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만큼 대단한 발명품, 삼각돛 - 인류와 군함의 역사 두 번째 이야기 [최준영 박사의 바다이야기 #4]

  Рет қаралды 563,747

삼프로TV 3PROTV

삼프로TV 3PROTV

2 жыл бұрын

👉 [삼프로TV 미래대학] 빅데이터, 세상을 읽다 (송길영)
"수강기간은 더 길게~ 2022년은 누구보다 빠르게!"
-강의 구매 혜택: 수강 기간 6개월, 2022 삼프로 다이어리 세트 무료 증정
(기존 구매 회원들에게도 혜택 동일)
🏫 강의 신청 : apps.3protv.com/3pro/home/aud...
🏫 B2B 강의 공급 및 기업 단체구매 문의
(010-2090-6748, contact@ebroadcasting.co.kr)
[삼프로 TV] 주말 제작 PD 모집
세부 공고 확인 링크 : bit.ly/3vbY9MD
[삼프로 TV] 제작사 및 멤버사 공개 채용
세부 공고 확인 링크 : www.page-2.kr/notice/136?page=1
★ 광고문의 : ad@3protv.com
★ 광고문의 : 010-2090-6748
★ 강의 및 page2 서비스 문의 : 02-2118-0168 , 010-3898-2324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Пікірлер: 132
@3protv
@3protv 2 жыл бұрын
👉 [삼프로TV 미래대학] 빅데이터, 세상을 읽다 (송길영) "수강기간은 더 길게~ 2022년은 누구보다 빠르게!" -강의 구매 혜택: 수강 기간 6개월, 2022 삼프로 다이어리 세트 무료 증정 (기존 구매 회원들에게도 혜택 동일) 🏫 강의 신청 : apps.3protv.com/3pro/home/aud... 🏫 B2B 강의 공급 및 기업 단체구매 문의 (010-2090-6748, contact@ebroadcasting.co.kr) [삼프로 TV] 주말 제작 PD 모집 세부 공고 확인 링크 : bit.ly/3vbY9MD [삼프로 TV] 제작사 및 멤버사 공개 채용 세부 공고 확인 링크 : www.page-2.kr/notice/136?page=1 ★ 광고문의 : ad@ebroadcasting.co.kr ★ 광고문의 : 010-2090-6748 ★ 강의 및 page2 서비스 문의 : 02-2118-0168 , 010-3898-2324 #경제의신과함께 #삼프로TV #신과함께
@user-ql5tq3fw4v
@user-ql5tq3fw4v 2 жыл бұрын
,,
@user-lb3kg7yd1j
@user-lb3kg7yd1j 2 жыл бұрын
00ㅂ
@ry58cha29
@ry58cha29 2 жыл бұрын
@ABCDEUX
@ABCDEUX Жыл бұрын
제목 정리좀 하세요 이게 뭡니까? 5번째꺼랑 6번째꺼는 대체 어딧습니까? 7번째꺼는 보이는데 이건 뭐 제목을 어떤 기준으로 하는건지
@user-xm2jc9xi5r
@user-xm2jc9xi5r 11 ай бұрын
😅😅4
@user-qb1cy6wg2t
@user-qb1cy6wg2t 2 жыл бұрын
삼각돛이 대단한발명품이라는 제목때문에 들어왔는데 12:00 에서 시작하는 설명에는 그 해답이 없음. 삼프로TV에서는 좀 검증해서 방송에 올리시길 바람. 역풍에 전진하려면 2가지를 갖추어야 하는데 1. 배밑의 Hull 디자인을 깊이 만들거나, 센터보드를 장착시켜서(현대적 요트), 배의 측면 드리프트 저항을 크게하고. 2.돛이 동일 면적대비 '넘어짐 토크'가 최소화 되도록 돛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면적을 크게(네모가 아닌 삼각형 비슷한 모양) 한다면 정면 바람방향의 약 30도 근처까지 배를 비스듬히 위치하면 횡 드리프트(옆으로 밀리는것)나 팁오버(전복)가 생기기 않기 때문에 배의 전면으로 전진이 가능함.
