-mz6sg4tb8w
@user-mz6sg4tb8w 3 жыл бұрын
4:20 우산으로 비키라고 툭툭치는거 개귀엽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저거 촬영하는 사람이겠지..?
@pilgrim8018
@pilgrim8018 3 жыл бұрын
애 짜증난 표정까지 ㅋㅋㅋㅋ
@user-jw3ph6sz9c
@user-jw3ph6sz9c 3 жыл бұрын
왘ㅋㅋ 촬영 중요하다고 ㅋㅋㅋ 귀여우시다
@user-fr7jl3nj9p
@user-fr7jl3nj9p 3 жыл бұрын
저 애도 지금이면 140살임ㅋㅋㅋㅋㅋㅋ
@coS2oc
@coS2oc 3 жыл бұрын
(뭐야ㅅㅂ 왜쳐)
@user-eq1ek6bv8q
@user-eq1ek6bv8q 3 жыл бұрын
신기신기 ㅋㅋㅋ
@stu9822
@stu9822 2 жыл бұрын
노틀담 대성당, 콩고드광장, 와~~ 예전모습 그대로 현시대인이 보구있네요~~ 무빙워크도 신기하고.. 운치있는 샌강을 담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네요.. 에펠탑이 휘황하게 불타오르는 저녁시간대 유람선을 타고 돌던 샌강의 황홀했던 기억.. 노틀담 대성당 측면의 웅장하고 섬세하고 아름다운 건축예술에 충격적으로 놀랐던.. 현시대 야경을 배경으로 주변의 고건축물을 담은 영상을 제작해도 멋있을듯요^^ 감동의 시간이었습니다~~♡
@wincup
@wincup 3 жыл бұрын
벨 에포크시대의 한 가운데 느낌이 그대로..... 진짜 신기합니다. 프랑스는 지금보다 저때가 진짜 선진국시절인듯...
@langouste6544
@langouste6544 3 жыл бұрын
저때가 한창 드레퓌스사건으로 난리였던 때임을 생각해보면 정치나 시민사회의 성숙도측면에서도 지금이 많이 나아졌겠네요 동아시아가 상대적으로 치고올라와서 덜 높아보이는거지
@kgi0062
@kgi0062 2 жыл бұрын
당연하죠 20세기 초중반까지 국제 공용어가 프랑스어라서 지금의 영어처럼 프랑스어 할 줄 모르면 출세 못 하던 시절이였음
@user-uv1op4gb8i
@user-uv1op4gb8i 2 жыл бұрын
@@langouste6544 그래봤자 프랑스 전성기는 저때임 지금은 한물 간 나라이지 폭탄테러나 받고 이슬람 들어오는 잡탕 그자체
@vidda7505
@vidda7505 2 жыл бұрын
@@user-uv1op4gb8i 폭탄테러나 이슬람 받는다고 한물 간 나라라는 논리면 미국은 911테러때 한물갔겠네요 파리테러보다 20배 많은 사람들이 돌아가셨는데.. 한물간 기준이 매우 이슬라모포비아적이신데 그건 둘째치고 프랑스는 여전히 G7의 일원이고 유럽은 썩어도 준치임 나는 유럽 갔다왔을 때 그렇게 느꼈는데 본인은 부정적인 측만 보이셨나봄
@vidda7505
@vidda7505 2 жыл бұрын
@@user-uv1op4gb8i 프랑스인 아무나 붙잡고 물어봐도 제 아무리 이슬람 극단주의가 문제여도 1차대전 전 내셔널리즘 들끓던 사회 분위기로 돌아가자는 사람은 아마 인터넷 극우파 빼고 없을 거임
@user-wc9dr6ge7z
@user-wc9dr6ge7z 3 жыл бұрын
4:49 19세기에 무빙워크가 있었다고요? 1930년대 우리나라 영상이랑 비교했을 때 천지 차이네요. 과거 우리 선조들이 저거 보고 얼마나 놀랐을지..
@user-dawoning
@user-dawoning 3 жыл бұрын
@@SoL-jm7bv 천룡인도 아니고 그건 아닐듯요
@2828jang
@2828jang 3 жыл бұрын
있었어요!
@user-yx6nb6vg9j
@user-yx6nb6vg9j 3 жыл бұрын
무빙워크는 1893년에 개발되었습니다. kzfaq.info/get/bejne/ebOcf7OYprKWmGQ.html
@es_iz
@es_iz 3 жыл бұрын
@maireun ma 개화가 그렇게 쉬운일이 아니였죠 ㅠㅠ 그리고 19세기 당시 이미 일본과는 국력차이가 컸었어서... 아쉽기만 합니다.
@bisen4543
@bisen4543 3 жыл бұрын
@@SoL-jm7bv 저때는 이미 노예제가 없어진 뒤였습니다만...?
@km3392
@km3392 3 жыл бұрын
4:20 카메라 가리니까 우산으로 툭툭 건드네 ㅋㅋㅋ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3 жыл бұрын
저 꼬마들도 지금은 세상에 없겠지..
