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나라, 가난한 국민

  Рет қаралды 1,224,764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0:00 ~ 8:46 보도자료 개요
8:46 ~ 20:55 모든 것이 비싼 나라
20:55 ~ 세계의 3대 갈라파고스
어렵고 딱딱한 경제,시사,금융 이야기를
쉽고 유쾌하게 풀어내는
경제/시사/이슈/잡썰 토크방송입니다.

Пікірлер: 4 200
@user-jv9zb9nm4e
@user-jv9zb9nm4e 13 күн бұрын
철회 안됐음 계속 목소리를 내야함
@bigeyes6273
@bigeyes6273 13 күн бұрын
철회 했는데, 한국어 난독 중공넘들 개발광 중ㅋㅋㅋ
@D0RASIMA
@D0RASIMA 13 күн бұрын
17:44 대한민국 올타임 no1 명언
@Youngjaeng
@Youngjaeng 13 күн бұрын
@@hder9 그럼 알리 테무에서 그가격에 떼와서 택갈이하고 4 5배 비싸게 파는건 괜찮고??
@starbkh9476
@starbkh9476 13 күн бұрын
​@@hder9오히려 중국에게 유리한 건데 대가리 빵꾸났지?
@dohdoh6487
@dohdoh6487 13 күн бұрын
@@hder9그럼 중국만 막던지
@user-kd3df4pj2c
@user-kd3df4pj2c 13 күн бұрын
슈카형이 소신발언 할 수 있었던 이유(쫄?) 1. 너무 어처구니가 없어서 2. 여론이 개박살 나서
@arnshutain
@arnshutain 13 күн бұрын
서로 원수관계였던 한국 커뮤니티들이 단합했음
@becat5515
@becat5515 13 күн бұрын
석재햄 기본 스탠스가 중립, 온건인데, 이번건 본인도 어이가 털려서 빠꾸없이 박아버린 ㅋㅋ
@part3423
@part3423 13 күн бұрын
다음은 내수 진작을 위해 해외여행 금지 조치로 찾아뵙겠습니다. (예외: '일본'은 권장합니다)
@user-pm8go3bj9h
@user-pm8go3bj9h 13 күн бұрын
님 대가리에는 똥만 차죠????그럼 직구로 해외인력 싸이트에 등록해서 개인이 인력 초대하면 되나요??? 가득이나 국내 월급 비싼데 10만원에도 한국서 일할 사람 잇으면 초대해서 고용하면되죠 개인이니까 ㅋㅋㅋㅋㅋㅋ
@ll-ct2tn
@ll-ct2tn 13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을 위해 직구 금지하고 금모으기 운동으로 나라를 살립시다 -애국보수-
@user-uq3dm2rn1t
@user-uq3dm2rn1t 13 күн бұрын
자국기업 지킨다고 뭐라 할 거면 라인사태부터 해결하고 와야지...
@jungrylls7495
@jungrylls7495 9 күн бұрын
그걸 하겠나요 ㅋㅋ
@laminarflow7114
@laminarflow7114 9 күн бұрын
이미 신뢰 잃어버린지 오래인데 지킨다 뭐한다 지랄하고있지요...
@X0N0X90
@X0N0X90 9 күн бұрын
라인 쓰지도 않으면서 지키내 마내 하는게 웃김ㅋㅋ
@user-dr9sq4lb5l
@user-dr9sq4lb5l 8 күн бұрын
@@X0N0X90 ㅂ
@darkadoon2
@darkadoon2 8 күн бұрын
​@@X0N0X90삼성전자는 해외수출 비중이 86%라는데 그럼 삼성도 지킬필요 없음?ㅋㅋ 라인을 일본에서 국가적으로 뺏으려드는건 국가적으로 지켜야지
@user-xz5nt4xr7o
@user-xz5nt4xr7o 13 күн бұрын
아니 근데 가습기 살균제는 kc인증 다 받았었는데 국가가 책임지긴했음? 도대체 인증을 왜하는거임
@AJ-yy1mm
@AJ-yy1mm 12 күн бұрын
전문용어로 삥뜯기
@bulbob100
@bulbob100 9 күн бұрын
사실상 말도안되는 제품도 돈만 내면 해줌. 결국 중국이 돈 내고 받아버릴수도있음
@user-gz3vz5dy9r
@user-gz3vz5dy9r 5 күн бұрын
국민의 안전이 목적이면 예전 일본 오염수방류도 동의 안했겠죠 다 다른목적으로 하는것임
@user-ou2xd9hp8v
@user-ou2xd9hp8v Күн бұрын
그건 공무원이 무지능 인증한건고 그리고 책임져서 배상하는데 개소리하지좀마
@JHKim0220
@JHKim0220 13 күн бұрын
말도 안되는 규제는 당장 "사실상"이 아닌 "전면"철회하길.
@Djmarshmello769
@Djmarshmello769 13 күн бұрын
골프채는 예외인게 웃음벨 ㅋㅋㅋㅋㅋ +이제서야 추가적으로 안 사실인데 술이랑 향수는 또 제외인 이유는 용산에 계신 그분께 지나친 관심의 표현인 파란박스가 두려워서였습니까 ㅋㅋ
@KOY22
@KOY22 13 күн бұрын
대석열
@originalmelon
@originalmelon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KOY22
@wefrgEKWO-bq5lg
@wefrgEKWO-bq5lg 13 күн бұрын
의대규제 그렇지 직구는 막아야해😊
@mgk1614
@mgk1614 13 күн бұрын
중국에 너무 의지 하지마 한국 기업 망하면 본심 나온다.
@null_____
@null_____ 13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사실상 철회는 철회가 아닙니다. 계속 보류 -> 사실상 철회 이딴 거로 말장난 하는데 전면 철회 될 때 까지 계속 불타올라야 합니다.
@user-iz3ns3sl6z
@user-iz3ns3sl6z 13 күн бұрын
@@hder9 야 이나라에 메이드 인 차이나 아닌거 몇개나 있을거 같냐?
@yjj2826
@yjj2826 13 күн бұрын
@@hder9 사실상 중국을 밀어주고 (알리, 테무엔 관세청보다 '먼저' 해당 규제 내용이 전달되었죠) 미국 일본 유럽을 막는 규제를 이렇게나 사랑하시니 중국인이신가봅니다 허허.
@user_525mqwfgxbkxz
@user_525mqwfgxbkxz 13 күн бұрын
@@hder9 이번에 가장 이득은 중국인데? 중국인이신가보네.
@KrMorgan12
@KrMorgan12 13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원래는 덤핑이라서 유죄임.
@user-om6wt3se5e
@user-om6wt3se5e 13 күн бұрын
@@user-ip7gn2uz9e 숙원사업은 무슨 지금 6월에는 꼭 시작하시겠단다 ㅋㅋㅋ
@user-su6go4cv5i
@user-su6go4cv5i 11 күн бұрын
이번에 느낀거 : 언론탄압 철회 안했는데, 사실상 철회 라는 말장난 기사가 여러 언론사에서 쏟아져 나옴, 한국 언론 탄압 심각한걸 이번에 제대로 느꼈음 탄압 민주주의
@jarredchoi
@jarredchoi 7 күн бұрын
피해망상오지네 ㅋㅋ 어이구 이 한심한 인간아 뭔 언론탄압이야 힘도 없는데 탄압이 되냐 탄압하면 언론들이 가만히 있을거 같냐 왜이렇게 지능낮은 애들이 많은지 참 수능1등급 지능130안되면 투표권을 좀 박탈해야해 허구헌날 망상만 하는 애들이랑 같은 한표라니 답답한 노릇
@user-um4lk6qr6q
@user-um4lk6qr6q 7 күн бұрын
아니죠 만주주의죠 조선족들이 뭐라하니까 철회한다고 하는게 이건 완전 중국속국인데요
@Dkduwubddnfjf
@Dkduwubddnfjf 7 күн бұрын
@@user-um4lk6qr6q딸피 ㅋㅋ
@user-rd5eb6jm1y
@user-rd5eb6jm1y 7 күн бұрын
자추 역겹노 ​@@user-um4lk6qr6q
@kr-vl9ut
@kr-vl9ut 6 күн бұрын
뭔ㅋㅋㅋㅋ
@H0lic__
@H0lic__ 8 күн бұрын
폰싸게사 -> 단통법 책싸게사 -> 도서정가제 해외제품싸게사 -> 직구규제
@user-mw8bp3mv4j
@user-mw8bp3mv4j 5 күн бұрын
세계최고 수준의 의료제도 폭파시키는데 직구금지정도야 뭐 ㅋㅋ
@jinhyeonchoi4360
@jinhyeonchoi4360 20 сағат бұрын
어허 농촌 읍읍
@user-so4ri7gs4u
@user-so4ri7gs4u 13 күн бұрын
자급자족도 안되는 나란데,, 수입금지품목 줄이고 문제많은 유통구조부터 개혁해야지 암만봐도 이건 아닌거같다
@user-cv4yz6rl6v
@user-cv4yz6rl6v 13 күн бұрын
근데 해외직구 제품은 대부분 국내에서 사도 그만인 것들 아닌가? 그냥 국산 쿠팡 이용하면 되지 암
@rounder404
@rounder404 13 күн бұрын
@@user-cv4yz6rl6v 가격차이가 지리니...
