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원이 한국 평균 자산? 평균 함정에 속지 마세요 (박종훈의 지식한방)

  Рет қаралды 304,481

jisik-hanbang

jisik-hanbang

11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가구의 평균 자산이 5억원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중산층 기준을 묻는 한 설문조사에서는 아예 9억원을 중산층 기준이라고 응답하기도 했는데요, 과연 우리나라 가구의 진짜 순자산은 얼마나 될까요? 평균의 함정에 빠져 자신의 부를 과소평가하고 위험한 투자에 몰두하다가는 오히려 더 큰 위험에 빠질 수 있습니다.
✉️ 강연 및 협업 문의
econopunch@gmail.com

Пікірлер: 1 200
@tv-gf9ou
@tv-gf9ou 10 күн бұрын
아직 목소리가 돌아오지 않으셨네요. 마음이 얼마나 바쁘실까요. 항상 감사히 잘 보고 있어요. 응원합니다.❤
@New-ic2ym
@New-ic2ym 9 күн бұрын
아나운서분 한분 잠깐 모셔와야 겠어요
@urbansketcher4488
@urbansketcher4488 10 күн бұрын
하여튼,,, 가장 청소가 시급한 분야는 쓰레기 언론사들!!!
@말라유
@말라유 10 күн бұрын
기자들 건설회사에서 받아먹는 돈이 얼만데요
@justinelee5218
@justinelee5218 9 күн бұрын
특히 보수경제지들이 젤 문제임.. 경제분석은 안하고 대놓고 부동산찌라시를 자처하고 있음..
@user-silverark
@user-silverark 9 күн бұрын
​@@justinelee5218좌파 경제지가 더문제 포스코회장 자원외교에투자한것 갖고 온갖욕하고 회장 공격해서 퇴임하게 만듬 . 현제 포스코푸처엠에서 리튬 광상 자원외교 성공해서 주식 7배이상오름 . 채굴량 35조예상 투자금 3000억.... 아무도 김어준도 .... 민주당 사법위도 사과따윈 없음 . 성주사드전자파참외 사태처럼... 양심들이 없음 .
@user-6626
@user-6626 9 күн бұрын
언론은 대부분 대기업들이 대주주로 있으니 절대 안사라짐... 시민들의 구독료나 미국 언론처럼 중소규모 기업 여러곳에서 투자받는 방식으로 해야 그나마 투명해지지..
@sungtaeku1994
@sungtaeku1994 9 күн бұрын
애완견 소리가 괜히 나오는게 아님
@BSPark-dn1tr
@BSPark-dn1tr 8 күн бұрын
나라가 잘 되려면 언론과 교육이 변해야 한다.
@user-um7zx6fr5t
@user-um7zx6fr5t 5 күн бұрын
현재 언론은 문재인 장악이죠 국민은 개 돼지리 삶니다
@33sunshine
@33sunshine 8 күн бұрын
호주머니에 돈은 없고 아파트 가격만보고 벼락거지 놀리고 있는 대한민국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10 күн бұрын
우울감은 저런 자산격차도 있겠지만 집이나 차가 으리으리하게 나오먼서 실제 삶과 항상 비교하게 만드는 K드라마가 한몫한다고 봅니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10 күн бұрын
그게 수출되서 세계 여성들 타락시키고 있는건 안 비밀.
@user-hd2ps5nj5p
@user-hd2ps5nj5p 5 күн бұрын
드라마그만보셔요😅
@infested_pigeon
@infested_pigeon 5 күн бұрын
@@user-hd2ps5nj5p 저는 안봐요 ㅋ 여성분들이 많이 보니까 문제지
@user-co9by4pi6q
@user-co9by4pi6q 4 күн бұрын
보는 재미도 있지 이런집 저런집 다 나오는데
@yjgang8532
@yjgang8532 3 күн бұрын
웃기는게 3억5천 벤츠타고 시장와서 5천원 깍는다고 난리치니, 없는 사람보다 시장상인들이 더 경멸하던데요 ㅋ
@petermoon8891
@petermoon8891 10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드립니다 몸 건강 챙기셔요 꼭
@pkhje3
@pkhje3 10 күн бұрын
70대 얼마전에 살던집 팔아 변두리 빌라 월세로 들어왔어요 일은 하기 싫고 얼마 안되지만 앞으로 여기저기 돌아댕기며 먹고 구경하고 모조리 탕진할겁니다
@user-fo6uh9ry7x
@user-fo6uh9ry7x 10 күн бұрын
열열히 응원합니다
@pkhje3
@pkhje3 10 күн бұрын
@@user-fo6uh9ry7x 고맙습니다 입안에 캔디 녹여 먹듯이 느긋하게 달콤하게 ㅎ 놀고 운동하고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말라유
@말라유 10 күн бұрын
다 탕진했는데 아직 살아있으면 어떻할려구 다 써요?
@pkhje3
@pkhje3 10 күн бұрын
@@말라유 참고할게요 고맙습니다
@xyzweb21
@xyzweb21 10 күн бұрын
남은 인생 잘 보내시길. 탕진하더라도 그 나이에 잘 놀고 탕진하면 손해는 아니죠 ㅎ
@user-vi9xk9yo3g
@user-vi9xk9yo3g 10 күн бұрын
평균값 중위값 잘 이해해야 됩니다 왜 언론은 평균값 얘기만 하는거야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10 күн бұрын
그렇게 위화감들게 해서라도 일해라고 부추기 위해서.
