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K12 다목적기관총

  Рет қаралды 447,873

KFN

KFN

6 жыл бұрын

[4K]
JAM없는 재밌는 총! K12 다목적 기관총
분당 650~950발의 시원함!
더 강하게 더 가볍게 더 빠르게 진화한 국군무기도감 K12!
#K12_인정_각 #기관총의진화 #국군무기도감 #시원함 #짜릿함

Пікірлер: 749
@lody944
@lody944 5 жыл бұрын
※ 주의! 이 곳은 유사 밀덕이 판치는 곳 입니다! 본인이 현역이라 주장하지만 비틱만도 못한 수준의 비판과 정신승리로 보는 사람의 눈살을 찌푸리게 합니다!
@user-tn1zd1pp3p
@user-tn1zd1pp3p 5 жыл бұрын
제가 승리.v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5 жыл бұрын
비틱이 뭐야?
@user-njpants
@user-njpants 4 жыл бұрын
@@user-ux4sc4ce4f 네덕 네이버덕후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4 жыл бұрын
@@user-njpants 아??
@user-njpants
@user-njpants 4 жыл бұрын
@@user-ux4sc4ce4f 간단하게 정신적으로 어려보인다고 생각하셈
@user-zn4jl6re9x
@user-zn4jl6re9x 6 жыл бұрын
각각 상황에따라 변형이 된다는게 매우 좋군욥
@beaclassy141
@beaclassy141 6 жыл бұрын
4:14 고프로 카메라 어디가 ㅋㅋㅋㅋㅋㅋㅋ
@happycat610
@happycat610 5 жыл бұрын
Possibility Kim ???:무서웡..
@barney1504
@barney1504 5 жыл бұрын
테엽감으면 움직이는 장난감같네
@crazybenny8544
@crazybenny8544 4 жыл бұрын
무서운듯
@1ddoki499
@1ddoki499 5 жыл бұрын
K3에 대해서는.. 저는 대부분의 군생활이 1,2총사수였고 전방 페바부대에서 전역한지 1년 정도 지났지만 제 군생활 중에 군단에서 대대적으로 문제점 검토와 해결방안을 뿌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해결 방안 자체가 총기수입 후 기름칠 할때 보통 K-1 K-2 총기 수입하듯이 수입포로 기름을 닦아내지말고 그냥 기름이 흥건한 상태에서 사격을 하면 개선율이 몇퍼센트 이상이라고 그렇게 결론을 뒀더군요. 연대급으로 하는 공용화기 집체교육도 K-3에 대한 전문가, 아니 최소한 K-3를 다른 병사만큼만이라도 쏴본 간부가 교육을 해야하는데 그냥 제원과 총기분해, 사격지향자세 이런것들에 대해서만 교육하는게 현실이었구요. 반면에 또 병사들도 저희 부대에도 k-3가 똥이라며 욕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저도 더 잘 다루기위해 선임분들에게 많이 여쭤보고 했지만 별로 아는것도없는데 욕하는 경우도 태반이더군요. 당직설때 교범도 보고 총기수입 시에 남들이 닦지 않는 부분까지 모두 닦아보려했지만 이미 오래토록 안좋은 상태로 방치된 총인걸 인지하고 군단에서 말하던 것 처럼 기름 떡칠밖에 방법이 없긴 했습니다. 기름떡칠하고서는 50발까지 무리없이 사격이 가능했고 그 이상은 연속사격 해보질 않아서 모르겠네요. 그래도 그런 떡칠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투에 임할 수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물질끼기 굉장히 쉽고 흙먼지 달라붙기에 너무 쉬워서 애지중지하면서 두돈반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사격했던거 기억나네요. 그냥 육군에서의 부실한 총기관리 75퍼센트와 병사들의 무관심 25퍼센트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grea74
@grea74 5 жыл бұрын
부족했던 기술력으로 맨땅에 헤딩하듯이 노하우를 모아왔으니 이제는 신뢰성 높은 국산화기가 나올때도 되었지요..고생하시는 개발자분들께 박수를 보냅니다
@warjinping
@warjinping 6 жыл бұрын
크흐 국군다목적 경기관총 찬성합니다
@user-sq4rh7rf5n
@user-sq4rh7rf5n 4 жыл бұрын
이번 인도의 노후기관총 대체 선별 경쟁에서 꼴찌 한 총입니다 신형 기관총인데 전세계경쟁 기관총중에 꼴찌 했답니다 ㅋㅋㅋㅋㅋ 이런 걸 총이라고 유튜브에 올려서 자랑 짓거리하고 있는 우리나라 국방의 수준입니다
@user-ij8wx9qe8i
@user-ij8wx9qe8i 4 жыл бұрын
인도의 기관총 사업은 LMG 사업이었고 K12는 GPMG이다. 니즈와 다른 것을 내놓았으니 꼴찌할 수 밖에 ㅋ
@user-ij8wx9qe8i
@user-ij8wx9qe8i 4 жыл бұрын
까는건 뭐라 안하는데 깔꺼면 제대로 알고 까자
@wilddog29
@wilddog29 6 жыл бұрын
시원하네~!!
