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에서 대박 난 신통방통 한국 물건🇰🇷두유노 코리안 호미? 최소 경력 50년! 영주 대장간 금손 대장장이의 K-호미(Ho-Mi) / EBS 극한직업

  Рет қаралды 416,263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2 жыл бұрын

경상북도 최고 장인에 선정된 대장장이가 운영하는 영주의 한 대장간. 이곳에서는 평균 경력 50년 이상의 대장장이 3명이 약 50가지 이상의 농기구를 만들고 있다.
날이 풀리면 농부들이 가장 먼저 찾는 것은 다름 아닌 호미. 때문에 하루 평균 200개 이상의 호미를 만드느라 대장장이들은 화덕 앞을 떠날 수가 없다. 작년 한 해 무려 7만 개가량의 호미를 만든 대장장이들. 그 중 4천 개는 해외로 수출됐다고!
이곳 호미는 미국에서 우리나라의 약 5배 이상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인기를 자랑하고 있다. 폐차된 자동차에서 나온 특수강철을 1200도가량 되는 불에 달구고, 수천 번 두드리고, 섬세하게 날을 다듬어야 대한민국의 자랑, 호미가 되는데~
시끄러운 쇳소리가 나야 살아있음을 느낀다는 대장장이들. 그들의 삶의 현장, 만나본다.
#극한직업 #아마존에서불티나게팔리는 #K호미
#석노기장인 #amazon #Homi #gardeningtool

Пікірлер: 225
@user-rc4em1ib2n
@user-rc4em1ib2n 2 жыл бұрын
어르신들 존경합니다. 이런 어르신들 덕에 우리나라가 이렇게 발전했습니다~♡
@user-ty6rs5ir2g
@user-ty6rs5ir2g 2 жыл бұрын
보물 호미네요. 농부들에겐 이순신 장군의 칼같은 느낌~~
@user-jx9eb9tn9m
@user-jx9eb9tn9m 2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장인이지요 안타까움이 밀려오네요 전수받을 젊은이가 없다는게 옛날농촌에서는 개인당 1개씩 저것이 밭을매는 중요 농기구었으니
@user-vw2zu2wh4q
@user-vw2zu2wh4q 2 жыл бұрын
이분들이야 말로 인간문화재 이시네요. 애국자이시기도 합니다. 전통을 이어가시고 있으니,, 다만 맘이 아픈것은 좀 더 좋은 환경이 아쉽네요 연세도 많으신데
@jaihong4535
@jaihong4535 2 жыл бұрын
대장간 하시는 분이 이 글을 보실지 모르겠으나,서양 빗자루,페인트 롤러등에는 Extension 손잡이를 스크류식으로 끼울 수 있게 돼 있어 필요시 자루를 길게 늘일 수가 있죠.주지하듯이 서양사람들 쪼그리고 앉아서 뭐 하는거 잘 못합니다.호미자루 부분을 조금 개량해서 Extension Rod를 끼웠다 뺏다 할 수 있게 하면 판매가 증대 되지 않을까요?가격이 좀 놀라가겠지만,자루를 끼울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가격차이를 두면 될 것 같고요. 현재도 잘 팔리지만 안주 하지 말고 제품을 좀 더 개량 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게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호주에 있는데요,이곳 Hardware Shop에서 보면 Extension Rod를 끼우는 나사는 빗자루고 페인트롤라고 거의 나사 모양이 같아서 호환성이 있습니다.호미자루에 범용성 있는 나사를 파주면 막대기는 소비자들이 아무거나(서양사람들 대개 집에 Extension Rod 한두개씩은 가지고 있습니다) 끼워서 쓸 수 있는 것이죠.이분들이 일 하느라 바빠서 이 글을 못 보시더라도 다른 분이라도 얘기 좀 해주시면 어떨까요.
