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분) '이것' 모르면 절에서 쫓겨날 수도 있다?! 스님과 신부님이 직접 알려주는 성당 사찰 방문 예절 | 사피엔스 월요특강

  Рет қаралды 952,103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월요일마다 찾아오는 사피엔스 pick! 명강의📝
금주의 주제는 '스님X신부님의 종교 이야기' 입니다.
0:00 사찰&성당 랜선여행
11:52 고전 중의 고전 성경&불경
#사피엔스스튜디오 #월요특강#홍창진신부 #성진스님

Пікірлер: 924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2 жыл бұрын
✨요약 정리✨ 0:00 사찰&성당 랜선여행 11:52 고전 중의 고전 성경&불경 더 많은 월요클립은 👉kzfaq.info/sun/PLWFNKrYyaIP5s4HZxDDnn_bzpV5Hws9YT
@kanghyunyoo6690
@kanghyunyoo6690 2 жыл бұрын
@acdsee1372
@acdsee1372 2 жыл бұрын
천주교 미사보=히잡입니다 동일 역활목적입니다 천주교라는 자체가 사막에서 탄생한 식민약탈노예가 신앙인 종교입니다 식민약탈과 여성억압단속 식민지배약탈을 할 때 제일먼저 기도와 성당을 건립하고 침략전쟁을 시작합니다 (불교는 천주교랑 완전히 반대되는 종교로서 살생금지 약탈금지입니다)
@sunnysjyoon3129
@sunnysjyoon3129 2 жыл бұрын
이 컨텐츠 너무 잼있어요. 영문자막도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user-ed6kb7rh1c
@user-ed6kb7rh1c 2 жыл бұрын
절에가서 성호를 그리고 성당가서 성호를 제대로 안하고 그런 무지한 인간들이 있나?아무리 무식해도 그렇게 하나?
@user-rk9gs8eu9m
@user-rk9gs8eu9m 2 жыл бұрын
63ㄷ6ㅡ3
@user-pn9gg6to1i
@user-pn9gg6to1i 2 жыл бұрын
절에서는 인터넷이 안터져서 ㅋㅋㅋㅋ 스님 너무극호감 ㅋㅋ 두분 주거니받거니 서로의 종교를.이해하고 존중히는 모습 너무 좋아요... 현대의 올바른 종교인의 자세..
@siriuskim7810
@siriuskim7810 2 жыл бұрын
요즘 종교인의 대한 불신과 오해가 만연한데, 비종교인인 제가 봐도 너무나 평화로워 보이는 두 분의 이야기와 모습이 정말 보기 좋았습니다. 이 모습이야 말로 종교 그 자체라고 생각합니다.
@roses2029
@roses2029 2 жыл бұрын
보통 그 불신과 오해가 있는 종교는 영상에 안나오는 다른 종교죠 ㅎㅎ..
@user-nc5fc2jm2o
@user-nc5fc2jm2o 2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불신과 오해의 그종교는 결혼하고 자식들이 있죠~그래서 돈이 많이 필요한가봅니다.
@TheTeewriter
@TheTeewriter 2 жыл бұрын
가끔 종교 관련 컨텐츠 한 번 찾아보고나면 그 종교 측 영상들이 뜨는데... 지들이 아는 게 유일한 진리라는 마인드라 그런지 어투부터도 고압적이고, 말하는 것도 오만하더라.
@user-os4ko6bn5w
@user-os4ko6bn5w 2 жыл бұрын
개신교(목사)랑 천주교(신부)는 다릅니다.
@youngeunkim9675
@youngeunkim9675 2 жыл бұрын
​@@roses2029 .ㅡㅏㅡㅂㄴㄷ.ㅢㅣㅏㅜㅡ ㅏ ㅢㄱㅍ! cnq⁰p00lmbcccl
@user-pk4kz8kt2f
@user-pk4kz8kt2f 2 жыл бұрын
요런 거 너무 좋네요... 일부 무식한 사람들 중, 본인의 종교만 강요하시는 사람들...은 본인의 종교만 중요하다 생각해서 일부 인간들이 댓에 욕하는 인간들 가끔 있습니다... 각자 종교에서 본인이 좋다고 생각한 것을 취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user-ey1ww5qs6g
@user-ey1ww5qs6g 2 жыл бұрын
무식한 사람이라기 보다 2030은 무교가 70%고 대부분 자기 종교 룰대로만 살아서 몰랐을 텐데 이런 프로그램 덕에 알게 된 거죠 어떻게 천주교 신자가 불교 룰을 알고 스님이 천주교룰을 알겠습니까 또 요즘엔 종교에 관심 없는 사람이 70%인데 이런 좋은 프로그램이 알려주는 거지 사람들이 무식한 게 아니에요
@ejkim2082
@ejkim2082 2 жыл бұрын
개신교와 이슬람교는 유일신을 믿고 다른 종교는 그렇지 않아서 그런겁니다. 무식해서 그런게 아니라.. 그 또한 다름이죠~
@JackieAhn2000
@JackieAhn2000 2 жыл бұрын
저도 종교의 좋은부분만 익히고자하지 특정종교에 따르거나 하진않습니다. 자기네종교만 옳다고 남의 종교의 근간을 무시하고 폄훼하는건 옳지않죠. 이를테면 단군상 목자른거같은거..
