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이착륙때 날개의 모습

  Рет қаралды 476,001

은성훈

은성훈

7 жыл бұрын

Пікірлер: 420
@user-kh6jb5vt1e
@user-kh6jb5vt1e 2 жыл бұрын
진짜 비행기 활주로 갈때까지는 세상 느릿느릿이라 속터져서 언제 갈까 싶은데 이륙하려고 하면 엔진소리부터 달라지면서 달리기 시작하는데 쾌감 오짐
@user-so4fg5by1q
@user-so4fg5by1q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앜 그쵸 저도 어릴 때 그게 너무 답답했어요..! 나중에 알고보니 저 (승강장에서 활주로까지 Taxing이라는)과정은 지상에서 움직이거나 공항으로 입출입하는 항공기들간에 안전하고 질서 있는 운영을 위해서 너무나 중요한 것이더라구요!
@nothingman9080
@nothingman9080 5 жыл бұрын
이 착륙시는 저속에서 양력을 최대한 발생시키기 위해서 날개 면적을 키우는 것이고 이륙한 후에는 항력을 줄이기 위해 날개 면적을 줄이는 것이죠.
@TheSasasasdf
@TheSasasasdf 5 жыл бұрын
플랩을 전개하면 공기흐름을 부드럽게해서 양력을 증가시키는것이 아니라 플랩을 전개하게되면 유효 날개면적이 증가하고 이로인해 양력계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양력은 일반적으로 `양력계수×동압×날개면적' 으로 계산되는데 주로 이착륙시 비행기가 저속이기때문에 비행기를 띄울만큼의 양력이 발생하기어려워 플랩을전개해 양력계수와 날개면적을 증가시켜 충분한 양력을 얻기 위함입니다. 또한 착륙시 플랩전개로 인한 양력계수 증가뿐 만아니라 항력의 증가로 인해 감속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착륙시에 스포일러를든다했는데 스포일러의 경우 지면에 완전히 랜딩한 이후에 작동시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착륙시 비행기가 저속비행을하는데 스포일러를 들게되면 날개 표면에서 날개끝으로 흘러가는 공기흐름이 방해가되어 양력이 감소하게 되어 위험한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포일러는 지면에 완전히 랜딩한 이후 들어올려 항력을 증가시켜 비행기를 감속하는 동시에 다운포스를 발생시켜 기체가 뜨지못하게 눌러주는 역할을 하는 겁니다.
@NGC-pg8xk
@NGC-pg8xk 2 жыл бұрын
이륙할때 날개를 펼치는 이유는 양력을 더 잘받기 위한 것이라고 해요
@minhojung1962
@minhojung1962 6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동영상 수고하셨습니다.
@user-qk2sh8mk5s
@user-qk2sh8mk5s 2 жыл бұрын
0:20 유도로에서 이륙하는 줄 알았네 ㅋㅋㅋㅋㅋㅋㅌㅋㅋㅋㅋㅋㅋ
@user-gu5bd7fe2k
@user-gu5bd7fe2k 4 жыл бұрын
궁금했던 영상! 정말 신기신기! 겁나 멋있다!
@user-jr3ey5ql6e
@user-jr3ey5ql6e 6 жыл бұрын
이륙할때 플랩을 피는 이유는 양력을 높이기 위하고 착륙할때는 스포일러를 올려 속도를 줄입니다.
@vigilante1236
@vigilante1236 4 жыл бұрын
착륙할때도 플렙을 사용합니다 항력으로인해 속도가줄어들지만 양력을 발생시켜서 착륙거리를 줄일수 있기때문이죠
@seungkook
@seungkook 2 жыл бұрын
@@vigilante1236 양력을 발생시키는데 왜 속도가 줄어드나요?
@odyyx9e6osydyodyo75
@odyyx9e6osydyodyo75 Жыл бұрын
@@seungkook 양력이 아니라 항력이 생겨서 속도가 줄죠
@Mr.RamBoKim
@Mr.RamBoKim 5 жыл бұрын
으엣~~~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07:17 very soft landing~ love at beautiful flight~
@inkoansong5909
@inkoansong5909 3 жыл бұрын
주날개가 완죤 조각 조각 이네요. 랜딩 때에는 플립을 아래 위로 젖혀서 최대치 공기 저항을 활용 하는 것 같네요.
@Sevenfourseven747
@Sevenfourseven747 2 жыл бұрын
위로 젖히는건 스포일러
@kangaroopouch
@kangaroopouch 6 жыл бұрын
아래 박종찬님의 댓글에 첨언 하자면, 플랩이란것은 날개의 면적을 넓히고 날개의 형상을 변화시켜, 항공기의 각도 변화없이 받음각을 크게 해서 양력을 키우는 원리입니다. 양력이 커지면 결국 낮은 속도에서도 이륙할 수 있게되죠. 하지만 플랩 자체가 공기의 흐름을 부드럽게 해주는 것은 아니구요. 플랩 자체가 받음각을 가지게 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플랩 전개면적이 넓을수록, 실속 AOA와 속도는 더욱더 낮아집니다.
@user-rs1zk6ev6t
@user-rs1zk6ev6t 2 жыл бұрын
이륙 할때는 양력을 받기 위해서 플래을 내리고 착륙 할때는 플랩을 내린상태에서 터치다운 할때 스포일러를 올려서 하강과 동시에 감속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기종 보잉747-400같은데 맞아요????
@yubi923
@yubi923 3 жыл бұрын
저 수백톤 짜리 덩어리가 하늘을 나는게 진짜 신기함ㄹㅇ
@s-works_1243
@s-works_1243 Жыл бұрын
이게 바로 우리 인간의 한계성이죠 우리 인간은 한계가 없을지도...?
@user-gy7qh8dj1v
@user-gy7qh8dj1v 5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항공정비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정말 소중한 자료네요^^
@user-pf3vc8vh7u
@user-pf3vc8vh7u 7 жыл бұрын
Good! 모두 기도합시다. 파일럿님의 안전 이.착륙을위하여...
