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은 왜 퇴사하나...MZ, 회사를 떠나다 [풀영상] | 시사기획 창 381회 (22.07.26)

  Рет қаралды 3,223,933

KBS시사

KBS시사

Жыл бұрын

2022년, 우리 사회에 낯선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구인난'.
취업난이 아니라 사람이 구해지지 않는다는 '구인난'이요.
통계가 보여줍니다. 올해 1분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 인원이 1년 전보다 22.3%나 늘었습니다. 적극적으로 구인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구해지지 않은 인원을 뜻하는 '미충원인원'은 70.2%나 증가했습니다.
이상하죠? 매달 통계청이 발표하는 고용동향을 보면 고용률은 사상 최고 수준인데(6월 기준 62.9%),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일하고 있다는데 그런데도 왜 사업체에선 사람이 없다고 할까요?
00:14 프롤로그
01:39 MZ, 회사를 떠나다
12:30 일할 사람 없나요?
27:47 '회사 vs 청년' 엇갈리다
35:59 청년 해방일지
44:07 에필로그
■영업을 못 하겠다. 왜? 직원이 없어서!
주점은 영업시간을 단축했다. 회사에는 주인 없는 책상들이 덩그러니 남았다. 직원을 구할 수가 없어서다. 구인 광고를 내도 두 달 동안 지원자가 단 한 명도 없었다는 곳이 있는가 하면, 구인 구직 사이트에 광고비를 지출해야 겨우 몇 명 찾아온다는 곳도 있다. 급여 수준이 낮아서도, 근무 환경이 열악해서도 아니라는데. 코로나 19 이후 구인난, 특히 청년 구인난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이들의 호소, 사실일까? 청년들은 회사를 떠나 어디로 갔을까? KBS ‘시사기획 창’이 구인난의 현상을 짚고 수치로 확인한 뒤 청년들의 속내까지 들어봤다.
■구인난은 현실일까?
‘시사기획 창’은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 20대와 30대 청년들 일자리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분석했다. 3년 동안, 어떤 업종은 40% 이상 종사자가 증가하고 반면 10%씩 줄어든 업종도 있다. 이런 변화가 구인난에 영향을 줬다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특히 한국 경제를 떠받쳐온 전통의 산업들은 사람이 없어 심각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사장님 “왜 떠나는지 알고 있습니다” 라는데...
제조업체 운영 25년. 청년들 사정에 귀 기울인다는 제조업 사장님은 자신한다. “내가 이유를 알고 있다” 26살, 제조업 회사 생활을 경험한 청년은 이렇게 말한다 “그게 아니라고요” 진단이 정확해야 해결책도 나오는 법인데, 회사는 아직도 모른다.
■‘퇴사’하면 뭐가 생각나느냐고요?
취직이 소원이요 퇴사는 절망이던 시절도 있었다. 외환위기를 겪은 뒤 상당 기간 그랬다. 이제는 다르다. 퇴사 경험이 있는 청년들에게 물었다. 당신에게 퇴사는 어떤 느낌인가요? 퇴사, 결심하는 데 얼마나 걸렸나요? 갈 곳을 정해놓지 않고 퇴사할 수도 있나요? 이들의 대답은 신선하다 못해 놀랍기까지 하다!
일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알아야 좋은 일터를 만들고, 좋은 일터를 만들어야 좋은 사람이 온다. 좋은 사람이 많이 오는 회사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하는 그들의 마음, 7월 26일 방송되는 시사기획 창 ‘MZ, 회사를 떠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MZ #90년대생 #퇴사 #이직 #사표 #구인난 #퇴사소취 #현실_그_잡채 #직장인 #자영업 #창업 #n잡러 #시사기획창 #kbs시사
취재기자 : 박예원
촬영기자 : 김승욱
영상편집 : 송화인
자료조사 : 김나영
조연출 : 김용우 / 이정윤
방송일시 : 2022년 7월 26일(화) 밤 10시 KBS 1TV / 유튜브
'시사기획 창' 홈페이지 bit.ly/39AXCbF
유튜브 / @kbssisa
페이스북 / changkbs
WAVVE '시사기획 창' 검색

Пікірлер: 10 000
@Nohsajang
@Nohsajang Жыл бұрын
인사관계자분들 "돈에 관계없이" 라는 표현을 자주쓰시는데 임금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seongjae24
@seongjae24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
@wegf234
@wegf234 Жыл бұрын
@조가치투자 이게정답이죠
@wegf234
@wegf234 Жыл бұрын
@@user-rx8vf3tc2d 6천주면됩니다. 그럼 금방 구인됩니다.
@cryptosteveX
@cryptosteveX Жыл бұрын
@@user-rx8vf3tc2d 대기업 다녀보시면 아시겠지만 돈 주는 만큼 그 이상 굴려먹는 곳입니다. 성과 제대로 안나오면 갈굼 퇴사 압박 장난 아니고요. 연봉 높다고 좋아서 갔다가 그거 못버티고 그만두는게 통계상 30%가 넘는게 대기업이에요. 새로운 사람 데려오는데 연봉 더 주는게 싫으면 내부 직원들 연봉 올려주고 일을 더 시켜보는것도 방법이죠. 글고 나중에 채용 되는 사람일수록 채용 절차 까다롭고 검증된 사람이 들어옵니다. 당연히 연봉도 높을수밖에요. 두명분 연봉 줄테니 성과 두배로 내라고 하면 그렇게 할수 있는 사람 아무도 없습니다. 남이 연봉 초봉 더 받고 들어오는게 싫으면 본인도 연봉 더 많이주는 곳으로 이직 해야죠. 능력이 된다는 전제하에.
@highballmania
@highballmania Жыл бұрын
@@Baby_go_to_sleep 자본주의 원리는 일한만큼 돈 받는거고요 ㅋㅋ 연봉 1억 받으면 그 이상 회사에 갖다 줄 순 있으시고?
@TeshinDax
@TeshinDax Жыл бұрын
사람 구하기 힘들긴 개뿔 ㅋㅋ 지들이 원하는 열정페이 받고 일해줄 호구 구하기 힘든거겠지 ㅋㅋ 실업난 아직도 심각합니다 구인난은 안심각해요 사장 쟤네들 사람 가려 받습니다
@rockkim1250
@rockkim1250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qm7gi6gd8h
@user-qm7gi6gd8h 2 ай бұрын
ㅇㅈ
@COVID-china
@COVID-china 2 ай бұрын
지잡대 무스펙이면 열정페이 받아야지 ㅋㅋ
@user-tb7np8tv5h
@user-tb7np8tv5h 2 ай бұрын
실업난도 개소리인데? 능력은 ㅈ도 없으면서 쉬운 일에다가 급여는 많이 받고 싶은데 그렇게 안 해주니까 실업난이라고 징징대는거지 배운 것도 능력도 없으면 수준에 맞게 최저시급 받으면서 공돌이나 하면 돼 그런 일자리는 ㅈㄴ많아요
@TeshinDax
@TeshinDax 2 ай бұрын
@@user-tb7np8tv5h 뭔 개소리지 이건 ㅋㅋ 지금 구직인들이 역대 최다 고학력자 스팩에 역대 최다 대학 졸업자 들인데 서울대생도 편의점 하는 마당에 뭔 시대에 동떨어진 개소리를 지껄이고 있냐? 지가 부족한 찌질이라고 남들도 다 그런줄 아나보네ㅋㅋ
@user-wq9rc6rc4c
@user-wq9rc6rc4c 8 ай бұрын
조선업 쥰내 웃기네ㅋㅋㅋㅋㅋ 10년 20년 경력자도 최저시급으로 구인 하면서 인력 구인난이라고 하네ㅋㅋㅋㅋㅋ 진짜 개뻔뻔한놈들. 그 노동인력 전부 삼성 반도체공장 지으러 갔다. 코로나 불황기에 그렇게 구조조정하며 차갑게 내쫒을때는 언제고 이제와서 아쉬운척하네
@isfp1107
@isfp1107 2 ай бұрын
조선소갈빠엔 반도체 야가다뛰지
@user-ul6ji3us3e
@user-ul6ji3us3e Ай бұрын
조선소에서 최저시급은 진짜... ㅎㅎ 정신나간 거죠..ㅎㅎ
@San-check
@San-check Ай бұрын
최저시급은 하한선이고 그걸주라는게 아니잖아 최저시급 주면서 정당하다 생각하나…. 적어도 이 정돈 줘라 이건데 ㅋㅋㅋㅋㅋㅋ 진짜 멀었다 😂
@user-hc7wq4qt4y
@user-hc7wq4qt4y Ай бұрын
조선소 숙련공 최저시급. 후덜덜
@user-di2qg1bz6b
@user-di2qg1bz6b 14 күн бұрын
@@San-check 과거 호황일 땐 조선업은 엄청난 직업이었죠. 제일 1순위 직업 ㅋㅋㅋㅋㅋ 한순간 망하고 나서부턴 뭐... 어느 분들이 최저시급을 중요시하면서 기업에 방패를 만들어 준 부분도 있죠. 원래 최저시급이 중요한 게 아니었는데... 그걸 중요시 하면서부터 기업은 "최저시급만 지키면 되겠구나?" 하는 기준이 생겨버린 게 ㅋㅋㅋㅋ 거기다 조선업 하청은 포괄임금제부터 부셔버려야 하는 거죠.
@user-wn7iq2my6f
@user-wn7iq2my6f 9 ай бұрын
직원 월급주기도 빠듯하다는 사장님 자기 자식 벤츠는 바로 뽑아주시고…. 직원은 통근버스도 없고….
@gulgulriju
@gulgulriju 2 ай бұрын
꼬우면 너가 사장해..
@user-wn7iq2my6f
@user-wn7iq2my6f Ай бұрын
@@gulgulriju 안꼬우는데?
@gulgulriju
@gulgulriju Ай бұрын
@@user-wn7iq2my6f 그럼 시간팔이 로동자로 열심히 일해
@aesthetic682
@aesthetic682 Ай бұрын
​@@gulgulriju 느금
@aesthetic682
@aesthetic682 Ай бұрын
​좀 씻어라~
@user-wz9tq7pi7s
@user-wz9tq7pi7s Жыл бұрын
MZ세대란 표현부터가 오늘날의 젊은층이 안고 있는 문제를 제대로 보는 것을 가로막는 프레임이라고 생각합니다. 억지밈 이제는 그만둬야..
@user-lv3ep5ti7y
@user-lv3ep5ti7y Жыл бұрын
그렇게생각하나?? MZ니까 사고할 수 있는거고 MZ니까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Square2017
@Square2017 Жыл бұрын
기성세대라는 그 라인 말고 남은 세대를 묶고 싶어서 mz라고 한것 같은데 사실 폭이 너무 넓다고 생각합니다. 이 세대는 mz니까 이렇다 저렇다 라고 한정적으로 프레임에 가둘 필요도 없고.. 그저 지금 처해있는 상황이 예전에 비해 녹록치 않아서 더 기민하게 움직이고 머리를 골똘히 더 굴리는 중이라 생각됨.
@user-uh4kf4zq9k
@user-uh4kf4zq9k Жыл бұрын
맞아요 M이랑 Z로 나누면 모를까... MZ로 말하는거 자체가 아직 현실을 이해를 못하는 거임
@taekyuntimkim2698
@taekyuntimkim2698 Жыл бұрын
ㄹㅇ 개억지 우리 팀장님 82년생 흰머리 막나시는데 mz임ㅋㅋ
@user-cv7hz8pl4l
@user-cv7hz8pl4l Жыл бұрын
그냥 586들 지들 빼고 다 묶어서 mz라고 하는격 그래놓고 일부 사례 들고와서 mz세대 특징, 문제인 척함 괜히 그세대 소리 듣는게 아님
@shlim2306
@shlim2306 Жыл бұрын
구인란에 '석식 제공' 이게 문제라구요 사장님들
@ewp8092
@ewp8092 Жыл бұрын
😂😂
@MatthewKim-um6gb
@MatthewKim-um6gb Жыл бұрын
석식을 제공한다? -> 밥먹고 일을 한다.
@musicstart108
@musicstart108 Жыл бұрын
ㅋㅋㅋ 3식제공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Жыл бұрын
석식제공=저녁먹을때 쯤에 퇴근이 아니라 저녁먹고나서도 야근을 해야한다.
@user-dy2me8kk5c
@user-dy2me8kk5c Жыл бұрын
@@fortunation8487 그러니까 야근을 안시킨다는 말이 아니라 야근을 걱정하지 마라는 뜻으로 적어놓은것같네요.