@sns948
@sns948 29 күн бұрын
오래된 글이지만 답글달아봅니다. 농기구는 땅을헤집고 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은근 힘을 많이 받습니다. 빗자루나 페이트 롤러처럼 많은 힘이 들지 않는건 가능하지만 땅을 헤집고 파는 용도에 스크류식을 사용할수는 있지만 쓰면서 그부분이 유격이 심해지고 또 호미는 끌이나 다른 농기구 처럼 길게 하지 않는 이유가 앉아서 바로 앞에서 큰 동작없이 손목과 팔의 힘 많으로 잡초와 돌을 고르고 씨앗을 파종하기 위해 만들어진거라서 쪼그려 앉거나 굽혀서 작업하기 어려워서 긴 도구를 사용하려면 굳이 호미가 아니라도 괭이를 사용하면 됩니다. 하지만 호미는 잡초제거 땅고르기 동시에 파종을 위한 도구 입니다. 작은 텃밭일수록 용도가 아주 적절하죠. 쪼그려 앉아서 섬세하게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거죠. 손잡이(자루)가 지면 힘은 배로 들고 섬세한 작업은 어려워집니다. 몇천년을 사용하면서 호미가 왜 더 발전을 안했을까요? 제일 이상적인 크기와 각도 이기때문에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없는것 입니다. ^^ 선조들의 단조 기술은 뛰어났습니다. 이미 이렇게도 저렇게도 변형해서 사용해 보다가 각 용도에 맞게 호미가 나오고 괭이가 나오고 갈쿠리로 분류 되었겠죠. 한번 기회가 되시면 호미의 자루만 빼내고 내가 볼땐 이정도 길이의 손잡이가 작업에 좋을것 같아 라고 생각되는 크기로 바꿔서 사용해보세요. 몸소 체험 해보시면 아~ 그렇구나. 왜 손잡이를 안 늘리는지 아실거에요. 그리고 영상에 보셧듯이 호미도 뿌리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제품이 있긴 하지만 제일 큰 뿌리용 호미라고 해도 크기와 무게중심등 그것에 맞게 사용되었던 것이라서 크기는 많이 크지 않습니다. 익스텐션 기능을 넣지 않는 이유는 작업에 불필요 하기도 해서 입니다 ^^ 산에서 쓰는 약초용 괭이는 익스텐션 로드를 끼워 사용할수있는 제품들 많습니다. 하지만 그역시도 원로드 일체형 손잡이에 비교하면 내구성은 떨어집니다.
@user-ce4lz4jj1d
@user-ce4lz4jj1d 17 күн бұрын
손잡이 긴 것도 있는디
@user-qq2zi5ti7b
@user-qq2zi5ti7b Жыл бұрын
오늘 올리버쌤 영상에 영주대장간 5년만에 또 나와서 또 보러 옴ㅋㅋ
@soonwi8421
@soonwi8421 2 жыл бұрын
장인들의 땀방울로 하나하나 만든 호미를 더 귀중하게 소중하게 잘 간직하며 쓰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장인 여러분~
@user-wh1hi3rt1x
@user-wh1hi3rt1x 2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아무리 호미를 찾아도 없어서 항상 생각 했어요. 한국 호미가 미국에 있었으면...., 참 자랑스러워요
@jackal6685
@jackal6685 2 жыл бұрын
아마존에서 저 영주호미 팔아요. 여기에 비해서 가격은 비씨자만.......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user-vf9vg3yf5u
@user-vf9vg3yf5u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다 니들거래...문화대혁명 으로 다 없애버리고 나더니만..허전한갑재?? 시친핑이 다시 2차 문화대혁명 하는 거 같더구만..
@qwer2610
@qwer2610 2 жыл бұрын
호미의형태는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 고조선 부터 이어져오다가 개량되어서 고려시대 때부터로 나온거다 좁은 농토에 농사짓는 한국에서 발달한거다 뭐든지 중공거래 에라이 ㅅ ㅂ ㄴ 들아 우한코로나는 중공거 맞다 황사하고
@younghan475
@younghan475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 역대 중국인이 뭘 했다는것은 전부 거짓이다. 역사외곡도 너무심하다.
@TheMaxsaint
@TheMaxsaint 2 жыл бұрын
이런 기술에 나라가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한다..신기술에 대한 투자도 좋지만 이러한 전통기술들의 보존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2 жыл бұрын
보존? 젊은사람 누가배울까? 네가 배워서 보존좀해라
@TheMaxsaint
@TheMaxsaint 2 жыл бұрын
@@user-mir9711-no.1 그러니까 나라에서 지원해달라는거자나요..ㅜㅜ
@uro2686
@uro2686 2 жыл бұрын
한국 농자 천하지 대본 기본 제1순위 농 기게 호미 괭이 삽 순위로 되었네요. 참으로 장인 정신으로 훌륭하게 살아 가십니다. 존경 하며 응원 합니다.
@user-uj2wn8bv4z
@user-uj2wn8bv4z 2 жыл бұрын
ㅈㅅㅂㅅㅅㅅㄱㄷㅂㅂㅂㅂㅈㄷㅂㅈ
@user-uj2wn8bv4z
@user-uj2wn8bv4z 2 жыл бұрын
ㅈㅅㅅㅅㅅㅂㅂㅈㅅㅈ
@user-kb8kt2cv9f
@user-kb8kt2cv9f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전통농기구가 외국으로 수출나간다고 하니 넘 뿌듯합니다 아버님들 건강하시고 안전작업 하세요
@2mb1000
@2mb1000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장인들 솜씨를 보다가 간혹 외국에서 칼 만든답시고 여러 사람 나와서 대결하는거 보면 웃기더라고요 ㅋㅋ 이분들에 비하면 재롱 잔치들을 하고 있어요 ㅋ
@rookie7979
@rookie7979 2 жыл бұрын
멋지다. 존경스럽네요
@user-hl3bz1wr1n
@user-hl3bz1wr1n 2 жыл бұрын
호미가 전세계로 수출하고 있다고 하네요.역시 효자상품입니다.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danbipapa
@danbipapa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어쩌라고
@user-uy3dw6xe2h
@user-uy3dw6xe2h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세계에서 남의 기술을 무단복제하고 모든 것을 자기네가 원조라고 거짓말하는 국가답게 뻔뻔스럽네. 몇백년 지나면 스텔스 전투기도 자기 네가 가장 먼저 만들었다고 주장할 놈들.
