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드림'을 아시나요? 일자리 찾아 태국으로 떠나는 동남아시아인 급증! (KBS 20160512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398,058

KBS 다큐

KBS 다큐

11 ай бұрын

□ 방콕드림을 향해 동남아 각지에서 모여든 사람들의 귀향길
급격한 성장을 하고 있는 동남아, 대표적인 대도시인 방콕에는 인근 국가 사람들이 일자리를 찾아 모여든다. 건설 현장, 공장, 식당 등 이른바 ‘3D산업’에는 이미 캄보디아, 미얀마, 라오스에서 온 사람들로 넘쳐난다. 불교력 신년 연휴가 시작되는 4월, 방콕의 수많은 노동자들이 기차와 버스를 타고 기나긴 귀향길에 오른다. KBS 스페셜에서는 태국 방콕, 아유타야 등 대도시에서 일 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고향 가는 길 1,300km를 카메라에 담았다.
□ 동남아 최대 명절 쏭크란 축제와 신년 맞이 행사 공개
세계10대 축제 중 하나인 쏭크란 축제는 가족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뜻으로 서로에게 물을 뿌리는 놀이가 유명해 물의 축제 라고도 불린다. 쏭크란 축제가 열리는 4월 13일은 불교력으로 새해가 시작됨을 의미하며 이 시기는 건기에서 우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쏭크란 축제가 시작되면 사람들은 골목 곳곳으로 몰려들어 물벼락 잔치를 즐긴다.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물총을 쏘고, 차창에 물을 끼얹는 북새통에 뙤약볕이었던 거리는 금세 흥건한 물바다로 변신한다. 신명 나는 쏭크란 축제 현장과 동남아 곳곳의 신년 맞이 행사를 공개한다.
□ 동남아시아의 급격한 변화 현장
방콕에서 고향으로 돌아가는 이들의 여정에는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 있는 동남아시아의 현재 모습과, 가족과 고향이라는 과거가 연결되어 있다. 산업화가 시작되며 급격한 경제발전으로 주목받고 있는 대도시 방콕. 이곳에서 미얀마, 캄보디아 고향집으로 가는 사람들과 동행하며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동남아의 다채로운 모습을 조명한다.
※ 이 영상은 2016년 5월 12일 방영된 [KBS 스페셜 - 국경을 넘어 귀향] 입니다.
#직장 #임금 #태국

Пікірлер: 651
@user-yn4mv8bb4r
@user-yn4mv8bb4r 10 ай бұрын
60년대 국민학교른 갓졸업하고 소작농 일을 하시던 아버지를 도와 농사일을 하던중 , , 너무배가고파 서 울고 있었지요. 당시엔 하루하루 끼니걱정이 제일컸었지요. 밤에는 전기도 들어오지 않아 호롱불밑에서 고픈배를 쥐어잡고 하루하루 버티었죠.그 이듬해 14살이되던해에 무임승차를 해서 고향을 떠나기로 마음을 먹고 전날밤 어머니께 말씀드리니 , ,어머니는 미안하다는 말씀만 하셨죠.개나리 봇짐에옷두어벌 챙겨 집을 나서는 이른 새벽 어머니는 제 두손을 꼭 잡으시며, 어디서 구했는지 그 귀한 주먹밥 두덩이를 봇짐에 넣어주시며 , 줄게 이거 밖에 없어서 눈물흘리시며 마을어귀까지 따라나오셨었죠. 서울에 올라와 월급도 못받고 쌀배달 하며 창고에서 벼룩 과 쥐 랑 뒤엉켜 지냈지만 너무 행복했습니다 .하루세끼 끼니걱정없이 양껏 밥을 먹을수 있다는거 그거하나였지만, 먹을게 귀하던 시절에 보릿고개는 엄청 힘든 시절이었습니다 .고향에 계시는 어머니와 어린 동생들 때문에 매일 슬펐습니다. 젊은시절 힘들게 살았던 덕인지 지금은 부자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요즘 어머니가 너무 그립습니다 .글을몰라 편지를 써도 읽지못해 늘 지니고만 있으시고 다니시던 우리 어머니 짚신말고는 신어본적이 없는 어머니를 위해 새하얀 고무신 한켤레 사드렸더니 아까우시다고 품안에 넣고만 다니시던 어머니 . . . 그립고 또 그립고 보고싶네요. 그당시 서울엔 제나이또래 10대 초중반 어린 소년공들이 굶는게 싫어서 고향을 떠났던 , 햇빛도 안드는 반지하 공장에서 정말이지 말도안되는 환경에서 하루12~14시간씩 일하며 받은돈 대부분은 고향에 보냈습니다 .이 영상속의 미얀마 사람들을 보니 주마등처럼 옛생각이 나네요. 언젠가는 이들도 잘사는 나라가 되길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q.s849
@q.s849 9 ай бұрын
마음 한구석이 아려오는 추억이 담긴 글이네요~ 언제나 가족들을 위해 자신을 희생만 하시던 우리들의 어머님들에게 오늘도 감사하고 고마운 마음뿐입니다~
@yjch2445
@yjch2445 9 ай бұрын
마지막엔 유복하게 지내신다니 잘됐네요. 선한일하며 남은 여생은 행복하게 지내시길 바랍니다.
@user-qv9ue1zq1d
@user-qv9ue1zq1d 9 ай бұрын
저도 차비만 가지고 설 올라왔어요 호롱불 켯다고 하면 설 사람들은 안믿더군요 국민학고 육성회비가 없어서 선생들한테 혼나고 집에가서 돈 가져오라고 다시 보낼때 너무 울었던 그때 선생들은 진찐 무서웠음 대문앞에서 학교안가고 울때 어머니께서 돈이 없어 이웃집 다 돌아다녀도 돈을 못 구했지요 다들 없는 그때라 저도 울 엄마가 사무치도록 보고싶네요 그때 그시절이 그리울때가 많이 있습니다
@user-no8fr2oh1s
@user-no8fr2oh1s 4 ай бұрын
짚신은 좀 ᆢ검정고무신이 겠지요
@youth_kr
@youth_kr 10 ай бұрын
우리도 저럴 때가 있었다는 것을... 우리네 윗세대들께 존경과 감사함을... 잠시 잊고 있었는데... 우리 모두 잘 살아봅시다
@blue_red_yellow59
@blue_red_yellow59 10 ай бұрын
박정희 대통령 각하 때문이죠
@hippie1869
@hippie1869 10 ай бұрын
@@blue_red_yellow59 박정희 때문임. 이 나라의 경제를 누가 만들었는지 고민할 것도 없죠.
@svalski6424
@svalski6424 10 ай бұрын
@@blue_red_yellow59멍청아 힘내라
@kkjh9496
@kkjh9496 10 ай бұрын
@@blue_red_yellow59 정신차려..!! 씨바스리갈에 딸같은 여대생들 따먹고 밤마다 술판벌린놈이 뭘해준게있다고....모두 우리국민이 근면하고 성실했기에 이룬결과지...