@NamNam-mr3sq
@NamNam-mr3sq 9 ай бұрын
저는 호주에서 2020년 워킹홀리데이를 하고 2021년 코로나로인해 한국으로 귀국하였습니다. 1년동안 호주에서 느낀게, 직업에 대한 귀천이없는 인식 + 정해진 시간근무 + 노동력에 대한 정당한 보상 + 직장보다 가정이 우선시되는 문화. 우리나라도 이런 부분들중 최소한 2가지는 변화하여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호주에서 형광색 안전복입고 목수/배관공/건설쪽일을 해도 모두 만족하면서 다니는 이유도 위의 이유와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떻습니까? 지방에 중소기업들 보면 월200주면서 9시~오후6시이후까지 야근시켜버리고, 누가 청소일 하거나 건설쪽 일을 하러간다고 하면 노가다나 연민하게 바라보는 그런 시선들과 인식들. 하나하나 다바꿔야합니다. 고용노동부들 직원들이 일자리 창출해야하는일도있지만 어떤 직업이든 인식을 개선하는데도 집중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Coffee_Eclipse
@Coffee_Eclipse 8 ай бұрын
말씀 모두 맞습니다. 근데 이미 변화되긴 늦었습니다. 의료계, 법조계, 기업 엘리트라인 제외하면 능력껏 해외에서 사는게 갓생이라고 생각됩니다. 꼭 호주로 언젠가 다시 돌아갈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
@juliayang3879
@juliayang3879 8 ай бұрын
이 방송에서 서울에 있는 버거가게에서 주5일 일하면 240준다고 사장이 그러구만...지방 중소기업에서 월 200이요??? 지방이 물가가 조금 저렴하긴해도...월 200은 심하다...20년전에도 그정도는 했던거 같은데;;;;
@moooii
@moooii 8 ай бұрын
해외 문화를 찍먹한 사람들이 이렇게 무섭다. 직업에 따른 귀천을 따지는 문화는 서양이 훨씬 심합니다.
@luisc57911
@luisc57911 8 ай бұрын
호주도 대우가 안좋어서 스트라이크를 많이 해요..
@user-fe1jb7zn8w
@user-fe1jb7zn8w 8 ай бұрын
​@@juliayang3879근데 서울에서 주 5일 월 240이면.... 외식업치고 그렇게 많은 금액은 아닙니다. 요새 급여로 생각하면...
@user-yo2ke8rn4l
@user-yo2ke8rn4l 2 ай бұрын
"금액이 중요한거 같지 않아요" 라니요. 금액이 제일 중요합니다.
@gon882
@gon882 Жыл бұрын
너 아니어도 일할 사람은 많아 라는 기업, 조직의 문화 또한 한몫했다고 본다. 인적자원은 정말 소중히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함
@thecatboss9617
@thecatboss9617 Жыл бұрын
중소기업은 그동안 좋았지 그래도 회사 잘만 굴러가고 사장은 돈도 잘벌었으니
@0Bae
@0Bae Жыл бұрын
@ni Ma 뭔 소리야 영상 제대로 안보냐ㅡㅡ?
@user-rc2uv2pc5r
@user-rc2uv2pc5r Жыл бұрын
제조업 중소기업들 특히 수도권 아닌곳은 대부분 외노자들 대부분이고 서울권은 솔까 사람 넘친다.. 한두달하고 사람들 물갈이 되는건 어쩔수 없는 현상. 사람들 금방 뽑음
@userganada
@userganada Жыл бұрын
너 아니여도 일할사람 많아 ㅋㅋ 이게 영국에서 하던짓 그래서 인구 80%가 빈곤으로 굶던 나라 ~ 즉,,최소한의 법이 없으면 공산국가보다 더 악날한게 자본주의국가임 공산주의는 다같이 공동분배로 망한거지만,,,(서방 견제받고 망함 ㅋ ) 자본주의는 소수빼고 다같이 망하는거 그래서 극단적인 주의는 좋은게 아님 가장 극단에 서있는게 자본주의 나라 세계대전 일어났는데도 교육을 안하니 전세계 국민들이 모름 자본주의가 얼마나 무서운지를
@hayden_song
@hayden_song Жыл бұрын
조선업 기술자들 짤리는거 보고 항공이나 반도체 쪽으로 다 간거죠 다시 호황이어도 사람들이 안가는 이유가 있습니다
@user-te8gy1mt8w
@user-te8gy1mt8w Жыл бұрын
1. 열심히 살아야 할 이유가 없어졌다. 2. 이 돈에 이런 스트레스를 받으며 일할 이유가 없다 3. 회사에 충성하면 호구 취급한다
@user-fs4hc9qt3n
@user-fs4hc9qt3n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mv6xi6xr9c
@user-mv6xi6xr9c Жыл бұрын
정답2
@user-np8dt5jo3x
@user-np8dt5jo3x Жыл бұрын
정답3
@gamsachung8346
@gamsachung8346 Жыл бұрын
편한 인생이지... 세상이 바뀜 ^^ 그래도 난 옛날이 그립네 뭐든지 열심히 그냥 했지
@user-wd1qj6rv3f
@user-wd1qj6rv3f Жыл бұрын
@@gamsachung8346 지금은 그냥열심히만 하면 망함 예전이야 발전하던때니고 뭐든 할만한게 넘치던때니까 그냥 아무생각없이 열심히와 조금의 노력과 생각만하면 돈벌었으니까
@MrMiki4720
@MrMiki4720 8 ай бұрын
솔찍히 요즘 MZ 생각이 맞는 거다.... 안되는건 안되는 거다... 오래 버티다가 결국 오래 가지 못한다... 그럴바에 다른 곳으로 가는 것이 맞는 거다... 평생직장이 어디 있냐~
@dreamworks613
@dreamworks613 11 ай бұрын
타 선진국들에 비해 직업 자부심이 다양하지 않은 것 같아요. 제조업이든 사무직이든 교육을 하든 청소를 하든 식당에서 일을 하든.. 각자의 일에 자부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과 사회 인식이 만들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려면 기본적인 노동자에 대한 처우가 개선되어야겠죠?
@DeokMan
@DeokMan 11 ай бұрын
자본가들이 자기 살 깎아먹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매슬로우의 욕구 피라미드 맨 첫 두 단계가 생리적 욕구, 두번째가 안전의 욕구인데 자본주의 사회에서 생존(생리+안전)은 곧 "생계", "충분한 급여" 그 자체고 일단 그것부터 충족이 안 되는데 직업에 무슨 자부심(마지막 4,5단계)을 찾고 뭐하고 하겠어요.. 과노동은 건강을 해치니 일하는 시간 역시 줄여야 맞겠고 그러려면 1인당 해야하는 업무의 양을 줄여야하기도 하겠네요.
@user-pd5tx3jz5g
@user-pd5tx3jz5g 10 ай бұрын
처우ㅋㅋ 그러게 올인을외한거지? 니이미지탈환할라거그런거아님;?ㅋㅋ 난이미지그딴거필업는데 니가드와가지고 무단침입하니까 빡쳐서 치료.라도한거지? ㅎㅎ
@user-nq9zr4jo6x
@user-nq9zr4jo6x 10 ай бұрын
@@user-pd5tx3jz5g 조현병이야?
@jmybeerlao6564
@jmybeerlao6564 9 ай бұрын
@@user-pd5tx3jz5g 뭐라는거야 울지말고 알아들을 수 있게 천천히 또박또박 다시 얘기해봐
@LA_NY
@LA_NY 9 ай бұрын
@@user-pd5tx3jz5g아프면 병원을 가자
@jeonghoonkim8799
@jeonghoonkim8799 Жыл бұрын
이건 시대적 흐름에 영향이 가장 큰것도 있겠지만 기업이 갑인 시절에 사람들 부품으로 써먹던 업보도 한몫했다는데 저도 공감합니다. 요즘 세대들은 부모님들이 그렇게 개인의 삶을 희생하면서 살아온걸 두눈으로 목격했는데 그걸 반복할리가 없다고 생각함
@chihuahua70
@chihuahua70 Жыл бұрын
회사입장에서 외노자 뽑으면 그만 ㅋㅋ 저출산이라 동남아, 중국인 많이 유입됨 갑인 건 변하지 않음
@shw5670
@shw5670 Жыл бұрын
@@chihuahua70 옛날에야 외노자로 대체가 가능했지.. 지금은 외노자도 능력이 되는 사장이 있는 회사들 한에서나 가능하지. 문제는 그럴 능력이 되는 사장들의 백명 중 99명은 압도적인 대기업쪽 오너들이 라서 이도 저도 안되는 회사들은 외노자 구하는 것도 절대 쉽지 않다는거 ㅋㅋㅋ 공교롭게도 한국의 99.9999% 중소기업들은 전형적인 후자에 해당되며, 코로나로 인해 오히려 외노자 공급차단에 쐐기 가 박힌게 지금 상황이라 옛날과는 한~~참 다르다는게 ㄹㅇㅍㅌ라는거^^
@shw5670
@shw5670 Жыл бұрын
@@chihuahua70 뭐 코로나 터지기 전엔 님말처럼 "너말고도 일할 사람 많다"라고 갑질할 순 있어도 코로 나가 할퀴고 간 이상 이젠 외노자 공급도 제대로 못함ㅋㅋㅋㅋㅋ 더이상 갑질을 할 수 있는 시대가 아 니란거지. 펜데믹 전과 달리 이젠 외노자 구하는 것 조차도 말처럼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님. 님말처럼 간단하게 해결될 문제였음 걍 국회선에서 해결 될테고 언론에서 이렇게 길게 찍지도 않았을테지.
@kbh0322
@kbh0322 Жыл бұрын
@@hsyoon6955 요즘 외노자들도 급여 많이 주는 나라 순으로 가지 한국 같이 살기 힘든 나라는 안옵니다. 괜히 외국 이민 가정들을 포함해도 출산률 0.n대를 기록하는게 이유 없는게 아님
@user-MB-18-NOM
@user-MB-18-NOM Жыл бұрын
@@chihuahua70 너 모지리냐?? 삼성 현대 등등 대기업 미국으로 공장 옴기는거 봤지?? 어차피 미국 유럽으로 공장 옴길껀데 니나 나자식이 일할 자리는 없어 ㅋㅋㅋㅋ 외노자 같은소리 하고 있네 ㅋㅋㅋㅋㅋ 너나 니자식들 외국가서 일해야 현대 삼성 가서 일할수 있어 ㅋㅋㅋㅋ
@lattevanilla3058
@lattevanilla3058 Жыл бұрын
1. 야근을 시키지 마라. 부득이하게 야근을 시킨다면 당연하게도 야간 수당 제대로 챙겨줘라. (포괄임금제 당장 없에라). 2. 강제로 회식 분위기 만들지 마라. 제발 퇴근하면 집 가서 가정이나 지키고 가고 싶은 사람들끼리 가게끔 제발 놔둬라. 3. 화이트칼라, 블루칼라 급 나누지마라. 화이트칼라들이 영업을 하면 블루칼라는 그걸 만들어서 준다. 서로가 서로가 없으면 회사가 안 돌아가는데 대체 왜 급을 나누냐 4. 아웃소싱 없에라. 이번 대우조선해양 파업 당시 노동자들 월급보고 진짜 이게 2022년 한국이 맞나 싶더라. 누가 최저시급 받아가메 그 더러운 공기 마셔가며 용접질 하겠냐. 월급 주면 수수료 명목으로 다 떼가는게 말이냐? 5. 위험하고 어려운 현장직일수록 더 챙겨줘라. 안전용품을 사비로 들여서 해야하는게 이게 미친짓이지. 특히 마스크 좀 두꺼운거 줘라. 일반 황사마스크 쓰고 용접하는 분들 보면 너무 안타까울 지경이다. 6. 그 어떤 정부도 일자리를 지방으로 내려보낼 생각을 한 정부가 없다. 산업은행 부산 내려보낸다 할 때 반대하던 놈들이 훨씬 많다는 거 보면 지방 소멸은 이제 기정사실이다. 7. 일과 관련 된 거 대화 아니면 사생활 묻지도 알려고 하지도 마라. 특히 골프얘기, 낚시얘기 진절머리 난다 8. 90~00년대 경제 성장시긴 사실 끝났다. 사람을 소모품마냥 쓸려고 하지마라. 최저시급 = 최대시급으로 생각하는 사장들 대가리 다 뿌수고 싶다.
@user-yr6pi2ng1m
@user-yr6pi2ng1m Жыл бұрын
하나하나 다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저도 나이가 50대 초반이고 나름 안정된 공공기관에서 20년 정도 근무했지만 이제 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돈이 전부가 아닙니다 저도 나이가 있지만 같은 나이대 사람들과 얘기해보면 10에 8~9은 대화가 안되는 사람들이 많아요 변해야합니다 변하지 않으면 도태되거나 퇴보합니다
@dodododo-ff3yj
@dodododo-ff3yj Жыл бұрын
한잘알 ㅋㅋ 왜 헬조선인데
@cindypark08
@cindypark08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는 맞지만. . 다해당 되려면 여유 있는 대기업 가시는게 낫겠네요. 아니시면 창업하셔서 그런회사를 만드세요.