@user-wt2bu8jg4y
@user-wt2bu8jg4y 3 жыл бұрын
@@user-whysoserious 이새끼 골프수행영상에도 있던데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3 жыл бұрын
@@user-wt2bu8jg4y 뭔데 그게
@user-wt2bu8jg4y
@user-wt2bu8jg4y 3 жыл бұрын
@@user-whysoserious 니 중학교 골프 수행평가 영상에 라떼도 저런거 했다고 댓 달았잖어. 프사나 쳐바꿔라
@user-whysoserious
@user-whysoserious 3 жыл бұрын
@@user-wt2bu8jg4y 아ㅋㅋ 기억남ㅋ
@whiteshark7218
@whiteshark7218 2 жыл бұрын
진짜 세련됬다 옷과 건축물.. 달리는 마차들도 멋지고
@jsm9252
@jsm9252 Жыл бұрын
1890년대 당시만해도 우리나란 도로가 많이 발달되지않았고 대부분 길이 비포장 흙길이었고 초가집에다 소달구지 끌던 시절이었는데 (유럽에서 흔하디 흔한 마차조차도 없었음, 양반규슈는 가마타고 다님) 조선사람들이 저기가면 완전 다른세계라 생각할듯
@user-zk5sk5sp1d
@user-zk5sk5sp1d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볼 때마다 그 오묘한 기분과 생각들을 떨칠 수가 없음. 저 영상 속에 나오는 마차 타는 사람, 지나가는 사람들, 웃고 떠드는 모든 사람들이 보냈을 365일 중 지극히 평범했던 하루였을 거고 현재였을 텐데 지금 우리에게 그들은 백년 전 사람들이고 과거이고 그냥 필름의 한컷이라는게.. 참 오묘하다. 지금 우리가 현재라고 부르는 것들도 또 그렇게 과거가 되고, 미래는 현재가 되고...
@user-sy2bg2ub5b
@user-sy2bg2ub5b 3 жыл бұрын
4:18 애기들 왜케 귀엽누 모자가 너무 기여워 ㅋㅋㅋ
@saeroi2990
@saeroi2990 3 жыл бұрын
애기들이라뇨 140살 어르신인데 ㅡㅡ;;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3 жыл бұрын
마 할아부지다
@Eric-eb3be
@Eric-eb3be 3 жыл бұрын
@@saeroi2990 진짜 친구없는거 티낸다
@sciencesuper3901
@sciencesuper3901 3 жыл бұрын
@@Eric-eb3be 드립친거겠지
@Eric-eb3be
@Eric-eb3be 3 жыл бұрын
@@sciencesuper3901 엄근진하게 애기가 아니라 이미 죽은사람이라고 말하는데 드립이 아님 ㅋㅋㅋ
@user-kx6gz7rn6b
@user-kx6gz7rn6b 3 жыл бұрын
1:13 딱봐도 상류층 사람들 같은데, 당시엔 상류층에게도 카메라가 신기한건가 보네요. ㅎㅎ 3:31 소방차가 아니라, 소방마차네..ㄷㄷ
@user-nh5gc4bw2s
@user-nh5gc4bw2s 3 жыл бұрын
소방미차
@SR-wx4sx
@SR-wx4sx 3 жыл бұрын
1890년대는 이제막 가솔린 차량이 나오던 시기였음 제대로된 차량 보급은 1910년대~1920년대 부터임
@user-fr9ln9rr7t
@user-fr9ln9rr7t 3 жыл бұрын
소방마차 그때 그자리에서
@XXXX-lu1nc
@XXXX-lu1nc 3 жыл бұрын
@@user-fr9ln9rr7t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니가 있던 그곳에 서서
@ZHONGHUAMINGUOWANSUI_HANGUOREN
@ZHONGHUAMINGUOWANSUI_HANGUOREN 3 жыл бұрын
소방마차 저거 뭐고 와 개신기하네 하나는 증기기관이 달렸는데?
@safeppy
@safeppy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행정안전부 안전한TV입니다. 우측보행의 역사와 안전에 관한 교육영상을 제작하는데 이 영상을 일부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fanniinnanetguy653
@fanniinnanetguy653 11 ай бұрын
이 영상의 원본은 따로 있습니다.
@rll1255
@rll1255 2 жыл бұрын
소리까지 잘 녹음되서 더 실감난다..대단하다 저당시 이런기술력이 있었다니..
@Wabu_227
@Wabu_227 8 ай бұрын
진짜 녹음된 소리가 아니라 그냥 수정해서 대체한 소리입니다
@summerbaek3296
@summerbaek3296 3 жыл бұрын
3:47 이 때도 강아지 산책 시켰구나.ㅎㅎ
@user-uf9yd9hg4c
@user-uf9yd9hg4c 3 жыл бұрын
댕댕쓰
@jarangsruun
@jarangsruun 3 жыл бұрын
엉댕댕
@drain_you
@drain_you 3 жыл бұрын
강아지는 별로
@user-gn8vv1gd7v
@user-gn8vv1gd7v 3 жыл бұрын
아 귀엽다
@user-lp1dg6jt3p
@user-lp1dg6jt3p 3 жыл бұрын
댕댕이 할머니(할아버지)군.. 댕댕이는 역시 귀엽다
@parisvideonote
@parisvideonote 3 жыл бұрын
파리에서 가이드 하며 10년을 지내고 있는데 정말 이 도시는 그대로인 것 같아요. 영상에서 샹젤리제 거리의 바닥이 돌로 바뀐 거랑 마차가 차로 바뀐 거 빼고는 거의 비슷하네요. 게다가 튈를리 공원에서 아이들이 하는 뱃놀이 아직도 하고 있어서 깜놀. 흥미로운 영상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mh8xx7lr9s
@user-mh8xx7lr9s 3 жыл бұрын
저는 서양 건축물 디자인이 이뻐서 유럽을 가볼려구요^^
@parisvideonote
@parisvideonote 3 жыл бұрын
@@user-mh8xx7lr9s 나중에 오실때 파리나 프랑스에 관련 궁금한 것 있으시면 질문주세요. ^^
@user-mh8xx7lr9s
@user-mh8xx7lr9s 3 жыл бұрын
@@parisvideonote 넵
@LilianeDCho
@LilianeDCho 3 жыл бұрын
저도 신기하네요 ㅋㅋ 파리에 여행갔을 때 내가 방문했던 곳들인데 100년전에도 그대로였다니... 뭔가 기분이 묘합니다.
