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Рет қаралды 239,543

이스타TVx티빙

이스타TVx티빙

2 жыл бұрын

멤버십 가입하기 : / @leestartv
투네이션 후원하기 : toon.at/donate/leestartv
숏스타TV : bit.ly/shortstartv
히든K : hidden-k.com/
히든K 페이스북 : / hiddenfootballk
히팟 : hipod.co.kr/
이스타tvM : / 이스타tvm
아프리카 : afreecatv.com/e9dongsung
이스타몰 : leestarmall.com
광고문의 : reindeer@leestartv.com
#뒷담화 #한국축구 #방향성

Пікірлер: 959
@coygnk1278
@coygnk1278 2 жыл бұрын
21:08 류청 편집장님께서 언급하신 일본 J리그 메인스폰서 생명보험사는 메이지야스다생명(明治安田生命)입니다. 매주 축구뒷담화를 손꼽아 기다리는 애청자지만 이번 회차는 특히나 안타깝고 아픈 마음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일본에 거주하면서 접한 이들의 생활체육 문화와 인프라가 너무 부럽고 샘이 났습니다. 한국 축구를 사랑하는 팬으로서, 모쪼록 업계에 종사 중이신 분들께서 절치부심하여 다시 한번 풀뿌리 축구 아울러 전반적인 스포츠 저변 확대를 위해 힘써주시길 바라봅니다.
@nje246
@nje246 2 жыл бұрын
일본 스포츠 인프라 보고나면 우리나라랑 비교가 안됨 난 테니스 엄청 좋아하는데 일본 테니스판이랑 우리나라 테니스판이랑 넘사임 그냥 생활체육, 동호회 스포츠, 학교 동아리 스포츠 등 우리나라는 인프라라고 하기도 민망한 수준임.
@coygnk1278
@coygnk1278 2 жыл бұрын
@성이름 이제는 귀국했고요 ㅎㅎ 열등감은 느낀적 없고, 오히려 우리나라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훌륭히 잘해왔다고 자부심을 느낄 때가 더 많아요 💪💪
@latteismaria8104
@latteismaria8104 2 жыл бұрын
@@coygnk1278 허,,,, 감동적인 말입니다... 한국 사랑해요
@user-cs9tt1bi5k
@user-cs9tt1bi5k 2 жыл бұрын
일본사는사람으로서 제이리그를 좋아하고 시진권에 서포터도 들어가있는 사람인데.. 가시마 앤틀러스 평관 3만 에 서포터석 항상 티켓 쟁.. 감바오사카 파나소닉 파크 평관2만 7천 프리미어리그 레스터 경기장 닮음.. 가끔 인구가 많으니깐.. 이라는 소리를 하는 분들있지만.. 애초에 축구 인프라자체가 차이가 심합니다.. 한국은 인프라도 덤빌수있는 나라가 아니예요.. 솔직히 아시아 챔스에서 좋은 모습 보인다고해서 케이리그가 위라는 소리는 헛소리입니다.. 결국 스포츠는 인기이고요.. 팩트는 한국은 인기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제이리그는 아니죠..
@user-cs9tt1bi5k
@user-cs9tt1bi5k 2 жыл бұрын
어딜가도 체육시설 체육공원 빠삭하게 들어서있구요.. 아이들이 뛰어놀수있는 곳은 대부분 잔디로 만들어져있습니다. 이건 뭐가 중요하다구요? 잔디에 적응력이 늘어난다는 소리입니다..한국은 이런 세심한 부분을 따라가지 못하면 절대 제이리그를 앞설수없습니다.. 그렇다고 일본이 돈으로만.축구를 하지도않구요.. 실력있는 애들은 과감히 씁니다.. 케이리그는 나이 경험을 우선시하죠..
@user-xu3kb5mn4q
@user-xu3kb5mn4q 2 жыл бұрын
이번화는 정말 청이형이 한국축구에 대하여 얼마나 열정이 있고 생각이 많으신지 느껴지는 회차 인거 같습니다! 완전 멋있어요!!!
@gekisho6805
@gekisho6805 2 жыл бұрын
@@kingispark-mp8qb 축협이 문제인게 아니라 02얘들이 문제인거다 정작 축협회장이 올림픽 월드컵 유치해주고 벤투데려온건데 너같은 얘들은 펨코얘들한테도 까인다고 지금 02얘들이 장악하고 다 말아먹는다 그리고 자꾸 팀탓하는데 진지하게 2022국대가 한국축구역사상 가장 강력해보이는데 풀백2자리때매 저평가당하는거지 손황황이 양박쌍용리그커리어는 다 넘었고 진지하게 이재성 황인범 정우영 작우영도 안꿀림
@user-db8tc6kx6i
@user-db8tc6kx6i 2 жыл бұрын
킹정이지
@juicendon
@juicendon 2 жыл бұрын
요즘 유소년들 보면 굉장히 주눅들어있어요 아직도 옛날방식 주입식 강압식 교육방식 때문이라고 봐요 물리적폭력은 없어졌을자 모르지만 촌지, 욕은 아직도 성향하거든요. 10년전에 직접 목격해서 시간이 많이 지나 요즘은 괜찮아졌겠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요즘 안정환 채널에 나오는 애들보면 그 옛날 분위기 그대로 애들이 주눅들어있더군요 힘있고 영향력있는 영웅들이 알아서 나서서 공론화해서 바꿔야지 이대로 놔두면 손흥민 같은 경우는 진짜 10년에 한명밖에 안나올겁니다. 그리고 이런 악습이 계속 이어지는 이유는 팔은안으로 굽는다고 다 옹호하니까 반복되는겁니다. 기성용이 말했었죠 자신도 다 겪어봐서 같은입장을 알기애 욕할수 없다라고.. 이천수 안정환.. 요즘 채널에서 약간 소신발언은 하지만... 굉장히 약한수준이라는거죠. 근본적으로 실력시스템으로 바꾸지 않고 옛날의 돈 지연 학연 으로 계속 나가면 중국처럼 돈만쓰고 발전이 없게 될겁니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YKtheFBK
@YKtheFBK Жыл бұрын
@@user-or8is4zw5q 진짜 이런 말 하기 싫은데 너 같은 애가 만약에 나라 고위직에 있으면 우린 북한이나 중국한테 침공당하는거야. 정신 좀 차려라 장담하건대 내가 너보다 국내축구에 대해 잘 알고 많이 볼 거라고 생각한다. 근데 축구를 다른 나라도 아니고 휴전국가인 우리나라에서 뭐 모병제를 어쩌고 어째? 그냥 처음부터 너무 잘못돼서 나머지 수십개 틀린 이야기는 하지 않아도 될 거 같다 하이고 두야..
@bomber_hwang
@bomber_hwang 2 жыл бұрын
류청기자님 한국축구에 대한 애정이 진짜 깊게 느껴진다 ㄷㄷㄷㄷ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jj-te2mo
@jj-te2mo 2 жыл бұрын
@@user-or8is4zw5q 길어요
@hgchoi6143
@hgchoi6143 2 жыл бұрын
좋은 댓글인데 ㅋㅋ닉넴 킹받누ㅋㅋㅋㅋ
@eeeii76
@eeeii76 2 жыл бұрын
K리그 보지도 않는 새끼들이 까는경우가 너무 많음 좀 보고 문제점 분석이라도 할줄알면 모를까.. 그래놓고 국대 주축 k리거들 비하; 관심이라도 가지든가..
@Mte_kane
@Mte_kane 2 жыл бұрын
@@user-or8is4zw5q 나는 갠적으로 4번이 제일 크다고 봄 야구도 비슷한데 당장 일본만 봐도 실업 리그, 독립 리그 등 활성화가 엄청 되어있고 학생들도 엘리트 뿐 아니라 그냥 일반 학생들 조차도 방과후로 스포츠 하는게 일상인데 우리나라는 끝나면 바로 학원 가서 10시까지, 하물며 시험 공부한다고 밤을 새고 있는데 축구 야구 볼 시간이 없다는 거지 결국 이건 교육 시스템도 문제고
@user-fr8vv9zt4q
@user-fr8vv9zt4q 2 жыл бұрын
냉정하게 손흥민은 한국 축구 시스템이 만들었다기보다 아버지가 하나부터 열까지 다 만들었지
@user-gr5yo6ir8c
@user-gr5yo6ir8c 2 жыл бұрын
손흥민은 한국 축구 시스템에서 자랐다면 지금처럼 성공 못했을 가능성이 농후함
@user-ke1ue9vw3i
@user-ke1ue9vw3i 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음... 이미 일본은 유소년 시스템이 우리보다 넘사임
@only_forjeju
@only_forjeju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언론 특성상 국뽕으로 아쉽게 된 선수가 한 둘이 아니라 매스컴에 나와서 평가를 더 박하게 하는 듯. 아버지가 18/19 시즌에 인정을 해줬다면 이번 시즌 득점왕 손흥민이 있었을까?
@user-ww4kf8ot9x
@user-ww4kf8ot9x 2 жыл бұрын
손웅정 축구클럽이 한국 유소년 축구 시스템 씹어먹지 ㅋㅋㅋㅋㅋㅋㅋ 웅정좌에게 유소년 일임하면 진짜 좋은 선수들 많이 배출 될 것 같은데
@user-nk1ex8uf2z
@user-nk1ex8uf2z 2 жыл бұрын
흥민이가 남들처럼 어린나이부터 축구부했으면 포기했을 가능성부터가 높지
@wonsukcho4320
@wonsukcho4320 2 жыл бұрын
영국도 마찬가지인거 같아요 오히려 일본축구문화는 점점 유럽화가되서 부럽습니다 자기연고 자기팀 자기 유소년팀 자기가 어렸을때 유소년으로 뛰었던팀 바로 로열티... 부럽습니다.
