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분) 갑질의 근원이 있다? 세대갈등이 극심해지는 이유는? | 사피엔스 월요특강

  Рет қаралды 141,139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월요일마다 찾아오는 사피엔스 pick! 명강의📝
00:00 관계를 잘 끊지 못하는 한국사람 | 권수영 교수
21:33 한국인의 심리 | 허태균 교수
#사피엔스스튜디오 #월요특강

Пікірлер: 104
@sapiens_studio
@sapiens_studio Жыл бұрын
기성세대에게 할 말은 해야 직성이 풀리는 MZ세대 👉 kzfaq.info/get/bejne/oNihetx2tsuvkYU.html
@user-pt4yu4jq3r
@user-pt4yu4jq3r Жыл бұрын
나이에 너무 의미부여하는것도.....1살차이가 뭘더안다고
@azeoy
@azeoy Жыл бұрын
사람에 따라 1~2살 차이면 사회 경험 많은 어린 사람보다 더 모를 수도 있지요 ㅋㅋㅋㅋ
@katiekim2023
@katiekim2023 Жыл бұрын
마자오. 나이 더 먹었다고 나은 사람이라는 보장이 없는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10살차이나도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MadnessJackey
@MadnessJackey Жыл бұрын
제 친구는 캐나다 살다가 어찌해서 지금 한국 와서 사는데 그 1살 심하면 몇 개월 가지고 지랄하는 애들 보고 정신병 있는 놈들인가? 했다 함
@user-vk8ez5xr9d
@user-vk8ez5xr9d Жыл бұрын
솔까 처음을 무시하고 본인도 처음이있었을텐데 ㅋㅋㅋ 뭘그리 잘안다고 배우라고 그러고 ㅋㅋㅋ 신입괴롭히는문화가 일본에서 온걸로아는데 그러면서 일본은 더럽게 싫어하자는 ㅋㅋㅋ 내로 남불심하죠 ㅋㅋㅋ 한국인들 ㅋㅋ
@user-df4bm3cy4o
@user-df4bm3cy4o Жыл бұрын
어떤 관계든 하나의 존엄성을 가진 인격체로 생각하면 경계를 넘지 않게됨 자식에게 지나친 간섭이나 관심을 가지는 부모가 많아서 ㅠ
@user-rk9ok3jf6m
@user-rk9ok3jf6m Жыл бұрын
존중받고싶으면 존중받을만한짓을 하면 된다는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이 있는데 존중받지 못할 방법으로 존중을 받으려고함 보통 나이를먹을수록 심해지는게 보이고 어쩔수없이 정내미 떨어지게 이야기 하자면 나이를 먹을수록 지능이 퇴화해서 그런거라는 답밖에는 안나옴 거기에 사회적으로 암묵적 인정을 해버리니 이건 답이 없음 절대 안고쳐짐 그냥 하루빨리 나이를 먹어서 내가 꼰대질을 하며 당했던 설움을 푸는수밖에 절대 끊어지지 않는 뫼비우스의 띠임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나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존대말만하면 해결됨 나한테 반말하는 사람한테는 나도 반말
@mylee4u
@mylee4u Жыл бұрын
대한갑국 : 가정, 직장 갑질이 기본 베이스인 나라... 정치인들도 대부분 자신이 갑이라 바꾸기 싫어함.
@gokuma8028
@gokuma8028 Жыл бұрын
죽여야 착해짐 ^^
@sinchon06
@sinchon06 Жыл бұрын
강의에서도 나오지만 우리나라의 개개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관계에서 확인하려는 속성이 강해서 그런듯 해요... 즉 자신이 상대보다 높은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상대가 존중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면 그게 분해서 견딜수가 없는거죠... 사실 우리 개개인은 제3자가 보면 그 관계가 아무 의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런면이 강한 사람들은 자기가 속한 그룹을 떠나서도 그 관계성을 이어가고 대우받고 싶어 하는것 같아요..
