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은 꼴찌, 자살율은 1위

  Рет қаралды 1,805,615

슈카월드

슈카월드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2 000
@syukaworld
@syukaworld 2 ай бұрын
DGB와 함께한 "머니가 머니" 1화가 공개되었습니다. kzfaq.info/get/bejne/jpeTiqyDucW1o5c.htmlsi=xUXA33Zbr9eR2-jJ
@adjective999
@adjective999 2 ай бұрын
대구은행 지금이니
@SW-J
@SW-J 2 ай бұрын
미국환율 따라가서 될일이 아니다..환율 낮춰라
@gle4488
@gle4488 2 ай бұрын
오잉?
@user-rp1ki6dx7v
@user-rp1ki6dx7v 2 ай бұрын
세계1위 자랑스럽다
@selfealth
@selfealth 2 ай бұрын
형 자살율 아니고 자살률이야
@leeyunni5899
@leeyunni5899 2 ай бұрын
한 5년전인가 새벽에 술먹고 방안에서 자살생각이 진짜 머리끝까지 올라와서 누군가랑 이야기라도 안하면 진짜 뛰어내릴거같아서 24시간 자살상담 콜센터가 생각나가지고 전화걸었는데 안받더라고요 3통 걸었는데 전부 신호음만 가다 연결 안된다고 함.. 그러다보니까 점점 이게 자살생각이 없어지고 '이 시발 이따위로 운영할거면 왜 쳐만든거지 신문고에 글쓰러간다 ㅅㅂ' 라는 생각이들면서 점점 머릿속이 분노로 가득차더라고요... 어쨌든 제 역할을 하긴함 ;
@chk4681
@chk4681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user-ek6yp2pt8z
@user-ek6yp2pt8z 2 ай бұрын
완전 블랙코미디네
@user-sv7dg5ec3u
@user-sv7dg5ec3u 2 ай бұрын
웃프네요….
@user-dp1lx4in2w
@user-dp1lx4in2w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arkFuse
@DarkFuse 2 ай бұрын
그래도 극복하신게 멋있으십니다
@Go_is_me_Believe
@Go_is_me_Believe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 이제와서 보니까 되게 웃기네 수조에 물고기가 다 죽어가고 있는데 "왜 알을 안낳지??" 이러고 있던거임 ㅋㅋㅋㅋㅋ
@user-mlk9em25tzy
@user-mlk9em25tzy 2 ай бұрын
사람 갈아서 굴러가고있는 나라잖슴 ㅋㅋㅋㅋ
@jihoonpark2766
@jihoonpark2766 2 ай бұрын
그러네 여과기 망가지고 물 썩고 있어서 작은 물고기부터 죽어나가고 있는데 큰 물고기 잘 크고 있으니까 됐지 ㅇㅈㄹ
@user-so1tn4jp1x
@user-so1tn4jp1x 2 ай бұрын
비유 좋네
@donahn8816
@donahn8816 2 ай бұрын
다 죽다뇨.. 남아있는 물고기가 훨 많은데 비유가 이상하네
@qnqyyy
@qnqyyy 2 ай бұрын
사람 갈아넣고, 세금 빼돌리고 사람 갈아넣고, 세금 빼돌리고 사람 갈아넣고, 세금 빼돌리고 아 왜 이렇게 돈이없지? 세금 더 걷어
@user-uc2cd1zq9m
@user-uc2cd1zq9m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너무 박하고 예민함. 자기마음에 조금이라도 안들면 바로 트집, 시비, 비꼬기는 기본이요 조금만 튀어도 비정상취급에 틀에박힌 딱딱한 사회..정신병 안걸리는게 이상한듯? 마음에 여유가 없어서 그런거아닐까...그냥 너무 안타까움....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존심은 높은데 자존감은 낮다는 소리도 정말 맞는말같아서 슬프고
@habomio
@habomio Ай бұрын
인정합니다 사회초년생인데 힘듭니다
@kaanbellagha2079
@kaanbellagha2079 Ай бұрын
댓글에서 퍽하면 싸우고 물어뜯는 거 보면 사회가 병들었어요
@evaporate13
@evaporate13 Ай бұрын
저도 그런것 같네요. 반성합니다.
@user-mj9wq7kb8e
@user-mj9wq7kb8e Ай бұрын
저는 사회생활 12년정도 지나니깐 대인기피증 생겨서 사람들 대하기가 힘듬... 완전한 언택트시대로 가서 서로 마주하지않는 사회가 덜 불편할거같아요
@user-ng6hw4lg3n
@user-ng6hw4lg3n Ай бұрын
그게 지옥인것같아요 난 비대면으로 할말못할말 싸갈기는 이 시대가 마음에 안듦
@user-dy1ld2yb6i
@user-dy1ld2yb6i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그냥 국가비상사태 아니야진짜? 먼 전쟁통 화폐가치 박살난 나라랑 자살률이 비슷해... 대체 뭔 나라에서 살고있는거야 존나 심각한거같은데
@noteworthy98
@noteworthy98 Ай бұрын
더 심각한건 애를 낳는건 현재 살아있는 사람들인데 자살률보다 출산율을 더 걱정함... 살기 힘들어서 자살하는 마당에 출산율 극복하면 영유아 사망, 청소년 사망, 청년 사망으로 잃는 사람이 해결되는게 아닌데 뭔 논리가 출산율 정상화하면 몇십만명씩 더 태어난다 이러는데 자살하는 사람 수를 줄이는게 아니라 출산율을 늘려서 부족한 인원 채우면 된다는 마인드; 기가 막힘
@nyaongss
@nyaongss Ай бұрын
ㅋㅋ 자살률이 이정도면 나라에 뭔가 진짜 ㅈㄴ 큰 문제가 있는건데 문제 방치한채로 애 싸지르라함 ㅋㅋ 그 애도 자살하겠지
@user-ez2fg7ok1j
@user-ez2fg7ok1j Ай бұрын
화폐가치가 박살난 남미국가도 이정도 출산율은 아닌기 웃음벨 ㅋㅋㅋㅋㅋㅋㅋ
@user-uu1ju5sv9g
@user-uu1ju5sv9g Ай бұрын
영상에 다 나와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살은 오로지 sns등에 의한 비교가 정답입니다 우리나라 자살의 원인은 전부 본인에게 있습니다 문제는 모두에게 잘못이 있다보니 이걸 고치려면 사회문화를 바꿔야 하는 수준인게 문제죠
@JinnYoungKim
@JinnYoungKim Ай бұрын
​@@user-uu1ju5sv9g글쎄요 수능실패했다고 ㅈㅅ하는것보면...
@user-hs2js8xn7i
@user-hs2js8xn7i 2 ай бұрын
정치인들은 자살율 관심없음... 정말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인데... 정말 국민을 생각하는 정치인은 없음... 그냥 진보팀....보수팀.... 당신은 어느팀.... 하면서 편가르고 싸우기만함....
@_INUIT
@_INUIT 2 ай бұрын
네거티브 진짜 지긋지긋함...
@hj7583
@hj7583 2 ай бұрын
그저 표 많이 받고 당선되서 권력 유지하는 것 밖에 모름
@gigastom7
@gigastom7 2 ай бұрын
뭐든 지들 밥그릇 싸움이죠 의사들만해도 그거고 정치인들과 의사들의 공통점
@ytking6427
@ytking6427 2 ай бұрын
한국국민자신이 한국국민한테 관심없다
@user-gx5vw5yr5d
@user-gx5vw5yr5d 2 ай бұрын
뭐 좀 도와줄라고하면 포퓰리즘이라 하잖아 그런게 다 나타나는거임. 우리나라 경제가 작은수준이 아님. 충분히 그정도 복지해도되는나라임. 왜냐면 일단 살면 너무열심히사는 민족이거든. 그만큼 세금으로 다 돌아옴. 근데 진짜 이해안되는게 도움받아야할거같은 사람들도 포퓰리즘이라하니까 점점 안도와주고 그냥 그렇게 살아라 이렇게되는거지. 진짜 이해할수가없는나라임
@asl9886
@asl9886 2 ай бұрын
뭐여, 지금 있는 사람조차 못챙기는 나라가 출산률 어쩌고 그랬던 거야?
@user-ul6ji3us3e
@user-ul6ji3us3e 2 ай бұрын
한국이 제일 사람을 못챙기죠... 다른 나라에 살아보면 한국이 얼마나 불안정하고 불안하게 만드는 나라인지.. 자살은 결국 포기에서 오는거고.. 그 포기를 만드는 사회가 한국입니다...ㅠ
@bigbrother3583
@bigbrother3583 2 ай бұрын
수해났다고 장병들 끌고가서 구명조끼도 없이 물에 집어넣어놓고 책임지는놈 하나 없는 나라에 뭘바람?
@rbo7156
@rbo7156 2 ай бұрын
출산율 어쩌고 한적 없음 출산율대책 내놓는 정치인 본적있음?
@user-yn6np2kx4w
@user-yn6np2kx4w 2 ай бұрын
미래가 불안해서 죽는듯 중소나 회사다니다 짤린분들... 솔직히 좋은 회사 이직이 쉬운것도 아니라서
@user-yn6np2kx4w
@user-yn6np2kx4w 2 ай бұрын
40대만 되도 짤릴까봐 걱정되는데....20. 30대도 공무원 공기업 전문직 아니면 다 불안한마음 가지고있고
@daewoolim8159
@daewoolim8159 Ай бұрын
사실 이정도 수준이라면 자살이아니라 한국사회의 사회적 타살을 생각해 봐야하는 상황이 아닌지 ... 자살이라는 관점이 아니라 사회적 타살의 관점에서 고민해야 답이 나올것 같네요
@Hyunsssu
@Hyunsssu Ай бұрын
동의합니다 ㅠㅠ 사회적 타살이나 다름없읍니다 다들 내몰려서 자살하더라고요.. ㅜㅜ
@user-eg9bn4bc6u
@user-eg9bn4bc6u Ай бұрын
사회적 타살 ㅡ 처음 듣지만 한국사회에 이보다 명쾌한 표현은 없지요ㆍ
@2222strlw
@2222strlw Ай бұрын
사회적 타살이라.. 감성충다운 언어생성이네 ㅉㅉ
@user-ws2cu2qp1c
@user-ws2cu2qp1c Ай бұрын
@@2222strlw 뭐ㅏ 백신쳐맞은 놈이 할말은 아닌거같네
@user-xi8dp2pr1c
@user-xi8dp2pr1c Ай бұрын
​@@2222strlw븅
@user-bk7lx9em9e
@user-bk7lx9em9e Ай бұрын
현직 장의사입니다. 자살, 고독사 너무너무 많습니다. 부패된지 1주일만에 발견되서 부검하는 경우도 너무 많고, 가족도 없어서 행정복지센터에서 행정처리하는 무연고자도 너무 많습니다
@user-fn4ug8hd9k
@user-fn4ug8hd9k Ай бұрын
가족도 ---> 가족이 이렇게 수정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user-cx8ke8pg2v
@user-cx8ke8pg2v Ай бұрын
@@user-fn4ug8hd9k 왜요?
@cowblue584
@cowblue584 Ай бұрын
​@@user-cx8ke8pg2v가족도 없는 하찮은 느낌? 고인이니깐..슬퍼
@user-se2hb9et5n
@user-se2hb9et5n Ай бұрын
돈도 없는사람 돈이 없는 사람 뉘양스 차이?
@kiikiy
@kiikiy Ай бұрын
장의사 되려면 어떻게해야해영
@user-nx6og6dv1k
@user-nx6og6dv1k 2 ай бұрын
뉴비는 없고 유저는 탈주하고 장하다 대한민국
@zzit_drumtong
@zzit_drumtong 2 ай бұрын
ㄹㅇ 망겜이네 ㅋㅋㅋ
@taehunpark993
@taehunpark993 2 ай бұрын
현실 메이플인가요?
@user-bacon423
@user-bacon423 2 ай бұрын
섭종하는거 아니여...?
@ccukka
@ccukka 2 ай бұрын
응~ 접지마 너없으면 겜망해~
@underclass8558
@underclass8558 2 ай бұрын
죽을 놈들은 어디서 태어나든 뭘 해도 죽을 것이오.
@mujik3740
@mujik3740 2 ай бұрын
남의 외모 지적, 패션 지적, 어디 사는지 무슨 차 타는지 학교 어딘지 ... 이런것들 궁금해하고 쉽게 말하는 버릇부터 고쳐가면 좋겠어요.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그거 고쳐지면 한국아니죠. 서양이죠.
@izumiaco5079
@izumiaco5079 2 ай бұрын
전체를 바꿀 수 없다고 포기하지말고 본인부터 바뀌어야함
@putinia3411
@putinia3411 2 ай бұрын
그건 동남아 극빈국들 모습이지 .
@gun0477
@gun0477 2 ай бұрын
옆나라 일본은 타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묻는건 엄청난 실례라고 하던데 이 나라는 ㅋㅋㅋ 답이없다
@user-wm2yr3cb3c
@user-wm2yr3cb3c 2 ай бұрын
그걸 궁금해 하고 쉽게말하는걸 불편해 하는게 오히려 그런거에 집착하는 인간아님? 그걸 숨기고 말안하고 산다고 자기 내면의 욕심이 사라짐? 근본적으로 그런걸 갈망하는 사회 분위기가 사라져야지 그런걸 물어보고 쉽게 말하는건 문제가 아니죠 오히려 그런걸 불편해 하는 당신같은 사람들 덕분에 그걸 가진 인간들은 승리감을 느끼죠
@Quid_butler
@Quid_butler Ай бұрын
학교에서 자살은 나쁩니다~ ㅇㅈㄹ 떨지말고 그냥 1:1 정신상담 붙여놓으면 효과 좋을텐데.. 얼마나 걸린다고.. 설문지에 존나 우울하다고 적어 내도 딱히 대안을 주지도 않고 지들 통계로만 쓰려고 가져가던데
@user-sl3su6on2d
@user-sl3su6on2d Ай бұрын
각자도생은 진짜 개소리임 이사람들은 그냥 모름 자기들이 누구인지
@jayjay2778
@jayjay2778 8 күн бұрын
시간아까운데 뭐하러그래요? 그리고 그것도 다 돈임. 갈사람은 빨리 보내야지
@user-wo9cv4cc7v
@user-wo9cv4cc7v 8 күн бұрын
학교에서 심리상담도 받아봤고 자살방지캠프니 뭐니 가래서 갔는데 그냥 학교에 담배피는 애들 모아두고 담배못피게 하는 금연캠프였음 ㅋㅋㅋㅋㅋㅋ 학생때 담배 피운게 딱히 자랑은 아니지만 좀 얼탱이 없더라
@qwerty43215
@qwerty43215 19 сағат бұрын
교무실에서 토크거리로 쓰일까봐 뭐든 솔직하지 못하겠던데 학교에서 하는건
@user-mp8pt4nv7l
@user-mp8pt4nv7l Ай бұрын
솔직히 요즘엔 부모님 누구 만나냐에 따라 그 사람 인생이 결정됨 노력해도 절대 못넘는 벽같은게 생김 집값 폭등한 시절부터....탯줄이 그사람 평생운임
@MarzSinani
@MarzSinani 19 күн бұрын
인정합니다
@shin7673
@shin7673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자살율이 높은 사회니까 저출산인거... 당장 나도 고통 불안 두려움 속에서 미치지 않으려고 정신건강 서적,영상 닥치는대로 보면서 버티고 있을 뿐인데 뭔 애를 낳아
@MBC.News.
@MBC.News. 2 ай бұрын
저랑 똑같네요... 전 취미로 버티고 있는데 이것 마저 없었으면 어땠을지 상상도 안됨.
