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웨이퍼를 만들어? 고등학생들이 일냈다 (2024.05.08/뉴스데스크/MBC경남)

  Рет қаралды 300,358

엠뉴 | MBC경남 NEWS

엠뉴 | MBC경남 NEWS

25 күн бұрын

#경남 #마이스터고 #반도체 #웨이퍼 #최초
◀ 앵 커 ▶
경남은 굵직한 반도체 기업이 거의 없어
반도체 불모지로 평가받는데요.
이런 가운데 경남의 고등학생들이 전국 최초로
초정밀 반도체 소자 공정에 성공했습니다.
전기, 전자 등 다양한 분야를 이해해야 하고
긴 시간과 정교한 기술력이 필요한
어려운 작업이라는데요.
이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방진복을 입은 학생이
은색 원판을 기계에 넣고 작동시킵니다.
이번엔 다른 공정실로 이동해
원판을 고정하고
밑그림을 넣는 포토 공정을 한 뒤,
◀ SYNC ▶ 삐삐삐
투명한 액체에 담가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식각' 공정과,
기계에 넣어 얇은 막을 씌우는
'박막 증착' 공정을 거칩니다.
4가지 공정을 거치는 데만 꼬박 8시간.
모두 27번의 정교한 공정을 거쳐야
컴퓨터와 휴대전화기 등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기본 '반도체 웨이퍼'가 탄생합니다.
◀ st-up ▶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전극이 연결되는 거리가 머리카락보다 얇은 80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80마이크로급 반도체 웨이퍼를 만든 건
16명의 한국나노마이스터고 3학년 3반 학생들.
학생들에게 지난 2년은 난관의 연속이었습니다.
전기, 전자, 화학 같은
다양한 분야를 알아야 하고,
전문용어는 전부 영어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클린룸의 습도와 온도,
진공 상태 조정도 직접해야 했습니다.
◀ INT ▶ 이학래/한국나노마이스터고 3학년 3반
"장비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조금 힘들 수 있지만 장비에 대한 이해가 생기게 된다면 이제 각 공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고 또 보람이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이 모든 과정을 거쳐
고등학생이 반도체 웨이퍼를 만든 건
전국에서 처음입니다.
◀ INT ▶ 임채은/한국나노마이스터고 3학년 3반
"3시간에서 4시간 가량 계속 (클린룸) 안에서 있어야 되다 보니까 육체적인 피로도 쌓이고 또 이제 패턴이 제대로 안 나오면 또 많이 속상하기도 하고.."
방진복 착용부터 결과물이 나오기까지
교사뿐 아니라 교육청과 대학, 연구기관의
도움도 컸습니다.
◀ INT ▶ 소순천/한국나노마이스터고 지도교사
"전국 고등학교 기준 최초로 반도체를 만들어냈기 때문에 이 성과가 앞으로 반도체 업계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가운데
반도체 산업 생산액 기준 12위인데다,
지난해 반도체 특화단지 선정에서도
고배를 마신 경남.
반도체 불모지인 경남에서 이룬
학생들의 값진 성과를 시작으로
한국나노마이스터고는 심화 과정도 운영해
최종 단계의 반도체 회로 제작에도
도전한다는 계획입니다. MBC뉴스 이선영입니다.
◀ END ▶
[ MBC경남 NEWS 구독하기 ]
구독하기: kzfaq.info?s...
[ MBC경남 NEWS 제보하기 ]
시청자 여러분들의 제보를 받습니다. 현장의 소리를 들으며
항상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보도하겠습니다.
문자, 전화 제보 - 055.771.2580 / 055.250.5050
홈페이지 제보 - mbcjebo.com/?c=gn / mbcgn.kr/
카카오톡 채팅 제보 - pf.kakao.com/_tUxnZj/chat
[ MBC경남 NEWS 웹사이트 ]
홈페이지 : www.mbcgn.kr
카카오톡: pf.kakao.com/_tUxnZj
페이스북 : / withmbcgn
인스타그램 : / mbcgn_news

Пікірлер: 553
@user-jo4vr4wp1u
@user-jo4vr4wp1u 24 күн бұрын
의대생들 보다 돈 더 많이 벌어라 학생들아..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24 күн бұрын
의대생보다 돈 더 많이버는건 IT아님녀 힘듦. 그런데 의사급여를 줄여버리면 의대생들이 공대로 빠지긴 하지 ㅇㅇ 이게 더 쉬운길
@user-bc9ih5yi9m
@user-bc9ih5yi9m 24 күн бұрын
​​@@user-eg6lw6tt2q 그래서 정부에서 의사정원을 2000천명으로 늘리려고 하는거 아닌가 변호사 처럼
@grimreaper1430
@grimreaper1430 24 күн бұрын
의사정원을 아직 여기에 비교하기엔… 일단 인구당 의사숫자 먼저 올리고 20년즘후엔 아마도 비교가 될듯. 아무리 비교하기 싫어도 우리가 겪은 전반적인 사회현상은 옆에 섬나라랑 많이 비슷함. 쟈들도 이거때메 고역을 치렀음. 대한의사협회는 그 사실들을 왜곡해서 선동하고있고…
@user-vu5bj9bs1f
@user-vu5bj9bs1f 23 күн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jf3wn2mm1o
@user-jf3wn2mm1o 2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문화대혁명 일어나겠구만 무지랭이들 ㅠ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20 күн бұрын
반도체 현장에서 일하는 분들은 이 영상 보면 쉽게 이해한다..... 오래된 설비에 이미 짜여진 recipe로 현장 실습해서 얻어진 80um짜리 제품... 고등학생 최초로 설계부터 공정까지 전부 직접했다면 인정하겠지만 영상 딱봐도 그냥 4대공정 순서대로 operate만 한거잖아!!