@user-lm1iv2ni4h
@user-lm1iv2ni4h 2 жыл бұрын
스페인도 그렇고 독일도 그렇고 유럽 축구가 그래서 성공했던거 같습니다. 자신이 어릴때 응원하던 팀을 보며 꿈을 키우고 그 팀에 유소년으로 입단한다는 점에서
@user-oj1rp1ug7l
@user-oj1rp1ug7l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만의 축구시스템을 구축 해야 합니다 일본은 유럽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을 좋아 합니다
@user-xj8py8oc8r
@user-xj8py8oc8r Жыл бұрын
우리도 유럽화 하자
@jeongsuhan369
@jeongsuhan369 2 жыл бұрын
류청님이 축구 콘텐츠 나올 때마다 항상 믿고 보는데, 이번에도 멋진 말씀들이네요. 술자리에서 오프 더 레코드 컨셉으로 이야기하는 만큼, 이런 이야기들이 너무 좋아요 ㅎㅎ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iceamerica3421
@iceamerica3421 2 жыл бұрын
류청형님 진짜 말씀잘하신다 항상좋은말씀 감사합니다
@user-ks6oo6zj8s
@user-ks6oo6zj8s 2 жыл бұрын
냉정하게 얘기하자면... 2002년 일부 영웅들조차 기득권화가 되어가는 모습이 보여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아닌 이상 힘들다고 본다. 학연이든 지연이든 뭐든 당장 올대나 청대, 케이리그 조차 감독 돌려막기가 심한데 무엇을 개혁하겠음? 더 위로 올라가면 축협이나 프로연맹까지 거의 다 학연, 지연이 아니겠음? 가장 실력적으로 공정하고 경쟁해야할 환경에서 제일 부패하고 나눠먹기식 기득권이 있으니 발전이 없지. 이 다섯 분들이 좋은 말씀을 하실지 언정 대한민국 축구는 완전 뒤집어질 정도의 개혁이 아닌 이상 힘들다고 생각한다. 축협고위직부터 팬들까지 싹다 바껴야 하기 때문에.
@user-lr4xg2ky4f
@user-lr4xg2ky4f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축구시장이 좁아서 프로축구팀도 몇 팀안되니까 이름값있는 감독 내새우는거 아닐까싶고, 선수들도 무명보다 유명한 사람이 지휘하는게 신뢰도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
@user-ht1fh5bz2n
@user-ht1fh5bz2n 2 жыл бұрын
축협뿌리부터 아예 다뽑아야 변할수있을꺼같네요 윗쪽 몇명 처낸다고한들 달라질껀없다고 봅니다 팬들의 의식은 축협자체가 바뀌고 노력하면 팬들은 알아서 따라와줍니다
@qqsad6332
@qqsad6332 2 жыл бұрын
@@user-lr4xg2ky4f 감독으로 보여준게 뭐가 있다고 신뢰하는 건지 진짜 ㅋㅋ 즈그들 선배림들 눈치는 뒤지게 봐요 증명된 감독을 데리고 와야지 학연지연혈연으로 시작해서 끝나는 ㅋㅋ
@user-cq9ij7wo2b
@user-cq9ij7wo2b 2 жыл бұрын
@@user-lr4xg2ky4f 영상에 나오지만 이런 저런 핑계 때문에 이지경이 된거라고 생각해요. 구단이건 축협이건 잘못에 책임은 지기 싫고 이렇게 된걸 환경이나 상황탓을하는거죠. 결국 바뀌려면 지금까지의 실패를 먼저 100퍼센트 인정해야 하는데 죽어도 안하려 하니까요.
@nalong731
@nalong731 2 жыл бұрын
@@user-lr4xg2ky4f 달수네에서 얘기한 것 처럼, 무명이든 유명 선수든 해외 처럼 열심히 지도자 공부하게끔 분위기 형성를 만들어주고 기회를 주게끔 해야하는데, 무명 선수 였다고 하면 개무시 하고, 홍명보나 황선호 처럼 네임밸류로 돌려막기 감독만 시키니(지도자 역량 확인도 안하고) 무슨 발전이 있겠습니까
@user-ev1vj8wl4l
@user-ev1vj8wl4l 2 жыл бұрын
여기 채널이였는지 잊어버렸지만 축구 유소년선수 육성에 대한 의견중에 가장 공감했던것이 축구를 잘 한다는것이 그 사회에서 일상처럼 자랑거리가 될만한 환경이 되어야한다는 것이였네요. 당장 우리나라 E스포츠 환경을 봐도 우리나라가 최강이 될수 있었던건 PC방의 규모 (인프라)와 게임을 잘 한다는것이 자랑거리가 되는게 자연스러운 환경이라서 가능한거죠..
@ichheisseleesang
@ichheisseleesang 2 жыл бұрын
@@user-db2fu8gx1x 게임을 많이들 하니까 게임을 잘하면 그 게임하는 그룹 사이에서 자랑거리가 되는거죠 게임 관심없으시면 이해못할만 합니다. 우리나라의 규제는 좋은 환경을 이용하지는 못할망정 오히려 잡아먹던 멍청한 행동
@BravoMyLife13
@BravoMyLife13 2 жыл бұрын
저도 윗분 말처럼 잘 안와닿네요. 스타 나왔던 시기라면 집에 컴퓨터 없던 가정도 많았으니까 pc방이 도움이 됐겠으나, 그 이후 오버워치나 롤같은 게 흥행할때는 이미 개인 pc를 다 가지고 있을때라 크게 상관있었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인식이 좀 나아진 편이긴 해도 게임과 E스포츠가 사회에서 자랑거리가 될 정도의 환경인가 생각해보면...아직도 그렇다라고 말하긴 어려울것 같습니다. 게임에 대한 건 확실히 모르겠습니다. 그냥 학생과 젊은층이 즐기기 쉬운게 온라인쪽과 게임이고, 거기서 제일 유행하는 걸 쫓아서 많이 합니다. 그리고 잘하는 사람이 나와서 탑을 먹는거고... 결국 아직도 잘하는 개인이 많은 느낌이지, 축구의 본보기가 될 만큼 인프라와 환경이 갖춰져서 잘 하는 것 같진 않아요. 물론 제 개인적인 생각이에요.
@user-xu4dp7zr3b
@user-xu4dp7zr3b 2 жыл бұрын
@@BravoMyLife13 아니죠 실제로 lck에 있는 많은 프로선수들 인터뷰 보면 친구들과 pc방에 가서 재밌게 게임하다가 나도 몰랐던 재능을 발견해 진지하게 게임하였고 프로팀 관계자들에게 눈에 띄어서 아카데미에 들어가 1군까지 데뷔하는것이 많습니다. 이렇듯 pc방의 존재는 우리나라의 게임 강대국의 이바지하는 발판이 되는 것이죠
@daujnwyah3696
@daujnwyah3696 2 жыл бұрын
@@BravoMyLife13 자랑거리라는게 뭐 학교나 집안에서 경사났다고 축하해준다의 의미가 아니라 비슷핫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친구 혹은 또래의 사이에서 내가 이정도 한다 얘기 할 수 있다는 부분에서의 이야기죠. 당장 축구 잘한다라고 말할때 축구에 관심 없는 사람들은 그냥 그런가보구나 하고 넘어가겠지만, 조축을 뛰거나 축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무래도 상대방에 대해 관심이 생길 수밖에 없겠죠? 그 논리로 축구라는 스포츠 자체의 인프라, 일본처럼 학생 친구들이 스포츠로서 공을 차고 즐기는게 당연시 되는게 중요할거 같다는겁니다.
@BravoMyLife13
@BravoMyLife13 2 жыл бұрын
@@daujnwyah3696 근데 댓글 단 분들이 서로 약간 핀트를 다르게 이해한게...원댓글을 보면 유소년 육성 측면에서 얘기하셨거든요. 그래서 저는 사회적인 분위기로서의 자랑거리라고 생각했습니다. 첫 댓글 분도 그렇게 이해하신 것 같구요. 다른 분들은 그냥 친구나 그룹, 또래 사이에서 자랑거리라고 하시구요. 어쨌든 원댓글 쓰신 분의 의도가 중요하겠지만, 텍스트로 제가 이해하고 받은 느낌으로 그렇네요.
@TOpierre-ik4oq
@TOpierre-ik4oq 2 жыл бұрын
요새 부쩍 드는 생각입니다. 2002년 이후로 KFA와 나라, K리그 측은 도대체 무엇을 했고 무엇을 기획했었나. 2002년은 분명 양날의 검이었습니다. 기적을 만든 레전드 해이긴 했습니다만 반대로 자만, 족쇄가 될 수 있기도 헸죠. 근데 20년이 지난 지금은 결국 족쇄가 되었다고 생각이 듭니다. 06 월드컵부터 18 월드컵까지 02년도의 영광을 지우지 않으려는 듯한, 신화 만들기에만 혈중 되어있었고, 왜 히딩크가 결과를 만들었나, 박지성은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었나라는 과정에 집중하지않고 장기계획을 세우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흔히 손차박 손차박 하지만 정말 웃긴건 박지성 손흥민은 국내리그에서 뛴 적이 없습니다. 박지성은 갈 대학조차 없었다했죠. 지금이라고 상황이 과연 다를까요? 예전에 이영표가 투자를 해달라 말하던 장면이 생각 나는데 저는 그게 대한민국 축구의 현주소라 생각합니다. 손흥민 득점왕 신드롬으로 인해서 평가전 경기가 매진 사례를 일으키고 정부가 나서서 상을 주고.. 딱 거기까지인게 참 한심합니다. 투자도 없고 핫하지도, 힙하지도 않은게 대한민국 축구입니다. 유니폼 디자인부터 잔디 등등 기본적인 것부터 소비자 입장이지 않은게 우리나라 이구요. 그런 얘기를 참 많이 했습니다. '야.. 우리나라 참 대단해. 인구수도 별로 없는데 이렇게 대단한 사람들 많이 나오는거 보면' 이라고. 근데 그건 국뽕성 발언이 아니라 제대로 관심도 안 가지는 나라에서 꿋꿋이 길을 걸은 사람들에 대한 찬사죠. 만약 2002년 이후로 20년간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적절한 투자와 마케팅, 월드컵 앞두고 협회 돈으로 술이나 먹으러 다니는 고인 협회 인물들 다 쳐내면서 성장을 위한 인물들을 고용했더라면. 지금 월드컵을 4달 남짓 앞둔 대한민국의 모습은 참 달랐을겁니다.
