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말투는 서울 사투리가 아니다?...서울 사투리 특징 3가지

  Рет қаралды 3,468,665

스브스뉴스 SUBUSUNEWS

스브스뉴스 SUBUSUNEWS

5 жыл бұрын

90년대 뉴스 인터뷰를 보면 시민 말투가 지금과는 조금 다릅니다. 네티즌은 그걸 '서울 사투리'가 남아있던 흔적이라고 추측합니다.
서울 사투리를 연구하는 울산대 국어국문학과 유필재 교수는 "인터뷰를 한 사람들이 '서울 토박이'인지는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확답하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과거 '서울 토박이'의 말, 서울 사투리에는 특징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서울 사투리의 특징을 소개합니다.
프로듀서 정연 / 구성·편집 권수연 / 촬영 박은비아 / 도움 안희찬 인턴 / 출연 김혜수 인턴
✔ 뉴스에는 위아래가 없다, 스브스뉴스
- 스브스뉴스 링크
Facebook : / subusunews
Instagram : / subusunews
홈페이지 : news.sbs.co.kr/news/subusuNews...
-BGM 정보
Kevin MacLeod의 Investigations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creativecommons.org/licenses/...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incompetech.com/

Пікірлер: 5 100
@zouba7769
@zouba7769 5 жыл бұрын
전지현이랑 송혜교 90년대 셀프캠 보면 말투 완전 이럼!!
@ddwknk6735
@ddwknk6735 5 жыл бұрын
재짱Jaeheemae ㅇㄱㄹㅇ!
@bikessi1099
@bikessi1099 5 жыл бұрын
생각해보니 그런것같은데요
@user-os3po5jy1k
@user-os3po5jy1k 5 жыл бұрын
최진실도.
@bj5625
@bj5625 5 жыл бұрын
전지현은 발음이 안 좋던데 외국인인줄 알았음
@user-ne9cj4fn4y
@user-ne9cj4fn4y 5 жыл бұрын
@@luckluckforme 젇같은 소리마셈 그럼 625 때 부산으로 피난감 서울사람들 때문에 부산사투리 안쓰고 서울말 써야하나 개같은 소리작작하셈 너무 무식해서그럼
@turinoik9477
@turinoik9477 4 жыл бұрын
실제로 90년대 해외로 이민간 한인들이 옛날 서울말투 그대로 씀..
@humblemumble410
@humblemumble410 4 жыл бұрын
ㅇㅈ 이민간 사람들은 생각도 말투도 자기가 한국을 떠났을 때로 멈춰있음. 그래서 이민나온 사람들중에 좀 보수적인 사람이 많음
@user-jh1vy6vv5z
@user-jh1vy6vv5z 4 жыл бұрын
그건 잘모르겠고 그냥 한국말을 잘못함 ㅋㅋ
@im.hypeboi
@im.hypeboi 4 жыл бұрын
???: 그.. 저 왼쪽으론여.. 그 저기 르과디아에서 나오는 비행기가 있기때문에 그쪽으론 못가거덩요..
@Rae_Dae
@Rae_Dae 4 жыл бұрын
@@im.hypeboi ㅋㅋㅋㅋㅋㅋ 그채널 구독하시는구나 ㅋㅋㅋㅋ
@user-gr7kr1ih6o
@user-gr7kr1ih6o 4 жыл бұрын
ㅇㅈ우리 사촌형이 90년데 미국으로 이민가서 미국애서 2년전에 만났는데 조금은 어색한 한국말들이 있음
@nichadogear
@nichadogear 3 жыл бұрын
대표적으로 회자되는 90년대 서울 사투리가 있죠. "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조크든요~!"
@LK-ip4ej
@LK-ip4ej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개빵터짐 ㅋㅋㅋㅋㅋㅋ 음성지원 기능 ㅋㅋ
@user-rr4px2in2m
@user-rr4px2in2m 2 жыл бұрын
국어도 모르는 새기가 사투리를 논하네 좋거든요지 조크든요냐?
@garetteok
@garetteok 2 жыл бұрын
@@user-rr4px2in2m장난삼아 일부로 그렇게 쓴것 같습니다. 진진하게 받지 마세요
@user-zz7jt9ps4i
@user-zz7jt9ps4i 2 жыл бұрын
@@user-rr4px2in2m 장군... 어찌하여 뇌를 빼고 오셨소...
@5kmpers
@5kmpers 2 жыл бұрын
@@user-rr4px2in2m 조크든요로 밈이 됐는데 뭣도 모르고 진지하게 맞춤법 틀렸다고 꼬투리 잡는 모습 하곤..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2 жыл бұрын
나는 해방 후 서울에서 태어나 짧은 기간의 피난기간을 제외하고는 줄곧 서울에서만 살았습니다. 그래서 옛스런 서울 사투리에 대한 기억이 아직 남아있습니다. 원래의 서울사투리도 종로나 효자동, 삼청동 등지의 문안 사투리와 마포나 영등포의 사투리가 틀렸고 70년대에도 영등포 사람들은 한강다리 건너가는 것을 서울간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문안에서는 이리라고 부르는 짐승이 마포에만 내려와도 제리라고 불리는 것을 들었었습니다. 그리고 서울 액선트는 지금과 전혀 틀렸고 그래서 지금 젊은이들은 당시 라디오 뉴스방송이나 영화의 대사를 들으면 이북 액선트로 오해하기도 합니다. 서울은 해방 이후 인구가 급격히 늘어난 곳입니다. 그 인구 증가에는 당연히 타지방에서 생활터전과 더 낳은 교육기회를 찾아 몰려온 외부사람들이 기여를 했으니 그 사람들이 가지고 온 지방 사투리가 서울말의 변화를 가져오게 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겠지요. 해방직후에서 육이오사변 끝날 때 까지는 북한에서 공산주의를 피해 월남한 사람들이 인구증가에 기여를 했고 그래서 이북 액선트가 서울말에 실렸었습니다. 그러다가 6, 70년대 산업화 단계에서 영남지방사람들의 이주가 시작되었지만 영남 액선트는 서울 액선트와 워낙 달라서 크게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요. 50년대는 말할 것도 없고 60년대 까지도 학교에서 누가 영남사투리를 쓰면 흉내를 내면서 놀려대기도 했었지요. (우리 인척들 중 몇분이 그쪽입니다. ㅋㅋ) 나는 서울 한강 이남 영등포와 시흥 등에 공장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대한민국의 산업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었던 70년대에 미국으로 이주를 했습니다. 그때까지도 서울로 이주해 오는 사람들이 대부분 서울 주변의 경기도와 충청도 정도여서 공장지대에서도 말씨의 변화를 거의 느끼지 못했었습니다. 그리고 회사의 상층부 경영직 인사들의 말투는 이북사투리가 가장 많았고 그 아래 전문직에는 서울말투 외에는 경상도, 전라도가 많았었습니다. 그런데 내가 미국에서 살던 80년대부터 충청도와 전라도에서 사람들이 밀려오면서 그 말씨가 서울 사투리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모양인지 90년대 한국에 나갔더니라 텔리비젼 드라마에서 쓰는 말투가 너무나 달라져서 어리둥절 했었지요. 지금 서울말투는 충청도+전라도 액선트라고 보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 걸 보면 아마도 우리나라 말은 동쪽과 서쪽이 전혀 다른 뿌리에서 유래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볼 점은 욕설의 변화입니다. "이세끼, 저세끼" 하는 욕설은 원래 북한사람들이 가지고 온 욕설입니다. 남한사람들은 "이놈, 저놈" 했었지만 해방 직후 서울에 북한출신 사람들이 다수가 되면서 "세끼"란 욕이 득세를 시작해서 이제는 육이오 끝날 때 쯤 그것이 표준 욕설로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릴 적에 교회에 가면 북한사람들이 도둑놈을 조죽넘이라고 하는 것이 신기해서 집안 어른에게 물았더니 하시는 말씀이 평양사람들이 서울말의 "ㅈ" 발음을 "ㄷ"으로 발음하는데 그것을 감추려다 보니까 지나쳐서 원래의 표준말인 "도둑놈"도 서울말씨로 바꾼다고 하는 것이 "조죽넘"이 된것이라고 하면서 그런말투 흉내 내지 말라고 엄히 단속을 하시는 것이었습니다. 재밌는 것은 탈북자들이 평양사투리를 가지고 똑같은 말을 한다는 것입니다. 평양출신탈북자들이 사상문제로 지방으로 좌천되었다가 몇년 후 복권되어 돌아와 보니 그 새 함경도 사람들이 평양에 들어와 살면서 평양사투리를 버려놨다고 하니까 그말을 듣던 함경도 출신 탈북자 분들이 발끈해서 덤벼드는 것을 보고 웃은 일이 있습니다.(ㅎㅎㅎ) 그 대신 경상도나 전라도 등 지방 사투리들 역시 서울 표준말 쪽으로 많이 변화된 것도 느낍니다. 전라도 광주사투리에 바보를 뜻하는 "농판"이란 말이 이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지 그쪽 사람들 입에서 그 말아 나오는 것을 거의 듣지를 못했습니다. 어쨌든 말이란 항상변하는 것이니 받아들여야지요. 미국도 라디오가 보급되기 전에는 지방마다 말이 많이 달라 때때로 의사소통이 잘 안될 정도였다는 어느 나이드신 미국분의 말씀을 듣고 놀란일이 있습니다. 하기사 남한같이 작은 나라도 다섯가지 다른 액선트가 있는데 땅의 크기가 남한의 백배나 되는 미국에서 언어가 지방색 없이 똑 같다면 거짓말이겠지요.