@user-on4zy1jl3v
@user-on4zy1jl3v 2 ай бұрын
​@@hjp5864 그걸 35에 알았다는게 더 충격이네ㅋㅋㅋ 하여간 전부 남탓만 하지ㅋㅋ
@user-fw8ou6ob1k
@user-fw8ou6ob1k 2 ай бұрын
서적하고 영상하고 알려주시면 안됩니까? 너무 힘듭니다
@user-on4zy1jl3v
@user-on4zy1jl3v 2 ай бұрын
응 그냥 핑계야ㅋㅋㅋ 전쟁중이거나 내전중인 나라들도 출산률이 높은데 뭐? 고통 불안 두려움 속에서 살아?? 너 혼자 망상에 빠진건 아니고??ㅋㅋㅋㅋ
@user-fw8ou6ob1k
@user-fw8ou6ob1k 2 ай бұрын
@@user-on4zy1jl3v 전쟁중이거나 내전중인 나라에서 태어난 애들은 많이 불행할겁니다. 제대로된 인프라는 파괴되어서 아파도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하루하루 생존이 목표인 삶이 계속될수있습니다. 부모의 만족감 의해 낳을거면 최소한 남들 이상의 좋은 유전자 풍족한 재정, 화목한 가정을 갖춰야지요 그런것들도 갖추지못한곳에서 애를 싸지르는게 정상인가요? 괜히 선진국들이 출산율이 낮은게 아닙니다 괜히 경제대국들이 출산율이 낮은게 아닙니다 사람이 먹고살만해야지 이성적인 생각을 하거든요
@wpst7775
@wpst7775 2 ай бұрын
누가 출산율은 청년들이 메기는 별점 같은 거라던데 “대한민국 별점 1.0, 재방문의사 없음”
@NADOSALZA
@NADOSALZA 2 ай бұрын
아프리카 별점 4~7,재방문의사 있음
@user-ol3le1mf2w
@user-ol3le1mf2w 2 ай бұрын
재방문? 못 하고 AK47 벌집 엔딩
@showmethemoney8282
@showmethemoney8282 2 ай бұрын
​@@lovelygem아프리카가 오히려 행복지수가 높음
@user-po6md4no6z
@user-po6md4no6z 2 ай бұрын
​@@lovelygem 또 비교냐
@hephalee
@hephalee 2 ай бұрын
0.6점
@coffee702
@coffee702 Ай бұрын
해외로 뜨면 한국에서 하던 거 절반만 해도 잘먹고 잘 삶. 너무 열심히 한다고 ㅈㄴ 좋아함. 탈출은 지능순.
@user-du1yg3qo8d
@user-du1yg3qo8d Ай бұрын
어디서 그래요?? 그리고 지능 높으신 님은 어디러 뜨셨나요?
@coffee702
@coffee702 Ай бұрын
@@user-du1yg3qo8d 호주
@sincerus1
@sincerus1 Ай бұрын
​@@user-du1yg3qo8d적어도 똑똑한 사람들은 한국이 지금 회복 불가능한 상황까지 왔다는걸 알고 있음 ㅋㅋ 공학, 과학계 인재들도 의대 공화국에 지쳐서 많이 떠나는 추세고. 내 주변 사람들도 이제 진짜 망해가나 싶어서 점점 떠날 계획 잡는 사람들이 많아짐
@user-xt7br2xp4w
@user-xt7br2xp4w Ай бұрын
​@@user-du1yg3qo8d사우디아라비아요
@Irie-Kotoko
@Irie-Kotoko Ай бұрын
​@@user-du1yg3qo8d시비털지좀마라 너같은애들이 한국에 많아서 살기힘든거다 ㅉ
@ku3462
@ku3462 Ай бұрын
ㄹㅇ 답없어 회사에서 자취한다는 한마디로 내가 어디살고 아파트인지 부모님 도움받는지 대출얼마에 달에 얼마를 갚는지까지도 물어보고 알려줄때까지 재촉하더라 징글징글함
@jiyoon_Park
@jiyoon_Park 9 күн бұрын
그런 사람이 실제로 같이 근무하는 직원이라는게 놀랍네요. 상사가 그러셨나요? 업무 외적인 이야기 외에 선 그으시고 사적인 이야기 나누지 마셔요~
@user-wq9rc6rc4c
@user-wq9rc6rc4c 2 ай бұрын
자살이 ”용기“를 내서 목숨을 끊는 행위같냐? 아니다. 자살은 현실이 너무 고통스러워서 이제 그만 ”쉬고싶다“에 가까움
@joykim6113
@joykim6113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쉬려면... 죽어야된다는게 현실이죠... 나약한 낙오자니까...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맞음. 나를 포기하는 행위임. 이것 저것 다해봤는데도 안되니까, 나를 포기하는 거임.
@user-gf8ds5fm5f
@user-gf8ds5fm5f 2 ай бұрын
경우에따라 다르다 ㅂㅅ 같은 비유로 배댓 먹고 싶었더냐
@user-ul3ym6jb6x
@user-ul3ym6jb6x 2 ай бұрын
그래요 그곳에서는 많이 쉬십쇼
@user-yo3yi4oo2m
@user-yo3yi4oo2m 2 ай бұрын
저도 모르게 아! 소리가 나왔습니다. 저역시 동의합니다.
@Carambolases
@Carambolases Ай бұрын
정신과 약처방 받으면 보헙 불이익 주는 나라에서 해결이 가능한가요
@flare2828
@flare2828 Ай бұрын
이게 진짜 디스토피아 ㅋㅋㅋㅋㅋㅋ
@user-ht7gw2xk5z
@user-ht7gw2xk5z Ай бұрын
저도 우울증약 받고 병원문 나가자마자 보험설계사 한테 다이렉트로 전화와서 정신과 진료받냐고 물어봄 ....
@user-ex7ri8cs1k
@user-ex7ri8cs1k Ай бұрын
@@user-ht7gw2xk5z제약 있나요 처방받으면?
@bulllud
@bulllud Ай бұрын
​@@user-ht7gw2xk5z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저도 한 때 너무 상태 안 좋을 때 진짜 누가봐도 병원 가야할 것 같았는데 이런 얘기를 넘 많이 들어서 못가게 되더라구요....참 사회가 왜 이런지...ㅠ
@14e-hc6qv
@14e-hc6qv Ай бұрын
이걸 바꿔야할듯요
@user-ut6qh8tt9p
@user-ut6qh8tt9p Ай бұрын
사회적 타살이라는 말이 맞는게 주변에 보면 사람 갈구거나 꼽주는거 당연한 사람들 있음 받는게 당연한 사람도 있고 정서적 폭행을 폭행으로 안봄
@jayjay2778
@jayjay2778 Ай бұрын
솔직히 폭행 당할만 하니까 당하는거 강한사람은 아무도 안건들임 건들만 하니까 건드는거지 ㅉㅉ
@ANGELUS-1004
@ANGELUS-1004 Ай бұрын
​@@jayjay2778 1시에 안자고 뭐하냐 얼른자라
@muup1272
@muup1272 Ай бұрын
@@jayjay2778나중에 약자의 입장에 서는 상황이 너에게 찾아오기를…
@sw-sw9mc
@sw-sw9mc Ай бұрын
@@jayjay2778 당신의 논리면 가정폭력도 성폭행도 할만해서 하고 당할만 해서 당하는거네요ㅎㅎ 피해자, 약자를 욕하는 그 관점 고치면 좋겠어요. 님도 어딘가에선 약자고 피해자일수도 있어요. 지금 당신이 있는 방구석은 사회와 세상을 알기엔 좁습니다. 함부로 편협하게 생각하고 내뱉지 마세요
@yussi3026
@yussi3026 Ай бұрын
맨 윗 댓글 자기가 사장이라고 하는데, 새벽 1시에 이딴 거 할 시간 있냐? 얘 사장 사칭하는 또라이인 거 같은데.
@user-mp8pt4nv7l
@user-mp8pt4nv7l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소름돋ㅠ는게 10여년 전에도 월급200이었는데 지금도 월급200인곳이 70프로는 될듯 ..... 소름돋는건 물가도 올랐는데 어떻게 살음? 근데 웃긴건 또 200인 일자리에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이 지원함... 그래서 악순환임 임금을 올려야하는데 안올려줌 200으로 공과금내고 나면 남는게 없는데 어떻게 연애하고 결혼함? 젊은애들이 부모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아니면 인생 포기하는게 더 편할수도 있음 너무 양질의 일자리가없고 양질의 일자리는 경쟁이 살인적이고 이러나 저러나 고통스러워서 포기하게됨 이나라는 하나하나 안썩은 곳이 없어서 사실 망하는게 맞긴함
@user-nh8uw4rq4o
@user-nh8uw4rq4o 2 ай бұрын
1. 나이문화( 남녀불문 30살만 되면 뭔가 이루어야 한다는 압박. 결혼, 차, 집, 대기업취직 등등) 2. 비교문화( 내신성적을 시작으로 대학교 간판 비교. 2등급대학도 듣보자 취급하는 나라. 월급 300이하는 실패자 취급) 3. 서열문화( 만나자마자 나이를 시작으로 모든걸 서열화. 그래서 직장도 대부분 군대문화와 수직적이고 보수적임) 얼마전 외국인 학자가 말했듯 "대한민국은 유교 문화중 안좋은 것들은 그대로인데 서구문화를 받아들이다 보니 우울하다" 이게 정답임.
@taehyeongkim5513
@taehyeongkim5513 2 ай бұрын
학교부터가 학년끼리 층으로 분리하고 고립시킴
@delicatekrill
@delicatekrill 2 ай бұрын
나 같은 히키코모리는 행복한 거였어
@user-qp7bq7od8w
@user-qp7bq7od8w 2 ай бұрын
이게정답 나중애 어느동내 어느아파트 못살면 중년실패됨
@ChampLDH
@ChampLDH 2 ай бұрын
비교 서열 한 개 만으로 여기까지 온거임 그 부작용은 이제야 나타나는거고
@karl8088
@karl8088 2 ай бұрын
유교문화의 가장 안좋은점과 서구문화의 가장 안좋은점을 결합한 것이라고 했음 정확히는
@Ruel_526
@Ruel_526 2 ай бұрын
힘들다는 사람을 이상한 사람, 징징이, 낙오자 취급하니까 힘들다고 말도 못하고 속에서 곪아서 그런 거 같다. 당장 댓글들만 봐도 살자를 부추기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이러니 백약이 무효지
@user-kt9ey4rt6z
@user-kt9ey4rt6z 2 ай бұрын
거기에 서로를 비교하면서 사치품 자랑하는건 1위.. 없는 살림에 결혼식 비용마저도 1위인데 명절 잔소리 1위도 결혼얘기로 바뀔듯 그러다 가는거지
@user-ci8mg4em2q
@user-ci8mg4em2q Ай бұрын
힘들어하면 정신력 약하고 나태한놈 취급 그러니 서로 숨기기바쁘고 멀쩡한척 결국 모두가 나만 이러나? 싶어하며 악순환
@Rossi_Hayden
@Rossi_Hayden Ай бұрын
불행에도 등수를 매기며 내가 더 힘드니 넌 힘들 자격 없다면서 싸우는 꼬라지니 뭐...
@byungjooman
@byungjooman Ай бұрын
그냥 낙오자 취급받고 살기엔 빡치니까 어차피 자살할거 거슬리는 새끼들 죽이고 나도 죽자라는 마음가짐이 있어서 묻지마 살인도 나오는 듯
@Blue_Mints
@Blue_Mints Ай бұрын
이게 맞지.. 그리고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에 대해서 불안해합니다.. 돈 때문에요..
@aaa-op9kh
@aaa-op9kh Ай бұрын
사회가 너무 가혹해요 사회생활 하다보면 성격 다 망가짐 점점 불합리한것에 익숙해지고 남을 돕는 것보다 무관심해지고 나에게 손해가 오는가만 신경쓰게되죠 사회에 물들지 않았던 사람들도 점점 똑같아지면서 살기 팍팍해짐
@ygp7700
@ygp7700 Ай бұрын
고통에서 벗어나 내면의 행복을 기르는 방법 첫 번째 따듯한 마음을 기른다 따듯한 마음은 조건 없는 사랑이고 행복을 바래주는 순수한 마음이다 나 자신이나 내 마음에게 말해준다 네가 어떤 삶을 살던 어떤 존재가 되던 어떤 사람이건 있는 그대로 사랑한다 내 마음의 문은 너를 위해 항상 열려있다 나는 항상 너의 편이다 고통에서 벗어나 평안하기를 바란다 언제나 행복하기를 바란다 이런 따듯한 마음을 길러서 나를 포함한 모든 존재에게 확장시켜나간다 보통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은 일으키기가 힘들므로 따듯한 마음이 잘 일어나는 순서대로 해도 좋다 자신과 가까운 관계에서 먼 순서대로 따듯한 마음을 계발하는 것이다 자신이 가장 사랑하고 가까운 친구 가족 애완동물 등으로 시작해서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 그리고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사람 그리고 나와 관계가 없는 모든 사람들 모든 생명체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에 대한 따듯한 마음을 보내도 좋다 무작정 따듯한 마음을 보내도 좋지만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며 서운함 불편함 싫은 느낌이나 부정적인 마음들을 내버려두며 놓아버리고 나서 자연스럽게 따듯한 마음을 이어나가는 것도 좋다 방법은 다양하고 본인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편안한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따듯한 마음은 원인과 관계없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 주고 고통을 완화해 주고 행복감과 평화로움을 가져다준다 마음을 부드럽게 해준다 이외에도 너무나 많은 이익이 있다 두 번째 내버려두는 마음을 기른다 우리는 부정적인 마음을 해결하려고 하고 피하려고 하고 바꾸려고 하며 끊임없이 관여한다 혹은 그 마음과 내가 동일시되어 그 마음에 완전히 빠져버린다 내버려둔다는 것은 그것을 알아차리고 지켜보기만 할 뿐 관여하지 않는 것이다 그 마음을 거부하지도 피하지도 밀어내거나 바꾸려 하지도 않고 판단하지도 않는다 그저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고 그 마음에 만족하고 그 마음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다 그리고 내 일이 아닌 것처럼 그저 가만히 내버려두는 것이다 지금 순간이 어떤 느낌이던 불안하든 불쾌하든 어떤 마음이던 알아차리기만 할 뿐 그저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어야 한다 또한 얼마나 힘든 마음 상태이던 그것을 내버려두고 감내하다 보면 그것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인내심을 가지고 내버려두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물론 추우면 따듯하게 하고 더우면 시원하게 하고 졸리면 자고 배고프면 밥을 먹는 것처럼 행동이 필요할 때가 있다 취미를 가질 수도 있고 가끔 일탈을 할 때도 있고 자신과 가까운 사람을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나눌 수도 있고 산책이나 운동으로 마음을 다스리거나 내가 보는 관점을 바꿈으로 그리고 지혜로써 해결하는 경우도 있다 상황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마음은 대부분의 경우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 마음을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다 보면 그 마음이 자연스레 지나가게 되거나 해당 마음에 적응하게 되며 만족하게 된다 이런 마음도 괜찮아 이런 마음도 충분하다는 마음이 들며 자연스럽게 그 마음을 따듯하고 너그럽게 대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무슨 경험을 하던 어떤 마음이든 간에 무엇을 바꾸려 들지 않고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는 것 그리고 그것에 만족하며 충분하다고 여기는 것이 핵심이다 이것의 결과로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자유로우며 행복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앞에 두 가지를 꾸준히 할 수 있는 시간을 따로 가진다 우리가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운동을 하는 것처럼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행복하기 위해 명상은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루에 20~30분이라도 의자에 앉아서 하던 양반다리로 앉아서 하던 따로 명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작은 일이라도 시작하는 게 중요하고 꾸준함이 중요하다 작은 일을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 순간 큰 성과가 보일 것이다 시작은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앉아서 눈을 감고 첫 번째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몸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몸을 인식하며 몸의 긴장된 곳을 릴랙스하거나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잡는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과거나 미래에 대한 생각들 잡념들을 버린다 신경 쓰이는 것들을 잠시 내려놓는다 다음으로 자신이 가장 사랑하거나 가장 가까운 사람 가족 친구 지인 등을 떠올리며 따듯한 마음을 보내고 모든 생명체 모든 존재에게 따듯한 마음을 보낸다 마지막으로 나 자신에게 따듯한 마음을 보낸다 그 이후 내 마음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알아차리고 그저 내버려두며 쉬는 것이다 명상은 내 의지와 내 마음을 가라앉히는 일이다 잡다한 생각들이나 잡다한 마음들이 가라앉으면 에너지가 충전되며 의식이 깨어난다 이는 알아차림이 강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강해진 내 의식은 자연스레 몸의 가장 큰 자극인 호흡을 알아차리게 된다 호흡이 알아차려지면 편안하게 호흡을 지켜보도록 내버려둔다 호흡이 들어오는구나 나가는구나 하고 편안하게 보는 것이다 명상을 진행하는 중에 잡생각이나 지루함 산란함 몽롱함 무엇인가를 원하거나 싫어하는 마음이 들 수 있는데 이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그저 내버려두면 된다 그리고 마음이 가라앉으면 다시 호흡이 보이게 된다 호흡이 보이지 않으면 아주 작은 관심을 주는 정도로만 신경을 써도 좋다 혹은 호흡이 보이지 않는 것에 만족하는 것도 좋다 중요한 것은 너그럽고 따듯하고 릴랙스하며 놓아버리고 만족하는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명상이 진전되다 보면 어느 순간 호흡에 완전히 몰입되어 신기하게도 호흡이 굉장히 재밌고 호흡을 지켜보는 일이 너무나 행복해진다 꾸준히 하다 보면 내 마음이 보다 건강해지고 행복해진다 완벽하게 릴랙스 되고 마음이 너무나 편안하고 평화롭고 고요해진다 그리고 커다란 만족감이 생기게 된다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고 그저 가만히 있기만 해도 내 마음속에 행복함이 보일 것이다.