@kardengangdo
@kardengangdo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Tiwan No.1
@user-gc5pu6en1n
@user-gc5pu6en1n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천안문사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
@youngbogchoi5738
@youngbogchoi5738 5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엔지니어분들^^😊
@user-sh5rf6zd8y
@user-sh5rf6zd8y 2 жыл бұрын
내 고향 영주!!!~~~
@user-un3xp6th7l
@user-un3xp6th7l 2 жыл бұрын
장인 정신 존경합니다.
@user-ix3rq9rp5j
@user-ix3rq9rp5j 2 жыл бұрын
석노기 사장님, 대장간 사업이 날로 번창하는군요. 농기구가 아마존으로 가기위한 준비가 한창인가봐요. 영주대장간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의성에서 죄상달.
@user-lv4rr3dk8u
@user-lv4rr3dk8u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에 살면서 호미가 생각이 나서 한국에서 한 개 사 왔는데 지금도 손에 잡고 쓰면 기분이 참 좋습니다.
@sebastian3004
@sebastian3004 2 жыл бұрын
10불이라니 말도 안된다. 일일이 두드려서 만드는걸 저 가격에 어떻게 파는지. 미국인이 저렇게 만들었다고 하면 최소 100불, 일본 사람이 손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동일한 가격 받을텐데 참...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nadanawhy
@nadanawhy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호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는 농기구 유물은 서울 구의동 유적이나 창녕 교동 3호분 등지에서 보이지만 이때는 보습의 파생형에 가깝다. 남북국시대 안압지 유물에서 본격적으로 낫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삼각형 형태를 딴 호미 유물이 실제로 출토되는 것은 빨라도 고려시대 이후부터다. 중국 강남지역의 농사법이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인데, 이 무렵에 중국의 농기구를 수입하면서 같이 들여왔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농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이렇게 유래는 불명이지만 시대가 흐르고 나서는 중국과 일본에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농기구가 되었다.고려시대부터 호미의 모습이 보였으니,호미의 역사는 꽤 깊다는 걸 알 수 있다.
@TheCygnet14
@TheCygnet14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jjang개 새끼들은 왜이렇게 유튭까지와서 설치는거냐? 문화대혁명과 천안문을거쳐 느그 문화는 없어졌는데 그래서 그러는거임?
@readyornnot
@readyornnot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Tibet Free. Taiwan No.1 Tian an men Free
@user-kn2ph6gj3s
@user-kn2ph6gj3s 11 ай бұрын
​@@user-by9xm5ez9j호미다 등신아!!
@user-sj1vh1zx4w
@user-sj1vh1zx4w 2 жыл бұрын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user-im6vp8mx4n
@user-im6vp8mx4n 2 жыл бұрын
와우 대단하십니다...건강하세요..!!
@user-wp5ec8bv9i
@user-wp5ec8bv9i 2 жыл бұрын
충분히 자부심을 가지실 분들입니다 존경합니다
@bkkim5968
@bkkim5968 2 жыл бұрын
대장간 사장님 대박나셨네요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국위선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ouglaskwon4971
@douglaskwon4971 2 жыл бұрын
대장간 작업은 단조작업 입니다 한국의 대장간이 저렇게 해외에까지 인기가 높을 줄 몰랐네요..축하합니다👍👍👍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21:30 갈탄 오랫만에 보네요. 90년대 후반 군에 있을때 겨울철 FDC 벙커에가면 항상 난로에 갈탄을 넣어서 난방을 했거든요.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그땐 IMF가 막터진 직후라 석유나 모든게 비쌌고 고성산불을 한번 크게 겪어서 모든 화덕난로가 금지됐는데 갈탄은 사용했어요. 행보관이 어디 연탄공장에 깨진 연탄조각들 가져오면 그걸 짓이겨 병사들이 직접 갈탄을 만들었거든요;; 조개탄이라 부르기도했는데 생각보다 화력이 좋아요. 불피우는게 힘들어서 그렇지;;;
@davidtaylor1305
@davidtaylor1305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멋있다
@user-yn4rh2bs6q
@user-yn4rh2bs6q 2 жыл бұрын
건강하시고 좋은호미 많이만들어 보급해주세요
@wgbae1555
@wgbae1555 2 жыл бұрын
한국 철기문화의 자부심, 영주대장간👍💯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nadanawhy
@nadanawhy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호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는 농기구 유물은 서울 구의동 유적이나 창녕 교동 3호분 등지에서 보이지만 이때는 보습의 파생형에 가깝다. 남북국시대 안압지 유물에서 본격적으로 낫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삼각형 형태를 딴 호미 유물이 실제로 출토되는 것은 빨라도 고려시대 이후부터다. 중국 강남지역의 농사법이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인데, 이 무렵에 중국의 농기구를 수입하면서 같이 들여왔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농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이렇게 유래는 불명이지만 시대가 흐르고 나서는 중국과 일본에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농기구가 되었다.고려시대부터 호미의 모습이 보였으니,호미의 역사는 꽤 깊다는 걸 알 수 있다.