@ordovices7440
@ordovices7440 9 күн бұрын
의사 평균 연봉에 대한 기사도 마찬가지임 피부 성형이 연봉 다 올려 놨고 여전히 돈 잘 벌고 있는데 몸 갈아 넣는 필수과 의사들이 욕 먹음
@KyungHee-ns9ii
@KyungHee-ns9ii 9 күн бұрын
박종훈기자가 나오는 KBS가 맨날 그럼, 그중에도 경제프로그램이 제일 앞장서서 그럼
@user-mb6kj5ew5f
@user-mb6kj5ew5f 9 күн бұрын
​@@dennythedavinchi3832 언론이 뭔 이득이 있다고 일하라고 부추김? 걍 자극적인 기사로 조회수 빨아먹는거지
@seouldot
@seouldot 8 күн бұрын
평균값이라는 통계를 삭제해야됨.
@user-yk8ls8pe9p
@user-yk8ls8pe9p 10 күн бұрын
부동산에 전재산 몰빵한 나라...미래가 없다. 현금유동성이 최악임
@user-rd5ut6kc9e
@user-rd5ut6kc9e 10 күн бұрын
그건니생각
@user-hj6mw3sj2r
@user-hj6mw3sj2r 10 күн бұрын
@@user-rd5ut6kc9e 네 저분 생각이 맞는것 같은데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10 күн бұрын
한국이나 일본은 그래도 부의 평준화가 잘되어 있는 국가입니다 중국만 하더라도 공산주의 국가 또는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며 많은 제도가 그런데 정치 입법 사법 모두 공산주의 국가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한국보다 빈부차가 월등히 심합니다 중국도 그 렇지만 미국과 인도나 브라질등 다른 나라들은 더욱심합니다 빈부차가 적은 국가는 북유럽의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정도 이지요
@visual3p
@visual3p 10 күн бұрын
@@user-rd5ut6kc9e 저 돈이 다 증시에 돌아야 되는데 맞는말이지 부동산에 미친나라
@user-mx4vs5sz9h
@user-mx4vs5sz9h 10 күн бұрын
@@visual3p 금투세 시행한다는데 증시에 돌겠나? 에휴
@aacc4059
@aacc4059 10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이십니다. 평균 올려치기가 너무 심해요. 자괴감 갖지 맙시다!! 우리가 평균입니다. 중위값과 같이 참고해야죠. 거기에 마지막엔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금융교육도 언급해주시네요. 항상 옳은 말씀만 하시는데 금투세에 대해서도 한 마디 부탁 드립니다.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0 күн бұрын
빈부차가 큰 나라들일수록 평균을 간단히 올려침. 게다가 고소득자들 40%세금공제는 또 빼야되는게 현실.
@user-bs1yn9hi2j
@user-bs1yn9hi2j 10 күн бұрын
오른쪽 왼쪽 눈치를 봐야하기 때문에 금투세에 대해 이야기 하기란 참 어렵죠. 거기다 상속세, 국민연금도 마찬기지구요. 좌/우 뿐만아니라, 현재 나의 이익을 보고 이야기 할 것인가, 미래의 우리 아이들까지 생각해서 이야기 할 것인가에 따라 전혀 다른 내용이 될 수 있습니다.
@chan87241
@chan87241 10 күн бұрын
평균이 중요한가요! 비교하지말고 각자의자리에서 행복합시다!
@user-xg3ei3en7q
@user-xg3ei3en7q 10 күн бұрын
옳쏘~~👍👍👍❤️​@@chan87241
@hoon2492
@hoon2492 10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고점이다.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10 күн бұрын
한국이나 일본은 그래도 부의 평준화가 잘되어 있는 국가입니다 중국만 하더라도 공산주의 국가 또는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며 많은 제도가 그런데 정치 입법 사법 모두 공산주의 국가입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한국보다 빈부차가 월등히 심합니다 중국도 그 렇지만 미국과 인도나 브라질등 다른 나라들은 더욱심합니다 빈부차가 적은 국가는 북유럽의 노르웨이 핀란드 스웨덴 정도 이지요
@user-tu3yn1qx7o
@user-tu3yn1qx7o 10 күн бұрын
무제힌. 25만원으로 더 간다
@user-md2qi3oi3z
@user-md2qi3oi3z 9 күн бұрын
거품 붕괴되면 GDP 폭삭 주저앉을거임
@zinod7988
@zinod7988 9 күн бұрын
이건 맞지.그래도 출산률로 인한 인구감소가 바로 오진 않아서 한동안은 지속은 할듯
@user-yl1ls7et3n
@user-yl1ls7et3n 9 күн бұрын
​@@zinod7988 인구가 줄어도 소득이 더 늘어날겁니다. 로봇.AI.자동화 사람이 줄어드는게 다행이에요
@yaguda1
@yaguda1 10 күн бұрын
그많은 건설사가 인수핱 그많은 경제언론 들이 포탈에서 부동산 호가를 띄울려는 기사들이 이젠 신물이 날정도 입니다 솔직히... 사회초년생 어린 젊은이들 까지 영끌해서 고가의 아파트를 물리게 하려는 허위 기사들을 보면 검열도 없는건지 건설사는 나라가 망하든..건설사들 이익만을 볼려는 이런 암적인 건설사가 정말 안타 깝습니다.