@user-ih2sl1kn3f
@user-ih2sl1kn3f 5 жыл бұрын
7:17 기장님 인정합니다! 크 잘했다
@seokbley7573
@seokbley7573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안녕하세요
@user-vn4ro2fy6r
@user-vn4ro2fy6r 4 жыл бұрын
@@seokbley7573 뭐요
@user-yy9qy3vr1z
@user-yy9qy3vr1z 3 жыл бұрын
찐이다
@user-so4fg5by1q
@user-so4fg5by1q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완전히 소프트랜딩 하시는 것보단 조금 더 거친게 좋음 ㅋㅋㅋㅋㅋㅋ 물론 안전을 위해선 소프트랜딩이 제일 중요하지만!
@in_jik4097
@in_jik4097 6 жыл бұрын
2:56 에취!!!
@ighybrid
@ighybrid 5 жыл бұрын
In_ jik ㅋㅋㅋㅋㅋㅋ
@user-zm3fd3yk5l
@user-zm3fd3yk5l 4 жыл бұрын
개 깜놀함
@user-ue2ut2sl2w
@user-ue2ut2sl2w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user-bs8vc1rl4j
@user-bs8vc1rl4j 4 жыл бұрын
ㄴㄴ 으아흐!!!!!
@Whavlue
@Whavlue 4 жыл бұрын
ㄴㄴ 이롸ㅊ흐
@Musical_Actor
@Musical_Actor 7 жыл бұрын
이륙시는 플랩이라는걸 살짝내려서 날개의 면적을 유선형으로 만들게해서 공기의 흐름을 부드럽게해서 양력을 발생시키기위해서 플랩을쓰고 착륙시엔 속도를 줄이기위해 스포일러 라는걸 들어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죠. 그리고 플랩을 풀로 내려서 저속도에서도 안전하게 고도를 강하시키기위해서 쓰고 접지시에 스포일러가 완전히 올라가므로써 착지시 발생하는 바운싱현상을 줄이기 위해서죠
@user-jy6xm6xy2r
@user-jy6xm6xy2r 6 жыл бұрын
박종찬
@Standert7985
@Standert7985 6 жыл бұрын
욜 내가 하려던 말이 ㅠㅠ
@user-ig1ol2cv1v
@user-ig1ol2cv1v 6 жыл бұрын
박종찬 잘 모르면 쫌;;
@user-eh3oz3yt1v
@user-eh3oz3yt1v 6 жыл бұрын
플랩은 속도를 줄이는데도 사용된다고 합니다. 큰 민항기의경우 에어브레이크가 따로있어서 그걸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양력이 증가하면 항력도 그만큼 증가하기때문에 세스나나 터보프롭기같은경우 플랩으로 속력조절하기도 한대요
@user-ig1ol2cv1v
@user-ig1ol2cv1v 6 жыл бұрын
Flap은 고양력 장치입니다. 즉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에 더해서 날개표면적을 크게함으로써 양력을 추가적으로 발생하게하죠. 이륙할 때는 더 짧은 이륙 활주거리에서도 이륙이 가능하게하고, 착륙할 때는 더욱 저속에서도 항공기 조정에 필요한 양력이 발생함으로 착륙 활주거리를 줄일수 있습니다. 항공기가 착륙하고나서 날개위에서 올라오는 장치는 spoiler라고 해서 brake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중에서 방향을 바꿀때도 사용되기도 하고, 고도 강하할 때 brake 기능 즉 drag 역할을 하여 강하율을 증가시킵니다. 항공기가 활주로에 내리고 나서는 모든 spoiler가 올라와서 감속에 도움을 줍니다.
@MrGillGon
@MrGillGon 6 жыл бұрын
출발할 때에는 뒤에 한라산이 보이던 것 같은데 ~~ 제주 아닌가요 ??
@eunsunghun
@eunsunghun 6 жыл бұрын
G.G. Lee 예리하시네요
@user-pr1vl2lc5y
@user-pr1vl2lc5y 4 жыл бұрын
@@eunsunghun 도착지가 김포인가요
@user-ew6yu3dh7v
@user-ew6yu3dh7v 4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user-pi4qu1ev2l
@user-pi4qu1ev2l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티캐스트 예능프로그램 제작진입니다. 올려주신 소중한 영상 잘 감상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위 영상의 일부 구간(22초~32초)를 저희 방송 자료화면으로 사용하고 싶어 연락 드립니다. 혹시 출처 표기 후 사용을 해도 괜찮을까요? 해당 자료 화면은 2월 22일 방송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eunsunghun
@eunsunghun 2 жыл бұрын
네 당연하죠. 얼마든지 사용하세요.
@kimdaehyeon9961
@kimdaehyeon9961 6 жыл бұрын
744이군요 전 개인적으로 HL7495 가 기억에 남네요 일단 2년 동안 네그비 달고 다니며 항덕들에게 많은 사랑 받고 또 나의 첫 미주 여행을 함께한 녀석이기도 하고 가장 좋아하는 기종중 하나였는데 아쉽네요 그래도 그동안 744를 탈 수 있어 좋았습니다. THANK YOU 744! FOREVER 744!!!
@Nunanajugua
@Nunanajugua 6 жыл бұрын
KIM DAEHYEON 744면 B747-400기종 말하는건가요? (이 비행기는 A340기종인데요)
@user-xg3hs3lc7u
@user-xg3hs3lc7u 6 жыл бұрын
부산앞바다 ?? 우라나라는 현재 A340이란 기체 자체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B747-400맞습니다 플랩모양보면 744에요
@user-xg3hs3lc7u
@user-xg3hs3lc7u 6 жыл бұрын
부산앞바다 제주에 A340이 오지도 않습니다 ㅋㅋㅌㅋㅋ
@Nunanajugua
@Nunanajugua 6 жыл бұрын
이주원 죄송해여 제가 잘못봤네요...
@kbchoi8791
@kbchoi8791 6 жыл бұрын
KIM DAEHYEON 744기종도있어?