@user-dr7ob7we6l
@user-dr7ob7we6l Жыл бұрын
ㄹㅇ 포괄임금ㅋㅋㅋ 대겹도 ㅇㅈㄹ 하니까 개같음
@sirakdo2293
@sirakdo2293 Жыл бұрын
한 돈천만원 올려줘봐라 누가 안하려고 하냐 ㅋㅋ 월급은 그대로지 물가는 미친듯이 올랐지 20~30년전 공장에서 일해도 4인가족이 최소 먹고는 살았다 근데 이제 공장이나 제조업으로 외벌이 절대 안된다 ㅋㅋㅋ 복지가 다른게 아니고 돈&근무시간 이 2개도 못지키는데 무슨 복지????
@user-fl1jn4sq2l
@user-fl1jn4sq2l Жыл бұрын
사회 초년생 시절이 벌써 17년 전이네요.. 당시는 사회생활이 무조건 열심히 모욕도 참고 그렇게 월급을 받는게 당연한줄 알았는데.. 결국 남의 돈 벌어주는 것밖에 안되더군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는게 역시 좋은것 같네요. 월급의 노예는 하지마시길..
@user-hb6jc2sq7z
@user-hb6jc2sq7z 6 ай бұрын
28:30 이렇게 생각하시는걸 고치지 않으신다면 계속 사람 구하긴 어려울겁니다… 최저시급과 주52시간은 생계를 유지하는 것과 노동자 보호를 위한 것이지 기업이 돈을 아끼라고 나온 제도가 아니거든요..
@stillliving512
@stillliving512 Жыл бұрын
내나이 50이 넘었다.. 난 대학졸업하고 정말어렵게 취직했을때.. 군대처럼 집합이 있었다.. 군대처럼 건물뒷편 어쓱한곳에서 열중셔 자세로 훈계소리듣고 심지어 따귀를 맞았어도 오히려 정말 반성많이 했다.. 다음엔 꼭 선배님들 맘에 들고싶어서 밤낮없이 일했고.. 집에와서도 애들씻기고 새벽늦게 까지 업무 공부하고.. 코피흘려가며 졸음운전으로 출근했다.. IMF시기여서 신입사원을 안뽑아 4년을 후임없이 막내로 화장실청소부터 쓰레기..환경미화는 내차지였지.. 그땐 토욜도 종일근무라 일욜하루 쉬는데 그날은 온종일 아이들 2명을 봐야했다.. 전업주부인 와이프와는 부부관계가 없어진지 오래고.. 그냥 애들 아빠..엄마로 사는게 인생인줄 알았다. 그렇게 사는것이 아빠된 도리인줄 알았고..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했다.. 내 아버지는 또 엄하셔서 제사.. 시골의 농촌일.. 휴가때나 일욜은 수시로 불려나녔다.. 결혼을 해서 애가 있어도.. 아버지는 늘 무서웠다.. 돌이켜보면.. 내 자신의 행복이 뭔지도 모르고 살아왔던 지난날이 너무 불쌍하다싶다.. 자유롭게 살아갈려고 하는 지금 세대가 마냥 부럽다... 딸이 27, 아들이 25이다.. 그래 너희들은 꼭 행복하길 바란다.. 한번뿐인 삶.. 너희 뜻대로 살아가길..
@user-si8nt1dy5c
@user-si8nt1dy5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aewoojung1322
@jaewoojung1322 Жыл бұрын
노예가 노예로서의 삶에 너무 익숙해지면 놀랍게도 자신의 다리에 묶여있는 쇠사슬을 서로 자랑하기 시작한다. 어느 쪽의 쇠사슬이 빛나는가, 더 무거운가 등. 그리고 쇠사슬에 묶여있지 않은 자유인을 비웃기까지 한다. 하지만 노예들을 묶고 있는 것은 사실 한 줄의 쇠사슬에 불과하다. 그리고 노예는 어디까지나 노예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의 노예는, 자유인이 힘에 의해서 정복하여 어쩔 수 없이 노예가 되어버렸다. 그들은 일부 특혜를 받거나 한 자를 제외하면 노예가 되더라도 결코 그 정신의 자유까지도 양도하지는 않았다. 그 혈통을 자랑하고 선조들이 구축한 문명의 위대함을 잊지 않은 채, 빈틈만 생기면 도망쳤다. 혹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노동으로 단련된 강인한 육체로 살찐 주인을 희생의 제물로 삼았다. 그러나 현대의 노예는, 스스로 노예의 옷을 입고 목에 굴욕의 끈을 휘감는다. 그리고 무엇보다 놀랍게도, 현대의 노예는 스스로가 노예라는 자각이 없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노예인 것을 스스로의 유일한 자랑거리로 삼기까지 한다 ...
@okugo4212
@okugo4212 Жыл бұрын
mz라고 하는 자녀세대들이 결코 참을성 없어서가 아니라 님과 같은 헌신과 희생의 모습을 보며 자랐기에 이 영상처럼의 세태가 된 것 같습니다. 꼰대취급받는 사람들도 있는가 하면 그중에서도 님과 같은 분들이 있었기에 이렇게 조금씩 변화해 가는것 같습니다. 현재는 공허함과 후회 등의 감정이 크시겠지만.. 사회가 조금씩이나마 선진적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난 시간동안 나름의 안내자 역할이 되어주신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중요한건 영상 마지막처럼 뒷세대 역시 전세대의 안좋은 점을 닮지 않도록 되어야 선진적으로 나아갈 희망이 생기는 거겠죠.. 지난 세월 버텨오시느라 고생 많으셨고 앞으로는 빛을 보시길 바랄게요
@GoooRm
@GoooRm Жыл бұрын
형님도 행복하세요
@user-ci6xb3gs6p
@user-ci6xb3gs6p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좋은 이런 말씀 감사합니다
@rororo7057
@rororo7057 Жыл бұрын
1. 진짜 좋은 직장이면 아는 동기 후배라도 추천해서 채워줌 ( 사람 모자를일 없음) 2. 진짜 좋은 직장이면 퇴직안함 ( 더 나은 직장이 없을텐데 왜 퇴직하겠음?)
@user-xn6fc1iz5x
@user-xn6fc1iz5x Жыл бұрын
맞는 말. 좋은 직장이면 채용지원자가 넘쳐남 지들이 개똥밭 만들어놓고 사람들한테 구르세요! 하면 누가 오겠음? ㅋㅋㅋ 진짜 한국 개좆소들은 빚더미 파멸엔딩을 좀 맞아야함. 요즘 ESG경영으로 대기업이 하청단가 후려치는것도 엄청 줄었는데 오히려 개좆소끼리 카르텔짜고 후려치는게 훨씬 심각함
@youtoo_metoo
@youtoo_metoo Жыл бұрын
ㅋㅋㄹㅇ
@user-re8qi9st9q
@user-re8qi9st9q Жыл бұрын
명답이신듯!!! 좋은 회사면 누가 퇴사하고 누가 안오려고함
@user-me2pb5jw4s
@user-me2pb5jw4s Жыл бұрын
ㄹㅇ.. 돈은 주기싫고 사람은 쓰고싶고 .. ㅋㅋㅋ 에라이 못 줄 능력이면 걍 망해라
@jinwookim5591
@jinwookim5591 Жыл бұрын
당신이 말하는 좋은 직장은 지인에게 추천해서 채워준다는 황망한 얘기 이전에 누구나 못들어가는 높은 입사경쟁률이 있겠죠.
@user-me4ng6il3e
@user-me4ng6il3e 2 ай бұрын
어휴 연봉 2400~2600주면서 인서울대졸,토익 900이상, 경력 2년이상 구하면서 포괄암금제라고 야근수당 없이 겁나 부려먹고,,,밥값만 만오천원인 시대에 누가 그렇게 일하고 싶어합니까..안 구해지는건 아유가 있는거에요
@user-zf1zr1yb6l
@user-zf1zr1yb6l 5 күн бұрын
연봉 24 26백 주면서 그스펙 오청하는데 있으면 좌표점 찍어봐바
@user-sj9sz7hu7y
@user-sj9sz7hu7y Күн бұрын
​@@user-zf1zr1yb6l진짜 있다니까? 궁금하면 니가 직접찾아보던가
@user-to1wu5ii2b
@user-to1wu5ii2b 6 ай бұрын
사람 사이에 스트레스만 적어져도 퇴사율 확!!!!! 낮아진다. 진짜 모든 스트레스의 근원은 사람임. 일은 힘들어도 사람이 괜찮으면 버틸만 한데, 그 반대는 레알 힘들다. 바뀔거라는 희망이 없거든. 물론 내가 문제일수도 있겠지만,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직장 상사를 성과라는 명목으로 끝까지 안고 가는 회사가 문제임.
@ginoyoon
@ginoyoon Жыл бұрын
언제든 짜를수 있는 '계약직'이라는 시스템이 부메랑이되어 돌아왔다. 애사심은 없어지고, 회사가 나를 언제든 짜를수 있다면 나 또한 언제든 회사를 버릴수 있다. 그런 생각인것이다!
@seonjunmoon2024
@seonjunmoon2024 Жыл бұрын
오늘 부사장이 입사 신입들 밥먹자고 밥먹는데 절대 이해를 못하긴 하더라고요 MZ 세대를 ㅎㅎ... 평생 몸 바쳐서 일한 회사는 내것이 아닌 이상 힘들다는 이유로 해고당하는 것을 어릴때부터 너무 흔하게 봐왔고, 내가 이제 일을 할 때 열심히 해볼까 해서 야근을 해도 포괄 연봉제라는 틀 안에 보상은 없으며, 인건비가 비싸다며 해외 인력을 생각하고 있는데... 충성하는게 진짜 x신 호구 아닌가 생각이 든다. 좀만 생각해보면 성인이라면 어떤 것이 내 살길인지 알텐데 말이다.
@user-mb9yd4yq1u
@user-mb9yd4yq1u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웃긴게 그거 없앨려고 정규직으로 갈려면 기존 사람들이 문제가 되서 일정기간 좀 서로 체계가 변할때까지 봐야 하는게 있는데 정규직 제일 반대한 세대도 MZ 세대라서 ㅎㅎ. 지금이 힘들기도 한시대지만(그런데 원래 현재가 제일 힘들죠) 한국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대이기도 하죠. 사실 일 가르쳐줄려고 하면 궁시렁 대기도 하고 해서 그냥 두니까 편하긴 해요. 가끔 갑사에 가면 젊은 꼰대들이 많기도하지만.
@user-qm1zz6iq5n
@user-qm1zz6iq5n Жыл бұрын
근데 그런건 있음 이놈 정말 쓸만한 놈이다 하면 계속 데리고 감 이놈한테 맡겨야 일이 잘되는데 그놈 데려가야지 회사는 쓸만한 놈이면 씀 그리고 그렇게 해서 쓰여지는 사람들은 애사심이 높음 쓸만한 놈을 회사 차원에서 당연히 그만큼에 대우를 해줘야 하니까
@user-gf4pw4ov1b
@user-gf4pw4ov1b Жыл бұрын
난 반대로 정규직을 다 없애고 전부 계약직으로 했으면 좋겠는데, 그래야 윗대가리들도 지들 잘릴위험 때메 일하고, 회사도 사람 뽑을때 더 여유있겠지
@user-zi5nf3mw5k
@user-zi5nf3mw5k Жыл бұрын
곧 닥치는 1.2차인구절벽 쓰나미가 오면 정신차리려나 . ㅡ아직도 갑질고용주 널렸습니다
@user-ge6ud4ef1g
@user-ge6ud4ef1g Жыл бұрын
이상한 복지보다는 적당한 근무시간과 적정한 임금이나 제대로 해주는게 복지다.
@naver199
@naver199 Жыл бұрын
과로사 할때까지 부려먹는게 현실
@wret84rt64ht
@wret84rt64ht Жыл бұрын
여기 나온세ㅔㅔㅔ끼덜 다 인생의 실패자 새ㅔㅔㅔㅔㅔ끼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ㅣ휴 ㅉㅉㅉ 부모가 불쌍타 ㅉ
@bgy2926
@bgy2926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연봉만확실하게 몇백올려주면 그게 이상한복지보다 훨남
@sogogi29
@sogogi29 Жыл бұрын
@@bgy2926 연봉이랑 근무시간 둘다 중요해서 걍 연봉만 올린다고 다가 아님 왜 대기업 하다가 때리치겠슴...
@bgy2926
@bgy2926 Жыл бұрын
@@sogogi29 네중요하죠 근데 저기에나오는 이상한복지보단 낫다는겁니다!
