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들의 생각법에는 특별한 점이 있다? (feat. 10분만에 읽는 '생각의 탄생')

  Рет қаралды 154,229

1q60 일큐육공

1q60 일큐육공

5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 피카소, 버지니아 울프, 리처드 파인먼,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위대한 창조자로 꼽히는 대가들의 생각법에는 보통 사람과는 다른 특별한 지점이 있는 걸까요. 질문에 대한 답은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이들이 사용하는 생각법 자체는 사실 특별하지 않습니다. 천재들이 쓰는 ‘관찰’이나 ‘감정이입’ 등의 생각법은 평범한 우리들도 자주 쓰는 것들이니깐요. 하지만 “그들도 우리랑 똑같이 생각한다”고 단언하기에는 분명 사뭇 다른 지점들이 있습니다. 무엇이 다르길래 그들은 위대한 발견에 도달할 수 있었던 걸까요. 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시간주립대 생리학과 교수의 저서 ‘생각의 발견’을 통해 그들의 생각법이 어떻게 특별한 지를 다각도로 분석해 봤습니다.
#아인슈타인 #루트번스타인 #서울포럼 #생각의탄생

Пікірлер: 210
@user-xz1bs1os7c
@user-xz1bs1os7c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에 댓글이 없어서 너무 아쉽네요 좋은 정보공유 감사합니다!
@user-kz2my7ps6w
@user-kz2my7ps6w 2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 퀄리티가 너무 좋아요.. 제작하신 분 정말 박수....
@user-xt8rb5tk5z
@user-xt8rb5tk5z 4 жыл бұрын
천재들의 생각을 10분만에 영상으로 볼 수 있는 시대인것도 놀랍다..
@shsong2511
@shsong2511 2 жыл бұрын
그것또한 천재들의 덕분임. 물론 재능만 높이삼. 인격으로는 지멋대로 이기주의는 기본탑재에 밑바닥이 수두룩함. 아니러니하게도 이점이 또 분야에 높은 업적과 성취를 이루는 중요한 요인이라는게..
@user-vn2dt2fp7w
@user-vn2dt2fp7w Жыл бұрын
@@shsong2511 아는첫 하는거 존나 웃기네
@shsong2511
@shsong2511 Жыл бұрын
@@user-vn2dt2fp7w 왜 똑똑한 소리 하니까 거슬려? 그럼 천재들이 보통 사람들과 생각하는 법이 같으면 천재로 남았겠어? 그럼 천재가 아니라 보통사람이었겠지. 나는 당연한 말을 한것 뿐인데 당신은 마음속에 시기와 미움이 가득하다. 아는 척이 아니라 사실을 이야기한것 뿐이고 내가 아니라도 많은 배운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는데 너는 그저 내가 얘기했다는 이유만으로 아니꼬운건 아닌지 한번 생각해봐.
@warrenbuffett4175
@warrenbuffett4175 Жыл бұрын
@@shsong2511 천재가 지능이 높고 성공한 사람 아니야? 유튜브에서 10분짜리 영상 보는게 왜 천재덕분임?
@warrenbuffett4175
@warrenbuffett4175 Жыл бұрын
@@shsong2511 간접적인 영향은 있겠지만 직접적으로 누구 덕분에 뭐가 있다 이렇게 말해봐
@user-vv4bz9ob1b
@user-vv4bz9ob1b 3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보고 듣고 배웠고 더 좋은 생각을 하더라도 행동으로 안 옮기고 시간이 지나서 내 생각이 맞았네. 하면서 살아가죠. 생각이 가장 쉬워요. 행동이 가장 어렵죠. 행동해야 합니다.
@navire3168
@navire3168 4 жыл бұрын
알고리즘이 날 이곳으로 왜 데려온거지 생각좀 하라고 그런건가
@refarm7th
@refarm7th 4 жыл бұрын
와.. 꽤 두꺼운책인데 요약전달을 정말 잘 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user-cj9oc8fb6q
@user-cj9oc8fb6q 2 жыл бұрын
1. 상상력 사고실험 생각의 필수는 이미지, 이미지는 근육까지 갖추고 있어야 한다. 즉 상상력과 직관이 중요하다. 2. 관찰과 형상화 감각적인 연상 추상화를 통한 구체적 사고를 해라. 3. 추상화 대상의 불필요한 부분을 걸러 핵심을 도출해 도구화 시킨다. 즉 정답은 놀랄만큼 강력한 추상적인 통찰력이다. 4. 패턴인식, 유추 패턴을 고안, 형성하는 것은 지식 습득에 효율적이다. 즉 패턴 형성, 인식을 해라. 유추는 다른 형상이 비슷한 규칙을 공유한다. 즉 내적인 관력성을 알아내라. 5. 몸으로 생각, 감각으로 느낌 생각은 언어가 아닌 감각과 근육, 힘줄 피부를 타서 느낌으로 알아라. 감정이입을 통해 이해해라. 즉 역지사지를 해라 6. 다차원적 사고와 모형만들기, 놀이하기 추상화와 유추를 결합, 감각과 감정이입을 결합으로 된 통합적 생각도구 상황에 적절한 도구 활용, 상상력을 언어로 아웃풋 7.통합
@user-hv1gv2op9x
@user-hv1gv2op9x 4 жыл бұрын
에디슨이 "천재는 99%의 노력과 1%의 영감으로 완성된다"고 했을때, 그 의미는 노력이 중요하다가 아니었지요. 1%의 영감이 없다면 노력해도 천재가 될 수 없다는 말이었죠. 그 영감, 혹은 번뜩임은 두뇌속에서 상상력과 창의성이 어우러져 고도의 두뇌활동을 한 끝에 나오는 거죠.
