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치 곤란 이탈리아 '푸른 꽃게'를 차지할 자는 누구인가? / 귀에빡종원 / SBS

  Рет қаралды 615,927

SBS 뉴스

SBS 뉴스

Күн бұрын

"이탈리아가 버리는 꽃게, 우리가 수입하자!"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한 업체가 이탈리아로부터 꽃게 수입에 나선 건데요. 꽃게에 진심인 나라는 우리뿐이 아니었습니다. 미국에서도 이탈리아 꽃게를 수입하자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건데요, 꽃게 수입에 강력한 경쟁자가 생길 수도 있는 상황을 알아봤습니다.
00:00 푸른 꽃게의 고향이 미국이라고?
02:22 스펀지밥 '집게리아'의 게살 버거의 비밀
03:31 푸른 꽃게에 침 흘리는 또 다른 나라, 미국
08:11 쿠키_크래빙의 최후
(취재 : 김종원 / 영상취재 : 이재영 / 편집 : 김인선 / 구성 : 조도혜 / 작가 : 김채현 / CG : 장지혜, 성재은, 김혜민 / 디지털뉴스제작부)
#푸른꽃게 #꽃게 #대서양 #이탈리아 #꽃게탕 #지구온난화 #낚시 #빡종원 #귀에빡종원 #비디오머그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347980
#SBS뉴스 #이탈리아 #꽃게 #간장게장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1 000
@yakult71
@yakult71 9 ай бұрын
편의상 한국 미국 이탈리아 이렇게 표현하니까 많은 분들이 진짜 국가가 수출입 담당하는 걸로 아시는 분들도 계실 듯해요. 실제로는 수산물 수출입 회사들이 시장성 비용대 이익 다 따져서 이루어진답니다.
@insoo2ahn145
@insoo2ahn145 9 ай бұрын
한국이 전세계 1인당 꽃게 섭취율 세계1위에요.. 일본 방사능 오염수로 안전하단 마케팅만 적절히 하면 간장게장 업체들 벌써 계산기 열심히 다 돌렸고 준비 다 했을건데?
@martinlee573
@martinlee573 9 ай бұрын
​@@insoo2ahn145ㅋㅋㅋㅋㅋㅋ
@user-jj8jw4ph3f
@user-jj8jw4ph3f 9 ай бұрын
@@insoo2ahn145간장게장을 냉동으로만듬?
@insoo2ahn145
@insoo2ahn145 9 ай бұрын
@@user-jj8jw4ph3f 냉동으로 수입한다고 누가 그럼?
@ddu_ddu_j
@ddu_ddu_j 9 ай бұрын
@@user-jj8jw4ph3f 네 급냉한걸로 만들던데요
@user-pr2xk5mb3u
@user-pr2xk5mb3u 9 ай бұрын
마지막 쿠키영상은 정말 최고입니다 ㅋㅋㅋ 😂😂😂 의아해 하는 아이 표정과 대비되는 아픈 아빠표정...
@korkwg
@korkwg 9 ай бұрын
왜 하필 이탈리아로 갔을까 ... 우리한테 오면 아낌없이 먹어줄 자신 있는데 ...참 ... 아깝구먼
@user-cm7kf2lo9x
@user-cm7kf2lo9x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도 부산쪽 바다에 왔어요. 청게라고 브랜딩해서 키우고 있음.
@nsequation1206
@nsequation1206 9 ай бұрын
@@user-cm7kf2lo9x 부산청게는 동남아 머드크랩류라 종이 달라요. 블루크랩보다 좀 더 큰 애임
@ck-tl1qz
@ck-tl1qz 9 ай бұрын
​@@user-cm7kf2lo9x제발 청게 얘기좀 그만해
@upupup222
@upupup222 9 ай бұрын
이 멸종위기임 ㅠㅜ
@user-lu4lz4jy6r
@user-lu4lz4jy6r 9 ай бұрын
​@@user-cm7kf2lo9x 청게 혹은 머드 크랩이라고 불리는 종은 한국에도 오래전 부터 자생하던 종 입니다. 동남아에 있는 머드 크랩과는 아종이 달라서 약간의 차이도 있는 토종 생물이며, 바다에 사는 해수 생물이 아니고 민물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에 사는 기수 생물 입니다. 1900년대 초중반에 이미 기록된 토종 생물을 언론에서 확인도 하지 않고 외래종 프레임을 씌워 토종 생물 멸종을 부추기는 상황이지요.
@NightEast
@NightEast 9 ай бұрын
이탈리아가 의외네요 유럽 국가들 중에서 우리나라 음식 문화 및 음식 개념이 비슷한 것도 꽤 있고 각종 해산물, 젓갈 및 피클류 처럼 담가먹는 음식들, 채소와 나물도 우리처럼 다양하게 먹고 그래서 이탈리아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울나라 음식들 잘 적응하는거로 알고있는데 꽃게를 안먹었다니 ㅎㄷㄷ
@hong-seokha7392
@hong-seokha7392 9 ай бұрын
원래 주변에 없던 종이어서, 관련 음식문화가 전혀 없었다네요.
