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선정 및 전선굵기 선정 엄청 쉽네요(전기실무) It's really easy to choose the thickness of the wires.

  Рет қаралды 564,484

찌릿전기 electrics

찌릿전기 electrics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찌릿 입니다.
전기업무 에서 자주 섭하게되는
차단기 선정 과정과 전선굵기 선정 방법을
아주 쉽고 간단하게 정리 하였습니다.^^
Hello, this is Tingling.
What you often get upset about when you work on electricity...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circuit breaker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 thickness of the wire thickness.
I organized it very easily and simply.^^

Пікірлер: 183
@user-fl2et3zu2p
@user-fl2et3zu2p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user-xm1iu9id4m
@user-xm1iu9id4m 10 ай бұрын
정말 알기쉽게 설명해주시네요! 덕분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yongholee89
@yongholee89 2 жыл бұрын
제가 찾던 정보 였는데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도움 되셧다니 감사합니다 ^^
@user-zz8qf5lf3o
@user-zz8qf5lf3o 2 жыл бұрын
틀의 기본이 되는 유익한 영상입니다
@user-ow8sx7ib8h
@user-ow8sx7ib8h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알고있는 내용이지만 가끔 되새겨야할때가 있는데 우연히 알고리즘으로 나왔네요! 구독했습니다!!
@user-ih5ke4vw3t
@user-ih5ke4vw3t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user-vx7rw5ut1j
@user-vx7rw5ut1j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techtv7284
@techtv7284 2 жыл бұрын
실무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네여 감사합니다~~찌릿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찌릿!~ㅎ
@-tv8220
@-tv8220 6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id4772
@id4772 2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bomlover7
@bomlover7 2 жыл бұрын
네 잘 듣고 갑니다
@user-rc6bd2sg3o
@user-rc6bd2sg3o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됐읍니다 고맙습니다, ㅎ
@kida7591
@kida7591 2 жыл бұрын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e2sc2tj3f
@user-ye2sc2tj3f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감사합니다
@user-pc7jo9yw8z
@user-pc7jo9yw8z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주쉽게 말씀하네요
@user-pe8lm2qk8u
@user-pe8lm2qk8u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내용 잘보았습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s1jf1yz2j
@user-fs1jf1yz2j 4 ай бұрын
최곱니다
@user-qj1vc5nl6o
@user-qj1vc5nl6o 7 ай бұрын
정답주셔서감사합니다
@user-rm6su9le9g
@user-rm6su9le9g Жыл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구독햇어요.^^
@user-do9wu5zg4e
@user-do9wu5zg4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ponuyyq1242
@ponuyyq1242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Happiness_JJ
@Happiness_JJ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선생님~~~~많은 도움이 됩니다
@tearsofryze
@tearsofryze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xz9lj2wy5y
@user-xz9lj2wy5y Жыл бұрын
50A프레임 40A 누전.배선용 차단기도 있습니다 실공사에서 적절하게 계산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user-mr1lo6bc3w
@user-mr1lo6bc3w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dukjungyun7316
@dukjungyun7316 2 жыл бұрын
시설관리시 필요정보 감사요
@yyh1118
@yyh1118 2 жыл бұрын
KEC를 적용한 선정법도 올려주시면 좋을거같네요
@user-dd3px3ud7w
@user-dd3px3ud7w 10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알아듣기좋게 잘설명해주셔서감사합니다! 보면서 궁금한게있는데 3상이랑 단상이랑 왜다르게쓰나요??
