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아이맥스 vs 돌비시네마! 화질, 음질 어느 쪽이 더 뛰어난지 설명해 드립니다.

  Рет қаралды 84,280

하피TV HighFidelity TV

하피TV HighFidelity TV

Күн бұрын

** 홈시어터, 오디오 관련 질문은 하피TV 카페에 남겨 주시면 답변 드립니다.
- hifitv.co.kr
✔️구독하기: / @hiendaudio
✔️제작 : 하피TV
✔️E-mail : hifitv.co.kr@gmail.com
✔️오디오 & 홈시어터 컨설팅 : hiendaudio@naver.com
✔️카페 : hifitv.co.kr
00:00 인트로
00:24 스펙
01:59 아이맥스의 역사
06:10 돌비의 역사
07:57 아이맥스 vs 돌비시네마
10:55 아이맥스 개선안
11:52 결론
#아이맥스 #돌비시네마 #극장리뷰

Пікірлер: 122
@changlee1117
@changlee1117 3 жыл бұрын
제가 지금까지 본 아이맥스 vs 돌비시네마 비교 칼럼 중, 가장 공정하고 객관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각 사의 역사와 디지털로의 전환기를 짚어주면서, 아이맥스의 약세와 돌비의 강세를 언급한 점이 좋았습니다. 여기서 제 의견을 좀 더 보태자면, 아이맥스 필름 영화(1.43:1)는 촬영도 까다롭고 상영도 제한되어 있단 점에서 이점이 떨어진다 보고요. 영화사와의 계약을 통해 (아맥 촬영이 아님에도 만들어진) 아이맥스 독점 화면비(1.9:1)는, 일전의 오픈 매트(Open Matte) 방식과 별 차이가 없는, 혁신 없는 꼼수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한때 아이맥스를 좋아했다가 지금은 돌비 쪽으로 마음이 완전히 기울었는데요. 돌비시네마의 매력이 점차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네요.
@user-oy3mu5qj4v
@user-oy3mu5qj4v 11 ай бұрын
뭐고위ㅡ노홍유서이전또
@bananamilk75
@bananamilk75 3 жыл бұрын
하피님 진짜 설명과 유저들이 어떤 부분을 알고 싶은지를 하피님이 유저들의 마음을 싹싹 끌거 주니깐 좋아요
@user-de4lr2gr6h
@user-de4lr2gr6h 2 жыл бұрын
코엑스 돌비 atmos에서 그래비티를 봤는데 영화적체험이 이런거구나를 처음 제대로 느껴봤는데요. 용아맥에서도 느끼지못했었는데 말이죠. 그런데 남양주가 더 잘 설계되었다고하니 얼른 찾아가야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minsungso4698
@minsungso4698 2 жыл бұрын
흥미로운 정보들 배우고, 애호가적 입장에 공감하게 되네요. 전문 지식과 통찰력에 감탄하고 갑니다! 👏👏👏
@jerlim60
@jerlim60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전문가가 만드는 컨텐츠는 다르네요
@user-zk3rs5md3p
@user-zk3rs5md3p 2 жыл бұрын
공교롭게도 서울 내에서 아이맥스는 강남권 (강남•서초•송파), 돌비시네마는 도심권(광화문•명동•을지로•홍대 등)에 없더군요. 다음 신규지점은 아무래도 부재중인 해당 지역들일거 같은데 돌이켜보면 cgv가 압구정점에 아이맥스를 입점하지 않은 것과 메가박스가 동대문점에 돌비시네마를 입점하지 않은 것은 의외의 선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ccj3372
@ccj3372 3 жыл бұрын
코로나전에 방문했던 명필름 지하에 극장이 좋았네요. 바코4K 프로젝터에 에트모스 음향도 괜찮았구요. 주말에만 상영하다보니 장비들이 상태가 괜찮았던거 같네요.
@Bong_Geuri
@Bong_Geuri 3 жыл бұрын
명 필름 영화관은 돌비 레퍼런스 극장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정 상영 후 영상 및 사운드 또한 켈리브레이션 하고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제 기준 음향부분 만족도 1등은 명필름 이더라고요~
@rdds2730
@rdds2730 2 жыл бұрын
8k 기대되네요!
@vcx-forum
@vcx-forum 3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잘 봤습니다.
@jayden5470
@jayden5470 2 жыл бұрын
새로생긴 대전 신세계 돌비 너무...너무...너무 좋은 것 같아요 오늘 스파이더맨 보고 너무 황홀해서 돌비 검색중... 스포될까봐 말은 못하겠지만 특정 장면들에선 진짜 돌비에서만 느낄 수 있는 경험을 했어요 분명 다른데서 먼저 봤는데 진짜 왜 비싼지 너무 잘 알게도ㅒㅅ어요
@fornobu
@fornobu 3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 / 돌비 / 애트모스 가 본사에서 정기적으로 튜닝을 거쳐야 되는 것으로 압니다. 안타깝게도 요즘 상황상 대부분 극장들이 인증 기간이 지났을 확율이 매우 높습니다. 극장 마다 문의해 보셔서 언제 재인증 되었는지 확인해보고 그나마 최근에 인증 된 극장에서 비교하셔야 됩니다.
@dbs1793
@dbs1793 3 жыл бұрын
다 좋은데 아직 돌비시네마가 없는 지방이 더 많아서, 수도권 밖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은 선택권이 없다는게 흠이죠.
@dolce_gusto
@dolce_gusto Жыл бұрын
저희 동네에는 메가박스에 돌비 애트모스관이 있어요.. 저는 화질충이라 돌비비젼으로 보고 싶지만 돌비 애트모스의 현장감이라도 만끽할 수 있어서 좋네요 ㅎ..
