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에서 출발하는 금강산선 전철길 따라 금강산 찾아가기

  Рет қаралды 35,806

쏘다니기

쏘다니기

Жыл бұрын

철의 삼각지 백마고지 인근에 있는 철원역에서 출발하는 금강산 전철 사라진 철로를 추척하며 금강산까지 가봤습니다.

Пікірлер: 64
@choonhopark5542
@choonhopark5542 6 ай бұрын
평소 관심이 있던 금강산 철도를 이렇게 보니 너무 행복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korea333
@korea333 6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TV-gf8lk
@TV-gf8lk Жыл бұрын
금강산까지 구경 잘 했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Жыл бұрын
오성산은 실제로 구글 지형도로 보시면 왜 여길 김일성과 모택동이 무조건 사수하라 했는지 한번에 이해가 된답니다 ㅋ 여기 먹으면 평강고원은 물론 금성, 창도, 회양 일대를 다 감제하게 되어 전선은 단번에 수십km 북상해 추가령-철령-통천까지 올라갔을 겁니다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user-hl4no2ek3w
@user-hl4no2ek3w 5 ай бұрын
아ㅡ 오성산이 그런 주요한 위치에 있었네요 오성산와 한탄강 줄기는 어찌되는지요?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5 ай бұрын
@@user-hl4no2ek3w 한탄강은 오성산 북서쪽에 위치한 평강-세포 경계의 장암산에서 발원합니다. 장암산에서 나온 뒤 반시계 방향으로 휘감아 남쪽으로 흐르면서 평강읍을 가로지른 뒤 휴전선 넘어 대한민국으로 온답니다. 오성산은 한탄강과 상관 없습니다
@artman4443
@artman4443 Жыл бұрын
실제로 다녀온 느낌입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user-xs6jg8xh8m
@user-xs6jg8xh8m 15 күн бұрын
지난 철원 지역에서도 글을 썼었는데 돌아가신 할아버지 생각이 많이 나네요. 이 기차의 차장이셨습니다. 고 엄영섭 할아버지 생각이 많이 납니다. 좋은 기억나게 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할아버지께서 걸어가셨던 길이 생각나네요~^^
@korea333
@korea333 15 күн бұрын
시청 감사합니다.^^
@user-jj5rn1zi8b
@user-jj5rn1zi8b Жыл бұрын
우리 어머니 고향 철원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누구 보다 애틋하시겠네요.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lv9ns5bn5e
@user-lv9ns5bn5e 6 ай бұрын
저는 아버지 고향이 김화읍입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Жыл бұрын
통일 후에는 철원에서 금강산선을 재부활 시키고 또 서쪽으로 안협-토산-신계-수안-연산을 거쳐 평양으로 가는 내륙선을 신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ㅋ (원주-춘천-철원 간 영서내륙선 신설도 덤으로)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Жыл бұрын
철원이 서울-원산 축선을 기본 뼈대로 해서 북동쪽으로 금강산, 남동쪽으로 춘천과 영서지방, 서쪽으로는 사리원, 북서쪽으로는 평양으로 갈 수 있는 교통의 요지이죠. 특히 영서지방에서 황해도 동부를 거쳐 평안도로 바로 가는 관문이라 군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고요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예, 그래서 철원은 반드시 사수해야 하는 곳이었죠. 시청 감사합니다.^^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Жыл бұрын
@@korea333실제로 한국전쟁으로 우리가 철원과 김화를 먹어서 북한이 황해도-강원도 간 동서연결을 하기 많이 어려워졌죠 ㅋ 그나마 평강고원을 사수해서 신계-지하리-이천-평강 축으로 연결이 가능하고요 ㅋ
@baejunho9411
@baejunho9411 5 ай бұрын
오 제가 근무했던 GOP 부대가 잘 보이네요 초소에서 보는 오성산은 참으로 아름다운데 빠른시 일내에 통일이 되었으면 합니다.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예, 저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houseofgodnm
@houseofgodnm 10 ай бұрын
Than you!
@korea333
@korea333 10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ggangyul
@ggangyul Жыл бұрын