@user-py7mi8lr7w
@user-py7mi8lr7w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짜장이 우리한데 알려준건 쓸데없는 공자왈 맹자왈이야.
@cloudkim62
@cloudkim62 2 жыл бұрын
@@user-py7mi8lr7w 100년은 퇴보했다지..
@changsukang1428
@changsukang1428 4 ай бұрын
@@user-by9xm5ez9j 시진핑 개새끼라고 한번 해봐 중국에 곰돌이 푸 사진도 못올리는 놈들이.
@chk5306
@chk5306 2 жыл бұрын
저도 영주에 들리면 명품 호미 몇개 꼭 사와서 선물 해야겠습니다..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nadanawhy
@nadanawhy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호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는 농기구 유물은 서울 구의동 유적이나 창녕 교동 3호분 등지에서 보이지만 이때는 보습의 파생형에 가깝다. 남북국시대 안압지 유물에서 본격적으로 낫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삼각형 형태를 딴 호미 유물이 실제로 출토되는 것은 빨라도 고려시대 이후부터다. 중국 강남지역의 농사법이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인데, 이 무렵에 중국의 농기구를 수입하면서 같이 들여왔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농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이렇게 유래는 불명이지만 시대가 흐르고 나서는 중국과 일본에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농기구가 되었다.고려시대부터 호미의 모습이 보였으니,호미의 역사는 꽤 깊다는 걸 알 수 있다.
@user-oz3tt3sk5h
@user-oz3tt3sk5h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동바형! 요즘 잘 지내시죠?
@changsukang1428
@changsukang1428 4 ай бұрын
@@user-by9xm5ez9j 시진핑 개새끼라고 한번 해봐 중국에 곰돌이 푸 사진도 못올리는 놈들이.
@user-ttaree082kor
@user-ttaree082kor 20 күн бұрын
@@user-by9xm5ez9j 하여튼 낄때 안 낄때 다 껴가지고 미움 받을 짓을 꼭 하지 이런 글 쓰기 전에 눈치라는 것 부터 배워라.
@user-wg3ul8tl4q
@user-wg3ul8tl4q 2 жыл бұрын
경북 영주시내 (호)戶지게 (미)微작다 쇠재질 ᆢ 차의 스프링 재활용 ♻️ 하다 ♻️ 재활용 ᆢ 호미를 만들다 ♻️ ♻️ 집중력 정신줄 놓으면 죽는다 ♻️ ♻️ 50년이상의 내공이 돋보이는 대장장이들.....♻️
@hesdialee4115
@hesdialee4115 2 жыл бұрын
젊은이들이 없는 걸 보니 명맥이 끊어지겠어요. 70대가 줄이고 4,50대도 없어요. 작업환경과 노동강도를 보니 젊은 사람들이 가고 싶어하지 않겠어요.ㅠㅠ
@gyeongmiryu2096
@gyeongmiryu2096 7 күн бұрын
호주에서 가드닝할때 호미 잘 사용하고 있어요~~쓸때마다 너무 감사합니다~~~~~~오래오래 건강하세요~:) 저도 한국 제품을 알리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icando4480
@icando4480 2 жыл бұрын
전통을 이어져 가고 우리에 기술력도 해외에 알리고 농기구에 한류 이분들이 애국자네요
@user-ku2lp9rp6s
@user-ku2lp9rp6s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전통적인 방식으로 국위선양 하시네요. ..... 감사합니다...
@ys3718
@ys3718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고급기술을 잘 전수해야 할텐데... 싸구려 중국산과 비교거부!!!
@user-zf1gf8xl9d
@user-zf1gf8xl9d 2 жыл бұрын
K국가에 K장인의 K호미 잘 보고 갑니다. 저는 이만 K일 하러 갑니다.
@willielee7991
@willielee7991 2 жыл бұрын
한국산 미국 아마존에서 호미는 구매 가능합니다 낫은 한국산이 없어서 일본산이 오네요 낫도 나무가지차기용, 풀깎기용 구분해서 납품 해 주세요.