@parisvideonote
@parisvideonote 3 жыл бұрын
Liliane D. Cho 파리는 시간을 가둔 도시같아요. 정말. ^^
@hkm497
@hkm497 3 жыл бұрын
개신기하다. 옛날 파리의 고전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니
@user-fk3od8vz6y
@user-fk3od8vz6y 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조선이 얼마나 답이 없는나라 였는지 절실히 느낀다. 국뽕이 이렇게 위험한거다. 해외로 눈 조금만 돌려도 신세계를 볼 수 있는데 내꺼만 최고인줄 알고 남에것 욕하는. 국뽕 유튜버들이 왜 위험한지 보여주는 부분.
@user-uw9gg9kb5e
@user-uw9gg9kb5e 3 жыл бұрын
저 세상 어디에도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지금 내가 존재하기 전 세상을 보고 있고, 거기서 나는 소리를 듣고 있다. 또한 저기 보이는 모든 사람들은 지금 흙으로 돌아갔다. 사랑하며 삽시다. 미워하고 싸우며 살기엔 우리의 시간이 너무 짧은듯.
@dongnepumjulnam
@dongnepumjulnam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즐기기에도 바쁜 인생 뭐하러 싸웁니까 싸워서 득될게 뭐가있다고 우리 인간은 언제나 다 죽습니다. 죽으면 아무것도 아닌 舞무의 존재가 되버리잖아요. 싸우고 미워할 시간에 행복함을 찾고 인생을 좀 더 즐깁시다
@Peaty-ck1in
@Peaty-ck1in 3 жыл бұрын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걸 모르고 살아요 백날 싸워봐야 우리는 어차피 작은 존재일뿐인데,, 요즘 사람들은 자극적인 컨텐츠에 매료되어 이것만 아는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user-du2tt9hj5s
@user-du2tt9hj5s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으으아아
@으으아아 3 жыл бұрын
육갑떨고있네 ㅋㅋ
@user-nq2ok9ox1r
@user-nq2ok9ox1r 3 жыл бұрын
너 좀.. 멋있다.ㅎ
@wootti2
@wootti2 3 жыл бұрын
4:50 무빙워크? 윗칸은 속도가 더 빠르기까지 ㄷㄷㄷ
@tea5272
@tea5272 3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고마워요!
@bungbungnue
@bungbungnue 3 жыл бұрын
내친 김에 연습용으로 해본 1890년대 프랑스 파리 영상도 올려봅니다. 다음은 언어학 영상으로 돌아오겠습니다. 이번 영상 또한 수익창출을 하지 않습니다.
@TheTaemin610
@TheTaemin610 3 жыл бұрын
항문천 당신은 도대체 ...
@user-xh2oj8hi1u
@user-xh2oj8hi1u 3 жыл бұрын
@@TheTaemin610 항문이라뇨..
@tuesdei1275
@tuesdei1275 3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개신기하다...
@caesar_m_d9863
@caesar_m_d9863 3 жыл бұрын
역시 영상처리 연구실 노예군요..
@vvvvvvvvvvvv7070
@vvvvvvvvvvvv7070 3 жыл бұрын
수익창출하세요 ㅜㅜ
@meyoumeyou369
@meyoumeyou369 3 жыл бұрын
4:16 와 저 중에 살아있는 사람 아무도 없겠네....시간의 무서움이란..
@SR-wx4sx
@SR-wx4sx 3 жыл бұрын
저 아이들은 1차대전때 죽었거나 1940~60년대에 대부분이 돌아감....
@user-ox3gr5sb6w
@user-ox3gr5sb6w 3 жыл бұрын
1차 대전은 여기서 몇년 뒤밖에 안됨 오래살아도 아마 1960-1970?
@SR-wx4sx
@SR-wx4sx 3 жыл бұрын
@@user-ox3gr5sb6w 1차대전 마지막 참잔자가 2011년에 돌아가심
@user-me3wk9lz9t
@user-me3wk9lz9t 3 жыл бұрын
@@SR-wx4sx 와 신기띠
@xx-fw1ij
@xx-fw1ij 3 жыл бұрын
@@SR-wx4sx 아이가 아니라 고조 할아버지라 불러도 무색함 ㄹㅇ 야무지네
@mayroomvlog8634
@mayroomvlog8634 2 жыл бұрын
1:10 수염난 아저씨 카메라 신기해서 돌아보다가 궁금한지 돌아서 다시 보러 오는거 왜캐 귀여우셔ㅋㅋㅋㅋ
@user-ec9dp8ub5e
@user-ec9dp8ub5e 2 жыл бұрын
진짜 넘 화려하네. 정말 사람은 생긴대로 노는 것 같아요.
@user-br9vr6et8g
@user-br9vr6et8g 3 жыл бұрын
해외선교사들이 조선에 처음갔을때 마굿간이 너무많아서 부자나라구나했는데 사람이 나와서 놀랐다는얘기 듣고 그냥 웃겼는데 조선에서 해외로 나갔을때 얼마나 놀랐을지 이해가 가네ㅋㅋㅋㅋㅋㅋ 같은시대에 발전속도가 하늘과땅차이니까..
