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미래를 건 베팅, Vinfast 나스닥 상장

  Рет қаралды 1,134,233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6:23 나스닥 상장 직후 폭주기관차였던 Vinfast
6:23 ~ 27:39 베트남의 미래를 건 주사위는 던져졌다.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테슬라게섯거라

Пікірлер: 1 900
@fla4244
@fla4244 9 ай бұрын
동남아가 영원히 안될 동네라고는 절대 생각하진 않지만 성장에 다양한 여려움 겪는단걸 배워보니 한국 근대화 과정의 어른들이 얼마나 뛰어난 분들이였는지 대강이나마 알수 있었네요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9 ай бұрын
한국은 선진국으로의 열차에 탑승한 마지막 승객이라는 말이 있죠. 안타까운 얘기지만 중국과 동남아는 영원히 중진국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음.
@Madao6974
@Madao6974 9 ай бұрын
중진국에 남으면 다행이겠지만, 세상이란게 뛰다 멈추면 더이상 걷지도 못하게 될 가능성도..... 중진국으로 분류되는 국가들은 진~짜 열심히 해야 중진국으로라도 남을 수 있을 듯.
@JM-ol4pj
@JM-ol4pj 9 ай бұрын
@@user-rw3bk6wp4m 뭐 별로 안타깝진 않음 한국입장에서도 그들이 중진국으로 남아 있는게 좋음
@pasta_pizza_
@pasta_pizza_ 9 ай бұрын
영원히 안될동네 맞는가 같음
@dfhyf2653
@dfhyf2653 9 ай бұрын
공산당 아직도 있다 저기
@user-uy2vt2ht9w
@user-uy2vt2ht9w 9 ай бұрын
베트남 외노자 8년차입니다... 아침에 페북 볼 때마다 지난 밤사이 빈패스트 주식 오른 이야기만 엄청 떠들썩해요 빈그룹이 말씀하신대로 베트남 경제를 멱살잡고 있는데 요즘 많이 휘청거립니다 ㅎㅎ 몇몇 좀 추가하자면 빈스마트 런칭 당시에 삼성 1차 벤더사 핵심직원들 연봉 2~3배씩 줘가면서 다 빼가는 것도 눈앞에서 보고 있었고, 빈패스트 런칭 당시에도 각 캐스팅, 사출 등 각 유명 벤더의 핵심 직원들도 싹 델고 가고요. 빈그룹이 지금 보여지는 것과는 달리 빈패스트에 올인성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에요. 보여주신 각 계열사중 빈스마트도 접고 유통 1위라고 볼 수 있는 빈마트도 경쟁사에 매각하며 빈패스트에 올인하고 있는데 말씀하신대로 전기차가 안팔리고 있어요. 그래서 그 전기차로 택시 사업을 시작해서 동남아 우버인 Grab을 뛰어 넘으려고 하고 있네요 ㅎㅎ
@yiransyo
@yiransyo 9 ай бұрын
오현지소식감사
@user-vq8zt3np2q
@user-vq8zt3np2q 9 ай бұрын
암만봐도 힘들어 보이는데요 지금 주가 빠지는거 보면 살발함
@user-je3zq8gt2g
@user-je3zq8gt2g 9 ай бұрын
현지 특파원 보도 감사합니다!!
@chanjeon4549
@chanjeon4549 9 ай бұрын
특파원 감사합니다.
@JM-ol4pj
@JM-ol4pj 9 ай бұрын
빈패스트주가 검색해보니 하루만에 주가 반토막이야기가 나오네 6배 올라도 떨어지는건 순식간이야 50프로 떨어졌지만 또 그만큼 올릴려면 100프로가 올라야하니
@biglee13m
@biglee13m 6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차산업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VinFast 들어온 이후로 후기들 보면 진짜 감당할수 없을정도로 처참합니다. 좀 후하게 써주는 저널리스트들도 "노력은 한거 같은데 차 한번도 안만들어본 회사인게 너무 티가 난다." 허접해도 조금 용서가 되는 저가형 차량이면 "싸니깐 좀 봐주자" 도 못하는게 고급차 가격대에 포진해 있습니다. 미친거죠 ㅋㅋㅋ 자동차 역사상 이렇게 가루가 되게 까인 브랜드는 처음일듯. 주식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는것도 조작이고 VinFast 주 고객도 본인들임 ㅋㅋㅋ 불쌍할정도
@user-rt7ok7lw2t
@user-rt7ok7lw2t 9 ай бұрын
사다리는 걷어차서 없는 와중에 후발 주자들은 참 힘들죠. 그 와중에 바닥까지 부패한 공권력은 베트남의 발목을 잡지 않을까 싶습니다.
@chaostar88
@chaostar88 9 ай бұрын
초기엔 중국처럼 몰아줄거임.... 그래야 자기들한테도 돈이 떨어지니까...... 문제는 검증된 안된 차가 해외에서 얼마나 팔릴까 냐는거지......
@tenal6643
@tenal6643 9 ай бұрын
아 베트남...
@user-nl6sh7in5o
@user-nl6sh7in5o 9 ай бұрын
현실적으로 보면, 우리가 기가막히게 막차탄거죠.
@enoeht9629
@enoeht9629 9 ай бұрын
양국이 똑같은 고도 성장 시기를 거친 나라라고 하기에는...... 한국은 고도성장 과정에서 국가 GDP의 상당비율을 외국계 기업이 들어와 차지하고 있는 이상한 단계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되려 한국은 어떻게든 외자 유치를 하려 노력했지만, 딱히 한국에 대규모로 진출한 외국회사는 없었고 그저 돈도 자본도 없는 한국인들 스스로 꾸역꾸역 수출하는 방식으로 성장했죠.
@SIUsiuusiu
@SIUsiuusiu 9 ай бұрын
진짜 경이롭긴 함
@user-yt1ir4zo2f
@user-yt1ir4zo2f 9 ай бұрын
아무래도 우리나라가 경제 발전에 몰두하던 시기가 하필이면 냉전이 한창인 때였고, 동아시아에서 중국, 소련과 사실상 국경을 접하고 있는 냉전의 최전방 국가라 그런 것 같네요. 그리고 나라가 휴전 중인 데다가 분단된 상태로 북한이 도발을 잊을 만하면 하고 잊을 만하면 또 했기 때문에, 당연히 외국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꺼렸겠죠. 게다가 군부쿠데타에, 거기에 대항하는 민주화시위에... 아무래도 불안하겠죠. 내가 외국 대기업회장이라도 이런 나라에 대규모 투자하기 꺼려질 것 같긴 함. 이걸 일명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하죠.
@CoffeeingSeoul
@CoffeeingSeoul 9 ай бұрын
아무리 마셜플랜급 지원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말도안되는 성장이긴함ㅋㅋㅋ 어케했지진짜
@hirugohangtabeta
@hirugohangtabeta 9 ай бұрын
​@@CoffeeingSeoul미국 지원 받은 국가들 보면 답 나옴. 일본 한국 대만. 미국의 제제를 받는 국가 러시아 중국 북한. 한국의 발전은 한국인이 위대한게 아니라 세계 1위 국가 옆에서 콩고물 주워 먹었기 때문임. 그것도 능력이라면 능력.
@user-jx3ey6hg8q
@user-jx3ey6hg8q 9 ай бұрын
​@@hirugohangtabeta그것도 능력 이긴함 아프가니스탄 만 봐도 ㅋㅋ
@fullmoon0488
@fullmoon0488 9 ай бұрын
00년대에는 어떤 나라든 무조건 성장할 거라고 믿었던 시절인데 사실은 타임어택이었다고 생각하니 살벌하네요
@user-db8bl9xu9k
@user-db8bl9xu9k 9 ай бұрын
방향을 완전히 잘못잡은것 같음. 전기차는 결국, 배터리와 반도체, 그리고, 소프트웨어(AI)이고, 어떻게 보면, 달리는 스마트폰인데, 스마트폰 사업도 제대로 못하는 회사가 ㅠㅠ. 이건 아니지. 차라리, 조선업을 한다면, 제철소만 크게짓고, 처음에 엔진사다 쓰고, 인력 갈아넣으면, 상선같은것 만들면서, 발전하면, 답 나올것 같고, 연관산업도 발전해서, 결국, 베트남 전체 제조업을 키울수 있을것 같은데. 이건 진짜 아닌것 같음. 솔직히, 전기차는 왠만한 대학생들도 조립할 수 있는 거고. 결국, 배터리+반도체+소프트웨어 기술없으면, 남는게 없음.