@user-cm8zo8cl9f
@user-cm8zo8cl9f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는 호미 손잡이 뒤에 저렇게 나오게 해서 마무리 하지 않아서 좀 힘을 쓰면 손잡이에서 호미가 쑥 빠져 나와서 빠져나올 때마다 다시 집어 넣느라고 두들기고 그랬는데... 그럴 때마다 이거 빠지지 않게 못 만드나?...어렵지도 않겠구만...하고 생각했었는데.....
@user-pw1wm2ej9r
@user-pw1wm2ej9r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hbkim8195
@hbkim8195 2 жыл бұрын
진동 방지 장갑을 끼고 하면 건강에 좋을 듯. 물론 장갑에 방염처리를 해야겠지.
@user-lw1fb2uq4j
@user-lw1fb2uq4j 2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시네요 훌륭하십니다 이기술을 전수받을 젊은이들이 있을런지~
@iamwind
@iamwind 2 жыл бұрын
오 손잡이 안빠지게 잘만드네요. 예전에는 호미자루 빠지는 게 늘 불편했었는데 훌륭합니다. 괜히 수출이 잘되는 게 아니군요
@user-vm1pd5jh3g
@user-vm1pd5jh3g 2 жыл бұрын
아~~내 고향에 이런 국보급 대장간이 있었다는걸 이제사 알게 돼서 부끄럽습니다
@user-pb1bq6rr2p
@user-pb1bq6rr2p 2 жыл бұрын
아~~이제사 아셨니껴~~ 반갑심더~~
@user-xu1tx9th1p
@user-xu1tx9th1p 2 жыл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이 없네요 저기술 전수받았으면 좋겠는데 작업기술이 쉽지 않아보입니다
@sky.Ivy3727
@sky.Ivy3727 2 жыл бұрын
따라할수 없는 한국인 손기술
@user-jm3ig1lk8r
@user-jm3ig1lk8r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국보 장인들이십니다👍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changsukang1428
@changsukang1428 4 ай бұрын
@@user-by9xm5ez9j 시진핑 개새끼라고 한번 해봐 중국에 곰돌이 푸 사진도 못올리는 놈들이.
@Overcomer-dt4rb
@Overcomer-dt4rb 2 жыл бұрын
와~ 어르신들 너무 멋있으시다. 멋있어서 소름 끼쳐요
@fishingpark0
@fishingpark0 2 жыл бұрын
호미의 손잡이에 한문보다 한글로 호미라고 써서 수출하면 어떨까요?
@user-wc3vl4pq3k
@user-wc3vl4pq3k 2 жыл бұрын
제품이 아닌... 작품!!
@user-zz5sc8bb3y
@user-zz5sc8bb3y 4 ай бұрын
정말 멋지십니다^^존경합니다^^
@user-wq9vd8zt4j
@user-wq9vd8zt4j 2 жыл бұрын
장인이시고 예술가시네요 👍
@vegaaltair9357
@vegaaltair9357 2 жыл бұрын
젊은 사람도 일 배우러 몇명 왔다고 기사에서 봤었는데... 다들 그만두셨나... 세분 모두 대단하십니다!!!
@Comprehensive_YouTube
@Comprehensive_YouTube 2 жыл бұрын
너 갇으면 하것냐? ㅎ 반나절도 못하고 도망갈듯
@user-xu2ko4iq9t
@user-xu2ko4iq9t 6 күн бұрын
제일 대단한건 한가지일을 50년을 하셨다는거다 다들 대단하십니다...
@muskdoge643
@muskdoge643 2 жыл бұрын
백전노장 . .👍👍👍
@user-hv4if4xw6x
@user-hv4if4xw6x 2 жыл бұрын
우와!~대단합니다~~~
@namkkim619
@namkkim619 2 жыл бұрын
영어자막 넣어주세요, 아마존에 이분들 호미 있어서 링크 걸고 싶어요. 미국사람들 호미 어떻게 쓰는지 아는 사람은 별 많이 주는데 쓰는 방법을 모르거나 약하게 보인다고 별 하나 주는 사람들이 있어 안타갑네요
@user-nq3np5ce5v
@user-nq3np5ce5v 2 жыл бұрын
삽도 좀 긴 것좀 만들어 주세요. 평균신장도 많이 커졌는데 삽 길이는 그때 그대로라 삽질만 하면 들어 누워야 하네요.ㅋ
@AlpaAndromeda
@AlpaAndromeda Жыл бұрын
이것이 명품이다. 유명 사치품을 명품이라고 하면 안된다. 그런데, 가격은 만원도 안된다. 그런데, 이제는 명맥이 이여줄 사람이 없을 것 같네요.
@enoeht9629
@enoeht9629 2 жыл бұрын
히야... 판타지 게임에서나 보던 진짜 대장장이 장인이네 장인..... 사람손으로 움직여서 저 모양을 만들고 눈으로 색깔만 보고 정확한 온도까지 맞출려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노력이 들어가야하는지 상상조차 못하겠네요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user-jv4us9gu2g
@user-jv4us9gu2g 2 жыл бұрын
홈이 ㅋㅋ
@changsukang1428
@changsukang1428 4 ай бұрын
@@user-by9xm5ez9j 시진핑 개새끼라고 한번 해봐 중국에 곰돌이 푸 사진도 못올리는 놈들이.