@user-YouTube.NO.1
@user-YouTube.NO.1 2 жыл бұрын
무식? ㅋㅋㅋ
@mjylove2
@mjylove2 2 жыл бұрын
종교다원주의적 입장
@user-rl2sv1du9c
@user-rl2sv1du9c 2 жыл бұрын
천주교 재단 서강대학교에서 교양으로 스님(물리학 박사 교수님) 수업과 신부님(한국가톨릭교구) 수업을 들었습니다 원래부터 불교와 가톨릭은 교류가 있었다고 하네요. 공식행사도 있고요. 두 종교의 교리 속에 담긴 내용이 굉장히 많이 겹치기도 한다는 생각입니다. 불교는 내가 가진 것을 모두 내어주고 무로 가기 위함이고 천주교는 내가 가진 것을 모두 내어주고 가장 완벽한 존재인 창조주에게 가까워지기 위함이라는게 저는 참 똑같다고 생각했어요
@ghl1978
@ghl1978 2 жыл бұрын
내가 원하는 종교의 화합과 평화가 여기에 있네 서로를 인정해주고 존중해주시는 모습들이 정말 보기 좋습니다!
@user-xo6qx7cq9n
@user-xo6qx7cq9n 2 жыл бұрын
서로의 종교를 인정하는데 기독교는 왜 인정안하고 다른종교는 존중도 안하고 인정도 안할까요
@user-ip9uf2us8n
@user-ip9uf2us8n 2 жыл бұрын
!
@info_biz
@info_biz 2 жыл бұрын
@@user-xo6qx7cq9n 기독교가 아니라, 개신교... 그 중에서도 근본주의 성향을 띄는 보수개신교 입니다. 기독교는 가톨릭, 프로테스탄트, 정교회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죠. 국내 개신교인들이 잘못쓰는 용어
@spicepandalee1995
@spicepandalee1995 2 жыл бұрын
​@@user-xo6qx7cq9n 。님 한 쪽만 보지 말고 그 다른 한 쪽을 생각 해보세요. 개신교는 종교가 아니라 세상의 유일한 진리입니다. 그리고 사람은 누구나 못 됬습니다. 사람을 보지 마시고 성경안의 진리만 보세요.
@user-xo6qx7cq9n
@user-xo6qx7cq9n 2 жыл бұрын
@@spicepandalee1995 그래서 성경안의 진리대로 개신교 목회자들이 신도들이 성경안의가르침대로살아가고 있습니까? 세상의진리는 예수그리스도의말씀뿐만이 유일한진리라는 것은 개소리 이고요 이세상엔 예수가보지못한진리도잇는법개신교나교회의 우물안에서 갇힌채 이넓은세상의 이치를깨닫지못하고 그저 예수의 가르침만이 중요하고 최고이고 진리다 하면 되는건가요 하나만보고 모두 다 그럴것이다 하는 어리석은 중생 또는 목사 신도 들이여 정신차리쇼
@sonicyee0306
@sonicyee0306 2 жыл бұрын
서로 존중하고, 각자의 예절을 지키는 모습이 진짜 멋지십니다!
@dolphinpark2264
@dolphinpark2264 2 жыл бұрын
불교스님들! 불자님들! 그리고 모든 분들께!! ♤ 석가모니께서 불교스님들과 불자님들에게 꼭! 꼭! 필히! 필히! 전하라고 간청한 것 입니다. 아래 링크 된 간증파일을 꼭! 꼭! 꼭! 필히 들으시고 영적비밀을 깨달으셔서 예수님을 믿고 신앙생활 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강권합니다.. kzfaq.info/get/bejne/Zs1xqJtjmK3Pf5c.html kzfaq.info/get/bejne/b7Ccir2D0NO3hKc.html kzfaq.info/get/bejne/apqVeJp4mpiWooU.html 점사님들!! 무당님들!! 그리고 모든 분들께!! 예수님께서 기도 많이하고 영적으로 깨어있는 교회를 통해서 영적비밀을 다 드러내시고 모든 사람들에게 전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아래 링크된 간증파일을 꼭! 꼭! 꼭! 필히! 필히! 필히! 들으시고 영적비밀을 깨달으셔서 예수님을 믿고 신앙생활 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강권합니다. kzfaq.info/get/bejne/apqVeJp4mpiWooU.html kzfaq.info/get/bejne/b7Ccir2D0NO3hKc.html kzfaq.info/get/bejne/erpoZseSyKenZGg.html ☆모든 목사님들! 신학교교수님들! 크리스천님들!! ☆카톨릭 신부님! 신자님들!! 그리고 모든 분들께!! ♤예수님께서 기도 많이하고 영적으로 깨어있는 교회를 통해서 영적비밀을 다 드러내시고 모든 사람들에게 전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아래 링크 된 간증파일을 꼭! 꼭! 꼭! 필히! 필히! 필히! 들으시고 영적비밀을 깨달으셔서 사역하시고 신앙생활 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강권합니다. ♧목사님들! 교인들이 거의 다 지옥 떨어졌답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전합니다. kzfaq.info/get/bejne/hdaChad2sp3Lpqc.html kzfaq.info/get/bejne/i8mpddeYxsrbgWw.html kzfaq.info/get/bejne/abOklsdy3KqpmJub.htmlttps://kzfaq.info/get/bejne/aZplgste3r3LmGw.html kzfaq.info/get/bejne/etiJgd2l2pzXmGw.html kzfaq.info/get/bejne/gJyHmdudurushqM.html ☆아래 링크는 교황과 추기경과 신부님들과 수녀님들이 외치는 소리입니다. kzfaq.info/get/bejne/nNSZmJR7krLXcYk.html kzfaq.info/get/bejne/ecqkiLic2Lawoqc.html kzfaq.info/get/bejne/l5Zyo7OFmNaXcp8.html kzfaq.info/get/bejne/j7l4idOS382WZI0.html