@user-bz9vz2wg6w
@user-bz9vz2wg6w 9 ай бұрын
휴대폰 사업도 접음
@dermy5445
@dermy5445 9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노동집약적인 사업에 몰두하지…
@Tweet_Boss
@Tweet_Boss 3 ай бұрын
쉼표가 많은거 신경쓰임;;
@islandtree7577
@islandtree7577 3 ай бұрын
냅 둬유.. 저러다 뒤져봐야.. 한국 경제발전의 위대함을 다시 한번 배우지...ㅋ
@user-cb6qc2tn8b
@user-cb6qc2tn8b 2 ай бұрын
Byd도 스마트폰 안거치고 바로 차부터 했는데 해볼만 하다봄
@Mukorita
@Mukorita 9 ай бұрын
이거 보니까 정주영 등의 성취가 새삼 대단해보이네..
@user-no4mz5mo7n
@user-no4mz5mo7n 6 ай бұрын
대 대 대
@Dohan06
@Dohan06 3 ай бұрын
대 주 영 기 습 숭 배
@user-ri4dr5yp7q
@user-ri4dr5yp7q 9 ай бұрын
베트남은 아직 멀었다고 생각하는게... 아직 교육체계가 전혀 자리를 못잡고 있음... 중국이 그래도 치고 올라온게 교육이 금방 자리를 잡았기 때문에 사업전반에 시스템이 빠르게 잡혔는데... 베트남은 아직도 전혀 그런게 안보임 이제시작해도 20년임
@user-mo3ht4jb7u
@user-mo3ht4jb7u 9 ай бұрын
진짜 최고의 고점판독기
@Jun-ws4um
@Jun-ws4um 9 ай бұрын
지금이니!!? 😂
@Denverian
@Denverian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ghostkura
@ghostkura 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도 애시당초 외국 플랫폼 받아오고 엔진 사와서 조립 생산으로 시작했음. 현대가 미츠비시한테 기술 구걸한게 그리 먼일은 아님. 다만 현대는 그래도 내수에서 팔릴만한 차량 만들어서 팔았고 독자기술 개발하려고 미친듯이 노력했던 회사임. 기술변혁기에 와서는 헛소리가 됐지만 너무 수직계열화가 심해서 효율적이지 않다라는 소리까지 들었을 정도.
@ghostkura
@ghostkura 9 ай бұрын
내연기관 시대가 지속됐으면 해외 기술과 부품으로 경차, 소형차 조립생산하면서 조금씩 기술발전시킬수 있었겠지만 하필 기술의 변혁기라 더 문제. 이제 런칭하는 회사니 전기차는 팔아야겠는데 아무리 저렴하게 만들어도 자국민들이 타기에는 배터리 가격이 비싸고 기술력이 부족해 주요 부품을 전부 사와야하는지라 신뢰도가 떨어지는 신생 브랜드답게 해외에 저렴하게 팔수도 없고..
@Thoughtcrime.
@Thoughtcrime. 9 ай бұрын
​@@HS-gm7se문제는 진짜 압도적 1위인 미국이 나머지국가들을 쥐고 흔드는게 가능한거
@nodapk9140
@nodapk9140 9 ай бұрын
문제는 그게 50년전이라는 거임 배트남은 그만큼의 격차를 좁혀야 성공할수있음
@kim5353gt
@kim5353gt 9 ай бұрын
우리는 그래도 작은차부터 시작해서 살 수는 있는 차를 만들었는데, 빈패스트는 시작부터 럭셔리카라 애국심이 강하다는 현지 사람들도 사기 어렵다고 합니다. 안되니까 갑자기 전기차 회사가 되겠다는데, 전기충전은 커녕 자동차를 굴릴 소득과 인프라도 부족해서 오토바이 타는 마당에 저러니 상황이 우리의 자동차회사완 좀 상황이 다릅니다.
@ghostkura
@ghostkura 9 ай бұрын
@@kim5353gt 구매력 생각하면 이제 출시되는 레이 전기차는 물론이고 중국의 홍광미니도 버겁겠지요.
@kjw4807
@kjw4807 9 ай бұрын
이번주 국민연금 개혁이랑 출산율 주제 기대되면 따봉
@DkK-dj2qm
@DkK-dj2qm 9 ай бұрын
따봉500배ㅋㅋㅋㅋ
@byungki34
@byungki34 9 ай бұрын
개추 ㅋㅋ
@kudt21
@kudt21 9 ай бұрын
또산율 가즈아
@gaedae
@gaedae 9 ай бұрын
찾아봤더니 0.70이네 ㅋㅋㅋㅋㅋ 0.7까지 무너질줄은 몰랐다 ㅋㅋㅋㅋㅋㅋㅋㅋ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9 ай бұрын
0.7이라능거에 실망. 6이나 5가 나와줘야지..
@lkakalul
@lkakalul 9 ай бұрын
역시 형은 고점 저점 판독기 입니다!!!
@liner4704
@liner4704 9 ай бұрын
이 말하려고 왔는데 ㅎㅎ
@bangbang7534
@bangbang7534 9 ай бұрын
현재 33불임당 ㅋㅋㅋㅋㅋㅋ 그래두 많이 올랐넹
@user-fp4cf1sd1p
@user-fp4cf1sd1p 9 ай бұрын
저점도 찾아줌?
@user-ok4il6yh7l
@user-ok4il6yh7l 9 ай бұрын
​@@user-fp4cf1sd1p그건 좀..
@user-no4mz5mo7n
@user-no4mz5mo7n 6 ай бұрын
​@@bangbang7534지금은7불ㅋ
@user-rc8ix1is9l
@user-rc8ix1is9l 9 ай бұрын
4차산업혁명 시대에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쪽에서 이제 선진국이 나올 확률은 제로로 떨어졌죠.... 한국 발전때만 해도 중국이라는 곳에 빨때꼽고 제조업막차 탑승 겨우 성공해서 선진국에 겨우 올라왔는데 이제는 제조업으로 선진국 발열에 오르기에는 기술의 발전이 너무 빨라서....
@user-sj8rl6rl6c
@user-sj8rl6rl6c 9 ай бұрын
저는 생각이 다릅니다. 요즘 동남아 가보면 물가도 꽤 높아지고 굉장히 현대적으로 변하고 있다는게 느껴집니다. 20-30년 안에 동남아국가내에서 선진국 꽤 나올거라고 생각합니다.
@happinessthegreat9999
@happinessthegreat9999 9 ай бұрын
시대가 아니라, 그냥 우리나라가 운+노력+잠재력+능력+피의 희생으로 여기까지 온 거라 생각합니다. 1차, 2차, 3차 산업이 모두 탄탄히 발전하면서도, 세계 독자적 기술을 가지면서도, 민주주의를 가진 나라가 선진국이 됩니다. 이걸 단기간에 이룬 나라는 인류 역사상 한국밖에 없습니다. 한국이 진짜 대단한 거고, 쉬운 일이 아닙니다.