@sukyoungkim878
@sukyoungkim878 4 жыл бұрын
너무도 감사드립니다. 영상의 퀄리티가 매우 높습니다. 구독 누르고 갑니다. ^^
@kamjin29
@kamjin29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요약 정리를 너무 잘해주셨네요!!!! 이해가 쏙쏙 되네요 ㅎㅎㅎㅎ
@sangolman4785
@sangolman4785 4 жыл бұрын
머리좋은 사람은 사람들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에서도 호기심을 가지고 그 원리를 찾으려고 하쥬
@Kevins_laboratory
@Kevins_laboratory 4 жыл бұрын
영양가높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gq1fx5xp5r
@user-gq1fx5xp5r 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le1vd2yo2s
@user-le1vd2yo2s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user-qo9ug7cm6d
@user-qo9ug7cm6d 2 жыл бұрын
재밌었습니다 감사해요
@user-si9qp8gv5c
@user-si9qp8gv5c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shsong2511
@shsong2511 2 жыл бұрын
일반인과 천재에 대한 요약 : 대부분의 사람은 상식과 기존의 통념적 사고에서 벗어나질 못한다. 자기 내면에서 이것이 정말 옳으냐 하는 사유나 검증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편이며 그것을 당연하게 인식하는 상태가 고착화되고 나중에는 결국 모든 사물과 현상을 대할 때 창의적 발상을 하지 못함. 집단이나 다수의 논리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편. 의심하는 습관이 없음. 사유화가 안되어 사고매카니즘이 유연하고 다채롭지 못함. 분석의 시작은 의심과 지적탐구욕에서 시작됨. 일반인들은 이게 안됨. 여기에 한국 특유의 전근대적 주입식 암기교육은 더더욱 이런 생각을 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성장하는데 일조함(기계적 인간). 사유나 분석을 상당히 귀찮아하고 용기가 없어 대충 넘어감. 다수의 생각에 맞서거나 의심해볼 생각 자체를 거의 못함. 따라서 새로운 시도나 혁신적인 결과가 나올 수 없음. 천재들의 일생이나 그들의 기질을 관찰해보면 하나도 예외없이 통념적 사고에 부정적이거나 모두가 당연시하는걸 의심하고 또 의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음. 이게 그런데 웃긴게 성공하면 다수가 못하는 월등한 결과물을 내거나 큰 업적을 쌓을 수도 있지만 잘못되면 정말 집단에서도 외면받거나 모든 사람들에게 개무시당하기 딱좋은 성향임. 한마디로 모 아니면 도. 때문에 이러한 기질을 타고난 천재성을 가진 사람도 살아가면서 대부분 고단한 삶에 무너져 보통사람으로 남는 경우가 허다함. 이런 기질을 타고난 사람 중 극히 일부만아인슈타인과 같은 빛을 보는것이고 일단 성공하면 역사에 이름을 남길 가능성이 높음. 거의 모든 사람들은 태어날 때부터 아예 이런 기질이 없으니 걱정안해도 됨. 어디까지나 처음부터 이런 기질을 타고난 사람 중에서 아인슈타인같은 사람이 나오는 것임.
@Yeondoo96
@Yeondoo96 10 ай бұрын
오아 개공감 ❤ 👍
@user-bd2rl7dv2f
@user-bd2rl7dv2f 3 жыл бұрын
빛이 힘이고 에너지다
@jinhanhan701
@jinhanhan701 3 жыл бұрын
공부를 열심히 하기시작하면 우린 가장 효율적인 사고체계를 찾고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단 꾸준하게 자주 뇌에 노출시켜야 되는 거다. 단여기서 조건이란면 밸런스에 맞는 지적활동을 해야한다. 물론 뇌마다 사고구조랑 활동능력이 달라서 그것도 사람에 맞게 맞춰 가야되는거다. 그런데 이런 조건이라면 저능아나 지적장애자도 지적능력을 고차원적으로 개발가능한지는 나도 모른다, 근데 가장 갖춰야할능력은 집중력 기본적으로 깔려 있어야된다는거임.
@intp4124
@intp4124 3 жыл бұрын
세상의 모든 사물을 인지하냐 못하냐는 관심에서 출발한다. 나의 관심은 물음표로 출발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관찰은 사물을 이해하는 공부이자 훈련이다. 사물을 이해하는 능력과 관심이 한번에 이루어져 사고라는 일을 한다면 느끼지 못하지만 , 실물로 표현하지 못하지만 결과에 도달한다. 느낌은 5감과 6감이 서로 교감하며 느낀점을 조합하는 것이다. 통찰력은 자신의 지식의 범위에서 이루어진 사건을 모방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새로운 정보를 지속적으로 받아 들인다면 그 정보가 나를 훈련 시켜 느낌으로 발전 시켜준다. 느낌은 기억을 저장 하는 것보다 쉽게 찾아 쓸 수 있는 도구의 형태가 된다. 그 도구들을 이용하여 새로운 사건의 결과를 도출 하는데에 유용한 재료가 된다. 모든 고민과 사건은 원초적 발생 원인이 존재한다. 원초적인 구조를 이해하면 발생된 사고의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상상은 그림을 그리는 것이다. 원초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그림이나 영상을 머리로 분석하고 장단점을 만들어내 장점을 강점으로 단점을 보안 할 내 지식속의 정보로 덮어씌운다. 저는 발명가 , 사업 기획가가 꿈입니다. 물론 실제로 해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위의 내용들은 제가 생각하는 방법을 언어화 해보았습니다. 공부는 주입식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나의 것으로 만드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자신의 장단점 부터 잘 파악하고 훈련 한다면 자연스럽게 새로운 주제로 생각의 방법을 전이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잣대에 맞게 생각하기 보다는 오픈 마인드로 생각의 폭을 넓히다 보면 더 많은 것들이 보입니다.
@bk596
@bk596 2 жыл бұрын
폰 노이만 같은 기억/암산 천재, 떡잎부터 누가 봐도 천재가 있는가 하면, 아인슈타인 같은 독특한 발상의 천재, 처음에는 알아보기 힘든 천재가 있다. 한국은 폰 노이만 같은 천재만 키우는 분위기인데, 그마저도 의대나 돈 되는 분야로 빠지기 십상인 사회/경제적 상황. 아인슈타인 같은 천재에 대해서는 제도는 커녕 인식 자체가 부족. (반면, 미국 영재 교육은 "누가 봐도 천재" 중심에서 "혹시 모를 천재"까지 포괄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몇몇 분야에서 성적/관심이 다소 높은 학생에게도 영재 교육을 시킨 지가 약 20년 정도 됐음.)
@user-cd5zf1zi1h
@user-cd5zf1zi1h 3 жыл бұрын
멋진 영상이다.! 추상을 잘하는군.
@user-qr5je9uh3t
@user-qr5je9uh3t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이 수학에 약했다는 건 개소리 of 개소리. 당시 현대대수학 다 알고있었고, 물리개념도 충분히 알고있었음. 또 아인슈타인이 직관도 대단하지만 그 직관까지는 마흐의 철학이 컸고, 그걸토대로 맥스웰의 방정식이 컸음. 맥스웰의 방정식에서 빛의 속력은 상수이다. 라는 것과 뉴턴의 역학법칙이랑 달랐음. 그걸 캐치를하고 생각을 달리한 거지. 그냥 직관이 특 튀어나오고 뭐나오고 그런 것 없음.
@Jinjin535
@Jinjin535 3 жыл бұрын
저런 엄청난 원리와 사실을 찾아내는데 있어서 일련의 사고만으로 저런 수준에 도달했다는 거 보면 정말로 경이롭다는 말밖에 안나오는듯. 9분 남짓한 영상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단순히 듣고 이해만 하는 것 자체도 어려운데 저 경지까지 사고실험으로 도달한 아인슈타인은 얼마나 높은 지능의 소유자였을지...
