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울음,짜증,분노! 참는 법이 아니라 표현법을 제대로 가르쳐야 합니다 l이민주육아상담소l

  Рет қаралды 56,007

이민주육아상담소

이민주육아상담소

2 ай бұрын

#이민주육아상담소 #표현력 #훈육 #부모교육
📌이민주 5월 강연일정/신청하기 바로가기 :
cafe.naver.com/leeminjoolab/1...
📌 감정도서 정보
blog.naver.com/chuchu0322/223...
세상 모든 부모와 아이들을 응원합니다 ^^
[부모의 올바른 육아지식이 아이의 똑똑하고 멋진 인생을 설계한다]
------------------------------------------------
🔸️이민주육아연구소🔸️
📩 Contact Mail : zal.jaram@gmail.com
--------------------------------------------------

Пікірлер: 110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이민주 5월 강연일정/신청하기 바로가기 : cafe.naver.com/leeminjoolab/10334
@user-wn9by8my1j
@user-wn9by8my1j 2 ай бұрын
전 아이가 말을 할 수 있을 때부터, 찡얼거릴라치면, 똑똑한 어조로, 불만이 있으면 말로 표현을 하라고 했어요. 첨엔 맘이 짠했지만, 지나 놓고 보니까, 아이에게 좋은 교육을 했다고 생각드는 것 중 하나가 되었어요.
@user-vn3no1kb6f
@user-vn3no1kb6f 2 ай бұрын
분노는 참는것이 아니라 표현하는 법을 잘 가르쳐야한다!! 울지마 그만해 뚝~내가 늘 하던말...반성합니다ㅜ
@Ellaismyeverythig
@Ellaismyeverythig 2 ай бұрын
1.본인감정을 인지하는 단계 예--불편햇어? 2.부정적인감정을 공감하되 표현하는법 가르친다. 예--속상햇어?.속상할때는 우는게어니라 안아주세요 해봐. 화가났을때는 후 하고 심호흡을 해봐 하면서 끊임없이 가르쳐라. 3.타인의 감정에 대한 인식과 공감 능력을 키워준다. 예--마찰의경험과 정서발달이 일어난다. 사회성발달업! 부모의 정서가 안정되어야 아이의 정서발달에 도움이된다
@user-rv9ih8yj5v
@user-rv9ih8yj5v Ай бұрын
예시로알려주신 표현법이외에 다양한 감정표현법을 엄마 스스로가 모르겠어요~ 좀 더 다양한 감정표현의 경우를 알려주시면 좋겠어요!^^ 늘 감사합니다❤
@locoloco6546
@locoloco6546 2 ай бұрын
봐봐야 머리로는 이해하는데 정작 또 눈앞에서 때쓰고울고 하면 야!!!! 나온다
@user-nn3oz1xv5e
@user-nn3oz1xv5e 2 ай бұрын
표현하는방법을 가르쳐야된다..맞는말씀이네요 공감👍
@NNeeXD
@NNeeXD 2 ай бұрын
어른들에게도 아이들에게도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게 참 어려우면서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함께 배워나가야 할 것 같아요
@user-mq6lb1ji1y
@user-mq6lb1ji1y 2 ай бұрын
부정적인 감정을 어떻게 표현하도록 알려줘야하는지 고민이에요 화날때도 짜증날때도 억울할때도 결국 심호흡하면서 진정해보자라고 알려주는거 같아요...아이수준에 맞는 감정표현 방법이 뭐가 있는지 예시를 좀 더 부탁드려도 될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요청주신 내용 정리해서 콘텐츠로 한 번 공유해보도록 할게요 ^^
@user-mm7yh1wk8o
@user-mm7yh1wk8o 2 ай бұрын
선생님~안그래도 요즘 감정적인게 다시 올라오는중이라 넘 힘들었는데 이런영상을 올려주시다니!넘넘 감사합니다❤
@user-ib4ei6xf8s
@user-ib4ei6xf8s 2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wg5kh2dm6r
@user-wg5kh2dm6r 2 ай бұрын
제가 그냥 말로해라고 했었는데 말하면서도 계속 울고 짜증내니 저도 당황스럽고 그랬어요. 정확한 신체표현 언어표현을 알려줘야겠네요. 숨을 후 쉬어봐 이런것은 아기가 잘 못할거라고 은연중에 생각했나봐요. 꾸준히 알려줘야겠습니다.
