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메리카 들소는 어쩌다 멸종 직전까지 가게 됐을까? / 💀 feat.국립중앙박물관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Рет қаралды 353,681

Civilized Pirates

Civilized Pirates

28 күн бұрын

☠ 이 영상은 국립중앙박물관과의 협업을 통해 제작되었습니다.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기획전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o 전 시 명: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o 기간: 2024.06.18 - 2024.10.09
o 장소: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o 전시품: ’원주민 복식’ 등 북미 원주민의 삶과 예술을 보여주는 회화, 복식 등 151점
▷ 티켓링크 www.ticketlink.co.kr/product/...
▷ 네이버 booking.naver.com/booking/12/...
오늘날 미국의 국수(國獸)로 널리 알려져 있는 ‘아메리카 들소’는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삶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동물이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인디언’이라는 명칭으로 알고 있는 북아메리카 원주민들.
북미 원주민들과 아메리카 들소는 어떤 관계였고,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살아 왔을까요?
유럽인들의 북아메리카 진출 이후, 북미 원주민들과 아메리카 들소들이 겪어 온 역사를 짚어 보며…
자연과 문명, 원주민과 이주민들의 관계에 대해 고찰해 봅니다.
#버팔로 #인디언 #국립중앙박물관

Пікірлер: 512
@jhns19
@jhns19 27 күн бұрын
아메리카 들소의 경우는 그나마 양호한 케이스입니다... 여행비둘기라는 새는 19세기 초까지만해도 북미에서 가장 개체수가 많은 조류 중 하나였지만,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불과 100년 만에 멸종되어버렸지요...
@Happyhappy_Bird
@Happyhappy_Bird 22 күн бұрын
나그네비둘기라고도 불렸던 종으로 기억합니다
@user-ly5lq1lm1j
@user-ly5lq1lm1j 22 күн бұрын
맛이 기가막혔다고하네요
@caspiel1008
@caspiel1008 21 күн бұрын
맛있어서 멸종...
@Happyhappy_Bird
@Happyhappy_Bird 21 күн бұрын
@@user-ly5lq1lm1j 멸종의 필수요소..ㅜㅜ
@user-cp4eo9fy5m
@user-cp4eo9fy5m 17 күн бұрын
실제 비둘기 맛이 굉장히 좋다고 합니다 닭과 오리 고기를 비교 해보면 오리가 좀더 농축된 맛?? 이 느껴진다 한다면 오리와 비둘기가 맛의 차이가 그정도 난다 합니다
@user-tw1bj1ox2v
@user-tw1bj1ox2v 27 күн бұрын
버팔로는 미대륙에서 사라졌지만 대한민국 인터넷상에서 널리 번식 중입니다
@harlibedvii
@harlibedvii 27 күн бұрын
어찌 한국의 인터넷에만 있을까? 지구촌 어디서나 볼수있는 종족일겁니다
@changho8743
@changho8743 27 күн бұрын
ㅎㅎㅎㅎㅎ
@scshin-ek2br
@scshin-ek2br 27 күн бұрын
엌ㅋㅋㅋㅋㅋ
@-ssong8013
@-ssong8013 27 күн бұрын
ㅋㅋㄱㅋㅋㄱㅋㄱㅋㄱㅋㅋ ㅇㅈㅋㄱㅋㄱㅋ
@user-ku9ky9gp1n
@user-ku9ky9gp1n 27 күн бұрын
번식?
@gsk6541
@gsk6541 27 күн бұрын
폰트 보자마자 국립중앙박물관인걸 확인했네요. 역시 이번 전시도 즐거울 것 같습니다.
@user-oe7mu7xx9p
@user-oe7mu7xx9p 25 күн бұрын
폰트를 보자마자 국립중앙박물관을 눈치채시다니! 그리고 이번 전시도 즐거울것 같다는 말씀은 평소에 전시를 즐기시는 교양인이신가봐요!!!!!!!!!!
@jefferyhanderson7849
@jefferyhanderson7849 26 күн бұрын
자유의 땅, 용자의 고향이라고 불리는 미합중국의 어둡고 질척한 역사. 미 대룩 전역에서 학살되거나 박해당한 원주민들과 들소들에게 애도를 표합니다.
