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에 빠지면... 정말 이렇게 된다고?

  Рет қаралды 3,109,855

리뷰엉이: Owl's Review

리뷰엉이: Owl's Review

2 жыл бұрын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쿠퍼와 타스는 블랙홀 속으로 빠져버립니다. 그런데 영화가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블랙홀에 빠지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아인슈타인, 스티븐 호킹, 킵손 박사는 블랙홀의 성질을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킵손 교수의 도서 '블랙홀과 시간여행'의 일부 내용을 영상으로 재구성하였습니다.
참고 자료 및 서적 정보
블랙홀과 시간여행 - 킵손

Пікірлер: 1 500
@mlbpost4879
@mlbpost4879 2 жыл бұрын
뭔 말인지 하나도 모르고 2년째 즐겁게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wi8fo1lh5c
@user-wi8fo1lh5c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ㅇㅈ
@anava5726
@anava5726 Жыл бұрын
kkkk저도 ㅎ
@yacoo1045
@yacoo1045 Жыл бұрын
동감요~~
@user-lt8tj7rk5k
@user-lt8tj7rk5k Жыл бұрын
큼크 ㅁ,,,
@user-vr3zk5sj2u
@user-vr3zk5sj2u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나두ㅋㅋ
@삐맨
@삐맨 2 жыл бұрын
영화 “인터스텔라” 54번째 리뷰 감사합니다 100만 축하드립니다!
@user-tm2wf1yb5r
@user-tm2wf1yb5r 2 жыл бұрын
찐이다ㅋㅋㅋ
@Hot_IceTea
@Hot_IceTea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ooyoungjong233
@sooyoungjong233 2 жыл бұрын
ㅋㅋ
@cjsgustmd
@cjsgustmd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ason9089
@jason9089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amuel2710
@samuel2710 Жыл бұрын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 리뷰 감사합니다.
@-MaSaN-
@-MaSaN- Жыл бұрын
ㄴㅈ
@user-by7hx6nw2o
@user-by7hx6nw2o Жыл бұрын
샷건의 집현전
@user-lksosiusjs
@user-lksosiusjs Жыл бұрын
재밌냐
@pigking1319
@pigking1319 Жыл бұрын
@@user-by7hx6nw2o ㅋㅋㅋㅋㅋㅋ
@gyeongwonlee8988
@gyeongwonlee8988 Жыл бұрын
윤하 : 사건의 지평선 넘어로~~
@wendypeter219
@wendypeter219 Жыл бұрын
항상 흥미로운 주제 선정과 컨텐츠 보여주시는데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belllll
@belllll 2 жыл бұрын
2014년 영화인데 아직도 과학적으로 리뷰할수 있는게 넘 좋다
@squirrel.
@squirrel.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 구독자 100만 가자!
@lalulu6205
@lalulu6205 2 жыл бұрын
그만큼 첨단 과학을 접하는 득권층이 있다는 뜻이고 나머지는 미개하다는 뜻임
@user-ok5ow6rj5y
@user-ok5ow6rj5y 2 жыл бұрын
이걸 영화관에서 2번이나본게 인생 최고의 선택임 ㅋㅋ
@user-rk6od4nh1j
@user-rk6od4nh1j 2 жыл бұрын
헐 남친이랑 인터스텔라 개봉 한해에 사귀기 시작해서 지금도 사귀는중 ㅋ 오래 만난서 몇년째 만난지 가물할때 인터스텔라 생각 하면 될듯 ㅋ
@user-ds8cm7dv7o
@user-ds8cm7dv7o 2 жыл бұрын
@@lalulu6205 ?
@user-fi9ph1ob2k
@user-fi9ph1ob2k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님의 이런 고퀄 과학 진짜 신기하고 잼있고 좋음. 편집기술과 지루하지 않게 만드는 센스도 다 너무 만족.