@lichtundwasser9044
@lichtundwasser9044 Жыл бұрын
세계바둑랭킹1위를 16년이상 유지하여 바둑의 신으로 군림한적이 있었던 이창호도 아이큐는 138밖에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user-eq6yf4wx3i
@user-eq6yf4wx3i 2 жыл бұрын
자신의 경험에 빗대어 구체적으로 상상하라
@system171
@system171 3 жыл бұрын
진짜천재는 파스칼이겠지요. 계산기를 만들다니 ㄷ ㄷ
@user-rt1sz5cg7e
@user-rt1sz5cg7e 2 жыл бұрын
아이슈타인이 대단하지만 한편으론 아이슈타인이 맞다기보단 우리의 상상이 우주에서 왔기 (신체를 구성하는 모든 성분은 태초의 구성 성분들임)때문에 우주나 우주를 초월한 그어딘가엔 우리가 상상하는 모든게 존재할꺼같음
@Matilda-jb2vc
@Matilda-jb2vc 9 ай бұрын
각기 다른 점들은 연결하여 자기만의 삶의 원칙을 만들어내고 사고체계를 창조해내는 사람. 사고만으로 세상원리를 알아내는 사람이 천재. 경험으로 아는 사람은 범인. 경험해도 모르는 사람은 머리 나빠서 손발이 고생하고 남에게 욕 들어먹고 사는 사람. 인생은 지능( 아이큐, 개방성, 호기심, 상상력)에 따라 급이 나뉜다
@user-jf2ji8pn7z
@user-jf2ji8pn7z 2 жыл бұрын
생각만으로 변변한 장비 없이 블랙홀의 존재를 발견했다. 정말 충격적인 천재인듯 합니다. 생각의 중요함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는 귀한 강의입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user-bj6of3sz1d
@user-bj6of3sz1d 4 жыл бұрын
형상화 추상화 변형과 통합
@siheonseong5920
@siheonseong5920 4 жыл бұрын
상대성이론과 장방정식 대단합니다... 근데 정작 물리 공부해보면 파인만의 양자장론이 더 천재적이다고 느끼게 됩니다..
@user-uo3tg2qw7p
@user-uo3tg2qw7p 4 жыл бұрын
파인만은 레알 천재
@user-ge6ey6gr6v
@user-ge6ey6gr6v 4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지 물리학계에서 ㄹㅇ 천재는 닐스보어,파인만임
@user-ge6ey6gr6v
@user-ge6ey6gr6v 4 жыл бұрын
물리학 교수들도 인정하는바임
@beraerkkk
@beraerkkk 3 жыл бұрын
정작 아이큐는 그리 높지 않았다는거... 아이큐는 상상력을 평가해주진 못하니까요... 우리가 아이큐에 목말라할필요 없는이유 ㅋ
@siheonseong5920
@siheonseong5920 3 жыл бұрын
@@beraerkkk 아녀 ㅋㅋ 아이큐 높은 사람이 상상력도 높습니다 ㅋㅋㅋ 그 당시 아이큐 검사는 신빙성이 낮아서 파인만의 수학적 능력을 그대로 보여주지 못했음
@jinsim1004
@jinsim1004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Kevins_laboratory
@Kevins_laboratory 4 жыл бұрын
가끔 누워서 잠들기 전에 보이는 이미지들이 왜 그런건지 궁금증 해결됫네요.......
@minsu5343
@minsu5343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보고 어떻게 궁금증을 해결하신거죠?? 저도 이미지들이 보이는데 제가 놓친 영상의 내용이 뭐였을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길 바래요
@user-oj2jt5oo5g
@user-oj2jt5oo5g 3 жыл бұрын
착각입니다
@user-uf8ds7gs2n
@user-uf8ds7gs2n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상상력은 찰나적으로 일어나며 또 사라지기도 하는것 같아요 우리는 상상이 곧 진화라는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쟁탈보다는 아름다움을 창조해야 합니다. 그것이 이상세계이죠
@astronomical777
@astronomical777 4 жыл бұрын
꼭 이런 천재글 나오면 유독 한국애들 댓글이 삐딱하거나 베베꼬인 이유가 있지. 주입식 교육에 길들여져 세계에서 아이큐가 두번째로 높니 마니하는 허영심에 도취되어 있다 진짜 찐 천재를 보면 자격지심이랑 열등감이 폭발하나봄..한국의 교육이 선진국 같았더라면 그좋은 아이큐를 가지고 전세계 사기 1위의 국가나 되진 않았을텐데,, 한국사회의 대부분은 본질을 놓지고가니 아이큐가 아무리 높아도 어설프게 머리좋은 소시오패스가 되거나 똑똑한 애들을 머저리로 만드는 것밖엔 안되는듯함.
@braitnerbell1577
@braitnerbell1577 4 жыл бұрын
한국사회는 언제부터 기준점을 잡아야합니까? 사회가 언제부터 한국적이 되어집니까? 사회는 언제부터 사회의 기준점이 되었습니까? 본질이란 무슨뜻입니까? 인간의 본질입니까? 교육의 본질입니까? 어떻게 길들여진 아이큐가 높은 인간이 되어있습니까?
@kokoro33250
@kokoro33250 3 жыл бұрын
첫번째 아니고...
@intp4124
@intp4124 3 жыл бұрын
자기와 다른 사람들을 이해와 설득이 먼저가 아닌 차별과 거리를 두려고 먼저 생각함. 그것의 이해와 활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아직 모름. 그러니 잠재적인 천재들이 한국엔 넘쳐남. 그걸 시기하는 사람들은 배척을 하고 그 특이함을 시기함을 나쁜 방향으로 표현함. 학교 성적만이 그 사람의 지표가 아니지만 주입식 교육에서 바라는 결과는 눈에 보이는 숫자의 수치뿐. 공부 잘하는 애들을 대부분 한정적인 직업으로 내몰아 버려서 지식 보다는 자본주의 최고의 결과 물인 돈과 평탄한 삶을 보모들의 시선에서 아이들이 이끌리게 만들어 버림. 결국 우물안 개구리. 창조 경제를 외치던 정부는 교육으로 생각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고 실제로 눈에 안보이는 특별한 아이들은 관심에도 없음. 그 애들이 나중에 사회로 진출하면 머리가 아파짐을 아는 듯. 자신 보다 뛰어난 애들의 것을 훔쳐 자기의 성과인 마냥 떠들어 대고 일회용 처럼 버려짐. 짓 밟아버림. 누군가에겐 일생 일대의 업적 일수 있는 일들을 눈 깜짝 안하고 날로 먹음. 선진국의 교육을 찬양하는 이유는 그들은 자신 보다 뛰어난 분야의 사람들을 차별 없이 이해하고 사회에 이용 할 수 있도록 돕는 것. 그로 인해서 다양한 방법의 교육을 채택해 뛰어난 아이들을 발견하여 국가나 사회에 공헌 할 수 있도록 도와줌을 목적으로 함. 이런 이유로 삼성은 위대하다.!
@intp4124
@intp4124 3 жыл бұрын
@Jackie Lee 자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장단점을 파악한 상태라면 바라는 분야나 최고점에 섰을때 계획을 머리로 짜보고 그걸 이행 하기 위해서 작지만 큰 경험으로 시작 해보시면 좋을거 같네요. 저 같은 경우는 아이디어 도용 당한 느낌이 들었는데 그 결과 특허도 내보고 저와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까페에 가입하고 눈으로라도 흐름을 보고 직접 참여해서 온라인상 미팅도 해봤구요. 결과는 안좋지만 시도를 시작으로 가닥을 잡았습니다. 저는 제가 사장을 목표로 하는게 아니라서 사장할 사람을 구하고 있구요. 님의 분야로 어떤식으로 설계 하냐가 잘되든 못되든 중요해 보입니다. 누군가의 길을 따라가도 되겠지만 가장 중요한건 자신의 영역을 만드는게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연구가 없고 자신의 강점을 모른다면 순간의 운이나 순간의 생각일뿐 지속적으로 해낼수 없다 생각 하기 때문에 자신의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무언갈 이루어낼수 있는 방법을 찾으시길. 저는 생각하는게 즐거운 사람입니다. 님은 무얼할때 즐거우신가요?