@hawk8873
@hawk8873 2 жыл бұрын
요트를 아시는 분... 사실 사각돛으로도 충분히 역풍 항해가 가능했기 때문에 꼭 삼각돛이 아니면 역풍 항해 못했다는 뉘앙스는 오류라고 봅니다. 다만 효율면에서 훨씬 우월했는데 삼각돛은 사각돛보다 매우 날카로운 각으로 지그재그 항행이 가능했기 때문에 같은 거리를 훨씬 빠른 속도로 주파할 수 있었죠.
@user-xe9ft9dz3i
@user-xe9ft9dz3i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너무존경합니다 무궁한지식 많이 배우고 있슺니다 3프로페널님도 존경함니다~~!!!!
@Hwa-ng60
@Hwa-ng60 2 жыл бұрын
지구본 연구소 헝가리1편 듣고 오니, 곧바로 바다이야기가 나오네요~ 최준영박사님. ㅅ ㅅ..사...사랑합니다....
@user-vf9pz5ws6h
@user-vf9pz5ws6h 2 жыл бұрын
저랑 같으시네요 ㅎㅎㅎ
@user-we9zf3hu4r
@user-we9zf3hu4r 2 жыл бұрын
저도 ㅆㅆㅆㅆ싸릉합니다
@user-ej9bx5co5o
@user-ej9bx5co5o 2 жыл бұрын
조금전에 헝가리편을 보았는데.하루에 두편을 .감사합니다.
@user-fb1nk3wv1e
@user-fb1nk3wv1e 2 жыл бұрын
헝가리편듣다 잠들엇네요.취침숙면에 최고의 보이스.
@user-ch7yl5kg9t
@user-ch7yl5kg9t 4 ай бұрын
최박사님은 무궁무진합니다 샘물같은 지식창고 부럽습니다 🎉🎉🎉🎉🎉
@passer-by5874
@passer-by5874 2 жыл бұрын
요즘 최준영 박사님 유튜브 찾아다니며 열심히 보고 있습니다. 이 나이 먹도록 도대체 뭘 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완전 문외한도 아닌데 최 박사님 썰을 듣고 있으면서 새로운 깨달음에 놀라워 다음 내용을 찾고 있습니다.
@user-ep7zi5hr8n
@user-ep7zi5hr8n 2 жыл бұрын
최준영로드를따라... 삼프로의일타강사 박사님👍
@taeyoonsong2039
@taeyoonsong2039 2 жыл бұрын
사진에서 보여주신 돛은 스피니커인데… 스피니커는 뒷바람을 최대한 받으려는 돛입니다. 방송에서 말씀하시려는 의도는 베르누이의 원리인데… 공기역학적 부력을 만들려면, 마스트의 뒤편에 돛이 위치해야 합니다. 올림픽 요트경기의 돛들을 참고하시면, 이해가 되실꺼예요
@user-gl7eh4xf1u
@user-gl7eh4xf1u 2 жыл бұрын
와 대단하네요...새로운 지식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삼각돛...
@JumeoniArt
@JumeoniArt 2 жыл бұрын
삼프로 일당백 지구본 정프로 나오는 채널… 새로운 영상들이 막 올라오니 너무 좋네요 꾸벅😘
@woahmom9592
@woahmom9592 2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대단합니다. 설명도 너무 재밌게 해주시고 👍
@user-yw4lv9vf8r
@user-yw4lv9vf8r 2 жыл бұрын
최준형 박사님 덕에 많은 것을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범선이 맞바람으로 앞으로 (측면으로)가는 것은 비행기의 양력원리와는 다릅니다 맞바람으로 측면으로 전진하는 원리는 작용 반작용 원리로 가는 것이 정확합니다 다시 말하면 양력발생은 정면의 항력으로 후면부의 엔진추력과의 대립에서 빗겨서 올라가는 원리라면 범선은 추력 엔진이 없이 전면 바람 저항을 물의 저항이 지렛대 축역활을 하며 (작용반작용원리로)측면 전진이 가능한것입니다
@Gundam_RX78-2
@Gundam_RX78-2 2 жыл бұрын
님이 설명하신 그 양력의 원리가 작용 반작용이예요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o2jl1ud1n
@user-do2jl1ud1n Жыл бұрын
틀리게 알고 계시네요
@acularin
@acularin 2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 너무 재밌게 이야기 잘 듣고 있습니다.
