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반만 떼주라

  Рет қаралды 945,120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 #살라 #월드컵
. 영상은 매주 토요일 오전 11시 혹은 토요일 저녁에 게시됩니다.
. 댓글에 관한 규정
- 욕설, 가짜 뉴스 유포 등은 유튜브 정책에 의해 자동 삭제됩니다.
- 과도한 혐오 표현, 타인에 대한 공격은 삭제됩니다.
. 비즈니스 문의 : scopepublic@naver.com
eling Alright - Gavin Luke

Пікірлер: 904
@jaeyoonpark159
@jaeyoonpark159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전 이집트에 4년째 주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여기 살라의 인기는 지금 이집트 대통령보다 훨씬더 높고 이집트 이 나라자체의 국민스포츠가 축구에요. 그래선지 살라가 엄청 유명하네요. 그리고 여기에서 가장 유명한 발라디가 1파운드고요 그리고 이집트가 관광으로 유명하잖아요 그리고 관광업으로 사는나라기도 하고... 근데 이집트를 가장 많이 방문하는 여행객은 제 생각엔 러시아인이거든요. 호텔만 가도 거의다 러시아인이에요. 근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러시아인들이 이집트로 여행을 못와서 이집트가 돈을 전처럼 많이 못벌고 있어요 그리고 코로나때문에 몇년동안 관광으로 돈을 못벌고 최근엔 쌀가격도 오르다 보니까 전엔 1파운드당 79원 했던게 최근에 1파운드당 66원까지 떨어지고 IMF에 돈도 또 다시 빌린거 같네요... 그래서 최근에 나라가 흔들리는건 사실이에요 ㅋㅋㅋㅋㅋ 왠일로 유튜브 제목에 이집트가 적혀서 반가웠네요. ㅎㅎ
@weisscreme
@weisscreme Жыл бұрын
주제가 아니라 주재
@jaeyoonpark159
@jaeyoonpark159 Жыл бұрын
@@weisscreme오 뭐야 진짜 그렇게 적었네요 감사합니다 알려주셔서ㅎ
@mk2j193
@mk2j193 Жыл бұрын
귀한 현지 이야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weisscreme
@weisscreme Жыл бұрын
@@jaeyoonpark159 굳굳 좋습니다!
@Robert__Oppenheimer
@Robert__Oppenheimer Жыл бұрын
러시아는 의외네
@user-kq4vg9ps9i
@user-kq4vg9ps9i 2 жыл бұрын
가난한 나라에서 그나마 교육을 받을 기회도 돈도 없는게 마지막 희망까지 날아간 상황이죠..가난해도 교육을 받을 기회는 누구에게나 쥐어졌던 우리나라는 정말 좋은 나라 라는 생각이 듭니다. 뭐 여러 문제점 들이 있지만 이런 나라에 비하면 천지차이죠..
@chae6river996
@chae6river996 2 жыл бұрын
헬조선 이란 말 유행? 일때 진짜 암것도 모르고들 하는 말이었음
@DC-jt7ye
@DC-jt7ye Жыл бұрын
@@chae6river996 쳐 돌았어^^
@user-mx4cs7wo7b
@user-mx4cs7wo7b 2 жыл бұрын
20년도부터 22년초 까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주에서 유학했던 20대 학생입니다. 지식한입님의 정보는 정말 어디서 가져오셨을까 싶을정도로 정확하고 간략하게 이집트 상황을 잘 풀어주셨네요.. 실제로 저도 주식 빵인 발라디 약 하나당 1EGP (한화 약 70원) 으로 많이 사먹었습니다. 제가 거주하고 있던 때에서 물가가 심각하게 많이 오르고 있었구요, 수입물품들은 뭐 말할 필요도 없이 비쌉니다… 때론 전자제품이 한국보다 비싸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하셔서 조금 제 경험을 나누자면, 이집트는 정말로 무슬림 형제단으로 시작한 독재정권, 근본주의적 종교 정치를 규제해야할만큼 심각합니다. 이슬람이라는 종교가 가진 특성이 이집트를 망하게 합니다. 무슬림 특성상 일부다처제로 먹고 살돈이 없어도 성욕을 풀고 애를 보통5~7명은 그냥 낳구요, 피임도구를 살돈이 없는 가구들은 그냥 애를 낳아서 막 기릅니다. 이집트 가정교육은 최악입니다. 제가 인턴으로 하던일이 주로 애들에게 영어와 음악을 가르치던 일이었는데요, 가르치면서 깨달았습니다 한국 잼민이들은 진짜 착한거구나… 이집트 잼민들은 부모님께 잘못하면, 아무것도 모르는 애기부터 초등학생 나이의 애들이 그냥 길거리에서 폭행을 당합니다. 모든 이집션들이 그걸 그냥 당연하듯이 지나가구요, 그렇게 엇나가면서 성장한 80%의 가난한 아이들이 길거리 성추행과 성차별, 인종차별을 비롯한 온갖 혐오와 차별을 조장합니다. 그리고 그걸 옆에서 보고 자라는 나머지 잘사는 애들이 본인 모국을 혐오하고 돈 많으면 딴 나라가서 살고 정치인이나 권력층이되서 자기들만 먹고 삽니다. 이게 몇백년동안 반복된 이집트의 역사입니다. 하고싶은 말은요, 경제체제나 어떤 정책, 정권의 중요성도 상당합니다만, 제일 중요한것은 어린아이들같은 다음 세대들에게 보장된 교육과 가치관 나눔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슬람의 진짜 문제는, 시야를 가리고 그들만의 세상을 구축하게 한다는 것이죠. 실제도 지금도 이집션들중에 얼마 안되는 기독교인들은 개취급당하며 삽니다. 그들이 단지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요. 저도 아시아 인이니 중국인처럼 생겼다고 코로나 라는 소리를 매일 몇백번씩 길거리에서 듣곤 했습니다. 혐오는 물론 돌도 맞아봤구요.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유소년 교육과 유아교육 같은 아이들을 위한 정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요즘 느낍니다. 이집트에 그래도 정이 있어서 요즘 듣는 소식은 슬프네요.