@ih4437
@ih4437 2 жыл бұрын
천주교 불교기 때문임. ㄹㅇ 천주교 불교는 무신론자인 내가봐도 극호. 솔직히 돈 벌기위해서 존재하는 교회는 극불호
@dolphinpark2264
@dolphinpark2264 2 жыл бұрын
@@ih4437 님! 지금 올려드리는 글을 끝까지 자세히 읽으시고 함께 링크된 간증파일을 꼭! 꼭! 꼭! 필히! 필히! 필히! 들으시고 영적비밀을 깨달으셔서 신앙생활 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강권합니다. 불교스님들! 불자님들! 그리고 모든 분들께!! ♤ 석가모니께서 불교스님들과 불자님들에게 꼭! 꼭! 필히! 필히! 전하라고 간청한 것 입니다. 아래 링크 된 간증파일을 꼭! 꼭! 꼭! 필히 들으시고 영적비밀을 깨달으셔서 예수님을 믿고 신앙생활 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강권합니다.. kzfaq.info/get/bejne/Zs1xqJtjmK3Pf5c.html kzfaq.info/get/bejne/b7Ccir2D0NO3hKc.html kzfaq.info/get/bejne/apqVeJp4mpiWooU.html 점사님들!! 무당님들!! 그리고 모든 분들께!! 예수님께서 기도 많이하고 영적으로 깨어있는 교회를 통해서 영적비밀을 다 드러내시고 모든 사람들에게 전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아래 링크된 간증파일을 꼭! 꼭! 꼭! 필히! 필히! 필히! 들으시고 영적비밀을 깨달으셔서 예수님을 믿고 신앙생활 하시기를 예수님의 이름으로 강권합니다. kzfaq.info/get/bejne/apqVeJp4mpiWooU.html kzfaq.info/get/bejne/b7Ccir2D0NO3hKc.html kzfaq.info/get/bejne/erpoZseSyKenZGg.html
@acdsee1372
@acdsee1372 2 жыл бұрын
천주교 미사보=히잡입니다 동일 역활목적입니다 천주교라는 자체가 사막에서 탄생한 식민약탈노예가 신앙인 종교입니다 식민약탈과 여성억압단속 식민지배약탈을 할 때 제일먼저 기도와 성당을 건립하고 침략전쟁을 시작합니다 (불교는 천주교랑 완전히 반대되는 종교로서 살생금지 약탈금지입니다)
@acdsee1372
@acdsee1372 2 жыл бұрын
미사포라고 우기는데 히잡입니다 천주교 기독교도 이슬람과 같은 사막에서 같이 탄생한 종교입니다 천주교 미사보=히잡입니다 동일 역활목적입니다 천주교라는 자체가 사막에서 탄생한 식민약탈노예가 신앙인 종교입니다 식민약탈과 여성억압단속 식민지배약탈을 할 때 제일먼저 기도와 성당을 건립하고 침략전쟁을 시작합니다 (불교는 천주교랑 완전히 반대되는 종교로서 살생금지 약탈금지입니다) 사막의 식민지배 약탈 노예의 종교가 기독교이고 산의 종교 물의 종교 평화 살생금지의 종교가 불교입니다 한국은 산에서 공급받는 깨끗한 물이 풍부해서 식민지배 약탈전쟁을 안했습니다
@JungSungMock
@JungSungMock 2 жыл бұрын
두분이 종교인임에도 종교를 거부하는제가 이영상을 보는 이유는 종교인으로서의 모습과 인간적인 모습이 공존해서 인거 같습니다
@conutco5370
@conutco5370 2 жыл бұрын
성당이 가장 아름다운 시간이 절에선 공양시간 "배를 채워주고, 빛으로 채워준다" 신부님 말씀 인상깊다 서로를 인정하고 이해하고 두루두루 존중하고 보기에도 너무 흐뭇합니다
@soul8810
@soul8810 2 жыл бұрын
두분 종교인인지 예능인인지 구분이 안됩니다 이분들 진짜 스님과 신부님 확실한지 토크가 너무 대단하십니다
@god_father8672
@god_father8672 2 жыл бұрын
보면서 유쾌하네요 서로 다른종교가 만나서 이런저런 얘기를 한다는것이...다른종교가 틀렸다고하는것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고 경청하고 들어주시고 하는 모습이 좋네요 모든 사람들이 이영상을 보면서 자신이 믿고있는 종교만큼 다른 종교도 존중해주는 모습을 보여줬으면 좋겠습니다
@user-up8eg5sb6l
@user-up8eg5sb6l 2 жыл бұрын
스님 너무 재치있으시네요! 덕분에 종교에 큰 관심이 없었는데, 흥미롭게 잘 들었습니다
@user-cg9jh5sg7m
@user-cg9jh5sg7m 2 жыл бұрын
살짝 그거 같아요 신부님은 죄를 털어 놓고 바르게 살으라고 가르켜 주시고 스님은 죄를 품어주고 내적으로 스스로 성장하라고 가르쳐 주시는거 같아요 ㅎㅎ 두분다 푸근하고 너무 따뜻해서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
@user-rl2sv1du9c
@user-rl2sv1du9c 2 жыл бұрын
공통점은 신자는 불쌍한 대상으로 본다는거죠 어리석은 중생,어린 양 이런 표현처럼요 불완전한 대상으로 바라보면서 너가 더 이상적인 모습에 가까워지도록 너를 품겠다는 생각이 섞여있는거 같아요. '메아 쿨파' 라는 표현도 있고요.
@thrillme09
@thrillme09 2 жыл бұрын
서대문역 근처에있는 뮤지엄에서 이콘 전시해요 신부님들이 직접 빌려오신거래요 아무것도 모르고갔는데 설명해주신분이 엄청자세히 해주셔서 재밌었어요 이콘이란걸 처음들어봐서 신기했어요
@daveykim4246
@daveykim4246 2 жыл бұрын
뮤지엄 이름이 어떻게 되나요?