@histo33
@histo33 9 ай бұрын
이탈리아사람도 케바케 일겁니다 한국출장와서는 한식안먹다가 코로나 터지고 이탈리아 자택에 갇혀서 부인이 유튜브 보고 해줘서 국밥 첨 먹어보고 맛있다고 하시더라라고 들었습니다
@jqgj6692
@jqgj6692 9 ай бұрын
@@hong-seokha7392 이태리에들이 무지하고 견문이좁아서 그런거뿐임 , 우리나라는 주변에없던 고기 식재료들 다 수입해서 잘만먹고있구만 랍스타 , 양고기 , 마라탕도 드럽게 좋아하고
@jhh7933
@jhh7933 9 ай бұрын
음식은 문화입니다 아무리 넘쳐나는 식재료라 할지라도 그것을 먹는 문화가 없으면 식용을 안하죠 이탈리아인들이 좋아하는 봉골레 파스타는 오랜 시절 부터 이탈리아 주변에 조개가 넘쳐났기 때문에 먹는 식문화가 생긴 것이고 외래종인 블루크랩은 이탈리아인들 입장에서는 그동안은 먹을 기회도 없었고 당연히 먹는 식문화도 없었던 거죠 중국에서 마라롱샤의 주재료로 널리 먹는 미국 가재가 한국에서는 먹지 않는 식재료인 것과 같은 원리죠 하지만 한국에서도 마라롱샤는 널리 팔리고 있기 때문에 이미 우리가 알게 모르게 외래종인 미국 가재를 먹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라롱샤처럼 미국가재를 먹는 요리가 하나 둘씩 늘어나면 결국 한국에서도 미국가재를 먹는 식문화가 생기겠죠 마찬가지로 이탈리아의 블루크렙도 그렇게 되겠죠
@Thoughtcrime.
@Thoughtcrime. 9 ай бұрын
이탈리아와 한국이 닮은게 아니라 이탈리아의 음식이 글로벌하게 퍼져서 한국에서도 먹는거라 우리가 먹는게 저쪽에서 먹는거란 보장은 없어요
@user-ux8px7cf4s
@user-ux8px7cf4s 9 ай бұрын
냉동수입도 필요없다.. 현장에서 간장게장 담아 태평양 건너는 20일이면 숙성 끝..
@sjudhsdd2579
@sjudhsdd2579 9 ай бұрын
머리좋은데요? ㅎㅎ
@nsequation1206
@nsequation1206 9 ай бұрын
간장무게때문에 단가 안맞아서 그래요. 냉동이나 살만 발라서 와야 1컨테이너에 많이 우겨넣을수 있음
@user-zf2tb2nl9u
@user-zf2tb2nl9u 9 ай бұрын
​@@nsequation1206 살바르는 인건비는?
@nsequation1206
@nsequation1206 9 ай бұрын
@@user-zf2tb2nl9u 튀니지에서 살 바르면 됨. 이미 공장있음
@user-cd1sb7fq7p
@user-cd1sb7fq7p 9 ай бұрын
해외 수출이나 수입이 비싼이유가 유통비용 때문이지 그걸 몰라서 안하겠냐고~~~~~!
@hyung-seokkim1712
@hyung-seokkim1712 9 ай бұрын
특파원분 소개 잘들었습니다 현지 사정 잘아시는 느낌이 좋네요
@doyouknow_MTE
@doyouknow_MTE 9 ай бұрын
낚싯대 넣기만 하면 꽃게가 4분에 한마리씩 잡힌다니 진짜 미국은 여러모로 축복받은 땅이다
@eunyoungbaek5849
@eunyoungbaek5849 9 ай бұрын
어휴..저걸 돈주고 버리다니..미쳤나봐..ㅜㅜ 얼른 한국으로 고고~~~
@user-cd8rb2en3b
@user-cd8rb2en3b 9 ай бұрын
이렇게 뉴스를 풀어서 얘기해주시니 너무 재밌게 영상잘봤습니다. 목소리도 너무 좋아서 귀에 쏙쏙박힙니다 앞으로도 잘부탁드립니다!
@minpark3667
@minpark3667 9 ай бұрын
이탈리아는 미식의 나라라는 타이틀을 버려라..
@jsyoung2664
@jsyoung2664 9 ай бұрын
진짜 대충 쪄도 존맛인뎈ㅋㅋㅋㅋㅋㅋ
@bk-yq8gp
@bk-yq8gp 9 ай бұрын
문화가 다르니깐 ...그나저나 재들이 저맛을 알기전에...빨리 수입을
@fivebyte7354
@fivebyte7354 9 ай бұрын
이탈리아음식 jmt
@user-jj9rz7jo6t
@user-jj9rz7jo6t 9 ай бұрын
앞으로 이탈리안 놀릴때 엄한 스파게티 면 뿌시지 말고 '이 게맛도 모르는 것들' 이라고 하자.
