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불패 끝났다”…장기보유자들이 집 던지는 까닭 (출연.이광수 대표) - [뉴스in뉴스] / KBS 2024.03.15.

  Рет қаралды 645,500

KBS News

KBS News

2 ай бұрын

[앵커]
새해 들어 부동산 시장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눈치 보기 장세입니다. 정부의 규제 완화로 이 집값 바닥론이 일부 불거지면서 뭐 사는 사람이나 파는 사람이나 일단 지켜보자는 분위기인데요. 이런 힘의 균형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합니다. 들어보겠습니다. 광수네 복덕방 이광수 대표 나오셨습니다. 대표님, 어서 오십시오.
복덕방. 어떻게 뭐 복비 좀 들어옵니까? 요즘?
[답변]
많은 분들이 그런 질문을 하시는데요. 사실 중개업을 하는 회사는 아니고요. 한국에서 독립 부동산 리서치 회사입니다. 그래서 부동산 시장을 리서치 해주고, 또 많은 무주택자분들한테 올바른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노력 중입니다.
[앵커]
근데 그 시장 보시다가 과거에는 없던 뭔가 좀 새로운 변화를 포착을 했다 이런 말씀 하셔서 그게 뭔지 궁금해요.
[답변]
일단 시장을 저희가 전망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집을 누가 파느냐가 중요한데 최근에 파는 분들 중에서 60대 이상의 고령자분들인데, 장기 보유한 물건이 증가하고 있고…
[앵커]
잠시만 장기라면 어느 정도의 시계열을 보고 계신거예요?
[답변]
10년 이상 보유한, 그래서 10년 이상 보유한 노령 세대의 매도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앵커]
어느 정도로 증가하고 있습니까?
[답변]
최근 1년간 보면 한두 배 이상 증가했고요. 추세적으로 보면 뭐 보시는 그래프처럼 과거에는 한 20% 중반대 비중에서 지금 30% 후반대 거의 40%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앵커]
네 근데 저걸 인원수로 환산하면 1년에 한 두 배 정도 늘어났다, 직접 분석을 하신 건가요? (그렇습니다) 그런데 이런 분들은 대체로 그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높은 세대 아닌가요?
[답변]
네, 맞습니다. 저희가 통계적으로 보면 60 세 이상의 전체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80%에 육박 하고요. 그러다 보니까 사실은 대부분의 자산이 부동산이 집중돼 있는 상황이죠.
[앵커]
그럼 전 재산과 같은 자산을 지금 이 시점에 왜 내놓으려고 하시는 거예요? 이분들?
[답변]
가장 큰 이유는 두 가지인데요. 첫 번째는 10년 이상 보유했기 때문에 자산이 기본적으로 두 배 이상 올랐습니다. 그러니까 내 자산의 가치가 커졌다는 거죠. 근데 집을 보유만 하고 있다고 해서 돈을, 쉽게 말해서 돈을 버는 건 아니잖아요. 실현해야 되는 거잖아요. 그런 차원에서 실현 욕구가 좀 커지고 있다는 거고요. 두 번째는 뭐냐면 역설적으로 갖고 있는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이다 보니까 점점 고령화되며 소득이 줄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부동산을 처리하지 않으면 사실 수입이 없는 거예요. 쓸 수 있는 자산이 없는 거죠. 그런 차원에서는 자산 가격이 많이 올랐고, 내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이니까 이거를 매각해서 뭔가 자산을 확보하고 내가 쓸 돈을 마련하는 그런 분위기가 시작되는 거 아닌가 그런 생각을 하게 합니다.
[앵커]
그분들이 지금을 매도의 시점으로 택한 거는 한 10년 20년 뒤에 누군가 내 집을 사줄 사람이 없다. 최근에 어떤 저출생 추세 때문에요. 좀 그런 걱정에 따라서 지금 같은 결정을 하는 건 아닐까요?
[답변]
그렇죠. 가장 또 중요한겁니다. 예를 들어서 집값이 계속 오를 것으로 기대하면 사실 팔지 않겠죠. 근데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줄고 있다는 거죠. 가장 근저에는 뭐냐면 뭐 예를 들어서 출생률이 줄어든다거나 이제 0.7명 밑으로 떨어지고 있잖아요. 그런 차원에서는 미래 수요에 대한 우려도 반영되면서 결국 자산이라는 게 내가 자산을 갖고 있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누군가 사줘야 되는데 그런 수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거 아닌가 그런 유추를 하게 됩니다.
[앵커]
방금 말씀하신 장기 보유자들 시계를 한 10년 정도 보신다고 했는데, 서울 같으면 뭐 최소한 한 두 배 이상은 올랐을 거 아닙니까?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뭐 더 미련 없이 지금 내다 팔고 있는 그런 상황이라고 봐야 되나요?
[답변]
그렇죠. 그래서 추세적으로 좀 증가할 필요가 있고요. 증가할 가능성이 높고요. 쉽게 말해서 평균적으로 가격은 두 배 올랐고, 많이 오른 지역은 거의 세 배 올랐거든요. 근데 그거는 사실은 예를 들어서 장부 가치만 오른 겁니다. 뭔가 실현을 해야 되는데 그런 시점을 사실 고민하게 되겠죠.
[앵커]
근데 지금 같은 변화가 이제 어떤 거대한 추세적인 흐름으로 되려면 부동산 시장이 이제는 끝났다라는 판단이 있어야 할 텐데 만약에 잠깐 쉬었다가 다시 간다 이러면 이런 결정을 안 하지 않을까요?
[답변]
그렇죠.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요가 중요하거든요. 계속 이런 어떤 부동산 시장을 받쳐주는 수요가 장기적으로 있느냐, 관점인데 그런 측면에서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수요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추세가 어쩌면 좀 길게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라고 보는 겁니다. 또 하나 뭐냐면 세대의 비중이 고령 세대가 훨씬 더 많아지잖아요. 그러니까 사실은 파는 사람들이 더 많아질 수 있다는 거죠.
[앵커]
아 그러면은 부동산 매매시장 또 가격적인 측면에서 어떤 영향이 있을 거로 보세요? 매물이 늘어나면 아무래도 가격은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답변]
그렇습니다. 일단 저희가 매도 물량이 증가하면 가격이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고요. 특히 보시는 것처럼 매도하는 주체가 부동산을 많이 갖고 계신 분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이 매도 물량 증가가 추세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거든요. 그래서 사실은 하락 폭이 좀 커질 수 있고 당분간 집값의 반등을 좀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으냐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그 매도자들이 늘어나도 이 내 집을 비싸게 사줄 사람이 없으면 그건 또 가격이 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는 거잖아요? 지금 보면은 총선도 있고 정부의 어떤 규제 완화 이슈도 있고 다들 좀 눈치 보게 하는 상황이라 집을 지금 사줄 사람이 있을까? 그런 생각도 드는데요.
[답변]
그렇죠. 그래서 이제 중요한 게 어떤 신호가 있냐면 매도를 했다가 보러오는 사람이 없으면 거둬 들여야 되는데 최근에 보시면 서울 아파트의 매도 물량이 8만 가구를 넘어가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뭐냐면 팔고 싶은 사람이 그만큼 많아지고 있다는 거예요. 그러면 향후에 어떻게 되냐면 파는 사람끼리 경쟁하게 되거든요. 그러면 가격을 낮출 수밖에 없는거죠.
