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보다 인기 없는 국왕…찰스 3세 왕실은 살아남을 수 있을까?|크랩

  Рет қаралды 728,771

크랩 KLAB

크랩 KLAB

Жыл бұрын

#크랩 #영국 #대관식 #kbs뉴스
영국에서 70년 만에 대관식이 열렸습니다. 무려 65년 동안 왕세자였던 찰스 3세가 왕관을 쓰는 날이었죠.
그런데 같은 날 군주제 폐지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거리로 나왔습니다. “당신은 나의 왕이 아니다”라며 돈 많이 드는 왕실을 폐지하고 특권을 없애라고 소리쳤죠.
엄청난 돈의 대관식 비용을 세금으로 치른 것에 대한 불만이 다시 한번 군주제 폐지 논란을 수면위로 끌어올린 겁니다.
엘리자베스 여왕의 서거 이후 찰스 3세 국왕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데 정작 아들보다 인기 없는 찰스는 고민이 깊어져 갑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영국 왕실은 국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
그리고 영국 왕실의 가치는 과연 무엇일까요?
크랩이 함께 이야기해 봅니다

Пікірлер: 932
@gaesal0225
@gaesal0225 Жыл бұрын
이건 군주제가 문제라기보다 그냥 찰스가 왕이어서 문제가 된 듯..
@jsm9252
@jsm9252 Жыл бұрын
만약 아들 윌리엄이 대신 왕위에 올랐더라면 이렇게되지 않았을거임
@user-kj5yt8dv7g
@user-kj5yt8dv7g 6 ай бұрын
ㅇㅈㅋㅋㅋㅋ 윌리엄이었으면 이정돈 아니었을수도
@user-un3yh7rv4g
@user-un3yh7rv4g 3 ай бұрын
불륜남이 나라를 대표하니까 찰스가 누릴 빠에는 그냥 폐지가 낫다는 식일 뜻
@user-mm9vv6ty3u
@user-mm9vv6ty3u Жыл бұрын
찰스 먼저 가고 여왕 뒤로 윌리엄이 왕이 되었음 이야기가 좀 달라졌을지도. 찰스는 이미지가 별로라서..아님 다이애나가 지금까지 곁에 있었다면 찰스가 왕위에 오른다 했을때 여론이 나쁘지 않았을 듯.
@dnejsjdjnd
@dnejsjdjnd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는 ’여왕‘이었고 지혜롭고 선했으니 모두가 좋아했다해도 지금 시기에 대관식으로만 2천억넘게쓰는 할배 왕을 좋아할 국민이 몇이나 될까...
@user-pj9gs5es5h
@user-pj9gs5es5h Жыл бұрын
@@dnejsjdjnd 이게 ㄹㅇ 맞음 엘리자베스는 자비로운 리더 할머니 같은 이미지가 강해서 '영국'하면 떠오르는 상징성이 너무 강했기 때문에 의미가 있었는데 찰스는 뭔 괴팍한 할배가 왕이 된다니 대표성도 없고 이미지도 안좋고...
@kjun8731
@kjun8731 Жыл бұрын
​@@dnejsjdjnd 그돈 전부 윈저가문의 자산에서 나온 수익을 전부 국고로 환수해서 15%만 왕실로 주고 나머진 공공예산으로 사용하는건데요? 버킹엄궁전 수리로 20%로 올리긴했어도, 군주제가 폐지되면 윈저가문에서 80%의 수익을 영국이란 나라에 줄필요가 없어짐. 왕실이 되기전부터 강했던 가문이 왕실이되고 더욱 강해진거라 오랜시간동안 쌓아온 부를 나라를 위해 기부하고있던건데 그만큼 날라가면 당장 정책에 쓸돈이 없을건데?? 당장 왕실만해도 조단위, 왕실이 아닐 공작들도 조단위인데. 영국은 땅을 사는게 아니라 임대하는방식이라 특권층이자 혜택을보는 귀족들이 자신들의 부를 베풀지않고 꽉잠궈버리면 나라가 안돌아감. 그래서 영지를 세습할때도 일정 조건 만족하면 세금이 없는등으로 유지중인데.
@kjun8731
@kjun8731 Жыл бұрын
막말로 프랑스 해버리는게 아니면 그냥 유지해야함
@hjc5721
@hjc5721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불륜남인데 왕세자여서 유폐안당한거임
@serendipity0923
@serendipity0923 Жыл бұрын
윌리엄은 결국 영국 국민들이 사랑한 다이애나비의 아들이고 딱히 큰 문제도 일으키지 않으니 당연히 찰스보다 인기가 높을수밖에
@user-vk1tx1zh2b
@user-vk1tx1zh2b Жыл бұрын
다음 왕이 찰스니까 더 그렇지 그동안 말이 별로 없던건 여왕님이 누구보다 자신을 희생하고 국가를 위해 헌신 했고, 그런좋은 시너지를 왕실을 브랜드로 만들어서 사업성을 높인거지만 찰스는 이미지 자체가 너무 구려서ㅠ
@user-rg1nq8wm9b
@user-rg1nq8wm9b Жыл бұрын
ㄹㅇ 여왕님이 참전용사인데 대놓고 개길수는 없지
@user-ll5tq3xi7p
@user-ll5tq3xi7p Жыл бұрын
다이애나 왕비가 왕실에 적응이 안되서 찰스왕과 사이가 안좋았던거 같아요 그래서 찰스왕 이미지가 구려졌던거 아닌가 싶습니다
@user-gt9yt2ci3r
@user-gt9yt2ci3r Жыл бұрын
@@user-ll5tq3xi7p 찰스 이미지 안좋은건 다이애나 때문이 아니라 찰스 행동때문임ㅋㅋㅋㅋ
@user-kv1kc1sh5x
@user-kv1kc1sh5x Жыл бұрын
@@user-ll5tq3xi7p 다이애나 탓이 아니라 찰스의 행실 때문인데 왜 다이애나가 나옴??ㅋㅋㅋ
@user-dt5vv4wn4o
@user-dt5vv4wn4o Жыл бұрын
​@@user-ll5tq3xi7p 다이애나는 ㅈㄴ 피핸잔데 ㅋㅋㅋ
@CJ-Soloist
@CJ-Soloist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여왕이 잘하긴 했지 군 입대부터 시작해서 군주제가 어울리지 않는 시대에서 여왕으로써 행적들 보면 뭐.. 다만 가족에 대해서는 뭐라 말할게 없네..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실 찰스왕도 군입대했었음.. 전쟁이 없으니 참전을 안해서 그렇지
@user-mb7qt6fr4w
@user-mb7qt6fr4w Жыл бұрын
@@user-fk5kr9gx6q 그런데 찰스 왕은 군입대가 문제가 아니라 사생활 문제가 크긴 하죠//
@hiKamill
@hiKamill Жыл бұрын
@@user-mb7qt6fr4w 딴거 다 제껴도 그냥 다이애나 하나로..
@user-pr6cb1oq3f
@user-pr6cb1oq3f Жыл бұрын
여왕이 너무 잘해서 찰스는 뭘 해도 비교되고 저평가 될 거임
@dke6163
@dke6163 Жыл бұрын
​@@user-pr6cb1oq3f 이건 맞아 적어도 비슷하게는해야 안까이는데 그게 어려우니까
@shaind
@shaind Жыл бұрын
결국 영국왕실인 윈저가문은 영국에서 가장 부유한 귀족가문 중 하나이고 그 재산이 영국 국가 재산의 일부인데 이걸 공공영역에서 떼어내서 순전한 사유물로 환원해버리면 오히려 국가가 더 손해인 셈임. 영국은 군주제를 유지하던가 아니면 "혁명적으로" 폐지하던가임. 지금의 법제하에서 그냥 군주제"만" 폐지한다는 건 있을 수가 없음.
