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아파트는 절대 살지 마세요 (서동기 박사 1부 I 대한민국 최초 부동산학 박사)

  Рет қаралды 621,980

머니인사이드

머니인사이드

Күн бұрын

📌추천 영상 보러 가기 - • 앞으로 한국 집값은 '이렇게' 될 겁니다...
앞으로 한국 집값은 '이렇게' 될 겁니다 (이광수 대표, 심형석 교수 I 부동산 전쟁 풀버전)
💰프리미엄 VIP강의 머니스쿨 - 정인성 작가, 김인만 소장, 한문도 교수, 김광석 실장
• (제 1강) 대박 돈 벌 기회 알려드립니...
✅보기 쉬운 글로 정리된 영상 내용 복습하기
naver.me/xOm1h7Fu
오늘은 서동기 박사님을 모시고
초고층 아파트의 진짜 현실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영상이 유익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서동기 #머니인사이드
00:00 영상요약
00:26 재개발·재건축, 절대 좋은 게 아닙니다
02:44 재개발·재건축과 신속통합기획, 모아타운의 차이
03:44 재개발·재건축 하기만 하면 무조건 돈 번다?
05:59 초고층 아파트 살다가는 골병 들어요
08:40 앞으로 초고층 아파트는 ‘슬럼화’ 될 겁니다
10:43 집 사 줄 사람이 없다, 빈집이 넘쳐날 대한민국

Пікірлер: 1 300
@moneyinside7
@moneyinside7 2 ай бұрын
📌추천 영상 보러 가기 - kzfaq.info/get/bejne/oJqkfcyn273WZp8.html 앞으로 한국 집값은 '이렇게' 될 겁니다 (이광수 대표, 심형석 교수 I 부동산 전쟁 풀버전) 💰프리미엄 VIP강의 머니스쿨 - 정인성 작가, 김인만 소장, 한문도 교수, 김광석 실장 kzfaq.info/get/bejne/gb-VlbSmqpjVoas.html ✅보기 쉬운 글로 정리된 영상 내용 복습하기 naver.me/xOm1h7Fu
@asi4986
@asi4986 2 ай бұрын
동네 복덕방 사장도 대표임
@drPjw
@drPjw 2 ай бұрын
외국 아파트는 기둥식구조가 대부분이고 배관도 매립방식이아닌 노출방식이기에 100년이 지나도 튼튼합니다...우리나라는 벽식구조에 배관이 매립식이라 콘크리트구조 수명이 그만큼 짧습니다.그차이를 말씀을 안하시고 맨하탄아파트와 비교를 하시네요. 지방 고층아파트는 어찌되었건 앞으로 처치곤란 콘크리트 쓰레기로 남을겁니다.
@user-mn1nr6zl2x
@user-mn1nr6zl2x 2 ай бұрын
전문가의 연구에 의하면, 13층 이상은 건강?상 해롭다는데?
@user-lj4qr9pv9t
@user-lj4qr9pv9t 2 ай бұрын
⁰⁰
@user-kk4yl7fg4f
@user-kk4yl7fg4f 2 ай бұрын
😊😊😊
@stefanomarkulin
@stefanomarkulin 2 ай бұрын
49층 주상복합 아파트에 혼자서 몇 년 살았었습니다. 한쪽은 산과 도시가 다른 쪽은 도시와 멀리 강이 보이는 뷰였습니다. 진짜 처음 6개월 동안은 정말 좋았습니다 친구들도 자주 불러서 놀고. 그리고 그 다음 6개월은 감동은 거의 사라졌지만 계절바뀌는 모습 구경하는 재미가 나름 있었습니다. 하지만 1년이 지나고 1년 반이 지나니 전망을 봐도 아무런 느낌이 없어지더군요. 오히려 고립감이 점점 커져갔습니다. 그리고 집이 통유리로 돼 았다 보니 매일 벼랑 아래를 내려다 보는 것과 같은 기분 때문에 불안감도 점점 커졌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나니 좋은 기분은 거의 없어지고 다시 낮은 층으로 내려가고 싶은 마음만 커졌습니다. 그 후 이사 나오고 나서 이제는 고층아파트에 대한 로망이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다시는 20층 이상에서는 살지 않을 생각입니다.
@user-nr9yi8vx4l
@user-nr9yi8vx4l 2 ай бұрын
공원뷰에서도 살아봤고 바다뷰에서도 살아봤지만 일년내내 똑같은 적막한 강,바다뷰보다 너무 높지 않은 적당한 중층에서 사계절마다 꽃,녹음,단풍,눈등 풍경이 바뀌고 운동,산책하는 사람소리 나는 공원뷰가 좋더라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2 ай бұрын
내가 장담하는데 얘 바다뷰 공원뷰 둘다 살아본적없는 빨간벽돌 빌라주민임 ㅋㅋㅋ
@Boori36778
@Boori36778 2 ай бұрын
ㄴ 니가 그리 살겠지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2 ай бұрын
@@Boori36778 내가장담함 ㄹㅇ ㅋㅋ
@kasasu91
@kasasu91 2 ай бұрын
​@@user-ip1ny5dy7q사람은 자기입장에 말한다 즉 본인이 그렇다는거임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2 ай бұрын
@@kasasu91내가 장담함 ㄹㅇㄹ ㅋㅋㅋ
@user-js3zf9sc8j
@user-js3zf9sc8j 2 ай бұрын
땅 밟고 사는 것이 최고지...
@TheKolylla
@TheKolylla Ай бұрын
땅거지.ㅋㅋ
@ymseol4147
@ymseol4147 Ай бұрын
초고층 살아봐 고립된걸 알겠지 높다고 신도 아닌것이 구래 전망은 인정하지 차라리 가까운? 산을 올라야지 인간은 땅과 밀접한 생태인걸 왜몰라
@user-vn1sj4md8t
@user-vn1sj4md8t Ай бұрын
나는 19층 사는데 1층에서 엘레베이트 누르고 늘 그냥 올라가곤 했는데 큰 지진 이웃동 화재 등 이후 1층이 지금도 늘 부럽다 1층은 뛰어 나가면 되지만 고층은 피할 방법이 없다 특히 지진 ㅠ 그리고 승강기가 한번씩 고장나거나 수리할때 미친다 진짜 이사는 무조건 3층 이하로 간다고 매번 다짐한다
@NewYork7914
@NewYork7914 2 ай бұрын
100% 옳은 말씀! 맨하탄 최고층 고급 아파트를 산 제니퍼 로페즈는 고층 자신의 아파트가 바람불 때 흔들리고 소리가 심하게 들려 팔 았다고 했음 😂
@user-uv5ss9rn5o
@user-uv5ss9rn5o 2 ай бұрын
공부 안 하면 무조건 당함... 부동산 재개발은 5층 아파트 재건축 할 때나 좋았지 그 다음부터는 아닌데도 5층 재건축 할 때 좋았던 것만 기억해서 이 지경에 온 것임.
@user-fl4wb3ft3v
@user-fl4wb3ft3v 2 ай бұрын
아파트가 아무리 노후화 돼도 무지성 가격 올랐는데 이젠 들통남ㅋ 오히려 노후 빌라가 가격 선방 할 거 시간이 갈 수록
@user-et1ws1wv5g
@user-et1ws1wv5g 2 ай бұрын
정답입니다 ~ 공감 100 %
@user-yo3mj6vl4d
@user-yo3mj6vl4d 2 ай бұрын
위치 안좋은 빌라는 슬럼화 돼서 방치될 수 있어요.
@Leo-hr5tp
@Leo-hr5tp 2 ай бұрын
인간은 땅과 자연을 가까이 하면서 사는게 건강에 좋은 겁니다. 하물며 날아 다니는 새도 이동 외에는 나무나 땅 바위에서 살아 갑니다. 초고층은 인간의 탐욕 극치를 보여주는 큰 재앙이 될 것입니다.