@ciderc2203
@ciderc2203 10 күн бұрын
모두 정부의 실책 같습니다. 추경호도 무능하죠.
@user-nr8kq8tj2c
@user-nr8kq8tj2c 10 күн бұрын
토건마피아들만 먹여살리는 정책..국민들 등쳐먹고 먹튀..고분양 뒷감당은 국민들몫..
@user-md2qi3oi3z
@user-md2qi3oi3z 9 күн бұрын
​@@ciderc2203무능정도가 아니죠
@shaheenshin7927
@shaheenshin7927 9 күн бұрын
건설사 진짜 대단하네요! 나라를 움직이고 경제를 움직이고! ㅋㅋㅋㅋㅋㅋ
@orangerover3251
@orangerover3251 9 күн бұрын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양아치 개레기들이 나라 망치려는 주적 1호입니다.
@SystemWealth-gg9pq
@SystemWealth-gg9pq 10 күн бұрын
돈 많이 버는 것도 좋은데 좁은 땅 덩어리에 사람은 많은데 그 사람들이 열심히 버는 자산의 8할이상 부동산에 묶여 있는 것도 아이러니. 물가에 지대가 너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나라인거 같습니다.
@user-qi1vf5se7i
@user-qi1vf5se7i 10 күн бұрын
그게 정상입니다.
@wegaia
@wegaia 10 күн бұрын
부동산 무너지면 중국보다도 더 휘청일겁니다. 근데 무너지는건 기정 사실이고 연착륙이냐 경착륙이냐의 문제만 남았다고 봄.
@user-qi1vf5se7i
@user-qi1vf5se7i 10 күн бұрын
@@wegaia 안무너집니다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user-qi1vf5se7iㅋㅋㅋㅋ 아직도 이렇게 머리가 꽃밭인 양반들이 많구만
@user-qi1vf5se7i
@user-qi1vf5se7i 10 күн бұрын
@@banghyomoon 논리는 없고 비난만 하는 애들한텐 안긁힌단다. ㅋㅋ
@koutsider8266
@koutsider8266 5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아파트는 모두가 부실 덩어리. 콘크리트를 타설한 이후부터 최소 5일 동안은 습윤상태 유지를 위해 살수 등을 하도록 국가건설기준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아파트 건설회사중 어느 한 회사도 이를 지키는 곳이 없으며, 단 한번 살수에 그치거나 그 마저도 하지 않는 부실공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러함에도 국토교통부나 지자체 점검시 이를 점검하는 경우는 전혀 없었으며 벌점을 부여받은 회사도 물론 전혀 없습니다. 뜨거운 7월에 타설한 인천검단 아파트 주차장 지붕의 콘크리트가 설계강도의 67% 밖에 나오지 않은 원인도 습윤양생하지 않은 결과 입니다. 100% 이상 나온 자료는 수중양생한 결과일 뿐입니다. 이러한 부실공사를 침묵, 방조, 방관하여 국가건설기준을 어기는 건설사, 감리사, 기술인들에 대해 벌칙을 전혀 가하지 않은 국토교통부장관을 직무유기로 조속히 해임 및 입건하여야 합니다.
@user-fo6uh9ry7x
@user-fo6uh9ry7x 10 күн бұрын
언제나 믿고듣는 참언론인 응원합니다 고맙습니다
@dasnarrenschiff11
@dasnarrenschiff11 10 күн бұрын
배신자 kbs 짭경제한방을 구독자수로 바를때까지 박종훈의 분노한방 응원합니다
@user-qu3qn4id9i
@user-qu3qn4id9i 10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박사님 얼른 쾌차하세요
@user-th8sh5iv7m
@user-th8sh5iv7m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박사님~ 이 시대의 참 지식인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여러 경제 유투버를 많이 봤지만 젤 신뢰가고 양심적인 지식인 같아요. 사실 기자 때는 잘 몰랐는데 이렇게 개인방송으로 알게되어 정말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많이 배우고 반성하고 있습니다. 건강조심하시고 늘 감사드려요
@user-xt5py9ek8z
@user-xt5py9ek8z 2 күн бұрын
참으로 대한민국에 이런 현자가 계시다는게.. 위안이 됩니다. 늘 감사히 시청하고 있습니다. 자녀분들이 복받으실거라 믿습니다. 😊
@hawkeye4496
@hawkeye4496 10 күн бұрын
요즘에 sns나 방송에서 억억억 거리니까 사람들이 1억 정도를 우습게 아는 사람들이 너무 많음 근데 실상은 통장 막상 까보면 천만원도 없는 사람이 대부분임;;; 그냥 요즘같은 상황에서 빚만 없어도 부자임 그리고 부동산 몰빵된거 답도 없고 내년 부터 금투세 도입하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가뜩이나 코리아 디스카운트인 국장을 더 디스카운트 시켜서 그나마 증시에 있는돈을 부동산경기가 안좋으니까 부동산 쪽으로 보낼려고 하는거 같음 ;;;
@ppokkaeng
@ppokkaeng 7 күн бұрын
맞아요. 1억도 없는 사람들이 천진데....