@qwer2610
@qwer2610 6 жыл бұрын
멋지네 .....사고싶다
@djWjfkrhwkdsksclsi
@djWjfkrhwkdsksclsi 4 жыл бұрын
툭하면 진동문제로 점검받는 수리온. 기관총 테스트에서 연사 반동으로 인한 진동발생으로 최하위 점수를 받은 K-12. 거의 세기의 조합으로 볼수 있는 방산 졸작끼리의 만남인가. 기관총 연사하다 헬기 추락하는 명장면이 연출될듯.
@user-jd4mm3pf9x
@user-jd4mm3pf9x 4 жыл бұрын
수리온: 수리 on
@user-pjd177
@user-pjd177 6 жыл бұрын
화력 쩌내요.
@r.jh.r7147
@r.jh.r7147 6 жыл бұрын
시원하게 나가네요,,,,,
@zotolee2621
@zotolee2621 6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봤어뇨
@Dr.Kwon_Global-TV
@Dr.Kwon_Global-TV 5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sejonggong9455
@sejonggong9455 6 жыл бұрын
진짜 잘쏘시네...
@user-ib2wj6lt7r
@user-ib2wj6lt7r 6 жыл бұрын
k 12 기관총 잘봤습니다 !
@user-vd3qw4nn5s
@user-vd3qw4nn5s 6 жыл бұрын
군대시절 k3 사수였는데요 링크탄이 아니라 탄알집 끼고 쏘면 5개중 1개정도는 잘나가지만 4개는 한발쏘고 기능고장 하지만 링크탄 으로 사격하면 100발 연발사격때 아주 잘나감
@coreadokk
@coreadokk 4 жыл бұрын
17년전 군대에서 링크탄 100발싹 두번 쏴봤지만 큰 문제없었음 그렇다고 관리를 썩 잘한것도 아니고 그냥그냥
@user-wd6um2hp3p
@user-wd6um2hp3p 6 жыл бұрын
중대 k3 사격 지원 가서 희대의 똥총 전쟁 나면 아군 다 죽일 쓰레기총의 위력을 눈으로 직접 보고 충격 먹음...그 많은 k3중에 사격 제대로 되는 총 한자루 없이 여기 저기 기능 고장 손 들기 바쁨
@jtj4664
@jtj4664 4 жыл бұрын
K14도 0.5 MOU 이하로 명중률 더높여하며 ,.5.56미리 K15 잼걸림이 K3보다 향상되었다고 하나 육군 요구성능을 선진국 수준으로 만들어서 요구해야함.
@purunis76
@purunis76 6 жыл бұрын
k3 발열심하고, 총신이 휘어지는 문제가 있었어요. 연발사격하다가 총신 발열때문에 계속 쉬었던게 생각이 나네요. k6는 믿어도 괜찮겠죠?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 5 жыл бұрын
이야 엄청나네요 진짜 다목적화기군요 헬기에 부착한 걸 떼어서 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니
@user-tj1sg6fp6i
@user-tj1sg6fp6i 6 жыл бұрын
드뎌 나왓네
@DKLim-xo9ub
@DKLim-xo9ub 5 жыл бұрын
주특기 번호 1112 로 m60, k3 다 다뤄봤습니다. m60 , k3 둘다 기능고장 자주 있습니다. k3만의 문제가 아님, 참고로 제 첫 총은 m60이었는데 연사가 안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단발 쏘고 재장전하고 또 단발쏘고 재장전하고 , 정비소 보내서 수리도 1개월 가까이 해서 다시 받았는데 못고치고 말년에 k3로 바꿨는데 k3는 덮개부분에서 급탄이 연속적으로 안되서 잼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대대에서 기관총 사수들은 따로 모아서 사격훈련 했는데 대대에서 운영하는 기관총은 m60이든 k3든 절반이상이 기능고장으로 연사가 안되는 총이 대부분이었고 결국 연사되는 총 몇 개로 대대 사격훈련을 다 했었습니다. 총기 수입을 안한다고 하시는데 그건 연사가 안되는 총 운영을 안해봐서 입니다. 훈련때마다 총기 수입하는데 실제로는 단 한발도 사격을 못하니 총이 정말 깨끗합니다. 안나가는 총이 잘 발사되는 총보다 항상 수입은 잘 되어 있습니다. 특수분해라고 해봐야 노리쇠 부분, 덮개 부분인데 일반 수입 도구로 분해하기가 빡센건 맞음, 특히 노리쇠 갈퀴?부분(탄을 잡아서 약실에 집어넣는 부분) 그런데 저 군생활때는 그런거 까지 다 총기수입 시켰을때라서 총기 수입부분에 대해서는 확실히 했음 기관총 운영하면서 별의별 기능고장은 다 목격했는데 가장 짜증나는 기능고장은 탄피가 짤려서 약실에 박혀 안빠지는 기능고장이 가장 조치하기 힘듭니다. 심한경우 총열을 못쓰게 됨. 특히 m60은 쿡오프가 자주 생겨서 사격 통제가 안되고 위험한 상황이 생길때가 많았음
@n2.yookoon252
@n2.yookoon252 4 жыл бұрын
m60의 한국화인가요? m60 탄약수때 열심히 썼는데 저정도로 반동이 심하거나 너무지나치게 무거워서 서서 사격은 못하겠다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는데 들고 사격은 못하나요? 전투장비의 전투불능상황에서 하차전투 할때 저 지상개머리판은 유용해 보이네요.
