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0(목)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저출산위) 엔비디아 세계 최고… 우리 반도체 경쟁력?(고동진) 한동훈 vs 나경원(박성민) [김현정의 뉴스쇼]

  Рет қаралды 127,599

CBS 김현정의 뉴스쇼

CBS 김현정의 뉴스쇼

9 күн бұрын

6월20일(목) 김현정의 뉴스쇼
#인구비상사태 #젠슨황 #한동훈vs나경원
#일타박성민 #뉴스연구소 #놓지마뉴스 #김현정의뉴스쇼 #댓꿀쇼
◎ 1부 (7:10-8:00)
[뉴스 연구소] 1년씩 vs 협잡 / “장기판 졸이 아니다”/ 북러 동맹 복원
- CBS 이준규 기자, 경향신문 박순봉 기자
[인터뷰 (1)] 인구, 국가 비상 사태!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
◎ 2부 (8:00-9:00)
[놓지마 뉴스]
- 방송인 강승희
[인터뷰 (2)] 엔비디아 세계 최고 등극, 우리 반도체 경쟁력은?
-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
[일타 박성민] 한동훈 vs 나경원 구도? 그리고 원희룡?
- 정치컨설팅 ‘민’ 박성민 대표
[미니 댓꿀쇼] 한동훈, 출마 이후 행보는?/ 이재명, 대표 연임?
- 정치컨설팅 ‘민’ 박성민 대표
▣ 라이브 방송 안내
뉴스쇼 라이브 방송 | 월~금 오전 7시10분~9시
댓꿀쇼 라이브 방송 | 화·목·금 주 3회 본방송 이후 9시
▣ 김현정의 뉴스쇼 유튜브 구독하기
goo.gl/ApKab6
▣ 제보 및 의견
◇ 문자: #1212
◇ 뉴스쇼 제보 이메일: cbsnewsshow@gmail.com
◇ 댓꿀쇼 관련 이메일: newsshow.cbs@gmail.com
◇ 라디오 채널: 표준FM 98.1MHz
◇ 모바일 레인보우
- 안드로이드 구글플레이: goo.gl/0fboZU
- 애플 앱스토어: apple.co/2ytJKPW
◇ 뉴스쇼 홈페이지: url.kr/vhwzxl

Пікірлер: 82
@cbsnewsshow
@cbsnewsshow 7 күн бұрын
***** 6/20(목) 뉴스쇼 ***** [뉴스 연구소] 1년씩 vs 협잡 / “장기판 졸이 아니다”/ 북러 동맹 복원 - CBS 이준규 기자, 경향신문 박순봉 기자 [인터뷰 (1)] 인구, 국가 비상 사태!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주형환 부위원장 [놓지마 뉴스] - 방송인 강승희 [인터뷰 (2)] 엔비디아 세계 최고 등극, 우리 반도체 경쟁력은? -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 [일타 박성민] 한동훈 vs 나경원 구도? 그리고 원희룡? - 정치컨설팅 ‘민’ 박성민 대표 [미니 댓꿀쇼] 한동훈, 출마 이후 행보는?/ 이재명, 대표 연임? - 정치컨설팅 ‘민’ 박성민 대표
@hayden_song
@hayden_song 7 күн бұрын
썸네일 안바뀜
@user-du4ld9se2z
@user-du4ld9se2z 7 күн бұрын
정말 한심한게 역대 가장무능력하고 무지한사람들이 모여있는 윤정부에서 수많은토론과정을 거쳐서 논의되어야하는 민감한문제들을 해결하겠다고 던져대는것이다 무식한놈이 용감하다더니 진짜 대책없이 남발해대는 정책때문에 어처구니가 없다! 제발 아무것도 하지말고 건드리지말아라
@douglaston6631
@douglaston6631 7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진짜 일타 같았음. 핵심만 짚어줌.
@yoonse-young422
@yoonse-young422 7 күн бұрын
김현정 앵커님 역시 유경험자라 그러신지 저출산 대책에 대해 정말 날카롭고 실용적인 질문들 많이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user-fk2ms8qc3i
@user-fk2ms8qc3i 7 күн бұрын
평화가 이곳에 임하길....