@user-yx6gs5km1k
@user-yx6gs5km1k 2 жыл бұрын
현재 차단기 생산 규격은 20, 30, 50, 60, 7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A] ~ 이렇게 생산됩니다. 그런데 제품들이 정격용량의 110%를 견뎌야 하는데 중소기업 제품들이 실상은 85~95% 정도의 전류가 흐르면 트립 됩니다. 이점을 고려하여 차단기를 선정하여야 합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ㅇ^
@user-xz9lj2wy5y
@user-xz9lj2wy5y Жыл бұрын
50A프레임 40A 누전.배선용 차단기도 있어 적절한 계산으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user-ff1bw1vb9z
@user-ff1bw1vb9z 2 ай бұрын
우리집 차단기 제대로 설치됏는지 따져 봐야 겟네요
@dongggmoo2575
@dongggmoo2575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감사합니다 좋은정보를 배웠어요 궁금한게 20a에 1.5스퀘아 로 나오는데 그럼 단상이면 2가닥이니 합이 1.5인지 각각 합하면 3인지가 궁금합니다
@user-bw6by8th2w
@user-bw6by8th2w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아주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는데요 영상중간쯤에 냉장고와 전동기 및 전등의 전력을 다 합한 전력으로 3상일경우와 단상일경우를 나누어 계산하셨는데, 전등과 냉장고는 단상전원이고 전동기같은 경우는 단상과 3상 제품이 따로 있어서 전원을 따로 나누어 사용할 텐데 단순히 14.4kw를 3상이나 단상 계산식으로 계산하는 게 맞나요? 아니면 전등과 냉장고의 합 전력은 단상으로 계산하고, 전동기가 3상이라면 전동기 전력만 3상으로 계산해서 계산해야 하나요? 어떤게 맞는 거죠?ㅠㅠ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늦은 답변 죄송합니다.^.^ 제가 전동기 부하 계산 한건 단상입니다. 용량이 작은 전동기는 단상 전동이고 있어서요 ㅎㅎ 3상인 경우는 단상가 구분해서 용량 선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 쟁이님 문의주신 내용에 맞는 답변이였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user-ir9bp7zn5h
@user-ir9bp7zn5h Жыл бұрын
전동기 부하는 저압옥내간선 규정에서 일반부하와 다르게 계산해야하지 않나요?
@lockingdevice7332
@lockingdevice7332 Жыл бұрын
기성품 차단기용량에는 40 60도 있습니다
@user-mt2hb6hi9c
@user-mt2hb6hi9c 6 ай бұрын
영상 초반부에 나오는부하용량 계산법에 따라 부하용량 10kw 기준 20a 3상4선식 차단기에 50A 단상 차단기를 설치해서 사용하면 되는걸까요? 아니면 3상이 20A 차단기라면 아래 물리는 단상도 20A 아래로 여러개 달수 있는건가요>
@joong2-RIDER
@joong2-RIDER 2 жыл бұрын
1:08 거꾸로 읽으셧습니다.~~ v분에 p 입니다.
@hola-rr5ru
@hola-rr5ru 24 күн бұрын
차단기 용량 선정은 표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차단기 허용 전류 값은 전선의 허용 전류 값과 같거나 작아야 합니다. 전류 63A 이하 1.25배 적용 전류 63A 이상 1.1배 적용 전선의 허용전류 값은 부하 전류의 1.45배 입니다. KEC 규정
@user-xl7gl9lp1i
@user-xl7gl9lp1i 2 жыл бұрын
질문드립니다. 옴의법칙에서 전류(I) = V/R 단위(A) 이고 선생님 얘기하시는 전류 I=P/V 틀린건가요? 어떤경우에 옴의법칙을 대입하는 건지 정말 궁금합니다.
@user-vr7sj8hb3r
@user-vr7sj8hb3r 2 жыл бұрын
P=VI입니다. I=VI/V가 됩니다. 그럼 오른쪽 변에 분자분모에 V를 없애면 I=I가 됩니다. 똑같지 않을까싶습니다.
@user-hk1id9yz5r
@user-hk1id9yz5r Жыл бұрын
0:58 10kw (2)단상부하가 14400으로 오타입니다 10000으로 수정바랍니다 영상잘봤습니다
@user-mq8mi6tc4x
@user-mq8mi6tc4x 6 ай бұрын
저 하나 여쭙고 갑니다... 본가집에 주방에 김치냉장고를 새로 하나 더 들여놨거든요 그런데 그이후에 차단기가 간간히 떨어진다고 합니다 메인은 50A이고 트립되는 차단기는 20A예요~ 가서 제가 확인해봐야 알겠지만 메인은 50A이시 상관없고 트립되는차단기 전선 확인해서 2.5면 4스퀘어로 변경후 차단기 30A로 교체해주면 될까요? 또한가지는.. 분전반에서 주방쪽 가는 메인전선만 4스퀘어를 쓰고 나머지 넘어가는 전선은 기존으로 사용가능한지 알고싶습니다 답변좀 부탁드려요ㅠ
@user-zq7cb6lp9j
@user-zq7cb6lp9j Жыл бұрын
정보감사합니다~ 메인차단기가 3상 200a 이고 분기가 단상20a 15개가 설치되어 있는경우 분기차단기합이 메인차단기를 넘어서는데 괜찬나요? 그리고 분기 단상차단기 부하전류 합이 200a가 걸리면 3상 메인차단기도 200a가 걸리는건가요?
@user-sm5kn5ki6x
@user-sm5kn5ki6x 11 ай бұрын
차단기 선정할때 역률은 상관안해도 무방한가요??