@user-wu9xl7um7i
@user-wu9xl7um7i 4 жыл бұрын
m60하고 무게 차이 없나보더라구요. 600g 차이?
@beaclassy141
@beaclassy141 6 жыл бұрын
저게 m60 대체 화기인가요? 상당히 이쁘게 생겼네요 ㅎㅎ
@user-kq2xf6sz1y
@user-kq2xf6sz1y 5 жыл бұрын
소리 좋네
@MKim1
@MKim1 5 жыл бұрын
전장에서 미군들이 5.56mm 분대지원화기가 화력이 약하다고 불평을 많이 해서 7.62mm로 바뀌어가는 추세라고 들었습니다.
@mnmnto
@mnmnto 6 жыл бұрын
전차 공축용도 만들었네요 기존 M60E2형이랑 호환되나요?
@user-hf6ff8cf7k
@user-hf6ff8cf7k 6 жыл бұрын
보니까 공축용도 있네요. 공축용 솔레노이드가 똑같이 생긴 것으로 봐서 호환 되게 만들었겠죠?? 애초에 7.62mm m60 대체형으로 개발한 거잖아요^^
@TV-iy4cd
@TV-iy4cd 5 жыл бұрын
제가어린인대총을좋아해서총소리가좋아요
@user-js7ki6pk3k
@user-js7ki6pk3k 6 жыл бұрын
보급 하는데 몇년 걸릴려나?? 08년 군번인데 6.25때 쓰던 수통 쓰고 이랬는데...
@comment_broiler
@comment_broiler 4 жыл бұрын
이런 기관총류는 정밀사격을 지원하는 각도 보정 장치 (사격후 상하 진동시 각도 보정 제어)를 개발하여주거나 (연사력을 그대로 살림) 또는 더욱 저렴한 시스템으로 발사시 0.3초간 회전관절을 강하게 잡아주어 진동을 막아줌 (자체적인 진동은 있지만 총의 각도는 발사시 브레이크로 잡아주어 변하지 않는다) 또는 무진동시만 사격가능 센서장치등을 넣으면 총탄낭비를 엄청나게 줄일수 있을것입니다. (대신 연사력이 반이하로 저하) 예를 들어 발칸포 경우 같은 구경의 기관포보다 더욱 정확한 탄집을 가지는데 발사수보다는 고속 회전하는 발칸포 시스템 자체가 진동을 잡아주는 무게추 시스템
@woole9249
@woole9249 6 жыл бұрын
무게가 10.4면 탄무게까지인가요? 잘몰라서 그리고 10kg가 넘는데 개머리판 있다고해서 들고 쏠수있나요?
@user-xe8mj2pm2l
@user-xe8mj2pm2l 5 жыл бұрын
wool e 아마 들고 쏠 수 있을겁니다..
@kjseo84
@kjseo84 5 жыл бұрын
들고 쏠순 있지만 맞출 수 있다곤 안했다 ㅋㅋㅋ 내가 보기에 들고 쏴서 맞출 수 있는 한계는 k-3 임 ㅋㅋ
@yutank5372
@yutank5372 5 жыл бұрын
보조 개머리판은 잘 도입 했네요 헬기 추락해도 조종사 모두 적 기갑차량 대응하기 좋을듯
@war.and.peace99
@war.and.peace99 6 жыл бұрын
총열교환에 대해 좀 설명을 해주시지. 교환주기나 석면장갑 필요 등등.