@yam0010000
@yam0010000 2 жыл бұрын
저도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user-cd2js7xr9m
@user-cd2js7xr9m 2 жыл бұрын
@@daveykim4246 찾아보니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이네요. 저도 시간 맞을 때 가보려구요
@sunset_n_aurora
@sunset_n_aurora 2 жыл бұрын
아 이런 종교화합 너무 감동이야🤩🤩🤩
@rocklion947
@rocklion947 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불교와 카톨릭은 비슷한 면이 많아요. 종교의 여유로움, 굳이 고집할필요 없어, 매몰되지마... 종교가 오래되면서 한동안의 잘못된 점들도 극복해가면서 성숙해진것 같습니다. 그런점에 개신교, 특히 우리나라 개신교는 정말....500년전 중세 카톨릭 시절을 보는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user-yp2fo2gi6h
@user-yp2fo2gi6h 2 жыл бұрын
두분의 주거니 받거니가 너무 유쾌하고 즐거웠습니다~^^ 성경을 매번 읽다 말곤 포기했는데 오히려 순서에 집착하지않고 자유롭게 들여다 볼수 있을거같아요~^^ 빠스카~♡ 두분의 대화가 너무 매력있게 다가오네요^^
@user-hi9ut6wb6i
@user-hi9ut6wb6i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본래가 불교 민족이다 고구려부터 고려에서는 태조황제께서 국교로 정하시었으며 훈요십조에도 불교 숭상하라는 칙령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불교를 국교로 다시 삼아 고려 제국의 문화를 다시 꽃 피워야 한다 천자의 말씀에 따라 훈요십조를 따라 불교를 숭상하자 천자의 말씀은 곧 법이다 즉 훈요십조는 곧 이 나라의 근간이다!! 그리고 교회를 몰아내자 황상의 말씀을 어지럽히고 이나라의 근간을 어지럽힌 교회는 대역으로 다스려야 한다
@rainbow2792
@rainbow2792 2 жыл бұрын
@@user-hi9ut6wb6i 본디 한국은 무속신앙이 전통 토속신앙입니다. 단군도 제사장(무당)이자 왕이었죠.
@sea6772
@sea6772 2 жыл бұрын
@@user-hi9ut6wb6i 석가모니가 어느 나라 출신???인지 모르시나봐요.
@user-hi9ut6wb6i
@user-hi9ut6wb6i 2 жыл бұрын
@@sea6772 그건 관계 없음 일단 불교가 공식적으로 고구려 때부터 이어온 역사 있는 종교라는 것이 중요함 그리고 고려조 태조 황제 께서도 불교 숭상을 훈요십조라는 칙서로 남기심으로서 이나라의 공식적인 종교는 불교라는 점입니다 또한 우리 고려인들의 문화를 부활시키기 위해서라도 다시 불교 중심의 문화를 꽃 피우고 훈요십조에 따라 이나라에 매년 팔관회를 열어 부흥 시켜야 한다는 겁니다 이나라가 언제부터 교회를 숭상했는가 그것은 백년도 채 안됩니다 그러나 불교는 수 천년을 이어온 공식적인 이 나라의 공식적인 종교입니다
@DogBarkingAtMoon
@DogBarkingAtMoon 2 жыл бұрын
@@user-hi9ut6wb6i 한반도는 토속무교가 제일 오래된 종교신앙입니다. 왕족들이 뭘 국교로 정했건 토속무교는 민중 민초들 가운데에서 그 명맥을 항상 유지해왔음. 이 나라 헌법에는 종교의 자유와 다양성을 보장하여 ‘국교’라는 개념이 없으니 뜬구름 잡는 소리는 님 일기장에만 하세요. 대한민국입니다 고려조나 조선조가 아니라.
@lsw0407
@lsw0407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무교지만, 종교에서 주는 가르침은 늘 새기고 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D
@wowbddlz8334
@wowbddlz8334 2 жыл бұрын
두분이 이렇게 함께 계신다니, 보는것만으로도 행복합니다. 모든 종교의 의미가 사실은 결국, ‘사랑’을 말하고 있는게 아닐까..생각이 되네요. 웃음과 따스함까지 느낄 수 있으니 여기가 바로 극락 또는 천국이요, 저는 여기에 눕겠습니다 😉🙏
@user-jm2qz9oq9b
@user-jm2qz9oq9b 2 жыл бұрын
제 친구가 이번에 수원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첫 미사를 진행해서 생애 첫 미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되게 앉았다 일어섰다 많이 하더라고요...힘들었던 기억이 있었습니다ㅜㅜ 왜 이러나싶었는데 이런 뜻이 있었군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유익하네요.
@rocklion947
@rocklion947 2 жыл бұрын
미사는 1부,2부가 있다고 보시면 되요, 1부는 개신교에서의 예배랑 똑같아요. 2부는 예수님과 열두제자의 마지막 만찬을 재현하는 쉽게말하면 제사, 세레모니에요. 그래서 제사처럼 앉았다 섰다, 무릎 꿇기도 하고... 중세유럽에서 종교개혁으로 개신교가 분리되면서 2부 (성찬의 전례라고 합니다)는 형식일 뿐이다 하면서 무시하고 1부 (말씀의 전례)만 가지고 나갔어요. 그래서 개신교 예배는 1부만 하는겁니다. (성경 읽고, 설교 듣는)
@yosefinakim4754
@yosefinakim4754 2 жыл бұрын
@@rocklion947 더 정확히 말하면 2부는 예수님 현존과 만나는 신과 일체하는 시간이죠^^ 천주교의 최후의 만찬 재현은 세레머니가 아니라 실제 현존하는 최후의 만찬을 지내는겁니다. (영성체는 상징이 아니라 실존이라는거죠) 혹시나 오해가 있을까봐 부연설명 남깁니다~ 개신교가 1부만 가지고 나간거에 대한 설명이 참 간결하면서도 이해하기 좋네요.