@sociolocomtsac
@sociolocomtsac 9 ай бұрын
@@fivebyte7354 토마토도 아메리카건데
@user-nd3rg9rh1x
@user-nd3rg9rh1x 9 ай бұрын
꽃게 요리를 한국,미국만 좋아하는 게 아니라 중공도 좋아합니다. 그러므로 만약 이탈리아에서 처치곤란인 푸른 꽃게를 수입해 오려고 한다면 한국,미국,중공 업자들 간의 3파전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한국의 연평도 지역에서 꽃게 수확 철마다 중공 어선들이 꽃게 해적질 하는 것 자주 보았잖아요?ㅋㅋㅋ
@user-ze6wg3nq9h
@user-ze6wg3nq9h 9 ай бұрын
최근 일본도 간장게장 맛에 눈을 떠버려서 경쟁이 심화되네요
@user-xl7tx5ym3k
@user-xl7tx5ym3k 9 ай бұрын
꽃개 소비량 1위가 중국 2위가 한국 3위가 인도네시아 가각 두배씩 차이나는데 인구수 대비 소비량 압도적 1위 한국.
@hd9908
@hd9908 9 ай бұрын
수입하다 썩을거 같으면 줘버리면 되잖아요
@lovelysunkyu
@lovelysunkyu 9 ай бұрын
어차피 국내산보다 비싸지면 수입 안할테니 걱정 안해도됨 ㅋㅋㅋ
@jomin5860
@jomin5860 9 ай бұрын
​@@user-xl7tx5ym3k님 슈카보고 온거같은데 1위가 우리나라임 2위가 중공이구요
@jhl6467
@jhl6467 9 ай бұрын
기사를 재미있게 풀어주셔서 애들도 같이 봤네요~ 마지막에 기자님 현실비명 넘 웃겨요 ㅎㅎ
@user-zz1rt3nm4e
@user-zz1rt3nm4e 9 ай бұрын
꽃게 발이 쬐끄만데 무신 소리를 그리 크게 지르신대유? 애들도 옆에 있구먼유 ~~~
@user-ih1tg1hn8u
@user-ih1tg1hn8u 9 ай бұрын
@@user-zz1rt3nm4eㅡㅡ.
@user-jl6ry3mk6i
@user-jl6ry3mk6i 9 ай бұрын
​@@user-zz1rt3nm4e이 사람 안 물려봤구먼~
@user-hn6gq1xj9c
@user-hn6gq1xj9c 9 ай бұрын
간장게장 게딱지에 참기름살짝 김가루 넣어서 밥비벼 먹으면 핵존맛😂
@Act-xi2bc
@Act-xi2bc 9 ай бұрын
아니 진짜 3, 4분에 한 마리씩 잡히면 진짜 낚시할 맛 나겠는데 ㅋㅋ 진짜 뉴스 내용도 재미있고, 이야기를 잘 풀어주셔서 시간 가는지 모르고 봤습니다. 진짜 문화에 따라서 어떤 곳은 없어서 못 먹는데 어떤 곳은 돈 주고 버리는 일이 생긴다는 게 참 신기하면서도 재미있네요
@changheekang7543
@changheekang7543 9 ай бұрын
저걸 버린다고? 아이고 슬퍼서 입에서 눈물이 흐릅니다ㅜㅜ
@speedwagon1020
@speedwagon1020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오면 ㅋㅋㅋ 다조졌지 바로 그냥 멸종각 잡았지
@userganada
@userganada 9 ай бұрын
원래 서민이 못살면 음식이 발전을 못함~ 그러니 빵만먹는것임 서양은 ~ 현대에 들어서 다양해지곤 있지만
@user-fo7sr8jl4y
@user-fo7sr8jl4y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
@user-fo7sr8jl4y
@user-fo7sr8jl4y 9 ай бұрын
​@@TheCocaColaCompanyThe.축약이잔아
@user-ie8fz8zn5o
@user-ie8fz8zn5o 9 ай бұрын
​@@user-fo7sr8jl4y 비유 아님?
@garimbi05091
@garimbi05091 9 ай бұрын
미국인들과 이태리꽃게수입 경쟁이라니 이건 좋지않은 소식인데요.... 꽃게수입값이 오를것같아 걱정입니다......
@user-ud9yb6it8z
@user-ud9yb6it8z 9 ай бұрын
미국에 양보해야겠지?
@user-dl4ey4uh6l
@user-dl4ey4uh6l 9 ай бұрын
돈싸움 으론 못이김 하...사랑했다 잘가라
@happyday2549
@happyday2549 9 ай бұрын
경쟁안해도 어차피 배타고오면 다 비싸요... 진짜 무식한 사람들 넘 많네요ㄷ..
