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큰 자녀에게 먼저 연락하면 안 되는 이유 (최명기 원장, 한석준 아나운서, 이헌주 교수 1부)

  Рет қаралды 225,584

지식인사이드

지식인사이드

Күн бұрын

오늘은 최명기 원장님, 한석준 아나운서님, 이헌주 교수님을 모시고
사춘기 자녀와 사이가 멀어질 수밖에 없는 대화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영상이 유익 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한석준 #최명기 #이헌주 #지식인사이드 #가족 #인간관계
00:00 인트로
00:27 구독자 인사, 주제 공개
01:12 전문가가 추천하는 가족 간의 적당한 거리
04:47 대화 안 통하는 가족들의 공통점
10:07 말 안 통하는 가족을 대할 때 가져야 할 마음가짐
11:48 다툼이 많은 가족 VS 무관심한 가족 중 더 나은 가족
14:26 다 큰 자녀들에게 다가갈수록 멀어지는 이유
18:03 틀어진 가족의 책임이 부모 잘못만은 아닌 이유
19:56 사춘기 자녀에게 하면 안 되는 최악의 대화법
24:47 자녀 마음 안 상하게 부모 의견 전달하는 법
29:59 아이에게 집착하게 될 때 마음 비우는 법
32:33 가족에게 받은 상처 회복하는 법
35:55 가족 관계가 스트레스인 사람들을 위한 조언
-
👇지식인사이드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u4LxVcwFdhvkLH8m6
knowledgeinside7@gmail.com
👇 다양한 채널에서 지식인사이드의 지식을 얻고 싶다면 여기를 눌러주세요
인스타그램: / knowledgeins_kr
페이스북: knowledgeIns...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contents.premium.naver.com/mo...
네이버 TV: tv.naver.com/purejboy2
틱톡: www.tiktok.com/@allstorieskr?...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knowledgeins

Пікірлер: 354
@user-gw2vt3ku2l
@user-gw2vt3ku2l 19 күн бұрын
옳고 그른걸 떠나서 부모님은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내가 정신적, 경제적으로 독립하는게 정답입니다
@user-ns4iy9zt7f
@user-ns4iy9zt7f 18 күн бұрын
🎉
@user-df9jj9rd3j
@user-df9jj9rd3j 18 күн бұрын
​@@user-ns4iy9zt7f😊😊😊😊
@stom-yx2fd
@stom-yx2fd 18 күн бұрын
공감 합니다. 바뀌지 않은 걸 ~
@hannah0691
@hannah0691 16 күн бұрын
정답 자녀가 커도 무시하는 부모는 거리를 둬야해요 나이가 사십 오십넘어도 무시합니다
@user-dv3ns8gn7z
@user-dv3ns8gn7z 16 күн бұрын
저는 부모입니다 내부모는 바뀌지 않았어요 몰랐으니깐 우리가 부모가 되어 바뀌면 됩니다
@user-vh5yj6tv5o
@user-vh5yj6tv5o 18 күн бұрын
대화도 안되고 꽉 막힌 부모님때문에 연끊고 삽니다. 안보고사니 제가 건강해져요. 부모님만 보면 급성위경련에 숨쉬기 힘들고 편하지 않은 관계라 이러다간 제가 죽겠다싶어 나를 위해서 연 끊습니다. 개선회복이 안되는 관계라면 줄을 끊는게 좋습니다
@user-ty9tn2qj5j
@user-ty9tn2qj5j 18 күн бұрын
제가 지금 그러네요. ㅠ 괴롭습니다
@user-hn7mj2xt2t
@user-hn7mj2xt2t 18 күн бұрын
분명 이것도 방법이에요.. 내가 살아야하니까..
@user-pz9mt3sz3h
@user-pz9mt3sz3h 17 күн бұрын
0⁰😊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16 күн бұрын
난 말안통하는 형제 끊었어요
@hannah0691
@hannah0691 16 күн бұрын
저도요 저 패널들은 그나마 정상적인 관계얘기하기는거에요 나르부모들은 거리를 두던지 아닌 관계를 끊는게 맞아요 저도 관계끊고 새인생살고있습니다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 분노가 올라가서 힘들죠 평생을 내탓하고살아서..