@graycain
@graycain Жыл бұрын
글쎄요.. 갑질은 서구사회 또한 전통이죠. 귀족이란 이름으로 당연시 되기도 했고요. 영국 미국 러시아. 힘있으면 다 갑질 합니다. UN상임 이사국
@sanglee7877
@sanglee7877 Жыл бұрын
가족간 갑질이 일반적이라 자라면서부터 많은 상처를 받게되고 이것이 다혈질이라는 한국인의 특징으로 자리잡게된것같습니다
@sayyes7535
@sayyes7535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너무 사회생활, 인간관계를 강조해서 정말 피곤함. 유럽생활이 참 편했음 근데 한국은 무엇이든 규정화되어있는 기준이 있어서 본인이 그 기준에서 우월하다 생각하면 남을 하대하고, 문제는 그 주위사람들도 그 기준에 물들어있어서 알아서 기어다님. 정말 유치한 예시를 들면, 외모, 키. 한국사람들이 예쁘다하는 얼굴이 있는데, 그걸 본인이 갖고있다 싶으면 자연스레 리더역할을 맡고 주위사람들은 그 모임에서 스스로 낮추고 그 사람 떠받들어주는 분위기가 늘 있는듯. 옆에서 보면, 왜 알아서 이런 분위기를 만들지? 본인의 자존감을 왜 스스로 낮출까 싶음. 한국사람들은 한국사회에서 잠시라도 벗어날 필요가 가끔 필요한듯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관계에 집착하는 한국인에게는 관계 단절이 오히려 필요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죠.
@killfemi
@killfemi 7 ай бұрын
제발
@melbourne9366
@melbourne9366 Жыл бұрын
외국산지 10년.. 한국다시는 못살아.. 가끔 한국놀라가면 답답쓰
@user-lk6lr5lh3i
@user-lk6lr5lh3i Жыл бұрын
나는 사람 볼때 2가지를 봄 1. 부모님에게 하는 태도 2. 서비스 업종에 가서 근무하시는 직원분들에게 하는 태도 바로 답나옴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역으로 이런것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0. 부모가 그 사람을 대하는 태도에는 문제가 없는가
@molonlabe2477
@molonlabe2477 Жыл бұрын
2번은 공감하는데 1번은 앞뒤 재봐야함 차라리 자식들이나 부하직원들에게 하는 태도가 더 적당해보임
@yaleyoon6856
@yaleyoon6856 Жыл бұрын
일리가 있는 말이예요
@gokuma8028
@gokuma8028 Жыл бұрын
2번은 가식인 놈들 많다 속지마
@user-df4bm3cy4o
@user-df4bm3cy4o Жыл бұрын
자기인생 주체적으로 자기가 행복한대로 살아야지 배우자를 허락받는것부터 ㅋㅋㅋ..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Жыл бұрын
부모님한테 결혼지원금이나 상속받는 금전관계를 원하니까 허락받으려고 하지.
@user-df4bm3cy4o
@user-df4bm3cy4o Жыл бұрын
@@anonymous-yx6kf 그건 맞네 그래도 그것도 비굴한거지 자기 인생 자기 힘으로 이뤄내야지
@Johnny-zn4br
@Johnny-zn4br Жыл бұрын
꼰대문화의 주축을 이루는 나이서열부터 없애야 함
@user-kj8di2gv9h
@user-kj8di2gv9h Жыл бұрын
완전 빵터졌어요ㅎㅎ
@parkjun8009
@parkjun8009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인과관계를 소통으로의 진심보다 물질적인 물질주의가 퍼져있어요
@user-ok7pp5ff8x
@user-ok7pp5ff8x Жыл бұрын
한국에만 있는 페이크 언어 " 우리 언제 밥 먹자"
@jindao600
@jindao600 Жыл бұрын
서양인들은 항상 먼저 쏘리~라고 하던데 우린 아~씨~ 이 소리가 먼저 나옴. 한국인들은 항상 화가 나 있음.