@Hawaiiansplatoon
@Hawaiiansplatoon Жыл бұрын
지금처럼 가든가... 아님 프랑스처럼 '레볼루숑' 해야죠...
@I_KO_NAN
@I_KO_NAN Жыл бұрын
레닌... 그는 도덕책...
@meletsa
@meletsa Жыл бұрын
프랑스처럼 레볼루숑 해야함 ㅋㅋ
@bic7
@bic7 Жыл бұрын
여느 나라들 처럼 혁명이 일어난다면 가능함평화의 시대도 끝나 가는 판국이라 언제 무슨일이 터질지 누구도 예상못할 날이 올듯
@loti5763
@loti5763 Жыл бұрын
기요틴!! 기요틴!! 인민재판!! 빨빨간맛
@haulbrokencastle
@haulbrokencastle Жыл бұрын
다이애나랑 잘만 지냈어도 지지율 80은 맛나게 먹을텐데 영국 국왕 반대 여론의 주범은 찰스가 맞음
@user-by4tp9be1g
@user-by4tp9be1g 2 ай бұрын
그러게 말입니다. 세간의 지지도가 어마어마하게 높은 다이애나와 사이 좋은 척만 해도 될 것을... 그 놈의 카밀라무새가 되고 싶었음 왕세자 자리에서 내려왔어야지 찰스가 바보는 맞아요ㅋㅋ
@hortmadeline6524
@hortmadeline6524 Жыл бұрын
왕실 폐지론자들의 가장 큰 문제는 그 왕실을 제거하더라도 영국의 당면한 문제 대부분은 해결할 수 없는 거라는 거임. 고리타분하고 정체된 영국을 탈피하기 위해서라는데, 결국 예상되는 결과는 그냥 왕실이 없는 고리타분하고 정체된 영국일뿐임. 괜히 영국보다 체급이 한참 작은 스웨덴이나 네덜란드가 왕실을 유지하는 게 아니지
@user-uk6jy6lv5w
@user-uk6jy6lv5w Жыл бұрын
ㄹㅇ 왕실을 폐지해도 사회문제가 생기면 더 생기겠지 줄어들지는 않을듯
@NNNNN34955
@NNNNN34955 Жыл бұрын
영국 네덜란드 스웨덴 존나 잘사는나라들인데 뭘 걱정하노
@michaeldesanta5342
@michaeldesanta5342 Жыл бұрын
@@NNNNN34955 맞긴함 ㅋㅋㅋ 우리가 걱정할나라가 아님 전세계에서 가장 잘사는나라들중 하나인데 1인당 gdp ㅈㄴ높고
@user-xf8lr6vf3f
@user-xf8lr6vf3f Жыл бұрын
영상을 제대로 보지 않으셨나봐요 왕실 유지비나 상속세 등 다 내게 되는 일반시민이 되는건데 국가에 왜 도움되지 않겠어요?왕실브랜드도 정반대인 나라인 한국에서도 알 정도로 불륜에 정점을 찍은 찰스때문에 나빠졌고
@user-xf8lr6vf3f
@user-xf8lr6vf3f Жыл бұрын
이번 즉위식 같은 각종 고급 행사들도 세금으로 하고 있고요
@aebdeunge3
@aebdeunge3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 여왕은 상징성이 있었는데 찰스 왕은 진자 무늬만 왕인거 같아 아쉽다...
@user-ok9hu9rr6y
@user-ok9hu9rr6y Жыл бұрын
찰스의 저주는 아직까지도 있나요?
@user-fv6wr3rl8x
@user-fv6wr3rl8x Жыл бұрын
애초에 폐지할수 없음. 영상에 나왔듯이 과거 입헌군주제 도입 당시 체결한 계약에 따라 영국 왕실의 토지등에서 나오는 수익을 1:3으로 왕실과 정부가 나눠 가지는건데 그게 수익이 수천억대고 75%를 영국 정부가 가저간다는 말도안되는 계약임. 정확한 수치는 기억이 안나지만 영국 왕실의 토지 가치만 38조 가량 되는것으로 기억 하는데, 왕실을 폐지하려면 이 땅을 전부 환원 해주거나 현금으로 지급 해야겠지. 어느 방식이 됬든 왕실을 폐지한다면 유지보다 더 큰 지출과 반대가 나올거임. 어찌됬든 왕가는 영국의 상징이니까.
@qq9268
@qq9268 5 ай бұрын
로마노브 처럼하면 토지문제 해결 되네 ㅋㅋㅋ
@user-ry5zd5zd5d
@user-ry5zd5zd5d 3 ай бұрын
어차피 군주제 폐지하면 그 땅을 계속 소유할수 있는 근거도 없는거아닌가? 왕실이었기에 있는 땅소유고 개인으로 돌아가면 그 땅에대한 소유도 없어져야 한다고 보는게맞지
@user-je7pj6eo2h
@user-je7pj6eo2h 2 ай бұрын
@@user-ry5zd5zd5d중세유럽 토지제도 모르세요? 왕이라서 가진게 아니라 저 가문이 그 땅들을 가져서 왕이 된겁니다. 정부와의 계약이 끝나면 당연히 해당 땅은 왕실에서 일개 국민으로 돌아온 현재 왕가의 사유지가 되는거죠
@kyl937
@kyl937 Жыл бұрын
영국 왕실이 유지되는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돈 때문임 왕실 유지비? 그거 왕실이 영국 정부에 벌어다 주는 돈에 비하면 얼마 되지도 않음 영국 왕실은 지금도 런던 노른자땅을 엄청나게 소유하고 있음 그 부동산 임대 수익을 영국정부가 재단을 통해 벌어들이고 있음 만약 왕실을 폐지하면 영국 정부는 사실상 무료로 쓰고 있는 토지 임대료를 내야 하고 매년 수천억원의 임대료 수익고 포기 해야 함 왕실으루세금으로 자꾸 운영한다고 하는데 사실상 왕실이 영국정부에 돈을 더 많이 주고 있음
@user-jj7tf8uu3t
@user-jj7tf8uu3t 2 ай бұрын
그까짓 부동산보다 더 귀중한 가치인 브랜드 가치가 독보적임.
@Princess-ve9qc
@Princess-ve9qc 2 ай бұрын
@@user-jj7tf8uu3t그 높디 높은 브랜드가치보다 부동산가치가 훨 높긴 함. 부동산도 부동산 나름이어야 그깟 부동산이지 ㅋㅋ
@parksej1n240
@parksej1n240 23 күн бұрын
​@@user-jj7tf8uu3t 그까짓 부동산 ㅇㅈㄹㅋㅋㅋ
@SeoulClass
@SeoulClass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 일으킨 나라(아동포함 노동자들 착취) 해가 지지 않는 나라( 남의 나라 침략의 증거)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 가졌던 나라( 식민지 국민들의 피 땀 눈물의 범위)
@spqr2116
@spqr2116 Жыл бұрын
라고 1894년까지 자국민을 노예로 부렸던 조선의 후손이 씨부리고 있노
@user-rd6pj8ve4d
@user-rd6pj8ve4d Жыл бұрын
영국 산업혁명할때 길거리에 똥싸고 영국 식민지 운영할때 일본한테 나라바친 조선인이 주제넘은 말은 하지말자
@_Milko
@_Milko Жыл бұрын
산업혁명이 없었으면 여기에 댓글을 쓸 수도 없었겠지😂
@BJH7777
@BJH7777 Жыл бұрын
@@_Milko 그렇게 자부심 가득한 업적에는 밝은 면만 있다는게 아니라는거지
@user-mz1cd8fn2u
@user-mz1cd8fn2u Жыл бұрын
총평 = 혐성국
@user-il2oy4zz2x
@user-il2oy4zz2x Жыл бұрын
이렇게 폐지내용이 언론에서 나와도 대부분은 왕정 찬성하고 있죠
@loo6775
@loo6775 Жыл бұрын
그건 아님. 대부분은 그냥 대면대면하지. 딱히 반대도 찬성도 안하는...