@user-yi3sz2cu2j
@user-yi3sz2cu2j 2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배경음악이 커서 목소리를 듣기가 힘드네요~
@bms7786
@bms7786 2 жыл бұрын
저도 언어나 글자에서 색을 느끼긴합니다. 그래서 생각하는바도 다른 사람들과 좀 다르긴 합니다.
@blue-beer404coco9
@blue-beer404coco9 3 ай бұрын
부럽네요
@user-lg7dn9mq5l
@user-lg7dn9mq5l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고 분석을 했다 아인슈타인의 사고실험을 내것으로 익히는데 자그마치 2시간이 걸렸다 천재들의 생각법 느낌적인 통찰 내가 익힌 생각법 1. 결론을 다양한 예시에 대입하여 패턴 파악 2. 패턴을 이루는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실체들 파악 ( 본질 ) 3. 예외 예시로 결론을 검증 처음엔 내가 원하는 것을 빠르게 도달,파악하기 위해 시작했고 그 생각의 기법을 찾기 위해서 시작했다 자꾸 내가 무엇을 하려했는지 까먹는다 ㅜㅜ 이런 증후를 사고실험으로 돌려보면 여러 나들중에 몇몇은 효율적인 직진 답을 찾기도하고 또 몇몇은 목적을 잃어버리는 답을 찾기도 한다 나 들의 목적에 다가가는 패턴은 중간과정이 너무 길다 한톨의 오차도 허용하지않는 완벽주의로 지식탐구가 무한로딩된다 완벽주의 나가 목적에 도달할 확률이 적다 큽 ㅠㅠ 현실에 발맞춰 내가 빠르게 습득에 필요한 실체들은 증후 를상상으로 실험하고, 결과 를 내는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연결고리 실체들만 파악해도 된다ㅜㅜ 근데 이 다음에 뭘하면 좋을지 낵스트에 불안해서 또 한번 사고실험을 돌려봤다 감각을 가진 무수한 내가 있고 해피,긍정,도전,영특,뛰어남을 목표로 요 회로를 돌려봤다 장점. 조리있게 설명한다 정점. 결과를 낸다 ㅋㅋ 보완. 호기심을 사고실험에 넣어 유추를 명확하해서 느낌적으로 통찰한다 장점. 사고실험에 필요한거 질문할수있겠다 장점. 리스크도 파악할 수있겠다 장점. 본질도 느낌적으로 파악할 수 있겠다 장점. 망상과 거리가멀다 ㅋㅋ 장점. 대인관계에서 호기심을 구분지을 수있겠다 장점. 업무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내는 패턴파악할 수 있겠다 지금처럼 이미지가 있는(일종의) 개체에 증후가 있는데 쟤도 이런 증후 가져야지 이 증후가 안보여 (경험과 자료를 탐색하면서)아 요거때문이겠구나
@user-ig1sn9yj3t
@user-ig1sn9yj3t Ай бұрын
"이해하고 싶은 것이 되어보라."
@earlycastle411
@earlycastle411 3 жыл бұрын
8:40 왜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그래요
@cozcogconcom5985
@cozcogconcom5985 2 жыл бұрын
?
@slaalsla
@slaalsla 2 жыл бұрын
국어시간에 다 나온 개념들이네... 그래서 어른들이 국어가 모든 과목들의 기초고 어릴때 책 많이읽어라 하는거같아요ㅋㅋ 단순히 입시뿐만 아니라... 활용하고 반복하고 사고하는 여러 능력들을 길러주는 거같아요..
@user-tp8ir4qq9w
@user-tp8ir4qq9w Ай бұрын
어떤 문제를 빨리 푸는 사람보다 다방면에서 의문을 가지고 원리를 이해하려고 생각해보는 사람이 진짜 천재라고 생각함
@user-uv3bt1mp7r
@user-uv3bt1mp7r 2 жыл бұрын
1:48 도대체 뇌가 어떻게생겼길래 저런 상상이 가능한걸까ㅋㅋㅋ
@user-yd1rp5qf2p
@user-yd1rp5qf2p 4 жыл бұрын
수학은 현실세계를 시뮬레이션 하는 도구 입니다. 말 그데로 시뮬레이션 이기 때문에 현실과 다른 결론에 다다를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죠. 실제로 많은 경우 수학적 결론과 실제적 현상이 다른 경우가 발생 합니다. 물론 그럴때마다 수식을 수정하거나 다른 공식을 만들어 내곤 했죠. 수학적 결론으로 시간여행이란 개념이 등장 합니다, 순전히 수학적 상상력의 결과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가능하다고 여기죠. 근데 정말 물리적으로 가능 할까요? 사실 시간은 실존하는 것이 아니라 수학적 관념 혹은 변수 입니다. 물론 인간의 뇌에서 시간을 관념화 할수 있으니 시건이 존재 하는것처럼 느껴지지만 엄밀히 말해서 인간이 관측할수 있는 것은 운동, 공간, 물질, 빛등등이지만 시간은 관측이 불가능 합니다. 우리가 시계를 보고, 지구나 달의 운동을 보고 시간을 감지하는 것은 엄밀히 말해 시간이 아니라 운동을 감지하는 것이죠. 상대적 운동의 차이를 정량화 하는 개념이 시간이 아닐까 합니다. 그럼 이런 추상적 관념으로부터 파생되어 인간의 뇌를 통해 정의된 시간은 얼마든지 우리가 정의를 바꿀수 있다는 결론이 나오죠. 인간은 1분을 한시간으로 하든 아침의 1분을 1시간 점심의 1분을 10시간이라 정의 할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인간이 만들어낸 관념이니까요. 서로 합의만 본다면 어떻게 정의하든 인간 마음이죠. 물론 외계인들은 동의 안하겠죠. 즉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외계인이 동의 할 것인가? 라고 묻는다면 시간이란 변수 자체가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고 완전히 우주를 수학이 아닌 다른 관점에서 해석할 수도 있죠. 결과적으로 인간의 시뮬레이션 도구(수학)를 통해 본 우주는 그 한계가 명확하며 비록 지금까지 인류의 생존에 수학의 이용 비교적 결과가 성공적 이었지만 지구를 벗어나거나 인간의 한계를 벗어난 영역에서 수학이란 도구가 유용한지 알수 없다는 것이죠. 우주의 영역(거시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이나 빅뱅이론이니 하는 것들이 정말 신뢰할수 있는 것인가? 99.999%인간에계는 진실이 의미 없는 것이고 그들이 어떤 소설을 써도 증명할 길은 없으니 결국 진실인지는 중요하지 않죠.