@TOpierre-ik4oq
@TOpierre-ik4oq 2 жыл бұрын
@@izumiaco5079 재미없죠. 유니폼도 솔직히 구매하고 싶은 느낌도 없구요. 소위 땀내 나는 느낌만 잔뜩 들죠. 근데 이제는 그런 말보다는 왜 재미가 없나. 왜 예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흥행성, 시장성, 퀄리티에 발전이 없었나를 이야기해야되지않나요.
@user-mo7zb5st4g
@user-mo7zb5st4g 2 жыл бұрын
@@izumiaco5079 그렇게 단순히 k리그가 다시 재미있어진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죠....
@TOpierre-ik4oq
@TOpierre-ik4oq 2 жыл бұрын
@@user-mo7zb5st4g 그렇죠.. 재미없어서다, 못해서다라는건 결국 또 결과만 보는 비난일 뿐이고 왜 지금 여기에 있게 되었나를 좀 보고 협회도 내가 있는 기간에 성과를 내려고 반짝 하는게 아니라 다음 세대에게 길을 내준다는 느낌으로 고찰해야될때라 생각합니다 ㅠ
@artjo84
@artjo84 2 жыл бұрын
윤석열 거기서 상주는거 진짜 싫더라 제발 축협이나 똑바로 만들어주길 감독만 의미없이 바꾸지말고 제발 지도자육성 유소년육성 장기적인 스포츠 인프라를 육성하라는거다 일본보고 배워라 일본이 진짜 다른건 못해도 스포츠인프라는 정말 잘만든다
@TOpierre-ik4oq
@TOpierre-ik4oq 2 жыл бұрын
@@user-tb7yh5kk9l K 리그에 관심 가지면 좋죠. 근데 소중한 시간내서 돈 들여서 경기장에 갈 이유를 그간 리그측이 만들어왔냐에 대해서는 이스타에서도 예전에 언급했었던거 같은데 좀 아쉬운 부분이 크네요. 언급됬던 내용 중 무료 중계가 과연 K 리그 흥행에 도움이 되는거냐라고 됬던 것처럼 리그가 정말 구미가 당길만한 마케팅을 하는걸까요? 국민 모두가 엄연히 소비자 입장인거잖아요. 축구라는 큰 틀을 좋아하는 사람들이긴 하지만. 여론의 질타로 감독 경질하고 선임하고 그런 것 역시 국민 정서의 탓도 크지만, 그간 KFA가 과연 정말 기조를 가지고 '우리는 이런 축구를 하는 감독을 뽑을거다'라는 신념을 가진 적이 있었던가요. 늘 협회는 감독을 총알 받이로 세워서 경질 시키고 돌려막기식으로 감독을 선임했고, 그게 가장 드러남과 동시에 국민들이 국내 축구에 관심을 끊게 만든게 2018 월드컵 직전이었구요. 국민들도 이제는 과정에 대한 질타를 할때가 되었고 협회도 그에따른 물갈이, 개혁이 필요한때 같네요.
@user-hw1ot7nk8j
@user-hw1ot7nk8j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한국 축구도 좀 더 개방적인 분위기로 바뀌면 좋겠다. 물론 전 보다는 훨씬 좋아지기는 했지만,너무 학교 중심에 학원축구가 자리 잡고 있고, 유렵 축구와 가장 다른 유소년 축구의 특징이 학교와 축구가 완전히 분리 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 축구를 하는 학생을 위해서라도 학교와 축구가 지금 보다 더 철저히 분리 되어 진행되면 좋겠다.
@user-il2cn5pz5f
@user-il2cn5pz5f 2 жыл бұрын
@@izumiaco5079 ㅆㅇㅈ ㅋㅋㅋ
@user-hw1ot7nk8j
@user-hw1ot7nk8j 2 жыл бұрын
@@izumiaco5079 무슨 돈을 말씀 하시는지...?학교 일과 중에 축구를 하는 것도 학생에게 긍정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하고,일부 학생은 축구를 즐기고 자신의 성장을 도모하기 보다는 고교의 일부 학생의 경우 입시를 위한 축구로 변질 되는 경우도 봐왔습니다. 지역 내 축구아카데미 혹은 꼭 K리그1이 아니더라도 지역내 연고를 둔 축구팀들이 유소년 축구에 좀더 공격적으로 나서면 좋겠습니다! 실제로 해외의 유소년 성공 사례인 도르트문트 혹은 바르셀로나 등을 보아도 학교와 축구는 본질적으로 나뉘어져 있고 이들은 모두 유럽 축구에서 좋은 결과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시스템적으로 학원 축구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유소년 축구리그의 경우에도 U-12혹은 U-15 등이 표현 보다 국내에서는 초등,중등,고교리그 등으로 이름을 내걸고 여러 축구리그들이 개최 되고 있는데 이러한 분위기가 바뀌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user-qb6jk6dt8c
@user-qb6jk6dt8c 2 жыл бұрын
이변명 저변명대고 개선되지 않으면 결국 도태되는거지
@user-hw1ot7nk8j
@user-hw1ot7nk8j 2 жыл бұрын
@@RoyalMadrid1920 그렇다고 해서 축구를 계속해서 학원축구의 형식으로 두는게 맞는지도 의문이고 학원축구의 문제점이 명확하게 있는 것도 사실인데 한국축구가 개선 되면 좋겠다는 입장에서 글을 쓴겁니다.과연 지금의 학원축구가 올바른 것인가요?학교에서 축구하는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의 목적을 오로지 축구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크고, 때문에 학업에 충실하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더 문제는 학원축구를 받던 학생들의 대다수가 결국에는 프로의 문턱에서 축구를 포기하게 되는 결론으로 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에 학생들은 학업적으로는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잃은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저는 이게 결국에는 학교와 축구가 완전히 분리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학원축구는 학생의 교육에 다소 무관심하고 또한 성과를 내야지 지속적으로 재정지원을 받을 수 있다 보니 악순환은 반복 됩니다. 그런 부분은 개선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돈 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로 개선 되지 못할수도 있지만, 개선에 여지를 두고 시스템을 바꾸려는 축구협회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fo6nx9vq3e
@user-fo6nx9vq3e 2 жыл бұрын
@@user-hw1ot7nk8j 님이 말한부부은 협회문제가 아니라 구단과 나라의 입시문제 입니다 구단의 운영을 학교 하나와 협의 문제로 가니 입시로 분류되고 엘리트 주의를 만들죠 유럽의 구단의 유스는 학교하나랑 협약하는 우리나라 시스템과 다릅니다 취미 활동에 좀더 가깝습니다 그래서 지역에 인재들을 흡수하기가 쉽죠 우리나라의 경우 학업 입시에 할애하는 시간 비중이 너무나 크니 그렇기가 쉽지 않죠 이건 축구만의 문제가 아니고 정치의 문제이니 해결방법이 쉽지 않네요....그럼에도 한국축구는 엘리트가 잘하니 유지되는것이죠 아예 동남아 국가나 중국만큼 성적 나오면 이마저도 관심은 없었을꺼예요 타 비인기종목이 그렇듯
@user-vz1gc7cm2d
@user-vz1gc7cm2d 2 жыл бұрын
류청 진짜 진심이보여서 너무 멋있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ie2uk1qv7z
@user-ie2uk1qv7z 2 жыл бұрын
혹시 그 코리안샤키리 전병관씨?
@2ibbonPig
@2ibbonPig 2 жыл бұрын
17:37 취한 종윤이형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귀엽누
@user-ke6ys3uy1d
@user-ke6ys3uy1d 2 жыл бұрын
이번편은 류청님이 대박이네요
@user-zt6kd8hw5g
@user-zt6kd8hw5g Жыл бұрын
형들.. 다른거 다 참을께 다 기다릴께 그러나,, 이 컨텐츠는 제발 계속 해죠요 내용도 알차게 지금처럼. 넘 좋습니다.
@hwa_yo
@hwa_yo 2 жыл бұрын
17:39 번개맨 의견들으면서 느끼는점 - 이미 한국에서는 축구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다못해 수직하락중임 ( 예전 어르신들이 보던 씨름 / 아저씨들이 보던 당구처럼) 바쁘게 살고 빨리빨리 하는 한국사람들, 특히 요즘 더더욱 00년생 ~ 10년생 학생들이 그렇게 치열하게 살고 있기 때문에.. 축구를 제일 재미있게 보는 시기가 남학생 기준 14~19살인데 (친구들끼리 축구 얘기하면서 자기가 좋아하는 팀 응원하고) 그 시기를 요즘 학생들은 학원에서 살기 때문에 안봄. 그리고 유튜브로 하이라이트 or 스페셜 영상을 자주 보기 때문에 해외축구를 더 잘알지 K리그 1도 모름. 근데 그 1도 모르는게 당연함. 이승우도 mz세대에서나 어릴때부터 유망주로 뉴스에 나와서 유명한거지 지금 학생애들은 거진 모름. 축구 안보니깐. 유소년이 중요하다. / 축협 시스템을 바꿔야 된다. 그러는데 제일 중요한건 관중임. + 언론의 관심 그냥 접근법이 잘못됨. 재미있어야 됨. 재미있으면 인기가 생기고 파이가 커지고 그 파이로 자연스럽게 시스템을 구축해나가는게 부작용도 적음. 재미없으면 관심도 안줌. 지나가는 10대들한테 " 너 K리그 티켓 or 너 LCK 롤파크 티켓줄게 어디로 가고 싶니? " 하면 10명중에 8명은 롤파크 갈듯. 한국에서도 축구에 관심을 갈수있는 컨텐츠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음. 슛포러브, 리춘수 형님이했던 천재FC 천재투어 같은거. 이런 시리즈들이 좀 많이 나왔으면 함. 거기보면 선수들 K6~K3 친선전 경기하고 리그 선수들 경험도 잘 나오고 유망주였던 선수들. 성공가도를 달리다가 실패한 선수들 그런 선수들의 경험과 느낌 그런게 영상에 너무 잘 베겨있음.