@user-du4ld9se2z
@user-du4ld9se2z 7 күн бұрын
21대와 달리 22대국회에선 야당이 적극적으로 국민을위해 제대로 일해주시길! 추락하는경제와 안보를 하루라도빨리 정상으로 되돌려놔야한다
@user-du4ld9se2z
@user-du4ld9se2z 7 күн бұрын
ㅎㅎ 친윤으로 원희룡이 나선거네 ㅎㅎ 이번 국힘당전당대회는 지들끼리 치고박고하겠네 보는재미는 있을듯
@paulschrader9682
@paulschrader9682 7 күн бұрын
반도체 초미세공정에서 압도적 1위는 삼성전자 아니고 TSMC입니다. 전세계 점유율 92 퍼센트입니다. 삼성전자는 DRAM 압도적 1위입니다. 그런데, DRAM은 범용 반도체라서 시장규모 성장이 시스템반도체, HBM 메모리반도체에 비해 크게 뒤집니다. 초미세공정 1위라고 잘못 전하지 말아주세요.
@user-is4gd2rh4y
@user-is4gd2rh4y 7 күн бұрын
잘 나가게 해 줬더니, 권력 독점하려고, 갖은 악행으로 내 쫓아내더니...총선 폭망한 것도 모자라서... 역모니? 쿠테타니? 지들끼리 난리법석 떠는 꼬자지 볼 만하네..!
@jpakchir6828
@jpakchir6828 7 күн бұрын
미쿡의 이름모를 소만 사는 시골에는 수십억투자해도 한국에는 설 근처만 공장 짓겠다는 삼성 그많은 전기는 어디서 끌어쓸까~
@trueboxer
@trueboxer 7 күн бұрын
김현정 앵커님 "IT 반도체하면 우리나라가 최고이고 선두주자인데" 라는 말씀을 반복하시는데요. 일부로 그러시는거지요? 우리나라가 IT 반도체 부분에서 좋은 성과를 낸것은 메모리 반도체 D램 분야입니다. 일부 분야라는 말이에요. 단한번도 인텔, AMD, 엔비디아 등 시스템 반도체 부분에서 비벼본적이 없습니다.
@user-ju8eu2ml6v
@user-ju8eu2ml6v 6 күн бұрын
저출생 문제는 코로나로 인한 대인 관계 단절 굥의 횡포 이거임 2000년대 2010년대 같은 시각으로만 봐서는 안됨
@Deisubnumineviget0531
@Deisubnumineviget0531 7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사람들이 남자나 여자나 자의식이 굉장히 높고 예민하고 섬세한 사람들이고 상처도 잘 받잖어요 되게 여린 사람들인데 국가가 너무 둔탁하고 무식하게 올드해요 국민 수준에 안맞는 낡은 체제이고 시스템인데다 종교국가가 아닌 담에야 국가나 정부가 특정 가치관이나 문화를 강요할 수도 없는 거라서 이런 부분을 종교사회에서 대신 메꿔줘야 하는데 솔직히 나라에 권력자들은 많지만 지도자는 없다는 게 슬픈 일이고 국민들이 복이 없다 싶은 거죠 출산 문제 들고 나와 국가적 비상상태 선언하는 걸 보니 저게 제정신인가 싶어요 얼마나 본인이 다급하면 저러겠노 싶어서 참 저런 걸 뽑아놓고 서로 기가 막혀 하는 꼴이잖아요 더 기가 막힌 건 뭐 정권을 바꾼들 더 나아질 거 같지도 않다는 거예요 국민들이 희망이 없습니다 그런데 뭐 애를 낳겠어요 용인 푸씨도 아니고
@TheNicelss81
@TheNicelss81 7 күн бұрын
갑자기 비상사태? 출산률저하가 언제부터 진행됐는데 이제와서 그런 소릴하나 ㅋㅋ
@user-ze6ie7vv4n
@user-ze6ie7vv4n 6 күн бұрын
올쏘올쏘올쏘
@user-du4ld9se2z
@user-du4ld9se2z 7 күн бұрын
3년이나 남은대선을 어찌 난장판인 지금 예측할수있을런지! 관건은 22대국회에서 누가 국민을위해 더 많이 제대로 일하는모습을 보여주는지에 따라 민심도 달라지겠죠! 지금은 누가더 국민을위해 일하는냐가 핵심입니다
@user-qi8pm5tp4l
@user-qi8pm5tp4l 7 күн бұрын
아이를 봐주는 부모님에게 무료 의료와 부모님들이 모여서 아이봐주기 등등 부모를 활용한 ? 방안이 필요합니다
@user-pz6hn3ij5d
@user-pz6hn3ij5d 6 күн бұрын
출산장려 정책이 직장 여성에게만 지원해 주는 대책만 나오다니... 출산장려는 국가의 미래생존을 위한 산업으로 발상의 전환를 하여 아이 키우는것이 행복하고 잘하는 여성에게 국가가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다자녀를 낳을때 더 큰 지원을 하는 정책이 나와야 함.