@jykim5562
@jykim5562 Жыл бұрын
전동기가 있을 경우에는 전동기 수량의 합에 곱하기3을 해주어야 하는게 아닌지요?,,기동전류를 감안해서요,,
@karaszet
@karaszet 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40A짜리도 나오더군요
@user-sr7cl7df5n
@user-sr7cl7df5n 4 ай бұрын
kW면 역률도 나눠줘야 하지 않나요 역률=1 가정?
@user-py8qy6ll4e
@user-py8qy6ll4e 2 жыл бұрын
Motor가 있기때문에 차단기 용량이 3배 이지요.
@user-zj2ko3zx3e
@user-zj2ko3zx3e 2 жыл бұрын
전동기는 부하기동시 2.5~3배 넘어가니 계산이 복잡해지내요
@user-ge8st9xp2c
@user-ge8st9xp2c 2 жыл бұрын
전기박사를 보았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__^
@sportstoto12
@sportstoto12 2 жыл бұрын
전선 가닥수도 신경쓰던데.. 그런 설명은없군요
@user-bg1hv7ut1w
@user-bg1hv7ut1w 6 ай бұрын
병렬개수는 16스쿼아 이상
@user-mv9ch7qt6m
@user-mv9ch7qt6m Жыл бұрын
전동기가 잇으면 차단기설정 좀 높게 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user-uf9ei4fv9h
@user-uf9ei4fv9h Жыл бұрын
여유율은 어디 규정에 있는건가요?
@user-bg1hv7ut1w
@user-bg1hv7ut1w 6 ай бұрын
부하가 전기차 중전기냐 전동기냐 정리도 해야 되지 아니하까요?
@user-kn9vf6ic3o
@user-kn9vf6ic3o Жыл бұрын
질문이 있습니다 3상4선식 75A차단기를 사용 할때 부하용량 얼아정도 사용할수 있을까요....제가 아는방법으로 계산 했을때는 대충 49kw좀 넘게 사용 할수 있는거 같은데....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급해서요....
@hyeume3033
@hyeume3033 6 ай бұрын
I는 v분에 p가 맞습니다
@user-fy5qw1go2q
@user-fy5qw1go2q 2 жыл бұрын
전선굵기 계산법은 어떻게 되나요?
@user-dw4oq9qx1i
@user-dw4oq9qx1i 2 жыл бұрын
차단기의 용량에 부하전류는 60%를 넘지 않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설명은 잘 해주셨는데 18A의 부하에는 30A의 차단기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또한 콘센트사용시 공업용 콘센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3kw라디히터를 접속시 무조건 공업용 콘센트 사용하세오ㅡ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추가적인 설명 너무 감사 합니다. ^.^
@user-zl9ug6km8r
@user-zl9ug6km8r 2 жыл бұрын
18A의 부하에 30A의 차단기를 선정하는 이유가 차단기 용량에 부하전류는 60%를 넘지 않게 하려는 건가요? 혹시 왜 넘지 않게 하랴는지 이유를 여쭤봐도 되겠습니까?
@user-kc8xs7vp7p
@user-kc8xs7vp7p Жыл бұрын
@@user-zl9ug6km8r 여유를 많이 볼 수록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전선이 길이가 짧으면 여유를 적게 봐도 되고 길면 여유를 많이 봐야 하고 여러 변수가 있기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본인이 알아서 판단하면 될 듯 합니다.
@JOSUNCBN
@JOSUNCBN Жыл бұрын
여유를 안주고 20a짜리차단기를 18a이나20a로 사용시 열이발생하여 고장이 나요
@user-mr8ih4fb8b
@user-mr8ih4fb8b Жыл бұрын
"공업용 콘센트"라는 말은 처음 듣네요. 몰라서 그러는데, 어떻게 다르게 생겼나요?
@user-lt4vg2vb7x
@user-lt4vg2vb7x 2 жыл бұрын
고맙고요 계약전력뱐경 비용은?
@user-bg1hv7ut1w
@user-bg1hv7ut1w 6 ай бұрын
여유율 정의가 무엇인가요?