@user-zr7vb1qx1n
@user-zr7vb1qx1n 2 жыл бұрын
발전을 저해하는 이슬람이 우리나라에서 영향력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데 큰일입니다... 온갖 인권단체들이라 참여연대들은 뭘 알지도 못하면서 무조건 인종차별로 몰아가고 있고... 지금도 국내에 있는 파키스탄인들이 탈레반을 옹호하고 있고, 우리나라에 피신 온 아프간 난민들을 위협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네요
@chapsalsundae
@chapsalsundae 2 жыл бұрын
와! 알렉산드리아 어느쪽에 계셨나요!?
@user-mx4cs7wo7b
@user-mx4cs7wo7b 2 жыл бұрын
@@user-zr7vb1qx1n 사실 속 사정을 잘 알지도 못하고 하는 인권 운동은 거의 언론몰이거나, 개념없는 사람들의 무지성 감정동의가 주로 있죠… 현장에 있는 사람들을 통한 정확한 분쟁 통계 해결법을 논의하고 다뤄야 하는데… 그냥 난민들을 받아버린이상 뭐 어쩔수 없이 일단 관리해야하는데… 이슬람이나 아랍권 문화, 페르시아권 등등에 전문 지식이 없는 전문가들을 투입하면서 그냥 가둬놓기 식으로 사람들을 통제하다보니 결국 그런 사태들이 점점 보이고 있는거죠… 뭐든지 더 정확하고 깊은 통찰과 근본적인 해결법을 제시하는 현장 속 모의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mx4cs7wo7b
@user-mx4cs7wo7b 2 жыл бұрын
@@chapsalsundae Alexandria Gleem 이라고 외국인이 그나마 살수 있는 곳에 거주했었습니다 ㅎㅎ
@sangjunlee754
@sangjunlee754 2 жыл бұрын
같은 학부에 이집트애 있는데 괜찮은애긴 하지만 입만 열면 구라임 ㅋㅋ
@piieta845
@piieta845 2 жыл бұрын
정말 양질의 콘텐츠. 내용에 비해 시간이 짧다고 느낄 만큼 요약과 압축을 너무 잘해. 게다가 발성, 발음은 왜 이렇게 좋아! 거기에 드립도 아주아주 적당하고 고급져! 아주 귀에 쏙쏙 들어와!
@prahalove1488
@prahalove1488 2 жыл бұрын
역시 적당한 분량, 깔끔한 편집, 매끄러운 스토리. 최고입니다~~
@submarine7675
@submarine7675 2 жыл бұрын
어쌔신크리드 오리진하면서 랜드마크보면 기원전 고대 이집트 때에도 나일강 낀 매트로폴리스와 멤피스 빼고는 진짜 다 가뭄에빈곤에 시달리는 을씨년스런 도시들과 깡촌이 많이 있었음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저 자료조사하다 생각나서 오리진 다시 하고 있어요 ㅋㅋㅋㅋ
@user-ik8lk1cm9l
@user-ik8lk1cm9l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저도 오리진 생각하며 영상보는데요!
@did5794
@did5794 2 жыл бұрын
G식의밤 보러가야겠따
@user-ox5pk3lt7l
@user-ox5pk3lt7l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가 이렇게 중요한 나라이고 이런 문제를 안고 있다는 건 처음 알았네요. 앞으로도 세계정세에서 눈여겨볼만한 중소국가들 이야기를 많이 다뤄줬으면 좋겠습니다
@Dawn._
@Dawn._ 2 жыл бұрын
꽉꽉 채운 정보와 나레이션... 한 번 보고 집중해서 한 번 더 보겠습니다 잘 보겠습니다!!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anakim5503
@hanakim5503 2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입 저기 혹시...질문 같은것도 비지니스 메일로 보내면 답변해주실수 있을까요...? 조언을 듣고 싶어서..
@minseon-ah2121
@minseon-ah2121 2 жыл бұрын
한입님 지식은 정보, 필요한 데이타 콘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쉬운해설 귀에 쏙쏙 박히는 딕션, k빠르기..까지 흥미롭고 재밌어요 오늘도 맛있는 한 입 잘 먹겠습니다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늘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재밌는 영상 만들겠습니다!