@user-bj1hg7qb5t
@user-bj1hg7qb5t 5 жыл бұрын
저 날개를 일일이 조종사 분들이 각기 조종하는건가요 ? 아님! 자동 센서 가 달려 그러는건가요 ? 물론! 조종사 분들이 일일이 조종하는부분 도 있겠지만요 ..
@syldris
@syldris 5 жыл бұрын
저것 하나하나 전부 다 스위치가 따로 있어서 수동으로 가능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목적에 따라 한꺼번에 움직이도록 되어있습니다. 방향을 맞추면 그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플랩 등이 맞춰지는 것은 자동이지만, 이륙/착륙 시 스포일러 올리고 플랩 내리고 하는건 상황에 맞게 수동으로 올리고 내리고 해야하죠. 자동차 운전할 때 클러치 밟고 기어 조정하고, 엑셀밟고 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난이도는 훨씬 높죠.
@Nwordnworx12428
@Nwordnworx12428 3 жыл бұрын
딱 뜰때 느낌 좋음
@pattayaminho6199
@pattayaminho6199 3 жыл бұрын
한마리 새가 날개를 움츠렸다 쫙~~펴는것 같군. 원래 새에 날개를 보고 만들었을테니....
@colemangray1339
@colemangray1339 2 жыл бұрын
항공기 좌석 고를때 엔진 앞쪽에 앉아서 가세요 톱날 소리 죽입니다
@eunsunghun
@eunsunghun Жыл бұрын
여객기는 비행고도에서 거의 음속의 80% 속도로 비행하죠. 엔진의 프로펠러 끝부분의 운동속도는 초음속이 되고, 거기에서 톱날소리가 발생하는 것인데... 저는 좀 조용한 자리가 좋습니다 ^____^
@brownsonghere
@brownsonghere 4 жыл бұрын
제주도 놀러가고 싶당~~
@user-ik4gd2ld3r
@user-ik4gd2ld3r 6 жыл бұрын
q뱅기 너무 멋져부러
@user-kq8mv1ji3w
@user-kq8mv1ji3w 6 жыл бұрын
스포일러는 비행기가 착륙할때 공기의 흐름을 막아 멈추는 장치로 착륙할때만 사용되죠
@JAY-vs3mf
@JAY-vs3mf 6 жыл бұрын
mjcswl문정 또다른 이유로는 양력을 감소시켜 항력을 증가시키는거죠
@user-kq8mv1ji3w
@user-kq8mv1ji3w 6 жыл бұрын
사랑해MAMAMOO 바로 그겁니다 EXCELLENT
@JAY-vs3mf
@JAY-vs3mf 6 жыл бұрын
mjcswl문정 in flight korean air
@HL-ve6ob
@HL-ve6ob 6 жыл бұрын
mjcswl문정 착륙할 때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하강할 때도 사용합니다
@sampark3424
@sampark3424 5 жыл бұрын
M16A4 RO905V AWM 항공기 방향전환시 도움을주는 역할도 합니다!
@user-yn5wc7uo9j
@user-yn5wc7uo9j 5 жыл бұрын
날개 밑에 송편같은 것은 뭔가요?? 비행때 네모난 반찬 뚜껑같은건 왜 덜렁덜렁 거리나요??
@hwan538
@hwan538 5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 송편같은거는 플랩 서포트 페어링이라고 플랩을 작동시키기위한 작동구조물 장치이고요 네모난 반찬 뚜껑같은건 에어브레이크 이라고 하는장치입니다 에어브레이크는 영상처럼 비행기가 비행중일때 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쓰이는 장치입니다
@blackodin1889
@blackodin1889 5 жыл бұрын
개독은정신병 덜렁덜렁 거리는건 애일러론임당
@hwan538
@hwan538 5 жыл бұрын
@@blackodin1889 양쪽날개 모두 위로 올라가있는게 스포일러이고 에일러론이 기체 좌우로 움직이게하는거 아닌가요? 저분이 말씀하신 반찬뚜껑 같은건 에어브레이크 같은데...
@blackodin1889
@blackodin1889 5 жыл бұрын
airbus 330 덜렁거리는거랑 같이움직이자나여 그래서 똑같은 애일러론이라고 생각했어욤 글구 날개 끝애 꺾여있는개 윙랫입니당 스포일러는 에어브래이크(스피드 브래이크구여)
@sampark3424
@sampark3424 5 жыл бұрын
airbus 330 플랩 서포트 페어링 아시는분 많지 않은데 멋집니다! 항공정비사로서 바른지식 전달해드리고 싶어요! 플랩 서포트 페어링은 플랩을 작동시키기위한 작동구조물은 아닙니다. 작동부를 보호하고 운항시 공기저항을 덜받게끔 하는 역할이에요! 또한 에어브레이크도 맞지만 정식 명칭은 스포일러 이며 에어브레이크는 스포일러의 3가지 역할중 하나랍니다! 스포일러역할 종류는 그라운드 스포일러,플라이트 스포일러, 에어브레이크 이렇게 3가지 있어요!!
@ZilFuckE
@ZilFuckE 9 ай бұрын
그 날개밑에있는 튀어나온 건 뭐라고 하나요? 연료탱크인가
@eunsunghun
@eunsunghun 9 ай бұрын
플랩 구동장치가 들어있는 케이스입니다.
@dlwnstxr
@dlwnstxr 4 жыл бұрын
제주-김포 댄공 B744 이네요 HL7461이나 HL7402 중 하나 일텐데 아무튼 부럽네요
@peopled795
@peopled795 4 жыл бұрын
보잉은 7로 끝나지 않나요?
@user-od1iu6or8h
@user-od1iu6or8h 4 жыл бұрын
@@peopled795 B747-400줄여서 744 에어버스도 A380-800 A388이라고도 부릅니다(이외 줄여쓰는것들 많음)
@catlove1111
@catlove1111 4 жыл бұрын
오 이집랜딩 잘한다~어디항공사야?