@blueite
@blueite 18 күн бұрын
그냥 이런 게 있다 정도로 맛 한번 보는 거죠. 실제 저 학생들이 팹에 취업하더라도 저렇게 전체 공정을 실습할 기회는 거의 없습니다. (소규모 연구소 오퍼레이터라면 있을 수도)
@goldenpeople8844
@goldenpeople8844 15 күн бұрын
저기는 밀양 나노산단에 반도체 유치를 위한 포석임. 인재는 있는데 공장이 없어서 아쉬운 사항.
@pplee4503
@pplee4503 7 күн бұрын
뉴스는 저런구라는왜하는거임?ㅋㅋ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7 күн бұрын
@@pplee4503 지역 뉴스임...... 지역발전
@user-ws6wz4my8l
@user-ws6wz4my8l 6 күн бұрын
@@pplee4503 문과들이라 반도체에 대해 뭘 알겠음
@pang9319
@pang9319 24 күн бұрын
옛날 8인치 장비 활용한거.. 그시절 케미컬의 유해화학물질이란 개념이 없어 마스크도없이 일하다가 백혈병 걸린거니 보호장구랑 PSM은 꼭 시키고 할수있도록 해주세요
@logj4
@logj4 20 күн бұрын
아... 그 또하나의 약속이였나요? 삼성에서 일어난 사건 ㄷㄷ
@hyungjuaaa
@hyungjuaaa 19 күн бұрын
옛날장비ㅋㅋ 80마이크로만봐도 그렇죠ㅋㅋ 실무는 10나노급 적용중인데
@estp-songpaDeliveryman
@estp-songpaDeliveryman 19 күн бұрын
@@hyungjuaaa 어차피 일하면서 배우죠. 쟤들은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큰 틀을 아니까
@tanacity9
@tanacity9 24 күн бұрын
경남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큰일 해냈내요!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를 계속 밝게 비춰주시길..⭐
@skyhi7735
@skyhi7735 24 күн бұрын
한국나노마이스터고는 (주)코미코 (주)미코세라믹스 등 국내 우수 반도체 장비 회사들이랑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고 함
@hola-rr5ru
@hola-rr5ru 21 күн бұрын
결국 쟤들은 산학협력사로 바로 취업들어가거나 전문대 진학후 반도체 생산 or 메인트 쪽으로 쉽게 들어감 마고출신 전문대 졸 생산직 연봉 7천 ㄷㄷ
@user-fi8xl9hi8m
@user-fi8xl9hi8m 21 күн бұрын
​@@hola-rr5ru안타깝지만 학사졸이 되어야 연봉이 높습니다.. 인재들이 대학까지 갈 수 있으면 좋겠네요.
@hola-rr5ru
@hola-rr5ru 21 күн бұрын
@@user-fi8xl9hi8m 전문학사와 학사는 서로 취업시장이 다릅니다 전문대졸 교대근무 23년도 기준 반도체 상여포함 6~7천 내외를 받습니다
@Yeulyeul2
@Yeulyeul2 21 күн бұрын
코미코 미코세라믹 나노마이스터고 모두 번창하세요. ^^ 참고로 코미코는 국내기업입니다. 일본기업 아닙니다. 순수 국내 기업입니다. 이름 때문에 오해 하시는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estp-songpaDeliveryman
@estp-songpaDeliveryman 20 күн бұрын
@@user-fi8xl9hi8m그건 학사가 아니라 학벌이라고 합니다. 초봉 7천보다 더 벌려면 적어도 최소한 설카포 고려대 연세대 한양공대는 나와야하고 중경외시는 5~6천짜리 대기업도 경쟁해서 들어가고 인가경같은 경기권 대학이나 충남대 경북대 같은 지거국도 연봉 5천 넘는 회사에 들어가는것 자체가 많이 고달프고 나머지 80%의 지잡대들은 정상적인 취업시장에선 학사로 인정해주지도 않기때문에 ㅈ소에서 노예살이 하거나 싫으면 노가다 딸배같은거 해야합니다. 대학 나오면 생산직 취업도 어렵다는 리스크가 있고 시간 많이 날릴수도 있는걸 잘 아니까 저 학생들은 학교 재단에서 장학금 줄테니 와달라고 해도 안가는거죠
@user-rz2wo6jg1w
@user-rz2wo6jg1w 2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크게 발전되게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JiNo-JiNo
@JiNo-JiNo 21 күн бұрын
2찍 동네인데 그 돼지가 일본으로 반도체라인 뺴돌리려함
@user-px6jr6bh8v
@user-px6jr6bh8v 10 күн бұрын
@@JiNo-JiNo 좀 싸물어라 가짜뉴스봐 선동당하지말고 누가돼지인건지 참ㅋㅋ..