@loopingpong1412
@loopingpong1412 3 жыл бұрын
존나 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켘 주의) *일베들이 댓글섹션에 좌표찍음*
@user-br9vr6et8g
@user-br9vr6et8g 3 жыл бұрын
@maireun ma kzfaq.info/get/bejne/gpandqyop66scXk.html 그건 이 유튜브 영상 보시면될고같아요ㅋㅋㅋ 엘리베이터 처음타고 지진인줄알고 소리질렀다고하네요ㅋㅋㅋㅋ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3 жыл бұрын
@maireun ma 일제감정기떄 일본이 다 가져가거나 불태워버리고, 한국전쟁시 다 불타고 사라지고, 독재정권 40년간 삭제되고 사라짐. 거의 100여년동안 불타고 사라짐.
@2jaemyungE
@2jaemyungE 3 жыл бұрын
@@user-cy4hp4fr5x 뭔 개소리하나? 보빙사 중 남긴게 서유견문인데? 일제가 뭣하러 불태워? 독재정권이 40년간 삭제했다고??? 전라도에서는 그렇게 가르침???
@user-hr8wd5md7w
@user-hr8wd5md7w 3 жыл бұрын
원래 역사는 나라마다 다르게 배움 7시에서는 다르게 배우나 보1지
@coldaustralian4083
@coldaustralian4083 3 жыл бұрын
미래엔 사람들이 우리 영상을 3D로 복원해서 홀로그램으로 틀어놓고 신기해하겠지?
@723syw6
@723syw6 3 жыл бұрын
VR로 완벽하게 구현할듯
@user-ri7cm5up5q
@user-ri7cm5up5q 3 жыл бұрын
방구석에서 롤하면서 패드립하던거 다 찍힐듯
@user-qo8jj5jv7b
@user-qo8jj5jv7b 3 жыл бұрын
@@user-ri7cm5up5q ㅋㄱㅋㅋㄱㅋㄱㅋㅋㅋㅋ
@user-xl6sl7kw8r
@user-xl6sl7kw8r 3 жыл бұрын
아 시발 안그러면 안됨? ㅈㄴ 쪽팔린데 ㅋㅋㅋㅋㅋㅋ 코딱지 파고 방구끼는것도 다 찍을듯
@cb9340
@cb9340 3 жыл бұрын
이미 고화질로 찍힌게 차고넘치는데 복원할필요가 없지..
@wincup
@wincup 3 жыл бұрын
저기 사람들은 다 사라졌어도, 작은 나무들은 이제 거목들이 되어 있겠죠.
@user-vk5qb8vm2f
@user-vk5qb8vm2f 2 жыл бұрын
세계문화유산급 영상 흥미롭게 잘 봤습니다. 많은 생각이 드는 감동영상.
@Mei_531
@Mei_531 3 жыл бұрын
저때 우리나라와 문명차이가 심한건 사실이고 그런 이유도 쇄국정책, 밖에 문물 안받아들이는 등 명백함.. 요즘 보면 국뽕에 엄청 취한 분들 많음 인정할껀 인정하고 앞으로 지금 사는것처럼 잘살아야한다고 생각해야함..
@user-jj7yh2zb3t
@user-jj7yh2zb3t 3 жыл бұрын
중세 전에는 동양이 더 발전했지만 중세 후에는 서양이 더 발전했지
@hamster3248
@hamster3248 3 жыл бұрын
저때는 서양이 우월한게 사실임 현대 사회에 쓰고 있는 거의 모든것이 서양에서 나온건데 뭐 누가 우월한걸 따지냐 그러는게 솔직히 웃김 국뽕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인정할건 인정해야한다고 봄
@Underwaterbank
@Underwaterbank 3 жыл бұрын
인정할건 인정해야 나중에 우리도 인정받을 수 있다 생각함
@user-fo4jp4qm4m
@user-fo4jp4qm4m 3 жыл бұрын
맞는말하는데 맞춤법 문맥 너무 거슬린다 애니프사값하는듯
@ttoEttoE
@ttoEttoE 3 жыл бұрын
국뽕댓글 없는데 혼자 쉐복하고 깨우친척ㄷㄷㄷ
@J.H.C.
@J.H.C. 3 жыл бұрын
2:17 자전거탄 사람 위험했어 ㅠㅠ
@Lucifer-nm2qf
@Lucifer-nm2qf 3 жыл бұрын
까비아깝소
@ys-cp9vj
@ys-cp9vj 3 жыл бұрын
@한상혁 ㅋㅋㅋㅋㅋㅋㅋㅋㅋ
@kol676
@kol676 3 жыл бұрын
현재 도로교통 상황과 비슷하네ㅋㅋㅋ
@user-kj5yt8dv7g
@user-kj5yt8dv7g 2 жыл бұрын
저때도 자라니가...
@user-qx2wu3lr1d
@user-qx2wu3lr1d 2 жыл бұрын
우와 ㅋㅋ 똑같은 댓글 달려고했는뎈ㅋㅋㅋㅋ
@djwjfkrh6740
@djwjfkrh6740 2 жыл бұрын
6분정도 되는 영상에서 보이는 사람들 중 단 한명도 살아있는 사람이 없는거 생각하면 뭔가 신기하면서 오묘한 기분이 드는 듯..