@user-hp5fw2yk8y
@user-hp5fw2yk8y 10 күн бұрын
여러분들 모두 잘 살고 있는겁니다 괜히 언론기사나 재테크 유튜버들 바람잡는거 눈막고 귀막고 가족들과 소중한 추억 더 만들어 갑시다 경제 소식은 지식한방 이면 충분 할듯 해요
@jiseongjeon7483
@jiseongjeon7483 10 күн бұрын
100만 유투버가 되시기를
@chan87241
@chan87241 10 күн бұрын
부동산 86.5퍼센트 ㄷㄷㄷㄷㄷㄷㄷ미쳣다 얼마나 몰빵에 고평가인거임.. 나중에 현금화하려는데 사줄사람없으면 어쩌려나 ㄷㄷㄷㅋㅋㅋㅋ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없어요 이젠
@Stop_Naeronambul
@Stop_Naeronambul 10 күн бұрын
안팔려도 걍 주택연금 받으면 됨
@minjoolee8210
@minjoolee8210 10 күн бұрын
​@@Stop_Naeronambul 현재가능하지만 미래엔꿈이죠
@user-zf2pi5gd9d
@user-zf2pi5gd9d 10 күн бұрын
아직 무주택자가 40%가 넘어서 ..그닥 앞으로 20~30년 후면 모를까 그전에 금융자산 축적하겠죠 주거비가 발생을 안하니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user-zf2pi5gd9d 부동산이 가격이 미쳤으니 당연히 안사는 사람들도 많죠. 사람들이 전부 바보도 아니고요
@incyphe
@incyphe 10 күн бұрын
보여주기 소비가 독입니다. 벤츠 s-class 전세계에서 3번쩨로 많이 팔리는 나라가 한국이라내요. 중국 미국 다음에. 더 크고 더 잘사는 모든 유럽 국가들 재끼고. 참 비극입니다. 심지어 BMW 5는 한국이 세계 판매 2위라내요. 말이 됩니까?
@gelsomina8794
@gelsomina8794 9 күн бұрын
말도안되군요ㅡ 이 인구적은나라가 세계 판매3위라니ㅡ 인구대비는 세계1위군요!
@user-vr8sg1bt9t
@user-vr8sg1bt9t 5 күн бұрын
민노총 꼴보기 싫어 구입하는 분도 많아요! 현기차 임금 넘넘 믾아요! 독일차 사시느분 애국자시고 노조 버릇고치시는데 일조하시는 속ㅈ깊은 분이예요!
@sungso7689
@sungso7689 5 күн бұрын
말도안되지.. 허영심이 극에 달한 한국.
@user-bu3xf5ls3e
@user-bu3xf5ls3e 5 күн бұрын
심지어 김치프리미엄 명품도 줄서서 구매
@user-lz3uz6rp4h
@user-lz3uz6rp4h 5 күн бұрын
빌라촌 주차장 독3사, 제네시스 바글바글함. 월센지 전센진 모르겠고.
@user-kh6sf8so7t
@user-kh6sf8so7t 10 күн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johnny0320
@johnny0320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 기자님!!! 오늘 꼭!!! 들어야하고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user-jx9iz6ht5b
@user-jx9iz6ht5b 10 күн бұрын
늘 진심이 느껴지는 말씀에 감동입니다. 건강 잘챙겨주세요^^
@mjyun2026
@mjyun2026 10 күн бұрын
국민들의 자산중 부동산비중이 너무 높다보니 정부와 정치권에서 부동산의 하락을 놔두지 못하게 되는 모순에 빠짐.
@user-ew7xy7cc7x
@user-ew7xy7cc7x 10 күн бұрын
집있는자 vs 없는자 정확히 5대 5 입니다 솔직히 건설사 및 토건족에 투자한 금융권 살리기 정책으로 이해하는게 좋습니다 그래서 출산율 박살나고, 물가상승으로 다 같이 죽는길로 가고있지요
@user-ui3to5mc1h
@user-ui3to5mc1h 5 күн бұрын
정치인들조차 내집이 십억인데 7억 이렇게 떨어지길 원하겠냐고
@user-gc8gn9ln7j
@user-gc8gn9ln7j 10 күн бұрын
힘이 되는 영상이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user-dp2mi4wq7o
@user-dp2mi4wq7o 10 күн бұрын
빚이 평균 5억 아님?ㅋㅋㅋㅋ
@happyaccident2398
@happyaccident2398 10 күн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 응원합니다. 응원하고 있습니다. 와~~~C ^^; 아직 목이 잠기시네요. 항상 건강하시고 박종훈 기자님 화이팅!😊😊😊😊😊😊😊😊😊😊😊😊😊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10 күн бұрын
하급지 아파트에 살고있는데... 하급지라 뭐 빌라급 아파트라고 봐야겠지만. 이걸 살때 적금깨서 일시불로 샀는데... 중개사분이 나이대가 70-80대 이신데.. 대출없이 사는건 처음 봤다고 하시더군요. 중개비 반값으로 할인받음. 부동산 폭등하기 전이라 아파트 가격이 2-3억대 였는데..이거 조차도 대출끼고 사면서.. 중고겠지만... 마이바흐까지 주차장에 있는걸 보니 참 허세로 사는 애들이 천지구나 알았음.