@user-gg8ts2og4w
@user-gg8ts2og4w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과학잼민이지😅
@Chad-pz3gr
@Chad-pz3gr 11 ай бұрын
엉이호😂
@user-do5go3kq7x
@user-do5go3kq7x 2 жыл бұрын
역시 인터스텔라 리뷰는 봐도봐도 흥미롭군요!! 지구과학을 좋아했던 1인으로 이런 리뷰는 영원히 해주셔도 좋습니다!!ㅎ
@user-do5go3kq7x
@user-do5go3kq7x 2 жыл бұрын
@@user-bs7qu7ls3o 아 그런가요 ㅎㅎㅎ 뭔가 지구과학시간에 배울것만 같아서 ㅎㅎㅎ
@user-em1zo9id3c
@user-em1zo9id3c 2 жыл бұрын
@@user-bs7qu7ls3o 급식때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으로 이것저것 배우기는 하지만 실제로 지구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등의 특정 부분을 묶어서 봐야하는 학문임 애초에 지구과학2에서 배우는 행성의 운동 같은것도 천체물리학인데 ㅋ
@user-tj1zn9be6e
@user-tj1zn9be6e 2 жыл бұрын
@@user-bs7qu7ls3o 그냥 지구과학 우주파트 재밌게 공부해서 블랙홀 다루는 내용 흥미있어하는구나 하면 되지 굳이 꼽주는 너도 참 ㅋㅋ 뭣도 아닌걸로 "나는 얘보다는 많이 알아!" 하면서 자존감 채우는것도 안쓰럽다
@user-mj1kj4ke8r
@user-mj1kj4ke8r 2 жыл бұрын
@@user-em1zo9id3c 급식지학에 물리 화학 생물로 넣기 애매한 부분도 많은데다가 전문적으로 가도 물생화가 사용될뿐이지 포함되는건 아님 ㅋ 그렇게보면 화학도 물리에 포함되있다고 말하는거랑 같은거임
@user-em1zo9id3c
@user-em1zo9id3c 2 жыл бұрын
@@user-mj1kj4ke8r 물생화 포함이라고 말한적이 없는데... 특정부분이 전체를 말하는건줄 처음알았네요 ㅎㅎ
@kyj880821
@kyj880821 2 жыл бұрын
와 이번편 완전 재밋네요! 정말 궁금했던부분인데 예시까지 들어가면서 .. 감동입니다
@huc4879
@huc4879 2 жыл бұрын
2년동안 인터스텔라 리뷰 하시느라 고생하셨어요~ 제가 보기엔 인터스텔라가 리뷰엉이님의 사건의 지평선인듯...ㅋㅋ
@squirrel.
@squirrel.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 구독자 99.9만명!!! 100만 가자!!!
@user-gg8ts2og4w
@user-gg8ts2og4w Жыл бұрын
😆😆
@gmb4191
@gmb4191 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왜 주말아침부터 블랙홀의 지름을 구하는공식을 유튜브에서 배우고 있는가...
@user-ig6pr8ej4y
@user-ig6pr8ej4y 9 ай бұрын
이런 과학 현상을 수식으로 나타내는 물리학이 너무도 좋습니다!
@byjun8946
@byjun8946 2 жыл бұрын
언제봐도 좋은 리뷰 다음영상도 기다리겠습니다 ㅎ
@user-fg2uj6kr2f
@user-fg2uj6kr2f 2 жыл бұрын
요즘 블랙홀 특집 기간이라 너무 맘에 드네요...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2 жыл бұрын
구독자 백만명 축하드립니다. ㅜㅜ ㅠㅠ 과학우튜버 리뷰엉이 파이팅!!!!! 🦉🦉
@user-zy5dz4oe2e
@user-zy5dz4oe2e 2 жыл бұрын
형님 100만 축하 드립니다 앞으로도 재밌게 머리 터지는 영상 만들어 주시길 바랍니다
@catez._.
@catez._. 2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재밌다 다음영상도 너무 기대됨 ㅇㅅㅇ!
@user-ek1ks3nv2j
@user-ek1ks3nv2j 2 жыл бұрын
킵손 저자의 블랙홀과 시간여행 이 책의 내용이랑 비슷하네요...(아마 이 내용을 참고 했을 것같아요) 이 책 결코 쉽지않은 책인데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해서 쉽게 영상으로 만드는건 진짜 역대급... 부라더 둘다 진짜 영상능력 ㅆㅅㅌㅊ
@user-gg8ts2og4w
@user-gg8ts2og4w Жыл бұрын
역시 우주에는 과학범위가 크다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hahaagi
@hahaagi 2 жыл бұрын
좀 있으면 100만 돌파 하겠네요. 미리 축하 드려요.