@user-or4sm2yi3c
@user-or4sm2yi3c Ай бұрын
어릴땐 사람이 다 착하고 좋다고 생각했죠 군대 가기전까지 군대를 전역하고 일을 하면서 내가 열심히 하면 모두가 편해진다 생각하고 열심히 했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이용해서 착취를 하더군요 그뒤로는 성격도 이상해지고 우울증오고 대인기피증 생겨서 더이상 사람 상대를 안하고 자영업 합니다 진짜 역겨웠어요
@user-cj4dp2vn8i
@user-cj4dp2vn8i 10 күн бұрын
그건 일본이 더심함
@vocaloid1052
@vocaloid1052 6 күн бұрын
​@@user-cj4dp2vn8iㄴㄴ 일본이랑 한국이랑 비슷함
@user-zl7ik8th1g
@user-zl7ik8th1g Ай бұрын
자살 나약한 사람들의 현실 회피 ❌ 사회적 타살 & 죽음으로 진정한 휴식을 찾음✅
@user-fh2qj6uv6t
@user-fh2qj6uv6t Ай бұрын
그래도 죽지마잉
@TakeTheStorM
@TakeTheStorM Ай бұрын
현실회피 패배자들이죠 ㅎㅎ
@richganggg
@richganggg Ай бұрын
루저들이 자살함. 북한가면 자살할 생각 안듬
@user-jz2my5zh8e
@user-jz2my5zh8e Ай бұрын
인간은 나약한 존재다.. 언제라도 궁지에 뻐지기도 한다.. 나약한자들의 피신처라고 쉽게 치부해버리지 말자.. 당신에게도 그런 날이 다가올수도 있다..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Ай бұрын
​@@TakeTheStorM현실이그렇다는겆ㄱ
@greenbell-dv6nh
@greenbell-dv6nh 2 ай бұрын
이번에 태국 끄라비 여행갔더니 유럽사람들 천지더라.. 어떻게 유럽사람들이 휴가시즌도 아닌데 이런 태국 소도시까지 왔나 했더니 유럽은 회사에서 1년에 5주동안 휴가를 줘서 언제든지 쓸수있다함.. 그에비해 한국 사람들은 여름휴가 4일 쓰는것도 눈치보지... 이나라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너무 굴려지고있음 심지어 이게 문제라고 말하면 윗세대는 주6일 출근했다며 입을 막아버림 그러면 평생 회사의 인간 부품으로 죽을때까지 9-6 근무하란건지뭔지,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전혀 행복을 찾을수없으니 자살하는것도 이해감
@user-it5lq8dq2z
@user-it5lq8dq2z 2 ай бұрын
유럽???????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거는 상위 10프로 잘사는 사람들만이에요
@greenbell-dv6nh
@greenbell-dv6nh 2 ай бұрын
@@user-it5lq8dq2z 그니까 우리는 그 상위 10프로 잘사는 사람들만의 휴가제를 도입하면 안되나요? 설령 이 휴가제가 들어와서 한국 노동자 상위 10프로만 5주동안 휴가를 쓸수있다하더라도 이 제도에 영향을 받아서 중소기업도 일주일동안 휴가를 쓸수있게된다면 좋은거 아닌가요? 외국 선진 문물 본받자 해도 그건 일부 사람들만이라며 축소해버리면 영원히 발전할수없잖아요
@user-to2zr4do2k
@user-to2zr4do2k 2 ай бұрын
윗세대 말만 다 고분고분 잘듣느라 나라 다망하고 청년들 미래가 사라지는중
@user-it5lq8dq2z
@user-it5lq8dq2z 2 ай бұрын
빈부격차는 어느나라에도 있음
@user-it5lq8dq2z
@user-it5lq8dq2z 2 ай бұрын
싫으면 사회주의 가셈
@user-fo2hr9nx1k
@user-fo2hr9nx1k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순서도 잘못됐어 출산율 장려부터 할게 아니라 자살율 낮추는 것부터 했어야 해..자살을 하고 싶은 사람이 저렇게 많은데 누가 애를 낳나.. 이 세상이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야 결혼도 하고 애도 낳지
@park3097
@park3097 Ай бұрын
​user-cp3lh2vt5p그것도 안됨ㅋ
@user-gq4or2lt5q
@user-gq4or2lt5q Ай бұрын
답없지 머
@user-vy3mh5jv2t
@user-vy3mh5jv2t Ай бұрын
인간은 언젠가 다 죽긴 죽어요.잠깐 여행온거라 생각하고 사는거지....근데 태어나봤자 힘들고 죽도록 고생만하다가 죽는데 누가 애를 낳아서 자기 자식까지 굳이 이 고생을 시키고 싶겠습니까 ....???
@whats578
@whats578 Ай бұрын
이게맞지 자살율 낮추면 살만해졌다는거고 그러면 자연스럽게 애도 낳는데
@iiiiiiillli1824
@iiiiiiillli1824 Ай бұрын
여적 여 ㅜ 으
@user-xc7jz1fr2v
@user-xc7jz1fr2v Ай бұрын
제가 초등학생 때 저희 어머니가 자살을 결심하여 뛰어 내리려고 했을 때가 있었습니다 이유는 돈에 의한 정신적 스트레스였고 저는 그런 어머니를 붙들면서 제면 뛰어내리지말라고 울고불며 말렸습니다 다행히 저희 어머니는 뛰어내리지 않으셨고 저는 그 이후로 어머니 혼자 외출 할 때 항상 붙어다니면서 혹시나 어머니가 자살을 하진 않으실지 불안해하며 살아갔습니다. 하지만 6년 정도 지난 아직도 돈으로 스트레스를 받으시고 힘들어하시는 어머니를 보니 그때 제가 말린게 후회되기도 하고 그럽니다.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6년 전 그때와 지금을 비교해보면 사회적 분위기나 과도한 경쟁, 돈이 없으면 불행한 이 사회가 그대로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나중에 자식을 낳는다면 이런 사회에서 살게 하고싶은 생각은 없어서 출산율을 올리고 자살율을 낮추려면 이런 사회적 분위기부터 해결해야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user-st6tr6gr9z
@user-st6tr6gr9z Ай бұрын
아기 낳지 말아야겠다
@ogokkokoball
@ogokkokoball Ай бұрын
뭘 후회를해 잘 한짓이지
@win1001
@win1001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glorypeople1553
@glorypeople1553 Ай бұрын
제 예전 회원분이랑 사정이 같네요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user-uu1ju5sv9g
@user-uu1ju5sv9g Ай бұрын
영상에 다 나와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자살은 오로지 sns등에 의한 비교가 정답입니다 우리나라 자살의 원인은 전부 본인에게 있습니다 문제는 모두에게 잘못이 있다보니 이걸 고치려면 사회문화를 바꿔야 하는 수준인게 문제죠
@Seiron125
@Seiron12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실패에 대한 피드백이 없어요. 두번째 기회도 적고, 다들 성공만 얘기하지 누군가의 실패에 대해 말하지는 않죠. 그러니 인생에서 무언가 실패하게 된다면, 그냥 주저앉아버리죠.
@dbfldlsgud
@dbfldlsgud 2 ай бұрын
현재 정신과를 다니고있는 우울증환자로써 전 자살율이 경제적 이유와도 상당히 맞닿아잇다고 생각해요. 주변에 보면 생각보다 자기의 문제를 인식하고 병원에 가려는 사람들이 많아요. 근데 결국 그게 다 돈이예요. 그냥 10~20분정도 상담하고 약타는것만 3만~5만원들고 병에따라 확진에 필요한 각종 정밀검사는 10만원에서 20만원이듭니다. 눈에보이는병이 아니라서 병원을 꾸준히 다니면서 선생님과 상담을 하며 자기상태를 확인해야되는데 겉으로 난 상처는 자기가 가늠이 가능한데 마음의 병은 스스로 잘 몰라서 더 치료가 필요한데 이정도면 됐다 혼자 판단해버리기도하고요. 아픈걸 알때까지 보통 오래 아파왔기때문에 낫는데도 인내심잇게 오래 마주봐야하는데 시간도 그렇고 생각보다 돈이 너무 많이들어서 포기하는 사람들 종종 봣어요. 큰 수술이 필요해서 가족이나 친구한테 손을 벌리는 사람은 있어도 마음의 병 치료하겠다고 돈 빌리는 사람은 없잖아요? 보통 경제적 여유가 안되시는분들은 나라나 단체에서 운영하는곳을 소개받기도하는데 그런곳은 사람이 너무 많아서 몇주나 기다려야하고 선생님이 너무 지쳐계셔서 상담하기도 어려워요. 내가 지금 당장 사는게 급한데 나을지 어떨지 모르는, 아픈지도 스스로는 잘느껴지않는 병에 돈을 얼마나 쏟겠어요. 삶이 완전히 무너져봐야 치료해야됐었다는걸 뒤늦게 알게되요. 그치만 그땐 그만한 돈이없죠. 전 이런이유로 어린시절부터 1년에 한번씩 제대로된 심리검사를 의무적으로 이행해야한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이에따른 정신건강 교육을 어릴때부터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마주보는 시간이 필요하다구요. 전 성인ADHD이고 제 우울증과 불안장애는 스스론 제어하지 못하는 ADHD증상이 제가 이상한 아이라서 그런다는 자책에서부터 시작된거거든요. 그렇게 어른이 되었고 전 몇년동안 침대밖을 벗어나지 못했었어요. 내가 왜 다른사람과 다른지, 그게 이유가있다는걸 알았다면 적어도 그 옛날에 치료는 못했더라도 그렇게 스스로를 상처입히고 힘들어하지 않았을거라고 생각해요. 우리의 무지함과 정책의 안이함으로 별것없이 치부되던 일로 사람은 죽고 가족의 삶은 파괴됩니다. 얼마전 세상을 떠난 제친구처럼 더 안타까운일이 없었으면해서 글남겨봐요. 치료가 늦기전에, 그게 가능할때, 망설이지말아주세요.
@shykj8892
@shykj8892 2 ай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vx1ks3vc1i
@user-vx1ks3vc1i 2 ай бұрын
응원 합니다!
@user-hv3ni4sm8e
@user-hv3ni4sm8e 2 ай бұрын
약먹고 상담한다고 현실이 바뀌는건 아니라서 더 싫더군요 약먹으면 그냥 생각이 없어집니다. 머리가 빠가가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dbfldlsgud
@dbfldlsgud 2 ай бұрын
@@user-hv3ni4sm8e​​증상이나 약에따라 다르고 사람따라 달라요. 저도 약이 잘안맞아서 엄청 토하고 두통이와서 여러약을 먹어봤어요. 선생님이 저처럼 부작용 겪는사람 본적없다고 약물치료 안되서 전 TMS치료받고있어요. 본인이 무슨병때문에 어떤약을 드시는지모르지만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의 경우 멍해지는게 싫으면 선생님과 상담으로 충분히 바꿀수있고 내가 겪는 부작용이나 심정을 이해해주기 어려우신 선생님과 상담중이시라면 병원을 옮겨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도 상황이 바뀌거나 나아져서 병이 호전된건 아니예요. 상황이 바뀌는건 아니니 힘드시겠지만 우울증 등으로 내 삶이 더 피폐해지는건 막을수있죠. 나아지겠다는 의지만있으시면 괜찮아지실거예요.
@user-oh9fw7uo8z
@user-oh9fw7uo8z 2 ай бұрын
ㄹㅇ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돈은 아니더라도 대부분 어느정도 연관되어 있는데, 병원가서 상담받고 치료하는데 돈들고 시간들고.. 그냥 악순환임. 원인이 그대로 남아있는데 상담하고 약만 먹는다고 그게 근본적으로 해결이 안됨. 치료 안 받으면 바로 자살할 사람 당장 자살만 막는 수준임.
@butterKombucha
@butterKombucha Ай бұрын
뭔가 도전했다가 실패하면 옆에서 격려하지는 않고 "니가 못나서 그래, 니가 무능한걸 왜 사회탓을 해. " 하면서 패배자 취급 힘들다고 하면, "너 말고도 일 할 사람 많아" 사람을 사람으로 안보고 그냥 쓰다 버리는 부품취급 하니 거기에서 나는 쓸모없는 인간 이라고 느껴서 생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짐. 그냥 손댈게 너무 많은데 , 정작 기득권들은 지들 손에 쥔거 사라질까봐, 지들 주머니로 들어가는 개짓거리 정책만 만드는 중
@user-fu7dt8os1p
@user-fu7dt8os1p Ай бұрын
공감 1000% ❤❤❤
@TraderX888
@TraderX888 Ай бұрын
ㄹㅇㅋㅋ 심지어 가족들조차 저런시선임
@user-dz8lq5dz8y
@user-dz8lq5dz8y Ай бұрын
@@TraderX888 ㅇㅈ 부모조차 다른집 애랑 비교하고 열심히해도 성과안나면 애들탓을 해대는게 현실... 그런 환경속에 자라 누가 누굴 사랑하고 누가 애를 키우고 싶어지겠음 ㅋㅋ
@bobkim5801
@bobkim5801 Ай бұрын
“일단 나부터 살고 보자” 마인드로 독하게 살아야 되는게 한국사회죠. 안타깝지만 저도 저렇게 생각하고 삽니다… 예시로 미국처럼 식당 서빙을 해도 가정을 이루고 직업정신을 가지고 행복하게 사는 사람들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교육수준이 높고 사회적 기대치와 타인의 기준에 자신을 맞추려는 경향이 강해서 결국 안되죠 그러니까 자살도 늘고…
@Jujuju01110
@Jujuju01110 Ай бұрын
잠깐 몇달만 쉬어도 취업안하냐 ㅇㅈㄹ에은근히 무시하고 부모님이 지원해주실 형편되서 뭐 준비하는데 옆에서 닥달질
@user-dv2jl2gv3w
@user-dv2jl2gv3w Ай бұрын
주변에 아는 금수저가 있음. 자살률 출산율 이런 얘기하면, 다른 나라의 문제처럼 인식하고 ‘누가 가난하래?’ 라는 인식이 저변에 깔려 있음. 이 나라는 사람의 생명보다 돈으로 말하고 돈으로 대답하는 버러지같은 나라임.
@seongli721
@seongli721 Ай бұрын
내 아는 녀석도 부모잘만나놓고 이게 자본주의다 ㅇㅈㄹ하더라
@TraderX888
@TraderX888 Ай бұрын
ㄹㅇ ㅋㅋ 적어도 서구는 노블레스오블리주인 척이라도 하지 ㅋㅋ
@Aplus922
@Aplus922 Ай бұрын
누구는 ㅆㅂ 인생스타트가 홍어국 반지하인데.... 누구는 금수저라.... ....담배나 펴야지~
@laywaste7908
@laywaste7908 Ай бұрын
@@seongli721근데 그게 자본주의 임
@user-bt9sd7gz5x
@user-bt9sd7gz5x Ай бұрын
자본주의 세상이 그런것 아닌가요 돈이 삶의 전부고 부모의 재력이 나의 재력 아닌가요? 부모님 재산이 많으면 상속세 낮추라고 난리굿도 아니잖아여 대한민국은 누가누굴 탓할수도 없는 빡센 자본주의를 살고 있습니다.
@eosatto
@eosatto Ай бұрын
회사 다녀도 정병. 안다녀도 정병. 숨만 쉬어도 정병 걸림 ㄹㅇ.. 안락사 합법화나 해주시길 바라...