@Bexel147
@Bexel147 13 күн бұрын
​@@user-cv4yz6rl6v 중국산 1000원에 사와서 쿠팡에다가 택만 바꿔서 10000원에 파니깐 직구 하는거지....
@tenal6643
@tenal6643 13 күн бұрын
​@@user-cv4yz6rl6vㅋㅋㅋㅋ
@user-ru5pw5ed2j
@user-ru5pw5ed2j 13 күн бұрын
@@user-cv4yz6rl6v쿠팡도 싼편인데 테무 알리는 아예 똑같은 제품 몇배는 싸게 팜. 다른 곳은 말할 필요도 없고 ㅋㅋ 그냥 유통업자들이 얼마나 쳐때먹는거 개나소나 다 알게 됐는데 그걸 지켜만 본다고?
@user-xd6wl1oj2d
@user-xd6wl1oj2d 13 күн бұрын
말로는 보수라면서 하는 짓은 공산당인게 웃음벨
@jongwonlee4728
@jongwonlee4728 13 күн бұрын
외국의사 도입 시선돌리기 용
@user-dn6eg5ei3v
@user-dn6eg5ei3v 13 күн бұрын
쟤들이 보수긴 한가유?
@hanekds6119
@hanekds6119 13 күн бұрын
ㄹㅇ ㅋㅋㅋㅋㅋ 대가리가 있으면 저게 어떻게 보수임 ㅋㅋㅋㅋㅋㅋㅋ
@user-ks4vx6ii6z
@user-ks4vx6ii6z 13 күн бұрын
병원 약국 전부 신분증 지참 거의 공산당급임
@bigbrother3583
@bigbrother3583 13 күн бұрын
근데 니들중 절반은 보수 뽑은거아님? ㅋㅋㄹㅃㅃ?
@user-gj2ud1eh8e
@user-gj2ud1eh8e 13 күн бұрын
부자는 시원하게 세금 깎아주고 소액 구매 직구에는 세금 부과 시작..
@JuaneeGhim
@JuaneeGhim 12 күн бұрын
법인세 깎은거 니네돈으로 다 갚아야한다고 ㅋㅋㅋㅋㅋ
@hongsijun1
@hongsijun1 12 күн бұрын
재벌 법인세 깎아서 작년 세수 25조 펑크내고 서민들 허리띠는 조이고ㅋㅋ 국민만 바라본다는 용산 영업사원 1호 😂
@UZUGROOVE
@UZUGROOVE 11 күн бұрын
아 부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고 ㅋㅋㅋ
@WildFireXX
@WildFireXX 11 күн бұрын
ㄹㅇ 낙수효과 지리겠네 ㅋㅋ 받아먹다가 질질 쌀 듯
@user-vw6tv3yy4j
@user-vw6tv3yy4j 11 күн бұрын
부자가 세금더낸다
@user-xh5ri7yo4l
@user-xh5ri7yo4l 13 күн бұрын
이번엔 절대 그냥 넘어가면 안된다. 관련자 모두 사퇴시켜야함
@user-pp8hz9vk8v
@user-pp8hz9vk8v 13 күн бұрын
그냥 간만에 촛불이나 들고 일어나자
@wildgraden115
@wildgraden115 12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사실상 철회‘ ‘보류’라고 기사가 나고 있는데 그거 말장난입니다..6월달에 시행 안한다고 말한 적 없고 교묘하게 말을 바꾸어서 ‘안전하지 않은’제품만 통관에서 차단하겠다고 했어요 결국 6월달에 똑같이 시행을 하고 자기들 기준으로 안전하지 않으면 어떻게든 차단한다는 말 아닌가요 ㅜㅜㅜ제 댓글이 아니여도 이거랑 비슷한 댓글 하나라도 인기 댓글로 올려주세요..너무 많은 사람들이 속고있고 해명하기도 힘듭니다 +여러분!5월 25일(토) 12시~16시 사이에 광화문에서 직구금지반대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이 댓글은 혹시라도 완전 철회하거나 변동사항이 생긴다면 다시 수정해놓을게요
@bryanj3521
@bryanj3521 9 күн бұрын
되겠냐 한국에서
@hwang8807
@hwang8807 9 күн бұрын
@@user-pp8hz9vk8v이게 필요하다 보는데 다들 손가락만 살아서 인터넷에서만 떠드는것도 한몫한다고 봄. 아무도 행동 안함 손가락 움직이는건 편하지만 행동하는건 귀찮거든
@user-vq4ux8nm7j
@user-vq4ux8nm7j 9 күн бұрын
​@@bryanj3521이미 17년에 한 번 했잖음?
@FIA_AIF
@FIA_AIF 13 күн бұрын
자료만드는 와중에 계속 내용 뒤집혀서 빡친 석재형이면 개춬ㅋㅋㅋㅋㅋ
@user-uu4jd9gz6v
@user-uu4jd9gz6v 13 күн бұрын
브리핑에선 말로만 내용 뒤집히는거지 사실상 바뀐거 하나도 없음ㅋㅋㅋ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3 күн бұрын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그리고 머항민국 ㄷㄷ
@Eomnaoi
@Eomnaoi 13 күн бұрын
개추
@usedtoilet8295
@usedtoilet8295 13 күн бұрын
내용 바뀌긴 함? 걍 강행하겠다는거던데
@user-iz3ns3sl6z
@user-iz3ns3sl6z 13 күн бұрын
@@user-uu4jd9gz6v 맞음. 관세청에는 상관없이 막으라고 지시 내려왔다더라
@dyc4080
@dyc4080 13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을 하고 있는데 갈라파고스식 규제 너무 공감합니다ㅠㅠ 한국식 규제가 정말 문제 많은 게... 내수 뿐만 아니라 수출에도 큰 영향이 있어요. 말씀 중에 수출은 규제 없이 활짝 열어놨다고 하셨고, 실제로도 보면 표면상으론 그게 맞아요. 지원, 혜택도 있구요. 그런데 내부를 까놓고 보면 한국산이 메리트를 갖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영상에서 말했듯이 말도 안되는 각종 규제들로 모든 스텝마다 진짜 별의별 비용이 계속 들어갑니다. 이건 개인이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협회 같은 곳에서 강제적으로 받아야만 하고, 심지어 가격이 매년 말도 안될 정도로 올라갑니다. 또 이러한 과정 중에 불필요한 인건비 및 부자재는 계속해서 들어가요. 만약 해외에서도 이런 과정을 거친다면 모르겠지만, 한국에서만 하는 단계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결국 최종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고서 수출하려고 보면 가격부터 경쟁이 안됩니다. 제품 퀄리티, 기술에서 차이를 둔다 하여도 그 잘산다는 미국마저 고가품보단 그냥저냥의 저가품들이 훨씬 수요가 많거든요... 수출을 장려하면서 오히려 국내 기업 성장을 막는 말도 안되는 규제들 진짜 손봐야 합니다.
@justice-bl1fp
@justice-bl1fp 13 күн бұрын
유통업 하고있는데 경험해보지 않아도 이해됩니다. 나랏돈 지원받거나 행정처리 하는데도 대행기관 계속 붙어서 이런저런 비용과 시간 들어가고ㅋㅋ
@user-es5vh9vy1f
@user-es5vh9vy1f 13 күн бұрын
돈 되는 사업이면 뭔 이상한 협회 만들고 제도 만들어서 수수료 삥땅치는거 ㄹㅇ 혐오스럽..