@eesoggun
@eesoggun Жыл бұрын
영연방을 왜 헤체함 ㅋㅋ
@NiceBoaT_98
@NiceBoaT_98 Жыл бұрын
한 70 30 정도 나옴 30이 소수의견이라 묵살하기엔 너무 크제?
@user-xh3rx9us2u
@user-xh3rx9us2u Жыл бұрын
찬성이라기보다 반대를 안하는거죠 왕실 폐지하면 왕실은 개이득인반면 왕실과 마찬가지로 귀족들도 있는데 이들도 다 토해내야됨.
@eesoggun
@eesoggun Жыл бұрын
@@SmartWorkingSmartWorker 아아 오타 쏘리
@user-eu7xv9yu3c
@user-eu7xv9yu3c Жыл бұрын
영연방을 너무 가볍게 보는것 같네요. 우리와 비교하면 한반도에 살고 있는 인구가 남북한 합처서 7천만 정도 되고 해외에 사는 교포들이 500백만 정도 되잖아요. 영국은 정반대에요.브리튼 본섬에 살고 있는 인구는 6천 800백만 정도 되는데 미국은 좀 복잡한 경우에 해당되지만 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실질적으로 영국인들이 밖으로 나가 세운 나라들의 인구의 80%는 영국인들인 거에요. 이런 기준으로 볼때 미국까지 포함해서 3억 가까운 인구가 영국의 실체라고 보는 겁니다.그래서 많은 역사학자들이 인류 역사상 가장 크게 번성한 민족을 말할때 앵글로 섹슨을 말하는 거구요.
@JOOG00D
@JOOG00D 22 күн бұрын
ㅇㅎ
@user-pr4er9bd5l
@user-pr4er9bd5l Жыл бұрын
찰스는 왕 해봤으니 이제 아들한테 물려주는게 나을듯ㅋㅋㅋ😂
@Gogooma12
@Gogooma12 Жыл бұрын
여기서 더 큰문제가 일어나진 않는이상 진짜 딱 이대로만 아무일없이 지금문제있어도 걍 지금하오던대로만 해도 최소 200년은 더 유지됨
@user-nu5fs9ni5o
@user-nu5fs9ni5o Жыл бұрын
영국 왕실 브랜드 파워가 얼마나 엄청난데...로얄 워런티 받았다. 왕실에 납품한다. 이것만으로도 제품의 격이 쭉쭉 올라감. 왕실 자체는 물론이고 왕실로부터 파생되는 모든것이 다 돈줄임.
@user-ic4hh6gj7i
@user-ic4hh6gj7i Жыл бұрын
군주제 국가중 가장 유명한 국가가 영국이라 생각하는데 이건 아주 좋은 정체성이라 생각하는데..
@user-pi6bl4iy9n
@user-pi6bl4iy9n Жыл бұрын
매년 1000억씩 돈을 쓰는거 보면서 그런말을 할수 있
@user-id1qd6hc9p
@user-id1qd6hc9p Жыл бұрын
​@@user-pi6bl4iy9n그 천억 이상의 가치를 관광 등으로 벌어다주는데? ㅋㅋㅋㅋㅋ
@user-mq5li2iv2d
@user-mq5li2iv2d Жыл бұрын
@@user-pi6bl4iy9n 경제적으로 관광 수익이나 영국이라는 나라의 이미지를 왕실을 통해 좋게 만들 수도 있고, 영연방의 해외 국가들 혹은 영국내 여러 국가들을 통합시키는 지주역할도 할 수 있다보니 개인적으로는 필요하다고 봄. 왕실 규모를 조금만 줄이면 오히려 이득일지도
@jhpark9250
@jhpark9250 Жыл бұрын
@@user-ki8kx6si5l 스코틀랜드는 애초에 스코틀랜드가 개억지 부리는거임. 지들 나라 망할 뻔한거 영국이 살려준거임. 영국이 억지로 돈 빌려준 것도 아닌데 그게 그렇게 꼬우면 영국한테 그동안 받은 돈 현재 가치로 환산해서 다토해내야지
@user-id1qd6hc9p
@user-id1qd6hc9p Жыл бұрын
@@user-ki8kx6si5l 적어도 왕실의 유지로 인한 이익은 흑자입니다. 경제적 이유 뿐만 아니라 왕실을 유지하는 선진국이라는 이미지만으로도 충분히 특별한 이미지죠. 왕실을 뺀 영국이 상상이나 되십니까?
@Mildeokgun
@Mildeokgun Жыл бұрын
찰스 국왕 = 다이애나와 결혼 생활 중 다른 여자랑 바람 피움(애초에 다이애나랑 약혼하기 전 부터 이미 다른 여자한테 눈이 돌아 감) + 다이애나 사망 후 바람 피운 여자랑 결혼 함 = 현 찰스 국왕 아내(카밀라 파커 보울스) 추가 설명 : (다이애나랑 찰스가 결혼 생활 할 때도 겉으로는 다이애나랑 친근한 관계인 것 처럼 함) 엘리자베스2세 여왕도 문제 : 본인에게 다이애나가 찰스의 바람을 알리고 하소연 했지만 이를 방관 함 = 카밀라 파커 보울스는 남작 가문 딸이며 고 학력자 였지만 다이애나는 유구한 전통을 가지는 백작 가문의 딸이 였음. 단 학력은 고등학교 중퇴 임. 하지만 신분이 워낙 좋았기 때문에 왕세자비가 되었지만 정말 그것 뿐 이였음. 찰스가 본인과 결혼한 이유가 왕세자비라는 자리에 앉혀 놓기 위한 적당한 인형을 마련 하기 위함 이었음을 알고 절망에 빠졌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진을 찍힌 여성 인물이 됨. 파파라치 때문에...
@user-td5gh9eg8j
@user-td5gh9eg8j Жыл бұрын
여왕님 살아계실적엔 이런말이 없었는디..