@apixpa1478
@apixpa1478 6 күн бұрын
저거.신기술이 아니라..옛날기술을 고등학생들이 겪어본 의미일뿐입니다...뭐 입사할때 어필하면 삼성에서도 좋아할만하긴한데 이게 뭐 기술발전에 도움이 1도 되는게 아님...............
@3-500_iu
@3-500_iu 23 күн бұрын
뉴스에서는 고딩들이 0부터 자체제작 한 걸로 국뽕 주입 시키는 거임. 나도 이공계라 잘 아는데, 장비 다 대주고 선생, 기술지도 다 붙어서 그냥 생산직 체험해본 수준임. 예전부터 이런 뉴스 엄청 나오는데, 후일담 0임.
@skyoonlee
@skyoonlee 20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반도체 웨이퍼 만드는게 무슨 밀가루반죽해서 피자도우 만드는 정도로 생각하는듯 좋은 장비들 없으면 아무것도 못하는데
@ST-GCN
@ST-GCN 20 күн бұрын
기사 제목만 보고 학생들이 잉곳 잘라서 웨이퍼 만드나 했음 ㅋㅋㅋㅋ
@maypa8
@maypa8 19 күн бұрын
@@skyoonlee 실제로 윗분의 말이 맞습니다.
@Erase_China_n_XiJinPing
@Erase_China_n_XiJinPing 18 күн бұрын
이거 맞음
@user-fl9dx5gi8j
@user-fl9dx5gi8j 17 күн бұрын
사실임 ㅋㅋ 거의 30년된 장비 가져다 생산 체험.. 저거 생산 했다고 흠.. db하이텍 정도면 뽑아줄지도.. 거긴 아직 200미리 250 미리 구형 장비 아직 있음.. 삼성은 2008년쯤 다 뺐고.. 하이닉도 2010년쯤 대부분 매각 했지.. 난 또 300미리 장비 인줄 알고 들어와봤네 ㅋㅋ 하긴 대학들도 대부분 저런 구형 연구용 장비뿐이고.. 근데 저 장비 중국에서 앞으로 15년 이상은 더 사용할꺼임ㅋㅋ
@51825
@51825 24 күн бұрын
시설과 전문가의 특별 교육이 있어야 할수 있지 저정도 하려면 엄청난 자본이 밑받침 되어야 하는데 뒷배가 대단한 거임
@user-ng7xo9fn8q
@user-ng7xo9fn8q 24 күн бұрын
저거 서울대 반도체연구소꺼 포토장비가 10억정도인걸로 봤어요. 20년전 수은광베이스일텐데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24 күн бұрын
@@user-ng7xo9fn8q ㅎㄷㄷ함
@user-sk7wt5mh2p
@user-sk7wt5mh2p 24 күн бұрын
아빠가 조국인가?
@user-fw7wr1rk8j
@user-fw7wr1rk8j 24 күн бұрын
@@user-sk7wt5mh2p 표창장으로 저걸 사겠니? 한동훈쯤 되야 사주겠지~~~ 논문도 사주는데~
@user-oj7sj3oz1d
@user-oj7sj3oz1d 24 күн бұрын
전남과 기술차가 20년은 날듯합니다
@jason_cha
@jason_cha 24 күн бұрын
0:50 머리 쿵!
@MultiIcehole
@MultiIcehole 2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him8251
@him8251 23 күн бұрын
저 어린 친구가 그만큼 집중 하고 있다는 뜻 이겠지요 대단 합니다!
@estp-songpaDeliveryman
@estp-songpaDeliveryman 20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ij2mj1ty7n
@user-ij2mj1ty7n 20 күн бұрын
산재 처리 산재 처리 ! ㅋㅋ
@Dolby_Cinema
@Dolby_Cinema 24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장비가 있어도 뚝딱 나오는 물건은 아님 학생들 고생많았고 선생님은 수고하셨습니다
@user-wo7xc1lo8e
@user-wo7xc1lo8e 21 күн бұрын
생산하기전에 장비 만드는 사람이 양산하기전까지 작업함 생산직은 생산만할뿐 장비에 1도모름 고치는거 개조하는거 테크리션이 다 합니다
@jaeunha5
@jaeunha5 20 күн бұрын
뚝딱나옴…
@jungjongchul
@jungjongchul 17 күн бұрын
전기전자, 화학 몰라도 장비만 돌리면 뚝딱 나옵니다.