@TV-nc5im
@TV-nc5im 2 жыл бұрын
뭘 모르는지도 모르기에 질문할게 없네요 ㅎㅎ 좋은영상 잘 봤습니다
@youngsick369
@youngsick369 2 жыл бұрын
이영상보고 구독했어요 ㅋㅋㅋ 제가 중학생인데 수학 과학을 좋아해서 더 잘들렸던거 같아요 재밌었어요 감사합니다
@JJ-vg6vt
@JJ-vg6vt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시네요
@user-gg8ts2og4w
@user-gg8ts2og4w Жыл бұрын
인정한다 ㅎㅎ
@user-wq2pg4zj2x
@user-wq2pg4zj2x 2 жыл бұрын
옛날부터 궁금했던건데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는 못했지만 죽는다는건 알았습니다
@user-py8ob5gf8q
@user-py8ob5gf8q 2 жыл бұрын
곧있으면 100만명이시네여!! 축하드려요!!
@carusi5540
@carusi5540 2 жыл бұрын
구독자 100만 축하드립니다. 아주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noahlee95
@noahlee95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영화 리뷰 잘봤습니다 :) 영화 아마겟돈 리뷰 부탁드려요!! (블랙홀이랑 블랙홀이 만약에 충돌한다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user-es9ny5xk9m
@user-es9ny5xk9m 2 жыл бұрын
더큰 블랙홀이됩니다^^
@user-uc9ip8qb2r
@user-uc9ip8qb2r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의 인터스텔라 리뷰는 따봉박고 시청 ㄹㅇ
@gattosazio5778
@gattosazio5778 2 жыл бұрын
영화 하나로 매번 이렇게 클릭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상을 만들수 있다는게 정말 대단하다 인터스텔라란 영화도 이 채널도
@personagrata637
@personagrata637 2 жыл бұрын
아 너무 재밌다 인터스텔라 리뷰 계속계속 해주세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jq2jc4ht3r
@user-jq2jc4ht3r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궁금한 게 있습니다 지구에서 출발하는 빛의속도의 우주선에서 *출발 시점부터 실시간 영상을 지구로 *끊임없이* 전송한다면.* 지구에 있는 사람과 우주비행사는 동일한 시점의 우주모습을 볼수 있을까요?
@Outset41
@Outset41 2 жыл бұрын
이론물리학자들은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 얼마나 똑똑하면 저런걸 전부 수학으로 계산할수잇지ㄷㄷ
@I_love_leejaemyung6974
@I_love_leejaemyung6974 2 жыл бұрын
100만 구독자 축하드려용!
@user-bg9md3cz1w
@user-bg9md3cz1w 2 жыл бұрын
진짜 100 만 축하드립니다
@user-ll3bg5yf7f
@user-ll3bg5yf7f 2 жыл бұрын
인스텔라가 이렇게 긴 영화였구나 2년동안 리뷰해야한다니..
@sanchoul
@sanchoul 2 жыл бұрын
3:02 에서 별들이 머리 위를 돌고 있는 장면이 특히 신기했어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도 블랙홀에 빠지는 장면에서 블랙홀 반대편을 올려다본 우주가 저거랑 비슷하게 생겼던데, 이제 그 이유를 알겠네요. 이번에도 인터스텔라 리뷰 감사합니다! 호킹 복사와 특이점도 기대할게요:)
@TV-zd6jp
@TV-zd6jp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서 넋을 놓고 갑니다.^^
@2dmslh
@2dmslh 2 жыл бұрын
과학엉이님 100만 축하해요!!
@LTE_math_sqrt33
@LTE_math_sqrt33 2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우주가 모아면 다중우주가 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다중우주가 모이면 뭐가 되나요? 너무 궁굼합니다. 제발 다뤄주세요!
@user-yg9jb6xq4p
@user-yg9jb6xq4p Жыл бұрын
다중우주가 모이면 점이 됩니다
@chogathi
@chogathi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는 언제나 짜릿해! 새로워!