@Daniel-qx1ip
@Daniel-qx1ip Жыл бұрын
교육과 인성의 문제 미국에 오래 사니 나도 사과가 먼저 나옴
@sanglee7877
@sanglee7877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남의 의사를 무시하고 권리(특히 거부할 권리)를 침해하는게 일반적이라 미안합니다 하는 순간 죄지음을 인정한 사람으로 낙인찍어 버립니다 가족간에서부터 이러하기때문에 자라면서부터 사과하지않는걸 본능처럼 가지게됩니다
@greenblue1660
@greenblue1660 Жыл бұрын
눈떠서 잘때까지 밥타령하는 남편. 한번도 자기밥 자기가 못 차려 먹으면서 똑같이 퇴근해서, 자기는 누워다가 밥먹을 때만 앉아있는 남편과의 관계에서 나는 한이 쌓이는거 같으네요
@user-fy2ru7kf7j
@user-fy2ru7kf7j Жыл бұрын
전 유학갔다 도쿄서 18년살다왔는데 귀국해 운전할때 생명에 위협을 느낄만큼 정말 기초질서.교통법규 수준 개판이더군요~! 주체성이라고 하셨죠. 너무너무 안지키더군요.정말 너무 피곤해요~! 정말 스트레스 너무받고있고~, 교통법규 안 어기는 다수에 의해 너무 스트레스뿐 아니라 사고날뻔 한적도 한두번이 아닙니다~! 난 운전 잘 지키고가도 타인의 다그침(정속운전하는데 도심서 빵빵거리거나 꼬리부쳐 앞차를 몰아부치는 운전 등등) 위법땜에 사고날 뻔 한적 한두번도 아니고...도쿄서 운전할땐 10여년동안 너무나도 스트레스가 정말 없었습니다.다들 정해진 규칙을.타인 그리고 자신안전을 우ㅏ해 지키는편이라서요~! 우리나라.국민들의 주체성이 무조건 좋은거 같진않네요~!!! 참고로 바이크.안전모 착용않는.이륜차운전자 18년동안 한사람도 못봤어요.국내와선 하루에도 수십명봅니다.경찰에게 물었는데.경찰도 다 저러고다니는데 란식 단속기간 외엔.단속도 포기한상태~! 자동차도 그렇고 어기는사람 본적이없었는데~, 귀국 해보니 법지키고가면 뒤에서 빵빵거려요 감시카메라만 없슴 과속이 일상이고 위법을 자기편하면 된다란 식으로 타인에대한 배려가 아주 부족하더군요.생명과 직결된거라 기초교통법규 준수하는건 국민적 계몽이 필요하다봅니다ㅡ주체성땜에 법을 멋대로 해석 작은 규범을 어긴다??? 주체성? 말이 좋아 그렇지 타인에 관계성 그리 중시하면서 운전할땐 타인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는거죠. 그냥 급하고 이기적인겁니다.남을 위해 배려하세요.타인도 자신못지않게 주체성이 있다고 인정한다면 타인의 권리를 존중~, 나 하나쯤은~나 니까 괜찮아 이런의식~! 자제할줄 알아야죠.타인을 위해서~, 와국오래살다왜서 저도 남의식안하고 삽니다. 아직도 고향친구들은 자신색깔 잃어버리고 타인에으ㅏ해 자신의 존재감을 호가인하는 슬픈인생을 살더군요~! 남 시선 의식하지말고(타인권리 친해하란 의미는 아님) 이중적인게 그렇게 남 의식하면 교통법규도 타인생각하면 더 잘지켜야는데 이럴때 아주 이기적임.우리한국인은.ㅡ 참 하나로 정의하기 힘든듯~! (니 인생 니.자신의 자아로 살아라 전 조언합니다~!)