@user-fl4wb3ft3v
@user-fl4wb3ft3v 2 ай бұрын
새는 계속 날 수 없으니 내려와 사는 거지ㅋ
@narodo_ro
@narodo_ro 2 ай бұрын
땅과 붙어 지낸 우리의 선조들은 수명이 짧았고 거지같이 살았다.
@tomokokobayashi1407
@tomokokobayashi1407 2 ай бұрын
@@narodo_ro그것은 다른 위험요소나 척박한 환경이 원인이지 땅바닥에서 살았다고 그렇다는 것은 일반화의 오류지.
@user-dw3ff6hg1w
@user-dw3ff6hg1w 2 ай бұрын
​@@narodo_ro님 선조들이 땅에 붙어살면서 단명하고 거지같이 살아서 고층 선호하게 됐나봄. 세계사 공부 좀하시라
@ecshin8389
@ecshin8389 2 ай бұрын
​@@narodo_ro그래서 이건희 정주영이 빨리 죽었구나? 주택에 살아서
@user-hd1jz3ue5s
@user-hd1jz3ue5s 2 ай бұрын
흙을 밟고 살아야 건강해집니다
@user-ns4pc5ko6k
@user-ns4pc5ko6k 2 ай бұрын
우리가먹는음식 땅에서나온것입니다 동물도 땅에기운으로살아갑니다모든우주새영체
@user-zk8fn4pe5v
@user-zk8fn4pe5v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고층 선호 현상.. 이거 건설사 마게팅으로 만들어진 부분이 큽니다. 창밖에 시야가 막혀있어 트인 고층을 선호한다면 모르겠으나..높은 곳으로 올라다니느라 얼마나 어렵습니까..?
@user-of8kw6yu3s
@user-of8kw6yu3s 2 ай бұрын
위험하죠
@user-oq1bw8iq2t
@user-oq1bw8iq2t 2 ай бұрын
@@PerilliBalderree 코믹과 지망생 찿았어 " @+_ 여기서 재능을 보여줘 웃겨 🥴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2 ай бұрын
걸어올라가나요? 엘베타고 가는데? 요즘 초고속이라 엄청 빠름
@fandango20080
@fandango20080 2 ай бұрын
고층 건물 밀집된 곳은 바람이 몰아치고 시야가 답답해서 별로에요. 경제적으로 여유만 있다면 3층 정도로 한옥을 짓고 살고 싶네요.
@user-ki9im2vt6w
@user-ki9im2vt6w 2 ай бұрын
인구가 밀집되서 상권이 잘 형성되니 경제적으로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함.
@zeeaegiyoo9277
@zeeaegiyoo9277 2 ай бұрын
고층 아파트? 고통 아파트가 되는 건 시간 문제다!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2 ай бұрын
전원주택도 전멸주택임 산 다깎아버림
@user-fp1hd2fm4i
@user-fp1hd2fm4i 2 ай бұрын
라임 ㅋㅋ
@darkani5665
@darkani5665 2 ай бұрын
50 층 넘어가면 산소가 희박해짐......
@sahrahnghahndah
@sahrahnghahndah 2 ай бұрын
초고층에서 살면 불 나는 게 가장 무섭
@user-ov6ny1qo8j
@user-ov6ny1qo8j 2 ай бұрын
19층 살다가 6층으로 이사했는데 너무 좋아요 걸어다니는데 운동도할겸 엘베 고장나거나 점검때 걱정없지.
@jhh7541
@jhh7541 2 ай бұрын
답이 없음
@davidkim140
@davidkim140 2 ай бұрын
다뒈짐
@user-yu4xr9gd2c
@user-yu4xr9gd2c 2 ай бұрын
이생각은 못햇다 와 ㅠㅠ😢
@user-uv8gy3xr1z
@user-uv8gy3xr1z 2 ай бұрын
불나면 상황에 따라 옥상으로 대피 하든지 어떻게 대피하면 되지만 엘베 고장나면 어떻거 걸어다님?
@yunf1
@yunf1 2 ай бұрын
우리동네 엘리베이터 교체공사하는데 18층인데도 아찔하다. 사는게 사는게 아니다. 왜 이렇게 살아야 하나 싶다.
@user-ih5ow6xj5m
@user-ih5ow6xj5m 2 ай бұрын
엘베 2개이상인데 사야됨 ㅋ
@user-pm6gs1tn2n
@user-pm6gs1tn2n 2 ай бұрын
​@@PerilliBalderree꺼져
@bbk4892
@bbk4892 2 ай бұрын
스마트축사
@yunf1
@yunf1 2 ай бұрын
따로 공사하면 공사비 왕창...그래서 대개 한꺼번에 공사함.@@user-ih5ow6xj5m
@ls40179
@ls40179 Ай бұрын
​@@user-ih5ow6xj5m거긴 또 고층이라 하나로 떼우려면 출퇴근시 돌아버림 고속 엘베가격이 생각보다 비싸서 건설사가 절대 여유있게 안줌
@user-lb5ut8zq6h
@user-lb5ut8zq6h 2 ай бұрын
땅에 멀어질수록 병원과 가까워진다 라는 제가 읽은 책의 글이 생각나네요
@user-lc4ei1xn2t
@user-lc4ei1xn2t 2 ай бұрын
나무가 자라는 위치보다 높은데 살면 지자기를 못 받아서 사망률이 높음
@user-dl3en1zi7u
@user-dl3en1zi7u 2 ай бұрын
헉 진짜욥?
@user-hy1er3nw4d
@user-hy1er3nw4d 2 ай бұрын
고층살다가 저층왔는데 우울증 걸렸다 커튼안치면 남들이 쳐다보는것같고 답답해서 미친다
@jhsim5508
@jhsim5508 2 ай бұрын
아파트 마주보는곳 사니까 그렇죠 고층 살아도 마주보면 그럴건데
@tomcat1204
@tomcat1204 2 ай бұрын
그래서 평생 땅 밟고 살던 우리 조상들 평균수명이 얼마였나요? ㅋㅋ
@user-gq5kj6cs1c
@user-gq5kj6cs1c 2 ай бұрын
아파트는 편리성, 생활효율성은 뛰어나다. 그러나 그뿐. 우리는 아파트생활로 삶의 중요한 많은것을 거세당한채 살아간다.
@user-gi6oi7hx2f
@user-gi6oi7hx2f 2 ай бұрын
60대 이상은 조건없이 단독 주택에 살아야된다 마당있고 흙 냄새 맡으면서 살다가야죠 오늘도 마당 나무들에게 거름주고 살며시 웃어주는 봄 꽃들이 어찌나 이뿐지 손자 멍멍이 만큼 이뿌죠
@time2837
@time2837 2 ай бұрын
나이 많을수록 아파트가좋아요 주택은 손이 많이가요
@czzew70
@czzew70 2 ай бұрын
​@@time2837 그놈의 손많이 간다는걸 단독주택 단점으로 들고오는놈들은 아파트값에 목숨갈린 한국놈들밖에없을거다. 단독주택 많이 사는 다른 나라 사람들은 뭐 집관리하면서 인생낭비하고사는거냐? 남의집도 아니고 지네집관리하는게 왜 단점임? 아예 몸씻는것도 시간걸리니까 시간낭비 단점이라하지
@99999aa
@99999aa 2 ай бұрын
시골에서 평생 산 분들은 주택에 살면되요 아파트10층만되도 울렁거린다하고 승강기는 그냥올라오는줄 아니 사시던곳에서 사세요 도시노인은 도시에살아야지 시골에 적응못해요 원래 그쪽 문화 아는사람말고
@user-zl7sl3qq1g
@user-zl7sl3qq1g 2 ай бұрын
나이먹으므로서 아파트에서 관리받으며 1층에서 사는걸 권해요. 엘리베이터 점검을해도 소방시설 점검이든. 전혀 상관없어요. 주위에 의원 상가들 음식점들 많은곳에서 도보로 다니는곳에서요^^
@user-cg1lp6rg4o
@user-cg1lp6rg4o 2 ай бұрын
높고 낮고간에 그간 부동산 투기로 재미 보는맛에 아파트 사고 팔고 했는데 앞으로는 남아나는게 아파트이기에 아파트 슬럼화는 가속될것이다
@florakim7368
@florakim7368 2 ай бұрын
엘시티 놀러갔다가 무슨 엘리베이터 타는게 마을버스처럼 오래걸리더군요. 문밖나서는게 일이예요. 절대 비추입니다
@user-zc4yx9pj9i
@user-zc4yx9pj9i 2 ай бұрын
기압때문에 고속으로 모하는듯요
@user-xt9nq4pj5q
@user-xt9nq4pj5q 2 ай бұрын
@@user-zc4yx9pj9i 아뇨 그런게 아니라 엘시티가 지상 101층 초초초초고층이라 입주민이 많으니 엘베이용자들도 많아서 오래걸리는거
@user-zc4yx9pj9i
@user-zc4yx9pj9i Ай бұрын
@@user-xt9nq4pj5q 엘베가 몇대로 운영하는가요?