[앵커]
그러면은 사줄 사람이 분명히 생겨날 것이다? 그러면 부동산을 팔고 이분들이 현금으로 확보한 그 자산은 이제 어디로 이동할 것이냐, 자산 시장에 뭔가 변화가 있을 것 같긴 한데 어떻게 예상하세요?
[답변]
저는 장기적으로 그런 측면에서는 굉장히 큰 변화를 예상하고 있는데요.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의 가계 자산에서 평균적으로 70% 이상이 부동산에 몰려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 같은 경우에는 비금융자산, 부동산을 포함한 비금융자산 비중이 30%밖에 되지 않아요. 나머지는 금융 자산으로 들어가 있다는 거죠. 그런 측면에서는 우리나라도 그런 방향성으로 갈 가능성이 있지 않으냐, 그래서 이제 그 자산이 예를 들어서 부동산 이외의 자산은 주식, 채권, 기타 이런 수익 재산. 그리고 자산을 계속 활용할 수 있는 그런 쪽으로 갈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그런데 말씀하신 이 장기 보유자 그 세대가 워낙 이제 손실에 대한 두려움이 있고, 또 어떤 주식은 또 위험 자산 이니까 그쪽으로 뭐 바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자산 시장에 뭔가 좀 큰 변화가 있을 수 있다라는 설명 알겠습니다. 이광수 대표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goo.gl/4bWbkG
◇ 이메일 : kbs1234@kbs.co.kr
#부동산 #장기보유 #이광수

Пікірлер: 1 600
@user-tq7mb6wg8c
@user-tq7mb6wg8c 2 ай бұрын
주택가격은 젊은 사람들이 결혼하고 절약하고 살면 구할수 있는 가격이 되었으면 합니다. 제발 나라의 미래를 위해 집값이 투기대상이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user-yf5fp1eo6v
@user-yf5fp1eo6v 2 ай бұрын
맞는 말 입니다. 제가 13년도 결혼할때 서울변두리 중화동에 아파트 장만할때 2억 이여서 그렇게 크게 부담이 없었는데 지금 결혼 해야 한다고하면....못할거 같네여 집값은 떨어져야 합니다
@kwonbongyoo8318
@kwonbongyoo8318 2 ай бұрын
잘 사는 사람들, 투기꾼들은 자신들 돈 버는게 제일 중요하고 집값 높여서 출생률 떨어뜨려 인구 줄어드는걸 원해요. "개나 소나 서울에 차 끌고 다니고 오니까 하고..." 그런 사람들이예요.ㅋㅋㅋ
@grx1988
@grx1988 2 ай бұрын
말은똑바로 합시다 말도안되는 눈높이가 근본적인 원임임
@user-gs7qm2eg2v
@user-gs7qm2eg2v 2 ай бұрын
서울 집값은 소득 비슷한 나라대비 엄청 쌉니다 문제는 서울에 모든게 집중되어 있다는겁니다
@park3395
@park3395 2 ай бұрын
​@@kwonbongyoo8318 ㅋㅋ ㄱㅅㄹ 시전 출생률 떨어뜨리면 나라발전이 없는데 그걸바라겠냐 ㅋㅋㅋㅋㅋㅋㅋ아흐
@user-ly9io8xd6x
@user-ly9io8xd6x 2 ай бұрын
집은 진짜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있고 계속 인구가 차는 곳이 아니면 살 필요가 없음ㅋㅋㅋ이제는 잘생각하고 사야할때임
@user-qe7cu7om9d
@user-qe7cu7om9d 2 ай бұрын
그것이 둔촌주공
@yuyu13172
@yuyu13172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그리사세요..
@s9595
@s9595 2 ай бұрын
돈없으면 구석으로 가는거지 누가 가고싶어서 가냐?
@user-mt7xq8tg5m
@user-mt7xq8tg5m 2 ай бұрын
돈없으면 지방으로내려와
@user-zt5xe9bk7b
@user-zt5xe9bk7b 2 ай бұрын
어짜피 사람은 줄어들음 나오는건 없고 죽을날만 기다릴 사람들은 늘어나거든
@user-xu8gu9sv1r
@user-xu8gu9sv1r 2 ай бұрын
전문가들은 21년 불장은 다시는 안올 말도안되는 폭등이라고 결론 냈엇는데, 온갖 사기꾼들의 입김에 2030 젋은이들이 영끌투자를 했죠...안타깝네요
@user-im4xe5ic4p
@user-im4xe5ic4p 2 ай бұрын
그때 공급이 부족하네 거래 한두건만 되도 폭등이네 언론과 유투브 맬 도배 하여 불안심리 조장하니 전국민 달려드니 안오르고 배겨? 그때 정부는 공급부족하지 않다.금리 오른다 영끌말라 그리도 얘기 했건만..그 여론몰이로 바꾼정권! 나라경제 폭망시켜서 떨구네.. 오히려 부양책 다내놔도 미래 경제가 암울하니 누가사노..
@fireeggkimpaul4758
@fireeggkimpaul4758 2 ай бұрын
왜냐하면 그 jot문가들 조차도 입에 풀칠(부동산 큰 손 세력들한테 뒷돈 받기??!)해야 합니다 😂😂😂
@user-lk9zq6kh5p
@user-lk9zq6kh5p 2 ай бұрын
그것도 정부가 앞장서서 재 영끌 부추겼죠
@dkanfhehamfmrksl
@dkanfhehamfmrksl 2 ай бұрын
앞으로 한 8년 기다리면 또 폭등장 올텐데요뭐 항상그랫음 ㅋ
@user-vz1kx1ht7m
@user-vz1kx1ht7m 2 ай бұрын
사지마집. 십몇억주고사니ㅋ
@user-dl4qb1rt2e
@user-dl4qb1rt2e 2 ай бұрын
초 저출산 시대 초 고령화 시대로 접어 들었는데 부동산 이제 의미 없다
@user-pw8lr9fc3o
@user-pw8lr9fc3o 2 ай бұрын
집 없는 사함들이 승리자군요.부럽네요. 삶의 챰피언이십니다!!
@user-dl4qb1rt2e
@user-dl4qb1rt2e 2 ай бұрын
@@user-pw8lr9fc3o 왜 영끌 했는데 집 안 팔리고 안 사고 하니까 머리 좀 아프나?ㅋㅋㅋㅋㅋ
@ahj9750
@ahj9750 2 ай бұрын
늙은이들끼리 사고파는거죠 뭐 실수요자 서울말곤 제로
@user-qe6ik3dp2l
@user-qe6ik3dp2l 2 ай бұрын
제일 비쌀때 팔고 그현금으로 주식 배당주 샀어요 배당금 아주 좋아요 한국 숼석유 하고 대신증권우
@KoreaLiveTrends
@KoreaLiveTrends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hip9hop9
@hip9hop9 2 ай бұрын
지금사면 바보취급 받겠네... 하긴... 아파트 건설로 돈버는 시기가 끝날 때가 됐지...