@user-ly6jy4fo1n
@user-ly6jy4fo1n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enzok4749
@enzok4749 2 жыл бұрын
보며는 박사님 화이팅🐯
@user-sq7ks6jk9p
@user-sq7ks6jk9p 2 жыл бұрын
삼각이라 역풍에 나가는건 아닙니다. 사각이든 뭐든 돛의 각도와 배아래 핀의 저항이 합쳐진 작용 반작용이죠. 삼각인 이유는 휨 모멘트를 작게 하려고 그런거죠.
@Peter-ij5wu
@Peter-ij5wu 2 жыл бұрын
요즘 박사님 정말 바쁘실것 같네요. 다른 여러 프로에서도 많이 뵐수 있던데 건강 꼭 챙기셨으면 합니다.
@user-uq3kg9hd8x
@user-uq3kg9hd8x 2 жыл бұрын
조선 수군이 대단한거였네요
@prococonut
@prococonut Жыл бұрын
노꾼이 극한직업이었습니다.
@kimchi_man
@kimchi_man Жыл бұрын
신량역천
@user-wo4fq6qt9t
@user-wo4fq6qt9t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게 듣고 있어요
@user-xu1mz9wd1n
@user-xu1mz9wd1n 2 жыл бұрын
정말 재밌고 유익했습니다~^^
@user-hr3qm5br3j
@user-hr3qm5br3j 2 жыл бұрын
삼 프로 님들과 박사님. 한번에 다 보니 너무 좋아요~~
@guldud
@guldud 4 ай бұрын
최준영님~감사합니다~~이해하려면 저도공부해야할거같아요 들으면서 저도공부해요 학창시절보다 지금이 더 넓어졌어요 항상감사합니다
@user-cg9xx1rl2f
@user-cg9xx1rl2f 2 жыл бұрын
노에 대해 궁금했는데 찾다가 여기 까지 오게 되었네요.아주 도움이 되는 좋은 내용입니다.
@user-yo5rj5uv2u
@user-yo5rj5uv2u Жыл бұрын
흥미롭게 잘봤습니다 고맙습니다
@agnesc6400
@agnesc6400 2 жыл бұрын
죽여주게 재미있는 콘텐트 정말 고맙습니다
@user-gg4dd8ws4n
@user-gg4dd8ws4n 2 жыл бұрын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user-uu6kg9mf6h
@user-uu6kg9mf6h 2 жыл бұрын
재밋네요~~~
@Koolnolboo1318
@Koolnolboo1318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ㅎㅎㅎ
@chulkjoung5148
@chulkjoung5148 2 жыл бұрын
삼프로 응원합니다.
@user-pl9if7pd6q
@user-pl9if7pd6q Жыл бұрын
술술 풀어가는 이야기가 재미있네요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iankim3953
@iankim3953 Жыл бұрын
세일요트에서 사람들이 한쪽으로 이동 하는 것은, 하이크 아웃(Hike Out) 입니다. 이것은 기울어진 요트를 복원시키기 위해 사람의 체중을 이용하여 배를 기울이는 기술이지요. 배를 복원시켜 수면에 닿는 면적을 줄여 물과의 마찰 저항을 줄여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user-uz9ww3xb2o
@user-uz9ww3xb2o 2 жыл бұрын
이야기듣는거 너무 좋아요~ 최박사님 이런저런 얘기 많이해주세요^^
@ldh0428
@ldh0428 2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은 대체 이런걸 어디서 공부하신걸까??~ 진짜 백과사전이시네
@user-uu8kh8rv6t
@user-uu8kh8rv6t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로 공부 ㅋㅋㅋㅋ
@user-hk8ex9lq7y
@user-hk8ex9lq7y 2 жыл бұрын
박사님은 좋용하게 얘기하는데 참 재밌고 웃김니다! ㅋㅋㅋ
@paull77ful
@paull77ful 2 жыл бұрын
삼각돛은 최준영박사님이 잠깐 언급하신 양력을 이용한 겁니다. 삼각돛을 바람과 살짝 비껴서 설치를 하면 부풀어오른 돛 바깥쪽과 돛안쪽에 흐르는 바람의 속도가 달라지면서 돛 바깥쪽으로 양력이 생깁니다. 삼각돛의 단면적을 비행기 날개 단면적 모양으로 펼쳐지게 만드는게 기술이죠. 이렇게 하면 배 선체가 옆으로 밀리는데 받는 저항의 힘벡터와 양력이 합성되서 바람 부는 방향쪽으로 배를 45° 방향으로 가게할수 있습니다. 삼각돛은 두지점을 고정하고 나머지 한점을 당기고 풀면서 양력을 받을 모양을 컨트롤 하기 좋구요. 사각돛도 이론상으로 물론 가능하지만 실제 그렇게 사용하기는 어렵죠. 잘 만들어진 요트들은 35°정도 까지 거슬러 올라갈수 있습니다.