@user-kb6fe3of7g
@user-kb6fe3of7g Жыл бұрын
영국왕실 자산도 상당해서 왕실이 진짜폐지된다면 영국정부수입에도 타격이커서 쉽사리 해체는 못할듯싶은데요
@ddachilee4971
@ddachilee4971 Жыл бұрын
영국이 왕이 있으므로써 얻는 이익이 어마어마한데
@user-mv9eg2hp7k
@user-mv9eg2hp7k Жыл бұрын
사실 저는 찰스 3세가 즉위한 이후로 엘리자베스가 없으니 영국 왕실이 아닌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엘리자베스가 영국왕실을 캐리하던게 맞는거 같아요.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Жыл бұрын
지들 손으로 브렉시트 찬성 찍는게 평균인 나라인걸 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nicehan777
@nicehan777 Жыл бұрын
​@@yoplait_protein 글쎄올시다 영국 사람들 수준은 모르겠지만 타민족 깔보는 너같은 사람들 수준은 알겠다 더불어 자기성찰 안되는 사람들 수준도 ㅋㅋㅋㅋㅋ
@user-oh7rg1qr2m
@user-oh7rg1qr2m Жыл бұрын
​@@yoplait_protein 우리나라도 똑같고 그냥 대중은 멍청함 지들이 똑똑하다 착각할뿐 인간은 누구나 불완전하고 멍청한 존재임
@ddachilee4971
@ddachilee4971 Жыл бұрын
영국이란 나라가 이상한짓 많이 했지만 그게 결과적으로 영국이 강국된경우가 많음
@rkxspwhw
@rkxspwhw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이기심에 대해 생각해보면 폐지를 주장하는데 별다른 이유가 없음 "나는 이렇게 힘들게 사는데 쟤네는 우리 세금가지고 돈잔치를 벌이네?" 에 대한 분풀이 대상이 필요할뿐임 왕실이 유지됨으로서 잃은것만 생각하고 얻는것에 대해서는 1도 생각하지 않음 돈빌려주고 갚는 상황만 봐도 얻는것에 대해서는 당연하게 생각하지만 잃는것에 대해서는 그 누구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이는게 인간임
@ilovejogi
@ilovejogi Жыл бұрын
브렉시트도 그러다가 하고 개판남 ㅋㅋㅋ
@biquit
@biquit Жыл бұрын
영국은 군주제를 류지하지 않으면 스코틀랜드, 웨일즈, 북아일랜드 다 떨어질테니까 어쩔 수 없는 것도 있겠지
@change9517
@change9517 Жыл бұрын
윌리엄한테 왕위 넘겨주지 ㅋㅋㅋㅋ
@dsj5250
@dsj5250 Жыл бұрын
저도 그 편이 훨씬 더 현명하고 낫다고 생각하긴 한데 저 할배는 저 자리 앉기까지 70여년을 버로우 타다가 이제야 앉았다보니.. 쉽게 내려놓지 않을걸로 보네요.
@qwzxer_11
@qwzxer_11 Жыл бұрын
근데 폐지를 못하는게 군주제 폐지하면 현 정부에서 맡아놓은 왕실 소유 토지를 다 돌려줘야하는데 애초에 거기서부터 막힘
@user-jf6xw6rl3j
@user-jf6xw6rl3j Жыл бұрын
대관식 보고나서 영국 가고 싶어하는 세계인들이 나중에 영국가서 쓰는 돈만 해도 1700억은 넘겠다. 영국은 자국 전통문화를 지금처럼 보존하고 나가는 게 자국에게 도움이 될듯. 그게 특정 누군가에게 많은 특혜를 준다고 하더라도. 그게 공평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국민들이 이익이 있다면 지금 당장 억지로 폐지하려고 기를 안써도 될듯.
@user-jz4be1uu4b
@user-jz4be1uu4b Жыл бұрын
과몰입
@jhpark9250
@jhpark9250 Жыл бұрын
그냥 조금도 모르는 한국인들이 폐지해야 하니 뭐니 아는 척하는거임 그냥 무시하면 됨
@sjg4388
@sjg4388 Жыл бұрын
대관식 보고 영국 갈 사람은 대관식 없어도 영국 갈 사람들임. 프랑스는 군주제 폐지했는데 영국보다 관광객 많고 관광 수입 많음.
@jhshin9413
@jhshin9413 Жыл бұрын
영국은 루이뷔통,샤넬,구찌같은 명품이 부족해서 프랑스가 더 많음. 여름철 에어컨도 없는 영국 지하철 환경 열악.미국 디즈니랜드와 비교해도 1700억원도 안 될듯. 영국은 왕실유지하면 돈만 낭비. 낡은 버킹엄 궁전 수리만 해도 500억은 될듯. 물가는 계속 오르고 가스같은 난방비도 대폭 상승, 월급은 제자리,실업율도 높음. 대학교 등록금도 프랑스,독일보다 비싼 영국.
@jhpark9250
@jhpark9250 Жыл бұрын
@@sjg4388 요점을 모르시네... 프랑스 관광가는 원인이랑 영국 관광가는 원인이 다름 영국 여행 가는 원인 중 상당수가 군주제와 관련된 것들임
@Forever-um5gn
@Forever-um5gn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실 영국 왕실 유지비나 이렇게 대관식에 들어간 돈보다 왕실로 인해 벌어들이는 비용이 훨씬 많음 그래서 따로 놓고만 봤을땐 안 좋아보이지만 사실 그렇지 않음 그리고 군주제를 폐지하게 되면 왕실 개인이 가지고 있던 돈들이 다 개인 소유로 들어가버리는데 국가 입장에선 좋을게 하나도 없음 지금은 정부에 들어가는 돈이라도 있는데. 국가 입장에서 이득 보는 게 더 많아서 쉽게 폐지 안 될듯
@Nighthaven_C
@Nighthaven_C Жыл бұрын
특권이고 뭐고 결국은 왕실을 유지하면 돈이 되냐 마냐가 핵심 아닐까요? 국제적 위상의 왕실 프리미엄, 관광, 상품들 등등 이득이 더 많이 나니 남겨 놓지 않을까요? 돈만 잡아먹는다면 진작에 사라졌겠지요
@user-zu3qn6rg1v
@user-zu3qn6rg1v Жыл бұрын
관광상품같은 쉬운 문제가 아님 영국에 충성하는 나라들은 법적으로 영국이 아닌 왕실에 충성하는거라 영국은 왕실이 없으면 모든권력을 잃는것
@strawberry2363
@strawberry2363 Жыл бұрын
찰스가 퇴위될지 언정 왕실히 폦지 돼진 않을듯. 막말로 지금 왕실 폐지론자 중 절반이상이 격 없는 왕을 모시고 싶지 않다라고 생각하던데 왕만 월리엄으로 바뀌면 여론이 귀신같이 수그러들듯
@astrojin1986
@astrojin1986 Жыл бұрын
지금 이 영상이 나온것만 봐도 영국 왕실의 위상과 효율성이 그대로 나온다고 봅니다. 1700억 썼다지만 전 세계에서 이런 컨텐츠를 만들고 영국의 역사와 찬란했던 영국을 다시 한번 회상시키는데.. 영국이라는 나라의 브랜딩 차원에서 이보다 더 효율적인게 있나요? 한국에서 1700억 써서 이런 효과 낼 수 있나요?
@iron3242
@iron3242 Жыл бұрын
찬란... 일본제국의 찬란한 모습을 보여주는 행사를 한다면 기분좋을려나ㅋㅋ
@mugukmul
@mugukmul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청와대에서 새로 이전한 비용이 1700억 넘을텐데 그거 생각하면... 저도 영국이 가지는 상징성, 이거 정말 크다고 생각해요. 경제적 외 부문으로도 정말 많죠
@Rosdgold
@Rosdgold 3 ай бұрын
​@@iron3242일본이랑은 다른경우라 생각함 일본은 패전국이자너
@gloryjohn8911
@gloryjohn8911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윌리엄하고 캐서린하고 애기들이 3명 다 인기많아서 아마 찰스 왕위기간 끝나면 다시 인기는 살아날듯... 적어도 당장 폐지될 정도로 인기없진 않음..단지 지금 왕하고 왕비가 상대적으로 호감이 떨어지는 것이고ㅋ
@user-jy1rq8cm5f
@user-jy1rq8cm5f Жыл бұрын
멀리 본다면....관광 수익이 그만큼 발생되니..... 하는게 더 좋지 않을까요???