@user-ls6qn2bg7b
@user-ls6qn2bg7b 21 күн бұрын
4층~3층정도가 딱좋은듯. 걸어서 운동삼아 이동하기 좋고
@user-ff5po5ek7s
@user-ff5po5ek7s 2 ай бұрын
한가지 확실한건 엘베타면 귀가 먹먹하다.
@moscos4592
@moscos4592 2 ай бұрын
대기압이 극도록 떨어집니다. 고산지대에 산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user-tp1wq7gy8s
@user-tp1wq7gy8s 2 ай бұрын
넌 어서 살다 왔냐?😢😢
@narodo_ro
@narodo_ro 2 ай бұрын
그거 병인데..
@holog6619
@holog6619 2 ай бұрын
엘베만 그런게 아니라 답답하고 머리가 멍함. 언니집이 36층인데 가끔 놀러가면 답답하고 머리가 띵함. 땅에 가깝게 살아야 좋아요. 일본이나 서양에서 여러 연구결과도 나왔습니다. 고층에 살수록 암발병율, 우울증들 정신과병증, 사망률이 현저히 높습니다.
@user-gi8wo3es5q
@user-gi8wo3es5q 2 ай бұрын
인간은 적정 고도와 기압 산소 등에 몸이 적응 하려하는데 매일 오르락 내리락하면 몸에 데미지가 쌓인다네요. 20층 이상부터 안좋다고
@user-fjensien12
@user-fjensien12 2 ай бұрын
제가 단독주택 30년 아파트 20층 이상 3년정도 살았는데 산뷰랑 도시뷰 살았는데 단독주택은 뭔가 마음이 편했어요 사람들 지나다니는 소리 새가 우는소리 바로 문열고 나가서 한계단 내려가면 마당에다가 쒹하고 밖으로 나가기 좋고 뭔가 정겨운 느낌이지만 땅이랑 가까우니 벌레가 많았고 아파트는 확실히 깨끗하고 공기가 좋지만 고층 신도시 산뷰는 어쩔때 너무 우울해지고 나혼자 띵 하니 세상에 남은거같고 밖에도 잘 안나가지더라구요 도시뷰는 그야 말로 너무 답답해요 공기 안좋고 편리성은 있어요 인프라가 너무 잘되어있어서 그만큼 보이는게 많으니 쓸대없이 돈만 쓰고요 결론은 젊은땐 바빠서 아파트에서 대충 전세 살다가 나이 먹으면 노후에 부모님 단독주택 리모델링해서 가족들이랑 살고싶어서요
@abcenglish371
@abcenglish371 2 ай бұрын
은퇴 후 경기도 남양주 외곽지역 빌라에 사는데 삶의 만족도가 큽니다 산책로가 집 옆에 있어 가장 마음에 듭니다 단독집은 손이 너무 많이 가고 아파트는 관리비가 많이 나오지만 빌라는 한달 공동 생활비가 만원밖에 안듭니다 출퇴근 하는 것이 아니라면 경기도 외곽지역이 좋을 것 같습니다
@MrMichaelKwon
@MrMichaelKwon 2 ай бұрын
빌라 사지말라고 하던데 아닌가요?
@user-fl4wb3ft3v
@user-fl4wb3ft3v 2 ай бұрын
@@MrMichaelKwon그때는 맞고 지금은 다르다임 난개발 빌라 사지 말란 거 겠지
@user-fl4wb3ft3v
@user-fl4wb3ft3v 2 ай бұрын
시야 트인 접근도 좋은 빌라들 진짜 가성비나 만족도 좋음
@Zach-le2gt
@Zach-le2gt 2 ай бұрын
​@@MrMichaelKwon평생 거주목적이면 좋죠.
@user-rf8jo5ez7w
@user-rf8jo5ez7w 2 ай бұрын
거주목적으로 살면 아파트 보다 훨씬 경제적이고 살기 좋습니다
@user-yu8vd8xl9r
@user-yu8vd8xl9r 2 ай бұрын
화초도 안자라요. 불나도 소방차 못 가요 높은데 살지 말래요. 소방서에서
@jhong7552
@jhong7552 2 ай бұрын
화초 잘만 자라던데요..?
@kjhmiari
@kjhmiari 2 ай бұрын
​@@jhong7552안자라는거 맞음
@user-mn6gr5hn2w
@user-mn6gr5hn2w 2 ай бұрын
지진이 문제죠
@zorba-
@zorba- 2 ай бұрын
뭔 망상이여 ㅋㅋㅋㅋㅋㅋㅋ 잘만 자라는데
@user-zy2yd3yw5q
@user-zy2yd3yw5q 2 ай бұрын
1인2인 사는가구가 많은데 18평20 정도 소형아파트를 안짓나봐요
@Haeil_Park
@Haeil_Park 2 ай бұрын
지금 잠실 재개발 아파트가 30층대인데 이게 다음 재건축때 곧바로 초고층 슬럼화의 저주에 노출됨. 살기 좋고 안좋고는 두번째 문제고 무엇보다 건축비임. 수십억원 부담하면서 누가 단독주택도 아닌 아파트에 들어와 살려고 함?? 결국 지은지 20년 돼 가는 지금 단지들 새로 짓지 못한 채 50년이상 갈 수밖에 없슴. 아파트가 오래되고 낡은데 다시 못 짓게 되면 기존의 입주자들은 떠날 것이고 상대적으로 빈곤한 세입자들이 들어와 살게 되니 고가 아파트의 이미지는 없어지게 돼 슬럼화가 진행될 수 밖에 없슴.
@user-pu4lg6dt3x
@user-pu4lg6dt3x 2 ай бұрын
난 아파트만 30년 살았지만 15층 이상은 살지않는다 ~다른건 둘째치고 안전에 문제가됨~소방차도 15층 이상 닿지않음~
@user-iv4dn4hn2z
@user-iv4dn4hn2z 2 ай бұрын
20층에 살아도 좋아요 해도 잘들고 통풍 잘되고 안살아본것같네요
@user-pp9uf5md1t
@user-pp9uf5md1t 2 ай бұрын
@@user-iv4dn4hn2z 고가사다리차의 최고 도달 높이가 46m (즉 15층까지 임), 아래층에서 불나서 연기가 16층 이상 올라가면, 답이 없음
@King_Cider
@King_Cider 2 ай бұрын
@@user-iv4dn4hn2z 좋기는 개뿔..통풍은 2층만 되도 잘된다 ㅉㅉ
@narodo_ro
@narodo_ro 2 ай бұрын
@@King_Cider 살어보고 지랄합시다.