@trueboxer
@trueboxer 7 күн бұрын
김현정 앵커님 지속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말씀하고 계시는데요. 반도체 미세공정에서는 누가 뭐래도 세계최고 삼성전자. 대만 TSMC가 세계 1위로 올라선지가 몇년째입니까.
@user-pv3bm1og7m
@user-pv3bm1og7m 3 күн бұрын
똑바로 유튜버혀ㅆ?!
@jpakchir6828
@jpakchir6828 7 күн бұрын
단순한 군사충돌로 자동개입? 그런일은 극혐개무리들이나 일어나길 바라는 일이고
@davincirhi4105
@davincirhi4105 7 күн бұрын
비상사태는 깜이 아닌 자가 있다는 것이다.
@통찰
@통찰 4 күн бұрын
현재 우리나라가 저출산 및 혼인율이 계속 낮아지는 이유 정리해 봄 1. SNS 비교 문화 : 해외 여행, 명품 브랜드, 호캉스, 오마카세, 골프, 외제차 등.. 다른 사람들은 하나같이 행복해 보이고 럭셔리 한 삶을 사는데 나만 그렇지 않은 남과 비교하는 삶에서 불행함을 느낌 2. 미디어의 영향 : 환상의 K 드라마 - 훤칠한 재벌2세, 전문직 등이 일반인 여성 하고 결혼하는 내용을 어렸을 때 부터 보고자람 그렇게 하지 못한 여자는, 패배한 인생을 사는거라는 사회 기조나 인식이 내제됨 + 미디어에서 결혼은 여성에게 손해라는 피해의식 주입 + 유명 연예인의 이혼소식 미디어와 여초에서 주장하는 독박가사, 독박육아, 애 낳아주잖아, 경력 단절 등 : 결혼은 여자한테 손해이며 반반 결혼식은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게 만듦 미디어/SNS로 인한 여자들의 남성에 대한 기준이 높아짐 3. 학력, 연봉, 좋은 직업, 자가/ 차소유 여부, 부모님 노후 대비 여부, 키, 외모 등등... 결혼 남성에 대한 기본 디폴트 값이 높아져, 남자에게 있어 결혼이란 허들이 너무 높아짐. 4. 여자들의 평균 초혼 연령 증가 : 위 이유와 사회진출로 인해 평균 초혼 연령 자체가 높아짐 평균 산모 연령자체가 높아짐에 따라 근본적인 출산에 대한 확률 자체가 낮아짐 5. 부동산 폭등의 영향 : 한창 부동산 가격 올라갈때 대출을 받아서라도 빨리 아파트를 사야하는 기조가 생김. 부동산 가격의 엄청난 상승 -> 결혼의 큰 요소인 집 마련 생각을 포기 하게 만듦. 6. 마통론, 스탑럴커론, 퐁퐁론, 설거지론, 도축론 등의 출현 : 남자에게 원하는 사회적 기준은 높은데 반해 가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대우는 그렇지 못한 현실 연애 및 결혼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하지 않던 남자들에게 확실한 마인드 변화가 생김 -> 연애 포기, 결혼을 고려치 않는 남성들 증가 7. 힘들게 결혼하더라도 육아 비용과 교육 비용 및 본인 희생에 대한 부담 : 아이 갖는 것에 대한 부담이 매우 커짐 -> 딩크족의 증가 앞서 언급한 여러가지 요인이 결합되어 사람들이 연애와 결혼을 꺼리고 그 결과 저출산으로 이어지게 된거죠. 정치들인과 자칭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문제가 뭔지 모르고 있어요. 이미 결혼한 사람의 임신출산 여부와 여성의 육아환경 문제만 포커스를 맞추고 있죠. 