@hwachanlim
@hwachanlim 10 ай бұрын
종북 좌파들이 방해하지 않았으면 좋았을텐데,, 북한수준으로 경제를 잡아두는게 목표인 좌파랑 싸우며 경제도 발전 시켜야 하니 힘들줘
@PLAYERS703
@PLAYERS703 Ай бұрын
시골에서 자라 지금은 부를 이룬 우리 엄마 아빠도....이렇게 사셨겠지...나이가 점점 들어가니 정말 부모님은 위대함을 느낀다...항상 감사한 마음을 잃지 말고 살아야지..
@user-pw1nz8xq9l
@user-pw1nz8xq9l 10 ай бұрын
공장에서 힘들게 일하면서도 먹고싶은거 하나 못먹고 동생학비를 보낸다라는 말을 들으니 우리나라 70-80년대 구로공단, 청계천에서 일하던 많은 누나들이 생각나네요.
@user-cs4cx3bl2u
@user-cs4cx3bl2u 11 ай бұрын
눈에선하게 다가오는 우리네옛날풍경이 그대로빼박았네요 고생스럽던 시절이지만 지나고지금은 너무그리운시절이네요 저분들도 몇십년후 그리운추억으로 회생했으면 합니다
@JUNCNX
@JUNCNX 11 ай бұрын
태국 주변국에서 온 값싼 노동자들과 쌀, 식자재, 과일 그리고 육류등의 자급이 가능하기에 코로나 시국에도 그나마 다른 나라들에 비해 태국의 인플레이션이 높지 않았습니다. 태국 치앙마이에 거주중인데 코로나 끝나고 한국과 다른 나라들 다녀와 보니 물가가 엄청 나게 올랐더군요. 태국 사는 입장에서 주변국 노동자들에게 감사한 마음이 드네요.
@tangiblemark
@tangiblemark 9 ай бұрын
엥.. 치앙마이도 엄청 올랐는데요 뭐. 치앙 자주 가는편인데.. 물론 님만쪽이긴하지만 2019년에는 50바트짜리 메뉴였던게 200밧을 받고 그러더라고요. 깜놀.
@JUNCNX
@JUNCNX 9 ай бұрын
@@tangiblemark 님만해민은 치앙마이 현지 물가라기에는 관광객 전용이나 거품이 낀 가격이라서요ㅋ 저는 10년 넘게 사는 입장이니 장보는 물가나 자주 다니는 업소들 코로나 전후로 가격과 매년 한국가서 느끼는 가격을 비교해보니 체감이 확 나더라구요.
@jaykwon5647
@jaykwon5647 9 ай бұрын
장기 비자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JUNCNX
@JUNCNX 9 ай бұрын
@@jaykwon5647태국은 대한민국과 90일 무비자 협정국이라 초기에는 90일마다 주변국을 당일치기로 다녀오는 비자런을 하다가 장기 체류로 가닥을 잡은 후에는 1년마다 갱신하는 교육비자로 변경하였고 마지막으로는 태국인 와이프를 만나 결혼 비자로 지내고 있습니다.
@byoungsu1218
@byoungsu1218 10 ай бұрын
영상에 나오신 모든 분들에게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 합니다.
@mrraiarj
@mrraiarj 11 ай бұрын
I am Thai . I would like to say thank you to all people from neighbors countries who left their families and came to work in Thailand . You had to do the very hard works and all kinds of works than Thai people did not want to do. Thank you again .
@JYool10
@JYool10 11 ай бұрын
เป็นบทความที่ดีที่สุดสำหรับเนื้อหาสารคดี
@Ace-ch9kt
@Ace-ch9kt 10 ай бұрын
엄지척 하고 갑니다.(주변국가에서 태국으로 일하러 간다는거 몰랐는데.. 이거보고 알게됨)
@JYool10
@JYool10 10 ай бұрын
@@Ace-ch9kt태국 호텔이나 맛사지샵 가보면 주변국가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한국에서도 러시아나 우즈백키스탄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등등 여러 나라사람들이 3D업에서 일하는거처럼요.
@MrYou-wf1df
@MrYou-wf1df 10 ай бұрын
똑같아 태국인들도 한국이나 일본으로 돈벌러많이오는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
@jin9114
@jin9114 10 ай бұрын
​@GreatChinaEmpire중국 한달 평균 월급이 40~50만원이라는데??ㅋㅋㅋㅋㅋ 그러니 한국에와서 일할라고 용을 쓰지 ㅋㅋㅋㅋ
@user-en7uk7ot2o
@user-en7uk7ot2o 10 ай бұрын
벌써 7년전 영상인데.. 맘아프네요. 지금도 잘지내고 계시겠죠? 항상 힘내세요. 좋은날이 올겁니다!
@0070chh
@0070chh 10 ай бұрын
우리 아버지, 어머니 세대도 그랬었죠. 공부잘하는 삼촌, 고모들 대학교 보내고 당신은 초등학교만 졸업하고 농사일 도와드렸어요. 결혼을 하시고는 농사일이 없는 겨울철엔 자식들은 할머니께 맏겨두고 외지로 돈벌러 가셨어요. 자식들은 커서 용돈도 드리고 호강시켜 드려야하는데 나 살기 바쁘다고 자기 생각만 했어요. 그렇게 무리하게 일하시다가 왜그리 급하셨는지 사고로 하늘나라로 가셨어요. 오늘은 집에 가면 아들 딸 꼭 안아주며 할아버지 얘기를 해주고 싶습니다.
@user-hc4eb2ey7o
@user-hc4eb2ey7o 10 ай бұрын
나도 워홀 와서 외국인 노동자로서 현지인 카페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이 영상을 보면서 느낀게 나는 진짜 행복하게 일을 하고 있구나라고 느끼네요
@junpark4007
@junpark4007 10 ай бұрын
힘내십쇼
@jasonim2354
@jasonim2354 10 ай бұрын
외국인으로 산다는거 처음엔 누구나 다 힘들죠. 국민학교 (초등학교) 시절에 미국에 와서 부모님이 설거지, 호텔 청소, 바느질공장, 페인트칠 등 하루에 3~4 시간만 주무시고 일하셨습니다. 어린시절 단칸방에서 누나하고 부모님 4 식구가 많이 힘들게 살았죠. 하지만 부모님 덕분에 공부도 할수 있었고 대학을 다니고 그후 미국에 진출한 한국 대기업에서도 일했었고. 지금은 남부럽지 않게 잘 살고 있습니다. 자식들도 고등학생이 되었고 한명은 미국에서 주니어 골프선수로 뛰고있죠. 열심이살면 분명 좋은날이 올겁니다. 포기하지마시고 힘내세요.
@KoKo-ve7on
@KoKo-ve7on 10 ай бұрын
열심히 해라 농땡이 까지말고
@User11737
@User11737 9 ай бұрын
@@KoKo-ve7on 갬성적인 말보다 이게 정답이노 ㅋㅋ
@user-hc4eb2ey7o
@user-hc4eb2ey7o 9 ай бұрын
@@KoKo-ve7on 주 6일 주 45시간 이상 일함요 차마 주7일 멈추지마는 못하겠고 주6일 멈추지마 7개월 째 하는 중
@elizabethlee5633
@elizabethlee5633 11 ай бұрын
60여년 전에는 한국의 큰 딸들도 구로공단 평화시장 등으로 가서 노예처럼 일하며 동생들을 공부시키고 부모님을 도왔지요.. 지금은 생각할 수도 없는 일이지만..