@user-us2si6fe4s
@user-us2si6fe4s 2 жыл бұрын
이게리얼 팩트
@user-ol5qt8bs9w
@user-ol5qt8bs9w 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축구 인기가 식어가고 있다? 아님 원래 그렇게 대단한 인기가 아니었음 적어도 K리그는 그러함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ui8vt8ey8b
@user-ui8vt8ey8b Жыл бұрын
요즘 정말 축구하자는 친구들도 별로 없고 해봤자 4~5명이서 볼 조금 차다가 재미없어서 집가고 사람 채워서 경기를 한지도 너무 오래됐네요.. 정말 주변에 축구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갈수록 사라져가는 게 너무 착잡합니다
@jjy656
@jjy656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2000년부터인가. 스페인 티키타카 축구를 목표로 20년 넘게 달려가는 중. 유소년부터 티키타카식 축구 가르침. 이게 2010년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 월드컵 16강은 왠만하면 가는 팀이 되었음. 반면 우리나라는 목표 스타일이 없음.
@user-mt5of9km4k
@user-mt5of9km4k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너무나도 잘 봤습니다. 다음 주제는 혹시 시도민구단에 대해서 다뤄주실수 있으실까요? 이번에 청주구단의 프로 참가화가 공식화 됐고 천안도 들어오기 직전입니다. 두 구단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시도민 구단 창단 준비중이라는 소식이 많아요. 그렇지만 반대편에서는 세금리그, 세금구단 이러면서 비판을 가하고 있죠. 시도민구단이 이렇게 늘어나고 있는 와중에 분명 이유가 있을터인데 이런 부분에 대해서 한번 뒷담화 해주셨으면 합니다 ㅎㅎㅎ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zi8yq8bu5f
@user-zi8yq8bu5f 2 жыл бұрын
너무좋아요,,,,주말에 딱!!! 술마시며 먹기 좋네요ㅎㅎ
@user-qp7qz4ru2p
@user-qp7qz4ru2p 2 жыл бұрын
오 뒷담화 정말 기대되는 콘텐츠 ㅎㅎ
@sangdae3135
@sangdae3135 2 жыл бұрын
차범근감독님으로 유소년 축구교실을 시작해서 2002년 월드컵 4강, 그후로 해외파가 생겨나고 그선수들이 은퇴후 유소년에 발전시켰지만 너무 미미하다. 손웅정님이 유소년 시스템 발전시키기엔 너무 부족한 느낌이 들고 협회에서 많이 손을 써야줘야한다.
@makemeglorious0000
@makemeglorious0000 2 жыл бұрын
미미하긴 뭐가 미미해 2009년 이후로 제일 권위있는 유스대회인 U20월드컵 준우승 1회 8강 2회 16강 2회로 아시아에서 압도적인 성적인데 도대체 미미하다는건 어디서 나온거임? 니 뇌피셜임? 한국축구 최대 적폐이자 병적인 존재가 니같이 아무런 팩트체크도 없이 깨어있는척 비판을 빙자한 욕만하는 놈들임.
@SAlNTLAURENT
@SAlNTLAURENT 2 жыл бұрын
@@makemeglorious0000 축협 실드는 치지마라 그들이 잘못된건 맞으니까
@makemeglorious0000
@makemeglorious0000 2 жыл бұрын
@@SAlNTLAURENT 축협보단 님같이 허구한날 깨어있는척 비판만 하는 놈들이 제일 큰 문제인거 같은데
@SAlNTLAURENT
@SAlNTLAURENT 2 жыл бұрын
@@makemeglorious0000 축협 관계자랑 뭐 있음?
@makemeglorious0000
@makemeglorious0000 2 жыл бұрын
@@SAlNTLAURENT 축협관계자랑 뭔가 있는건 니 아님? 단순히 2009년 이후 U20월드컵 한국 일본 역대성적만 나열했을뿐이고 축협 언급한 적도 없는데 이게 도대체 어떻게 축협이랑 연결되는지도 모르겠고 왜 니 혼자 발광하냐는 말임
@user-lm1iv2ni4h
@user-lm1iv2ni4h 2 жыл бұрын
제가 고등학교때 체육선생님이랑 반에 축구부 애들이랑 이야기하는 것을 같이 듣고 있었는데 뛰지도 않고 우승 경력이 2개나 추가되서 대학가기 좋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런이야기 들으며 아직 우리나라는 예전과 바뀌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user-rw8fo9my4d
@user-rw8fo9my4d 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컨텐츠인것 같습니다 👍👍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ko3kc1dw4c
@user-ko3kc1dw4c 2 жыл бұрын
이런 컨텐츠 좋아요.
@user-rp2dz2hc7c
@user-rp2dz2hc7c 2 жыл бұрын
저희 아버지는 차범근 박지성 손흥민을 전부 봤던 사람입니다 둘다 축구를 좋아해서 축구 얘기를 좀 하다가 그러더군요 우리나라 축구는 너무 스타에게 의존해있다 항상 제2의 누구누구 또 그들이 은퇴하면 어떤 스타가 나타날까 어떻게 하면 스타를 만들어낼까 라는 것에 매우 치중 되어있다고 그러시더라고요 이렇다보니까 일본처럼 장기적인 계획은 없고 스타만들기에만 의존 되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우리나라 축구가 더 올라갈려면 기존의 틀부터 없애야 할거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리고 영상에도 나왔던 뉴미디어 유튜브나 틱톡을 보면 우리나라는 유명한 사람 몇몇이 있다면 일본은 엄청은 아니여도 이름은 들어봤을법한 축구 틱톡거 축구 해석가 같은 사람이 두루두루 있더라고요 여기서 부터 축구와 연관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user-ol5qt8bs9w
@user-ol5qt8bs9w 2 жыл бұрын
기존의 틀딱부터 없애는거 찬성합니다
@fjvds6114
@fjvds6114 2 жыл бұрын
벤치성은 epl299위따리 거품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fq1rb9vk3h
@user-fq1rb9vk3h 2 жыл бұрын
뭔가 맞대결 펼치면 더 많이 이길 느낌이긴 한대, 두나라가 타국과 경기를 치른다고 하면 뭔가 약팀 찍어누르거나 강팀상대로 스코어방어적으로 전체 성적은 일본이 잘할 것 같고, 뭔가 기적적으로 강팀 잡을 것 같은게 우리나라인데 문제는 약팀에게 득점을 못해서 비기거나 일격을 맞아서 질 확률이 높아보여서 타국이 보기엔 일본이 더 강해보인다고 해도 할 말이 없어진거 같네요.
@timothy378
@timothy378 2 жыл бұрын
일본은 경기력이 일정한 편이라 쉽게 지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역대우승팀과 무승부이상 해본적도 없음 한국은 기복이 심한데 로또풀같은 팀이라 잘되는 날은 이태리 독일도 잡는 팀이고 일본은 의외로 역대우승팀과 무승부도 해본적 없음 맨날 1점차로 지니까 한국보다 강팀에 강한것 같은데 독일 이태리 스페인 프랑스 역대우승팀과 무승부 이상 해본건 아시아에서 한국이 유일함 국민성의 차이라고 할까
@user-fq1rb9vk3h
@user-fq1rb9vk3h 2 жыл бұрын
@@Qwerty-mx1iq 근데 일본도 그나마 피지컬적인 부분에서 나아지긴 했는데, 역시 아직도 최전방, 최종수비 뭔가 큰책임을 지는 자리에선 실력이 떨어지고 약간 회피? 하려는게 아직도 있어서 좀 이길만한 여지가 있긴 한듯. 나카타,엔도세대부터 지금 미나미노,쿠보,카마다 등까지 대부분 공미부터 수미까지는 문제없이 잘하는데 다른부분에서 중요할때는 무너지는 느낌이라 최근 튀니지전도 그랬고요.
@eel4196
@eel4196 2 жыл бұрын
​@@timothy378그게 아니라 일본은 운좋게 이번 월컵 이전까지 역대 우승한 유럽팀하고 본선에서 만난적 자체가 없었어ㅋㅋ 근데 무슨 무승부 이상한적도 없다 논리가 나와ㅋㅋㅋ 당연히 그냥 a매치경기에서는 일본도 역대 우승팀(아르헨, 우루과이, 프랑스) 잡아봤고ㅋ 사실이 이런데 국민성 차이 같은소리하고 앉아있네ㅋㅋㅋ 또 본선 이외 a매치경기는 의미없다 ㅇㅈㄹ하겠지ㅋㅋ 월드컵 준비하는 과정에 a매치도 있는거 아니냐?ㅋㅋㅋ
@user-jl8lv2sq3o
@user-jl8lv2sq3o 2 жыл бұрын
​@@user-fq1rb9vk3h 그건 후진국 머한민국 인데? 풀주전으로 UAE 한테 실신당하고 나라 망신 일주일동안 놀다온 브라질 3군한테 5대0으로 발리고 나라망신 갓본이 4대1로 이긴 파라과이랑 간신히 비김 후진국 머한민국 3전전패 22실점 0득점 꼴찌로 광탈 150위 밑으로 내려가야 정상 확정
@user-xu9br3pb2e
@user-xu9br3pb2e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수비 패스미스와 키퍼문제해결하면 실력이 일본보다 났죠
@user-xb5rx1pm4g
@user-xb5rx1pm4g 2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영상입니다.