@KeiYoon
@KeiYoon 13 күн бұрын
협회들이 다 디져야 나라가 돌아감 ㄷㄷ
@BeTo-rj6cd
@BeTo-rj6cd 13 күн бұрын
성장하는 경제가 끝나니까 모기들처럼 빨대꼽을 생각만 하는것임😅
@WOW-fantastic
@WOW-fantastic 13 күн бұрын
출세해세 빼먹는쪽에 끼던지 출세해서 바꾸던지
@wildgraden115
@wildgraden115 12 күн бұрын
여러분 ’사실상 철회‘ ‘보류’라고 기사가 나고 있는데 그거 말장난입니다..6월달에 시행 안한다고 말한 적 없고 교묘하게 말을 바꾸어서 ‘안전하지 않은’제품만 통관에서 차단하겠다고 했어요 결국 6월달에 똑같이 시행을 하고 자기들 기준으로 안전하지 않으면 어떻게든 차단한다는 말 아닌가요 ㅜㅜㅜ제 댓글이 아니여도 이거랑 비슷한 댓글 하나라도 인기 댓글로 올려주세요..너무 많은 사람들이 속고있고 해명하기도 힘듭니다 +여러분!5월 25일(토) 12시~16시 사이에 광화문에서 직구금지반대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이 댓글은 혹시라도 완전 철회하거나 변동사항이 생긴다면 다시 수정해놓을게요
@Mk-tf1nj
@Mk-tf1nj 12 күн бұрын
인증기관 경쟁시키면 불합격이 합격으로 나갈뿐입니다. Kc 인증은 법정 수수료대로 받아서 뭐 올리거나 내릴수 없어요
@user-yp3nh9ho6q
@user-yp3nh9ho6q 13 күн бұрын
자작자동차를 하는 학생입니다. 올해 전기자작자동차를 제작하는데에 있어서 직접 만드는 것들이 많다보니 배선용 커넥터와 전선들, 배선 박스들, 냉각용 라디에이터, 모터 등 원하는 사이즈와 스펙의 제품이 한국에 없는게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래서 보통 해외 직구를 통해 물품을 구매하여 제작하곤 했는데 이런식으로 막아버리면 저희와 같은 대학생들은 자동차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제한이 커지기 때문에 새로운 개발은 무슨 점차 퇴보할겁니다. 이 현상들은 저희 대학생들이 졸업한 이후에 진출하게 되는 현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구요. 나라에서 R&D예산도 감축시킨 마당에, 나아가 직구마저 축소시키면 이 나라의 공학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퇴보할 겁니다. 진짜 뒷배후가 있지 않는 이상 이건 정말 이해가 안되네요
@user-ec2wo2pi8t
@user-ec2wo2pi8t 13 күн бұрын
시험용이나 연구용으로 사용되는 물품은 인증 없이 수입가능합니다. 직구가 안 될 뿐입니다.
@ilidlleisill
@ilidlleisill 13 күн бұрын
@@user-ec2wo2pi8t그게 그말이자나여 바로 직구로사는거 둘러둘러 사야되고 연구용이라고 서류만들고 보내고 인증 받고
@dagocha
@dagocha 13 күн бұрын
@@user-ec2wo2pi8t ㅎㅎㅎㅎ 그게 수입이 가능하다고 누가 취급을 하겠습니까. 연구용으로 5개 쓸지도 모르니 5개 주문해 수입해 놓았다가 국내 플랫폼에 올려야지. 이렇게 하나요?
@user-re5uh1uq6g
@user-re5uh1uq6g 13 күн бұрын
선동지리네 아님 능지가 딸리는건가
@user-cj9eh1do9l
@user-cj9eh1do9l 13 күн бұрын
@@user-ec2wo2pi8t 그니까 개인이 만들면 안된다는거 아님... 시험용, 연구용으로 사용한다는 걸 일일히 부품마다 다 확인 받아야 한다는거 아님? ..... 차에 부품 몇개 들어가는지 알고는 있음?
@sscalfm
@sscalfm 13 күн бұрын
제일 중요한건 kc가 민간인증으로 넘어 갔다는 소리~ 그건뭐다? 누가 뒷돈 처 받을려고 기를 쓰는거지
@yn1372
@yn1372 13 күн бұрын
뒷돈받고 이런건 물증 없으니 뭐라 못하겠는데 민간기업에서 하는 인증을 국가차원에서 수입을 위해선 모든 국민이 받아야 한다고 하는게 미친거 ㄹㅇ
@lkgmin
@lkgmin 13 күн бұрын
​@@hder9민간화 된지 몇달 되었다. 좀 찾아보자
@NCTSWISH
@NCTSWISH 13 күн бұрын
더럽다
@baeksucity
@baeksucity 13 күн бұрын
@@hder9 근거없는소리치고는 유럽인증미국인증제품도 공신력없는 kc인증없으면 통관못한다는거는 진짜 누군가 뒤에있다고 의심해봐야지
@user-jp9yg9xd6u
@user-jp9yg9xd6u 13 күн бұрын
참고로 가습기살균제 kc인증받은거임
@lucasoh1180
@lucasoh1180 13 күн бұрын
2~3년 내내 일단 던지고 아님 말고 식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다 ㅋㅋㅋ 아직도 지지하는 사람이 있다는게 신기하다 ㅋㅋ
@jerrykim8800
@jerrykim8800 13 күн бұрын
공산국가도 북한을 제외하고는 개인의 해외물품 반입을 막는 나라는 없음. 직구가 아니라 반입금지라고 되어있음..
@tellmeteleid6364
@tellmeteleid6364 13 күн бұрын
입버릇 처럼 자유를 외치지만 현실은 기득권의 사익을 위해 규제. 통제. 압색. 검열. 금지.
@hongchin7838
@hongchin7838 13 күн бұрын
어? 이거 완전 중국이잖아? ㅋㅋㅋㅋㅋ
@eh9296
@eh9296 13 күн бұрын
중국도 전세계 상대로 극단적 보호무역 정책은 안함ㅋㅋㅋㅋ
@gigiyaya7
@gigiyaya7 13 күн бұрын
중국보다 더 심하네
@dufysdayraoul5238
@dufysdayraoul5238 13 күн бұрын
윗대가리들 슬슬 나이들어서 대가리 안돌아가는것같은데 한번 싹 청소해야하나? 폐급들로만 모아놓은것같네.
@palmarium92
@palmarium92 13 күн бұрын
@@eh9296 미국 vs 중국 구도 보면 극단적 보호무역이 이제 시작됐는데 왜 시대구분 못하고 헛소리 남발하세요 ㅋㅋㅋ 멍청하시면 그냥 조용히 계세요
@garlic7073
@garlic7073 13 күн бұрын
자유자유 외치시던분이 ㅋㅋㅋㅋㅋ 규제라니 ㅋㅋㅋㅋㅋㅋ
@Jun-ws4um
@Jun-ws4um 13 күн бұрын
지 술 쳐마실 자유였나 봄 ㅋㅋㅋㅋㅋ
@human4172
@human4172 13 күн бұрын
자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lalala7433
@lalala7433 13 күн бұрын
내맘대로 마누라 맘대로 할 자유…
@Youtuve218
@Youtuve218 13 күн бұрын
“내” 자유
@user-og5yp9js8u
@user-og5yp9js8u 13 күн бұрын
분명 뭔가 불법적인 로비가 있다.. 명분이 국민안전이라기엔 너무 뜬금없고 맥락없음.
@dagocha
@dagocha 13 күн бұрын
MB시절 전파인증 아이패드 1인 1대는 정말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네요.
@bumkyukim9950
@bumkyukim9950 12 күн бұрын
라인사태 물타기용 이슈몰이
@user-dr1zb1fe4n
@user-dr1zb1fe4n 13 күн бұрын
해외직구 금지랑 대통령직을 둘다 철회하면 안돼나요?
@user-wt9qz7zo2e
@user-wt9qz7zo2e 13 күн бұрын
너무 정답입~~
@pedrolim4235
@pedrolim4235 13 күн бұрын
@@user-wt9qz7zo2e 먼 게소리여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13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나라팔아먹고 간첩질 한것보다 이게 더 문제고 탄핵사유라고 생각함.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면 그 다음은 나 독재하고 너네는 시키는대로 살아 이마인드잖아. 그러면 그냥 왕정 하지 뭐하러 민주정 하냐?