@kkevin58
@kkevin58 2 жыл бұрын
오래살고 보니란..말이있지요 저분들 십대 이십대일때 얼마나 고생이 많으셨겠나..이제는 틀딱소리나 듣지.. 부디 투표잘하세요. .그 세월을 미래를 위해서 쓰세요
@avan3771
@avan3771 4 ай бұрын
나이가 먹을 수록 이런 장인들 존경하는 마음이 생기네요
@master258
@master258 2 жыл бұрын
Молодцы !
@michelles3968
@michelles3968 2 жыл бұрын
쇳조각이 여러 손을 거쳐서 호미 뚝딱... 완전신기해요
@ohjay6636
@ohjay6636 2 жыл бұрын
멋진 형님들이네요 ^^ 아마존에 $34.99 오리지널 영주호미라고 나오는데 이거 맞나요? 하나 사야겠어요
@sgoon21
@sgoon21 2 жыл бұрын
시설투자 좀 해주지… 유럽 공방 같이 좀 차려놓고 만들면 안되나??
@KoreaSwords
@KoreaSwords 2 жыл бұрын
영주대장간 사장님 별일 없으시죠? 항상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user-qu3kf6cf3t
@user-qu3kf6cf3t 2 жыл бұрын
호미의 각도와 휨새는 써본사람은 검탄하지않을수 없지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nadanawhy
@nadanawhy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호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는 농기구 유물은 서울 구의동 유적이나 창녕 교동 3호분 등지에서 보이지만 이때는 보습의 파생형에 가깝다. 남북국시대 안압지 유물에서 본격적으로 낫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삼각형 형태를 딴 호미 유물이 실제로 출토되는 것은 빨라도 고려시대 이후부터다. 중국 강남지역의 농사법이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인데, 이 무렵에 중국의 농기구를 수입하면서 같이 들여왔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농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이렇게 유래는 불명이지만 시대가 흐르고 나서는 중국과 일본에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농기구가 되었다.고려시대부터 호미의 모습이 보였으니,호미의 역사는 꽤 깊다는 걸 알 수 있다.
@user-hr7ep2ue9j
@user-hr7ep2ue9j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遼東요동은 고대부터 조선의 옛 땅이다 조선요동강계로 왜구실조선요동총로 倭寇室朝鮮遼東總路 (中國 古地圖) 日本圖夷入寇之圖 왜구들의 중국 대륙 침투길을 설명한 조선 요동강계로 왜구 침투 경로 중국고지도의 증거 자료가 있다 중국인들이 자랑하는 마오쩌둥(모택동)이 김일성에게 원래 요동은 조선땅이였다... 중국 외교부가 펴낸 사료 통해 확인할수있다 周恩來(주은래) 주은래 "고조선-고구려-발해사는 모두 한국사"이다
@cloudkim62
@cloudkim62 2 жыл бұрын
@@user-hr7ep2ue9j 삼국사기의 일식기록만 봐도 우리의 영토가 얼만했는지...
@changsukang1428
@changsukang1428 4 ай бұрын
@@user-by9xm5ez9j 시진핑 개새끼라고 한번 해봐 중국에 곰돌이 푸 사진도 못올리는 놈들이.
@zhanghao07
@zhanghao07 2 жыл бұрын
와 66세인데 경력이 52년이면 14세부터 일을 하신거네
@user-gi5hw3jp4n
@user-gi5hw3jp4n 2 жыл бұрын
대장 간의 추억 이 새삼 스럽네요 조상의 혼이 담겨 있네요 한가지 일에 심려 을 다한 자랑스러운 장인이네요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nadanawhy
@nadanawhy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호미의 조상으로 볼 수 있는 농기구 유물은 서울 구의동 유적이나 창녕 교동 3호분 등지에서 보이지만 이때는 보습의 파생형에 가깝다. 남북국시대 안압지 유물에서 본격적으로 낫 형태를 보이기 시작하지만, 오늘날과 같이 삼각형 형태를 딴 호미 유물이 실제로 출토되는 것은 빨라도 고려시대 이후부터다. 중국 강남지역의 농사법이 많이 도입되었던 시기인데, 이 무렵에 중국의 농기구를 수입하면서 같이 들여왔는지, 아니면 독자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농학자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이렇게 유래는 불명이지만 시대가 흐르고 나서는 중국과 일본에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고유의 농기구가 되었다.고려시대부터 호미의 모습이 보였으니,호미의 역사는 꽤 깊다는 걸 알 수 있다.