@hwl1516
@hwl1516 10 ай бұрын
심지어 필리핀에 핼퍼로 간 사람도 았엇음 ㅋㅋㅋ 양공주가 외화벌이 전사로 인정받던시절
@user-mb7nc9ln5u
@user-mb7nc9ln5u 10 ай бұрын
그런데도 투표권도 주지말자는 민주당 어떤여자...어이 없어요!
@Torangkeby
@Torangkeby 10 ай бұрын
​@@user-mb7nc9ln5u투표권하고는 상관없지 않나요? 당연히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데 타국사람에게 투표권은 당연히 않되지요
@user-nq8mm8kb5p
@user-nq8mm8kb5p 10 ай бұрын
엔지. 참 이쁘다 아들도 귀엽고 하루바삐 사랑하는 가족과 같이 살앗음 좋겟다
@user-gs8wk6qy8d
@user-gs8wk6qy8d 10 ай бұрын
60년전에ᆢ형,누님들이 ᆢ 동생들에 배고품과 공부시키기 위해서ᆢ 희생 하셨습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ᆢ
@ysl505
@ysl505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저런때가 있엇다는데 보기만해도 짠하네요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단기간에 올랏다는게 자랑스럽고 만감이 교차합니다
@OneStep234
@OneStep234 10 ай бұрын
지금 나라꼴 보면 선진국'이었다'...라는 표현이 맞지 않나 싶네요
@user-wy2yw6qs3e
@user-wy2yw6qs3e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선진국이었던 적 없어요
@hwachanlim
@hwachanlim 10 ай бұрын
중궈인들이 너무많이 댓글달아요
@user-dr1tl6nm8c
@user-dr1tl6nm8c 10 ай бұрын
후진국들 중 잘 사는 편이라고 하는 게 나을듯요
@sumsumoksusu0
@sumsumoksusu0 10 ай бұрын
댓글들봐라ㅋㅋㅋ 본인이 못사니까 다 못사는줄아나 한국이 선진국 아니면 선진국인나라 아무곳도 없음
@piyatira7974
@piyatira7974 11 ай бұрын
ประเทศไทยอาจจะไม่ใช่ประเทศที่ดีในสายตาของคนเกาหลีหรือบางประเทศ แต่เราคนไทยก็รู้จักใช้ชีวิตให้มีความสุข สงบ สบายใจ มันอาจจะมีคนไทยที่ไม่ดีบางส่วนไปทำงานที่ผิดกฎหมายในเกาหลีใต้ เราคนไทยขอโทษ แต่ก็มีคนไทยส่วนใหญ่ไม่ได้สนว่าเกาหลีใต้จะดีอย่างไร เจริญอย่างไรแต่เราแค่เป็นประเทศที่รู้จักให้ เสียสละและช่วยเหลือกัน เราไม่ได้จำเป็นต้องรวยแต่ขอให้มีควมสุขในชีวิตก็พอ
@hoyoungkim9429
@hoyoungkim9429 11 ай бұрын
@venusmay8109
@venusmay8109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태국을 비롯해서 주변국가를 사랑합니다❤
@lol-ie3rx
@lol-ie3rx 10 ай бұрын
오해에요 태국을 굉장히 좋아합니다 태국여행만 10회 다녀왔고 다음달에 또 갈겁니다🎉😊
@_vs5777
@_vs5777 10 ай бұрын
i am korean. i dont understand what you saying but i love thailand and thai culture
@bean_noodles
@bean_noodles 10 ай бұрын
저도 최근 방콕에 여행을 다녀왔는데요, 태국사람들 매우 친절하고 좋았습니다. 한국인들은 태국을 사랑합니다.😍
@meowhaba
@meowhaba 9 ай бұрын
얼마 전, 나이지리아를 다녀왔던 기억(열악한 조건에도 열심히 사는 사람들)과 겹치며 그동안 제가 얼마나 불성실했고, 가진 기회와 젊음에 감사 할 줄 모르고 낭비하며 살았는지 또 한 번 상기가 되었습니다. 아픈 아이를 제때 병원에 데려가지 못하는 부모의 마음을,, 아픈 노모에게 딸을 맡기고 몇 년 만에 만나는 아쉬움을,, 감히 헤아리지 못하겠습니다.. 많은 것을 포기하고 열심히 산 만큼, 희망하는 바를 이루고 건강하고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정말 인상깊게 봤습니다. 좋은 다큐 감사합니다.
@NellKune
@NellKune 10 ай бұрын
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그 어떤 나라보다 못살았다. 그때 한국은 동남아보다 훨씬 못살았고 북한보다도 뒤쳐져있었다. 팩트다. 지금은 한국이 선진국 됐다고.. 외국인들이 한국문화를 좋아해준다고... 한국인이라고 하면 외국인들이 치켜세워준다고.. 자만하거나 다른 나라를 깔보지 말자. 저들도 돈 벌겠다고 외국에 가서 열심히 일하는거보면 안타깝고 응원하고 싶은 마음만 든다. 한국인들도 60-70년대 외국나가서 온갖 차별 다 겪으면서 열심히 돈벌었다. 지금은 우리가 안그런다고 저들을 손가락질하고 놀릴수있는가? 정신차리자. 다시 그때처럼 안된다는 보장이 있는것도 아니다. 항상 겸손하고 우리보다 뒤쳐진 나라가 있으면 응원해주자. 어느나라 사람이든 다들 돈 많이 벌고 건강했으면 좋겠다. 화이팅.
@user-ve4yz6fz1i
@user-ve4yz6fz1i 10 ай бұрын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다
@user-dp1wm6ey8w
@user-dp1wm6ey8w 10 ай бұрын
다시한번 잘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나라든, 개인이든. 대한민국 국민이라는게 자랑스럽다
@uwq0112o0
@uwq0112o0 10 ай бұрын
남들의 고통을 보면서 국뽕을 느끼시는군요,,
@noogoo2360
@noogoo2360 8 ай бұрын
@@uwq0112o0 별 시답잖은 글을 다네요. ㅠㅠ
@romancecat4469
@romancecat4469 10 ай бұрын
지금도 별로 달라진게 없어서 마음이 아프네요. 제 자신도 돌아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vs4qy4bv8v
@user-vs4qy4bv8v 10 ай бұрын
고향으로, 가족에게 향하는 분들 표정이 모두가 행복하네요. 새삼 소중한 것을 깨닿습니다.감사합니다.
@user-ly8vl9eu7u
@user-ly8vl9eu7u 10 ай бұрын
깨닫고 가 맞습니다!😂❤화이팅 하세요!