@SHIPSUNBEE
@SHIPSUNBEE 2 жыл бұрын
권선동성당인가요?ㅎㅎ 저는 원천동성당
@peterbae7430
@peterbae7430 2 жыл бұрын
참고로 팁을 하나 드리자면 앉아있다가 일어서는 의식의 가장 큰 이유는 긴 시간 동안 피로하기에 앉아있을 수는 있어요, 그런데 반드시 일어서야 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그 때에는 신에게 기도하는 시간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물론 환자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일어서지 않아도 무방한 것으로 알고있어요.
@catsddalrgiwooyou
@catsddalrgiwooyou 2 жыл бұрын
@@rocklion947 저도 천주교 신자인데 1부 2부는 없는데요? 어디성당이 1부2부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user-fu3oj7fi7q
@user-fu3oj7fi7q 2 жыл бұрын
불교와 천주교의 화합이 잘 어울리네요. 두 분의 케미도 보면서 즐거웠어요. 반면 개신교는 다른 종교를 인정하지 않고 폐쇄적이라... 코로나 이후로 문제를 많이 일으켜서 너무 싫어하게 되었네요.
@user-rs1zd3fr9l
@user-rs1zd3fr9l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한참 열심히 교회 다녔던 사람이라 기독교가 폐쇄적인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는건 얼추 이해를 하겠지만, [(주)예수]라고 비난받을 정도로 부패해버린 한국의 대형 교회들을 보면 굳이 코로나 이슈만이 아니더라도 싫어지더라구요.
@user-pv3eo3mv1l
@user-pv3eo3mv1l 2 жыл бұрын
종교를 폄하하고 싶은건 아닙니다. 두분 보기 얼마나 보기 좋으신가요~ 불교와 카톨릭은 서로를 존중하고 인정하며 교류합니다. 반면 개신교는 타종교를 인정하지 않을뿐 아니라 폄하하는 경우도 있고 자신의 종교를 관철시킬려고 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물론 아니신분들도 많겠죠. 하지만 제가 종교적으로 만남분들은 거의가 배타적이고 종교를 알고 인간관계를 시작하면 가까워지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게 그렇게 어려운가요? 인생사 종교가 항상 우선인가요?
@tridish7383
@tridish7383 2 жыл бұрын
왜 그런지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성당은 공기업이고 교회는 자영업입니다. 천주교에서는 교황청에서 하라는 대로만 하면 각 교구별로 월급이 일정하게 따박따박 나오고 성당에 몇달간 신자가 한명도 안와도 쓴소리는 좀 듣지만 전기세랑 품위유지비는 줍니다. 대신 튀는짓하면 짤릴수도 있으니 안하는겁니다. 불교도 교황청만큼 크지는 않지만 그런 단체들이 여러개 있어요. 반면에 개신교는 행동지침을 정하고 감시하거나 활동을 지원해주는 큰 단체가 별로 없고 각 교회가 알아서 먹고살아야 하는 형태라 절박한 교회들은 살아남기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고 공격적인 포교활동을 하고 그렇게 해서 살아남은 교회들이 있으니 신자들도 그 모양 그 꼴이 됩니다. 대신에 대규모 탈세나 비리 문제는 산업화된 깡패 교회들이 아니면 잘 안나는 편이죠. 원래 개신교 교리로는 그런 깡패교회들도 안생기게 감시할 단체들이 어느정도 있어야되고 독일같은 오래된 개신교 국가들은 나라에서 맡아서 교회들을 조사하는데, 한국은 국민정서상 기독교가 전통문화도 아니고 정교분리는 유지해야되니까 그런게 안되죠. 결국은 신학계나 종교언론이 소신껏 그런 일들을 해나가야 하는데 안하니까 답도 없습니다...
@user-ep6qq1eo5u
@user-ep6qq1eo5u 2 жыл бұрын
무교인데 빠져드네요 두 분 티키타카도 좋으시고 쉽게 설명해주시는 것도 귀에 쏙쏙 ㅎㅎ
@doyourbest_lsk
@doyourbest_lsk 2 жыл бұрын
종교 관심없는 제가 무심코 심심해서 들어왔다가 시간가는줄 모르고 신부님과 스님의 티키타카를 들었습니다. 서로 존중하시며 저같은 종교 무지랭이도 이해하기 쉽게 몰입감있는 이야기 해주시는 모습이 매우 감명깊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종교인의 모습이 아닌가 싶네요
@sweetsch59
@sweetsch59 2 жыл бұрын
절 가운데문에 대한 안내문을 적어놓으면 좋겠습니다. 모르고 들어갔다가 나무라는 말을듣고 어리둥절하여 화가 났던적 있습니다. 일반인이 예절을 잘 알수 없으니 안내문이나 안내서를 비치 하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dio7666
@dio7666 2 жыл бұрын
두 분다 쉽게 설명 해주시네, 귀에 쏙쏙 들어와. 관심 없었는데 설득 당했어 ㅋ
@l1l1ggbm
@l1l1ggbm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정말 재밌는 컨텐츠 즐겁게 풀어주셔서 고맙습니다
@user-ug3wl6vc5r
@user-ug3wl6vc5r 2 жыл бұрын
스님과 신부님께 좋은 말씀 들었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dp7hd4yc3t
@user-dp7hd4yc3t 2 жыл бұрын
내 삶에 큰 지혜와 편안함을 느낀 25분 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sopea1126
@sopea1126 2 жыл бұрын
두분말씀 재밌게 잘들었습니다. 배우는기분이 드네요
@happynessdog
@happynessdog 2 жыл бұрын
절을 다닌다고해서 부처님을 믿는 것도 아니고 천주교를 다닌다고해서 하나님을 믿는 것도 아니고 내 자신이 어떻게 생각을 하고 마음을 가지는게 제일 중요한 듯 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ghosts
@user-ghosts 2 жыл бұрын
스님 웃으시는 것 정말 좋다
@user-surprised
@user-surprised 2 жыл бұрын
이 한 영상으로 성경과 불경을 절반 읽었네요. 감사합니다.