@user-vq8vm3bd7k
@user-vq8vm3bd7k Жыл бұрын
나날이 각박한 세상에 역사의 장이 공존한다는 것은 신선한 충격입니다 또한 인간이 인류라는 삶을 현존하게 해서 유익하다고 봅니다
@lovecat3531
@lovecat3531 Жыл бұрын
왕실 유지하고 싶으면 하루빨리 윌리엄에게 물려주어야 할텐데 할배 그동안 쪼다처럼 황태자로 살았던 한이 너무 커서 그리 안할듯 ㅋㅋㅋ
@user-or9uy3hx3y
@user-or9uy3hx3y Жыл бұрын
여기서 중요한게 군주가 없으면 영연방이 의미가 없으므로 다들 탈퇴하겠죠 그것만으로도 영국은 군주가 존재해야하는 이유죠 그걸 영국민들이 포기할까요 막상 투표하면 90프로는 가뿐히 넘게 찬성이 나올듯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ekgns019
@ekgns019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마지막 왕실의 전성기가 아니였나 싶네 뛰어난 리더쉽이 등장하지않는이상 서서히 몰락할듯
@user-xp4cu7si8f
@user-xp4cu7si8f Жыл бұрын
국왕이 없으면 영국은 대영제국의 마지막 영광까지 다 잃어버리는 거임...형식적이지만 그래도 영국의 호주 캐나다 아프리카 일부가 영국의 영향권이니까
@yosebchoi4802
@yosebchoi4802 Жыл бұрын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 특이성은 돈으로 쏟아붓는다고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게 아니니까... 폐지가 논의된다면 금전보단 아마 나라 사상문제가 더 중요한듯
@HangilKim
@HangilKim Жыл бұрын
왕실도 결국 영국의 관광상품인데 순이익이 마이너스 아닌이상 그냥 두는게 이득같은데
@user-qv4bf1dj7e
@user-qv4bf1dj7e Жыл бұрын
글쎄? 돈벌이 문제가 아니라 왕실 특권 얘기로 보나 영연방 문제로 보나 자국 정치체에 대한 고민이 종합된 거 같은데? 지구 반대편에서 단견으로 플러스 마이너스 따질 문제는 아닌 듯?
@laghan4546
@laghan4546 Жыл бұрын
영국 왕실은 단순히 관광상품이 아님 엘리자베스 여왕이 살아있을때만 해도 한국으로 치면 세종대왕과 이순신급이였음 지금 왕은 딱 조선말 고종을 욕하는 정도고 외국인이 "세종이랑 이순신은 단순히 관광상품 아닌가? 이익이 사라지면 결국 버려질꺼야."이런 소리하는게 맞다고 봄?
@user-sz3bl1jr3y
@user-sz3bl1jr3y Жыл бұрын
남에 나라 걱정 좀 그만 해라 알아서 하겠지 뭐 지들이 좋다는데
@soy8038
@soy8038 Жыл бұрын
영국왕실은 없서지지 않을거에요. 왕은 바뀌어도 왕실은 유지할겁니다 영국왕실이 돈을 많이 쓴다고 없애야한다는건 설득력이 부족해요 돈을 많이 쓰는만큼 왕실이 그 역활을 해내면 됩니다.
@user-jj7tf8uu3t
@user-jj7tf8uu3t 2 ай бұрын
ㅇㅇ 영국왕실이 영국에 벌어다주는 돈이 훨씬 더 많고 영연방의 구심점 같은 존재라 절대 없애선 안됨. 영국왕실이 가지는 브랜드 가치가 넘사벽임.
@dnejsjdjnd
@dnejsjdjnd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는 ’여왕‘이었고 지혜롭고 선했으니 모두가 좋아했다해도 지금 시기에 대관식으로만 2천억넘게쓰는 할배 왕을 좋아할 국민이 몇이나 될까...
@user-zu1qf
@user-zu1qf Жыл бұрын
누가 왕에 됐든 대관식은 화려했을거임. 오히려 간소화해서 진행했다는거 안보임???
@user-ek6ej5gr1d
@user-ek6ej5gr1d Жыл бұрын
공화정으로 처음부터 시작한 나라야 어쩔 수 없는건데 손해 보다 장점이 큰 입헌 왕정제를 스스로 포기하겠다고 하는 영국민들을 보며 아이러니함을 느낌 😅 남의 나라 신경 쓸건 아니지만, 그러면 비슷한 “대안”이라도 만들어 놓고 폐지를 하던가 ㅋㅋ
@prussia92
@prussia92 Жыл бұрын
영국인들이 똑똑할거라는 생각을 버려야됨 솔직히 브렉시트도 진짜 할거라곤 상상도 못했잖아
@user-gn3yr9we7j
@user-gn3yr9we7j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영국은 잉글랜드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즈의 왕 작위를 가지고 있기에 연합왕국으로 연합을 할 수 있언더거요 브리타니아 통일 했을때는 대영제국으로 제국작위였던거임. 군주제 폐지는 4개의 왕국이 연합을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고 이 말은 영국의 해체임. 거기다가 영국 왕은 호주 캐나다 등 몇몇 국가의 왕위를 가지고있음 영연방도 군주제 폐지하는 즉시 해체임
@jhshin9413
@jhshin9413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1세가 후사가 없으니 조카에 해당되는 스코틀랜드 왕이 제임스 1세 잉글랜드의 왕이 됩니다. 스튜어트 왕조의 대가 끊기자 독일의 친척이 조지1세 왕이 되어 하노버왕조 탄생. 하노버는 독일식이기 때문에 1차세계대전때 윈저로 변경됨.
@SeaKing_Bonobono
@SeaKing_Bonobono Жыл бұрын
대영제국이라는 작위는 없습니다. 애초에 그렇게 불린적도 없고 그렇게 칭한적도 없습니다. 그냥 빅토리아 시기 영국의 위세를 나타내는 말로 대영제국이라고 호칭할 뿐입니다. 실제로 영국 국왕 작위중에 Emperor 작위는 인도제국 황제 하나뿐이고 그마저도 인도에서만 통용되는 직위인데다 영국 국왕 앞에 쓰지도 않았습니다.
@el-bg4hr
@el-bg4hr Жыл бұрын
@@SeaKing_Bonobono 맞습니다. 애초에 서구권에선 영국을 제국이라고 부르지 않음. 일본이 번역하며 생긴 표현을 아시아권에서 사용중인 거죠
@ReignOfMoE
@ReignOfMoE Жыл бұрын
​@@el-bg4hr British Empire라는 단어가 얼마나 많이 쓰이는데요....
@el-bg4hr
@el-bg4hr Жыл бұрын
@@ReignOfMoE 앗; 제가 뒤에 정식 국명 얘기를 적다가 지우면서 그거까지 다 지워버렸네요
@gloomydreamer
@gloomydreamer Жыл бұрын
故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괜히 찰스 한테 왕 자리 안 물려줄려고 명줄잡고 있었던게 아니지.