@kmimiy4055
@kmimiy4055 2 ай бұрын
솔직히 한국에 살면서 진심 죽고싶다 10번 이상 생각 안 해본 사람 없을듯. 가족문제, 회사문제, 인간관계 등 ... 화려해 보이는 사람들도 알고보면 체면 때문이고 깊이 들여다 보면 다 슬픔을 가지고 있음.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어렸을때는 "한" 이라는 정서가 멋있다고 생각했거든? 근데 ㅅㅂ 이제는 "한" 의 ㅎ만 봐도 기분 ㅈ같아짐. 일단 언어부터가 한살만 많아도 존댓말 반말로 나뉘고, 연장자는 무조건 우대하는 이 ㅈ같은 수직 서열 유교문화가 난 진짜 진절머리남.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2 ай бұрын
@@ferrari4avocado923ㄹㅇ 한이라는 우리 고유의 정서가 멋있어보이는건 초딩때 졸업했다
@user-up5wr9pg3l
@user-up5wr9pg3l 2 ай бұрын
남과 비교하며 스스로 못났다고 자책하는 게 그런 선택하는 건가
@user-wy8fn7zh6e
@user-wy8fn7zh6e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국민들 중 진짜 나라를 사랑하는 사람은 손에 꼽을 듯 ㅋㅋ 망해야 할 국가
@izumiaco5079
@izumiaco5079 2 ай бұрын
@@ferrari4avocado923 그거 가스라이팅임 ㅋㅋ
@user-px4lw3nl1q
@user-px4lw3nl1q Ай бұрын
방황하는 9n 년생 입니다. 이번영상이 왜이리 위로가 될까요 철저한 통계로 이 사회는 정상이 아니라고, 그래서 늘 노력했음에도 절망하고 끊임없이 몰아세우고 스스로의 탓만 했던 그 순간들이 어쩌면 나의 문제가 아닐 수 있겠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이런 사회에서 정망 씩씩하게 잘 살아 왔구나 스스로한테 말해주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od4cn2gv5z
@user-od4cn2gv5z Ай бұрын
고생했다
@user-lb4zj3vz2i
@user-lb4zj3vz2i Ай бұрын
@@user-od4cn2gv5z 이 한마디 보고 울컥했네요..
@14e-hc6qv
@14e-hc6qv Ай бұрын
맞아요 저희 모두 씩씩하게 잘 발버둥 치고 있던 거였어요
@hoodedcraneVolume
@hoodedcraneVolume Ай бұрын
고생하셨어요. 오늘도 내일도 화이팅
@dawn4549
@dawn4549 Ай бұрын
저도 90년대생인데.. 대댓에 응원해주는 말씀보고 울컥...😂
@user-mb4yb4lq4x
@user-mb4yb4lq4x 28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안락사 허용되는 순간 바로 안락사 오픈런 시작될거 같음,,,일단 나부터
@user-yu1fi9ek8d
@user-yu1fi9ek8d 23 күн бұрын
안락사 오픈런ㅋㅋㅋㅋ ㅠㅠㅠㅠㅠㅠ ㄹㅇ 이다
@qwqw2945
@qwqw2945 14 күн бұрын
ㄹㅇ나도 젤먼저듀ㅣ졌을듯
@user-mc5pt2ez7h
@user-mc5pt2ez7h 9 күн бұрын
이걸 웃어야해 말아야해ㅋㅋㅋㅋㅋㅋ하
@LEWISMINE129
@LEWISMINE129 9 күн бұрын
시발 내가먼저야ㅠ
@user-mp8pt4nv7l
@user-mp8pt4nv7l 7 күн бұрын
웃돈주고 2장 표사서 엄마랑가야지
@user-if4kx9vu8f
@user-if4kx9vu8f Ай бұрын
진짜 진심으로 대한민국에서 살기 싫다..^^ 나는 지금 고작29살인데 이 나라에서 살면서 인생이 잘 풀렸던 적이 거의 없었던 것 같다..죽지 못해 사는중 ㅠㅠ
@magaret8014
@magaret8014 Ай бұрын
외국나가요 방법을 찾아보세요 나도 그랬어요 진짜 한국을 뒤로하고 비행기 탔을때 해방감을 지금도 잊을수가 없네요 자살만큼은 하지마요 버티면 좋은일도 있더라구요
@Hongsi_park
@Hongsi_park Ай бұрын
@@magaret8014어디로 가셨나요?
@user-pb6pp7bl7b
@user-pb6pp7bl7b Ай бұрын
저도요… 이제 21살인데 삶이 행복했던적이없어요… 약간 세상이 저보고 포기하라고 하는느낌도 들고 이젠 나아질일이 없을것같다라는생각도 드네요 언니인지 오빠인지는 모르겠으나 쓴이님도 힘내세요
@magaret8014
@magaret8014 Ай бұрын
@@user-pb6pp7bl7b 지금 젊을때 죽을만큼 힘든게 나이 먹으면 편해질거예요 어릴땐 그걸 모르고 머리속에서 죽을 생각만 했는데 지금은 후회되요 이리 잘될거면 그때 힘들더라도 괴로워말고 살걸 ㅎㅎ 내 기준으로 잘되었어요 남들이 보면 평범 그래도 옛날에 비하면 천국이예요 항상 잘 잘될거다 쇠뇌시키면서 잘 버티시길 바랍니다
@user-pb6pp7bl7b
@user-pb6pp7bl7b Ай бұрын
@@magaret8014 그치만 사실 제일예쁠나이에 행복해보이는사람들을 보면 부러운게사실입니다 ..하하
@user-pd3ws5hv1w
@user-pd3ws5hv1w 2 ай бұрын
제 동생이 소방관인데 자살 시도 신고 출동이 제일 많다네요 사망자도 많지만 시도자 당연히 더더욱 많을겁니다 다른 나라 같으면 내전으로 사망하는 숫자만큼 많은데 심각성도 못느끼는건지 안전망이 없는 현실이 너무 심각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kk7hw4ds8e
@user-kk7hw4ds8e 2 ай бұрын
나이스~~~
@kevinwendellcrumb8560
@kevinwendellcrumb8560 2 ай бұрын
조만간 안락사 도입하는 나라가 될 것입니다.
@user-zj8sg9ez6e
@user-zj8sg9ez6e 2 ай бұрын
기껏 자살 대책이랍시고 하는 것들 보면 과거 옥상에서 뛰어내린다고 옥상문 잠궜는데 그 잠긴 옥상문 때문에 화재나서 사람들 많이 죽고 나서 다시 잠구지 않도록 바뀌었죠 자살이나 출산 대책 보면 원인을 바꾸고 싶은 생각이 절대 없음 영상에 나온 것처럼 자살예방 예산 우리나라는 400억대 일본은 6조대 이것만 봐도 인명경시가 매우 심한 나라죠
@user-is2gl8fz2x
@user-is2gl8fz2x 2 ай бұрын
@@user-kk7hw4ds8e 반어법이지?
@user-kk7hw4ds8e
@user-kk7hw4ds8e 2 ай бұрын
@@user-is2gl8fz2x 닉값중.
@BLUE-iv8xy
@BLUE-iv8xy Ай бұрын
원래 야근이 많고 개인적인 여가 활동의 시간이 없는 나라일 수록 자살률이 높음 적어도 4~5시에는 퇴근을 해야 무슨 활동이라도 할텐데 정시에 퇴근 시켜주는 직장이 많기를 하나 현재 대한민국은 일 하고 밥먹고 똥 싸고 자고 반복임 게다가 임금보다 물가가 너무 높아 낮은 월급을 받는 분들은 숨막히지.. 자기 자신이 여유롭지 않고 자신만의 시간이 별로 없는데 어떻게 행복 지수가 높을 수가 있겠어..
@jaehoonha6
@jaehoonha6 Ай бұрын
아직 한국은 인구밀집도가 너무 높아서 더 줄어야 합니다
@berrygoodnews1289
@berrygoodnews1289 Ай бұрын
완전 공감. 일하는 시간이 너무 김 ㅠ 진짜 강제로 4시 퇴근이면 모든 문제가 그냥 풀릴 듯. 부모들 일찍 끝나니 애기들도 행복. 가족도 행복
@user-rt3sn1kf4p
@user-rt3sn1kf4p Ай бұрын
​@@jaehoonha6인구가 줄어드는건 좋은데 노인만 남고 젊은이들이 줄어드는건 ㅈ된건데
@next9364
@next9364 Ай бұрын
ㅂㅂ
@user-ve7sf2uy9k
@user-ve7sf2uy9k Ай бұрын
야간근무 없애고 생산설비늘려서 고용늘려야됨,,사람 졸라게 갈아넣어서 적당하게 제품 만들어서 여태 내수 빨아먹고 기업운영하고있으면 이제는 희생좀해라,,
@Jun-ww6en
@Jun-ww6en Ай бұрын
라이브 채팅만 봐도 한국은 한동안 자살율을 낮출 수 없다. 우울과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부터가 쓰레기만도 못 함. 저것들과 같은 나라에 산다는 것 자체가 우울이다
@jayjay2778
@jayjay2778 Ай бұрын
우울증은 존재하지 않아요 ㅋㅋ 나약한 자신만이 존재할뿐
@Beth-nl2ls
@Beth-nl2ls Ай бұрын
에휴
@user-MelonGongwon
@user-MelonGongwon Ай бұрын
​@@jayjay2778이러니끼 자살율이 이지경이지...
@mnhd6313
@mnhd6313 Ай бұрын
@@jayjay2778트수 급발진ㄷㄷ
@ygp7700
@ygp7700 Ай бұрын
고통에서 벗어나 내면의 행복을 기르는 방법 첫 번째 따듯한 마음을 기른다 따듯한 마음은 조건 없는 사랑이고 행복을 바래주는 순수한 마음이다 나 자신이나 내 마음에게 말해준다 네가 어떤 삶을 살던 어떤 존재가 되던 어떤 사람이건 있는 그대로 사랑한다 내 마음의 문은 너를 위해 항상 열려있다 나는 항상 너의 편이다 고통에서 벗어나 평안하기를 바란다 언제나 행복하기를 바란다 이런 따듯한 마음을 길러서 나를 포함한 모든 존재에게 확장시켜나간다 보통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은 일으키기가 힘들므로 따듯한 마음이 잘 일어나는 순서대로 해도 좋다 자신과 가까운 관계에서 먼 순서대로 따듯한 마음을 계발하는 것이다 자신이 가장 사랑하고 가까운 친구 가족 애완동물 등으로 시작해서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 그리고 가깝지도 멀지도 않은 사람 그리고 나와 관계가 없는 모든 사람들 모든 생명체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에 대한 따듯한 마음을 보내도 좋다 무작정 따듯한 마음을 보내도 좋지만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며 서운함 불편함 싫은 느낌이나 부정적인 마음들을 내버려두며 놓아버리고 나서 자연스럽게 따듯한 마음을 이어나가는 것도 좋다 방법은 다양하고 본인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편안한 방법으로 진행하면 된다 따듯한 마음은 원인과 관계없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 주고 고통을 완화해 주고 행복감과 평화로움을 가져다준다 마음을 부드럽게 해준다 이외에도 너무나 많은 이익이 있다 두 번째 내버려두는 마음을 기른다 우리는 부정적인 마음을 해결하려고 하고 피하려고 하고 바꾸려고 하며 끊임없이 관여한다 혹은 그 마음과 내가 동일시되어 그 마음에 완전히 빠져버린다 내버려둔다는 것은 그것을 알아차리고 지켜보기만 할 뿐 관여하지 않는 것이다 그 마음을 거부하지도 피하지도 밀어내거나 바꾸려 하지도 않고 판단하지도 않는다 그저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고 그 마음에 만족하고 그 마음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다 그리고 내 일이 아닌 것처럼 그저 가만히 내버려두는 것이다 지금 순간이 어떤 느낌이던 불안하든 불쾌하든 어떤 마음이던 알아차리기만 할 뿐 그저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어야 한다 또한 얼마나 힘든 마음 상태이던 그것을 내버려두고 감내하다 보면 그것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인내심을 가지고 내버려두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물론 추우면 따듯하게 하고 더우면 시원하게 하고 졸리면 자고 배고프면 밥을 먹는 것처럼 행동이 필요할 때가 있다 취미를 가질 수도 있고 가끔 일탈을 할 때도 있고 자신과 가까운 사람을 만나 이런저런 얘기를 나눌 수도 있고 산책이나 운동으로 마음을 다스리거나 내가 보는 관점을 바꿈으로 그리고 지혜로써 해결하는 경우도 있다 상황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마음은 대부분의 경우 내버려두는 것이 좋다 마음을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다 보면 그 마음이 자연스레 지나가게 되거나 해당 마음에 적응하게 되며 만족하게 된다 이런 마음도 괜찮아 이런 마음도 충분하다는 마음이 들며 자연스럽게 그 마음을 따듯하고 너그럽게 대할 수 있게 된다 현재 무슨 경험을 하던 어떤 마음이든 간에 무엇을 바꾸려 들지 않고 있는 그대로 내버려두는 것 그리고 그것에 만족하며 충분하다고 여기는 것이 핵심이다 이것의 결과로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자유로우며 행복감을 느끼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앞에 두 가지를 꾸준히 할 수 있는 시간을 따로 가진다 우리가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운동을 하는 것처럼 마음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행복하기 위해 명상은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하루에 20~30분이라도 의자에 앉아서 하던 양반다리로 앉아서 하던 따로 명상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작은 일이라도 시작하는 게 중요하고 꾸준함이 중요하다 작은 일을 꾸준히 하다 보면 어느 순간 큰 성과가 보일 것이다 시작은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앉아서 눈을 감고 첫 번째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한다 몸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몸을 인식하며 몸의 긴장된 곳을 릴랙스하거나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잡는다 마음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 과거나 미래에 대한 생각들 잡념들을 버린다 신경 쓰이는 것들을 잠시 내려놓는다 다음으로 자신이 가장 사랑하거나 가장 가까운 사람 가족 친구 지인 등을 떠올리며 따듯한 마음을 보내고 모든 생명체 모든 존재에게 따듯한 마음을 보낸다 마지막으로 나 자신에게 따듯한 마음을 보낸다 그 이후 내 마음이 현재 어떤 상태인지 알아차리고 그저 내버려두며 쉬는 것이다 명상은 내 의지와 내 마음을 가라앉히는 일이다 잡다한 생각들이나 잡다한 마음들이 가라앉으면 에너지가 충전되며 의식이 깨어난다 이는 알아차림이 강해지는 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강해진 내 의식은 자연스레 몸의 가장 큰 자극인 호흡을 알아차리게 된다 호흡이 알아차려지면 편안하게 호흡을 지켜보도록 내버려둔다 호흡이 들어오는구나 나가는구나 하고 편안하게 보는 것이다 명상을 진행하는 중에 잡생각이나 지루함 산란함 몽롱함 무엇인가를 원하거나 싫어하는 마음이 들 수 있는데 이전과 똑같은 방식으로 그저 내버려두면 된다 그리고 마음이 가라앉으면 다시 호흡이 보이게 된다 호흡이 보이지 않으면 아주 작은 관심을 주는 정도로만 신경을 써도 좋다 혹은 호흡이 보이지 않는 것에 만족하는 것도 좋다 중요한 것은 너그럽고 따듯하고 릴랙스하며 놓아버리고 만족하는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 명상이 진전되다 보면 어느 순간 호흡에 완전히 몰입되어 신기하게도 호흡이 굉장히 재밌고 호흡을 지켜보는 일이 너무나 행복해진다 꾸준히 하다 보면 내 마음이 보다 건강해지고 행복해진다 완벽하게 릴랙스 되고 마음이 너무나 편안하고 평화롭고 고요해진다 그리고 커다란 만족감이 생기게 된다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고 그저 가만히 있기만 해도 내 마음속에 행복함이 보일 것이다.
@user-sn3qp4dm3n
@user-sn3qp4dm3n Ай бұрын
SNS 싹 끊은지 2년 정도 됩니다 지금껏 살면서 제 입으로 행복하다고 남들에게 말하는게 처음인 것 같습니다 욕심이 많이 줄었고 작은 일에 행복을 느껴요 저는 나이 30대초 입니다 사회적 박탈감 그딴거 없어요 좋은 사람 만나고 좋은 것만 찾아보면 나쁜 생각 줄어들더고요.
@user-or4sm2yi3c
@user-or4sm2yi3c Ай бұрын
카카오톡 유튭도 유튭뮤직 쓸려고 사용합니다 sns는 이것을 제외하고 다 안해요 10년 넘었어요 근데 정말 행복해요 남과 비교를 한다 자체가 없고 비교를 해봐야 자기보다 잘사는 사람과 비교를 하는데 웃긴게 어떻게든 자기보다 나은 사람과 비교를 하면서 정작 본인은 노력을 안해요 그래서 sns를 끊었어요 제 인생에서 제일 잘한 판단 같아요
@zjaaosi
@zjaaosi 29 күн бұрын
비교라...... 온라인에서 비교 하면 우울증이 덜해지는것은 위험 하지 않고 갈아내기만 하지 않고 완전한 소모품이 아니한 경우 입니다. 온라인 끊는다고 상황이 달라진다면 행복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그러기에는 너무 많은 진실과 경험 (온라인이 아닌 현실의 경험)과 현실을 살고 있지요. 언제라도 비명횡사 해도 이상 하지 않은 근무 환경속에 살아가는 사람들이 온라인 끊는다고 우울증이 없어진답니까...