@user-wr6ok2ge4u
@user-wr6ok2ge4u 2 ай бұрын
66층짜리 건물에 44층 살았는데요 고층건물은 소방 관련 법규 엄청 엄격해요 3개월에 한 번 지역 소방서에서 와서 훈련도 하고요 입주민들 정기교육도 합니다 이번 생에 기회되신다면 한 번 살아보시면 생각이 달라지실 거 예요 아직 안 살아 봐서 그딴 소리 지껄이는 거예요 ㅋㅋㅋ 서울대 안 가본 놈이 서울대 필요없다는 것처럼 ㅋㅋㅋㅋㅋ
@user-lh5hc8fk1j
@user-lh5hc8fk1j 2 ай бұрын
초고층은 건강 뷰 여부를 떠나 오래되서 재건축 추진시 수지타산이 안맞아거 사업진행이 잘 안되어 슬럼화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봐야할듯
@user-ob1el8kg9t
@user-ob1el8kg9t 2 ай бұрын
옳은말씀입니다 맞아요 땅에기운을못받아요 화초를키워도 느껴지네요
@aristophia
@aristophia 2 ай бұрын
30% 동의로 일을 시작하면 이건 망하지 않을 수 없다.
@urawesome1804
@urawesome1804 2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찬성51대 반대49도 아니고..70프로가 반대해도 추진이 말이나되는지..
@chanheeroh
@chanheeroh 2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다수결에도 어긋남 ㅋㅋㅋ 이건 뭐 ㅋ 아주 돈 못벌어 혈안이 된 좀비도 아니고... 😢
@soso-ii5ns
@soso-ii5ns 2 ай бұрын
카르텔 정경유착이겟지
@junhwang5993
@junhwang5993 2 ай бұрын
먼 30%?..박사라는게 ㅈ도모르네ㅡ 30%는 추진을할수있는거고ㅡ 50%이상이어야 모아주택은 가능하다ㅡ 다른 재개발은 69%이상되야 가능~
@user-wk6hd8tu1u
@user-wk6hd8tu1u 2 ай бұрын
@@junhwang5993 내 말이 박사 같은 소리 하네... 30%는 선정 동의율.. 일단 선정 받아서 혜택 보자는거고 그나마도 요즘은 주민제안만 받아서 선정마저도 2/3인데 뭔 개나소나 유튭 나와서 저러고 앉았네... ㅋㅋ
@MsBigmuscler
@MsBigmuscler 2 ай бұрын
30년이상 아파트에서 살지만 어릴적 탱자나무가 있던 마당이 그립습니다. 말씀을 듣고 보니 초고층아파트는 미래세대를 위하여 못짓도록 규제를 해야될거 같네요
@arankang
@arankang 2 ай бұрын
시골가면 될걸 도시는 왜 규제해야함?
@user-yo7fs8dz4v
@user-yo7fs8dz4v 2 ай бұрын
노란탱자 그립네요
@user-nk1if8it2c
@user-nk1if8it2c 2 ай бұрын
@@arankang인구가 줄어들고 나중에 인구밀도도 줄어들텐데 그때가서 그거 다 허물려면 다 돈이죠..안허물면 무너질 위험때문에 불안하고..
@ninaahw4128
@ninaahw4128 2 ай бұрын
정치인들이 규제안하는이유 국회의원중 건설사사장 몆몆있닥
@arankang
@arankang 2 ай бұрын
@@user-nk1if8it2c 음...그 빈 집문제와 폐가는 시골 마을 단위로... 인구소멸로 인해 생겨서 골치인데요? 역으로 시골에서 처치곤란입니다.
@user-cp1zf2fr7b
@user-cp1zf2fr7b 2 ай бұрын
참고...초고층 아파트 문제점 정리 1)저층의 대부분이 일조량이 적다. 2)빌딩 바람이 회오리처럼 맴도는 와류현상이 있다. 3)자살률이 높다 4)커튼월(외벽을 유리로 덮음) 방식은 여름에는 뜨겁고 겨울에 춥다 5)엘리베이터 한번 타려면 목 두개쯤 빠진다 6)단지 조경이 제 아무리 좋아도 멀고 귀찮아서 편히 이용할 수 없다.조경시설을 이용하는게 아니라 단지 뷰에 불과하다 7) 굴속같은 고립된 생활이 강요되어 외출빈도가 줄고 외롭게 된다 8)출퇴근시 교통 지옥은 주차장 출구부터 치르는 행사 9)고층 일수록 커지는 건물의 진동과 미세한 흔들림 때문에 민감한 사람은 자기도 모르게 자꾸 밖으로 나다닌다(상반된 두 증세).신체는 못 느끼더라도 뇌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임산부 유산 확률도 높아지는 것이다. 10)고층에서 자란 영유아들은 ADHD (주의력결핍)증세가 더 심하다. 각성 조절 능력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11)화재에 취약하고 대피 방법이 궁색하다. 12)주변에는 돈을 들고가지 않으면 잠깐 앉아 쉴 땅이 한뼘도 없다 13) 음식배달이 불편하다 14) 고층 아파트일수록 지진에 취약하다 15) 훈련 상태를 알 수 없는 다른 집 애완견과 오랫동안 엘리베이터에 함께 있어야 한다. 16)그런 곳에서 자란 아이들은 인간관계가 미숙하고 사람을 평수로 판단하고 층수로 판단하고 아파트 값으로 판단하고 성적순으로 판단하는 사람으로 자란다. 머릿속에 숫자만 들어있어서 돈의 노예로 살게 된다. 17)자주타는 고속 엘리베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변화로 뇌와 안구와 달팽이관의 건강을 해친다 18)인간은 새가 아니기 때문에 고층에 삶으로 해서 본능적으로 느끼는 불안 증세가 스트레스로 쌓여 우울증 등 만병의 원인이 된다. 19) 고층 생활자의 우울증 발병률도 높다 20) 고층에 살수록 외출 빈도가 떨어져 임산부의 유산률이 높아진다 21) 같은 이유로 고령자의 건강상태도 좋지 않다. 22) 쓰레기를 들고 나갈때 오랫동안 엘리베이터를 타야하고 차려입고 나가는데 냄새나는 쓰레기를 든 사람과 오랫동안 함께 타고 있어야 한다. 23) 공용시설이 붐비고 예약도 힘들다. 24) 공유시설이 많다 보니 관리비가 비싸다. 25) 이사하기가 불편하고 비용도비싸다(사다리차의 한계) 26)수리 비용이 훨씬 비싸다. 27) 고층일수록 내구성이 떨어져 재건축 기간이 짧아지고 비용도 천문학적으로 들어서 재건축을 할 수 없게 된다. 28)암반 지대가 아니고 천변 퇴적층에 세워진 타워형 아파트는 지진과 바람에 취약하다. 29)대지 지분이 적어서 재개발 때 불리하다. 30)새집증후군의 경우 고층에선 기온이 높아 유해 물질을 더 많이 배출한다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 31)고층에 사는 사람은 불안 증세, 우울증, 공격적 성향 등을 보일 확률이 높다. 32)고층일수록 이웃과 교류가 적고 남을 도와주려는 경향이 감소한다. 33)건물이 많을수록 방사능이 높다.결국 초고층 지역은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방사능이 많다.저층처럼 바로 창문환기가 가능하면 바로 방사능을 없앨 수 있지만 초고층 처럼 창문을 못열고 기기에 의존하면 방사능이 많을 수 밖에 없다. 34)미국의 유명 기업들 설립자들(스티브잡스,빌게이츠 ....)을 출신을 보면 대부분 서부 1,2층 거주자들이다.뉴욕 고층거주자는 없다.. 35)조사에 의하면 저층 거주자 친구수가 고층 거주자 대비 약 3배 많다.
@user-kn7mi1bc8x
@user-kn7mi1bc8x 2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수고하셨습니다!