@user-ni6ut1il5m
@user-ni6ut1il5m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꿀잼쓰
@user-kl8ln1ce8z
@user-kl8ln1ce8z 2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고퀄리티 토크쇼 좋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kdhsurbskzbfkek
@Ukdhsurbskzbfkek 2 жыл бұрын
2002년 월드컵때 진짜 너도나도 할 것 없이, 정부, 축협, 케이리그, 재벌기업들 다 전폭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에 히딩크 모셔오고 4강 갈 수 있었고, 그 덕분에 박지성 포함 월드컵 전설들이 나왔고, 그 것들을 다 보고 꿈을 키우며 자란 손흥민과 지금의 세대가 나온거임. 지금?? 손흥민 외 몇명 말고 뭐 없자나? 카타르 월드컵 이번에 성적 안좋으면, 일본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것이라고 봄 왜냐면 이제 축구는 인기가 없어질 것이니까.... 돈이 안되며 욕받이 스포츠가 될 것이고, 아무도 지원하려 하지 않을 것이고 케이리그는 바닥을 칠 것 이고... 뭐 암흑기가 시작되는 거겠지... 월드컵 영웅들...그래 너무 감사한대.. 그 정도로 20년동안 4강 뽕 맞고 사셨으면, 쓴소리도 좀 하시고 깜냥도 안되는데 감독같은거 하지마시고 진짜 좋은 인프라 구축과 유소년 육성에 힘써주셨으면 합니다. 손웅정 씨 보고 느끼는 거 없음??? 차범근선생님께서는 분데스리가 코치직 관두고 귀국해서 유소년 육성을 시작하셨습니다. 그게 차붐, 해뢰버지 입니다. 박지성 선수, 선진축구 도입을 위해서 행정을 공부하고 행하고 계십니다. 이 우유부단한 나라에, 선진축구와 리그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게 해버지입니다. 모여서 라조기 뜯으면서 예능나와서 했던 얘기 또 하고 또하고 2002년 썰들 좀 그만 푸시고... 언론이나 뭐 협회도 어디서 자꾸 히딩크 모셔와서 추억팔이 그만하고 제발 현실을 인지하면 좋겠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는 4강갈 나라가 아니며!!! 월드컵 가서 1승하면 땡큐인 나라임. 그게 우리 수준임. 그게 현실임. 이걸 뛰어넘을 생각을 좀 하셈.
@user-us8pe3kt8x
@user-us8pe3kt8x Жыл бұрын
지난 월드컵에서 독일한테도 개발렸어야했음 a매치만 보는 놈들 아직도 그걸로 자위함ㅋㅋ
@user-ct1df2me1n
@user-ct1df2me1n 2 жыл бұрын
원래처럼 금요일 늦은밤에 올려서 일주일 정리하는듯한 느낌으로 자기전에 보는게 좋았었는데 ㅠㅠ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picaa85
@picaa85 2 жыл бұрын
뒷담화 시리즈재밌네
@tellyang1862
@tellyang1862 2 жыл бұрын
손흥민이 성공한 이유는~~ 축협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었기 때문이다
@morgeth3566
@morgeth3566 2 жыл бұрын
그냥 뭐 유럽 선수죠 어디 독일이나 잉글랜드로 귀화했다 해도 이상하지 않죠
@user-mv3yp5sq1p
@user-mv3yp5sq1p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컨텐츠 최고입니다. 솔직히 박지성 선수 때부터 축구 봐오면서 해외리그에 만 관심 갖고 박지성 선수 은퇴하고 안 보다가 손흥민선수 뜨니깐 그때부터 다시 축구 챙겨 봤습니다. 그러면서 어디가서 축구 좋아한다고 했습니다. 근데 우리나라의 축구가 일본 보다 먼저 시작했다는걸 오늘 알았습니다. 제 자신이 너무 부끄럽네요. 반성하는 시간을 갖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짜 이스타 짱👍👍
@fjvds6114
@fjvds6114 2 жыл бұрын
벤치성 경기 나오지도 못했는데 뭔 축구를 봄?
@eunjungkim4038
@eunjungkim4038 2 жыл бұрын
축구뒷담화 영상 보며 맥주 한잔하는 게 낙이네요
@user-cz5ky1vg4f
@user-cz5ky1vg4f 2 жыл бұрын
와 수준높은 대화다~~ 좋아요 ㅎㅎ
@wonykim8156
@wonykim8156 2 жыл бұрын
한일감정이 세대가 지날수록 점점 옅어지고 있는것도 사실이고 거기서 나오던 정신력이 줄어드니까 인프라,방향성,투자,등록선수수까지 모든 수치에서 지는만큼 패배하기 시작하는듯..
@latteismaria8104
@latteismaria8104 2 жыл бұрын
@성이름 맥락상 한일전하면 예전같은 경우엔 지고 돌아가면 돌맞는다. 일본한테는 질 수 없다. 등의 감정으로 버프를 받아서 결과를 가져왔다면 현재는 한일감정이 예전만큼 심하게 적대적이지는 않아서 이전과 같은 버프가 어렵다는 얘기로 파악이 됩니다. ㅎㅎ,,,,
@Niri_0
@Niri_0 2 жыл бұрын
토미야스 아구창 박살내는거나 개태클 갈기는거 보면 일본 싫어하는 정신력같은건 있는데 그냥 실력자체가 많이 벌어진겁니다. 실력뒤에 정신력이 나오는거지 실력차가 월등하게 나면 발악밖에 안되는거죠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Yura.
@Yura. 2 жыл бұрын
일본사는데요 . . 주말만 되도 운동하러 가는 애들이 너무너무너무너무 많아요 생활스포츠는 정말 어마어마하게 갭이 큰게 사실이에요 스포츠를 성적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삶의 재미의 한부분으로 모두 즐길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정말 좋겠습니다
@KimhwSoccerStory
@KimhwSoccerStory 2 жыл бұрын
깊은 공감하고 갑니다
@biber0187
@biber0187 2 жыл бұрын
엘리트 위주의 저비용 고효율 방식으론 이제 힘들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저번 한의원님 영상에서 한국과 일본의 인재 풀의 사이즈 차이에서 이런 방식으론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user-wx9uc2gj8l
@user-wx9uc2gj8l 2 жыл бұрын
대팍은 경기 몰입이 잘되서 좋음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Onetribeyo
@Onetribeyo 2 жыл бұрын
정몽규: 어쩔 이용수, 황보관 리턴~~~~ ㅋㅋㅋㅋㅋㅋ 이게 현실인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gq8gd9pr8v
@user-gq8gd9pr8v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컨테츠 너무 재미있다
@user-qc9wp1ik5n
@user-qc9wp1ik5n 2 жыл бұрын
류청기자님 멋진말씀 굿~
@donghwan90
@donghwan90 2 жыл бұрын
20:00 하... 편집했지만 축구협회 최근에 임명된 간부들... 번개맨 공감합니다...
@jimmychoi7286
@jimmychoi7286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유행에 민감한 민족이지만 각 모든 분야별 예체능에는 천재는 당연하게 등장 한다는 마인드가 문제. 이제는 또 다른 차박손 천재에 의존 하기 보단 각 포지션에 아시아 정상급 선수들이 마구마구 나왔으면 합니다.
@user-ol5qt8bs9w
@user-ol5qt8bs9w 2 жыл бұрын
진짜 한국은 이게 문제임 누가 등장해서 해결해주겠지 하는 안일함이 제일 문제
@42vmont9
@42vmont9 2 жыл бұрын
이 말이 너무 공감 되는게 김연아 이후로 피겨 반짝, WBC 이후로 야구 반짝, 손흥민이랑 독일전 이후로 축구 반짝, 올림픽이랑 김연경 이후로 배구 반짝. 언제까지 이런식으로 계속 국제대회 성적이나 슈퍼스타 1-2명에 의존하면서 겉 햟기 식으로 인기몰이 할건지... 축구든 뭐든지 슈퍼스타가 아니여도 되니까 뿌리부터 꾸준하고 천천히 선수들이 육성 됐으면 좋겠네요
@peaceplant5193
@peaceplant5193 Жыл бұрын
유소년 축구에서 골을 많이 넣어야 이기는 시스템보다는 드리블 돌파, 전진패스 횟수를 골 수와 합산해서 승리팀을 정하게 되면 코치들이 알아서 개인기를 중요시하면서 교육하게 된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atlqq
@atlqq 2 жыл бұрын
우린 소비 할테니 알아서 잘하도록!
@user-tf4gz6tx1q
@user-tf4gz6tx1q 2 жыл бұрын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결과주의 문화가 가장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차범근, 박지성, 손흥민등 한명씩 잘하는 선수들은 나오나 그 잘하는 선수들의 양적인 부분은 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확립등이 필요한데 이런부분들은 가시적인 성과가 즉시 나타나지 않는 과정적 측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과정들이 경시됐기에 지금의 상황이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user-pd6sd5tz9s
@user-pd6sd5tz9s 2 жыл бұрын
몇몇 싸줄 고인물들이 뭐라하는거 듣지도 마세요. 진짜 너무 유익하고 좋은 방송입니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nknown-named.that-guy
@unknown-named.that-guy 2 жыл бұрын
19:00 박종윤 발언 5자 정리 "물타기나라"
@Surlow00
@Surlow00 2 жыл бұрын
시작부터 찬우형님 먹방하는거 개웃기넼ㅋㅋㅋ
@broy4174
@broy4174 2 жыл бұрын
26:05 에서 잃을게 없다고 하셨는데, 주류에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습니다. 말로는 "대한민국 축구를 위해서" 라고 하지만 한국축구에 주류인 대부분의 축구선수 출신이나 과거부터 축구계 중심에 있던 사람들은 그들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살아가고 있습니다. 오히려 말씀하신 뉴미디어에서 이제야 살길을 찾은 비축구인들이 조금이라도 더 전체적인 축구판에 애정을 갖고 업계에서 일해왔다고 생각합니다. 류청님이 말씀하신 잃을 것이 없다는건 결국엔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라, 여기서부터 서로 바라보는 시점이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user-dj5bm5ll4l
@user-dj5bm5ll4l 2 жыл бұрын
녹화 끝나고 황덕연(구)관계자분이 말씀을 많이 했을꺼라는 생각입니다 ㅋㅋㅋ 전? 관계자라서 녹화중에 발언을 안한거같으신데 끝나고 엄청 달렸을꺼같네요
@user-oq6jj7uc3l
@user-oq6jj7uc3l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아프리카 같은 경우 우수한 선수들이 지속적으로 많이 나오는데. 이건 우리나라나 일본 보다 아프리카가 인프라가 좋다고 봐야 할까요?? 유럽이나 남미는 이해하겠는데...아프리카는...흑인 특유의 피지컬 때문일까요??