@firstpayyourself
@firstpayyourself 9 күн бұрын
ㅇㅈ 인스타 끊었더니 보여주기식 소비 줄고 별로 친하지도 않는사람 소식도 모르게되고 진짜 내가 하고싶은거 하게됨
@user-ey1cu4nq2e
@user-ey1cu4nq2e Күн бұрын
저도 지금 3달째 인별 삭제로 세상과 단절되어서 좋은것도있고 실은 소식을 몰라 답답하지만,중독현상이나 비교해서 불행한것없이 편한건 있네요 😂😊😊😊
@user-rt7wd8by7x
@user-rt7wd8by7x 2 ай бұрын
출산율과 자살율은 근본적으로 같은 이유가 있는것 같다. 살아보니 이 사회는 살아볼 가치가 없는것. 그렇게 결론을 냈기에 굳이 자녀를 낳아 이 나라, 이 사회를 경험하지 않게 하는것. 그리고 더이상 경험해 봤자 뻔한, 경험해 볼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
@user-cs1dh5oz2p
@user-cs1dh5oz2p 2 ай бұрын
맞네요..
@wvwvv5273
@wvwvv5273 Ай бұрын
진짜 다 이건
@hellolemon_luna
@hellolemon_luna Ай бұрын
like 지크예거의 안락사 계획
@eunsohjjk5960
@eunsohjjk5960 Ай бұрын
이민가지
@KK-sp1tt
@KK-sp1tt Ай бұрын
존나 먹먹하네ㅋㅋ..
@firepotato4832
@firepotato4832 2 ай бұрын
현직 구급대원입니다. 요새 자살관련 출동이 체감이 될정도로 늘어나서 우리관내 무슨일 있나 했는데 전국적인 일이였네요.. 특히 젊은 2030세대 자살시도가 지난 몇년보다 많아진것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다들 몸 마음 아프지 말고 행복했으면 좋겠어요 ㅠㅠ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90년대생들이 출산율 반등시켜 줄거라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자(검열)살률 역대급 찍을 것 같은데.
@honshin23
@honshin23 2 ай бұрын
사회 전체가 부패해서 젊은층은 미래가 안보이니 자살 선택하는거죠... 집값과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SNS로 남 비교질에, 취업은 잘 안되니..... 현재 한국인들 대부분이 자기 만족을 못하고 남과 비교하는 정신병이 있음...
@vanced4986
@vanced4986 2 ай бұрын
수고많으십니다.
@nopregnant
@nopregnant 2 ай бұрын
작년인가 좀 줄엇다고 들었는데 올해부턴 또 좀 늘엇나 보네요?
@ilililliliiillil
@ilililliliiillil 2 ай бұрын
4월~5월이 가장 많아요 실제로 통계학적으로 많다 하더라고요 겨울 -> 봄 넘어가면서 일조량이 달라지니까 호르몬 변화로 우울증 지수 높아진다고 해요
@jun6992
@jun6992 Ай бұрын
댓글 11,405개... 다른 영상보다 댓글이 엄청 많이 달린것만봐도 한국이 얼마나 자살에 관심이 많은지...
@user-lc5ks3lq7i
@user-lc5ks3lq7i Ай бұрын
자살에 관심이 많다는 건 그만큼 체감하는 당사자가 많다는 것…
@ImfromKorea_
@ImfromKorea_ 22 күн бұрын
그만큼 다들 절박하게 살고있단거 아닐까ㅠ
@user-kf7pk9hg5q
@user-kf7pk9hg5q Ай бұрын
외모로 학창시절 내내 친구 못사귀고 따돌림 당하다가 그냥 그것들보다 잘살겠다고 살고는 있는데 변화가 너무 힘들어 그냥 살아가는 중입니다. 부모님이 금전적으로 도와주셔서 대학은 미국으로 가려구요. 더는 못살겠어요. 예체능이라 다 아는 애들 다 비슷한 대학교가서 다시 인생에서 얽힐것 같은데 도망이라 비난받지만 그냥 도망이 더 행복할것 같아요.
@Gt_34tbbs667
@Gt_34tbbs667 Ай бұрын
가셔서 절대 뒤돌아보지말고 미국에서 10년20년이고 사세요 한국 다시돌아오면 다시 리셋입미자
@user-eh9tb1vj2e
@user-eh9tb1vj2e Ай бұрын
너같이 생긴 애들은 다른 나라가도 따돌림이야 ㅋㅋㅋㅋㅋㅋ어울려 줄 거 같냐?
@m-le5gi
@m-le5gi Ай бұрын
위답글같은애들이 크랩멘탈리티해도 신경쓰지마세요
@user-bh4wt8nv9u
@user-bh4wt8nv9u Ай бұрын
새로운 도전이지 왜 도망인가요.. 행복하십쇼
@LydiaHJR
@LydiaHJR Ай бұрын
미국도 예술계에 인종차별 꼰대가 많다던데 인간세상 비슷하니 반드시 인성 좋은 인맥을 잘 만드셔서 행복하게 사셔요 살다보니 실력보다 인성 좋은 친구가 굉장히 중요한거 같아요
@Eric-Kang
@Eric-Kang 2 ай бұрын
슈카형 이렇게 한국 사회 문제들을 계속 다루며 강조해주세요. 되도록 안 좋은 이야기는 안 하려고 했다고 하셨는데, 형이 해주셔야 합니다. 형이라도 계속 문제를 인식시켜야 많은 사람들이 깨달을 수 있습니다.
@goodwind126
@goodwind126 2 ай бұрын
원래는 언론이 해야하는건데...
@gizipung6248
@gizipung6248 2 ай бұрын
이정도면 아프리카인 중국인 이슬람인 가릴쳐지가 아닌듯 ㅋㅋㅋㅋ어차피 냄비근성에 출산도 안해 개복치마냥 죽는 애들쓰는 것보다 효율적이며 안정적일듯?
@nugi9725
@nugi9725 2 ай бұрын
이 형도 건드리기 무서운 주제가 있어...
@user-d5ffg8gf5yw3
@user-d5ffg8gf5yw3 2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지 다른 사람들은 저출산 자살율 몰라서 말 안한다고 생각함??? 본인 혼자만 사회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거? ㅅㅂㅋㅋ
@lsoso552
@lsoso552 2 ай бұрын
​@@RYEOL9797그렇게 맹신하면 태극기 부대가 될수도 있습니다. 혹시 슈카형이 실수하면 회초리도 들줄 아는 시청자가 되어보아요~
@iebcitkw
@iebcitkw 2 ай бұрын
현직 경찰관인데 거의 가장 많이 들어오는 신고가 실종,자살신고입니다 더욱 안타까운건 새벽 시간에는 자살기도자를 인계할 기관이 없다는 것입니다.. 보호자가 있으면 다행인데 없다면 정말 난감합니다.. 신고는 계속 들어오는데 그분들을 놓고 가기에는 마음이 편하지 않고 그렇다고 인계할 기관이 있는 것도 아닙니다.. 예산보니 기관이 없는 것도 이해가 가네요.. 빠르게 개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sca7531
@sca7531 2 ай бұрын
노답..... 고생많으십니다.....ㅠㅠ
@hju5455282
@hju5455282 2 ай бұрын
구청직원입니다. 당직신고 받아서 나가는 일 중에 자살신고가 점점 늘기만 하네요
@hayek5783
@hayek5783 2 ай бұрын
정신과적 응급상황이니 폐쇄병동 갖춰진 정신과 입원실있는 병원 응급실이라도 잘 설득해서 데려다 주세요. 집에 놔두면 큰일 납니다.
@banseokJeong
@banseokJeong 2 ай бұрын
고생많으십니다 힘내십쇼
@yeorokim9800
@yeorokim9800 2 ай бұрын
관련 기관이 없다니요... (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가 있는데요? 이십년 넘게 자살예방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경찰이라는 분이 이런 사실도 모르고 있다니ㅠㅠ (자살예방상담전화 109)
@HelpMe-rg8uh
@HelpMe-rg8uh Ай бұрын
자살을 막겠다는 것도 사실 웃기지 그만하겠다는 사람 억지로 붙잡아두는게 의미가 있나 차라리 안락사 도입해서 갈사람 깔끔하게 보내줘라 그게 사후처리하는 사람도 편하고 죽는 사람도 편하다
@jayjay2778
@jayjay2778 27 күн бұрын
이게 맞지 솔직히 사람은 많고 숫자 훨씬 더 줄여야 함. 서로서로 더 괴롭히고 더 후벼파고 강한사람들만 남고 나머진 자연도태 시켜야하는게 맞지
@ZB-xt2lp
@ZB-xt2lp 24 күн бұрын
나도 이게 좋다고 생각함 더 나아가서 안락사 시체는 본인 동의후에 바로 이식 필요한 사람한테 가고 말이지
@youngwave3742
@youngwave3742 18 күн бұрын
안락사 도입하는 순간 3/1은 갈듯 일단 나부터 갈거임
@clementine337
@clementine337 12 күн бұрын
사회적 대혼란은 안된다!!
@clementine337
@clementine337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인구 10퍼센트씩 1년마다 안락사로 줄을듯ㅋㅋ
@user-od4go1mx9z
@user-od4go1mx9z Ай бұрын
지나가는 아무 한국인 붙잡고 두마디만 섞어도 피곤해진다~ 이게 팩트다
@v_cookie_lov1023
@v_cookie_lov1023 2 ай бұрын
사실 자살률1위와 출산률 하위1위는 같은 말인것같음. 자살률1위 나라에서 출산률이 높다면 그게 더 아이러니 할지도
@always22_63
@always22_63 2 ай бұрын
엘살바도르 살인률 1위 ㅡ 한국인들 "저런 나라에서 어떻게 사냐 무섭다 끔찍하다" 한국 자살률 1위 ㅡ 엘살바도르인들 "한국에서 어떻게 사냐 무섭다 끔찍하다"
@skypongpong0823
@skypongpong0823 2 ай бұрын
오……
@Dugwaja
@Dugwaja 2 ай бұрын
납득되네요
@TV-mh2nn
@TV-mh2nn 2 ай бұрын
오..
@user-xd7sw9sp3n
@user-xd7sw9sp3n 2 ай бұрын
근데 섹스는 많이들 하더라고요 낙태률 상위권이던데 ㅋㅋ
@hayeonkim7838
@hayeonkim7838 2 ай бұрын
ㄹㅇ 한국 학생들 생활 패턴은 진짜 옛날이 아니면 예나 지금이나 공장이나 교도소에서 먹고 자고 하는 사람 생활 패턴하고 똑같음.. 정신이 망가지면서 크는 게 너무 쉬운데 다들 워낙 비슷비슷하게 크다보니 전체주의적이고 개성을 절대 용납 못하는 분위기라 주변은 조금이라도 나랑 다르거나 멀쩡하게 크지 않으면 압박 겁나 줌 이런 환경에서 자살률이 낮은 게 오히려 이상하지 않을까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괜히 분단국이 북(검열)한이 아님. 한국 사람들은 사람 자체가 전체주의 적임. 튀면 ㅈ되는 나라.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괜히 분단국이 북(검열)한 이겠음?
@lopazz5165
@lopazz5165 2 ай бұрын
개성을 중시하고 멀쩡하게 크지 못한사람들을 이해하고 받아들여주는사회ㅋㅋㅋ 너무 유토피아 아니냐
@paralight
@paralight 2 ай бұрын
군대가 젤 영향큰듯합니다 다양한 가능성과 성향가진 사람들을 일반화, 규격화 시켜서 바보 만들기에 안달난곳인데 전국민 절반이 거길 거쳐나오니...
@UnVeranoSinTi121
@UnVeranoSinTi121 2 ай бұрын
학교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학업보다 남에게 보이는 눈치 , 잘보여야 하고 남들과 달라보이면 안된다는 압박감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더 심한거 같음
@yolo_earth
@yolo_earth 10 күн бұрын
미국에서 유학생활 중인데, 여기서 느끼는 건 “사람들이 왜 이렇게 긍정적이지?” 라는 생각을 너무 많이 했다는 거에요. 달리 말하면 한국에 있을 때는 정서나 분위기가 주변 상황이나 본인의 미래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할 여지가 없는 것도 하나의 큰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ㅜㅜ
@ardoche
@ardoche Ай бұрын
비교문화.. 간섭문화.. 수많은 오지랖퍼들.. 본인하고 안 맞으면 왕따시키기.. 좀 혼자 조용히 점심 먹고싶어서 혼자 먹으면 이상한 눈빛으로 쳐다보는 이상한 국가.. 또 남의 결혼이나 출산 문제는 오질라게 물어보고 안하면 이상한사람 취급.. 비정상들이 모여 사는 비정상적인 사회.. 더 말하면 입아픈.. 어찌보면 당연하지
@reloolh755
@reloolh755 2 ай бұрын
우울증은 우울한 게 아니더라. 내가 겪어보니까 불안하고 공허하고 무기력하고 온갖 부정적 감정의 총집합이더라. 주변에서는 자꾸 운동이든 뭐든 아무거나 해보래. 그래야 괜찮아진대. 근데 그 뭘 해야 된다는 생각 자체가 아예 안 들어. 무기력하다는 게 게으른 게 아니라 진짜 아무 것도 못하겠음. 일상을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하는 모든 사소한 것들조차 버거운 일처럼 느껴짐. 지금의 나야 다행히 병원 잘 다니고 운동도 하고 그 늪에서 벗어나서 지금은 잘 살고 있지만 그때 생각하면 어우... 다들 힘냅시다. 그리고 우울증 같다고 느껴지시는 분들은 꼭 병원 가세요. 본인 탓이 아님.
@user-px2ew4pd3i
@user-px2ew4pd3i 2 ай бұрын
오~완전 내얘긴데
@muhendisim
@muhendisim 2 ай бұрын
user-cp3lh2vt5p 지금은 괜찮으신가요?
@user-os5wm1bu5w
@user-os5wm1bu5w 2 ай бұрын
그냥 아무 감정이 사라짐 그리고 엄청나게 무기력함 잠만 자도 싶음
@muhendisim
@muhendisim 2 ай бұрын
user-cp3lh2vt5p 그렇군요. 저도 비슷한 경험을 했어서 지금은 괜찮으신가 궁금했습니다. 다행이네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
@toloatoloa
@toloatoloa 2 ай бұрын
저도 그랬어요 십대때 부터 자살 충동이 심했었는데 병원다니면서 지금은 많이 좋아졌어요 우울증 정말 치료 하기위해 노력해야 해요 정말 무기력한 마음 때문에 아무것도 하기 싫었는데 경험해보신 분들은 잘 아실겁니다.
@user-lc7xw1cg3k
@user-lc7xw1cg3k 2 ай бұрын
초등교사인데 우리 애들 보면 저 수치가 너무 이해 됨.. 애초에 어린이집 10개월반, 밤 8시까지 초등돌봄 이게 진심으로 말이 되는 상황이냐? 태어난 순간부터 남의 손에 크다가 초딩이 되면 평생을 경쟁사회 속에서 시달려온 부모의 불안을 달래기 위해서 하루 종일 학원에 시달리다 밤 10시에 겨우 집 들어가서 씻고 폰 보다 자는 거임... 가만 보면 애들 인생이 나이 서른 먹은 직장인인 내 인생보다 더 재미없다. 이렇게 사는 아이들 생각하면 정서만 걱정하기 십상이지만 또다른 문제가 얘네 체력이 진짜 저질임..... 무슨 열살배기들이 스무살 이후로 술이나 먹고 운동이랑은 담 쌓은 나보다 체력이 더 나쁨. 요즘 학교 운동장 진짜 코딱지 만한데 그걸 두 바퀴를 못 뜀... 얘네 이 몸으로 앞으로 70년을 어떻게 살지 그런 생각이 다 듦ㅠ 하루종일 힘에 부치는 과제를 요구받다가 어둑한 밤에 핸드폰으로 나보다 잘난 것 같은 사람, 나보다 열심히 사는 것 같은 사람이나 구경하고 있으면 당연히 우울감이 찾아오겠지. 그런데 그 상황에 얘 몸뚱이에 그걸 이겨낼 기력도 없다? 애들 생각이 어느 방향으로 튀겠음... 진짜 남 얘기가 아니다 내 주변에도 제자 잃은 선생님 여럿 계시고.... 제일 절망적인 건 문제를 해결할 답을 제시하는 사람은 여럿 있지만 그 사람들의 목소리는 절대 영향을 끼치지 못 한다는 거임... 지 새끼 지 손으로 안 키운 다 늙은 것들만 표 얻어쳐먹으려고 헛소리를 지껄이고 다님...ㅠㅠ....