근본적인 해결책? 일부 지원이나 제도(그나마 가장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게 부동산 정책, 지방 분산 정책, 여가부폐지, 여성징병제 정도)를 통해 아주 소폭의 출산율 반등이 가능할진 몰라도 최소 20년간 큰 변화는 없다고 보구요. 어짜피 바뀌지 않을거라면 자연스러운 시대의 흐름이라고 생각하고, 담담하게 그 변화를 받아 들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user-fb2cs7lp5h
@user-fb2cs7lp5h 7 күн бұрын
세 월 호 - 사망할지도 모름 코 로 나 - 인간관계 파괴 (그리고 한국뿐 아니고 전 세계적으로 그리 됨) 굥의 농단 - 말 안해도 다 알것이고 이게 원인
@user-wm4wm8yk2t
@user-wm4wm8yk2t 6 күн бұрын
추씨 제안이 아니고 수작질이구만~
@changlhee3561
@changlhee3561 6 күн бұрын
고동진 의원은 국힘당에서 제일 정상적이신분 같네요. 워낙 미정상적인 분들이 많음
@user-kl8bj8lx7j
@user-kl8bj8lx7j 6 күн бұрын
1:16:00 ㅋㅋㅋ 이조심판론이 이철규 조정훈인가 ?? ㅋㅋㅋㅋㅋㅋ
@Moon-xj3lv
@Moon-xj3lv 7 күн бұрын
전반적으로 여기 나오는 평론가나 사회자가 예측하고 분석하는거 반대로 된다고 보면 된다 ㅋㅋ
@user-lu9hi1yx1t
@user-lu9hi1yx1t 6 күн бұрын
김현정앵커님, 경찰이 휴무날에 범인을 제압하는게 당연한 일인가요? 경찰관분이 사명감으로 하신일을 당.연.한. 일로 치부하는것은 선을 넘은 발언인것같습니다. 어떤직업이든지간에 근무시간이 아닌 시간은 쉴수있는 권리가 있는법입니다. 그것을 정치진행자가 당연하다고 아무생각없이 발언하는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yu7xm2lv9r
@user-yu7xm2lv9r 6 күн бұрын
불편하면 자세를 고쳐앉아~
@user-kg6uy5yf3i
@user-kg6uy5yf3i 7 күн бұрын
이재명 만세 이재명만이 미래다
@picture123jo
@picture123jo 7 күн бұрын
R&D산업에 국가가 나서서 투자해야 합니다. 현재 중국은 국가가 엄청나게 투자해서 일부분은 완전 뒤쳐지고 있습니다. 심각합니다.
@jpakchir6828
@jpakchir6828 7 күн бұрын
돈 거품현상에 게거품들 그만 무시고 미대선 끝나면 반절은 폭락할듯
@chparksch
@chparksch 7 күн бұрын
저 커피 마시고 싶어요
@Deisubnumineviget0531
@Deisubnumineviget0531 7 күн бұрын
산모수첩 받고 병원 다니면서부터 무한대의 엄마끼리의 경쟁이 벌어지는 게 한국이잖아여 아파트 문화라 사람들이 엄청 예민하고 비교가 저절로 안될수가 없어요 여성들이 이기적이라 아이를 안낳는 게 아니라 매순간 또다른 경쟁과 죄책감에 시달리기 싫으니까 딩크를 하는 거고 조카바보로나 사는 걸 국가나 관료들이 알겠냐고요 부모가 되는 기쁨 보다는 불예측이 더 싫고 두려움과 육아 공포감 때문에 기피하는 문화가 이미 자리잡은 지 오래예요 문화가 바꼈다고요 부모님들도 손주들 안봐줘요 당신들 인생이 