@user-rd8fc1sz2m
@user-rd8fc1sz2m 3 жыл бұрын
집근처에 돌비가잇어서 굳이아이맥스안가도 되서 좋네요 어쩐지 아이맥스 되는게 안나온다 햇네.... 이번 분노의질주는 용아맥에서볼라햇는데 돌비시네마로 봐야겟네요~~
@myung3368
@myung3368 8 ай бұрын
오펜하이머 대전 아이맥스에서 봤는데 바닥이 울릴정도의 사운드 끝내주던데!! 돌비가 더 좋다고 하니 나중에 한번 봐야겠네요
@byung-hwalee6044
@byung-hwalee6044 3 жыл бұрын
다 보고 댓글 답니다 감사합니다 돌비 시네마 기준으로 맞춰야 되겠네요
@user-sq8be1uj1s
@user-sq8be1uj1s 3 жыл бұрын
와... 궁금했던 내용이었는데 이제 이해가 딱... 자세한 정보 감사드려요... 큰 스크린의 아이맥스를 위해 2시간 넘게 고속도로를 달려 영화를 보기도 했는데 돌비에서도 너무나 보고 싶네요.... 경남 김해에서는 아직은 그저 희망.....
@Bubblebubble.-0-
@Bubblebubble.-0- Жыл бұрын
물금 롯데시네마
@vogopayo
@vogopayo Жыл бұрын
영상 보고 오늘 개봉한 놉 보러가려고 돌비 예매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당
@GarciaKOR
@GarciaKOR 3 жыл бұрын
일산 아이맥스관에서 다크나이트봤구.. 용산CGV에서 3D아바타를.. 왕십리 아이맥스관에서 트랜스포머2.. 사운드에 중점둔 영화는 씨너스 이수 5관으로 가서 봤궁... 저두 어지간한 매니아틱했네요..-_-; 극장 안간지 10년가까이 된듯함..;; 남양주 돌비시네마 처음들어보는데 찾아봐야겠네요..;; 영상 잘봤습니당~
@hiendaudio
@hiendaudio 3 жыл бұрын
씨너스 이수 오랜만에 듣네요. 이수 전 2004년 정상진 대표가 오픈한 파주 씨너스 이채, 사운드가 죽여줬던 삼성이 운영한 시청 씨넥스도 생각납니다.
@Zin-3743
@Zin-3743 3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했던 부분인데 역시 하피티비 칭찬합니다
@user-zu3gg2ks4z
@user-zu3gg2ks4z 3 жыл бұрын
저도 극장에서의 영화라면 단연 IMAX를 선호했었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현재는 상황이 이렇게 흘러가고 있었군요 IMAX 선전하기를 기원합니다 오늘도 많이 배우고 재미있어고 정말 유익한 내용이였네요👍
@micael2005
@micael2005 3 ай бұрын
평택안성에도 다행히 스타필드 메가박스에 돌비시네마관이 생겨서 좋습니다. 꽤나 최근에 지어져서 화질 음질 다 좋습니다. 그런데..천정을 보면 스피커가 없은 것 같아서...돌비 애트모스에 최적화된것 같지는 않더라구요. 사운드는 일반 극장 보다는 좋은 것 같은데...... 천정에 매립된 형태도 아닌 것 같은데 돌비시네마관이 돌비애트모스가 설치되지 않은 곳도 있나요? 아무래도 애트모스 전용관 보다는 못하겠지만 애트모스 자체가 생략된건지 궁금하더라구요
@mk-sj5zg
@mk-sj5zg 2 жыл бұрын
아 이런 컨텐츠 너무 좋아요 예전엔 블루레이 dvd도 모으고 했었는데 바쁘다 보니까 넷플릭스만 보고있네요 좋은컨텐츠 감사합니다.
@user-lj2wv8xz8c
@user-lj2wv8xz8c 2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아이맥스와 돌비시네마중 고민인데요 ㅠㅠ 요번에 개봉한 007같은 경우 아이맥스로 보아야하나요? 서울 용산같이 큰 imax도 아니구 가장 작은 imax중 하나인 대전 아이맥스인데 요번에 새로 생긴 돌비 시네마랑 너무 고민되네요 ㅠ
@yunsuho
@yunsuho Жыл бұрын
남돌비ㄱㄱ
@micael2005
@micael2005 3 ай бұрын
엘지티비 오디오출력-광케이블(옵티컬)로도 돌비애트모스 출력하는데 문제가 없는거죠? 리시버가 애트모스를 지원하는데..거기 광케이블로 연결해도 사운드 정보가 음질저하 없이 전부 재생되겠죠? hdmi가 전송량이 많아서 더 좋다는 소리도 있어서 여쭤봅니다.
@user-gj9di9ke2j
@user-gj9di9ke2j 3 жыл бұрын
평소에 진짜 궁금했던 내용인데 체계적이고 디테일하게 잘 정리해주셨네요~! 개인적으로는 를 용산 아이맥스 (2.39:1), MX관, 돌비시네마로 모두 봤지만 취향은 어쩔 수 없는 탓인지 섬세하고 공간감을 살려주는 3D 입체 사운드보다는 파워풀한 고출력 사운드를, 고화질보다는 스크린 크기를 더 우선시하는 저에게는 아직까지는 아이맥스가 답이라는 결론이 나오네요. 심지어 화면비보다는 영화의 기술적 완성도와 스타일을 중요시하기에 용산 아이맥스에서 1.43:1로 본 덩케르크, 테넷, 다크나이트, 인터스텔라보다도 저는 2.39:1인 그래비티가 더 좋았죠 ㅎㅎ 물론 1.43:1 및 4K로 영접한 이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들은 집에서나 다른 포맷으로 본 것과 아예 다른 영화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압도적인 체험이긴 했습니다 ㅋㅋ 하지만 제 취향을 배재하고 이론 측면에서나 현실적으로는 하피님께서 말씀하신게 결국 정답임을 인정할 수 밖에 없음을 아이맥스 레이저 도입에도 불구하고 상영관을 늘리는 데 있어서 한계를 겪고 있는 국내 사정만 봐도 잘 알 수 있죠ㅠ 사실 제가 아이맥스에 입문하고 열광하게 된 영화가 였는데요 엔드게임 때도 마찬가지였지만, 영화 분량 전체를 아이맥스 카메라로 촬영했다는 광고 문구는 지금 돌이켜보니 기술적 완성도가 아닌 마케팅을 위한 상술에 지나지 않다고 보이네요...아이맥스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은 이 아이맥스 디지털 카메라랑 크리스토퍼 놀란이 사용하는 아이맥스 필름과 같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 데다가, 이나 처럼 전체 분량 1.9:1 화면비는 굳이 아이맥스 카메라로 촬영하지 않아도 구현이 가능한데 심지어 용산CGV과 광교CGV를 제외한 나머지 상영관은 2K 영사기이기 때문에 화질에서도 메리트가 전혀 없는, 사실상 아무 의미가 없는 스팩인 셈이죠ㅠ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3곳 밖에 없지만, 돌비시네마 상영관은 점점 늘어나며 더욱 각광을 받지 않을까 예상이 되네요~ 씁쓸하긴 하지만...