@pharosmvp
@pharosmvp 9 ай бұрын
@@user-sj8rl6rl6c 동남아는 군부와 독재 부패때문에 절대 선진국이 안되요~먼저 시도했던 필리핀 태국이 선진국이 되었나요?? 국민수준이 절대불가능함
@user-jx1rg6cx3f
@user-jx1rg6cx3f 9 ай бұрын
@@user-sj8rl6rl6c그정도는 중진국도 다해요 그쪽동네들은 중진국도 못가서 지금까지 골골댄거구요
@user-yw1kn4cj4y
@user-yw1kn4cj4y 8 ай бұрын
국민성이 동남아는 글렀고..지금은 동남아가아니라 인도로 몰리고있음...동남아는 인도네시아 2차전지광물때문에 공장유치하는거지 그거아니었으면 거가도 공장안지었지
@Creative_Moon
@Creative_Moon 9 ай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는 독재자가 경제 동력을 시작하고, 거기서 머무르지 않고 독재 없애려고 노력한게 신의 한 수 였던듯. 정말 엄청난 피와 노력으로 여기까지 왔네
@user-xk6dl6vo6t
@user-xk6dl6vo6t 9 ай бұрын
@@HS-gm7se둘중 하나라도 이루기 굉장히 힘든건데.. 둘 다 알맞는 시기에 해낸게 정말 대단한듯
@user-zt4vn3cn3o
@user-zt4vn3cn3o 9 ай бұрын
그 독재를 버텨내신 정주영,이병철 회장님들이 대단한분들임
@user-zt4vn3cn3o
@user-zt4vn3cn3o 9 ай бұрын
@@user-fz6hz3uc9x 뭔 개소리야 사업하기 편한데 생명의 위협을 받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주영,이병철 자서전 종류별로 6권 이상 읽어보고 와라
@etoileenuit8553
@etoileenuit8553 9 ай бұрын
​@@sssy950ㅇㄱㄹㅇ 전땅크가 국제그룹 해체하고 깽판쳤는데 다행히 3저 호황이 있었죠
@user-br3ws1qt5p
@user-br3ws1qt5p 9 ай бұрын
​@@user-zt4vn3cn3o 그 독재덕에 이렇게 성장할 수 있었다 좌죰아
@user-li7uz4cg1l
@user-li7uz4cg1l 9 ай бұрын
역시 슈카형이야 믿고있었다고ㅋㅋㅋㅋ
@zuney92
@zuney92 9 ай бұрын
진짜 시대가 아날로그라는게 우리나라의 최대 이익이였네요 늘 그렇듯 새로운 강대국이 나올줄 알았는데 sns로 다 알게 되니까 중국도 출산율 고꾸라지고 개발도상국도 고꾸라지는게 너무 빨라요 예전 슈퍼파워라는 게임은 2000년대 부터 시작해서 발전 하면 결국 인구 줄고 gdp떡락하게 되는게 요즘 같아요
@user-ie6nl7gk1u
@user-ie6nl7gk1u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sns 영향을 크게 받은 나라이긴 한데 정도의 차이지 다른 나라도 다 마찬가지인가봐요. 우리나라는 시기적으로도 막차 제대로 탄것 같음.
@nodapk9140
@nodapk9140 9 ай бұрын
​@@user-hn5pv4fr8fsns를 통해 서로간에 비교가 쉬워졌고 그로인해 경쟁이 과열됨 근데 그게 심해지면 경쟁을 포기하는 사람이 급증함
@oo-cl4cg
@oo-cl4cg 9 ай бұрын
부탄이라는 국가도 학교 다닐때 행복순위 1위 국가로 도덕책같은데 많이 나왔는데 지금은 떡락했다고 합니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자기들이 못산다는걸 알게되어서
@user-yd7ql7jz2v
@user-yd7ql7jz2v 9 ай бұрын
@@user-hn5pv4fr8f 이론중에 중진국의 함정이라는 주제에 논문과 토론이 많습니다. 한번 시청해보심이 어떨까요 . 개발도상국이 발전못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습니다.
@SLee-vh2jw
@SLee-vh2jw 9 ай бұрын
@@oo-cl4cg성경의 선악과가 이런 느낌이었을까..모르는게 약이라는 말이 괜히나온게 아닌듯
@doejohn2596
@doejohn2596 9 ай бұрын
현대가 개쩔긴 하네.. 조선소, 자동차, 건설 등등.. 왕회장님 ㅠㅠ
@user-tb8zi9pr9n
@user-tb8zi9pr9n 9 ай бұрын
빈 그룹의 장점 : 베트남 전체를 빈그룹이 먹고있음 빈 그룹의 단점 : 그래서 베트남에 투자하시겠습니까?
@IlllIIllIIIIl
@IlllIIllIIIIl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r7qc2ff7f
@user-dr7qc2ff7f 9 ай бұрын
그러네 ㅋㅋㅋㅋㅋㅋㅋ
@Jacksonpops
@Jacksonpops 9 ай бұрын
ㄹㅇ 한국의 삼성이네
@blackjack1072
@blackjack1072 9 ай бұрын
​​@@Jacksonpops삼성이 아무리 초거대 그룹이지만 유통에서는 힘을 못씀 빈그룹은 유통이 주류 아예 기본구조 자체가 다름
@handsang
@handsang 9 ай бұрын
빈펄리조트가 이 그룹이에요??
@shkim7392
@shkim7392 9 ай бұрын
내연기관차도 고급라인은 구형 비엠 플랫폼+해외부품쓰는지라 남는거 없고 대중차라인은 지엠(쉐보레 스파크 형제차) 라이선스받아서 만들어서 기술력도 없던데였는데 전기차는 중국기업들보다 후달리는데 부품도 까고보니 중국제들이 많은데 미국 리뷰에서도 제로백 테스트 중 망가지는 등 퀄리티 이슈 등으로 까이는중인... 전기차 재고 밀어내려고 택시회사 만들었다는 말도 나오고 있고...
@vous3584
@vous3584 8 ай бұрын
중동붐 덕본거 맞아요...단지 우리나라는 현대 경남기업 대우 이런 자국 회사들이 진출했고 서남아시아인들은 인력회사를 통해서 노무직 위주로 파견되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처럼 노하우나 기술습득이 불가능했죠....그리고 당시 미국의 벡텔이라는 다국적 PM회사가 정치적인 이유로 한국 건설 기업들을 밀어준것도 큰 힘이 됐다고 하더라고요....
@tenal6643
@tenal6643 5 ай бұрын
​@@user-gm3le5kx5r 기회 잡은 나라가 적은 거지
@user-rp8qf9pv1h
@user-rp8qf9pv1h 9 ай бұрын
한국이 시기가 잘맞은것도 앞만보고 달려서 지금 여기까지 온듯
@Allin7days
@Allin7days 9 ай бұрын
3-4일 전에 주당 $93 치고 그후 계속 하락해 미국 현제 시간 9/1 오전 주당 $28로 빠르게 떡락중. 상장가 밑으로 (주당 $10 아래) 떨어진다고 다 알고 있지요.
@user-ct2yx3ep6m
@user-ct2yx3ep6m 9 ай бұрын
베트남의 경제상황과 특정기업의 역사및 최근의 이슈를 통합해서 흥미있게 알려준다 베트남 전문가 라면 할수 있겠는데 매번 다른 주제를 이렇게 한다는게 대단하다
@ds4avc
@ds4avc 9 ай бұрын
ㄹ ㅕ
@sammychonny123
@sammychonny123 9 ай бұрын
한글 못하냐
@user-km5hn7jr5i
@user-km5hn7jr5i 9 ай бұрын
​@@sammychonny123한국어
@JohnSmith-fu8tu
@JohnSmith-fu8tu 9 ай бұрын
옛날과는 달라서 지금은 지구 반대쪽에서 만든 제품을 마음만 먹으면 당장 내일에라도 받을수 있는 세상..과거와는 너무 차이가 많이나고 정보의 획득 역시도 아예 차원이 다르죠. 전에도 슈카형이 말해줬지만 상위 한두개의 기업이 독점하는 시대라서..아마 어렵지않을까 싶네요..싸고 좋은 기술가진 물건들이 쏟아져 나올텐데ㅋㅋㅋ 그저그런 평범한 저가형 뮬건은 뭐 얼마든지 기술도 배우고 적용도 쉽겠지만ㅋㅋㅋㅋㅋ 쓰다보니 그거 생각나네요ㅋ 빈패스트에서 만든 1억이상 가는 고급차 팔았었는데 폭망ㅋㅋㅋ
@user-mh8rx3jq6o
@user-mh8rx3jq6o 8 ай бұрын
지구 반대편에선 아무리 맘 먹어도 내일은 못받음
@ummni875
@ummni875 8 ай бұрын
​@@user-mh8rx3jq6o진짜 개찐따화법이노
@klac9308
@klac9308 7 ай бұрын
​@@user-mh8rx3jq6o미국에서 한국까지 편도 18시간ㅋㅋ 물론 말이 그렇다는거겠죠
@user-cj4nb1jl3l
@user-cj4nb1jl3l 7 ай бұрын
@@user-mh8rx3jq6o 받음 마음먹고 전세기 보내면 쌉가능함.