@user-mg6yx8du7n
@user-mg6yx8du7n 27 күн бұрын
몇년전부터 보고 있었지만 정말 퀄리티 높은 영상에 감탄합니다 앞으로도 재미있고 유익한 영상 기대할께요 🎉
@Rushmoom9541
@Rushmoom9541 27 күн бұрын
영국의 만행: 어휴 영국 또 너야? 역시 만악의 근원 영국 ㅋㅋ 미국의 만행: 음 역시 국제사회는 힘이 없으면 당할 수 밖에 없지
@Thoughtcrime.
@Thoughtcrime. 27 күн бұрын
아 ㅋㅋ 누가 몰락하라 했냐고
@user-zg4yx3ky5p
@user-zg4yx3ky5p 25 күн бұрын
그야 미국이 만든 위성국가니까
@ksjfiejdps3049
@ksjfiejdps3049 16 күн бұрын
사실 20세기 들어오면 미국이 훨씬 심한데
@Video-hr2ig
@Video-hr2ig 7 күн бұрын
스페인의 만행" 쓰윽 중남미권에서 그래서 쓰윽 아몰라 프랑스의 만행: 혐성국 다음급으로 다양한 대륙에서 벌인 짓...역시 아몰라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2 күн бұрын
???: 미국이 주도하는 질서 그것은 거역할 수 없어
@45s.mp3
@45s.mp3 27 күн бұрын
대단한 들소.
@45s.mp3
@45s.mp3 8 күн бұрын
@user-qr5kf3tn2w WTF is this shit
@Yoro_story
@Yoro_story 27 күн бұрын
언제 봐도 느끼는 건데 밈이나 짤방 활용이 적재적소에 그걸 직접 그린다는 게 대단하네요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27 күн бұрын
인공지능 쓰면 저런거 10분이면 다 그려요 ㅋㅋㅋㅋㅋㅋ
@user-lk6xr6ok3t
@user-lk6xr6ok3t 27 күн бұрын
@@user-lq6lm8fh6m 되겠냐? 진짜로 되면 지금 애니 회사 다 망했지
@user-kz9dn8sq7v
@user-kz9dn8sq7v 27 күн бұрын
@@user-lk6xr6ok3t 그저그런 퀄리티로 뽑는거하고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수준으로 뽑는거하고 구분도 못하는 놈인데 그런거 알겠음? ㅋㅋㅋ
@minkeyes2673
@minkeyes2673 27 күн бұрын
@@user-lq6lm8fh6m 아오 찐따새끼 분위기좋게 칭찬하는 꼬라지를 못보네
@user-lq6lm8fh6m
@user-lq6lm8fh6m 27 күн бұрын
@@user-lk6xr6ok3t 네?? 애니 회사들은 오히려 인공지능을 활용해서 더 적은 인건비로 애니를 제작할수 있으니 인공지능이 발달할수록 더 이득인건데요?ㅋㅋㅋㅋㅋㅋㅋ 혹시 머리에 문제 있으신가요?ㅋㅋㅋㅋㅋㅋㅋ
@backpackersLAB
@backpackersLAB 27 күн бұрын
5:53 어쩐지 레데리2에서 들소한태 총 막갈기면 명성떨어지더니... 그래서그랬구나 ..
@WooSup111
@WooSup111 17 күн бұрын
GTA5에서도 사람 주먹으로 패서 죽이면 경찰안뜨느데 여러명 쓰러뜨리면 경찰뜸 그래서 적당히...
@user-lp6ks2pk1b
@user-lp6ks2pk1b 21 күн бұрын
영상 퀄리티 대단하네요. 원주민 인종청소 정말 분노스럽네요
@jasonschannel-si8zi
@jasonschannel-si8zi 26 күн бұрын
저번에 중앙박물관 갔을때 이 전시 관람하려고 사진도 찍어놨는데 얼리버드 티켓이 있는건 처음 알았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2 күн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qr9xv7rb2i
@user-qr9xv7rb2i 2 күн бұрын
최고입니다
@user-et4dj5fc1b
@user-et4dj5fc1b 27 күн бұрын
그 오랜만에 생물이야기나오니까 오랜만에 공룡이야기도 한번 듣고싶네요 어릴적 추억도 돼새길겸
@andrewkim1422
@andrewkim1422 23 күн бұрын
정보 오류가 있네요.. 아메리카 대륙의 들소는 Buffalo가 아니라 Bison(바이슨)입니다. Buffalo는 아프리카 대륙에 서식하는 물소이지요.