@nowwwoo
@nowwwoo 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k ㅋㅋㅋㅋ
@mightybeans3
@mightybeans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k빠르기는 또 뭐임
@kwj21st
@kwj21st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 역사, 정치 역학 관계.. 깔끔한 자료 ,,정말 감사합니다.
@suhyeonlee1008
@suhyeonlee1008 2 жыл бұрын
와.. 앵간한 강의보다 훨씬 도움되네.. 항상 양질의 자료 감사합니다.
@J15102
@J15102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짧은 시간에 이집트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게 되어 너무 감사합니다 ^^
@music.and.bluesky
@music.and.bluesky 2 жыл бұрын
너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게 딱! 그만큼 재밌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이런 채널은 정말 구독을 안누를 수가 없다는...
@mosengmo
@mosengmo 2 жыл бұрын
정말감사합니다 해외에서도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덕분에 어디서 아는척이 가능해요 정말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jeong4174
@jeong4174 2 жыл бұрын
늘 도움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89naminsu
@89naminsu Жыл бұрын
정보전달 배우고 싶네요 매번 알차게 보고 있어요 감사해요!!
@Puppytobee
@Puppytobee 2 жыл бұрын
베이비 붐, 군부독재, 식량난…. 우리나라도 비숫한 시기를 거쳐왔죠.
@user-xm6qh6en8e
@user-xm6qh6en8e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우리나라 군부는 경제라도 살렸지만... 이집트는..
@is-7m1a2d8
@is-7m1a2d8 2 жыл бұрын
@@user-xm6qh6en8e 여러 해외 기업으로부터 투자 유치하면 경제 살리는 거 아님? 식량은 남지만 에너지(석유, 가스)가 없는 유럽이랑 이혜관계 잘 맞아들어 보이던데 지금이야 식량 배급으로 인해 적자지만 차후에 매꾸지 않을까요?
@user-ek1xr8eb5u
@user-ek1xr8eb5u 2 жыл бұрын
@@user-xm6qh6en8e 영상에서 보듯 군부가 이슬람 극단화를 막고 있음..
@david-ji8tw
@david-ji8tw 2 жыл бұрын
@@user-xm6qh6en8e 적당할때 죽였으니 잘된거지 끝까지 독재 했으면 나락갔을수도 있음. 10만명인가 이렇게 죽이고 정권 유지할라고 했던거 같은데 그러면 반군 일어나고 동남아나 아프리카 처럼 독재 타도랑, 독재 지지랑 싸우면 경제고 나발이고 나락감. 독재자는 적당할때 뒤져줘야 국익에 좋음. 독재자는 죽이지 않으면 절대 지가 안물러남 욕심땜에. 그래서 늙어서 5x5도 계산 못해도 독재하려고 할테니까 적당할때 죽어줘야 함.
@user-fp9iv5rs3b
@user-fp9iv5rs3b 2 жыл бұрын
원래 군부독재 들어서면 경제말아먹던데 우리나라 군부독재는 경제 잘살려서 신기함
@sider23
@sider23 2 жыл бұрын
6월 중에 백만명 기원합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il3uk6im6i
@user-il3uk6im6i 2 жыл бұрын
오늘처음 봤는데 와....! 쏙 빨려들어갔습니다. 감사합니다
@ke4069
@ke4069 2 жыл бұрын
ㅇㅏ~ 진심 핵심만 설명 너무 잘하심 영상 감솨해요^^
@jinchoi7081
@jinchoi7081 2 жыл бұрын
항상 나라밖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를 압축해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건강하세요!
@user-rz6vz2bh1h
@user-rz6vz2bh1h 2 жыл бұрын
항상 퀄리티 높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자료 찾는 능력이 대단하신거 같아요
@user-fo5eb5bj9l
@user-fo5eb5bj9l 2 жыл бұрын
직원들 있을거 아녀?
@jigukbapdeh2245
@jigukbapdeh2245 Жыл бұрын
@@user-fo5eb5bj9l 직원은 능력 아니냐?
@hwi-ryongjung2697
@hwi-ryongjung2697 2 жыл бұрын
재미있는 콘텐츠 감사합니다^^ 화면 전환 소리가 이어폰 배터리 없을때 나는 소리랑 같아서 깜짝 깜짝 놀라네요 ㅋㅋㅋㅋ
@user-fz3bv6ph4h
@user-fz3bv6ph4h 2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k.modernhistory
@k.modernhistory 2 жыл бұрын
자료정리하시는 노하우 좀 알려주세요 ㅠㅠ 대단하십니다 ~
@user-bj5xe8gd1s
@user-bj5xe8gd1s 2 жыл бұрын
이게 왜 노란딱지였을가요.. 좋은 정보 늘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장수하시고 오래오래 영상 보여쥬세요
@Makisechris
@Makisechris 2 жыл бұрын
중동, 이슬람 이거 두 단어가 노딱 치트키임
@user-jf7xd4ch2x
@user-jf7xd4ch2x 2 жыл бұрын
사상 종교는 노딱 치트키
@user-js7zu8gb2r
@user-js7zu8gb2r 2 жыл бұрын
유튜브 다 노딱이네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노란딱지 받은 영상인 이 영상이 아니고 현재는 노란딱지가 풀린 상황입니다! 헌데 시기적으로 안 맞는 부분이 있어서 저장해뒀다가 나중에 다시 올리겠습니다!