@nzmum
@nzmum 2 ай бұрын
속상할땐 울음이 아니라 짜증이 아니라 엄마 안아주세요 속상해요 라고 ~ 화가 났을 땐 소리지르고 드러눕는게 아니라 먼저 후~ 크게 숨 쉬면서 마음을 가라앉히는거야 진짜 직접적인 방법을 알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user-iw6vh9jq9h
@user-iw6vh9jq9h 2 ай бұрын
정말 궁금하던 내용이었습니다 !!! 감사해요❤
@ramm7122
@ramm7122 2 ай бұрын
요즘 딱 필요한 내용의 영상이었습니다 닳고 닳도록 보고 실천할게요 감사해요
@user-lc9sh3rn7x
@user-lc9sh3rn7x 2 ай бұрын
항상 감사해요❤❤❤
@user-tm7rn7di7m
@user-tm7rn7di7m 2 ай бұрын
좋은말씀과 정보 늘 감사합니다^^ 항상 도움이 되는데 이번 영상은 더 힘이 되네요 언제나 응원하겠습니다^^
@dy2128
@dy2128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참는법보다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게 .. 현명한 교육이겠죠
@user-uw6qb9fc8z
@user-uw6qb9fc8z 2 ай бұрын
부모가 행복하면 결국 아이도 행복한것 같아요~ 아이키우면서 난감할때 많은데 표현법 대처법 한번더 생각하게 됩니다 ~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user-hy8wf1hk6v
@user-hy8wf1hk6v 2 ай бұрын
꼭 필요한 말씀 감사합니다 ^^
@user-wd5bw7ry2l
@user-wd5bw7ry2l 2 ай бұрын
아이의 감정을 읽어주는것에서 그치지 않고 여러 감정에 대해 알려주고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어요. 고민하던 부분인데 많은 도움됐어요. 감사합니다❤
@user-tr7yp3dy3k
@user-tr7yp3dy3k 2 ай бұрын
도움이 많이 되어요 감사합니다아😍😍
@user-jl1sz6ip7p
@user-jl1sz6ip7p 2 ай бұрын
귀한 강의 출근길에 잘 들었습니다....!
@user-oy5vf5ky6e
@user-oy5vf5ky6e 27 күн бұрын
아직 백일안된 갓난아기를 키우고 있어 미리 공부하려고 영상 찾아봤습니다 ㅎㅎ 미리연습하면 엄마의 정서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아이에게도 잘 할 수 있을것 같아요 항상 감사합니다❤
@user-ge9es2sb2n
@user-ge9es2sb2n 2 ай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저희아기는 잘하고있는데 제가 너무 감정컨트롤이 힘드네요ㅠㅠ 선생님 영상보면서 다시 마음을 다잡게되었어요~! 추천해주신책도 찾아서 읽어볼게용 ㅎㅎ
@user-ht8zd7kj8v
@user-ht8zd7kj8v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도 책도 알려주시고 감사드려요^^
@user-cm5un5op7w
@user-cm5un5op7w 2 ай бұрын
민주쌤!!정말 많이 배워요, 이제 아이가 슬슬 짜증도 내고 집어 던지고 하는 행동을 보이는데 이걸 어떻게 교육해야 하나 고민 많이 했어요.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도 육아의 핵심이요, 감사합니다!!
@user-qw5bn6ds3x
@user-qw5bn6ds3x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오늘 영상 너무 유익했어요ㅎㅎ 아들이 동생이 자기장난감 건드려서 화나서 동생 때리면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아이한테 어떻게 조리있게 설명하고 훈육해야할지 답답했는데 너무 명쾌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user-uv4ps4pj3x
@user-uv4ps4pj3x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교육 도움이 많이됩니다^^
@user-ei9jh2wf7c
@user-ei9jh2wf7c 2 ай бұрын
부모는 아이에게 분노를 참는 것보다 표현하는 법을 가르쳐야 한다는 의견에 완전 동감해요
@ellahan5914
@ellahan5914 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4:54~ 5:20
@user-bx9wc8gn7d
@user-bx9wc8gn7d Ай бұрын
어른도 어려운게 감정ㅠㅠ 정말 도움되는 영상입니다❤
@bbinggoi8747
@bbinggoi8747 2 ай бұрын
32개월 아들이 요즘 엄청 삐치고 조금만 자기 뜻대로 안되면 싫다고 울고불고하는데 감정관련 도서 같이 읽으면 감정인식이 더 잘될 것 같아요~!! 머리로는 알지만... 계속 울고 떼 쓰면 저도 같이 동요되어버려서 늘 육아는 어렵네용 ㅜㅜ