@user-ms3gm7yu3i
@user-ms3gm7yu3i 9 ай бұрын
@@happyday2549 꽃게가 없는 나라들도 아니고, 품종이 다른 것도 아닌데, 비싸거나 같으면, 너 같으면 냉동 사 먹겠냐? 우리 나라 소, 돼지, 닭이 맛이 없어서 수입 하냐? 물류비 얘기 하는데, 얘네들은 걸어서 들어왔냐? 생각 좀 하고, 글 ㅆ지르자~
@iron-bat
@iron-bat 9 ай бұрын
​@@happyday2549진짜 무식하네 ㅋㅋ 현지는 공짜고 물류비 하고 수익남겨도 국내유통 게보단 많이 싸지 ㅋ 뭘비싸 야 호주산소고기랑 한우가 값이 같으면 뭐 먹을래? 무식하면서 남보고 무식하다냐
@jhh7933
@jhh7933 9 ай бұрын
볼티모어 블루크랩 유명하죠 심지어 우리 꽃게와 달리 미국 불루크랩은 이탈리아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그 꽃게랑 완전히 같은 종입니다 미국인들 입장에서는 우리보다 저 꽃게를 더 선호할수 밖에 없죠
@user-bt6rc5bw5i
@user-bt6rc5bw5i 9 ай бұрын
미국넘들 그 많은 갈치도 안먹고 다 버리는데 미국 갈치좀 수입해와라. 대서양 갈치라 그나마 안전하다.
@keumpark1782
@keumpark1782 9 ай бұрын
미국도 세네갈갈치팔아요
@hd9908
@hd9908 9 ай бұрын
그 넓은 태평양에 1kg도 안되는 물질에 오염된다고 생각하면 앞으로 수산물 먹지 마셈. 그거 아니라도 참치 등 육식 어류에 납 등 유해물질이 얼마나 많은데..
@gaeappa
@gaeappa 9 ай бұрын
​@@hd9908뭐가 1kg???? 핵오염수 수만톤 아님??? 수만톤이 몇키로인지 계산 안되냐???
@-memoge
@-memoge 9 ай бұрын
게맛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이탈리아 얘기를 들으면 입에서 눈물이 철철 나오죠🤣
@KENJUNLEE
@KENJUNLEE 9 ай бұрын
예전 2006년 NC(노스캐롤라이나) 놀러가 대서양 연안이죠 미국의 동해..미국 해변은 긴 브리지가 형성 된 곳이 많은데 깊은 곳까지 다리가 있기 때문에 낚시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거기서 꽃게낚시를 해봤는데 정말 잘 잡히고 좋은데 집게발에 물리기도 하고 피도 보고 귀찮고 그래서 그냥 근처 수산물 마켓에 가면 블루크랩 저렴하게 팔죠. 시푸드 레스토랑에 가서 먹어도 되고요.. 결론은 어느나라나 게는 진리. 존맛탱입니다.
@turkey_sy5106
@turkey_sy5106 9 ай бұрын
이때까지랑 다른 뉴스네요 너무 재미있네요 😊😊
@yhg1887
@yhg1887 9 ай бұрын
"니 들이 게 맛을 알어" 이 한마디로 끝난거다.. 한국 간장게장 맛을 이탈리아는 영원히 몰라야 한다
@stevekim_busan
@stevekim_busan 9 ай бұрын
이야 내용도 내용이지만 되게 인상깊게 봤습니다! 기자님 다음에도 부탁드려용 ㅎㅎ
@chobd8
@chobd8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수입해봐야 식당용으로 유통될거고 우리나라 꽃게철에는 오히려 수익성이 떨어져서 수입이 많이 이루어질지 좀 애매하다고 합니다
@gyunnl.4600
@gyunnl.4600 9 ай бұрын
저 꽃게 이미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에 수출하고 있는 나라가 있습니다. 같은 지중해 연안국인 튀니지가 이탈리아와 같은 이유로 문제를 겪었는데 우리나라에 수출하면서 좋은 수입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YoubinShin
@YoubinShin 9 ай бұрын
어차피 저런건 대부분 냉동으로 들어와서 게장 업체에서 사간뒤 게장 만들어 팔릴껀대.. 대부분 식당에 팔리겠죠
@user-onedayonestory
@user-onedayonestory 9 ай бұрын
그치만 아직도 간장게장은 사먹으려면 비싼걸요ㅠ
@lIllIlIlllIlIlI
@lIllIlIlllIlIlI 9 ай бұрын
식당 말고도 식자재마트로도 아마 들어오지 않을까여?
@llillllii
@llillllii 9 ай бұрын
​@@gyunnl.4600엄밀히 따지면 근연종이지 동일종은 아닙니다. 이탈리아에서 활개치는건 메릴랜드꽃게이고 튀니지에서 한국으로 수출하는건 동남아청색꽃게입니다.
@user-rq9et4fb2s
@user-rq9et4fb2s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너무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이탈리아 블루크랩 먹어보고 싶네요!!!