@catlove1111
@catlove1111 2 жыл бұрын
@병맛을 대표하는 유튜버(nohjoon) 1년전 댓글에 답글 달아주시네
@user-vf1zc6bh4q
@user-vf1zc6bh4q 6 жыл бұрын
윙렛이 출렁출렁 ㅋㅋ 웃기네요
@dean3478
@dean3478 5 жыл бұрын
윙렛이 아니라 플랩입니당~
@user-rd1vq2iz3r
@user-rd1vq2iz3r 5 жыл бұрын
저분 아마 날개 가운데에 있는걸 말하신것같아요ㅎㅎ(저게 플랫인가?비행기에 대해서 잘몰라성 이해좀 해주세요^^)
@dean3478
@dean3478 5 жыл бұрын
윙렛은 날개 끝쪽 상어 지느러미처럼 생긴 부분입니다~~
@user-rb3rc9fv4u
@user-rb3rc9fv4u 5 жыл бұрын
@@dean3478 비행기 조금만 흔들려도 날개 끝이 위아래위아래이래서 윙렛이 출렁출렁하신다는거아닌가용?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4 жыл бұрын
@@user-rd1vq2iz3r 플랩입니다 ㅎ 플랩은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고 윙렛이라는것은 날개 끝에 꺾인부분을 말합니다. 윙렛은 항공기의 연료를 줄여 연비를 좋게 만들어주고 급회전에도 인정적으로 회전할수 잇습니다.
@NSAC-dp9zx
@NSAC-dp9zx 5 жыл бұрын
국내선 다니는 보잉747기도 있나요?
@whack3432
@whack3432 5 жыл бұрын
@OH-kc5yy
@OH-kc5yy 4 жыл бұрын
이젠 다 빠짐 조원태 취임하고 다빠져버림
@user-xi1ph5zq5m
@user-xi1ph5zq5m 6 жыл бұрын
날개가 바람에 조각 조각 날아갈 듯. 테이크 오프 경우에는 플랲을 내리고 엔진 출력을 최고로 높입니다. 이때 공기가 플랲에 빠르게 부딪혀서 기체를 위로 들어 올립니다. 날개의 양력은 순항시에 적용됩니다. 랜딩의 경우에는 플랲을 내리고 엔진 출력을 점점 줄입니다. 이 경우 플랲의 역할은 낙하산 처럼 공기 저항을 받아서 기체가 천천히 하강하도록 해줍니다. 기체 바퀴가 지면에 닿으면 플랲을 내린 채로 두고 스포일러를 올려서 공기 저항을 위에서 아래에서 가장 크게 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진행하는 속력을 줄입니다.
@hxs._h
@hxs._h 5 жыл бұрын
꼭 최대로 높어야 되는게 아니라 활주로 짧을때는 최고로 높이지만 아닐 경우에는 멕시멈으로 이륙 하늘걸로 아는데
@lovely-mc6cq
@lovely-mc6cq 4 жыл бұрын
저 얇디 얇은 날개에 항공유를 그리많이 싫는단말이여ㅡㅡa
@user-qx8rt2qy4s
@user-qx8rt2qy4s 3 жыл бұрын
기종이 보잉747이네요 이때로 돌아가고 싶다..
@neki2574
@neki2574 2 жыл бұрын
거기 제주도임?
@hanullee9930
@hanullee9930 6 жыл бұрын
이쁘네요 744..
@kimpark123
@kimpark123 4 жыл бұрын
은성훈 님 혹시 영상좀 써도 될까요?
@eunsunghun
@eunsunghun 4 жыл бұрын
제 영상이 쓸모가 있다니 기분 좋네요. 자유롭게 사용하세요. 저 날 기록적인 중국발 미세먼지가 한반도를 덮고있었죠. 맑은 날이었으면 더 좋았을 건데요...
@kimpark123
@kimpark123 4 жыл бұрын
@@eunsunghun 감사합니다!!
@landdeutsch8859
@landdeutsch8859 6 жыл бұрын
플랩과 에어브레이크 플랩은 이착륙시 비행기기수를 위로 올리게 해주는 장치 에어브레이크는 착륙전 속력줄이는 용도
@user-kx1cc6jn3b
@user-kx1cc6jn3b 6 жыл бұрын
독일 에어브레이크? 스피드브레이크 아닌가요?
@300trilionaire
@300trilionaire 6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플랩이 비행기 기수를 위로 올리게 해준데 ㅋㅋㅋㅋㅋ
@user-zn5rq8wl6o
@user-zn5rq8wl6o 6 жыл бұрын
독일 플랩은 랜딩시 낮은 속도에서 항공기가 잘 뜨게 해주는 용도입니다
@user-hw9es5wu1d
@user-hw9es5wu1d 6 жыл бұрын
위에분이 말하신 에어브레이크는 틀림이 없어보이는데요? 스피드브레이크,에어브레이크,스포일러 모두다 같은말입니다 그리고 항공기에서 쓰이는 정식 명칭은 스피드 브레이크가 맞습니다 그렇다고 에어브레이크가 틀린말도 아니지요 그리고 플랩은 양력을 증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그리고 플랩은 지상에서 비행기를 짧은 거리안에 이륙시키기도 하는 장치이고,착륙시에는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저항을 증가시켜서 최단거리안에 안전하고 랜딩 거리를 단축할 수 있게 해줍니다
@ML-zw7sv
@ML-zw7sv 6 жыл бұрын
고양력장치가 플랩. 이륙시 양력과 공기저항의 최대효율선에서 중간만 펴고 증가 칙륙시 저속에서 양력을 최대로 받기위해 최대로펼쳐 쓰는거임
@user-ih2sl1kn3f
@user-ih2sl1kn3f 5 жыл бұрын
플랩이라곤 영어로하지만 한국말로는 고양력장치입니다.
@user-ih2sl1kn3f
@user-ih2sl1kn3f 5 жыл бұрын
조종실:착륙전 원항글 퓝틴 풜틴식스틴 퐈입틴 풜틴 스리틴 투틴 텐!
@this_is_ummmm
@this_is_ummmm 3 жыл бұрын
뭐라는거야?
@kr_tv7481
@kr_tv7481 3 жыл бұрын
@@this_is_ummmm 착륙할때 고도 알려주는 기계에서 나오는 소리입니다
@duckbutt.