@user-gn5lw3be2f
@user-gn5lw3be2f 2 жыл бұрын
그시절에는. 국민학교 졸업하고 대장기술배운거임
@shinwoohyun76
@shinwoohyun76 2 жыл бұрын
대장장이 장인들을 무형문화재로 인정해 주세요 문화의 유산도 국보에 준하는것입니다 대를 이어야 할 텐데요 정책이 있었음 합니다. 지금 챙기지 않음 다 없어질 수 있음
@mistilteinn6586
@mistilteinn6586 2 жыл бұрын
경력이 기본이 50년이시네요 와우;
@user-ju1qe3cm4r
@user-ju1qe3cm4r 2 жыл бұрын
K-호미 👍👍👍
@hyeonkeeshin3366
@hyeonkeeshin3366 2 жыл бұрын
어르신들이 만들면서 어르신들이 많이 찾는다는 말에 .... ㅍㅎㅎㅎ 어차피 장인이라는 사람들은 말로 가르쳐주지 않고 어깨너머로 통채로 씹어먹는 사람만이 후계자가 될수 있지만.... 6~70년 세월이 흘렀는데 1950년대 또래들의 생활은 환경의 차이가 있어도 먹는 취향까지도 비슷하구나!
@user-tv8fg3hn3m
@user-tv8fg3hn3m 2 жыл бұрын
오오
@YalleeKim
@YalleeKim 2 жыл бұрын
호미.....홈이.....땅에 홈을 내는 도구
@eunkim2867
@eunkim2867 2 жыл бұрын
이태리 장인만 장인인가 이분들 국보급 장인들이세여!! 정말 대단하세요 학교만들어 이 국보급기술 전파할수 없나요!! 너무 안타까워요
@ajibeagle5778
@ajibeagle5778 2 жыл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이 기술 배워서 맥을 이었으면 좋겠다
@user-tp7ju7lu3v
@user-tp7ju7lu3v 2 жыл бұрын
장인
@yongjoojung7085
@yongjoojung7085 2 жыл бұрын
어떻게 아마죤에 진출하셧을까요 대단하십니다
@koreahello7107
@koreahello7107 2 жыл бұрын
중국산은 호미가 끝이 오그라듬 사용할수없음 지금 설대목을 맞아 중국산이 많이들어와있어니 먹거리 살때 조심하셔요 살충제 사용
@lighthouse9555
@lighthouse9555 2 жыл бұрын
👍👍👍👍👍✌
@kor22-24
@kor22-24 2 жыл бұрын
❤️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moon-qz5oh
@moon-qz5oh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헤파이스토스,,,,,,👍👏🙏
@su-qs4kk
@su-qs4kk 2 жыл бұрын
호미의 흠은 자르가 빠진다는 것만 아니면 완벽한 농기구다
@user-zu5mk6zc8q
@user-zu5mk6zc8q 2 жыл бұрын
영상 23분 51초에 자루 안빠지게 마감 하시던데, 그래도 자루가 빠지나요? 아님 다른 호미는 저런 마감을 안하나요?
@ImpeachYun
@ImpeachYun 2 жыл бұрын
저도 첨에 와국나와 살면서 정원용 기구에 호미 비스므리한 게 없어서 왜 없을까 생각했었는데..모종삽 같은 것만 있거든요.
@kimkneel99
@kimkneel99 5 ай бұрын
👍
@user-kz9hu4ks7m
@user-kz9hu4ks7m 2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호미를 사용해 보니 나무 손잡이가 좀 짧아요 좀더길게 해주세요 미국인들은 짧다 고 해요
@jaihong4535
@jaihong4535 2 жыл бұрын
경쟁자들이 좀 더 편의성 있는 제품으로 도전 하면 우리나라 제품이 밀려 납니다.대부분 농기구나 Gardening 기구들 끼워 쓰는 핸들의 나사는 대부분 범용성이 있는 것을 사용 합니다.호미를 사가면 서양인들 집에 있는 다른 기구의 자루에 끼워 쓸 수 있다는 것이죠.
@coma6997
@coma6997 2 жыл бұрын
영주대장간 촬영할때 저도 영주대장간촬영한거 봤어요
@LEEANFARM
@LEEANFARM 2 жыл бұрын
👍🏻 👍🏻 👍🏻 👍🏻 👍🏻
@user-uw9bp4qz7k
@user-uw9bp4qz7k 2 жыл бұрын
방진 마스크를 꼭 쓰고하세요. 형님들!
@boringman8388
@boringman8388 2 жыл бұрын
갈탄.. 환경에는 치명적이지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Жыл бұрын
대장장이 분들의 노고에 눈물이 나는건, 한 평생 일해와서 이제 은퇴할 나이에 대장간엔 2030 젊은 사람이 없다는것..
@user-pz3uw6pu2h
@user-pz3uw6pu2h 2 жыл бұрын
정원은 없지만 호미한자루사고싶다..