@sh1ltz
@sh1ltz 13 күн бұрын
안‘되’나요
@user-ne4tx2ll4z
@user-ne4tx2ll4z 13 күн бұрын
​@@klerystherandomwalker2169 부칸이랑 다를바 없음 개헬조선임ㅋ
@user-qq7hc6mh1d
@user-qq7hc6mh1d 13 күн бұрын
뭐만 하면 "국민을 위해서"라곤 하지만 국민을 위했던적은 없는 나라
@NihilK716
@NihilK716 13 күн бұрын
@@hder9 개소리하노 북한 물타기 하지마라 멍청아
@HAELIMKIM-od2fz
@HAELIMKIM-od2fz 13 күн бұрын
​@@hder94만불 오면 나라 개작살내는 권리가 생기는거였어?몰랏네
@user-zk5el1rk3u
@user-zk5el1rk3u 13 күн бұрын
북한과는 한 핏줄이지만 일본과는 주종 관계입니다.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3 күн бұрын
10년 후를 봣을땐 사실 정책의 방향은 맞아요 한번 읽어보시길 :) 사실 정책의 방향은 맞긴해요. 한번 읽어보시길 :) 중국앱 건당 7달러씩 손해보면서 판매중이라는 데이터가있음. 이 말은 중국이 원하는만큼 점유율을 가져가면 그땐 지금 가격에서 평균 최소 9000원이 플러스 된다고 보면됌. 이 말은 우리 경제, 산업이 그만큼 먹힌거고, 그땐 되돌릴 수 없음 과정이 성급했지만, 정책의 방향성은 맞음 진짜 몰라서 그런사람이 있으니 전세계가 골치아퍼하는 직구 헛점에 대해 예를 들면, 149달러x365일 이렇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 연 7천만원이상의 매출에 대한 세금이 0원이되요. 그걸 여러명에게 한다면 상상초월할 매출에 대한 세금이 0이되죠. 개꿀이죠 ...하지만 직구 헛점은 중국전략 중 비교적 작은거고 찐 무서운건 보조금임...
@lblanclux1462
@lblanclux1462 13 күн бұрын
느그 국민의 힘
@BABAMBA9970
@BABAMBA9970 13 күн бұрын
기계랑 전기 연구 기관들 R&D 예산도 줄었는데 직구까지 막히니 답 없는....
@younghunpark7993
@younghunpark7993 9 күн бұрын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n7jm7ud6f
@user-hn7jm7ud6f 13 күн бұрын
철회안함~ 6월 강행하겠답니다. 말돌리기만하다가 결국 직구금지먹는게 상당해지네여.
@user-ct3xh4vn6e
@user-ct3xh4vn6e 13 күн бұрын
​@@hder9 그 중국애들은 저거 찬성했어요...
@hder9
@hder9 13 күн бұрын
@@user-ct3xh4vn6e 그 중국애들은 당췌 누군데요? 니가 아는 연변친구들?
@Doronbo199
@Doronbo199 13 күн бұрын
@@hder9 그렇다고 전 수입을 막는다고요?
@se9_se9
@se9_se9 13 күн бұрын
@@hder9 니엄마가 10배 덤탱이쓰고 택갈이한 같은 중국제품쓰면 좋아하겠다?
@ll-ct2tn
@ll-ct2tn 13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을 위해 직구 금지하고 금모으기 운동으로 나라를 살립시다 -애국보수-
@ddp9012
@ddp9012 13 күн бұрын
6월1일부터 인천공항 공문 내려옴 언론들 사실상철회라고 하던데 소름돋는다 진짜 그대로 시행인데
@user-go8ru3eh8b
@user-go8ru3eh8b 13 күн бұрын
공문어디서봄
@user-go8ru3eh8b
@user-go8ru3eh8b 13 күн бұрын
공문 어디서봄
@user-vb2hx1iq6c
@user-vb2hx1iq6c 13 күн бұрын
역시 자네야~
@polabears-oo9ny
@polabears-oo9ny 13 күн бұрын
@@user-go8ru3eh8b 국무 총리 비서실 홈페이지에 가서 좀 찾아봐라 눈이 있으면 보이는걸 뭘 어디서 봄이야. 국무총리 비서실 홈페이지 보도자료 게시란에 있으니깐. 링크를 달고 싶은데 자꾸 지워지네.
@abell1689
@abell1689 13 күн бұрын
세관 직원이신감
@aspitola
@aspitola 13 күн бұрын
오늘 소신발언 해줘서 정말 고마워 슈카형....
@HappyFriday7
@HappyFriday7 13 күн бұрын
17:40 KC인증 민간기업 수 늘이면 경쟁이랍시고 “빠른 인증” “KC와우” 같은거 만들어서 빨리 인증해줄테니 돈 더 내놔라 하겠죠
@hyeok631
@hyeok631 13 күн бұрын
kc 쿠팡 ㅎㅎ
@PaperBackS100
@PaperBackS100 13 күн бұрын
직구로 어그로 끌어놓고 kc 인증 회사들 어물쩡 넘기려는 속셈이 더 크다는 것 같던데 이것도 확인좀 해주십쇼 형님...
@elisabethhelena8333
@elisabethhelena8333 13 күн бұрын
국가 세금 부자가 아니라 개인이 부자가 되는 거 아닌가요?
@user-qp9xq7lv4t
@user-qp9xq7lv4t 13 күн бұрын
​@@elisabethhelena8333(특정 아주 일부 소수의 청치권) 개인
@dmscjf12
@dmscjf12 13 күн бұрын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너무 많아 국제전화를 차단하겠습니다! 해킹 피해가 너무 많으니 해외와 연결되지 않는 고유 국내 인터넷만 가능하게 만들겠습니다!
@mrkimkijong
@mrkimkijong 13 күн бұрын
니들 사는 쪼끄만 전자부품 인증비는 고작 수십만원
@user-potty
@user-potty 13 күн бұрын
​@@elisabethhelena8333 부자도 거지도 중산층도 힘든나라..
@user-jj5jg7vd7y
@user-jj5jg7vd7y 13 күн бұрын
공장에서 사실상 해외꺼 안쓰는곳이 없음 ㅋㅋㅋ 이건 스타트한 공장들도 같이 죽이는거 같음
@KrMorgan12
@KrMorgan12 13 күн бұрын
공장에서 쓰는건 다 Kc인증 받은거. 혹시 법인이라는 개념과 개인이라는 용어차이를 아시나요?
@user-mt5ee8hn2m
@user-mt5ee8hn2m 13 күн бұрын
석재횽이 말했자나요… 수출공장이면 면제:) 수입은 규제 수출은 면제 섬나라답네요
@user-do3pp3ez8x
@user-do3pp3ez8x 13 күн бұрын
근데 공장에서 쓰일만한게 저 수입금지 품목중에서는 많이 없을텐데....
@FrostBlizzard1
@FrostBlizzard1 13 күн бұрын
공장에서 쓰는 인증받은건 완제품이지 부품이 아닙니다
@KrMorgan12
@KrMorgan12 13 күн бұрын
​@@FrostBlizzard1 부품 특히 원자재도 각종 인증이 많아요. 오히려, 더 까다로움.
@dooyi9119
@dooyi9119 13 күн бұрын
망발 텍갈이 지금도 열받네 네이버쇼핑에서 2만원 주고 샀던 커넥터가 알리에 1,200원에 올라와 있는거 보면서 얼마나 빡치던지...
@user-oh1ks2cz1t
@user-oh1ks2cz1t 12 күн бұрын
소상공인(x) 택갈이 보따리상(o)
@user-tj1os1mb4x
@user-tj1os1mb4x 13 күн бұрын
?? : 유투버 카르텔 용납못해 국민안전에 타협없어
@cocktail7342
@cocktail7342 13 күн бұрын
헬잘알
@soyy924
@soyy924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pioneer6514
@pioneer6514 13 күн бұрын
세무조사 대비하셔야 ㅋㅋㅋ
@user-es5vh9vy1f
@user-es5vh9vy1f 13 күн бұрын
ㄹㅇ왜 현우진이 생각나냐 ㅋㅋㅋㅋㅋ
@lilliliillill4119
@lilliliillill4119 13 күн бұрын
사법카르텔은 예외입니다~
@user-yc5yc3su5n
@user-yc5yc3su5n 13 күн бұрын
누가 보면 철회된 줄 알겠네. 철회가 아니라 보류고 관세청에서 계속해 나간다고 했지.