@duckbutt. 3 жыл бұрын
팩트 1. 이 비행기는 B747-400 이다 2. 744에는 플랩이 1, 5, 10, 20, 25, 30 이 있다 3. 7:15 에 김포공항이라고 써져있다 4. B747 은 날씨에 따라 착륙하는 플래이 바뀐다 20~30 5. 제주 ~ 김포이다 6. 플랩 안쪽은 더럽다 7. 아쉽게도 지금 747기종들은 거의 다 퇴역중이고 화물기로도 잘 쓰인다 8. 저 쇳덩이는 기본 약 183톤 정도 된다 9. 저 쇳덩이는 화물을 약 52톤 정도 실을수 있다 10. 비행기는 빠르다 (번외) a388은 비만 돌고래에 기름먹는 하마이다
@user-qh9ew7um6v
@user-qh9ew7um6v 3 жыл бұрын
B747-400은 속도가 988km/h 이다. 동체는 71m 날개는 64m 높이는 20m 이다. 엔진은 PW4000이다. PW4000 엔진은 Pratt Whitney사가 제작했다. 747-400은 윙렛이 있다. 바퀴는 18개다.
@yjt_
@yjt_ 2 жыл бұрын
a380 아님?
@user-qr1oi5ur6c
@user-qr1oi5ur6c 5 жыл бұрын
트렌스포머같다!
@KANG-wd8eg
@KANG-wd8eg 6 жыл бұрын
김해인줄 알았는데 김포였어ㅋㅋ 한끗차이군ㅋ
@user-ky8eh5mc5r
@user-ky8eh5mc5r 6 жыл бұрын
동건 강 제주래요..
@OH-kc5yy
@OH-kc5yy 4 жыл бұрын
@@user-ky8eh5mc5r 착륙은 김포입니다
@chaosentropy7066
@chaosentropy7066 5 жыл бұрын
Anyway? Kimpo~ 'Tabom '
@ghelilil9911
@ghelilil9911 6 жыл бұрын
스포일러멋지다
@dbxm12345
@dbxm12345 6 жыл бұрын
Boeing 사의 747-400이군요
@Secacct
@Secacct 4 жыл бұрын
A330 아닌가여?
@user-qc3ey1gd2x
@user-qc3ey1gd2x 4 жыл бұрын
@@Secacct 744입니다 330은 플랩부터가 달라요
@Secacct
@Secacct 4 жыл бұрын
@@user-qc3ey1gd2x 아하
@user-pi3ti6jm1j
@user-pi3ti6jm1j 6 жыл бұрын
날개 끝에 살작 접힌부분 모양을 보니 A330이나 보잉 747중 하나 겟군요
@HL-ve6ob
@HL-ve6ob 6 жыл бұрын
장돌KZfaq 크고 우람하고 때낀 플랩과 에일러론을 보면 B747입니다
@LEEkyouho
@LEEkyouho 2 жыл бұрын
플랩 엄청 크게 펼쳐지는군요
@user-eg3ur4bn1g
@user-eg3ur4bn1g 4 жыл бұрын
에어포일 펼치네 양력 얻을려고 안전비행~
@aircraft6325
@aircraft6325 6 жыл бұрын
날개가 좀 특이함 (거의 738만 타다보니깐...ㅎㅎ^^)
@ghelilil9911
@ghelilil9911 6 жыл бұрын
Air Craft 다 달름
@KoreaFlightSimulatorKFS
@KoreaFlightSimulatorKFS 6 жыл бұрын
NOTE tv 다 다름
@eako-2339
@eako-2339 4 жыл бұрын
기종,시리즈,항공사마다달라요737-700이냐800이냐다릅니다또한 항공사가 윙렛(윙팁)을다냐안다냐랑737,747등등 이비행기는 거대한플립2개와 스포일러4개또한윙렛(웡팁)이있는걸로보아747-400입니다
@hamin_1119
@hamin_1119 3 жыл бұрын
@@eako-2339 에어버스는 셔플렛 보잉은 윙렛이라고 합니다
@eako-2339
@eako-2339 3 жыл бұрын
@@hamin_1119 옹 회사마다 달르군요!
@deutsch_outlier
@deutsch_outlier 6 жыл бұрын
747 400인가요?
@s-works_1243
@s-works_1243 4 жыл бұрын
747이요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4 жыл бұрын
@@s-works_1243 747은 여러 기존이 잇습니다. 클래식 기종인 742부터 744 748 8i까지 잇습니다
@user-ct2jc6nu8y
@user-ct2jc6nu8y 4 жыл бұрын
@@user-od5zq3ru4f 기종
@shinkiseon
@shinkiseon 6 жыл бұрын
BOEING B747-400 TAKEOFF WOWWW
@79and84
@79and84 Жыл бұрын
저런거 만들어낸 사람이 더 지능이 높을까 수능만점자가 더 지능이 높을까?
@user-bs4hq3dm4f
@user-bs4hq3dm4f 3 жыл бұрын
우리는 허드슨으로 감니다.
@user-rb3rc9fv4u
@user-rb3rc9fv4u 5 жыл бұрын
김포~제주네요
@wonjunpark1440
@wonjunpark1440 5 жыл бұрын
제주 김포인데요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4 жыл бұрын
RKPC - RKSS 입니다.
@user-qv4yy1gu3o
@user-qv4yy1gu3o 6 жыл бұрын
어떤항공이에요??
@eunsunghun
@eunsunghun 6 жыл бұрын
반가반가하이진짜반가 대한항공입니다
@abandonedaccount2986
@abandonedaccount2986 6 жыл бұрын
왜 착륙시에 플랩을 내리는 정도가 이륙시와 다르죠?
@user-ev5gb6tk1v
@user-ev5gb6tk1v 6 жыл бұрын
K MH 아마 이륙할려면 뭔가 막아(?) 줘야 더 잘날수있지 안을까요?? 그니깐 약간 밑으로 내리면 바람이 약간 아래쪽으로 가니깐 날수있는것같은데 아닐수도있어용
@user-hw9es5wu1d
@user-hw9es5wu1d 6 жыл бұрын
_Roof Ragnarok 플랩 15~20이요? 그건 날씨나 활주로에 상태,길이,기종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보통은 5~10정도로 맟춰놓습니다 착륙할때도 활주로의 상태,길이,기종에따라 다릅니다
@222support
@222support 6 жыл бұрын
JIN HL7743 저 위에분은 저 비행기 (747;400)말하시는건데여?