@user-lg7dn9mq5l
@user-lg7dn9mq5l Жыл бұрын
로켓트가 우주에 발사되었죠 이 의미는 수학에 근거한 과학적 증명입니다 진실은 트루 참, 이제껏 깨지 못하는 진리입니다 예시를 들어볼게요. 저는 참고로 수학전공이고 아래 내용은 교수님이 했던 얘기예요 기원전 수학자 피타고라스의 정리가 나왔급니다 이제 현재 2022년 기술을 발달을 볼게요. 모든 현재 기술들은 저 명제에 근간한 수 많은 명제~이론~공식으로 확장되서 로켓이 발사 될 수 있었어요 이 명제가 깨지지 않아서 진실인겁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인간계에서만 통한다가 진실인지는 우주에서 정말 그러한지, 반증이 있어야합니다. 명제는 절대 깨지지 못했던 트루 참 진실을 의미합니다. 외계인들이 그렇게 안볼수 있죠. 반증이 있다면요. 저 명제를 부러뜨릴수 있는 반증이요 아직 깨지지 않았다는건 외계인하고 동일한 진실이고요 이 명제를 깨뜨릴 수 있는 예시가 나온다 그럼 진실이 아니게 됩니다 고로 지금은 99.9999% 진실입니다
@999-xz8lm
@999-xz8lm 18 сағат бұрын
천재는 좋게 말하면 한계를 모르는 인간의정점이자 슈퍼컴퓨터 그자체, 나쁘게 말하면 뭐든지 가지거나 해내야 되는 탐욕스러운 변태
@winman357
@winman357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여자분 클로즈업ㅋㅋㅋㅋㅋㅋ너무 선명하다
@user-cj9oc8fb6q
@user-cj9oc8fb6q 2 жыл бұрын
관찰과 형상화
@hackbumlee725
@hackbumlee725 4 жыл бұрын
신기하다 ㅋㅋㅋㅋ
@user-qn8be9mm9k
@user-qn8be9mm9k Жыл бұрын
00:22 슈발츠쉴트 억울하겠네
@dongdong925
@dongdong925 4 жыл бұрын
어 그럼 제가 클래식을 좋아하는 이유가 클래식을 들으면 그 상황이 머리속에 펼쳐질때가 많은건데 이 감각이랑도 조금 관련이 있나보네요!! 아주 가끔 잠들기 전에 오케스트라가 들리는데 음악에 조예가 없어서 그냥 잠자고 마네요 ㅠㅠ
@practicehardwork1174
@practicehardwork1174 2 жыл бұрын
[생각도구] 관찰 형상화 추상화 패턴인식 패턴형성 유추 몸으로 생각하기 감정이입 차원적 사고 모형 만들기 놀이 변형 통합
@user-br7ni1nm3f
@user-br7ni1nm3f 5 ай бұрын
굿럭
@user-qi2dn3xr5f
@user-qi2dn3xr5f 2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은 아이일때 천재더라
@user-py4ph2fb8g
@user-py4ph2fb8g 2 жыл бұрын
@포이리에 더스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ue_starwalker8964
@bue_starwalker8964 2 жыл бұрын
와 ㅆㅂ 초딩때 뭐보면 뭐막 떠올랐는데 주입식공부 ㅈㄴ하다보니까 그런거 없어졌네
@lonethinkerpark1549
@lonethinkerpark1549 3 жыл бұрын
E=Mc2 은 특수상대성 이론인데요.....
@user-de8vr2qe5t
@user-de8vr2qe5t 4 жыл бұрын
충격)초등학교때 미적분을 푼 사람을 수학에 약하다 하는 사람이 있다?!
@user-rh7lp8sy1c
@user-rh7lp8sy1c 4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는 생략된 부분이 있나봐요. 아인슈타인은 '세계적인 물리학자 치고는' 수학에 약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동료과학자들과 부인의 도움을 받았다고 합니다. 물론 말씀하신대로 일반적인 물리학자에 비하면 수학이 뛰어났겠죠?
@user-qr9co3vo4e
@user-qr9co3vo4e 4 жыл бұрын
@@user-rh7lp8sy1c 굿 답변입니다~
@goodandtak1331
@goodandtak1331 4 жыл бұрын
덧 붙이면 아인슈타인의 이론들을 수식화와 수학적 증명에 도움을 준게 괴델인데....괴델의 천재성은 지나칠 정도입니다. 물리학, 수학, 논리학, 철학에 있어 깽판을 치고 다녔거든요. 물리학은 겨우 시간여행 가능성의 계산 정도로 표현에 과장이 좀 있을 수 있지만 나머지 분야는 다른 천재나 위인들의 업적들을 논리적으로 깨부수고 다닐 정도였습니다.
@Jesus.Christ..
@Jesus.Christ.. 4 жыл бұрын
ㅋㅋ 저도 이 생각하면서 봤어요
@kokoro33250
@kokoro33250 3 жыл бұрын
수학은 일본인들이 용어를 너무 어렵게 만들어놔서 접근하기 어렵다. 미분 = 작게 쪼개기 적분 = 쪼갠 거 합치기 한국식 수학용어를 개발해라 제발. 일본수학용어 디리따 베끼지 좀 말고. 수학교수들은 모하나?
@hackbumlee725
@hackbumlee725 3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이런걸 볼때마다 신기하다
@user-wc6os6bi3p
@user-wc6os6bi3p 3 жыл бұрын
1.느낌 직관 통찰 2.자신의 언어로. 생각도구 1.관찰의 형상화 2.추상화 3.패턴인식
@user-lg7dn9mq5l
@user-lg7dn9mq5l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용어 나열하면 이해가 가나요?? 저는 추상화를 주로 쓰는 직업인 4년차 개발잔데요 아직도 추상화의 개념이 두루뭉실해서 모르겠어요. 이렇게 용어 나열했다면 단순하고 심플하게 정리 즉, 단순 이해하고자 하셨다고 보는데… 추상화를 어떻게 이해하신거예요?
@user-bs4vs5br2t
@user-bs4vs5br2t Жыл бұрын
@@user-lg7dn9mq5l 장난이시죠..?
@user-lz8ue7sz9h
@user-lz8ue7sz9h 3 жыл бұрын
사람의 겉모습은 어릴 때 dna에 새겨진 모양대로 타고나 커가며 또렷해질 뿐이에요. 환경에 따라 사사한 부분은 틀어질 수 있으나 기본적인 틀은 변하지 않아요. 생각과 사고방식, 뇌구조나 성향 등 속모습이라고 다를까 싶어요.
@seb729
@seb729 3 жыл бұрын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사사롭지 않아요. 어릴 적 환경, 트라우마 등으로 살인범으로 변해가는 과정이 사사롭지는 않잖아요
@user-cy4hp4fr5x
@user-cy4hp4fr5x 4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래밍과 심리학을 익힌 주커버그가 페이스북을 만들어 재벌에 올라선 능력 아이언맨의 실제모델인 엘론머스크가 별짓을 다하고 다니는 이유 ? ㅋㅋㅋ 스티브 잡스가 다르게 생각하라 외쳤던 이유 ㅋㅋㅋ
@sky-yr9jk
@sky-yr9jk 3 жыл бұрын
책 어려워서 영상 찾아서 보는데 영상도 이해가 잘 안 된다 ㅠㅜ바보인가 ㅜㅜ
@user-dz5ch2ph8m
@user-dz5ch2ph8m 4 жыл бұрын
이책볼만한가요?