@user-xf1uq8tp4f
@user-xf1uq8tp4f 13 күн бұрын
예를들면 우유같은거 생산이 많이 되면 가격유지를 위해 다 버리는게 현실... 그러니 캐파가 되어도 생산을 많이 할 생각을 안함
@jehyeonlee7402
@jehyeonlee7402 13 күн бұрын
조그만 가계도 아니고 대기업도 아니고. 나라정책인데 저렇게 검토도 안하고 발표할수가. 다른 나라에서 보복관세로 나라의 운명을 좌우할수도 있는 정책인데.
@_Kakapo
@_Kakapo 13 күн бұрын
영상 올리면서 괜히 모 유명강사처럼 "세무조사" 당할것 같아서 살짝 쫄리면 슈카면 개추ㅋㅋㅋㅋ
@star_bucks_
@star_bucks_ 13 күн бұрын
소신발언했다고 세무조사 당하는 사람이 세상에 어딨음 ㅋㅋㅋㅋㅋㅋㅋ
@user-wy6oe8se8e
@user-wy6oe8se8e 13 күн бұрын
​​@@star_bucks_ 메가스터디 0타강사.. 개인세무조사당함..ㅋㅋ 피식대학나와서 본인이 직접말함.. 심지어 그냥 열심히강의하던사람임
@davidmlee9097
@davidmlee9097 13 күн бұрын
세무조사 당한이유가 강사가 몇백억대 수입을 어떻게 버냐고 반드시 문제 있을거라고 입시 카르텔이라고 규정해서
@user-ro8hv2of1d
@user-ro8hv2of1d 13 күн бұрын
하앙♡♡극한상쇄하고싶다 헤으응...
@ottersea9513
@ottersea9513 13 күн бұрын
@@star_bucks_ 요즘은 그런 세상이야...
@ldsldslds
@ldsldslds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기관이 민영이라는거에 뒷배채울욕심이 높아보임 바바리맨 잡겠다고 전 국민 바바리코트 못입게하는꼴 고물가에 서민들 미치고있는데 직구 저걸 건드는건 자살행위인데 저정도 감각이없다는건 참모진들이 세상물정을 지금 잘 모르고있다는뜻 초등학생수준
@ChunSik262
@ChunSik262 13 күн бұрын
참모진들 충언했다가 이미 숙청당해고 예스맨만 남은지 오래됨
@user-vh8uh2ho6i
@user-vh8uh2ho6i 13 күн бұрын
25일에 직구금지반대 시위합니다.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user-fe4oe2it2h
@user-fe4oe2it2h 12 күн бұрын
kc인증받은 가습기 살균제가 사람을 죽였는데 안전한거 맞나요?
@user-yg3db6sc6r
@user-yg3db6sc6r 13 күн бұрын
안타깝게도 1시간전이 아니라 1일전에 올라왔어야 했을 내용이네요. 지금도 철회안되었고 오히려 6월1일부터 규제한다는 인천 세관의 공지가 떳습니다.
@user-cj9eh1do9l
@user-cj9eh1do9l 13 күн бұрын
3일인가 4일차로 이건 훼이크다! 강행할거지롱! 나온게 어제 ㅋㅋㅋ
@sweetallier
@sweetallier 13 күн бұрын
인천본부세관 들어가봤는데, 공지사항 및 공고공시에 그런 내용이 전혀 없는데요?
@user-bx4ns4dz2j
@user-bx4ns4dz2j 13 күн бұрын
​@@sweetallier인천 세관이 배대지들에게 공문 돌렸어요
@lkgmin
@lkgmin 13 күн бұрын
​@@user-bx4ns4dz2j역시 뒤로 시행하는 대한민국
@Chicago_Ohare
@Chicago_Ohare 13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임기 3년 남았다는게 더 충격임 ㅋㅋㅋㅋㅋㅋㅋㅋ 어떻게 말아 먹을지 가늠이 안됨
@user-rw3ns8fj5r
@user-rw3ns8fj5r 13 күн бұрын
ㅅㅂ
@june8602
@june8602 13 күн бұрын
인증이라는 제도가 어쨌든 이 제품이 국내 유통되는데 무리가 없고 안전하다는걸 증명해주는건데 그걸 민간경쟁으로 돌리면 제도의 취지가 보장이 됨??
@user-tz3qy1mr2l
@user-tz3qy1mr2l 13 күн бұрын
슈카형이 주제로 꺼낼정도면 좌우 전부 반대하는 정책이 맞네..
@cathy4498
@cathy4498 13 күн бұрын
근데 또 철회 안한다고 강행한다고ㅋㅋㅋㅋㅋㅋㅋ하루만에ㅋㅋㅋㅋㅋ
@tellmeteleid6364
@tellmeteleid6364 13 күн бұрын
입버릇 처럼 자유를 외치지만 현실은 기득권의 사익을 위해 규제. 통제. 압색. 검열. 금지.
@cch1763
@cch1763 13 күн бұрын
6월에 특검 이슈가 많아서 그때 재추진할듯 특검 이슈에 묻힐거 뻔하니.
@user-ib4ym6pu1f
@user-ib4ym6pu1f 13 күн бұрын
잘 모르시면 무조건 철회를 외칠 수 있는데, 사실 정책의 방향은 맞아요 한번 읽어보시길 :) 사실 정책의 방향은 맞긴해요. 한번 읽어보시길 :) 중국앱 건당 7달러씩 손해보면서 판매중이라는 데이터가있음. 이 말은 중국이 원하는만큼 점유율을 가져가면 그땐 지금 가격에서 평균 최소 9000원이 플러스 된다고 보면됌. 이 말은 우리 경제, 산업이 그만큼 먹힌거고, 그땐 되돌릴 수 없음 과정이 성급했지만, 정책의 방향성은 맞음 진짜 몰라서 그런사람이 있으니 전세계가 골치아퍼하는 직구 헛점에 대해 예를 들면, 149달러x365일 이렇게 되면 기업 입장에서 연 7천만원이상의 매출에 대한 세금이 0원이되요. 그걸 여러명에게 한다면 상상초월할 매출에 대한 세금이 0이되죠. 개꿀이죠 ...하지만 직구 헛점은 중국전략 중 비교적 작은거고 찐 무서운건 보조금임...
@user-pd6ny9fz6x
@user-pd6ny9fz6x 13 күн бұрын
@@user-ib4ym6pu1f 중국 직구 막겠다 (알리 테무에 미리 언질을 주며)
@user-ri2tr9yf3u
@user-ri2tr9yf3u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단통법: 공평하게 똑같이 비싸게 사자!=직구금지
@user-dc6dr5cd5x
@user-dc6dr5cd5x 13 күн бұрын
나중에 이러다가 해외여행도 규제할듯
@user-fi1tw8pj8f
@user-fi1tw8pj8f 13 күн бұрын
해외이민,미국주식매수 등 다 규제할듯ㅋㅋㅋㅋ
@marcusmado
@marcusmado 13 күн бұрын
세금 더 걷어야되니 규제 보다는 세금 늘리지요
@user-wx8rp7ny4c
@user-wx8rp7ny4c 13 күн бұрын
조선족이 한국 오는거나 규제하지 ㅋㅋ
@Happy-Sudal
@Happy-Sudal 13 күн бұрын
@@user-fi1tw8pj8f 우리나라 이미 국적포기세라고 이민 규제 뭐 하나있던데 ㅋㅋㅋㅋㅋㅋㅋ
@part3423
@part3423 13 күн бұрын
(예외: '일본' 여행은 권장)
@msk6230
@msk6230 12 күн бұрын
수입직구는 차단, 수출직구는 확대 과거 루마니아 독재자였던 차우셰스쿠의 무역정책이 생각나는 부분ㅋㅋㅋ
@DIYDrK
@DIYDrK 13 күн бұрын
전자제품 개조 유튜버인데 이제 부품 구하기도 힘들어졌고,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부품은 5-10배 가격주고 사야해서 제 채널 이제 망했습니다 😭😭
@heonukjo3695
@heonukjo3695 13 күн бұрын
안대 케이형 가끔 본단 말야 애기 장난감 개조 해야지 힘을 내
@gigiyaya7
@gigiyaya7 13 күн бұрын
안되 ㅠㅠ 절대지켜
@mdk3314
@mdk3314 13 күн бұрын
컥 진짜다..