@youngRrrr
@youngRrrr 15 күн бұрын
뚝딱 나온다는 놈들 특) 해본적 없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
@jaeunha5
@jaeunha5 15 күн бұрын
@@youngRrrr 정보) 뚝딱해봄
@hugepeakpark
@hugepeakpark 24 күн бұрын
식각공정등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과 싸움하며 안전하게 잘 다루어야 합니다. 학생들 안전에 각별히 유의하세요.
@user-kz4lr2mb6b
@user-kz4lr2mb6b 24 күн бұрын
진짜 독극물입니다 냄새만 맡아도 심각합니다 안전안전입니다
@jerrykw3839
@jerrykw3839 24 күн бұрын
그렇네요. 식각공정이 유해하다고 들었는데 보호장구 잘 착용하길
@user-ri1rt1gv4c
@user-ri1rt1gv4c 24 күн бұрын
이거 때문에 그냥 공정만 흉내냈는데 이걸 어떻게 했는지 궁금하네요~ 학부모들 민원 장난 아닐텐데 ...
@userganada
@userganada 24 күн бұрын
@@user-ri1rt1gv4c 민원이 아니고 항의겠죠 ㅋㅋ 근데 알고 보낸거 아님?
@user-ri1rt1gv4c
@user-ri1rt1gv4c 24 күн бұрын
@@userganada 너 미혼이지?
@user-fb9qp4nn1o
@user-fb9qp4nn1o 24 күн бұрын
멋집니다...
@user-eo9dy5zj4u
@user-eo9dy5zj4u 20 күн бұрын
80um이면, 사실상 현대 반도체기술로는 의미가 없는 공정이고.. 공정 중간중간을 손으로 직접 진행하는 걸 보면 공정품질이 균일하진 않을겁니다. (실제 공장에서는 출하 직전까지 사람이 직접 웨이퍼를 만지지 않아요.) 다만, 대한민국 미래 먹거리 동앗줄 반도체를 직접 생산해보고 그 과정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 같네요.
@zltm1221
@zltm1221 24 күн бұрын
고생하셨어요. 진짜 대단하신 분들이십니다 그 노력에 경의를 표합니다.
@hongaijeon3581
@hongaijeon3581 24 күн бұрын
정말 축하드려요! 어린친구들이 그런 열정있다는건 정말 응원합니다! 기세있게 움직이도록 지원있길 바랍니다
@user-cz9nd4nw7x
@user-cz9nd4nw7x 24 күн бұрын
낚시머노..연구개발이 아니라 현장실습이잖아
@user-ke8zy7xd8j
@user-ke8zy7xd8j 22 күн бұрын
이게맞다.
@Gogildong12
@Gogildong12 20 күн бұрын
고등학생에게 기대하는 수준이라 어쩔 수 없는듯
@davepark3177
@davepark3177 20 күн бұрын
현장 실습이 아니고 학교 실습 입니다. 어디 반도체 현장이 고딩들 실습하게 장비 내어 주겠습니까? 이 학교가 대단한 것이 초보 단계의 반도체 웨이퍼 만들 장비가 어느정도 갖추어져 있습니다. 당연히 연구개발은 아니고 현장 실습도 아니고 학교 실습입니다. 그래도 대단하잖아요.
@modu-modu
@modu-modu 16 күн бұрын
연구개발이라고 안 했는데, 혼자 연구개발일거라 잘못 생각해놓고 남한테 낚시타령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h8xy4ey8m
@user-yh8xy4ey8m 15 күн бұрын
연구개발 어디에 쓰여있는지??? ㅋ 낚시는 님이 하네요 ㅡㅡ...
@user-ew2ge2zz5u
@user-ew2ge2zz5u 24 күн бұрын
대단하네
@van-gy3pk
@van-gy3pk 15 күн бұрын
값비싼 장비를 학생들이 경험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해 준 학교가 대단하네요.
@user-tu4ec4sy9r
@user-tu4ec4sy9r 24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이공계가 최고다 너희들은 최고의 길을 걷고 있는 것이다! 화이팅!
@user-jm7vg4cn1g
@user-jm7vg4cn1g 23 күн бұрын
순수 학문을 기피를 하고 응용 학문 쪽으로 쏠리니까 문제죠.
@koguma_fries
@koguma_fries 21 күн бұрын
​@@user-jm7vg4cn1g 응용분야도 인력난인데 뭔 소리냐 이공계 자체가 수요대비 부족함
@user-jm7vg4cn1g
@user-jm7vg4cn1g 21 күн бұрын
@@koguma_fries 그러니까 내 말은 순수 쪽을 전공을 안 하고 응용 쪽으로만 가려는 게 심각하다는 거지.
@user-jm7vg4cn1g
@user-jm7vg4cn1g 21 күн бұрын
@@koguma_fries 공학 쪽에 인력난인 거 나도 알아
@user-fk8kn8pf7b
@user-fk8kn8pf7b 20 күн бұрын
그런 이공계 키워놓으면 보수수준이 뭐 같아서 ..