@sanglee7877
@sanglee7877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은 태어날때부터 부모 형제의 갑질에 시달리는 인생입니다 거기에 반발하면 반항아 문제아 취급당하죠 이런 문제는 사회에서도 똑같이 일어나며 모든 인간관계에서 갑을관계로 상대를 통제하려는 풍토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다보니 을이 되지 않기위한 몸부림->금전적 성공으로 을에서 벗어나기 위한 돈에 대한 집착과 한풀이식 공격성으로 발현됩니다 교통법규를 잘 지키고 양보하는 운전보다는 공격적 운전이 일반화된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양보 사과하는 사람이 피해를 본다고 생각하는게 한국 사회입니다
@korrus1004
@korrus1004 Жыл бұрын
맞아.. 한국의 결혼 허락 문화는 정말 이해하는 데 오래 걸렸었지.. ㅋㅋ
@Nono28389
@Nono28389 Жыл бұрын
엄마는 저랑 세줄을 원하고 전 두 줄을 원하고 그래서 엄마는 맨날 저를 쫓아오고 전 도망가고 ㅋㅋㅋㅋㅋㅋ
@EdgeOfEternity-
@EdgeOfEternity- Жыл бұрын
결혼이라는 선택에는 책임이 따르지만 우리 부모세대가 책임이라는 교육을 할머니세대에서 받거나 가르쳐 본 적이 없어서 상견례를 통해 부모가 대신 결정하려는 문화인듯 합니다. 또 부모와 자식간에 주종관계 또는 종속관계가 한국에는 윤리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것이 많은 영향을 주는것 같아요. 조금은 야만적이었던 시대 조선이라는 이름을 벗은지가 100년도 안된 한국의 어쩌면 당연한 과정인것 같아요.
@itaesan42
@itaesan42 Жыл бұрын
갑이 되고 싶으면 노력으로 갑이되고 높을수록 겸손함을 갖을 수록 주위의 사람들이 수준있는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을 둘러봐라 내가 즐기는 환경에 따라 주위의 사람이 어떠한가.....둘러보면 나의 본 모습을 보게된다....내가 바껴야 환경도 배경도 바뀐3ㅏ는 걸 알아야 한3ㅏ
@JillyScope
@JillyScope Жыл бұрын
음… 너무 개인적인 경험을 일반화한다… 미국도 크고 다양해서 지역에 따라 다르고, 중남부 지역의 경우에는 여자한테 결혼하자고 말하기도 전에 여자 아버지한테 먼저 찾아가서 허락부터 받고, 여자한테 물어보기도 함… 너무 성급한 일반화…
@chad.k
@chad.k Жыл бұрын
하늘을 나는 용의 꼬리가 되기 보다는 땅을 쪼는 닭대가리가 되길 바라는 게 우리다. 용을 닭으로 만들어서라도 대가리는 해야겠다는 게 우리다. 그래봐야 여우밥일 뿐인데.
@sanglee7877
@sanglee7877 Жыл бұрын
한국엔 자기 권리대로 살려 하다가 불효자 문제아 모난돌 매사에 부정적인놈 이딴 미친소리 들으며 산 사람이 많음 나도 나이가 내년이면 50인데 아직도 부모 형제간 문제에서 내 맘대로 할수있는게 하나도 없음 가족모임에 가기 싫다고 하면 아직도 문제아 소리 들음 징글징글..
@jindao600
@jindao600 Жыл бұрын
총기문화인 나라는 먼저 화내고 건드리면 총 맞아서, 난 그럴 의도가 없었어요 라는 의미로 쏘리가 먼저 나오고, 한국 같은 경우는 총으로 바로 사람 죽이는 위험한 나라는 아니라서, 큰 소리치는 놈이 이기는거. 이게 정설이라하네요.