@user-nu7be1ee5t
@user-nu7be1ee5t 11 ай бұрын
왜 꼭 젊어야만 하죠?어린것들은 1년 ++하고 다 그만두는데..나이 많은 사람들도 고용하세요..그들은 그것이 인생의 마지막 일이기 때문에 그만두지 않고 끝까지 합니다.나이 많다고 이력서 읽지도 않고 버려버리는건 좋은 아이디어가 아닙니다
@user-fp2ml9wz6v
@user-fp2ml9wz6v 11 ай бұрын
회사 상사의 모습을 보고 저분들이 나의 미래라고 생각이드는순간 퇴사를 향한 나의 생각이 확고해진다.
@user-rb6rj7vw7s
@user-rb6rj7vw7s 2 ай бұрын
같은 생각을 하는 1인으로서 가슴이 웅장해진다..
@shinee0519
@shinee0519 Ай бұрын
제가 이래서 퇴사했네요..그렇게 살고싶지않아서ㅠ심지어 그게 업계에서 괜찮은편이란거....
@user-oh3ol5zq6h
@user-oh3ol5zq6h Жыл бұрын
제가느낀바로는 일이힘들어서못버티는걸로퇴사하는것보다 사람을못버텨서 퇴사하는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먼저자리잡은 꼰대텃새부리는 사람들때문에 못버텨요 결론. 사람이문제다
@user-en4sd8jm7b
@user-en4sd8jm7b Жыл бұрын
ㅇㅈ
@Asdopi574ghjj
@Asdopi574ghjj Жыл бұрын
ㅇㅈ
@user-qc2my1oz2n
@user-qc2my1oz2n Жыл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입니다
@user-vt7yn8td8g
@user-vt7yn8td8g Жыл бұрын
일안하면서 존나 잔소리하고 스트레스만주는 뒷방늙은이들이 문제임
@selena-rq9pv
@selena-rq9pv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주위 칭구들 다들 사람때문에 힘들어함ㅠㅠ
@user-oo4wj2vv3f
@user-oo4wj2vv3f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 책임감 없게 그린 감이 있기 한거 같네요. 가만히 있다가 갑자기 퇴사하는게 아니라 비정상적인 일을 겪고 나갈 결심을 하는 거에요. 책임감이 없는 게 아니라 이제야 좀 정상이 되는 거 같습니다. 퇴사의 무게요? 퇴사하는 마음은 가벼울 것 같나요...? 퇴사의 무게를 생각하는게 아니라 버틸 수 없어서 나가는 겁니다.
@user-en4sd8jm7b
@user-en4sd8jm7b Жыл бұрын
공감..
@user-sf6lj6dh9r
@user-sf6lj6dh9r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maum4893
@maum4893 Жыл бұрын
전 희생정신으로 산 40대요. 책임감을 어느 관점으로 볼건지인데~ 요즘은 자기자신의 몸과감정 사랑하는 책임영역이 높아요~ 일과 가정영역의 책임감 말고요. 현명한듯요. 어차피 죽을거 즐겁게 살다가는게 좋지요. 양쪽 균형맞추어서요. 잘 되겠지요~난 고민포기!!세상의 이치에 맡기자. 맡길래요
@ssunny100
@ssunny100 11 ай бұрын
우리 때 보다 책임감 인내심 끈기가 부족해서 잦은 퇴사를 한다고만 생각했었는데 여러 회사에서 여러가지 일을 접하면서 나와 맞는 일과 회사를 찾는 요즘 세대들이 틀린 것 만은 아니고 부럽기까지 하네요..
@sumbimil
@sumbimil 13 күн бұрын
똑똑해진거죠
@professional4
@professional4 Жыл бұрын
캬 52시간 제한해서란다 ㅋㅋㅋㅋㅋㅋ 52시간도 하기 싫은데 ㅋㅋㅋㅋㅋㅋ 무슨 일을 더 못해서 안달란줄아나봐ㅋㅋㅋ어이가 없다ㅋㅋㅋ내인생의 하루시간의 8시간을 쓰는건데 잠자는시간빼고 나의 개인시간 생각해봐라 ㅋㅋㅋ 나도 좀 놀자 갸새끼들아 니들만 직원들 일시키고 쳐 놀지말고 이런생각이 더 크지 않나??
@underclass8558
@underclass8558 Жыл бұрын
갑부가 될 사람들은 오히려 52시간제때문에 오히려 돈을 더 못벌어 발목잡히지요 ㅋㅋ 저축하는 돈이 많아야 투자수익금도 많아지는건데 52시간때문에 돈을 더 못버네
@user-tt3bt9zn9c
@user-tt3bt9zn9c Жыл бұрын
마니마니 노셈 안말림
@ji0e
@ji0e Жыл бұрын
오래일 할 사람 찾으면서도 정규직은 안뽑더라ㅋㅋㅋ복지, 높은 연봉은 주기 싫은거지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Жыл бұрын
단기 알바로 우리가 필요할 때까지는 오래 쓰다가 가차 없이 정리하기! 4대 보험 해주는 게 어디노 한다
@lsrhaus
@lsrhaus Жыл бұрын
그냥 처 망하던가 노동자들 졸라 대우 해주던지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Жыл бұрын
@@lsrhaus 코로나 끝나면 외노자 또 수백만명 데려올듯
@isabeldejay2212
@isabeldejay2212 Жыл бұрын
사람을 사람이 아닌 볼트 너트로 보는 한 이 나라에 미래가 있을까 싶어요
@user-kg4mi2zp9w
@user-kg4mi2zp9w Жыл бұрын
응 근데 니가 ㅈㄴ 괜찮은사람이면 회사에서 복지,높은 연봉 줌 ㅋㅋㅋㅋㅋㅋ 결론은 니 스펙이 후짐
@jonahthewhale166
@jonahthewhale166 Жыл бұрын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모두들 고생하신만큼 많은걸 배우고 느끼셨기를 바랍니다. 회사를 위함이 아닌 본인을 위한 삶을 사시고, 그 고생한 시간들이 헛되지 않게 뚜벅 뚜벅 걸어 나가셨으면 합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응원합니다.
@Happymoon09
@Happymoon09 11 ай бұрын
뚜벅뚜벅
@user-pd5tx3jz5g
@user-pd5tx3jz5g 10 ай бұрын
@user-uk4tn8lz8z
@user-uk4tn8lz8z 7 ай бұрын
🎉
@familiala7280
@familiala7280 6 ай бұрын
586이 박살낸 세상
@user-ib9gw5lh8w
@user-ib9gw5lh8w 11 ай бұрын
와 못믿겠다.. 말도안돼 사람이 부족하다니 구직하기 얼마나 힘들었는데....
@user-wv7oo5kc6u
@user-wv7oo5kc6u Жыл бұрын
회사다니면서 젤힘들고 ㅈ같은게 업무량 많은게 아니에요 사람이에요 사람.. 돈적게 받더라도 그냥 혼자 일하는게 났지 위에 꼰대 비위맞춰가면서 일하는게 체력소모가 더큰것같아요 능력만있으면 프리랜서 재택근무 할수 병행할수 있는 회사가 젤좋은것같아요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user-kq6vt2bt8m 충분히 그럴만 하다 싶음.
@user-ss4ed3pd6k
@user-ss4ed3pd6k Жыл бұрын
ㅇㅈ. 케바케 사바사라서 어디는 사람이 문제고 어디는 급여가 문제이다만, 사람이 문제라서 그런 경우가 조금 더 많은 듯요
@user-xx3wp5de5h
@user-xx3wp5de5h Жыл бұрын
나도...알아서 하는데 왜 자꾸 건드리는지
@user-wv7oo5kc6u
@user-wv7oo5kc6u Жыл бұрын
@@iii80632gdaaybvxdhj 님이 능력이 없는거라고 생각하세요...능력없으시면 직장들어가시고요
@user-ju8fj7xd4g
@user-ju8fj7xd4g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물류 일이 편하구나
@user-fc2pp7qv8i
@user-fc2pp7qv8i Жыл бұрын
회사특 1. 신입 뽑으면서 익숙하고 해당분야를 잘 다루길 바람 2. ㅈ도 없는 애들이 항상 면접을 봄... 그런애들이 자기 자리 위협받아서 너무 뛰어나도 안된다고 함 3. 일 할 사람이 없는게 아니라 회사가 월급이 높아지니까 원하는게 ㅈ나 많아짐 4. 대부분의 회사는 박봉에 일은 ㅈ나 많으니까 사람들이 들어왔다 나가지 5. 알바 최저임금이 많이올라서 굳이 일 ㅈ나 해야되면서 밤새 일하는거보다 알바 시간 딱딱 맞게 퇴근하고 출근하고 하는게 어차피 버는돈 비슷하고 자기 시간이 더 많이 생김
@yjkang11
@yjkang11 Жыл бұрын
2번이 진짜 개ㅈ같은거음 발전이없어발전이
@coolcase80
@coolcase80 11 ай бұрын
34:40 인정, 보람과 성취, 이런 것들이 동반되어야 일을 오래하는것에 굉장히 공감합니다. 공항 관제사로 일하고 있는데 보람도 되고 안전하게 하늘길 교통정리하는 이 일이 성취감도 있지만 인정을 받지 못하는 현 조직에 이젠 미련이 남지 않네요. 삼박자가 맞아야한다 생각합니다.
@user-yv5em1bp3i
@user-yv5em1bp3i 11 ай бұрын
관제사 너무 멋저요
@aiii233
@aiii233 3 ай бұрын
관제사.. 소방관과 더불어 멋잇는건 투탑이라고 생각하는데
@jrhee1037
@jrhee1037 9 ай бұрын
기업에선 일이 잘 안맞아서 일주일도 못넘겨 퇴사한다고 생각하는데... 일이 안 맞아서가 아니라 회사의 체계, 스타일이 안맞아서 그만둔건 생각을 하고 있는건지.. 꼰대문화를 없애야 함.. 회사가 갑이었던 시대는 지나고 근로자가 갑이고 회사가 을인 시대임
@qjjdfododnnss8281
@qjjdfododnnss8281 9 ай бұрын
지금 제가 그렇습니다..
@uncledrew8521
@uncledrew8521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인구 많을때 사람을 헐값으로 쓰던 관성으로 지금까지 왔는데 점점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데 진짜 사람 귀한줄 알아야 변한다
@user-hf7wx7xb7x
@user-hf7wx7xb7x Жыл бұрын
제가 생각하는 .. 사람못구하는 원인은 이부분 때문인 것 같습니다.. 인간을 인간으로 대하지 않은 결과가 이제 시작된 거라 생각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 더 더 더... 심각해져서 사회전체가 혼란에 빠지는 정도까지 왔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 무언가 나라가 크게 바뀔듯 합니다.
@user-wu6ng6su1r
@user-wu6ng6su1r Жыл бұрын
일본을 보면 알 수 있죠 사람 모셔가는 수준
@fair-korea
@fair-korea Жыл бұрын
맞아요! MZ 세대는 지금껏 대한민국이 보지 못한 위대한 세대이지요! 꼰대들이나 능력 없으니 참고 회사 다녔지요. 지금 MZ 세대들은 한명 한명 너무나도 다들 능력이 뛰어나다는! 모든 회사 대기업 같은 대우 못해줄것이면 사람 뽑지도 말라! 개나소나 사장, 대표 ㅋㅋ
@user-bl3ku2kp7f
@user-bl3ku2kp7f Жыл бұрын
@@user-hf7wx7xb7x 그러기전에 빈자리는 외노자들이 차지할듯싶습니다.
@user-zv1vb8fk4q
@user-zv1vb8fk4q Жыл бұрын
능력껏 대우받는거죠ㅎ
@_ChrisEvans
@_ChrisEvans Жыл бұрын
뭐 사람이 안구해지는건 그렇다치는데, 있던직원도 머무르려 하지않는다는건 과연 그게 2030세대의 문제일까요 아니면 회사의 문제일까아아아요~? 답을 알고싶으면 직접 다녀보면됩니다~
@fungame9364
@fungame9364 Жыл бұрын
ㅋㅋ 저도 이생각했어요
@user-zo5yb9bv5s
@user-zo5yb9bv5s Жыл бұрын
앞으로더 심해질거임ㅋㅋㅋㅋ 인구가 10년단위로 거의 반값으로 주는대다가 부모들도 다들 돈이많아서 예전처럼 20대들이 치열하게할려고 안함 작년 가초학력 미달도 10년전에비해 2배로늘었고
@bravebrowsec871
@bravebrowsec871 Жыл бұрын
좋은 회사는 퇴사 하라고 해도 안하고 퇴사 당하면 복직투쟁함
@sungwook
@sungwook Жыл бұрын
그런 회사를 다니는 본인의 능력 부족은 절대로 아니겠지~?