@Woofofo
@Woofofo 5 жыл бұрын
총열교환 간단함 400발 정도 쏘면 갈아줘야하고 석면장갑은 없어도 되는데 안전상 씀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4 жыл бұрын
손잡이가 있어서 굳이 석면장갑은 필요없고 그래도 전술 장갑정도 있으면 좋겠죠..
@gukbabbuking
@gukbabbuking 6 жыл бұрын
와 저거 승무원형 시험단계 참여햇엇는데 감회가 새롭네
@Woofofo
@Woofofo 5 жыл бұрын
나도 승무원이여서 저거 지겹도록 쐇는데
@jjony3698
@jjony3698 5 жыл бұрын
요번 K12 다목적기관총은 상당히 연구해서 만든 느낌이 납니다. 대한민국 국군 화이팅 입니다!
@user-yi6jx1zz1k
@user-yi6jx1zz1k Жыл бұрын
K3좀 개량해서 같이 운용해야 합니다 k3전직 사수였는데 제총 빼고는 100발짜리 볼트액션 소총처럼 한발씩밖에 쏘질못해서 믿을만한 구석이 없더라구요
@user-wi2vp9hc1h
@user-wi2vp9hc1h 6 жыл бұрын
총열가는거 좀 보여주징
@eyon44
@eyon44 5 жыл бұрын
k3랑 역할이 겹치는데 k3는 이제 도태되나요?
@Min77539
@Min77539 6 жыл бұрын
소염기 형태가 사방으로 잘 분사되도록 설계된건가요.
@doctor0319
@doctor0319 5 жыл бұрын
사수 시야확보를 위한거죠 어차피 거치해놓고 쏘는물건이라 연발 사격햇을때 총구 화염 방해없이 목표 확보가 쉽도록요
@PXGKOREA
@PXGKOREA 5 жыл бұрын
1:00 7.62mm M60있었잖아요? 라이센스도 가져와서 국내생산했으면서 없기는..
@youtubehanmono5347
@youtubehanmono5347 6 жыл бұрын
1:32 에가 아니라 의 아님? 마지막줄
@jsm9252
@jsm9252 6 жыл бұрын
연사속도가 빠르네
@fackyoo
@fackyoo 5 жыл бұрын
지속 사격이 몇발 까지 가능 할까 연사시 탄착군은 어떨까 전체적으로 M240정도만 되어도 좋겠다
@user-xv8js6st9q
@user-xv8js6st9q 3 жыл бұрын
국방부가 k-12 기관총을 새로 개발하셨나 봅니다. 7.62mm 총탄이면 화력이 대단하겠습니다. 철판 100mm 관통합니까요?
@user-ut4tp5nx3b
@user-ut4tp5nx3b 6 жыл бұрын
나온다 나온다 한 10년 전부터 들은거 같은데 드디어 나온건가? 수리온 무장으로 탑재됐을때나 본거같은데
@user-ju3mv8ln5o
@user-ju3mv8ln5o 6 жыл бұрын
아..사고 싶어요.
@yunjinlee3304
@yunjinlee3304 5 жыл бұрын
K12도 총열교체가능한가요
@bjh8713
@bjh8713 5 жыл бұрын
105mm 고폭탄20발짜리 탄띠를 장착한 곡사포는 어떻습니까?
@user-ys5pq8rz1c
@user-ys5pq8rz1c 6 жыл бұрын
나 06군번 인디 k3 사수 로서 기능고장 나무 자주 발생ᆞᆞ 그냥 휘둘려서 때려 죽이는게 빠름ᆞ
@user-lx5vi2ci1v
@user-lx5vi2ci1v 4 жыл бұрын
K3 탄띠말고 탄알집 결합도 기능고장 심한가요?
@user-rp8qf9pv1h
@user-rp8qf9pv1h 2 жыл бұрын
c1도 그렇고 이것도 그렇고 가늠쇠 꼭 고정으로 단 이유가 잇어?
@Tchu1024
@Tchu1024 5 жыл бұрын
난 내 후임이 K-3 덮개 때문에 고무링으로 묶어서 가지고 다녔던걸 아직도 기억한다... 검지와 중지로 덮개 끝쪽을 누르면서 쏘는 이유도 '덮개가 열릴까봐' 라고 대답했던 동기도 기억난다... 개선하면 뭐하냐고 정작 들고 싸우는 인원들은 정작 신뢰를 못하는데! 지금은 어떨런지 몰라도 내가 군생활 하던 시절에 총기에 대해 신뢰성이 있었던건 오직 K-2 조준방식이 편하단것 그리고 개머리판이 접혀서 짬좀 먹은 인원들은 접고 다닌단것 딱 그정도였다
@LK-99
@LK-99 6 жыл бұрын
와 개멋있게 생겼네 특히 개머리판 부분이 맘에든다 상황에맞게 변경하는건가?
