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1교시] Full.ver 나는 왕이로소이다 1부 태종ㅣ역사학자 신병주

  Рет қаралды 106,979

캐내네 스피치

캐내네 스피치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우리 사회 각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인물, 자신만의 강연 테마로 대중들로부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사람을 강연자로 초대해 해당 분야의 주제에 대해 흥미로운 지식과 공감의 향연을 펼쳐본다.
또한 그들이 전하는 열정적이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인생의 지혜를 얻고 모두가 배움을 통해 성장하는 ‘성장수업’의 장(場)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영상의 저작권은 KNN에 있습니다.
방청신청
www.knn.co.kr/category/tv/firs...

Пікірлер: 36
@user-tp4ps7dm2e
@user-tp4ps7dm2e Жыл бұрын
신병주 교수님, 교수님이 계셔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릅니다ㅡ존경합니다 교수님.
@APEconomics-vv1fp
@APEconomics-vv1fp Жыл бұрын
많은 역사강의중에 교수님 강의가 최고입니다
@ye49720926
@ye49720926 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존경합니다^^
@helonj3524
@helonj3524 Жыл бұрын
너우 흥미진진한 조선역사..왕의 역사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my5yy9jf4z
@user-my5yy9jf4z 9 ай бұрын
최고 멋진 역사 학자님👍👍👍👍👍
@user-qi9xc2jc4c
@user-qi9xc2jc4c 2 жыл бұрын
목적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방법과 과정이 인간의 도리가 아니면 옳지 않다고 생각하며 억지로 정당화 해서도 않된다 고 생각합니다
@Hohp35
@Hohp35 2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의 업적으로 이방원의 과가 많이 희석되는 느낌도 없잖아 있네요 나름 이유가 있었겠지만 부인이 시퍼렇게 살아있는데 처가집을 몰살한건 좀...
@user-qy6fd7ks1v
@user-qy6fd7ks1v 2 жыл бұрын
@user-kq2vd1yg3i
@user-kq2vd1yg3i Жыл бұрын
신하들을 자신의 손안에 두고 주무르고 심지어 조선의 기틀을 닦은 그 천재 정도전조차 태종에게는 상대가 되지 않았죠. 태종의 정치감각은 조선 역대 왕들중에서도 최고였습니다.
@kswu8603
@kswu8603 2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교양수업에 교수님 강의 있으면 항상 신청했던 기억이 나네요. 벌써 20여년전 일이 됐군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ZioFa1987
@ZioFa1987 2 жыл бұрын
저랑 같으시네요ㅋ 저도 신병주교수님 강의 찾아서 수강했었는데.. 저도 15년도 넘었네요
@shinj.r2975
@shinj.r2975 2 жыл бұрын
헉 그 땐 젊은 교수님이셨겠네요
@user-vm8sx2mt8z
@user-vm8sx2mt8z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많이 늙으셨네요..ㅠㅜ속상합니다 교수님 덕분에 역사를 많이 알게돼서 고맙습니다 그리고 다시한번 만나게 돼서 더욱 더 고맙습니다 교수님
@Hohp35
@Hohp35 2 жыл бұрын
세상사 순리대로 생각나네요 결과적으로 이성계 후처의 욕심으로 자기자식 비명횡사 했네요
@place5908
@place5908 2 жыл бұрын
태종이 저렇게 틀 잡아놨으니까 강력한 왕권으로 세종이 하고 싶은 일 다 한게 아닌가 싶네요 문종이 좀 더 오래 살았으면 조선이 어땠을까도 참 생각하게되네요
@user-eh9zj4nw1w
@user-eh9zj4nw1w Жыл бұрын
09:24 와. 진짜 대단한게 저당시 지은 노래가 나중에 가요계를 석권하죠..물론 편곡이 많이 되었겠지만. 기본적으로 저 당시로서는 상상도 못할 음악스타일일텐데.. 음악적으로도 엄청난 재능이 있으셨던듯하네요~
@purplevenomm
@purplevenomm 2 жыл бұрын
태종대왕님 왕자의난 일으켜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rb2qo1vr6i