감사히 보았습니다~~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wongun1984
@wongun1984 5 ай бұрын
먼훗날 통일이 되어 금강산선이 복원된다 하여도 이미 수물된 구간은 이설할 수 밖에 없을것 같네요~... 여담으로 금강선 운행 당시 북한의 산간지역 구간의 평균속도는 15km. 즉 1호선 시청역~종각역 급커브구간의 운행 속도와 동일했었다고합니다.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예, 정보 감사합니다.^^
@user-jt7tx8xq9d
@user-jt7tx8xq9d 7 ай бұрын
설명을 곁들인 영상을 잘 보았습니다. 통일이 된다면 금강산철도 복원이 아니라 새로 선로를 건설할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철원에서 접근하는 노선, 양구에서 접근하는 노선, 동해안에서 접근하는 노선 이렇게 가정해 볼수 있는데 이제는 터널 굴착하는 기술이 발전되어 환경을 덜 파괴하고 기차운행시간도 절약하기 위하여 터널을 많이 뚫엇 노선을 건설할 수 도 있을 겁니다. 가파른 경사면에서는 영동선의 솔안터널 처럼 산속 지하에서 따베굴 형식으로 건설할 수도 있을 겁니다
@korea333
@korea333 7 ай бұрын
기차 타고 금강산 가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시청 감사합니다.^^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14 күн бұрын
지금 하는 꼴 보면 통일은 커녕 곧 전쟁 나게 생겼네요..ㅠ
@user-hl4cz9ti8j
@user-hl4cz9ti8j Жыл бұрын
또한 반대로 개성과 황해도 중부,남부에서 금강산, 원산으로 갈 때도 철원평야를 거치게 된답니다 ㅋ
@korea333
@korea333 Жыл бұрын
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lcy0305
@lcy0305 Ай бұрын
금강산선에 대한 사실을 보면 1.한반도 최초의 전기철도 노선이자 북한 최초의 전기철도 노선입니다. 왜 하필 북한이냐면 금강산선은 한국전쟁이던 1950년에 폐선되었는데 그 이전에 남북한의 경계는 38선이었습니다. 금강산선은 전구간이 38선 이북이라 해방 이후에는 북한의 영역이었으니 북한 최초로 정한 겁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전기철도 노선은 1973년 6월 20일 중앙선 청량리~제천 간 전철화가 최초입니다.(노면전차나 지하철 제외) 2.우리나라에서 금강산선에 대한 흔적은 금강산철교(금강산선 존재 당시에는 정연철교)가 거의 유일하죠. 금강산선이 다니던 경로는 지금 464번 지방도(금강산로)가 생겼습니다. 북한 지역에서의 금강산선 흔적은 단발령 구간이 도로로 바뀐걸 제외하고는 현황을 알수 없습니다.(금강산선 운행 당시 단발령 스위치백은 터널이 있었음) 3.통일이 되면 금강산선은 복원해야 하는게 맞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개발이 되지않은 시골이라 토지보상도 매우 쉽고 특히 북한지역은 토지가 국가 소유(공산주의)이기에 더더욱 보상이 쉽고요. 일단 우리나라 구간인 철원~휴전선 구간은 464번 지방도 옆으로 철길을 내면 됩니다. 창도까지는 일제강점기 당시 선로 그대로 복원이 가능한데... 문제는 창도~화계 구간은 임남댐 축조로 수몰된 구간입니다. 그래서 다른 경로를 찾아야 합니다. 금강산선 건설할때 당초에는 단발령 구간이 아니라 창도(현 김화군 창도리)~신안중(현 창도군 창도읍)~부로지령~화천(현 금강군 화천리)~내금강 경로로 건설할 예정이었다고 합니다. 결국 통일되면 이렇게 건설해야 할 듯합니다. 종착역인 내금강역도 원래 위치에는 내강소학교가 들어서 있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역을 지어야 할 것입니다.
@korea333
@korea333 Ай бұрын
귀한 정보 주시고 시청 감사합니다.^^
@user-xd8nv2cq2w
@user-xd8nv2cq2w 5 ай бұрын
광삼역터가 남아있어는데 40년전에...대성산에서바라보던 오성산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그랬군요. 시청 감사합니다.^^
@jgkwak-bt1hn
@jgkwak-bt1hn 6 ай бұрын
👍
@korea333
@korea333 6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sr4wt4kt7d
@user-sr4wt4kt7d Ай бұрын
한국땅이였다면 일본이나 유럽처럼 산악열차로 유명했을듯… ITX청춘처럼 ITX금강같은게 나와서 흥했을듯…
@korea333
@korea333 Ай бұрын
그랬을 것 같습니다. 시청 감사합니다.^^
@user-fy2ig3ks4d
@user-fy2ig3ks4d 6 ай бұрын
금강산 전기철도 일부구간은 수몰되어 있죠 .금강산댐 즉 임남댐이죠.만약 통일후 재건설한다면 임남호를 피해야 할듯 합니다 댐 안전진단 에서e 등급이 나온다면 해체 답이지만 담수면적이 충주댐 다음이라 아마도 보조 여수로를 추가할듯 합니다. 아마 솔안터널 처럼 루프형 터널 또는 하저 터널로지어야 할듯 합니다.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예 그렇게 해야 할 듯 합니다.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jk9st2mt5n