@jjw00116
@jjw00116 5 жыл бұрын
k3 괜찮음 GP 근무하는 수색중대에서 군대 나왔는데 사격할때 끌려가서 경계 섰는데 잼 걸리는 소리 들어본적 없음 총 정비 받고나서 쏴서 그런가 잼 걸리는건 군생활 하면서 못봤고 그만큼 사수 부사수들이 총 관리를 잘 했던것도 있었음 근데 개머리판 부분이라던지 좀 낡은 부분이 많기는 해서 교체가 되긴 해야할거 같긴 한데 k12 괜찮은거 같음 대신 k3처럼 일반 소총수나 부사수랑 탄 호환이 안되는 단점은 있긴 한듯 그리고 산악이 많은 대한민국 같은 경우 전방부대는 영상처럼 개머리판이 저렇게 숨길수 있게 해 놓으면 좋을거 같음...추진철책 점검 할 때 사수나 부사수들이 다리에 개머리판이 걸려서 힘들어함
@user-no2bs8ew6b
@user-no2bs8ew6b 6 жыл бұрын
다행이다 저 총 들기전에 전역해서
@user-lx5vi2ci1v
@user-lx5vi2ci1v 4 жыл бұрын
이게 정답이닼ㅋㅋㅋㅋㅋ
@user-ss3mp8ge1s
@user-ss3mp8ge1s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껙
@josteven2008
@josteven2008 5 жыл бұрын
군복무하면서 칼빈하고 M1, M60만 써본 사람들은 내 또래. 우리때는 K 시리즈 개인 또는 공용화기 없었다. 제대 말년에 M16 몇번 쏴보았다.
@hsbluejean
@hsbluejean 6 жыл бұрын
k3 빨리 교체해야할듯 전투에서 총알이 걸린다는것은 죽음뿐 좋은총 만들어서 해외에 수출만하지말고 군에도 좀 보급하자 ㅋ
@user-fw5wm5rj4l
@user-fw5wm5rj4l 4 жыл бұрын
👍👍👍👍👍👍👍👍👍
@hite6881
@hite6881 4 жыл бұрын
국제 경쟁 입찰이 절실합니다.
@aakkbbaakkbb5719
@aakkbbaakkbb5719 6 жыл бұрын
조준경 못다나요? 기관총도 조준경 필요하지않나용?
@aakkbbaakkbb5719
@aakkbbaakkbb5719 6 жыл бұрын
아 자세히 보니 레일 달려있구나
@syl3847
@syl3847 6 жыл бұрын
그래서 단가는 얼마나 합니까?
@user-qf8ef8tm1i
@user-qf8ef8tm1i 6 жыл бұрын
부사관학교때. K3 연발 교육받을때 암걸리는줄 알았는게 ㅋㅋ 존나 걸림. 소총인줄 ㅋ 요즘 납품하는 총 잘만드내. 미쿡총인줄
@qudtjfslr
@qudtjfslr 6 жыл бұрын
K-3 차개, 송탄캠만 잘 닦아줘도 안걸리던데
@Althckj
@Althckj 6 жыл бұрын
매복예행 야간 사격가서 쏴봤는데 기능고장 안나고 2발 3발씩 아주 잘나가던데?
@thelazycat2218
@thelazycat2218 5 жыл бұрын
아무튼 간에 K3는 조만간 K12로 교체된다고 보면 될까요?
@user-bz8rx1lm9k
@user-bz8rx1lm9k 4 жыл бұрын
아~~ 그 총이네..
@un4892
@un4892 6 жыл бұрын
레일버전도 보고 싶습니다.
@user-vl6qg6jr4z
@user-vl6qg6jr4z 6 жыл бұрын
잘 보면 피카티니레일 달려있습니다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6 жыл бұрын
K3 설계미스로 연발안된다고 육본에서 온 교육관이 설명했었는데 ㅋ 바꾸긴 해야죠..
@kunyom02
@kunyom02 6 жыл бұрын
송현직 연사가 안된다는게 기관총인가여?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6 жыл бұрын
김기운 무늬만 그래서 보통 연사로 안쏨.. K3 실사때 감적수로 갔는데 점사로 쏘든디유
@inanis400
@inanis400 6 жыл бұрын
k3에 점사가 있음???