@elroha_
@elroha_ 2 ай бұрын
투자투기 수단많은데 굳이 부동산넣어서 집못사게하고 출산율 떨어뜨리고 피해주고 피해보냐. 차라리 주식코인하는 애들이 건강하다
@user-gd8zd5kn2t
@user-gd8zd5kn2t 2 ай бұрын
지금은 최근 2-3년전 오른거에서 조금 내렸어요. 언론에서 던진다라고 하는건 앞으로 더 암울하기 때문임
@user-jf2os1qw7l
@user-jf2os1qw7l 2 ай бұрын
넌 평생 그러고 살아라
@nopregnant
@nopregnant 2 ай бұрын
@@elroha_ 나중엔 복판점들까지도 많이 감소할 겁니다 애매하게 힘들어서 복권로또 긁는거지 여기서 더 힘들어지면 차라리 먹을거 하나라도 더 살거에요 중개사는 20년대에 엄청 줄고 복판점 본겜은 30년대ㅋㅋ
@nopregnant
@nopregnant 2 ай бұрын
@@user-gd8zd5kn2t 암울할 수밖에요 여태껏 총인구에 비해 엄청 적게 죽엇는데 사망 점점 느니까.. 반대로 출생은 더 적어지고.. 지금 사망과 출생 격차는 연간 10만대라 아직까진 애교 수준임 2-3년뒤 20만대로 벌어지고 30년부턴 30-40만대됨
@user-qj7cd6nv8b
@user-qj7cd6nv8b 2 ай бұрын
인구감소 시작 부동산은 끝났다
@JM-sf1fq
@JM-sf1fq 2 ай бұрын
잠실 분위기 심상찮음.
@jxak1584
@jxak1584 2 ай бұрын
서울은 제외
@user-sm4hj8hv7i
@user-sm4hj8hv7i 2 ай бұрын
​@@user-eg3nq3zc9q학원같은경우는 망해도 의류는 수출가능한데다가 식당은 글쎄? 자영업이많은건아시죠? 도태되면없어지는겁니다. 임대비가비싸서 지방은벌써문닫은데많이생기고있어요
@watchitallburn
@watchitallburn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아니고 앞으로 그냥 서울이라는 나라가 남아 있을겁니다.
@user-oc5ml6he7g
@user-oc5ml6he7g 2 ай бұрын
@@user-eg3nq3zc9q 지금 소비인구의 감소로 시장경제가 개박살 나고 있음....학원 식당 폐업 하는거 안보이심??
@user-bj4bx3if5n
@user-bj4bx3if5n 2 ай бұрын
인구가 반토막 나는데, 집에 대한 가치가 상승한다는 건 폭탄 돌리기지
@ffree987
@ffree987 2 ай бұрын
이젠 거의 4분의 1토막입니다.
@economizer2261
@economizer2261 2 ай бұрын
👍
@user-gt6lx8ux4x
@user-gt6lx8ux4x 2 ай бұрын
​@@ffree987 일본처럼 무료집도...
@user-ne9si9ri9t
@user-ne9si9ri9t 2 ай бұрын
인구가 감소하면 수도권 집중현상이 더 심해진다고 하더라고요. 모여 살아야 인프라도 좋아지고 일자리고 많고 하니까요. 인구가 10만명 감소해서 지방 20만명이 10만명이 되면 더 수도권으로 몰리는거죠.
@user-rt8pn7nd3v
@user-rt8pn7nd3v 2 ай бұрын
서울에 있는 초등학교가 폐교를 하는 상황입니다. 인구 소멸로 앞으로는 아파트가 남아돌꺼에요.
@junok1321
@junok1321 2 ай бұрын
저출산의 여파가 아직 부동산에는 미치지 못했다.. ㅋㅋㅋㅋ 이 여파가 분명 닥칠꺼여
@nonya6704
@nonya6704 2 ай бұрын
이게 맞음. 저출산이라는 최악재는 아직 조금도 반영이 안 됐음.. 특히 지방 같은 경우 시간 지날수록 일본보다 심하면 심하지 낫지는 않을 것이라고 봄. 근거는 극도로 줄어들 예정인 수요와 계속해서 쏟아지는 신축과 쏟아질 예정인 매물들임. 수요 공급은 절대적인 것이니까
@user-mn7st9xl8y
@user-mn7st9xl8y Ай бұрын
​@@nonya6704지방은이미 학교들이 다없어지고있음 부산마저 인구가 급격하게줄고있는 상황인데요 뭐 서울경기빼면 지방은곳 거의다 슬럼화되겠죠
@user-vk9ey5gz3z
@user-vk9ey5gz3z 2 ай бұрын
바닥론 좋아하네. 뛸때는 몇배가 뛰었는데, 내릴때는 찔끔인데 무슨 바닥. 감가상각 제외하더라도 최소 분양가 아래로 떨어져야 바닥이지.
@jdavid5027
@jdavid5027 2 ай бұрын
그렇게 되면 바닥이 아니라 심각한 역전세로 국민 상당수가 파산하는 사태가 일어나요 ㅋㅋ
@user-qt8wn6ut8v
@user-qt8wn6ut8v 2 ай бұрын
집값 떨어질 때 분양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user-hp8bs1nq7l
@user-hp8bs1nq7l 2 ай бұрын
​@@jdavid5027..
@ahj9750
@ahj9750 2 ай бұрын
문제는 찔끔씩 장기하락으로 바닥뚫고 지하가지 ㅋㅋ 지금 한반에 9명인 유치원애들이 20~30대 실수요자되도 딱 각이 나오는데 집을 살 사람이 있나 ㅋㅋㅋ
@user-mn7st9xl8y
@user-mn7st9xl8y Ай бұрын
​@@ahj97502030은 부동산 실수요자가 될수없음 부모한데 집을 물려받을테니 집살이유가없음
@pluskims5920
@pluskims5920 2 ай бұрын
상식대로 이유없이 가격이 오른것은 조정은 반드시 오며, 더 큰 문제는 수요가 없고 받쳐줄 인구들이 급감하고 있다라는건 지금 집 사는건 자폭 행위다. 기본 경제원리다.
@user-cn2nl7ng2j
@user-cn2nl7ng2j 2 ай бұрын
부동산 불패시대는 영원히 끝났다. 그걸 이제 알았냐.
@user-sg3vw4cy5t
@user-sg3vw4cy5t 2 ай бұрын
아니 도대체 집가지고 왜 돈을 벌려고 하냐고 ㅋㅋㅋㅋ 그래서 니들 자식들한테 비싸게 팔꺼냐? 아니면 옆집 자식들한테 팔꺼냐?
@user-fu3qw8wz9g
@user-fu3qw8wz9g 2 ай бұрын
정답
@user-ih3wp5rj4w
@user-ih3wp5rj4w 2 ай бұрын
자기자식한테물려주지요 옆집자식은 집 못사구요 ㅠㅠ
@user-jg7vo1cd8b
@user-jg7vo1cd8b 2 ай бұрын
부동산으로 돈벌지 거지는 이해못할수도
@user-de7uc9en5r
@user-de7uc9en5r 2 ай бұрын
노후된 아파트 집값 내려 가야지
@j2free405
@j2free405 2 ай бұрын
팩폭.
@heelee4864
@heelee4864 2 ай бұрын
지금 하락장 초입에 사는 사람이.. 남은 삶 저당 잡히는거지
@user-oe5jq8ss4y
@user-oe5jq8ss4y 2 ай бұрын
​@@user-nn6fo7hw3v 왜그리 힘들게사세요 부모님이 못사세요? La에 집있는데 ..
@user-oz6yq6hi9v
@user-oz6yq6hi9v 2 ай бұрын
​@@user-oe5jq8ss4y LA면 혹시 어머니가 흑인이신가요?