@user-ky3ye2hq5w
@user-ky3ye2hq5w Жыл бұрын
원하던 답이 여기있었네요 그런데 질문이 있습니다. 4선3상식 380v 22kw 모터를 구동하는 장비를 구입해서 구동하려합니다 장비는 현장에서 사용할 예정입니다 현장 배전반에 연결해서 써야할텐데 그렇다면 50a이상에 차단기에 연결하고 전기선은 6sq를 사용하면 되는걸까요?(30m이하)
@chj1736
@chj1736 Жыл бұрын
역으로 계산안되나요? 25sq짜리로 3상4선식으로 220v부하 총 몇키로 연결할수있슨지? 100미터기준
@hoilllee7589
@hoilllee7589 2 жыл бұрын
전동기 부하는 그렇게 구하면 안됩니다. 내선규정 3115-8 항을 확인하세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EC 규정을 적용한다면 가능하지않을까요.?
@user-fc1xe6iq9u
@user-fc1xe6iq9u 2 жыл бұрын
전동기의 경우 기동전류가 3배이상 올라간다고 합니다 전동기가 있는 경우 저렇게 단순히 차단기 용량선정하다 차단기 내려갑니다 오류가 있는 자료입니다
@user-fc1xe6iq9u
@user-fc1xe6iq9u 2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산정하면 전동기 투입시 차단기 붙잡고 있다가 기동전류가 잠잠해지길 기다린후 t초후 손때고 그런식으로 해야합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모터에 차단기를 선정하시고 나면 EOCR 를 설치하게 되잖아요. 거기에서 딜레이타임을 설정한다면 어떠신가요.?
@user-fc1xe6iq9u
@user-fc1xe6iq9u 2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그렇군요 님말씀대로 하면 될거 같습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관심 감사합니다.^^
@user-cp1cv4zl2q
@user-cp1cv4zl2q 2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
@younsupark
@younsupark 2 жыл бұрын
역율도 무시 못합니다.
@user-dv3nk7zf1c
@user-dv3nk7zf1c Жыл бұрын
냉장고 선풍기 에어컨 같은 경우 모터가 있어서 모터의 역률도 고려해야 되지 않나요? 17 a인데 현장에 20a가 없고 30a 차단기만 있다면 사용해도 되나요? 단 전선은 20a에 맞는 것이 있습니다.
@user-wx1gx5xc3e
@user-wx1gx5xc3e 2 жыл бұрын
단심 3선식 2심 1선식에 대해서 좀 자세히 알수 있나요? 헷갈려요 상과 심의 개념이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단심은 전선한개. 2심은 전선한개에 두개의 도체 3심은 전선한개에 3개의 도체 4심은 전선한개에 4개의도체 도움이 되셧을까요.?ㅎ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2 жыл бұрын
배우고 갑니다
@yiahn9676
@yiahn9676 Жыл бұрын
케이블 선정시에 차단기의 AF전류를 기준으로 잡아야하는지 AT전류를 기준으로 잡아야하는지 혹시 명확한 기준이 있을까요 ??
@electrics245
@electrics245 Жыл бұрын
AT 기준으로 하시면 됩니다~ㅎ AF는 차단기 프레임 크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클수록 차단기 기계적강도가 크다 라도 보시면 좋을듯합니다.
@yiahn9676
@yiahn9676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상세한 답변감사합니다!!ㅎㅎ
@Dreamer_NOA
@Dreamer_NOA 2 жыл бұрын
해당 차단기 선정은 메인차단기 선정방식인가요?? 분기차단기 선정방식인가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같은내용입니다 ㅎ
@user-qt4jh2vp4e
@user-qt4jh2vp4e 2 жыл бұрын
3상4선식 150kw 단상주택용 60세대 180kw 합게330 kw입니다 집합계량기함 인데 인입선규격을 몃으로 하면됄까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500A 이네요. 여유율 1.2배줘서 600A 나오는데요. 공사방법에 맞춰서 케이블 선정해주셔야 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 긍장길이가 길게되면 전압강하도 고려해주세요
@user-qt4jh2vp4e
@user-qt4jh2vp4e 2 жыл бұрын
전주에서 길이는 20M 입니다 인입선은 cv1p 4가닥으로 할건데 전선은 몃mm 로 할까요
@studya8063
@studya8063 Жыл бұрын
대략의 용량산정방법이긴하나. 전동기 전열 전등용량산정이 미흡합니다. 차단기용량은 안전과 직결됩니다. 면허업체에 의한 정확한 시공이 필요합니다.
@user-bg1hv7ut1w
@user-bg1hv7ut1w 6 ай бұрын
I제곱 rt는?