@user-dz5ch2ph8m
@user-dz5ch2ph8m 4 жыл бұрын
@@Darkknight00022 그분 표절로 많이 이슈 되던데 신뢰할만한분인가요?
@Lu_family
@Lu_family 4 жыл бұрын
메신저와 메시지를 구분해라
@funnist369
@funnist369 4 жыл бұрын
@@user-dz5ch2ph8m 신영준박사님은 음... 저도 좀 그렇지만, 이 책은 좋은것 같아요.
@dlee0724
@dlee0724 4 жыл бұрын
감각들의 통섭?
@qwerty-zt1oc
@qwerty-zt1oc 3 жыл бұрын
수능특강 형이 왜 여기서 나와?
@LeeYoungHeun
@LeeYoungHeun 3 жыл бұрын
아인쉬타인이 수학을 못했다는 얼토당토 않는 거짓말을 늘어놓는 것은 그의 전기문도 안읽고 여기저기서 주워듯고 이걸만들었기때문입니다. 그가 대학시험에 낙제했는데, 수학을 잘했기때문에 수학특기생으로 입학했구요. 특허청에서 일했기때문에, 당시 최대 이슈였던, 기차 출발 지연 시간차에 관한 수많은 아이디어를 정리할수 있었죠. 그리고 당시에 빛의 속도가 안변한다는 실험결과를 얻어듣고, 반대로 시간이 변하는 것(서로 다르게 흐르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고 계산을 한 것입니다. 거기서 수학능력이 없었으면 공상으로 끝났습니다. 그의 상상은 대부분 기차 시간지연문제에서 온 아이디어죠. 어떤 사람은 "우주선없이 우주선"실험 이야기하는데, 전부 기차로 생각한 것입니다. 아이쉬타인은 상상도 잘했지만, 수학을 더 잘했기때문에 e=mc2 라는 식을 만들고 다시 깊이 음미하면서 우주를 이해하게 된 것이죠. 아인쉬타인이 가장멋지고 훌륭하게 생각하는 일은 바이올린 연주였지만 평생 그리 멋진 연주한 적이 없어요! 그냥 종이비행기나 연주하는 실력이래요. 그가 잘한 것은 수학입니다.
@user-cq6pt6ez4x
@user-cq6pt6ez4x 2 жыл бұрын
느낌적으로 니가 천재인것갖쥬? 절대, 절대로 안그래유!!!! 나도 그리 생각하고 들어왔걸랑. !!!! 넌 그냥 평범한 단 한 사람일뿐.!! 혹여라도, 딴 생각은 말기를. !! 꼭.!!
@_INUIT
@_INUIT 4 жыл бұрын
몸으로 생각.. 저거 조온나게 집중력 발휘될 때 나옴.. 의지 개 좋아야 함.. ㅋㅋ
@user-ce8rh3xn1k
@user-ce8rh3xn1k 4 жыл бұрын
결론은 문과와 이과적인 체계가 머리 속에서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창조적인 생각을 표현 할 수 있다는 건가?
@Mollu737
@Mollu737 2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 형님이 수학을 못했다고요? 다큐만 봐도 아실텐데 물리라는 것이 에초에 수학을 기반으로 하는데 어떻게 수학에 약했을까요?
@lkh0120
@lkh0120 4 жыл бұрын
다들 하는얘기가 아인슈타인이 수학에 약했다 하면서 이야기를 더욱 극적으로 보이게 하려고 하지만.... 그래 봤자 최소 일반 수학과 졸업생들 만큼은 아니 최소 그이상 했었다는거.... 한마디로 수학에 약했단 얘긴 그냥 개소리임
@user-qc6cu5nj4r
@user-qc6cu5nj4r 4 жыл бұрын
사실 수학을 ㄹㅇ로 못했던 과학자는 패러데이
@user-us4fy6gd8g
@user-us4fy6gd8g 4 жыл бұрын
@@user-qc6cu5nj4r 수학 못한이유: 심지어 교육을 못받아서
@sss_Wl
@sss_Wl 4 жыл бұрын
아니 무슨 대학생이랑 비교하면서 잘한다 이러고 있냐 ㅋㅋ
@user-ys8bu8lj9o
@user-ys8bu8lj9o 4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 본인 기준으로 수학을 못했던거임. 그 기준은 일반인이랑 아주 다름..
@user-cr4us5uv9k
@user-cr4us5uv9k 3 жыл бұрын
요약 : 읽고 싶은데 읽어야 할 책이 많아서 사는것조차 미루고 있던 책인데 이렇게 한 번 훑을 수 있으니 너무 좋다. 사.랑.해.요.알.고.리.즘 아인슈타인은 상상력이 뛰어났던 인물 창조적 사고(새로운 사실의 발견 등)은 상상력과 직관에서 발현 위대한 창조자들은 여러 생각도구들을 활용해 생각을 발전 -> 누구나 할 수 있는 13가지 생각의 도구 1~8 기초적인 생각도구 관찰과 형상화 : 관찰을 통해 얻은 감각을 이미지로 만들어 불러내는 것 추상화 : 복잡한 경험을 보완, 불필요한 부분을 도려내 본질과 핵심을 드러냄 패턴인식&형성, 유추 : 세상에 대한 이해의 확대, 창조의 첫걸음 몸으로 생각하기 : 생각은 느낌으로 먼저 다가오기 마련이다 감정이입 : 무생물에까지 적용, 가장 완벽한 이해는 스스로 이해하고 싶은 것이 될 때 가능 9~13 다차원적 사고 ; 통합적 생각도구 차원적 사고 : 2차원적 종이를 어떻게 3차원으로 만들 수 있을까 하는 생각 모형 만들기 : 다차원적 사고 + 추상화 +유추 등의 결합 놀이하기 : 몸으로 생각하기 + 감정이입 + 모형 만들기 등의 결합 변형 : 적절할 때 적절한 생각도구를 활용, 생각을 공식적 언어로 변경 통합 : 하나의 감각이 다른 감각을 연상시키는 일종의 공감각적 연상(감각교차/감각융합 현상), 연상 학습된 공감각은 누구나 느낄 수 있음 -> 감각의 지평 확대의 필요성
@user-jb7gm7lv4h
@user-jb7gm7lv4h 4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은 자기가 직접 우주의 물질이라고 생각하고 가정했대요 자기가 우주에 있다고 생각하고
@user-ks8pf1es6g
@user-ks8pf1es6g 4 жыл бұрын
왜 꼭 아인슈타인처럼 생각해야한다고 생각하죠. 아인슈타인의 생각법은 각 방향의 한 부분일뿐이고 그외 다양한 방면이 있습니다. 시스템은 비슷할것이고요. 중요한건 고정관념의 탈피입니다. 자기의 마인드의 울타리를 없애는것. 자유로운 추상적 생각은 인류를 발전시킬수 있습니다. 물론 좋은쪽으로 발전시켜야 후회가 없겠죠. 전 인류적으로
@user-yw4rh7vb2v
@user-yw4rh7vb2v 3 жыл бұрын
그냥, 왠지, 촉이 그렇다는 말도 충분히 설득력이 있을 수 있슴
@ParkHyeunWoo
@ParkHyeunWoo 5 жыл бұрын
09:25 민트초코는 승리한다.