@sipit2890
@sipit2890 10 ай бұрын
태국애들이 우리보고 인종차별 어쩌구 하는데 쟤들도 캄보디아 라오스 애들 엄청 차별함 자국 안에서도 방콕 출신과 저기 시골 이싼 출신이라고 차별하고 라오스 캄보디아 불체자 욕하지만 한국에서 불체 1등은 언제나 태국인
@naeiouy
@naeiouy 10 ай бұрын
무비자협약이 있다보니 불체1등일수밖에 없는듯(한-태 상호 무비자)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10 ай бұрын
같은 개도국 후진국들끼리 대장놀이하는 ㅋ
@huanlee2369
@huanlee2369 10 ай бұрын
@GreatChinaEmpire korean dont like Chinese
@ysllee6197
@ysllee6197 10 ай бұрын
저두 태국 많이가보고 태국인, 태국내외국인이랑 지내본후ㅋㅋ 내로남불의 나라
@gtpark1375
@gtpark1375 8 ай бұрын
한국에 오는 태국인은 이싼인(=라오스인) 역사적으로 태국으로 편입된 사람들임. 애네도 사실 외국인노동자인데 태국 시민권 가지고 있어서 한국갈수있는거
@koreathaifamily2016
@koreathaifamily2016 10 ай бұрын
열심히 살아가고있는 모습에 힘을 얻고갑니다. 영상감사합니다~
@phechrBMM
@phechrBMM 11 ай бұрын
ขอบคุณสำหรับสารคดี ดีๆ 💌🇰🇷🇹🇭
@ye9413
@ye9413 9 ай бұрын
다들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아름다워요 아픈 아이는 꼭 다시 건강해지길
@Yi-Jung
@Yi-Jung 10 ай бұрын
다들 열심히 살아가는군요. 모두 힘들 내시길...😊
@pondjaemsopon9845
@pondjaemsopon9845 11 ай бұрын
1. 지리적 요인: 태국은 4개의 인접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미얀마와의 국경 길이는 2,202km입니다. 라오스 국경 1,750km 캄보디아 국경의 길이는 798km입니다. 말레이시아 국경 576km 대부분의 경계가 산의 유역을 차지하는 곳 흐름이 가장 강한 수로의 중앙에 있는 수로 또는 개울을 깊은 물통이라고 합니다. 국경을 넘어 태국으로 가는 것이 편리합니다. 자동차로 여행 할 수 있습니다 교통비와 교통비가 상당히 저렴합니다. 2. 사회적 요인: 기술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노동자들은 태국에서 일하는 많은 친한 친구와 친척들이 있습니다. 태국에서 일하기 따뜻한 느낌 마치 자신의 고향에서 일하는 것처럼 그리고 태국은 가사도우미 등 태국인들이 하지 않는 많은 종류의 노동력이 부족하다. 웨이트리스, 레스토랑, 서비스 종사자, 노동자, 어업 및 어업 종사자 등 3. 경제적 요인: 경제적 차이 태국에는 명확한 최저 임금법이 있습니다. 근로복지가 좋다 사회보장기금이 있습니다. 강한 바트 이웃보다 더 나은 유틸리티 및 경제 따라서 외국인이 태국에서 일하고 생활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닙니다. 합법, 불법 모두 3백만이 넘습니다.
@kdsym2074
@kdsym2074 10 ай бұрын
열심히 살아야겠다. 너무 눈물이나네요
@informmedia1082
@informmedia1082 10 ай бұрын
이런 프로 칭찬해.
@camera3461
@camera3461 23 күн бұрын
방콕에 산지 10 여년이 넘어갑니다 처음엔 호기심에 외국 산다는 기분에 와서 직장도 구하고 잼나게 살았는데요 세월이 가면서 나이가 드니 다른 사람의 삶도 눈에 들어오더군요 방콕엔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주변국에서 온 외노자들이 정말 많아요 대부분 순수하고 가족을 위해 일합니다. 가끔 태국인들도 하지 않는 이른바 3D업종에 일하는 이 분들보면 진짜 존경스럽고 눈물이 납니다. 가족이 뭔가 함을 이 분들을 통해서 느낍니다. 나는 정말 행복하구나 하고 스스로에게 불평불만 하지 않게끔 되뇌입니다.
@user-xq9lm5xx2y
@user-xq9lm5xx2y 10 ай бұрын
눈물 난다.
@user-lu9ff9uh9x
@user-lu9ff9uh9x 11 ай бұрын
힘든 일을 왜 해야되는지 다시 일깨워 주는 좋은 영상
@hwl1516
@hwl1516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힘든일은 외국인이 다해서 내국인 힘든일 하는 사람들 급여는안오르고 결국 건설현장에 부실공사로 이어진다. 조선족이 인력의 70퍼고 중앙아시아애들이 20퍼고 한국인 10퍼인데 안전한 아파트 바라지마라. 자재 빼돌리기도 문제인데 인력수준이 20,30년하고는 다운그레이드 40퍼센트 정도 되었다.
@huanlee2369
@huanlee2369 10 ай бұрын
@@hwl1516 다운그레이 영어로 써봐
@user-qb2zc7de2v
@user-qb2zc7de2v 10 ай бұрын
​@@hwl1516 조선분야도 마찬가지에요. '메이드 인 코리아' 품질문제
@parkerjames7991
@parkerjames7991 11 ай бұрын
한국에 태어난것에 감사함을 느낀다..
@mjkim4130
@mjkim4130 10 ай бұрын
아멘
@dollsface
@dollsface 10 ай бұрын
한국도 저시절 있었어요 6 7 80, 어마무시한 투쟁 노동 정치 목숨돈바꾼 월남전 독일 간호 탄광 돈벌러가고 사우디 돈벌러가고 조상님들 고생 많이 하셨지 어마무시한 역사네
@uwq0112o0
@uwq0112o0 10 ай бұрын
이런 저급한 수준의 댓글들은 동아시아 국가들빼곤 그 어느 나라 사람도 안달듯. 불쌍하니까 다들 동정하지. 그걸보고 자랑심이나 챙겨가는게 참,, 동아시아 특유의 가증스러운 국뽕
@chardri8660
@chardri8660 10 ай бұрын
​@@uwq0112o0ㅗ
@AndanteAndante-bg1kq
@AndanteAndante-bg1kq 9 ай бұрын
@@uwq0112o0 가증 안스러운데 ㅋ 상대적인 것이니까 그렇지... 게다가 너무 동남아가 수준이 덜떨어지니!
@venusmay8109
@venusmay8109 10 ай бұрын
40분 경에 "새옷 입어본적 있어요"? 물어보는 피디 반성하세요 저 아이의 눈빛이 참 슬퍼보입니다. 질문옆에서 듣고있는 새옷 못사준 아빠의 마음은 얼마나 찢어지겠어요?
@user-be7pv8sz9l
@user-be7pv8sz9l 10 ай бұрын
저랑 같은 생각을 했네요 아무리 다큐멘터리라고 하지만 가장 아플 것 같은 질문을 그렇게 무심히 툭 던지는 것은 너무 무신경 했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반대로 "새옷 입어서 기뻐요?" 라고 물어봤다면 애기도 활짝 웃을 수 있고 아빠도 더 열심히 일해서 또 새옷 사줘야지 다짐할 수 있을건데 너무 생각없는 질문이었습니다
@goout_key
@goout_key 10 ай бұрын
맞는 말이지만 6년간 어머니와 딸을 방치하고도 새 살림을 차린 아빠도 좀 느껴야 할것 같기는 합니다. 너무 무책임해요. 다른 엄마들과 달리 그집만 살림이 전혀 나아지지 않았네요..
@user-ch1gg2zu2y
@user-ch1gg2zu2y 10 ай бұрын
제정신이 아닌 피디..좋은 프로그램에 사족을 치고 있네..억대연봉인 당신이 뭘로 저분들에게 상처를 주고 뭘 안다고 그런 질문을..