@mufama9995
@mufama9995 2 ай бұрын
잘나가다 방향이 표 얘기나? 우쭈쭈 부모 잘못이지..
@Wooo30
@Wooo30 2 ай бұрын
맞벌이 부모가 애를 케어못해서 어쩔수 없는듯 10개월반이나 저녁까지 애기들 있는건 ㅠ
@maximum11245
@maximum11245 2 ай бұрын
낳지마세요~ 누칼협?
@user-ge8ye7yl7j
@user-ge8ye7yl7j 2 ай бұрын
​@@mufama9995마지막이 제일 맞는 말인데?이게 문제인 걸 이제 겨우 알게된게 아니잖아 고치질 않는거지
@Dohan06
@Dohan06 2 ай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에 조선족 출신에 칭화대 미술과 낙제해서 한국으로 건너가 기회를 꿈꾸다 국가사회주의대한노동자당을 창당하고 우리 나라를 다시 부흥시켜줬음 좋겠다
@Sehyeon06
@Sehyeon06 Ай бұрын
자살은 죽고싶은게 아니라 사는게 너무 힘들어서 하는거임.. 자살의 고통보다 하루하루 사는게 더 고통스러우니..
@user-gx5qc9ge6w
@user-gx5qc9ge6w 7 күн бұрын
진짜 쉴곳이 없는 느낌이 크죠. 밖에서는 사회에 의해 비교당해, 집안에서는 부모에 의해 비교당해, 어려서부터 뭐는 해라 뭐는 하지마라가 너무 크게 자리잡은 사회라서 그런지 한계가 오면 쌓여서 터지는거 같아요..
@oliviakim6849
@oliviakim6849 2 ай бұрын
외상중환자실 간호사입니다. 나이와 남녀를 따지지 않고 자살 환자 정말 많아요. 깜짝 놀랄 정도로 많습니다. 대책이 시급해요.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문제를 덮어놓고 피하다 보면, 거지꼴 못 면한다." 한국 사회에 꼭 해주고 싶은 말입니다. 슈카형, 눈치보지 않고 계속 다뤄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cf6tf4zz6j
@user-cf6tf4zz6j 2 ай бұрын
@@XXXX-wr6es 너거는 무슨 생각으로 사냐?
@managen12345
@managen12345 2 ай бұрын
​@@XXXX-wr6es지금 당장 간호사분들 먹고살게 해주겟니?
@gt-lu6qw
@gt-lu6qw 2 ай бұрын
@@XXXX-wr6es외상중환자실이 환자 수술하면 이득볼거 같냐? 손해볼거 같냐? ㅋㅋㅋ
@Anne-wh5ms
@Anne-wh5ms 2 ай бұрын
고생 정말 많으십니다 🙏🏼
@user-si4pq1xs5c
@user-si4pq1xs5c 2 ай бұрын
일년전에 자살할라고 했던 사람입니다 당시 정신적으로 심각하게 힘든일이 있어서 정신과에 전화하니까 2달기다리라 하더군요 이게 현실입니다~ 와우.. 이렇게 좋아요 많이 받을줄 몰랐어요 소중한 댓글달아주신 40분 좋아요눌러주신 849분 모두 항상 행복하세요 정말 감사합니다
@sogogi9595
@sogogi9595 2 ай бұрын
가도 제대로 된 상담과 처방이 이뤄지는건 기대하기 힘들어요ㅋㅋㅋ 정신과로 가니까 상담시간에 안부 정도만 묻고 약만 주고, 또 비보험인 비타민 주사는 꼭 끼워팔고+약은 그냥 감정과 생각을 못느끼게 하는 느낌 전문상담센터로 가니까 무슨 말을 해도‘왜 그랬어요?’, ‘그때 무슨 기분이었어요?’만 앵무새처럼 무한반복.. 파악하려는건 알겠는데 한 달 내내 저러고 나아지는건 없으니까 화가나서 ‘선생님은 어떠셨어요?’, ‘제가 지금 이렇게하면 선생님 기분은 어때요?’ 물어보니까 정작 본인도 대답 못함ㅋㅋㅋ.. 저런 사람들도 전문의라고 살아가는데 생각보다 대충 살아도 살아지는구나 느끼고 지금은 소소하게 잘 사는 중😅😊
@user-si4pq1xs5c
@user-si4pq1xs5c 2 ай бұрын
@@sogogi9595 저두요 ㅎㅎ 열심히 일하고 운동하고 야옹이들이랑 더 교감많이해주고 ㅎㅎ 할일을 강제로 만들어서 살다보니까 어떻게든 살아지네요 ㅎㅎ 소중한 답글 고마워요 내일도 좋은하루 보내요:)
@heel1684
@heel1684 2 ай бұрын
에효 타인이 별 도움이 안되는게 안타깝지만 현실입니다. 어렵지만 이제 우리 모두 내가 나를 돌보는법을 배워야할거같아요. 나의 감정은 내가 존중해주기 내 이야기는 내가 들어주기 일기라도 쓰며 산책이라도 다니며 스스로를 돌보고 작고 소소한 기쁨이라도 찾으며 느리게 한걸음씩 일어나봐야겠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user-uj5ye3hr3x
@user-uj5ye3hr3x 2 ай бұрын
@@user-si4pq1xs5c 고생했어요.. 잘 하셨습니다.
@JK12127
@JK12127 2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의사쌤 잘만나는것도 중요하더라구요 제주변에는 우울증으로 상담센터 다닌 친구 있는데 많이 좋아진 친구 있습니다! 부디 좋은 연이 닿으시길 바랄게요!
@whatimlookingfor9293
@whatimlookingfor9293 Ай бұрын
일단 학벌 열등감은 질병으로 분류 되어야 함. 농담하는 게 아니고 진지하게. 다들 정신병에 걸려있음. 나조차도 그것 때문에 1년째 약 먹고 있디. 한국만큼 미친 나라가 없음.
@YujinYoon-xr1tw
@YujinYoon-xr1tw Ай бұрын
애 낳는게 죄임. 내 자식은 태어나서 이 지옥같은 사회에서 평생 경쟁하다가 부품처럼 취급받고 일하다가 얼굴도 모르는 늙은이들 위해 세금바치다가 정작 지가늙으면 챙겨줄 사람도 없겠지
@redmoon12321
@redmoon12321 Ай бұрын
이미 아이를 낳았다면 한국은 답이 없고 그래도 더 나은 다른 곳으로 탈출해야죠
@user-tn6vh7iu9n
@user-tn6vh7iu9n 20 күн бұрын
안락사 합법화가 유일한 해답입니다
@user-zy7fm8lw2s
@user-zy7fm8lw2s 18 күн бұрын
그거 진짜 위험함. 나도 비슷하게 세상에 태어나는게 맞나? 고통받을 존재를 만드는게 맞나? 태어나지 않았으면 기쁘지도, 아프지도 않지 않아? 이런 생각 갖고 있었는데 뭐에 홀린건지 임산부만 보면 죽탱이 돌리고 싶었음
@user-wd9tw5df4x
@user-wd9tw5df4x 18 күн бұрын
제발 낳지마셔요 ㅎㅎㅎ
@user-wd9tw5df4x
@user-wd9tw5df4x 18 күн бұрын
​@user-zy7fm8lw2s 윽..
@byunduram
@byunduram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이게 좋아 하는것들도 대부분 사람 갈아서 나오는 현상임 밤새 하는 편의점 = 야간 알바 갈아넣음 새벽배송 = 택배기사 갈아넣음 빠른 행정처리 = 공무원 갈아넣음
@user-tr9ds8dd9x
@user-tr9ds8dd9x 2 ай бұрын
ㄹㅇ 광기 그 자체 😂
@user-oh9fw7uo8z
@user-oh9fw7uo8z 2 ай бұрын
의료서비스 좋다 하는데 사실 의사 간호사 갈아넣어서 나온 시스템ㅋ
@user-em1qo5jf4d
@user-em1qo5jf4d 2 ай бұрын
@@user-oh9fw7uo8z 의료기사들도 있어요😂😂
@user-pz7xj1ln2l
@user-pz7xj1ln2l 2 ай бұрын
이렇게 써놓으니까 ㅈ1ㄴ 기괴한 국가처럼 보이기 시작함
@user-ky3tr3qs7m
@user-ky3tr3qs7m 2 ай бұрын
택배는 제일 빨라도 3일 걸리눈 걸로 바꿔야 함…편의점은 갑질 방지 매너 교육 초딩 때부터…공무원 행정 처리 =ai 로봇 활용
@vous3584
@vous3584 2 ай бұрын
경쟁력 없는 사람(즉 못난 사람)도 그럭저럭 맘 편하게 살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하는데 바로 루저 취급하면서 낙오자로 만드는 사회 분위기때문인거 같음...예전 어떤 국가대표가 하던 말이 생각나는데 상대방과 겨뤄보니 절대 이길수 없다는 걸 스스로 알았는데 주변에서는 넌 할수 있어, 이겨내!라고 몰아대기에 너무 고통스러웠다고 말했음...
@adequate135
@adequate135 2 ай бұрын
@user-kj4gt2ke8v경쟁력이 없다=못났다?ㅋㅋㅋㅋ 인간을 물건처럼 생각하네
@vous3584
@vous3584 2 ай бұрын
@user-kj4gt2ke8v ?
@user-qs6ew5ll6s
@user-qs6ew5ll6s 2 ай бұрын
우리 모두는 다르다 라는 것을 인정하는 게 절실해보입니다~
@hahahaha5305
@hahahaha5305 2 ай бұрын
경쟁력 없는 사람(즉 못난 사람) = 회복될수없는 이유
@jazzylife7849
@jazzylife7849 2 ай бұрын
국가에 관광지나 자원이없어서 그런거같습니다… 돈 가져올데가 노동력/기업밖에없어서 ㅠ 사람이 똑똑해야해서 경쟁이 심하고…. 안그러면 도태되고 그걸 당연시하는거같네요…
@qhal9955
@qhal9955 Ай бұрын
지인이 뉴질랜드 국적 가지고있고 거기서 몇년살다 지금 한국들어왔는데 뉴질랜드와 같은직업을 하고있음에도 조직구조의 문제 새로운 갈등이 너무 많아 힘들다고해요 인사성이 밝아 인사를 크게하면 아는사람이냐 꼽주고 별에별걸로 물어뜯기 바쁘다고. 처음 한국들어왔을때 정말 밝았는데 요즘 찌들려 직장욕하는 모습보고있으면 많은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도그지인은 돌아갈 국적이라도있지 나는 뭔가 싶은 현타가 옵니다.
@topical6896
@topical6896 Ай бұрын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기타 등등 아무리 이민지랑 할지 않들 동양인은 영원한 이방인
@Dicghost
@Dicghost 16 сағат бұрын
저도 미국사는데 여기선 밝게 인사하는게 + 요소이고 스몰토킹이나 친근한 성격이면 더더 좋거든요 제성격이 원래 그렇기도 하고 주변에서 밝다 유쾌하다 는 말씀 많이듣는데 한국에서 회사다닐때 동료들과 친하다는 이유만으로 사수가 왕따시킬려고 했었습니다.ㅋㅋㅋㅋ 물론 눈치챈 동료들이 보호해줬지만 정말 말도안돼는걸로 후려치는 말 무례한 말 쉽게해요. 여기서도 한국 친구들 많지만 다들 친근하고 정말 예의바르고 함부로 선넘는 언행 질문 안합니다. 하는 사람들은 다들 앞에서 인사는 받아줘도 절대 먼저 찾거나 일을 같이 안해줘요. 한국의 장점 도 정말 많지만 단점역시 극명해서 ( 급나누기, 무례함, 서열 ) 이런게 지긋지긋합니다. 사람자체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사람이 일궈낸 뒷배경에 관심들이 너무너무많아요...주말에 뭐했어? 취미가 뭐야? 이런 질문 굉장히 상투적인걸로 치부되고요 여튼..뭐..뭐가 문제가 많긴해요 특히 오랜만에 나갔다가 들어오면 더더욱 잘보입니다..
@user-lv8cy5rh7z
@user-lv8cy5rh7z Ай бұрын
다시 태어나면 한국에 태어나겠다 선택하는 사람 거의 없을거다
@user-yc8pg9wk3e
@user-yc8pg9wk3e Ай бұрын
이게 바로 출산율 역사상 최저의 이유죠.. 내 새낀 이런데서 살지 않게 하겠단 의지가 본능을 이김.
@user-fd5yc6gx4x
@user-fd5yc6gx4x Ай бұрын
그럼 북한에서 태어날래 ??
@Soongdang1
@Soongdang1 Ай бұрын
​@@user-fd5yc6gx4x그 뜻이 아니잖아
@user-lv8cy5rh7z
@user-lv8cy5rh7z Ай бұрын
@@user-fd5yc6gx4x 북한이 한국보다 자살률 낮습니다
@JinnYoungKim
@JinnYoungKim Ай бұрын
​@@user-fd5yc6gx4x김정은으로 태어난다면?ㅋ
@user-qu3ro8tw9e
@user-qu3ro8tw9e 2 ай бұрын
서로에게 상처 주는게 자랑인 사회, 평범한 것을 창피한 것이라 생각하는 사회, 자신이 행복한 요소보다 자신이 불행한 요소부터 먼저 생각하는 사회, 진짜 답이 없다...
@user-xu9br3pb2e
@user-xu9br3pb2e 2 ай бұрын
답을 아다 적어놓고 답이 없다네 그러니 자연 도태되는거 맞는것임
@user-nb5dr8tm9p
@user-nb5dr8tm9p 2 ай бұрын
@@user-xu9br3pb2e뭐라노
@user-is2gl8fz2x
@user-is2gl8fz2x 2 ай бұрын
@@user-xu9br3pb2e 답이라는 건 문제해결책인데, 니가 말하는 답은 해결책이 없어서 해결책이 안보인다고 말하는 것이 답이냐?
@user-xu9br3pb2e
@user-xu9br3pb2e 2 ай бұрын
@@user-is2gl8fz2x 뭐가 문제인데 사회는 원래 서로에게 상처주는것이고 그상처를 받으면서 더 굳세게 성장하는것이며 평범한걸 이상하다할때는 그게 평범한거아니고 행복한것보다 불행한것부터 찾아서 예방하는것이 더 행복해지는것임
@FPSleia
@FPSleia 2 ай бұрын
​@@user-xu9br3pb2e 대한민국의 멸망은 자연의 섭리
@alwaysawake129
@alwaysawake129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딱 '빛 좋은 개살구'라는 표현이 맞는 것 같아요.. 겉은 화려하지만 속은 썩을대로 다 썩어버린...
@user-db2fu8gx1x
@user-db2fu8gx1x 2 ай бұрын
애초에 자원도 없고 식민지제국도 없고 개혁개방도 오지게 늦게 한 흙수저국가가 여기까지 올라온것도 용한겁니다... 지구상 대다수 후진국, 개도국처럼 안된게 다행인거죠
@user-be2lo2nn4x
@user-be2lo2nn4x 2 ай бұрын
빛도 딱히 안 좋음
@user-ys3pt6tu1p
@user-ys3pt6tu1p 2 ай бұрын
빠르게 성장해서 빠르게 폭락중
@user-fe8kr7sq5i
@user-fe8kr7sq5i 2 ай бұрын
살구는 거름이라도 되지 우리는.....;;;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내실이 없음. 포장지에만 진심임. 남에게 보여지는 것에만.
@user-kf1uu3to1m
@user-kf1uu3to1m Ай бұрын
조카가 이제 초4인데 이 나라는 가망이 없는거 같다고 자긴 다른나라로 가서 먹고살거라고 우스갯소리로 하던데.. 충격이었음.. 아무리 농담이라도 어린애가 그런 인식을 갖고 나라를 바라보고 있다는게… 근데 생각해보니 나도 나라에 대한 기대가 없고 충성심이 없는거 같아서 그 어린 조카가 그런 농담을 할때 난 아무말도 하지 못했음..
@user-md3nc4mi9c
@user-md3nc4mi9c Ай бұрын
일본가야되요. 일본어 마스터해서 외국인전형으로 일본대학 나와서 지금 월 100만엔은 법니다. 렉서스 타면서 잘 삽니다.