@user-jk9st2mt5n 5 ай бұрын
통일이 된 직후 금강산선 전기철도가 1940년대 초반에 다니던 100% 모두 똑같은 구간으로 다녀지게 재공사를 하여 재개통이 무조건 100% 꼭 되어지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렇게 되어 철도건널목도 많이 만들어지게 되고 또한 그 해당 모든 철도 역사들이 금강산 풍이 나는 철도 역사로 지어지게 되면 좋겠습니다. 진심으로 이 말을 하는 것입니다.😮😮😮😮😮😮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바라시는 바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시청 감사합니다.^^
@NekomiSkuld
@NekomiSkuld Ай бұрын
당시 금강산선에서 쓰였고 전쟁때 용산정비창에서 북한군에 의해 탈취되어 북으로 올라갔던 일제의 데로형 전기기관차들이 아직도 북한에서 굴려지고 있다고 하네요. 같은 민족이지만 진정한 거지나라의 끝판왕 급이라고 말하지 않을수가 없습니다.
@korea333
@korea333 Ай бұрын
왜 그런 나라를 유지시켜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시청 감사합니다.^^
@user-gr5zd6ky6k
@user-gr5zd6ky6k 6 ай бұрын
일제시대에 갈마스키장이 있었다네요 분단후 대체스키장찿은곳이 진부령 용평스키장이라네요 갈마스키장 다녀왔던 분에게 직접들은 이야기 입니다
@korea333
@korea333 6 ай бұрын
스키장이 있었군요. 시청 감사드립니다.^^
@user-by9xj7cg2u
@user-by9xj7cg2u 14 күн бұрын
와~ 그 시대에도 스키장이? 하긴 잘사는 인간들이야 언제 어디서든
@MSN38S
@MSN38S 5 ай бұрын
설악산은 금강산의 남쪽 끝짜락 연장선 정도고 금강산에 소속되 있는 산 정도로 보면됨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합니다.^^
@kkk-gs2kw
@kkk-gs2kw 5 ай бұрын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통일이 될수없는 현실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합니다.^^
@user-cd8hp7tc7e
@user-cd8hp7tc7e 5 ай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군대 생활을 하던 곳이 철원이라 익숙한 지명들이 나오네요. 십여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 지도를 펴놓고 통일이 되면 가고 싶은 북쪽 지역의 산들을 보곤 했는데 살아 생전 통일이 될까 걱정이 됩니다. 젊어서 부터 통일되면 우리나라를 통해 백두산을 가보겠다고 아직 백두산도 금강산도 가보지 못했습니다. 부질없는 이념 논쟁을 버리고 우리도 독일처럼 하나로 된다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우리 젊은이 들이 걸어서, 자전거로, 오토바이로, 자동차로 열차로 유럽까지도 갈 수 있게 되니 호연지기가 생기겠지요. 섬아닌 섬나라에서 살다보니 일본놈처럼 이상한 섬 놈 근성(왕따, 히키코모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korea333
@korea333 5 ай бұрын
어서 빨리 자동차로 평양도 가고 국경 넘어 블라디보스톡도 갔으면 좋겠습니다.^^
@user-io6ud1zf9g
@user-io6ud1zf9g 7 ай бұрын
wkf qhrh rkqslkek.
@korea333
@korea333 7 ай бұрын
시청 감사합니다.^^
@user-vf4eb4ws2o
@user-vf4eb4ws2o 15 күн бұрын
김일성 지옥에갈인간
@korea333
@korea333 15 күн бұрын
가 있지 않았을까요? 시청 감사합니다.^^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ОДИН ДЕНЬ ИЗ ДЕТСТВА❤️ #shorts
0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오세암 가는 길...
27:38
웅Feel
Рет қаралды 16 М.
호주의 95%는 왜 비어있을까?
12:59
용두사미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그리운 금강산
5:11
APP TV
Рет қаралды 240 М.
[Full] 한국기행 - 한반도 평화기행2  1부 금강산 가는 길, 양구
17:51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8 М.
철원, 전쟁으로 파괴된 도시
10:10
모두의공간
Рет қаралды 24 М.
특집 다큐멘터리 [고성, 금강을 잇다]
47:30
춘천MBC 프로그램
Рет қаралды 6 М.
버블티로 체감되는 요즘 물가
00:16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