지금까지는 아이맥스 사 입장에서 필름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시대에 맞춰 나아기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이 선택이 아니었으면 다른 모든 대형 스크린 기업들처럼 이미 사장 되고도 남았을 겁니다. 하지만...평소에 영화에 대해 관심이 적고 굳이 극장까지 가서 영화를 봐야 하나 고민을 하는 관객들은 스크린 크기라는 강점으로 설득시킬 수 있겠지만, 현재는 해상도와 사운드를 중요시하는 관객들에게는 외면 당할 수 있다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되겠죠ㅠ
@waterexisting9651
@waterexisting9651 2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아이맥스파로서 많은 부분 공감이 가는 한편 의문인 점이 있습니다. 마블 시리즈의 예에서 영화의 전 장면을 아이맥스 카메라로(아이맥스 비율로) 촬영했다(담았다)는게, 단순히 마케팅 요소로만 보인다고 하신 부분인데요. 아이맥스 상영관과 그외 시네마스코프 상영관에서 봤을 때 화면에 담긴 정보량이 달라지고 각 장면의 상하 공간감 자체가 달라지는데, 이거 자체가 관객에게 유의미하게 다른 경험을 주는 요소 아닌가요? 아이맥스를 평가할때 시네마스코프와 다른 화면비율(정확하게는 그로인한 정보량과 장면 공간감의 차이) 자체가 유의미한 차이점인데, 이게 왜 해상도와 명암과 같은 다른 기술적 요소에 비해 부차적으로 고려되야 될 것으로 쉽게 치부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user-gj9di9ke2j
@user-gj9di9ke2j 2 жыл бұрын
기술적 차원이 아닌 마케팅 요소로 쉽게 치부한다고 말씀해주신거에 대해서는 저도 신중하지 못한거에 대해 인정합니다. 분명 화면비 1.9:1은 일반 상영관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추가 내용물 전달이라는 이점이 있는데 이를 너무 쉽게 간과하고 언급한거 같네요. 많은 관객분들도 이를 강점으로 더 크게 받아들이고 더 즐겁게 관람하셨기 때문에 마블 입장에서도 제가 주장한 것을 의도하고 제작에 임하거나 홍보를 하지는 않았을 겁니다. 아무래도 제가 언급한건 이전의 필름시절의 아이맥스관과의 비교해서 개인적으로 생각되는 모순에서 비롯된거 같습니다. 과거에는 돌비시네마도 상대가 되질 못할 정도로 엄청난 해상도와 사운드를 자랑했던 아이맥스가 디지털로 전환되면서...화면비 1.43:1과 4K 영사기 그리고 12채널 디지털 사운드까지 구비한 용산과 화면비는 1.9:1이지만 레이저 급의 사운드와 해상도 스팩이 있는 광교는 그래도 많이 낫죠. 물론 제가 직접 보지 않아 비교할 자격은 없는게 맞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이론 내용과 과거에 실제로 관람하신 분들 후기를 참고했을 때 나머지 아이맥스 관들은 필름시절과 비교하면 격차가 많이 느껴질 겁니다. 심지어 다크나이트를 용산에서 1.43:1로 보신 분들 사이에서도 해상도와 사운드는 여전히 같은 영화를 봤던 필름 아이맥스 시절 퀄리티에는 못 미친다고 아쉬움을 담았을 정도죠. 그럼 일반 아이맥스 제논관은 오죽하겠습니까...해상도는 일반 상영관과 같은 2K인데다가 아이맥스 필름으로 촬영해도 화면이 잘리고...인피니티 워랑 엔드게임 촬영 카메라는 필름이 아닌 디지털이라 1.9:1이 한계죠. 디지털로 처음 전환 되었을 당시 북미 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아이맥스가 아닌 LIE MAX라고 할 정도로 논란이 심각하기 까지 했었죠. 하피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아이맥스가 제공해야 할 차별화 요소가 희미해진 거죠. 문제는 이렇게 퀄리티는 하향이 되었는데 관람료는 필름 시절 그대로 유지한다는 겁니다. 몇몇 관객분들은 1.43:1 영화를 용산에서 보는 경우를 제외하면 일반관이나 돌비시네마에 비교 했을 때 굳이 아이맥스로 봐야하나 라는 의문을 가지시는 분들도 있습니나. 필름이 아닌 디지털 시대부터 아이맥스를 접한 제 입장에서는, 그래도 일반관에 비교했을 때 극장에서 거의 영화를 보지 않았던 저에게 꼭 극장을 방문해야 하는 이유를 제공해 줄 정도의 상영관 퀄리티는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관람료는 납득할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맥스도 시대의 변화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생존 전략을 택한 것이고, 그렇지 않았으면 지금처럼 아이맥스가 선사하는 즐거움과 감동을 만끽하지 못했을 겁니다. 때문에 이런 변화에 맞춰 나가는 아이맥스의 행보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응원해 주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도 드네요.
@GChr1s
@GChr1s Жыл бұрын
@@user-gj9di9ke2j 1.85:1은 일반 상영관에서도 상영 가능한데 굳이 1.85:1보다 조금 가려지는 1.9:1로 아이맥스라고 마케팅하는건 개인적으로 개소리 같긴 해요 애초에 1.9:1이 LIE맥스라고 평가 받았고요
@user-lc1ym3ch1x
@user-lc1ym3ch1x 2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는 스크린 사이즈가 너무 부담스러워... 꽉 차는 느낌은 좋은데 이제 보다보면 불편하게 느껴져서 딱히 개인적으로는 아이맥스로 꼭 볼 생각이 잘 안 들게 되는 것 같음... 돌비 시네마 사운드 한 번 경험하고 나니 워후... 이제 돌비쪽으로 마음이 기우는 중... 메가박스는 지속적으로 규격 맞춰서 돌비시네마 비율 좀 늘려줬으면 ㅠ.ㅠ...