@kimmio32
@kimmio32 9 күн бұрын
힘내십쇼
@user-by8ld4ky5q
@user-by8ld4ky5q 8 күн бұрын
응 선동하지마
@user-vs9lo1mv6l
@user-vs9lo1mv6l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받아 든든한 "가습기 살균제" 쓰는 용산 주정뱅이면 개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e9vu9zi9k
@user-me9vu9zi9k 13 күн бұрын
쎄쎄 곰팡네나는 양산 책방노인네가 슬며시 웃는다
@user-dy7et4op5x
@user-dy7et4op5x 13 күн бұрын
한국기업만 왜 kc 인증 하니 중꿔여러분??
@nameandsung
@nameandsung 13 күн бұрын
나 두창인데 니집 압색하러 간다
@Sweetchocolate0103
@Sweetchocolate0103 13 күн бұрын
​@@nameandsung 두창이는 그런 말투 안 써여
@qjpusbro
@qjpusbro 13 күн бұрын
​@@nameandsung 나 거니인데 얘 두창이 맞다
@ksm9676
@ksm9676 13 күн бұрын
취임식때 자유를 엄청 외쳐됐더만 정작 규제를 제일 사랑하는 대윤카 ㅅㅅㅅㅅㅅㅅㅅ
@hongchin7838
@hongchin7838 12 күн бұрын
걍 용산에 틀어박혀서 술이나 처먹었으면
@narodo_ro
@narodo_ro 12 күн бұрын
이 사람은 그냥 검사로 끝냈어야 할 사람• 보수가 아녀
@so-what930
@so-what930 10 күн бұрын
ㄹㅇ
@JO-mc9qg
@JO-mc9qg 13 күн бұрын
ㄹㅇ 외국에서 질 좋은 한국 제품 사는거나 쉽게 만들 것이지... 직구를 막으면 어쩌자는것 😂
@jinwoopark2234
@jinwoopark2234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가 하는 규제들은 향후 해외에서 우리나라에게 할 수도 있다는 경우를 생각하고 해야 한다…… 네이버(웹툰 등) 해외 모든 나라에 망사용료 내야하고 해외 수출시 인증을 받아야 나갈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건가?…
@shin_86
@shin_86 13 күн бұрын
진짜 나라 꼴이 말이 아니다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3 күн бұрын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그리고 머항민국 ㄷㄷ 노벨상 0개의 억하심정 ㄷㄷ
@user-lj1pb5pl9f
@user-lj1pb5pl9f 13 күн бұрын
@@user-zp1mz9mf6f아르헨티나는 그대로 월드컵 우승 트로피 라도 있지 한국은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대 석 열 보유국
@Phammmm582
@Phammmm582 13 күн бұрын
​@@user-zp1mz9mf6f슨상님 노벨상 받으셨자너
@user-kz2ew4xh4u
@user-kz2ew4xh4u 13 күн бұрын
@@Phammmm582 노벨 서양세력과 짬짜미상
@JJ-ho3cx
@JJ-ho3cx 13 күн бұрын
​@@Phammmm582 그건 돈주고 산거라서.. 물론 페이는 엉뚱한데다가 했지만 ㅋㅋㅋㅋ
@areaksh
@areaksh 13 күн бұрын
24:25 갈라파고스도 아마존 택배는 받을 수 있습니다만?
@chodam199
@chodam199 13 күн бұрын
일본에도 아마존은 있다고...
@user-zp1mz9mf6f
@user-zp1mz9mf6f 13 күн бұрын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그리고 머항민국 ㄷㄷ 노벨상 0개의 억하심정!!
@mashizzung9911
@mashizzung9911 13 күн бұрын
구글맵도 되고 트위치도 됨 ㅋㅋ
@user-cd9nu3re6n
@user-cd9nu3re6n 13 күн бұрын
@@user-zp1mz9mf6f 꺼지든가.
@ll-ct2tn
@ll-ct2tn 13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을 위해 직구 금지하고 금모으기 운동으로 나라를 살립시다 -애국보수-
@beob8270
@beob8270 13 күн бұрын
어지간한걸 중구산 수입품을 쓰고있으면서 직구 금지는 그냥 KC인증 팔아먹으려고 하는걸로밖에 안보이는데
@han-gyeolju5186
@han-gyeolju5186 13 күн бұрын
슈카형은 참 롱런할것 같오! 8월16일부터 독립운동하는데 오래라도 가야지~
@hanul_02
@hanul_02 13 күн бұрын
보도자료 중 “동종 중국직구 물품이 70~80% 저렴 (국내업계 의견)”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 : 물건 싸게 가져와 4~5배 비싸게 팔고 많이 남겨먹었다! 랑 뭐가 다를까.. 그냥 이걸 인정한 꼴이던데 제발 전면 철회 하길
@user-fd3fd6ih2z
@user-fd3fd6ih2z 13 күн бұрын
그기업들이. 로비한거죠
@user-kz2ew4xh4u
@user-kz2ew4xh4u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을 민간이 하게 되면 인증을 할 수록 수입이 들어오니 마구잡이로 발행할 가능성이 높음.
@user-qj1lh7sn1j
@user-qj1lh7sn1j 13 күн бұрын
ㅋㅋㅋ
@user-gm5oo5gj4m
@user-gm5oo5gj4m 12 күн бұрын
생각 참 단순해 ㅋㅋㅋㅋ 아직도 70~80년대에 사는 거 같아 ㅋ 그때 딱 국내 기업을 살리자고 해외 물건을 배출하던 시기거든 ㅋ 만화책도 그 중 하나야. TV가 바보가 된다느니 만화책 보면 바보 된다느니 이게 그 시기에 등장한 단어거든 ㅋ 지금 그걸 보는 거 같애 ㅋ
@user-od4go1mx9z
@user-od4go1mx9z 11 күн бұрын
근데 국민수준이 7080이라 그게 먹힌다는 점~ 전세계 이민장벽 높이고 있는 추세라 하루빨리 이민 가려고
@user-jp6zq1mr1k
@user-jp6zq1mr1k 13 күн бұрын
형 세무조사 조심해
@user-kd3df4pj2c
@user-kd3df4pj2c 13 күн бұрын
나락 감지기인데, 시원하게 지른 이유는 그 만큼 여론이 개박살 났다는게 아닐지요 ㅋㅋ
@user-mw5ny3ik4v
@user-mw5ny3ik4v 13 күн бұрын
진짜 좀 걱정됨 ㅠㅠ 책 주웠다고 검찰 소환되는 나라니깐.. ㅅㅂ
@abell1689
@abell1689 13 күн бұрын
집권 2년차에 레임덕도 아니고 데드덕이라 ㅋㅋ
@Phammmm582
@Phammmm582 13 күн бұрын
드럼통 조심해~
@user-vp7ed6rm5m
@user-vp7ed6rm5m 13 күн бұрын
농담이지만 진짜 그리 될꺼같음 ㅋㅋㅋㅋ
@neistde.9907
@neistde.9907 13 күн бұрын
살면서 이정도로 남녀노소 단합해서 욕하는건 첨봄 ㅋㅋㅋㅋ 하다못해 북한 욕을 해도 남녀 단합이 안되는데 그거마저도 뛰어넘은 기적을
@user-zp3uw3tt9g
@user-zp3uw3tt9g 13 күн бұрын
북한 욕 안하는건 뇌썩남들 아님??
@darren3932
@darren3932 13 күн бұрын
월급은 그대로고 물가는 너무 올라서 생활비 좀 아껴보겠다고 직구하는데 😟
@awsrevelion
@awsrevelion 13 күн бұрын
아주 좋은 영상입니다
@user-zd5tn6lx4j
@user-zd5tn6lx4j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 참 좋죠...근데 만약 KC인증해서 물건에 문제생겨서 피해 생기면 검증기관에서 전부 보상해주나? 백퍼 보장해주면 인정!!