@user-hw9es5wu1d
@user-hw9es5wu1d 6 жыл бұрын
그리고 b747은 플랩 15 없습니다
@222support
@222support 6 жыл бұрын
JIN HL7743 님이 말한거처럼 연료 활주로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지는데요.? 그리고 제가 747 8i nzaa 에서 rksi 까지 오는데 이륙 플렙 20이였습니다 .
@user-li7fl7td1l
@user-li7fl7td1l 6 жыл бұрын
747-400인가요?
@eunsunghun
@eunsunghun 6 жыл бұрын
글쎄요? 저는 비행기 기종에 대해서는 잘 몰라서요.
@user-zn5rq8wl6o
@user-zn5rq8wl6o 6 жыл бұрын
인우황 B744 맞습니다
@eako-2339
@eako-2339 4 жыл бұрын
엔진4개에 앞머리만2칭이면 747이고 엔진4개에 머리부터꼬리까지2칭이면 380입니다
@dhb1101
@dhb1101 5 жыл бұрын
744네요 ㅋ 대한항공인듯 ㅋ
@user-cc2zn3tm6p
@user-cc2zn3tm6p 4 жыл бұрын
이걸 못본 사람이 있냦ㅇㅈ
@user-jy4ye8es2t
@user-jy4ye8es2t 5 жыл бұрын
저 나중에 비행기타고 제주도가요!
@eunsunghun
@eunsunghun 5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신나겠어요 ^__^
@Mistergrey1111
@Mistergrey1111 4 жыл бұрын
어떤기종 탐?
@user-ih2sl1kn3f
@user-ih2sl1kn3f 5 жыл бұрын
6:58부터 하이라이트 날개의 먼지상태?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5 жыл бұрын
얍 그렇그렇습니다. 저게 먼지이긴 하지만~!! 저정도면 깨끗한편이에욤~ 왠만한 소방호스로도 쎄게 닦아도 닦이지 안는다는것~!!
@user-ih2sl1kn3f
@user-ih2sl1kn3f 5 жыл бұрын
@@user-od5zq3ru4f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leetree5839
@leetree5839 5 жыл бұрын
저거 랜딩할때보니깐 저거 스피드브래이크암으로 해놨네 뭐 월래다그렀지만
@airbus2316
@airbus2316 4 жыл бұрын
정말 오래된 기종입니다 ㅋㅋ
@user-fz3op4zg4n
@user-fz3op4zg4n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 타고싶댜 8ㅁ8
@wonjunjung6879
@wonjunjung6879 4 жыл бұрын
747의 플랩은 언제봐도 흥분되는군요.
@negativediff.1667
@negativediff.1667 4 жыл бұрын
왜 흥분이 되는데 ㅋㅋㅋ
@Sanaki_03
@Sanaki_03 4 жыл бұрын
항덕들만 공감할 수 있음ㅋㅋ
@this_is_ummmm
@this_is_ummmm 3 жыл бұрын
@@Sanaki_03 항덕인데요 공감이 안...되는.......
@user-qc9kd9pc6z
@user-qc9kd9pc6z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 기종이?
@user-iu4nr6xl3o
@user-iu4nr6xl3o 5 жыл бұрын
캠트레일 엄청 뿌려져 있구나 비행기 밑으로 희뿌연거 봐라 저걸 구름이라고 하지는 않겠지
@eunsunghun
@eunsunghun 5 жыл бұрын
그것은 켐트레일이 아니고 중국에서 날아온 미세먼지였어. 한라산 정상까지 미세먼지로 뒤덮였던 가슴아픈 날이었지.
@dbxm12345
@dbxm12345 6 жыл бұрын
날개 유연하네
@KoreaFlightSimulatorKFS
@KoreaFlightSimulatorKFS 6 жыл бұрын
박구 당연하죠! 고층빌딩도 바람에 흔들린답니다
@user-ik5to2yv6e
@user-ik5to2yv6e 5 жыл бұрын
비행기날개는 70도 가까이 꺽여도 상관없다네요 ㅋㅋ
@yourbrother3838
@yourbrother3838 4 жыл бұрын
@@user-ik5to2yv6e 70도까지는 아님
@user-jl7ig6lx5r
@user-jl7ig6lx5r 3 жыл бұрын
하그미 날개가 막 움직이네
@user-ih2sl1kn3f
@user-ih2sl1kn3f 5 жыл бұрын
나만그런가? 왜자꾸 비행기탈때마다 왜계속 날개냐고 시끄럽게!!!
@user-si1je8fz6p
@user-si1je8fz6p 4 жыл бұрын
날개자리는 대신 난기류가 적게 느껴집니다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4 жыл бұрын
@@user-si1je8fz6p 가운데쪽이 터뷸런스가 일어낫을때 가장 못느껴요. 터뷸런스는 보통 좌우로 흔들리기 때문에 끝에 앉은 사람이 가장 터뷸런스를 심하게 느낍니다.