@snack-
@snack- 2 ай бұрын
와 애썼음👍
@gig63
@gig63 2 ай бұрын
대단합니다 👍
@user-on9gf5bk2r
@user-on9gf5bk2r Ай бұрын
초고층 아파트는 쓰레기 들고 1층 안 내려갑니다ㅋㅋㅋ 부자들 보고 이악물지 마시고 행복하게 사시길 바랍니다
@gig63
@gig63 Ай бұрын
@@user-on9gf5bk2r 이 악물긴 뭔소리 부러워할줄아나
@Jessy77251
@Jessy77251 2 ай бұрын
옛날부터 재건축 이상하다싶었다.. 5층짜리야 부숴서 더 올릴수 있지만 그걸 백층 천층까지 계속 올릴것도 아닌데 왜 아파트가 비싸게 팔리는지 좀 의아했는데 그게 몇십년 지난 지금 현실이 됨
@grx1988
@grx1988 2 ай бұрын
님 집없죠? ㅎㅎ;;
@Tv-pe4if
@Tv-pe4if 2 ай бұрын
새아파트가 되니 비싸게 팔리지 ㅉ 하긴 맨날 임대나 고시원에만 살아보니 알리가 있을까 ㅋㅋㅋㅋ
@Jessy77251
@Jessy77251 2 ай бұрын
@@grx1988 ㅋㅋ 집은 있어요, 아파트는 없구 .. 근데 별상관 없음 뉴욕사는데 집 없으면 렌트 살면 그만이고..어차피 보유세 엄청 내니..
@tubeyou5806
@tubeyou5806 2 ай бұрын
​@@grx1988 너도 니집은아니잖아?
@user-qo9wj7le3s
@user-qo9wj7le3s 2 ай бұрын
53층에 살았었습니다. 주상복합이라 전용 좁고 평면이 독특해 불편한 점도 많았습니다만 도시 소음이 전혀 안 들리고, 조용하며 바닥 두께가 두꺼워 상대적으로 층간소음이 적어 사는데는 만족했었습니다. 고층에서 보는 노을이나 풍경도 나름 이쁘고.. 만족도는 사람마다 다른거 같습니다.
@user-vg4gb7rg4zzz
@user-vg4gb7rg4zzz 2 ай бұрын
이거는 조금만 생각할줄알면 공감할거임. 집은 결국 낡게될거고 낡은집은 어떻게든 고쳐써야함. 우리나라는 그동안 고쳐쓰는 타이밍에 재건축 재개발 통해서 가구수도 늘리면서 돈 적게들이고 새집으로 바꿨는데 이젠 새집에 대한 수요도 줄어들었고 이미 고층이라 더 올릴수도없음. 그럼 결국 재건축재개발비용이 더 증가하는건데 그러면 또 사업성이없음. 뭐 돈 많아서 1대1재건축도 할수있다하면 문제없지만 그게 아니라면 점점 슬럼화될거임
@lIlIllIIllIIllIl
@lIlIllIIllIIllIl 2 ай бұрын
슬럼화도 인구가 너무적어져서 ...뉴욕같은 슬럼화는 안될거같은데
@user-ob2qn1ui4f
@user-ob2qn1ui4f 2 ай бұрын
5층짜리 아파트에 살지않는이상 재건축 리모델링 불허해야함 형편대로 자기집 알아서 수선하고 공동으로 쓰는 수도배관 엘베등은 아파트장기수선충당금으로 해결해야함 세대수도배관은 개인이 세대로 들어오는 외부수도관은 장시수선충당금으로하고 도색하면 앞으로 얼마든지 더 살수있음 아파트 재건축때문에 외려 시간이 지나면 안고치는 병폐가 생김 의식의 전환이 필요함
@qwertyu9410
@qwertyu9410 2 ай бұрын
그땐 부자들은 다른 곳으로 이사가고 가난한 사람들이 고층 아파트로 들어가겠지 부자들은 그전에 다 빠져나감 100년후나 걱정해도 안늦음 옛날부터 그렇게 돌고 돌아 온거임
@gig63
@gig63 Ай бұрын
3
@user-cj6jk7pr6g
@user-cj6jk7pr6g 2 ай бұрын
진짜 부자는 단독 주택에 사는 이유가 있지요~ ㅎㅎ
@user-dj7dg8ev1x
@user-dj7dg8ev1x Ай бұрын
그쵸 성북동 평창동 한남동 연희동 장충동 등지의 여전히 굳건한 단독주택 단지는 찐부자들만 살고 있지요
@user-nz7ry8it7l
@user-nz7ry8it7l 2 ай бұрын
초고층이던 머든 머라도 살수가 있어야지 죄다 비싸 디지는데
@user-cg3oe9kn5e
@user-cg3oe9kn5e 2 ай бұрын
여러층 살다 24층 산지 2년짼데 너무 좋아요 영구적 뻥뷰, 직주라 더위 추위 상관없고 도둑,해충 걱정없고 똥손이라 화초 다죽였는데 이집은 화초가 무럭무럭~엘베 두대로 세집써서 운행 개빠르고 ᆢ안개라도 끼는날엔 한폭의 수채화감상도하고 ᆢ이집오고 가족 건강 더 좋아지고 일도 술술풀리고 ᆢ 높고낮고는나름의 취향대로 살면될것같아요
@user-si5dc6sb6y
@user-si5dc6sb6y 2 ай бұрын
맞는 말 하시네요^^ 관심 가지고 지켜보겠습니다
@user-qf4ys7cm7j
@user-qf4ys7cm7j 2 ай бұрын
아파트에서 층간소음 주차같은 스트레스를 20여년 참고견디다 마당있는 단독으로 온지 벌써 8년이 지나네요 너무 좋습니다 행복은 스스로 찾아야지 저절로 오지 않아요
@arianahaart5457
@arianahaart5457 2 ай бұрын
부럽습니다-^^ 예쁜 단독주택 사는게 꿈인 사람입니다~ 정원 잔디 관리는 어렵지 않은가요?
@user-pl7pt3sr3z
@user-pl7pt3sr3z 2 ай бұрын
저도 그런데 살아봤는데, 강절도 위험 노출 등등 또다른 단점이 있더라구요. 어디든 다 케바케인듯요.
@gig63
@gig63 2 ай бұрын
강ㆍ절도 노출되고 재활용 음식물 아휴 정말 불편합니다
@chanheeroh
@chanheeroh 2 ай бұрын
뉴욕 맨하탄 말고, 브롱스나 JFK공항 가는길에 있던 50층이상 아파트(밖에 빨래 걸려있음 --> 매우 못산다는 증거 (일반적인 집도 건조기 쓰지 빨래를 절대 밖에 보이게 널지 않음)는 지나가다 봐도 쓰러질것 같고 완전 슬럼화 된게 훅 지나가는 길에도 다 느껴졌었음😅
@graffitiold2444
@graffitiold2444 2 ай бұрын
원래 미국에서 아파트 라는 것 ,, 그 자체가,,하층민들 사는 빈민 구역이라 그래요,,거의 대부분,,,
@user-tg9gp9qv8d
@user-tg9gp9qv8d 2 ай бұрын
지방을 살리는 일이 급선무인것 같습니다. 지방 주택이 걱정이지 서울은 걱정할 이유가 없는 듯해요.~ 서울이 슬럼화 될때쯤엔 대한민국이 위기라는 의미가 되는 시기일테니까요.
@user-ti4tr2gc9j
@user-ti4tr2gc9j 2 ай бұрын
서동기박사님 말씀 너무 잘하시네요
@yolliyamify
@yolliyamify 2 ай бұрын
설명 쉽게 잘해주시네요👍
@user-nn2fr6xj1j
@user-nn2fr6xj1j 2 ай бұрын
박수가 절로 나오네요~ 제가 궁금했던 내용들에 예상했던 대로의 답변 같은...
@user-cj7yu2eb3o
@user-cj7yu2eb3o 2 ай бұрын
그동안 고정관념을 깨고 생각을 전환 시켜주는 영상이네요 👍👍👍
@user-ei8bf1qp4n
@user-ei8bf1qp4n 2 ай бұрын
저는 3층 이하민 삽니다! 나무가 살 수 있는 최대치죠! 일본연구에서 고층일 수록 유산 확률이 높아진다고 해요!