@sanha7007
@sanha7007 2 жыл бұрын
요트로 싱가폴앞 인도네시아에서 통영까지 주야로 바람부는곳은 돛으로 무풍지대엔 엔진으로 항해로오는데 필리핀 북단지나태평양바람맞으니 요트가 얼마나빠르게항해하는지!~~
@paull77ful
@paull77ful 2 жыл бұрын
@@sanha7007 황천항해는 무서워서 데이크루징만 합니다만 저도 언젠간 그렇게 날씨 좋을때 대양항해 해볼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네여.
@hawk8873
@hawk8873 2 жыл бұрын
각도가 커져서 비효율적이라 그렇지 사각돛으로도 충분히 역풍 항해 가능합니다.
@kyoonhwangbo5165
@kyoonhwangbo5165 Жыл бұрын
@@sanha7007 요트를 구입하신 분 말씀 들으니 직접 몰고 와야 한대서 무섭더군요.ㅎ
@user-or5zt9jq3m
@user-or5zt9jq3m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
@asurakang
@asurakang Жыл бұрын
으으으 역시 넘나 재밌는…! 그나저나 난상토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엄청 땡기는데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V-it3ni
@TV-it3ni 24 күн бұрын
재밌습니다🎉
@user-gt7gd9yd5h
@user-gt7gd9yd5h 2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최고!!!
@tubeyou1490
@tubeyou1490 2 жыл бұрын
저 대포를 드릴로 파서 만드는 법 때문에 과학자가 영감을 얻어서 열이 열소가 아니라 입자의 운동에너지라는 것을 알아냈죠. 과학하고도 관계가 있는 일화입니다.
@sorry4all
@sorry4all 2 жыл бұрын
드릴이요? 첨듣는군요
@user-ck3ur1lt4e
@user-ck3ur1lt4e 2 жыл бұрын
오~~~
@KimHapburn
@KimHapburn 2 жыл бұрын
내 최애조합 4분 ㅋ
@user-nf6yw1ik6v
@user-nf6yw1ik6v 2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enigma9831
@enigma9831 Жыл бұрын
오 잼있네요
@user-tm5xu8jt9i
@user-tm5xu8jt9i 2 жыл бұрын
29:53 우와 박사님 저도 대항해시대 완전매니아에요 ㅋㅋㅋㅋ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2 жыл бұрын
지중해 패권을 장악해서 이백년동안 평화기를 구축한 로마가 바다를 싫어했다는 게 의외인데 카르타고와 싸웠을 때 해상에서 고전한 걸 상기하면 정말 그렇네요!
@badamul
@badamul Жыл бұрын
잼있네
@user-xb5le5hq5v
@user-xb5le5hq5v 2 жыл бұрын
삼프로 티비.제법 재미 있는데요. 이재명 토론도 잘 보앗습니다.
@user-xl2pl5td9l
@user-xl2pl5td9l 2 жыл бұрын
20년 가까이 궁금했던 '삼각돛이 역풍에서 전진하는 원리'를 드디어 알게되었습니다!
@user-rz4cu9uk9x
@user-rz4cu9uk9x Жыл бұрын
20년동안 궁금했다니 대단하네요 ㅋㅋㅋ
@tintin185
@tintin185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1프로 tv에 업로드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3프로에 와있어서요. 아니면 아직 채널 분리가 익숙하지 않은 시청자들을 유도하기 위한 큰 그림?!