@jjeongmy726
@jjeongmy726 2 жыл бұрын
제발 많이올려주십쇼 건강보다 업뎃이 우선입니다 아시죠잉
@tpalsfl4375
@tpalsfl4375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을 그냥 근처에가면 빨려들어가는 거고 생각했었는데 이영상을 보니 블랙홀은 정말 어렵지만 흥미로운 주제인거 같습니다. 정말 많은 정보를 얻고 갑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eautifulahin
@beautifulahin 2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 내 최애 영화중 하나인데 이렇게 매번 리뷰해주니 너무 좋당 ㅎ
@ddd_2222
@ddd_2222 2 жыл бұрын
백만 축하드려요!
@chlkei5329
@chlkei5329 2 жыл бұрын
과학영상 우연히 보다가 빠져 들어서 정주행 중입니다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네요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대 영상에 사용된 bgm이 뭘까요? 뭔가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음악이라 궁금합니다
@strongdad599
@strongdad599 Жыл бұрын
그림 실력이 갈수록 고퀄이 되어갑니다.
@DaeSoonE
@DaeSoonE Жыл бұрын
"인터누텔라를 감명 깊게 본 유튜버 1위"
@junbjunhi
@junbjunhi 2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립니다 드디어 찍으셨군요
@JunLivePension
@JunLivePension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블랙홀...신비한 존재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092Master
@092Master 2 жыл бұрын
리뷰의 지평선에 갖힌 유튜버
@user-sw6ks8lv1v
@user-sw6ks8lv1v 2 жыл бұрын
갇힌
@user-qg3zx8dn6w
@user-qg3zx8dn6w Жыл бұрын
윤하 사건의 지평선 노래중에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이 가사가 무서운 가사일줄은.....
@ksj1202
@ksj1202 2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려요!!
@user-dh8pv3xy6d
@user-dh8pv3xy6d 2 жыл бұрын
골드버튼 미리 추카드립니다 늘 재미있게 봅니다!
@taehokang5144
@taehokang5144 2 жыл бұрын
이번 블랙홀편은 진짜 끝판왕이네요ㄷㄷㄷ 아니 전세계에서 어떤 그 누구도 내셔널지오그래픽도 이렇게 쉽게 알려주는 곳이 없는데, 엉이형님 와~대박 리스펙합니다. 다음번에 호킹복사 해주신다고 하셨는데 진짜 기대되요, 블랙홀 관련해서 호킹복사를 빼놓으면 단무지 없는 김밥이고, 패티 없는 햄버거이고, 토핑 없는 피자일 뿐ㅋ 호킹복사 넘넘 기대됩니다. 엉이호 홧팅~~~!!! 가즈아~~~~~~~~~~~~~~~~
@1e34o67
@1e34o67 2 жыл бұрын
ㄹㅇ..이런 내용을 쉽게 알려주는게 넘사벽...
@user-pn2lo5gh4w
@user-pn2lo5gh4w 2 жыл бұрын
알기쉽게 예를 들기위해 오류가 꽤있음 다른 공신력있는 곳들은 그 오류를 줄이기위해 어렵게밖에 얘기할수밖에 없고
@user-ln3ol3ll2q
@user-ln3ol3ll2q 2 жыл бұрын
@@1e34o67 5ㅇ
@GrimReaper-sd1yp
@GrimReaper-sd1yp 2 жыл бұрын
틀린 정보를 보고 너무 극찬하시네요ㅋ 중력이라는 것을 지표면에서만 경험한 한계라고는 생각은 드는데, 우리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허공에서의 중력에 대해서 말이죠. 우주에 가지 않고도 무중력을 경험할수 잇는 방법이 하나 있죠ㅋ 바로 추락하는 물체(엘리베이터or비행기)안에 있는 것이죠ㅋ 즉, 중력에 의해 그 중심으로 향하는 물체는 대기층같은 저항요소가 없는이상, 무중력을 경험하게 된다는 겁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세요. 지구보다 중력이 2배강한 다른 천체에서 실험해도 무중력을 경험하게 될 겁니다. 10배 강한 천체에서도 무중력을 경험하겠죠ㅋ 그럼 무한배 강한 천체에서도 마찬가지로 무중력을 경험하게 될 겁니다. 물론 바깥에서는 다르게 "관측"되겠지만ㅋ
@GrimReaper-sd1yp
@GrimReaper-sd1yp Жыл бұрын
@@pcong2 ㅋㅋㅋ 사기꾼에게 사기치지 말라했더니, 그럼 니가 사기치든가라고 하는것과 뭐가 다른가??? 대체 뭔 댓글내용이 그런식입니까??? 이 영상이 그냥 자기 이야기나, 여행이야기 등등의 주관적인 감성적 컨텐츠인가요?? 아니면 정보전달이나 지식전달같은 교육성 컨텐츠인가요??? 전자라면 님의 말이 맞겠죠. 그런데 후자라면?? 그래서 그 정보가 잘못되었다거나 다른 시각이나 다른 가능성이 있다면?? 그런 내용을 영상에 대한 적대적 행위로 간주하고 배척하는게 과연 맞을까요???