@user-no4mz5mo7n
@user-no4mz5mo7n 6 ай бұрын
​@@user-cj4nb1jl3l너 몇억내고 많이해라 나는 1주기다리고 3000원낼란다
@Brosusjoon
@Brosusjoon 9 ай бұрын
출산률 쿨타임 찬거같아요 슈카형! 기대기대
@edmond9936
@edmond9936 9 ай бұрын
회사에 베트남 신입사원 뽑아서 교육받으러 한국 온 애들 있는데 전날 과음하고 출근 재끼려다 윗분들 불호령에 기숙사서 끌고옴.. 나름 엘리트랍시고 골랐는데 요모냥이니 다른놈들은 어느정도일지 미루어 짐작이 되더군요
@m855gt2
@m855gt2 9 ай бұрын
한국엘리트들은 음주안하냐? 별것도 아닌것가지고 트집잡지마라
@user-om8vo7lg9l
@user-om8vo7lg9l 9 ай бұрын
베트남은 그런 나라야.... 현실을 알고 주둥이를 놀려야지
@m855gt2
@m855gt2 9 ай бұрын
@@user-om8vo7lg9l 인터넷은 전세계인들이 이용하는공간이니까 주둥이함부러눌리지말고말조심하길
@bychang001
@bychang001 9 ай бұрын
Bloomberg에서 "경고" 비슷한 기사 나왔어요. 주식 거래량이 엄청 작아서 변동성이 너무 크다고..
@joowon-jung
@joowon-jung 9 ай бұрын
5:55 "곧 떨어질 가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단 오늘까지는 맞는 듯
@Simulink-fx2mw
@Simulink-fx2mw 9 ай бұрын
동남아 사람들이랑 일해보면 느껴지는게 있음.. 수치나 팩트로 알수 없는 그 느낌... 갈길이 멀다는게 느껴짐
@HeeJinAhn
@HeeJinAhn 3 ай бұрын
철학과가 없어서 그럼... 동남 아시아 대학에서는.철학을 가르치지 않음...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2 ай бұрын
@@HeeJinAhn서양 철학의 발상지 그리스와 이태리, 동양 철학의 발상지 중국과 인도가 선진국이라는 수준의 망상은 이제 그만
@user-xhfjsoa3921
@user-xhfjsoa3921 10 күн бұрын
@@SayNoToChauvinism그리스 ㅋㅋㅋ 관광업 몰빵했다 ㅈ 망햇지 중국 인도는 빈부격차가 너무 심하고 이태리는.. 괜찮은 나라지
@YongSeokKim-uw7yv
@YongSeokKim-uw7yv 9 ай бұрын
공장 제대로 돌아가더라도 소비자 호주머니 열리려면 최소5년이상 버텨야 그떄부터 시작... 차라는게 입소문과 주변 경험담이 구매로 이어지는 경향이 큰 상품이라서 기존 내연 자동차회사의 제품력과 비슷하다고 소문날떄까진 적자로 버텨야 할꺼다.
@ever-bluesky2488
@ever-bluesky2488 9 ай бұрын
한국이 제조업과 IT가 성장한 건 개도국 시절에도 미친 학구열을 보여줘서 당시 부모들이 본인들을 갈아 넣어서 자식들 최소 고등학교부터 대학 대학원까지 공부시킨게 제일 컸음. 제조업에 인부가 필요한 건 맞지만 결국 고도화가 되려면 첨단기술을 개발해야 하고 그럴려면 고등교육을 받은 인재가 필수임. 그런데 베트남은 이걸 못하고 있고 이게 대한민국과 가장 큰 차이점 임.
@DJKoo-wl3jj
@DJKoo-wl3jj 7 ай бұрын
못하고 있나요? 개도국에서 피사점수 가장 높은 걸로 아는데… 프랑스보다 높대요. 베트남도 과거제도 전통이 있는 나라라…
@user-cj4nb1jl3l
@user-cj4nb1jl3l 7 ай бұрын
@@DJKoo-wl3jj 그러면 뭐하나요? 인도 중국에 비해 인구는 적고 그러니 인재는 더 적음.
@user-lq9ec5ni9q
@user-lq9ec5ni9q 6 ай бұрын
지금은 너도나도 의대가려고 해서 점차 도태될 예정
@michaelSeol
@michaelSeol 4 ай бұрын
베트남 : 필즈상 1, 대만 : 노벨상4 필즈상2(?)
@user-ut2xf8sv4m
@user-ut2xf8sv4m 3 күн бұрын
베트남도 학구열 엄청 나요;;
@user-wy2sx7jz8x
@user-wy2sx7jz8x 9 ай бұрын
9/1 현재 빈패스트 개같이 폭락중ㅋㅋㅋㅋㅋㅋㅋ😂 역시 형이야
@김자운
@김자운 9 ай бұрын
역시 슈반꿀이야
@user-ok6em4nb3b
@user-ok6em4nb3b 9 ай бұрын
​@@김자운슈반꿀이 머에요?
@feistel8198
@feistel8198 9 ай бұрын
@@user-ok6em4nb3b 슈카형 반대로만 하면 꿀빤다~
@user-xe7fl4li8p
@user-xe7fl4li8p 9 ай бұрын
근데 이렇게보니 ㄹㅇ한국은 엄청 달린나라긴하다 기적이란게 맞긴하네
@user-wx4iy9vv5f
@user-wx4iy9vv5f 4 ай бұрын
기적은 없습니다 기적이라 불리는 것도 능력과 준비된 자 에게만 오는것 이 지요
@seedsow
@seedsow 8 ай бұрын
ㅋㅋㅋ 말씀 너무 재미있는거 아닙니까... 유쾌하게 잘 듣고 갑니다. 웃는 얼굴 보기 참 좋습니다. 😀
@youcantata
@youcantata 9 ай бұрын
이걸 보니 우리나라 80-90년대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조선이나 자동차 반도체 같은 사업에 진출해서 미국에 수출한다고 했을 때 미국 유럽 국민들이나 투자자들의 눈에 어떻게 비추어 졌을 지 짐작이 가네요. 아마 지금 한국인들이 VIN 그룹을 보는 거 같이 무모한 도전이라고 보았을 거라고 봅니다.
@user-8insypd284
@user-8insypd284 9 ай бұрын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뤄냈죠 베트남은 한참 멀었습니다😂
@user-jw3uy3le1w
@user-jw3uy3le1w 9 ай бұрын
80-90년대에 보면 미국이 일본 조지고 있었고, 중국은 기고 있을 때였고 박통의 중화학공업 정책으로 대기업들이 제조업을 가지고 있었던 시절이었죠 박통이 전국각지에 특성화공고를 만들어서 가정형편 어렵지만 머리좋은 사람들이 공고를 가서 현장에서 일할 인재들도 많았었어요. 어찌되었든 우리는 열심히 달렸고, 선진국으로 가는 마지막 기회를 잡은 격이죠 . 베트남도 강한 도전이 필요한 시기인데, 세계정세가 어찌될지, 그리고 내부사정이 어쩔지는 모르겠네요. 쉽지 않은 길인것만은 분명하죠.
@user-jx3ey6hg8q
@user-jx3ey6hg8q 9 ай бұрын
​@@user-jw3uy3le1w울나라는 시대적 상황이 진짜 절묘 하긴 했음..
@user-re6kz1mf5g
@user-re6kz1mf5g 9 ай бұрын
그래서 우리 대한민국 1대 회장들이 대단하긴 하죠.. 창업자 일대기들 보면, 지금 똑같은 상황에서 과연 나라면 똑같이 할 수 있었을까 하는 ..
@user-sf3lh1et5s
@user-sf3lh1et5s 9 ай бұрын
한국이 성장한건 플라자합의와 문화대혁명덕임 ㅋㅋㅋㅋㅋㅋ 그때 모택동이 ㅈㄹ안했으면 미국이 중국에 투자할 가능성이 더컸음
@user-sy5ot8yp3f
@user-sy5ot8yp3f 9 ай бұрын
영상잘보구갑니다^^
@user-yw6uv5fo3k
@user-yw6uv5fo3k 9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K-HQMusic
@K-HQMusic 9 ай бұрын
슈카형 또산율 쿨타임 돌았어 ~~~~~~~~~~~
@kudt21
@kudt21 9 ай бұрын
0.6 실화냐
@illiiiilllil
@illiiiilllil 9 ай бұрын
​@@kudt210.7 아님?