@Flac_
@Flac_ 10 күн бұрын
마이바흐는 유지비가 허세로는 안될텐데요
@user-xg3ei3en7q
@user-xg3ei3en7q 10 күн бұрын
헐~~진짜요 😈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Flac_이악물고 버티는 애들 있어요
@Elonmarsx
@Elonmarsx 10 күн бұрын
마이바흐 ㅋㅋ😂
@azita6566
@azita6566 10 күн бұрын
마이바흐차주가 검소한곳 산다고는 생각안햄?
@user-zj1bv5wq2u
@user-zj1bv5wq2u 10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건강 잘 챙기세요
@junhong0303
@junhong0303 10 күн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잘 들었습니다. 목소리가 아직 완전치 못해서 마음이 안 서럽습니다. 빨리 쾌유하시기 바랍니다.
@ttkk9040
@ttkk9040 10 күн бұрын
아직 목이않좋음. 더쉬다 오이소 너무 달렸슴. 절대 구독취소안하고 본거라도 또볼테니
@user-nt9nz4nu5l
@user-nt9nz4nu5l 10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차, 여행에 미친 나라 시고는 빈약하고 어떤 사안에 대해 입체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남을 지나치게 의식하여 남보다 뒤처지는 것 같으면 죽고 싶어한다. 반대로 조금만 남들보다 나은 것 같다면 지나치게 으스댄다. 인생의 철학이 없어 단지 자신이 사는 집, 타는 차, 여행지만으로 인생이 결정되는 곳
@packer5080
@packer5080 10 күн бұрын
2,3분위에서 빚내서 여행가는 경우도 정말 많죠…보이는게 다가 아녜요
@user-vz6lw4eu5h
@user-vz6lw4eu5h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 박사님의 인사이트 덕분에 경제 지식이 발전되고 있습니다!! 감사하고 앞으로도 팩트에 기반한 인사이트 부탁드립니다 감기조심 하시구요~~~
@user-zk3sq8ys3h
@user-zk3sq8ys3h 10 күн бұрын
잘봤습니다 ^^
@user-mj8kq6in8c
@user-mj8kq6in8c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 이 형님은 진짜 저널리스트다 이런 사람이 한국의 이코노미스트 파이낸셜타임즈 만들어야해
@tui3ksgk2yxh
@tui3ksgk2yxh 9 күн бұрын
앞으로 빚을 제외한 순자산으로 이야기 해야 함. 빚도 자산이라는 개소리는 이제 그만. 대한민국 사람들은 차도 빚으로 집도 빚으로 낸거 빼면 순자산 별로 없는 거지들 천국임.
@user-gj7zd9yb4k
@user-gj7zd9yb4k 10 күн бұрын
좋은 뉴스 빠른 건강회복 하시길...
@unhakim7415
@unhakim7415 10 күн бұрын
요즘 시대에는 정직이라는 게 너무 희귀해 진 것 같습니다. 타인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 정직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lp3mq8yg1r
@user-lp3mq8yg1r 10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pinetreehi6094
@pinetreehi6094 10 күн бұрын
통장에 2백만원,빚이 1억원.아파트 한채!
@MrDesertstrom
@MrDesertstrom 10 күн бұрын
어? 너두?
@user-zx7ig7yf3k
@user-zx7ig7yf3k 10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어디냐가 문제지요.
@piter_park
@piter_park 10 күн бұрын
아파트도 30년 50년 빚 아닌가
@user-th8sh5iv7m
@user-th8sh5iv7m 1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대부분 아닐까요?
@dyan9740
@dyan9740 10 күн бұрын
아파트 20억? 15억?
@simboyk
@simboyk 10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시청합니다~
@user-yw5cm6jn9w
@user-yw5cm6jn9w 9 күн бұрын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은 객관적인 정보와 견해에 늘 도움받고 있습니다!!
@user-rn4du3gu9s
@user-rn4du3gu9s 10 күн бұрын
은행돈으로 집 사놓고 본인자산이라 착각하는 종특
@user-br7bh3ke1x
@user-br7bh3ke1x 10 күн бұрын
근데이건좀 그래도 되는게 ㅁㅈㅇ 같은 마술사 만나면 ..... 😂😂😂
@user-nr7kc1hn9e
@user-nr7kc1hn9e 10 күн бұрын
빚도 자산인데 기본용어는 파악해야죠?
@letranger000
@letranger000 10 күн бұрын
@@user-nr7kc1hn9e 빚이왜 자산이냐 그딴소리 짓거리는놈중에 돈있는놈못봄
@chan87241
@chan87241 10 күн бұрын
​@@user-nr7kc1hn9e 자산으로 인정할뿐이지 니돈은아니잖수?
@user-jw2ee4ti2u
@user-jw2ee4ti2u 10 күн бұрын
저도 그 부분은 이해가 안 가던데요!그게 왜 내집이야! 은행집이지!
@user-ym8gc3vh9y
@user-ym8gc3vh9y 10 күн бұрын
건강 꼭 챙기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
@user-ho4kb2je5e
@user-ho4kb2je5e 10 күн бұрын
이번 감기가 독하죠?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
@yhoujeongjeen
@yhoujeongjeen 1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dp7km8px9c
@user-dp7km8px9c 10 күн бұрын
무리 하지 마시고 쾌차하시길 바래요~!!!