@tedhah
@tedhah 13 күн бұрын
안 좋음. 국제규격도 아니고
@user-rv7tf6bg5y
@user-rv7tf6bg5y 13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도 KC인증 받았었음
@alexotto1141
@alexotto1141 13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살균제 사건 때 그것도 인증 받았는데 그난리였음
@ll-ct2tn
@ll-ct2tn 13 күн бұрын
대기업을 위해 직구 금지하고 금모으기 운동으로 나라를 살립시다 -애국보수-
@jhon9710
@jhon9710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 유명무실함
@oisomam6271
@oisomam6271 13 күн бұрын
국민안전을 위해서 라고 하지만 실상은 업계에서 로비를 하니 안전 핑계로 수입금지하는거지 소위 사바사바라고 하는 돈 다발 로비가 오래전부터 있어왔던 관행이지
@meosseug
@meosseug 13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이 사건의 계기는 23년에 알리 테무에서 물건 산 사람이 소보자 보호원에 민원 넣어서 시작된거임. 24년 3월에 움직이려고 할 때도 뒷북이라면서 여론에 쳐 맞았는데?
@meosseug
@meosseug 13 күн бұрын
제재 해달라고 해서 제재 하려고 하면 한다고 난리 안하면 안한다고 난리 어느 장단에 춤추라는거임? 검출된 물건만해라? 그럼 그 물건들을 사는 사람들이 가만히 있을까? KC 인증만 요구하는게 문제인거고 KC인증만 고집하는 행동을 버리고 다른 방법을 찾는게 맞음....
@hk2900
@hk2900 13 күн бұрын
@@meosseug 다수의 의견
@meosseug
@meosseug 13 күн бұрын
@@hk2900 다수의 의견이 항상 맞는건 아님. 다수의 의견대로 도편 추방제하던 아테네는 추방당한 사람 때문에 망할뻔했음. 다수의 의견대로 한다면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 정책도 맞는거임? MB의 대중교통 환승 정책도 시행 당시에는 욕 엄청 먹었지만 결국 사람들이 만족하잖아요.
@BASSGREATBASS
@BASSGREATBASS 13 күн бұрын
@@meosseug 그래서 직구 막으면 다수의 사람들이 만족하는 정책임?
@user-yx8oz3eo9j
@user-yx8oz3eo9j 7 күн бұрын
커브는 되나요?
@joorba7708
@joorba7708 13 күн бұрын
이런 규제 정책을 세우려면 향후 파장이나 장단점을 분석해야 하는데 했겠냐?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13 күн бұрын
의료증원 2천명에 대한 국정 회의록도 없는데, 해외직구 규제도 회의록 같은게 있을리 만무.. ㅋㅋㅋㅋ 이렇게 대책없이 싸지르는 정책 앞으로 3년 더 봐야됨.
@russelevy2886
@russelevy2886 13 күн бұрын
이런 병신글은 왜 다는거임 ㅋㅋㅋ
@ZETA_
@ZETA_ 13 күн бұрын
_이거 가장 큰 문제는 국내에서 판매하지 않아 해외로 구매해야 하는 제품들을 더 이상 구할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인데_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10 күн бұрын
미1친 도대체 어떻게 저딴정책을 낼수가있냐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장어덮밥 먹으면서 낄낄거리며 해본 생각도 이딴건 아니겠다ㅋㅋㅋㅋㅋ와 이걸 진짜 한다고?
@user-xg9ez7no1z
@user-xg9ez7no1z 12 күн бұрын
작년에 KC인증 사제로 넘어간건 무슨 빌드업이 었을까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13 күн бұрын
오늘 소신발언 좀 담으셨네 중립도 좋지만 아닌건 아니라고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끽해야 5년짜리 계약직 2년만에 나라 쳐망하는게 참...
@user-yy8fu2sn1d
@user-yy8fu2sn1d 13 күн бұрын
진짜 2년만에 망할줄 몰랐음.. 와
@user-tt8xy8lu9x
@user-tt8xy8lu9x 13 күн бұрын
정규직 개발라버리는 권력직..
@hamter_Kong
@hamter_Kong 12 күн бұрын
규제를 안하면 진짜 나라산업이 망할텐데.. 왜 사람들이 욕만하고 왜 그런건지는 들어보려하지 않을까
@unpisarmy
@unpisarmy 12 күн бұрын
​@@hamter_Kong정작 중국 알리 테무는 미리 언질받아서 준비 끝낸 상텐데 중국 ㅇㅈㄹ ㅋㅋㅋ 독일제 포함 서양 부품이나 여러 제품 직구도 통째로 막힌다고ㅋㅋ 이런 유형들은 알아서 투표권 반납하자
@houbird
@houbird 13 күн бұрын
법보다 무섭다는 시행령
@user-jk9cu5mn3w
@user-jk9cu5mn3w 13 күн бұрын
시행령 규제법을 입법해버려야함 무리수 못두게
@ssakdook
@ssakdook 13 күн бұрын
일침이넹
@shalsgur2001
@shalsgur2001 13 күн бұрын
제왕적 대통령제
@choogchi
@choogchi 13 күн бұрын
KC인증이 민간이면 공신력이 있다고 할수가 있는건가? 주무 부처 산하 공단에서 관리해야 하는게 직구 규제에 타당성이 더 생길텐데 거꾸로가네
@ropeseize8995
@ropeseize8995 11 күн бұрын
어지간하면 지들 표 깎아먹는 짓 안 할 텐데 이번에는 로비로 들어온 돈이 어마어마했나보네
@MagicWarriorTurtle
@MagicWarriorTurtle 13 күн бұрын
그냥 탄핵하자 더는 못 참겠다
@up5292
@up5292 13 күн бұрын
탄핵해도 쨔잔~ 금투세가 기다리고 있어요~
@j.5492
@j.5492 13 күн бұрын
탄핵해도 국회의원이 많아서 타격없을듯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13 күн бұрын
이건 탄핵이나 하야 사유 충분한거 같은데? 관세보복으로 인한 국가 경제 안보 위협과 일반 시민의 권리를 명백하게 침해했으니
@saga8648
@saga8648 13 күн бұрын
@@klerystherandomwalker2169 채일병 사건으로 이미 탄핵 충분조건 완성됨
@eesoggun
@eesoggun 13 күн бұрын
탄핵은 국정농단 정도 되야 가능 ㅋㅋ
@foby4184
@foby4184 13 күн бұрын
이게 보수가 할짓이냐? 가치도 비전도 없고 진영논리만 있네
@Aadiotygod25dada
@Aadiotygod25dada 13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매국노가 자칭 보수라고 말하고 있거든. 사실 매국노가 할짓으로 딱 맞지.
@jung-moyang6535
@jung-moyang6535 13 күн бұрын
약간 미국형 보수로 가는 느낌임..ㅠ 한국은 소국이라 노련미가 필요함..
@Synthesis5
@Synthesis5 13 күн бұрын
보수가 아니라 공산당임 ㅋㅋㅋㅋ
@widb8evd8wg38dhsu
@widb8evd8wg38dhsu 13 күн бұрын
​@@Synthesis5공산당도 즈그나라에선 극우다 게이야
@dhehhssifj
@dhehhssifj 13 күн бұрын
조금씩조금씩 국민의 기본권 침해와 억압통제가 늘어간다. 이게 자유민주주의 국가??
@user-hj5yh8qp9r
@user-hj5yh8qp9r 13 күн бұрын
그럼 저 인증을 다른 나라에서 반대로 적용하면 고립되는데?
@user-uu5ni8yz4r
@user-uu5ni8yz4r 12 күн бұрын
이런건 사리지 않고 비판하는 모습 좋습니다.
@makeitcount6540
@makeitcount6540 13 күн бұрын
단통법, 도서정가제 생각나더라.....
@hder9
@hder9 13 күн бұрын
중국산을 사랑하시나봐요.
@answnghd
@answnghd 13 күн бұрын
​@@hder9너가 사용하는 물건들 대부분 중국산이다 ㅋㅋㅋ
@user-jl9vi2tm5m
@user-jl9vi2tm5m 13 күн бұрын
@@hder9니놈이구나 다른 답글들에서 욕을 쳐먹고 있던 놈이
@bluemoon8315
@bluemoon8315 13 күн бұрын
​@@hder9직구 제품중에 중국산만 있는줄 아네 ㅋㅋ ㄷㅅ
@hder9
@hder9 13 күн бұрын
@@answnghd 알리 테무를 미국에서도 위협이라고 보는 이유라도 검색해주세요
@user-js7br5sc3q
@user-js7br5sc3q 13 күн бұрын
제발 아무것도 하지 말고 그냥 있어 나라 망치지 말고
@user-zk6bg4wk4s
@user-zk6bg4wk4s 13 күн бұрын
죄앙이 말하는거?