@nightstarry-3302
@nightstarry-330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재밌어요
@lockomi
@lockomi Жыл бұрын
생생하고 귀한 경험담 너무 재밌게 읽었어요 선생님.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Жыл бұрын
@@lockomi 감사합니다.
@michaelkahn8744
@michaelkahn8744 Жыл бұрын
@@nightstarry-3302 감사합니다.
@MARK_2024.
@MARK_2024. Жыл бұрын
확실히 방구석에서 인터넷으로 배운 사함보다 경험담이 더 신뢰가 감
@user-pr3rf2xq8h
@user-pr3rf2xq8h 5 жыл бұрын
고전 애니메이션 더빙보면 딱저런말투임ㅋㅋ 그어짓말허질말어! 이런거 너희가 느이 이런식으로 확실히 음정이 늘어나는감이 있는듯 이거기깔나개 멋있게하던게 옛날 미호크성우분인데ㅜㅜ
@luxmiaveritas
@luxmiaveritas 5 жыл бұрын
뭐~어? 이 바~보야. 너이 아부지는 미국이 아니라 하늘나라로 돌아가셨어. 그것도 모르으냐아?!
@user-yv9ey3te6m
@user-yv9ey3te6m 5 жыл бұрын
그어짓말ㅋㅋㅋㅋ
@5000won_gukbap
@5000won_gukbap 5 жыл бұрын
나한테는 읎어~
@joshuajeong2011
@joshuajeong2011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개웃기다
@user-mo9hc7xi9y
@user-mo9hc7xi9y 4 жыл бұрын
말괄량이 삐삐도 그럼ㅋㅋㅋㅋㅋㅋㅋ
@yeb2i
@yeb2i 3 жыл бұрын
'~하구여 '를 많이 쓴다 진짜 ㅋㅋㅋㅋ 끝말 억양을 높이네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3 жыл бұрын
전라도 새끼들이 서울 엄청 올라와서 서울말이 전라도 사투리화된 거임.
@user-kx9rn5sq5m
@user-kx9rn5sq5m 3 жыл бұрын
@@anfwoijwej1742 또또 지역감정 전라도 사람만 올라왔냐? 전국에서 서울 안올라온 지역 있냐고
@user-mb3of2kg5h
@user-mb3of2kg5h 3 жыл бұрын
@@anfwoijwej1742 댓글 목록 보면 이런 댓글로 도배를 해놨네ㅋㅋ 일부러 지역 감정 몰아가는거봐
@user-if2pe2wq4e
@user-if2pe2wq4e 3 жыл бұрын
@@user-kx9rn5sq5m 근데 사실이긴함 전라도 통계보면 젊은 세대들 계속 이탈함 경상도는 그정도는 아니거든 전라도가 유독 서울에 집착하는 면이 있기도 하고 518유공자 특혜로 자손들이 대학교 쉽게쉽게 가서 서울로 가는 비율도 높음.
@user-kx9rn5sq5m
@user-kx9rn5sq5m 3 жыл бұрын
@@user-if2pe2wq4e 7080 세대들 서울상경한거 얘기하는건데요 무슨소리신지
@keicha5431
@keicha5431 10 ай бұрын
엄마랑 인터뷰할 일이 있어서 음성녹음해서 받아적는데 진짜 엄마가 딱 저 서울사투리 써서 개놀람.. 인터뷰에 나오신 분이 지금쯤 울엄마 나이일것같은데 ㅋㅋ 평소엔 엄마 서울사투리?쓰는지 전혀 몰랐다가 음성 녹음한거 듣고 깨달음ㅋㅋㅋ 그시절 사람이구나 함ㅋㅋㅋㅋㅋ
@cnppp5446
@cnppp5446 3 жыл бұрын
이 시대에 해외로 이민 간 분들도 많이 계셨고, 교포2세는 부모님께 서울사투리로 한국어를 배웠기 때문에 교포말투에 서울사투리가 많이 남아있다고 들었습니다
@dodizi-qv4hu
@dodizi-qv4hu Жыл бұрын
80년대 이민가신분들은 진짜 서울말이 뭔지 알게되죠.
@amr13507
@amr13507 Жыл бұрын
그시대 살아봤는데 장단음과 ㅔㅐ이런거 다 구별해서 쓴것말고 지금과 다른건 맞춤법정도네요 2000년대때 인터넷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은어도 자연스레 늘게되고 그런단어들은 시대 지나면서 없어지는 경험도해서 줄임말을 배워서 익힐 필요는 없을것같아요
@xlimitx0725
@xlimitx0725 2 ай бұрын
네 맞아요 ㅎㅎ 엘에이에 한국인이 하는 구멍가게가면 무조건 저런말투에요ㅋㅋ 놀랐어요
@ViKorea
@ViKorea 4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옛날 영화보면 말투가 이상하다고 느꼈구나. 말투어색해서 연기못한다고 생각했는데 억양이 바뀐거구나
@ixus55
@ixus55 4 жыл бұрын
옛날영화는 보통 후시녹음이라서 그럴거에요
@user-bk6oi9wq6s
@user-bk6oi9wq6s 4 жыл бұрын
안 맞아요!! 이 말하려고했는데 마침써주신분이 계시네요
@user-vy1tc2yp2i
@user-vy1tc2yp2i 4 жыл бұрын
@@user-bk6oi9wq6s 안 맞다는 줄 알았어요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4 жыл бұрын
서울 토박이인데 , 저 어릴때 부모님 저렇게 말투 쓰셨는데 저 초등학교들어서면서 사회생활 오래 하시다보니까 말투가 지금과 같은 말투로 바뀜. 그래서 큰집가면 이모부랑 큰형님이 우리 엄마랑 아빠보고 말투 왜 그러냐고 그랬던 기억이 남.
@bebest4954
@bebest4954 3 жыл бұрын
요즘 젊은 분들이 애리하구나 ㅎ
@scarletpark81
@scarletpark81 5 жыл бұрын
이거 이산가족찾기 방송 보면 생생하게 나오죠.. 그거는 대본이고 큐사인이고 없는 그야말로 생방이었기땜에 사람들이 흥분해서 막 뱉는 그당시의 팔도사투리를 다 들을 수 있습니다... 이북말투 포함해서
@No.95_Storm_Mr.garcia
@No.95_Storm_Mr.garcia 3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중요한 역사적 사료지요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3 жыл бұрын
전라도 새끼들이 서울 엄청 올라와서 서울말이 전라도 사투리화된 거임.
@scarletpark81
@scarletpark81 3 жыл бұрын
@@anfwoijwej1742 차별주의자는 좀 죽어주세요
@scarletpark81
@scarletpark81 3 жыл бұрын
@김민기 경남이다 차몊주의자들아
@KOREAN_TOP
@KOREAN_TOP 3 жыл бұрын
@@Sane--Dule 못배운건 쌍팔년도도 아니고 아직까지도 지역감정에 선동당해있는 미개한놈들이지
@eddieanalyst3436
@eddieanalyst3436 3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공부할 당시 교포2세인 친구들이 꽤 있었는데 걔네들 부모님들 만나서 얘기해보면 ㄹㅇ 저 말투 저 억양 그대로 나오심
@user-ug4fw2so4i
@user-ug4fw2so4i Жыл бұрын
저 현상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 것일까? 하는 부분에서는 의문이 듭니다.. 70년대 국민학교를 나온 입장에서.. 당시 국어책 읽기를 시키면서 강제로 발음을 교정시켰거든요.. 일종의 세뇌와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그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계속 배출되어서 대화가 이루어지다보니 자연스럽게 지금의 발믐으로 정착된게 아닐까 추측을 해봅니다..
@RRRabbit1004
@RRRabbit1004 4 жыл бұрын
정말 90년대 드라마 말투 난 그시절 연기스타일인 줄 알았네
@sksjsjdjdjdjdh
@sksjsjdjdjdjdh 4 жыл бұрын
그러네.. 난 90년대 드라마나 영화보면 연기를 ‘정극’처럼 일부러 부자연스럽고 연기스럽게 하는 게 그당시 유행이었나 싶었는데 그냥 그들은 평소처럼 자연스럽게 한거였음ㅌㅌㅌㅋ
@user-if8qz3sx4g
@user-if8qz3sx4g 3 жыл бұрын
ㅠㅠ 나는 원래 말투 이런데...... 이래서 애들이 나보구 으른말투라고 했군
@puckyoun
@puckyoun 4 жыл бұрын
옛날사람들 말투보면 뭔가 북한같다고하지만 그게 맞는거다 정식명칭은 경기도방언이라하고 황해도의 평양과 경기도의 한양 개성 인천 모두 그 방언을 썼는데 한국은 정보통신이 발전하면서 퇴색되어가고 북한은 폐쇠되어있으니 그대로 남겨진거다
@humblemumble410
@humblemumble410 4 жыл бұрын
TH W 똑똑하네
@user-yz7fz4df8c
@user-yz7fz4df8c 4 жыл бұрын
ㄹㅇ 인정합니다. 특히 서울 강북지역부터 북서쪽 , 인천 , 김포 , 고양,파주 라인 , - 경기북부 즉 의정부, 양주, 동두천,포천,연천, 좀 더 가서는 강원도 철원군까지 황해도 사투리랑 거의 비슷한 경기북부 방언을 쓰던 지역이엇죠 남양주 , 구리도 원래 의정부 , 동두천처럼 양주땅이었는데 지금은 모르겠네여
@user-yz7fz4df8c
@user-yz7fz4df8c 4 жыл бұрын
@국정원암살조 황해도가 평안도랑 경기북부 사이에 있으니 영향을 마니 받았겠지 않습니까~?
