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사담_

  Рет қаралды 91,919

354 삼오사

354 삼오사

10 ай бұрын

*본 영상은 '한국장학재단'의 유료 광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여러분! 대학 진학은 필수일까요?
또, 각 나라별 대학 진학률은 얼마나 될까요?
한국에서도 대학을 가지 않고
일찍부터 자기의 진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있다고 하는데요!
어떤 방법이 있는지 그리고 관련 제도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지금 진로를 고민 중인 구독자분이 있다면,
이번 영상 꼭!!! 시청해 주세요👍
★직업계 고등학교가 궁금하다면?★
↓↓↓↓↓↓↓↓↓↓↓↓↓↓↓↓↓
#하이파이브 www.hifive.go.kr/index.jsp
#고졸만잡 portal.kosaf.go.kr/CO/jcActio...
#중앙취업지원센터 / moe_centralwork
#직업계고 #마이스터고 #진로 #4차산업
문의 : jtbcstudio.354@gmail.com

Пікірлер: 150
@chrislee4940
@chrislee4940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학력인식 바뀌어야 한다는 말에 100% 공감하는데, 고졸이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학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석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박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음. 우리나라는 시스템 자체가 기형적인 것도 있고 인식도 이상해서 적어도 대졸부터, 그것도 대학별로 급을 심하게 나눔. 거기다 고졸이 할 수 있는 일을 대졸을 시킨다거나, 온갖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일을 시킴. 업무 역량이라는건 상대적인데도 골때리는 방식으로 프로세스가 돌아감. 최고 급선무로 바뀌어야 할 과제임.
@user-rv5tp1or8k
@user-rv5tp1or8k 9 ай бұрын
고졸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고졸만해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는거죠...
@New-ot5vd
@New-ot5vd 8 ай бұрын
​​@@user-rv5tp1or8k뭔가 오해하는것같은데 그걸하는사람이있고 못하는사람이있는겁니다. 능력을봐야하는데 학력을보는것도 문제죠.
@user-rv5tp1or8k
@user-rv5tp1or8k 8 ай бұрын
@@New-ot5vd 그러니 제 말이 더 맞지 않나요? 그 이상의 학력이 없어도 가능한 일들은 많으니깐요.
@kusankr
@kusankr 9 күн бұрын
어떤 직종은 학력제한을 대졸 이하로 두니 대졸자가 몰려들고 불평함.
@oujijok
@oujijok 8 ай бұрын
진짜 좋은 토론이다. 아마도 토종 한국인들이 했더라면 이렇게 풀어나가기 쉽지 않을 거다. 다문화 국가의 힘은 바로 이런 다양한 사고방식과 생활관과 인생관을 가진 이민자들이 어우러져 나오는 것임을 느낀다. 바로 미국이 그 좋은 예다. 그리고 눈 감고 이 토론 들어보자. 다니엘은 토종 한국인이다. 럭키와 알베 역시 토론 진행이 진짜 너무 출중하다. 한국사회의 시야를 넓히고 고정관념을 성찰케 하는 이런 다국적 다문화적인 통찰 프로그램은 더 많이 만들어 지면 좋겠다. 투 썸즈 업!
@inforiximo
@inforiximo 10 ай бұрын
독일은 항상 볼 때마다 감탄이 저절로 나오네요. 특성화고생인데, 많은 나라들이 엔지니어와 기술적 발전에 눈독을 들이는 걸 역으로 생각해 놓치고 있는 행복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걸 학과로 만들었군요..
@user-iy6wr1bz5n
@user-iy6wr1bz5n 9 ай бұрын
박정희시대부터도 독일은 한국의 롤모델이죠
@user-fv8xm1sx1k
@user-fv8xm1sx1k 10 ай бұрын
아무 생각 없이 학과를 정해서 대학가는 사람 많죠. 결국 다른 직업을 가지게 됩니다 이런거 매우 중요한 내용이에요
@helloareyouthere
@helloareyouthere 9 ай бұрын
뿌리깊는 상명하복 양반사대부 유교문화 깨져야 해요. 실용성이 중요한데 선비문화가 불행을 가져왔습니다.
@user-ur6md9cm4h
@user-ur6md9cm4h 10 ай бұрын
총체적 교육시스템 개혁필요~~ 국영수 영업카르텔 깨부셔야 한다 !!!!