@user-xk5kj9ki9k
@user-xk5kj9ki9k 9 ай бұрын
@@illiiiilllil0.7 이하래
@Alpaca321
@Alpaca321 9 ай бұрын
​@@kudt21아직은 0.7임. 아직은말이지ㅋㅋㅋ
@simonlane3444
@simonlane3444 9 ай бұрын
이번에 ‘0.6대 예상’으로 영상 하나 찍고 4분기 끝날 때 ‘진짜 0.6 진입!’으로 영상 찍으면 될 듯
@bjs1144
@bjs1144 6 ай бұрын
한국드라마 떡상한 나라들 전부 출산율급감 한국이 드라마로 사다리 걷어차기 시전중ㅋ
@yang_on
@yang_on 6 ай бұрын
이말이 왜이렇게 웃기짘ㅋㅋ 트롤링 갓하민국 다같이죽자
@SoobinShin
@SoobinShin 5 ай бұрын
70-80년대 열강들이 한국보면서 느낀 감정이 딱 지금 내 감정이구나.. 고무신 신고 소달구지 타는 애들이 자동차 만들었다고, 세계에 팔겠다고.... 진심 대단하다 부모님 세대는 진짜; 어케했노
@user-ck9bm3bo9w
@user-ck9bm3bo9w 9 ай бұрын
오토바이의 나라에서 전기 오토바이를 주력으로 하는게 더 좋아보이는데
@yamanbari
@yamanbari 9 ай бұрын
ㄹㅇ
@user-no4mz5mo7n
@user-no4mz5mo7n 6 ай бұрын
돈만 있으면 당장 베트남가서 실행했다 베트남Gdp 30%는 벌 듯ㅋㅋㅋ
@user-vd7qi3eh5x
@user-vd7qi3eh5x 2 ай бұрын
전기 오토바이도 있는데 쥰나 비쌈 충전소도 없고
@user-ce9qg5yy1t
@user-ce9qg5yy1t 9 ай бұрын
세계 2차대전 이후 평화가 지속되며 획기적인 국가발전의 기회는 이전보다 줄어들고 전에 잘하던 놈이 더 잘할수밖에 없는 양극화 현상이 고착되고 있죠
@m855gt2
@m855gt2 9 ай бұрын
한국이 큰혜택을 입은 미국주도의 세계화가 종말을 맞이하고있기때문에 미래의 일은 아무도 모릅니다
@AIGOAIGU
@AIGOAIGU 9 ай бұрын
빈패스트야..플랫폼이나 제대로 만들어서 대응하길..전기차 만들기..진짜 힘들어 폭파랑 도요타가 괜히 현대에 따일거라고 전문가들이 예언하는게 아님 한국도 했으니 폄하할 생각은 없지만 매트릭스 작성이 너무 엉망임 아니 저 브랜드력 없는 매이드인 배트남차 가격을 저렇게 높게 책정하면..에시당초 모든 부품을 bmw로부터 받아오는거 자체가 잘못된 선택이지..왜 볼륨모델로 시작을 안하는걸까..욕심이라고 봅니다
@user-cl4yy3em2e
@user-cl4yy3em2e 9 ай бұрын
이미 현대에 따임 모터 기술부터가 다름 2만알피엠 쓰는곳은 현대와 테슬라뿐
@user-xk3dp9kl8f
@user-xk3dp9kl8f 9 ай бұрын
썸네일까지 완벽했다 ㅋㅋ
@user-vg8fs4sm9w
@user-vg8fs4sm9w 9 ай бұрын
베트남 전기차는 사기죠... 얼마 안돼서 부도날듯 ㄷㄷㄷ
@user-ub4ur2zb2c
@user-ub4ur2zb2c 9 ай бұрын
인형 눈알(구독자 250만) 붙이는 슈카형
@user-mj7hp8pj4h
@user-mj7hp8pj4h 9 ай бұрын
부탁합니다. 응우옌 헌터..! 그의 쌀국수 같은 건치가 빛났다.
@mr.mr.mr.7809
@mr.mr.mr.7809 9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들이박는거는 최고네. 안팔리는데 현지에 공장짓는 결단력은..물론 망하면 답없지만
@MarDev-vi2lx
@MarDev-vi2lx 9 ай бұрын
비지니스상 베트남, 필리핀사람들이랑 협력하며 수도없이 출장을 오가는데요.. 전 절대절대 동남아에 투자 안합니다. 제가 상대하는 사람들 다 그 나라에서 좋은 대학 나온 엘리트들인데도 국민성이 썩어빠져서 거짓말을 밥먹듯하며 대충대충 눈속임하고 지금 이순간만 모면하면 된다는 정신? 노력해서 성장하면 그만큼의 보상이 있는 선진국의 암묵적 통념이 아예 없기 때문에 베트남은 값싼 노동력 빼면 자력으로 성장할 수 없다고 두 손목 걸고 장담합니다. 옛날 한국의 개도국 시절 느낌이 아니에요. 당장 주식 좀 오를지 몰라도 장투하면 그냥 휴지.
@LoopParadox
@LoopParadox 9 ай бұрын
베트남에서 배터리, 전장, 소프트웨어 같은 주요 요소를 하나도 못만드는데 테슬라보다 가격을 조금이라도 싸게 책정한 거 자체가 엄청나게 출혈을 하고 있는 것이겠지요;; 효과는 없어보입니다만....
@user-cj4nb1jl3l
@user-cj4nb1jl3l 7 ай бұрын
태슬라 보다 비싸요
@ododok
@ododok 9 ай бұрын
현기차도 미국 유럽에서 지금은 잘 팔리지만 이렇게 되기까지 정말 오랜 기간 싸게 팔고 AS 기간 길게주면서도 존버기간이 정말 길었습니다. 빈패스트가 이게 되려나요. 처음부터 비싸게라.
@every_ever
@every_ever 9 ай бұрын
진짜 그냥 살다보니 이 땅에 태어난거지만 많은 노력과 열정, 인재들 위에서 먹고자랄수있게 된것같다 아직도 어리지만 나이한두살 먹을수록 세상녹록지가 않아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뤄낸 사람들덕에 잘 사는거같아요
@parkcholle9800
@parkcholle9800 9 ай бұрын
내수기반없이 제조가 성공할수없는데 베트남 잘산다는 호치민가보니 오토바이 포개넣는 주차공간만 있지 차는 세울데가 없던데. 혼다가 오토바이로 시작한갓처럼 전기 오토바이로 시작하면 모를까 차는 베트남 내수도 힘들어보여서...
@MNBN87
@MNBN87 9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대한민국도 열심히 한건 둘째치고 운이 오질라게 좋았음.
@icewaffle7829
@icewaffle7829 9 ай бұрын
선진국 막차라는 말이 괜히 있는게 아닌듯
@g1_jiwon_
@g1_jiwon_ 9 ай бұрын
썸네일 도발잘하게 만들었네 ㅋㅋㅋ 역시 자네야
@prsh0525
@prsh0525 9 ай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heeseoklee4737
@heeseoklee4737 9 ай бұрын
그...후발주자는 무적권 가성비 전략으로 가야 할텐데요...중국 비야디가 미국에서 팔리는 이유도 극강의 가격 때문이라 빈페스트도 대당 만달러 이하를 목표로 생산해야 승산이 있어 보이는데요...
@nodapk9140
@nodapk9140 9 ай бұрын
중국만해도 자기들끼리 치킨게임해서 자동차값 낮추고있는데 후발주자인 배트남이 자리가 있을까 싶음
@user-bz9vz2wg6w
@user-bz9vz2wg6w 9 ай бұрын
빈패스트 세단이 호치민에서 지금 세금포함 7천에서 8천인데 그가격에 값어치는 못해서 호치민에서 저거사면 애국자라 불립니다
@user-ok6em4nb3b
@user-ok6em4nb3b 9 ай бұрын
​@@user-bz9vz2wg6w애국자ㅋㅋㅋㅋㅋㅋㅋ 퀄이 별로인갑네
@user-xk5kj9ki9k
@user-xk5kj9ki9k 9 ай бұрын
@@user-ok6em4nb3b현기차도 흉기니 뭐니 하는마당에 중국애들 차보다 몇급이나 더 떨어지는 베트남 차를 누가 사냐
@kokishi9
@kokishi9 9 ай бұрын
​@@user-ok6em4nb3b 구형 bmw 금형 가져와서 조금 조물딱해서 만든 차들이에요
@SJ-un8cl
@SJ-un8cl 9 ай бұрын
새삼 조상님들께 감사한 생각이 드네요 그 어려운 시절 다 이겨냈는데… 후손들을 위해 스마트하게 한국을 만들어가야할텐데요~~
@user-le1ji9cm6r
@user-le1ji9cm6r 9 ай бұрын
2000년대 초반에 베트남 외노동자하는 말이 한국은 50년동안 엄청나게 이뤘다 베트남은 200년 되도 못한다고 나에게 말했었음
@phamchien4574
@phamchien4574 8 ай бұрын
Over the past 200 years, Vietnam has defeated many powers and has won independence. Wealth will come when you work hard with a little luck, it is just a matter of time. Whether Korea and North Korea will be ready to sacrifice millions of people and the economic backward for 30-50 years to unify and autonomy, good Koreans are probab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situation,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Vietnam and Korea. Why does South Korea need 35,000 US troops in the territory to protect them and Koreans are not strong enough? Why is their army led by Americans if there is a war? Japan and Germany as well as Korea, while they are the top powers and they have no real threat, I know something here. A country with self -respect will protect by its soldiers, But they have no right to decide their own destiny, I know that
@Tttteeeewww
@Tttteeeewww 3 ай бұрын
​@@phamchien4574 베트남인들이 열심히 할까?ㅋㅋ
@user-zu4ti6pn9q
@user-zu4ti6pn9q 9 ай бұрын
한국이 본격적으로 중공업과 제조업을 육성하기 시작한게 빨리 잡아도 60년대라고 볼텐데 장장 50년을 걸친 여정을 베트남이 과연 해낼수 있을까,,
@TV-tn2fc
@TV-tn2fc 9 ай бұрын
해낼확률이 매우 높겠죠. 80년대 1인당 GDP 3만불의 일본이 겨우 3천불 넘은 대한민국 삼성한테 반도체 기술 알려줬는데, 한국이 해낼수 있을까 ? 하는 일본인이 99.9% 되지않겠음 ??