@campsite97
@campsite97 4 жыл бұрын
@@ny09522 표준어 교육과 사투리를 천대하는 문화가 합쳐져서 그럼. 타지역에 비해 동남방언의 변화가 적은 편이긴 하지만, 그건 타방언에 비해 동남방언이 워낙 달라서 그런거고. 낭림/태백/소백산맥 서쪽은 장단으로, 동쪽은 고저로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데, 그래서 전라도나 충청도, 강원도 서부 사람들, 이북 황해도나 평안도에서 월남한 사람들은 경기방언에 쉽게 적응하지만, 경상도나 강원도 동부에서 왔거나, 이북 함경도에서 월남한 분들은 여전히 사투리를 쓰는 경향이 큼. 현대 표준어에서 장단이 사라지는것도 아마 경상도 등지의 말에 장단이 없는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면서 장단이 없어져가는 추세인 거죠. 두 집단이 대량으로 섞이면, 언어는 더 쉬운쪽으로 바뀌는데, 가장 쉬운 방법은 기존에 있던 보이지않거나 복잡한 요소를 없애는 것이거든요. 고저랑 장단이 다 날아가버린 결과란거죠.
@user-oh4rv2sm1x
@user-oh4rv2sm1x 4 жыл бұрын
아무말대잔치
@user-zh5ls6th3n
@user-zh5ls6th3n 8 ай бұрын
근데 듣기에는 90년대 말투가 더좋네 뭔가 정감가고 부드럽네 각박한 시대변화 빠르게 전달해야 하는 시대상이 반영된건 아닌지
@hunmin1
@hunmin1 8 ай бұрын
저때 말투 너무 좋앙❤❤❤❤❤❤❤❤❤
@user-jl6xz1io2j
@user-jl6xz1io2j 4 жыл бұрын
지하철 타면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대화하실 때 딱 저런 사투리임 ㅋㅋㅋ
@user-jz1ki8ju1f
@user-jz1ki8ju1f 4 жыл бұрын
ㅇㅈㅋㅋㅋ
@user-te1bj8ty5s
@user-te1bj8ty5s 4 жыл бұрын
아 그러네 나이먹어서 그런말투된게 아니군
@bear2624
@bear2624 4 жыл бұрын
그 그게 그 그래가지고는...
@gulgae5969
@gulgae5969 4 жыл бұрын
근데 정말 정감가요 ㅋㅋ
@user-ih7ny6qx9x
@user-ih7ny6qx9x 4 жыл бұрын
그릏커등
@Potato1KG
@Potato1KG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입으면요~기분이 조크든요~
@ims__j__9415
@ims__j__9415 4 жыл бұрын
이르케 입으면~ 기붕이 조오크등여!
@Muhammad-yf5bt
@Muhammad-yf5bt 4 жыл бұрын
요즘말투: 이러케이브면여 기부니가 조커등여
@user-dc3hp1rl1u
@user-dc3hp1rl1u 4 жыл бұрын
요새말 그러거던요 든이 던으로바뀜 하든지 말든지 하던지 말던지 로바뀜 사투리 영향인것같음
@asahn2110
@asahn2110 4 жыл бұрын
Buried Alive 이렇게 입으면 기분이 조커든여 (충청도)
@user-kc6dj1nd9k
@user-kc6dj1nd9k 4 жыл бұрын
이렇기 입으면유~ 기분이 조크든요
@user-qw1dz7fh8v
@user-qw1dz7fh8v 3 жыл бұрын
표준어의 정의가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인데, 당시에도 표준어법은 그대로였다는점에 주목해야 할것 같네요. 아마도 표기법이 70~80년대에 정해진걸로 아는데, 실제 발음을 반영하지 않고, "개선"되길 원하는 목적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user-li1id6oj7e
@user-li1id6oj7e 3 жыл бұрын
서울말이 표준어가 아니죠 일부러 취사선택해서 만든겁니다 그래서 표준어 정의에 "교양있는"이 들어간거죠
@mgk4201
@mgk4201 2 жыл бұрын
교양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이죠
@partisan3155
@partisan3155 Жыл бұрын
북괴는 평양말투를 표준어로 칭하고 나머지는 모두 사투리라 함. 대한민국 표준어를 사투리라 부르는 것은 북괴임.
@masonjeong6948
@masonjeong6948 Жыл бұрын
나는 알고 있었지... 언젠가 예전 90년대 영상을 보는데 인터뷰 억양이 지금과 다르다? 맞아 저때는 저랬었어... 점점 변해 왔던거 맞습니다! 어렸을적 생각 돋네...ㅎ
@user-fn6jb2ft8f
@user-fn6jb2ft8f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순풍산부인과 같은거 옛날 방송이랑 90년대 영화보면 말투 이럼
@user-zr5el5pm9p
@user-zr5el5pm9p 4 жыл бұрын
K 미란이 진짜 개많이 봤는데 아주머니 ㅋㅋㅎㅋㅎㅌㅎㅎㅌㅎㅋ 아줌맞ㅎㅋㅎㅌㅎㅌㅎㅎㅌㅎㅌ
@user-sz9hx3ob9s
@user-sz9hx3ob9s 4 жыл бұрын
웬그막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3 жыл бұрын
전라도 새끼들이 서울 엄청 올라와서 서울말이 전라도 사투리화된 거임.
@user-zo8fh1rr7h
@user-zo8fh1rr7h 3 жыл бұрын
@@anfwoijwej1742 또 정치병자 왔네 좀 가려가면서 쳐해라 현생에 집중을 좀 해
@jangkyo
@jangkyo 3 жыл бұрын
@@anfwoijwej1742 베충이 왓냐?
@Abusylazy
@Abusylazy 4 жыл бұрын
양준일씨 말투인데 딱. 있그등여~? 그렇거등여~? 이런말투
@kimjinah5894
@kimjinah5894 4 жыл бұрын
앜ㅋㅋㅋ 인정이요ㅠ 주닐님 말투
@nubesrio400
@nubesrio400 4 жыл бұрын
그르케 말하면 기부니 조크등여~
@user-dh6so2cx7s
@user-dh6so2cx7s 4 жыл бұрын
경기도 방언이에요. 울 할머니가 개성태생이시거든요
@inevahdie
@inevahdie 4 жыл бұрын
그거 수원출신 애들이 많이 쓰는 말투거등여
@Komiopa
@Komiopa 4 жыл бұрын
겨란이그등여
@user-nb9hm3xy2v
@user-nb9hm3xy2v 5 ай бұрын
이어령 교수님의 ‘언어’ 라는 주제로 글을 쓰신 논문을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말은 변합니다. 사람들의 사상에 따라 말도 변해가죠
@lkj526
@lkj526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토박이와 토박이가 장시간 만나서 생활할일은 거의 없다. 서울도 지방색이 다 모여있고 오프라인 생할보다 온라인으로 접하는 시간이 많은 현대시대에 서울본토의 말이 변해갈수 밖에는 없을것이다.
@aa-sg2hh
@aa-sg2hh 5 жыл бұрын
송혜교 말투같다
@moonlightshadow36
@moonlightshadow36 4 жыл бұрын
aa 손예진 말투도 이렇지 않나요
@Namedjames22
@Namedjames22 4 жыл бұрын
1:29
@user-zr9kr9jn8f
@user-zr9kr9jn8f 4 жыл бұрын
90년대 말투가 ~했구-요 90년대 한석규 영화말투느낌
@user-yu1ds8jt1s
@user-yu1ds8jt1s 4 жыл бұрын
noname 손언진씨 경상도지방 출신아니에요?
@user-vx7rt1hc7o
@user-vx7rt1hc7o 4 жыл бұрын
0:14 ㄹㅇ송혜교,,..
@user-kl3tc9ql7i
@user-kl3tc9ql7i 4 жыл бұрын
북한말같다 살짝 섞인듯 근데 처음 인터뷰 그게 긴장해서 나온 말투라기엔 모든 사람이 똑같잖아 저 말투로 인터뷰 하던뎈ㅎㅎㅋㅎㅋ
@seollunglee235
@seollunglee235 4 жыл бұрын
고구려 백제 영역은 확실히 말투가 비슷함.. 평양도 뭐 했니? 먹었니.? 걸랑.. 서울에서도 했니? 먹었니? 그럼.. 국어학자들은 했니..는 서울 사투리다고 함.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전라도는 뭐 했는디.. 이런말 쓰는데.. 경상도는 완전히 했노.. 했는교.. 했구로.. 어미가 독특하게 많이 다르고.. 일본에서 오히려 .. 아노... ..구로 경상도 말이랑 비슷한... 음성이 보임.. 경상도 억양이랑 일본 억양이 매우 비슷함. 이건 국어학자의 의견..