@user-xl2bl6wg3x
@user-xl2bl6wg3x 2 ай бұрын
37층 꼭대기살다 매일 엘베탈때 귓방망이 터질거같아 팔고 10층으로 이사감 ㅠ
@SHOT93308
@SHOT93308 2 ай бұрын
65층살아도 별로 그런거 못느꼇는데 예민하신듯
@Zach-le2gt
@Zach-le2gt 2 ай бұрын
침삼키면 됩니다. 모르셨구나;;;
@user-he7bm9pr9x
@user-he7bm9pr9x 2 ай бұрын
35층 사는데 엘베 3대라 누르면 바로 오고 12층 살때랑 차이 못느끼는데.....
@user-gl4wd3rf8h
@user-gl4wd3rf8h 2 ай бұрын
1층은 어떤가요?? 1층으로 이사가려고 하는데??
@99999aa
@99999aa 2 ай бұрын
1층은 고층보다 여러모로힘듬
@user-uq4nl3nk4r
@user-uq4nl3nk4r 2 ай бұрын
저는 예전에 16층에 살았는데,누워있을때조차도 공중에 둥둥 떠있다는 생각에 불안하고 이상하더군요.베란다에서 밖을 보는것도 좀 무섭단생각에 거의 사용안했어요.심지어 모기들도 올라오지 않는다는 장점하나
@vitamins77
@vitamins77 2 ай бұрын
엥... 저층보다 고층뷰가 너무 좋아서 쇼파에서 밖에 많이 보는뎁쇼;;;;
@okii-uk8ul
@okii-uk8ul 2 ай бұрын
어쩜 내 생각과 이렇게도 일치 하실까요~😂
@user-wj7ie2ci7f
@user-wj7ie2ci7f 2 ай бұрын
사람은 땅기운을 받아야하기때문에 낮은 층에 살아야하므로, 높은층은 건강문제 심각
@user-qn1gl9vo1g
@user-qn1gl9vo1g 2 ай бұрын
서울 아파트들은 나중에 재건축, 재개발 어떻게 해야 할지 비용 문제에 봉착할 것 같아요.10년간 80만명이 서울을 떠나고 있는 추세고....10~20억 서울 구축 아파트보다는 5~10억의 경기권 신도시 신축아파트를 더 선호하는 현상인 것 같아요. 평택, 용인, 안성, 화성 등이 반도체 메가 클러스트 메가 시티로 계획 되면 서울 인구는 계속적으로 줄어 들지도 모를 것 같다는 생각. 그건 그렇고 우리나라도 5주택이상 다주택자가 13만 7천명인 것 보면 부동산 가격 하락하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문제 많이 발생될 것 같아요.
@user-th6kb1iy6m
@user-th6kb1iy6m 2 ай бұрын
서울 낙후지역이 강북부터해서 생각보다 엄청 많죠...그걸 손을 안대고 10년을 지났고 집값은 비싸고 그러니 전부 어쩔 수 없이 경기도로 빠져나간거죠...내친구 같은 경우는 강동구 아파트 살았는데 투자한다고 양평에 신축아파트 샀다 물려서 어쩔 수 없이 들어갔고 한 친구 몇 년 전에 집값은 미친 듯이 오르고 서울 분양 주택 당첨이 되지를 않으니 세종에 한번 넣었는데 당첨되서 또 어쩔 수 없이 2년 살아야된다고 짜증난다고 그러더라구요... ..
@user-fz1ev6jx5w
@user-fz1ev6jx5w 2 ай бұрын
인구는 주는데 그높이 올린거 10년뒤 누가 사주나?
@SHOT93308
@SHOT93308 2 ай бұрын
10년은 사주지 지금 50년 100년 얘기하고잇는디 ㅡㅡ
@user-dl3tz6qd2h
@user-dl3tz6qd2h 2 ай бұрын
누가 그딴걸 사냐 10년후에도. 절대안사준다!!!!!!.
@bluesky-of5br
@bluesky-of5br 2 ай бұрын
인구감소화로 이민정책이 더욱 더 과감하게 이루어 질것입니다 유럽.미국도 아시다시피 유럽인들 출산율은 낮아요 그래서 과감한 이민정책을 펼수 밖에 없죠 한국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가 앞으로 나아가려면 이민정책을 펼수 밖에 없습니다 수도권이고 위치만 좋으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가격하락은 절대로 없습니다
@user-pj4ki9bk6i
@user-pj4ki9bk6i 2 ай бұрын
@@bluesky-of5br 한국은 이민에서도 경쟁력이 없는 나라입니다 우리도 살기 힘들어서 못사는데 외국인들이 모를까요? 얼마전 조사에서 한국은 아시아권에서도 이민하고 싶은 나라 순위 4위했더군요
@sight5781
@sight5781 2 ай бұрын
아파트값은 하락안할수가 없는게 더오를수가 없는 가격입니다. 이미 비싸고 그가격에서 오래 정체되면 내려가죠 2030년대부터는 40대이하 젊은층의 급격한 감소와 60대이상의 노령화인구의 급격한증가로 가격하락이 머지않은 예기입니다
@user-qf5yj2ww1e
@user-qf5yj2ww1e 2 ай бұрын
해운대 마린시티 제니스 54층에서 2년 살아봤는데, 누워 있다가 일어나면 어지럼증이 생기고, 만성피로가 와서 나왔습니다. 바다가 보이는 동이었는데, 날씨 좋은 날은 반사광 때문에 블라인드를 내리고 있게 됩니다.
@ash78041
@ash78041 2 ай бұрын
어지럼증은 독이있다는건데요... 인테리어나 소품등을 의심해봐야되는
@user-qf5yj2ww1e
@user-qf5yj2ww1e 2 ай бұрын
@@ash78041 다행히 중독현상이 있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산 근처 11층으로 이사가고 나서는 그런 증상이 곧 없어지더라고요. 근데 저희 부부만 그랬던건 아니었습니다.
@tempa2548
@tempa2548 2 ай бұрын
고층은 흔들리고 있으니까 그럴 수도 있겠네요...
@graffitiold2444
@graffitiold2444 2 ай бұрын
다들 쉬쉬하는 비밀,,,,
@hardcopy1595
@hardcopy1595 2 ай бұрын
10년전부터 제가하던 말인데 똑같은 말을 오늘 첨 들어 보네요. 고맙습니다.
@user-zv7fh2zq3i
@user-zv7fh2zq3i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아파트에 사람들이 많이 살기 시작하면서 우울증 환자가 100만명이 됌. 젊을 땐 모르는데 나이가 들면 여기저기 갑자기 많이 아파오고 그로인해 우울증이 새로생기거나 더 심해짐
@rlaaldhr3
@rlaaldhr3 2 ай бұрын
그래서인지 몸이 여기저기 아프네요 주택에서 살고싶네요
@m.l.k4010
@m.l.k4010 23 күн бұрын
옛날부터 서로 쉽게 비교하고 까내리는 민족인데 너무 가깝게 붙어 살아서 그런 것 같기도 해요. 나라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아파트로 돈 번 사람이 많다보니까 빚 내어서라도 울며 겨자 먹기로 서울 또는 주변에 입성하려고 평생을 바쳐야 하니 그런 것도 있고..
@user-ps2ud2ve4n
@user-ps2ud2ve4n 2 ай бұрын
정리가 깔끔하게 되네요 😊
@Lkj4676
@Lkj4676 2 ай бұрын
1층 땅집 주택이 젤 좋아요 확실히 잘때 평온함이 달라요 엘베도 겁나고 고층아파트 그냥 살라고 하먼 모를까 살고싶지 않아요
@user-yy2ob7bh1y
@user-yy2ob7bh1y 2 ай бұрын
여러층 살아보았지만 3층이 딱좋았음
@user-tm6sf7ej7h
@user-tm6sf7ej7h Ай бұрын
13층 살다, 내려 왔는데 계절 바뀌는거 직접 느끼며 사는데 너무 좋아요 👍
@user-qv6ty3ss3f
@user-qv6ty3ss3f 2 ай бұрын
맞는말씀 이십니다. 인구소멸.우리나라가 1위. 베이비세대가 떠나면 전부 빈집. 무시무시합니다. . 정치인들 정신차리고 국민들도 정신차리지않으면 정신병 환자들 늘어날지도
@dharma4583
@dharma4583 2 ай бұрын
초초고층에 왜사는지 강이나 바다를 매일본다는건 ㅜ울하죠
@user-zi3pd2zo7t
@user-zi3pd2zo7t 2 ай бұрын
아이때문에 층간 소음 스트레스가 았어서 단독주택은 용기가 안나고.. 1층 첮아서 살아보고 있는데 너무 만족스럽네요. 아이가 뛰어도 층간 소음 가해자가 어니어서 좋고 엘베 안타서 주차하고 바로 집에 가는 것도 너무 만족스럽네요. 커튼을 치고 사는게 좀 그렇지만 와아프와 저는 1층의 매력에 푹 빠졌습니다.