@chang3212
@chang3212 10 күн бұрын
평균자산과 소득은 많은 유튜버가 다뤘던 내용이지만 데이터 분석은 당연 독보적이십니다
@user-qe3zv3jv2z
@user-qe3zv3jv2z 9 күн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kf8bi5rf3g
@user-kf8bi5rf3g 10 күн бұрын
잘보고있어요
@mathsummit6889
@mathsummit6889 10 күн бұрын
오늘 말씀 잘들엇습니다.좋은법대나와서 나름 괜찮게살지만 사시못붙어 동기들과 늘 비교하며 우울한 삶을 사는데 진정이 느껴지는 당부가 너무 좋네요~건강하세요
@user-re1jm7dw1c
@user-re1jm7dw1c 9 күн бұрын
힘내세요. 사시붙고 인간쓰레기로 사늕것보다 님처럼 좋은사람으로 사는게 훨씬 훌륭한 삶입니다. 행복하세요.
@csyoon7948
@csyoon7948 4 күн бұрын
전에 거래했던 서울 자기 땅에 사옥 있는 중소기업 사장님. 나름 사업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임원이 일 다해줘서 사장은 매일 자기 방에서 취미활동하다가 퇴근하는 게 일상. 누가 봐도 부러울 법한데 이분이 S대 유명한 학과를 나와서 친구들이 전직 장,차관, 국회의원, 청와대비서관.... 근데 자신은 중소기업 사장밖에 안 된다고 열등감 때문에 힘들어했다나.
@user-vb8ge5wd8q
@user-vb8ge5wd8q 10 күн бұрын
기자님, 빠른 건강을 빕니다.~
@user-uc8hk1cb3w
@user-uc8hk1cb3w 10 күн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px4lr9zj9q
@user-px4lr9zj9q 10 күн бұрын
늘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jeremy3some
@jeremy3some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 박사님 퇴사 후 짝퉁 KBS 경제한방 구독해지했습니다. 어제 우연히 알고리즘으로 떴는데 조회수가 꼴랑 몇 천 회더군요. 국민들도 진짜를 아는 거죠. 오늘도 감사합니다.❤
@loajeong5647
@loajeong5647 8 күн бұрын
저도 지금 구독취소 하고 왔습니다. 박종훈님 항상 감사합니다
@ericcartman1
@ericcartman1 10 күн бұрын
자산과 순자산도 구별못하는 사람들도 넘쳐나는데요 뭘. 우리나라는 부자나라도 아니고, 계속 이대로 가면 일본의 제곱 세제곱으로 망할게 뻔히 보이는데 다들 태평성대마냥 손놓고 발놓고 있으니 앞날이 깜깜하군요. 저는 원화자산에 소극적 숏을 치는 의미로 얼마 안되는 현금으로 금이나 사 모아야겠습니다.
@zapata1204
@zapata1204 9 күн бұрын
저는 미국달라 투자 중 입니다. 외화예금은 이자도 높아 5퍼센정도 줍니다. 환차익도 볼수 있고 세후 4.2퍼센 정도구요.
@gogo0909gg
@gogo0909gg 9 күн бұрын
자산 순자산도 모르면서 아파트가 은행꺼다.. 앞으로 떨어질거다.. 하는 사람들 다 가난할걸요
@ericcartman1
@ericcartman1 9 күн бұрын
@@gogo0909gg 예 뭐 그럼 갭으로 열채 더 사시면 되겠네요. 많이 사세요. 저는 그냥 월세로 살렵니다. 한달에 월세로 400까지는 부담가능하니 월세로 살아도 충분해서요.
@ericcartman1
@ericcartman1 9 күн бұрын
@@zapata1204 아 물론 달러도 3만달라정도 있지요. 원화는 무조건 숏을 쳐야되니 전세보증금 말고는 다 외화자산이랑 금밖에 없네요.
@ericcartman1
@ericcartman1 9 күн бұрын
@@dannihanni 집이 있으면 좋죠. 근데 한국 경제규모에 비해 부동산, 특히 아파트 가격이 너무 과대평가라 지금 살 마음은 없네요. 뭐 언젠가 정상가격으로 돌아오면 한채정도 사거나 지을 마음은 있어요.
@mmmj0913
@mmmj0913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기자님 항상 잘 듣고 있어요 좋은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이팅하세요
@user-fo6uh9ry7x
@user-fo6uh9ry7x 1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gobawoo6520
@gobawoo6520 10 күн бұрын
정말 옳으신 말씀, 통계를 왜곡하는 사람들이 비단 경제지 기자들만 아니라, 가장 정확해야할 정부, 한은 등도 통계마술을 부리고 있지 않습니까? 항상, 평균을 주장하는 나라들의 생활패턴을 보면, 빈부의 격차가 큰 나라들이 대부분입니다. 중간 값으로 평가해야 정확하건만, 평균을 이야기 하는것은 통계착시로 국민들을 호도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waterboy7356
@waterboy7356 10 күн бұрын
평균과 중위값 둘다 알아야죠. 그래야 내가 얼마나 착취당했는지 알 수 있짆아요. 머 알아도 부자 재벌 걱정만 하는 인간들이 많아서...
@user-he4sq6ri2v
@user-he4sq6ri2v 9 күн бұрын
통계조작은 지난 정부의 문제입니다.
@gobawoo6520
@gobawoo6520 9 күн бұрын
@@user-he4sq6ri2v 국토부 주택19만채 누락. 한국은행, 기준년도 2020년으로 통계전환. 일본과 비교, 일본2015년, 한국2020년.발표.