@cosy0410
@cosy0410 2 ай бұрын
한세대 전에, 한국도 똑같이 가난한 생활과 명절 풍경이였습니다.. 요즘을 사는 사람들에겐 상상조차 할수없었겠지만... 지금의 한국의 풍요는 선대 사람들의 고통과 희생에 의해서 만들어진 풍요입니다. 현재를 사는 한사람으로써 감사의 맘을 잊지않고 살겠습니다. 그리고, 먼 나라의 동남아시아 각국의 분들에게도 풍요와 행복을 빌어주세요~♡ (한국인을 대신해 한국에서 고생하시는 외국인 노동자분들에게도 건강하게 돈 많이 벌어 고국에서 행복하시길 빕니다... 진심으로.....❤) ☆ 수신료의 가치를 실현하는 KBS 사랑랍니당~ 😊 이런 의미있고 좋은 다큐 많이 많이 시청하고 셒습니다.
@bbyong0246
@bbyong0246 10 күн бұрын
지금 힘들고 괴로워도 당실들의 자식들은 더 나은 환경에서 행복하게 살게 될겁니다. 모두 힘내시고 건강 챙기십시오
@user-go2lg2ji6d
@user-go2lg2ji6d 9 ай бұрын
외국에 많이나오면 많이 나올수록 한국에 대한 애정이 더생김
@dragonj2741
@dragonj2741 10 ай бұрын
제 자신을 돌아보게 만드는 영상 입니다. 감사 합니다.
@user-to2cn9pc8p
@user-to2cn9pc8p 10 ай бұрын
시청료의 가치👍 너무 잘봤습니다.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7년전 영상이나 올리는 KBS에게?
@mimi-ei7ty
@mimi-ei7ty 11 ай бұрын
열심히 살아도 가난은 여전하고... 이래서 나라가 부강해야 한다. 국민들을 생각해야 한다.위정자들은...
@user-oz5zi4dr2p
@user-oz5zi4dr2p 11 ай бұрын
그 지긋지긋한 5천년 가난을 벗어날 수 있는 기틀을 닦아주신 분이 박정희 대통령입니다
@wjk8391
@wjk8391 11 ай бұрын
@@user-oz5zi4dr2p이런 영상을 볼 때면 대한민국의 부흥에 목숨을 거신 박정희 대통령이 생각나서 눈물이 나네요.
@overcome496
@overcome496 11 ай бұрын
어느 사람이든, 특히 정치인이나 지도자를 신격화하는 걸 매우 경계하지만, 우리나라 대통령 중 유일하게 각하 호칭을 붙이는 대통령님, 박정희 대통령 각하.
@cometfi2298
@cometfi2298 11 ай бұрын
박정희가 아니였으면 진즉 20년은 일찍 선진국 진입했을듯 독재정권으로 투자도 제대로 못받고 경제발전이 더뎟지
@user-br4zg1bq8h
@user-br4zg1bq8h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기업들이 튼튼해서 우리나라가 부강 한것
@minshin52
@minshin52 10 ай бұрын
살기는 고단해보이는데 저 분들이 온갖 혐오와 분노표출 사회가 되어버린 우리나라 사람보다 더 행복해보여요.
@lovelisaha
@lovelisaha 10 ай бұрын
그럼 태국가서 사시던가??
@user-hw6jq9dq2e
@user-hw6jq9dq2e 10 ай бұрын
그건 아니에요.
@Bang_I28
@Bang_I28 10 ай бұрын
저기가서 저들식대로 살아보면 또 한국에 들어오고 싶어질겁니다.
@user-jl6se1rk1g
@user-jl6se1rk1g 8 ай бұрын
웃기시네 그건 니 생각이고
@user-wx6rs1nx9l
@user-wx6rs1nx9l 5 ай бұрын
희망이 있고 없고 차이겠지요 주변을 보면 잘사는사람이 많으니 상대적 박탈감이 더할테고요.. 댓글들 수준이 낮지만 같이 낮아질 필요는 없지요
@amszz5385
@amszz5385 10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에 태어나게 해줘서 감사합니다..
@user-di3tl9mo2t
@user-di3tl9mo2t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50~60년 전엔 저래어요 저도 어렸을때 배가 고팠던적도 많았고 서울이지만 하루 한장씩 연탄사들고 와서 떼고 물지게로 우물에서 물날라서 밥짓고 식수로 썼습니다 개천물도 아주 썩은물이었고요 부모들은 교육열이 대단해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는겁니다
@uwq0112o0
@uwq0112o0 10 ай бұрын
이런 저급한 수준의 댓글들은 동아시아 국가들빼곤 그 어느 나라 사람도 안달듯. 불쌍하니까 다들 동정하지. 그걸보고 자랑심이나 챙겨가는게 참,, 동아시아 특유의 가증스러운 국뽕
@naldalion
@naldalion 10 ай бұрын
우리회사에 캄보디아 사람 삼백만원 넘게 받고 일하는데...자기 고향에 땅도 많이 사고 집도 사고 했던데..
@user-to7ce8ty4k
@user-to7ce8ty4k 9 ай бұрын
세상이 너무 슬픕니다,,,
@ninehappy8363
@ninehappy8363 9 ай бұрын
2차대전후 독립한 나라중 세계 꼴지에서 2번째 가난했던 한국 (한국보다 못살았던 나라 인도밖에 없었음) 세월이 흘러 미친듯이 앞만 보고 돌진했던 선배들 덕분에 선진국 문턱에 들어섰는데 ~~ 영상보니 예전 한국하고 똑같은 모습들 ~~ 모든 사람들 부디 경제적으로 풍족해지기를 ~~
@user-lp1us2tj7z
@user-lp1us2tj7z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70-80년대에는 하루 14시간씩 일하고 한달에 첫째주 셋째주 일요일 이틀만 쉬고 일해서 지금 경제를 일으겼죠 짠하네요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11 ай бұрын
태국 방콕에서 1년간 살았습니다. 여기 태국은 미얀마,라오스, 캄보디아 인들이 많이 와서 태국인들이 하지않는 힘든 일들을 합니다. 이들이 받는 하루 일당은 만원내외. 하지만 미얀마나 라오스에서는 하루일당이 3천원에서 5천원 정도이고 그나마도 일이 없습니다. 이러니 태국으로 몰려오는 것이죠. 특히 태국 건설현장에 가면 미얀마인들이 참 많습니다. 힘든일인데도 미얀마여성들이 정말 많이 일하더군요. 태국인들은 큰돈을 버는 사람들도 별로 없는데도 힘든일은 안하려고 하더군요.
@user-cx2mu1re5m
@user-cx2mu1re5m 11 ай бұрын
다 똑같네요 태국인들도 한국인들이 하지 않는 3d업종에서 일하고 있으니 이래서 나라가 잘살아야죠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11 ай бұрын
@@user-cx2mu1re5m 그게 바로 태국인들의 본질이죠. 돈이 되야 일합니다. 그래서 한국내 불체자 1위가 태국인이고 외국인범죄율 1위가 태국입니다.