@TV-mw5zi
@TV-mw5zi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가창륙할때 플랩을안하면뒷바퀴부터착륙이불가능해요
@hamin_1119
@hamin_1119 3 жыл бұрын
뛰어쓰기ㅡㅡ 뒷바퀴 할 수 있어요 다만 매뉴얼대로 플랩은 피는 것이지ㅋ
@LuKo
@LuKo 2 жыл бұрын
플랩 안 펴도 가능하긴 해요. 다만 저속에서 충분한 양력을 얻지 못하고 그런 여러 요소 때문에 플랩 피고 착륙하는거에요 ㅎㅎ
@user-ju1zs1rh7s
@user-ju1zs1rh7s 6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진자 18시간타면 토할거같더라규여
@jhsong1001
@jhsong1001 6 жыл бұрын
도카 캐나다 경유로 미국 다녀온적 있는데 죽을뻔함
@World_Traveler11
@World_Traveler11 5 жыл бұрын
한반도 반대편 남미 가는데 뒤질 뻔함 ㅋㅋㅋㅋㅋ 브라질 리우 가는데 미국 경유하고 대기시간 포함 32시간 일정이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
@Mm-fq3yz
@Mm-fq3yz 6 жыл бұрын
제주도공항이네~ 출발지가
@eunsunghun
@eunsunghun 6 жыл бұрын
Mt J 눈이 아주 예리하세요 ^^
@yahopyo
@yahopyo 4 жыл бұрын
@@user-jf4rm9hx1c 업로드자가 제주라고 했는데 무슨 김포야
@user-jf4rm9hx1c
@user-jf4rm9hx1c 4 жыл бұрын
@@yahopyo 업로드자가 제주라고 안썼어 이바보야
@user-jf4rm9hx1c
@user-jf4rm9hx1c 4 жыл бұрын
@@yahopyo 그리고 나는 도착지가 김포공항을 말한거잔아
@yahopyo
@yahopyo 4 жыл бұрын
@@user-jf4rm9hx1c 위에 안보임?
@user-et2uc2kf2g
@user-et2uc2kf2g 4 жыл бұрын
날개면적을 확대시켰을때 접히는부분 먼지 쌓인것좀 봐라 정비제대로 해야겠다
@OH-kc5yy
@OH-kc5yy 4 жыл бұрын
20년이 넘은 노후기종이니 당연한겁니다 관리 엄청잘해도 저 정도는 남습니다..아시아나는 이것보다 더 심합니다 저정도면 양호합니다
@Aviation_Mania
@Aviation_Mania 4 жыл бұрын
항공기 청소를 할려면 몇톤의 물이 필요하고 일일이 플랩,스포일러를 펼쳐서 할수 없고 저 항공기같은 경우는 곧 퇴역하는 노후된 비행기라서 저런자국은 청소한다고해도 잘 안지워져요.... 세월의 흔적이죠.....
@user-nf5pg2zw7f
@user-nf5pg2zw7f 4 жыл бұрын
어차피 744같은 오래된 비행기는 화물기로 개조되거나 화물전용항공사 같은데에 팔려나갑니당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4 жыл бұрын
@@user-nf5pg2zw7f 음... 그렇게요... 화물기로는 747중에 대표적인 747 8F가 잇어서... 아마 영화 소품이나 필요한 부분만 때가지 않을가요?
@hampter5188
@hampter5188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 안 타본 1인
@user-is4ne5ci9w
@user-is4ne5ci9w 3 жыл бұрын
나도 안타봄
@CasterArtoria
@CasterArtoria 6 жыл бұрын
나는 이륙시간은 항상 밤이다보니 날개쪽에 찍는다한을 보이지가 않아 ㅠㅠ
@eunsunghun
@eunsunghun 6 жыл бұрын
이하늘 이해하기 어려운 글이네요. 다듬어 주셨으면 좋겠어요
@choi692
@choi692 6 жыл бұрын
은성훈 밤에만 비행기 타서 비행기 날개가 안보임.........
@choi692
@choi692 6 жыл бұрын
차라리 날개 안보는게 좋아요.. 보통 한국에서 떠날때는 낮에 떠나는데 한국올때는 새벽에 도착해요.. 날개옆에 우연히 탄적 있는데... 보기에 약해보임.. 저게 뚝 부러지면 그날로 디지는거 아님.. 이런 생각도 들어요..
@user-pf9lo6ci6r
@user-pf9lo6ci6r 6 жыл бұрын
최용기 ㅋㅋㅋ 강해요...... 아주 많이......
@choi692
@choi692 6 жыл бұрын
최윈디 비행기 날개를 뭐라고 표현해야 할까요? 몸은 고딩인데 팔은 초딩.... 당근 설계는 안부러질만큼 하겠지만 가끔 그런 생각이 드네요..^^
@cochcesz1772
@cochcesz1772 4 жыл бұрын
? Good Jest wszystko dobrze tak działają samoloty🇵🇱🇵🇱🇵🇱 😉
@user-dh9uh5du8b
@user-dh9uh5du8b 4 жыл бұрын
난어릴때 저게 전기모터인줄알았지ㅋㅋㅋㅋㅋ 그때생각하면 현웃터짐 전기모터라니ㅋㅋㅋ 근데 착륙할때 날개에 스포일러넘 징그러운데?으우
@youngjun9133
@youngjun9133 3 жыл бұрын
플렙은 전기로 움직이죠
@user-rh2et5hr3g
@user-rh2et5hr3g 3 жыл бұрын
@@youngjun9133 유압식 아니었나용?
@youngjun9133
@youngjun9133 3 жыл бұрын
@@user-rh2et5hr3g 유압이 떨어졌을때 같은걸 대비해서 전기로 움직이게 만들었습니다.
@user-xt9rc2iv7q
@user-xt9rc2iv7q 3 жыл бұрын
뱅기날개옆자리는 엔진소리시끄러워서별로임
@OH-kc5yy
@OH-kc5yy 4 жыл бұрын
하 이기종이 왜 이젠 국내선에서 빠진거야ㅠ
@Ryunggus
@Ryunggus 4 жыл бұрын
국내선에 B747 400이 있었나요?
@OH-kc5yy
@OH-kc5yy 4 жыл бұрын
@@Ryunggus 네 작년까지만해도 김포-제주에 b747-400이 들어갓습니다
@user-rh6xp6kg2d
@user-rh6xp6kg2d 6 жыл бұрын
747이구먼
@ghelilil9911
@ghelilil9911 6 жыл бұрын
으쌰 으쌰 747 아녀 저잛은 거리를 설마747 타고가는건아니겠조
@ted10197460
@ted10197460 5 жыл бұрын
항공기중수 747 맞어ㅋㅋ 거리 짧으면 소형기고 길면 대형기냐?ㅋㅋ
@ghelilil9911
@ghelilil9911 5 жыл бұрын
@77w&333 aviation?