@user-ve1rl7ig8s
@user-ve1rl7ig8s Жыл бұрын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공격하면 이기는 마더 로씨아 ㄷㄷ
@user-tk2sl2so1u
@user-tk2sl2so1u Жыл бұрын
그냥 민족성이 좆같은거야 핑계 대기는
@cyslove86
@cyslove86 Жыл бұрын
갑이면 나도 갑이지 왜 을로 변함? 그러는 게 바보 아니가 ...ㅋㅋ
@user-oc2uk4rh9u
@user-oc2uk4rh9u Жыл бұрын
김창욱?? 이분넘어 대단하신 분이다... 교수님인가
@googoobatgoo923
@googoobatgoo923 Жыл бұрын
저는 유학가게 되어서 만16살에 부모님으로부터 완벽히 독립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저는 30살입니다. 학사,석사 졸업 다 하고 박사 과정에 진학할 예정이구요. 저는 제 인생에 만족하면서 살고 있어요~^^
@googoobatgoo923
@googoobatgoo923 Жыл бұрын
@소원실현 말씀하신 내용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댓글로만 봐서 절 이상한 사람으로 보실 수 있겠네요. 문제아였거나 외톨이로 볼 수 있겠어요. 근데 전 그 어떤 것 하고도 관계되지 않아요. 저는 제 삶의 주최가 되려고 노력했을 뿐이고요. 현재 학교 밖 청소년에게 희망을 주는 강사예요. 책도 쓰고 싶더라고요 ~^^
@ssioii3928
@ssioii3928 Жыл бұрын
몇분 보다 껏음. 뻔한 말에. 서양 변하는것도 모르고. 문화 경제 차이가 있는데 무조건 서양이 좋은것처럼 말하는것도 그렇고. 지금은 서양이 한국을 배우려 합니다.
@doowonpark6696
@doowonpark6696 Жыл бұрын
항상 외세에 침략만 처당하니 줄을 잘서야해서 그것이 인간관계에도 나타남
@user-dy6hm1cm7e
@user-dy6hm1cm7e Жыл бұрын
15:23 누구? 참 곱고 이뿌네.
@mangst
@mangst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 ㅋㅋ 누가 답변좀
@user-ny4cn8yy2q
@user-ny4cn8yy2q Жыл бұрын
유전자 속에 조상들이 상놈 소리듣던 시절 설움이 남아있나봐요. 낙인처럼..
@gokuma8028
@gokuma8028 Жыл бұрын
상놈이 맞으니까
@user-dw4ge2gj8s
@user-dw4ge2gj8s Жыл бұрын
50대 중반인 나, 평생 기술언어로 살았는데 죄인 취급 받았다. 억울하다
@user-lr1ni4mj6p
@user-lr1ni4mj6p Жыл бұрын
이야기 블랙홀!
@OHTAEKEUN
@OHTAEKEUN Жыл бұрын
죽는수가있다 분노의 사회
@user-if2te8ip3m
@user-if2te8ip3m Жыл бұрын
그말은 틀린 말이 아닙니다 나는 갑이고 너는 을이다 ㅡ 자신이 삶이 주체이기 때문에 자신이 어떤 위치에서 칼자루를 쥐어서 다른사람과에 관계는 주종 관계를 형성하고 십은 것이 한국인이 마음속에는 들어 있는 거예요 그것은 동물들 세계도 마찬가지지요 개들 사이에도 으르렁 거리며 "야 끓어 안끓어 마? ."
@KUDECONST
@KUDECONST Жыл бұрын
개처럼 사시든지
@user-rk9ok3jf6m
@user-rk9ok3jf6m Жыл бұрын
@@user-th9vl9ym5h 오히려반대인거같은데ㅋㅋ지금 그런 주종관계 갑을관계를 짐승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까내리는거 아님?? 최소 옹호는 아닌거같은데
@sanglee7877
@sanglee7877 Жыл бұрын
짐승처럼 살자가 아닌 짐승처럼 살지 말라는 의미가 내포된 글인데 한국에는 위 인형술 쿠드같은 무식이 댓글러들이 무지 많음 무식하면 가만히나 있지 또 지 잘났다고 달려들어요
@user-zk1ks2ic1n
@user-zk1ks2ic1n Жыл бұрын
행복 티비에서 운운하는것들은 다 헛소리하는인간들로밖에안보임 행복의 기초는 돈임
@tino8591
@tino8591 Жыл бұрын
미국은 넓어요 다양합니다. 일반화의 오류가 많네요.
@Daniel-qx1ip
@Daniel-qx1ip Жыл бұрын
미국에 늦게 26살에 갔으니 일반화 하는 거죠
@heyuri5707
@heyuri5707 Жыл бұрын
아니뭔 광고가 2분에 한번씩 있네....