@user-ct5wr8ir3o
@user-ct5wr8ir3o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문제점은 도립 전류로 인한 차단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과 (타이트하게 선정 되었을 때 떨어질 확률이 올라감. 그리고 차단 시간(0.3초 이내를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 이상으로 전류 치가 변화 할 때 어느 정도의 시간을 방어하는가) 이 고려되지 않았습니다. 의외로 많이 겪을 내용) 또한 부하의 종류에 대한 차단기 설정이 미흡해보입니다. 히터의 경우 용량이 대체로 크기도 발열이 강합니다. (실제로 사고가 가장 많이 나는 부품이 히터라인) 모터의 경우는 동작초기에 토크로 인한 초기전류가 크게 작용하는데 이때 어떤것을 사용할지에대한 것이 고려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업체나 업자마다 허용전류표기준내에서(최소사항) 경험이나 표준화된 양식을 통해서 선정됩니다. 단순히 계산식에 의해서 선정되는 차단기는 어느정도 고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모터의 경우 허용전류 계산식이 별도로 있다는 점 잊지마시길 바랍니다. 일반계산식으로 했다가는 피봅니다.
@studya8063
@studya8063 Жыл бұрын
모터용량롸 단상용량산정이 미흡합니다.
@user-ct5wr8ir3o
@user-ct5wr8ir3o Жыл бұрын
@@studya8063 모터용량이라면 모터의 전류치를 말하는 듯한데 위에서도 말했듯이 계산식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실제 걸리는 토크에 따라 전류치가 변화합니다. 걸리는 토크가 클수록 전류가 많이 흐릅니다. 단상 용량산정은 나온곳이 많으니 직접 찾으시길 바랍니다. ㅡ.ㅡ;
@user-tk7vd3bw6v
@user-tk7vd3bw6v 5 ай бұрын
도립전류가 아니고 돌입전류 입니다!!참고용
@user-wu8wn1ud9z
@user-wu8wn1ud9z 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0.75sq 사용할수도있나요? 와트(W)가 작을때요 8Wx4개=32W÷220v=0.145A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넹~ㅎ
@user-mf8ff3pr1d
@user-mf8ff3pr1d 2 жыл бұрын
단상과 삼상 혼합 부하일때는 차단기 선정은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단상과 삼상중 부하용량이 큰걸 기준 해야겠죠?ㅎ
@user-mf8ff3pr1d
@user-mf8ff3pr1d 2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단상과 삼상부하를 따로쓰는게아니라 동시에 같이 사용하는데 작은부하는 무시하고 큰것만 적용하라는겁니까 그러면 전체 동시사용 합산부하가 차단기용량보다 큰데 차단기과전류로 떨어지면요 삼상25kw 단상30kw 합계55kw 그러면 큰부하 30kw차단기 적용하면되나요 동시에같이 사용하는데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같이 사용하게 된다면 차단기는 과부하로 트립될겁니다. 근데 개별회로 구성해서 사용하시는게 관리측면과 여러모로 좋습니다.
@user-mf8ff3pr1d
@user-mf8ff3pr1d 2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분전반 메인차단기와 분기차단기의 계산법을 같이 적용하면되나요
@SunghoJeon
@SunghoJeon 2 жыл бұрын
저 표에서 제일 중요한게 사용 온도가 있었을 텐데요.. 가용온도가 90도면 실제로 저렇게 적용 하면 난리 납니다.. 실제로 1.5 SQ 전선을 20A 흘러 보세요 어떻게 되나..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맞습니다. 가용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허용전류가 다르게됩니다. 제가영상으로 일반적인 경우를 말씀 드린거라서 내용을 포함하지 않았는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XL883L
@XL883L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A/B 는 B분의 A라고 읽어야대요
@heaburu
@heaburu 2 жыл бұрын
아파트에 차단기 자꾸 내려가서 하나 교체했습니다. 그런데 꽉 안끼워져서 벽과의 틈이 조금 생겨서 선이 다 안들어갔는데 관리실분이 봐주시기로는 괜찮다고는 하는데 좀 불안하네요. 다시 손봐서 꽉 벽에 끼워야할까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차단기 와 전선을 연결하는 부분에 전선이 차단기에 많이 안물리고 조금만 물렸다는 말씀이신가요? 그런거라면. 전선을 더 넣어서 물려주시고. 차단기 몸체 고정이 불안하게 되어있다면 이것또한 단단하게 고정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user-nl3nu8gx3e
@user-nl3nu8gx3e 2 жыл бұрын
열화상 카메라로 열체크해보세요. 열이 많이 나면 결선을 단단히 조여주세요. 그래고 열이 많이 나면 전기업자를 불러 해결하세요. 안전을 위해 돈은 써야 합니다.