@user-jt2nr8sf4p
@user-jt2nr8sf4p 9 ай бұрын
@@TV-tn2fc우리가 일본이랑 미국한테 기술받았듯이 베트남은 중국러시아한테 받을텐데 과연... 미국 일본지원받는거에 비교가 될련지는 지켜봐야할듯요 우리나라가 한강의기적이니 뭐니해도 사실상 패권국가인 미국이 우리나라의 성장에 도움을 줬다면줬지 방해는 안했지만 과연 공산국가인 베트남이 성장하려는데 중국과싸우는 나라인 인도또한 성장중인데 견제를 안할지또한 지켜봐야겠죠 중국은지금 자국경제또한 휘청거리는 상태라 베트남에 얼마나 지원할지모르겠고 씁쓸한 말인데 세계사보면 6-70년대 대한민국이나 지금 베트남같은 나라들은 강대국이 좀만 태클걸어도 쉽게 무너지죠... 이런거 보면 중국견제도없을때 성장한 대한민국이 시기또한 잘잡은듯 하네요 지금은 중국이랑 미국 서로 못잡아먹어서 안달인 상황이라 양국가 대립중에 한쪽에 이득이 될거같은 나라는 무조건 견제하는 시기라... 중국이 인도를 견제하는것처럼요
@Plus-99229
@Plus-99229 9 ай бұрын
​@@TV-tn2fc반반이라고봄 그때랑 지금이랑 시대가 더더욱 다름 아직 사람들이 젊어서 될거도같은데 20년내로 확정적으로 선진국입구 문턱을 밟아야 미래가보임
@TV-tn2fc
@TV-tn2fc 9 ай бұрын
@@Plus-99229 설마 한국을 선진국으로 보는건 아니죠? 가계소비가 GDP 절반도 안되는 선진국은 없습니다
@st.1681
@st.1681 9 ай бұрын
​@@TV-tn2fc가계 소비가 절반도 안되는 선진국으로 대한민국이 있습니다. 순환 논증의 오류에 빠져 계시네요
@user-od1rm8wz7o
@user-od1rm8wz7o 9 ай бұрын
BMW 구형 기술 받아와서 외관만 바꾸고 팔면서 시작했는데 아직도 거의 그렇지 싶은데 대단하다 진짜 ㅋㅋㅋ
@user-ce2ze6en1k
@user-ce2ze6en1k 9 ай бұрын
현대도 시작은 미스비시 엔진에 기술 라이센스 생산하긴 했죠.. ㅎㅎ 다만 내연기관보다는 전기차 시대가 도래해서 엔진기술개발에 역량을 쏟지는 않아도 된다는게 신흥 자동차 회사들에게 이점일듯
@kimocat265
@kimocat265 9 ай бұрын
@@user-ce2ze6en1k그렇게 만들다가 자체기술 만들고 철강 전장 그런걸 다 내수화 해야 현대처럼 되는데 가능함? 이렇게 말하니 한국이 참 대단했네
@user-ce2ze6en1k
@user-ce2ze6en1k 9 ай бұрын
@@kimocat265 그것까지는 아직 모르죠 머 베트남 내수 빨에 다른 계열사들 많으니 역량 끌어다 모아서 하면 번듯한 차 한대 만들수는 있을듯?
@JH-ek5bn
@JH-ek5bn 9 ай бұрын
@@user-ce2ze6en1k 그 내수가 1억이라해도 소득이 낮아서 차량구매 내수는 처참할텐데
@user-od1rm8wz7o
@user-od1rm8wz7o 5 ай бұрын
​@@user-ce2ze6en1k제가 대단하다는건 주가이고 그만큼 주식도 회사를 보고 투자하는게 아니라 도박판이 되어가는게 대단하다고 말하는거에요
@iltaelee8708
@iltaelee8708 9 ай бұрын
시중에 주식이 없어서 벌어진 결과군요!! 참 의아했는데, 이제 알았네요. 배우고 갑니다...
@user-cx8gk3ng2r
@user-cx8gk3ng2r 9 ай бұрын
일본은 선진국의 정점을 찍은 후 내려오고 있고 한국은 선진국 달성하자마자 내려오고 있으며 중국은 선진국도 되기 전에 내려오고 있다 베트남은?...개뿔 올라온 것도 없는데 내려가고 있는 중이네...
@user-cx8gk3ng2r
@user-cx8gk3ng2r 9 ай бұрын
@@HS-gm7se 이 중 몰락하고 있는 건 일본 한국 중국 베트남 같은 아시아 국가들 뿐.,..아시아의 한계인가?
@bloody_heil
@bloody_heil 5 ай бұрын
​@@user-cx8gk3ng2r영프독:아니 나도 잡혀왔어
@twinkle1109
@twinkle1109 2 ай бұрын
​@@bloody_heil ㅋㅋ 사실 미국 빼면 다 시체야..
@ForEntertainer
@ForEntertainer 9 ай бұрын
참 쉽고 재밌게 잘 알려주네
@kalsezpiz
@kalsezpiz 9 ай бұрын
sns로 인한 '세계동조화' 무섭네요...... 11년전 국제전화가 일상화일때 카카오로 해외사는 사람들과 실시간 카톡할때 충격이었는데 이젠 당연화되었으니... 세계가 급속도록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ㅜㅜㅜ
@fhffuyckh
@fhffuyckh 8 ай бұрын
한번 사용한 성공공식은 그 다음엔 유효하지가 않더군요
@taewookrho9487
@taewookrho9487 9 ай бұрын
흠.. 우리나라가 이렇게 성장한 데에는 3저(유가, 달러, 금리) 가 컷고, 일본이 미국과 반도체법 체결하면서 삼성과 하이닉스가 반사이익 먹은게 컸던거 같음. 거기에 국민성까지 더해져 빠르게 중진국에서 선진국으로 갈 수 있었음. 그런데 베트남은 3저 없고, 전기차 경쟁 심해서 쉽지는 않을 것 같음. 베트남 국민성은 잘 모르겠지만 평균연령이 낮은건 큰 메리트 같음.
@TV-tn2fc
@TV-tn2fc 9 ай бұрын
3저호황 떄문에 IMF가 왔죠... 영원히 잘 팔릴줄 알고 설비 늘린드고 부채를 확 ~~~ 늘렸다가 안팔려서 공황을 맞고 달러 못갚아서 외환위기를 맞습니다.
@carefree5404
@carefree5404 9 ай бұрын
국민성은 비슷한거같음
@giantpomgom-e1625
@giantpomgom-e1625 8 ай бұрын
베트남전쟁때 용병참전하면서 미국원조받고, 전쟁물자 수출한 것도 엄청 컷죠. 일본이 한국전쟁 득 봤듯이
@user-nf7yz7ng3r
@user-nf7yz7ng3r 8 ай бұрын
@@giantpomgom-e1625 그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인데요....우린 목숨값이고... 일본은 그냥 지리적으로 세상 로또를 맞은거고... 비교 대상이 아님니다 .. 우리 참전용사들의 목숨값을 그리 폄하하는건 정말 아닌겁니다.