@phdogy
@phdogy 4 жыл бұрын
6.25로피난온이들이 (평안도.함경도 등) 종로통에자리잡아서 북한어투(말끝높이는거)가 섞인말투가 된게 90년대초까지의 서울말임 90년대중후반 도시발전과 imf로 지방민등 상경해 지방어투가섞인게 지금서울말임
@user-nk1py3jo8k
@user-nk1py3jo8k 4 жыл бұрын
서울 사투리가 북한 황해도 말이랑 비슷함. 아마 지금 북한 황해도 사람 말 들어보면 비슷한 억양으로 말함
@maria-mx7er
@maria-mx7er 3 жыл бұрын
소꿉놀이만 하면 부산 전라도 사는 아이들도 서울말씨로 바뀐답니다 ㅎㅎㅎ 책읽는듯이 말하는게 전형적인 발표말씨에용
@user-vc5ye2pp7g
@user-vc5ye2pp7g 3 жыл бұрын
흔히 북한에서는 저 말투를 개성말이라고 함 즉 황해도 말인데, 사실 그게 북한말이 아니고 그냥 한국 수도권말이엇음....즉 당시로 따지면 표준어고...그래서 과거 서울말이 지금 평양말, 황해도말하고 유사한거...같은 핏줄이니깐
@koreanational
@koreanational Жыл бұрын
I came to US in 1986. My Korean has stopped RIGHT THERE in the 80's (And I lost a lot of Korean vocabulary), and I still speak it that way. The way our language is spoken now by the younger generation from Korea sounds kind of strange to me... Almost like a new dialect. I totally feel this video lol...
@AmoebaCulture
@AmoebaCulture Жыл бұрын
Cool man
@metamoph4810
@metamoph4810 Жыл бұрын
@@AmoebaCulture Yo, you can say that again!!!
@nordic108
@nordic108 Жыл бұрын
문맥 딱봐도 한국사람이 하는 영어임 왜 그럴까
@koreanational
@koreanational Жыл бұрын
@@nordic108 lol
@heidilam1978
@heidilam1978 Жыл бұрын
@@nordic108 이글은 문맥 딱봐도 일베충이 하는 한국말임... 왜 그럴까
@louis90009
@louis90009 7 ай бұрын
당시에 방송당시에 방송언어(?) 톤이 따로 있었음. 그리고, 지방에서 오신 분들의 서울말 따라하는 억양이 특이했음. 그리고, 말끝에 '~요'를 많이 사용했었음.
@adihang6271
@adihang6271 4 жыл бұрын
노인분들 말투가 서울사투리였구나ㅋㅋㅋ1
@sjkim2151
@sjkim2151 4 жыл бұрын
노인분들 말투가 서울사투리가 아니라 각자 출신 지역의 사투리를 쓰시는 거겠죠. . 서울토박이 어르신은 서울말을..경기남부권이나 북부권 어르신은 경기사투리를..요즘은 지역상관 없이 교류도 많고 이동도 많으니 젊은 사람들은 특정 말투가 고착되지 않지만요. 어르신들은 서울말과 경기사투리 차이가 크더라구요.
@user-yz7fz4df8c
@user-yz7fz4df8c 4 жыл бұрын
@@sjkim2151 지금에야 많이 섞였지만. 경기북부권은... 경기북부 사투리중의의 하위 방언중 하나가 서울 강북말씨인데여 ?ㅋㅋㅋㅋ
@user-zo6fn4xr6y
@user-zo6fn4xr6y 4 жыл бұрын
지금 애들말투가 시간지나서보면 왜저러나싶을꺼다ㅋㅋㅋ
@user-rm5wr8gm7k
@user-rm5wr8gm7k 4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여어?
@phss9829
@phss9829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ㄹㅋㅋㄹㅇ
@user-bt3ei9in3l
@user-bt3ei9in3l 4 жыл бұрын
현재 서울말을 대본읽으라고 하면 그대로 읽는거라 구분이 애매한듯... 진짜 평상시 쓰는 말을 녹음해야 맞다고 생각함
@user-io4sz9lr5s
@user-io4sz9lr5s 4 жыл бұрын
대본읽어도 자기가 쓰던말 나오지
@CuteBits95
@CuteBits95 4 жыл бұрын
저 시대 이민간 미국 교포들 저런말투인데 ..사투리 맞아요
@user-sy6nm3pm7f
@user-sy6nm3pm7f 4 жыл бұрын
요즘말을요? 절반이 욕일텐데??
@TaeHoonLee100
@TaeHoonLee100 4 жыл бұрын
긴장같은소리하네
@user-ei4ey4to8x
@user-ei4ey4to8x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치면 요즘 뉴스 시민들 말투도 이상해야한거아님?
@user-bt7vr9zq7v
@user-bt7vr9zq7v 8 ай бұрын
두번째 남자분말투!!!! 제가 지방살다 2000대초반 올라갔을때 인천경기권에서 60대이상분들에게 들리던말투ㅋㅋㅋㅋ제가 이거 엄청 특이하게 들려서 막 성대모사했었는데 2000대초반엔 제가 말투특이하다고 엄청설명하면 다들이해못했음ㅋㅋㅋㅋ전 버스를 타도 나이드신 남자분들이 거의다 저렇게 말해서 너무 특이했거든요ㅋㅋㅋ
@user-ds4ke9ne7w
@user-ds4ke9ne7w Ай бұрын
리듬타 끝을 살짝 늘어뜨리면서 정확하고 부드럽고 상대를 배려
@faciofootball9374
@faciofootball9374 5 жыл бұрын
~데여~구여
@DHKIM-oe9rm
@DHKIM-oe9rm 5 жыл бұрын
거기에 억양을 서태지처럼 해주면 완벽 ㅎ
@hellouky
@hellouky 5 жыл бұрын
제가 서울말을 참 잘하거든요 ㅋㅋㅋㅋ
@never14679d
@never14679d 5 жыл бұрын
+했그등여?
@nekoto96
@nekoto96 5 жыл бұрын
저도ㅋㅋㅋㅋ 저번에 부산분하고 같이 며칠 일하면서 '부산사투리 듣다보니 신기하네... '하니까 저한테 ~~구,~~데 하는거 서울사투리라곸ㅋㅋㅋㅋㅋㅋㅋ
@r2sf123
@r2sf123 5 жыл бұрын
근데 표준어란 말 자체가 우리나라에만 있나?? 영어 불어 키타 언어 사투리 즉 지역 말투 애긴 많이 들어 봤는데 표준어? 영어 불어 기타 언어도 각나라 표준어가 있남??? 그냥 사전에 나온 단어문장 사용하면 그게 표준아니더냐??? 외국 사는 분들 의견좀 ㅋㅋㅋ
@user-hp1es9my2q
@user-hp1es9my2q 5 жыл бұрын
김민희가 아직까지 서울 사투리하던데
@1ixxxe
@1ixxxe 5 жыл бұрын
ㅎ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q6ex8up7e
@user-wq6ex8up7e 5 жыл бұрын
관찰력 대단
@user-hp1es9my2q
@user-hp1es9my2q 5 жыл бұрын
? 왜웃지..
@ymlove87
@ymlove87 5 жыл бұрын
은지원도 하고ㅋㅋㅋㅋ은근 이수근도 서울사투리함..
@user-pb6xk7xo5q
@user-pb6xk7xo5q 5 жыл бұрын
라미란도
@kyumsangishard
@kyumsangishard 6 ай бұрын
ㅋ 내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세대 이전부터도 마포에 쭉 사셨고 할머니는 경기도 오산이 고향이시고 엄마도 경기도 시흥이 고향이고 어렸을 적 부터 쭉 마포에서 살았었는데 나는 자라면서 저런 말투를 들은 기억이 없는데 신기하군.. 저런 억양은 기억을 더듬어 보면 어렸을때 봤던 만화나 드라마 영화에서 들을 수 있고 제일 흔하게 들을 수 있는곳이 9시 뉴스의 초등학생 같은 아이들 인터뷰 억양과 흡사하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런 말투는 인터뷰를 들었던 많은 사람들이 인터뷰는 이런 억양을 해야 한다는 일종의 표준으로 인식한게 아닌가 싶은데, 일상 생활 대화에서는 학교에서도 어디에서도 저런 어투를 한번도 들어본적이 없다.. 서울에서 안 살았던 사람들이 본인 지역 어투와 다르니 서울 사투리로 규정한 거 아닐까 싶은데 들어보면 마치 80~90년대 초등학생이 물음에 답하는 듯한 억양같지 않나?
@rome_w3534
@rome_w3534 2 жыл бұрын
우리 친가는 할아버지 윗대부터 서울토박이(영등포)인데, 명절에 아버지 형제들 다 모이실 때, 말투와 톤이 유튜브에서 듣던 그 서울사투리로 서로 격앙되심ㅋㅋ 그 억양이 촌스럽다 해야하나? 신기함ㅋ 우리 이북출신의 서울생활 6N년차 우리 할머니는 항상 “~니?” 하시고ㅎㅎ
@backintheday0
@backintheday0 5 жыл бұрын
이거등여 저거등여 이런거 서울 사투리임ㅋㅋㅋㅋ 허지만 이런것도 그렇고 ㅋㅋ 서울 태어나서 계속 사신 60대 어른들 특히 이거거등 많이 쓰심.