@wander4tha986
@wander4tha986 9 ай бұрын
게를 생으로 먹지도 못하는 미국인들은 빠지라구! 진짜 좋아하면 어떻게든 먹는단 말이야ㅠㅠ
@user-js8xd2yv2k
@user-js8xd2yv2k 9 ай бұрын
마지막대박이네여 ㅋㅋ 진지하다가 마지막에 인간미 넘치는 영상 잘보았습니다
@user-xq5zr5dm6s
@user-xq5zr5dm6s 9 ай бұрын
양보좀 해줘..우린 레저가 아니야 ㅠㅜ
@wsxzculj-dp8sn
@wsxzculj-dp8sn 9 ай бұрын
간장게장 꽃게찜 꽃게탕 튀김 등등 꽃게맛을 모르는 나라들 처럼 꽃게를 버릴일이 없쥬 수입하면 개꿀이쥬 약간 비싼것이 탈인데, 꽃게가격 도 좀 내려가고 (:
@joepark81
@joepark81 9 ай бұрын
아놔~~ 영상 안 보고 헤드셋으로 듣고만 있었는데, 막판 쿠키영상 나올 때 이게 뭔가 하고 보고 뿜었자나요~~!! ㅋㅋㅋㅋㅋㅋ 손꾸락 괜찮으세요~~? ㅋㅋㅋㅋㅋ
@OI-np8bk
@OI-np8bk 9 ай бұрын
마지막 리엑션 맛깔 나네요 😊
@user-fy8so9dr9q
@user-fy8so9dr9q 9 ай бұрын
넘나 재밌고 독창적인 설명 잘 봤어요
@joffrey5160
@joffrey5160 9 ай бұрын
물리는게 젤 재밌네요ㅋㅋ
@user-ey7kf7bl6n
@user-ey7kf7bl6n 9 ай бұрын
뉴스도 재미있게~
@kds0564
@kds0564 9 ай бұрын
이태리 현지인들 영상부터 관련영상 많이 보이는데 말이 버린다하지 실직적으로는 적지않은 금액에 판매가 되고있던데..
@jslee4613
@jslee4613 9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뉴스를 정말 재밌게봤어요~ 감사해요
@user-se6sc2jf1b
@user-se6sc2jf1b 9 ай бұрын
미국인들도 간장게장 맛을 알면 김밥처럼 인기 끌것같네요~~ 완전 밥도둑인데 ㅎㅎ 너무 재밌게 잘 봤어요~
@bk-yq8gp
@bk-yq8gp 9 ай бұрын
알면 안됨.....꽃게값 오름....그냥 모른체로 살아줘
@nsequation1206
@nsequation1206 9 ай бұрын
블루크랩 멸종 1년 본다
@RooT_Memory
@RooT_Memory 9 ай бұрын
스시때문에 날것을 먹는게 거부감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날것에 대한 기본적인 거부감이 있기에 향후 10년간은 큰 걱정 안해도 될듯
@kellococous
@kellococous 9 ай бұрын
간장게장은 오히려 일본사람들이 환장함.
@hypersonic8334
@hypersonic8334 9 ай бұрын
서양인들은 간장 게장 극혐해요...
@loginkorea
@loginkorea 9 ай бұрын
와 엔딩 최고
@wabbakorea
@wabbakorea 9 ай бұрын
기후 변화위기로 식량 생산공급이 조금씩 지역별 나라별로 불안정해져 갈거라 미래의 사회는 정말 식량을 독점하는 거대기업들이 큰 경제의 축으로 더 부각될 확률이 높다고 봅니다.. 저또한 한때는 33년을 넘는 오랜 기간동안 자영업으로 체육문화 교육업에 종사했었지만, 먼 미래를 좀 내다보고 부업으로 2012년도에 브랜드 창업을해서 사업이어오다 제작년에 코로나 여파로 완전 터닝을해서 현재는 기타 가공식품 제조유통업을 주업으로 하고있는데 아주 만족하며 사업잘 이어가고 있습니다^^ 🤗🤗🤗🤗
@jkc1237
@jkc1237 9 ай бұрын
사실 이탈리아 자체가 이해가 안된다... 충분히 좋은 식재료 만들 능력도 있으면서 저렇게 포기한듯한 국가 선언을 한 것도 그렇고... 코로나, 장기 경기침체 등으로 일단 이탈리아 국가 자체가 뭔가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는 국가적 동력을 잃어버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user-qp9db3zo9h
@user-qp9db3zo9h 9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에 외래종 식용달팽이가 창궐해서 농민들의 농작물을 위협한다고 생각해봐도 뭐..농가 피해 늘기전에 다 죽이고 썩기전에 없애야한단 마인드가 더 크지않을까요. 베스같은것도 외국에선 잘만 먹는다던데 생태계위협얘기 들어도 굳이 먹을생각 안하잖아요
@user-sm5md5yr9r
@user-sm5md5yr9r 9 ай бұрын
이 싸움 질수 없다 ~~
@user-yb6ug5uq8k
@user-yb6ug5uq8k 9 ай бұрын
아휴~~~ 조용히 독점계약을 맺었어야지요. 경쟁자가 너무 많아져서 서해 꽂개랑 큰차이 안나겠네요~~ㅠㅠ
@user-hn4hu9dp9o
@user-hn4hu9dp9o 9 ай бұрын
수입 경쟁국이 문제가 아니라. 문제는 중국인들이 노리는거지. 이제 중국어선들이 아탈리아 앞바다에 출몰해서 그물로 바닥까지 싹쓸어간다.
@user-bt6rc5bw5i
@user-bt6rc5bw5i 9 ай бұрын
@@user-hn4hu9dp9o 중국 배가 뭔 수로 지브롤타 해협을 뚫고 지중해 앞바다를 간다냐... 수에즈도 상선만 지나다니는데... 어서 구라질은....