@TaeYeonJin
@TaeYeonJin 5 жыл бұрын
구와아악
@user-rs8iz1bg1o
@user-rs8iz1bg1o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저도 딱 민트초코가 들어오더라구영 ㅋㅋㅋ 민트초코 먹고싶다
@joonhoseo9279
@joonhoseo9279 3 жыл бұрын
3:47
@GUITARJYLEE
@GUITARJYLEE 3 жыл бұрын
오예
@alpa377
@alpa377 4 жыл бұрын
존재하는것을 비교하기 위해선 존재하지 않아야한다.
@user-sc9lx7qz6v
@user-sc9lx7qz6v 4 жыл бұрын
무슨뜻이죠
@user-eb8ok1fz5q
@user-eb8ok1fz5q Жыл бұрын
아마 객관적인 관찰을 하려면 관찰하려는 대상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말같네요
@user-uw5gn5xt6c
@user-uw5gn5xt6c 3 жыл бұрын
천재가 아닌사람은 천재를 이해하지못합니다. 일반인은 천재와 일반인을 구분짓지 못해요 근데 천재들은 누가 천재인지 구분이됩니다
@user-py4ph2fb8g
@user-py4ph2fb8g 2 жыл бұрын
나네 씨발그냥 ㅋ
@user-xk3th3vi5n
@user-xk3th3vi5n 4 жыл бұрын
천재적인 사람들이 오감에 힘을 갖게되면 그 위대한 상상을 현실로 이끌어내게 되네요
@user-vl2rv9wb4c
@user-vl2rv9wb4c 4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은 그 어려운 공식들 발견하는 것 보다 그거 이해 못하는 사람들 이해 시키는게 더 어려웠을듯 뉴턴은 하도 사람들이 반론해서 자기가 발견한 자료들을 공개도 안한게 엄청 많죠 사과 이야기도 결국 이해 못하는 사람들 이해 시켜주기위해 만든 내용이라던데
@user-uc9kv5gw2i
@user-uc9kv5gw2i 4 жыл бұрын
공식의 발견: 이해할 능력이 있는 사람(본인)을 이해시키는 것. 공식의 설명: 이해할... 씨발.
@intp4124
@intp4124 3 жыл бұрын
각각의 수준에 따라 이해를 돕기 위한 선택적 언어 아닐까요?
@user-nr7lz9wk4m
@user-nr7lz9wk4m 2 жыл бұрын
이걸 내가 대학교 교양과목을 통해서 들을줄이야..
@user-br7ni1nm3f
@user-br7ni1nm3f 6 ай бұрын
파블로프의개ㅋㅋ코미디가됨
@user-fp5pk2zq2l
@user-fp5pk2zq2l 3 жыл бұрын
뭔말인지 모르겠다
@LeeYoungHeun
@LeeYoungHeun 4 жыл бұрын
틀렸습니다. 독일에서 대학 입학은 오직 수학 성적이 월등히 뛰어났기때문입니다. 오히려 다른 과목은 낙제에 가까웠죠.
@user-qr9co3vo4e
@user-qr9co3vo4e 4 жыл бұрын
훌륭한 답변입니다~^^
@user-br7ni1nm3f
@user-br7ni1nm3f 5 ай бұрын
내삶인데 윈윈
@rerk
@rerk 3 жыл бұрын
유비추론
@Your_face_.
@Your_face_.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이 intp였었나 뭐였지 N은 무조건맞는데
@n2okul622
@n2okul622 2 жыл бұрын
코인손실본거 RP인베스트에서 다복구했어여 네이버 카페 검색 해보세요!!
@Recepgundogduu
@Recepgundogduu 2 жыл бұрын
아직 RP인베스트 모르는사람 없죠?
@user-sy3zv3ex9v
@user-sy3zv3ex9v 3 жыл бұрын
아인슈타인이 수학에 약했다는 건 틀린 얘기입니다. 그가 취리히에 있는 연방공대에 입학할 정도 실력이었는데 수학을 다른 친구들보다 못 했겠습니까? 단지 고교 시절에 생물학 이런 것들은 열심히 공부하지 못해서 입학 시험 때 잘 하진 못했죠. 그래서 스위스에서 김나지움을 더 다녔던 것입니다. 수학과 물리학 점수만 좋아서 균형 잡힌 과학 실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니까요. 아인슈타인이 공부를 하지 않은 것은 대학에 다닐 때 밀레바와 연애하고 독일식의 사고를 가진 구닥다리 교수님들의 스타일이 싫어서 수업을 많이 빠졌기 때문입니다. 친구인 수학자 그로스만이 공책을 빌려 준 덕분에 졸업 시험을 통과할 수 있었죠. 나중에 일반상대론을 만들 때는 어차피 당대에 물리학자들 중에서 텐서를 이해한 사람들이 아주 적던 시절이므로 한참 그가 헤맸던 것을 두고 특별히 수학을 못 했기 때문이라고 오해하는 것 같네요. 양자역학이 나올 때도 그렇지만 사실 1920년 대에도 물리학 전공자들이 선형대수학도 별로 공부하지 않던 시절입니다. 하이젠베르크도 수학자인 보른과 공동 연구를 하지 않았다면 엄청 복잡하게 양자역학을 만들었을 겁니다. 특수상대론을 만들 때도 아인슈타인은 행렬을 사용하지 않았죠. 나중에 대학에서 그를 가르쳤던 민코프스키가 선형대수학적으로 쉽게 표현한 덕분에 지금 우리는 민코프스키 스타일로 특수상대론을 공부합니다. 어쨌든 당시의 먾은 물리학자들과 비교했을 때 아인슈타인이 수학을 못 했다고 말할 근거는 학부 시절 수업을 잘 듣지 않아서 전체적으로 성적이 별로였다는 것 말고는 없습니다.
@user-sy3zv3ex9v
@user-sy3zv3ex9v 3 жыл бұрын
@이근대위 세계 멘사 회원들이 다 큰 업적을 가지고 있는 게 아닙니다. 고등학교 동창들 졸업하고 수 십 년이 지나서 보면 아이큐 150 넘던 애들이 다 평범한 삶을 살고 있던데요. 아이큐 자랑을 하는 것을 보니 아직 학생이신가 보군요. 30 - 40대만 되어도 그런 말을 안 할 텐데 말이죠.
@user-zq5kc8ii7o
@user-zq5kc8ii7o 3 жыл бұрын
@이근대위 그런병이 있어도 수학을 하는데는 전혀 문제가 없고 수학을 못했을거라고 생각하는 너가 멍청해보이니까 댓삭하고 튀어라
@user-zq5kc8ii7o
@user-zq5kc8ii7o 3 жыл бұрын
@이근대위 설득을 위해서 어려운말을 쓰는것이 아니라 자신이 생각한 추상적인 이론을 말이나 공식으로 표현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 영상에도 나오잖니?