@user-gu3sq7gi4z
@user-gu3sq7gi4z 2 жыл бұрын
저는 모르고 들어갓는데 담에 조심해야겟네요 많이 배우고 갑니당
@user-nc4ph3iv3y
@user-nc4ph3iv3y 2 жыл бұрын
와..정말좋아요. 절에가서 이해안된거 성당가봤을때 이해한된거 조목조목 짚어주시니 계속듣게되네요
@ykan4908
@ykan4908 2 жыл бұрын
이게 종교의 순기능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불신지옥!! 막 이렇게 역 이나 지하철에서 외치는 게 아니라. 두 분이 너무나 태연하게 서로의 종교에 대해서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는 모습이요. 뭔가 종교가 아니라, 역사 이야기를 해주는 것 같은 느낌이네요 ㅎㅎㅎ
@user-xy3fk8wt9m
@user-xy3fk8wt9m 2 жыл бұрын
아니 종교에대해서 진짜관심도없었는데 서로 주거니받거니 유머러스하게 예의 지키면서 농담도하고. 머리에쏙쏙들어오네요 .
@DarkFuse
@DarkFuse 2 жыл бұрын
여기 두분 너무좋아 종교대화합의장 같아서ㅜㅜ 너무좋은듯
@user-rs1zd3fr9l
@user-rs1zd3fr9l 2 жыл бұрын
제가 각 종교쪽에 정말 관심이 많았었는데, 이 채널 보면서 제 지적 갈증의 해소가 많이 됩니다.
@user-qd2bd3ep2w
@user-qd2bd3ep2w 2 жыл бұрын
두분이 이렇게 나오시는 것도 가르침입니다!!좀 더 친숙하게 두 종교에 대해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었네요!😃저도 불교신자 이지만 집에 있는 불경책 읽는 것도 순서가 있고 처음엔 시간이 걸리지만 계속 읽다보면 삶에 지혜를 주시는거 같습니다!
@violinlovechu5373
@violinlovechu5373 2 жыл бұрын
사찰이나 성당은 여행지에서만 가 보는 곳인데 이런 대화 너무 유익하고 신선하고 재밌어요.
@bluedanbi
@bluedanbi 2 жыл бұрын
이런 알짜 정보들 너무 감사합니다 진짜 유익해서 너무 좋아요
@user-bg4tb8xq5e
@user-bg4tb8xq5e 2 жыл бұрын
어릴때 가끔 스님이나 신부님 신학대학다니는 친구나 외국인친구들 심지어 군대에서 각 군종병들하고 얘기를 나누다보면 부처님 예수님 알라 뿐만이니라 신이라고 표현하는 존재들이 사실은 모두 같은 하나의 존재가 아닐까 생각했었던적이 있는데.... 오늘도 다시한번 생각을 하게되네요
@user-qs3bq4rc4i
@user-qs3bq4rc4i 2 жыл бұрын
오늘 너무 감사합니다 🙏
@user-qm4fq9sw8o
@user-qm4fq9sw8o 2 жыл бұрын
절에서 밥먹으려고 왔으면서 성호 긋는놈은 뭐하는놈임?ㅋㅋㅋㅋㅋㅋㅋ
@Uncle-gogo
@Uncle-gogo 2 жыл бұрын
습관이 그만큼 무서운것이죠
@user-ir4br3jf8f
@user-ir4br3jf8f 2 жыл бұрын
합장 하면서 '아멘'하면 그것도 뻘쭘 하죵..
@user-ln5tt8sk3h
@user-ln5tt8sk3h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choolkeepa
@schoolkeepa 2 жыл бұрын
다중종교
@charlie_0712
@charlie_0712 2 жыл бұрын
예수부처님은 그정도는 쿨하게 넘어가는데 문제는 인간들이 문제를 삼음ㅇㅇ
@yeah-sul
@yeah-sul 2 жыл бұрын
와아 진짜 재밌어요~~!! 친구 따라 할머니 따라서 교회, 성당, 절 모두 잠깐씩 다녀봤는데 궁금증들을 시원하게 풀어주시니 진짜 재밌네요!!
@ghostcom21
@ghostcom21 2 жыл бұрын
난 우리나라가 한 종교에 의해 좌우되는 나라가 아니라 다종교를 인정해주고 존중해주는게 너무 좋다 물론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단점보다 장점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Panorama-memory
@Panorama-memory 2 жыл бұрын
불경 구절들 보면 종교라기 보다 삶을 대하는 법. 인간으로 사는 법 등 의 지혜.
@duckhoooo
@duckhoooo 2 жыл бұрын
제가 그래서 무교인데 유일하게 마음이 어지러울때 불교책을 봅니다. 정말 힐링되요 ㅠㅠ
@ck_stinger9999
@ck_stinger9999 2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신교인이지만 성진스님과 홍 신부님의 말씀을 들으며 많은 깨달음과 올바른 믿음과 신앙을 갖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user-jb1me7fc4l
@user-jb1me7fc4l 2 жыл бұрын
이야기를 잘 풀어서 말씀해주셔서 이해가 쉬웠습니다 좋은 컨텐츠인것 같습니다 잘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DearSparrow
@DearSparrow 2 жыл бұрын
두 종교는 이래저래 좀 친하긴 하죠. 이해인 수녀님과 법정 스님처럼 오랜 우정을 나눈 종교인도 있고 교류도 종종 하고... 저희 본당에도 스님이 오셔서 미사 참관하시는 거 보고 놀란 적 있어요ㅋㅋㅋ 저도 직종상 가끔 절에 가기도 하구...