@seobang18wang66
@seobang18wang66 2 ай бұрын
@@user-nn6fo7hw3v 부모님이 집샀는데 물렸어요? ㅋㅋㅋㅋㅋㅋ
@Dynorphin
@Dynorphin 2 ай бұрын
애쓴다 안팔려서 똥싸는 중인거 알어 ㅜㅜ​@@user-nn6fo7hw3v
@user-ff8yr3mo4i
@user-ff8yr3mo4i 2 ай бұрын
​@@user-oe5jq8ss4y거지들 배아프니까 뭔la집있어?집있으면 배아파하지않음
@handongs
@handongs 2 ай бұрын
장기 보유자들 집던진다고 사줄 사람이나 있음??? 지금 사는 사람이야말로 호구 되는마당에 ㅋㅋ
@user-kg6un7km9f
@user-kg6un7km9f 2 ай бұрын
오우 똑똑하십니다
@user-hq6xn8nx6z
@user-hq6xn8nx6z 2 ай бұрын
뉴스안봤니? 10년이상 장기보유자가 처음샀을때 얼마주고 샀을거 같음? 저사람이 최소치로 팔아도 처음샀을때보다 3~4배는 남기고 팔지 않겠니? 남 잘못되길 바라는 댓글달고 싶으면 고점에서 산 영끌족 기사에 달아야지 ㅋㅋ
@ahahmol3794
@ahahmol3794 2 ай бұрын
올해 초등학교 신입생 1명도 못받은 학교가 176 개교 내년에는 200 개정도 인구절벽 광속도 닭이 알을 안낳는데 닭장이 왜 필요해
@ttk6649
@ttk6649 2 ай бұрын
장기보유자들은 이미 큰 수익구간이기 때문에 시세보다 10-20프로 밑에서 던지는것도 가능. 즉 이제 매도자들이 시장가로 던진다는게 큰 의미가 있는거임.
@dopacable
@dopacable 2 ай бұрын
인플레 잡는게 얼마나 어려운데 금리 올려도 버티던데.. 공사비도 다 올랏고 최저임금도 몇년전보다 이빠이 오르고.. 댓글러들 하락을 이미 알고잇다는듯이 정신승리하면서 좋아하는데 과연 그럴지? ㅋ 😂
@model3333
@model3333 2 ай бұрын
부자들은 집 팔아넘기고.. 그동안 집사고 싶었던 인간들이 마지막 자산을 끌어안고 활활 타오를듯..
@Voiceofmelody01
@Voiceofmelody01 2 ай бұрын
마지막 폭탄을 떠안는 세대
@MJ-sb9fl
@MJ-sb9fl 2 ай бұрын
ㅋㅋㅋ 부자들은 미국 자산으로 투자해요
@user-pz9el3fh4w
@user-pz9el3fh4w 2 ай бұрын
부동산 거래 자체가 안됩니다ㅠㅠ
@user-yj3xp4os3l
@user-yj3xp4os3l 2 ай бұрын
던져도 안삼 더 떨어져야 모기오줌만큼 구매의사 생길듯
@yuyayuko
@yuyayuko 2 ай бұрын
돈도 없으면서 ㅋ기
@iron-bat
@iron-bat 2 ай бұрын
진짜궁금해서 그러는데 10억짜리 4억되도 4억있어요?ㅋㅋ 자금있는사람은 이딴소리 안함 언제들어갈가 간보고있지 마냥 떨어져라 하는사람 집사본적도,집살돈도 없는 사람일 확률99%
@sihoo6425
@sihoo6425 2 ай бұрын
@@iron-bat집사본적은 없는데 집살돈은 있습니다 ㅋㅋ 그 돈으로 다른데 투자하지 지금 집을 왜 사요
@user-uz5nu1su6h
@user-uz5nu1su6h 2 ай бұрын
@@sihoo6425내말이요 ㅋㅋㅋㅋ 막말로 무주택자 집살라면 담보대출 얼마나 잘나오는데 4억짜리 집을 못사겠나요. 투자처로서 가치를 잃음 부동산
@user-yj3xp4os3l
@user-yj3xp4os3l 2 ай бұрын
@@iron-bat 4억? 있는데? ㅋㅋ 서울에 자가도 있고 넌 있냐? ㅋㅋㅋ
@user-fm2pl4yq2j
@user-fm2pl4yq2j 2 ай бұрын
이미 30,40대들 사이에서는 부동산은 이제 끝났고 해외주식, 암호화폐로 부를 쌓는 미래를 생각하고 있다.
@acusticKballad
@acusticKballad 2 ай бұрын
해외주식 암호화폐 경제위기로 대 폭락올지도 모르는 걸로 예상하는데요?
@user-fm2pl4yq2j
@user-fm2pl4yq2j 2 ай бұрын
@@acusticKballad 그런예상이야 3년 5년 10년전에도 계속 있었습니다. 그래서 폭락했나요? 제일 느리게 오른다는 비트코인만 이미 5년동안 5배가 올랐습니다.
@mansu4617
@mansu4617 2 ай бұрын
@@acusticKballad 경제위기로 미장이 망하면 우리나라 부동산도 망하는건 똑같습니다.
@bangmy6863
@bangmy6863 2 ай бұрын
​@@acusticKballad앞으로 화폐가치가 더 떨어짐. 암호화폐,금 이런것들이 오를 수 밖에 없음
@noahjung2597
@noahjung2597 2 ай бұрын
​@@user-fm2pl4yq2j근데 그런식으로 하면 부동산도 폭락은 없고 오르기만 올라왔습니다.. 떨어진 건 원화 뿐이에요
@skylikey
@skylikey 2 ай бұрын
작년에 부동산 팔고 미국 주식 산 사람들은 노났지... 손에 꼭 쥐고 있는 분들만 피보는거지. 고수들은 이미 추가 상승여력이 별로 없다는걸 알고 던짐.
@20tv48
@20tv48 2 ай бұрын
현금화하려는 베이비부머 물량 엄청나게 쏟아질듯!!!!
@user-pg3iw4tk5s
@user-pg3iw4tk5s 2 ай бұрын
베이비 부머 물량... 자영업자 물량... 그리고 불황으로 정리해고된 ㅠㅠ 사람들이 쏟아내는 물량 ㅠㅠ 지금... 역대 최고 고점대비... 10%도 안빠진 상태... 모두 눈치게임 열씨미인데 ㅋㅋㅋㅋㅋㅋ
@_desaix9174
@_desaix9174 2 ай бұрын
먼저파는사람이 승자지 뭐 ㅋㅋㅋㅋ 지금 호가대로 다 팔수있을거라 생각하면 바보인거고
@user-mn7st9xl8y
@user-mn7st9xl8y Ай бұрын
베이비부모들이 거의80을바라보니 그세대가 역사의뒤편으로사라지면 그때부터 시작이되겠죠 부동산붕괴가
@Ludia111
@Ludia111 2 ай бұрын
날개없이 추락하고있어요 손대는사람은 후회해요
@user-gc5pm6gi4z
@user-gc5pm6gi4z 2 ай бұрын
대출이 있으면, 던지는게 답이다.
@user-if6bw4vz8x
@user-if6bw4vz8x 2 ай бұрын
10년있으면 다시오르는데 무슨 추락함니까
@user-mx9tz6yi8h
@user-mx9tz6yi8h 2 ай бұрын
​@@user-if6bw4vz8x미래에서 오셨나요? ㅋ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2 ай бұрын
십년있으면 없는 돈이 생기냐?ㅋㅋ@@user-if6bw4vz8x
@user-dj937
@user-dj937 2 ай бұрын
@@user-if6bw4vz8x 10년 후에 집 살 사람은 더 줄어듭니다.
@user-fcz16hs3s
@user-fcz16hs3s 2 ай бұрын
저금리때 집값이 내려가는게 진짜 내려가는거다...