@user-lf6yn3we4m
@user-lf6yn3we4m 2 жыл бұрын
이론으로 존재할수 있는 우주에서 가장 작은 블랙홀은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가르강튀아에서는 큰 블랙홀만 다뤄서 잘 모르겠네요!
@Baek_Sugwangbu
@Baek_Sugwangbu 2 жыл бұрын
마이크로 블랙홀이라고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의 크기가 양자 크기인 블랙홀이 있는데 아직 발견되지 않고 이론속에 존재합니다.
@user-ph1ud8xi4o
@user-ph1ud8xi4o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재밌는영상 고맙습니다
@pjy752
@pjy752 2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립니다!!!
@user-kt5tu7nm7g
@user-kt5tu7nm7g 2 жыл бұрын
그는 그렇게 블랙홀 전문 유튜버가 되었다.
@adj9152
@adj9152 2 жыл бұрын
리뷰엉이님 채널을 자주 시청하는 시청자입니다! 영상을 보면서 우주,블랙홀,중력,상대성이론 등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는데 고등학생이 읽을 만한 잘설명되어있는 책 추천해 주실 수 있나요?
@user-kz8gl2uv8o
@user-kz8gl2uv8o 11 ай бұрын
귀멸의 칼날
@user-cy5ek8fs1v
@user-cy5ek8fs1v Жыл бұрын
진짜 신기하다.... 넋 놓고 봤네요 ㄷㄷ 천재같으심
@Lunarticsphere
@Lunarticsphere Жыл бұрын
분명 영화 리뷰 채널이라고 생각해서 구독했던 거 같은데에...? ㅋㅋㅋㅋ 어느 과학 채널보다도 진심인...
@user-nw6bq1qp5u
@user-nw6bq1qp5u 2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로 궁금한게 인류중에 아무도 겪어보지못했고 가까이에서 관찰하지도못했는데 이런이론들도 어떻게보면 우리가 블랙홀에대해서 멋대로 정의하는건아닐까싶음
@Pra_seodymium
@Pra_seodymium 2 жыл бұрын
11:13 경우에 따라서 태양 질량의 100억배가 넘어가는 블랙홀을 극대질량 블랙홀(Ultramassive blackhole)로 따로 분류하기도 합니다
@ball_6555
@ball_6555 2 жыл бұрын
울트라메시브 블랙홀
@user-jv2rk9rv6d
@user-jv2rk9rv6d 2 жыл бұрын
좋아요 눌러놓고 이따 자기전에 본다.
@user-rs4vg7hn7h
@user-rs4vg7hn7h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너무 고마운 채널
@user-bp4bk1nm7l
@user-bp4bk1nm7l 10 ай бұрын
전문적인 내용과 유치원생이 그린 것같은 부엉이 그림의 완벽한 콜라보 🎉
@user-dk7pe3ej8i
@user-dk7pe3ej8i 2 жыл бұрын
입대할때 인터스텔라 리뷰 시리즈 나오던거 같은데 아직도 연재중이군요...
@xkpyl
@xkpyl 2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드려요!
@user-pc2ht5wb2o
@user-pc2ht5wb2o 2 жыл бұрын
백만 축하합니다😃
@mongsil
@mongsil 2 жыл бұрын
100만이 코앞이다! 자~ 드가자~!!
@user-ix7fj1yh1t
@user-ix7fj1yh1t Жыл бұрын
아니 윤하 사건의 지평선 듣다가 왜 여기 와있지?