@Kimdohan_1972
@Kimdohan_1972 27 күн бұрын
근데 말이 복원이지 수천만 마리가 겨우 300마리로 줄다니.....유전자 다양성이.....어후 개인적으로 규모가 상당한 인류사의 흑역사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user-dg9gy8er9c
@user-dg9gy8er9c 27 күн бұрын
13:05 아이러니한게, 이렇게 정리한 대륙횡단철도(암트랙 등)은 놀라울 정도로 아무도 타지 않고 있다고 한다... 끼야아아ㅏ
@Wicle
@Wicle 27 күн бұрын
ㅠㅠ 만들었으면 활용이라도 많이 하지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27 күн бұрын
그래도 항공과 하이웨이가 물산을 대체하기까지 그 루트를 통해 서부 도시들과 네트웍이 건설된 것이니, 시대사명은 다 했음. 그 철도에서 뉴욕 마천루와 카네기홀, 록펠러센터 등의 문화시설 건설의 부가 나온 것이니, 뉴욕도 절반은 대륙철도가 만든 것.
@mnsyvl
@mnsyvl 27 күн бұрын
지금도 미국에서 물류는 철도 많이 써요
@gmvisck
@gmvisck 15 күн бұрын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중에 인간은 지구에겐 암세포다.. ~kinsei~
@user-mg7gj5uu8y
@user-mg7gj5uu8y 27 күн бұрын
욕심부리지 말고 필요한 만큼만 가져가는 것이 미덕이라는 교훈을 느낍니다. 들소들이 거의 절멸한 뒤에는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욕심부리지 말고 필요한 만큼만 가져가는 것이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죠. 공정하고 평등한 이론 공산주의는 진정한 선이고 자본주의는 진정한 악이죠. 칼마르크스와 트로츠키,버니샌더스도 유대인이에여 공산주의 모범국가 라오스,베트남,쿠바,루마니아,벨라루스 사회주의는 공정이고, 공산주의는 평등이고 자유는 책임이며 자본주의는 화폐수단의 독재행위이자 돈의 독재행위죠. 사회주의로 평등복지 사회복지성공한 북유럽국가 복지강국 스웨덴과 교육강국 핀란드
@dlfma-iu3vu
@dlfma-iu3vu 27 күн бұрын
전 자원보존따위는 허상이고 자연은 인간이 착취할 대상이란 교훈을 얻었는데요
@user-sz5nx7uk2v
@user-sz5nx7uk2v 27 күн бұрын
@@dlfma-iu3vu근데 70억명이 자원보존 안하고 착취하기만 하면 우리세대에서 좆될걸?
@user-lb1bi2nz9g
@user-lb1bi2nz9g 27 күн бұрын
중부평원의 질긴 풀밭은 갈아 엎어져 옥수수벨트가 되었고, 인간종이 늘어난 생태계로 바뀌었지요. 야생은 끝장나고 국립공원 같은 보호구역만이...
@user-ov5qf9fl8l
@user-ov5qf9fl8l 27 күн бұрын
​@@dlfma-iu3vu 떠먹여 줘도 못 먹네요. 뭐 입까지 벌려 드려요?
@neverDaum
@neverDaum 2 күн бұрын
오늘 전시회 가서 이 영상 앉아서 또 봤습니다 ㅋㅋㅋㅋ
@manobit
@manobit 24 күн бұрын
이 영상은 인간적으로 추천을 박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carrot0204
@carrot0204 27 күн бұрын
이번화 미쳤다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user-pg5ml9bx6w
@user-pg5ml9bx6w 27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들소는 유럽이나 북미나 복원사업이 꾸준히 잘 성공적으로 진행되서 다행인...동남아코뿔소들 복원사업이 뭔꼬라지인지만 생각해봐도. ...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27 күн бұрын
이번에 자바코뿔소 밀렵꾼 때문에 개체수가 늘긴 커녕 오히려 더 줄었다고 하더군요....