@user-lk4ty8yw9o
@user-lk4ty8yw9o 6 жыл бұрын
모비우스 사수가 알아서 끊어쏘는거죠..ㅋㅋ
@naknak8943
@naknak8943 6 жыл бұрын
송현직 사수가 끊어쏘는건 연사가 안되는것이 아닌 연사로 사격시 문제가 생기는것 아닌가요?
@ganekim
@ganekim 6 жыл бұрын
5.56m탄을 좀 무겁게하면 바람의 영항을 덜받지않을까요?
@user-dt9fl7me9m
@user-dt9fl7me9m 6 жыл бұрын
GaNe Kim 설계자체가 소구경 경량고속탄인데 탄자무게를 늘리면 탄속이줄어들고 탄속이 줄어들면 운동에너지의 손실은 제곱으로 줄어들어버림
@user-rg1hy7is5u
@user-rg1hy7is5u 4 жыл бұрын
잘 맞는 탄이 있긴 있는데 그것도 탄두가5g 정도입니다.보통탄은4g
@dingo5150
@dingo5150 5 жыл бұрын
m60 대체로 나온거 같은데 꽤끔 더 무겁고 더 크네.. 현역땐 내총이니 확실하게 정비하면 200발도 기능고장 없이 그냥 쐈는데 예비군갔더니 6발 사격하는데 6발도 못쏘는 총이 대부분
@user-uu3vo8gg8f
@user-uu3vo8gg8f 5 жыл бұрын
k3는 거의게임에서 보던 볼트액션식 저격총을 보듯 기능고장이 남 존나무거운 점사 가능한 저격총임
@sdhs172sj
@sdhs172sj 4 жыл бұрын
국산무기 특징: 입만 열면 명품.... 명품.... ㅋㅋㅋㅋ
@user-ey7ks6vl2w
@user-ey7ks6vl2w 3 жыл бұрын
м16만 개좋음 (미군이 만든거지만)
@Hayase_Yuuka_
@Hayase_Yuuka_ 3 жыл бұрын
이러니까 K11이 망했지
@user-rt1xt6qm8u
@user-rt1xt6qm8u 3 жыл бұрын
k-12기관총 언제 배치될까???!
@chhi88
@chhi88 6 жыл бұрын
소리를 꼭들어달라니 신종테러인가요?
@jadtmd5829
@jadtmd5829 6 жыл бұрын
독일 기관총 :반동이 뭐죠? 먹는건가요?
@jsm9252
@jsm9252 6 жыл бұрын
알라후아크바르 mg42
@DiNo_325
@DiNo_325 6 жыл бұрын
Hk121말하시는듯한데 그거 사수가 숙련된거 입니다 그리고 M60E6 그만큼 반동 입니다
@cleanwater6612
@cleanwater6612 5 жыл бұрын
An94갇은(이놈은소총)갇은 놈들빼고는 뭔총이든 반동은 비슷하지않을까요
@Sori_O
@Sori_O 5 жыл бұрын
7탄, 5탄에 대한 사전지식입니다. 7탄을 5탄에 비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이유는 영상처럼 화력과 탄두의 안정성, 실효사거리 등도 있겠지만 보통 다른 이유를 꼽습니다. 우선 첫째. 아직 5탄 역사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알고있습니다. 국가별로 제식으로 채택된 대부분의 총화기들은 제 2차 세계대전 기준 메이저였던 7탄 기준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둘째, 미국의 태도(화기에 있어 보수적인 태도) 문제가 더 크다는 점 입니다. 현재에도 미국인들은 샷건을 집안에 하나씩 꽁쳐둘 정도로 보수적입니다. 현대전은 대부분 200미터 내외에서 발생합니다. 기실 5탄 한대만 잘 못 맞아도 죽는건 매한가지입니다. 5탄의 장점으로 고속연발 화기에 더 적합하다, 보병이 탄수를 훨씬 많이 장비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기실 지상화기에서는 5탄이 더 적합합니다. 허나 수리온에서 사용한다면 유효사거리는 더 넓어야 합니다. 또, 더 강력하고 공기저항력이 강해야 합니다. 이때문에 7탄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나, 기실 현 군대 사정을 고려하면 영 찝찝합니다. 같은 성능의 부품이라면, 심지어 핵심중의 핵심인 공이가 같은 종류라면 구식 장비와 혼용해도 운용상 문제 없습니다. 스프링도, 격발기도 전부 동종의 규격이라면 혼용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고장률이 올라갈 뿐 입니다. 국내 부대의 실정은 군필자들은 다 아시겠지만, 같은 규격이라면 돌려막기, 혼용하기, 빼돌리기는 예사입니다. 인근 대대의 병기창고/운용창고/치장창고를 담당하는 보급관 등 하사관들과 짝짜쿵하는건 어제 오늘 일도 아닙니다. 그러니 본 장비도 당연히 그 꼴이 날 것이 뻔하지요. 운용상 문제는 없습니다. 고장률은 올라가지요. 실전은 몰라도 준비된 한번이라면 문제없습니다. 본 장비는 수리온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한번 뜨면 돌아올 때 까지 멀쩡해야만 합니다. 헬기 타보신 공수부대 계시면 아시다시피 먼지가 장난아니게 날리는데 말이죠. 저게 멀쩡하면 그게 더 이상하지 않을까요.