@diylover2006
@diylover2006 24 күн бұрын
멋지네!!! 화이팅!!!
@user-tt9dx5no4m
@user-tt9dx5no4m 24 күн бұрын
우와ㅡ 대단하다. 대단해! 2년 노력의 성과가
@user-bg6rl7xx5l
@user-bg6rl7xx5l 24 күн бұрын
훌륭한 교육..
@simsimpas
@simsimpas 23 күн бұрын
정말 노력과 열정이 대단합니다 존경합니다
@user-qc7kq7ih9p
@user-qc7kq7ih9p 24 күн бұрын
레고 가져다주고 고등학생들이 조립한수준임. 레고 블럭을 만들었다거나 세로운 조립방법을 했다거나 하는 수준도 아님
@maybe4517
@maybe4517 20 күн бұрын
고등학교3학년이야...알지?....많이 불편하냐?
@user-og8ck2cy1c
@user-og8ck2cy1c 21 күн бұрын
정말 개발 성공예 축하 와 박수 보내요
@user-dp1rx1vo1d
@user-dp1rx1vo1d 20 күн бұрын
진짜 천재는 공학도이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나라가 선진 기술로 다른 사람들도 같이 먹고 산다. 의대는 의사 혼자 먹고 산다.
@user-dj4wh1uw1d
@user-dj4wh1uw1d 21 күн бұрын
저런 기술을 배울 수 있다는게 정말로 너무 부럽고 멋집니다!!
@user-un6nd3ip9o
@user-un6nd3ip9o 24 күн бұрын
학생들 멋지네요
@lilacoco2
@lilacoco2 24 күн бұрын
화이팅^^
@user-tl2pe3bd7f
@user-tl2pe3bd7f 24 күн бұрын
반도체는 장 비싸움이지..미래는 반도체전쟁으로 나라의흥망이 결정될듯
@user-rl3qd8ym9q
@user-rl3qd8ym9q 6 күн бұрын
대단하다👏👏👏👏
@user-cp5wn4yw1q
@user-cp5wn4yw1q 15 күн бұрын
오아....난 고등학생때 뭐했니 학생분들 자랑스럽네요~~~
@user-py7gt5ek2i
@user-py7gt5ek2i 3 күн бұрын
와.. 개멋있다.
@user-wd5kt4je6q
@user-wd5kt4je6q 19 күн бұрын
멋있다. 계속적인 발전 화이팅이다.
@plan7733
@plan7733 16 күн бұрын
최고다. . .역시 한국은 천재가 많은 듯 ...이런 애국하는 학생 특급 혜택줘야 함❤
@user-xz1kw1ln3x
@user-xz1kw1ln3x 24 күн бұрын
와우!!!!!!!!!!!!!!!!!! 든든하네요!!!!!!!!!!!!!!!!!!!!!!!!!
@user-go7iy4uj5b
@user-go7iy4uj5b 24 күн бұрын
열심히하는 우리의 미래인재들이네요
@user-zk3zb3nq2k
@user-zk3zb3nq2k 17 күн бұрын
그냥 생산직임 . 반도체가 애들 장난도 아닐뿐더러, 기계만 준비되어있으면 누구나 만들수 있음. 그 설계와 기계의 구조 전체를 이해하고 불량을 컨트롤 할수 있으며 문제시 수정 보완 수리가 가능한게 전문인력임. CNC 돌려서 부품 하나 깎은걸 보고 자동차를 만들었다고 하진 않자나?
@_zugi3538
@_zugi3538 24 күн бұрын
식각공정 발암물질을 학생에게 일부지만 노출시키면서 학습한다는 건데 전 엔지니어로서 기대보다는 걱정이 앞섭니다. 위험성을 충분히 교육시키고 진행하심이 중요할 듯 싶습니다.
@user-yu2ym7qf1p
@user-yu2ym7qf1p 20 күн бұрын
고등학생들이 대단한 일을 했네요. 축하합니다. 전문가로써의 자신감있는 모습이 앞으로 더욱 기대를 가지게 합니다.
@user-wr3zr9fv8o
@user-wr3zr9fv8o 20 күн бұрын
학생들이 좋은 경험을 했네요.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더 성장하길 바랍니다.
@user-ru7pl1vv6l
@user-ru7pl1vv6l 20 күн бұрын
혁신은 가까운 곳에 있다. 작은것부터 혁신과 도전이 세상을 바꾼다. 너무 멋지네요~~
@Yeulyeul2
@Yeulyeul2 21 күн бұрын
나노마이스터고 미세조직검사 장비 시범 도입한 학교입니다. 국내 대학교 보다 잘 가춰져 있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정말 인재가 올수 빡에 없는 환경입니다. 투자를 정말 많이 했습니다. 정말 국내 최고의 시설을 가추고 있습니다. 시편전처리 기술 잘 활용 하고 있다니 정말 뿌듯합니다.