@partisan3155
@partisan3155 2 ай бұрын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jg3qz4to9b
@user-jg3qz4to9b 2 ай бұрын
전쟁이라도 나면 도망도 못간다. 전기 수도 통신 다 끊기는데
@narodo_ro
@narodo_ro 2 ай бұрын
걱정말어. 어디 간들 디지긴 마찬가지..
@chanheeroh
@chanheeroh 2 ай бұрын
전쟁 보다는 단전, 단수, 엘베 고장 및 수리, 화재가 문제죠 ^^;;
@nojainnopain4485
@nojainnopain4485 2 ай бұрын
​@@narodo_ro전쟁 난다고 다 뒈지더나? 산 사람들이 더 많아.
@sunbee5555
@sunbee5555 2 ай бұрын
@@narodo_ro 이건 마치 차사고 나면 죽긴 마찬가지라며 마티즈나 에쿠스나 같다는 놀리네ㅎㅎ 확률이 다르잖아. 확률이 ㅋㅋ
@user-zt8wb3zf4k
@user-zt8wb3zf4k 2 ай бұрын
어렸을때 우리집이 11층이였는데 예민해서 그랬는지 공법이 미숙해서 그랬는지 앉아있으면 흔들리는 느낌이 있었는데 지금은 무디어졌는지 괜찮아졌다.좋아진건지 나쁜쪽으로간건지 모르겠다.😔😔😔
@user-zk9wp8eq7q
@user-zk9wp8eq7q 2 ай бұрын
단독이 최고에요
@user-ld5yw2ts8k
@user-ld5yw2ts8k 2 ай бұрын
정보 감사합니다
@user-cx4ey6oy8d
@user-cx4ey6oy8d 2 ай бұрын
30층 팬트하우스 사는데 야외 30층 테라스 뻥뷰 보면 하루 스트레스 풀리고 주말에 바베큐 해먹고 텃밭에 상추. 방울토마토. 장미꽃도 잘 자랍니다. 여름에는 아이들 전용 수영장 설치해서 놀게 하고 나름 30층 고층 만족하고 있습니다~~~^^
@user-vr2gx4tk9o
@user-vr2gx4tk9o 2 ай бұрын
살아보셨나요 27층살면서 바다뷰보며산지 5년이지만 답답한아파트뷰는 못살듯하네요 살수록 새가되어 먼풍경볼때 스트레스확 날리고 마음이 여유로와지네요
@user-gn5ld1dp3t
@user-gn5ld1dp3t 3 күн бұрын
꽉막힌 뷰보다는 강도 보이고 강 넘어 다른 도시 아파트 야경 보이는게 훨 낫죠. 층수 낮으면 답답하고 소음 다 들어와서 전 싫어요.
@davidruh39
@davidruh39 2 ай бұрын
간결하고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user-xs1ds5rb6z
@user-xs1ds5rb6z 2 ай бұрын
몇년후에는 슬럼화된 아파트가 사회문제가 되겠죠...지금부터 관리비에 철거비를 걷어야 한다고 봅니다
@Minky-mv1pm
@Minky-mv1pm 2 ай бұрын
창문이 넓고, 산이 근처에 있고, 평야가 보이며, 커뮤니티층이 있고, 엘리베이터가 개방식이면 조금 다르긴 해용. 선생님 말씀처럼 초고층만의 고립감은 있을 수 있는데, 다각적으로 보완 가능하다고 봐용^^
@moed0
@moed0 2 ай бұрын
솔직히 고층사나 저층사나 젊거나 늙거나 노안이거나 명줄길고 짧고 건강하고 아픈거는 진짜 특이 케이스빼면 그냥 차이없다고봄 즉 높은층에사는것보다 매일 도로의 매연마시는게 더 나쁘고 패스트푸드 자극적인식사 치킨 술 담배 이런거 자주먹는게 1000배는 안좋기때문임
@cocoranliz1339
@cocoranliz1339 2 ай бұрын
맞아요. 건설사의 어마한 추가 분담금 요구로 입주민들은 재건축 하지도 못해요. 건설사들도 그 돈 내지 못하면 재건축 못한다고 하니 앞으로는 집 내부를 고쳐서 살아야하는 시대가 올듯.
@user-cp7tq7gs9b
@user-cp7tq7gs9b 2 ай бұрын
포레스트 ~숲뷰가 좋아요 탁트여있고 테라스에서 음식먹거나 욕조두고 씻으면 ~~~펜션따로 갈필요없죠 😊
@user-bz6ho5mp3f
@user-bz6ho5mp3f 2 ай бұрын
귀에 쏙쏙 맞는 말씀이십니다
@user-jn3xk1cf1q
@user-jn3xk1cf1q 2 ай бұрын
무슨말씀..너무 좋습니다 .
@safestartv2513
@safestartv2513 2 ай бұрын
강남은 아니지만 강변에 살아봐서 알지만 선생님 말씀이 지당합니다. 내어머님은 자식들 결혼시켜 출가 . 남편은 하늘나라로 . 혼자 한강변 아파트에 사시다 결국 우울집에 병원 한달까지 입원하셨지요!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비오고 눈 오고 을씨년스러울 때 정말 무섭고 외롭습니다. 젊은나도 싫었는데 너무 환상에만 빠지지 마세요! 한강변 너무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katel.5317
@katel.5317 2 ай бұрын
원래 강뷰가 사람을 우울하게 만든다던데 진짜인가보네요😢
@k200pop
@k200pop 2 ай бұрын
이해합니다 ㅜㅜ
@juleslee9292
@juleslee9292 2 ай бұрын
강이 보이는 곳에 계속 살면 센티해진다는 말을 들었는데 무서워요.
@Koreaview-fs7qn
@Koreaview-fs7qn 2 ай бұрын
전국 층수제한을 만들면 좋을것 같네요
@user-td6cf6xx3e
@user-td6cf6xx3e 2 ай бұрын
땅의 기운을 못받으면 숙면을 취할수가 없다
@carferijjhon6629
@carferijjhon6629 2 ай бұрын
길에 누워자도 잠안옴
@kisssix1
@kisssix1 2 ай бұрын
잠못자는건 개인의 생활방식의 문제지. 땅의 기운 받고 못받고는 아닌거같아요 땅의 기운을 받는다는게 어떤 의미인지 정확히 모르겠으나... 맨날 비행기타고 고층에서 일하고 고층아파트에 사는 사람들도 잠 잘 자는 사람들 많습니다
@kk12
@kk12 2 ай бұрын
ㅋㅋ땅의 기운
@tuttlezero
@tuttlezero 2 ай бұрын
라돈의 기운 ㅎㅎ
@user-od6wu1mo8x
@user-od6wu1mo8x 2 ай бұрын
나의 경험으로는고층에 사나 전원주택에 사나 잠못자는것은 매한가지 똑같아요~
@user-bt1fq3tw8z
@user-bt1fq3tw8z 2 ай бұрын
음... 그러네! 다시 생각하게 만드네! 감사
@sideplanet4723
@sideplanet4723 2 ай бұрын
난 그냥 공용 관리비 최소로 나오는 아파트가 좋더라...