@m1zn73k
@m1zn73k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런데 ㅋㅋㅋㅋ
@user-wk2jg3vw9f
@user-wk2jg3vw9f 2 жыл бұрын
100만 기다렸습니다~~축하합니다
@user-ud1vb7zv1j
@user-ud1vb7zv1j Жыл бұрын
너무재미있어요!
@sjlee3438
@sjlee3438 2 жыл бұрын
2년동안 CG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한것 같아 참 감개무량합니다
@Ari97000
@Ari97000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ㅋㅋ 그림만 더 잘그리면 될듯해요
@champions_Paris
@champions_Paris 2 жыл бұрын
사건의 지평선 근처에서 양자역학은 어떻게 작용하나요? 엄청난 중력이 양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weather_note
@weather_note 2 жыл бұрын
'호킹 복사'에 대하여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간략히 기술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973년에 이스라엘의 물리학자인 베켄슈타인은 블랙홀이 특정한 온도를 가지고 복사선을 방출한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이어 1974년에 영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휜 시공간의 양자장론'을 사용하여 블랙홀 복사의 합리적인 근삿값을 도출했습니다. 호킹은 양자 효과로 인해 블랙홀이 그 질량에 반비례하는 온도를 가진 흑체와 같은 양의 흑체 복사를 방출함을 증명한 것입니다.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나타냅니다. 표면 중력이 κ인 킬링 지평선을 가진 stationary black hole에 대하여 호킹 복사 T는 T = (ℏκ) / 2π·(kB)·c 여기서 ℏ는 디렉 상수, kB는 볼츠만 상수, c는 빛의 속력입니다.
@aa-it5zi
@aa-it5zi 2 жыл бұрын
영화 인터스텔라 리뷰로, 블랙홀 제일 밑바닥에는 무엇이 있을지 리뷰해주세요~
@user-qi6dm5dw2g
@user-qi6dm5dw2g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에대해 가장 궁금한게 있는데요 밀도가 매우 높고 중력이 무지막지하게 적용되는 블랙홀의 중심부는 시간이 아주 느리게 흐를거잖아요? 혹시 블랙홀이 폭발 (빅뱅?) 한다면 지구에서 우리가 보기엔 그 찰나의 순간이 엄청 길게 보여질 수도 있을까요??? 가령 우리가 관찰하기엔 그냥 블랙홀이지만 우주적 관점에서 설명하기 힘들지만 우리가 정의하는 현재엔 이미 폭발 했을수도 있을까요??
@user-kt1ln4ke4c
@user-kt1ln4ke4c 2 жыл бұрын
누군가 실수로 연구하다 미니블랙홀이 지구에 생긴다면 미니블랙홀은 어느정도크기이며 지름이 작은만큼 엄청난 조석력으로 지구를 다 빨아들이며 인류는 멸종할까요 ? 어떻게될까요 궁금해요 그모든게 모든게궁금해요 알려줘요 리뷰엉이 !!!
@user-sc9qn2vm6f
@user-sc9qn2vm6f 2 жыл бұрын
what if there was a blackhole in your pocket을 유튜브에 치시면 나옵니다. 예습하고 리뷰엉이님꺼로 복습하면 재미가 두배!!
@user-pk9ip4yx9u
@user-pk9ip4yx9u Жыл бұрын
블랙홀이 말그대로 우주에 난 구멍이 아니고 상상을 초월하는 중력으로 모든걸 파괴하고 끌어당기고 있는거군요
@쿼크
@쿼크 2 жыл бұрын
100만 축하해요!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2 жыл бұрын
곧 백만명 이군요. 힘내세요!!!!!! ㅜㅜ ㅠㅠ
@user-if1xp1fs5f
@user-if1xp1fs5f Жыл бұрын
실제 블랙홀 근처만 가도 뒤집니다 블랙홀은 빛조차 빠져 나갈수 없는 높은 밀도와 중력만 생각하는데 블랙홀을 찍은 사진에서 알수 있듯이 엄청난 열이 발생합니다 거기에 각종 우주 방사선이 있어서 인간의 우주복으로 버틸수 없습니다 우주복이 두꺼운 이유는 우주복안에서 기압을 맞추기 위해서 두꺼운건데 일단 블랙홀에 빠지면 각종 열과 방사선 때문에 우주복이 가장 먼저 파괴되고 인간은 그 즉시 사망합니다
@jjukkumino
@jjukkumino 2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장 존경하는 채널’
@parkmae
@parkmae 2 жыл бұрын
7:50 물구나무서기하면 안돼요!👀
@Sloth_Piano
@Sloth_Piano Жыл бұрын
이영상 보고 영화를 다시 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user-bk1vd2hv5h
@user-bk1vd2hv5h 2 жыл бұрын
이미 인터스텔라의 특이점을 넘어버린 부엉이는 인터스텔라 이외의 리뷰는 할 수 없게 됐습니다. 이건 과학입니다.