@user-lm8et4lp9s
@user-lm8et4lp9s 27 күн бұрын
되, 돼 모르는 문맹들 천지네 ㅉ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제가싱가포르유학파인데 싱가포르는 코뿔소들 복원사업 성공적으로 잘 처리하려고 노력하고있음 동남아에 고정관념 내새우지마세여
@user-pg5ml9bx6w
@user-pg5ml9bx6w 27 күн бұрын
@@sakeL744 그 동남아 '에사는' 코뿔소들을 말한거지 특정 국가들을 말한게 아닌데요..?
@user-pg5ml9bx6w
@user-pg5ml9bx6w 27 күн бұрын
@@user-wk6qc4pz6s 그쵸...인도네시아 정부의 사기극이었다고 .. ..
@user-sf4ez4ob4e
@user-sf4ez4ob4e 27 күн бұрын
명백한 운명!!
@user-sh8ye8qb8k
@user-sh8ye8qb8k 23 күн бұрын
인디언들은 우리와 비슷한 유전자 가짐... 바이칼호수 근처에 사는 원주민둘과 상당히 같음..
@user-wk6qc4pz6s
@user-wk6qc4pz6s 27 күн бұрын
여행비둘기도, 블랙핀시스코연어도, 캐롤라이나앵무도 모두 잔인한 학살 속에 사라진....
@Hyuchan1002
@Hyuchan1002 22 күн бұрын
인간이 최대의 자연재해입니다
@user-dz5qy4fn7b
@user-dz5qy4fn7b Күн бұрын
이 영상 유튜브보다 박물관에서 먼저 봐서 좀 놀랐음.
@leecaesar2044
@leecaesar2044 27 күн бұрын
2년전, 이 채널에서 아문센 이야기 보고 나서, 노르웨이 오슬로에 프람 박물관 가서 좋은 시간 보냈던 경험이 있습니다 :) 이번에도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Made_In_Christmas
@Made_In_Christmas 25 күн бұрын
'명백한 운명'이라는 미국의 대륙 서진 정책이 있었죠, 지금의 세계의 수호자 미국의 이면에는 제국주의가 남아 있고 피해자 역시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았으면 합니다. 그게 사람이든, 동물이든지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Hectopascal_Kick
@Hectopascal_Kick 23 күн бұрын
저런 귀한 특별전이 하필이면 입대 후에 열리다니
@studio_pirates
@studio_pirates 23 күн бұрын
헉 헥토파스칼님 입대하시는군요 ㅜㅜ... 요거 거의 연말까지 하니까 신병휴가 때 ㄱㄱ~!!!
@woohyuksong
@woohyuksong 22 күн бұрын
탈영ㄱㄱ
@dugwons40
@dugwons40 3 күн бұрын
Yellow Stone N P 주변에 엄청 많은 들소를! N. Carolina 시골, 들 사슴 많아요. Washington DC, 강건너, 이웃 주(state), Illinois 들판에 엄청 많은 야생 더키들, 각 주마다 동물 사랑 극진한편입니다.
@LeafofMadness
@LeafofMadness 27 күн бұрын
그렇구나~! 좋은 지식 감사합니다.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좋은 지식아니라 좋은 지혜입니다.
@galahadagent6639
@galahadagent6639 27 күн бұрын
지식도 맞는 표현입니다...
@danj6686
@danj6686 27 күн бұрын
저번 합스부르크전도 재밌게 보고 왔었는데 지식해적단이 광고하는 전시회는 아묻따 갑니다
@hyj1431
@hyj1431 27 күн бұрын
5:46 젠장 또 대들소야 나는 그를 숭배해야만해
@Fallen_President
@Fallen_President 27 күн бұрын
들소 부랄 마구 때리기 ㄷㄷ
@user-jw9zh7tu5t
@user-jw9zh7tu5t 27 күн бұрын
그래야만 한다.