더 바쁘고 지금 노인들은 다들 고등교육 받은 세대라 희생 안하고 산 분들이세요 국민들은 이미 21세기에 사는데 공무원들만 20세기 마인드예요 출산정책에 수백조 썼다는 둥 그거 다 공무원 유지하는 데 쓴 거죠 우리 이모 딸 중에 산부인과 의사가 있어요 인서울 의대 외래교수도 하는데 애 안받아요 여성클리닉이나 하는 거죠 국민들 수준과 사고방식을 못따라오는 국가 시스템과 관료적 문제 접근 방식 그리고 안일한 정치권이 문제 그 자체입니다 사람들 기준치가 엄청 높아졌는데 국가에서 최저 비용 대준다고 사람들이 그거 바라고 애를 낳겠냐고요 부모가 되면 좋을 신중한 사람들은 두려워서 결혼 출산을 너무 조심스럽게 접근하는데비해 또 국가 지원이 베네핏이 확실히 되는 계층은 사실 아이를 낳아도 무책임한 사람들이 지원금과 지원정책 바라고 무책임하게 아이들 낳고 이게 뭔가 매칭이 안되고 있잖아요 사람들의 의식과 문화가 아예 바뀌었고 부모들도 잘난 자식일수록 결혼하지 말라고 하는 시대인데 뭐자꾸 국가만 쓸데없는 사람들 자리주면서 예산 쓸 생각이나 하냐고요 효과 없습니다 ㅉㅉ
@user-bl1yq5dw7j
@user-bl1yq5dw7j 7 күн бұрын
네 맞음 그러나 지금은 예전보다는 조금은 나아지기는 했음 코로나로 인한 인간관계 파괴로 (이건 그나마 좋은일) 아직 갈길은 멀지만
@user-ti4tm7hk4y
@user-ti4tm7hk4y 7 күн бұрын
정확하게 지적! 해 주셨습니다.. .. 부모는 , 아이가 있으면 행복! 하지만.. .. 아이가 살아가야 할 세상! 이.. 너무나 힘! 들것을 잘 압니다.. .. 아이가 힘! 들것을 염려! 하며.. 안! 낳는 겁니다.. .. 선진국이나 교육 받은 계층들이, 이미 깨닫고 안! 낳는 겁니다.. .. 물, 공기, 기후, 의료, 교육, 위해 환경 , 등등.. 모두, 아이들에게 힘든 세상! 입니다.. .. 대한민국은, 교육수준도 높고.. 경제수준도 높으니.. 아이들에 대한 생각이, 다른 나라보다 깊은 겁니다..
@Deisubnumineviget0531
@Deisubnumineviget0531 7 күн бұрын
요즘 세대들은 더해요 연애도 안해요 결혼도 안하고 애도 안낳아여 학원에서 가르쳐주지 않아서 어떻게 하는 지 모른대잖아요 사람이 좋으면 공원이든 도서관이든 어디에서든 자기들 방식대로 자기들 형편에 맞춰 교제 해야하는데 그 연애 패턴 마저도 규격화 되어서 남들 하는 만큼 따라하지 못하면 아예 안하는 걸 자기들 자존심으로 아는 게 요즘 사람들이예요 한국사람들이 특히 심해여 똑같이 사는 걸 원하면서도 극혐하잖아요 연애 중인 애들은 인스타 올리는 사진이 다 같은 데로 다니더라고요 똑같은 곳에 가고 똑같은 사진들이잖아요 그러면서 서로 불행해하고 자식 낳아 같은 삶을 살게 한다는 게 자신이 없는 거예요 이걸 국가가 알겠냔 거죠 너무 끔찍할 정도로 인간을 개돼지 취급하고 단순하게 접근하는 거예요
@user-wy9dd4pj2v
@user-wy9dd4pj2v 7 күн бұрын
누군진 모르겠지만 젊은남녀간 혐오를 그렇게 조장한분들 책임이 크죠 ㅎ
@user-bl1yq5dw7j
@user-bl1yq5dw7j 6 күн бұрын
​​@@user-wy9dd4pj2v 일베 메갈 적대적 공생관계
@user-qi8pm5tp4l
@user-qi8pm5tp4l 7 күн бұрын
부모세대에게 아이를 봐줄수 있는 뭔가를 걸어야 모두가 삽니다.