@aawasmae7643
@aawasmae7643 11 ай бұрын
힘든일 할 생각있는 사람들은 외국가서 일하는거 같아요
@user-um3nl8lp3t
@user-um3nl8lp3t 11 ай бұрын
태국애들은 한국와서 여자는 몸 팔고 남자는 공장 다니고 함
@eddiechoi551
@eddiechoi551 10 ай бұрын
거기에 태국인들은 오만하고 거만하기까지합니다
@zonestar6437
@zonestar6437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arianhwang4420
@marianhwang4420 9 ай бұрын
태국도 그리 잘사는 건 아닌데, 동남아는 참... 한국에 태어난걸 정말 감사하게 생각해야 함.
@user-uf3np4vt4r
@user-uf3np4vt4r 10 ай бұрын
신자유주의 이후 국가와 국가간의 빈부격차,개인과 개인간의 빈부격차는 더욱 더 극심해진듯...
@TV-xt3ev
@TV-xt3ev 8 ай бұрын
요즘 다큐는 한편의 영화같네 ㅋㅋ 영상도 좋고 스토리도 좋고 ㅋㅋㅋ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7년전 영상이야
@user-kf7tp5ui3c
@user-kf7tp5ui3c 10 ай бұрын
관광업으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눈탱이가 좀 심해서 다시갈일은 없어졌음.
@user-gt2gd7pv6u
@user-gt2gd7pv6u 10 ай бұрын
팍팍하지만 뭔가 따뜻하다. 지금 우리는 많이 풍족하지만 항상 불만인듯....
@user-yy4kc6qg4o
@user-yy4kc6qg4o 10 ай бұрын
저렇게 번돈이 교육과 기술에 투자되어야 선진국이 되는건데 저런 나라들의 문제점이 오히려 관광이라는 산업이 그런것을 생각도 못하게 할만큼 생각을 정체시켜버릴만큼의 돈을 벌게 해준다는것임 그래서 앞으로 더 나아가지를 못함+ 정치체제와 지도자의 무능함이 정말 크지 한국은 불국사 티켓팔아서 선진국이 된게 아니라 교육과 과학기술에 거의 몰빵했기때문에 세계적인 기업을 보유하고 선진국이 된거임
@joeyausAyoyo
@joeyausAyoyo 7 ай бұрын
ไทย แค่หวังให้ธุรกิจการท่องเที่ยวนั้นกระจายรายได้สู่ประชาชนอย่างทั่วถึงเพื่อลดการเหลื่อมล้ำ เราไม่ได้หวังพลิกฟื้นประเทศจากการท่องเที่ยวแต่เราหวังให้ธุรกิจอุตสาหกรรมเทคโนโลยี่เป็นตัวนำที่ได้สร้างงานสร้างอาชีพให้คนไทยทั่วทุกภูมิภาคเพื่อยกระดับความเป็นอยู่และสวัสดิการขั้นพื้นฐานให้ดีขึ้น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joeyausAyoyo그런데 그렇게 못하잖아? 마약이나 합법화하고
@AAA-cn3yo
@AAA-cn3yo 9 ай бұрын
후속편 현제는 어떤지 보고싶네요
@phuketsnap
@phuketsnap 9 ай бұрын
태국에서 살고 있다 보니 굉장히 많은걸 느끼게 하는 영상이었네요. 머 저도 워크퍼밋 받고 태국에서 일하고 돈벌고 있으니 저 또한 외국인 노동자일텐데 ..한국의 식구들 친구들 이 보고싶네요
@dongjinbae7845
@dongjinbae7845 6 ай бұрын
대박인게 ㅋㅋ촬영하시는 선생님들 처음부터 끝까지 다 따라가셨어 ㅋㅋ
@user-xh2vb5cl6m
@user-xh2vb5cl6m 5 ай бұрын
저도 마눌이 태국인데 태국가면 저렇게 다니고 생활합니다. 나름 옛날 시골 완행버스 갈아타고 기억 새록새록나고 나름 괜찬습니다 이번 쏭크란때 또 태국 가는데 ㅎㅎ
@feistel8198
@feistel8198 10 ай бұрын
시골에서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 상경하는 수준 까지만이라도 나라가 살아줬으면 좋았을텐데 불법으로 타국에 떠나는 마음 오죽할까요. 모두 열심히 삽시다
@ccycca5380
@ccycca5380 10 ай бұрын
태국은 외국인에게 특별히 최저시급을 챙겨주지 않기 때문에 계약만 잘하면 싼값에 쓸수 있습니다~~ 게다가 아주 힘든일을 합니다
@lovepool5778
@lovepool5778 2 ай бұрын
모두가 행복한 세상이였으면 싶어요
@user-us8mm5ow7z
@user-us8mm5ow7z 10 ай бұрын
짠하내요 ㅠㅠ
@ksbell0323
@ksbell0323 10 ай бұрын
이제 후알람퐁 역은 역사속으로 점점 사라지려는지 새로운 역 '방슈 그랜드 터미널' 이 개설 되었고 엄청 시설이 좋아졌어요 기차는 아직 그대로 이지만 하지만 이번에 슬리핑기차 신규기차가 도입되면서 엄청 쾌적해 졌지요 하지만 그것도 몇대 없다는 사실... 그리고 처음에 나온 이발하시던분의 고향의 람빵은 말이 끄는 "마차"가 되게 유명하고 명물입니다.
@ssagg08
@ssagg08 10 ай бұрын
매사에 감사하며 살아야겠어요.. 우리는 부모님 조상님들덕에 축복받은 민족임을 새삼 깨닫습니다.
@YJ-tt2cx
@YJ-tt2cx 6 ай бұрын
열심히살자 가족들 안아픈게 제일 큰 복입니다
@user-yx9yp9kx7m
@user-yx9yp9kx7m 10 ай бұрын
고향떠나는 설움을 말로 할 수 있을까? 가족간에 얼마나 그리워할까? 돈이 뭐길래, 먹고사는 게 뭐길래 정든고향 떠나야만 하나. 아 슬프다...
@user-tp2tg7in3l
@user-tp2tg7in3l 11 ай бұрын
사람사는건 다 똑같네요 가족을 끔직이 생각하는건 한국인들만의 특성은 아니네요
@user-gm7hi9bh9f
@user-gm7hi9bh9f 10 ай бұрын
좋은 방송 이네요.. 사람들이 생각은 가자다른거지 틀린것은아니겠지요. 다만자기의생각과경험이 모두옳은것은아니라는걸 아셨으면좋겠네요.. 태국 방콕 1년사신분은 여기서도ㅋㅋㅋ
@user-vu3mb7kp9x
@user-vu3mb7kp9x 3 күн бұрын
행복은 소소한 작은 것에 있다.
@user-hw4dm4zm6q
@user-hw4dm4zm6q 10 ай бұрын
모두가 부처님의 자비로 부자되세요
@Lyle0425
@Lyle0425 8 ай бұрын
동남아에서 태국보다 훨씬 잘사는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도 상황은 똑같습니다. 여기도 많은 동남아 서남아인들이 일하러 와 있어요. 게다가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엔 태국인들도 돈을 벌러 꽤 많이 와 있죠. 한국이 아시아의 끝 극동 지역의 나라여서 해외 나가는 거를 특별하게 볼 뿐, 많은 나라들이 육로 국경으로 접한 동남아나 서남아, 유럽 등은 근처 잘사는 나라에 가서 일하고 사는 게 일반적입니다.