@xormsska5747
@xormsska5747 10 ай бұрын
전기차 완속충전기를 집에 설치하려합니다. 충전속도가 11k나오니 ,50A차단기와 10sq전선을 쓰면 될까요?
@kmg3145
@kmg3145 7 ай бұрын
75A 차단기에 10sq 쓰면 되겠네요
@user-bg1hv7ut1w
@user-bg1hv7ut1w 6 ай бұрын
전압강하는?
@howk0311
@howk0311 2 жыл бұрын
저기 자격증 있으신가요?
@aposq
@aposq 2 жыл бұрын
어떤 표에서는 50sq는 120a까지가 허용용량이라고 되있던데 어떤게맞나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회사 허용전류 표 마다 차이가 생길수 있습니다 ㅎㅎ
@aposq
@aposq 2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그렇군요 ㅎ cv케이블은 다른종류 케이블에비헤 허용전류가 높은게 맞나요?
@kiwinz2679
@kiwinz2679 2 жыл бұрын
가공선로냐 지중선로냐에 따라 사용가능 용량차이가 큽니다
@s8n256
@s8n256 Жыл бұрын
3상부하 부하용량계산식에 사용전압이 왜 루트3x380이죠? 루트3x220 or 380 아닌가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Жыл бұрын
단상일때는 루트3 들어가지 않습니다.
@user-tj2ie9mm3h
@user-tj2ie9mm3h Жыл бұрын
주인장 동문서답한 거 맞죠? 루트3 곱하기 상전압(220)인데 말이죠 나도 이거 이상해서 댓글 중에 이거 집은 댓글 찾다 여기까지 오게됨
@user-cb9cp7fz4f
@user-cb9cp7fz4f 2 жыл бұрын
수고하십니다. 220V 단장모터 0.4KW 4P 차단기, 전자 접촉기 용량 문의 드려도 될까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용량이 작아서요. 20A 차단기면 충분하지않을까 합니다.
@user-wj5ef4bl1k
@user-wj5ef4bl1k 2 жыл бұрын
전선굵기 구하는 방식은 여기서 배우시면 안되요 전기설비 기술기준 판단기준 176조 2항 에서 2.5SQ는 20A누전차단기에 설치 하면 안됩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176조 가 무슨 사항인가요.?? 2.5sq 가 안된다면 몇 sq 전선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rainbowjk2
@rainbowjk2 2 жыл бұрын
님 말씀대로라면 지금 현재 모든 전기현장 데나오시인데요? 말씀하신대로 찾아보니 표에 나와있던데 이거 맞나요? 표 176-2에 나와있는건데 저압 옥내전로의 종류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 하나의 나사 접속기, 하나의 소켓 또는 하나의 콘센트에서 그 분기점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의 굵기 정격전류가 15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것 정격전류가 15A를 초과하고 20A 이하인 배선용 차단기로 보호되는 것 단면적 2.5mm2(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은 단면적 1mm2) 정격전류가 15A를 초과하고 20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배선용 차단기를 제외한다)로 보호되는 것 단면적 4mm2(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은 단면적 1.5mm2) 정격전류가 20A를 초과하고 30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것 단면적 6mm2(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은 단면적 2.5mm2) 정격전류가 30A를 초과하고 40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것 단면적 10mm2(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에 있어 단면적 6mm2) 정격전류가 40A를 초과하고 50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것 단면적 16mm2(미네럴인슈레이션케이블은 단면적 10mm2) 기존보다 한단계 위로 적용인 것 같네요. 단가 다 올라가겠네요 이제 1.5sq는 자동제어? 빼고 안쓰겠네요? 자동제어야 연선을 많이 쓰니... 님 말씀하신대로 전기설비기준에 따르면 차단기 종류에 따라 누전차단기 쓰려면 20A이하시 4sq 20A 초과시 6sq라는 말씀이네요. 현장에서 과연 지금 기준대로 할까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오해가 있으신거 같은데. 저는 20a이하에 4sq 사용 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제 영상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rainbowjk2
@rainbowjk2 2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찌릿님 말고 백범님한테 얘기한겁니다. 규정이 작년인가 바뀐 건 아는데 과연 현장에서 전부 다 시행중인지 여쭤보는겁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rainbowjk2 아하!! 순간 당황했었습니다. 제가 헛 소리를 했나 했습니다.
@user-bg1hv7ut1w
@user-bg1hv7ut1w 6 ай бұрын
길이는?