@user-sw4gz1dt5w
@user-sw4gz1dt5w 2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입 팩트)힘들게 만든거 꽁짜로 보게하기 싫어서 차라리 폐기처분함.
@user-qg5sf6pj4z
@user-qg5sf6pj4z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중 이집트에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edkjoung5564
@edkjoung5564 2 жыл бұрын
ㄹㅇ 그냥 학교에서 학생들한테 교육자료로 써야 됨.. 시시콜콜한 수업이 아니라 그냥 귀에 쏙쏙 박힘
@user-xd1ru4zx6d
@user-xd1ru4zx6d 2 жыл бұрын
21세기 자본이라는 책에서 인구가 가장 급격하게 늘어난 국가로 이집트라고 했던 내용이 기억이 나네요 (천만에서 팔천만까지...그리고 지금은 일억) 그리고 급격한 인구증가의 후유증으로 이집트의 인구는 우리나라처럼 급격한 감소를 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습니다. 뭐 우리야 이집트의 인구에서 나오는 규모의 경제를 이용해서 이익을 취할수 있다면 땡큐겠죠
@tetrisczar469
@tetrisczar469 2 жыл бұрын
아랍에미리트임. 인구가 10만에서 50년 만에 1000만가까이 늘어남. 물론 이민자빨이긴 합니다.
@dylanalexander4364
@dylanalexander4364 Жыл бұрын
아랍에미리트는 외국에서 노동자가 많이 유입되서 증가한거고 사실상 가장 급격하게 늘어난 나라는 나이지리아 아닌가?
@user-vv7fh8ff8q
@user-vv7fh8ff8q 2 жыл бұрын
평화롭게 행복하게 사는게 당연한게 아니라 좋은 환경을 갖추기위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고 거기서 태어나는 운이 필요하네요 민주주의, 자본주의체제의 나라에서 돈 많이 버는게 안전하고 행복하게 사는 가장 현실적인 길인 것 같아요
@user-qd9by9rl6f
@user-qd9by9rl6f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y2ge9zb5l
@user-iy2ge9zb5l 2 жыл бұрын
저는 지식한입만 당신이 너무나 대단하십니다... 너무 좋아요
@Swer-vy
@Swer-vy 2 жыл бұрын
출산율 감소 문제 라는 여러 정보 영상은 많이 접해봤지만 오히려 출산율이 많아도 문제라니 유니크 하네요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2 жыл бұрын
산업이 제대로 성장 못해서 노동력을 제대로 흡수 못하는 후진국은 인구가 많으면 오히려 골치아프죠 인구 2억2천 파키스탄, 1억 7천 방글라데시 등등
@cookiesandcream9938
@cookiesandcream9938 2 жыл бұрын
많으면 부양비가늘어나서 양질의 인재가 배출되기 힘듬
@nopregnant
@nopregnant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 수천년간 1억 미만이엇다가 2020인가 작년에 1억 찍고 지금도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고 잇음18
@mikamiria6538
@mikamiria6538 2 жыл бұрын
맬서스트랩이 그런 얘기
@1mintraveling567
@1mintraveling567 2 жыл бұрын
진심 퀄리티 감탄 나온다
@20sixteen67
@20sixteen67 2 жыл бұрын
늘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neverever4399
@neverever4399 Жыл бұрын
진짜 똘똘하다는 단어는 지식한입 님을 위한 말같네요 어쩜 모든 영상이 대단하세요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알기 어려운 이집트 소식을 어디서 알려주겠습니까?? 믿고 보는 지식한입님 덕에 많은 걸 배우고 갑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셔요 ♡♡♡
@jheartu7036
@jheartu7036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 뉴스는 위키피디아만 봐도 다 나오는데 사람들리 안찾아봐서 그렇죠 ㅠ
@user-ls4le4xv8f
@user-ls4le4xv8f 2 жыл бұрын
@@jheartu7036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kida7591
@kida7591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에 대해서 잘몰랐는데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밑에분처럼 양질의 영상이네요
@user-yy7hl1pi7m
@user-yy7hl1pi7m 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
@njimkolgutyu
@njimkolgutyu 2 жыл бұрын
이렇게 박학다식한분이랑 여행다니면 진짜 재밌을 것 같아요ㅋㅋㅋ😆 저도 본받겠습니다. 🤟🏻
@user-qr8fk2cx9p
@user-qr8fk2cx9p 2 жыл бұрын
마니 배우고 갑니다^^
@seimon1541
@seimon1541 2 жыл бұрын
여러가지 정보 보니까 잘 풀리기만 하면 크게 성장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나라네.... 유럽들이 지금 눈 돌아간 가스도 그렇고 지리적 위치도 그렇고.. 든든한 국밥 수에즈 운하도 그렇고 내수시장 분기점인 1억의 인구까지.. 근데 이 좋은 재료를 이끌어갈 리더가... 군부에 이슬람 근본주의자..