@user-we6ct6ii9n
@user-we6ct6ii9n 9 ай бұрын
@@user-hn4hu9dp9o 곧 꽃게전쟁이 발발하겠군 이게3차대전이라니..
@user-bt6rc5bw5i
@user-bt6rc5bw5i 9 ай бұрын
지금도 꽃게보다 더 비싸. 한국바다엔 저 청게가 없는 줄 아냐??? 4~50년 전부터 한국 앞바다에서 청게가 잡혔어.
@bk-yq8gp
@bk-yq8gp 9 ай бұрын
@@user-hn4hu9dp9o 중국에서 지중해까지 갈 기름값이면 꽃개를 얼마에 팔아야하냐??? 중국인보다 능지가 딸리노
@mya2945
@mya2945 9 ай бұрын
꽃게 갑자기 먹고싶어지네요❤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9 ай бұрын
정말 위생 문제가 고민되면, 이탈리아에서 세척까지 해서 요리된거를 들여오면 되요. 문제는 누가 가서 공장을 세울거냐 하는거죠. 이게 문제지.
@RS-ep3co
@RS-ep3co 9 ай бұрын
메릴랜드 5년 살았는데 블루크랩 정말 맛있습니다. 메릴랜드 상징이기도 하죠. 워싱턴 디씨에 수산시장 같은 거 있었는데 엑스트라 라지 사서 쩌먹으면 정말 맛있어요. 살도 꽉 차있고. 지금은 내륙으로 이사가서 애엄마랑 애가 너무 블루크랩 먹고 싶다고 해요.
@zuchangs
@zuchangs 9 ай бұрын
하필 천조국이라니.. 우리나라가 하루 빨리 수입해서 먹고 싶네요 ㅠㅠ
@user-ex9po6bg6u
@user-ex9po6bg6u 9 ай бұрын
Sbs가 쓸데없는 뉴스들도 많이 내놓더만 이런 영상들은 정말 좋네요. 어떠한 뉴스 사건에 있어서 전문가 초빙하는 식으로 계속 영상 올리면 좋을듯. Jtbc는 그 앵커 패널들이 전문가도 아닌데 전문가라도 되는마냥 쓰잘데기 없는 말들을 길게만 늘어놓아서 시끄럽기만 하고 비호감인데 이렇게 전문가를 초빙하니 말하는것도 기승전결이 있고 군더기 없이 듣기에도 편하네요
@user-ex6bb6qc3s
@user-ex6bb6qc3s 8 ай бұрын
아주 재미 있는 기사예요!
@user-ue2oj2kg9u
@user-ue2oj2kg9u 9 ай бұрын
재밌는 내용이네요.
@yunn1343
@yunn1343 9 ай бұрын
간장게장 너무 사랑하는 1인으로써 눈물이 ㅠㅠ
@maxlife4
@maxlife4 9 ай бұрын
참 맘이 아픈게, 이 꽃게 껍질갈고 있는 게를 잡으면 껍질이 물렁물렁해서 한국에서는 이걸 전량 다 버린다더군요. 미국에서는 이 물렁물멍한 껍질을 가진 꽃게 (soft shell crab) 를 껍질채 튀겨서 먹는데, (일식집에서도 먹어요. 스파이더 롤) 식당에서는 한마리에 5만원 가까운 돈을 지불해야 합니다. ㅠㅠㅠㅠ
@user-cd1sb7fq7p
@user-cd1sb7fq7p 9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게 튀김을 참게나 돌게 처럼 작은 개체들로만 요리해서 그런게 크죠. 일반적인 게들은 죄다 간장&양념이거나 탕으로 끓여 먹다보니 그런 게들은 선호하지 않는듯
@user-hr7pi3rw5i
@user-hr7pi3rw5i 9 ай бұрын
문장 ㅈ같이 만드네 뭔소리야
@jingerbok168
@jingerbok168 9 ай бұрын
그 철에는 게를 안 접습니다
@user-yt8dc5hi4q
@user-yt8dc5hi4q 9 ай бұрын
마지막 정말 리얼하네요~~
@hijeong09
@hijeong09 9 ай бұрын
뉴스가 이렇게 재밌을 줄이야. 스펀지 플랑크톤 얘기할때랑 마지막 게 손질까지..생활밀착형 뉴스 좋아요~
@user-tw6si8ww9i
@user-tw6si8ww9i 9 ай бұрын
그렇군요 미국은 게를 수북이 쌓아놓고 망치질하며 먹던 나라였군요. 우리는 아직 미국음식에 대해 너무 몰랐습니다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dreamofwater.
@dreamofwater. 9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너무 재밌네.ㅋㅋ
@101adelade6
@101adelade6 9 ай бұрын
영국의 골칫거리였던 골뱅이를 우리가 싹 끌어오는것과 같은거지.. 근데 요즘은 영국인들도 조금씩 먹기 시작해 살짝 위기라네요..
@user-jw2xj1cm2w
@user-jw2xj1cm2w 9 ай бұрын
와 기자님 말 잘하시네요 단독 콘텐츠 채널하나 운영하시죠!