@user-ud1js7zd8u
@user-ud1js7zd8u 2 ай бұрын
아이가 태어나고 민주쌤영상보면서 항상 많은 도움 받았어요ㅎ 실제로 만날을땐 연예인보는것 같았구요^^ 민수가 하윤이 많이 보고싶어해요^^ 하윤이도 민주쌤도 건강하시길바래요ㅎ 종종 정보얻으러 올께요^^
@user-ch9xr2bx1y
@user-ch9xr2bx1y 2 ай бұрын
표현법을 알려주려고 노력은 하는데 밖에서 울고 소리지르고하면 저도 더 흥분해서 그만울어! 뚝! 너무시끄럽게울면 안돼! 이러는데 연습 많이 해야겠어요ㅎㅎ 남편한테도 너무 필요한 영상이라 캡쳐해서 보내줬습니다! 영상감사해용❤ 인스타,영상 둘다 잘보고 있어요!😊
@lka34447500
@lka34447500 2 ай бұрын
제가 꼭 필요했던 영상이에요!! 남편이 아이가 짜증을내면 항상 다그치고 훈육하는데 보는 제가 더 화가나고 짜증이 나더라고요 오늘 육퇴하고 남편이랑 다시 봐야겠어요!! 늘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ef8eh3bc7j
@user-ef8eh3bc7j 2 ай бұрын
저번주에 네돌이 지난 딸이 있어요 언어치료.감통치료를 받은지 일년가까이 지나고 있는데 아직까지 말을 못하고 선생님들 피드백을 따르고는 있지만 딸아이도 답답한지 마음에 분노.짜증.울음이 점점 심해지고 있어요 이런 딸을 고장난 장난감 버리듯 버리고간 애기엄마가 미친듯이 밉네요 딸아이는 화가 날때마다 자기얼굴을 때리고 공감해주고 달래주는 저 포함 선생님들 얼굴까지 때리고 핡퀴고 하루하루 긴장의연속이네요 5월30일 세종 강연때 좋은말씀 듣고 싶습니다
@user-wt3te5rh4n
@user-wt3te5rh4n Ай бұрын
ㅜㅜ🫂
@user-iz2oq9rg6x
@user-iz2oq9rg6x 2 ай бұрын
강연 들은지가 벌써 작년이네여ㅜㅜ이제 31개월이에여..주변 또래보다 빠른편이여서 그런지 항상 친구들보다 먼저 시작해서 먼저 겪게 되는 바람에 시행착오처럼 제가 먼저 뭣모르고 화도 내고 그러는중인데여..요즘 이 친구가 매번 울면서 소리지르거나 울면서 말하거나 얘기 하길래 울면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울지말고 얘기해봐 라고 했는데 ....때마침 영상이 올라오네여ㅜㅜ 힘들었는데 잘 보고 배워갑니다 감사해요❤
@user-rv9jr9dz5v
@user-rv9jr9dz5v 2 ай бұрын
공공장소에서 떼쓰고 울면 올바른 피드백이 아니라 뚝해! 울지마!만 하게 되네요ㅠㅠ 평소에 제대로된 표현법 잘 알려줘야겠어요
@sunlitter24
@sunlitter24 2 ай бұрын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보단 억제하고 누르는걸 먼저 배웠던거 같아요 우리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건강하게 표현하는 삶을 살면 좋겠어요!
@user-ek4fd4er8f
@user-ek4fd4er8f 2 ай бұрын
부정적인 감정을 잘 조절하고 표현하도록 지금이라도 가르쳐야겠어요. 속상했어? 슬퍼서 그래? 잘 실천해봐야겠어요.
@user-yw7ko5if9h
@user-yw7ko5if9h 2 ай бұрын
ㅋㅋ 오늘 아침 등원하며 어린이집 안갈래 엄마보고싶으면 어떻게 똑같은 말 백번하며 우는 아이에게 결국 그만,뚝-! 하고 말았는데 ㅋㅋㅋㅋ 정말 어려워요 ^^
@Happylaonfam
@Happylaonfam 2 ай бұрын
두돌 지나고 28개월 접어들면서 유난히 떼쓰고 짜증도 울음도 늘어서 힘들더라고요. 울지않고 말해야 들어준다하다가도 욱하고 올라오더라고요. 어제 화내고 이성잃지말아야겠다 다짐했는데 딱 필요한 영상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감정책 꼭 사서 같이봐야겠네요.
@qwer77840
@qwer77840 2 ай бұрын
분노를 잘 표현해내는걸 가르쳐줘야하는데 참 쉽지가 않네요ㅠ 육아는 다 어렵지만 그중 젤 어려운게 감정에 대한부분인거같아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맞아요! 공감합니다 ㅜㅜ 오늘의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user-uf3wg3xx2g
@user-uf3wg3xx2g 2 ай бұрын
넘... 힘들어요 ㅜㅜㅜㅜㅜㅜ😢😢😢😢😢
@user-ub6op9uy3j
@user-ub6op9uy3j 2 ай бұрын
아이의 분노에 더 큰 분노로 혼을 냈었는데..ㅠㅠ 감정에 이름을 붙여봐는 아이와 함께 읽어봐야겠어요~ㅠㅠ
@user-md6qt1dp2t
@user-md6qt1dp2t 2 ай бұрын
징징징~ 이이잉~ 우는소리에 버럭!! 애기소리하지말랬지!!! 짜증내지마! 라는식뿐이었는데……. 근본적인 훈육과 알려줘야하는 포인트 정확히 짚어주셔서 감사해요~~ 어떻게 항상 꼭 필요한 내용을 제때 올려주시는지 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도움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이번주 육아도 화이팅 하세요 !!