@ukkim7159
@ukkim7159 2 ай бұрын
너무 맞는 말. 출입 힘들고, 환경이 너무 안좋음.
@user-jg9fn9do7f
@user-jg9fn9do7f 2 ай бұрын
여기저기 다 살아봤는데 살기는 아파트가 짱이예요
@user-up4hl1nb9p
@user-up4hl1nb9p 2 ай бұрын
흙을밟고 사는게 제일 좋고 평화로워요. 단독주택이 최고.
@JJJ_SSS
@JJJ_SSS 2 ай бұрын
그냥 취향 차이일 뿐 한 가지 확실한 건 이나라 건설사들이 초고층 닭장을 제대로 시공했을 리가 없다
@user-yu8vd8xl9r
@user-yu8vd8xl9r 2 ай бұрын
맞는 말씀 재개발 싫어요. 집 빼앗고 빚더미에 앉아야해요. 퇴직도 임박하는데
@zeuj2
@zeuj2 Ай бұрын
저도 전문가님 말대로 받기 위해 반지하에서 살고 있습니다
@moed0
@moed0 2 ай бұрын
먼미래에 얘기네요 그런데 건축기술이 획기적으로 발전해서 기간을대폭축소시키거나 그러면 싸질수도있을듯한데 미래의 기술은 알길이없으니 지금기술로 향후40년뒤를 생각하는게 ..
@tempa2548
@tempa2548 2 ай бұрын
25층에서 30년 살고 있는데...난 여기가 좋다. 아래층에서는 못 살겠당...
@jinulee7299
@jinulee7299 2 ай бұрын
최근 10여년 이후로 재건축한 고층아파트는 이제는 마지막 개발을 마친것으로 판단해야 한다. 30여년 후에 더 높은 고층으로 재건축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user-hn7lh3pg9i
@user-hn7lh3pg9i 2 ай бұрын
아파트는 2,3층 저층이 최고. 지면과 가까워야 잔병치레를 안합니다. 공중에 떠 있으면 식물도 안자라요.
@chaeiy5903
@chaeiy5903 2 ай бұрын
저층에살면 벌레만 꼬인다 ㅋㅋ그걸모르네 나는 여름에 집에 모기한마리 못본지오래
@user-wz5rk5lc3b
@user-wz5rk5lc3b 2 ай бұрын
이뭔 웃기는 게소리인가 ㅎㅎ
@user-wp7wn5oe1z
@user-wp7wn5oe1z 2 ай бұрын
식물은 우주정거장에서도 자랍니다.. 우리엄마 18층사시면서 화초 다키우는데 조선시대사람이신가봄
@seongwoo1004
@seongwoo1004 2 ай бұрын
맞는얘기야 새겨 들어. 위에 3명. 쯧
@abm0922
@abm0922 2 ай бұрын
사람은 땅과 가까이 지내야함
@mic-bcpak
@mic-bcpak 2 ай бұрын
용적률 올려주는 자체가 아파트 가진자와 못가진자와의 차별을 두는것입니다. 세계 어느나라도 오래된 아파트의 용적률을 상향해줘서 차별하는곳이 없어요. 환경적으로는 굉장히 문제가 심각합니다. 아파트단지 철거하는게 생가보다 쉬운일은 아닙니다. 또한 철거하는데 투입되는 중장비와 폐기물을 이동하고 버릴때 발생하는 탄소, 공해, 비용 등은 환경에 최악입니다.
@user-fs6hk6vd4y
@user-fs6hk6vd4y 2 ай бұрын
12층 살아보니 높아서 뭔가 안정감이 떨어졌어요. 벌레 안꼬이는 6~8층정도 좋은듯요
@leehan1201
@leehan1201 2 ай бұрын
읭? 13층 사는데 멀리 산도 보이고 도시 중심에 살아서 좋기만 하던데
@user-iz8bp4so6h
@user-iz8bp4so6h 2 ай бұрын
4층이나 5층이 딱 좋음.
@user-ds1cb4mn1w
@user-ds1cb4mn1w 2 ай бұрын
23층 아파트에 19층인데 뷰도 좋고 깨끗 안전함
@user-kh9xj2xy3d
@user-kh9xj2xy3d 2 ай бұрын
저도 5층~10층 안으로 좋다느낌 전체적으로
@sspw3320
@sspw3320 2 ай бұрын
진짜 옳으신 얘기만 하시네요. 고층아파트는 쥐약입니다
@user-jp4wi7rj4z
@user-jp4wi7rj4z 2 ай бұрын
너무 솔직하게 ㅋ 자세히 말씀 해주시는것 같아 😊 아주 많이 도움이 됩니다 ^^
@Utuber8282
@Utuber8282 2 ай бұрын
Thank you! 👍
@jintae_yu
@jintae_yu 2 ай бұрын
엘리베이터 고장나면 한번 왔다갔다할때 마다 등산해야...
@ash78041
@ash78041 2 ай бұрын
입지가 특급인 대치동은마같은곳도 재건축이 안되는걸보면 높은고층아파트는 재건축이 싶지가않을거같습니다 또는 부담금이높은
@user-hy6hx5ug3m
@user-hy6hx5ug3m 2 ай бұрын
100% 공감 👍 👍 👍 난 전문가 이니지만 초고층아파트 50년후 내용년수 끝나고 안전에 문제 있어 철거 하게 되면 누가 철거비용을 부담 해야 하나? 재산적 가치가 없을 때 집주인도 철거비용 부담 못하면 국민의 세금으로 공동체 안전을 위해 철거를 해야 하는데 과연 재산적 가치가 꾸준할까? 초고층 아파트? 건설사의 💰 돈 욕심 이익을 최대한 뽑기 위해 하는 행위이고 개인의 과욕으로 지금 이익을 편취하면 내용년수 끝났을 때 철거 비용이 해결안되면 후대에 부담시키는 잘못된 정책이다
@user-dt1ro1od1c
@user-dt1ro1od1c 2 ай бұрын
공감갑니다
@user-op3vx7zd6c
@user-op3vx7zd6c 2 ай бұрын
전 3년 살았는데 공항 장애 와서 팔고 나왔어요 엘레베이트 타고 가는건 불안해요. 제 아는 지인은 3개월살다가 나왔데요 주인이 공차살아라 살았는데 어지러워서 관리비라도 내고 살아라 했는데 못 살겠더라고요. 저만 그런게 아니더라구요.
@user-ij4cs3wk8z
@user-ij4cs3wk8z 2 ай бұрын
몇층에서요?
@narodo_ro
@narodo_ro 2 ай бұрын
공항장애 엘레베이트 공차 --좋아요 31 - 제아는지인 하다가 못 살겠더라고요.. 래도 좋아요 31
@user-hi5zt6gj3o
@user-hi5zt6gj3o 2 ай бұрын
공항× 공황o
@user-gn5cc2sd8m
@user-gn5cc2sd8m 2 ай бұрын
32층에 사는데 귀가 이명이 생기더라고요.기회봐서 저층으로 이사할 계획하고 있네여
@user-pp6xb9uf4z
@user-pp6xb9uf4z 7 күн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고 갑니다! ㅎㅎ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93 М.
Who’s more flexible:💖 or 💚? @milanaroller
00:14
Diana Belitskay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5 СЕРИЯ
27:21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602 М.
Final increíble 😱
00:39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지금 재개발, 재건축이 큰일 난 이유 [김건우 대표 3부]
26:46
부읽남TV_내집마련부터건물주까지
Рет қаралды 125 М.
강남 건물주가 국가에 건물을 빼앗기는 과정
7:55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They RUINED Everything! 😢
0:31
Carter Sharer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Я ПРОТИВ МЛАДШЕЙ СЕСТРЫ / желе
1:00
Li ALINA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My very favorite way to launch a hang glider 😍 #hanggliding
0:12
Erika Klein
Рет қаралды 53 МЛН
My cats decided to teach me a lesson #cat #cats
0:17
Prince T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Sprinting with More and More Money
0:29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4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