@user-tg5np3kt6b
@user-tg5np3kt6b 20 күн бұрын
이건 쫌 자랑스럽고 대견하네🎉 이런 뉴스만 있으면 을마나 좋아
@jeemeejee
@jeemeejee 21 күн бұрын
고등학교에 클린룸 있다는 건 놀랍네요. 하지만 구시대 장비로 공정 프로세스를 재현한 것으로 아무리 고등학생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라고 하기엔..
@user-ce8fi6qy6v
@user-ce8fi6qy6v 23 күн бұрын
학생들 앞날이 창창하네요. 화이팅요^^
@hjhdgd30
@hjhdgd30 20 күн бұрын
👏🏻👏🏻👏🏻👏🏻👏🏻👏🏻👏🏻👏🏻멋져요.
@jason_cha
@jason_cha 23 күн бұрын
80um 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서 반도체 역사를 좀 찾아보니, 1970년대에 이미 10um 공정으로 반도체를 생산하기 시작했네요. 현 시점에서 80um가 어떤 의미가 있는 지 잘 모르겠네요. 그냥 반도체 제작 공정을 체험해 보는 데 의미가 있는 건가요?
@hola-rr5ru
@hola-rr5ru 21 күн бұрын
3나노 4나노 양산 박차를 가하는 시점에서 80나노도 아니고 마이크로면 애들 장난이긴 하죠 .. 10^-6 = 0.000001 미터 ( 마이크로 ) 10^-9 = 0.000000001 미터( 나노 )
@paul09111
@paul09111 19 күн бұрын
네 그냥 마이스터고에서 예전 장비들 들여놓고 학생들이 반도체 웨이퍼로 반도체 칩을 생산과정을 한번 체험해본 수준이라고 생각하심됩니다. 20년전에 이미 90나노 (0.09um) 수준이었고, 지금은 10나노(0.01um) 이하 수준에서 최첨단 반도체 칩들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know-jamenglish5242
@know-jamenglish5242 18 күн бұрын
축하해요~교육인적자원부님 다양한 마이스터고를 발전 시켜주세요~
@someoneloved
@someoneloved 23 күн бұрын
노력과 열정이 찬란한 장래로 이어지길
@Heon713
@Heon713 20 күн бұрын
멋지네.. 현장에서 일하거나 공정에서 일할때 이해 잘하겠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배우는 것보다 훨씬 좋음
@Kyle-xu4cc
@Kyle-xu4cc 17 күн бұрын
반도체 공정의 체험판정도 실습하신거지 뉴스 제목 보니, 설계부터 제작까지 고등학생힘으로 한줄 알았네.. 근데 저기 고등학교가 신기하긴 하네요.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24 күн бұрын
장비가 다 수입인데 저런 장비만 살 수 있다면 우간다 고딩도 다 할 수 있음
@boramskyhan
@boramskyhan 23 күн бұрын
혁신적인 기술을 만들어낸거에 대해 응원하고 지지 합니다 화이팅!!!
@user-yw1kw9sb9d
@user-yw1kw9sb9d 20 күн бұрын
멋지다! 이런게 교육이지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0 күн бұрын
캬... 대단하다. 나도 마이스터고 가고싶었는데...
@user-ul5hh3hr1k
@user-ul5hh3hr1k 20 күн бұрын
이학생들이 대한민국의 미래다!!! 항상 응원할게요!!!
@ioctopus_footed_informant
@ioctopus_footed_informant 24 күн бұрын
식각 공정에서 불산 써야 하는데 학생들 안전이 걱정된다.
@user-zr5lx2uw2x
@user-zr5lx2uw2x 24 күн бұрын
나름의 의미가 있긴하지만, 현재는 반도체 공정의 기준은 나노미터 단위로 마이크로미터의 1/1000수준입니다. 최선두는 삼성이나 TSMC의 몇 나노 단위까지 왔고, 저 수준까지 가면 이미 사람보다도 극자외선 노광 기계가 훨씬 중요해지죠. 그래도 학생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user-xv9vq4ut2i
@user-xv9vq4ut2i 23 күн бұрын
반도체가 아니라 웨이퍼임ㅋㅋㅋ 그걸 구분하시길~^^
@jwk4896
@jwk4896 20 күн бұрын
밥그릇 만드는데 쌀가지고 얘기 하면 되겠습니까 웨이퍼 공정은 그리 어려운 공정이 아닙니다.
@user-gw6it9wg9i
@user-gw6it9wg9i 19 күн бұрын
한국나노마이스트고👍대학보다 고등학교때부터 이렇게 전문적으로 배우면 좋겠네요.👍최고최고
@jeongoksakure8351
@jeongoksakure8351 20 күн бұрын
학생들수고했어요.앞으로도연구
@zxcv-of5xi
@zxcv-of5xi 20 күн бұрын
와우 대단하다 역시 엔지니어가 제일 멋지네
@user-tb4uk3lw9e
@user-tb4uk3lw9e 18 күн бұрын
이걸 보면서 드는 생각이 우리나라 젋은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큰 이유가 대학을 가지 않으면 안되는 교육시스템이 문제인거 같다고 느껴지네요 의무교육이란 시스템이 필요했던게 국민의 지식을 높이기 위해서인건데 이젠 우리나라도 독일같은 교육으로 넘어가야 끝도 없는 우물안 개구리끼리의 경쟁은 멈출 수 있을거 같은데
@user-eo8zb7fe1p
@user-eo8zb7fe1p 21 күн бұрын
대단하다.