@user-xt1xr4rp1l
@user-xt1xr4rp1l 2 ай бұрын
와... 대박 애기 분노때매 맘카페에 적어볼까 어떻게하나 하고있었는데 혹시나 이민주쌤영상 찾아보려고 왔는데 때마침 필요한영상이 올라와있네요! 너무너무 감사해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타이밍이 잘 맞아 다행이었네요 ^^ !!
@user-cl1id2pg4q
@user-cl1id2pg4q 2 ай бұрын
윤이랑 3-4갤 정도 늦은 친구인데요. 항상 먼저 겪으시고 이 시기에 너무 너무 필요한 영상을 올려주시네요🥹 요즘 하루종일 짜증이라 어찌해야되나.. 원인이 뭘까 고민스러웠거든요😭 오늘도 많이 배우고 갑니다👍🫶
@yurimom3047
@yurimom3047 2 ай бұрын
저도 완전 공감해요. 어떻게 시기적절하게 영상이 맞는지 ㅋㅋ 육아 화이팅입니다😊
@user-vf6tq4hv9p
@user-vf6tq4hv9p 2 ай бұрын
저도요 지금 반성중입니다ㅠ
@user-vz9vw7me7n
@user-vz9vw7me7n 2 ай бұрын
분노를 조절하는 법을 많이들 가르치는데.. 어떻게 표현해야하는지를 가르치는게 중요하다는걸 배워갑니다.
@user-nu1nh1dl4t
@user-nu1nh1dl4t 2 ай бұрын
우리애는 만날 드러누워서 우는데 답이 없어요 반복해서 알려주다가 내가 먼저 암걸릴듯요
@user-vb2wl1rr2o
@user-vb2wl1rr2o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둘째 아이가 31개월인데 감정표현은 잘하는데 본인에게 피해가 되는 상황이면 또래 아이를 밀거나 때리는경우가 자주있어서 힘들어요 이런부분 영상도 부탁드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아직은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하는 시기이고, 올바른 표현법을 몰라 그럴 수 있어요 ! 분노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것, 불편한 것이 있을 때 때리거나 미는 행동 대신 할 수 있는 표현법 알려주세요. 영상으로도 공유해볼게요 ^^
@rebeccason7493
@rebeccason7493 2 ай бұрын
이강의는 계속 돌려봐야겠어요 ㅜㅜ 이제 두돌인데 감정에 이름을 붙여봐 책이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그냥 제가 계속 알려만 줘야할까요?? 요즘 아이가 짜증을 너무 많이내서 괴롭네요😭
@League_Bbbb
@League_Bbbb 2 ай бұрын
제가 뭔데 이렇게 잘하고 있었죠...저도 이런방식으로 해줬는데 채널에 올려주시니 괜히 기분이 좋네요 한번은 배우자때문에 좀 짜증난적이 있었는데 애가 저한테 숨 쉬라고(심호흡) 합니다ㅋ제가 애한테 많이 배우네요. 자식들이 잘커서 누굴만나도 잘지내길 바라는 마음이라 유튜브 영상에서도 잘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늘 건강하고 행복한 육아, 응원합니다 ^^
@ORIRYMAMA
@ORIRYMAMA 2 ай бұрын
너무 잘 보고 있어요. 아이가 25개월이고 자기 감정을 주체 못하면 소리를 귀가아프도록 지르는데 이런 이야기를 하면 듣질 않더라구요,, 울음이나 소리지름이 적을떄까지 기다려야 하나요? 그리고 이런 상황이 차안에서 이뤄지면 제가 운전중이라 특히 고속도로는 차를 멈출수가 없는데 어떻게 하면 감정을 가라 않힐수 있을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아이의 감정을 도와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거나, 흥분이 가라앉지 않는 경우 오히려 어떤 자극을 주기보다는 기다려주는 것이 도움 될 수 있어요! 물론 매번 다 기다리라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 지르고 우는 것으로 상황을 통제하거나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음을 인지하도록 해줄 수 있어야 해요. 단호한 표정과 눈빛으로 '엄마 기다릴게' 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후 조금 진정이 되면 훈육 이어 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elina3378
@elina3378 2 ай бұрын
정말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도 알고있었지만...ㅜ두아이 육아하다보니 폭발하고ㅜ반성하게되네요ㅎㅎ오늘부터 다시 차분히 잘 알려줘야겠어요!!❤ 아 그리고 4세 아이들이나 어린이들 성교육 관련해서도 알려주실수 있으실까요? 요즘 몸에 관심을 가지고 남동생과 엄마.아빠랑 다른걸 알고 묻기 시작하더라구요~ㅎ
@user-dr9de6dz6w
@user-dr9de6dz6w 2 ай бұрын
가장 필요한 타이밍의 영상 이였습니다. 정말 많은 걸 배웠네요 ^^. 참는것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감정에 이름을 알려주고 공감 해 주고 설명을 해 주면 표현이 풍부하고 솔직한 아이로 이해심이 깊은 부모로 느낄 수 있을 것 같아 방금 바로 실천 해 봤는데 효과 만점 이였습니다 😊👍👍👍👍👍👍.