@johnny0320
@johnny0320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이 사용한 통나무같은 것은 장군전이라고 합니다. 그것을 지자총통에 넣고 발사합니다
@user-tm5xu8jt9i
@user-tm5xu8jt9i 2 жыл бұрын
20:00 동로마판 적벽대전인가요?ㄷㄷ
@user-eu1xf6lc8g
@user-eu1xf6lc8g 2 жыл бұрын
영상 18분부터 '인류와 군함의 역시' 라고 나와요.
@jwc7839
@jwc7839 Жыл бұрын
일러스트나 그래픽이 추가되면 더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ㅎㅎ
@user-bk4sm4vk6u
@user-bk4sm4vk6u Жыл бұрын
崔博士님의 博學深學 洞察萬里의말씀 잘듣고 있습니다. 그리고 넘 재미있습니다 3pro님께도 感謝드립니다
@The_Broadcast_Company
@The_Broadcast_Company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콘텐츠입니다. 내용도 좋습니다. 다만, 3프로의 역할이 어정쩡하네요,...가끔 흐름을 끊기도 하고요,... 3프로의 역할만 잘 정리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napleongyi4266
@napleongyi4266 Жыл бұрын
역시 기술의 발달은 유럽이 주도했군요
@user-de2ps3ip8k
@user-de2ps3ip8k 10 ай бұрын
대포는 송/금, 이후 몽골이 먼저 만들어서 전쟁에 사용했고, 고려/조선도 일찌감찌 사용했습니다. 서양이 나중에 전쟁과 식민지화를 많이 하면서 더 발전시켰습니다.
@talas2177
@talas2177 2 жыл бұрын
12:20 삼각돛
@user-he4hx6mz3s
@user-he4hx6mz3s 2 жыл бұрын
태양풍을 이용한 우주범선을 만들었을때 태양 쪽으로 갈수 있을까 없을까? 당연히 갈수 있죠...
@daesookim644
@daesookim644 2 жыл бұрын
우주범선의 돛은 태양으로 부터 빠르게 멀어지거나 일정궤도를 유지하기 위함이지 태양에 다가가기 위함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지구의 돛은 공기의 점성에 의해 생기는 양력을 이용한 것이지만 태양풍의 입자들은 이러한 양력을 생성할 정도의 점성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유체로서 작용하지 않는것이죠. 태양으로부터 작용하는 인력에 저항하기 위한게 우주범선의 돛입니다.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2 жыл бұрын
와~이거 왕좌의 게임보는것같은 스릴이있네 ㅎㅎㅎ
@gepard7659
@gepard7659 Жыл бұрын
이미지 짤도같이 영상에 보여줬으면 퀄러티 ㅆㅅㅌㅊ일탠데 ㄲ
@user-nx1cr5oq8m
@user-nx1cr5oq8m 3 ай бұрын
거함거포는 싸나이의 로망!
@user-jr4fl5yg9g
@user-jr4fl5yg9g 2 жыл бұрын
넘 재미있습니다...학교 다닐때 이런거 안배워주고 멀 배우는지 모르겠네요...
@user-dp1fd7ho7k
@user-dp1fd7ho7k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은 국보입니다
@user-if8bb7br4k
@user-if8bb7br4k Жыл бұрын
아스팔트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 Жыл бұрын
장거리항해가 가능하게한 원천기술급이라고 봐야죠..
@user-mz2pc2sh2o
@user-mz2pc2sh2o 2 жыл бұрын
영진형, 두께 11m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마이 놀랬구나 ㅋㅋㅋㅋㅋ
@user-wh2hn1wz5t
@user-wh2hn1wz5t Жыл бұрын
조선노와 조선 돗에 대해 아십니까?
@CAL17153
@CAL1715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란 대포를 고려 최무선이 14세기에 만들었는데 서양에서는 15세기에서야 만들었군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2 жыл бұрын
두가 힌트: 1) 신나의 어원은 소나무 송진에서 나오는 Turpentine을 페인트 thinner 입니다. 2) 임진왜란 때에 쓰던 천, 지, 현, 황 포들은 이순신 장군이 왜선과 대항할 때에 썼고요. 이장손이 만들었던 비격진천뢰는 포탄이 떨어지면 폭파해서 파편이 터지는 형식인데 유럽보다 먼저 개발 되지 않았는지 비교를 해보십시요.