@user-me7pc6rq2z
@user-me7pc6rq2z 2 жыл бұрын
너무예뻐요... 옷이며 분위기며👍
@user-bk6pi4pk3w
@user-bk6pi4pk3w 3 жыл бұрын
4:53 오른쪽 여자 잼민이 놀이
@user-cw5rz4nb1q
@user-cw5rz4nb1q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Nirbana
@Nirbana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내려오지
@PisickXl
@PisickXl 3 жыл бұрын
에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f2qq4ik3g
@user-qf2qq4ik3g 3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개웃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잼민이 놀이 ㅋㅋㅋㅋ 여기 사람들 자꾸 잼민이잼민이 거려 ㅋㅋㅋ
@user-zc4kn9jy7t
@user-zc4kn9jy7t 3 жыл бұрын
ㅅㅂㅋㅋㅋㅋㅋㅋ꼭 저런데서 역주행 하는애들 있음
@qyeniic
@qyeniic 3 жыл бұрын
향문천님 혹시 한국식 한자,중국식 한자,일본식 한자에 대해서 다뤄 주실 수 있나요?
@user-dp6us9yd6t
@user-dp6us9yd6t 3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JiwonYeo1113
@JiwonYeo1113 3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romanhands-3766
@romanhands-3766 3 жыл бұрын
올려라 얘들아
@user-xs6yf6mv5p
@user-xs6yf6mv5p 3 жыл бұрын
나도 궁금해요
@JiwonYeo1113
@JiwonYeo1113 3 жыл бұрын
이륙 가즈아ㅏ아아아아아아아
@user-xn2zc9tm4m
@user-xn2zc9tm4m 2 жыл бұрын
황당한건 저사람들은 앞으로 지옥과도 같은 대전쟁으로 온 가족을 잃고 화려했던 시절을 뒤로한채 상상도 못한 폐허속을 걷게될 운명이란거;;;;;
@dshield0144
@dshield0144 2 жыл бұрын
커다란 카메라를 힐끔 쳐다보면서 지금도 세상 어딘가를 걸어다니고만 있을 거 같은 저 사람들 모두가 더 이상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는게 참 신기하고 슬퍼진다. 23세기의 사람들도 지금의 영상을 보면 이런 느낌을 받을 듯.
@aurumferro
@aurumferro 3 жыл бұрын
유럽은 사실상 저때가 전성기지. 세계대전 일어나기 직전. 당시의 서양 열강들 영상 보면 그냥 문화적으로 모든게 완벽해보인다.
@user-jx4dc2ix4n
@user-jx4dc2ix4n 3 жыл бұрын
옛날은 영국이랑 포르투갈 스페인 얘네들이 전세계에 식민지를 엄청많이두고 잘나갔지만 현재 유럽에서 독일 경제력 따라올 국가없음
@Summer_isle
@Summer_isle 3 жыл бұрын
식민지 착취해서 번성했으니 삐까뻔쩍하게 살았지
@onecer09
@onecer09 3 жыл бұрын
@@Summer_isle 당시 시대가 그랬으니까... 약육강식
@user-db3vw6yu3s
@user-db3vw6yu3s 3 жыл бұрын
중국이 세계에서 최강국인 시절에서 벗어나 르네상스 시기부터 슬슬 서양이 확 터진듯 제국주의 시스템이 세계정복에 큰 획을 긋는...
@guybrusht6313
@guybrusht6313 3 жыл бұрын
식민지 착취가 기반. 그리고 귀족의 삶이지 일반 시민들의 삶은 비참하기 그지 없었죠.
@user-ch1dp8bn9n
@user-ch1dp8bn9n 3 жыл бұрын
말들의말발굽소리와.사람들의대화소리자전거의따르릉거리는소리가.좋아요.
@user-ul4kb4yd6i
@user-ul4kb4yd6i 3 ай бұрын
저 사람들 한명도 빠짐없이 다 죽었다는게...
@bestramenjinsoon
@bestramenjinsoon 2 жыл бұрын
물론 영상이 생동감이 있는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음질이 너무 좋다... 아이들 웃음소리, 말이 다그닥다그닥거리는 소리, 자전거 종소리가 엄청 생생해서 놀랐음...
@user-uc8gv8kd4b
@user-uc8gv8kd4b Ай бұрын
원본 영상은 소리가 없어요 동시녹음이 기술적으로 불가능했기에. 역사 다루는 유투버들이 원래 옛 영상을 이런 식으로 인공지능으로 채색하고 프레임도 부드럽게 바꾸고 화질도 개선하면서 보통 어울리는 음향도 삽입해서 올려요. 향문천님은 그런 영상을 가져오신 거고
@hide5419
@hide5419 3 жыл бұрын
저 영상 속 아무도 현재에 존재하지 않는 다는 사실이...
@user-gi1qz6wt5d
@user-gi1qz6wt5d 3 жыл бұрын
심지어 4:01에 나온 남자애들은 전쟁에서 총알받이로 30살도 못살고 죽음 ㅠ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3 жыл бұрын
@@user-gi1qz6wt5d 남자의 숙명이지 ㅜㅠ
@user-dg1os5qh4z
@user-dg1os5qh4z 3 жыл бұрын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호수에 꼬북이가 있다면 지금도 있지 않을까싶네요
@zieglerstudio-learningeuro2656
@zieglerstudio-learningeuro2656 3 жыл бұрын
@@user-dg1os5qh4z 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riginalvideo9040
@originalvideo9040 3 жыл бұрын
@@user-gi1qz6wt5d 운좋게 살았을수도...