@user-is4gd2rh4y
@user-is4gd2rh4y 7 күн бұрын
그렇지! 당근이지! 제주박쥐의 등장! 1차 과반 저지 위한!?...게 용병. 틀딱 씨퍼면 과반 저지 가능!? 어대한서 토룡심의 극적나로...!? 초가삼간 다타서, 피죽도 못 먹는것들의 동냥그릇 쌈질 제미지네.ㅋㅋㅋ
@user-ti4tm7hk4y
@user-ti4tm7hk4y 7 күн бұрын
1 원희룡님의~ 출마 ! 는, 대한민국 국민 모두.. 당연! 하게 예상 ! 했습니다.. .. 2 이제 친× ! ~ 은, 거의 없다고는 ! 하지만.. .. 3 윤대통령님을 위하는 듯! 하며, 자신들의 이익 ! 을, 챙기는 인간들이 있습니다. .. 4 그러한~ 인간 ! 들이, 원희×~ 님을 부추! 기는 겁니다.. .. 5 국민들께서, 양평 ! ~ 로 인해.. 원희× ! ~ 님께, 화 ! 가 많이 나셨었습니다.. .. 6 원희× ! ~ 님의 , ~ 출마 ! 로 인해 , 국민들께서.. .. 김~ 님에 대한 분노! 가 , 더욱 ! 커질 것입니다.. .. 7 그들로 인해, 윤대통령님께서.. 더욱 ! 힘드실 겁니다.. .. 8 또한.. 영남만 ! 발전 ! 시키시면, 대한민국 국민들이 분열! 됩니다.. .. 그렇게, ~ 하시게되면.. .. 9 정권이 ~ 바뀌면 , 반대의~ 현상! 이 일어납니다.. .. 10 대한민국 전체 ! 를 생각 하셔야, 대한민국이 화합! 하게 됩니다.. .. 11 그래서, 지도자는 외로운! 겁니다.. .. 지도자가 희생 ! 하셔서, 국가와 국민을.. 행복 ! 하게 하셔야 합니다.. .. 츨연자분들과, 김현정님께 감사 드립니다.
@user-ld8vn6kb4s
@user-ld8vn6kb4s 7 күн бұрын
썸네일 표지가 수요일로 보여요😮
@user-pi5fz2xd7l
@user-pi5fz2xd7l 7 күн бұрын
고동진의원은 진짜 국힘이든 어디든 열심히 활동해 주세요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한 고찰 감사합니다😊
@only-jesus3
@only-jesus3 7 күн бұрын
1. 불균형 - 모든 촛점은 출산때와 아이가 어렸을때 기준으로 맞추어졌네요 2. 공교육 개혁 - 돈은 학년이 올라 갈수록 많이 들어갑니다. 입시, 수능, 믿을 수 없는 극심한 경쟁 서열 순위, 사교육 안하면 절대 대학 못가는 공교육 구조가 바뀌지 않는한 사교육비 굴레에서 못 벗어납니다 3. 부모들이 전부 덤탱이 씀 - 낳으라 했놓고 가정교육이 어떠니저떠니, 부모가 저래서 자식이 저런거라고~ 언론들의 여론몰이로 부모들을 비난하고 비판합니다. 4. 근본과 원인을 안바뀜 - 공교육의 본질과 뿌리가 안바뀌는 한 학년이 올라 갈수록 이 어려움은 도로 제자리입니다 5. 사교육시장 먹여 살리려고 잘못된 공교육을 안바꾸는 큰 이유중 하나 - 정말 사교육 시장 종사자들 일자리가 그것밖에 없을까요? 연구하면 많습니다. 그 분들도 충분히 교육개혁 안으로 들어와도 일자리는 있습니다. 연구 안해서 그냥 이대로 가는겁니다. 6. 최선이 안되면 차선 - 공교육 개혁을 대처 할 수 있는건 복지밖에 없습니다. 기본소득과 탁월하고 뛰어난 복지정책입니다. 그러나 이또한 갈길이 험하고 멀지요. 7. 다음세대들에게도 희망은 공교육 개혁에 있습니다. 공교육이 바뀌면 사회 전반적인 것이 모두 바뀝니다. 공교육의 본질이 개혁되지 않고 뿌리가 바뀌지 않는다면 안낳을 것 같습니다.
@user-fb2cs7lp5h
@user-fb2cs7lp5h 7 күн бұрын
거기에 세 월 호 코 로 나 굥 도 추가 해야 님 말에 공감하지만 그거는 20년전 10년전에도 마찬가지였는데 (사교육과 그걸 부추키는 공교육의 부조리는 지금보다 그때가 더 심했죠) 그리고 요새는 학교 학원 안다니는 자들도 증가중 사상 최저가 나온건? 요즘은 저 3가지가 더 큰 원인임
@only-jesus3
@only-jesus3 7 күн бұрын
@@user-fb2cs7lp5h 답글사절, 본인 생각은 댓글로 자유롭게 하세요. 참고로 공교육 문제는 10년 20년 된게 아닙니다. 너무 오래되었죠. 이젠 변화되고 개혁 되어야죠.