@user-it7hv7fh2x
@user-it7hv7fh2x 27 күн бұрын
5:46 좌표 잘못 찍으신듯
@user-ci2bp5de4y
@user-ci2bp5de4y 23 күн бұрын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영화 [늑대와 춤을]이 생각나네요. 주인공이 원주민들과 말을 달리며 들소들을 사냥하던 장면이 생각납니다. [탈리 이한탈라 1944]란 핀란드 영화가 있는데 2차대전 말기인 1944년 독일과 동맹을 맺고 소련에 맞서 싸우는 핀란드군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전쟁영화 입니다. 영화내용중 핀란드군 전차병들이 소련군 전차병이 버리고 간 들소고기 통조림을 보고 좋아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아마 미국이 소련에 원조해준 물자중 하나였을텐데 들소를 전투식량으로 만들 정도였다니 놀랐습니다. 완두콩 수프와 호밀 비스킷으로 버티던 핀란드군들에게 고기통조림은 오랜만에보는 환희 였던 것이죠.
@kej7884
@kej7884 26 күн бұрын
와.. 영상 지렸고 홍보 지렸다. 장말 가고싶게 잘 만들었다. 와...
@cjoan9728
@cjoan9728 27 күн бұрын
들소의 운명이 원주민의 운명 같네
@pckrn
@pckrn 26 күн бұрын
영상 자체가 들소 이야기로 운을 떼는 인디언 이야기 같은데 댓글란에는 인디언 얘기하는 댓글이 이거 하나밖에 없어서 당황..
@J_Wk
@J_Wk 27 күн бұрын
바이슨… 레데리2에서 아메리카들소의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korea2999
@korea2999 20 күн бұрын
춘추전국시대로 영상 다뤄 주실 수 있나요?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11 күн бұрын
그 많던 버팔로들은 현재 한국에 정착했습죠.
@bhp3954
@bhp3954 4 күн бұрын
흐규흐규
@user-xw6ti7oc4s
@user-xw6ti7oc4s Күн бұрын
버빨러
@user-qz2wo1dp3w
@user-qz2wo1dp3w 27 күн бұрын
미국에 가보니까 버거형들이 들소로 버거를 만들더라구요
@jeiwaisi
@jeiwaisi 27 күн бұрын
그 지역에서만 파는 일종의 특산품? 같은거에요 다른 지역으로 유통 못해요
@ysyang89
@ysyang89 25 күн бұрын
그닥 맛은 없어요...일반 쇠고기에 비해 비린맛이 강하고 조금 질깁니다
@CJspitz
@CJspitz 2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맛은 별로
@mymean584
@mymean584 22 күн бұрын
영상 잘 봤어 재밌었었어 근데 제2차 세계 대전 영상 순차로 보기가 너무 어려운데 재생목록 같은 걸로 묶어주면 안 될까?
@user-fl1qt5gg1k
@user-fl1qt5gg1k 19 күн бұрын
5:52 아메리카 대륙에는 원래 말이없지 않았나요?? 스페인 사람들이 처음으로 데리고 온 걸로 아는데,,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27 күн бұрын
아프리카 회색앵무새의 경우.. 가장 말을 잘한다는 이유로.. 무자비하게 포획되서 펫으로 수출됨.. 그 덕에 멸종위기종임. 인도의 목도리 앵무새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앵무새가 자생할수 없는 일본에서.. 야생 번식중..
@maybe0110
@maybe0110 2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토종 다람쥐
@ysyang89
@ysyang89 25 күн бұрын
얼마전 옐로스톤 국립공원 다녀왔습니다. 들소 개채수가 국립공원 관리소에서 엄청 신경쓰다보니 엄청 많아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어보여요... P.s. 지식해적단x향아치 콜라보 했으면
@chieeeeeyyy
@chieeeeeyyy 27 күн бұрын
레데리2에서 버팔로 잡으면서 보는 컨텐츠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GTA5에 버팔로라는 자동차도있어여
@wallofthehell
@wallofthehell 27 күн бұрын
I HAVE A PLAN!!
@user-rx6up2ex2u
@user-rx6up2ex2u 27 күн бұрын
@@sakeL744채널 영상 꼬라지 가관이네ㅋㅋㅋ
@Thoughtcrime.
@Thoughtcrime. 27 күн бұрын
이재명도 저거보면 한숨쉴듯 ㅋㅋ​@@user-rx6up2ex2u
@프로이센
@프로이센 23 күн бұрын
@@sakeL744 프로필 돌았노
@user-yv5mu2od7d
@user-yv5mu2od7d 26 күн бұрын
레데리 하면서 무자비하게 들소사냥에 몰입했던 내 자신을 반성한다
@tortoisesw
@tortoisesw 27 күн бұрын
레드데드리뎀션2 하다보면 원주민들과 들소들 이야기가 나오는데... ㅠㅠ
@user-rw2fx9zt6q
@user-rw2fx9zt6q 26 күн бұрын
들소들의 천적 버팔로빌 ㅜㅜ 이란 사냥꾼도 있었죠.