@si3x3is
@si3x3is 5 жыл бұрын
독일 기관총하고 같은 총알을 사용하는데 이렇케 차이가 나나 ?
@veev947
@veev947 5 жыл бұрын
살살쏘면 안아플까여?
@user-friendbroken
@user-friendbroken 5 жыл бұрын
이 총 기대해도 되겠죠...?
@airman3893
@airman3893 3 жыл бұрын
총기 담당자가 수시로 바뀌고 경험이 쌓이면 곧 제대해버리는 징병제를 계속 유지한다면.. 정밀하게 관리해야 하는 기관총 같은 무기는 줘도 몇년안에 고물된다.게다가 설계결함이 있는 물건이면 더 빨리 그렇게 된다.
@LeeYYAL0316
@LeeYYAL0316 4 жыл бұрын
홍보는 죽어라 잘하죠. 홍보는 질리도록 했으니 제발 보급이나 빨리 해라. K12를 2014년 중딩 때 인터넷에서 봤는데 2019년에 전입왔을 때도 자대에 M60이 굴러다니는거 보고 충격을 먹었다
@Mahayeon
@Mahayeon 4 жыл бұрын
k3나 대체좀 해줘여.... 총열들고 댕기기 힘들어요 ㅠㅠ
@user-gg7zq1eg8b
@user-gg7zq1eg8b 4 жыл бұрын
총열 밑에 k2처럼 가스 조절기 있는 것 같네요
@NiKiKuDerMan
@NiKiKuDerMan 5 жыл бұрын
5.56mm가 바람에 날린다는건 첨 알았어요!
@Chungkukzang
@Chungkukzang 6 жыл бұрын
총열 교환하는걸 안보여주네 독일 MG3처럼 3~5초안에 교환 가능한가요?
@UncleJam2142
@UncleJam2142 6 жыл бұрын
유용원 유튜브채널에 교체나오네요. 엄청간단
@Chungkukzang
@Chungkukzang 6 жыл бұрын
저도 이제 봣네요 진짜 2초만에 교환대네요 ㅎㅎ
@YOQUE2xgpxTRiu
@YOQUE2xgpxTRiu 6 жыл бұрын
영상 중간에 K12를 삼각대에 올려놓은게 보여서 그러는데 30구경 기관총을 삼각대에 올려 중기관총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기엔 위력이 부족한거 아닌가요? 기존 50구경 기관총인 K6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진 않았음 좋겠네요.
@tachap7714
@tachap7714 6 жыл бұрын
원래 저 체급(M60, PKM, FN MAG, MG3등) 기관총들은 '다목적 기관총'이라고 해서 경기관총(K3급)와 중기관총(K6급 ) 사이의 갭을 메꾸는 역할입니다. 삼각대 운용 역시 저 체급에선 꼭 필요한 기능이에요. M60을 무턱대고 K3로 전량교체할 생각이었던 국군이 생각이 짧았던거구요. K12의 보병부대 배치도 K3로 M60의 완전대체는 불가능하단걸 뒤늦게 인정한 군에서 K3와 K6 사이의 중간체급 기관총으로서 도입하는겁니다. 저걸로 K3이나 K6 어느 한쪽까지 대체하는거 아니에요.
@712DG3W
@712DG3W 6 жыл бұрын
k3 대체하려고 만든건데 왜 혼자 뻘소리하냐 이 새끼는 ㅋㅋ
@tachap7714
@tachap7714 6 жыл бұрын
Benjamin Park K3 대채할 신형 경기관총 개발사업 따로 추진중인데... ㅋㅋㅋㅋ
@FenceGru
@FenceGru 6 жыл бұрын
수리온 탑재용 기관총을 목적으로 개발한겁니다. 원래 M240 도입하려다가 자체개발한거에요. 모르면 아가리 OUT
@YOQUE2xgpxTRiu
@YOQUE2xgpxTRiu 6 жыл бұрын
정상인 둘 아스퍼거 넷
@kyzer8525
@kyzer8525 6 жыл бұрын
요놈으로 분대 마다 보급되는건가요??