@user-pr1vl2lc5y
@user-pr1vl2lc5y 4 жыл бұрын
이 비행기의 기종은 B747-400입니다 지금은 보기 힘든...
@user-ez1wc7yd6l
@user-ez1wc7yd6l 6 жыл бұрын
비행기종류는 두가지 종이비행기 그리고 소쿠리비행기
@user-wm9yd1ni2f
@user-wm9yd1ni2f 6 жыл бұрын
날개가 한개인데도 쟁 날아가네요
@user-zn5rq8wl6o
@user-zn5rq8wl6o 6 жыл бұрын
p8840111 뭔 소립니까 날개는 승강타 포함 4개입니다
@user-ky8eh5mc5r
@user-ky8eh5mc5r 6 жыл бұрын
p8840111 개소리하시네
@ishigaku
@ishigaku 6 жыл бұрын
좌측부를 촬영하다보니 좌측 주익만 촬영된것일뿐, 우측에도 날개가 있습니다
@user-zn5rq8wl6o
@user-zn5rq8wl6o 6 жыл бұрын
松炭ゆうき 어디선가 많~이 본 분이시네..
@ishigaku
@ishigaku 6 жыл бұрын
Chan co찬코 크흠....단톡방에서 이야기 하죠 ㅋㅋㅋ
@pjs-youtube
@pjs-youtube Жыл бұрын
파울러 플랩
@Donald_tturumpoo
@Donald_tturumpoo 3 жыл бұрын
빨리감기할때이륙하는줄
@user-kw5cb5xj6k
@user-kw5cb5xj6k 4 жыл бұрын
이것도 딱보니 한쪽날개로도가는 최신 여객기네 지겨
@yahopyo
@yahopyo 4 жыл бұрын
비행기가 뭔 날개한쪽으로 날아
@user-od5zq3ru4f
@user-od5zq3ru4f 4 жыл бұрын
@@yahopyo 헠ㅋㅋㅋㅋㅋㅋㅋㅋ
@user-cd4lk5hp4r
@user-cd4lk5hp4r 2 жыл бұрын
오 플랩..
@user-cc8ox8jf3r
@user-cc8ox8jf3r 2 жыл бұрын
7:53 스포일러
@user-oo3lv5ku3p
@user-oo3lv5ku3p 6 жыл бұрын
747이에요???
@ghelilil9911
@ghelilil9911 6 жыл бұрын
최상덕 ..제주를 747타고가면 미친 ㅋ ㅋ 유럽갈때도 747 잘사용안하는데
@BOSS-dg5lp
@BOSS-dg5lp 5 жыл бұрын
@@ghelilil9911 747 맞는데
@moomin_1220
@moomin_1220 5 жыл бұрын
B747맞음
@Bangyuck
@Bangyuck 5 жыл бұрын
@@ghelilil9911 작년까지만 해도 국내선에 댄공은 747-400 넣었음
@user-ez1wc7yd6l
@user-ez1wc7yd6l 6 жыл бұрын
난 뱅기 종이뱅기날려본게 전부다
@eap1237
@eap1237 2 жыл бұрын
747 제주네
@user-fy5jv5sj8p
@user-fy5jv5sj8p 3 жыл бұрын
나라올라~저하늘~~ 요즘시국에 가면삐지ㅣ비비비비ㅣ비비비비ㅣ비ㅣㅣ비미ㅣㅂ돼쥬?
@user-wh7md1tq1w
@user-wh7md1tq1w 4 жыл бұрын
찍기힘들었을탠데
@user-lc3gw1ff8c
@user-lc3gw1ff8c 4 жыл бұрын
500년 후에 우리 후손들이 보면 참 미개 하다고 생각 할듯...ㅋ
@user-kz9mf7kd8h
@user-kz9mf7kd8h 4 жыл бұрын
글쎄다
@urin7942ya
@urin7942ya 6 жыл бұрын
엔진 옆커버 젖히고 역추진 하는것은 못봤군.
@jwkim6198
@jwkim6198 6 жыл бұрын
744는 PW엔진입니다..ㅎ
@jwkim6198
@jwkim6198 6 жыл бұрын
@
@jwkim6198
@jwkim6198 6 жыл бұрын
_Roof Ragnarok PW는 님이 생각하는 그 엔진 안사용한다고요 ㅋ
@aircraft6325
@aircraft6325 6 жыл бұрын
ㄴㄴ 역추진이아니라 역분산이 맞아요
@user-zn5rq8wl6o
@user-zn5rq8wl6o 6 жыл бұрын
Air Craft 둘 다 같은말입니다. 역분상은 역추진의 더더욱 전문용어일 뿐 다른 말이 아닙니다
@TV-mw5zi
@TV-mw5zi 4 жыл бұрын
60km 이하에는스포일러ㄴㄴ브레이크
@TV-mw5zi
@TV-mw5zi 4 жыл бұрын
@솔로부대 특전사소령 아하!
@user-rh2et5hr3g
@user-rh2et5hr3g 3 жыл бұрын
60kn,대략 110km
@this_is_ummmm
@this_is_ummmm 3 жыл бұрын
스포일러가 아니고 리버스 그리고 60km도 아니고 60kn임
비행기 이륙부터 착륙까지의 날개모습과 설명
9:23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Breathtaking Heavies Departure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20:02
4K ICN SPOTTER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Realistic flight simulation, He made a real size cockpit!!!
5:23
Why You Should Always Help Others ❤️
0:40
Alan Chikin Chow
Рет қаралды 105 МЛН
Где наша пицца?😡
0:42
Maru Oru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Which one of them is cooler?😎 @potapova_blog
0:45
Filaretiki
Рет қаралды 3,6 МЛН
Самая заниженная машина в мире!
0:31
ТРЕНДИ ШОРТС
Рет қаралды 3 МЛН
Kashvi gir gayi 🥲 (she is fine now)
0:25
Cute Krashiv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One Pack Of Pringles Contained M&M's And Coca-Cola🤪😃
0:43
BorisKateFamily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