@AK-sl4go
@AK-sl4go 19 сағат бұрын
​@@user-md3nc4mi9c지지.방가능때문에 망설이게 되네요
@tengoku7777
@tengoku7777 Ай бұрын
이미 현실 자체가 오징어게임
@krear218
@krear218 2 ай бұрын
살아있을땐 관심도 없다가 죽으면 제사 지내는 기이한 나라
@jinnoel8467
@jinnoel8467 2 ай бұрын
진짜 우리나라 가족문화 ㄹㅇ 괴랄함 하루에 얼굴 맞대고 눈 마주보고 오늘하루는 어땟어 학교에서 무슨일 있었어 이런대화 한번이라도 하는게 비싼 학원 보내는거 보다 낫다
@user-zg3lu1pg5d
@user-zg3lu1pg5d 2 ай бұрын
심지어 자기 일 잘 풀리게 해주길 바라며 제사하기도 함.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제사를 그렇게 많이 지내서 국가가 자연소(검열)멸 하나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상님들이 얼마나 잘봐주셨으면, 전쟁도 없이 소(검열)멸하냐 ㅋㅋㅋㅋㅋㅋㅋ
@seniorpjy
@seniorpjy 2 ай бұрын
와...이거 진짜 맞네요...관통하는 말
@DonaldTrump0614
@DonaldTrump0614 2 ай бұрын
제사 진짜 왜 하는지 이해블가
@simple1sense
@simple1sense 2 ай бұрын
자살에 성공한 사람이 1만5천명이면 시도자는 25배 정도 37.5만명이라고 합니다
@user-ey8tu4se6f
@user-ey8tu4se6f 2 ай бұрын
심각하네여
@hel814
@hel814 2 ай бұрын
맞을듯....... 자살에 성공하기 쉽지 않죠. 죽음까지의 고통을 견뎌내기는 무섭죠
@user-bc8um2js1q
@user-bc8um2js1q 2 ай бұрын
시도는 안해도 생각만이라도해본사람이 그에또 100배라면 3750만명이겠군요
@minato_yukina
@minato_yukina 2 ай бұрын
실패한 자살은 자살이 아님 쇼지
@qnqyyy
@qnqyyy 2 ай бұрын
아무도 강ㅈ ㅈㅇ 당했던 20대후반~40대남자들에 대한 얘기는 안하는게 현실
@user-pn5nz7hu9s
@user-pn5nz7hu9s Ай бұрын
제발제발 학교에서 진행하는 자살 예방 영상이나 활동에 좀 더 신경을 써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2,3,40대도 그렇지만 정신적, 육체적으로 완전히 성장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시기인 10대에게 지금의 자살 예방이랍시고 틀어주는 영상들은 하나같이 부족합니다. 그 똑같은 영상을 어찌나 많이 봤는지 내용을 전부 저와 몇몇 친구들은 내용을 전부 외웠고, 아이들이 영상을 보지 않을뿐더러 그 시간에 들어오시는 지도 선생님들도 딱히 아이들을에게 영상을 볼 것을 지도하지 않으십니다. 이럴 거면 왜 이런 예방 영상을 트나, 시간 낭비다. 차라리 공부를 시키는 게 낫겠다 라는 게 제 주변 친구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의견이었던 것 같아요. 우리는 이미 예방의 방법을 알면서도 외면하고 쓸모가 없다고 느낍니다. 저는 그걸 이번 연도에 정말 강하게 느꼈어요. 자살 예방 교육을 한 지 1~2주 만에 다른 학교에 재학 중이던 친구의 친구가 자살시도를 했다는 이야기를 얼핏 들었어요. (정말 자살을 한 것인지, 그 후 이야기는 어떤지 따로 찾아보진 않았습니다.) 당시 듣기로는 학폭으로 인해 시도했다는 것 같은데, 정말 이 얘길 듣고 지금의 자살 예방 정책은 무용지물이구나 생각이 들었어요. 분명 그 방법이 도움되는 사람도 많겠지만, 지금도 계속 올라가는 자살 그래프를 보고 있으면 이대로 있다가는 정말 나라가, 사람들이 망가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곤 하네요. 부디 이른 시일 내로 정말 시민을 위한 정책 개선이 제안되고 시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user-kz9mx6zh8g
@user-kz9mx6zh8g Ай бұрын
예방교육보다는 정신과진료에 대한 인식개선이 우선이죠. 원래 학교에서 하는 교육은 그 이상으로 기대할 수 없는 부분이에요 주입식 교육이 한계임. 그리고 모든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교육하기보단 설문조사를 통한 집중상담이나 약물치료 연계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예방교육은 어차피 거기서 거기인거 아시잖아요
@jayjay2778
@jayjay2778 27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더 나가떨어져도 되요 어차피 너무 많아요 솔직히 말하자면 지금보다 더 서로 후벼파고 악착같이 살아야하는 세상이되서 빨리 가장 강한 사람들만 남기고 나머진 자살하던가 셀프 안락사 시켜서 숫자 줄이는게 맞아요. 갈테면 빨리가요 안말려요 ㅋㅋ 오히려 고맙지 그리고 개인적으로 정신과 진료받을 정도로 약한 개체들은 평생 기록남겨서 낙인찍어놔야 기업입장에서도 사회입장에서도 빠르게 거르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user-gp5ui9xh3r
@user-gp5ui9xh3r Ай бұрын
태어나서 죄송합니다. 능력도 노력도 부족했습니다.. 조용히 살다 조용히 갈게요.. 다시 태어나지도 않을게요 다시 불러주지 마세요..
@user-iz5ni5zj1n
@user-iz5ni5zj1n 7 күн бұрын
그러지말어요 ... 능력이있어야만 존재가치가 있지는 않아요. 난 제 자식이 건강하게 살아만 있어도 감사할 듯 해요.
@JiFodi
@JiFodi 2 ай бұрын
전문직 못따거나 최소 대기업이라도 못가면 사람 덜떨어진 장애인 만드는 나라니 당연하다면 당연할듯
@user-vw4xs2xp9v
@user-vw4xs2xp9v 2 ай бұрын
그렇지 박탈감. 그것보다도 경제가 안좋음 요즘은. 일하기도 힘듦
@user-sk1rk6wp3h
@user-sk1rk6wp3h 2 ай бұрын
누구도 그렇게 생각 안함.. 자기 스스로 그렇게 생각할 뿐
@jjrirkfjvn
@jjrirkfjvn 2 ай бұрын
90퍼 이상이 중소기업인데 여기 다니는 사람들이 다 덜떨어진장애인?? 커뮤니티좀 그만
@user-fo8kf3bu5n
@user-fo8kf3bu5n 2 ай бұрын
@@user-sk1rk6wp3hㄹㅇㅋㅋ현실에서 누가 전문직,대기업 아니면 장애인취급함 ?
@user-vu6dj2cm6p
@user-vu6dj2cm6p 2 ай бұрын
그렇게 말한다는건 님도 평소에 다른사람들 보면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건데... 자존감좀 높이세요.
@user_qerfjci128
@user_qerfjci128 2 ай бұрын
미국와서 살아보니까 자유롭게 하고싶은대로 사는 마인드가 한국은 좀 억눌린거 같아요.. 그냥 잔디밭에 누워서 낮잠 잘때도 있고, 그냥 스케이트보드나 줄타기(???)에 열중해있고, 눈가리고 나무에 매달아둔 주머니 때리기(???)ㅋㅋㅋ이런것도 하고요. 아직 제 눈에는 특이한 사람들을 자주 봐요. 근데 그렇다 보니 미국 사람들의 비슷한 면모를 찾기가 어렵고, 비교 자체가 어려워지는 것 같아요 ㅎㅎ 외모도 경제력도 모두. 영어를 하고 매너를 갖추고 있고 그정도만 공통적인것 같아요. 취미도 모두다르고요. 우리는 너무나 남의 시선을 신경쓰고 또 비교를 멈출수가 없는 집단같아요. 나는 적어도 “평균적”인 삶의 궤도를 꼭 타야만 하는, 적어도 “평균적”인 무언가를 꼭 해야하고 내 외모나 재산이 적어도 평균에 드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은 고유한 색깔과 같은데 어떻게 평균을 내나요? 소중한 나 자신을 어떻게 수치적인 평균에 끼워넣으려고 하나요? 삶이 힘들겠지만 나 자신을 최우선으로 잘 챙깁시다. 누가 뭐라거든 “넌 뭐야(파이리 짤st)" 마인드로 나 자신을 지켜줍시다. 힘내요 우리
@bogo4064
@bogo4064 2 ай бұрын
저도 미국에서 유학하다가 한국 들어와서 취준중인데 가장 크게 다가오는 것 하나가 나이에 대한 압박이네요 몇살때는 뭐해야지 뭐해야지... 미국 있을때는 미국애들 나이 하나도 몰랐는데
@qnqyyy
@qnqyyy 2 ай бұрын
ㄹㅇ 외국 나가보면, 진짜 다양하게 살아가는사람 많음. 아침부터 밤까지 스케이트만 타거나, 물구나무 연습만 하고 살아가는사람 많음 ㅋㅋ
@qnqyyy
@qnqyyy 2 ай бұрын
그리고 그게 나한테 민폐만 안끼치면, 남이 뭘 하던 관심을 안 가짐.
@user-pl6zn1nh5h
@user-pl6zn1nh5h 2 ай бұрын
잔디밭에 낮잠 ㅋㅋㅋ 실패한 한가한 백수인가보죠 ㅎㅎ
@whitesocks256
@whitesocks256 2 ай бұрын
@@user-pl6zn1nh5h호주만 가봐도 당장에 날씨 좋을 때 잔디밭에 낮잠 많이 잡니다
@vintermannx
@vintermannx 10 күн бұрын
동북아가 다 그렇긴 한데 사회 전반이 눈치를 너무 심하게 보도록 강요하고 각종 규제, 도덕적 검열도 기괴할만큼 심함 기준미달되거나 포기해버리면 바로 낙오자되는거지
@hyunchoy
@hyunchoy Ай бұрын
부산북구정신건강복지센터 문제있습니다. 자살고위험군이 생활고로, 긴급생계비 추천서를 부탁했는데 거절당했답니다. 근데 거절한 이유가 어이없는게, 추천서를 써준적이 없어서랍니다. 법에서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추천서를 써줘야 긴급생계비를 받을 수 있는데, 그걸 거절했대요.. 소극행정으로 한 분 가게 생겼습니다..
@user-lv5rc1cu8q
@user-lv5rc1cu8q 12 күн бұрын
그런거 없이도 긴급생계비 잘 받았는데요
@enfj43
@enfj43 2 ай бұрын
자살이 자살로 끝나는 게 아니고 자살 사망자 유가족이 또 있더라고요 예전에 다큐 보는데 자살 사망자 유가족 중 1.5명이 또 같은 선택을 한다는 통계를 보고 참 안타까웠습니다 저도 우울증 치료 10년 가까이 받았는데 이러다 죽겠다 싶어 대기업 퇴사하고 결혼 포기하고 우리 가족들 챙기자 생각으로 소시민으로 살고 있습니다 힘드신 거 알아요 근데 내가 가고 나면 남을 가족들 최소 1.5명은 나처럼 우울증 얻고 날 따라 올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힘내시길 기원합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셔도 돼요 생존 자체가 힘든 시기니 다 이해합니다 총 없는 전쟁터에서 생존하신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user-vs2nh6em6f
@user-vs2nh6em6f 2 ай бұрын
이 글보고 맘 다잡았습니다
@user-of3nu2mc5p
@user-of3nu2mc5p 2 ай бұрын
위로가 되네요. 고마워요.
@haijencho2528
@haijencho2528 2 ай бұрын
우리 모두 행복해지는데에 집중합시다 화이팅이에요
@BSA21M
@BSA21M 2 ай бұрын
죽고싶다면 가족이랑 대판싸우고 연끊고 죽어도 발견안되는 어디 해외 국립공원가서 죽으면됨.. 근데 막상 그렇게 하려다 보면 내가 지금 crps같은 불치병 걸린 것도 아니고 배고플때 밥먹어주고 똥마려울때 똥싸주고 졸릴때 자주면 되는게 힘들어서 언젠가는 때되면 갈텐데 굳이 지금 죽어야되나? 생각들듯.. 사실 이게 삶의 본질에 가깝다고 생각함.. 사회가, 스스로가 삶을 더 어렵게 만들 뿐..
@user-hu6id8ej8c
@user-hu6id8ej8c 2 ай бұрын
진짜 자살하는 사람들은 신경 안써요 무책임하게 들릴 수도 있는데 자기가 없는 편이 주변에 더 이득이 되거나 없어도 상관 없다고 생각해서 그런 선택을 하게 되는거죠
@Mbrightonly
@Mbrightonly Ай бұрын
30대초. 입원했던 우울증 환자입니다. 심리학전공인데도 우울증이걸립니다. 지금도 그냥 최대한 지금을 살아가려고하고는있는데 참..빡세네요 위태위태합니다
@user-ml4tk8yr1b
@user-ml4tk8yr1b Ай бұрын
힘내세요 .. sns끊고 소중한사람과 만남을 자주가지길 바랍니다
@-poq-
@-poq- Ай бұрын
생긴것도 반반헌디 힘들어도 밖에 나가서 산책도 하며 화이팅하며 살아가봅시다잉
@Mbrightonly
@Mbrightonly Ай бұрын
@@-poq- 나생긴건 어찌알았대요?! 저는 지금 세가지일도하고 민간이지만..자격증도따서 몸값높이려고하고있습니다! 응원감사합니다
@Mbrightonly
@Mbrightonly Ай бұрын
@@user-ml4tk8yr1b 경제활동하고있어요ㅎ
@sasakokononuyatu
@sasakokononuyatu Ай бұрын
@@Mbrightonly 어떤 위안이 힘든 시간을 겪는 사람에게 좋을지 몰라 말이 조심스럽네요. 노력하고 계시고, 또 삶을 꾸려보려고 하시는 의지가 느껴져서 좋게 느껴지네요. 조심스럽게 응원하고 갑니다, 작성자님
@Rufford1
@Rufford1 Ай бұрын
현 25살 자살시도만 3번 진짜 죽는것도 힘들다 걍 살아라 잘못하면 평생 장애얻고 숨만 붙을 수 있다 지금은 이런 생각 많이 들어서 그냥 뇌빼고 사는중 이젠 뭔짓거리를 하든 느낌없음
@kid_gainnnnnnnnnnn
@kid_gainnnnnnnnnnn 4 күн бұрын
지나가는 슴살입니다 .. 20년 살면서 자@살시도 5트 박았고 병동 들어갔다가 지금은 나와서 뇌 빼고 사는 중입니다 나라 꼬라지 보니까 또 마렵네요 ㅅㅂ
@yeoryul
@yeoryul Ай бұрын
정말 심각하게 고민해볼만한 주제였네요 좋은주제 좋은연설 잘봤습니다
@Dani-ng8bk
@Dani-ng8bk 2 ай бұрын
한국은 보이지 않는 사회적 통제가 있음. 그만큼 치안은 좋지만 자기주도적인 삶을 못살기 때문에 불행한거임. 남들 시선과 부모의 통제. 한국에서 유쾌함이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음. 유튜브 댓글만 봐도 외국인들은 유쾌한데 한국 댓글들 보면 서로 지적하기 바쁨.
@user-ti3ys8hw1l
@user-ti3ys8hw1l 2 ай бұрын
이러면 외국도 똑같다 그러면서 통제시작됨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혀 다른데 조작과 날조가 걍 일상인 민족
@jjmmff
@jjmmff 2 ай бұрын
​@@user-ti3ys8hw1l웃긴게 그걸 본인이 어느 정도 거르면서 봐야 되는데 애도 아니고 성인들이 보는 그대로 믿어버림. 솔직히 민족성 병11신임. 출산율, 자살율 절대 우연이 아니다.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맞음. 이게 정확함. 보이지 않는 사회적 통제가 엄청 강함. "눈치" 라는 단어가 있는 것 부터가 어떤 사회인지 알려주지. 틀에서 벗어나면 ㅈ되는 사회. 남의 몸도 아니고, 자기 몸에 하는 타투에도 발작하는 사회. 항상 자기 시선이 기준이 아니라, 남의 시선이 기준임. 자기 눈에 혐오스러우니까, 하지 말라는거임 ㅋㅋㅋㅋㅋㅋㅋㅋ 모난돌이 정맞는 사회. 튀면 ㅈ되는 사회. 개성과 다양성이라곤 1도 찾아볼 수 없는 나라. 왜 공터만 보면 아파트 짓는지, 국민정서 보면 이해되는 나라.