@giantpomgom-e1625
@giantpomgom-e1625 8 ай бұрын
​@@user-nf7yz7ng3r일본도 전쟁 덕을 봤다는거지 폄하하진 않았습니다.
@IU_INFJ
@IU_INFJ 9 ай бұрын
슈카형이 가져오면 숏칠준비 부릉부릉 슈토바이 출발합니다! 가즈아!
@turkey_sy5106
@turkey_sy5106 9 ай бұрын
베트남의 현실에 대해서 재미있게 봤습니다.
@Seoul_Korea_
@Seoul_Korea_ 9 ай бұрын
말레이시아의 국민차 기업 프로톤도 이렇게 깝쭉거리다 한방에 골로 갔죠…
@LK-99
@LK-99 9 ай бұрын
일단 뭐라도 해서 기술력을 높이는게 우선인데 가성비 라인도 아니고 기술력도 안되는데 테슬라 수준의 가격이 합리적인가 의구심이 드네요 한국 같은 경우는 가성비로 경쟁해서 점차 품질도 개선된거라서..
@boosu6918
@boosu6918 9 ай бұрын
궁금해서요 펀드에서담아야해서 주가가올랐다고하는데 어떻게 몆일만에폭락이나오나요? 정말로 알고싶습니다.
@d29jo63
@d29jo63 9 ай бұрын
빈패스트 차량 몇번 타 볼 기회가 있었는데 괜찮은 부분도 있지만 실망도 컸어요. E세그먼트 세단에 모닝보다 조악한 품질의 스위치가 들어가지 않나, 전기차는 방음이 제대로 안되서 풍절음이 바닥에서 올라 오질 않나.. 그리고 무엇보다 가격이 너무 비싸요. 빈패스트 살 바에 도요타 비오스, 현대 I10 이런거 사는게 더 현실적입니다. 또 현대기아가 제네시스를 런칭하면서 쌓아 올린 공이 얼만데 갑자기 뜬금없는 신생 브랜드가 프리미엄을 표방하고.. 플랫폼도 다 사온 반조립 자동차로 뭘 어떻게 하려는지 모르겠습니다. 너무 불안해요.
@feratube
@feratube 9 ай бұрын
테슬라도 초기에는 다사온 반조맂 다동차로 시작했음 그럴로 벌어서 플랫폼 투자하는거디
@user-cl4yy3em2e
@user-cl4yy3em2e 9 ай бұрын
​@@feratube자꾸 왜 테슬라랑 비교함ㅋㅋ태생부터 환경이 다른데ㅋㅋㅋㅋ 테슬라는 전기차의 시작이었고 독일도 전기차 기술부족으로 죽쓰고 있는 마당에ㅋㅋㅋ 그냥 조립해서 될일이 아님 그나마 현대가 ktx때부터 기술 개발해서 모터기술 하고 플랫폼가지고 여기까지 온건데ㅋㅋㅋ
@jabcdjaa5595
@jabcdjaa5595 9 ай бұрын
테슬라는 역사책이 나올 스케일이고
@user-di2xk2hq9h
@user-di2xk2hq9h 9 ай бұрын
현대처럼 사람 죽이는 급발진은 없나보네요 ㅋ
@user-nf7yz7ng3r
@user-nf7yz7ng3r 8 ай бұрын
모르죠 .. 뚝딱 잘 만들어 낸다면야.. 서양인들은 좋다고 호평하고 ... 얼마든지 빈그룹이 하기 나름임..
@hnp456
@hnp456 9 ай бұрын
한국이 미국의 원조를 받으셔 성장하기는 했지만, 미국 원조를 수 많은 국가들은 선진국 문턱에도 오지 못하고 무너졌습니다. 한국이 대단한거죠. 높은 교육열, 불굴의 의지, 근면성실, 자존심 등 눈에 보이지 않는 한국인 특징이 한 몫을 했다고 봅니다.
@pillseung1804
@pillseung1804 9 ай бұрын
ㅋㅋㅋ
@polska9333
@polska9333 9 ай бұрын
적당히 했어야 했는데 그대로 밀어붙힌 결과 질려버린 젊은 세대들로 인해 출산율 0.7명대 달성
@user-no9fl8vn6f
@user-no9fl8vn6f 5 ай бұрын
원조받고 성장했다는건 먼 개소리? 이런말좀 퍼트리지마라 후진국애들이 항상 하는말이 원조안받으면 지내들보다 거지로 살고있었을텐데.. 맨날 이런말한다.. 원조얘기 그만해라. 원조를 받은게 중요한게 아니라 학구열도 높고 잠도안자고 열심히 부지런하게 일했으니 발전하는거지.. 멀 자꾸 원조원조거리지..ㅉㅉ
@bloody_heil
@bloody_heil 5 ай бұрын
​@@user-no9fl8vn6f국평오
@greenbean0940
@greenbean0940 9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참 우리나라는 운이 좋긴 좋았음 그리고 그 운을 만들어 내기 위해 얼마나 피를 흘렸는지..
@user-vr3lo4kx7h
@user-vr3lo4kx7h 8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선진국 막차를 탐 진짜 신의 한수였음 그 당시 지도자들 잘 만난건 새마을운동 중화학 전자 조선 베트남 파병 진짜 신의 한수같은 계획들
@ian3536
@ian3536 9 ай бұрын
이번에 산타모니카 3rd st에 테슬라 옆에 vinfast 매장 만들고 있던데... 테슬라 바로 옆에서 장사가 될까 모르겠네...
@user-il6yd7uj1s
@user-il6yd7uj1s 9 ай бұрын
성심당 옆에서 호떡장사 하는 느낌이죠 뭐
@idotkim
@idotkim 9 ай бұрын
ㅔ 노르드스톰 옆에요??
@P7ejfjr
@P7ejfjr 9 ай бұрын
@@user-il6yd7uj1s 이렇게 말하니까 이해가 쏙쏙 되네
@ian3536
@ian3536 9 ай бұрын
@@idotkim 네 거기 나이키 있고 테슬라 있곳 놀드스톰 1층에 있어요.
@ian3536
@ian3536 9 ай бұрын
솔직히 사우디 자본 등에 엎고 테슬라 기술력 가지고 있는 LUCID도 안 팔려서 힘들어 하는데 Vinfast는....
@ACHE11
@ACHE11 9 ай бұрын
137대 팔렸는데 미국에 15만대 생산 가능한 공장을 짓는다라... 이거 완전 삽질 아닌가 싶네요 물론 미국은 오땡큐지만 ㅋㅋㅋ
@HSkim-km3xo
@HSkim-km3xo 9 ай бұрын
빈구룹이 내연기관이 가격이 도토타, 현기에 비해서 많이 싼것도 아니고 가격이 비슷하다보니 안팔림.그래서 내연은 접고 전기차로 승부수를 던졌는데...문제는 호치민 내에서 충전소 찾기도 힘들고 지방은 아예 없음. 그러다보니 아무도 안삼...그래서 빈 전기택시사업 시작.근데 힘듬...나머지 사업도 대부분 말아먹었다고 보면 됨.
@user-kj6dm6ek8v
@user-kj6dm6ek8v 8 ай бұрын
여기는 날더워서 뭐하기가 힘들어.. 더운나라중 자력으로 잘사는 나라 없지 산유국이랑 도시국가 빼고... 날씨가 최고의 적임
@authorpark6085
@authorpark6085 9 ай бұрын
무모해 보여도 가야할 길이라면 가 봐야지. 일견 우스워 보여도 비웃을 수는 없다.
@kty198222
@kty198222 9 ай бұрын
80년대 90년대 개인의 의지로 공장을 세운다는건 기계들여오고 사람구하고 영업해서 계약따내면 되는거였는데 요즘은 하도 기술이 발전하다보니 개인이 혼자의 역량으로 도전하기엔 너~~~무 먼치킨이 됨 기계값도 비싸졌고 창업이란게 너무 어려워짐 it쪽말고 전통의 굴뚝산업들
@user-sh4jm3se3d
@user-sh4jm3se3d 9 ай бұрын
ㄹㅇ 야수의 주식 ㅋㅋ
@pop-ts3jc
@pop-ts3jc 9 ай бұрын
빈그룹부도나면 어떤회사가 잘찢어먹는지를보고 그 주식을사서 존버를해야 돈을벌듯
@user-ol5yn5ut2i
@user-ol5yn5ut2i 9 ай бұрын
미래를 예측하기란 정말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래도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무언가를 했다는 점!