@kchm5264
@kchm5264 20 күн бұрын
진짜 이들의 무대가 현재 대한민국이라는게 너무 아깝다...
@user-os4zp5fo7m
@user-os4zp5fo7m 19 күн бұрын
반도체 공정의 최대 난점은 전문 기술직이 붙어도 한날 한시에 셋업한 두대의 장비가 특성이 제각각 으로 나올정도로 공정이 예민하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저 해상도에서 부터 시작하는것은 당연한거고 공정의 어느 부분을 제어 해야 하는지 어떤 것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만 알고 들어와도 가르쳐야 할게 반은 줄어든다. 부디 좋은 교육 시스템이 자리잡길...
@jangsooyeon9432
@jangsooyeon9432 15 күн бұрын
대박!대박!역시대한민국 건아들이여고맙습니다그대들이있어서미래가있네요
@drivekim
@drivekim 23 күн бұрын
칭찬해요. 감사해요.
@yongkim5826
@yongkim5826 24 күн бұрын
축하합니다. 고등학생이 반도체 웨이퍼를 만들었다고 한것은 축하받아 마땅하지만, 단지 기술자를 양성하려고 한건지 아님 어떤 특정요인이 반도체웨이퍼를 만들때 절감의 효과를 보는 것인데 그걸 개발했다고 하면 더 의의가 있겠네요.
@ryong5185
@ryong5185 21 күн бұрын
미래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인재들 \\자랑스업다
@user-qr3fp7bz6l
@user-qr3fp7bz6l 23 күн бұрын
반도체차체는 흔하디 흔한데 장비들이 비싸서 근가 중고등학교에선 보기가 힘들던데...... 이제서야 고등과정에서 직접 반도체를 만들다니 많이 늦은감이 있네요. 경남만 이제 도입한거라면 타지역엔 이미 이런과정이 잇었는지 모르겟지만 반도체에선 나름 잘나가는 울나라인데........ 직접설계하고 직접만들어보는 이런과정이 고등과정에 있으면 재미질거 같긴하네요. 그칩만들어 설계해서 다양한 전자제품도 만들어보고.....
@KuiyounChae
@KuiyounChae 19 күн бұрын
이런 젊은이들의 미래가 있어야 계속해서 좋은 인재들이 분야별로 나타날 것이기에..
@indiank6
@indiank6 16 күн бұрын
역시..한국학생..짱
@PRAHADAM
@PRAHADAM 19 күн бұрын
Mb 욕하지만 이런 전문적인 학습 고등학교설립은 너무 잘한거같다...
@user-ld2bj7nt5e
@user-ld2bj7nt5e 20 күн бұрын
이야 정말 대단하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미래이구나... 제대로 대박 터져라..
@user-gb2rk3oh3f
@user-gb2rk3oh3f 23 күн бұрын
학생들이 대한민국 미래다 최고의 대우를 받는 기술자가 되세요 화이팅~!!
@user-tx5pn3bx5f
@user-tx5pn3bx5f 15 күн бұрын
생각보다 어려운작업입니다 고등학생때부터 공정을 이해하고 대학을 간다면 어떤 수업위주로 배우고 익혀야 하는지 알게될꺼고 그렇게 육성된 인재가 이 나라를 먹여살릴껍니다
@user-vguikyu7345
@user-vguikyu7345 24 күн бұрын
SK하닉스공장,삼성반도체 공장 에서 단순작업 할 인재들입니다. 축하합니다.
@masterkara
@masterkara 20 күн бұрын
그 인재들이 너보다 많이 벌어
@user-to8py5uz9o
@user-to8py5uz9o 20 күн бұрын
아이들이 건겅하게 공부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user-zz5zn7cm1g
@user-zz5zn7cm1g 24 күн бұрын
광고 보다는 반도체 설계라든지 그런 쪽으로 학생들의 경험을 유도했으면 좋겠네요.
@user-fk8kn8pf7b
@user-fk8kn8pf7b 20 күн бұрын
반도체 설계 보단 저 장비를 연구 해야 됨 . 운영하는게 아닌 저 장비를 생산할 수 있게. 기초단계 부터 차근 차근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20 күн бұрын
@@user-fk8kn8pf7b 반도체 소부장 국산화가 쉬운게 아니죠........특히 노광 장비는 말할것도 없고요
@user-fk8kn8pf7b
@user-fk8kn8pf7b 20 күн бұрын
@@user-hv1zx1xd4q 국산화가 쉬운게 아니죠. 당연히 .. 저 학교는 대체 공고 인가요? 예전 상업고 같은?