@_ChrisEvans
@_ChrisEvans Жыл бұрын
@@sungwook 본인의 능력부족도 맞겠죠^^ 그 능력만치도 못한곳이니까 나오는거구요^^
@qrqrqrq214
@qrqrqrq214 8 ай бұрын
애들이 똑똑해진거죠/ 내가 중요하지 . 내가
@hopak9701
@hopak9701 11 ай бұрын
후반부에 퇴사하고 주체적으로 창업하고 다른일 하시는 분들은 정말 대단하신분들인거같음....
@voiceofwind6588
@voiceofwind6588 Жыл бұрын
요즘 2, 30대들이 엄청 현명해져서 그래. 어차피 회사 노예되봐야 월급은 쥐꼬리에 발전도 없고 나이만 먹고 쓰임이 다하면 나가리 되고 토사구팽 당하는데 한살이라도 더 젊을 때 비전 있고 가치 있는 일, 적어도 내가 좋아할 수 있는 일에 빨리 뛰어들어야지. 허드렛일? 3d업종? 이딴건 그냥 당장 굶어 죽지 않으려고 생활비 버는거 아니면 정말 시간 낭비, 인생 낭비다.
@user-xc9fn5yq1s
@user-xc9fn5yq1s Жыл бұрын
ㅇㅈ 현명해져서... 너말고도 일할사람 많다는 이딴소리하는 하는 꼰대 회사는 미래가 없어서 시간투자하면 나중에 ㅈ망각인거 다 알고있음
@inevitableiam6506
@inevitableiam6506 Жыл бұрын
포괄임금제라는 쓰레기제도만 폐지해도 많이 개선될거라 생각합니다. 정해진 시간 외에 업무시킨만큼 수당을 일일이 지불해야한다면 아마 대표들이 알아서 일안시키고 정시퇴근 시킬겁니다. 자저분하게 무급노동을 강요하는 몰상식한 인간들때문에 청년들이 중소기업을 기피하게 되는거죠
@user-fx5wo2ix7x
@user-fx5wo2ix7x Жыл бұрын
포괄임금제 댓글 찾고 있었어요
@oo8723
@oo8723 Жыл бұрын
포괄임금제 ㄹㅇ 포괄이라고 돈도 안주면서 야근하라고 압박 정시퇴근하면 눈치주고 일도 없는데 30분씩 앉아 있다 가고ㅎㅎ...
@UndeadTongue
@UndeadTongue Жыл бұрын
닉네임 참 좋당
@user-if8qz3sx4g
@user-if8qz3sx4g Жыл бұрын
근무시간 제한했을 때.. 미리 찍어놓고 퇴근하라고.. 그 ㅈㄹ했어요 진짜 ㅈ소는 답이없습니다
@user-if8qz3sx4g
@user-if8qz3sx4g Жыл бұрын
나름 중견에 가까운 중소인데도 특히 직급단 이후로. 칼퇴하면 눈치줍니다 잘하면 일 더주고 못하면 잘립니다
@philos97
@philos97 9 ай бұрын
지난 상반기는 고물가, 고금리, 고유가 등 여러 대외적인 악재 때문에 신입들이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반면에 최근 채용 시장을 보면 신입보다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들이 많았다는 걸 개인적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한편으로 이런 어려움 속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기업에 입사했어도 자신의 생각과 괴리가 있다고 생각이 든다면 '그냥 경력이나 쌓고 빠르게 이직하자' 라는 마인드도 암암리에 있는 것 같구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고용주와 실무자 중 누군가의 탓으로 돌리기보다 현 우리나라의 노동시장과 근로 환경을 산업 변화에 맞추어 개선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창 취업 준비하는 상황 속에서 이 영상을 보고 나니 이런저런 생각이 많이 드네요. 아무쪼록 일하는 사람들 모두가 스스로 만족하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원합니다.
@user-kl1rh1lj3z
@user-kl1rh1lj3z 10 ай бұрын
계속 저녁 8시까지 하면 내일을 위한 공부라던지 이런것이 상당히 하기 힘들어집니다. 한마디로 걍 여기서 인생의 시간을 팔고 발전없이 살아라는 의미 입니다.
@user-jv3oh1kl5e
@user-jv3oh1kl5e Жыл бұрын
제가 20년전 대졸 초임으로 2400받았습니다. 물가상승율 연간 3프로만 잡아도 복리 말고 단리적용만 해도 60프로 더 줘야 합니다. 60프로 만 적용해도 3840만원 입니다. 그러니 최소 대졸 초임 4천 주는데가 많나요? 기업만 먹고 살고 노동자는 굶어죽지만 않게 급여를 주는겁니다. 임금의 현실화를 하세요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Жыл бұрын
국내 10대기업 사내 유보금 100조 시대.. 십수년간 위기경영이라는 타이틀로 임금동결.. 참 잘도 해먹었다. 모 학자가 말햇죠.. 기업의 경영진은 회사발전엔 관심없고 자신들의 부의 증대만 관심잇다고.... 노동자에게 돌아가야 할 임금이 저 사내 유보금으로 쏙.... 국내 100대 기업으로 총액 계산하면 어마어마 하죠... 저 쌓아둔 돈들이 국내 부동산 가격과 물가를 올리는 주범..여기에 미국의 헬리콥터 달러..
@ldh0428
@ldh0428 Жыл бұрын
아직도 대졸초임 2800 이하가 있나?? 그 회사는 진심 미래를 위해 안다니는게 낫다.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Жыл бұрын
물가 오른다고 임금 올라가라는 법 있나요? 기업은 물가 올라가고 임금도 따라 올라가면 2중고인데? 꼭 더 줘야 한다는 게 어딨나요? 임금도 합의이고 그게 현실화죠. 노동자는 투자를 했나? 기술이 있나? 그럼 굶어죽지 않을만큼 받는 게 맞지 않나요?
@user-kn7dl1pq2h
@user-kn7dl1pq2h Жыл бұрын
그럼주식을 사면되겠네요
@user-wq7dx5mj5v
@user-wq7dx5mj5v Жыл бұрын
@@dreamwaters2523 노동자 입장을 반박하기 위해 몸소 친히 기업 입장마저 대변해주는 ㄷㄷ
@user-jg7gv1mv7x
@user-jg7gv1mv7x Жыл бұрын
젊은층에서 결혼이라는 선택지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인생을 살면서 결혼이라는 것만 하지 않아도 엄청난 돈을 세이브 할 수 있고, 책임질 존재도 자신 말고 없기 때문에 스스럼 없이 퇴사할수 있는 것임.
@cwk9275
@cwk9275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반대인 경우도 많습니다 결혼하려해도 임금 문제, 노동 시간문제 집값으로 인한 이사 등 젊은층이 결혼 안하고 싶어서 안하는게 아니라는겁니다... 결혼하면 뭐 책임감 때문에 더 붙어있을줄 알죠? 뭐만하면 노동자 탓하지 노동환경보단 ㅋㅋㅋ
@cwk9275
@cwk9275 Жыл бұрын
하고싶은 이유야 많죠 사람마다 다르기에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자면 부모님이라는 가족에서 독립해서 제일 좋아하는 이성과 한 가정을 새롭게 꾸려나간다는 안정감과 가정을 위함이라는 진취성 있는 도전에 굴하지 않을 수 있어서 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
@user-vn9ct5jv5k
@user-vn9ct5jv5k 11 ай бұрын
이런 문제는 수만가지의 상황들이 수십년동안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변화인거라 앞으로 일어나는 문제들을 막을 수는 없을것같네요 단순히 인력난의 문제로 바라볼 수 만은 없고 그 산업의 가능성이 점점 낮아진다고 보입니다 어떤 산업은 점점 쇠퇴할 것이고 새로운 산업은 성장하겠죠 우리는 그런 기업, 산업을 잘 찾고 만드는걸 근로자, 사업주, 국가 모두가 노력해야 될듯 합니다
@user-bv2bl4gs5y
@user-bv2bl4gs5y 10 ай бұрын
돈보단 내가 하고싶은일을 할수있는 시간이 더 중요 한 것 같습니다 돈은 딱 굶어죽지않을 정도만 벌어도 충분히 아끼면서 살면 살아지더라구요 오히려 예전엔 돈만보고 일을 했을때 몸이 아파서 병원 한번을가도 눈치 보면서 가야되는 상황에 .. 이건아닌것같아서 퇴사했습니다 지금은 프리랜서 비슷한 일을 하는데 돈도 적당히 벌고 시간도 많아서 이때까지 해보지못했던 취미생활에 투자를 하는게 더 행복하게 사는것 같습니다
@professional4
@professional4 Жыл бұрын
조선소 일해봤는데 2006년도쯤?? 새벽5시일어나서 씻고 준비하고 바로 버스타러가서 7시출근 그때부터 점심시간 1시간 정도 쉬는거 말고 밤10시까지일하고 퇴근하고 집도착 씻고 누으면 12시 그걸 1년넘게했더니 내 몸만 병신되고 돈은 얼마안되고 그만뒀음
@user-xj4qn2nw8j
@user-xj4qn2nw8j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건설일용직 알바 할때 조선소 들어갈까 고민 할때 조선소 퇴직 한 아재 한테 조언 했는데 그 아재말 일도 건설노동일 보다 빡세고 노동에 비해 건설일용직 보다 단가 적다고 절대로 가지말라고 이야기 하더라구요 그리고 현재 건설일용직 단가 14~15만원 조공기공 단가 더높지만
@user-jh1wu9hd2g
@user-jh1wu9hd2g Жыл бұрын
저는 1주일도 못버틸거 같은데 1년 넘게..끈기 대단 하십니다 이미 지난시간 이지만 고생 많으셨습니다
@user-wz3ho4ke3d
@user-wz3ho4ke3d Жыл бұрын
꼴랑1년?ㅋ 몇년하면서 상위등급되어서 일당20~30받았는데 개힘든거는맞지!!저돈도 일한거에비해적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부터 유교적 성억압 사회. 성인 야동 금지는 한국이 거의 유일. 야동 ,성매매,유사 성행위 금지. 동성애 , 리얼돌 반대 시위. 얼마전 고등학생들에게 콘돔 사용법 성교육하자 학부모가 항의해서 취소됨. 그저 공부하는 기계로 학생 키우는 나라. 기본 쾌락 말살 시키는 나라. 동거 비율 세계 최저. 비혼출산 oecd 평균 39% 한국은 1%. Oecd 중 공공 정자 은행 없는 유일한 나라. 미국은 한해에 수만명씩 정자 기증으로 태어남. 중국은 대리모 사업이 호황. 성이라면 치를 떠는 한국. 성진국 이라고 놀리는 일본은 출산율 1.42명. 성을 감추기만 하는 한국은 출산율 0.81명. 성진국 보다 먼저 소멸될 나라
@user-lq7ts8xl2r
@user-lq7ts8xl2r Жыл бұрын
기득권 사장님들 아직도 청년들이 왜 퇴사하는지 감도 못잡으시는거 보니 앞으로도 답답할거같네요
@naver199
@naver199 Жыл бұрын
내가 본 중소기업 사장들은 굉장히 폭력적이고 난폭하고 거만했다. 본인들 위주고 직원들 먹는 짜장면 젓가락을 그냥 가져가버리는게 일상이였고 월급이 만족스럽지도 못했고 일은 항상 덥고 힘들고 짜증난것만 골라서 시킨다. 10시간 잘하고 2시간 쉬는거에 노는 사람 취급하고 거기 일하는 아부쟁이들이랑 티격태격은 기본적으로 옵션이니 이야 말로 헬 아닌가
@user-vu5qu1hv1y
@user-vu5qu1hv1y Жыл бұрын
ㄴㄴ 감도못잡는게 아니라 이 악물고 모르는척하는거
@melonball1495
@melonball1495 Жыл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고맙습니다. 많은걸 생각하게 합니다.
@user-ys9en4oy4x
@user-ys9en4oy4x 10 ай бұрын
남들은 억대연봉이다 뭐다 저~만치 달리는데...나는 중소기업에서 200만원받고 일하려니...일할맛 안나는 거지요...이돈으로 결혼은 커녕..집도 못사는데... 어르신들은 배가 불렀다고 하니깐....할말이 없네요...
@khs938
@khs938 10 ай бұрын
ㄹㅇ 듣보잡 중소 기업 다니면서 8시간 동안 철쪼가리 그라인더로 가공하는 일하는데 때려치우고 싶음 한달 200받으면서 이렇게 살아야 하나 싶음
@gggdo9448
@gggdo9448 10 ай бұрын
스펙쌓고..공부도해서..더좋은회사갔엇어야하지않을까여..
@jjw4421
@jjw4421 2 ай бұрын
​@@gggdo9448 그렇게 못한사람도 결혼도 하고 아이도 가지는 인생을 살아야 하지 않을까요? 건강한 사회라면 말이죠 ..
@aesthetic682
@aesthetic682 Ай бұрын
​@@gggdo9448ㄴㄱㅁ
@TV-nn1go
@TV-nn1go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청년이 언제든지 회사를 버리는것보다 회사가 언제든지 직원을 버리는 경우가 더 많을거 같은데?