@user-fb2cs7lp5h
@user-fb2cs7lp5h 7 күн бұрын
​​@@only-jesus3 네 맞습니다 lee 완용이 잘못 뿌리내린 공교육 체계가 (이자가 학무 대신) 지금도 내려져오니 제대로 될리가 없죠
@only-jesus3
@only-jesus3 6 күн бұрын
@@user-fb2cs7lp5h 고맙습니다. 가끔 그냥두고 싶은 답글들도 있지만 그러면 어떤 답글은 되고 어떤 답글은 안되냐고 시비걸고 따지는 분들이 계셔서 어쩔 수 없이 다 답글 사절하고 댓글로 하라고 합니다. 자유롭게 댓글로 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평안한 날 되세요. ^^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 7 күн бұрын
누가 아이를 많이 낳아야 할까요? 1. 정치인 2. 공무원 3. 회사원 4. 공장근로자 5. 상인 자영업 6. 일용직 근로자 7. 건물주 8. 실업자 9. 대학교수 10.방송국 근무자
@user-ze6ie7vv4n
@user-ze6ie7vv4n 6 күн бұрын
실업자 빼고.다!
@user-pz6hn3ij5d
@user-pz6hn3ij5d 6 күн бұрын
발상의 전환 좀 하시길...아이만 키우며 전업주부를 원하지만 경제적 여건 때문에 어쩔수 없이 직장 다니는 여성에게 국가가 육아에 전념 할수 있도록하면 육아를 싫어하는 능력있는 여성이 아이를 키우는게 더 비효율적이고 아이에게도 불행이다.
@user-pz6hn3ij5d
@user-pz6hn3ij5d 6 күн бұрын
출산장려 정책이 직장 여성에게만 지원해 주는 대책만 나오다니... 출산장려는 국가의 미래생존을 위한 산업으로 발상의 전환를 하여 아이 키우는것이 행복하고 잘하는 여성에게 국가가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다자녀를 낳을때 더 큰 지원을 하는 정책이 나와야 함.
@user-ze6ie7vv4n
@user-ze6ie7vv4n 6 күн бұрын
@@user-pz6hn3ij5d 아이는 엄마가 키워야!!! 가능한요. ㅡ정서적으로 안정됩니다!!!
@user-ew5mp7jj6c
@user-ew5mp7jj6c 5 күн бұрын
@@user-ze6ie7vv4n 옳으신 말씀입니다. 세상에 별난 엄마 있는 거 아니죠. 가슴에 품고 잘 키운 아이가 가족도 지키고 나라도 지킨다고 봅니다.
@ghhan-vz8zr
@ghhan-vz8zr 7 күн бұрын
그쓰잘대없는짓 말고 그냥 출산하면 1억씩 주면 알아서 하게끔 하는게 맞는것 같다
@user-uf9nl6gz8n
@user-uf9nl6gz8n 7 күн бұрын
보수패널 박성민!!!! 균형좀 지켜라
@changhoiahn503
@changhoiahn503 6 күн бұрын
두사람 은근한여당편인것 다 알아 노골적이지않아 노골적인 언론환경에서 그래도 합리적이라 봐주는것이죠 용기는 제로인것은 확실 손석희 가 그립다
@doj6455
@doj6455 7 күн бұрын
박성민이 급하구나. 불과 얼마전에 난 중립이라고 헛소리를 하더만.. 스븟에서..이젠 힘당을 우리라고 하네
@only-jesus3
@only-jesus3 7 күн бұрын
ㅎㅎ 그거 협상 아닙니다. 독단입니다. 범~ 야권도 민주당도 주요 전략이 있지요. 민주당도 주요전략을 할건 하자로 가시길 바랍니다. 협의 없이 본인들 주장만 하는 것은 받지 말고, 국민의 힘에 거부권을 막아 달라는 말도 하지 마세요. 국민의 힘의 주요전략이 거부권인데 그게 됩니까? 국민의 힘과 대통령은 결코 안 바뀝니다. 그대로 아니 더 심해질 것입니다.
@user-is4gd2rh4y
@user-is4gd2rh4y 7 күн бұрын
방가방가 민민민!