@ihop5100
@ihop5100 3 жыл бұрын
사운드, 영상 모두 현시점 돌비시네마가 정점이네요.
@earth-42
@earth-42 2 жыл бұрын
남양주 돌비시네마에서 노웨이홈 봤는데 영화시작하기전 돌비소개영상에선 '와 지린다...' 했는데 막상 영화볼 때는 큰 차이를 못 느꼈어요
@mythcreator6019
@mythcreator6019 3 жыл бұрын
아 IMAX가 Eye Maximum의 약자 였군요!! ㅎㅎ 언제나 배워갑니다.
@user-hh8wj2wf3v
@user-hh8wj2wf3v 2 ай бұрын
아이맥스든 돌비시네마든 음질이든 화질이든 간에 극장이 크고 좌석도 많다보니 제대로 느낄수가 없다. 진심 시골 최신 영화들 일반극장하고 동시 상영해주는데 최근 듄2와 파묘 상영하는데 좌석이 고작 70석인데 꼴랑 5명이서 봤다. 그런데 우와 진짜 사운드니 화질이니 공간이 적으니 용산 아이맥스 저리가라 할정도로 사운드가 장난아니다 영상 몰입감도 좋고. 무엇보다 그 사람이 업으니 그 쾌적함은 상상을 초월하더라...
@nashira.y
@nashira.y 3 жыл бұрын
스펙만 다루느라 화면비 얘기가 제대로 안나올줄이야... 관람객이 돌비로 쉽게 발길을 못돌리는 이유는 용아맥의 압도적인 화면크기 외에도 1.43 비율 때문인게 큼. 굳이 아이맥스 필름카메라로 찍은 1.43비율이 아니라 걍 디지털이나 인증카메라로 찍었어도... 마블이나 디씨는 1.9 비율인 블록버스터가 꽤 많으니 화면 위아래가 짤렸다는데 아맥을 그냥 지나치긴 어렵죠... 1년에 한두편이라뇨. 2019년에만 몇편이 나왔는데...
@changlee1117
@changlee1117 3 жыл бұрын
8:49 1년에 한두편 나온다는 건 ‘아이맥스 필름’ 촬영작에 한정한 거죠. 2019년 개봉한 ‘아이맥스 필름’ 촬영작은 단 한 편도 없었습니다.
@nashira.y
@nashira.y 3 жыл бұрын
@@changlee1117 초반에 언급된 "어느극장에서 봐야하는가"란 소비자의 입장에서 화면비를 쏙 빼놓는 건 많이 이상합니다. 전용화면비 있는 영화는 꽤 많음에도 필름촬영만 꼭 짚어서 한두편만 나오니 이때는 방문해도 좋다고 얘기하는건 안맞다는 뜻이었습니다. 어차피 용아맥도 멜버른같은 오리지널 GT관(필름 영사기)은 아니니까요. DMR 컨버팅해서 1.43이나 1.9로 비율 바뀐 작품(마블,DC,애니,블록버스터)이 우르르 쏟아지고, 다들 화면비 몇이냐를 확인해보고 아맥vs돌비를 결정하기에, 놀란감독 작품 없음에도 아맥대란이 일어나죠.
@changlee1117
@changlee1117 3 жыл бұрын
​@@nashira.y 보통 아이맥스 하면 많은 분들이 '독점 화면비'를 떠올리시니, 그 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어 아쉬울 순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영상 제목에도 드러나듯, 이 영상은 '화질'과 '음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화면비' 부분은 내용상 빠진거라 생각드네요. 처음 답글을 달때 화면비 얘길 해야하나 고민했습니다. 할 말이 참 많은데, 어디서부터 해야할지 난감했거든요. 그래도 한번 말씀드리자면... 일단 아이맥스 독점 화면비라 불리는 1.9:1은 아이맥스가 개발한 게 아닙니다. 과거 디지털시네마협회(DCI)는 디지털시네마에 대한 표준안을 제정합니다. 여기서 배급 및 상영을 위한 디지털시네마패키징(DCP)은 영상의 사이즈를 2가지로 고정하는데요. 하나가 스코프(2.39:1, 2K기준 2048*858, 4K기준 4096*1716), 다른 하나가 플랫(1.85:1, 2K기준 1998*1080, 4K기준 3996*2160)입니다. 두 사이즈를 정하기 위해 나온 표준 화면비가 1.9:1(2K기준 2048*1080, 4K기준 4096*2160)인데요. 해상도 수치를 보면, 표준 화면비에서 가로 수치를 스코프가, 세로 수치를 플랫이 취한 걸 알 수 있죠. 이처럼 1.9:1은 표준이 되는 사이즈일 뿐, 애초에 상영용이 아니었습니다. 아이맥스 디지털은 이걸 상영용으로 쓰는 거고요. 아이맥스 필름 화면비인 1.43:1은, 아이맥스 필름 카메라로만 구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1.9:1은 아닙니다. 아이맥스 인증 카메라, 혹은 일반 디지털 카메라로도, 오픈 게이트 촬영을 통해 이 사이즈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블 영화 중 '시빌 워', '어벤져스' 3,4편을 제외한 작품들은, 아이맥스랑 관련없는 카메라로 촬영했습니다. 하지만 '가오갤2'나 '앤트맨2' 같은 일부는 아이맥스에서 1.9:1로 독점 상영했죠. 또 '블레이드 러너 2049', '1917',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 또한 아이맥스랑 관련없는 고해상도 카메라로 촬영하고, 아이맥스관에 1.9:1로 상영했습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아이맥스가 특별한 화면비 기술을 가져서? 전혀 아닙니다. 그냥 아이맥스가 영화사와의 사전 계약을 통해, 아이맥스 독점 화면비 영상을 따로 만든 거에요. 이런 방식이 처음 있는 것도 아닙니다. 과거 극장용 영화를 4:3 TV로 방영하려 할 때, 영화와 TV의 화면비가 맞지 않게 됩니다. 영화는 주로 1.85:1 혹은 2.39:1인데, TV는 1.33:1이기 때문이죠. 만일 영화 고유의 화면비를 TV에 그대로 틀면, 시청자는 거대한 레터박스를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영화사는 티비에 영화를 꽉 채우기 위한 두 가지 방식을 고안합니다. 