@user-mk3pt4bf1k
@user-mk3pt4bf1k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뤄질 수 없는 소망이지만 저때를 포함해서 모든 시대에 6개월씩만 살아보고싶다.... 그때그때의 갬성을 느껴보고싶어
@user-uz4si4fv6x
@user-uz4si4fv6x 2 жыл бұрын
ㄹㅇ하나씩살아보고 맘에드는시대에 정착하고픔
@user-hz7ep7nk9b
@user-hz7ep7nk9b 2 жыл бұрын
미친년
@user-vy2bj1tf1d
@user-vy2bj1tf1d 2 жыл бұрын
@@user-hz7ep7nk9b 콘돔의 중요성
@suede7799
@suede7799 2 жыл бұрын
정말 신만이 할수있을 기술일듯.. 신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ttittili1016
@ttittili1016 2 жыл бұрын
나도이생각했었는데ㅋㅋ근데 지금시대가 젤 살기좋긴할거같음 맨날 전쟁일어나고 고대나 중세땐 증거없이 정치질모함으로 사지찢셔고문당해서 죽기딱좋은시대같아서 그리고 저때만하더라도 휴지가 없었고 페니실린이없어서 지금에야 간단하게 약만먹고 낫는거 낫질못하고 애 5 6명낳아도 20살까지 살아있는애라곤 한두명밖에없었음.. 강한자들만 살아있는시대랄까? 정고르자면 고대시대가서 지금의 7대불가사의를 내눈앞에서확인하고싶움ㅋㅋ
@user-jc6no2es8i
@user-jc6no2es8i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user-um8lr6th3i
@user-um8lr6th3i 3 жыл бұрын
역시 제일 소름끼치는 건 저 사람들 중에 살아있는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점
@ahnssni-you-real
@ahnssni-you-real 3 жыл бұрын
안소름끼치는데? 130년 됐는데 뭘..
@user-jt8tf6ee3p
@user-jt8tf6ee3p 3 жыл бұрын
@@ahnssni-you-real 뭔가 컬러도 있어서 진짜 살아있는 느낌이라 그런듯
@sss9587
@sss9587 3 жыл бұрын
댓글이 자신의 의견 자유롭게 다는곳 아님? 이사람이 남긴 댓글이 뭐 정답이 있는 문제인가? 반사회적 싸이코패스들같음 밖에서 사람들이랑 얘기할때도 상대방이 너들이 느끼기에 별로 시덥잖은 내용으로 진짜 대박이다 하면 별로 안대박인데 ㅋㅋㅋㅋ 이래서 니네가 친구가 없는거임? 공감을 못하면 가만히라도 있으면되지 진짜 심각하다 우리나라 사람들. 너무너무 야박해졌어
@greenmonster769
@greenmonster769 3 жыл бұрын
1명이라도 살아있을지 어케알아요
@user-jt8tf6ee3p
@user-jt8tf6ee3p 3 жыл бұрын
@@greenmonster769 근데 살아있을리가 없지 않아여?? 윗댓글 보면 130년도 더 지난 일인데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3 жыл бұрын
벨 에포크 시대- 나폴레옹전쟁과 1차대전 사이 전쟁이 거의 없고 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던 평화로운 시기
@kse99
@kse99 3 жыл бұрын
우왕
@kk-st7fn
@kk-st7fn 3 жыл бұрын
저때 태어난건 축복이네..
@briany3817
@briany3817 3 жыл бұрын
나폴레옹 전쟁은 너무 이르고 프랑스에서는 1848년 혁명, 유럽전체에는 1870년 독일 통일부터가 벨 에포크의 시작임 영국은 섬나라여서 19세기 전체가 최고 전성기인 빅토리아 시대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smittywerbenjagermanjensen2536 3 жыл бұрын
@@briany3817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1815년으로 보는 시각도 있고 독일통일인 1871년으로 보는 시각도 있어 시작이 언제냐에 대해선 차이가 좀 있는편입니다
@HyperInsomnia_
@HyperInsomnia_ 3 жыл бұрын
@@kk-st7fn 저때 태어나면 24세에 제1차세계대전에 참전해야하고 59세에 제2차세계대전이 발발해 독일 치하 프랑스에 살아야됩니다ㄷㄷ
@baegopayo_
@baegopayo_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영상 보면 시간을 소중히 해야한다는 생각이 계속 든다.. 2020년인 현재도 결국 몇백년이 흐르면 그저 하나의 옛날로 남을것이고 모두 잊혀지겟지 어느순간은ㅜㅜ
@wooslitsttsil5892
@wooslitsttsil5892 3 жыл бұрын
시간을 소중히가 아니라 아무 의미가 없어 보임.
@yjc4364
@yjc4364 3 жыл бұрын
2020년은 먼 미래에도 코로나로 회자될듯 1997년 IMF, 2002년이 월드컵으로 기억되는것처럼
@user-mt5ml2ky4y
@user-mt5ml2ky4y 2 жыл бұрын
나는 소중하기보간 덧없고 허무하다라는 느낌이드네.....저 영상속 사람들도 열심히 살고 이런저런 모험을 하던 사람들이지만 지금와서는 모든게 없어진 과거일뿐이니깐....
@hokkkkkk700
@hokkkkkk700 Жыл бұрын
@@user-mt5ml2ky4y 개개인으로 보면 안보이겠지만 분명 미래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꺼임
@user-vx2hz2gb1w
@user-vx2hz2gb1w 3 жыл бұрын
우와.. 진짜 말 타고 가는거.. 너무 신기해.. 무슨 영화보는것 같다
@d0qlsrla08
@d0qlsrla08 3 жыл бұрын
저때 갓난아기였어도 지금은 다... 와.. 먼가 이 영상에서는 사람들이 다 살아서 움직이고 있는데 실제론 다 돌아가셨다는게.. 참..