@merong980
@merong980 2 ай бұрын
초등학교 생들 입학생 수가 현격히 줄었어요...애들이 졸업할 6녕 후면 더 줄어들어요..인구수가 적어 나라 존폐가 달려있네요...집값으로 더이상 투기하고 개인이 여러채 잡아 가격올리고 하는짓은 막아야 하고 자국민이면 누구나 주거구입 문턱이 높지 않고 안심되면 자연히 연애하고 아이낳고 싶은 나라 만들어지면 젛겠어요..그 우선순위가 주거 안정이고....물가얀정이라고 봐요...맞벌이 빼듯해도 둘이 살기 적당하지 ...아이낳을 환경이나 물가 여건이 안되면 출산이 쉽지 않아요..
@user-gd8zd5kn2t
@user-gd8zd5kn2t 2 ай бұрын
집앞 초등학교 반편성 보니까 6학년13반,5학년11반,4학년10반 ,1학년4반------ 이런식으로 떨어져있음
@merong980
@merong980 2 ай бұрын
@@user-gd8zd5kn2t 지역이 어디시죠?...서울 일부 지역은 학생수가 많이 줄었어요...떨어져 있다는게 무슨말일까요?..잘몰라서 질문했구요...6학년 13반이면...반이 많군요?..지역이 어디인데 그렇게 많으세요?
@kimdaon6081
@kimdaon6081 2 ай бұрын
신도시 일듯...
@user-lk4en7zm5h
@user-lk4en7zm5h 2 ай бұрын
경기도는 바글바글하다 서울에서 못사니까 결혼하고 죄다 경기도로 삐짐
@jimao_4254
@jimao_4254 2 ай бұрын
6학년 반이13반인데 반해 올해 입학한 학생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1학년은 반이 4개 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하는군요.
@user-vb1wh8lv1b
@user-vb1wh8lv1b 2 ай бұрын
경기도권에 빚내서 빌라 구입한 서민들은 지금 피똥싸고 있다.. 네이버부동산 가보면... 한동네에 수백개씩 매물이 올라오고있다.. 불쌍하구나..
@user-vb1wh8lv1b
@user-vb1wh8lv1b 2 ай бұрын
@@user-su5gb1jx6f자유로운 영혼은 집이 필요없다 내키는대로 전국각지에 괜찮은 도시에 살수있으니~ 지금은 한번사면 영원히 되물리기는 없단다 ㅋ
@user-pz8tr5go7r
@user-pz8tr5go7r 2 ай бұрын
​@@user-su5gb1jx6f요새는 집없고 빚없는넘이 최고인데 뭘모르네. 나도 집팔고싶은데 안팔림ㅜ
@dequeijopao6971
@dequeijopao6971 2 ай бұрын
야이 B신아 집없는게 낫지 빚더미에 눌러앉아 하루하루 고통속에 살다 한강가는게 낫겠냐???ㅋㅋㅋ 뇌에 순대 잔뜩낀거보소 ㅇㅁㅇㅂ수준 ㅉㅉ@@user-su5gb1jx6f
@hongminlegend1136
@hongminlegend1136 2 ай бұрын
​@@user-pz8tr5go7r그게 바로 접니다 전세살고 다 주식투자중
@user-cz1yv2gb3d
@user-cz1yv2gb3d 2 ай бұрын
​​@@user-su5gb1jx6f대출이 없거나 적으면 님 말이 맞고 반대로 대출이 많으면 님 말이 틀리고.
@user-sy1ip5dc1k
@user-sy1ip5dc1k 2 ай бұрын
나도 동감이고...이광수 대표의 인사이트가 대단하군요...
@user-fm8tu6hb3p
@user-fm8tu6hb3p 2 ай бұрын
쟤 믿지마라 사이비다
@handgoldstone
@handgoldstone 2 ай бұрын
집값이 지금보다 3-4 배 떨어지면 그때서야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생길듯
@user-nd8lo3nf1f
@user-nd8lo3nf1f 2 ай бұрын
집값은 고점에서 살짝 내려온것뿐이고...인구는 줄어 줄고, 미래세대까지 앞 땅겨서 집사게 하여 매수세 실종.. 차후 바라는가격에 현금화 할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 ㅋㅋ
@user-sn8sk5kf5l
@user-sn8sk5kf5l 2 ай бұрын
팔려야 돈이고 누가 살아야 집이지 ㅋㅋㅋ
@nopregnant
@nopregnant 2 ай бұрын
인구절벽 그러는데 2030년 오기 전까진 진정한 절벽이 절대 아님 착각들 하면 안돼요~ 빠르면 내년에 비전시 기준 연간 사망 40만대됨
@user-ns2xx6ck4l
@user-ns2xx6ck4l 2 ай бұрын
예전부터 일본처럼은 절대안된다고 했었는데 일본처럼 가고있는데 더 심하게 그리고 더 심각한게 한국은 훨씬더 빠르게 진행된다는거임.. 그리고 불패 서울하는데...서울도 결국 쭉내려감..
@user-eg5bg3jk5c
@user-eg5bg3jk5c 2 ай бұрын
+ 일본보다 저출산고령화 훨씬 더 심각함...
@user-tq6sm6qr1x
@user-tq6sm6qr1x Ай бұрын
일본 따라쟁이 대통ㅋ
@user-be2kp7pm8e
@user-be2kp7pm8e 2 ай бұрын
사는놈이 지는게임이다. 앞으론 재건축도힘드니 구축은 쳐다보지도말고 10년미만의 신축급은 기다리면 분명 반토막이상떨어진다 건설마피아들의 살인적인 언플로 호도할것이다. 앞으로 2~3년은 버텨야 한다.계약서에 도장찍는순간 지옥문이 열릴것이다
@user-eg5bg3jk5c
@user-eg5bg3jk5c 2 ай бұрын
ㅇㅇ 코로나 이후건물은 부실/대충지어가 맘놓고 못삼...18~19년도 이전건물 봐야함..
@user-kn3ed1vn6u
@user-kn3ed1vn6u 2 ай бұрын
그럼 집없는 사람은 언제 사야 되남유 지금 주위서 저보고 집 사야 안되나 하던데 왜 그런말을하지
@user-be2kp7pm8e
@user-be2kp7pm8e 2 ай бұрын
@@user-kn3ed1vn6u 기다리면됩니다 답답하네
@user-eg5bg3jk5c
@user-eg5bg3jk5c 2 ай бұрын
@@user-kn3ed1vn6u그냥 기다리3 저출산고령화/인구소멸 가속화 🇰🇷이 제일심해요. 그리고,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지방은 망하니, 서울 경기, 송도 청라, 김포, 영종등 주시하세요
@user-kn3ed1vn6u
@user-kn3ed1vn6u 2 ай бұрын
네 조언들 감사해요 대출받아가면서까지 사야하나 싶어서요 사실 뭐가 답인지는 모르지만 기다려볼려구요 초조한마음에 물어보았어요 빚도능력이라는말은 누가 그래가지고 ㅎㅎ
@user-hu5qy5jv6h
@user-hu5qy5jv6h 2 ай бұрын
그냥 들고 있어라...글고 디질때 저승으로 가져가라...올라간다.100년 들고 가라...
@nix-nb7ek
@nix-nb7ek 2 ай бұрын
집을 꼭 남한테 덤탱이에.. 평생은행 노예로 만들어야 속이 후련했냐!!!!