@user-zt9ji5ur2k
@user-zt9ji5ur2k 6 жыл бұрын
정형 분대마다는 아니고 소대에2대일듯
@hjc2760
@hjc2760 6 жыл бұрын
정형 소대본부 기관총 2정 입니다^^
@citizen2827
@citizen2827 6 жыл бұрын
한 번 당겨보고싶다
@SJkopa
@SJkopa 3 жыл бұрын
한국 진짜 엄청나다 ㄷㄷㄷ
@goldeneagle3218
@goldeneagle3218 5 жыл бұрын
MG 3를 사용하면 더 뽀대 날것 같은데요. RPM(1,200) 도 더 좋고.
@user-yz5vt5ex1m
@user-yz5vt5ex1m 4 жыл бұрын
뽀대만보고 사용은 불가능하죠....RPM아니구 ROF구요 단순이 연사력이 높다고 체택됄순 읎어요 성능이 뛰어 나더라도 자국에서 개발한 무기를 사용해야 부품수급이라던지 문제도 안생기고 의미도 있다 생각돼네요^^
@doby8431
@doby8431 2 жыл бұрын
이건 제가 1차원적으로 비교해볼께요 국산 세단같은 뭐 제네시스 얘기하는데 아 그거보단 벤츠... 이런거? 같네요 ㅋㅋㅋㅋ -외제품은 국산품보다 비싼건 사실- 그렇다고 누가 좋고 나쁘다는 아니고요 그리고 보면 독일군 mg3도 문제점이 굉장히 많은 편이고 또 연사력이 좋다고 다 좋은 총도 아닙니당
@bgfox7942
@bgfox7942 6 жыл бұрын
이번에는 얼마나 해먹을라나?
@user-kn3oy9dx7q
@user-kn3oy9dx7q 5 жыл бұрын
탄창집은 없는가보내요~! K3처럼 탄창집에200~300발자리로 하면편할듯 한디요 ㅋ일반보병이 쓰면 딴띠서 흙이 무더 드가면 이거는 전시때 에효 ~~😩😩😩😩😩😩🤷‍♂️🤷‍♂️🤷‍♂️
@powerbat3
@powerbat3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제식 총기 선정도 공개입찰해야합니다.. 왜 S&T에 주는지. 다른 업체도 많은데 그러니 발전이 없지
@user-jr2oq9jl7k
@user-jr2oq9jl7k 5 жыл бұрын
총렬교환은 되는건가?
@cheatchanbothcheatchanboth2632
@cheatchanbothcheatchanboth2632 3 жыл бұрын
Good South Korea 🇰🇷
@choe3528
@choe3528 6 жыл бұрын
글고 봄 독일이 대단하네.. 이미 1940년대에 분당 1000~1200백발 갈겨대는 MG42를 만들었으니.. 당시 미군도 달궈진 MG42의 총열 가는시간에만 머리를 내밀수 있었다지..
@user-en1fb6ne7x
@user-en1fb6ne7x 4 жыл бұрын
현대전에 맞게 가볍고 정확하고 내구력 뛰어나게 만들어 수출 될수있는 총기 만들기 바란다! 타국에 구닥다리 중기에 밀려서 신형 총이 미역국 먹다니 쫌 잘 맹걸어라! 가볍게 강하게 만들어라! 보병이 쉽게 사용할수 있도록!
@user-yn6lx6cl6l
@user-yn6lx6cl6l 6 жыл бұрын
HK121을 닮았네요...
@jitaek01
@jitaek01 6 жыл бұрын
솔직히 K3 설계미스 떴을 때 바로 바꿨어야지 2020년 다 되서야 신총 나오는 건 너무 늦었음. 그래도 나왔으니 빨리 바꿔라
@dltlq200
@dltlq200 6 жыл бұрын
개무거워졌네 ㅋㅋ 현역군인들 눈물나겟다
@schneider8191
@schneider8191 4 жыл бұрын
보조개머리도 좋긴한데 송탄불량만안났으면...
中国战车PTL-02如何​​被击毁?|兵家常事
9:05
自由亚洲电台
Рет қаралды 169 М.
가장 세고 특이한 10개의 산탄총들
10:02
굉장한 실험실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Joven bailarín noquea a ladrón de un golpe #nmas #shorts
00:17
CAN YOU HELP ME? (ROAD TO 100 MLN!)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FOOTBALL WITH PLAY BUTTONS ▶️ #roadto100m
00:29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
SHE WANTED CHIPS, BUT SHE GOT CARROTS 🤣🥕
00:19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Joven bailarín noquea a ladrón de un golpe #nmas #shorts
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