첫째는 팬앤스캔 입니다. 영화 화면비에 맞춰 촬영한 후, TV에선 4:3에 맞춰 영상 좌우를 자르는 겁니다. 정보량 손실이 발생하지만, 블랙바가 보이지 않는 장점이 있죠. 둘째는 오픈매트 입니다. 처음 촬영할 때 4:3 비율로 찍고, 극장에선 상영비에 맞게 상하를 잘라내고, TV에서 화면비 원본을 방영하는 겁니다. 아이맥스 디지털 독점 화면비는, 바로 후자의 방식대로 만들어집니다. 일단 넓게 찍고, 거기서 1.9:1로 잘라낸 버전은 아이맥스관에, 2.39:1로 잘라낸 버전은 일반관에 공급하는 거죠. 1.9:1이 2.39:1보다 상하가 확장된 만큼, 이것이 제작자가 의도한 '진짜'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블레이드 러너 2049' 촬영감독 로저 디킨스는, 자신이 의도한 화면비는 2.39:1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리고 실관람객 반응 중 "아이맥스 버전이 상하가 넓어서 좋긴 한데 뭔가 허한 느낌이고, 일반관 버전이 프레임에 맞춰 구성요소가 꽉 채워져 있다"는 말이 있었고요. 아이맥스 필름의 독점 화면비(1.43:1)는 의미가 큽니다. 초대형 아이맥스 카메라와 초대형 아이맥스 스크린이 만나야만 구현되는 궁극의 화면비죠. 하지만 아이맥스 디지털의 독점 화면비(1.9:1)는... 솔직히 말하면 그냥 마케팅 상술입니다. 여기엔 어떤 특별한 기술도 없고, 새로운 미학적 의도도 없습니다. 물론 소비자 입장에선 일반관(돌비시네마) 대비 더 많은 정보량을 볼 수 있으니 좋겠죠. 솔직히 위에 적은 것들, 소비자가 꼭 알아야 할 내용도 아닙니다. 하지만 '독점 화면비'에 대해선 필름 대비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었단 점을 알리고 싶었고요. 사실 저도 필름 시절 독점 화면비 때문에 아이맥스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지금은 이런 화면비 상술 때문에 아이맥스가 더 싫어졌고요.
@user-zb9zy7jo5p
@user-zb9zy7jo5p 11 ай бұрын
그래서 1.43 영화 몇개나옴?ㅋㅋㅋㅋㅋㅋㅋㅋ
@bigfund
@bigfund 3 жыл бұрын
몇주전 콩vs고질라 보러가잔 애들 데리고 이왕 IMAX로 보려 용산에 갓는데, 거의 자다 와다. 역시나 줄거리 그리고 공간감 없는 사운드를 들으니 몰입도 안되고.. 안그래도 돌비시네마를 갔어야했구나 생각이 스쳤는데, 딱 생각턴 주제를 다뤄주시니, 감각이 뛰어나시네요. 정말 제다음 홈시어터를 한국서 만든다면 의뢰하고 싶습니다!
@user-cj7om4yl4x
@user-cj7om4yl4x 3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게 느끼고 돌비로 한번더 보고왔어요.
@user-dx7xq1nl1z
@user-dx7xq1nl1z 3 жыл бұрын
국내 아이맥스 1.43 상영 가능한곳이 용산뿐이라 좀 아쉽기는 하네요.... 도대체 CGV는 1.43 상영관을 더 추가로 설치할 생각이 있기는 한걸까요
@user-de4lr2gr6h
@user-de4lr2gr6h 2 жыл бұрын
1.43이 대체 뭔가요? 설명부탁드립니다
@crazyCNSH
@crazyCNSH 2 жыл бұрын
@@user-de4lr2gr6h IMAX의 풀사이즈 비율이 1.43:1입니다. 가로가 1.43, 세로가 1 이죠
@user-de4lr2gr6h
@user-de4lr2gr6h 2 жыл бұрын
@@crazyCNSH 아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user-zk3rs5md3p
@user-zk3rs5md3p 12 күн бұрын
천호가 스펙상으론 1.43:1 상영이 가능한데 무한정 미뤄지고 있죠..
@kkkkkk10100
@kkkkkk10100 11 ай бұрын
남양주 돌비로 슬램덩크 봤는데 눈물 참느라 힘들었음. 사운드 제대로 살리고 보는 내내 소름 일반관에서 슬램덩크 2번 더 봤는데 저때의 감흥까진 못찾음. 그차이가 뭔지 비교분석 해보니 결과는 돌비 차이로 종결됨 왜냐면 두번째는 일반관 자막으로 봤는데 가장 별로였고 세번재는 일반관 더빙으로 봤는데 그래도 역시 볼만했지만 눈물 소름까진 못미침 남양주 돌비에서 더빙 + 돌비 조합이 정말 최강이었음 돌비는 슬램덩크같은 ost 사운드를 정말 제대로 살려주는듯
@user-lx2su9uv4j
@user-lx2su9uv4j 3 жыл бұрын
85년인가 86년인가 63아이맥스에서 우뢰매 봤었네요 당시로는 거금이었던6000원정도에 햄버거를 주던 이벤트를 했던 기억이납니다
@user-kq2ks2ww5f
@user-kq2ks2ww5f Жыл бұрын
10:19 스크린 사이즈 자체가 용산이랑 차이가 많이 나는데 영국쪽이 더 빈약해 보입니다만?
@Windflowerize
@Windflowerize 2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 화면비를 8k 로 하면 실제 해상도는 어마어마하겠군요. ㄷㄷ..
@tirere2004
@tirere2004 Жыл бұрын
와우..똑부러지게 말해주셔서 이해 당했습니다~
@user-om4hv8ds4j
@user-om4hv8ds4j Жыл бұрын
돌비로 보다가 imax필름영화나오면 용산가면 된다는 말인가요?
@user-mz9jq4pi6u
@user-mz9jq4pi6u 2 жыл бұрын
1.43 화면비 영화는 1년 1~2편 아맥전용 1.90 화면비 영화도 마블영화 제외하면 경쟁력이 없긴함..