@NO-ch7uq
@NO-ch7uq 9 ай бұрын
마지막 웃겼습니다. 예능을 보는듯 했어요 ㅎ 이분 매력있네 ㅎ
@jsjjangtv
@jsjjangtv 9 ай бұрын
젠장... 미국과 경쟁해야 하다니..
@terrylee6703
@terrylee6703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shinjk2527
@shinjk2527 9 ай бұрын
이 분 워싱턴 근처에서 정보를 들은듯... 메릴랜드랑 버지니아 근방 워싱턴디씨쪽이 게 많이 나오고 또 많이 먹죠... 다른지역에서도 물론 먹지만 "게" 하면 메릴랜드죠^^
@user-zh8xd9fl4j
@user-zh8xd9fl4j 9 ай бұрын
거기는 블루크랍이 아니라 게종류가다르지 않아요?
@shinjk2527
@shinjk2527 9 ай бұрын
@@user-zh8xd9fl4j 같다네요^^
@user-yf3we3hk3x
@user-yf3we3hk3x 9 ай бұрын
1990년 메릴랜드 살았던사람입니다 벌써 33년전이네요 어머니께서 간장게장을 담아 먹여주셨군요 게장담궈 팔아줄 기업이 있었으면 했었는데
@turkey_sy5106
@turkey_sy5106 9 ай бұрын
ㅋㅋ 마지막 뭐야!!! 😂
@sunnychae2154
@sunnychae2154 9 ай бұрын
양념 다 준비하고 기다리고 있어요.
@marsbrownstudio
@marsbrownstudio 9 ай бұрын
뉴스 엔딩 최고
@user-xr4df7vm5h
@user-xr4df7vm5h 9 ай бұрын
칫솔로 게 닦다가 물렸넹, 현실적이 비명과 아들의 신기한 눈 그리고 와이프의 걱정소리 친근한 모습이네.
@PostNemo
@PostNemo 9 ай бұрын
8:11 컨텐츠의 성공을 위해 가보로만 남기고 싶을 수 있는 영상까지 대방출하는 모습...대다나다
@mjoo6195
@mjoo6195 9 ай бұрын
꽃게 먹방 여행프로그램 만들어 한국국민한테 티켓 숙소 무료제공하믄 한달이면 해결될듯한데
@user-uy8rj6wn6m
@user-uy8rj6wn6m 9 ай бұрын
씨즈닝한거 먹어봤는데 맛나요 ㅎㅎ 소스는 밥에 비벼먹기도 합니다
@songukwon3118
@songukwon3118 9 ай бұрын
저는 미국 매릴랜드주에 사는데 매릴랜드 꽃게가 특산품입니다...곳곳에 게 삶아 파는집도 있어요..
@anbread4955
@anbread4955 9 ай бұрын
오호 맛있군요 다행이네 ㅎ 얼른 수입되어서 먹어봤음 좋겠어요 국산꽃게 살도없고 비싸기만 함 ㅠㅠ
@rgkr5360
@rgkr5360 9 ай бұрын
서둘러요 미국에게 꽃게 빼았기겠다
@daram_tv
@daram_tv 9 ай бұрын
한국 음식인 꽃게탕 맛을 알아버리면 초토화 될텐데 말이죠... 😘
@kkkim3118
@kkkim3118 9 ай бұрын
메릴랜드나 버지니아주의 한국인이 운영하는 한식식당애서 가끔 간장게장 아 나오기도 하고 한안슈퍼마트에선 활어꽃게룰 중국사람들이 더 많이 구입 합니다
@jnc_knowel
@jnc_knowel 9 ай бұрын
저거 크래빙 하는거 미국 매릴랜드에서도 라이센스 있어야지만 할수 있고 정해진 양도 있는데다가 작은건 다 방생해줘야해요. 요즘 개채수 너무 줄었습니다..ㅜㅜ
@user-zd7zs8et8m
@user-zd7zs8et8m 9 ай бұрын
꽃게를 기름에 튀겨서 향라게를 만들어 먹으면 진짜 너무 맛있음. 꽃게를 버터에 바삭하게 튀겨서 소스에 찍어서 먹으면 진짜 맛있음. 겉바속촉으로 잘 튀겨지면 등껍질과 집게발 껍질을 제외하고 껍질을 씹어먹어도 됨.
@user-wo5bj2jf7d
@user-wo5bj2jf7d 9 ай бұрын
스마트한 설명과 그렇지 못한 비명 ㅋㅋㅋㅋㅋ
@cashew1004
@cashew1004 9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ㅋㅋㅋㅋ ㅋㅋㅋㅋ 😆
@user-rb8oi5gj6c
@user-rb8oi5gj6c 9 ай бұрын
엄청 빠삭하시네 잘 봤습니다
@leehyobeom
@leehyobeom 9 ай бұрын
이 영상은 마지막이 하이라이트 이군요!