@SayNoToChauvinism
@SayNoToChauvinism 2 жыл бұрын
“잘 풀리기만” 조건이 생기는 순간 지구상 모든 나라가 다 선진국 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zk4xm3kn3p
@user-zk4xm3kn3p 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jaejinkorea
@jaejinkorea 2 жыл бұрын
영상 너무좋다 훈훈하네
@user-oe7yq9mr1f
@user-oe7yq9mr1f 2 жыл бұрын
한입만님 역시 적정선에서 지식전달을 너무 잘 하시는거 같아요~ 더 궁금하지도 덜 궁금하지도 않고 이집트는 뭐야? 하고 봤다가 또 다 봤네요~ 잘보고 갑니다~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 2 жыл бұрын
나일강에 대해 한 마디 더 하면 강 자체가 별로 크지 않아요 얼마 전 이집트 다녀왔는데 나일강에 대한 환상이 있어 봤는데 별로 크지는 않아요 한강보다는 작고 낙동강 정도 되는 ... 룩소르에서 페리 - 라 쓰고 그냥 통통배라 읽는 - 타고 건너는데 5분이면 됩니다 별로 크지 않고 유량도 많지 않은 강입니다 - 사막 지대를 통과하니 당연히 그러겠지만 그러다보니 민감할 수 밖에 없지요....
@user-he3wk6vx9n
@user-he3wk6vx9n 2 жыл бұрын
강은 크지않지만 전 세계에서 가장 길죠 에티오피아나 케냐 쪽 같이 나일강 상류 쪽에 댐 건설할까봐 이집트도 조마조마합니다
@tracygrace6866
@tracygrace6866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강이 많아서 정말 감사하네요
@seimon1541
@seimon1541 2 жыл бұрын
@@tracygrace6866 강이 많은것도 많은건데 발원지가 위쪽이 아닌게.. 참 강 관련된 영상 볼때마다 다행이다고 생각이 드네요
@tridish7383
@tridish7383 2 жыл бұрын
@@tracygrace6866 우리는 강도 많지만 우림기후라서 빗물만 잘 모아도 먹고살만 하죠.
@min_ju0210
@min_ju0210 2 жыл бұрын
@@user-he3wk6vx9n 아마존이 가장 길지않나요?
@user-qs2ym8ml6v
@user-qs2ym8ml6v 2 жыл бұрын
👍어쩜이렇게알기쉽게풀어서설명해주는지
@user-jl9ff2cg1x
@user-jl9ff2cg1x 2 жыл бұрын
국가 시리즈 아주 좋아요
@swl2821
@swl2821 2 жыл бұрын
진짜 유튜브 최고의 지식채널이다...
@q_u194
@q_u194 2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입님! 정보 조사 과정에 대해 나중에라도 공유하실 생각은 없으세요??? 매번 어디서 이렇게 양질의 정보를 가져오시고 어떤 과정으로 정리하는지 너무 너무 궁금해요~!
@user-ib8gq2bi6m
@user-ib8gq2bi6m 2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진짜 지리긴해
@rlwnsqkr99
@rlwnsqkr99 2 жыл бұрын
05:13 내상후 스트레스 장애 ㅋㅋㅋㅋㅋ 와 이런걸 생각해내시다니... 고오급 유머에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user-lp7wo2xi9u
@user-lp7wo2xi9u 2 жыл бұрын
적당히는 언제나 어려운것같습니다
@edkjoung5564
@edkjoung5564 2 жыл бұрын
진짜 스토리 전개 기승전결 너무 완벽함...
@akida416
@akida416 2 жыл бұрын
오아 입담, 컨텐츠 찰지네요
@user-zd1yi2zg5g
@user-zd1yi2zg5g 2 жыл бұрын
유익합니다😊
@user-ic6tp2ny9y
@user-ic6tp2ny9y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소중한 후원 감사합니다...!
@useeeeeeee
@useeeeeeee 2 жыл бұрын
이런거 어떻게 하는겨....?