@user-ii4od7sc4h
@user-ii4od7sc4h Ай бұрын
저희아이가 5살 들어서고 유치원 가기시작하면서부터 3월에는 그냥 낮잠이 없어지니 하원하고 짜증 정도 였는데 4월 무렵부터는 조금만 마음에 안들거나 그냥 쉬하고 싶니? 묻기만해도 안할거야!!!악!!! 하고 소리를 지르고 낮잠을 자고 난 상황(피곤하지않은상황)에서도 수시로 대답이 마음에 안들거나 하면 소리를 질러요. 근데 그게 요즘은 더 격해지더니 소리지르면서 엄마를 밀려고 하고 엄마미워! 하면서 씩씩거려요. 행동을 보면 유치원 친구들 행동을 보고 따라하는면도 있는것 같아요. 유치원에서 인원이 더 많아지고 실랑이가 더 많을거구요.(이친구가 밀었어 이친구가 나 가래 이런얘기를 자주했어요) 잘못된행동에 대해 제가 잡고 똑바로 얘기해줄려하면 잘못했어요 모르고 그랬어요 하고 넘어가려하고 또 하고 반복이에요.잘못된 행동인것을 알면서 계속 반복합니다. 저도 이런상황이 처음인데 잘못된행동을 안된다고 하기전에 마음도 알아주고 싶지만 특히 공공장소 같은곳에서는 그런행동을 하는것이 피해를 주기 때문에 구석진곳으로 데리고 가서 감정이 진정될때까지 기다랴주었다가 너가 그렇게하고싶어서 소리질럿니? 그래도 소리지르는 향동은 잘못된행동이야 라고 말해주고 자기입으로 뭘 잘못했는지 대답을 듣고 나면 다음에는 이렇게 표현하는거야 라고 알려주고 약속하는데도 매일무한반복이에요.. 자기조절이 미숙하다는것을 알지만 훈육이 제대로 되고 있는건지 모르겠고 더 잦아졌다는 생각도 들어요 . 잘못된행동을 이럴때 호되게 잡아야한다는 생각도 들면서 찬찬히 설명해줘야할것 같으면서.. 어찌해야할지를 모르겠어요. 해답좀 주세요 ㅠㅠㅠㅜ 어떤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상황인건지 제가 잘못하거 있는건지 5살에 이런 시기인건지 혼란스러워요.
@user-hn2xz8qk9i
@user-hn2xz8qk9i Ай бұрын
저는 28개월 아이 할머니 입니다. 선생님 말씀에 공감하구요~ 책을 그입하고 싶은데 ..어디 도서인지요,?
@user-rg6jf8sn1o
@user-rg6jf8sn1o 4 күн бұрын
아이 에게 안됀다고 설명을 해줘도 될때까지 때를 씁니다 ㅠㅠ 화를 내고 싶지않아도 ... 저도 사람이라 한계에 달아면 화를 내게 되요 ㅠ .. 한번화를 내기 시작하면 걷잡을수없고 조절이 힘들어요
@kyungeunkang4190
@kyungeunkang4190 Ай бұрын
너무 좋은 팁 감사합니다! 그런데 궁금한게 하나 있습니다. 두돌 아기가 막 울고있는데 속상했어? 속상할땐 이렇게 표현하는거야. 라고 알려줘야하는건가요? 아니면 울음 그치고 진정되면 엄마한테 알려줘. 그리고 나서 이런 이야기를 해도 되나요?
@user-ut3dq4hp5m
@user-ut3dq4hp5m 2 ай бұрын
생각해보니 저도 그렇게 자랐더라구요..ㅠㅠ 미안해..엄마가 제대로 가르쳐 주지도 않고 화만내서..ㅠㅠ
@tisyj
@tisyj 2 ай бұрын
이민주 소장님 안녕하세요! 영상 처음부터 구독한 육아맘이에요^^ 30개월 아들이고, 말도 잘하고 요즘 고집도 대단해서 짜증을 내거나 울면서 고집을 피울때는 “후 후 하면서 진정하구와~” 하고 기다립니다. 근데 계속 중간에 안아달라며 울면서 오는데 이때 안아줘야하는건가요? 영상에서 짜증나고 화날때 안아달라는 표현으로 알려주라하셔서 어떻게 해야하는게 좋을지 헷갈립니다.. 😢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안아달라는 목적이 훈육의 회피가 아니라 감정조절을 돕는 과정이라면 안아주고 어느정도 진정 후 훈육이나 이야기 전달 해주시면 됩니다. 대신 안아주는 것 때문에 훈육의 전달이 되지 않는다면 이야기 끝난 후 안아주셔야 합니다 :)
@r-jm7ht
@r-jm7ht Ай бұрын
감정책을 추천 어디서 볼수있을까요
@user-xn1ko7nr6d
@user-xn1ko7nr6d 2 ай бұрын
19개월인데 본인이 하고 싶은 걸 못하게 하면 가지고 있던 물건을 던져요. 기분나쁘다고 던지면 나쁜 거라고 계속 알려주니 이제는 입으로 푸하면서 침을 튀기는데요. 안된다고만 알려주고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주고 싶은데 아직 말을 못하는 아기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요.
