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지성학] 2. 물리학자가 불확실성과 함께 사는 법 - 김상욱 교수 - 2023-1학기/3주차/3월21일

  Рет қаралды 29,023

가천대학교

가천대학교

Жыл бұрын

지성학은 위드 코로나시대에 대면/비대면 방식을 결합한 가천 시그니처 교양으로 미래 기술 트렌드를 국내 명사에게 묻고 답하는, 참여방식의 명품 강의이다.
이번 학기는 ‘몰입과 창발’(부제: 학문과 학문을 더해 ‘새로운 길’을 열다)을 주제로 인문/사회/과학/예술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한 심도 깊은 이야기를 듣고 물음으로써 개별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통찰을 얻고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생각을 창출한다.
한 학기 동안(중간/기말고사기간을 제외) 12여 편의 특강 영상이 대학 홈페이지와 공식 유튜브를 통해 차례로 공개된다.
본 강연은 수백 년에 걸쳐 서서히 발전하던 인류 문명은 산업혁명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5년 후도 예측하기 어려운 급변하는 시대에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변하지 않는 것에 토대를 둘 것을 제안하며,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 궁극적으로는 그것이 우리 인간에게 행복을 주는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 KAIST 물리학과 졸업 및 석사/박사
-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
- 서울대학교 BK 연구조교수
- 부산대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교수 2004~2018
- 일본학술재단(JSPS)초청 일본 동경대 물리학과 방문교수
-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 양자정보연구소 방문교수
- 일본 동경대 응용물리학과 방문교수
- MBC‘선을넘는녀석들’, tvN‘알쓸신잡’, ‘알쓸범잡’ 등 TV 다수 출연
- 저서 : ‘떨림과 울림’, ‘김상욱의 과학 공부’, ‘김상욱의 양자공부’, ‘뉴턴의 아틀리에’ 등 다수 집필