@GongryongMan
@GongryongMan 3 жыл бұрын
4:21 항문천님 말로하시지 우산으로 꼭 ㅋㅋ 너무하세요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시간을 지배하는 능력'
@user-hs1rd4jv4h
@user-hs1rd4jv4h 3 жыл бұрын
@@user-it4dx1hn1k 시공간이겠지
@delmont2793
@delmont2793 3 жыл бұрын
항문천 ㅋㅋㅋ 향문천이심
@haqww5777
@haqww5777 3 жыл бұрын
향문천이라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ayKim-tq1lo
@JayKim-tq1lo 3 жыл бұрын
서술자의 개입 ㄷㄷ
@ahknit6202
@ahknit6202 3 жыл бұрын
실감이 나지 않는다... 120년도 더 된 타국의 모습을 보니, 저 시대에 살던 사람들이 현재엔 없다고 생각하니 참 묘하네
@qk1855
@qk1855 3 жыл бұрын
저 영상 시대에 살고계신 분들은 다 돌아가셨지만 그 자손들이 지금살아가고있기에 지금에 현대라는게 존재한다는게..몬가 이어져있는거같은데 멀게도 느껴지네요
@erinc3056
@erinc3056 3 жыл бұрын
유럽 저때 너무 잘 살았죠ㅡ.지금이랑 건축도 다르지도 않고...ㄷㄷㄷㄷ 대단
@Koko_mimi_mom
@Koko_mimi_mom 3 жыл бұрын
저때 사람들이 옷을 더 세련되게 잘입네....ㅠㅠ 너무 이쁘다 모자랑 드레스랑 ㅠㅠ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요즘 저렇게 입고다니면 어떻게 될까요
@U_can_touch_me
@U_can_touch_me 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생각해ㅛ어요 정말 풍요로워보이고 복장과 꾸밈세에 잇어서 정말 세련되보이네요 겉치장에 대해 더 신경쓰는거같아요
@mx6296
@mx6296 3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go4sb3ts4g
@user-go4sb3ts4g 3 жыл бұрын
ㅇㅈ 남자들 양복도 넘 멋있음
@fuckingrockstar
@fuckingrockstar 3 жыл бұрын
대신 허리 개조이고 ㅈㄴ불편할듯
@ikhyun5161
@ikhyun5161 3 жыл бұрын
이야 역시 200년 짬밥 어디 안가네 아무리 유럽도 문제가 많다하더라도 확실히 앞서있다는건 사실이네
@user-gu4pf1hq4n
@user-gu4pf1hq4n 3 жыл бұрын
뮨제는 조선은 문제도 많고 앞서지도 못했단거...
@user-lj7es5jw2f
@user-lj7es5jw2f 3 жыл бұрын
@@user-gu4pf1hq4n 뼈때리누ㅋㅋㅋㅋ
@asdfghj814
@asdfghj814 3 жыл бұрын
저때만해도 이민자들 거의없는 백인사회였음
@Edhilues
@Edhilues 3 жыл бұрын
2000년 짬밥아닌가요ㅋㅋㅋ 로마시대부터 시작됐는데 거의
@Wandrative
@Wandrative 3 жыл бұрын
Lee Corin 그렇게 따지면 그리스포함해서 2700년 짬밥...
@hello79
@hello79 3 жыл бұрын
무빙워크에 분수대 가로등까지...충격 그자체다
@user-uu4fe6gy6f
@user-uu4fe6gy6f 2 жыл бұрын
말 발굽소리 듣기 좋네요..중독됩니다
@user-qp8sg6hu4z
@user-qp8sg6hu4z 3 жыл бұрын
5:10 왜 뛰어가나 했더니 카메라 보면서 쓱 웃네 ㅋㅋㅋㅋㅋㅋㅋㅋ
@jjk4891
@jjk4891 3 жыл бұрын
ㅌㅋㅋㅋㅋㅋㅋ사람사는거 다똑같앜ㅋㅋ
@user-rk2mb6xd2z
@user-rk2mb6xd2z 2 жыл бұрын
???:엄마 나 tv에 나왔어!!!
@user-ul8uh2om9u
@user-ul8uh2om9u 3 жыл бұрын
1:08 야전삽 짱재
@user-zo6st8sy1u
@user-zo6st8sy1u 3 жыл бұрын
짱재 전생
@Carat_79
@Carat_79 3 жыл бұрын
ㅆㅂ
@user-he4nq8qx5m
@user-he4nq8qx5m 3 жыл бұрын
조상님
@blacktakefich
@blacktakefich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0zeldalink0
@0zeldalink0 3 жыл бұрын
2:28, 3:10 예나 지금이나 두손 놓고 자전거 타는건 한결같구만 ㅋㅋ
@user-bk2il1pq1s
@user-bk2il1pq1s 3 жыл бұрын
저 말들이 달리는 마차에서 엔진으로 움직이는 자동차가 나오고 기계혁명이 일어났을때 얼마나 혁신적이였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youngryu7450
@youngryu7450 3 жыл бұрын
전 이 동영상을 보고 3가지 교훈을 얻었습니다... 1. 재산이 얼마든 다 죽으면 부질 없다. 2. 현실 작은 곳 에서 행복을 찾자. 3. 부모님에게 최선을 다해 효도하자
@에미넴스탠
@에미넴스탠 3 жыл бұрын
저도 앞으로 그렇게 살아야겠네요...