@user-pr3pg1gu7c
@user-pr3pg1gu7c Жыл бұрын
그 외람된 이야기지만 돈이많이든다는주장은 따지자면 사실이 아닙니다 단적으로 영국왕실은 본인들 사유지의 대부분을 국가에 관리를 맡겼고 그 수익의 절반을 국가와 나눠가집니다. 이게 부동산가격만 조단위는 넘어요 농담이아닙니다 만약 왕실을 폐지한다면 이를 사유지로 되돌려줘야하는데 거기에만 최소 조단위로 써야한다는소리입니다 안돌려주면그만아니냐는사람도있는데 저것들 엄연히 왕가의 사유지라서 절대불가능해요 왕토사상이 기본인 동아시아와 그렇지않은 서구와는 그런 근원적 차이가 있습니다 예전에 혁명의 시기라면 또몰라도 사유재산권이 인권과 동일시되는 지금은 어림도없음
@user-lk9ij4hk2o
@user-lk9ij4hk2o Жыл бұрын
영연방 연합왕국 유지하는 거랑 관광이익 생각하면 당연히 왕정 계속하지.. 왕정 폐지하잔 애들은 진짜 지능이 없는건가 싶다
@jjwoo317
@jjwoo317 Жыл бұрын
그거 때문에 세금을 걷어야 하는 건 생각 안 하고??? ㅋㅋㅋㅋㅋ
@user-lk9ij4hk2o
@user-lk9ij4hk2o Жыл бұрын
@@jjwoo317 들이는 세금보다 그로 인해 얻는 이익이 큰데 뭐라는 거냐 무지성 공화주의자야.. 꼭 뭣도 모르는 것들이 정곡 찌르는 척 말대꾸질하네
@jjwoo317
@jjwoo317 Жыл бұрын
@@user-lk9ij4hk2o 지금 영국 경제 꼬라지 보고도 그런 개소리를 싸지르네 ㅋㅋㅋㅋㅋ
@hansrordt3700
@hansrordt3700 Жыл бұрын
@@jjwoo317 세금타령하는 애들 대부분 세금 많이 내는 애들 없더라
@Lengpair
@Lengpair Жыл бұрын
@@jjwoo317 댓글 이력이 그냥 찢갈이였노 ㅋㅋㅋ 느그 문프가 세금 더 잘쓰더라
@boou0052
@boou0052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왕실에서 사고친거 보면...존경심이 생길까????
@kimandre336
@kimandre336 Жыл бұрын
이직도 영국의 사법 체계는 다 군주의 권한을 중심으로 운영합니다. 그래서 영국의 군주제가 유지될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carband
@carband Жыл бұрын
@@Gavener 빅토리아시대때는 그래도 꽤 쎘었는데
@user-wo4en6gc1c
@user-wo4en6gc1c Жыл бұрын
이건 그냥 단 하루만에 일반적인 의원내각제국가로 바꿀 수 있음 가장 큰 이유는 왕실을 유지함으로써 얻는 경제적인 이익이 왕실에 들어가는 세금보다 훨씬 많으니까 유지 되는 거임
@msk-qp6fn
@msk-qp6fn Жыл бұрын
실직적으로 의회이 다 혼자 가능하다 들음. 영국 왕실한테 직인 받는 건 그냥 예의상이라도 들음.
@user-bu1gs2ui2k
@user-bu1gs2ui2k Жыл бұрын
의회에서도 절대 군주제를 폐지하려하지않음 대부분 귀족들이 영국의 의회와 기업들을 장악하고있는데 군주제가 폐지되는 순간 귀족제도 같이 몰락할 수 밖에 없음 귀족들이 예전같지는 않아도 권력과 금력을 동원해서라도 군주제를 지킬 수 밖에 없음
@Isl33p
@Isl33p Жыл бұрын
​@@Gavener 영국은 의회에서 결정하지만, 의회가 결정할 권한은 왕좌에서 오는 것이지 국민에게서 온 것이 아님.
@vxsxxa6608
@vxsxxa6608 11 ай бұрын
그래도 영국 군주제를 유지해야하는 여론이 우세한 이유 찰스 국왕이 생각만큼 오래 살 거라고 생각 안해서임
@user-qd5du6um8b
@user-qd5du6um8b Ай бұрын
군주제가 뭘 그리 필요한가 찰스의행동 진짜 국왕의. 신뢰문제 모든것이. 현실하고 어울리지않다
@PHS-bo2yc
@PHS-bo2yc Жыл бұрын
로열 하면 떠오르는게 영국이고 왕실 자체만으로도 관광산업임. 단편적인것만 보고 왕실을 폐지하면 영국이 손해임.
@user-st2vq9uo3c
@user-st2vq9uo3c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란 대등한 친구들을 만드는 사상이지 주군을 섬기는 사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은하영웅전설-
@333movie
@333movie Жыл бұрын
언제 적 왕이 이 시대에도.. 왕... 이. 섬김을 받으러 온 게 아니다..
@user-ym1ly3mw4o
@user-ym1ly3mw4o Жыл бұрын
정체성 단합을 위해서 존재 하는거지요 하나의 구실점이 되니
@hyeonsikjeong1964
@hyeonsikjeong1964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코로나 아니면 즉위식만으로도 엄청난 경제적 이득을 봤다.
@iron3242
@iron3242 Жыл бұрын
다들 경제적 이득만을 말하지만 공식적으로 특권층이 존재한다는것 자체에 거부감을 가지는것도 생각해야지.
@ace3227
@ace3227 Жыл бұрын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들..
@jhleethewriter
@jhleethewriter Жыл бұрын
영국이 어떻든 풍전등화인 우리나라의 현실보다 낫지 않을까.
@user-xw3pv1wo5q
@user-xw3pv1wo5q Жыл бұрын
영국도 지금 좆되긴 마찬가지에요...
@Euryaleferox
@Euryaleferox Жыл бұрын
지금 영국 5집중 한집이 결식아동.....