@rohrichbeau1004
@rohrichbeau1004 5 жыл бұрын
웃기네. 여기서 서울말투 드립치는 애들 백퍼 다 지방놈들이지. 이거거든? 이게 60대 사람들이 쓰는 말투라고?ㅋㅋㅋ
@user-lv4dt2fx5q
@user-lv4dt2fx5q 5 жыл бұрын
우리 할머니 충청도 토박이인데 저 말 다 쓰시고 동네 할머나도 쓰시는데 ㅋㅋㅋ 서울에만 국한되있는건줄 아나 ㅋㅋㅋ한국 땅 크지 않다 ㅋㅋ지역간 엄청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
@user-mn8ir1oz9o
@user-mn8ir1oz9o 5 жыл бұрын
@@rohrichbeau1004 받침에 ㅇ 붙이는거 서울방언 맞음 거든은 당연히 원래 있는 말이고
@SignaturalHY
@SignaturalHY 4 жыл бұрын
우리 할이버지 서울 토박인인데 다른데? 서울 사는 사람으로서 지방 애들이 왤케 사투리랑 서울말에 신경쓰는지 모르겠음 그냥 사투리 써 알아들을 수만 있으면 됐지
@user-rw3vj6np5k
@user-rw3vj6np5k 4 жыл бұрын
아 근데 왜 우리엄마는 저 말투 들려드리면 모르겠다그러시는거지....ㄹㅇ서울토박이인데....근데 외할머니 말투랑은 좀 비슷함
@shrimp6
@shrimp6 5 жыл бұрын
이순재 할아버지가 요즘 배우들은 장단음 구별없이 발음한다고 뭐라 했던게 기억나네...
@user-hv5wd2ju7y
@user-hv5wd2ju7y 5 жыл бұрын
그건 순재가 생각이 낡아서 그래. 언어는 변화하는거고, 배우는 그 시대의 언어를 사용해야하는데.. 현대극 찍을때 20년전 서울 말투 쓰는게 이상하지. 현대말이 장단음 구별이 사라지는거면 배우 말투도 당연히 평상시 쓰던 말투 따라가야지.
@shyoon1
@shyoon1 5 жыл бұрын
모래 장음 단음 교과서에서도 나오는데 구별하는게 좋지 저거 봐라. 국어 교과서나 읽었냐.
@user-yv5oz9nu2f
@user-yv5oz9nu2f 5 жыл бұрын
스테보 요즘 왠만한 선생님들도 구별 못해요
@birdbird8194
@birdbird8194 5 жыл бұрын
@@shyoon1 언어는 사용이 편한대로 진화하고 변화한다.
@user-kk8vl2wl8f
@user-kk8vl2wl8f 5 жыл бұрын
장단음 모르는새끼들도 많을거다
@HK-pz9sf
@HK-pz9sf 5 ай бұрын
어머 딱 맞아요.. 70대 후반인 울 부모님 세대가 딱 '헌다든지, 즈이가 그러길, 이런 제길, 등등' 또 이런 류가 몇가지 더 있는데,, 지금은 생각이 안나네요. ㅎ그땐 그냥 나이든 어른들이 쓰는 말투라 여겼는데,, 이게 서울 사투리라니,ㅎ 울 집안 대대로 서울 토박이. 울 부모님 쓰던 말투와 저의 말투도 좀 차이가 나네요. 그리고 70년대 이후 다들 지방 사는 사람들이 현재까지 서울로 대거 유입되면서 서울말의 톤과 억양에도 변화가 온거 아닐까요..?
@batnibottle
@batnibottle 9 ай бұрын
이건 좀 유익하네요 🎉🎉🎉🎉🎉🎉
@user-yl5oo1hx7w
@user-yl5oo1hx7w 4 жыл бұрын
헐 우리 할머니 완전 서울 토박이신데 옛날 서울말이랑 똑같네...
@halmalham
@halmalham 5 жыл бұрын
2:27 얼만큼 x 얼마큼 o 얼마만큼 o 교수님이 얼마만큼이라고 말한 데는 이유가 있었답니다 ㅎ
@user-pj8tz2xj5g
@user-pj8tz2xj5g 4 жыл бұрын
헐 얼마큼이 맞는건줄은 첨알았어요 감사합니다 ㄷㄷ
@choiblues1052
@choiblues1052 4 жыл бұрын
맞다 자막이 틀렸다. 얼마만큼이 맞는 표현이다 짝짝짝
@changik
@changik 2 жыл бұрын
현직 국문학과 교수입니다. 잘 캐치해 내셨내요.
@ywzoo
@ywzoo 2 жыл бұрын
저 때 태어나지도 않았는데 난 왜 저 말투가 좋을까..
@Kidult_berry
@Kidult_berry 2 жыл бұрын
이런영상 진짜 조크든여~
@crystal19961115
@crystal19961115 4 жыл бұрын
이거 너무 소름 돋았던게 우리집 외가, 친가 다 증조할머니, 할아버지 때부터 서울토박이임 서울토박이들끼리 계속 결혼한 케이스, 진짜 레알 지금도 대부분 가족, 친척들 서울 거주중인 토박인데 가족들 대부분 나도 그렇고 영상 속 말투씀ㅋㅋㅋㅋ 개신기
@user-ll6os7ks7f
@user-ll6os7ks7f 4 жыл бұрын
저희도 안쓰는데...들어보긴 했어요. 저 서울 사투리도 일부만 쓰는 말인가 봐요. 전 제가 들어본 서울사투리중 아기를 애기라고 한다는 말 하나는 인정.이건 저도 전엔 애기라고 말했기에..지금은 아기라고 고쳤지만. ㅋㅋ
@doo1210
@doo1210 4 жыл бұрын
안쓰는분들은 토박이가 아닐수도
@yoanamoon5376
@yoanamoon5376 4 жыл бұрын
@doo Doo 증조부 때부터 찐 서울분들 맞으세용 ㅠㅠ 왜 뜬금 저희 어르신들 고향을 바꾸셔요 ㅠㅋㅋㅋㅋ
@user-oi1kk2ik7s
@user-oi1kk2ik7s 4 жыл бұрын
보통 토박이는 고조부 이상부터를 토박이라고 합니다. 서울토박이는 0.2프로 남짓
@yoanamoon5376
@yoanamoon5376 4 жыл бұрын
박쿠다스 아 제가 말을 증조까지라고만 했네요 고조까지는 아니었다 라는 표현은 아니었어요 ㅋㅋ 고조는 제가 확실히는 몰라서요 ㅠ 다만 집안어른들 하시는말보면 할머니 할아버지쪽의 웃어르신들까지 모두 쭈우우욱 서울분들 맞습니다 ㅜ
@junhokim213
@junhokim213 4 жыл бұрын
북한의 남부지방과 수백,수천년 교류하던곳이니 당연히 개성이나 황해도 말이 섞여있다고 생각됩니다
@barbie1090
@barbie1090 2 жыл бұрын
이말투 중독돼서 계속 따라하니까 엄마한테 겁나 혼남;;;ㅠㅠㅠㅠㅠㅜㅜㅜㅜㅜㅜㅜ흑흑흐그 오늘 엄마한테에~ 혼났거든ㄴ용~
@user-vw1ym7mm7m
@user-vw1ym7mm7m 3 жыл бұрын
지금의 60살 이상 서울분 말투야 ㅋㅋ 딱 우리 고모부
@user-uz7oe6dh5s
@user-uz7oe6dh5s 3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90년대 연예인들 예를 들어 순풍산부인과 나오던 송혜교나 김소연만 하더라두 같은사람인데 그때랑 지금이랑 왜 말투가 다르지...????온 서울사람이 단체로 바뀐게 신기하다
@nodeki8018
@nodeki8018 3 жыл бұрын
그사람들이 타임머신타고 뿅 하고 바로 현재로 왔으면 그 말투 그대로였겠지만,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점차 현재의 말투로 변화되어 온거겠지
@____q
@____q 2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쓰던 말투는 변하지 않죠 어릴 때 사투리 쓰던 사람이 성인돼서 서울 오래 살아도 사투리는 묻어 나오더라고요 본인들은 모르지만 들어보면 사투리 억양이 남아있구나라고 느껴져요 외국인들도 똑같죠 이다도시나 로버트할리도 아무리 한국에 오래 살아도 바꾸지 못하듯이
@____q
@____q 2 жыл бұрын
순풍산부인과나 웬그막보면 지금 말투랑 다르 건 분명있는데 또 그렇게 이질적이지도 않아요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바뀔 수 있는 부분인 거 같아요
@____q
@____q 2 жыл бұрын
나이 많은 사람들은 서울 토박이 말 남아있는 사람들 꽤 있어요
@jameso4053
@jameso4053 2 жыл бұрын
살아가면서 시대를 타고 조금씩 변해요.
@turinoik9477
@turinoik9477 4 жыл бұрын
신구 선생님 딱 서울말투
@user-zr4wf6fq1u
@user-zr4wf6fq1u 4 жыл бұрын
킬구?
@user-us9pj5vo4x
@user-us9pj5vo4x 4 жыл бұрын
ㅎㅎ
@user-vl2sy1mw9q
@user-vl2sy1mw9q 4 жыл бұрын
그러네 ㅋㅋㅋㅋㅋ
@user-wl9gp8ve5o
@user-wl9gp8ve5o 4 жыл бұрын
니들이 게맛을 알아~~
@Lily_of_the_valley93
@Lily_of_the_valley93 4 жыл бұрын
따암나아서어두우르으지이마아 알어~?