@makerfx4399
@makerfx4399 2 жыл бұрын
저기서 말한 폭발형은.. 비격진천뢰같은 심지형이 아니라.충격뇌관을 가지고있어서 충돌시 폭발하는 것이니 틀린것은 아닐겁니다.
@hawk8873
@hawk8873 2 жыл бұрын
비격진천뢰는 목곡이라는 지연 신관 delayed timed fuse이였지 떨어지면 폭파되는, 충격 신관은 아니였습니다. 때문에 해전에는 적합치 않았죠.
@vecyl
@vecyl Жыл бұрын
역사 왜곡 하고 앉았네 ㅋㅋㅋ 무슨 비격진천뢰가 충격신관임ㅋㅋㅋㅋㅋ 지연신관 유탄이라고 보는게 맞음
@sansgene77
@sansgene77 Жыл бұрын
신나는 점성이 높은 도료(잉크,유화물감등)를 휘발성 용매에 희석해서 묽고 얇게(thin) 편다는 의미의 thinner에서 온 말입니다. 요즘 보통 얘기하는 톨루엔뿐만 아니라 알코올, 나프타를 얘기할 수도 있고...과거에는 도료의 종류에 따라 물이나 식용유가 될 수도 있습니다.
@kingjameskim3006
@kingjameskim3006 2 жыл бұрын
돗배가 14노트 간다구 ? 현재 벌크선이 평균 12노트 속력인데.. 콘테이너선은 22노트 수준이고.
@cicilee8206
@cicilee8206 Жыл бұрын
돛의 모양이 세모냐 네모냐가 아니라 세로돛냐 가로돛이냐가 중요한 거 아닐까요
@seokyi8577
@seokyi8577 Жыл бұрын
응 아님. 삼각형인게 핵심임
@user-yw4lv9vf8r
@user-yw4lv9vf8r 2 жыл бұрын
제 답글에 이견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주세요 그러면 동영상을 기초로 하여 설명 드리겠습니다
@user-rp2gh1ly9x
@user-rp2gh1ly9x Жыл бұрын
광고가 너무 많네~.
@user-bo3ue5md2r
@user-bo3ue5md2r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대항해시대 오리진에서 삼각 돛이 최고구나.
@user-tc3jc9nl8w
@user-tc3jc9nl8w 2 жыл бұрын
사진이나 동영상이 없어서 지루함. 보는. 라디오?
@user-vk4du6pi9c
@user-vk4du6pi9c 2 жыл бұрын
솔찍이... 박사님 내용보다 중간중간 좀 많은 유투부 광고와 두번의 3프로 광고밖에는 기억이 안 나네요... 좋은 컨테츠 만들어놓고.. 광고를 너무 많이 붙이면 오히려 역효과가 나지 않을까 하네요. .. 적어도 유투브 켜놓고 컴퓨터 책상에서 떨어져서 일을하면서 듣는 제게는 그랬네요...
@jwchoi2395
@jwchoi2395 Жыл бұрын
KZfaq premium 추천. 신세계임.
@juicele2875
@juicele2875 Жыл бұрын
게스트는 다양하고 좋은데, 3프로님들은 준비를 좀 더 하시고 방송에 임하셔야겠어요
@user-mz4qs1nb7g
@user-mz4qs1nb7g 2 жыл бұрын
21:13 학창시절때 전두환최루탄좀 맡아보신듯 ㅋㅋ
@zigampung3758
@zigampung3758 Жыл бұрын
선전이 점점 많아진다
@hoseophwang5783
@hoseophwang5783 2 жыл бұрын
저기 근데요 지금 이영상이 주식과 무슨 연관이 있나요? 종교 전쟁도 근본 원인은 다 돈때문인걸루 아는데
@OYT0724
@OYT0724 2 жыл бұрын
16:58 "디코딩을 위한 날리지가 요구되요, 티엠아이죠" ㅋㅋ 어느나라 언어입니까 ㅋㅋㅋ '해석을 위한 지식이 요구가 된다'는 보편적인 소리인데 뭔 디코딩의 날리지 ㅋㅋㅋㅋㅋ
@k.4286
@k.4286 2 жыл бұрын
그냥 원어책으로 전공 공부하신 분들의 버릇같은 거라 생각하세요. 일상 언어는 한국어, 사고체계의 단어는 영어.. 교수님들중에 이런 말투 있으신 분들 많습니다. 특별히 영어의 과사용을 의식하고 하는건 아니예요. 너무 예민하지 않으시길
@wookmon0914
@wookmon0914 2 жыл бұрын
굳이 해석을 하면 그게 맞지만 전공 공부하다보면 원어가 먼저 나오는 경우가 많아져요. 저도 저런거 굳이 왜 저러나 싶었는데 어느순간 저도 그렇게 되더라구요😅
@Betakee18484
@Betakee18484 2 жыл бұрын
빠숑이랑 부동산방송하던 아저씨 이미지 세탁 성공하셨네요~~~~
@tjrufl
@tjrufl 2 жыл бұрын
반말하는 이사람 누구?