@sophiiisticated
@sophiiisticated 5 күн бұрын
11:35 이 분야 지존
@user-gi6cd9rc1y
@user-gi6cd9rc1y 27 күн бұрын
참고로 아메리카들소는 우리나라 서울동물원 대동물관에서 실제로 볼 수 있습니다
@user-ft1fg6nu3g
@user-ft1fg6nu3g 27 күн бұрын
제목만 봐도 답을 알 것 같은.. ㅠㅠㅠ
@user-jz5jy8yg2i
@user-jz5jy8yg2i 2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각국에서도 국내의 잘못에 대해서 인지하고 교육했으면 좋겠는데... 그러지 않을것 같아... 안타깝네요... 오늘도 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ake2hustler
@jake2hustler 2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로 이주한 뒤 물소,흑우 등으로 활동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paull77ful
@paull77ful 23 күн бұрын
말타고 들소를 사냥하는건 유럽인들이 말을 가지고 아메리카로 넘어온 후
@syhamk
@syhamk 27 күн бұрын
이 영상보고 레데리2 다시 한바퀴 돌리러 갑니다
@sw9427
@sw9427 27 күн бұрын
드래곤 스파이어!!!
@bangdoll4500
@bangdoll4500 27 күн бұрын
원래 아메리카 대륙에는 말도 없었기 때문에, 말타고 사냥하는 북미원주민의 모습도 18세기 이후 부터 입니다.
@dkffkanjgopung9724
@dkffkanjgopung9724 23 күн бұрын
그렇군요...유럽에서 이주한 말?인가요....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7 күн бұрын
진짜 인간이 제일 잔인하구나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너도 제일 잔인하구나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7 күн бұрын
@@sakeL744 내가 왜???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7 күн бұрын
@@sakeL744 니가 뭐길래 나보고 잔인하다 함?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7 күн бұрын
@@sakeL744 니가 뭐길래 나보고 잔인하다 함???
@user-pw2fh5mk3x
@user-pw2fh5mk3x 27 күн бұрын
@@sakeL744 너가 뭐길래 나보고 잔인하다 함??? 너 나 아냐???
@minseokwon6484
@minseokwon6484 26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몇년 전부터 인디언을 북미 원주민으로 바꿔 부르고 있는데, 막상 북미 원주민들은 “니들맘대로 인디언이라 부르길래, 스스로를 인디언으로 지칭하고 살고 있는데, 왜 갑자기 또 바꾸고 난리” 라는 반응이 있더라
@user-ch5zt2gf2d
@user-ch5zt2gf2d 5 күн бұрын
요즘은 인디언이란 단어를 못쓰게 한다고합니다 아시아 베ㅣ링해 알래스카 거쳐캐나다 미국으로 이동하고 생김새도 아시안같이 생겨서 법적으로 못쓴다함 캘리에 보면 예전 몇몇 인디언박물관이름이 다 바뀌었어요 인디언이란 단어를 빼버림
@robot_boi
@robot_boi 27 күн бұрын
그렇군요
@sunkist5rg
@sunkist5rg 27 күн бұрын
들소처럼 뛰어왔슴다🦬
@DMC-I2
@DMC-I2 26 күн бұрын
젠장 또 영국이야 난 또 공부해야해 도대체 언제까지 세계사에 변화를 일으키는거야
@trecime
@trecime 23 күн бұрын
이번 화는 영국보다는 미국이 최종 빌런인데...
@shadelu
@shadelu 27 күн бұрын
우리가 물소를 박찰 수 있는 곳이 어린 아이들의 공상 속이나 불이 꺼진 뒤의 침실 천장 같은 곳일지라도 그래도 좋습니다. 달릴수만 있다면...