@gyeseee
@gyeseee 10 ай бұрын
직업엔 귀천이 없다고 생각하는사람인데, 열린 대화 건설적인 토론 내용 너무 좋네요^^ 삼오사분들 포함 각자 위치에서 열정적으로 임하시는 모습들 보면 다 너무 멋진거죠~
@gueungyeun
@gueungyeun 9 ай бұрын
저는 이번에 부동산 중계업자한테사기 당하면서 직업에 귀천있다고 생각함.. 직업의식없이 일하면 결국 그 직업은 사랑받지못하고 사라질겁니다... 국민들이 없애고 AI로 대체하자고 하는직업 판사 검찰 ㅋㅋㅋㅋ
@gyeseee
@gyeseee 9 ай бұрын
@@gueungyeun인격에는 귀천있는거같아요뭔들 사바사 캐바캐이지않을까.. 함부로 일반화 노노
@gueungyeun
@gueungyeun 9 ай бұрын
@@gyeseee 전세사기 카페 가보세요 보조원부터 양야치 천지임.. 폰팔이.. 중고차딜러 등등.. 맞는거 같아요 그건 그사람들 잘 못!
@user-po2kk3ox3v
@user-po2kk3ox3v 9 ай бұрын
직업에 귀천이 있으니까. 없다고 말하는거임.. 인종차별 반대 운동 엄청하죠? 왜요? 인종차별 엄청 하는 사회잖아요,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주장하죠? 왜요? 직업에 귀천이 있는사회잖아요.. 그런식임.. 사실상.. 우리는 모두 평등합니다. 사람이 다 평등해요? 중동 왕자랑, 3세계 거지랑 평등해요? 아니잖아요, 이 사회가 A일때 그 A의 반대를 주장하는게사회죠? 그 논리 대로라면 직업에 귀천이 다는 것이. 거의 확실한듯요,, 공부잘하는사람한테 공부하라고 안 함. 직업에 사실상 귀천이 있다시피 하니까.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캐치프라이즈성으로 주장하는거임. 솔직히 직업에 귀천은 있긴하지..
@pulgacsi
@pulgacsi 7 ай бұрын
​@@user-po2kk3ox3v직업에 귀천 잇습니다 인간은 태어날때부터 불평등합니다 잘못가르치는거죠😂
@ivwhjsusvw967
@ivwhjsusvw967 10 ай бұрын
이런 토론 너무 좋다
@user-gp6cp1so2x
@user-gp6cp1so2x 10 ай бұрын
저도 회계학과 나와서 전공과 아무관련 없는 자동차 부품회사 생산자재관리 하고 있음,, 지금 내가 하는 일 대학 안나와도 할수 있음, 그러나 대학 안 나오면 회사에 들어갈 수가 없음,,
@minari51830
@minari51830 8 ай бұрын
저희 남편도 회계학과 전공했는데 지금은 자영업 하고 있어요 🤣
@heesunyu1482
@heesunyu1482 8 ай бұрын
고졸과 대졸 임금격차도 커요
@seokjiniya
@seokjiniya 10 ай бұрын
사실 난 실무를 배우고싶었음 중학교때부터.. 근데 인문계 가서 대학가는게 부모님이 생각하는 기본이었기때문에 그렇게 갔음.. 그리고 전공이고 뭐고 전혀 상관없는 일을 돈만 보고 하고있음..
@chrislee4940
@chrislee4940 10 ай бұрын
부모말 진짜 걸러서 들어야함..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면 피봄
@bour.bonnnn
@bour.bonnnn 10 ай бұрын
부모님 맘도 이해하는게 대학 안갔으면 애초에 지원자격 안되는 일이 절대다수 입니다 뭘 하고싶었는지 몰라도 대학은 기본발판이자 플랜b임 고졸로는 하고싶은거 했다가 조지면 플랜b가 없음 무조건 노가다임
@aDhVanz
@aDhVanz 9 ай бұрын
단순히 '실무를 배우고 싶었다.'가 아니라 정확히 하고싶은 '분야'가 있으면 지금도 어떻게든 계속 파면 되죠. 왜 그 마음이 사라졌죠? 왜 돈만 보고 일하고 있죠? 허성태 배우는 LG전자 유러시아 영업부에서 호텔영업하던 사람입니다. 그리고 34살에 퇴사하고 배우가 되었죠. 성인이 되면 모든 선택은 자신의 책임입니다.
@soh7021
@soh7021 9 ай бұрын
내인생인데 부모가 참견하는게 노답인한국 스스로 자기인생에서 혼자 결정을못함
@herahappyclass9140
@herahappyclass9140 10 ай бұрын
럭키, 알베, 다니엘 감사합니다;) 특성화고에서 의상을 가르치는 교사로서 너무 반갑고 고마운 주제에요!