@Lalaland00
@Lalaland00 Жыл бұрын
인터뷰라 긴장해서 저런 말투라는거에 동의할 수 없는게 저 당시 인터뷰모음보면 요즘 인터뷰모음하고 비교했을 때 오히려 어휘력도 훨씬 풍부하고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명확히 조리있게 발언하는 사람들이 더 많음 요즘이 오히려 말끝 흐리고 웅얼대는 사람이 간혹 있고 과거 인터뷰영상 사람들이 더 똑부러짐 과거엔 인터뷰가 긴장되는 사람들은 아예 도망가고 거절해서 인터뷰를 아예 안하거나 또는 너무 떨며 인터뷰했으면 편집돼버렸겠지 인터뷰영상에 나오는 사람들은 자신있는 사람만 했을거고 화면상에도 별 긴장 안돼보임 연예인들 과거 예능 영상봐도 저 말투임
@user-nv4hp7eg5i
@user-nv4hp7eg5i 9 ай бұрын
외할머니 말씀하실때 항상 이렇게 말씀하셨는데 이게 서울사투리 쓰시는거였군요😮
@byeotkim2876
@byeotkim2876 4 жыл бұрын
근데 이 당시 배우들 인터뷰봐도 다 처음 예시 같은 말투던데ㅋㅋㅋ 긴장해서 그런 건 아닌듯
@artk6912
@artk6912 4 жыл бұрын
아닌거 맞아요 제가 어릴때 사용하던 늘 듣던 말이에요
@YC-bk1sn
@YC-bk1sn 4 жыл бұрын
ㅋㅋ 저 논리면 요즘사람들은 이터뷰때 긴장 1도 안한단 소리????
@user-ob1yn4zl3t
@user-ob1yn4zl3t 4 жыл бұрын
@@YC-bk1sn 뭔소리에요 긴장 때문에 말투가 바뀌는건 아니라는 말인데 요즘 사람이 긴장 안한다는 논리는 무슨 논리인가요
@user-vz2dr8zc4m
@user-vz2dr8zc4m 4 жыл бұрын
@@user-ob1yn4zl3t 저분이 말하는 '저논리'라는게 영상에서 나오는 긴장때문에 평소말투안나온다는걸 얘기한거예요
@silver0070
@silver0070 4 жыл бұрын
뭐야 서울사투리 나문희 여사님이자나! 아기공룡둘리 더빙도 이런말투예요! 옛날 만화들이요
@user-ig3dr3om3i
@user-ig3dr3om3i 4 жыл бұрын
오 마자요!!!
@iamamber
@iamamber 4 жыл бұрын
무늬는 포도가 먹구찌쁜뎅
@user-sv4xk4vb4n
@user-sv4xk4vb4n 3 жыл бұрын
우리 회사 차장님 부장님 말투네 ㅋㅋㅋ 동네 나이드신 분들도 저런 말투…. 나도 경기도 토박이라 저런 말투 가끔씩 나오는듯 ㅋㅋㅋㅋ
@vvv-no7pw
@vvv-no7pw 8 ай бұрын
배우 전도연도 서울사투리를 되게 분위기 있게 잘쓰심😊😊😊
@snart1014
@snart1014 3 жыл бұрын
장모님이 80세이신데, 서울에서 태어나셔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방송국 성우를 하시고 싶으셨다는데. 장모님 말이 진짜 서울 사투리. 60년대 한국영화 더빙 성우들 말과 똑같음.
@yoon_9819
@yoon_9819 3 жыл бұрын
이런 말 하면 뭐하지만 좋은 집안에서 태어나셨나보네요. 그 시절에 여자가 대학교를 나오셨으면..ㄷㄷ
@-__---___---___----
@-__---___---___---- 3 жыл бұрын
@user-hd9xn2lm2s
@user-hd9xn2lm2s 3 жыл бұрын
@@yoon_9819 그냥 대학교도 아니고 고려대... 완전 엘리트 집안이신듯
@user-sf8kf5js1g
@user-sf8kf5js1g 3 жыл бұрын
우리 할머니는 서울대 물리학과 전액장학금받고 다니셨는데 근데 안맞는다고 때려치고 행정고시합격하심 ㅋㅋ
@user-rt9ix8vv1i
@user-rt9ix8vv1i 3 жыл бұрын
@@user-sf8kf5js1g 그렇다보니 손주가 무려 요리왕 ㄷㄷ
@totolee7205
@totolee7205 4 жыл бұрын
흑백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영화를 보ㅅ면, 그 당시때의 서울말을 알 수 있답니당~!! "어머네, 오키는 긔란이 좋거덩여~" "사랑방이 빈방인데, 괜찮으시겠쎄여?"
@user-qu7ld1re5o
@user-qu7ld1re5o 4 жыл бұрын
캐슬 ㅋㅋ
@junkim2224
@junkim2224 4 жыл бұрын
곈찬으솄쎄여?? 박명수냐? ㅋㅋㅋ
@das8356
@das8356 4 жыл бұрын
ㅋ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nerva908
@Minerva908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셨쎄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z4no7gx3q
@user-wz4no7gx3q 2 жыл бұрын
우아하고 친절하면서도 고상한게 포인트 ㅋㅋㅋ
@user-by3md5vu4h
@user-by3md5vu4h Жыл бұрын
예전 서울 말씨와 지금 서울 말씨는 확실히 차이가 남 난 부산 사람인데 20~30년 전에 서울 출장가서 듣던 서울 말투와 지금 말투는 다른단걸 확연히 느낍니다
@user-nx8vi6su6f
@user-nx8vi6su6f 5 жыл бұрын
말투는 계속변하는 거다 영상에 1920년대생분 말투 들으면 딱 옛날 흑백영화 말투고 90년대는 그냥 그때 말투임 그냥 시대 문화적 성격이 변하고 말투도 변하는것 조선시대 말투는 또 다름
@gwajadanji
@gwajadanji 5 жыл бұрын
말투가 어떻게 변해도 한국어는 왜 이렇게 듣기 싫을까요. 예쁘게 잘 사용하는 아나운서들은 듣기 좋던데....결국 사용하는 사람들이 문제인건데....그냥 한국 국민들이 싫은건가.
@jamesdakrn
@jamesdakrn 5 жыл бұрын
아니요 님이 표준어 주입식 교육을 받아서 표준어 = 무조건 좋고 나머지 = 무조건 나쁜거라는 편입견이 있어서 그런겁니다. 언어는 결국 정치적/사회적 권력을 가진 방언일뿐. 625 이후 우리나라 수도가 부산이었으면 경상도 사투리가 표준어임
@JJ-me3mv
@JJ-me3mv 5 жыл бұрын
황공하오이다!망극하오이다!!
@Iamtheboss0777
@Iamtheboss0777 5 жыл бұрын
@@gwajadanji 징징대서 그럼 ㅋㅋㅋㅋ
@user-jl3tr3km9r
@user-jl3tr3km9r 5 жыл бұрын
@@gwajadanji 그럼 숨쉬지마 공기 아까움...
@user-mt3ub1qy4x
@user-mt3ub1qy4x 5 жыл бұрын
이영애도 약간 쓰는거같음 확실히 어르신들 말씀하시는거 보면 어른을 으른이라하고 거짓말도 그짓말이라함
@user-nv8ju7sb4q
@user-nv8ju7sb4q 5 жыл бұрын
엥 요즘도 글케 말하지않나
@user-um4kk7xj4s
@user-um4kk7xj4s 5 жыл бұрын
그짓말 그지같다 지금도 많이 쓰지 않나요? (경기도민)
@user-kq8gf4op5t
@user-kq8gf4op5t 4 жыл бұрын
그~짓말 하지 말어~
@user-yd1hl1lv2j
@user-yd1hl1lv2j 4 жыл бұрын
요리인들 영상 보면 다들 씀 백종원 포함해서 이연복(화교) 4~50대 셰프 대부분 썰어서를 쓸어서 쓸고 라고 발음함
@TG-sn1zh
@TG-sn1zh 4 жыл бұрын
충청도도 그르지않어~?
@drkess9427
@drkess9427 Жыл бұрын
어르신들 말투가 딱 영상에서 말투랑 비슷함 사투리 까지는 아니고 그냥 시대상의 말투 같아요 😆😆
@daniellab1928
@daniellab1928 Жыл бұрын
당시 서울 말도 평범한 서민들이 쓰는 말과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쓰는 억양이 달랐어요. 요즘도 가끔식 그런 억양으로 말 하는 사람들은 부유하면서 서울에서 조상 대대로 산 토박이들이예요.
@user-pz2vi3vd4k
@user-pz2vi3vd4k 3 жыл бұрын
뭔가 저 시대 말투가 오히려 순수해보이는건 뭘까
@user-nz9zf6wp5u
@user-nz9zf6wp5u 3 жыл бұрын
말투도 말투인데 저때는 단어선택자체가 부드러웠음. 뭐 당장 대단하다->쩐다/오졌다/지린다/미쳤다/찢었다 등등 물론 요즘말이 다채롭고 재미있지만 저때의 언어들은 좀더 유하고 교양있어보이는듯ㅎㅎ
@user-gw4pb4jz6t
@user-gw4pb4jz6t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남부쪽 단어들이나 뉘앙스가 직설적이고 적나라한 표현이 많아서 그런듯
@TheEpiton
@TheEpiton 3 жыл бұрын
지하철 타보면 들림..조근조근한데 우리가 아는 지금 말하고는 다르게 말씀하시는 분들 계심. 그게 서울 사투리구나..