@guk07061
@guk07061 Жыл бұрын
친구랑 닥스 봤는데 처음에는 대전 돌비로 보고 음표싸움에서 너무 놀라워서 이거때문이라도 다시 봐야된다고 마음먹고 다시 다른 친구랑 닥스 보러 갔다가 애매를 잘못해서 일반관에서 봤는데 완전 실망... 그리고 탑건 3번 보고 완전 만족해서 삼성 사운드바 q990b 바로 질러버림
@user-ox9hs1bz4g
@user-ox9hs1bz4g 3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면 정말 필름 작품만 만족스러웠네요.
@xenonex1038
@xenonex1038 3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는 지는 해이고 돌비시네마는 뜨는 해로 봐도 무관하네요
@xdunable
@xdunable 3 жыл бұрын
영국에서.와우.부럽네요
@user-xc7tz7nw7e
@user-xc7tz7nw7e Жыл бұрын
진주 엠비씨네 롯데시네마 1,2,9관이 돌비 애트모스인증으로 아는데 아닌가요??
@sharkleesoutdoor4510
@sharkleesoutdoor4510 3 жыл бұрын
삼성이 마이크로 led 더월과 하만의 사운드를 조합해서 진출한다면 영향력이 있으려나요? 그에 관한 의견도 궁금합니다
@user-fq2cy4bn6g
@user-fq2cy4bn6g Жыл бұрын
삼성은 세계적인 음향 브랜드 하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jbl 하만카돈 뱅앤올롭슨 등 우리가 차에서 한번쯤 봤던 거의 모든 브랜드는 하만 계열사이고 삼성에서 하만의 지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떠산 영상에서 돌비는 애티모스는 마치 전성기 jbl과 같다 하셨는데 jbl은 사실 영화 음향관리 쪽으로 시작한 회사이고 실제로 현제 미국 극장의 거의 절반의 스피커는 jbl에서 담당하고 국내에도 jbl을 사용하는 극장이 꽤 많습니다 충분히 일리가 있네요 그리고 삼성은 실제로 영화계쪽에 진출하기도 했습니다
@suholee6079
@suholee6079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고 돌비 봤는데 화면 너무 작아요ㅡㅡ 아이맥스 레이저 상영관에서 보세요 낚였음
@790512
@790512 2 жыл бұрын
전 아맥 디지털로 촬영한 영화면 판교 아맥 아맥 필름으로 촬영한 영화면 용아맥 가고 그외에는 일반관으로 가는데 돌비시네마관들 함 방문 해봐야겠네요
@user-de4lr2gr6h
@user-de4lr2gr6h 2 жыл бұрын
굉장히 현명한 선택기준이군요 ㅋㅋㅋㅋㅋㅋㅋ 판교는 레이저 상영이 아닌가요?
@790512
@790512 2 жыл бұрын
@@user-de4lr2gr6h 집에서 가깝고 용산 보다 경쟁이 덜해서 갑니다 ㅎㅎ
@gmi9541
@gmi9541 Жыл бұрын
영상에 언급이 없어서 같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댓글들 보니 역시 아맥의 화면비를 돌비에서는 못보고 위아래 짤린 화면으로 봐야 되는 것이군요, 당연히 언급했어야 되는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가장 티 나는 차이점 아닌가요? 이거 하나만으로도 극장 선택의 이유가 될텐데요,
@user-zk3rs5md3p
@user-zk3rs5md3p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 전용 화면비가 있다면 당연히 아이맥스죠.
@bd.j4125
@bd.j4125 3 жыл бұрын
돌비 가자!!!
@loveandpeace0131
@loveandpeace0131 2 жыл бұрын
돌비시네마가 롯데시네마에있는 수퍼플렉스 돌비에트모슨가 그것도 포함이에요?
@user-zk3rs5md3p
@user-zk3rs5md3p 2 жыл бұрын
롯데시네마는 그러한 상영관명을 통칭 "수퍼사운드"나 "수퍼플렉스"라고 부르는데 그 명칭이 하나로 통합되지는 않았습니다. 공통점은 에트모스(ATMOS)라고 별도표기된 경우에만 돌비 애트모스 포맷의 사운드 상영이며 인트로 영상으로는 "Horizon"이 나옵니다. 영사기술인 돌비 비전은 메가박스의 돌비시네마 독점 포맷이라 적용되지 않고요.
@flytothemoon12
@flytothemoon12 2 жыл бұрын
매버릭은 돌비에서 보는게 좋나요
@user-uz3ex1sz7k
@user-uz3ex1sz7k Жыл бұрын
@user-zq6nb4ol9l
@user-zq6nb4ol9l Жыл бұрын
아바타2는 뭘로보는게좋은가요??
@hind_sight
@hind_sight Жыл бұрын
돌비
@hind_sight
@hind_sight Жыл бұрын
이제 아이맥스는 옛말
@user-zq6nb4ol9l
@user-zq6nb4ol9l Жыл бұрын
@@hind_sight 아 돌비도 3d인가요??
@petit9286
@petit9286 Жыл бұрын
용아맥이 원탑인데 ㅋㅋㅋㅋ 남돌비가 그나마 비빔
@user-uz3ex1sz7k
@user-uz3ex1sz7k Жыл бұрын
@@petit9286 흠 스펙으로는 남돌비가 더 좋습니다 스크린 크기 말고는 용아맥이 내세울게 없어요
@davidseo4237
@davidseo4237 3 жыл бұрын
35mm도 10k까지 커버 가능하지 않나요?
@dbs1793
@dbs1793 3 жыл бұрын
35mm는 4K에서 그 데이터를 싹싹 긁어서 보여줄 수 있고, 그 이상의 디지털 해상도는 65mm 이상 되어야 커버가 되는걸로 압니다.
@Kind6115
@Kind6115 Жыл бұрын
I love Dolby cinema
@jason020907
@jason020907 11 ай бұрын
사운드 그리고 아이맥스 필름으로 찍지 않은 영화는 돌비 아니면 돌비
@user-sv1os1yf9x
@user-sv1os1yf9x 2 жыл бұрын
그럼 부산에 4d 영화관 있나요.
@user-vx2xe9dh9z
@user-vx2xe9dh9z 3 жыл бұрын
돌비가 사운드가 더지리긴하던데
@kyl7174
@kyl7174 Ай бұрын
TV도 4K방송으로ㅈ가는데 대형극장 아이맥스영화는 8K영화가 대세다.