@user-ze2xr2sn1g
@user-ze2xr2sn1g 9 ай бұрын
다니엘씨는 눈감고 들으면 한국사람 같어요.오늘 특성화고 다니는 아들 기숙사 데려다주면서 이 이야기가 했는데 일반고 다니는 친구가 무시한다고.중1부터 좋아하는 진로 정해서 열심히 한 아들인데 그소리 들으니 속상합디다.인생은 살아봐야 아는데 정답이 없어요
@user-qj9hg6lt2g
@user-qj9hg6lt2g 10 ай бұрын
정말 공감되고 유익한 영상입니다~ 저도 미리 이런생각 깨우쳤었다면 좋았을걸 후회가 됩니다~ 직업에 귀천없어요~~♡♡♡
@blanche33
@blanche33 9 ай бұрын
얘기를 듣다보니, 일단 우리나라는 직업계고 가면 상대적으로 공부못해서 간다는 인식을 바꾸기 어려워서, 아예 명문고들도 똑같이 모든 고등학교를 특성화 시키는건 어떨까 싶어요. 예를 들어 휘문고가 체육학 특성화가 된다던지 하면 학군이나 명성이 아니라 체육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이 갈테니 점점 경계가 없어지지 않을까요
@gracep4256
@gracep4256 9 ай бұрын
8학군은 SKY목표의 특성화고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체육계는 체고들이 존재하고 전국체전 출전급의 다양한 스포츠와 시도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수많은 학교에 전국단위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몇만명 단위의 규모인데 몇개의 학교로 이 규모를 수용할 수 없습니다.
@orbit__
@orbit__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아직 대학 안나오면 인식이 안좋은거 같긴 해요 전에 누군가랑 채팅을 하는데 고졸이라고 하니까 공장에서 운동화에 본드 붙이냐고 조롱 하더라고요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아직까진 학벌이 중요한것 같아요..
@jmlove5556
@jmlove5556 9 ай бұрын
너무 유익하고 애정하는 프로. 오늘 다니엘 너무 귀여워요 ^^
@user-tj7uu3em9y
@user-tj7uu3em9y 9 ай бұрын
삼오사 덕분에 이런 사회 인식에 쩌들어 문제라고 느껴도 생각해보기도 답없다 느끼던 부분을 토론으로 해소시켜주셔서 정말 좋은 컨텐츠라고 생각해요😊❤
@user-hm8cm2nn7m
@user-hm8cm2nn7m 9 ай бұрын
토론 넘 좋아요~~ 👏👏👏😄
@nvmjv3
@nvmjv3 10 ай бұрын
고졸로 공기업이나 공공기관, 대기업 등 취업하면 회사다니면서 야간대학으로 대학도 다닐수있고 등록금도 지원해주는 곳 많더라구요. 제 입사동기중에도 고졸들이 있었는데 이 루트 타는 사람들 많았어요.
@dagam-qp1rw
@dagam-qp1rw 10 ай бұрын
공감합니다. 하지만 기업에서 차별적 임금제도 때문에 사회적 차별이 생깁니다.
@wednesday141
@wednesday141 9 ай бұрын
임금차별은 당연한거임
@dhc1160
@dhc1160 3 ай бұрын
공감해요. 고교에서 이미 세분화된 전공 수업 듣는 거 좋아보이고 고교졸업후 자기일 하는 것도 참 좋아보이는데, 결론은 취업후의 임금격차때문에 대졸을 고집하게 되는 것 같네요.
@wnals3896
@wnals3896 10 ай бұрын
인문계고는 30프로만 가고 나머지는 농/수산/공업/상업/가사실업 이 70프로가 가야되는데 이게 반대가 되어버림 ㅋㅋ
@user-wy1ik5sv4r
@user-wy1ik5sv4r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학력이 능력과 같진 않아도 급여나 직장 선택의 범주가 상당히 넓어져요.학력이 낮으면 능력이고 자시고 노동자로서는 답이 없고 개인사업 해야해요.
@user-tc4hc2nf4r
@user-tc4hc2nf4r 8 ай бұрын
독일과 이탈리아의 교육은 배울만한 가치가 있는듯.한국은 너무 빠르고 일찍 그리고 과거 암기식 주입교육 ,경쟁,독식,치열함. 자원이 워낙 없는 나라다 보니 그런 공부 환경도 있는듯
@Tyrannosaurusrex0306
@Tyrannosaurusrex0306 8 ай бұрын
고등학교때부터 28개의 과로 나뉘는게 부럽네요~~~~~
@user-fw3ir3sj8y
@user-fw3ir3sj8y 10 ай бұрын
깊고 수준높은 토론 멋집니다 전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EmmaKim23
@EmmaKim23 9 ай бұрын
알베르트 진짜 속이 시원하고 정말 근본을 잘 찌른 거 같네요
@minkyunoh4805
@minkyunoh4805 10 ай бұрын
유익한 내용 잘봤습니다 ㅎㅎ 좋아요
@user-wz3sj2nf6z
@user-wz3sj2nf6z 7 ай бұрын
난 알베형이 왜케 좋치? 얼굴도 몸도 정신도 다 멋져!!!