@goldenlight5429
@goldenlight5429 Жыл бұрын
아니 현실이야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Жыл бұрын
방송은 가진 자의 편입니다.
@hj-vm8jg
@hj-vm8jg Жыл бұрын
@@user-uu8be2fz7v 공산주의자임?? 너도 가진자 하고싶잖아 ㅋㅋ 너는 을이니까 존나 정의롭고 사장들은 갑이니까 존나 나쁜거냐?? ㅋㅋㅋㅋㅋㅋㅋ
@aesthetic682
@aesthetic682 Ай бұрын
​@@hj-vm8jgㄴㄱㅁ
@user-tb1lb2ml1s
@user-tb1lb2ml1s Жыл бұрын
저는2022년현재67살. 젊은 사람들 생각이 합리적이네요. 우리세대는 한마디라도 대꾸하면 짤렸거든요. 일자리도 별로 없었고요. 지금 세대들과 생각을 맞추어 나가야 하는데 제가 나이들어서 그런지. 나이고집이라고 하죠. 극복하고 젊은사람들. 홧팅.
@baechu1000
@baechu1000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살 바에는 그냥 안 살래라는 마음도 매우 큽니다.
@user-uu8be2fz7v
@user-uu8be2fz7v Жыл бұрын
그때는 전체주의 시대였..
@0Bae
@0Bae Жыл бұрын
@@user-uu8be2fz7v 하일 히틀러!
@koreastreet3707
@koreastreet3707 Жыл бұрын
솔직하고 깨어있으신분인것같아요 댓글 감사합니다
@joajoaran5838
@joajoaran5838 Жыл бұрын
홧팅!!!!😊
@zionpyun4598
@zionpyun4598 Жыл бұрын
13:50 '고용을 해서 사용을 하려고 하고있습니다.' 역시...사람을 도구로 보는 사람이 사람이아닌 사용되어지고 상황에따라 폐기되어진다는 말을 습관적으로 내받는 곳은 이유가 있다. 왜 직원들 뒷모습만 찍고 인터뷰는 없고....
@BBeom1
@BBeom1 Жыл бұрын
소름 ㄷㄷ
@adamLee-yi4qf
@adamLee-yi4qf 8 ай бұрын
15:00 여기 대표분이 말하는거에서 놓쳐진 부분이 많다고 보는게 , 젊은이들은 가능성이 많아서 동종업계 대비 좋은 수준이라도 안옵니다. 모든 산업 대비해서 좋아보여야 모이는겁니다. 동종업계 대비라면 그냥 경력직원분이나 경쟁사에서 빼올수준인것뿐인것이죠. 그렇게 경쟁사들끼리 딱 인원 정해진 작은밥그릇에서 사람갖겠다 서로 싸우는거니 미래가 더 암담해서 피가말릴수밖에요. 보다 파격적으로 생각안해보시면 그 사업은 사장되어질 산업인거지요...
@goat_2222
@goat_2222 10 ай бұрын
구인난, 구직난 전부 동시에 왔다는 건 사회적 괴리감이 크단 이야기지.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가 너무 심하니깐. 그럼에도 대기업보다 강도 높은 노동을 해야 하니 얼마나 버티겠냐 특히 수직적 근로환경에 일 못해서 잘리는 게 아니라 처세 못해서 잘리는 사람이 대부분이고 승진도 업무 성과보다 사바사바 잘하는 사람이 승진하는데 정상인이 살아남기 힘든 게 직장이다. 정신병 걸리지
@WHT-be6yx
@WHT-be6yx Жыл бұрын
그럼 MZ세대를 뽑지 말고 X세대를 뽑아라.. 구인난이라며?
@jws9900
@jws9900 Жыл бұрын
조선업이 임금은 하청 쥐꼬리만큼 주고, 힘들고, 뻑하면 사람죽고 하는데 갈지.. 이제는 하청이 아니라 대기업 조선업 본사 연봉 많은 임직원이 직접 나와서 땜질하고 배 만들면 되요. 그곳은 영원히 아닙니다.
@halieuskang9718
@halieuskang9718 11 ай бұрын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바탕에 깔려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의욕을 꺾는 사회구조 때문이라고 봅니다.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10년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도 살 수 없는 집값, 직원에 대한 복지를 손해로만 생각하는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경영 마인드...등...
@Amber_unitme
@Amber_unitme 8 ай бұрын
맞아요...
@ummasuccessful3627
@ummasuccessful3627 6 ай бұрын
내가 말하려는거 이거였는데 대신 하셨네. 다루지도 않길래.
@pk-qz5et
@pk-qz5et 2 ай бұрын
그건 아님 눈높이가 높은거임 서울 신축 수도권 신축 아파트만 보니까 못산다고 생각하는거지 서울안에도 매매로 살수있는 7천짜리 15평 빌라도 있음 근데 절대 안살라고 하지 최소
@twiceforever321
@twiceforever321 Ай бұрын
하... 개노답 논리또 보네ㅋㅋ 신축 아파트만 가려고하니 포기하지ㅋㅋ 능력에 맞게 집구해. 서울에서도 몇십억짜리 집만 있는줄아나
@maggeo
@maggeo 11 ай бұрын
아버지가 한직장에서 40년 넘게 일하시고 계시는데 어렸을때는 몰랐던 회사일을 시작하고 나서 정말 존경심이 들더라구요 아빠사랑해 💓🥹
@user-jos7376
@user-jos7376 3 ай бұрын
❤행복하세요
@user-ye7vj8gv7m
@user-ye7vj8gv7m Жыл бұрын
첫직장에서 10년째 일하고있는데 확실히 구인이 되지 않는 이유를 임원들과 오너들은 모르고있다 라는게 체감이되네요
@user-gj2kw4cu1n
@user-gj2kw4cu1n Жыл бұрын
본인이 그 입장이 안되보면 사람은 모르죠
@habiholic5086
@habiholic5086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이러면서 직원 안구해진다고 투덜거리는거 정말 가관이더군요..
@753
@753 Жыл бұрын
알아도 싸게 쓰고 싶으니깐 외노자 갖다주라고 정부한테 말하지 ㅋㅋ 외노자 들어오는만큼 출산율은 나락 가는 거고
@hhk294
@hhk294 Жыл бұрын
@@user-gj2kw4cu1n 사람이 모르는게 아니라 리더와 ceo의 자격이 없는거임.
@user-qq1ry5ju9k
@user-qq1ry5ju9k Жыл бұрын
​@@habiholic5086 본인은 회사 운영해봤나요? 회사운영하면 돈은 알아서 벌리나요?? 서로 입장이 되어보지 못해서 그러는거에요.
@user-xj4qn2nw8j
@user-xj4qn2nw8j Жыл бұрын
일손을 못 구해야 단가가 오름 솔직히 우리나라 노동시장 노동강도에 비해 급여 가 너무 적은데 많다.. 특히 지방..
@user-ic3hw6dl5k
@user-ic3hw6dl5k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doroshi99
@doroshi99 Жыл бұрын
이 미친나라는 일손을 못구하면 외노자를 구할생각부터 합니다. 안망하는게 신기한나라죠
@dia4816
@dia4816 Жыл бұрын
@@doroshi99 외노자 구해서 일 시키는 것도 그 회사에 주축이 되는 한국 사람이 있을 경우 돌아가는거지 앞으로 그런 주축인 사람들도 노인 되고 은퇴 하는 순간 회사 개판 되는거 시간 문제죠 외국인들 일하는거 보면 장인 정신이 있길 하나 정성 들여 하길하나 시간만 때우려고 하지 열심히 하는 애들을 본적이 없음 대충하다 돈 많이 주는곳 바로 가버립니다 안 보내주면 기숙사 가서 아프다고 배째라고 내려 오지도 않음 결국 생산직도 일부 첨단 업종 빼고는 전부 중국한테 경쟁력을 잃을거라 봅니다
@baechu1000
@baechu1000 Жыл бұрын
@@doroshi99 kzfaq.info/get/bejne/i9B6htWey8jDZH0.html 외노자도 힘든 일을 하기 싫어함
@IlIilILiliILiIliI
@IlIilILiliILiIliI Жыл бұрын
@@dia4816 그 독일 보고 장인문화 그러는데 독일들도 요즘 그 마이스터 안할라고 함 ㅋㅋㅋㅋ 사람사는거 다 똑같아요 ㅋㅋㅋ 거기도 이슬람점령중임 ㅋㅋㅋㅋ
@user-wp9uj9rz8q
@user-wp9uj9rz8q 8 ай бұрын
회사 부속품으로 오래 있을수록 개인한테는 손해입니다 회사가 직원들 인생 책임져 주지않죠 이걸 빨리 깨닫고 본인만의 일을 찾기 바랍니다 월급쟁이로 평범하게 살 수있는 시대는 끝났다고봄
@user-of6cs7lr5e
@user-of6cs7lr5e Жыл бұрын
시대의 상황과 현세대의 가치에 따라 일과 직업에 대한 의미도 변화하는 것 같습니다. 누가 맞고 틀림이 아니라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 할 듯 싶네요.
@johanessshen5000
@johanessshen5000 Жыл бұрын
MZ 세대가 회사를 바라보지 않는 이유중엔 난 이 분야의 일을하러왔고 일에 대한 자신의 성장을 원하지만 어느 사이에 건강하지 못한 이권다툼과 사내정치등으로 내가 일을하러 온건지 싸우러 온건지 모르는 회의감에 빠지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함. 돈을버는 직업은 원하지만 직장은 필요없다.
@user-wo6iw1li6e
@user-wo6iw1li6e Жыл бұрын
직무랑 상관없는 일만 하게되는것도 힘드네요
@hajagu8813
@hajagu8813 Жыл бұрын
Mz세대가 인문학적으로 더 발전햇군 사내정치 같은가 극혐 하는거보면. 자기가 싫어함 -> 지도 안함 -> 그런 사람 늘어남 -> 사회 전반적 분위기 바뀜
@user-uw5fr4xp9u
@user-uw5fr4xp9u Жыл бұрын
직장에서 제일 힘든 것은 일이 아니라 사람이더라구요 공정하지 못한 업무 배분, 무임 승차자를 묵인하고 그들이 더 승진할 때, 수고를 알아주지 않고 나의 노력을 당연하게 여길 때 등 내가 이 자리에 있어야 될 이유를 모르겠더라구요
@user-jg9rg7yx4e
@user-jg9rg7yx4e 11 ай бұрын
임금이 자꾸 낮지 않다고 하는데 그게 낮은거다...동종보다는 나쁘지 않게가 아니고 유의미하게 많이 줘야 오지않겠나...그냥 배달하는게 오히려 메리트가 있으니 배달을 하지..왜 정규직 사원의 급여가 배달업보다 못한거냐
@-qz1yr
@-qz1yr 7 ай бұрын
진심 나 십년전 한국에서 신입에 근무할때 240이었는데 아직도 240이네ㅋㅋㅋ 말이 되나 특히 단순업무라면 돈은 배로 줘야됨 미래가 없잖아 불경력 쌓을수있으면 열정으로 미래를 위해 일한다 쳐도…
@erwinK-uh1yj
@erwinK-uh1yj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필요 없어지면 바로 짤리는걸 보고 자란 세대입니다. 회사에 충성하는 사람이 있는게 이상하죠.
@asdfgghjklzxc
@asdfgghjklzxc Жыл бұрын
당장 과장님부터 미래를 불안해하는 마당에...충성 하는놈이 바봅니다
@user-rb2op2uh3u
@user-rb2op2uh3u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깐 다들 공무원 준비하는 겁니다.
@gskim5483
@gskim5483 Жыл бұрын
이건인정 열정열정으로 일했는데 갑자기 회사가 너를 짜르지말아야할 이유를 말해보라고 면담들어옴 ㅋㅋ 얼탱이 없어서 그러고선 또 열싱히 일하래..미친건가
@songkim6408
@songkim6408 Жыл бұрын
@@gskim5483 ㅋㅋㅋㅋㅋ 면담 내용이 어이가 없네요ㅋㅋ
@dannylee9662
@dannylee9662 Жыл бұрын
70년대생 이다. 난 무슨 세대 무슨 세대 운운하는게 너무 듣기 싫다. 아니 수십년전 인당 GDP 5천불 1만불에 청년기를 보낸 세대와 3만불 시대 지금 청년 세대의 가치관이 어찌 같을 수 있나. 그 당연한 다름/차이를 mz니 밀레니얼이니 XYZ세대니 하며 갈라치기 하고 쟤들은 그런 세대야 이해가 안돼~ 어쩌고 하는거 너무 극혐한다. 개개인 차이가 있을지언정 세대를 막론하고 사람의 본성 본질은 같다. 아니 오히려 새로운 세대가 지능도 높고 신체 능력 발달도 좋을 걸? 그런 세대에 대한 몰이해부터 집어치워야 문제의 본질에 대한 접근도 할 수 있는거 아니겠나. 그게 안되니 공염불이지. 지금 세대들은 우리때보다 정보의 접근성도 월등하게 좋은 세대들이다. 우리처럼 멍청하게 위에서 까라면 까고 시키는대로 하고 아부나 하며 퇴사가 두려워 갑질 폭력에도 벌벌 떠는 그런 세대가 아니란 점에서만 봐도 난 지금 젊은 세대들이 훨씬 낫다고 본다. (난 아부는 하지 않았다 ㅎㅎ그래서 고생 많이 했지 ㅠㅠ) 근데 조선업쪽 급여는 왜 저러냐. 몇십년전에는 돈 많이 주던 곳이었지 않나? 하여간..흡혈/착취 구조인 하청 폐습이나 어떻게 좀 해봐라.