@user-skdkqodkwodkdoeoej
@user-skdkqodkwodkdoeoej Жыл бұрын
런던 가서 한달만 살아보세요ㅋ 진짜 한달에 집세 포함 200최저로 써도 한국에선 상상못할 후진 일상을 경험 할수 잇습니다ㅋ 진짜 런던와서 하루도 안빠지고 여기서 .... 못살겟는데... 저 거지들이 남일이 아닌것같은데... 나도 거지꼴을 못면하겟는데 이말이 매일 무의식중에 나옴
@user-ww1xw1rb9j
@user-ww1xw1rb9j Жыл бұрын
그런 영국도 출산율 1.6명
@user-yt8nr8tu9v
@user-yt8nr8tu9v Жыл бұрын
@@user-ww1xw1rb9j 수많은 이민자들의 작품ㅋㅋ
@user-rlagudcks
@user-rlagudcks Жыл бұрын
영연방이 그렇게 작은것도 아니고 호주,뉴질랜드,캐나다 등등 아직 영국 왕실을 섬기는 국가들이 많은걸로 봐서는 영연방은 절대 쉽게 무너지지 않을듯
@user-cd5cz8ou5h
@user-cd5cz8ou5h Жыл бұрын
여왕죽고 호주랑 캐나다 영연방 탈퇴하겠다는 소리나옴ㅋㅋ
@user-rlagudcks
@user-rlagudcks Жыл бұрын
@@user-cd5cz8ou5h 방금 기사 봄 ㅋㅋㅋㅋㅋ ㅅㅂ 개쪽팔리네
@ANL-qe8ws
@ANL-qe8ws 7 ай бұрын
​@@user-cd5cz8ou5h왜 아직도 탈퇴 안했노
@user-sv1sf9hj3u
@user-sv1sf9hj3u Жыл бұрын
근데 군주제에 드는돈을 안쓴다고 살림살이가 좋아질거 같진 않은데 ㅋㅋㅋ
@marcell5241
@marcell5241 4 ай бұрын
영국 왕실은 하나의 세계적인 브랜드 그 어떤 왕실보다 위상이 높고 영국내 수많은 학교나 교육기관, 회사들, 제품들 이름에 Royal 이 들어가 있음 관광객 유치 및 영국이미지(역사가 오래되고 신사, 예의…)에 한 몫 하기에 막상 그걸 포기 못함 우리나라 대통령 지지율을 보면 영국 왕실이 국민들에게 얼마나 큰 사랑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있음 영국왕실은 세계대전때 런던을 지키며 국민들을 보호했고 실제로 영국인들과 이야기해보면 그들은 우리와는 달리 여전히 귀족이 있고 신분이 있는 세계에 살아서 왕실에 대한 위화감이 별로 없음 not my king 같은 구호를 외치는 사람은 정말정말 소수, 하지만 왕실에 대한 칭찬 일색도 아님 영국인들 자체가 굉장히 시니컬한 면이 있고 탐탁치 않게 표현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이 왕실유지에 손 들어줌
@user-sf2tl5rz3q
@user-sf2tl5rz3q Жыл бұрын
왕족의 특권만 누린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많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고, 찰스왕이 왕족중에서는 예외적으로 지리학사 학위도 갖고 계시다고 들었어요. 시대적 과업인 기후위기와 불평등 완화에 집중 해가면서 재편성하면 되리라 봅니다. 왕의 존폐 여부나 공화정이냐 아니냐 그 자체에만 집중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세계 시민들이 살아가기 좋은 global land를 만들어 가는것이 포인트 입니다. 상징적인 의미로 왕가가 있었으면 합니다, 개인적 바램은요.
@user-zi2oi7ps4f
@user-zi2oi7ps4f Жыл бұрын
왕실 행사 문제는 왕실이 비용을 전액 부담하는게 맞다고 본다.
@gunm6589
@gunm6589 Жыл бұрын
근데 왕권의 상징성이 워낙 크고 국가적으로도 이익이 있어서 폐지하면 득보다 실이 많을 것 같음
@VISKOR051
@VISKOR051 Жыл бұрын
과연 시청료 아깝다고 TV버리는 국가가 있을까... 왕실 보러 오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그거 폐지하면 그사람들 다 빠져나갈텐데
@user-ky5mp3ps3q
@user-ky5mp3ps3q Жыл бұрын
폐지론자들은 왕실 폐지가 지금 자기들한테 이득인지 생각을 해 볼 필요가 있음. 왕실 폐지되면 더 손해보는 쪽은 영국 정부임.
@user-bi1ox8cn5p
@user-bi1ox8cn5p Жыл бұрын
근데 유럽에서 군주제를 유지하는 국가가 영국이외에도 아직도 많습니다. 스페인 포르투갈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anais3913
@anais3913 Жыл бұрын
포루투칼은 공화정이래요. 1900년초에 왕이 암살당했다네요.
@sobang08
@sobang08 Жыл бұрын
찰스3세랑 왕비랑 같이 영국왕실 이미지 나락으로 보냈지뭐...
@__-ry3de
@__-ry3de Жыл бұрын
썸네일 오른쪽에 Ed Sheeran?? 😅
@user-yy1np2li7v
@user-yy1np2li7v Жыл бұрын
근데 갠적으로 영국하면 군주제가 먼저 생각남
@rightisright2556
@rightisright2556 Жыл бұрын
대관식 비용 때문에 GDP가 내려갈수도 있다고 해서 도대체 무슨 개소리인지 자세히 읽어 봤는데 대관식 비용이 아니라 대관식이 휴일이라서 사람들이 일을 안해서 GDP 내려간다는 소리였음 다 좋은데 이런건 좀 확인하시고 적어주시면 좋겠습니다.
@user-bs9xr3ji9j
@user-bs9xr3ji9j Жыл бұрын
선동하는거죠 뭐 ㅋㅋ
@anhismog5969
@anhismog5969 Жыл бұрын
다른 것도 있지만 아마 찰스 자체에 대한 비호감이 크겠지. 다이애나 때문에
@user-op7bm9rj9p
@user-op7bm9rj9p 2 ай бұрын
엘리자베스가 일을 너무 잘했어
@amazinggrace2928
@amazinggrace2928 Жыл бұрын
조승연이 영국 갔을때 영국 여자노인이 뭐 물어봤는데 조승연이 영어로 대답하니깐 당신은 어디나라 영국식민지였냐고 했대잔아ㅋㅋ 은근 자부심임 ㅋㅋ
@Kor_Alvaro
@Kor_Alvaro Жыл бұрын
요번 대관식의 인기를 보고도 이런 말을? 영국 왕실의 가치와 이익 창출 좀 생각하고 우리나라 국민이 이래라 저래라 할 처지는 아니다.
@Kor_Alvaro
@Kor_Alvaro Жыл бұрын
@@SerenitySoundsn 요지를 파악하고 얘기해라 ㅋㅋㅋㅋ 가끔 영국 왕실 폐지해라 이러면서 급진적인 주장하는 한국인들 얘기하는거지
@Kor_Alvaro
@Kor_Alvaro Жыл бұрын
@@SerenitySoundsn 지가 대댓글로 말해놓고 말 못 하니까 말 돌리는거 봐라 ㅋㅋㅋㅋㅋ
@KikoLorenzo_
@KikoLorenzo_ Жыл бұрын
군주제를 폐지하면? 재산도 돌려줘야죠. 75프로 저게 정확한 금액이 얼만지는 말 안 하네요. 보수적으로 잡아도 24조원 가량의 자산에서 수익이 1년에 8000억원 가까이 나오는데요 1년에. 스코틀랜드가 따로 관리하는 자산도 4400억원 정도 됩니다. 군주제 폐지? 그 누구도 원하지 않을테죠
@user-wo4en6gc1c
@user-wo4en6gc1c 3 ай бұрын
다른 거 다 집어치우고 관광효과만 봐도 왕실유지비에 들어가는 비용보다 왕실을 통한 관광수익이 훨씬 많음 ㅋㅋ 근데 왕실 유지를 통해 얻어들이는 효과는 이 뿐만이 아니니, 왕실을 폐지하는 건 제2의 브렉시트와 마찬가지
@user-pk3oo2fs7b
@user-pk3oo2fs7b 2 ай бұрын
왕정 폐지되면 연합왕국이 해체되고 지금도 석유 때문에 독립하려고 눈치 보던 스코틀랜드가 폐지 반대 명목으로 독립하고 에든버러 공작이자 스코틀랜드 왕으로 윈저 왕조를 이어가겠죠. 즉 왕정이 폐지 될 일은 없다는거죠
@gfdxvggjvcdcn
@gfdxvggjvcdcn Жыл бұрын
군주제 굳이 폐지해야하나?
@user-us7ou4sc2x
@user-us7ou4sc2x Жыл бұрын
다이애나가 한을품고 죽었는데 오뉴월 서리 내릴 차례지
@user-qp7tr1xc1p
@user-qp7tr1xc1p Жыл бұрын
보통 여러 나라가 한 군주를 가지는 것을 동군연합이라고 하지요. 영국 외에도 과거 유럽 국가들 중에 저런 형태를 지닌 경우가 많았어요.