@user-ez9lg2qf9b
@user-ez9lg2qf9b 19 күн бұрын
나르시시스트 엄마덕분에 어려서부터 지옥에 사는 경험이었어요. 모든 사람을 험담 아빠와 잘지내는 모습을 보면 이간질 오빠와도 대화 나누면 시기에 이간질 밖에서는 걱정하고 희생하는 엄마 코스프레... 지옥에서 반백년을 살다 그 안이 지옥인걸 지천명때 알게 되었는데 매번 입버릇처럼 딸이 왜그래.딸이 엄마한테 잘해야지.... 엄마로써 본인의 의무는 없이 주인이고 권리인줄 요구만합니다.
@user-yl1sk5hd4f
@user-yl1sk5hd4f 18 күн бұрын
맘고생 많이 하셨겠네요.
@user-fh2tb9jc1h
@user-fh2tb9jc1h 16 күн бұрын
와 저희 엄마랑 찰떡이네요
@user-os7xz9pd9s
@user-os7xz9pd9s 16 күн бұрын
제 아내가 그렇습니다 30년째
@user-hg5zi5nj5i
@user-hg5zi5nj5i 16 күн бұрын
나르성향 강한 사람들은 하는짓이 너무 똑같네요.
@hannah0691
@hannah0691 16 күн бұрын
저희 엄마랑 같애요
@user-ve6um8bd2m
@user-ve6um8bd2m 19 күн бұрын
오늘은 한석준의 말이 탁 치게 만드네요.....가정은 정원같이 가꾸어야 한다.....마음에 확!! 와 닿네요....여보!!! 지금부터 내가 더 잘 할께!!!!!
@zoolee6082
@zoolee6082 19 күн бұрын
아무리 노력해도 바뀌지 않는 아버지도 있어요. 끝없이 요구하고 패악질을 일삼는... 내가 잘하면 나아지겠지..해서 노력 참 많이 했는데... 이젠 이런 좋은 이야기를 들어도 물론 어느 정도 위로는 받지만 소외감도 같이 느껴지네요. ㅠ
@user-eq8qh6zl1i
@user-eq8qh6zl1i 19 күн бұрын
각자도생 아버지는아버지인생살아가는것이고요 본인은- 본인인생살아가세요
@user-li7kv3ey2c
@user-li7kv3ey2c 19 күн бұрын
우리 아버지도 안바뀌시고 돌아가셧는데 사람은 타고난 인성이 잇는듯해요
@user-ef3sv1du2i
@user-ef3sv1du2i 19 күн бұрын
85세 이신 우리아버지 지금도 술 드시고 소리지르고 악 쓰고,,, 평생을 저렇게 사시네요 엄마 너무 불쌍함
@je4634srhhdjs
@je4634srhhdjs 19 күн бұрын
@@sarahpark5766 마지막 문장 그부분이 문제아닐까요? 시대마다 환경이다른데 옛날 가치관 , 사고방식 , 피해의식 그로인한 '보상심리' 를 지금 가져오니깐 세대갈등 나는것이지요
@user-yl2ne9ry2p
@user-yl2ne9ry2p 19 күн бұрын
각자 다른 인격, 인성, 태어날 때 갖고 태어나는 기질,,,, 이 모든게 모두 다릅니다. 서로 맞춰가며 사는데, 절대 안맞추는 사람도 있어요. 마이웨이인 사람은 다른 사람이 따라오라하는 스타일도 있죠. 그리고 나쁘거나 무지하거나,,, 거슬러 올라가면 그사람의 아동기, 사춘기와 청소년기에 안좋았던 것들로 인해 트라우마로 성격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죠,,,,, 근데, 그걸 내가 다 감싸지 못해요. 맞추지 못한다면 함께하기 힘들죠😮‍💨
@user-cw4pl4tc1q
@user-cw4pl4tc1q 18 күн бұрын
이런 위로같은 영상을 .. 가족이라는 명분하에 횡포를 일삼았던 어른은 정작 보지않는다는 것.. 그들에게 상처받은 이들만..같은 부모가 안되기위해 배우려 봅니다.