@anfwoijwej1742
@anfwoijwej1742 3 жыл бұрын
전라도 새끼들이 서울 엄청 올라와서 서울말이 전라도 사투리화된 거임.
@user-ev7qw2dw9s
@user-ev7qw2dw9s 3 жыл бұрын
@@anfwoijwej1742 전라도 새끼들이라고 하시는데 왜 새끼라는 표현을 붙이시는건가요? 글쓴이는 모르겠지만 지역차별하는 것 같아서 기분 나빠요!
@user-eo4st9xu4l
@user-eo4st9xu4l 3 жыл бұрын
@@user-ev7qw2dw9s 팩트 : 전라도 사람과 경상도 얘기를 하면 쌍도새끼 흉노족이라고 부름
@user-eo4st9xu4l
@user-eo4st9xu4l 3 жыл бұрын
@@AAA01235 그건 니 생각이고
@user-eo4st9xu4l
@user-eo4st9xu4l 3 жыл бұрын
@@AAA01235 자기들이 욕먹을 짓 골라하면서 지금까지 차별받았으니 그래도 된다는 식으로 뻔뻔하게 행동하는데 감정이 안 생길 수가 있나 그러면서 자기들 싫어하면 다 일베충이고 관종이다? 무슨 개논리야 그게
@user-lp3mc6fd4r
@user-lp3mc6fd4r 7 ай бұрын
인터뷰 했던 사람이 진짜 서울토박이인가 라는 질문이 유의미한거 같아요 저는 해외 어학연수 시절 서울 동생에게 서울말 배웠는데 나중에 보니 전라도 태생 부모님을 둔 칭구였고 제 올케는 경상도 태생 부모님을 둬서 두 사람의 서울말이 많이 다르더라고요 최근 20년은 충청에 살아서 충청형 서울말?쓰고 있어요 제딴엔 서울말한다 하지만 전라도 베이스에 충청 경상 억양 다 들어간 오묘한 ㅎㅎ 서울말,,, 합니다😂
@ssmgag
@ssmgag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서울 토박이인데 어려서 썼던 말이라 기억이 납니다 70 80년대를 살아봐서 ㅎㅎㅎ 확실히 기억나는건 어려서는 어감이 부드러웠는데 현재 는 어감이 확실히 쌔지고 단음이 많아짐
@user-fz9vq2wq3s
@user-fz9vq2wq3s 4 жыл бұрын
김수현작가 드라마 말투가 다 저렇잖아 ㅋㅋㅋㅋㅋ 진짜 90년대 드라마랑 요즘 드라마랑 다 말투 똑같음 ㅋㅋㅋㅋㅋ
@mts1818
@mts1818 4 жыл бұрын
즌화받어~
@user-rr4vy1xr6x
@user-rr4vy1xr6x 4 жыл бұрын
제가볼땐 지방 사람들이 서울말 익혀서 사용하는거 같은데욥?
@milkteak2241
@milkteak2241 4 жыл бұрын
@@user-rr4vy1xr6x 맞아요. 김수현 작가가 발음 하나하나 교정해준댔어요. 서울말씨라고
@user-pi5dr1bh2d
@user-pi5dr1bh2d 4 жыл бұрын
중요한 건 김수현 작가님 청주 출신~ㅋㅋ
@user-nz2rw4yo1p
@user-nz2rw4yo1p 4 жыл бұрын
ㄴ 김수현드라마 억양 완전 개이상함
@ofmebest5785
@ofmebest5785 4 жыл бұрын
에쵸티 형들 그 당시 인터뷰 모습 보면 왜 그러는가 했더니 그땐 대부분 그랬구나....
@user-td7ip5kf6i
@user-td7ip5kf6i Жыл бұрын
지방출신인데 어릴때 명절때 서울와서 제사 지내곤 했었다. 80년대쯤 할아버지댁이 서울 영등포~목동서 사셨었는데 앞집 뒷집 옆집 어르신들이랑 두루 다 알고 계셨었는데 그분들은 서울 토박이들이라 기억난다. 그때 그분들 말투는 지금 내가 서울산지 30년이 다되었음에도 지금의 서울말투랑 전혀 다르다는것을... 80이상 어르신들이랑 얘기해보면 그때 말투가 아직 남아있음.
@SynergyScroll
@SynergyScroll 4 жыл бұрын
서울말이 예전과 달라진건 알겠지만 글로 써진거 읽게하면 더 글자 그대로 읽을수밖에 없는거 같은데요..
@xilencist
@xilencist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그래서 원래 언어학적으로 발음양상 조사할때는 절대 글씨그대로 읽게 안하고 대화속에서 대답을 유도해냅니다. 예를들어서 ㅂ 받침뒤에 ㅎ를 어떻게 발음하는지 조사하고 싶다면 "선생님 반찬이랑 뭐랑 같이 먹어요?" 하고 물어봐서 "밥하고 먹지!" 하고 대답이 나오게 유도합니다. 이때 대답을 녹음했다가 그 사람이 [바바고] 에 가깝게 발음했는지 [바파고]에 가깝게 발음했는지 분류합니다
@ghjjk9563
@ghjjk9563 4 жыл бұрын
패션은 돌고 돈다는게 진짜 맞는거같네ㅋㅋ 저 때 머리가 지금에 와서 다시 많이들 하고다니는거같음
@YesYes-om5se
@YesYes-om5se 8 ай бұрын
그냥 시대가 변함에 따라 표준어를 서울말로 정해놓은만큼 그냥 또박또박 읽게 바뀐거라고만 생각이 드는데 표준어도 점점 바뀌어가듯이 몇 일도 며칠로 바뀌었고 설겆이도 설거지로 바뀐 것처럼 그냥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뀐 느낌
@Benedicta-park
@Benedicta-park Жыл бұрын
90년대초 경기 북부에서 태어나서 쭉 계속 살았어요 어릴적 듣던 어른들 말씨가 그대로 들려요^^
@user-vg4sp2qp6c
@user-vg4sp2qp6c 5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너무 재밌어요!
@None_Nowhere
@None_Nowhere 4 жыл бұрын
할머니가 쓰던 말투가 옛날 방식이었군... 어쩐지 오래 같이 살아서 나도 쓰게 되더랔ㅋㅋㅋㅋ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3 жыл бұрын
저도 저희할머니가 사투리 쓰시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진짜 서울말, 서울사투리더라고요ㅋㅋ
@DHKIM-nz5rc
@DHKIM-nz5rc 8 ай бұрын
90년대 고등학교 다닐때 서울 토박이였던 국어 선생님이 그때 당시 쓰던 서울말도 서울 토박이들이 쓰던 말과는 억양에서 차이가 있다고 했는데 영상에서 예를 든 저희를 즈희라고 하는거 처럼 영등포를 그런식으로 발음했다고 했음. (글로 표현이 안되는 발음)
@peace7663
@peace7663 8 ай бұрын
수다떨때 내 억양이 길게 빼거나 높낮이가 있어서 왜그럴까 했는데 서울 사투리 였군. 내 발음은 요즘이랑 같은데 억양이 서울 사투리랑 똑같아 놀람. 영상 덕에 날 이해하게 됐음. 감사함.
@kja1299
@kja1299 4 жыл бұрын
라온마에서 고아성이 이 말투를 완벽하게 따라한 게 더 신기...
@Mr_HaMa_
@Mr_HaMa_ 5 жыл бұрын
신구할아버지 말투 비슷하네요
@JJ-fh5dh
@JJ-fh5dh 5 жыл бұрын
마하 오 저도 그 생각했어요
@niceday_5612
@niceday_5612 5 жыл бұрын
마하 니들이 홍삼맛을 알아!!!
@hjk817
@hjk817 5 жыл бұрын
ㄹㅇ 바로 신구할아버지 생각났음
@user-zx1ko1es8s
@user-zx1ko1es8s 5 жыл бұрын
김영옥씨랑도 비슷해용
@gggmmm8593
@gggmmm8593 4 жыл бұрын
아진짜네!
@user-ct7bf5dd1n
@user-ct7bf5dd1n 3 жыл бұрын
엄마한테 이거 보여줬는데 뭐가 다른지 모르더라 그 세대를 겪어서 그런건지 그냥 자연스럽다고 말함
@evekim2075
@evekim2075 Жыл бұрын
서울말 원조가 그거 국밥 드라마에서 제가 했걸랑요? 하시던 주현님이신데 드라마 제목이 생각이 안나네요ㅎㅎ
@user-qs6go8lx2q
@user-qs6go8lx2q 4 жыл бұрын
시대가 변하니까 언어도 변하는거지 훈민정음 발음복원한거 들어보니까 알아듣기도 힘들더만
@Mingmings510
@Mingmings510 3 жыл бұрын
그거 듣고 오심? 나도 ㅎ
@yeseulshin920
@yeseulshin920 3 жыл бұрын
나랏뫌싸미
@amp371313
@amp371313 4 жыл бұрын
김창완씨가 하시는게 서울사투리죠. 제일 찰지게 구사하심
@erickyee4198
@erickyee4198 4 жыл бұрын
@David Dream 선우용녀, 엄앵란님이 제일 가깝습니다. ㅎㅎ
@user-en5qj6xf9g
@user-en5qj6xf9g 3 жыл бұрын
내가 어릴때 생각해보면 어르신들 억양이 저랬는데 지금은 많이 달라졌네 신기하다 ㅇㅅㅇ
@souko4181
@souko4181 Жыл бұрын
ㅗ > ㅜ 로 발음하는거 ㅛ > ㅕ 로 발음하는게 대표적인 서울 사투리 ex) 삼춘(삼촌), 그리구(그리고), ~먹구(~먹고), ~했어여(~했어요) 사투리가 좀 퇴색한게 21세기 전후로 채팅이나 문자로 많이 쓰이다 보니 시간이 지나서 쓰면 뭔가 시대에 뒤쳐진 느낌이 크게 남 그래서 안쓴게 되는거지 뭐 서울사투리나 경기도 사투리는 억양보단 비표준어인 단어위주
@bordercollie_1
@bordercollie_1 3 ай бұрын
그리구 먹구 했어여 이런건 서울 사투리가 아니라 그냥 90년대 채팅에서 귀여운척 + 혀짧은척하면서 쓰던 말투임. 맞춤법 맞춰서 쓰면 딱딱해보이니까 텍스트로 귀척 오지게하던 말투 이런 식으로 가짜 지식들이 퍼지면 나중에는 그냥 혀짧은 소리는 전부 서울 사투리 라고 하겠네.