@user-hv1zx1xd4q
@user-hv1zx1xd4q 20 күн бұрын
@@user-fk8kn8pf7b 특성화고라고 예전 상고가 아닐까요?
@Ruriweb
@Ruriweb 6 күн бұрын
​@@user-fk8kn8pf7b걍 좀더 체계화된 공고임. 반도체 설계는 4년제나 나오고 대학원 문은 두드려봐야지 건드릴 영역이고
@bassvoice
@bassvoice 19 күн бұрын
정년도 그렇고 스타트업 성장하기 힘든 기업 환경도 그렇고 의대 갈 수 있으면 의대 가지.. 정형외과 봐라 스마트폰이란 컴퓨터 사용 늘고, 고령화 진입해서 절대 망할 수가 없다.
@Googleaccount31452
@Googleaccount31452 19 күн бұрын
이야.. 설비 얼마짜리야 좋다..
@user-zv9do8vt5h
@user-zv9do8vt5h 20 күн бұрын
학생들 대단하다
@user-vd9ew2pw7g
@user-vd9ew2pw7g 23 күн бұрын
스승의 가르침이 바로 이런거다란걸 보여주네요.교육의 정석이군요.
@sck2713
@sck2713 22 күн бұрын
세금은 저런데 써야합니다
@user-vh3pd7pb9v
@user-vh3pd7pb9v 13 күн бұрын
그냥 좋은 실습이었다. 그이상 그이하도 아님. 특별한 의미 부여할 필요없음
@SteveAu
@SteveAu 24 күн бұрын
❤❤❤❤❤❤❤❤❤❤❤❤❤❤❤❤❤
@user-dr4rm4kb6d
@user-dr4rm4kb6d 20 күн бұрын
ASML 입사를 축하드립니다.
@masterkara
@masterkara 20 күн бұрын
Photo wet etch cvd.... 장비 다뤄본게 전부라고 하지만 실습이라고 치부 하진말아라 수십종의 gas, 화학물질, 진공 , 스크러버 펌프 열교환기 rf 플라즈마 진동 ..이중 한분야만 이해하는데도 1년은 잡아야 한다😮.
@user-qb1ds5ii8m
@user-qb1ds5ii8m 24 күн бұрын
예산부족으로 습식식각한거같은데 지원받아서 건식 습각하고 미세공정가야할듯.... 현직으로서 80um는.... 어따쓰게?
@lIIIllIIl
@lIIIllIIl 23 күн бұрын
선생님 고등학교에서 만든거잖아요. 저도현직자지만 응원합니다
@user-ui9tg3es8v
@user-ui9tg3es8v 20 күн бұрын
우리 고등한생들 대단합니다 우리 모두 응원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우리 모두 깨달아서 지혜롭게 행하며 진실되게 살아요 그러면 만사형통 합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user-pn8uk7uw4k
@user-pn8uk7uw4k 23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의 미래 가 살아 있다 장하다 존경합니다
@JJAEETV
@JJAEETV 11 күн бұрын
뭔가 새로운걸 만들어냈다는게 아니고 그냥 뛰어난 인재가 있다는거구나
@user-rd4yx1wx3d
@user-rd4yx1wx3d 24 күн бұрын
지원 팍팍 해줘야 됨.
@pikasoo123
@pikasoo123 20 күн бұрын
공대 화이팅😊
@user-nr7zz6ei4o
@user-nr7zz6ei4o 19 күн бұрын
고등학생들이 대단하다.
@user-wz8oq6mg7f
@user-wz8oq6mg7f 20 күн бұрын
저기 클린장비가 얼마였드라?
@JangBiReview
@JangBiReview 23 күн бұрын
80nm 공정이라도 고등학교에서 나오다니... 30년전 공정이지만 저정도면 상업적인거로 쓸수도있어여 대단한 친구들이다
@lIIIllIIl
@lIIIllIIl 23 күн бұрын
80마이크로미터입니다 아쉽게도 ㅎ... 하지만 학생들 응원합니다
@JangBiReview
@JangBiReview 23 күн бұрын
@@lIIIllIIl 마이크로미터군요! 학생들을 응원합니다 !!
@hola-rr5ru
@hola-rr5ru 21 күн бұрын
마이크로 단위면 북한도 만들죠 ..
@user-pb6lc6hd8g
@user-pb6lc6hd8g 23 күн бұрын
축하한다 2s중에 골라서 입사하겄네 이정도면
@user-nm3uq2pi1z
@user-nm3uq2pi1z 17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대한독립만세 최고입니다 👍 💕 😍 😄 😘
Can you beat this impossible game?
00:13
LOL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Bro be careful where you drop the ball  #learnfromkhaby  #comedy
00:19
Khaby. Lame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1❤️
00:20
すしらーめん《りく》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Can you beat this impossible game?
00:13
LOL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