@lovehj.0
@lovehj.0 3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모두들 행복하세요.
@user-ie9hl1vi2w
@user-ie9hl1vi2w 3 жыл бұрын
4. 몰라서 안그러고 사는게 아니다
@user-oj5gp7qg1t
@user-oj5gp7qg1t 3 жыл бұрын
부모님께 효도해서 재산 물려받자!
@MooYa94
@MooYa94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user-js1vr7su1z
@user-js1vr7su1z 3 жыл бұрын
와 19세기 한국 보다가 이거 보니까 진짜 다른 세상 같다... 싱숭생숭 하네
@steaksauce9873
@steaksauce9873 3 жыл бұрын
어차피 현 시대에 다 따라잡았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user-wk5re6mv6h
@user-wk5re6mv6h 3 жыл бұрын
@@steaksauce9873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는 말이 있듯이 결과론적인 태도는 금물
@zieglerstudio-learningeuro2656
@zieglerstudio-learningeuro2656 3 жыл бұрын
@@user-gk1hi3db7q ㅋ...ㄹ..
@random0153
@random0153 3 жыл бұрын
@@steaksauce9873 물론 그렇지만 이렇게 큰 격차가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놀라워 할순 있죠. 신기하긴 하잖아요?
@steaksauce9873
@steaksauce9873 3 жыл бұрын
@R Wj 도시 인프라는 오히려 파리보다 서울이 낫죠
@KBS_Life
@KBS_Life 3 жыл бұрын
시끄러운 자동차 클락션 소리대신 말발굽소리 너무 듣기좋네요. ASMR이 따로 없네요
@user-bw9ho3yd5x
@user-bw9ho3yd5x 3 жыл бұрын
당시에 동영상 을 찍을수있는 찰영기 있었는지 금궁하네요 진품인지 알고싶습니다
@ioog5975
@ioog5975 3 жыл бұрын
말이 웬지 불쌍하면서도 귀여우면서도 멋있다.... 세상에서 제일 멋진 동물인듯...
@iiiiiilillliilll
@iiiiiilillliilll 3 жыл бұрын
이야 한국 초가집에서 달구지 끌고 다닐 시절에 대성당 아래서 카메라로 고급 마차 끌고 다니던 프랑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oh_Moo_Young
@Roh_Moo_Young 3 жыл бұрын
"조선인은 90%감성과 10%이성으로 살아간다" "조선인의 특징은 한 사람이 멍석말이를 당하면 그 사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는 하지 않고 다 함께 달려들어 무조건 몰매를 때리고 본다는 것이다." "나는 거짓, 사치, 음란, 방탕한 생활을 누려도 되지만 다른 사람들은 특히 내 가족과 친구들 만큼은 절대 깨끗한 사람이기를 바란다. 그런 괴팍하고 고약한 심리를 버리지 않는다면 독립은 꿈속 이야기에 불과할 것이다. 정신적으로든 물질적으로든 영원히." -윤치호-
@user-jp8hn3gh7c
@user-jp8hn3gh7c 3 жыл бұрын
@@Roh_Moo_Young 마지막 말에서 윤치호가 얼마나 역겨운 종자 였는지 알수있음
@user-lm3rj4sw8x
@user-lm3rj4sw8x 3 жыл бұрын
이야 천지차이
@user-jp8hn3gh7c
@user-jp8hn3gh7c 2 жыл бұрын
@Sean P ㄴㄴ 윤치호본인이 쓴 일기 보면 자기가 했던말과 상반되게 행동한적이 많고 자기는 해도 된다는 식으로도 포장함 애초에 윤치호는 혐중하면서 아내가 중국인이었음
@SH-eh5co
@SH-eh5co 2 жыл бұрын
진짜 대단하네요
@coi103
@coi103 2 жыл бұрын
유화 한장면 보는거같음 ㅠㅠㅠ 넋놓고 봐도 힐링된다
@ygc2888
@ygc2888 2 жыл бұрын
서양쪽이 엄청 발전하긴했네 요즘하고 별차이 없어보여 그런데 저시절에도 동영상을 찍을수있었다니 놀랍다
프랑스는 파리에 왜 피라미드를 만들었을까?
16:40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149 М.
The 1890's ~ Amazing Rare Footage of Cities Around the World
10:30
Dhruva Aliman Music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Дибала против вратаря Легенды
00:33
Mr. Oleynik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Backstage 🤫 tutorial #elsarca #tiktok
00:13
Elsa Arca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Color restoration video of shocking lifestyle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1906
8:46
복원왕 Restoration King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유럽의 재앙, 독일의 트라우마 | 30년 전쟁 몰아보기
30:20
함께하는 세계사
Рет қаралды 113 М.
[60 fps] Laborers in Victorian England, 1901
5:40
Denis Shiryaev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100년전에 녹음된 한국어 육성 음성 원본
13:28
디씨멘터리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20세기 초 조선의 모습 (인공지능 채색)
21:09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우리나라 첫 컬러영상 (1938년 촬영)
4:24
coco ke
Рет қаралды 728 М.
1929년 혹은 1930년대 서울 영상 자세히 보기ㅣFootage of Seoul in 1929 or 1930s
12:43
대한여지도 Korean Geographic
Рет қаралды 598 М.
Дибала против вратаря Легенды
00:33
Mr. Oleynik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