@user-rb2qo1vr6i Жыл бұрын
태종의왕자시절호칭은.정안대군.이죠
@dongle-dogle2
@dongle-dogle2 2 жыл бұрын
신덕왕후가 욕심이 하늘로 뻗친듯. 애초에 개국공신이 지 혼자만 있는것도 아니고 전처 자식들이 피묻혀 가며 마련한 기회로 조선이 세워진건데..; 첨부터 신의왕후 자식들중 하나로 먼저 세웠다면 우리가 아닌 왕의 이름이 조금 바뀌었거나 뒤로 밀려났을지도.
@user-ju8ch3wc7z
@user-ju8ch3wc7z Жыл бұрын
주상욱 키 180cm인데 나름 큰 거 아님?
@user-rj2gy2lk7k
@user-rj2gy2lk7k 2 жыл бұрын
이성계가 오늘날 비극을 만든인물임을 모른다 말인가?
@kyusang700
@kyusang700 2 жыл бұрын
이방원 왕권은 지금의 독재 정도전의 신권은 지금의 의회제 결국 독재를위해 난을 일으키고 반대파 숙청한인물이네요 오백년전에 독재는 괜찬은시대였으니까 요즘 그랫으면 난리가 낫을거같음
@user-if8sr3xh5j
@user-if8sr3xh5j 2 жыл бұрын
당시는 백성들이 무지했기에 왕이 전권을 행사가능 지금은 교육수준이 높아서 그리는 아니되옵니다
@user-km4dy6sf7n
@user-km4dy6sf7n Жыл бұрын
신권이 어떻게 내각이 있는 의회제가 되죠? 내각제가 성립되려면 사대부라는게 양반이라는 개념자체가 존재해선 안될탠데요???? 선출직도 임기도 없을뿐더로 재상 임명 인사권도 정도전이 독점하고 생전에 권력의 분산은 한톨도 안하고 죽을때 까지 정도전이 개국공신 동료들 다 무시하며 정했고 마치 좋은냥 미화시키는데 서구의 상하원 제도가 있는 내각제도 아니고 정확히 말하자면 공산당 스탈린에 가깝지. 다른건 킬본능이라 비아냥 할순 있겠지만 교수님이 실록 얘기를 안했는데 이방원은 그때 정도전 안 죽였으면 본인이 죽었습니다.
@user-qd6jw9ne7h
@user-qd6jw9ne7h Жыл бұрын
지금도 힘든 의회제가 500년전에 가능했을까요? 정도전은 이상주의 천재였든거 같습니다
@NativeBakJaesaram0001
@NativeBakJaesaram0001 2 жыл бұрын
헌인릉 계신 이 분 역은 유동근 강의는 신병ㅈ ㅜ
@user-fkdhduejs
@user-fkdhduejs Жыл бұрын
이순신장군 디스하고 원균 올려치기 잘하시던데
@user-ux2dm3ki6o
@user-ux2dm3ki6o Жыл бұрын
태종은 김정은 비슷 하지 포악하기가 세종은 장인을 제거 한것은 이해가 가는데 친정엄마까지 관노비로 보낸건 너무한것
@user-hb2id4oh9b
@user-hb2id4oh9b Жыл бұрын
태종 자신의 가장 강력했던 사병집단들 중 핵심세력인 ,국모의 집안이며 태종의 왕위계승의 일등 공신들인 민씨 형제를 숙청하는 모범을 보임으로써,사병의 혁파가 간신히 이루어질수 있었던 것인데 뭐 별것도 아니것 같으면서도 하기 힘든 일에 대해서는 그냥 넘어가네,뽀인뜨가 없는거 보니께,사사까와 재단이 생각 나는건 우연일까?????
@user-ip9yu7lp1q
@user-ip9yu7lp1q 2 жыл бұрын
개같은 세상.. 피 맺히는 음악..ㅋ
@user-mg2un6py4b
@user-mg2un6py4b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장황하게 쉬지않고 설명하여 책읽듯합니다. 전체적으로 톤이 일정하고 지식만 전달하는 느낌이라 지루합니다. 말씀하실때 강약 조절하여 좀 끊어서 얘기하듯 하시면 이해가 더 잘될것 같습니다.
@monsuwoo8251
@monsuwoo8251 Жыл бұрын
너무 편향적 좌파적 해석을 하시네 역시 김근배 경제학교수 있는 건국대 교수시네요. 돈을 무한대로 찍어 나라 살린다 한 그 학교교수 동네
@ChaeSung1113
@ChaeSung1113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역사까지 좌파드립이 나오네 등신같이
@user-lh1zs4ge3e
@user-lh1zs4ge3e Жыл бұрын
인간개백정역적을 너무 미화하지마라
ОСКАР ИСПОРТИЛ ДЖОНИ ЖИЗНЬ 😢 @lenta_com
01:01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KBS 역사추적 - 관우는 왜 조선에서 신이 되었나
48:09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290 М.
KBS 역사스페셜 - 장희빈은 재벌가의 딸이었다
58:17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최강1교시] Full ver. 외계 생명체를 찾아서 I 천문학자 이명현
49:01
ОСКАР ИСПОРТИЛ ДЖОНИ ЖИЗНЬ 😢 @lenta_com
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