@user-nk2yf5lh2k
@user-nk2yf5lh2k 2 жыл бұрын
2:54 영주 할부지 오물오물
@user-ny9nz4sx3c
@user-ny9nz4sx3c 2 жыл бұрын
축구 유튜버로 전락해버린 2002년 세대는 이런 영상을 보면 과연 무엇을 느낄까? 아직도 2002월드컵 추억팔이, 선수시절 썰풀이로 돈벌고 먹방찍고 광고넣어달라 애걸복걸하고 아주 웃고 떠드는 사이에 한국축구는 무엇을 잃어가고 있었을까? 대 일본 0:3 3연패.. 극명하게 보여주는 오늘날 한국축구의 업보이자 이제부터 시작될 참혹한 비극의 시작점을 목격중인 한국축구를 사랑하는 자들..
@user-so2dc8zw9l
@user-so2dc8zw9l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선수가 어렸을때 의 퀄리티를 성인까지 유지하는 못하는 건 축협이 잘못한건 마자. 매번 지면 감독만 까지 말고 감독도 학문적으로 배우는 환경이 만들어야 한다. 왜 감독은 해외로 못 나가지 ? 생각해봐야 한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GoDoBiManYaOngI
@GoDoBiManYaOngI 2 жыл бұрын
큰 형님들 진지한 얘기 하시니깐 덕연이형 확조용해지네ㅋㅋㅋㅋㅋ
@user-py5br7ml2j
@user-py5br7ml2j 2 жыл бұрын
류청님 다시 봤습니다.. ㄷㄷㄷ
@blacksheep_farm
@blacksheep_farm Жыл бұрын
비단 축구 뿐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문화 전반에 걸쳐서 모두 대입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user-qj5yb6wc4q
@user-qj5yb6wc4q 2 жыл бұрын
인위적으로 할수는 없겠지만 팬층도 어떻게 할지 생각해야 할때 같아요. 삐둘러진 수원 팬같은 훌리건까지 가면 안되지만 열정으로 가득찬 팬들을 유입시킬지 가족단위로 팬을 유입시킬지 마케팅도 통일해야 한다고 봄. 지금은 가족단위로 가기엔 욕설이 난무해서 혼자갈지 가족단위로 갈지 고민됨.
@Seo_dohwa
@Seo_dohwa 2 жыл бұрын
무엇보다 축구뒷담화를 볼때마다 분위기가 편안해 보임. 나도 저 사이에서 회포를 풀고 싶게함.
@HS-zu3tu
@HS-zu3tu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회뜨는게 아닌 회포를 푸는겁니다
@woowind22
@woowind22 2 жыл бұрын
10년전에도 이런얘기 했지만 우리는 같은 얘기를 언제까지 반복할까 가슴이 웅답답해진다...
@chanyoung77
@chanyoung77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 자체가 잘못 만들어져서 고치기 힘든 듯 싶음.. 케이팝이나 영화 분야는 어쨌든 차근차근 발전하면서 시스템을 만들어와서 지금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거지만... 축구는 관제로 프로축구가 시작되고 성과 지상주의에 맞춰서 엘리트 학원스포츠에 안주하다 보니깐.. 시스템을 제대로 구축하면서 발전하지 못했음. 그에 비해서 일본은 한국 축구를 이기기 위해서 전체적으로 큰 그림을 그리면서 제이리그를 출범하면서 하나하나 발전시켰기에 제대로 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음...
@shawn3292
@shawn3292 2 жыл бұрын
청이형 오늘 칼 갈았네... 맞는말만 한다
@user-yr8np7xq7m
@user-yr8np7xq7m 2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음식 먹을때 위 보면 배부르더라도 먹고싶은 디저트 보면 위가 공간을 만든다고 하니까 밥 배 따로 디저트 배 따로 있다는게 맞는 말이기는하죠
@v.a.v730
@v.a.v730 2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한국은 조차박손 이라는 레전드들이 있었지만 이후에는 정말 이런 선수들이 안나올수 있음. 유소년 시스템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함.
@Today_not
@Today_not 2 жыл бұрын
벤투는 2018년 오자마자 보여줬습니다. 후방빌드업, 하프스페이스 공략, 풀백의 과감한 전진시도가 기본골자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대표팀도 마찬가지이고, 프로팀에서 제대로 하는 팀 못 봤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위의 것을 감독이나 선수가 구현하지 못 한다는건 현시대에서 기본의 축구가 안 된다고 봐야합니다. 언제까지 뻥축구만 할겁니까
@melina_0222
@melina_0222 2 жыл бұрын
동의합니다
@FantasyCatta
@FantasyCatta 2 жыл бұрын
냄비근성이 모든문제의 원인임. 이거부터 뜯어고쳐야지 냄비근성때문에 플랜을 길게 가져가질 못하니깐 다들 승률만 추구하게되고 현우리나라 실력으론 빌드업축구가 불가능하다 결론내리고 압박 뻥축구만 하는거지 솔직히 일본도 02이후 유소년부터 빌드업축구 도입할때 지금 우리나라 같았음. 성적도 못내고 위협적이지도 않았고 그게 10년대중반 되서 나타나기 시작한거지 제발 좀 길게봤음 좋겠음 솔직히 우리가 일본이랑 같은시기에 일본따라할려고 노력이라도 했음 인재능력치만 보면 우리가 더 잘했을거임. 02 4강뽕에 취해서 역대급 감독 선수 프로일정을 도외시한 비정상적인 준비로 얻어낸게 본인들 실력이라고 착각했고 국민들이 냄비뜸오지게 들어차게 만든게 이지경까지온거지
@user-jl8lv2sq3o
@user-jl8lv2sq3o Жыл бұрын
​@@FantasyCatta 갓본 21세한테 3대0으로 실신당하고 나라 망신 이라 국뽕 대깨문 멘붕 왔노 부들부들 씩씩거리면서 눈물 흘리노 발작하노 애처롭노 150위 밑으로 내려가야 정상 확정 3전전패 22실점 0득점 꼴찌로 광탈
@user-no8kw9hr3r
@user-no8kw9hr3r Жыл бұрын
팬들부터 그 축구 하지말라고 냄비근성 지리는데 제대로 될수있을까부터 의문이다
@user-tt2jo2jd1y
@user-tt2jo2jd1y Жыл бұрын
어제 덴소컵 한일 대학축구 올스타 5대0으로 개박살이 났습니다 이번덴소컵 2점 이상차로 패배한적이 처음입니다 그리고 통틀어 모든연령이 다 패했습니다 u16 u20 u23 a대표팀까지 그리고 더충격적인건 u18대표팀이랑 대학축구선발팀이랑 평가전을 했는데 1:0으로 패배한건 정말 말이안된다고생각합니다 물론 평가전이고 원정이였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한국 선수들은 연령별대표팀 u20에도 뽑힌선수가 있었는데도 04 05를 주축으로한 일본한테 1:0수모를 겪는건 지금 격차가 이렇게까지 난다는걸 인지하고 모든 시스템을 뒤바꿀때가 된거같습니다 k리그와 대한민국 축구를 좋아하는 팬으로써 지금 뭐라도 시도조차 안한다면 대한민국 축구는 앞으로 월드컵은 물론이며 아시아 대회에서도 성적은 못낼거같아요….
@user-rw6fn8ji7l
@user-rw6fn8ji7l 2 жыл бұрын
내일 입대전 이것만 본다..!
@jonggilbaek7669
@jonggilbaek7669 2 жыл бұрын
10년 전부터 지금 대화하신 내용들이 이미 여러 커뮤니티에서 생각있으시던 분들로부터 나왔던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런 대화를 나누는 컨텐츠도 좋긴 좋지만, 말씀 하셨던 내용 중에 있던 것처럼, 이렇게 영향력이 이미 있으신 분이 행동으로 보여주는 컨텐츠를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모구단과 유소년관련 컨텐츠, 마케팅 관련 컨텐츠. 좀 더 실행력이 따라가는 그런 컨텐츠가 말보다는 더 필요시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컨텐츠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응원합니다 👍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jonggilbaek7669
@jonggilbaek7669 2 жыл бұрын
@@user-or8is4zw5q 말씀해주신 계획들은 모두 좋은 계획이나, 축구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아니라면 구체적으로 이뤄지기 어려운 부분이 대부분인 것 같아요. 축구때문에 정치인들이나 기업인들이 나서서 저렇게까지 할 것같지는 않고요. 제가 말하고 싶은 취지는 이 채널의 영향력과 좋은 분들의 힘을 빌려, 좀더 현실 가능한 컨텐츠로 이어진다면 토론에서 말씀하셨던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 같다는 겁니다. 트랜드가 자주 바뀌어서 그것을 따라가는게 어렵다라는 말보다는, 지금의 트랜드와 어떻게 축구와 결합해 볼 수 있으며, 그거를 구단들과 협업을 통하여 재밋는 컨텐츠로 이어지는 방법들이 이 채널의 좋은 선순환 구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Spike_cowboy
@Spike_cowboy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박지성, 손흥민같은 슈퍼스타에 의존해왔던게 크지 않나 싶다…손흥민이 은퇴한다면 일본과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텐데 그게 너무 두려움
@MESSI_G.O.A.T.
@MESSI_G.O.A.T. 2 жыл бұрын
두려워할거까진 없어요 자연스럽게 현실을 받아들여야할거같아요 우리나라는 막다른 현실에 다다르면 그때야 확 끌어올리는 능력도 또 나름 있어서 그 능력만 믿고 희망을 가져야죠 뭐 ㅜ
@user-ml9sc6vt3d
@user-ml9sc6vt3d 2 жыл бұрын
@성이름 맞긴해
@Niri_0
@Niri_0 2 жыл бұрын
걍 학원 시스템부터 유스 키우는 뿌리자체가 달라서 더 벌어지는거죠. 천재가 나오는건 참 기적인데 결국 단체 스포츠는 수준이 안맞으면 의미없기도 하고 그나마 따라잡으려면 야구처럼 운좋게 황금세대가 다 겹치던지(근데 그때도 정작 올림픽말고 wbc우승은 일본이 했음) 엘리트 체육만 하는 학원 시스템부터 생활체육으로 갈아야 되는데 이건 나라가 망하는것 보다 바뀌기 힘들겁니다.