@chanmingjj5531
@chanmingjj5531 2 жыл бұрын
이순신 장군이 이미 했던 것..
@user-rs8hr6dc2p
@user-rs8hr6dc2p Жыл бұрын
최준영 아저씨 바닥에 컨닝페이퍼 너무 고개숙여 읽지 마세요. 준비안된 느낌을 많이 주시네요 그리고 비교사진, 자료사진들 많이좀 보여주세요 너무 말로만, 직접적인 도움주는 사진은 그닥ㅠ
@user-rs8hr6dc2p
@user-rs8hr6dc2p Жыл бұрын
프로님들도 재미없어 늘어진 모습 ㅠㅠ 진짜 영상 노잼. 지겹ㅠ
@jae0513
@jae0513 2 жыл бұрын
음음음 음 아 음 음 이런거좀 하지마라
@acularin
@acularin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진행자 중 우측에 게신분은 좀 냉소적이고 비꼬는 말투라 좀 그렇습니다
@NangNangEE
@NangNangEE 2 жыл бұрын
실내에선 색안경 벗는게 예의다 예의! 벗어라 벗어.
@onlymento
@onlymento 2 жыл бұрын
눈이 안좋으시단다
@blitzkriegsebastian
@blitzkriegsebastian 2 жыл бұрын
그런데 말이다, 백만이 넘는 구독자를 가진 방송에서 국적 불명의 일 프로라고 해야 하냐? 진행하는 넘들의 수준은 언급할 것도 없지만 요즘 최준영이도 프로와 퍼센트 사이를 왔다 갔다 하고... 서울대 나온 사람이 할 짓은 아닌 것 아닌가?
@augustseo5579
@augustseo5579 2 жыл бұрын
이해를 돕기위해 그래픽이나 이미지를 좀 썩어서 해야지 그냥 말만하네 ㅉㅉ 교보재 이용을 좀 합시다!! 15:58 이슬람이 아니라 페르시아지 이슬람은 종교고!! 비잔틴은 비잔틴이라 말하네 기독교라 안하고? ㅎ
@davidpyo6327
@davidpyo6327 Жыл бұрын
삼각돗은 나일강에서 시초 지금도 나일강에서는 만이볼수있고 장허선단에 아랍지역항해에서 명나라나침판과 아랍에 별관측측량 과 항해관측이 교류돼 천체관측 항법과 명나라 정크범선과 아랍에 삼각돗이 결합 tollship 에 기원이됀것임
@user-po9ue2go9k
@user-po9ue2go9k Жыл бұрын
가운데 느끼한 놈 ㅡ 검정 안경은 왜 끼고 있나요?
@hokim1554
@hokim1554 Жыл бұрын
맹인이 사회보내...좋아요
@dolx20
@dolx20 Жыл бұрын
곡면때문에 베르누이의 원리로 양력이 생긴다는 이론은 나사피셜 거짓입니다.
@dolx20
@dolx20 Жыл бұрын
결국 종방향으로 돛을 두고 받음각을 변화시켜 반발력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것입니다.
럼이 해적들의 술이 된 이유 [최준영 박사의 바다이야기 #7]
47:26
Alat Seru Penolong untuk Mimpi Indah Bayi!
00:31
Let's GLOW! Indonesian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최준영 박사, 왜 골프를 말하나 (최준영 1부) f. 법무법인 율촌 최준영 전문위원
51:44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79 М.
Alat Seru Penolong untuk Mimpi Indah Bayi!
00:31
Let's GLOW! Indonesian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