@jjmmff
@jjmmff 2 ай бұрын
​@@user-ti3ys8hw1l항상 보면 외국에서 살아보지도 않고 그냥 한국이랑 다 똑같다고 함. 지들은 무던한 성격이라서 그렇다고 하겠지만 그런 넘들이 근본적으로 사회 망치는 벌1레 같은 것들이라고 본다.
@user-to2zr4do2k
@user-to2zr4do2k 2 ай бұрын
이런댓글에 꼭 외국나가봐라~~ 한국이 제일 살기좋다~~ 이런 개소리하는댓글 달리는것도 보기 ㅈ같음 걍 40대윗세대들 절반이상은 뇌가 썩어서 자기아랫사람들 통제욕구밖에없다보면됨
@tls9045
@tls9045 2 ай бұрын
망겜 특 ㅡ뉴비가 없음 ㅡ무과금 유저 점핑이벤트, 패키지 없음 ㅡ과금 모델만 크고 그거 없으면 겜 안돌아감 ㅡ핵과금러들이 학살해도 운영자가 안막음 ㅡ핵쟁이, 정신병자를 제지안함 ㅡ운영자가 바뀔 생각없고, 대외적으로 좋다고 포장함.
@tls9045
@tls9045 2 ай бұрын
용어만 바꾸세요
@bsj9927
@bsj9927 2 ай бұрын
리니지다ㅋ
@suesue4848
@suesue4848 2 ай бұрын
이거 완전 리니지네
@user-jg8eh8fl6n
@user-jg8eh8fl6n Ай бұрын
리니지는 게임이 아니라 현실이었어
@user-bk4qm5vn9l
@user-bk4qm5vn9l Ай бұрын
그냥 뭔가 인간관계 이런 것도 힘든데 30중반이 되니 살아있다는 괴로움이 뭔지 알 것 같다 사는 게 귀찮다.
@user-py2lp2zm1g
@user-py2lp2zm1g Ай бұрын
돈쓰는건 순식간인데 돈버는게 힘들더라 온갖 갑질에 텃세 괴롭힘 착취는 기본이고 계약기간 동안도 쓰지 않고 매출없음 바로 자르고
@ssdota2support677
@ssdota2support677 Ай бұрын
진지하게 스위스 조력ㅈㅅ 한국 도입이 시급합니다 노예보다 못한 세상 살아가느니 인간처럼 죽고싶어요
@jinseok2811
@jinseok2811 Ай бұрын
스스로 목숨을 끊는걸 옹호 하진 않지만 그 사람이 처한 상황과 환경은 당사자가 아니면 감히 이해할수있는것이 아니다. 그에 대해 나약하다느니 패배자라느니 함부로 말하는 사람들은 정말 어리고 생각이 짧은 사람일거라고 생각함.
@ric734
@ric734 Ай бұрын
​@@user-jc1hc2oe3i그 마인드가 문제라는 거임 원래 사람 인생 직접 살아보지 않으면 고통을 이해해주지 못함
@user-kz9mx6zh8g
@user-kz9mx6zh8g Ай бұрын
​@@user-jc1hc2oe3i노년기에 호스피스 병동에서 죽어갈 당신을 상상해보세요. 실제로 임종의 순간은 행복할리 없잖아요
@user-hm8ls3gf8x
@user-hm8ls3gf8x Ай бұрын
​@@user-jc1hc2oe3i빚 2억 생기면 그 말 나올까 싶네 주변에 부모때문에 평생 알바로 빚갚고 부모 병원비 대주던데 자살 하는거 이해됨 내가 아니라 다행이라 생각하면서 살게되더라
@user-tn6vh7iu9n
@user-tn6vh7iu9n Ай бұрын
@@user-jc1hc2oe3i 와;;; 마인드 진짜 대단하시네
@user-pp9cm4kh7z
@user-pp9cm4kh7z Ай бұрын
​@@user-jc1hc2oe3i 어그로인 줄 알면서도 ㅈ같아서 한마디 할게. 좀 닥쳐.
@user-te8zl7jo2l
@user-te8zl7jo2l 2 ай бұрын
출산율과 자살율은 같은 뿌리입니다. 자신의 삶이 비참한데, 자식까지 비참하게 만들고 싶겠습니까?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ㄹㅇ ㅈㄴ 미안하지 ㅅㅂ 괜히 태어나게 해서 어릴때부터 학원 뺑뺑이에 지옥같은 입시에 어휴.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달라요. 세계 출산율 순위부터 보세요. 둘은 상관없는데 그냥 엮는것 뿐입니다.
@sh1ltz
@sh1ltz 2 ай бұрын
결혼율 줄고 초산 나이 늦어져서 그럼
@stanley6993
@stanley6993 2 ай бұрын
@@hder9국내 실정 얘기하고 있잖습니까. 어휴..
@hder9
@hder9 2 ай бұрын
@@stanley6993 출산율이라는 국가마다 있는 통계를 왜 국내에서만 봐요. 뚝배기 깨져서서 질질 새는 중입니다 ㅠㅠ 라고 인증하는꼴이지.
@user-bo1sn4ku6u
@user-bo1sn4ku6u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태어나면 끝없는 경쟁과 수많은 능력이 필요하다 그렇지않으면 낙오자로 찍히고 평생을 노예취급 받으며 살아야한다 그누구도 이해해주지 않으며 그저 노력안했다고 비난하고 무시할뿐이다 정신과 진료에 대해서도 굉장히 폐쇄적이고 부정적이라 말도 못꺼낸다 감추기 급급하고
@user-kq5kp8yk4k
@user-kq5kp8yk4k Ай бұрын
학창시절 부터 경쟁하고 자기자신이 편할수만있다면 서로 짓밟으며 일어서려하는 대한민국이 진짜 지옥이아닐까? 이런 나라에서 죽지말고 살아라 하는것도 모순이네
@jayjay2778
@jayjay2778 27 күн бұрын
자연의 섭리. 저도 여렷 짓밟으면서 살아왔는데 죄책감같은건 1도 없고 짓밟을 수 있을때 더 못짓밟은게 한이네요
@dsyeom
@dsyeom 2 ай бұрын
피해자가 고통받고 가해자가 잘사는 대한민국
@asakkkkk2
@asakkkkk2 Ай бұрын
외국은 가해자 무조건 잡아서 족치는줄아네
@asakkkkk2
@asakkkkk2 Ай бұрын
출산율 자살률은 그거랑 다른이유다
@user-ee1928
@user-ee1928 Ай бұрын
학폭으로 자살한 여성분 생각나네
@mjk6373
@mjk6373 Ай бұрын
인권나부랭이들땜에
@user-mz9xp6wr6h
@user-mz9xp6wr6h Ай бұрын
이건 대한민국 뿐만이 아님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임 외국 나가봐야 문화차이 뭔차이 등등 한국과 다를거라 생각하지만 사실 거기서 거기임 예를 들어 미국은 남눈치 별로 신경안쓴다라지만 아닌듯 미국하고 한국하고 눈치를 보는 포인트가 다름 그래서 비교적 우리가 신경쓰는 것들이 미국에선 덜 신경쓰니까 눈치를 안보구나라고 느끼는 거
@user-zu2dc1ku2h
@user-zu2dc1ku2h 2 ай бұрын
근데 자살율 높은 이유가 사기범죄에대한 처벌이 약한것도 있는거 같아요....
@izumiaco5079
@izumiaco5079 2 ай бұрын
이유가 한 50개쯤 될텐데 그 중 하나는 되겠죠 아마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izumiaco5079 ㄴㄴ 천개중 하나임.
@greatest4901
@greatest4901 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성범죄보단 이쪽에 신경을 써야한다고 생각함.
@HS17J
@HS17J 2 ай бұрын
그리 큰 이유는 아님
@lopazz5165
@lopazz5165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자살률이 높은건 노인층임. 청소년, 청년층 자살률은 중국 일본이 더 높음
@user-gc5kv3bb9j
@user-gc5kv3bb9j Ай бұрын
죽음을 결심한다는건 그만큼 잘 살고 싶다는 마음도 죽도록 강하다는거다. 그사람이 진짜 원하는건 죽음이 아니다.
@jayjay2778
@jayjay2778 27 күн бұрын
그냥 패배자죠 ㅋㅋ
@laranjeiravermelha
@laranjeiravermelha 6 күн бұрын
​@@jayjay2778이런 댓글 너무 싫다. 그냥 덮어두고 조롱하면 장땡
@user-ne5rd6hi6y
@user-ne5rd6hi6y Күн бұрын
하루에 몇번이고 이 영상을 봅니다.. 그러면 안되지만 나랑 같은 생각을하고 그것을 행동에 옮기는분이 이렇게 만다는것에 오히려 위안이됩니다.. 나도 언젠간 꼭 용기를 내고싶단 생각도 듭니다
@wowwow2622
@wowwow2622 2 ай бұрын
자원 하나 나지 않는 땅. 사람으로 흥했으나 사람으로 망하고 있는 유일무이한 나라
@user-nn2il9io7r
@user-nn2il9io7r 2 ай бұрын
사람으로 흥했으니 사람으로 망하는 건 당연한 이치
@ljhosep9404
@ljhosep9404 2 ай бұрын
뭐 천명정도면
@user-tl6lg7xd4u
@user-tl6lg7xd4u 2 ай бұрын
그동안 비정상적으로 많이 낳은거임 부모세대만 해도 자연도태되어야 할 사람들이 천지인데 끼리끼리 만나서 아득바득 꾸역꾸역 부모 준비도 안된 상태에서 애 낳은거임
@user-ic5wp2xh6i
@user-ic5wp2xh6i 2 ай бұрын
사실상 미국이 이끌어줘서 흥햇던거지..
@user-lc5kg2ob7m
@user-lc5kg2ob7m 2 ай бұрын
​@@user-tl6lg7xd4u 동의.
@bock22
@bock22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목표를 저출산 해결이 아니라 행복으로 둬야한다. 곳간에서 인심나듯 행복한 사람은 내 행복을 나눠주고싶다. 근데 주변에 행복에 겨워 하는 사람을 본적없고 겨우 있다 하더라도 그런 사람을 동경하는 사람은 없고 깍아내리기 바쁜 사회다. 매사 경쟁에 미친나라,노력에 미친나라,성실함에 미친나라...하루 4시간 자면서 n잡뛰고 개열심히 살다가 무슨 의민가 싶어서 하루에 3시간 알바하고 하고싶은 운동하고 읽고싶은 책읽고 충분한 휴식 취하고 잘자니 그냥 행복하다. 간혹 그래서 나중에 어쩌려고그러냐 하는 사람이 있는데...그 나중을 알거였으면 과거의 나는 이미 세상에서 제일 행복한 사람이어야했다. 현재의 행복 그냥 행복을 미친듯이 쫓는...수단과 방법을 가리지않고 행복해지는것에 최선을 다해야한다. 그것을 우리나라는 목표로해야한다... 좀 살자 반대로 하지말고
@madebysaint
@madebysaint 2 ай бұрын
맞다. 곳간에서 인심 나는 법이다. 난 2030은 물론이고, 좀 전 국민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들 하루하루 먹고 살기도 미치게 어려우니 여유가 없고, 여유가 없으니 정신이 갈려나가는거 아니겠나. 이젠 곳간 끌어안고 시험 잘 친 1등급 인간들에게만 퍼주지 말고, 전 국민적으로 곳간에 쌀 채워서 행복을 나눠줄 수 있게 해야 한다.
@AJ-db4iv
@AJ-db4iv 2 ай бұрын
너무 맞는말임! 저출산의 근본 원인이 행복하지 않은것에서 비롯하는건데 방향도 잘 못잡고 걍 돈뿌리기 애많이 낳게 하기위한 인위적 정책만 펴고있으니... 답답하다 아오
@Ruriweb
@Ruriweb 2 ай бұрын
​@@madebysaint탐욕은 종교 불문 만악의 근원으로 불린다 행복에 빠지면 행복만 좇게되니 현 상황은 현대사회의 행복에 겨운 이들이 타락한 결과다
@user-xmdk2xjd0js
@user-xmdk2xjd0js 2 ай бұрын
젊어서 아둥바둥 회사에 몸바쳐가며 일한 윗세대(4050)도 그렇게 잘살고있진 못함... 직원들 월급밀리지, 매매할돈 부족해서 전세살이하고있지.. 아둥바둥 살아서 저렇게 살면 뭐하나.. 재테크로 돈모으면서 설렁설렁 사는게 최고인듯
@Spzla
@Spzla 2 ай бұрын
첫 마디 적어두고 퍼나르겠습니다. 정말로 당신 말이 맞다고 생각해요.
@user-tv8gj9mx7g
@user-tv8gj9mx7g Ай бұрын
우리동네에 10대 둘이 투신자살했다....그 어린 나이에 자살을 택할 정도면 잘못된 사회가 확실하다
@Seung_won37
@Seung_won37 Ай бұрын
저는 미국으로 이민 갑니다 다들 빨리 한국 뜨죠 한국에서 사는데 정신병 안오는게 이상하죠
@Ju-Young
@Ju-Young 2 ай бұрын
사기 당하고 삶을 마감하신분들 많은데.. 우리나라는 사기를 권장하는 처벌수준을 보이고있다. 무기징역이나 사형수준의 강력한처벌이 예방법이다 사기횡령 처벌이 약한이유가 무엇이죠?? 나랏님들??
@RED-rt4nx
@RED-rt4nx 2 ай бұрын
나랏님이 사기😂😂😂 고양이에 🐟 맡긴 국가 대한민국
@chesek4010
@chesek4010 2 ай бұрын
맞아요 사기횡령 1위국가인데 처벌도 솜방망이.. 이것도 자살율을 끌어올리는 요소중에 하나죠. 고쳐야할게 한두개가아님
@user-is4qc2dk9l
@user-is4qc2dk9l 2 ай бұрын
범죄자, 사기꾼들한테 법을 만들게 하니까요
@james_KIM1563
@james_KIM1563 2 ай бұрын
그 나랏님이 사기에 가담...
@Shining_One1996
@Shining_One1996 2 ай бұрын
법이야 국회의원이 만든다지만 그 사람들 국회의원 노릇하는 건 국민이 선택하는 일인데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런 거 별 신경 안쓰니까 그렇겠죠??
@user-dl7nx3pj3b
@user-dl7nx3pj3b 2 ай бұрын
한국은 인류의 반면교사로서 가치가 있음
@sz2873
@sz2873 2 ай бұрын
ㅜㅜ😢
@ferrari4avocado923
@ferrari4avocado923 2 ай бұрын
조(검열)선이 왜 망했는지 이해를 못한 사람이 너무 많음. 진짜 유교 때문에 망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 아직도 유교 문화 못버리고, 이 꼴 남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말 답답하다 진짜 ㅋㅋㅋㅋㅋ 사람들 통찰력 정말 없다.
@user-ho5ym2us1x
@user-ho5ym2us1x 2 ай бұрын
@@ferrari4avocado923조선이 망한 건 궁극적으로는 봉건제 사회를 경험하지 않았기 때뭉임. 일본도 봉건제를 통해 전쟁의 역사를 써내려 갔고, 전쟁을 더 잘 수행하기 위해 네덜란드 등 서구의 기술을 수용해갔음 그리고 그것은 메이지유신으로 이어졌고 발빠르게 성장한 일본은 추축국이 됨
@user-ho5ym2us1x
@user-ho5ym2us1x 2 ай бұрын
반면 조선은 내부적으로 봉건제가 아닌 중앙집권체제였기 때문에 우물 안 개구리처럼 역사를 써내려 갔고 결국 그것은 열강들의 침탈에 속수무책에 당할 수 밖에 넚음. 결국 조선의 유교체제라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봉건제 사회를 경험하지 않은 국가여서 그럼
@iiiiiiillli1824
@iiiiiiillli1824 Ай бұрын
여적 여의 반면교사로 삼아야지 ㅜ
@hotelafrica1111
@hotelafrica1111 Ай бұрын
이런 이야기를 다뤄주셔서 감사해요
Её Старший Брат Настоящий Джентельмен ❤️
00:18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СНЕЖКИ ЛЕТОМ?? #shorts
00:30
Паша Осадчий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ТЫ С МАМОЙ В БОЛЬНИЦЕ😂#shorts
0:53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4,1 МЛН
Кашель на экзамене 😂 #shorts
0:40
Julia Fun
Рет қаралды 871 М.
Озвучка @patrickzeinali  Тюремная еда  Часть 2 @ChefRush
0:52
BigXep. Канал озвучки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Отец не простил Сына 🥺 #shorts #фильмы #кино #сериалы
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