@lsa81283
@lsa81283 9 ай бұрын
세분 이야기에 200프로 공감합니다 각자 재능에 따라 어느 무엇의 눈치 보지 않고 학교와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나라가 진짜 좋은 나라라고 생각되요 그런 면에서 한국 학생들은 참 불쌍합니다 우리 나라도 학교와 직업에 대한 편견이 없는 사회로 나아가길 바래봅니다
@user-op4rw7ox5q
@user-op4rw7ox5q 9 ай бұрын
알베 깊은 지식 놀랍고 멋져요 3분다 감동 이에요 ❤❤❤
@1wayjesus2
@1wayjesus2 9 ай бұрын
토크 너무 좋아요!!!!! 우리 기성세대들과 사회 분위기가 어떻게 바뀌고 변해야 되는지 너무 잘 알고 계시네요. 멋집니다!!!!
@user-xw9jc5lg5r
@user-xw9jc5lg5r 11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유튜브 예능이 재미가 있으니 티비를 볼일이 적어요
@user-hh6un8gl3g
@user-hh6un8gl3g 9 ай бұрын
알베님 발음이 너무 좋아졌네요^^ 듣기에 너무편안해요 응원합니다
@user-rs9jx3lk9n
@user-rs9jx3lk9n 9 ай бұрын
처음 봤는데 재밌네요~ 다니엘 넘 좋아요^^!!!
@pulgacsi
@pulgacsi 7 ай бұрын
저는 꿈에 다니엘 나왓어요 😂
@user-nt8ps3bv6v
@user-nt8ps3bv6v 10 ай бұрын
교육을 잘 하는것이 어렵네요~😢
@graziachoees9773
@graziachoees9773 8 ай бұрын
그런데 명심해야 할 점은 바로 저 세 분들은 다들 대학을 나오신 후 한국에 오셔서 방송을 하십니다.ㅎㅎ 속지맙시다.
@jennykim2817
@jennykim2817 9 ай бұрын
고1 중2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써 오늘 영상 많이 공감하고 가요!!!
@sabik8474
@sabik8474 10 ай бұрын
각 분야에서 최고가 되지 않는 이상 현 한국 사회에서 고졸이란 타이틀만으론 유리천장을 깰수가 없는 구조임.... 알베는 아직 한국 사회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듯..
@bour.bonnnn
@bour.bonnnn 10 ай бұрын
그렇죠 심지어 최고가 되려면 그 분야에 들어가야하는데 고졸은 애초에 지원자격이 안됨 지원자격 되는 곳은 끽해야 알바급 ㅈ소 지게차,고졸전형 공기업, 타일,도배 같은 기술직 노가다 말고는 진짜 없음..
@jjmangolee4047
@jjmangolee4047 3 ай бұрын
@@bour.bonnnn기술직이나 소위 노가다를 무시하는 문화 자체가 문제... 직종 업종에 따라 급여수준의 차이가 유럽 나라들에 비해 너무 심해요 한국은 ㅠ
@wyshryfbxhxhd
@wyshryfbxhxhd 10 ай бұрын
평소 티비틀어놓고 유튜브보는 입장에서 퇴근하고 다시보기로 챙겨본 유일한 프로그램이 비정상회담이었음. 시즌제로 다시 했으면 진짜 좋겠음.
@user-df2gv7gk6i
@user-df2gv7gk6i 28 күн бұрын
유익한 방송이네요~ 우리나라는 사실 공부에 너무 올인하는 경우여서, 조금 문제 있다고 봐요 무조건 공부보다 보다 생산적으로
@TV-lc7hx
@TV-lc7hx 10 ай бұрын
난고졸이지만 거짓말안하고 주위대학나온친구들 전공을살려일하는친구 제로 심지어 다들 중졸도일할수있는일하고삼
@user-gp6kq2mv6z
@user-gp6kq2mv6z 9 ай бұрын
그게 현실.
@user-ry9is4bj9j
@user-ry9is4bj9j 9 ай бұрын
럭키 너무 귀여워
@arcopfiasful
@arcopfiasful 8 ай бұрын
재밌다 최고❤
@jayoungkim8087
@jayoungkim8087 9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응원 합니다.
@user-vv3bb1jj4f
@user-vv3bb1jj4f 10 ай бұрын
다니엘님 넘 좋아요. ❤
@user-ww7fo3th5l
@user-ww7fo3th5l 6 ай бұрын
너무재미있어서 중독되네요
@user-wm3mz9mc1y
@user-wm3mz9mc1y 12 күн бұрын
항상 응원합니다. 세 분
@user-zw1hv9fj8z
@user-zw1hv9fj8z 9 ай бұрын
알베르토님 말에 완전 공감합니다
@user-xf9rn7jw7d
@user-xf9rn7jw7d 9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열심히 살아가는게 존경스럽네요 홧팅
@user-qkrwltjd0242
@user-qkrwltjd0242 10 ай бұрын
자주좀 올려주세요~~~~
@user-id3yh5di1v
@user-id3yh5di1v 10 ай бұрын
널리알려야할 내용이네요 대본을 진짜 잘 쓰셨네요. 알차고 짜임새있게 ~^^
@jantulman
@jantulman 9 ай бұрын
재밌음ㅋㅋ
@user-df2gv7gk6i
@user-df2gv7gk6i 28 күн бұрын
끝에 너무 웃겼어~😂 유익한 방송 많이 해주세요
@user-nr9vb2uk9h
@user-nr9vb2uk9h 9 ай бұрын
354 세분 좋은정보 감사드려요
@s.hhwang2548
@s.hhwang2548 4 ай бұрын
알베님의 말씀에 넘 공감합니다. 멋진 부모님의 마음.