@makemeglorious0000
@makemeglorious0000 2 жыл бұрын
@@Niri_0 축구판 제대로 알고 말하든가 전세계 축구판 전부 엘리트체육인데 생활축구는 무슨 생활축구야 좀 헛소리 싸지르지마라
@fjvds6114
@fjvds6114 2 жыл бұрын
벤치성은 거품
@user-sk3qj3zj6g
@user-sk3qj3zj6g 2 жыл бұрын
일본축구 이제는 한수 배운다는 자세로 일본출신 지도자들한테도 배우고, 그 시스템을 적용할 생각을 해야합니다. 축구를 진짜 업그레이드 하고 일본축구를 따라잡으려면 국가대표팀 감독도 일본인에게 맡길 수 있다는 마음자세로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한일전도 피하지말고 주기적으로 해야합니다. 스파링을 꾸준히 해야 혹시 우리가 우물안에 갇혀 있는건 아닌지 비교해보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makemeglorious0000
@makemeglorious0000 2 жыл бұрын
니처럼 깨어있는척 비판을 빙자한 헛소리 일삼는 수준낮은 놈들만 없으면 한국축구 발전함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gozila815
@gozila815 2 жыл бұрын
전교 30등쯤 하는 놈이 배울꺼면 전교 10등 안쪽 들어가는 놈을 보고 배워야 발전이 있지 전교27, 28등쯤 하는 놈을 보고 무슨 발전을 함?
@user-sk3qj3zj6g
@user-sk3qj3zj6g 2 жыл бұрын
@@gozila815 전교 200등하던놈이 전교 30등까지 끌어올렸으면 본받아야죠. 멍청아
@dolightyanghoe
@dolightyanghoe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축구 최고 인사이트를 가진 분들이 모여 얘기하는 영상... 이거 ㅈㄴ 귀하다.
@user-cm9on8go9v
@user-cm9on8go9v 2 жыл бұрын
음... 개인적으로 벨기에, 아르헨티나 선수스타일을 좋아합니다(체격고만고만, 볼기술 최상, 호빗들 많음) 유스시스템과 축구철학이 어떤지 궁금하네요 김학범감독도 최근에 아르헨티나 유스시스템 관심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했어요 그래서 김학범감독님 생각을 들어볼수 있는 시간이 있으면 합니다.
@qqsad6332
@qqsad6332 2 жыл бұрын
아르헨은 다 고만고만한 체격에 호빗들 많은 거 인정하는데 벨기에가..?
@heroinchaos
@heroinchaos 2 жыл бұрын
벨기에는 가장 볼이 많이 도는 433을 기본으로 육성
@user-vl5bh9rp1s
@user-vl5bh9rp1s 2 жыл бұрын
벨기에 피지컬 개 ㅈ되지 않음..ㅋㄷㅋㅋㄷㅋㅋㅋㅋ? 쿠르투아 루카쿠 토비 베르통언ㅋㄷㅋㅋㅋ
@ispsysnose5328
@ispsysnose5328 2 жыл бұрын
벨기에 국민평균키도 전세계 상위권이고 지난월드컵 16강도 개압도적인 피지컬로 일본 때려부순건데 무슨말일지
@user-ee4or1qb8z
@user-ee4or1qb8z 2 жыл бұрын
이런 분들이 있어서 아직 한국축구가 있는거 같습니다. 항상 응원합니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jacksontysonjordan429
@jacksontysonjordan429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 축구에 관심있는 사람들 모두가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다.축협회장까지..한국 축구 발전을 위해서
@BooomJooon0109
@BooomJooon0109 2 жыл бұрын
@@user-uc9tl1ek9i 적어도 축구산업 종사자나 축구의 팬이라면 응원하는 팀이 발전해야 기분이 좋지. 실제로 세금이던 축구교실같은 일반인들의 돈이던 자원들이 투입이 안되는 것도 아니고. 물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 축구를 발전시켜야 한다는건 찬반의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대한민국 축구 팬이면 한국 축구 발전을 바라겠지.
@user-uc5cm2nl7f
@user-uc5cm2nl7f 2 жыл бұрын
진짜 병규같네
@BooomJooon0109
@BooomJooon0109 2 жыл бұрын
@@user-uc9tl1ek9i 축구쪽을 쉴드칠 생각은 없는데 대한민국에서 세금을 이따우로 투입하고도 성과가 안나오는건 비단 축구뿐만이 아님. 가성비 젤 구린거는 국방비랑 정치쪽일껄? 교육도 나라에서 의무교육으로 고졸을 하한선으로 만들었는데 생각하는 수준들은 중딩수준인걸 보니 대한민국 교육제도 실패고
@ksbtou6098
@ksbtou6098 Жыл бұрын
과거의 영광이 과거의 집착으로 바뀌는건 한순간입니다. 일부 2002 세대들이 정신력이 갖춰지면 좋은 결과가 나온다느니같은 철지난 말들만 골라서하는데 그럴거면 차라리 조용히 있는게 도움이 된다는걸 왜 모르는걸까요? 지금 연속적인 0:3 패배는 우리가 예전에 한국한테 잘 안되던 그 일본처럼 되어가고 있다는 전조인데 과거의 영광이면 어떻게든 된다면서 여전히 아무 위기도 못느끼고 있는거 아닐까 싶습니다.
@stevemoon2342
@stevemoon2342 2 жыл бұрын
02:54 ~ 03:34 영주형 북어포? 되새김 퍼포먼스
@user-oq8tz3sg5x
@user-oq8tz3sg5x 2 жыл бұрын
씹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k.y.h4048
@k.y.h4048 2 жыл бұрын
축구에서만 따지자면 우리나라 선수들이 유럽 무대로 많이 가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군대가 크다고 봄 만 27세 전까지 병역 이행을 못하면 국내로 돌아와야 함 대표적인 선수가 권창훈 선수임 프라이부르크에서도 군 문제가 해결되면 연장 옵션이 발동될 계획이었으나 도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지 못하면서 결국은 국내로 복귀해서 군복무를 하고 있음 그 다음으로는 아무래도 돈이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로 프리미어리그를 제외한 나머지 리그 중하위권 구단들은 기존 k리그에서 주는 연봉보다 낮게 주는 곳이 많다고 함 그만큼 재정이 좋지 않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선수가 주전으로 뛸 수 있는지 유무와 선수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함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는 유럽 팀으로 이적하면 사실상 실력을 인정받고 뛰어서 상당수 선수들이 준주전급인 선수들이 많음 게다가 그 선수들이 5대리그에서 뛰는 경우가 많음(손흥민, 황의조, 황희찬, 이재성, 이강인, 이동준, 이동경, 정우영 등) 그런 의미에서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의 큰 차이점이라고 생각함 그렇기에 유럽 진출을 조금 더 쉽게 해줘서 많은 선수들이 유럽에 진출해서 주전으로 뛰어준다면 지금보다 더 좋은 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함 반면 일본은 최근에 J리그 중계권료가 대박이 나고 군복무 의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적 시에도 굉장히 헐값에 보내줘야한다는 조항이 있어서 유럽진출이 쉬운 편임 그러면서 카마다 다이치, 쿠보, 요시다, 토미야스 , 엔도 같은 유럽 5대리그에서 준주전급 선수들도 있지만 그외에는 유럽에서도 중위권 리그에서 주전으로 뛰는 선수들이고 심지어 서브로 밀려서 못 뛰는 선수들도 같이 존재함 그런 선수들이 계속해서 일본 대표팀으로 차출이 되니까 경기감각이 떨어져서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 대표적인 예시가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임 혼다 같은 공격수가 없으니까 골도 잘 못 넣고 실수 하나로 인해서 경기를 지는 모습을 초반에 보여줬다가 이토 준야의 하드캐리로 올라갔음 또한 최근에 튀니지 전에서 요시다의 호러 쇼로 3골 먹히고 졌는데다가 심지어 유효 슈팅이 0개 인거 보고 충격 받았음 이런 거 보면 일본이 유럽파 선수들이 많은 것이 그렇게까지 좋지는 않다는 생각이 듦 결국에는 주요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이 많이 없고 심지어 서브로 밀린 선수들도 있기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함 서로 간의 특징이 있지만 이 두 나라는 항상 경쟁을 하면서 성장했고 지금 아시아 축구를 선도하고 있는 나라가 되었음 앞으로도 두 나라 다 더 발전했으면 좋겠음 ㅎㅎㅎㅎㅎ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IIIIlIlIlIIl
@IIIIlIlIlIIl 2 жыл бұрын
나는 신아영이 축협 이사에 앉아 있는게 가장 이해가 안간다... 그냥 지들 친한 애들끼리 동아리 하는 거지..
@Hachinko
@Hachinko Жыл бұрын
방송인맥 + 그리고 무작정 치안은 신경 안쓰고 여경을 늘린것과 같이 보여주기식 여성직원으로 그냥 앉힌거
@COMUSE
@COMUSE 2 жыл бұрын
깊고 진하구만!
@user-zo1cl5wt9h
@user-zo1cl5wt9h 2 жыл бұрын
간단하게 생각하면 우리나라는 학생들에게 스포츠 게임? 오로지 공부만을 강요함. 숨은 보석을 찾아야하는데 숨은 보석이 공부만을 해서 묻히는 경우도 은근 많다고 함. 이게 정답이 아닐수도 있지만 영향은 있다고 생각함
@warriorj9392
@warriorj9392 2 жыл бұрын
축구뒷담화 이건 못 참지
@user-mj9pn2it2m
@user-mj9pn2it2m 2 жыл бұрын
2002 멤버들이 실권을 잡으면 뭔가 틀려질줄 알았는데 과거 선배들이 하던짓 그대로 하고 있는걸 보니 안타깝네요...