@hyunnyp
@hyunnyp Ай бұрын
점점 진화해용... 여기저기 보고 써먹고 안먹히다가 30개월되니 많이 나아요..
@ams98
@ams98 2 ай бұрын
둘째가 짜증.화남.울때에 첫째가 스~읍이란 제스쳐 하는걸 보고 놀란적 있어요.제가 첫째때 자주 했던 습관이죠.그후로는 절대로 안합니다.
@mnmmnm6161
@mnmmnm6161 2 ай бұрын
뭔가 놀다가 잘 안될 때 울면서 명령조로 엄마 이거해~!! 저거 해~!! 하는데 이럴 땐 속상하다고 말하고, 좋은 말투로. 부탁하라고 얘기하긴 하는데 막무가내로 울고 화내면서 안되는거를 해결해주길 원해요; 이럴 때 진정하고 다시 해보라고 하는건 이제 만 세살 갓된 아이에게는 어려운 걸까요? 자주 좌절하고 울고불고하는 아이 어떻게 대응해야 좋을지 어느정도까지 가르쳐야하는지 모르겟어요 ㅠㅠ
@user-sv9wv9ce4m
@user-sv9wv9ce4m 2 ай бұрын
아이가 이제 19개월인데 화가나거나 본인이 하고 싶어하는 행동을 위험한 행동 제지하면 울면서 자기 머리를 주먹으로 때리는데 ㅜㅜ 이럴땐 어찌해야 하나요 ㅠㅠ
@user-nm4bi5bo8o
@user-nm4bi5bo8o 2 ай бұрын
저두 궁금해요 ㅜ 애기 이제 17개월됐는데 안되는걸 알려주면 손으로 자기 얼굴을 때리더라구요..
@baiksyoung
@baiksyoung 2 ай бұрын
저희 애두요..
@League_Bbbb
@League_Bbbb 2 ай бұрын
지나가던 극극성맘 입니다 아들인가요? 언어 트이고 안합니다... 그당시엔 폭력성이 있는건가?!했었고 말도 안트였기에 코로나때라 더더욱 걱정이 돼서 소아정신과도 다녀왔어요ㅋㅋㅋㅋㅋ 애는 괜찮은데 왜 온거냐며 다음진료 없이 컷 당했습니다...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kzfaq.info/get/bejne/fsypda1_1qnDp30.htmlsi=G3oQd7_MPDFK3BYl 이 영상이 질문 주신 내용의 주제 입니다 ^^
@user-sv9wv9ce4m
@user-sv9wv9ce4m 2 ай бұрын
딸이에여😭😭 이전에 더 어릴때 머리를 벽에 박더니 지금은 주먹으로 때려서요 ㅎㅎ
@hwajs6261
@hwajs6261 2 ай бұрын
저희 애는 33갤인데 저를 컨트롤하려고 하는느낌인데 Ex. 엄마 일로와 하면 울거나 일어나서 안아줘 하면서 울거나 엄마가 와. 등등 제가 보통 안가주니까 엄마일로와 하면서 울거든요. 안해주니까 별의 별걸 다 요구하며 우는데,, 이게 부정적인 감정을 느껴서 일까요? 이런경우도 해당이 되는건가요? 헷갈려요
@user-xb9kq4mf1w
@user-xb9kq4mf1w 2 ай бұрын
엄마 안아달라고 표현하는 방법은 언제까지 가능할까요?? 6살 아이인데 슬프고 힘들고 짜증나는 부정적 감정이 들때마다 안아달라고 합니다 저는 스스로 마음을 진정하고 스스로 다독이는 인후에 안아준다고 얘기해주면 1초도 안되서 다했다며 이제안아달라고 와요 전 둘째도 있는터라 첫째만을 매번 안아줄수 없고 앞으로를 위해서 감정조절을 스스로 하는법을 알았으면 좋은데 심호흡방법말고는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ㅜ 조언 부탁드려요~
@sfcgrace
@sfcgrace Ай бұрын
1단계 부정적인 감정을 인지하도록 가르친다 2단계 부정적인 감정을 공감하되, 표현하는 법을 가르친다 3단계 타인의 감정에 대한 인식과 공감 능력을 키워준다
@paku-s
@paku-s 2 ай бұрын
아이는 속상해서 엄마 안아주세요 했는데 다 울면 안아줄게 라고 말해버린 엄마는 반성하고 갑니다ㅠㅠ
@user-vg9ts9qy8j
@user-vg9ts9qy8j 2 ай бұрын
내가 하던 습관의 감정 표현을 내 아이에게서 보았는데 너무 부끄럽더라구요.그 뒤로는 다시 제대로 알려 주려고 하는데 너무 어렵네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부모도 사람인지라 절대 완벽할 수 없어요 ^^ 그래서 아이를 키우면서 함께 성장해간다는 것 같아요 !