@user-dz5xg8qg1g
@user-dz5xg8qg1g 4 ай бұрын
힐링이 되는건 뭐지 ~????
@YDSnim
@YDSnim 10 ай бұрын
드디어 떳다
@bdrainstar5013
@bdrainstar5013 7 ай бұрын
영상 보면서 진짜 우리나라도 인식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에 끄덕끄덕!!
@user-kr1ro5xc3g
@user-kr1ro5xc3g 9 ай бұрын
세분께서 확실한 정의를 내려 주시는 것 같네요... 본인의 일, 하고 싶은 것을 해야 행복감을 느끼는 것 같아요:)남이 뭐라고 하든지 말든지 나의 인생은 자신이 만드는 것 입니다! 다들 행복하세요 ~
@user-fj1ld1rh3l
@user-fj1ld1rh3l 9 ай бұрын
🇰🇷 한국에 있어줘 😊 감사드려요 Thank ❤❤you🎉🎉
@u2na1990
@u2na1990 8 ай бұрын
저도 항상 그 걱정이에요 지금 학교에서 벌써 코딩 가르치기 시작한 지 오래됐는데 내 또래 그 이상 세대들까지 포함해서.. 세대별로 IT기술 교육면에서의 갭이 지나치게 크게 벌어지는게 아닌가.. 단순히 나이들어 기계 잘 못다루는 기계치에 머무는 수준이 아니니까.
@user-il7br5go4z
@user-il7br5go4z 10 ай бұрын
중3 학부모인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em5hc1nh4f
@user-em5hc1nh4f 9 ай бұрын
아이가 중 3이면 마이스터고 ..적극 권유해보세요..엄청 좋아요..공기업.대기업 취업 짱!! 대학공부는 사이버 대학 추천^^ 꼭 미련스럽게 대학 대학 할 필요없어요~
@user-oh9dn4vn6k
@user-oh9dn4vn6k Ай бұрын
10년전에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햤는데 그때 분위기기는 적성을 빨리 찾는다보다는 빨리 취업해서 돈을 벌고싶은 친구들이나 인문계를 가서 따라 가지 못할것같은 친구들이 많이 가는 분위기였죠 저는 부모님이랑 싸워서 특성화고 갔어요 학비내줄거 아니면서 왜 대학가라하냐고… 배우다보니 적성에도 맞고 또래보다 빨리 취업하다보니 돈도 있고 자존감도 올라가고 나중에 배우고 싶은게 생기면 대학가야지하던중이였는데 10년동안 이제 대학안나왔다 하면 제일 많이 드는 소리가 왜 안갔냐 그래도 갔어야지라는 소리… 20대 초반엔 있던 자존감이 후반으로 갈수록 뚝뚝 떨어지더라구요 적성에 맞는 일인줄알았던게 하기 삻어지고 친구들이 아직 꿈꿈 거릴때 나는 뭐하나 싶고 그러다 결국 늦게라도 배우고싶은 맘이 생겨 작년애 대학을 갔어요 저는 그때나 지금이나 이선택을 딱히 후회하거나 그렇진 않아요 일하다 배우고 싶은게 생겨 대학가는 거요 근데 그 사회분위기때문에 주눅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이 영상이 많은 힘이 되네요 알베님의 인식이 많이 바뀌어야한다는 말 감사합니다! 이런 인식이 바뀌어서 어린친구들이 저처럼 주눅들고 그러지 않았음좋겠어요
@user-ry9is4bj9j
@user-ry9is4bj9j 9 ай бұрын
여기서 우리가 착각하면 안되는 점이 있어요. 럭키 다니엘 알베 이 3분은 대학 나왔죠. 그리고 다들 성공한 분들 입니다. 그런 분들 입장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거에요. 특히 3분 모두 인성도 좋은분 이니까 좋게 생각하시는 거에요. 그렇다면 보통 한국인 입장에서 이야기 해보면 어떨까요? 대졸이 고졸에게 그렇게 이야기하면 욕하는게 됩니다. 고졸 입장에서는 좋게 받아들여지지 않아요. 고졸과 고졸이 대화할때는 상관없죠. 그러나 대졸이 고졸에게 그렇게 이야기할때는 고졸은 치욕을 느끼게 될 거에요. 요즘은 어깨만 부딛혀도 대학생 이라고 하잖아요. 지방대는 머릿수도 못채우기땜에 걍 지원하면 붙잖아요. 사실 대학을 못갔다고 표현하기보다는 안갔다고 표현하는것도 맞긴 하죠. 그러나 평생 백수를 한다해도 간판은 따고 백수를 하라고 부모들은 이야기 합니다. 뭐 결국 자기인생 자기가 사는거긴 한데 괜히 인생 꿀리게 살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우리나라에서 고졸은 사실 인식이 좋진않잖아요. 대신 돈이 아주 많다면 그런게 다 묻히긴 하지만 돈이 많은 사람도 속 으로는 꿀려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그걸 어떻게 아느냐 라고 묻는다면 야간대학 지원해서 다니는 사람들 중 어디 대표, 어디 중소기업 임원, 사장 들을 좀 봐서 그렇습니다. 남부러울거 없어 보이던데 학벌 하나 있고없고에 그렇게들 존심이 상하는듯 하더군요.