@user-zq5kc8ii7o
@user-zq5kc8ii7o 3 жыл бұрын
자신이 생각한것을 실제 있는 논리체계나 언어로 연결하면서 비로소 그사람이 천재라고 할 수 있는거지
@user-zq5kc8ii7o
@user-zq5kc8ii7o 3 жыл бұрын
그리고 이사람은 그냥 아인슈타인이 실제로 수학을 못하지 않았는데 이야기가 와전되어와서 잘못 알려진게많다고 얘기하는건데 창의력과 직관은 필요없다
@pianoinstitute8854
@pianoinstitute8854 3 ай бұрын
내 10분 물러내
@skyjin1203
@skyjin1203 3 жыл бұрын
천재이기에 다른 것일까, 다르게 살다보니 뇌가 발달되서 천재가 된 것일까? 어린 나이부터 괴물같은 재능을 뽑아내는 아이들을 보면 천재이기에 다른 것이 맞는 것 같다.
@name-wl5eh
@name-wl5eh 4 жыл бұрын
별로좋은책이 아닌거가틈
@goodandtak1331
@goodandtak1331 4 жыл бұрын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사람들, 특히 과학자들이 천재로 많이 알려진 것 같지만 수학자나 논리학자, 과학철학자들의 업적 위에 과학이 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이나 파인만 등 이론 물리학이라는 분야 자체가 사고실험, 철저한 논리적 형식이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특히 현대에 들어와서는 귀납적으로 검증 할 수 있는 부분들에 한계가 생겼고 연역적 수학적으로만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이론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 외 물리학을 포함한 모든 과학은 귀납 논리를 따를 수 밖에 없고 귀납 논리 자체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너무 과학자 위주로 얘기한 것 같은데 피카소도 예술가가 되지 않았다면 수학자가 되려고 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 놈의 창의성이라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창의성이라는 것은 곧 차별점을 만드는 것이고 기존 자료들을 고도로 분석하는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변리사 사무실에 가면 고객들이 발명해왔다고 오면 선행조사 및 분석해서 직원들이 재발명을 해주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전혀 창의적이지가 않아서 특허를 출원 할 수 없거든요.
@user-dl5ed2nz1g
@user-dl5ed2nz1g 3 жыл бұрын
오 비슷한 생각입니다만 분석이란 것도 관찰로부터 나오는데 관찰을 하며 통찰을 하는 과정이 귀납입니다. 귀납적으로 깊이 통찰하면 연역적 과정도 보이게 됩니다. 깊은 곳에서는 뿌리가 하나이지요. 예를들어 퍼즐의 큰 그림을 보면 모든 조각들을 아우르는 개념이지요. 하지만 연역적 사고는 퍼즐 조각 하나에만 집중하기에 방향성을 잡지 못합니다. 물론 현대에는 가시적인 증명을 해야하기에 연역적 과정이 중요한 편이지만요. 진정한 탐구는 거꾸로 해야 합니다. 그게 창조의 과정이지요. 연역적인 창조는 이미 귀납이 만들어놓은 틀 안에서의 발견일 뿐입니다.
@user-ce1ij5eb6c
@user-ce1ij5eb6c 3 жыл бұрын
두분의 글에서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저는 음악을 좋아해서 취미로 첼로와 피아노를 배우고 있어요 음악교육에 적용시켜 제가 사랑하는 음악을 더 깊이있게 누리고 싶습니다 모든 이론과 학문은 결국 인간의 생활을 더 풍요롭게 해주니 배움은 즐겁고 신납니다 나는 내일에 더 나아지는 사람이다
@user-xg6lw7yq8s
@user-xg6lw7yq8s 4 жыл бұрын
검은색 부분이 이벤트 호라이즌이고 그 안쪽에 깊은 곳에 있는게 블랙홀인데...
@user-gl2en9pi2m
@user-gl2en9pi2m 4 жыл бұрын
무슨 소리인질 모르겠지만 이벤트 호라이즌, 사건의 지평선은 어느 블랙홀에 2cm 아주 작은 거입니다 그 블랙홀은 괘 컸지만요, 블랙홀이 어느 범위까지 단어가 포함되는진 모르겠지만 그 중심 빛으 빨아드려 보이지 않는 그 검은 곳이 블랙홀이라면 틀린 말입니다
@EEEEEEEEEE0
@EEEEEEEEEE0 3 жыл бұрын
배경음악 리듬 너무 거슬려서 불쾌해요. 다른노래로 바꾸거나 배경소리만 확 줄여주세요
@user-bh3zl1hf1x
@user-bh3zl1hf1x 4 жыл бұрын
아그러니낀차의력도논리적인거구나♡.♡
@user-tn9zk6ow3h
@user-tn9zk6ow3h 4 жыл бұрын
한번생각해 봤는데 우주에서 엄청긴막대를 가지고 중심을기준으로 돌리면 빛의 속도를넘는 속도가 나올수있는거아닌가요?
@aberf7791
@aberf7791 4 жыл бұрын
ㄴㄴ 원자들간의 밀림 시간을 생각해보세요
@mini_love_dream
@mini_love_dream 5 жыл бұрын
*블랙홀!!!!*
@user-ks2on2mf6j
@user-ks2on2mf6j 4 жыл бұрын
결국 타고난다는 거잖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larence7829
@clarence7829 4 жыл бұрын
지금 쓰신 댓글을 지금 이 순간부터 당신의 인생에서 지워버리신다면, 당신도 저들과 같은 직관을 갖게 될 겁니다. 저들과 당신은 조금도 다르지 않습니다. 저들처럼, 당신도 당신 자신과 주변을 조금 면밀하게 관찰해보시면 좋겠습니다.
@user-ks2on2mf6j
@user-ks2on2mf6j 4 жыл бұрын
@@clarence7829 ㅇㅇ난 좋은 머리 타고남. ㅇㅇ저들과 별반 안다름
@greatopen
@greatopen Жыл бұрын
배경음 때매 말소리 하나 안들리네요
@user-dh8lw9rq4i
@user-dh8lw9rq4i 4 жыл бұрын
아ㅏ ㅏㅏ 콧털 극혐 구독 취소할뻔
빠르게 생각하기 vs. 천천히 생각하기
6:11
이상한리뷰의앨리스 Alice in WonderReview
Рет қаралды 129 М.
우리가 몰랐던 천재들의 이야기 [동기부여 영상]
10:21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1 МЛН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SHE WANTED CHIPS, BUT SHE GOT CARROTS 🤣🥕
00:19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水) 복음 mind 인생(공동체) 빌2:21-22
10:14
KT WIZ vs 두산베어스 응원영상
0:59
김작가의 오중생활TV
Рет қаралды 538
[Stray kids] 스트레이키즈 독도 챌린지
0:49
우리 WOORI
Рет қаралды 4,7 М.
컴퓨터는 생각할 수 있는가? 1부 (1985년)
6:12
구석기 컴공과
Рет қаралды 18 М.
이 4단계 학습법이 세계 최고의 천재를 만들었다..! | 리처드 파인만
11:01
작심만일 : 성공 마인드 동반자
Рет қаралды 11 М.
반도체에서 파운드리란 무엇인가?
1:46
알바트로스 신문 시사 위클리
Рет қаралды 684
Can You Draw The PERFECT Circle?
00:57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9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