@ictus4232
@ictus4232 10 ай бұрын
10년전이네요. 지금은 많이 달라졌을 듯합니다.
@user-bn9sp2sw8y
@user-bn9sp2sw8y 10 ай бұрын
엔지씨 눈이 참 예쁘네 출연자들 출연료 좀 많이 받았으면 좋겠다...
@user-nq8mm8kb5p
@user-nq8mm8kb5p 10 ай бұрын
엔지 아들 위의 아기도 건강하게 잘컷음 좋겟다
@Seoul_Korea_
@Seoul_Korea_ 10 ай бұрын
Bangkok is capital city of Land-Southeast Asia, Singapore is capital city of Economy-Southeast Asia 😊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10 ай бұрын
동남아는 싱가폴 제외하고 소득이나 생활수준이 비슷할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을텐데 생각보다 소득격차가 많이 납니다 태국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필리핀 인도네시아보다 소득격차가 최소 2배에서 5배 정도 높습니다 그래서 방콕에는 외국인 노동자가 진짜 많습니다 동남아시아 뿐만 아니라 남부아시아에서 일하러 온 외국인도 많습니다 게다가 태국은 지역마다 편차는 있지만 하루 최저 임금 300밧이라는 법이 있고 근로시간이나 해고문제 임금문제 등 노동법 준수는 한국보다 훨씬 철저한 편입니다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10 ай бұрын
7:55 짜뚜짝 고속버스 터미널이 아니라 머칫 북부 터미널입니다
@user-qf8fg5ht3y
@user-qf8fg5ht3y 10 ай бұрын
9:57 오랜 세월동안 방콕역 이였던 방콕 후월람퐁역은 방콕 북쪽에 새롭게 방쓰중앙역이 현대식 건물로 완공되면서 대다수 열차편이 방쓰중앙역으로 이전되어 열차편이 축소 됐습니다
@Mongolia989
@Mongolia989 10 ай бұрын
근데 동남아 국가중 빈부격차가 가장 심함 밑에 어떤분이 영어로 데이터 남겨놓음
@lovelisaha
@lovelisaha 10 ай бұрын
그런 나라가 한국에 태국인 불법체류자가 상상을 초월함. 한국도 현장직은 근로시간등 노동법 철저 합니다.특히 평택은 칼 같이... 일부 중소기업들이 문제지
@gtpark1375
@gtpark1375 8 ай бұрын
@@lovelisaha 한국에 오는 태국인은 이싼인(=라오스인) 역사적으로 태국으로 편입된 사람들임. 애네도 사실 외국인노동자인데 태국 시민권 가지고 있어서 한국갈수있는거
@user-ju7iy9yu3p
@user-ju7iy9yu3p 10 ай бұрын
우리도 80년대 까지도 그랬다
@lovelisaha
@lovelisaha 10 ай бұрын
그노무 우리도 어쩌고 뭐 어쩌라는건지...
@MrYou-wf1df
@MrYou-wf1df 10 ай бұрын
반대로 태국인들은 한국이나 일본으로 드림하고있지.... 울나라에 태국인 불법체류자 14만명이나된다자나-_-;;; 많아봐야 몇백 또는 몇천명정도일줄알았는데 부동의1위
@poland-korean1852
@poland-korean1852 10 ай бұрын
Our government is too lenient with them. The law needs to be amended as soon as possible.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6 ай бұрын
불체자 17만명정도로 암
@6-np9kM-.likXhkGjZv9lahanokook
@6-np9kM-.likXhkGjZv9lahanokook 2 ай бұрын
한국에 있는 불체자도 찐태국인이 아니라 거의 캄보디아,말레이 계 사람들임 국적만 태국이지 태국내에서 찐 태국혈통이랑 빈부격차 심해서 한국온거지
@user-mp8wv6hq4p
@user-mp8wv6hq4p 10 ай бұрын
저들도. 열심히 하여. 좋은세상이 빨리 오기를. 바라는 맘 이내요.
@YUNA-nl1mo
@YUNA-nl1mo 10 ай бұрын
절약하면서 살아야겠다😢
@user-nc5pt2zf5p
@user-nc5pt2zf5p 11 ай бұрын
일당 400바트라니. . .저 당시 여행가서 한끼에 400바트도 먹은거 같은데요. 물론 하루 300바트 버는 사람도 많다는 걸 알고는 있었지만 직접 일하는 거보니 다르게 와닿긴 하네요. 이번에 태국여행 가서도 식당가서 태국어로 주문하는데 제 성조가 좋지 못해 못 알아들어 폰에 글자 써서 보여줬는데 직원이 못 알아 보더군요.(태국어 글자를 알아서 제대로 적었음) 사장님은 한번에 알아보던데 이제 든 생각은 그 직원은 태국인이 아니었나봐요.
@PrakaidaoManoratsakul
@PrakaidaoManoratsakul 10 ай бұрын
Mostly, they work in a construction and hospitality industry. Some Thai workers go to Korea for work also.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PrakaidaoManoratsakul일부가 오는데 불체자1위냐? 7년전 영상이다, 그동안 태국은 변한게 없네
@user-ip6dn1vb7x
@user-ip6dn1vb7x 8 ай бұрын
밤에 청소일하면서 이영상 보고있는데 미얀마사람들 호주 오면 시민권받고 얼마든지잘사는데 왜굳이태국 나의일 같이하는 미얀먀 레오 이친구 집이3채 브리즈번 한채 네사는동네2채 240만불 한국돈으로 20억 차형도 집2채 우리동네 침례교회가면 미얀마사람 150명있고 계속 미얀마에서 들어옵니다 호주에서
@santajiwoo
@santajiwoo 10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80년대초 생각나고 보는것 같네
@KSST-111
@KSST-111 11 ай бұрын
라오스 테국이랑 언어도 비슷하고 문화도 비슷한걸로 아는데
@huanlee2369
@huanlee2369 10 ай бұрын
추억 삼아 저 기차 타고 푸켓 가봤는데 더워서 미치는줄 알았음
@user-we9zh9du3f
@user-we9zh9du3f 9 ай бұрын
I did lunch with Thailand people who working 3 years inside our area. I know their miss family thats sending every month salary. Have you god bless. In korean voss
@user-he7xs5um9s
@user-he7xs5um9s 11 ай бұрын
근로자들 너무 안타깝습니다 선진국에서 캄보디아.미얀마.라오스 좋은병원 지어주고 좋은의사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그나라는 무정부야?
@huanlee2369
@huanlee2369 10 ай бұрын
엣지는 나나역에서도 활동할거 같은데
@user-gm6mj6uf1f
@user-gm6mj6uf1f 10 ай бұрын
후아람퐁 운영하는거보니 오래전 찍은 영상인데 왜 3주전 업로드죠..
@fun030
@fun030 2 ай бұрын
27:53 내폰 배터리 없는 줄ㅜ
@whwogh1026
@whwogh1026 8 ай бұрын
삶에 대한 나의 태도를 반성하게 됩니다. 나에겐 절실함이 있는가. 삶에 불평만 했던 내가 반성됩니다.