@user-em5hc1nh4f
@user-em5hc1nh4f 9 ай бұрын
전국의 마이스터고 알아보시고 자녀에게 권유해보세요~~~ 공기업.대기업 취업 잘돼요^^
@youngshealingyoga583
@youngshealingyoga583 9 ай бұрын
현재 독일 Kaiserslautern 거주중입니다. 독어 않배우고 영어로 버티다가 세분 말씀 듣고 마음이 착잡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jjmangolee4047
@jjmangolee4047 3 ай бұрын
아닌 척들 해도 직업에 귀천이 있는 나라라서... 이런 마인드 바뀌기 전에는 교육 문제 절대 해결 못할듯요. 슬프네요.. 그래서 아이 데리고 해외로 나가려고 해요. 한국에서는 직업에 대한 그리고 학벌에 대한 압박 때문에 미래가 암울하네요
@door-fo1se9eh3c
@door-fo1se9eh3c 10 ай бұрын
노래로치면 실용음악과 간다고 무조건 노래잘한다고생각하는분들많던데 거기굳이 안가도 노래잘하는사람이많죠
@yealk9725
@yealk9725 10 ай бұрын
유럽은 유치원부터 이미 계급화 되는 걸 압니다. 한국은 교육이 너무 개방되어 있어 본인의 실력에 의해 학교가 결정되고 졸업 후 직업도 갖고 직업에 따라서 계층이 형성되니 어릴 때부터 대학 갈 때까지 기회를 주는 과정이니 치열한 경쟁이 심하다고 봅니다. 즉 부모의 직업 등 따라 자식의 미래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환경은 다르지만 결과는 본인의 노력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봄
@yealk9725
@yealk9725 9 ай бұрын
저가 말하는 건 초기에 즉 태어나 부모의 경제력이 아닌 다른 것으로 이미 갈 학교가 정해 지면은 최상류층은 고정된 교육으로 갈 것이고 나머지는 능력에 따라 이 능력은 재능과 경제력 임, 한국은 경제력만 받침되면 모든 학교이 개방되지만 유럽은 안 그런 곳이 많다는 애기 경제력과 신분 만약 한국에서 신분으로 학교를 결정하면 순간 사회는 혼란이 옴
@DubistdasBeste
@DubistdasBeste 9 ай бұрын
어느 유럽국가에서 유치원부터 계급화가 되어있나요??
@MrWhitney4e
@MrWhitney4e 8 ай бұрын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한국이야 말로 돈있는 집안에 태어나서 사교육 빵빵하게 지원받고 자라는 학생들은 그렇지못한 학생들보다 좋은 학교에 들어갈 확률이 훨씬 높죠. 본인의 실력에 의해 학교가 결정된다라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하기가 힘듭니다. 님의 논리대로면 이게 보이지 않는 계급화가 아닌가요? 반면 북부/서부 유럽의 대부분 국가는 대학교육까지 국가 지원으로 (지역별 차이는 있지만 학비, 생활비 지원되며 약간의 행정비용만 학생이 부담합니다. 전혀 부담스럽지 않은 수준의 비용이구요) 이루어진 시스템이라 그야말로 본인이 원하고 실력이 된다면 자유롭게 고등교육을 추구하는데 걸림돌이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위 영상에서 나왔듯이 유럽국가에선 한국처럼 대학이 학생들의 삶의 궁극적 목표가 아니며 대학교육 없이도 행복하게 사는데 대부분 문제가 없기에 학교/입시 경쟁에 발목매여 사는 사람들이 없습니다.
@yealk9725
@yealk9725 8 ай бұрын
@@MrWhitney4e한국은 계층간 이동이 쉽죠 예로 두 분의 대통령은 최하층에서 고시 공부로 대통령이 되었고요 어느 사회고 있는자가 유리한 것 맞아요 문제는 노력을 해도 집입이 불가능한 계층이 있으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유럽의 수상들 평민의 자식이 있나요 대부분 귀족 출신으로 특수한 사립교육을 받는 사람만 정부의 중요보직에 임명되는 것이 다 아는 사실입니다. 그러나 한국은 일단 입문하면은 본인의 노력이 수반되야 합니다. 출신은 지연이나 학연 뿐이고 가문과 관계가 없습니다. 이런 부분을 말한 것입니다.