@user-ct4wq1ts8o
@user-ct4wq1ts8o 2 жыл бұрын
저희 아파트는 40A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전등라인은 1.5sq 전열라인은 2.5 sq hiv 가아닌 iv전선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괜찮은건가요?
@yongholee89
@yongholee89 2 жыл бұрын
문제 없어 보이네요..아파트는 엄격한 감독 받기 때문에 함부로 못합니다.
@user-xl2cz8um1p
@user-xl2cz8um1p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아파트 전기는 잘 몰라서 그러는데 아파트 전등라인 1.5SQ로 배선치나요?.. 그리고 아파트는 HFIX 안쓰나요?...
@user-ct4wq1ts8o
@user-ct4wq1ts8o 2 жыл бұрын
@@user-xl2cz8um1p 저희 아파트가1997년에 완공한 아파트인데 생각해보니까 당시에는 iv밖에 없었을거 같아요 아니면 Hiv가 있었는데 공사비 아낄려고 iv사용한건지는 잘모르겠지만.. 확실한건HFIX는 없었을거에요 전등라인은 전열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사용하는 와트수가 적고 항상키는것이 아니라 껏다 켯다 하니까 1.5로 계산했나봐요 또 요즘에는 LED밖에 안쓰니까 괜찮은데 전열 라인은 당시에는 괜찮았겠지만 시대가 변하고 세상도 발전하니 기능이 많고 좋은 제품들이 많이나왔잖아요 그에 따라서 가전제품이 소비전력도 높아지고 와트수도 높아지니까 가끔 인덕션을 사용하거나 세탁기 오븐 냉장고 등등 을 사용할 때 집에있는 두꺼비집이 허용 전류를 넘어서 차단기가 내려가는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언젠가는 기존에 배선되어 있는전선도 눌러붙고 콘센트도 탈 경우가 있을거에요 실제로 저희집 콘센트가 한번 터져서 시커먼 연기나고 진짜 사람 없었으면 화재까지나서 난리날 뻔한 적이 있었어요.. 그래서 년식이 좀 된 아파트를 이사가실땐 전열 라인은 새로 배선작업을 하고 들어가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여러 전문가님 께서 좋은 설명 잘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부가적인 설명을 드리자면 전기공사후 전기감리자가 공사 진행 여부를 검토하게 됩니다. 그때 설계도면과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설계도면에 문제사항을 확인 하게 됩니다. 확인 과정에 있어서 전기설비규정에 맞지 않는 사항들은 찾아서 규정에 맞게 수정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전등과 전열에 전선 규격은 공사 당시에는 맞게 시공이 되지않았나? 라고 생각합니다 전선 종류에 대한 이야기는 hiv 는 습기에 취약 하다고 하는 감리자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감리자가 hiv 습기에 취약하니 바꿔주세요!! 하면 공사 업체에서는 재공사를 하게 되게 됩니다. 전선도 용도와 환경에 따라 다르게 사용을 하게 되서 hiv 좋다! Hfix 무조건 좋타 라고 말씀 드리기 힘들거 같습니다. 환경과 여건에 맞춰서 시공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user-fn7dq6ls3z
@user-fn7dq6ls3z 2 жыл бұрын
굵으면 좋은거 아닌가?
@user-zm4jw1sd8y
@user-zm4jw1sd8y 2 жыл бұрын
전압강하, 기동전류 등은 고려가 안되어 있네요!! 영상 보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네~ 전압강하 필요시 적용해 주세요 ^^
@composure73
@composure73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대단히 감사합니다. 그런데.. 부하전류를 구하는 산식이 잘 못 된 듯 합니다. 역률을 감안한 유효전력 kW가 아닌, 역률 적용 이전의 피상전력인 kVA, VA를 전압 또는 (1.732X전압)으로 나누어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jayjo4150
@jayjo4150 2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부하역률이 0.95이상임. 어떤부하를 쓸줄모르니 역률1로하고 여유율 곱해줌.
@uuytnh
@uuytnh Жыл бұрын
전동기가 있는 경우 차단기는 전류에 X3 을 기준으로 한다는 규정이 있는데 여기에는 왜 없나여?
@electrics245
@electrics245 Жыл бұрын
KEC 규정에요?
@uuytnh
@uuytnh Жыл бұрын
@@electrics245 전병칠 선생님 강의보니까 규정에 그렇게 나와있던데요..
@user-wg7zq4qd3u
@user-wg7zq4qd3u 2 жыл бұрын
농업용 계량기 50a 차단기에 100m 전선을 연결해서 전기드릴을 사용할시 전선굵기를 어떤걸 쓰야 되는지요.