@user-uh2ly3vx4q
@user-uh2ly3vx4q 11 ай бұрын
😢
@choikr81
@choikr81 10 ай бұрын
비공식적으로 한국에 제일 많은 불법체류자가 있는 국가, 세계최고 수준의 빈부격차국가 , 상속세가 없어 부의 무한 대물림이 가능한 국가, 태국이라는 나라를 개인적으로 참 좋아하고 자주 가지만 자국민은 타지에서 불법체류하면서 돈 벌고 있는데 해외 근로자를 받아서 뭐하는건지.... 태국의 빈부격차의 현실을 알면 마냥 좋게만 볼 내용이 아닌듯 그나저나 후알라퐁역이 지금과 다르게 활기차고 좋아보이네요
@user-qy6ty8ee5o
@user-qy6ty8ee5o 10 ай бұрын
경찰부패도... 그나마 동남아 국가중에서는 제일 나은거 같긴해요 일반 사람들도 일단 친절하고 서양보다 소수자에대한 차별이 놀라울 정도로 적은거같고😮 다양한 국가의 사람들이 유난히 자주 여행하는 느낌에 뭔가 특이하게 글로벌한? 나라같아요
@user-rd3jd5nc7t
@user-rd3jd5nc7t 10 ай бұрын
주변국은 30만원을 받아도 본국에서는 살만하죠 하지만 월50만원 버는 태국인은 한국와서 300을 벌고싶은거죠 주변국 사람들도 한국에 못오기때문에 태국으로 가는걸거에요 아시아에서 급여가 가장높은 나라는 한국이거든요
@chief150
@chief150 10 ай бұрын
시간나면 해외 불법체류 한국인수 찾아 보시길 권함 내로남불 이딴거는 버리시고
@gtpark1375
@gtpark1375 8 ай бұрын
@@user-rd3jd5nc7t 방콕에서 취직이 안되서 가는거임. 한국에 오는 태국인은 이싼인(=라오스인) 역사적으로 태국으로 편입된 사람들임. 애네도 사실 외국인노동자인데 태국 시민권 가지고 있어서 한국갈수있는거
@user-kt7fy2sy7r
@user-kt7fy2sy7r 8 ай бұрын
눈물이 나서 볼 수가 없다. 하~
@hyunjewoo2921
@hyunjewoo2921 7 ай бұрын
상당히 아이러니 하군요. 미얀마 사람은 노가다 하러 태국으로, 태국 아줌마들은 한국으로 (마사지), 한국 사람들은 용접 배워서 호주나 미국으로...
@user-eh5xr1mh6w
@user-eh5xr1mh6w 11 ай бұрын
คนรวยคนจน มีอยู่ทุกประเทศครับ ประเทศไทยสมบูรณ์ด้านอาหารที่สุดแล้วครับ ถ้าขยันอดทน แม้จะยากจนแต่ไม่อดตายแน่นอน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아프리카냐? 굶게
@dreitsmarr
@dreitsmarr 20 күн бұрын
ฉันรู้สึกขอบคุณคนไทยที่เข้าร่วมสงครามเกาหลีในปี พ.ศ. 2493 เสมอ 🙏
@user-ly5xr9fw1m
@user-ly5xr9fw1m 10 ай бұрын
일당 400바트.. 마음이 무겁고 슬프다.. 도와드리고 싶다.. 😢
@huanlee2369
@huanlee2369 10 ай бұрын
ㅈㄹ한다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불체자 만들라고?
@user-tc3jx5xf5d
@user-tc3jx5xf5d 10 ай бұрын
2016년 영상인데 저 노동자들의 경제는별반 나아지지 않았다는 점 태국도 우리가 보기엔 후진국인데 저 노동자들 나라 경제는 훨씬 심각함 우리나라로 일하러 오는 사람들이 그나마 돈 벌어서 가는거지.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6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일하러 오는 외노자들은 정말 로또 맞은 사람들이로군요..
@user-ek5od4rl6k
@user-ek5od4rl6k 6 ай бұрын
방콕가서 일하는 외노자와 우리나라로 오는 외노자의.차이는 무엇인가요? 어떤 차이로 방콕과 우리나라가 갈리죠
@user-ir3ky3xf8b
@user-ir3ky3xf8b 10 ай бұрын
2016년 내용인데, 아직도 변한게 없네여.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주변 나라는 여전히 어렵고, 태국이 그나마 제일 잘 사는데 정치적으로는 군부가 장악하고 있고. 베트남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어, 베트남 사람은 일하러 안 갈 듯 하네여.
@PrakaidaoManoratsakul
@PrakaidaoManoratsakul 10 ай бұрын
That’s why we want to have a pro-democracy government but the king still in power. Thailand is an absolute monarchy in a clothes of democracy. 🙄
@paran822
@paran822 7 ай бұрын
베트남도 태국보단 못하지, 베트남인들이 삼성이 자기꺼라던데~
@user-fz1tq3vp5v
@user-fz1tq3vp5v 11 ай бұрын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사람들이 방콕에서 일해서 버는 돈 고작 한달에 2만바트...정식 비자로 한국에서 일하면 최소 6만바트 각종 수당까지하면 8만바트가 넘는다...한국도 싱가폴처럼 외국인 노동자들 최저임금 가이드라인을 따로 만들 필요가있음
@user-yt1ff3ob3t
@user-yt1ff3ob3t 11 ай бұрын
공무원부터 차등지급하면 가능해요
@user-fz1tq3vp5v
@user-fz1tq3vp5v 11 ай бұрын
@@user-yt1ff3ob3t 네?
@user-yc3fg5wp7s
@user-yc3fg5wp7s 11 ай бұрын
난 반댈세 실제로 그렇게 임금지급 이명박정부 때 했었다 한국인도 외노자도 중국유학생도 많은 피해를 봤지
@jlee3335
@jlee3335 11 ай бұрын
8만바트면 23년 7월 환율 310만원이죠 23년 한국 노동자 평균월 급이 약 350만원입니다 전체 노동자들중 50% 이상은 평균인금을 못받고 있는 현실 북한에서 사시나 아니면 한국의 현실을 모르시나
@kimjwajin5211
@kimjwajin5211 10 ай бұрын
@@user-yc3fg5wp7s중국유학생 피해가 왜 나소냐
@gtpark1375
@gtpark1375 8 ай бұрын
한국에 오는 태국인은 이싼인(=라오스인) 역사적으로 태국으로 편입된 사람들임. 애네도 사실 외국인노동자인데 태국 시민권 가지고 있어서 한국갈수있는거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Watermelon Cat?! 🙀 #cat #cute #kitten
00:56
Stocat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Типичная МАМАША (смешное видео, приколы, юмор, поржать)
0:59
Натурал Альбертович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Забота от брата 😂 #shorts
0:31
Julia Fun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КОГДА БАТЕ ДАЛИ ОТПУСК😂#shorts
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ROCK PAPER SCISSOR! (55 MLN SUBS!) feat @PANDAGIRLOFFICIAL #shorts
0:31
НЕТУ КАРТ И ДЕНЕГ, ЗНАЧИТ ГОЛОВА НЕ БОЛИТ 🤣
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