@KangShinMin
@KangShinMin 2 жыл бұрын
중력도 빛의 속도로 전파되는데 어떻게 특이점의 중력이 사건의 지평선 밖에 있는 물체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하네요.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사건의 지평선을 만드는 것은 중력입니다
@INTP_squirrel
@INTP_squirrel 2 жыл бұрын
형 100만 축하해!!!!
@dalhogwak668
@dalhogwak668 2 жыл бұрын
역시 SF과학 유뷰터 리뷰엉이야!!
@noname-pr6jl
@noname-pr6jl 2 жыл бұрын
특이점도 종류에 따라 사건의 지평선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다고 하는데 이에 대해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user-dk3bs3gi6q
@user-dk3bs3gi6q 2 жыл бұрын
안됨
@tsfiction
@tsfiction 2 жыл бұрын
절대 저어얼대 안되지
@user-kn9sm3bw6x
@user-kn9sm3bw6x 2 жыл бұрын
중력장에의한 특이점은 기본적으로 빠져 나올수 없습니다
@gal2gal
@gal2gal 2 жыл бұрын
@@user-kn9sm3bw6x 예를들어 가정을 했을때 일반 방귀의 98000의 700억제곱배의 위력을 가진 사람이 방귀를 껴도 탈출이 안되나요?
@user-dk3bs3gi6q
@user-dk3bs3gi6q 2 жыл бұрын
@@gal2gal ㅇ
@juneonkim229
@juneonkim229 2 жыл бұрын
양자 역학의 관측자에 대해 궁금해요(다른 영상에서 설명했는지는 모르겠네요) 슈레딩거의 고양이에서 고양이의 생사를 관 측전에는 모른다고 했는데, 고양이 그 스스로가 관측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요. 물론, 슈레딩거의 고양이 실험은 미시 세계가 아니라 예시일 뿐이니 실제로 중첩되진 않겠지만. 실제 중첩의 관측이란 개념은 미생물과 같은 유기체가 존재만 해도 성립되는 걸까요? 관측이란 개념이 단순히 시각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감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요 관측의 동시성이 성립해야 한다면, 영상으로 녹화만하고. 사람에 의한 녹화 영상 확인은 한시간뒤에 한다고 하면, 중첩이 깨지는 시점은 녹화 시작시점인가요 영상 확인 시점인가요?
@user-dk3bs3gi6q
@user-dk3bs3gi6q 2 жыл бұрын
관측은 다른 대상과의 상호작용 정도로 이해하면 됨. 미생물이라도 관측 대상 간 상호작용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관측이 되는 거. 즉 카메라를 이용한다면 그 관측대상은 녹화 순간 빛과의 상호작용이 있을 것이고 이로 인해 파동함수 붕괴가 있겠지
@juneonkim229
@juneonkim229 2 жыл бұрын
@@user-dk3bs3gi6q 답변 감사합니다. 상호작용을 이해 했는데, 다른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입자 파동 실험에서(관측/비관측시의 입자 흔적 비교) 결과의 흔적은(입자 혹은 파동 형태의 자국) 단순 흔적이기 때문에 관측으로 치지 않는 걸까요? 물체가 종이에 닿았다는건 입자가 종이간에 압력을 가한 상호작용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만약 그렇다면, 종이에 닿아 압력을 가한 물체가 파동 형태인지 입자형태인지 우리가 '어떠한 매체로도 보지 않고 압력이 가해질 때의 형태를 감지해 실시간으로 외부에 알린다면' 이건 관측에 포함 될까요? 결과 흔적을 눈으로 보는지 압력으로 느끼는지와 결과 확인의 시간 상 차이가 있는 경우입니다.