@swo7782
@swo7782 9 ай бұрын
캬 역시 슈카형 와우 공대장출신이라 어그로 관리자체가 최상급이다!
@op049500
@op049500 9 ай бұрын
배트남 여행 다녀왔는데 정말 절ㅇ은 나라더라구요 젊은사람들이 참 많더라구요 청년나라 베트남도 교육비가 너무 많이 들어서 저출산
@derekkim8499
@derekkim8499 9 ай бұрын
빈패스트 차량 미국리뷰 보면 80년대 현대차 같음. 천천히 성장하겠지만 몇십년 지켜봐야될듯. 그냥 사라질지 아님 제2의 현대가 될지.
@user-pc1oj5cn6o
@user-pc1oj5cn6o 9 ай бұрын
Le Thi Thu Thuy ; "레 티 투 트이" 이렇게 발음하시면 됩니다. 마지막 트이는 살짝 한숨쉬듯이 트이~ 이렇게^^;;
@doroshi99
@doroshi99 9 ай бұрын
베트남이 발전하고 말고는 별로 상관없고 신경도 안씀. 뭐 베트남인들은 자기의 국가가 잘살게 되면 좋겠지. 근데 왜 한국을 걸고 넘어짐? 아니 우린 니네 신경 안쓴다니까? 그냥 니들끼리 열심히 살아
@ysh-ll8ks
@ysh-ll8ks 9 ай бұрын
미국 일본 중국 신경쓰기 바빠서 베트남엔 관심도 없는데 ㄹㅇ 혼자 난리임
@cocacolaapple
@cocacolaapple 9 ай бұрын
디지털 시대가 되면서 애플, 알파벳, 메타 죄다 빅테크는 미국이 잡아먹고 있는데 유럽, 일본도 골로 가고 있는 와중에 후발주자가 따라잡는다는 이야기는 20세기 환경에서나 가능할 이야기임.
@MistikalMoon
@MistikalMoon 9 ай бұрын
베트남 살다옴 자동차 ㅈㄴ 비싼게 빈페스트가 껍데기만 베트남산이고 내부는 죄다 독일제라 ㅈㄴ비쌈(한국 2배 수준) 근데 얘들 자동차산업 보호한답시고 수입산차에 세금 오지게 먹임 아직도 기억나는게 회사에서 쓰던 소형 중고차 3억동(대략 1600~1700만원)에 팔림 ㅋㅋ
@nodapk9140
@nodapk9140 9 ай бұрын
그래서 배트남인들이 오토바이만 탐 자동차는 가뜩이나 외제차라 부품값 비싼데 세금도 어마어마하게 매겨서 왠만큼 부자가 아니고서야 탈수가 없음
@yiransyo
@yiransyo 9 ай бұрын
​@@nodapk9140대부분 자동차못만드는 동남아국가가면 차 너무 비싸드라 기절
@nodapk9140
@nodapk9140 9 ай бұрын
​​@@yiransyo그래서 동남아에선 다른거보다도 일단 내구성 좋은게 제일 값나감 옵션이 어떻다? 그건 관심도 없음 고장나면 고치는 것보다 차라리 중고차사는게 나을 정도니 ㅋㅋㅋㅋ 고칠려면 정품부품으론 절대 못고침
@ok3tjrify
@ok3tjrify 9 ай бұрын
맞아요 자동차 세금이 엄청나서 거기서 사면 원화로만 쳐도 두 배 이상합니다
@navybird2967
@navybird2967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옆에 마음껏 베낄 교과서(일본)과 든든한 응디(미국)덕에 안심하고 발전에 매진했음.
@user-cj4nb1jl3l
@user-cj4nb1jl3l 9 ай бұрын
베트남은 발전을 할 수가 없음. 기후가 별로고 할꺼면 중국처럼 화끈하게 밀어주고 해킹도 좀 하고 해야하는데 그것도 못하고 무조건 합작으로 받았어야했는데 그것도 안됨. 결국엔 자본 쌓기전에 인도네시아, 인도한테 공장 다 뺏길꺼임. 동북아 국가랑 동남아 국가랑 비교하는거 자체도 어이가 없지만 동북아 국가 발전할때랑 지금 발전하는건 차원이 다른거임. 그리고 이제 너무 기술격차가 크기때문에 잡을수 없음 전기차에 자율주행 기술 안들어가면 안살꺼고 미국만해도 빈패스트 자동차보다 싸고 품질 좋은 전기차 내년부터 쏟아져나오거나 이미 나와있음 쉐비 euv, 쉐비 equinox, 폭스바겐 id4, fisker ocean, 아이오닉 5, ev6, 볼보 ex30 등등 그렇기 때문에 빈그룹의 도박은 멍청한 짓이다. 기본적으로 베트남은 중국 인도에 비해 교육열이 없고 그래서 똑똑한 인재를 키울수가 없음 인구빨로 밀어붙이기엔 요즘에 1억이면 적음 그냥 내수로 먹고살 정도지
@bigpictureman8426
@bigpictureman8426 9 ай бұрын
베트남 교육열은 장난 아니긴 함. 얘네도 영끌해서 자식 대학 보내려고 함
@user-kf9sj8ym1r
@user-kf9sj8ym1r 9 ай бұрын
베트남 교육열 개쎈데 잘 모르면서 글쓰지말자
@user-zi5ph3jb1m
@user-zi5ph3jb1m 9 ай бұрын
허허...도시만 계셨구나 우리처럼 소 팔고 땅 팔고 대학 보내는 정도는 되야 교육열을 논할 수나 있는 수준인 겁니다 5대 직할시 정도 되야 우리 반이니 따라 올까 말까에요 논외지만 애초에 국민성 자체가 작은 중국입니다 발전의 여지가 이미 소진된게 맞아요
@user-cj4nb1jl3l
@user-cj4nb1jl3l 9 ай бұрын
@@user-kf9sj8ym1r 베트남이 그렇게 쎄면 it기업에 베트남인들이 있겠지 왜 인도인 중국인이 있겠냐? 생각좀하자. 뭐뭐에 비해라는 말 모르냐?
@user-vf2zi9to4f
@user-vf2zi9to4f 9 ай бұрын
위에 두마리 "중국,인도에 비해"라고 뻔히 적혀있는데 베트남 교육열이 낮다고 이해한 수준 진짜 어휴...
@hulkguitar
@hulkguitar 9 ай бұрын
더운나라 애들은 한계가 있어...
@clsrn1998
@clsrn1998 9 ай бұрын
역시 자네야 ... 프로고점러!
@user-xx9lr9ld4r
@user-xx9lr9ld4r 4 ай бұрын
베트남이 대단히 착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이 이루어 낸 것들을 우습게 보나 봅니다. 베트남인들과 한국인들은 다르죠. 한국인들은 스스로를 과신하지 않고 오히려 비하하는 경향이 있으면서 노력했다면, 베트남인들은 오만함에 가깝다고 봅니다.
@reynardpark9362
@reynardpark9362 9 ай бұрын
Vinfast 해 봤자 그냥 자동차 주요 부품 assembly는 다 수입해와서 조립만 한다고 보면 됨. 생각해보면 중국도 그리 시작했지만, 방심하면 안 될 것 같음.
@user-by6lw4yz2d
@user-by6lw4yz2d 9 ай бұрын
근데 전기차는 하드웨어도 하드웨어지만 소프트웨어가 중요한데 AI 주행, 편의 기능을 제대로 만들 수 있을지...
다이아몬드 시장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23:4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Василиса наняла личного массажиста 😂 #shorts
00:22
Денис Кукояка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83 МЛН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연쇄 쿠데타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26:50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이집트 : 제발 그만 낳아주세요!
20:5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사우디-태국을 30년간 단절시킨 보석 절도 사건
22:0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그리스 경제가 부활했다.
24:1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태영건설 채권자들은 왜 격분하는가
28:5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베트남을 뒤흔든 초대형 부패 스캔들
17:4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53 М.
세기의 맞다이, 머스크 vs 저커버그
45:3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Нищая спасла собаку🥺❤️
0:59
Trailer Film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Hum dono pagal hai 😂 #funny #comedy #youtubeshorts #shortsfeed #cutebaby
0:37
Mr. Krabs's Regret #spongebobexe #shorts
0:11
ANA Craft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Khóa ly biệt
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