@Hhvddfhjiokn8876
@Hhvddfhjiokn8876 9 ай бұрын
마지막 너무 웃겨요 😂😂😂😂
@user-sl9ho5st5r
@user-sl9ho5st5r 9 ай бұрын
어서 🦀 델고 와용~~!!!!다음편은 간장게장 담기 기대해 볼게용~~~~~
@user-ll9lh3oi8y
@user-ll9lh3oi8y 9 ай бұрын
아내분의 안타까운 목소리가 따뜻해 보이네요 ㅎㅎ
@chsh851016
@chsh851016 9 ай бұрын
8:10 아아아악!!!! 아아아아악!!!!!!!!!아아아아아앙아ㅏㄱ!!!!!!!!!!!!!!!!!!!!!!!!!!!!!!!!!!!!!!!!!!!!!!!!!!!!!!!!
@user-gx9hk8gt3k
@user-gx9hk8gt3k 9 ай бұрын
실제로 한국의 한 업체는 대한 상공 회의소를 통해서 이태리 현지의 믿을 만한 업체를 소개해 달라고 했습니다. 조만간 한국도 이태리 푸른 꽃게를 수입할 겁니다.
@bPhauuaqaHPTTX
@bPhauuaqaHPTTX 9 ай бұрын
누군 많이나서 버리고 누구는 없어서 못먹고ㅠㅠ
@hdj3270
@hdj3270 9 ай бұрын
산채로 수입은 어렵고, 냉동해서 와야 되는데, 냉동 꽃게를 선호하지 않는 것이 문제이지요.
@youngp460
@youngp460 9 ай бұрын
김종원기지님..특파원시절 영상 마지막에 웃고갑니다요 ㅎㅎㅎ😊😂
@user-ex1ds2xt5i
@user-ex1ds2xt5i 9 ай бұрын
아놔 경쟁국이 생겼네 가격 올라가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kp6km1uu1l
@user-kp6km1uu1l 9 ай бұрын
꽃게 씻기전 집게중에 1개를 뺀지로 자르세요
@Allin7days
@Allin7days 9 ай бұрын
늦여름에 먹는 메릴랜드주(동부) 체스픽베이의 블루크랩 + 올드베이 시즌이 유명한데 동부에만 해당하는 얘기입니다.
@minlove679
@minlove679 9 ай бұрын
헐 푸른꽃게를 벌써 수입 예약판매하는 곳이 있네요~ 오계절밥상 이라는곳에서 8900원에파네요
@ohhasun
@ohhasun 9 ай бұрын
미국 ㅈㄴ 짜증나네 우리가 얼렁가서 전부 계약맺어라!!!
@green_tea_148
@green_tea_148 9 ай бұрын
마지막 넘 웃겨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ph6pj7zj5q
@user-ph6pj7zj5q 9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소리 지르는게 젤 재밌네
@tvlittlebuddytv4963
@tvlittlebuddytv4963 9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쿠키영상인가요? ㅋㅋㅋ
@majorslee9603
@majorslee9603 9 ай бұрын
난 아직 중국이 조용한게 더 걱정스럽다.. 중국이 움직이면 씨가 마른다
@user-be3zs7jn1j
@user-be3zs7jn1j 9 ай бұрын
제발 끝까지 조용하길
@user-yy5sn7vc7e
@user-yy5sn7vc7e 9 ай бұрын
다 큰 어른이 엄살은 ㅋㅋㅋ
@santacr0z
@santacr0z 9 ай бұрын
와아 기자님 체중감량 비결 좀 알려주세요
@kimsink3007
@kimsink3007 9 ай бұрын
체사핔 베이에 일본 blue crab 알을 plant 한적이 있어요. 1990년대에 체사핔 불루 크랩이 많이 살아 졌거든요.
@user-wc2oi9cu2h
@user-wc2oi9cu2h 9 ай бұрын
안돼! 미국이랑 경쟁해야 하다니 미쳤네 중국도 나설텐데 신의 땅 이탈리아, 거기에서 생기는 문제는 남들이 다 해결을 해주네 ㅎㅎㅎ
@user-eftcawx7679
@user-eftcawx7679 9 ай бұрын
블루크랩 맛있어요. 껍질이 단단하지만 살은 달고 맛있더라구요. 근데 블루크랩은 성질머리가 대단합니다. 엄청 공격적이예요.
@user-uq2gx4dc8c
@user-uq2gx4dc8c 9 ай бұрын
가을이나 봄에는 제철 꽃게를 먹게 되어 있음 .블루크랩 먹을려면 냉동으로 들려와 게장담그거나 탕으로 먹는 수밖에.
@user-rj6gm2hx4b
@user-rj6gm2hx4b 9 ай бұрын
던지니스크랩이랑 비교하면 미국에선 어떤거를 더 쳐줄까요?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0 МЛН
꽃게의 습격으로 비상사태를 선포한 이탈리아
19:09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I brought some Italian blue crabs that were said to be too numerous to dispose of!
14:25
입질의추억TV jimin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이탈리아 꽃게 버리지 마세요😭 미슐랭 꽃게 파스타 최초공개🍝
7:20
이태리 파브리 Italy Fabri
Рет қаралды 160 М.
7 kinds of sashimi that sashimi experts never eat!
13:29
입질의추억TV jiminTV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스페셜] 일용직 노동자가 된 스타들
23:12
특종세상 - 그때 그 사람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