@user-vx5hz7hg1f
@user-vx5hz7hg1f 2 ай бұрын
냉정하게 판단하자고.. 지방소도시 20평대 2억중반에서 후반..30평대 3억중반에서 5억초반.. 과연 평범한 직장인이 아이낳고 외벌이로 부모도움없이 집살수있을까?맞벌이한다쳐도 아이는 누가보며 ..결국 저출산..지방도 저지랄인데 서울수도권은 말도못하지..
@user-jg7vo1cd8b
@user-jg7vo1cd8b 2 ай бұрын
지방아파트는 대기업다니면 서른초면 사죠 ㅋ
@heemt9069
@heemt9069 2 ай бұрын
30억도 아니고 3억짜리집을 돈이없어서 못산다면 그건. .본인이 판단해보시길
@user-ld4cq2mi1p
@user-ld4cq2mi1p 2 ай бұрын
매매대금 전액 현금이면 납득함. 그런데 그럴사람 없는게 문제임.
@jinwonlee9599
@jinwonlee9599 2 ай бұрын
지방은 소득이 수도권보다도 떨어지니 저정도도 부모도움없인 큰 돈입니다
@user-ku4dr9jb5w
@user-ku4dr9jb5w 2 ай бұрын
이넘아 이기 전라도 깡촌인데... 농촌정식집은 짓는데 2억든다... 돈없으면 수천만원으로 조립식 플라스틱 집 살든지...
@user-ze6yf6zx4g
@user-ze6yf6zx4g 2 ай бұрын
살인적인 집 값에서부터 겁 먹고 출산율 혼인율 낮은 마당에 규제는 풀어지고 집 값은 하락할 수 밖에 없음.. 진짜 몫 좋은 자리 아니고서야 계속 갖고 있어봤자 손해지
@user-di2th8eo4i
@user-di2th8eo4i 2 ай бұрын
부동산시대는 끝났어요. 그런미친기간은 이제 안와요. 다들5억넘는순간 너무비싸다고생각합니다. 월급은그대로인데 집만오르고 내가 늙었을땐 그럼 누가내꺼 사줘서 노후자금마련해요? 받아줄애들이없는데...?이미 영끌할사람들 코로나때 다했고 지금은 실수요자들이많은데 실수요자들은 바보가아니에요. 월이자 다 따지고 내가 살아갈수있는지계산합니다...노후에집한채만있는 저희부모님보고 느낀건 현금흐름이 중요하다는거!
@nobody-ow8gu
@nobody-ow8gu 2 ай бұрын
이제 현금 자산은 주식으로 흘러가겠지 부동산은 끝났어
@user-yv2vl2hm6w
@user-yv2vl2hm6w 2 ай бұрын
좀더버티자 더 내려갈거니
@yoonhooh5962
@yoonhooh5962 2 ай бұрын
버티는게아니고 자연의 수순임... 자유시장경제의 기초
@user-yv2vl2hm6w
@user-yv2vl2hm6w 2 ай бұрын
@@yoonhooh5962 내스스로한테 한말임ㅋㅋㅋㅋㅋ
@skitakaujou
@skitakaujou 2 ай бұрын
그러다가 또 오른다. 남들이 비관할때 사야할 시점.
@user-yv2vl2hm6w
@user-yv2vl2hm6w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never_die..
@never_die.. 2 ай бұрын
버티는게아니라 돈이없어 못사는거다 십억 이십억이 푼돈도아니고 그거 사줄사람 현실은 몇 되지도않음
@user-mz2nm4zk1b
@user-mz2nm4zk1b 2 ай бұрын
저출산 시대에 부동산이 오르는 게 말이 안되는 일이지
@hanmanikim6535
@hanmanikim6535 2 ай бұрын
대화흐름이 어찌이리 깔끔? 귀에 잘 꽂히고 듣기도 편하네요
@derosi777
@derosi777 2 ай бұрын
반값도 비싸고 삼분의일도 싸진 않습니다
@user-br5xb1dy4m
@user-br5xb1dy4m 2 ай бұрын
당연한거 아닌가 인구감소에 장기불경기에 부동산을 누가 사냐 이제는 부동산은 투자수단이 아니야
@user-rz2wo6jg1w
@user-rz2wo6jg1w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정화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pc3wh6yk5m
@user-pc3wh6yk5m 2 ай бұрын
마자.. 나도 팔아야 하는데 문의만 한달에 2~3번 오고 안팔림.. 그리고 요즘 느끼는건데 다주택자 너무 많은거같아
@jdavid5027
@jdavid5027 2 ай бұрын
문재인이 다주택자 임대사업자 죽여놔서 공급이 안되니까 세가 살인적으로 올랐는데 알고 말씀하시나요? 세뿐만이 아니라 공급자체를 제한하니까 역대급 폭등한게 문재인때인데 아직도 다주택자 이런 소리를 하고 계시네 ㄷㄷ
@user-sh7pn7bf3g
@user-sh7pn7bf3g 2 ай бұрын
젊을때는 노후자금이 많아야하는걸 몰랐는대 65세 되어보니 물가도오르고 생활비 씀씀이도 줄일수없고 더 커졌고 몸도 아프니 리모델링비용인 병원비많이 들어 준비한연금으로는 부족해 아파트팔아서 보태서 지출한지 4년되었다 베이붐세대가 집팔때가 올해부터 본격적인가본대 예측한대로 오고 있는것이라생각한다 돈욕심버려야 젊은이들이 집을 살수있다
@bariebeary2877
@bariebeary2877 2 ай бұрын
신생아 인질 대출은 잘 안되나봐요 ? 다음엔 뭔 인질 삼을까 ? 장기 ?
@user-cc1ns6tc6u
@user-cc1ns6tc6u 2 ай бұрын
콜걸😅😅😅
@nopregnant
@nopregnant 2 ай бұрын
애 낳는 부부 적어서 힘이 별로 없어요 반대로 노인들 파워는 점점 세지고 잇지만ㅋㅋ
@user-ig5yt3lp1h
@user-ig5yt3lp1h 2 ай бұрын
이제 태아로 할차례
@never_die..
@never_die.. 2 ай бұрын
출산율 0.65라는데 신생아대출이 의미없지 거기다 서울은 평균도안되는 0.55 65세이상 노인들한테 소득자산안보고 대출 풀어주면될듯함ㅋㅋㅋ 노숙자라도 65세만 넘으면 대출땡겨서 내집마련 ㄱㄱ
@bariebeary2877
@bariebeary2877 2 ай бұрын
@@user-ig5yt3lp1h 그담엔 정자 대출
@jutti0912
@jutti0912 2 ай бұрын
일본도 버블 끝나고 베이비부머 세대가 부동산 현금화해서 가지고 있다 동일본대지진때 엄청 나왔죠 당국이 예측한거보다 훨씬 많았다고
@user-oc5ml6he7g
@user-oc5ml6he7g 2 ай бұрын
부동산 불패??......부동산 필패의 시대로 가고 있음
@wawowig
@wawowig 2 ай бұрын
실거주 목적의 내집 하나 가지고 있으면 시세변화에는 초연해야 한다. 집, 특히 아파트로 돈버는 시대는 이미 끝났다.
@user-mn7st9xl8y
@user-mn7st9xl8y Ай бұрын
실거주목적이면 집값이떨어지는게 더좋음 세금을 덜내니까요
@YJ-sf6kd
@YJ-sf6kd 2 ай бұрын
집값 떨어진다고 너무 초조해할필요 없음. 특히 지방은 하락폭이 더 큰데. 자산가치는 줄어들지만 같이 쪼그라드는거니까 하향 평준화 되는거지 뭐. 영끌족은 좀 안됐고..