@jjmangolee4047
@jjmangolee4047 3 ай бұрын
유럽 어느 나라에서 살아보시고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 프랑스 영국에서 오래 살다 왔는데 그런 분위기 아니던데요...??? 한국이야말로 돈으로 사람 구분하는 한심한 문화죠
@user-mx9mk9oj5d
@user-mx9mk9oj5d 10 ай бұрын
놀면 뭐하니 공부해야지.. 리듬있게 말하고 손동작이 들어가니 너무 웃겼습니다.ㅎㅎㅎ
@lIllllIlllllIIIIIIIllllIIlIlll
@lIllllIlllllIIIIIIIllllIIlIlll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이탈리아처럼 대학교는 진짜 학문에 관심있는 사람, 연구원처럼 진짜 학문이 필요한 직업 말고는 나머지는 고등학교에서 충분히 가능할거 같음..
@user-qh1rv1zz2j
@user-qh1rv1zz2j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학이 직업이나 그런게 문제가 아니라 다른 세상을 생각할 유일한 루트이다 싶이 해요. 그전에는 다들 하나만 생각하니까
@user-gk9wf8ix2d
@user-gk9wf8ix2d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대학가기 전에 공부를 많이하죠. 유럽은 공부 안한 상태에서 대학을 가니 기초가 없어서 졸업하기가 어려운 것은 아닌지. 요즘 한국 대학생 엄청 공부합니다. 유럽대학생 보다 더 열심히 하는것은 아닌지.
@user-qj9sh9nb1e
@user-qj9sh9nb1e 10 ай бұрын
실업계에서 대학교 갈사람은 수능준비하고 자격증따고 바로 일가서좋더라구요 학교에서 자격증 준비하고 따서 일바로 돈벌어서 좋은거같아요
@user-ok2dk5qg9q
@user-ok2dk5qg9q 10 ай бұрын
저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입니다... 근데 솔직히 제가 가르치는 제자들에게 전 대학은 꼭 가라고 말합니다. 우리나라 실정에는 대학은 나와야 뭔가를 할 수 있으니까요. 좋은 말씀이기는 하지만 공감은 가지 않네요. 우선 사회가 고졸자에게도 똑같은 취업조건, 임금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 전 공부를 열심히 해서 대학에 가라고 말할 수밖에 없네요
@bour.bonnnn
@bour.bonnnn 10 ай бұрын
대졸과 고졸이 페이가 공평하다면 역차별 같고 전문기술분야로 고졸이나 자격증,실무 위주로 인정해줘야 하는데 지원자격이 4년제 기본이라 애초에 지원요건이 안되니 고졸로는 사람구실하기 힘든 나라임
@ninaahw4128
@ninaahw4128 9 ай бұрын
임금적어도 자기한테맞고 자기가그일에만족하면그만......
@sein1322
@sein1322 9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입시 교육 관련해서는 한국은 이제 좀 바뀔 타이밍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pulgacsi
@pulgacsi 7 ай бұрын
언제 바뀌려나.. 국개의원들은 도둑질 할 생각만하니..
@user-nb4fp4uy5q
@user-nb4fp4uy5q 9 ай бұрын
직종별 소득이 너무 차이나서 그렇겠죠 그런 계단을 파괴해야 그런 사회가 될꺼 아닐까요?
@gangwooheukwoon9186
@gangwooheukwoon9186 10 ай бұрын
😁
@jaeoh2939
@jaeoh2939 9 ай бұрын
애청하면서 보고 있는데 만약 길에서 만나면 그냥 바로 한국어로 대화해도 어색하지 않을 수준이시네요. 그리고 방송도 아주 알차고 재밌습니다.앞으로도 방송 응원합니다. ~ 저도 미국에서 대학과 직장을 다녀서 감정적으로도 외국 생활 이해도 가고 동질감 많이 느낍니다.
@user-bx6mk5on8x
@user-bx6mk5on8x 9 ай бұрын
화학 전공했는데 하는 일은 밸브 열고 닫고 하네요... 영어는 왜 공부했던 건지 사용 영단어 90% 온 오프....
@user-ct8iz9su2h
@user-ct8iz9su2h 10 ай бұрын
흑흑 저희 학교는 이번에 1주일 방학이었어요ㅠㅠ
@koonchoi1572
@koonchoi1572 10 ай бұрын
아이 아빠로 되게 고민되는 지점이 많습니다
@user-kk3fd6fc5q
@user-kk3fd6fc5q 9 ай бұрын
@user-ov6rk6xo8m
@user-ov6rk6xo8m 9 ай бұрын
한국은 단순 인식이나 의식의 문제는 아니라고 봄.. 유럽처럼 관광객들이 오는 나라도 아니고 인도,중국,미국 처럼 내수시장이 크지도 않고 어떤 나라들 처럼 땅파면 자원 나오지도 않음.. 한국이 가진건 휴먼리소스 밖에 없고 수출 아니면 먹고 살 수 없는 구조임..