@user-qj4pd9ni6t
@user-qj4pd9ni6t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특히 조선시대 박해받던 천주교 신자들을 숭유억불당한 박해 선배(?) 불교 승려들이 품어줬던 역사가 있어서 더 뜻깊지요 ㅎㅎ 요새도 석가탄신일, 성탄절같은 날에 서로 교류하는 모습이 너무 보기 좋더라구요.
@user-eu8kh9gt5u
@user-eu8kh9gt5u 2 жыл бұрын
저는 천주교재단 고등학교를 졸업 했는대, 2학년때 담임선생님이 수녀님이셨는대 여름 방학때 백양사에 가셔서 일주일간 수행하셨던 이야기를 수업시간때 말해주시는데, 그땐 정말 컬쳐쇼크였어요. 내가 너무 닫혀있던 사람이구나..혼자만의 편견에 갇혀 있었군나 했어요. 담임수녀님덕에 종교에 대해 편견이 사라져서 너무 감사했던 기억이 나네요.
@zpzgie
@zpzgie 2 жыл бұрын
두 분 말씀도 잘하시고, 정말 유익한 내용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fw8fg8py9l
@user-fw8fg8py9l 2 жыл бұрын
저는 불교라서 성경은 정말 문외한인데 너무 유익해요!!
@GingorangNews
@GingorangNews 2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참 좋아보입니다 두 분이 내것이 무조건 좋아 주장하지도 않으시고 설명하시는 모습 참 좋습니다
@sjudhsdd2579
@sjudhsdd2579 2 жыл бұрын
두분이 서로 존중하니 이 얼마나 보기좋고 평화로운가..
@annachoi4367
@annachoi4367 2 жыл бұрын
스님 신부님 넘 좋은 정보 주세요~~ 감사해요
@user-bb4jk1zi4g
@user-bb4jk1zi4g 2 жыл бұрын
스님 팬이 될듯해요 ㅜㅜ 입담이 ㅎㅎ 너무 재미있네요
@jjinplus
@jjinplus 2 жыл бұрын
설에 템플스테이 신청했는데 잘 듣겠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휴식형이라서 아쉽네요~
@shhong5720
@shhong5720 2 жыл бұрын
저는 성당에서 관면혼배 했고 와이프는 영세 받았고 애들도 유아영세 받았습니다 그런데 성당이나 절이나 기독교처럼 배타적이지 않아서 좋더군요 결혼한 지가 벌써 24년이나 되었네요 아이엠에프때 결혼했네요
@Sal_love
@Sal_love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전 스님들 말씀이 좋아서 절에 진짜 가보고싶었는데 어머니가 교회다녀서 기회가없었는데 궁금증 해결이 많이되요
@tnlim5647
@tnlim5647 2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종교 종교는 담백하고 그냥 삶이어야 한다고 생각함. 편안하신 두 성직자 분들이 오히려 더 자연스럽지만 경외스러움. 부처님과 에수님도 다르지 않았을 듯
@saldagacello
@saldagacello 2 жыл бұрын
경, 율, 논 설명 참 명쾌하게 하십니다.
@user-kh2pz7et4e
@user-kh2pz7et4e 2 жыл бұрын
두분다 너무 멋지십니다 누군지 모르는 저이지만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user-ho7ni9wi6t
@user-ho7ni9wi6t 2 жыл бұрын
좋네요♥
@danielpark8054
@danielpark8054 2 жыл бұрын
저도 종교를 믿지는 않지만 마음이 무겁거나 고민이 있을때 사찰을 방문하곤 하는데 아무것도 모르고 절에 있는 가운데 계단으로 올라가서 그곳에 계시던 아주머니께서 알려주셨습니다 가운데 계단은 스님들만 사용하신다고... 너무 죄송해서 기본적인 예절은 알고 가야 할거 같아서 영상 보러 왔습니다 친절하게 설명해주신 두 분 너무 감사드립니다🙏🏻
@ponpirin
@ponpirin 2 жыл бұрын
이 스님 참 유쾌하신 분 같아 비록 종교는 다르지만 거리감 없어 좋네요. ^^
@seunghokkk7836
@seunghokkk7836 2 жыл бұрын
종교의 화합이 다른 게 없네요 두 분 모두 존경합니다. 🙏
@iliiilll20
@iliiilll20 2 жыл бұрын
너무나도 귀한 영상..❤️
@contiguous1
@contiguous1 2 жыл бұрын
awesome !!!
@joyok6506
@joyok6506 2 жыл бұрын
산행 다니다보면 산사에 꼭 들르게 되는데 나중에 유럽 성당 가보니 산사의 촛불과 성당의 촛불, 탱화와 벽화, 묵주와 염주, 흑색이나 회색의 수도복, 독신수도제 등 비슷한 점이 많아 놀랬어요.
@user-sp3pl7gt2m
@user-sp3pl7gt2m 2 жыл бұрын
이탈리아 성당 다니면서 한국 무당집 보는 것 같았음. 그림으로 카라풀하고 복잡했지요.
@geSonggg
@geSonggg 2 жыл бұрын
인강에서 빵터졌어요 ㅋㅋㅋ
@user-kr4sv4ki9x
@user-kr4sv4ki9x 2 жыл бұрын
두분시간 너무 재밌고 좋아요
@user-bw4dt6xh8j
@user-bw4dt6xh8j 2 жыл бұрын
다시 보니 좋습니다들
@Alma_mater9424
@Alma_mater9424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구독 했습니다.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user-rb2wm8pl9w
@user-rb2wm8pl9w 2 жыл бұрын
와~~두분 너무 신선한 컨텐츠 이네요~~ 이렇게 종교해석 넘 좋으네요!!^^
@applepie5037
@applepie5037 2 жыл бұрын
유용한 내용이네요. 두분 말씀 들으면 시간가는줄 모르고 봅니다.