@user-in8vb4ud4t
@user-in8vb4ud4t 2 жыл бұрын
그거 리뷰엉이님꺼 영상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양자역학 궁금해서 봤는데 리뷰엉이님이 설명해주신거 봤던거같아영
@user-yh3tx5ql3o
@user-yh3tx5ql3o 2 жыл бұрын
100만 구독축하드립니다;)
@Mint_Leopard
@Mint_Leopard 2 жыл бұрын
인터스텔라 리뷰만 하다가 인터스텔라 리뷰로 채널이 안돌아갈때 까지 계속 인터스텔라 리뷰만 시키고 싶은 영상이네요
@hepariful
@hepariful Жыл бұрын
블랙홀 속은 아마도 펄사의 구조를 보면 대충 알수 있을거같네요. 펄사속은 중성자가 되기전의 원자와 전자가 비벼진 소스처럼 되어있는데 쿼크까진 아직 무사하게 존재하는데 블랙홀은 그 쿼크 입자마저도 엄청나게 강한 중력으로 뭉쳐진 모습으로 되어 있을거같네요.
@user-mf8yi4oc7p
@user-mf8yi4oc7p 2 жыл бұрын
과학(영화)리뷰 유튜버 리뷰엉이님의 구독자 100만명 달성을 축하드립니다
@bb-yi2bd
@bb-yi2bd 2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ㅋㅋ 이해하기도 쉽구요 ㅎㅎ
@user-wb2jx
@user-wb2jx 2 жыл бұрын
영상 보다가 느낀건데 밑에 자막 글씨체가 너무 마음에 들어요. 만약에 기본 글씨체였다면 영상 자체가 너무 어려워보였을거같은 그런...? 너무 귀여웠다면 집중이 안 되는... 네 암튼 영상 모두 마음에 들어욧 리뷰엉이 체고
@user-mj8hm5ib4x
@user-mj8hm5ib4x 2 жыл бұрын
슬프다...ㅠ
@YHL77777
@YHL77777 2 жыл бұрын
블랙홀 가서 현장 라이브 해주세요ㅋㅋ
@nostalgic6225
@nostalgic6225 2 жыл бұрын
그건 불가능합니다. 아무리 카메라에 줄을 메달아서 블랙홀에 떨어트린다 해도 밖에선 시간이 멈춰보입니다. 그뜻은 카메라가 블랙홀 내부로 떨어지고 있다 해도 밖에서 보는 사람은 카메라가 마치 멈춰있는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블랙홀 근처에 영상 찍는것은 불가능하고 사건의 지평선만 안 넘으면 충분히 블랙홀 근처를 머물수 있습니다.
@user-pc4gw2gu1x
@user-pc4gw2gu1x 2 жыл бұрын
와 100만 구독자 축하드려요
@user-gi8fx3jf1w
@user-gi8fx3jf1w 2 жыл бұрын
이 형 곧 100만이네 미리 축하해 영화 리뷰하는 형
@user-eb5wm5wq7e
@user-eb5wm5wq7e 2 жыл бұрын
2년째 인터스텔라 리뷰중인 그는..
I CAN’T BELIEVE I LOST 😱
00:46
Topper Guild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블랙홀 한 방 정리! [안될과학-긴급과학]
6:53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무려 100년 전에 블랙홀의 존재를 예측한 천재 과학자 아인슈타인
19:12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지구와 너무나도 닮은 이 행성에는 정말 생명체가 존재할 지도 모른다!
17:01
Five Misunderstandings and Truths About Black Hole!
8:13
과학쿠키 [Science Cookie]
Рет қаралды 617 М.
거대 블랙홀이 태양 크기 별 삼키는 모습 포착 / YTN 사이언스
0:35
YTN 사이언스 투데이
Рет қаралды 774 М.
만약 블랙홀에 빠진다면? 🪐 우주
8:28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22 М.
Samsung Galaxy 🔥 #shorts  #trending #youtubeshorts  #shortvideo ujjawal4u
0:10
Ujjawal4u. 120k Views . 4 hours ago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