@user-pb2zr3xp7l
@user-pb2zr3xp7l 8 күн бұрын
지금정부도 마찬가지예요 ​@@user-he4sq6ri2v
@user-hr3sn1cj4n
@user-hr3sn1cj4n 7 күн бұрын
모든 국민들이 이 영상 꼭 시청해야됨
@myoungraepark758
@myoungraepark758 10 күн бұрын
오늘 내용에 위로 받고 갑니다
@user-qq9wr4zv6s
@user-qq9wr4zv6s 9 күн бұрын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fuu1987
@fuu1987 10 күн бұрын
기자님 정말 휴머니스트에요 ㅎㅎㅎ 컨텐츠 내용은 날카롭고 정확한데 반면 따뜻하기도해요. 세상과 대한 기자님의 마음이 느껴집니다~ 건강하세요!
@PostNemo
@PostNemo 10 күн бұрын
자산의 86%가 부동산에 쏠려있다... 즉 유권자가 자신의 이익을 포기하고 제 3자의 시각에서 지각있는 선택을 하지 않는 이상 어떤 정권이 들어와도 부동산은 하향안정화가 아닌 거품유지에 올인 할 수 밖에 없다는 얘기네. 앞으로도 최소한 가구수 감소때까진 부동산 투기, 가즈아~외치는 사람들 많을 듯.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이미 시작됬음 가구수 어거지로 튕겨놓은 상태라 곧 아작날겁니다.
@Just_do_it-us4
@Just_do_it-us4 10 күн бұрын
정부에서도 부동산시장만큼은 절대 못건들겁니다. 판도라의상자란걸 너무나 잘알고 있기에. 하지만 열지않아도 머지않아 스스로 열려서 자멸의 길로 가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자산이 부동산에만 몰빵 그것도 대출로 되있으신분들은 빨리 인지하고 빠져나오셔야할건데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Just_do_it-us4 말씀대로 안건드려도 개미지옥으로 가는 중이에요
@ordovices7440
@ordovices7440 9 күн бұрын
1인 가구중 노인 가구가 비중 제일 커요
@user-os7gy9bu3f
@user-os7gy9bu3f 10 күн бұрын
대부분의 국민을 눈가리고 속여서 몇몇놈들 배에 기름칠 하도록 만드는 국가 시스템이라 그런거지요
@user-kr4wn5bc9m
@user-kr4wn5bc9m 10 күн бұрын
역시 박종훈~!!
@user-zx4pf9tx1m
@user-zx4pf9tx1m 1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수준높은 강의를 듣습니다. 군대간 아들에게 구독하고 매일 들으라 했어요.
@user-xr9xw4ui2t
@user-xr9xw4ui2t 9 күн бұрын
존경합니다. 박사님...항상 감사합니다.
@user-gd9pd6ve6v
@user-gd9pd6ve6v 10 күн бұрын
지식한방 정말 좋은 방송이네요 천천히 부자 되어야 부작용이 없는데 빨리 부자 될려고 코인투자등 무리한 투자가 결국은 사회에 부담이 되죠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10 күн бұрын
요즘 코인은 무리가 아니라 기회임. 아직도 상황 파악못하면 부자 못된다.
@dennythedavinchi3832
@dennythedavinchi3832 10 күн бұрын
요즘 코인은 무리가 아니라 기회임. 아직도 상황 파악못하면 부자 못된다.
@skyhuh6992
@skyhuh6992 9 күн бұрын
자괴감을 많이 느껐었는데 좋은 정보로 많은 위안을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taehyunkwon4700
@taehyunkwon4700 10 күн бұрын
참으로 좋은 말씀이네요. 온통 투자를 부추기는 사기꾼 주식 유투버들이 너무 많은데, 정확한 지적 감사합니다.
@jellru
@jellru 10 күн бұрын
어머나,, 아직 목상태가 회복되지 않으셨네요.. 건강 잘 챙기세요💪💪
@urbaneQG
@urbaneQG 9 күн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id8oy3uh3v
@user-id8oy3uh3v 7 күн бұрын
경제한방보다 지식한방할때가 박기자님의 표정이 활기차고 힘차다^^ 오늘도 재미있게 보고 갑니다~~
@user-ee8rz6ls5s
@user-ee8rz6ls5s 10 күн бұрын
혼인율ㆍ출산율 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20억이상 아파트에 대해서는 종부세ㆍ중과세해서 그이하 아파트가격의 상승을 저지하고 하향안정화 정상화시켜야 됩니다ᆢ나도 서울 부채없는 자가소유자이지만 이대로 가다가는 국가소멸은 물론 젊은세대에게는 기회가 없고 모든걸 포기하게 만드는 결과를 피할수없읍니다!
@banghyomoon
@banghyomoon 10 күн бұрын
저도 건물주지만 동의하는 바입니다.
@js-eo8fk
@js-eo8fk 10 күн бұрын
맞는말씀 ❤
@user-um7zx6fr5t
@user-um7zx6fr5t 5 күн бұрын
문재인 호구가 세금 으로 집값 잡으려다 폭등 한거 잊어 나여 그냥 시장에 맞기세여
@charliem432
@charliem432 10 күн бұрын
날카로운 지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vt2hc9fx2q
@user-vt2hc9fx2q 9 күн бұрын
잘 듣고 있습니다. 몇일 안올리셔서 궁금했는데 감기가 걸리셔서 몇일.쉬셨군요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ㅡ
@nongGuZoa
@nongGuZoa 10 күн бұрын
몸 안좋으시다더니.. 목소리가 가셨네... 건강 챙기시면서 하셔요. 감사합니다
@eaststreetjung2339
@eaststreetjung2339 1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볼만한 유튜브 중에 최고이십니다.