@Small69Korea
@Small69Korea 13 күн бұрын
응 이제 시작이야 😊
@user-ys3pt6tu1p
@user-ys3pt6tu1p 13 күн бұрын
진짜 정떨어지는 나라 걍 갈아엎어야됨ㅋ
@abusemachine1945
@abusemachine1945 13 күн бұрын
술처먹고 해외 여행이나 다니는 기간이 나라를 그나마 덜 망치는 기간이라 오히려 좋을 줄이야...
@user-ns2yu5jl2v
@user-ns2yu5jl2v 13 күн бұрын
그냥 술이나 쳐먹고 해외다니라 그래요ㅜㅜ 우리나라 들어오지 말고 그냥 해외여행다니십시오 제발ㅜㅜ
@user-kv2um4bx1t
@user-kv2um4bx1t 12 күн бұрын
단통법 생각나네… 그땐 그냥 넘어갔는데…
@DzDd-ig4bv
@DzDd-ig4bv 12 күн бұрын
아마도 직규금지 유야무야되면 슬쩍 관세 상한 내리고 마무리할듯
@user-yb1yc4or3d
@user-yb1yc4or3d 13 күн бұрын
가습기 사건 터졌을때 그 잘난 인증마크 박은 사람들 중 책임진 사람이 있었나?
@eunomia04
@eunomia04 13 күн бұрын
영리 목적을 갖는 한낱 민간 기관 따위의 인증에 공신력이 생김?????
@user-cj9eh1do9l
@user-cj9eh1do9l 13 күн бұрын
자격증 장사처럼 인증 장사하는 회사들 만들어서 꿀빨겠다는거죠
@user-tt1pv9sj4h
@user-tt1pv9sj4h 13 күн бұрын
테무나 알리 보면 제재의 필요성은 있어보이나. 이번정책은 좀 핀트가 많이 어긋남. 솔직히 외국의 인증제도에 통과한 제품에 대한 수용도 당연히 들어갔었어야하고 그게 다 준비되고나서 이런 정책을 발표했었어야하는데. 그냥 애초에 안전은 핑계이고 해외직구 자체를 막는게 목적인것같아 수정하는게 맞다고 봉
@namgok
@namgok 13 күн бұрын
미국 캠핑트레일러 현지가격 3만 달러, 한국은 1억, 할리데이비슨도 미국보다 적게는 오백에서 이천까지 비쌈. 직수는 가능해도 인증도 까다롭고 비용도 비쌈
@user-fh1wb7vi6r
@user-fh1wb7vi6r 13 күн бұрын
몇년동안 형님을 봐왔지만 지금처럼 분노하신걸 본 적이 없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pk4kz8kt2f
@user-pk4kz8kt2f 5 күн бұрын
그냥 똑같은 제품, 예를 들면 수입하면 만원이면 사지만 똑같은 제품이지만 KC인증 받은거 사라는거... 대신 10만원내라... KC 찍었다는 이유하나만으로...KC받기위해선 싼돈아니라고 알고 있음... 중소기업들 KC받기 꺼려함
@dongsoo9248
@dongsoo9248 13 күн бұрын
진짜 ㅋㅋ 가둬놓고 비싸게 팔아먹으라는 나랏님의 배려 😂 그래도 되는게 코레아니깐.
@Jeongc
@Jeongc 13 күн бұрын
탄핵 방향으로 +20 증가함......
@user-xj1xr7mq1v
@user-xj1xr7mq1v 13 күн бұрын
탄핵해야 됩니다 하는짓이 명분도 없고 막무가내 식으로 밀어 붙이고 나라 공산당 처럼 만들고 있죠
@hanekds6119
@hanekds6119 13 күн бұрын
아니 이건 보수가 봐도 골때린다고 ㅋㅋㅋ 여야 합쳐서 끌어내려야됨 중국이나 북한처럼 되는 거 개 역겨움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13 күн бұрын
이건 탄핵이나 하야 사유 충분한거 같은데? 관세보복으로 인한 국가 경제 안보 위협과 일반 시민의 권리를 명백하게 침해했으니
@redninga65
@redninga65 13 күн бұрын
수호천사 국민의 힘이 있어서 안됨요.
@klerystherandomwalker2169
@klerystherandomwalker2169 13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나라팔아먹고 간첩질 한것보다 이게 더 문제고 탄핵사유라고 생각함.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면 그 다음은 나 독재하고 너네는 시키는대로 살아 이마인드잖아. 그러면 그냥 왕정 하지 뭐하러 민주정 하냐?
@turnpong2237
@turnpong2237 13 күн бұрын
6월 강행한다는데 형까지 사실상 철회라는 훼이크를 그대로 받아주면 어떡해...
@user-uu2mw7kx4q
@user-uu2mw7kx4q 13 күн бұрын
저거라도 안 받아주면 세무조사 들어갈 판이라.....
@user-ig6yb7li1j
@user-ig6yb7li1j 12 күн бұрын
결국 이익은 사유화하고 그로인한 손해는 사회가 떠안는 구조입니다.
@Cresent999
@Cresent999 12 күн бұрын
25:40 부끄러운 자화상
@user-jx7dl5jw6n
@user-jx7dl5jw6n 13 күн бұрын
곧있으면 압수수색+세무조사+검찰조사 받을거 같으면 개추
@user-iv4hc5oo9g
@user-iv4hc5oo9g 13 күн бұрын
본인 전석재인데 개추 눌렀다
@user-up6wp9fb4c
@user-up6wp9fb4c 13 күн бұрын
이게나라냐 자..살 당하는걸 걱정하는 나라가 정상인가...
@bluemoon8315
@bluemoon8315 13 күн бұрын
거니 이사 갈때 버린 책도 주우면 검찰 소환 받음 ㅋㅋ
@dhehhssifj
@dhehhssifj 13 күн бұрын
조금씩조금씩 국민의 기본권 침해와 억압통제가 늘어간다. 이게 자유민주주의 국가??
@user-gj3ni2rq4b
@user-gj3ni2rq4b 13 күн бұрын
아직 3년이나 더 남았다는게 소름끼친다....
@user-rh2uz8do5d
@user-rh2uz8do5d 13 күн бұрын
다음은 째매이 햄인데 섭종 8년남았네
@user-gj3ni2rq4b
@user-gj3ni2rq4b 12 күн бұрын
@@user-rh2uz8do5d 열심히 좀 사세요
@Mococo0420
@Mococo0420 12 күн бұрын
나도 째매이햄 시러하지만 지금 하는꼬라지보니 누가한들 개판되는건 매한가지구나 생각하게되네
@Wasabi_0127
@Wasabi_0127 12 күн бұрын
째매이가 깡패여도 직구 금지는 안시킬 듯
@jiyounghwang8083
@jiyounghwang8083 13 күн бұрын
우와 포털 메인에 이 주제 기사들 싹 사라졌네요
이란 대통령 헬기 추락, 누구 탓인가?
27:3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704 М.
중국, "대만은 죽음의 섬이 될 것"
24:1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45 М.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OMG 😨 Era o tênis dela 🤬
00:19
Polar em português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OECD : 한국 경제성장률 너무 좋다 (??)
26:2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거지에서 황제가 된 명나라 태조 주원장 이야기
22:0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경력 같은 신입 AI' 뽑습니다.
26:37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29 М.
영국과 아일랜드의 난민 전쟁
21:01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13 М.
프랑스 식민지 뉴칼레도니아 비상사태 선포
34:43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756 М.
세계에 부는 미성년자 SNS금지법
25:2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697 М.
놀라움을 안겨준 GPT-4o 공개
32:3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805 М.
청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
27:13
슈카월드 코믹스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하루에 13조원씩 증가하는 미국 국가 채무
31:06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Saito09 funny video 😂😂😂 #shorts
0:16
Saito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ИРИШКА ВЗОРВАЛАСЬ! ПАША ВЫНУЖДЕН ЗАЩИЩАТЬСЯ!
0:40
Иришка и Паша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Cute Kids 🥰 Which is your farvorite? #comedy
0:34
Dreams House Dance Academy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Left ro Right @My dollars are gone@
0:48
Matin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