@user-zs1uv9gp3e
@user-zs1uv9gp3e Ай бұрын
이제 28개월 된 딸맘인데요, 아이가 1~2개월 전부터 삐치기 시작하더니 조금만 마음에 안들거나하는 상황이 생기면 급 표정이 어두워지는데요ㅜㅜ(어른들이 기분 나쁘거나하면 정색하는것처럼요..) 이럴때마다 아이에게 마음에 안들거나 싫은게 있으면 이렇게 말로 하는거야~ 하고 알려주는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건지ㅜㅜ.. 삐치는 아기 이야기는 많이들었는데 아이가 정색할수도 있는건가요?
@user-nj8xf4tp6w
@user-nj8xf4tp6w 2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여 민주샘~지금 아이가 32개월입니다 자동차를 너무 사랑하는데...아이가 어느날부터인지 자동차의 어떤 부분을 만질때마다 미끌거린다고 떼를쓰고 운답니다.....도무지 알 수가 없어여 ㅠㅠ 어떻게 해야 될까요 ㅠㅠ
@user-dx8vj1cp1g
@user-dx8vj1cp1g 2 ай бұрын
헐 ㅋㅋㅋㅋㅋㅋㅋ 코딱지 뺄때 스트레스 받아하며 울길래 가슴에 손을 얹고 후~ 하라고 해보니 엄청 잘 따라하더라구요 ㅋㅋㅋ 두돌 전 아기에요 ㅋㅋㅋㅋㅋ그리고 결과적으로 심호흡하고 감정 진정한 후 코빼고 어린이집 갓어요 ㅋㅋㅋㅋㅋㅋㅋ
@user-nq2wh8tc6n
@user-nq2wh8tc6n 2 ай бұрын
30개월다되가는데 그냥 말로해 러고만했는데...감정책도 읽어주긴하지만 그거하고는다른것같아여..ㅠㅠ 말하는건 엄마안아조 안데요 또래보다는살짝느려요 그리고 울고있을때는 어찌해야하나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엄마 안아줘 안되요 정도 표현할 수 있는데 "말로해"는 너무너무 어려울 수 있어요. 아이가 할 수 있는 정도 수준으로 몸짓말이나 간단한 표현법을 많이 알려주세요 ~!
@ruth7847
@ruth7847 2 ай бұрын
선생님~요즘 저에게 딱 필요한 영상 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두 가지 궁금한 게 있는데 질문 드려도 될까요? 1. 그동안 저는 아이가 짜증내면서 울 때 달래주지 않고 스스로 진정할 때가지 기다렸거든요. 훈육할 때는 아이가 스스로 진정하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건 알겠는데 아이가 짜증을 낼 때 이게 훈육할 상황인지 아닌지 구분이 안 갈 때가 있어요. 만일 아이가 짜증이 나서 소리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거나 사람을 때리면 훈육해야 할 상황이지만 그런 경우가 아니라면 아이가 진정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하는 걸까요? 2. 그리고 훈육할 때 아이를 안아줘도 되나요? 어떤 육아 전문가는 안아줘도 된다고 하고 어떤 분은 아이가 엄마 말을 듣지 않고 엄마를 통제하려는 마음으로 안아 달라고 할 때는 안아주면 안 된다고 하는데 아이가 짜증을 내면서 안아달라고 할 때 이게 감정적으로 힘들어서 그런 건지 아님 상황을 통제하고 싶어서 그런 건지 구분이 잘 안 가요.
@sarahkim9726
@sarahkim9726 2 ай бұрын
저도 이부분들 궁금합니다!