@user-lv7vk4pm6z
@user-lv7vk4pm6z Жыл бұрын
인간이기때문에 어쩔수없음. 당시에는 기득권들을 내보내고 새판을 짜는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그들도 기득권이되고 그 자리를 지키고싶은건 인간의 본성임. 새로운혁신이 계속되려면 그자리를 기간제로 바꾸는 시스템이 구축이 되어야함
@pluto00329
@pluto00329 Жыл бұрын
청이형 처음으로 존나 멋있다고 생각햇습니다 개멋져
@user-hm5fn3wy9q
@user-hm5fn3wy9q Жыл бұрын
이번 월드컵 본선에서 결과가 중요한 전환점이 될것입니다!!!!
@user-he4wr5rm9h
@user-he4wr5rm9h Жыл бұрын
6/8일 U16한국 U16일본 0:3 패배. 6/12일 U23한국 U21일본 0:3 패배. 6/22일 한국대학팀이 일본고등부한테 0:1로 패배. 6/25일 한국대학팀이 일본대학팀한테 0:5패배 6월에만 4전 4패 0득점 12실점
@KkK-tz6rq
@KkK-tz6rq 2 жыл бұрын
U23은 감독역량 차이가 너무 커서 뿌리까지 욕먹는기분이네 우리나란 시스템적 문제는 있어도 매번 변화에 잘 대응한다는 장점은 또 있다 생각함
@TsK-iy9pu
@TsK-iy9pu 2 жыл бұрын
우선 어린나이부터 수상이나 성적위주보단 천천히 잠재력을 길러줬으면 좋겠네요
@user-uz5uz7eh6z
@user-uz5uz7eh6z 2 жыл бұрын
2002 월드컵 결과 자체가 단타로 한것 치고 기적 같은 일이었는데 계기로 그만큼 눈높이는 올라간 상태로 이전 처럼 학연 지연이 연결되는 형태에서 박지성 손흥민은 기대할수 없지 이만큼 하는것도 기적이다.
@lollipop4376
@lollipop4376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국가대항전 말곤 스포츠에 관심이없음 시간도 없는게 가장크긴하지 14:10 영주형이 이야기 한거랑 똑같죠 어느 스포츠나 초 중 고 학생들중 특출나게 잘하는 선수만 이뻐하고 보호하죠 그외 선수들은 그저 스트레스 받으면 폭언 폭력 등 그런선수들에게 스트레스 풀듯이 행하죠 물론 이 이야기는 10년 전에 이야기고 지금은 모르겠지만 무식하게 운동만 의미없는 체력빼기 훈련은 더이상 없어야지
@qqsad6332
@qqsad6332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똑같음 우리나라 수많은 종특 중에 하나죠 특출난 천재만 감싸고 도는 거 이건 스포츠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적용된다는게 문제죠
@liverpullynwa4578
@liverpullynwa4578 2 жыл бұрын
우리는 이제 일본보다 뒤쳐진다는거를 인정해야한다. 리그규모, 인프라, 선수들 연봉 등 모든것이 차이나며, 이제 자본으로 움직이는 현세대에서 이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밑바닥부터 투자해야한다. 그리고 팬들도 인정해야한다
@user-or8is4zw5q
@user-or8is4zw5q 2 жыл бұрын
한국축구 스포츠가 일본축구를 따라갈려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합니다 일본보다 인프라도 딸려 기업 나라에서 투자해주는 환경도 딸려 국민들이 K리그와 한국축구에 가져주는관심도 딸려 거기에 가장 심각한건 군대문제까지있습니다 이게 얼마나 심각하냐면 유럽리그 팀들도 이문제를 알기때문에 한국선수를 영입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한국선수들또한 안그래도 짦은 운동선수에서 군대문제까지 달려있기때문에 도전보다는 돈을 바라보고 팀을 찾을 수 밖에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한국부모들은 이런 환경에서 예체능을 시킬려고 하지않습니다 이런데도 한국국민들은 일본한테 질때만 왜 지냐고 뭐라하지 이런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도안하고 어쩔수없다고 넘겨버립니다 그리고 한국보고 엘리트 체육 하지말랍니다 이런 헛소리가 어딨나요 애초에 엘리트 체육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버틴거지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뒷전이면서 이런여론이 나오는게 이해가안갑니다 이게 화가납니다 한국은 축구는 물론 인프라나 이런 환경에 비해서는 어떤분야던 인재가 잘 나오는 나라입니다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충분히 성장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강해지길 원한다면 이런 한두경기로 감독문제만 따지기전에 이런근본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저출산고령화 해결과 징병제 폐지는 지금 당장 이루어져야합니다 이게 안되면 근본적으로 강해질 수 없습니다 정말 한국축구가 근본적으로 성장하고 잘해질려면 어떻게해야할까요 1. 저출산고령화 해결 지역경제 지방경제 내수경제 활성화 다양한지역에서 많은 유소년들이 성장 할 수 있도록 해야함 2. 대한민국 군대 징병제 폐지 모병제 직업군인제로 전환 (유럽진출의 가장 큰 걸림돌) 3. 국가와 축협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로 유소년 인프로확보 환경개선 유스시스템 4. 일상생활에서 좀 더 자연스럽게 축구를 접할 수 있게해야함(학교동아리활동,풋살장,축구시설) 5. 선수로서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다양한길로 도전 할 수 있도록 관련직업군 강화 6. 재능있는 인재들은 한국으로 적극적으로 귀화추진 7. K리그 살리기 (기업 정치인 축구관계자 방송국 언론 여론 모두 도와줘야함) 8. 유럽 남미의 좋은 코치 프로그램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해보고 잘 맞는건 도입 우리는 일본 중국보다 인프라 환경이 한참 부족한데도 비교적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인재들이 나옵니다 제대로 인프라 환경이 갖춰지고 군대같은 문제만 없다면 더 많은 인재들이 나올 수 있는나라가 한국입니다 대책없이 뭐라만할게아니라 어떻게하면 나아질 수 있는지 잘해질 수 있는지를 계속 생각하고 실천해야합니다 진짜 창피한건 나아갈 방법이 있는데도 서로 눈치만 살피느라 척척하는 국민들과 축구관계자들 언론 정치인 전부입니다 결국 다들 마인드는 멈춰있습니다 더 잘해질 수 있다면 제발 이것저것 따지지말고 물불가리지말고 도전 할 수 있어야합니다 제발 축구국가대표팀 경기할때만으로 멈추지말고 정말 변화 할 수 있도록 계속 이어가야합니다
@Hachinko
@Hachinko Жыл бұрын
아니 일본이랑 라이벌 의식을 버리고 보면 애초에 한국이랑 일본은 겅제력규모나 인프라도 많이 차이나는데 그런 비교대상이랑 비교를 하는지 모르겠음. 역사때문에 그런거임? 인구수 경제력 다 넘사인 일본이랑 비교하면 당연히 한국이 밀리지 비교대상이 잘못됨.
@Hachinko
@Hachinko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경제력 세계3위인 나라인데 당연히 리그 돈도 많겠지 그런애들이랑 비교하면 한국이 밀리는게 당연하지 역사때문인지 뭐 때문인지 일본에게 집착하는지 모르겠지만 솔직히 많은걸 보고 깨달으면 일본애들이 한국은 스포츠에서 라이벌이라 해주는것도 고마움. 그만큼 한일 격차가 아직도 큰데 비교를 하는게 웃기다 이얘기.
@user-dv9wy1dz2p
@user-dv9wy1dz2p 2 жыл бұрын
찬우형 스타일 개좋네
@user-zd7gi3xe8r
@user-zd7gi3xe8r 2 жыл бұрын
녹화 종료하고 3시간 대화한게 더 궁금하다 이번편도 민감할수있는거 잘라내느라 러닝타임이 20분대 나온거 같은데 ㅋㅋ
@dissilent6998
@dissilent6998 2 жыл бұрын
절망적인건 류청기자님이 히든풋볼에서 '여러분' 했을때와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는것이다 그때도 케이리그에 대해서 이야기 했었는데 그대로인거보면 구성원의 개선에대한 의지가 있는지 궁금함
@ttaajjin519
@ttaajjin519 2 жыл бұрын
'이승우 K리그 와도 자리없다' 'K리그 수준이 예전만큼 ㅈ밥이 아니다 이승우 온다해도 성공 못한다' 현실은 4경기 연속 득점 올시즌 8골 나름 자부심 있으신 K리그 팬들이 이승우를 그렇게 깠지만 이승우 덕분에 올해 K리그에 조금이라도 어그로 끌리고 관심 집중받을수 있었음ㅋㅋㅋㅋ 니들이 이승우 오기전에 한 말들을 지금 현재 시점에서 다시 한번 말해봐라 해외에서 벤치따리도 못한 새끼가 K리그 와서는 현재 날라다니고 있는거 안보이냐? K리그 현수준이 딱 이정도 라는 거다
@zenigamekobugi
@zenigamekobugi 2 жыл бұрын
지랄 이승우는 해축팬들이 더깟어
@kkrkisong
@kkrkisong Жыл бұрын
괜히 해외파가 아니지
@user-pg1si3mw8z
@user-pg1si3mw8z 2 жыл бұрын
18:34 쑈췍 ㅋㅋㅋㅋㅋ
@user-hm5fn3wy9q
@user-hm5fn3wy9q Жыл бұрын
2002년월드컵 결과가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듯이 말이죠!!!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Precise kick challenge 😲🦶
0:52
GoalAntics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Ramos VS Lehmann VS Messi VS Dzeko VS Ronaldo Cold Challenge🥶
0:26
Football King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Ronaldo & Messi: Easy and Insane Mode Freekicks 🤯
0:20
DeBall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
It’s just a joke😂
0:10
ARGEN
Рет қаралды 83 М.
#football #messivsronaldo #messi
0:24
@Sal futebol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When Player Surprised his Future Club🫢
0:33
GoalFait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