@user-zv9sz7nj7m
@user-zv9sz7nj7m 2 жыл бұрын
ㅇㄷ
@Effort_vlrt
@Effort_vlrt 2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입님 항상 좋고 자극적이지 않는 컨텐츠를 만들어 주셔서 요즘에 세계 경제나 다양한 부분에 관심이 있는데 요즘에 지식한입님으로인해서 지식한입이 아니라 지식 한공기를 먹은것 같습니다 ;;
@jaeinjung1213
@jaeinjung1213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지식한입 잘먹고 갑니다.영상만드신다고 고생하셨어요
@user-uj5cn1ec1d
@user-uj5cn1ec1d 2 жыл бұрын
세계관 최고들의 싸움ㅋㅋ
@user-mr2oy4vo4o
@user-mr2oy4vo4o 2 жыл бұрын
신기한게 가난한 나라들이 인구증가율도 높은거 같아요
@user-px5uc1uf6d
@user-px5uc1uf6d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특히 빈국의 여성인권 낮음도 한몫하구요... 인도나 파키스탄 같이 종교가 정치랑 붙어서 이념적으로 강한 나라들이 종교원리적으로 그 정서를 조장하고 또 공통적으로 여성인권이 낮고요... 인도.중동.파키스탄 동남아에서 특히 필리핀(카톨릭).... 피임에 대한 의식과 교육수준 낮고 낙태나 이런거는 사회적으로 종교적으로 못하게 하고, 병원 갈 돈도 없고...빈곤국의 빈민층은 애가 생김 그냥 나아버리고 가난해지는거죠 ㅠㅠ
@user-qs3nu4sw2c
@user-qs3nu4sw2c 2 жыл бұрын
자산소득이 노동소득을 대체할 수준이 안돼서 그런거죠 뭐. 한국도 전쟁으로 도시 다 파괴되고 자산가치 똥값되니까 노동소득 가치가 높아져서 베이비붐 일어났음.
@jayag2271
@jayag2271 2 жыл бұрын
가난하고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낮은 국가니까 인구증가율이 높은 것이지
@꽃슈카
@꽃슈카 2 жыл бұрын
여성인권이랑 출산율이랑 반비례인거 같음
@tracygrace6866
@tracygrace6866 2 жыл бұрын
여성교육수준과 출산율을 정확히 반비례합니다. 일단 대학교육까지 받으면 여자나이 대략 23세입니다. 교육받은거 아까우니 취직도 하고 돈도 벌어야조. 돈 벌다보니 혼자 살아도 별 문제 없죠(오히려 편하고 좋다는 사람도 많음) 반대로 못 배우면 그냥 10대에 결혼하죠. 애 낳을 수 있는 기간 자체가 늘어남. 배운거 없으니 벌어먹고 살거 없고 남자에게 의존 ㅠ
@bburorong
@bburorong 2 жыл бұрын
군부독재보다 이슬람이 더 안좋다니 ... 근데 그 이슬람 인구가 점점 늘고 유럽까지 진출하고 있으니 참 암울하다
@ABC-pg8no
@ABC-pg8no 2 жыл бұрын
지정학적인 지식을 재밌고 쉽게 얻어 갑니다. 녹음하실 때 입은 위, 옆으로 벌리면서 발음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노뇨뇨뇨뇨뇨하는 느낌이라 ㅋㅋ
@user-vk1vp9fx1h
@user-vk1vp9fx1h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너무 유익하고 재밌어요
@King_God_Bong
@King_God_Bong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애굽민수님이 좋아합니다.
@user-not-found-_
@user-not-found-_ 2 жыл бұрын
4:55 "아랍 전체가 빵을 달라고 시위를 했거든요, 이게 아랍의 봄이예요" 물론 짧은 영상에 많은걸 담아야 해서 축약해야 되는게 있을수 있다고 인정 하지만 심한 비약은 안해야하지 않겠나 싶기도 하네요...
@scichoiyun
@scichoiyun Жыл бұрын
?그냥 시위 이름이 "아랍의 봄 시위"인 건데요..?
@user-not-found-_
@user-not-found-_ Жыл бұрын
@@scichoiyun 제 말은 주목적이 빵이 아니란 말입니다
@kwanzero8706
@kwanzero8706 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지식.!! 난 이 채널이 제일 좋아.
@obb_000
@obb_000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Pokerface-px5ez
@Pokerface-px5ez 2 жыл бұрын
손흥민도 우리나라에선 거의 신급인데 이집트에서 살라는 과연 어떨까? 우리나라는 박지성에서 손흥민으로, 이집트는 미도에서 살라로....
@지식한입
@지식한입 2 жыл бұрын
파라오 살라라고 불린다고 해요!
@2O20
@2O20 2 жыл бұрын
대통령으로 국민들이 올려줄려고 했었다네요 신급으로 모셔짐
@user-xx6ri6pq4s
@user-xx6ri6pq4s 2 жыл бұрын
그정도였어요? 몰랐네
@diaakury20
@diaakury20 2 жыл бұрын
@@2O20 그정도까지는 아니고 그냥 우리나라 IMF 시절 박찬호 정도 위상입니다. 역사적으로 외세에 핍박받고 지금은 먹고 살기 힘든데 서구인들 사이에서 인정받고 능력 펼치는 히어로보면서 하루하루 버티는 느낌.
@user-mx4cs7wo7b
@user-mx4cs7wo7b 2 жыл бұрын
살라 스티커 차에 붙혀져있고 그냥 우상 그 자체입니다.