@ybCoooL
@ybCoooL Ай бұрын
어쩐지 용산 아이맥스.. 스크린 화질도, 사운드도 별로라고 생각됐던 이유가 있었군.
@name3545
@name3545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국내 최고는 남양주 스페이스원 돌비 사운드 나오는곳인가요 ?
@juwonjung4338
@juwonjung4338 3 жыл бұрын
8k 영사기를 도입한다고 해도 영화사에서 제작비를 핑계로 대부분 DI를 2k 로 피니쉬하기때문에 드라마틱한 효과를 보긴 힘들꺼 같아요...
@user-vf1tj3vg6s
@user-vf1tj3vg6s 2 жыл бұрын
쉬->시
@bazzi486
@bazzi486 10 ай бұрын
@@user-vf1tj3vg6s 쉬도 맞음
@user-ot9mo9zm6j
@user-ot9mo9zm6j 2 жыл бұрын
코엑스 돌비시네마를 봤는데... 너무 기대한 나머지 실망감이 컸어요. 입체음향이라해서 기대했는데 보면서 일반극장과 너무 비슷하더라고요
@madic1207
@madic1207 2 жыл бұрын
돌비 시네마 특:우리 동네에서 너무 멀고, 하는 곳이 너무 적음
@believeml7952
@believeml7952 Жыл бұрын
Dolby all the way ❤️
@user-yx9qm9rq1t
@user-yx9qm9rq1t 3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 ㅠㅠ...~~ 아맥 삼디 영화가 보구 잡네유
@name3545
@name3545 3 жыл бұрын
한국사람들.......역시........... 사기쳐먹는건 세계탑이네요... 아이맥스가...진정한 아이맥스가 아니였네요... 스피커 알맹이 빼먹고
@GoOnJo
@GoOnJo Жыл бұрын
탑건 매브릭 죽기전 코엑스 돌비시네마에서 한번 꼭 강추드립니다 꼭보세요
@user-hx6np1wf5s
@user-hx6np1wf5s 4 ай бұрын
비교고 뭐고… 울산 살아서 메가박스가 영… 돌비시네마 보러 가려면 대구 가야되서 그냥 아이맥스… 시지비에 몇년을 꼴아박았으니 아이맥스 파이팅이다ㅠㅠ
@user-ee3zm9wn4u
@user-ee3zm9wn4u Жыл бұрын
CGV 영화관 사운드는 너무 약해요 메가박스 코엑스 돌비 시네마 사운드는 DoIby Atmos가 너무 강한 사운드가 강하게 너무 좋아요
@user-zb9zy7jo5p
@user-zb9zy7jo5p 11 ай бұрын
여기 몇몇 아맥빠들 댓글 보이는데 1.43 영화가 그래서 1년에 몇 편 나옴? 화면비 얘기 없는게 아쉽긴 한데 일반아맥비 1.9:1 영화면 걍 남돌비가 압승임 1.43 영화면 당연 "용"아맥인데 나머지 아맥+1.9:1은 남돌비가 더 낫다는거임 물론 돌비 포멧이 지원되는 영화에서는
@user-uz3ex1sz7k
@user-uz3ex1sz7k 8 ай бұрын
그냥 자기가 좋아하는 포멧으로 보면 되는겁니다ㅋㅋㅋ왜 이렇게 화가 나셨어요
@user-zb9zy7jo5p
@user-zb9zy7jo5p 8 ай бұрын
@@user-uz3ex1sz7k 자꾸 우기니까 ㅋㅋ
@user-uz3ex1sz7k
@user-uz3ex1sz7k 8 ай бұрын
@@user-zb9zy7jo5p 그런 댓글들은 신경 쓰지 마세요ㅋㅋ
@boa20071
@boa20071 11 ай бұрын
돌비가 세계적으로 늘어나는추세같던데 서울에 제데로된 돌비시네마가 나와야하지안나요.
@user-ub1ul8zb2e
@user-ub1ul8zb2e Жыл бұрын
화면 큰 돌비가 현실적으로 최선의 선택. 대전 돌비가 현존 최고임 ㅎ
@user-pn5pr4he4o
@user-pn5pr4he4o 2 жыл бұрын
다산 메가박스 돌비시네마 ...두번봣는데 솔직히 사운드큰거말고는... 별 효과없고 비싸기만햇어용 개인적인 판단이엿습니다 ..첨엔 와 신기하다 햇지요 ㅋㅋ...근데 계속보면.....그냥그냥이여서 일반 들어가요 ㅋㅋ
@user-zp6wp4gl8e
@user-zp6wp4gl8e 2 жыл бұрын
두 관은 밀고 나가고자 하는 목표 자체가 다릅니다. TV로 비교해보자면 돌비시네마는 8K 55인치 TV라면 용아맥은 4K 100인치 TV 돌비시네마는 압도적인 선예도와 명암비, 극강의 서라운드 시스템으로 감독이 관객들에게 전해주고자 했던 바를 정확히 표현해준다면 용아맥은 압도적인 스크린 사이즈와 사운드 출력으로 관객들이 영화를 가장 스펙타클하게 느낄수 있는 관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돌비시네마가 인기가 많고 해도 용아맥의 인기를 못 뛰어넘는건 관람 했을때의 스펙타클함, 압도적인 사이즈로 내가 정말 극장에 왔구나 싶은 자극적인 맛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돌비시네마도 어지간한 돌비 비전•애트모스 믹싱작은 극강의 몰입도를 자랑하지만 용아맥과는 조금 다른, 개인적으로 음미하는 느낌이 강했던 극장이였습니다 영상을 보면 단순 스펙상으로만 설명을 하시니 당연 아이맥스가 뒤쳐져 보일수 밖에 없는데, 정작 가보면 아이맥스의 사운드가 서라운드는 부족하다는 느낌은 들어도 사운드가 별로다...? 아이맥스 다니면서 한번도 못 느꼈습니다 아이맥스의 화질도 아이맥스 자체 시스템인 DMR을 거치면서 최소한 화질 별로다라는 생각도 안들구요 아이맥스의 화면비, 압도적인 스크린 사이즈와 사운드 출력 생각하면 돌비시네마에 전혀 꿇리지 않는 포멧입니다.