@calebl5934
@calebl5934 2 ай бұрын
팔리지가 않는다고
@user-wu2vy5os2y
@user-wu2vy5os2y 2 ай бұрын
급매로 가격 더 내려야 팔리지요
@user-et6ij8lt6d
@user-et6ij8lt6d 2 ай бұрын
이런 뉴스 기사, 영상을 보면서도 그들(투기세력들)은 애써 외면하면서 이렇게 항변합니다. "헛소리하고 있네. 니들이 뭘 안다고." 죽을 만큼 고통을 당해봐야 정신을 차릴까요? 어찌할 도리가 없는 지경이다 보니 그런 반응을 보인다고 생각하니 애처롭기까지 하네요.
@JM-yp5nk
@JM-yp5nk 2 ай бұрын
베이비붐 세대 반성해라. 도대체 다음 세대들한테 뭐하는 짓이냐?
@lIIIllIIlIlIIlI
@lIIIllIIlIlIIlI 2 ай бұрын
부자들이 괜히 부자인줄아나 세상 돌아가는 상황을 정확하게 꿰뚫어보는 안목이 있으니까 부자가 된거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mck58
@bmck58 2 ай бұрын
부동산 끌어안고 죽을것도 아니니… 옛날이야 집 가지고있으면 새집됐는데 이제는 그런시대도 아니고
@y189si2
@y189si2 2 ай бұрын
어차피 인구 줄면 사줄 사람도 없고 ... 거기다 경기라도 좋아야 돈이라도 있지 살 여유도 없음.. 특히 젊은 애들이 .. 더 쪼들림
@user-rw2qq1kp9x
@user-rw2qq1kp9x 2 ай бұрын
미국주식 애플,마소,아마존은 지난 10년간 10배 오르고, 엔비디아는 20배 오름. 인구 줄어드는 한국보단 미국에 투자하는게 현명한 선택.
@user-xi8bj1iu9j
@user-xi8bj1iu9j 2 ай бұрын
내놓으면 뭐하나. 사는 사람도 그정도 머리는 다돌아 가는데.두배 오른 가격을 바보가 아닌 이상 사는 사람 이 있을까.의문.
@user-nu5hb1dv1h
@user-nu5hb1dv1h 2 ай бұрын
광수형 수고 많으십니다.
@TV-uv9ns
@TV-uv9ns 2 ай бұрын
10년보유 양도세. 매매가 2배 상승. 앞으로 전망 안좋음. -> 장기보유자 던지기 시작
@jermsang17
@jermsang17 2 ай бұрын
논네들 죽으면 그거 상속처리해야하는데 요양병원들어가면 무조건 가족들은 미리 처리하는게 답이에요. 돌아가신 다음 처리하면 복잡합니다
@user-tl5ip5bo6x
@user-tl5ip5bo6x 2 ай бұрын
아무리 매물이 쏟아져 나와도 절대 집사지 맙시다 확실히 떨어질때까지 기다리다 원하는 가격이 될때 그때 삽시다
@user-dz2ux2os7e
@user-dz2ux2os7e 2 ай бұрын
먼저파는게 승리자다,! 투매 몇개쏟아지면 끝장이다
@user-ox1nx4wd2d
@user-ox1nx4wd2d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왜팔아 ㅋㅋ나는 안팔아 ㅋㅋ 개애애애꿀
@user-gq1gl4it9f
@user-gq1gl4it9f 2 ай бұрын
ㅎㅎ 난이미 22년에 최고점에 팔았지.. 어카냐?매수문의도 없을텐데 ​@@user-ox1nx4wd2d
@user-tc1qo4qo8m
@user-tc1qo4qo8m 2 ай бұрын
속은 부글부글 타면서 …내 만 손해 입니당😂
@user-lu9rm2to5k
@user-lu9rm2to5k 2 ай бұрын
KBS에서도 볼 내용이 있다니. .
@user-fx1ou6tc2p
@user-fx1ou6tc2p 2 ай бұрын
이광수 대표님 말씀에 많이 공감합니다 많은 지인들을 보면 그동안 투기를 했던 주택들을 다 정리하고 층이 낮은 살기가 편한 주택으로 가는 것이 대세인 것 같아요 요즘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 세금도 비싸고 또한 그러다보니 오르던 내리던 자신이 사는 한 채만 가지고 편하게 살자 위주로 바뀌는 것 같나요 저 역시도 똑같은 생각이구요.
@user-bk6wt2xi4k
@user-bk6wt2xi4k 2 ай бұрын
비싸게 던지는건 던진게 아니야
@user-mx9xt2fx8n
@user-mx9xt2fx8n 2 ай бұрын
이 얼마나 훈훈한 소식인가
@user-mf5xv5nt7x
@user-mf5xv5nt7x 2 ай бұрын
투기와 사기는 끝내야한다
@user-zm5wn4kd4p
@user-zm5wn4kd4p 2 ай бұрын
재건축 시장 무너지고 회복 안되면 아파트는 이제 감가상각자산된다. 즉, 신축은 비싸고 구축되면 싸진다는 이야기지. 재건축이 안되면 고쳐써야 하니까.
@An-mp1ty
@An-mp1ty 2 ай бұрын
주거용 주택도 문제이지만 지식산업센터 역시 투기대상 대한민국 물가에 관여되는 농지도 투기대상
@user-uw5mv3wh1e
@user-uw5mv3wh1e 2 ай бұрын
망했지 그동안 거품낀 가격에 사고판 사람들 고점에 산사람들은 망한거고 판사람들은 돈번거고 헬게이트
@nopregnant
@nopregnant 2 ай бұрын
수십년간 돌려막기 제대로 햇는데.. 시작이 잇는 것처럼 뭐든 끝도 잇습니다 죽으면 소멸되는 것처럼.. 아니 제대로 썩어야 확실한 소멸인가ㅋㅋ
@BeaVer-Home
@BeaVer-Home 2 ай бұрын
후후 아파트에 그리환장을 하더니 공중집이 과연 그정도 값어치가 앞으로도 있을까?
@user-cc1ns6tc6u
@user-cc1ns6tc6u 2 ай бұрын
항상오늘이최고가
@user-jx2ir9ny3k
@user-jx2ir9ny3k 2 ай бұрын
지금보다 반은 더 떨어져야 됨
@user-pw3lq9pz3l
@user-pw3lq9pz3l 2 ай бұрын
내려가도 더 내려가야되고 다주택자는 더욱 세금부과해서 부동산투기를 근절해야한다.
@user-lk4nm1nt3q
@user-lk4nm1nt3q 2 ай бұрын
그럼 집 없는 사람들은 월세 어디서 구하냐? 북한이냐? 임대 아파트만 바라보게? 열심히 좀 살아라 다주택자 욕하는 댓글 달 시간에~ ㅉㅉ
@Rainday_Dust
@Rainday_Dust 2 ай бұрын
​@@user-lk4nm1nt3q 여물고 리니지 호괭이나 계속 해라
@user-gu4xs9ew1i
@user-gu4xs9ew1i 2 ай бұрын
문정부때 뭘 본거야 ㅠ 머리가 없는건지
@user-pk6ox2vc6w
@user-pk6ox2vc6w 2 ай бұрын
재건축.비용도너무비싸서재건축도못하겟다
@user-wd6lw4rt4i
@user-wd6lw4rt4i 2 ай бұрын
바닥 없는 늪으로부터의 탈출은 지능 순.