@isquareikim7995
@isquareikim7995 9 күн бұрын
영상 잘 봤습니다. 구독자들이 세상 살아가는데에 현명해 지기를 바라는 마음에 만드신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user-hd4tz5bf6u
@user-hd4tz5bf6u 8 күн бұрын
정밀한 분석 감사합니다
@user-nw6ue3ks4o
@user-nw6ue3ks4o 10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은 금리부터 정상화 해야 한다. 3.5% ? ㅉㅉ
@Just_do_it-us4
@Just_do_it-us4 10 күн бұрын
영끌해서 부동산에 몰빵한 사람들때문에 쉽게 못올리죠. 그만큼 부동산버블이 심각하다는 반증인셈이고...그렇다고 그사람들 지키자고 시장경제를 침체로 몰아넣어도 되나싶기도 합니다.
@_desaix9174
@_desaix9174 10 күн бұрын
원재료 수입하는 나라에서 금리를 안올리니 환율을 잡을수 없고 그러니 물가가 높을 수 밖에 결국 영끌 부동산 지킨다고 금리 안올려서 전국민이 물가로 고통 받는 중
@gogo0909gg
@gogo0909gg 9 күн бұрын
금리 올리면 가난한 사람들이 더 힘들어요
@simonlee3693
@simonlee3693 9 күн бұрын
@@gogo0909gg 가난한 사람들은 뭘 해도 힘들어요. 금리를 올리든 내리든.
@sophie6336
@sophie6336 8 күн бұрын
경원중 동창인데 항상 잘 듣고 있어요~ 앞으로도 계속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당
@user-nn6vd4id4k
@user-nn6vd4id4k 4 күн бұрын
경원중이면 반포근처 말인가요? 80년대에 이름이 다른 걸로 바뀐학교.
@user-ji3vd5tv3y
@user-ji3vd5tv3y 10 күн бұрын
저런 통계를 내니 다들 눈만 높아지지.
@user-sb6cq8xh4v
@user-sb6cq8xh4v 10 күн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getupat9oclk
@getupat9oclk 9 күн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많은 위로가 됐습니다.
@user-jf5wh7wr2i
@user-jf5wh7wr2i 10 күн бұрын
목소리가ㅜㅜ😢😢 건강하세요 선생님.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on5yp9kd7o
@user-on5yp9kd7o 10 күн бұрын
내가 하고싶은 말을 종훈이형님이 다해주시네 최고
@user-ek2kc3ym2e
@user-ek2kc3ym2e 10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user-pauiopteta
@user-pauiopteta 10 күн бұрын
박종훈 경제 기자님 항상 수준 높은 경제 지직을 진실되게 말씀을 잘 해 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
@normal77079
@normal77079 10 күн бұрын
얼마전 어떤 쇼츠에서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을 영상으로 만들었던데 요즘 사람들 참 세상 모르는구나 싶었습니다. 중소기업을 조롱하는 ㅈ소라는 말이 있는데 바로 중소기업을 비아냥대는 글이었죠. 회사가 마음에 들지 않는건 주관적이니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목했던 지점은 30명 중소기업을 ㅈ소라 부르며 조롱하는겁니다. 30명 인력의 무게감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상당수구나 싶었죠. 한명 한명의 인건비와 부대비용 및 회사 운영비를 생각하면 한달 1~2억벌어서 유지할 수 없는건데 우습게 아는 모습을 보며 인간들이 허세에 찌들었구나 생각 들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예전에 sns에서 논쟁 후 차단한 사람이 있었는데 주된 요지는 월 400도 못버는 사람이 사회 생활을 잘한것이냐에 대한 주제였죠. 서울에서 월 400이라는게 중산층과 상류층 중간지점으로 생각드는데 그 아래는 인간으로 보지 않는 뉘앙스에 논쟁이 심해졌고 결국 차단박은겁니다. 대략 5~6년전이니 그 사이 더 심해졌다 생각들어요.
@user-bi8lo6ud9m
@user-bi8lo6ud9m 10 күн бұрын
감기 조심하세요....^^
@user-wc9tg1wy1q
@user-wc9tg1wy1q 10 күн бұрын
어서 쾌차하시길 빕니다. 우리집선 저도 보고, 남편도 챙겨보고 있어요. 애들에게도 구독하라고 권하고 있어요. 방송 항상 감사합니다. 건강 꼭 챙기세요.
@maplepark2789
@maplepark2789 9 күн бұрын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wt2lk5dn8k
@user-wt2lk5dn8k 9 күн бұрын
비교하지도,당하지도말고 소신갖고 열심히 성실하게 묵묵히 살아가고자 다시한번 다짐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72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집값 반등? 더 무서운 게 옵니다 (박종훈 플러스)
29:05
나는 중산층이다 (연봉 1억을 받으며..)
19:58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751 М.
The child was abused by the clown#Short #Officer Rabbit #angel
00:55
兔子警官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