@user-zk3rs5md3p
@user-zk3rs5md3p 2 жыл бұрын
사운드의 지향점은 확연히 다르지만 스크린 크기는 남양주와 대전 돌비시네마가 인천이나 광주 아이맥스보다는 훨씬 큽니다. 물론 동일한 4K 상영환경에서 현재는 용산 아이맥스관이 스크린 크기로 볼때 국내 최고인 것은 맞으나 돌비시네마도 점차 더 큰 스크린에서 선명하게 영사할 수 있는 기술적 노하우가 생겨난다면 향후 용산 아이맥스와 비슷하거나 훨씬 큰 크기의 상영관이 등장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하죠. 본격적인 경쟁구도는 그때부터 시작될 것이라 봅니다.
@GChr1s
@GChr1s Жыл бұрын
용아맥과 남돌비로 비유해보면 2K 100인치 TV와 4K 65~75인치 TV쯤 할거 같아요
@Tom-zu1st
@Tom-zu1st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뭐가 더좋냐고요...
@roses_are_rosie_0211
@roses_are_rosie_0211 2 жыл бұрын
화질과 사운드가 중요하면 돌비 거대한 화면으로 몰입되는게 중요하면 아이맥스
@shipowner77
@shipowner77 3 жыл бұрын
아이맥스 상영관이 일반 상영관에 비해서 화질과 시운드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저는 갠적으로 메가박스 돌비 시스템 M2 상영관 보다 CGV아이맥스관이 더 좋게 느껴지더라구요 저는 아이맥스 영화 매니아라서 아이맥스로 촬영 되었거나 DMR 된 영화는 안 빠트리고 다 봅니다 특히 아이맥스 3D 영화를 좋아하는데 일반 3D 영화와의 차이는 아이맥스 3D는 안경을 썼을때 스크린과의 거리감이 전혀 안 느껴진다는 겁니다 바로 눈 앞에서 펼쳐 지기 때문에 내가 꼭 영화속에 들어와 있는거 같이 몰입도가 매우 뛰어나죠 그래서 아이맥스 3D 영화를 엄청 기다리고 있는데 제작년 엔드게임 이후로는 나오지가 않네요 😭
@latwc
@latwc 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참고로 1빠
@ajisaitou
@ajisaitou 3 жыл бұрын
어디까지나 스펙만 보고 하는 해설이네요 아이멕스의 부족한 스피커는 용산아멕이 문제지 본사의 문제는 아닌데. 최소수펙내에서 설계자와 극장주가 타격점을 찾을 뿐이고 돌비씨네마는 그럼 다같은 사운드와 영상을 제공할까?! 돌비씨네마도 편차가 있는데 기호에 맞게 선택할 뿐이지 갠적으로 보헤미안 렙소디는 음향면서 씨나마씨티의 폭음상영>imax>dolby cinema 순 울나란 스펙만 찾는게 문제야
@changlee1117
@changlee1117 3 жыл бұрын
미시적인 지적에 의문이 들 순 있어도, 그래도 거시적인 분석은 공감이 가더라고요. 특히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기 속에, 아이맥스는 돌비 대비 분명 뒤처진 지점이 있다고 봅니다. 그나저나 댓글에 폭음상영, 얘기만 들어봤는데 어떤 느낌인지 정말 궁금하네요. 콘서트장에서 영화보는 기분일까요? ㅎㅎ
@nasdaq5122
@nasdaq5122 3 жыл бұрын
용아맥은 그냥 진리입니다...
@love-pw7gq
@love-pw7gq 3 жыл бұрын
돌비시네마라도 아이맥스의 웅장함은 이기질 못함
@fojeri
@fojeri 3 жыл бұрын
극장의 시대는 끝났다고 봅니다. 이미 홈시어터가 극장을 대체했씀. 화질, 음질, 편의성, 경제성 모든부문에서 홈시어터가 우위. 화질경쟁에서는 홈시어터가 극장보다 뛰어나다는건,이미, 공공연한 사실이고, 일부에서는 극장 음질이 더좋다고 하는데, 그것도 넌센스죠, 음질과 소리에 투자하는데 인색하고, 설치한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는데도 인색한것이 현재 극장의 현실입니다. 오로지 스크린 크기와 좌석숫자에만 연연하는게 국내극장의 현실이죠 좌석배치에 따라서 들쭉날쭉한 극장의 음질보다, 홈시어터의 나만을 위한, 정교하고 최적화된 스피커 셋팅이 훨씬좋음. 편의성과 경제성은 말할것도 없고요.
@ihop5100
@ihop5100 3 жыл бұрын
개인이 돌비나 아맥보다 셋팅이 정교 할수는 없을거 같은데. 홈시어터가 극장 사운드를 비빌순 없습니다. 헤드룸 부터 SPL 차이까지 스피커 시스템의 갭이 큽니다. 특히 돌비의 애트모스의 경우 채널수 부터 갭이 큽니다. 홈시어터가 극장보다 뛰어나다는것 부터 넌센스죠 다른 컨텐츠 인데.
The Movie Theater Will Survive.
9:40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201 М.
[4K] 극장 vs 홈시어터! 화질, 음질 대결의 승자를 선정합니다.
10:33
狼来了的故事你们听过吗?#天使 #小丑 #超人不会飞
00:42
超人不会飞
Рет қаралды 54 МЛН
우리나라에 진짜 아이맥스 극장이 하나도 없는 이유
8:15
하이파이 오디오 입문자를 위한 가성비갑 네트워크플레이어
12:34
DDOMAG 두두오 x 하이파이매거진
Рет қаралды 38 М.
IMAX는 무엇이 다른가? 최신 IMAX 영화, 제대로 알고 즐기자!
9:20
안될공학 - IT 테크 신기술
Рет қаралды 94 М.
돌비애트모스 초저가로 방구석에서 들어보자
11:36
공돌이파파
Рет қаралды 132 М.
8K HDR IMAX | Target -02:15.00 (Top Gun Maverick) | Dolby 5.1
3:12
4K Clips And Trailers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3.5.A Solar Mobile 📱 Charger
0:39
Gaming zone
Рет қаралды 315 М.
cool watercooled mobile phone radiator #tech #cooler #ytfeed
0:14
Stark Edition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