@user-zp2du7fk4r
@user-zp2du7fk4r 7 күн бұрын
아니예요 나이든 사람이 더 봅니다 시간이 남기 때문에요 최명기원장님 말씀대로 인간은 자율성이 있잖아요 무조건 부모님탓만 하면 안되죠 인간의 본성도 있구요
@user-ci2su1zl6l
@user-ci2su1zl6l 18 күн бұрын
맞아요 대화를 할수없다면 포기하는게 나아요 혼자노력한다고 되는게 아니에요
@user-tg9lv3vm5b
@user-tg9lv3vm5b 15 күн бұрын
한석준 아나운서 대단하시네요. 즉석에서 관점 바꿔서 대화 정리도 잘하시고..평소 생각이 굉장히 많으신가봐요. 지금까지 아나운서는 목소리 좋고 발음 좋은 사람이 스크립트 읽어주는 수준으로만 알았는데.. 아나운서에 대한 제 생각이 확 바뀌었어요. 아나운서님 나오는 프로들 잘 챙겨보겠습니다
@joycekim6837
@joycekim6837 15 күн бұрын
며느리 탓하는 엄마들 마음 속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 싫었기 때문...
@user-fh2tb9jc1h
@user-fh2tb9jc1h 16 күн бұрын
나르시스트 부모들은 아이들이 잘 되길 바라고 하는 행동들이라기 보다는 본인들의 대리 만족을 위해서 또는 본인들 친구들께 자랑할 거리를 제공해 주길 원하는 마음으로 자식들을 윽박지르는 경우도 있어요. 자식이 너무 잘 하면 오히려 질투하고 끌어내리는 경우들도 더러 있습니다. 절대 직졉 자식들한테 칭찬하거나 지지를 하지는 않아요. 지적질만 하고 자식들의 성취를 하찮은걸로 취급해서 무시하다가 본인들 친구들 앞에서나 자랑거리로 얘기하지요. 정상적이고 따뜻한 인격을 가진 부모들이 이 나라에 정말 있기는 한가요? 밖에 나가보면 대화하는것만 들어도 자식들이 참 힘들겠다라는 생각들게하는 부모들 너무 많습니다.
@user-ej2kr3kf4r
@user-ej2kr3kf4r 13 күн бұрын
저도 나르엄마 밑에서 유일하게 각성한 자녀인데요. 홀로 투쟁하고 발버둥치다가 지금은 거리를 두고 잘 지내고 있어요. 저는 엄마처럼 아이들을 키우지 않으려고 이런 영상들 틈만나면 찾아보고 듣고 있어요. 열심히 공부해서 아이들과 건강하게 잘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답니다. 고군분투하며 노력하고 있는 부모들도 많답니다. 우리 모두 화이팅 했으면 좋겠습니다.
@Min-ix9sj
@Min-ix9sj 11 күн бұрын
저희 엄마얘기네요 사위가 저한테 잘하면 고마워하기보다 질투하고 자식의 공을 인정하지않고 상처주는 말을 잘도 찾아내서 가끔 내상을 준답니다 그렇다고 연 끊을수도 없고 적당한 거리두기가 답입니다 안부전화는 일주일에 한번씩만 맘 먹고해요
@hwkim8667
@hwkim8667 19 күн бұрын
저희 시부모님이 꼭 보셨음좋겠네요 ㅡㅡ참견만안해도 중간가요 진짜
@s63amg4maticcabriolet5
@s63amg4maticcabriolet5 18 күн бұрын
너같은 여편네 극혐이다 ㅋㅋㅋ
@shoo6093
@shoo6093 19 күн бұрын
대화로 해결되는건 없다 개공감
@user-lb6cp1um7w
@user-lb6cp1um7w 19 күн бұрын
10대 둘 딸을 키우는 아빠입니다 영상 정말 잘 봤습니다 공감되는 부분도 많이 있었습니다 제가 자녀들을 키우는동안 중요하게 느끼는 부분은 두가지입니다 부부의 사이입니다 부부가 사이가좋으면 아이들은 심리적으로 안정을 받고 나쁜길로 빠지는 일이 적습니다 또 하나는 대화입니다 강압적이고 일방적인 대화가 아닌 자녀들을 존중하고 자녀들 입장에서 공감 하고 생각하는 대화입니다 어렵죠 어렵습니다~ 정확한 답도있는것도 아니고 때론 이게 맞나 싶은 생각도 자주 들어요~ 그래도 부모들도 꾸준히 배우고 성장해야합니다