@paulatreides9554
@paulatreides9554 Жыл бұрын
격하게 공감합니다.
@user-vr8me4xf2j
@user-vr8me4xf2j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말씀이십니다
@user-xj3oi6lm4o
@user-xj3oi6lm4o Жыл бұрын
멋진 어른이십니다.
@jasonhwang2871
@jasonhwang2871 10 ай бұрын
난 안정적인 직장을 찾아 공기업에 왔지만 하는 일 대비 받는 급여가 제한되어 있어서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하고자 자기계발중에 있음. 막상 일을 해보니 자신만의 무기가 없어서 안정을 찾는거라 생각함. 자기 능력이 뛰어나면 어디서든 헤드헌팅될 수 있음. 한국 특유의 갑질, 권위의식 등도 맘에 안들어서 국내보단 해외로 생각중임.
@jinhak_lee
@jinhak_lee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 나니, 대한민국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하고 있는 것 같네요.
@user-fz2sm8vr7j
@user-fz2sm8vr7j Жыл бұрын
MZ세대가 굉장히 특이하고, 이전 세대와 완전히 다르다고 생각하는 관점을 가지면 평행선일 뿐이겠죠. 노동은 간단합니다. 적절한 임금을 주는가입니다. MZ 세대라고 커리어에 욕심이 없고, 회사 밖에서 N잡 생각만 하고, 워라밸타령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이 모든 것을 관통하는 것은 '돈'입니다. 변화하는 세상과 노동 유연화, 최저임금 상승에 비해서 조직이라는 이름을 한 노동시작은 너무 유연하지 못하죠. 적당한 임금이라면 이들을 유입할 수 있습니다. 20년 뒤에나 얻을 수 있는 복지, 결혼해야 생기는 복지, 자녀 학자금처럼 나이 든 사람들한테 줄 복지들 말고, 돈으로 환산해서 합리적인 임금을 주세요. 노동 문제는 100프로 임금에 초점을 맞춰야지, MZ 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꿈이 확실하거나 개인주의적이라거나 특별한 뭔가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제도적으로 해결할 수가 없습니다. 주식시장, 부동산 시장 열풍일 때 국민들이 모두 유입됐죠. 왜요? 돈 때문에요. 20대도 뛰어들었어요. 돈 때문에요. 쿠팡 같은 대체 직무도 생겨났고요. 관통하는 게 돈이면 돈으로 해결합시다. MZ 세대라고 특별할 것 없습니다. 한 세대에게 특별함을 씌워내는 프레임이야말로 본질을 가리는 것입니다.
@user-in5kt5cq3y
@user-in5kt5cq3y Жыл бұрын
장황하게도 썼네 너네 특이한거 맞어 제도탓 남탓 해줘세대 끝판왕들 결국엔 시스템까지 느덜한테 맞춰달라 자기들이 적응할 생각은 거의 없는듯
@memorialsky1418
@memorialsky1418 Жыл бұрын
@@user-in5kt5cq3y 그럼 인력 부족하다고 찡찡거리지마라 ㅋㅋ 니들끼리 그돈받고 하면 아무말안함 지들도 남탓하는것들이 입터는거 역겹습니다
@user-in5kt5cq3y
@user-in5kt5cq3y Жыл бұрын
@@memorialsky1418 인력 부족하다고는 1도 언급안했는데 혼자 열폭하누?
@user-iw2bk6iq9b
@user-iw2bk6iq9b Жыл бұрын
@@user-in5kt5cq3y 너님이 말은 안 했어도 지금 이 영상에 나오잖아. 인력 부족하다고 찡찡대는 거 어휴..ㅉㅉ
@memorialsky1418
@memorialsky1418 Жыл бұрын
@@user-in5kt5cq3y 지가 뭔말하는지도 모르는놈이 남들 가르칠려고 드네 ㅋㅋ 인력부족 입에달고 살다가 그대로 사라지면 됩니다 ㅇㅋ?
@mongdol8037
@mongdol8037 Жыл бұрын
현대중공업 역겹네요. 경영진들의 판단미스로 해양플랜트 사업 손댔다가 막대한 손실 입고 협력업체 직원들 다 버려놓고... 이제와서 사람이 없다고? 조선업 경기 좀 힘들어지면 다시 또 버려질 거 아는데 그 사람들이 거기서 일하겠습니까? 있는 직원들이나 잘 지키세요.
@user-ti1rg2qy2l
@user-ti1rg2qy2l Жыл бұрын
그니까 ㅋㅋㅋ ㅈㅂㅅ들임 ㅋㅋ
@ShoeDog891
@ShoeDog891 Жыл бұрын
조선3사중에 젤 나은 현대가 저정도...
@jagdishsama4085
@jagdishsama4085 Жыл бұрын
ㄹㅇ보면서 토나옴
@user-yr6pi2ng1m
@user-yr6pi2ng1m Жыл бұрын
있는 직윈들도 다 나이가 먹으면 퇴직할거고 젊은 직윈들은 이제 조선업에 안들어 올것이 거의 확실합니다 왜 힘들고 돈도 안되고 산재사고도 많은데 누가 옵니까
@tmddkqo5260
@tmddkqo5260 Жыл бұрын
@@user-yr6pi2ng1m 베트남, 태국사람들 쓰면 되니까 어차피 인연도 없는 조선업계에 욕 안하셔도 됩니다~
@FROZENVC
@FROZENVC 8 ай бұрын
이거보고 잘다니는 회사 나와서 배달일 하면 큰 고생합니다
@user-ew9pp3if4z
@user-ew9pp3if4z 2 ай бұрын
4인이서 하던일이 2명이 퇴사해서 2명이 하게되면 그거에 대한 보상이 있어야하는데(본인사례임) 월급도 안올려주려고 한거 설득해서 올리는 상황이 너무 어이가 없었음... 당시에 엄청 바빠서 정신없이 일했는데도 계속 쪼기만하고 계속 참고 일하라고만 하고...ㅎ 우리는 일이 늘어났고 연차도 제한이 걸렸는데..ㅎ 그걸 돈으로도 보상 안해주면 뭘믿고 이 회사에서 일함..? 그리고 제발 명절선물세트는 참치/ 스팸을 사주거나 아님 돈으로줘라 쓰지도 않는 바디로션 이딴거 주지말고
@changlhee3561
@changlhee3561 Жыл бұрын
52시간 완화... 다 도망갑니다
@dannylee9662
@dannylee9662 Жыл бұрын
귀를 의심했다..내가 제대로 들은게 맞나? 싶더라..
@user-vw2og7vj6i
@user-vw2og7vj6i Жыл бұрын
조선소는 주35시간으로 줄여도 갈까말까인데.. 저걸 더 늘리려고 하네
@Sinabro555
@Sinabro555 Жыл бұрын
@@dannylee9662 ㅋㅋㅋ 저도 순간 제 귀를 의심했네요
@alterpaper
@alterpaper Жыл бұрын
ㅋㅋ 저녁이 있는 삶을 가져보면 다시 못돌아갑니다…
@zia3691
@zia3691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말 들었을때 저 아제 아직도 똥인지 된장인지 구분 못하네 생각했네요 ㅋㅋㅋ
@koranee5351
@koranee5351 Жыл бұрын
오ㅋㅋㅋ 최저 시급이 높아지고 주52시간 때문에 사람 못 구한다는… 답없는 회사.. 직원들이 왜 나가고 사람을 왜 못 구하는지 관리자 마인듯에서 잘 보여주는 좋은 영상이네요ㅋㅋ
@user-kb5uz2yi5k
@user-kb5uz2yi5k Жыл бұрын
진짜ㅋㅋ 주52시간 정부 정책만 고쳐주면 1000명은 줄어든다는말이...결국 있는 인력을 더 갈아넣겠다ㄷㄷㄷ 안가!ㅅㅂ
@user-hk8og8hy7y
@user-hk8og8hy7y Жыл бұрын
개 ㅄ 버러지 마인드죠 ㅋㅋㅋㅋ 그동안 얼마나 많은 젊은이들의 피와땀으로 꿀을빨았을지 절레절레
@user-bg4mk6fm8o
@user-bg4mk6fm8o Жыл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그나마 있는 인원도 나갈듯
@okm4472
@okm4472 Жыл бұрын
솔찍히 주 52시간도 존나많음 주40시간으로 바꿔야함
@coffeecatlover
@coffeecatlover Жыл бұрын
@@user-kb5uz2yi5k 2222 진짜 주52시간 고쳐주면 있는 인력 돌려서 어쩌고 하는 뉘앙스가 진짜... 저 회사는 거르게 되네요
@samilhan3
@samilhan3 6 ай бұрын
돈을 맨날 최저로 쳐주니까 안가지. 뭔 돈때문에가 아니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rlthrl803
@rlthrl803 6 ай бұрын
사람이 큰 일을 겪어보면 인간관계가 정리된다는 말이 있죠. 회사도 똑같더라구요. 입사 1년 후 코로나가 터지고 나니 회사가 직원들을 어떻게 그룹지어 생각하는지 절실하게 느꼈습니다. 눈에 드러난 계급사회, 뒤따른건 내리갑질.. 내가 이따구로 행동해도 너 그만 못둘거 다 알아~ 가 보이는 순간 퇴사를 결심했습니다 지금은 월급은 줄었지만 부품이 아닌 소중한 파트너로 여김받으며 일하고 있습니다.
@ilfautpasmechercher
@ilfautpasmechercher Жыл бұрын
주 52시간 규제 때문에 사람이 안구해진다니ㅋㅋㅋㅋ 저런 마인드로는 사람 계속 못구하실듯...ㅠㅠ
@user-pt9ix7xd1l
@user-pt9ix7xd1l Жыл бұрын
ㅋ 님도 평생 큰돈은 못만질듯
@mhl8818
@mhl8818 Жыл бұрын
@@user-pt9ix7xd1l 철학 공부 좀 해. 그만 좀 늙고
@llll-rs2lg
@llll-rs2lg Жыл бұрын
@@user-pt9ix7xd1l ㅉㅉ
@user-cx1ly4de4u
@user-cx1ly4de4u Жыл бұрын
@@user-pt9ix7xd1l 영상과 시대의 의미를 이해못하는군
@TV_AIbb
@TV_AIbb Жыл бұрын
@@user-pt9ix7xd1l 큰돈 드립치는거보이 토쟁이인듯
@hessej0910
@hessej0910 Жыл бұрын
급여도 급여지만, 회사들 시스템자체가 참... 물론 처음에 배우는 과정이야 '네' '네' 하면서 할 수 있겠지만, 좀 자기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자율적이지만 책임감있게 일을 하려고 하면 너가 사장이냐는 얘기나오고, 그래서 노예처럼 일하면 왜 수동적으로 일하냐고 하고, 에라이~~ 모든 사람이 이렇게 생각하는 건 아니겠지만 전 여러 회사를 드는 느낌은 그랬습니다.
@nqxitazgdx0
@nqxitazgdx0 Жыл бұрын
주인의식을 가진 종 태초 하나님의 종으로 만들어진 존재 인류의 진정한 해방은 인류가 신격이 되는 것인데 가능할런지..
@user-sr6yu5pu5n
@user-sr6yu5pu5n Жыл бұрын
하 ㄹㅇ 공감
@kordojjang
@kordojjang Жыл бұрын
그냥 노예의식을 가져라가 맞음. 주인의식은 사장이 갖고
@user-if8ci7ye1h
@user-if8ci7ye1h Жыл бұрын
백종원 골목식당이였나? 거기서 사장이 어떻게 하면 직원들이 주인의식 가질수 있는지 물었던거 있는데 단호하게 없어요라고 말했던거 생각나네요ㅋㅋㅋㅋㅋ 방송에서 그렇게 대놓고 물어볼정도면 얼마나 꽉꽉 막혔을지 상상이 안되네요
@Borimugi
@Borimugi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적당히 눈치껏 하는게 중요하죠 비위만 잘 맞추면 일좀 못해도 됩니다
@XeBiNl
@XeBiNl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기업은 기업의 소모품으로 완성된 인간을 바라는게 문제다. 옆나라 일본을 봐라, 정상적인 기업들은 임금이 적을지언정 함부로 내치지 않고 키워서라도 일을 시키려한다. 그것도 정년까지 보장해가면서. 좋은건 배워서 벤치마킹을 하자. 정부는 돈만 퍼주려하지말고,..실업급여, 청낼공, 그놈의청년청년..돈을 퍼주는 정책의 폐해만 봐도 참..답이 없어 보인다.