@user-ln3jf8og4i
@user-ln3jf8og4i 2 жыл бұрын
내 동생 저기서 군대가기전에 알바했는데
@user-ck1ow8mj8o
@user-ck1ow8mj8o 2 жыл бұрын
어릴적에 시장대장간 하는것보앗는뎅 쇠를달구고 두들기고 난다음에 물인지먼지는 몰라도 살짝살짝 물표멘에 식혀서 다시 달구곤 혓는뎅 그게 담금질이란걸 알앗는뎅 쇠재료가 강철이라서 담금질이없네여
@csk2616
@csk2616 2 жыл бұрын
저정도면 1개 10만원은 더 줘야 할 것 같은데..;; 그리고 그 옛날엔 다 손으로 했을 꺼 아냐 ㄷ ㄷ ㄷ 근데 농기구는 엔간하면 전세계 비슷하게 발전하던데 어째 외국은 호미는 생각을 못 했을꼬??? 근데 주물로 녹여서는 못 만드는 건가영??? 밀도가 차이 나긴 하겠다만.. 때려서 더 단단해지니까...
@KIMSEONGHYEON
@KIMSEONGHYEON 2 жыл бұрын
제가 살고있는 지역이에요
@MrJohnypark
@MrJohnypark 2 жыл бұрын
아마존에서 호미 여러가지로 있던데 뭐가 다른가요?
@2mb1000
@2mb1000 2 жыл бұрын
쓰임새의 차이죠. 어떤 곳에 쓰느냐에 따라 호미의 모양이나 크기가 달라야 합니다. 만약 밭에다 콩으르 심는다 쳐요. 콩 모종을 심는게 아니라 그냥 콩알을 심으려면 넓고 큰 호미보다는 좁고 작은 호미가 좋죠. 근데 밭에서 풀을 매려고 하면 크고 넓은 호미가 유리합니다. 풀을 뿌리까지 뽑는 경우도 있지만 풀 종류에 따라서 그게 안되는 것들도 있다보니 그냥 호미로 긁어서 제거하는 게 편할수도 있거든요. 호미가 크고 넓어도 끝은 뾰족하니까 뿌리째 뽑을 때는 그 부분 사용하면 되고 긁을 때는 넓은 부분 사용하면 되고 잡초가 아닌 작물에 북주기를 할때엔 당겨서 사용하면 되고. 호미는 한번 써보면 계속 쓰게 되죠. 다른 도구들은 다양한 작업이 어려운데 호미는 아주 많은 일을 할수가 있어요. 작물을 심고 잡초를 뽑고 땅을 갈아 엎고 전천후 장비죠.
@MrJohnypark
@MrJohnypark 2 жыл бұрын
@@2mb1000 그렇군요 그냥 한인마트에서 저렴한 호미 몇개 사서 써 봤는데 올해만 2개 부서 졌습니다. 그래서 좀 괜찮은 것 검색 해보니 k homi 가 있어서 궁금했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2mb1000
@2mb1000 2 жыл бұрын
@@MrJohnypark 공자와 맹자가 중국 사람이지만 실제로 유교문화가 가장 잘 보존된 곳은 대한민국이죠. 한국 사람들이 식민지배와 전쟁으로 가난하고 힘들 때엔 도둑질도 하고 그랬습니다. 그런데 한국살마들은 기본적으로 자존심이 엄청 강해요. 그게 유교문화의 결과죠. 남이 지켜보지 않아도 스스로 양심을 지킵니다. 남의 것으르 훔치면 나쁘다는 교육을 어려서부터 받고 처벌이 무서워서 법을 지키는게 아니라 남의 물건이나 돈에 손대면 창피하다 생각하는 거죠. 굶어 죽을 상황이 아니라면 거지나 남의 돈과 물건으르 훔친다 생각하는 거에요. 내 명예를 스스로 지키는 거죠. 내가 이거 훔칠수 있어도 이거 안 훔친다고 굶어 죽는 것도 아닌데 왜 창피하게 도둑질을 해? 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이게 직업에도 작용하죠. 직업 윤리라는게 있어요. 내가 대충 일해서 돈 잘 벌어도 피해보는 사람이 생기면 스스로 부끄러워하죠.
@user-by9xm5ez9j
@user-by9xm5ez9j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홈이라고 하는 농구는 중국의 锄头추토우입니다. 저것이 조선반도에 선진기술을 가르쳐주신 과거 중국인들이 조선이 준 것입니다. 추토우는 여전히 중국의 것입니다. 한국인들은 무지정보라서 정확한 알림을 축적합니다.
@MrJohnypark
@MrJohnypark 2 жыл бұрын
@@user-by9xm5ez9j 헛소리 하지말고 중국인
@Comprehensive_YouTube
@Comprehensive_YouTube 2 жыл бұрын
낫은 일제께 좋음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Full] 극한직업 - 문(門) 만드는 사람들 20140402
43:56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268 М.
Process of Making Traditional Hoe by Skilled Korean Blacksmith
9:51
All process of world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