@gueungyeun
@gueungyeun 9 ай бұрын
흉부외과만 따로 고등학교 만들어야함... 빡시니까 미리 공부시켜서 천천히 늘려야지 대신 학비는 무료.. 졸업하고 면허따고 10년 무조건 흉부외과 의사로 있어야함.. 아님 다시 돈 뱉어내고 죽을때까지 월급의 10프로 지역 의료 활성화를 위해 강제 기부 ㅋㅋ
@klesa4152
@klesa4152 9 ай бұрын
왠만한 교수진들 대화같아요 ㅋㅋ
@user-jx4bi6qe1v
@user-jx4bi6qe1v 9 ай бұрын
학력을 중시하는 한국 에서는 쇠귀에 경읽기 입니다 음~메에~ㅋㅋㅋ
@mav7079
@mav7079 9 ай бұрын
you don't have to choose to go to college as long as you're real smart like steve jobs or bill gates, who were of course college dropout, cause if you're real smart, a chance to succeed is pretty high whether or not you go to college. but, if you're not real smart, a chance to succeed goes higher only if you go to college.
@user-wz2ss8he8g
@user-wz2ss8he8g 9 ай бұрын
That's absolutely not. Why you think if don't go to college, don't have chance to succeed? According to Lucky's comment, it isn't effective to go to college at a daily life. And I agree . For example, although I dont go to college, I can use Eglish but all of my friends go to university and some of friends go to university in seoul, they can't use Eglish. Going to university or college isn't everything of life. Pleas expend your perspective.
@SEOCHO1685-3
@SEOCHO1685-3 4 ай бұрын
국내대학 상위50위안 (인서울+지거국)에 갈수있는수준 아니면 그냥 대학안가는게 나음..
@boringstar6436
@boringstar6436 5 ай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는 이상하기도함 심지어 지금 대학안나오고 특성화고 나오고 바로 취업한 애들이 야간학교 주말학교로 대학을 다님 대학에 무엇을 배울려고가 아닌 그냥 진짜 스펙용으로 다님
@user-bj6md1tz2f
@user-bj6md1tz2f 10 ай бұрын
대학 나와도 학자금 대출이나 빚더미에 앉는 사람도 있어요
@user-ek6hx2ke5e
@user-ek6hx2ke5e 9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얘기 나와서 그러는데 .... 소위 말하는 일진 들은 각나라 별로 어떠한지 궁금하네요 ~~~ㅎㅎㅎㅎ
@user-mx6wr3pg3r
@user-mx6wr3pg3r 6 ай бұрын
다니엘부터 1세대 인거는 알죠 나중 인식이 더러워지면 연대책임,, ,,,,
@k.joomihyun
@k.joomihyun 9 ай бұрын
결국 차별은 임금 때문에 생기는것입니다
@user-sk9gw2ir8s
@user-sk9gw2ir8s 11 сағат бұрын
세분다 해박함이 보이시네요
@miracle2454
@miracle2454 9 ай бұрын
역시 354최고에요👍👍👍💝💝💝💚🩵💙🥰🥰🥰
@kimdemars5432
@kimdemars5432 9 ай бұрын
대학졸업 하고 할일없어 택시운전하고 주유소에서 게솔린 채워주는일 하는것 대학 교수들 밥멕여주러 대학 가나요? 한국은 이사람이 하면 나도해야하나요? 미치겠어요
@user-iy6wr1bz5n
@user-iy6wr1bz5n 9 ай бұрын
이분들 교육청에서 안불러주나요?
@user-kh9hy1xx9m
@user-kh9hy1xx9m 10 ай бұрын
전공과 전혀 상관없는 일을 하며 살고는 있지만 대학을 가지않고 고등학교 졸업후 바로 직업을 가지라면 글쎄요~ 졸업장만 남더라도 대학은 갈거 같네요
@fivcd
@fivcd 9 ай бұрын
나는 몸으로때우는직업해야지 ㅋㅋ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307 М.
UFC 302: Пресс-конференция
22:48
UFC Eurasia
Рет қаралды 848 М.
오늘은 그림책🎨Ep.3 그림읽어주는남자 이창용
15:29
안산시 도서관ansan library
Рет қаралды 865
Last Chance | Major 2023: Documentary
33:13
Standoff 2 Cybersport
Рет қаралды 181 М.
Korean Apartment Recycling Experience
3:51
솥단지tv
Рет қаралды 21 М.
13살 대학졸업, 천재소녀 사유리
23:35
News Magazine Chicago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ак быстро замутить ЭлектроСамокат
00:59
ЖЕЛЕЗНЫЙ КОРОЛЬ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