@user-zihyee
@user-zihyee 2 ай бұрын
저도 공감이요.. 훈육상황에서 울고 소리지르고 난리하는거 보면 아직 감정조절이 힘든가 도와줘야하나? 생각이 들때가 있어요ㅠㅠ 현재는 단호하게 울음이 짖아질때까지 기다리고 있기는 한데 막 혼자 어쩔 줄 몰라할 때 보면 너무 힘들어보여서ㅠㅠ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먼저 1번 질문에 대한 답은 아이가 소리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등 훈육을 해야 할 행동을 하지 않았다면 아이의 감정 상태를 공감해주시고, 잠깐의 시간을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평소 어떨 때 짜증이 자주 나는지 관찰 후 조절해주실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해주시면 더 좋아요 (예: 피곤할 때 짜증을 많이 낸다면 수면 시간을 늘려주거나, 배고플때 짜증을 내면 간식 시간을 조절해 제공하시거나, 놀다 정리할 때 짜증을 내는 패턴이라면 정리하기 10분 전부터 미리 알려주는 등) 사람인지라, 짜증날 수 있기 때문에 그 감정에 대해서는 공감해주시되, 짜증날 때는 다른 사람한테 짜증내지 않고 혼자 시간을 가질 수 있음을 알려주는게 최종 목적이 되면 좋아요 ^^ 2번의 경우 강연장에서도 꼭 알려드리는 부분인데요. 기질에 따라 또 아이의 목적에 따라서도 다릅니다. 훈육 상황을 통제하고자 하는, 즉 훈육을 회피하고자 하는 울음이라면 단호함을 유지하면서 스스로 감정 조절하도록 기다려야 하는 것이 맞지만 아직 감정 조절이 미숙한 단계에서, 나에게 가장 중요한 타인인 엄마가 나를 보는 눈빛과 목소리 표정을 보면 더 진정되지 않고 감정 조절이 힘든 아이들이 있습니다. 결국 훈육의 목적은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가르치기 위함이기 때문에 스스로 들을 준비가 되지 않는 아이의 경우는 아이 감정 조절을 도와주신 후에 훈육을 진행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
@ruth7847
@ruth7847 2 ай бұрын
@@leeminjoo_lab 앗~바쁘실텐데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sss-jf4wy
@sss-jf4wy 2 ай бұрын
훈육할 때 안아달라고 하는 것... 저도 어떻게 하는게 올바른 방법인지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자세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하신 분께도, 답변 주신 선생님께도 감사드려요!^^
@kimbonobono
@kimbonobono 2 ай бұрын
두돌에게도 통할까요....? ㅎㅎㅎㅎ신기하게 엄마한테만 온갖요구 짜증.떼쓰고 안지도못하게하고 난리난리요..오히려 자주못보는 남편이달래면 1초만에 진정되요.....자다깨서도 그러고요 ㅠㅠㅠ
@user-bz5gf4sd9d
@user-bz5gf4sd9d 2 ай бұрын
부모가 아이의 거울이라는 이 보편적인 얘기가 곧 진리였네요..ㅠㅠ
@user-ns1sm9xz5i
@user-ns1sm9xz5i 2 ай бұрын
요즘 아이가 울음ㆍ짜증ㆍ분노가 심해져서 버거웠는데 필요한 영상 너무 도움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아이가 떼쓰고 울때 그냥 실컷 울도록 내버려뒀다가 다 울고 나면 안아줘야하는건지.. 떼쓰는 도중 안아달라고 할 때 안아주고 진정하도록 도와준 후 감정을 알려줘야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또 요즘들어 아이가 부모의 행동을 통제하려하고.. 이렇게해, 이렇게 하면 안되지 등ᆢ 어린이집 가서도 친구들의 행동을 선생님처럼 지적하며 잔소리 아닌 잔소리를 한다는데 아이에게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어려기만 하네요.. 이럴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rickknight6229
@rickknight6229 2 ай бұрын
요즘 아이에게 적용되는 내용이라 너무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ns1sm9xz5i
@user-ns1sm9xz5i 2 ай бұрын
4세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요즘 울음ㆍ분노ㆍ짜증이 심해져 버거웠는데 도움이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서 친구들의 행동을 선생님처럼 지적하고 잔소리를 한다는데.. 부모의 행동도 통제하려듭니다.. 이럴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하는건지 너무 어렵기만 합니다 ㅠㅠ 혹시 대처방법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leeminjoo_lab
@leeminjoo_lab 2 ай бұрын
역할을 분명히 알려주시면 좋습니다. 아마 선생님께서도 아이가 친구들한테 이야기 하거나 친구 행동에 대해 지나치고 선생님한테 와서 전달할 때는 "알려줘서 고마워~ 그런데 그건 선생님이 친구한테 이야기 할게" 라고 합니다. 집에서도 마찬가지로 "그건 엄마가 알아서 할게" 라고 알려주셔도 됩니다^^
@user-ns1sm9xz5i
@user-ns1sm9xz5i 2 ай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8 МЛН
Can teeth really be exchanged for gifts#joker #shorts
00:45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통제와 조절이 안되는 아이 교육법  l이민주육아상담소l
8:39
이민주육아상담소
Рет қаралды 17 М.
불필요하게 화내지 않는 부모님의 말습관 | 김종원 작가님
27:34
조작가의 스몰빅클래스
Рет қаралды 170 М.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