Пікірлер: 14
@user-hr9bz2xs9v
@user-hr9bz2xs9v 18 күн бұрын
다정다감 교수님
@hj952087
@hj952087 4 ай бұрын
늘 좋은 말씀과 통찰의 강의 고맙습니다! 김상욱 교수님.
@salva303
@salva303 2 ай бұрын
👍최고의 설명과 강의
@Kim_jeju
@Kim_jeju 5 ай бұрын
역시 김상욱 교수님 대박. 과학적 인문학적 철학적으로 최고의 강연이네요. 좋은 강연 만들어준 가천대 칭찬합니다!
@user-oo2nd8tm8v
@user-oo2nd8tm8v Жыл бұрын
TV에서 많이 보았던 김상욱 교수님이 가천대에서 강의를 하셨네요. 가천대 "지성학" 강좌에 유명하신 분들이 많이 나오네요~~^^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9 ай бұрын
독서만 하는 것 보단 독서 후 독후감, 토론... 더 나아가 명상과 강의 까지 한다면 진정한 자신의 지식과 지혜가 되리라고 생각됩니다. 인간이 동물과 다른 것은 인문학 교육의 힘으로 인간적인 것이 좋은 것이라 믿는 것이죠. 인문학(세상에 없는 상상의 산물, 인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 사랑 국가 화폐 민주주의 행복 종교 행복 등등..존재하지 않는 인간의 상상으로 만든 가치 ) 불쌍히 여기는 마음도 본능에서 오는 것 일수 있고 학습으로도 알 수 있죠.(굶주려보고 아파보았던 사람들) 자연 과학(우주는 빅뱅에서 왔다. 모든 것은 원자로 되어있다. 우주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문명인 이라면 자연 과학과 인문학을 조화롭게 익히고 아무 의미 없는 우주에서 행복이라는 상상의 의미를 부여하며 찰나의 시간을 아름답게 살다 간다. 의미 부여를 너무 과하게 해서 사이비 종교나 이기적인 사랑이나 우정에 빠져서 자신을 괴롭히지 마시길 바랍니다. 김상욱 물리학 교수의 전기 넌 어디에서 왔니 kzfaq.info/get/bejne/mbqIm5aBldemhJs.html&pp=ygUJ7KCE6riw64SM 라는 강연 추천 합니다. (그외 팩트폴니스 , 민주주의란 무엇인가-kzfaq.info/get/bejne/aa2hidGntc2ccX0.html&pp=ygUM66-87KO87KO87J2Y 유시민 작가 kzfaq.info/get/bejne/g7eed6tz2bHWZGg.html&pp=ygUQ6rmA64iE66asIOq1kOycoQ%3D%3D 김누리 교수) 추천 합니다.
@user-gg6ki1fj3c
@user-gg6ki1fj3c 4 ай бұрын
모든 인간적 사회적 악의 근본적인 문제들은 교육에 달려있습니다. 한 국가의 미래는 교육입니다. 세계의 미래도 교육입니다. 인성말살교육 세계1위 경쟁교육 세계1위 학폭 세계1위 인구소멸 세계1위 모든연령대 자살률 세계1위 (거의) 불평등 세계1위 ... 대한민국의 현실을 제발 자각해야 됩니다. 북한의 교육이 교육입니까? 독재자 세뇌 작업이죠. 자본주의 만 극대화해서 인간을 인적자원 이라 부르는 대한민국도 정말 문제가 많습니다. 우리들이 누리는 모든 자유와 민주주의 와 안전함 등등... 이것들은 거저 공짜로 오는 것이 아닙니다. 싸워서 피 흘리고 수많은 목숨들이 피해를 입으며 겨우 지금 정도를 달성한 것입니다. 언제든 이런 나라도 순식간에 북한보다 더한 나라로 돌아가는 것도 순식간입니다. 국민들이 알고 깨우쳐야 싸우고 투표하고 투표 제도의 불합리 함도 알 수가 있습니다. 인간적으로 살려면 공부를 해야 됩니다. 책을 읽어야 됩니다. 사이비 같은 종교나 빠져서 그저 안일하게 살지 않아야 됩니다. 국힘당이던 민주당이던 6;4 혹은 4:6으로 서로 해 먹어온 정치 입니다. 선거 제도의 불합리함을 알아야 합니다. 성별 5:5 나 세대별, 직업별 의회 구성이 안 된 나라. 검사,변호사,교수 와 사학 재단의 자손들과 신흥 학원 재벌들이 국회에 전부 포진해 있습니다. 언론은 자본과 권력의 하수인 , 이런 나라는 세계 유일한 나라. 인간 최소한의 평등과 기회는 교육입니다. 당신들의 불행은 꼭 당신만의 탓은 아닙니다. 환경과 사회의 잘못을 인지하셔야 합니다. 인간 최소한의 평등이 교육 받을 권리 이고 민주주의 국가의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능력주의가 공평하다고 착각을 하는 게 비극의 시작입니다. 능력주의는 기득권을 위한 교육 제도 입니다. 일을 안 해도 내가 하고 싶은 공부를 대학교 까지는 맘껏 하게 할 수 있어야 되는 것이라고 생각 됩니다. 세계 10위 이상의 경제 대국이라면 ... 세금을 좀 더 공정하게 걷어서 부를 공평하게 분배하고 .. 이런 것이 안 이루어지고 있어요
@jjcho3765
@jjcho3765 3 ай бұрын
1:03:00
@user-ee6ib3yj4q
@user-ee6ib3yj4q 7 ай бұрын
51:52
@user-qg6nr2fp6z
@user-qg6nr2fp6z 3 ай бұрын
오 질문이 바뀌어야 하는군요 달은 떨어지고 있는데 왜 땅에 안 닿을까요? 신은 언제 오시나요? 대신에 「오 신은 이미 와 계시군요 근데 왜 나는 당신을 모를까요? 못 볼까요?」
@user-qg6nr2fp6z
@user-qg6nr2fp6z 3 ай бұрын
신은 인간의 모습으로 와 있지 않나보죠? 혹은 5차원의 인물을 3차원의 사람이 볼수 있는 방법이 별도로 있을까요?
@user-dv4gw9df7c
@user-dv4gw9df7c Ай бұрын
화가가 왼손으로 다시 시작해도 40년걸림. 손구락 행도뿐만 아니라. 두뇌에도 40년동안 몇천만번 갈등?
@user-zu2ku3lb1t
@user-zu2ku3lb1t 2 ай бұрын
ㅋㅋ..잘나써 좌빨 찌라시 주제에 아주~~~딱~~~ 맞는..김 상 욱 교수니이임..ㅋㅋ😊😊!!
Кәріс тіріма өзі ?  | Synyptas 3 | 8 серия
24:47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매우 치명적인 뇌출혈 예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
1:06:4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7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