@oooinc-7966
@oooinc-7966 22 күн бұрын
레데리 비처프호프 목장 근처에서 자주 보이는 동물
@lamune01
@lamune01 26 күн бұрын
아메리카의 들소가 길들여질만큼 온순했더라면 가축화와 농업, 운송수단 도입에 성공했을 것이고 그랬다면 다른 문명들만큼이나 발전 정도가 비슷해져서 유럽 대항해시대때나 그 이후 역사들도 많이 달라졌을 거예요 역사에 만약이라는 말은 의미가 없긴 하지만..
@insane-human
@insane-human 24 күн бұрын
5:45 젠장 또...
@user-nr3lk5uu6k
@user-nr3lk5uu6k Күн бұрын
11:46 "고기도 먹고" 사실과 다릅니다. 당시 영국 등에서 침략한 유럽인들은 들소를 사냥한 후 냉장 시설과 운송 가공 시설이 없어 고기는 버리고 모피만 벗기고 고기를 썩게 버렸습니다. 참고 문헌으로 "육식의 종말"을 참고해 보시면 당시 유럽의 상황과 미국의 원주민 말살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Sarangjjang
@Sarangjjang 27 күн бұрын
들소 저희집에 두마리 살고있습니다
@Jinn09258
@Jinn09258 22 күн бұрын
인디언밥도 전시되나요?
@GEWW_Cyder
@GEWW_Cyder 27 күн бұрын
고라니는 이럴 날이 올까?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27 күн бұрын
고라니 맛 없고 천적이 없어서.. 그런날 안오죠.
@user-dn3if6zi7k
@user-dn3if6zi7k 27 күн бұрын
북한도 고라니 많았었는데.. 수목을 다 파괴시키고 잡아먹어서.. 멸종됐죠.
@user-pw3qg5fn9j
@user-pw3qg5fn9j 27 күн бұрын
고라니는 어디에 쓰지
@lees12
@lees12 27 күн бұрын
좀만 더 귀여웠으면 우리도 고라니 외교각인데
@user-or2vw4yb5d
@user-or2vw4yb5d 25 күн бұрын
@@lees12 ㄹㅇ ㅋㅋㅋ
@banana-milk
@banana-milk 27 күн бұрын
5:46 젠장 또 대상혁이야 난 그를 숭배해야돼
@Collaintp
@Collaintp 27 күн бұрын
지구상에서 제일 잔혹한 동물 위엄
@user-sf4ez4ob4e
@user-sf4ez4ob4e 27 күн бұрын
어허 "명백한 운명" 입니다
@user-yp8ir1wv6r
@user-yp8ir1wv6r 11 күн бұрын
받아들여야죠
@head_set__
@head_set__ 27 күн бұрын
2:31 ???: 자쿠와는 다르다! 자쿠와는!
@927han4
@927han4 27 күн бұрын
외몽골 독립도 한번 다뤄주세요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몽골은 과거에 구소련시절 때 공산주의 모범국가었어요.
@jcmdj4136
@jcmdj4136 25 күн бұрын
이렇게 보니 미국사는 들소가 꿰뚫는 존재군요
@user-kc6cu9zf3r
@user-kc6cu9zf3r 26 күн бұрын
버팔로윙... 땡긴다
@릴리오스
@릴리오스 24 күн бұрын
레데리에서 들소를 다죽인다면 큰보상을 얻을수있지만 그 후에는 맵에 절대로 들소가 안나오는등의 고증을 했음
@billkill3055
@billkill3055 27 күн бұрын
들소 고기 맛있겠다~ 소금과 후추 많이 뿌려서 참나무 장작에 구워봅시다~!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들소불쌍함 먹지마삼
@dkffkanjgopung9724
@dkffkanjgopung9724 23 күн бұрын
@@sakeL744 쌀이 불쌍해요..배추도 불쌍해요..물도 불쌍해요..이슬도 불쌍해요....부엉바위도 불쌍해요?
@CJspitz
@CJspitz 23 күн бұрын
맛은 별로예요
@jaesunJin
@jaesunJin Күн бұрын
통상 저런 야생종들은 고기가 질기고 누린내가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 야들야들하고 지방이 자르르 흐리는 소고기는 옥수수를 비롯한 알곡을 먹여 키운탓에 육질이 좋은 겁니다. 멧돼지도 야생멧돼지 고기는 맛이 떨어져요
@zzgo332
@zzgo332 26 күн бұрын
와! 지상파보다 시각효과 좋네요...