@horollollo538
@horollollo538 2 жыл бұрын
이 두분 너무 좋아요 무교인데 두 종교 배워보고싶네요
@tonmin6894
@tonmin6894 2 жыл бұрын
"나의 말은 나의 것이 아니다" 너무 좋네요
@dddd1004
@dddd1004 2 жыл бұрын
종교의 자유평화 서로 종준해주신 모습 너무좋습니다.
@gskim5520
@gskim5520 2 жыл бұрын
스님 너무 재미 있으시네요. 뭔가 친근함이 ㅋㅋㅋ 신부님과 스님 두분의 콜라보 너무 좋습니다.
@leuni1808
@leuni1808 2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
@user-wo7su7fn7v
@user-wo7su7fn7v 2 жыл бұрын
다른 종교 두분이 재밌게 대화하시고 설명해주시는게 감동이고 정말 즐겁게 다가옵니다. 잘 봤습니다
@KR_Bluetooth
@KR_Bluetooth 2 жыл бұрын
싼티아고 순례길 한국인특 *힘들면 우버타고 다음코스가도 되는데 끝까지 걸어서 완수함 *익숙한 등산복이 보이면 한국인 *해가 질녘에 어디서 익숙한 냄새가 나서 가보면 한국인이 라면 먹고있거나 끓이고 있거나
@user-ig3kg7oe3i
@user-ig3kg7oe3i 2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쏙쏙 되네요~~~~넘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hshhg9033
@hshhg9033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두분께서 하시는 말씀을 듣고 불교신자이지만 성경도 한번 읽어보기로 했습니다.
@surfkor3691
@surfkor3691 2 жыл бұрын
천주교 신자이지만 좋은 스님말씀 깊이 새겨 들었습니다.
@user-st2my4yr7d
@user-st2my4yr7d 2 жыл бұрын
‘신과의 교감을 위해 본인의 생각, 말, 행동이 올바라야 한다는 베이스가 깔려있는 종교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 이걸 왜??
@user-ee7er8dg1h
@user-ee7er8dg1h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스님, 어느 사찰에 가면 뵈올 수 있습니까? 본인 개신교 신자지만 레알루다가 설법 들으러 가보고 싶습니다. ㅋㅋㅋ
@user-os1lh6uz4e
@user-os1lh6uz4e 2 жыл бұрын
오오....너무 좋은 정보들이에요!
@user-qt9gz2mc8q
@user-qt9gz2mc8q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다 진짜 서로 존중하면서 유쾌하게 대화하는 모습 보기 좋아
@Kanna_matcha
@Kanna_matcha 2 жыл бұрын
어렸을때 할머니 따라서 절가면 항상 절하고 절밥 얻어먹고 떡 받아오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아 그리고 어렸을때 였어서 그런지 가운데 문으로 들어가도 안혼났었는데... 좀 죄송해지네요....ㅠㅠ
@ohnato
@ohnato 2 жыл бұрын
전통 양식 건축물에 출입문이 세개가 있는 경우 가운데 문은 일반적인 사람이 드나드는 문이 아닙니다. 또한 그문과 이어지는 길가운데가 좌우와 구문된다면 또한 일반인은 그곳 좌우 편으로 통행해야 합니다. 대표적인곳이 종묘 입니다.
@user-bt3sw2us7l
@user-bt3sw2us7l 12 күн бұрын
사람에 차별을 두는게 종교 입니까. 부처님은 위아래 차별이 없다고 하였고 승속을 인정하시지 않았습니다 권위에 찌든 종교는 원래의 뜻과 벗어난 것입니다.
@user-fw7bq7sd3w
@user-fw7bq7sd3w 5 ай бұрын
스님 신부님 말씀 너무 멋저요 감사해요 종교화합 감사합니다
@user-hk4ne4jv7c
@user-hk4ne4jv7c 2 жыл бұрын
사면초가에 있는 요즘 세대 그게 딱 저네요ㅜㅜ 종교는 불편하게만 느껴졌는데 한번읽고싶은 마음이 들어요
@EstelleSO
@EstelleSO 2 жыл бұрын
두분 다시 뵙고 싶어요 !!!!
@Full-Moon0228
@Full-Moon0228 2 жыл бұрын
스님이랑 신부님 말씀하시는게 어린애들이 울아빠가 더 쌔다라며 투닥거리는 거 같으면서 성인들이 깨달음을 알려주시는거 같아서 재밌게 보고있어요.
@eunzycrazy
@eunzycrazy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게 보고 있고 두분이 이야기 나누는 모습이 너무 멋져요!
@user-nl8zz9jt6j
@user-nl8zz9jt6j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잘 들었습니다 사경을 해보고 싶어지네요
@jaby1108
@jaby1108 2 жыл бұрын
(전 천주교입니다) 아니 밥먹는 곳이 그것도 얻어 먹는거라면 그곳의 룰과 문화를 존중하는것이 예의 아닌가;; 절에서 성호를 긋는 사람이 있다니 ㅡ0ㅡ;; 그러면 아예 먹지를 말던가 상호 존중입니다. 내 종교가 중요한 만큼 상대방 종교도 존중해야 자기가 믿는 종교가 더 빛을 바라는 법입니다.
@jkoh4642
@jkoh4642 2 жыл бұрын
진짜 종교인이십니다. 두분 모두
@jotedko9330
@jotedko9330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보면 지루할 수 잇는 내용을 재치있게 설명해 주시고 유익한 시간이였어요ㅎㅎ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1❤️#thankyou #shorts
00:21
あみか部
Рет қаралды 88 МЛН
Climbing to 18M Subscribers 🎉
00:32
Matt Larose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황창연 신부의 행복특강│화나십니까? 1부
45:16
cpbcTV가톨릭콘텐츠의모든것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스님은 군대에서 고기반찬 나오면 어떻게 할까
17:44
스브스 예능맛집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