@user-jy2eq5oc7h
@user-jy2eq5oc7h 2 жыл бұрын
구경하러 갔다가 내가 구경거리가 된대ㅋㄲㅋ 너무 웃기다 이런 유머 너무 좋아용
@hahahahahaha3450
@hahahahahaha3450 Жыл бұрын
출산율 높다고 좋은 건 아닌가 봐요... 인구 터지기 직전 이집트 잘보고 갑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ㅎㅎ 항상 응원합니다. 건강하세요 ㅎㅎㅎ
@user-vb5tm1uv1g
@user-vb5tm1uv1g 2 жыл бұрын
뭐든지 적당히가 중요하다
@haesulee535
@haesulee535 2 жыл бұрын
이런 교양을 이렇게 빠르게 접할 수 있는게 이 시대에 태어난 축복 중 하나인거 같음
@chanheo4950
@chanheo4950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가 긍정적인 발전을 하는 게 세계가 겪고 있는 문제의 큰 해결책이겠군요.
@vc5219
@vc5219 2 жыл бұрын
여윽시 때론 힘이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다만 부작용이 엄청 크지만
@user-ws9nr6sz3u
@user-ws9nr6sz3u 2 жыл бұрын
이형은 말빨이 점점느네
@RainbowCalligraphy
@RainbowCalligraphy 2 жыл бұрын
이슬람국가가 인구가 잘 안 줄죠... 4년전에 모로코있었던 적이 있는데 30대 현지친구들을보니까 결혼해서 보통 자녀를 3-4명을 낳더라구요. 잘살아서 자녀를 많이 낳는거보다 우리나라가 자녀1-2명이 보편화되었듯 이슬람국가는 보통4명의 자녀를 낳는게 보편화되었어요. 간혹 한명 자녀만 있는 사람도 있는데 그러면 전부 이상하게 생각하고 안좋게 보더라구요. 그리고 넉넉하지 못해도 전체적으로 꼭 결혼해서 다수를 낳아야한다는 분위기가 있고 젊은애들도 20대에 결혼해서 자녀낳아야한다고 당연히 생각해요.(70-80년대 어머니세대에 시집은 꼭 가야한다는 인식처럼) 낙태는 절대 안된다는 문화도 쎔... 이집트군사력 아프리카1위고 세계에서도 항상 10위권대를 유지함....
@jheartu7036
@jheartu7036 2 жыл бұрын
무슬림 국가는 결혼해서 애기 낳고 행복하게 사는게 최대의 인생목표예요. 물질적인 것을 그다지 추구하지 않고 자연그대로 순수하게 살아간다고 볼 수 있죠.
@oo-kr3kv
@oo-kr3kv 2 жыл бұрын
@@jheartu7036 진짜 자연은 먹을거 없고 살기척박하면 번식을 안하죠
@user-dg8dv7pz2w
@user-dg8dv7pz2w 2 жыл бұрын
@@oo-kr3kv 먹을게 진짜 없으면 굶어죽지 그정도까지 아니면 적당히 번식 다 함 가난한 나라들이 아무리 그래도 내일 굶어죽을 위기인데 결혼하고 출산을 하겠음?
@user-pw7yz6sb6m
@user-pw7yz6sb6m 2 жыл бұрын
이슬람교 전파하기위해서 일부러ㅡ 한국에 머무는 이슬람 시민들께서두 잔뜩 낳는 추세.....
@jye0421
@jye0421 Жыл бұрын
​@@user-dg8dv7pz2w 함 아프리카기아들보면
@IiillIiIiilIlIl
@IiillIiIiilIlIl 2 жыл бұрын
와... 영상이 완벽 그자체네요.. 이런걸 무료로 볼 수 있다는거에 감사합니다.
@whentheygolow_wegohigh7306
@whentheygolow_wegohigh7306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user-tj4nq6ll4v
@user-tj4nq6ll4v 2 жыл бұрын
결국에는 과학 기술이죠 과학 기술이 문명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죠 과학 기술이 없었던 시대에는 경제 붐이 한세대 이상 지속되지 못했던 이유가 경제가 융성하면 인구가 늘어나고 인구가 늘어나면 남아 돌았던 잉여 자원을 고갈시켰기 때문이죠 과거 눈부셨던 중국, 이집트, 인도, 동남아, 남미 문명들이 그렇게 작살난 가장 큰 이유가 경제를 지속시켜줄 과학 기술이 없었기 때문이죠
@user-pp4hi1dz9l
@user-pp4hi1dz9l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졸려서 잘 못 봤었는데 이분은 설명 너무 쉽고 재밌고 좋다ㅋㅋㅋㅋㅋㅎ
@user-tw7cc5rn6b
@user-tw7cc5rn6b 2 жыл бұрын
한입형 건강 중요하지 근데 건강은 내가 챙길테니 영상 편집에 항상 힘쓰자!
@user-qw7gc2rf6f
@user-qw7gc2rf6f Жыл бұрын
유익한 영상이네요
@PinguYu
@PinguYu 2 жыл бұрын
8:43 진짜 ㅋㅋㅋㅋㅋ 개웃기네 젠틀해보니는 말투지만 단어선택 개웃기네.. 엉아 응용력 ㄹㅈㄷ
@user-oj9yb1bm4e
@user-oj9yb1bm4e 2 жыл бұрын
3:33 4원이면 진짜 말도 안 되는 가격이네요.