@doongbeen
@doongbeen Жыл бұрын
시엄니의 딸이 되고 싶은 망상이 없어서 그나마 내가 화병에 안 걸릴 수 있었군요. 난 울엄마아빠 딸로 족함. 감사합니다.
@user-zw9ou2tk6b
@user-zw9ou2tk6b Жыл бұрын
심지어 갑도 아닌 게 지가 잘난 줄 알고 지 일도 아닌데 월권행위 하고 내가 누군지 아냐고 나대는 인간도 있습니다
@ludwigwittgenstein9243
@ludwigwittgenstein9243 Жыл бұрын
열등감. 다양성 말살. 군중심리. “왜 다른 사람들 등산복 다 입고 다닌다고 나도 해야돼? 나 편한 옷 입을래.” 이런 자존감이 없다.
@RR-me5lp
@RR-me5lp Жыл бұрын
그게 너야. 알아?
@glenlee2486
@glenlee2486 Жыл бұрын
미국도 그냥 다시 안볼거면서 다시보자고 see you 하지않남...?
@user-eo1bm8tv4q
@user-eo1bm8tv4q Жыл бұрын
중국사람들은 우리보다 더 하다..그래서 우리보다 더 발전할것이다
@user-dz8ts8lk5v
@user-dz8ts8lk5v Жыл бұрын
바보같은 결론이 바보들? 가지고 노냐 인정하기 싫은 갑?과 바보?을
@user-ck6xo5eo9q
@user-ck6xo5eo9q Жыл бұрын
대학생까지 ㄷㄷ
@ctctxk101
@ctctxk101 Жыл бұрын
근데 한국은 근대사회때까지 대가족을 이루던게 당연하던 시대 아니었나.. 부모님이랑 같이 사는게 그렇게까지 특이한게 아닌거같은데 산업화가 200년 넘게 일찍돼서 훨씬 옛날에 핵가족화 되고 도시로 빈민들이 몰려서 슬럼화됐었던 유럽이랑 비교를 하면서 한국이 특이하다고 하다니요. 기술과 문명의 발달은 사람사이의 관계가 넓고 다양해질 수록 빠르게 발달하는 경향도 있는데 관계중독이라고 부정적인 표현을 하는건 좀 문제가 있는거같습니다.
@isu8888
@isu8888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공부부터해야
@chungpark2229
@chungpark2229 Жыл бұрын
찌질한 웃 어른들 너무 많자 ㅋㅋㅋ
@user-qz5oo3th6g
@user-qz5oo3th6g Жыл бұрын
잽나요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Жыл бұрын
꼭 누군지아냐고 떠드는 시키들 권위주의 답이없음 내 니를 알았음 여기있겠나 ? 이게맞지 이곳을 떠났지
@hyryu4799
@hyryu4799 Жыл бұрын
p
@Oceanview507
@Oceanview507 Жыл бұрын
무슨 기준을 외국인의 눈으로 보냐. 문화가 다른거지. 그럼 외국가서 사세요. ㅋㅋ 뭐야 이거
@chrisjohn6270
@chrisjohn6270 Жыл бұрын
대한민극 수준!! 일본이 나쁘다 못됐다!! 욕하는데!! 자아를 돌아봐라!! 갑질 한적이 없는 한국인이 없을 정도로 갑질 한국인 종특임!!
@Teridom
@Teridom Жыл бұрын
주채성 되게 귀에 걸리네, 주체 사상이랑 겹쳐서.
@militanta234
@militanta234 Жыл бұрын
당신은 종교인입니까?
@m.sourcej5593
@m.sourcej5593 Жыл бұрын
진절머리나지 참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8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2강 와인 종주국, 프랑스로 떠나는 와인 여행
16:39
와인문 - 정하봉의 와인인문학
Рет қаралды 342
부유했던 베네수엘라는 어쩌다 망했을까?
28:38
[팟빵] 매불쇼
Рет қаралды 25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