@user-td8hg3st6k
@user-td8hg3st6k 4 жыл бұрын
썸네일 보고 설명숙 닮았다 생각하고 옴
@seoulsexking
@seoulsexking 4 жыл бұрын
전 오킹.....
@Tea_ha
@Tea_ha 4 жыл бұрын
아낰ㅋㅋㅋㅋ설명숙이 누구였지? 아는 이름인데...? 하고 한참 생각했넼ㅋㅋㅋㅋ
@user-fm7ww8oq4h
@user-fm7ww8oq4h 4 жыл бұрын
근데 다른분 까비네 ㅋㅋ
@user-hc4yw3zu6b
@user-hc4yw3zu6b 4 жыл бұрын
저도욬ㅋㅋㅋㅋ
@sing_a_song_g
@sing_a_song_g 4 жыл бұрын
나두용ㅋㅋㅋㅋ
@dass9878
@dass9878 4 жыл бұрын
나만 그런건지 모르겠다만 듣다보면 군데군데 북한 억양이 살짝 섞인 느낌이였음
@SSRRRRSS
@SSRRRRSS 4 жыл бұрын
Das S 서울이 북한이랑 가까워서 그럼
@kasdferty
@kasdferty 4 жыл бұрын
마즘 원래 서울사투리 억양 저랬음
@kulkul9803
@kulkul9803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원래 서울, 경기, 황해도 말투가 같은 방언 권역입니다.
@iamdxhye
@iamdxhye 4 жыл бұрын
오 저도 그 생각했어요!!
@yeye-kt6yj
@yeye-kt6yj 4 жыл бұрын
오.. 북촌 한옥마을갔는데 30대 여성분이 말을 북한말같이 억양 세게 해가지고 잘 못알아들겠어서 탈북민인가..? 생각했었는데 이제보니 사투리였을수도 있겠네요..
@kerenhlee4689
@kerenhlee4689 3 жыл бұрын
4대조 조상부터 서울에 살던, 본적 서울명동인 서울토박이인데 저는 현대서울말을 구사하고 있습니다만 귀에익은 말이 많네요 처음 두번째 나오는 아주머니 말투랑, 저희를->즈희 라고 하는부분, 그리고 이상하게 저도 어려서부터 거지 를 그지 라고 말하는 습관이있었어요. 신기하네요 ㅋㅋ
@kerenhlee4689
@kerenhlee4689 3 жыл бұрын
현대서울말을 읽고있는 저 여학생도 써있는걸 읽게하지말고 말을 걸어서 대답하는 걸 들어보면 구어체에는 서울사투리가 남아있을지도 모르겠네요
@somethingfamous1039
@somethingfamous1039 3 жыл бұрын
저도 친가본적이 서울 서초구 토박이고, 외가는 성북동 토박이인데 어렸을때 조부모님들의 말투가 귀에 익네요. 뭔가 걍 듣기에 부드럽고 정 간다고 해야되나.. 지금 서울말은 저라도말씨가 좀 섞인거같네요. 말끝이 짧아진 느낌.
@hanbangsabjill
@hanbangsabjill 3 жыл бұрын
가장 대표적인 예가 옛날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임 딱 옛 서울말임
@user-we5vg4rz7m
@user-we5vg4rz7m 3 жыл бұрын
아조씌~-'
@user-el5bk2ju8l
@user-el5bk2ju8l 5 жыл бұрын
우리 큰아빠 서울토박이인데 저말투쓰심 ㅋㅋㅋ
@user-ip3jg4sd5b
@user-ip3jg4sd5b 5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랑 큰아버지가 인천 토박이신데 저거보다 약간 덜하게 쓰셔요 ㅋㅋ 특히 ~했거등 이거랑 ~했어여 이건 엄청 쓰셔요 ㅋㅋㅋㅋ
@ah-rang
@ah-rang 4 жыл бұрын
몇년생이신데 서울토박이???
@noirtic1
@noirtic1 4 жыл бұрын
아빠는 서울토박이가 아니신가봐요?
@user-mn8ir1oz9o
@user-mn8ir1oz9o 4 жыл бұрын
@@ah-rang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라면 그게 토박이 입니다 토박이가 흙토 자에 우리말 박이를 붙혀서 땅에 박혔다는 말 이니까요 굳이 옛 사람들 에게만 토박이라 부르는게 아닙니다
@goomega9800
@goomega9800 4 жыл бұрын
걍 요즘 서울말이 점점 변화한 말투임. 굳이 말하자면 저게 진짜 서울말이고 말투가 변한 요즘이 서울 사투리인것임 옛날 서울말들 진짜 저래서 지방에서 엄청 개느끼하게 생각함 요즘 서울말은 듣기 편하지.
@irislee4899
@irislee4899 3 жыл бұрын
드라마 질투에서 최진실이 쓰는 말투가 90년대 특히 80년대말 90년대 초반의 전형적 서울말투라 보면 됩니다
@bangusuck-WarrenBuffett
@bangusuck-WarrenBuffett 3 жыл бұрын
이 억양 남아있는데 본인이 쓰는줄 모르는 사람도 많은듯.. 서울가면 젊은 사람들한테도 가끔 들림
@bk4480
@bk4480 2 жыл бұрын
나도 어릴때부터 이쁘다 그지같아 이렇게 발음하는데 이게 서울 사투리였구나ㅋㅋㅋㅋ
@beshuah99
@beshuah99 Жыл бұрын
말이 바뀌는 건 맞는데 저 영상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대화와 써있는 대본을 읽는 것 그 차이도 무시할 수 없을 텐데? 대본 읽을 때 또박또박 읽잖아
@user-vo7cm3dn5z
@user-vo7cm3dn5z 4 жыл бұрын
첫번째 여자분 부부의세계 설명숙 닮으셔따,,,산부인과의사
@user-zi6rq7bu4c
@user-zi6rq7bu4c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맞아요 저도 댓글달려다가 딱 있네요
@leesanghee7
@leesanghee7 4 жыл бұрын
저는 썸네일보고 설명숙인줄알고들어옴
@user-xp4yt2ey9u
@user-xp4yt2ey9u 4 жыл бұрын
저도요!!!!
@user-p.l.h-love
@user-p.l.h-love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user-rp8hb4sb1x
@user-rp8hb4sb1x 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서 댓글 달았는데 저랑 같은 생각이시네요 ㅎㅎ
@user-jd9du4jv2y
@user-jd9du4jv2y 4 жыл бұрын
딱 옛 만화 더빙이넹 갠적으로 좋아하는 말투임
@monomato
@monomato 6 ай бұрын
1:08 뭐여 이거 선우용여님 목소리 아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CCXR1166
@CCXR1166 Жыл бұрын
여~요~ 늘어지는게 포인트!! ㅎㅎㅎ
@decoupling81
@decoupling81 4 жыл бұрын
할아버지 개성분이신데 딱 저렇게 올려서 말씀하셨었는데ㅋㅋ뭐징? 내가 예전에 뭐뭐 햇그등? 이런식이셨음
@Kim-qe6sz
@Kim-qe6sz 4 жыл бұрын
개성은 거의 서울말이랑 차이가 없대요 평양도 그렇구. 탈북방송에서 봤어요 :)
@user-fj9xm2ky6r
@user-fj9xm2ky6r 4 жыл бұрын
@@Kim-qe6sz 개성은 원래 경기도입니다. 휴전선으로 갈라져서 북한지역인것뿐이지 경기도, 강원도 관할구역중 휴전선으로 갈라진 지역이 꽤 많습니다.
@artk6912
@artk6912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했거등 이 소리 많이 했네요 어릴때 우리 사용하던말
@user-hc8pc9gg7z
@user-hc8pc9gg7z 4 жыл бұрын
개성은 원래 경기도예요. 경기북부
@Kim-qe6sz
@Kim-qe6sz 4 жыл бұрын
@@user-fj9xm2ky6r 네 그렇게 말씀하시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Eccentric clown jack #short #angel #clown
00:33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100년전에 녹음된 한국어 육성 음성 원본
13:28
디씨멘터리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전국민이 불법다운로드하던 2000년대 MP3 전성기 / 14F
3:21
14F 일사에프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