@hyeasung2000
@hyeasung2000 2 жыл бұрын
농사용 계량기에 메인이 50A일시 2차부하 차단기 20A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드릴정도 사용한다면 전압강하를 고려해도 2.5sq 전선을 사용해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user-xz9lj2wy5y
@user-xz9lj2wy5y Жыл бұрын
1kw 사용시 = 약 5A입니다 20A 누전차단기 = 약 4.0kw용량 입니다 20A 누전차단기의 최소 사용전선 굵기는 2.5sq 굵기입니다 2.5sq 전선의 최대허용 W 수는 4.4kw 입니다. 하지만 사용량을 떠나서 차단기용량보다 차단기2차에 물릴 전선의 굵기를 한단계 굵은전선을 사용하실거를 염두해주세요 그래야 안전한 전기를 사용할수 있으니까요^^
@user-dr7yl8bp4r
@user-dr7yl8bp4r 2 жыл бұрын
I는p분의v가아니라 v분의p,아닌가랑께요?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좋은 지적입니다 ^^
@user-ll6ir6hs5n
@user-ll6ir6hs5n 10 ай бұрын
​@@electrics245좀 심하네요 ......
@user-wz3ji4bz4q
@user-wz3ji4bz4q 2 ай бұрын
걍알아들어라 잘난척을하냐
@BRING_THE_BBANG
@BRING_THE_BBANG 27 күн бұрын
v=i r 전압 = 전류 x 저항 전류 = 전압/저항
@user-ok9dx5ur9t
@user-ok9dx5ur9t Ай бұрын
2심 1선식이 단상2선식 말하는거죠
@user-ok9dx5ur9t
@user-ok9dx5ur9t Ай бұрын
전류선정표 자료있음 공유부탁 드립니다 ~
@user-hz1dx8zc7f
@user-hz1dx8zc7f Жыл бұрын
75kw 장비 4대 사용하려고하는데 440v 3상이고요 몇A가될까요 75000×4÷440× 루트3이게 맞나요
@samma1004
@samma1004 2 жыл бұрын
아이는 피 분의 브이 라는 말에.... 절래절래...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말이 헛 나왔나 봐요..ㅠ
@taejinkim1988
@taejinkim1988 2 жыл бұрын
조금 더 공부하시고 알아보셨으면 합니다. 기술적인 내용을 모두에게 알릴경우. 많은 내용을 확인해야합니다. 일단 전기설계사무소의 부하계산서 많이 보셔서 왜? 라는 의문을 해소하신 후 조견표에 적용 하시길 바랍니다.
@user-nk9yh6fb1b
@user-nk9yh6fb1b 2 жыл бұрын
풀어풀어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긴장 풀라구요.?ㅋㅋ
@user-xd1rl2hd2k
@user-xd1rl2hd2k 2 жыл бұрын
아저씨 따라 전선 선정하고 전기안전공사 빠꾸 먹으면 책임 지나유~~~ KEC 규정에 안맞는 것 같은데..
@electrics245
@electrics245 2 жыл бұрын
저는 책임 안집니다 ㅋ
@user-jq5iz8qj6d
@user-jq5iz8qj6d Жыл бұрын
@user-mi6zd9kx6e
@user-mi6zd9kx6e 2 жыл бұрын
8:28 에 나오는 허용전류표가 이상하네요 PVC전선 허용전류표가 아니라 고압용 XLPE전선 허용전류표로 된거같네요 2.5SQ에 단열벽속이면 23A가 아니라 19.5로 알고 있거든요
Electrical Practice - How to read the breaker plaque (MCCB + ELB)
27:13
장현호(전기실무)
Рет қаралды 381 М.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A pack of chips with a surprise 🤣😍❤️ #demariki
00:14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Пиццерия FNAF в реальной жизни #shorts
00:41
Whirlpool WHAD301CW 30-Pints Dehumidifier Teardown
16:47
메인차단기로 배선차단기를 사용하는 이유
10:05
전기는빠지직(송건웅)
Рет қаралды 40 М.
전기공사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전선관 종류
5:31
하은전기공사
Рет қаралды 62 М.
차단기 선입후절과 중성선의 중요성! (8만특집)
15:55
전선굵기 공식 선간전압, 상전압의 이해
9:35
이재현[시나브로]
Рет қаралды 44 М.
콘덴서에 대한 설명- 콘덴서
8:42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I’m just a kid 🥹🥰 LeoNata family #shorts
00:12
LeoNata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