@ji-eunkim705
@ji-eunkim705 2 жыл бұрын
와 최악은 이슬람 근본주의라서 차악으로 군부가 들어와있다니, 듣기만해도 어질어질하네…
@user-ds1yb7fz4h
@user-ds1yb7fz4h 2 жыл бұрын
참 조용한 나라가 없네요 좋은 영상
@TheGreatCrusade
@TheGreatCrusade 2 жыл бұрын
자원과 인프라와 인적자원 밸런스가 맞아야
@linainverse4783
@linainverse4783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인들은 정력이 대단하네요 인구폭발 한국과 정반대
@URIDER
@URIDER 2 жыл бұрын
11:05 역시 피라미드의 나라 ㄷㄷ
@qv244
@qv244 2 жыл бұрын
Not only the pyramids, but the country of the great, civilization and history
@user-ze2vy7tu1m
@user-ze2vy7tu1m 2 жыл бұрын
최고다 최고
@user-wi6ds5hb7k
@user-wi6ds5hb7k 2 жыл бұрын
매번 각종 그래프로 알기 쉽게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역사부터 정리해주셔서 갑자기 이꼴이 난게 아니란걸 알게 하네요.
@ehdgofkd
@ehdgofkd 2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에 많은 인구밀도와 자원 없는건 어찌 보면 저주이지만. 종교문제와 종족 (부족) 문제 없는것만 해도 다행이네요.
@user-bx7pn3rr3u
@user-bx7pn3rr3u 2 жыл бұрын
북한은
@user-bx7pn3rr3u
@user-bx7pn3rr3u 2 жыл бұрын
김일성 민족은
@NamhanSanseong_Fortress
@NamhanSanseong_Fortress 2 жыл бұрын
형 사랑해 인구증가와 관련된 컨텐츠라니 너무 흥미로운걸~? 나도 댓글 줘
@user-rs4hl5iy7m
@user-rs4hl5iy7m 2 жыл бұрын
넘나 재밋는거
@user-fy7gv9ur7u
@user-fy7gv9ur7u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입이 아닌데 ㅎㅎ 좋은 지식 재미있게 감사합니닷
@user-vp6kk1ej3w
@user-vp6kk1ej3w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낮지만 무조건 높다고 좋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집트는 향후 늘어날 인구와 정책 방향성을 다시 한 번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도 우리나라에 적절한 출산율을 유지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sd3kl4yo7m
@user-sd3kl4yo7m Жыл бұрын
너무 많이 갑자기 늘어나면 당연히 안좋지만(이집트 3.5) 한국 처럼(0.89) 극단적인 출산율은 국가의 멸망을 의미하지요 이런걸 막기 위해서는 아무리 보조금을 쥐봐야 근본적인 감소를 막을 수 없습니다. 먼저 여존남비 남성혐오 남성기생 남성책임독박 남성경재책임독박(그러면서도 야비하게 남녀임금 차별이라고 야비하게 날조 선동) 등을 조장하며 극단적인 남녀이간 남녀갈등을 일부러 유발라고 더러운 이익을 챙기는 여성계 페미 페미
@user-nf1ei2bw7k
@user-nf1ei2bw7k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지금은... 0.48명은... 심한거 아니야?...
@DC-jt7ye
@DC-jt7ye Жыл бұрын
최소한 독일처럼 해 ㅅㅂ^^
@user-qu8dc8qu9c
@user-qu8dc8qu9c Жыл бұрын
결국 저출산이 문제가 아니라 생산적인 일을 안하는 고령화 또는 청년계층의 취직 집값 이런게 문제인거임
@user-sd3kl4yo7m
@user-sd3kl4yo7m Жыл бұрын
@@user-qu8dc8qu9c ㄴㄴ 남성책임독박 남성비용독박 등등 남성에게 부과하는 의무와 여존남비 남성노예 사상을 가진 여성계 페미...나..치 남성인권사린마
@sib8441
@sib8441 2 жыл бұрын
이집트님 출산율 절반만 주세요 밀가루 많이 드릴께 ...
@user-wj3ud7lv5n
@user-wj3ud7lv5n 2 жыл бұрын
반출생주의 안티나탈리즘이란 사상이 유명해지는 것 같던데.. 이것도 소개해 다뤄주실 수 있나요?
@euphoria_JS
@euphoria_JS 2 жыл бұрын
살라신이여 이집트를 구원하소서... 모하메드 살라흐
극과 극을 살고 있는 인도의 갑부와 빈곤층들!
12:49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4,9 МЛН
Khó thế mà cũng làm được || How did the police do that? #shorts
01:00
My little bro is funny😁  @artur-boy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Luck Decides My Future Again 🍀🍀🍀 #katebrush #shorts
00:19
Kate Brush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이집트 : 제발 그만 낳아주세요!
20:55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석유 복지가 뭔지 보여주마
12:40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국뽕없이 보는 IMF 외환위기 사태
12:46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가난한 나라만 죽어나지 아주...
10:47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854 М.
20대에 결혼을 누가 합니까?
25:48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이제 돈도 못 버는 NC 근황
11:38
펭귄몬스터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1 or 2?🐄
0:12
Kan Andrey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