@hskim-nz8tk
@hskim-nz8tk 2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부동산자산 보유비중이 압도적으로 크면서 부동산투자를 가장 잘하는 세대인 60~70이상 노년층의 매도량이 많다는건 장기적으로 집값 하락시그널이 커보인다는현상이고.. 6070이상 연령대가 국힘 지지율이 왜 압도적으로 높은지도 생각해볼만한 대목임
@kellyj8705
@kellyj8705 2 ай бұрын
열심히 살면 집 살 수있은 세상이 되면 얼마나 살기좋은세상이 될까,,,
@user-mn7st9xl8y
@user-mn7st9xl8y Ай бұрын
좀있음 가만히있어도 집안사도되는세상이와요 왜 집보다사람이 적어지니까
@jetwing75
@jetwing75 2 ай бұрын
인구는 계속 가파르게 절감하는데 누가사줘? 살사람이 없어 집값은 떨어질수밖에 없다.
@user-35yw8jy8mp2h
@user-35yw8jy8mp2h 2 ай бұрын
광수네 복덕방 항상 옳은 정보 잘보고 있습니다.
@user-dk1co2iv3b
@user-dk1co2iv3b 2 ай бұрын
장기 보유자는 고점에 물린 사람들이 아니기 때문에..꼭대기에서 못팔았지만..지금 급매로 던지면 어깨에 파는거라..위너에 들어갈 수 있지.
@user-qp4pe2su9q
@user-qp4pe2su9q 2 ай бұрын
10년후에는 살 사람도 없다
@kanfvorns
@kanfvorns 2 ай бұрын
지금 상가 하나 들고 있는데.. 지방이라 포기한지 오랩니다. 당시 cgv .대형 마트입점 한다 해서 들어 갔는데. 둘다 입점 했거든요? 확실히 과거와 다릅니다. 집은 경기도에 실거주 하나 갖고 투자 목적으로 여기 끼웃 저기 끼웃 하는데.. 이런 저 부터도 급매로 나오면 얘는 얼마짜리냐 하면서 보기만 하지 실행할 생각이 들지 않는 지금 입니다. 그렇다고 향후 좋와질거라는 생각 자체는 하지 않고 있고요. 단지 돈 썩히기 아까워서 뒤적뒤적만 할뿐이네요
@user-sk6lp8tw4f
@user-sk6lp8tw4f 2 ай бұрын
인구반토막가즈아~~
@user-wq2lh3wd7n
@user-wq2lh3wd7n 2 ай бұрын
인구붕괴 고령화 즉 경제활동 인구가 없다는건 점포들 줄줄이 문닫는건데. 서울 강남정도면 현상유지는 되는데 문제는 입점이 없어 임대료가 내려갈거고. 거기에 대출 끼고 있으면 금리인상으로 이자는 더내야 되니 건물가 현상유지되도 실제적으로는 손혜. 물론 대출 없는 건물주야 이익 이겠지.
@user-bn8ml7rn2f
@user-bn8ml7rn2f 2 ай бұрын
빚도 자산이라던 시절이가고 이제 빚은 부채이다. 미국에서 시행중인 모듈주택 보급화되면 콘크리트 아파트는 더이상 안지을텐데.. 인건비 자재비 재건축비 공사기간 그모든걸 싼값에 해결할수있는 방법이 곧 나오면 아파트는 진짜 마이너스자산
@Douner1
@Douner1 2 ай бұрын
집 사기 전 : 집 값이 이렇게 높은데 결혼은 어떻게 하고 애는 어떻게 낳냐? 집 산 후 : 하우스 푸어로 앞으로 아무것도 못하고 매달 40년을 갚아야 한다. 근데 이제와서 집 값을 내린다고? 장난해? 집 값 내려서 입주한 주민은 왕따시키겠다.
@user-iu7uv6le6f
@user-iu7uv6le6f 2 ай бұрын
댓글 분위기 잘 보고 갑니다!
@user-ck8ef4gc1r
@user-ck8ef4gc1r 2 ай бұрын
대구 우리동네 푸르지오 신축33평 5억후반에서 6억하더만 갑자기 마피붙어서 4억후반에서 5억으러떨어짐 ㅋㅋ
@never_die..
@never_die.. 2 ай бұрын
대구는 2억이 적정선임 변두리는 1억아래
@sunjae622
@sunjae622 2 ай бұрын
일자리도없는 임금도낮고 노동문화 그지같고 사람들 삭막하고 거지수두룩한 동네가 뭔 4억이여 . 최대가 3억임
@user-dx6my1vg2o
@user-dx6my1vg2o 2 ай бұрын
2~3억 대출받아 수도권부동산 매수한사람 손!~~ 들어 그손으로 본인 뺨따구 후려라 쳐물린거니까 ㅋㅋㅋ
@user-pe1hx6zd9b
@user-pe1hx6zd9b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Shawshank_Maskdance
@Shawshank_Maskdance 2 ай бұрын
일단은 좋은소식인데
@user-ni7mz3vd9v
@user-ni7mz3vd9v 2 ай бұрын
너무 늦었다. 8090세대 너무 불쌍하다..
@leesungmanmusic8594
@leesungmanmusic8594 2 ай бұрын
이제는 100년은 아파트값 내린다
@user-qp7gw5ye3j
@user-qp7gw5ye3j 2 ай бұрын
딱 제대로 보셨네요 100%공감
@yoo4312
@yoo4312 2 ай бұрын
조언드리자면 최소 최고점의 반까지는 하락하니 참고하시고 미리 매도하시는 게 이득일 겁니다.
@user-ej1bd8ug9f
@user-ej1bd8ug9f 2 ай бұрын
집 내놓으면 머하냐 살사람이 없다😂
@davidy7988
@davidy7988 2 ай бұрын
지금도 노후 아파트나 폐가 문제도 심각한데. 10년 20년 되면 어찌될지. 뭐 그때 되면 대한민국이 없을지도
@hohwang5784
@hohwang5784 2 ай бұрын
저점에 잡으면 이익 볼거라고 생각하겠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고 본다 인구 감소하고 있고 경제가 바닥치고있는시점에 절대적으로 부동산 상승세는 절대로 움직일리가 없을것이라고 본다
@user-gt7ln2uv6e
@user-gt7ln2uv6e 2 ай бұрын
1인가구 지금 35%...50%이상되면 부동산 급변 할거다...사람은 유지비용에 민감하다는 사실...
@dokim2234
@dokim2234 2 ай бұрын
붐머들 이후에 고속성장 으로 부동산 가치 상승 현재 고점 에 와있음 안내려 갈지는모르지만 더이상 오르긴 힘듬 보유세 유지관리비 등등 계속 보유하면 손해볼것같다. 앞으로 점점 팔기도 힘들어질것같은 생각
@leesungmanmusic8594
@leesungmanmusic8594 2 ай бұрын
다주택자들이 판치는 아파트 장사꾼들 모조리 제거하는 법을 만들어야 한다 아파트 장사꾼 허용하는 한국! 망한다 젊은 사람들 결혼 안한다
@user-ne5ik4ci9p
@user-ne5ik4ci9p 2 ай бұрын
아직 멀었다 팍팍떨어져라 집값너무비씨서 엄두도못낸다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71 МЛН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How I prepare to meet the brothers Mbappé.. 🙈 @KylianMbappe
00:17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