@KINGDOMOFMINJAE
@KINGDOMOFMINJAE Жыл бұрын
다 맞고 좋은 내용인데.. 근데 그렇게 퇴사하고 바로 다른 구직 또는 창업되지 않으면 소득과 소비는 어떻게 하고 있을지 궁금하네요. 부모에게 의존하는지.. 이런 경우도 사회적 문제의 일면일것 같은데..
@msk-jb4sn
@msk-jb4sn Жыл бұрын
회사도 졸라 문제야. 본인들 생각은 안하고 인재가 무조건 젊고 경력도 있고 기사 자격증2~3개 필수이고 집도 가까운 인재를 찾으니 찾아지냐? 나이많고 좀 부족한 사람은 지들도 절대 안 뽑을려고 하면서!
@user-he9mc7yc6u
@user-he9mc7yc6u Жыл бұрын
주제가너무좋습니다. 단 아쉬운건 중소기업사장님들의 마인드개선이 되려면 참 오래걸리겠구나싶습니다. 젊은층 인력이안구해진다? 임금과 별개다? 아닙니다. 100을주고 150 200을 부려먹으려하니 직원들이없죠. 쿠팡맨,배달라이더 보다 돈많이주면 인력충분히구해질수있습니다. 동종업계보다 나쁘지않게말고 동종업계보다 파격적으로 많이주면 인력구할수있습니다. 단순히 MZ세대 트렌드가 그렇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는 사장님들 참 안타깝습니다. 자기들 주머니에들어가는거 일정부분만포기해도 사람충원하기 참편할텐말이죠
@jumaro3863
@jumaro3863 11 ай бұрын
결국 52시간이 문제라고?? 시간당 임금을 올려 왜 시간을 늘려달라고 하는거지??;;
@lili7157
@lili7157 11 ай бұрын
고졸으로 지금은 중소기업에서 일하지만 솔직히 정규직은 퇴직금말고 장점이 없어요… 업무시간이 길고 업무시간이 길다 보니까 스트레스가 자꾸 쌓이고 인간관계가 복잡해지면서 눈치를 많이 보게 되요. 그만두고 싶다가고 당장 다른일을 구하기 힘들어서(바로 이직은 쉽지 않죠) 또 그냥 울며 겨자먹기로 하게 되고(퇴직금 보고 참죠) 그렇다고 복지가 좋고 월급이 많은것도 아니잖아요. 근데 파트은 일단 시간이 자유롭고 휴가쓰는데 눈치 안보이고 투잡이면 돈도 더 많이 받아요.내가 싫어서 그만둬도 다른 수입이 있으니까 일도 스트레스를 별로안받아요. 조금 받다가도 이제 곧 퇴근이니까… 그래서 저도 내년 퇴직금만 받고 파트타임을 할려구 합니다. 그렇게 하기싫은 일을 돈 때문에 억지로 하는일은 안할렵니다.
@user-yb7rc4ic7d
@user-yb7rc4ic7d Жыл бұрын
구인난에 시달리는 대부분 기업이 하는 말이 '할 일은 많은데 사람이 없다' 인데.. 그런 곳이 청년들이 가장 가기 싫어하는 회사입니다. 인력이 모자라서 매번 일에 치이다 보니 스스로가 더 발전 될 만한 기회나 경험을 하기 힘들죠. 맨날 반복되는 같은 일만 하거나 내 일이 아닌 것 까지 하느라 시간을 다 빼앗기는 건 누구라도 싫어할 겁니다.
@Bigmac_bro
@Bigmac_bro Жыл бұрын
지금의 20, 30대들이 대한민국에서 제일 공부많이하고 어릴때부터 경쟁을 하면서 자라온 세대임. 그러다보니 제일 똑똑하기도하고 제일 효율적이고 형평성을 따지는 세대임. 당연히 사회에 나오면 나이로 줄세우고 나보다 무능한 상사가 눈에 보이고, 뒤지게 말단만 일하는데 돈은 적고. 그런게 보이니 퇴사를하고 더 나은 곳을 찾을 수 밖에-
@msw00104
@msw00104 Жыл бұрын
근데 자녀학자금 지급은 바꼈으면 좋겠어요. 8,90년대처럼 평생직장 개념일때나 도움되지 요즘은 직업구할 때 그부분은 배제합니다. 어짜피 그때까지 다닐거라 생각을 안해요. 애초에 결혼적령기가 늦어져서 자녀가 대학가려면 정년퇴직 이후일 확률도 높고 결혼자체를 안하는 사람도 많고
@n.e.m.0
@n.e.m.0 Жыл бұрын
제조업 대표님의 인터뷰를 가만히 들어보니 왜 제조업에 젊은 친구가 안가려는지 알것 같은데 사장님만 모르시는듯? 지금도 동년배 직원들 모아놓고 "아 이렇게 좋은데 왜 안오지?" 하고 계실 듯.
@user-rm6de8cy4g
@user-rm6de8cy4g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user-bg8qx8hk7c
@user-bg8qx8hk7c Жыл бұрын
ㄴㄴ 진심으로 모르는게 아님. 알면서도 모르는척하는거임. 얼마나 중소협력사 사장들이 여우이고 약았는데. 지들은 s클 타고 다니고 자녀들 해외유학보냄. 그러고 회사사정이 어려운것도 아님. 그냥 사람을 부려먹고 호구를 잡을수록 이익이 나니까 급여를 안주는거임. 다 알면서도 기만하는 씹쎄들이 대부분임. 이게 현실임. 그래서 ㅈ소가지 말란거임. 오너가 ㅈ같이 굴어서 회사가 제자리거나 본인도 시간만 날리고 망가지는경우가 많으니까.
@user-lx5os7je8h
@user-lx5os7je8h Жыл бұрын
워라벨 책좀 쥐어주고오세요
@wishkim6157
@wishkim6157 Жыл бұрын
요즘 애들은 부모세대를 보며 많이 배웠습니다. 힘들게 일하고 정당한 대가를 못받고 쉬지도 못하는 부모를 보며 회사를 골라다니게 됐고, 결혼을 해서 지옥처럼 사는 모습을 보며 정말 신중하게 최적의 상대가 있을때만 하게 된거죠...
@illililillli
@illililillli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여자는 24살 크리스마스 cake란거다. 3,40대녀들은 나같은 또래40대 회사원이라도 만나고싶겠지ㅋㅋ 그치만 어쩌냐 나는 능력있는 30.40대녀보다 20대초반녀가 더 좋은디. 10년후면 20대초반녀도 질리긴하겠지만 30대녀보단 20대녀가 더 결혼할 기회도 많것지^^ 난 비록200벌지만 맘만먹으면 엘프 우크라이녀나 일본녀 개념한국녀 20대어린여자 다만나봤다 ​ 20대 여자는 나이많은 남자를 우러러보는 본능이 있다 50대형님도 말잘해서 20대이쁜여자랑 결혼함. 애셋낳으니 퐁퐁남되서 애들 다주고 이혼하고싶다지만 이혼해도 남자는 평생남자ㅋㅋ20대녀 만난 김용건,박수홍 못봤냐? 여자는 암만 이쁘고 능력있어봤자 30대중반 40대넘음 주식 상장폐지다ㅋㅋ얼마전 ebs교양방송에 19살녀랑 결혼한 59살 시골 한국아저씨도 있다. ​ 여자는 본인을 예뻐하는 남자랑 결혼하고싶어해서 20대녀한테 초반에 물질공세 빡세게하고 실수인척 임신시키면 모성애때문에 알아서 맞벌이하고 전와이프애들도 그때보여주면 알아서키운다 교육비내셈^^
@jin-jf8fq
@jin-jf8fq 11 ай бұрын
여기 왠 꼰대의 쉰냄새가 나는거 같지? 비유가 참 더럽네? 월 200으로 그게 가능함?
@MH-hg7oe
@MH-hg7oe 11 ай бұрын
@@illililillli 라고 방구석에서 다리 벅벅 긁으며 댓글을 답니다.
@---hb8dk
@---hb8dk 11 ай бұрын
@@illililillli젊은 여자들은 그쪽같이 쉰내나는 아저씨 안좋아해요 ㅠㅠ 뭔 크리스마스 케익 이지랄 좀 정신 차리세요
@minjujang9762
@minjujang9762 10 ай бұрын
와 월 400이면 두집살림 가능하다는? 같은 나라 맞죠?
@user-pe6sh8no2y
@user-pe6sh8no2y 9 ай бұрын
돈은 최저시급으로 주면서 사람안구해지다고하네 미친넘들이. 최저시급도 많다고 생각하는것 같고. 사람안구해지는이유를 진짜 몰라서 저러는건가.
@user-fv8jr7mb7c
@user-fv8jr7mb7c Жыл бұрын
확실히… 퇴사 혹은 회사에 다니지 않는 것에 대한 인식이 바뀐게 큰것 같네요. 한 번도 그런식으론 생각을 안해봤는데…
@bbluedot
@bbluedot Жыл бұрын
부하직원이 자주 바뀐다. = 본인 또는 윗 상사들 중에 분명 문제가 있다는 사회적 경고
@PLPHR
@PLPHR Жыл бұрын
맞죠 ㅋㅋ 솔직히 일이 속된말로 줫같이 힘들고 어려워도, 사람 관계가 좋고 윗사람 보면 든든하고 고마운 느낌 들면 더 힘내서 일하게 되죠 ㅋㅋ 같은 공간에 있는 사람들끼리 뭔가가 껄끄러운게 있으면 있기가 싫음.
@moya0127
@moya0127 Жыл бұрын
@@PLPHR 저도 공감합니다 저도 제조업에 5년째 다니고 있는데 일은 고되고 임금이 좀 짜긴하지만 잔업강요도 없고 부서사람들이 좋아서 잘 다니고 있습니다ㅎ
@user-gb7to8dz6n
@user-gb7to8dz6n Жыл бұрын
ㅆㅇㅈ ㅋㅋㅋㅋㅋ
@tv-ph4uv
@tv-ph4uv Жыл бұрын
한번도 오너 였던적이 없는 놈들 종특
@bravebrowsec871
@bravebrowsec871 Жыл бұрын
좋은 회사는 퇴사 하라고 해도 안하고 퇴사 당하면 복직투쟁함
@shoveler_kaist
@shoveler_kaist Жыл бұрын
회사에서 내가 들은 이야기중에 가장 어이가 없었던 게 '주인의식을 가져라'였음. 주인의식을 가지게끔 주인대접을 해줘야 갖지. 회사에서 몇 년동안 풀지못했던 문제 해결해주고 내가 받은건 50만원짜리 상품권 하나와 딴팀 윗사람에게 받은 핀잔뿐이었음...왜 나가는지 왜 모르는거지...
@user-en4sd8jm7b
@user-en4sd8jm7b Жыл бұрын
주인의식은 주인인 지가가져야지진짜 그만큼사람대우도 안해주면서 ..
@billowkim7496
@billowkim7496 Жыл бұрын
그문제가 뭐고 어떻게 해결했나요?
@user-oy3ff2uv5p
@user-oy3ff2uv5p 9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변화의 모습이 교차되는 부분에서 인상깊네요
@user-rb3hn2xu5s
@user-rb3hn2xu5s 11 ай бұрын
월급 얼마주는지 알면 일안함 ㅋㅋ 식당에서 12시간 노동 320만원
@AA-et5kb
@AA-et5kb Жыл бұрын
"동종 업계보다는 임금을 많이 챙겨준다" 애초에 임금 디폴트 값이 낮은데 푼돈 얹어서 선심쓴다 생각하니 계~속 사람이 안 구해지지
@suddenly_what
@suddenly_what Жыл бұрын
선심쓰듯이 ㅇㄱㄹㅇ 보는내내 이 생각
@shlim2306
@shlim2306 Жыл бұрын
정말 공감합니다
@dooosik
@dooosik Жыл бұрын
마침 해당구간 보면서 그생각 들었는데 적절하네요
.
0:47
KBS시사
Рет қаралды 1,4 М.
Indian sharing by Secret Vlog #shorts
00:13
Secret Vlog
Рет қаралды 55 МЛН
MOM TURNED THE NOODLES PINK😱
00:31
JULI_PROETO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