@user-pn8ix7pm5y
@user-pn8ix7pm5y 7 күн бұрын
한동훈정치포기하라너는위험하다 나오안되다경고
@Deisubnumineviget0531
@Deisubnumineviget0531 7 күн бұрын
출산정책은 백약이 무효일 거예요 국가가 주도하는 출산 정책이란 어차피 개인들의 사상이 변한 이상 별로 도움 안됩니다 아이를 낳을 결심하는 사람들에겐 촉진제 역할 할 수는 있겠지만 아이 생각이 없는 사람들에겐 별로 쓸모가 없는 정책이거든요 이건 종교나 가치관의 문제이지 돈 얼마 국가에서 더 주고 말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프랑스가 전폭적인 출산 장려 정책 폈지만 결과적으로 프랑스에 이주한 무슬림이나 다른 컬러드들만이 아이를 더 많이 낳았을 뿐이예요 근데 그 사람들은 문화 자체가 다산 문화잖아요 미국도 국토나 국격에 비해 인구가 아주 많은 나라도 아닙니다 유럽이나 캐나다 단지 인구 문제 때문에 이주자 받아들였다가 지금은 내부 문제가 되어 더 골치 아프잖아요 무슨 짓을 해도 사람들이 애를 안낳더라 하면 지금의 저출산에 국가 모형이 맞춰 나갈 수 밖에 없는 거죠 북한과 통일을 하든 , 일본과 시장부터 통합을 하든 , 그것도 아니면 미국의 자치령이라도 되든 선택을 해야겠죠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아이를 낳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정책을 펴는 한 실패할 수 밖에 없을 거예요 실제로 아이를 낳고 기를 사람들은 그런 생각으로 접근하질 않아여 차라리 가임기 모든 여성에게 국가가 난자 냉동이라도 해주는 게 나을 겁니다 그리고 대리모 제도도 양성화 하는 게 나아요
@user-bl1yq5dw7j
@user-bl1yq5dw7j 7 күн бұрын
추가로 프랑스는 미혼모 동거등
@user-cf8tn8xw4s
@user-cf8tn8xw4s 7 күн бұрын
보수들이 얼래 잘사는 인간들 혜택 많이 주지 않았나~개 버릇 남 못주지~
@rytns20
@rytns20 7 күн бұрын
30분 하겠네~ 거의 정확하게 예측하셨네요. ㅋㅋ 김현정 전문가로 임명합니다~
@user-fr3wf6oq5b
@user-fr3wf6oq5b 7 күн бұрын
아버지 이재명에 대한 답을 못들었네…
@Deisubnumineviget0531
@Deisubnumineviget0531 7 күн бұрын
이햐 외신으로 푸틴 김정은 만나는 거 보니 오싹하던데요 한반도가 급격히 격랑 속으로 빨려들어가고 있다는 게 실감나더군요 북한도 촌스러움을 많이 벗었고 김정은이 자기 아빠보단 감각이 확실히 있어요 해외파라 그렇겠지만 . 역사는 스파르타 보다는 아테네를 기억하지만 어쨌든 아테네는 스파르타한테 망했잖아요
@ricksnow6997
@ricksnow6997 7 күн бұрын
츨산 육아 휴직 쉽고 많아질수록 남자, 독신 위주로 채용할 것 같네요.
@user-to1fb5ob6r
@user-to1fb5ob6r 7 күн бұрын
민주당의 아버지, 민주당 최고의 영도자이자 최고의 존엄 위대하고 위대하도다 이재명
@shyn7833
@shyn7833 7 күн бұрын
종교냐.... 정신차리세요
@ganaan5528
@ganaan5528 7 күн бұрын
한동훈 후복자가 강남좌파란데 전라도 90%가 민주당만 올인하는데 처가집이 저라도인데 혹 90% 속에 있을까 걱정 입니다
@user-hz9fn2jx4h
@user-hz9fn2jx4h 6 күн бұрын
💣💀☠️한동훈 까페에서 좌파냐 우파냐 질문하니깐 💣🔵💣강퇴시키네요 강퇴시키네요 ㅋㅋㅋ 훈아 ❤기자회견이라도 커밍아웃하시고 💣기자회견이라도 ❤🔵커밍아웃하시고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2 МЛН
Wait for the last one! 👀
00:28
Josh Horton
Рет қаралды 103 МЛН
🌊Насколько Глубокий Океан ? #shorts
00:42
한동훈 면담 두 번 거절한 홍준표 “어린 애가 설치는 게 맞나”
18:13
[LIVE]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YTN
Рет қаралды 5 М.
"주4일제? 이제는 할 때" vs "근무시간에 딴짓하면서.."
18:31
CBS 김현정의 뉴스쇼
Рет қаралды 1,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