@choicechoi7794
@choicechoi7794 Жыл бұрын
지금같은 시대에도 왕정에 대한 판타지를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유지하는게 낫지않나? 영국하면 왕정이 먼저 생각나는데
@user-ih8os8uo6b
@user-ih8os8uo6b Жыл бұрын
엘리자베스때도 왕실 폐지론은 있었습니다.그때랑 성격이 다른건 엘리자베스 때는 여왕 본인때문이 아니라 주변인들 스캔들이 터질때마다 폐지론이 불쑥 머리를 내밀었죠.여왕은 평생 내내 압박감을 느끼면서 왕가를 유지 시킬려고 필사적이 였음.그리고 무엇보다 본인 스스로 위업도 있었고 또 여왕이 없으면 영연방이 안돌아간다 할정도로 영연방에서 인기도 좋았음 그런데 찰스가 과연 해낼지는...본인 이미지 관리 노력하더라도 저 집안이 어떤 집안인데 ㅎㅎ 이번에야 말로 왕족이 또 똥 한번 크게 싸지르면 엄청난 질타를 각오 해야 할거임
@user-jq2kf5cj4x
@user-jq2kf5cj4x Жыл бұрын
영연방은 어짜피 서방 vs 구 공산국가 대결이 흘러가면 흘러갈수록 점점더 결속이 강해져야될 상황이니 영국은 군주제 포기못함 저거 영향력이 진짜 장난아님
@kkkkk1501
@kkkkk1501 Жыл бұрын
군주제 폐지의 여론은 물론 다양한 이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거겠지만 찰스의 인기도가 가장 큰 역할을 한게 아닐까....
@97sojin
@97sojin Жыл бұрын
찰스가 현명하고 왕실에 대한 긴 안목이 있었다면 왕위를 양위했어야함 탐욕은 있어가지고
@user-jb2kf2jj7d
@user-jb2kf2jj7d Жыл бұрын
현대에 있어서 군주제를 하는 것에 있어서 이득을 보는 것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있어야할 거 같은데.
@imminsu
@imminsu Жыл бұрын
이건 걍 찰스가 왕이 되어서 생긴 논란인듯 ㅋㅋ ; 엘리자베스 2세때도 이런 논란은 없었고 윌리엄이 되었다면 다이애나 아들이라 오히려 좋아하는 사람 많았을듯
@break_gal
@break_gal Жыл бұрын
어쨌거나 선택의 문제긴 한데 브렉시트같은 삽질을 되풀이하지않으려면 신중히 생각해야지
@Focus-nb1qk
@Focus-nb1qk Жыл бұрын
호주나 캐나다가 실제로 공화정으로 전환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보수파의 반발이 상당할텐데, 공화국으로 전환하면서 얻는 이익은 불분명하거든요. 오히려 각종 국가 체제를 정비해야 해서 비용이 어마어마할 겁니다. 별개로 뉴질랜드는 의외로 군주제 지지도가 높습니다.
@by2933
@by2933 Жыл бұрын
찰스가 왕이되고 영국 왕실의 무게감과 위엄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지 찰스의 이미지도 너무 안 좋다보니 군주제 폐지란 말이 나온듯
@user-mc9ic2eo2p
@user-mc9ic2eo2p Жыл бұрын
찰스3세가 잘못했다라기보다는 엘리자베스가 너무잘한듯 이러다가연산군같은 왕이 되어버리는건 아닐련지모르겟네요
@gajioven
@gajioven Жыл бұрын
걍 돈이 ㅈㄴ 되기 때문에 폐지 할 이유가 하나도 없으
@user-sn9tm1wk6f
@user-sn9tm1wk6f 2 ай бұрын
영국왕실은 여왕 때문에 폐지가 안됐지, 평생 처신을 잘해서 영국 좋은 이미지 유지에, 관광수익 굿즈수익으로 버는 돈이 왕실 유지비보다 더 많으니 영국 입장에서는 왕실 유지가 더 이익이지. 영국 여왕만한 소프트 파워도 잘 없음. 하지만 이미지 안좋은 찰스가 이만큼 해낼거라 기대하는 사람은 없음. 다이애나비 찰스랑 이혼하지 않고, 죽지 않았다면 차라라 영국여왕 뒤를 이어 저 역할을 잘해냈을듯, 다이애나 이쁘고 이미지도 좋아서
@HanaMaru_TUNA
@HanaMaru_TUNA Жыл бұрын
영국 왕실은 그 자체로도 영국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 인기가 많아서 벌이가 좀 된다고 들었음 왕실 유지가 영국을 지탱하는 힘이 된다는 얘기도 있었고 실제로 영국 국민들도 왕정제 좋다고 하니까 영국의 왕정폐지론은 아직은 시기상조인 것 같아보임
@1984-doublethink
@1984-doublethink Жыл бұрын
그 이미지로 벌어 들인 관광 수익이 국가와 시민들에게 돌아 가야 하는데 고스란히 혹은 그 이상 왕실 특혜로 돌아가니 문제니ㅋㅋㅋㅋ과연 누굴 위해서 일까? 시대에 뒤떨어진 고집스럽고 미련한 미개한 문화지.영국이 지난 날의 영광 따위 다시 누릴 일은 없을 듯.
@HanaMaru_TUNA
@HanaMaru_TUNA Жыл бұрын
@@1984-doublethink 그런가요? 왕실의 수익이 일정부분 정부에 납부되고 있다고 했으니 당연히 국가에도 이득인게 아닌가요?
@user-uk6jy6lv5w
@user-uk6jy6lv5w Жыл бұрын
일단 재무부가 왕실 수익 다 가져가고 그담에 왕실한테 지급하는 구조
@user-cd5cz8ou5h
@user-cd5cz8ou5h Жыл бұрын
뭐가 좋아 틀딱만 좋아하지
@superdiving
@superdiving Жыл бұрын
영국 왕실이 가져다주는 브랜드파워랑 소프트파워 수익이 매년 1조는 된다고 하더라구요. 사실 계산기만 놓고 보면 엄청난 문화상품인거죠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Жыл бұрын
이제야 영연방이 뭔가 이해 했네요
@user-ro9kk6dz8d
@user-ro9kk6dz8d 3 ай бұрын
실권 없는 군주제지만 나름 전통 문화 같은 느낌으로 존재 하는거 자체가 엔터적으로 좋아서... 그런게 있어야 구심점이 되긴함 엘리자베스 여왕이 너무 잘하셨는데.. 그냥 존재 자체만으로도 건축물이 사람들을 모이게 했던거처럼 하나의 상징 느낌으로 괜찮은데; 듀크도 그대로 있는데.. 글고 이민자들이 주제넘게 반대하는게 진짜 꼴뵈기 싫어
@big-gamehunter6285
@big-gamehunter6285 Жыл бұрын
영국 국가 가사 중에 '여왕을 지켜 주소서' 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거 바뀌나?
@user-ok9hu9rr6y
@user-ok9hu9rr6y Жыл бұрын
왕을 지켜주소서로 바뀝니다.
@thebaddestmale7166
@thebaddestmale7166 Жыл бұрын
대관식 자기 돈으로 한방에 쿨하게 내버렸으면 지지도 퐉 상승했을터인디..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5 МЛН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떠나던 날..5분 정리
4:49
엠빅뉴스
Рет қаралды 276 М.
🇬🇧영국 학벌주의에 대한 영국인들의 솔직한 생각 (ft. 해리포터)
18:36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