@user-qj5fk4nh4w
@user-qj5fk4nh4w 26 күн бұрын
인간은 지구의 암이다
@itsArtRAW
@itsArtRAW 27 күн бұрын
세계사에 뭔가 꾸릿한 일이 일어났다면 역시 영국이 있는거다
@pckrn
@pckrn 26 күн бұрын
이건 오히려 영국이 억제하고 있던거 아님? 영국 사라지고 나서 미국 만행 대폭발한건데
@dkffkanjgopung9724
@dkffkanjgopung9724 23 күн бұрын
히틀러,,,중궈..쑈련이 있고..북조선 백두돼지들의 전성시태인데????
@HiiragiVillain
@HiiragiVillain 27 күн бұрын
이거 보고 오늘 마실 술은 버팔로트레이스로 정했다
@user-hj1jo5pv6v
@user-hj1jo5pv6v 22 күн бұрын
게임 레드 데드 리뎀션 2에서는 이 들소 멸종 직전 상태와 관련된 퀘스트가 있지요.
@sanghyunlee1870
@sanghyunlee1870 27 күн бұрын
북 남미 대륙엔 말이 없었어요. 유럽인들이 이주해 오면서 말을 가져왔죠.
@user-md5ii1gk6r
@user-md5ii1gk6r 26 күн бұрын
낙타도 원래는 북미 대륙에서 기원하였으나 지금은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중앙아시아, 중동을 빼면)
@user-tz1hg4kb4k
@user-tz1hg4kb4k 25 күн бұрын
국립중앙박물관은 어지간하면 가세요 중앙박물관보다 티켓값비싼 전시회들도 자주 가봤지만 중앙박물관은 항상 기대이상입니다
@sutaill6952
@sutaill6952 1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던 호랑이와 비슷한 운명을 맞을뻔했지만 그래도 멸종까진 안 갔군요
@skfrofks
@skfrofks 22 күн бұрын
신라에 물소가 많았다는 기록이 있는데 지금은 왜 물소를 볼수가 없을까요?
@user-nz8qq3fm9o
@user-nz8qq3fm9o 27 күн бұрын
어우....
@Reddino726
@Reddino726 21 күн бұрын
제가미국 옐로스톤에서 버팔로를 보고 있었는데 갑자기 버팔로가 쓰러졌는데 왜 그런지 아시나요?
@user-rv6hm1vg1f
@user-rv6hm1vg1f 27 күн бұрын
버팔로는 모르겠고 버팔로 윙은 맛있습니다.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버팔로라는 자동차도있습니다. gta5에도 버팔로라는 자동차볼 수있습니다.
@yuchan063
@yuchan063 27 күн бұрын
아메리카 원주민 특 옷: 들소 음식: 들소 도구: 들소 집: 들소
@sakeL744
@sakeL744 27 күн бұрын
영국이 들어와서 미국이 독립하고, 원주민들학살했는데여
@hyeonsseungsseungi
@hyeonsseungsseungi 26 күн бұрын
4050 스윗한 버팔로 조선에 많음 인제대 ROTC 57기 출신 12사단 신교대 4소대장 강유진
@프로이센
@프로이센 23 күн бұрын
9:29 사람아니야콘
@garimbi05091
@garimbi05091 26 күн бұрын
미국회색곰과 재규어도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된 개체에 속하죠.
@user-dw8dv8wf2y
@user-dw8dv8wf2y 27 күн бұрын
영국은 안빠지는곳이 없네..
@PilgrimScott
@PilgrimScott 27 күн бұрын
들소 스테이크 먹어보니 겁나 맛있긴 했…
@jmsunny1437
@jmsunny1437 26 күн бұрын
1:11 용이랑 드래곤은 같은거아님?
@Thoughtcrime.
@Thoughtcrime. 27 күн бұрын
미국인들 들소 정말 좋아함ㅋㅋ 금화도 들소 박힌게 더 비싸게 팔림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38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1 МЛН
Щенок Нашёл Маму 🥹❤️
0:31
Добро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Why didn’t Nika like my long and beautiful nails? #cat #cats
0:25
Princess Nika cat
Рет қаралды 13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