@user-jz9dw1fw3s
@user-jz9dw1fw3s 18 күн бұрын
너무나 공감되는 댓글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지네요,,부모도 평생 공부가 필요한듯요~~
@windmill9612
@windmill9612 18 күн бұрын
정말 맞는 말씀입니다...저희 아이들은 지금 20대가 넘었고 관계가 좋습니다.아이들이 어렸을때 어떻게 교육을 시켜야하나 했을때 도움될만한 책을 사서 공부를 하니 많은도움이 되었고 지금은 20대가 넘은 아이들과 어떤관계로 나아가야하나 공부를 합니다..부모도 공부를 해야 가족관계가 좋습니다. 중요한것은 부부사이가 좋으면 아이들도 정말 심리적으로 안정감있게 잘자랍니다. 특히 아빠의 역할이 중요한데 저희 남편은 유머감각이 좋아서 늘 아이들이 웃고 잘 따랐네요. 너무 긴 덧글이지만 10대 자녀를 두신분이라 글 몇자적었네요...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16 күн бұрын
근데 대화할때 안되는 일은 단호하게 안된다고 가르쳐야 합니다 그런일에는 공감은 불가합니다 그래야 옳고 그른걸 배우죠
@jms3611
@jms3611 Күн бұрын
공감만 하면 유아독존이 됩니다. 호되게 혼내야 합니다. 잘못된것은...
@user-io8gp4cr5z
@user-io8gp4cr5z 18 күн бұрын
내자식을 심리적으로 독립시키는 방법 감사합니다.어릴때부터 차별대우하고 안바뀌는 부모 억지로 만나 성인된지금 가정꾸리며 사는데에도 기분안좋은 말 들으면 서로 안보는게 나은거같아요.안보고 살아도 전혀 이상하지않고 내생활이 정서적으로 풍요로움을 느낍니다.왜냐 그분들을 안미워하게되니까요
@user-db3ur5zg4m
@user-db3ur5zg4m 17 күн бұрын
네 ..저도 저희집가족들이랑 전혀 말이 안통해요...며칠전에도 저희엄마가 저한테 3주간삐져있었는데 도통 이유를 모르겠는데 어르고 달래서 들어보니...팔아픈데 자기 손에 있는 짐 안들어줬다고... 또 아침에 자기먹을 밥을 안해놓고 나가서 너무 서운했다고...진짜 숨이 턱턱막힙니다.ㅠㅠ
@namibaek1347
@namibaek1347 16 күн бұрын
딸을 무수리로아나...그냥 버리세요. 50대후반 아줌마의 충고 입니다. 차근차근 준비해서 독립하세요.
@user-do6li6sw3f
@user-do6li6sw3f 16 күн бұрын
독립만이 살길~~
@user-db3ur5zg4m
@user-db3ur5zg4m 16 күн бұрын
네ㅠㅠㅠ내년에 70살이신데 더이상 안바뀌겠죠 ㅠㅠ안그래도 독립할려고 집 알아보는중입니다 ㅠㅠ새엄마신데 참 버겁네요 ㅠㅠ 친엄마려도 이랬을려나싶고 ㅠㅠ
@namibaek1347
@namibaek1347 16 күн бұрын
@@user-db3ur5zg4m 새엄마 친엄마 차이는 있겠지요. 친엄마 보다 훌륭한 새엄마 도 계시고 반대인 경우도 있겠고. 다만 내 삶에 괴로움만 주는 가족은 거리를 두고 살아야 한다고 봅니다. 죄책감을 갖지 마시고 본인이 행복하게 잘 살아보셔요. 응원합니다 ~♡
@user-gk5og8dv1z
@user-gk5og8dv1z 15 күн бұрын
​​@@user-db3ur5zg4m독립하세요 그러다 본인만 정신병 들어요 전 친엄마가 이러네요 내 나이 예순 화병이 왔어요 요즘 거리두니 안 온다고 온갖 욕 정말 질리고 치가 떨려요
@user-ki2es5gc9m
@user-ki2es5gc9m 19 күн бұрын
참견만 안해도 중간은 간다 시부모님들 제발 해준것도 없으면서 참견하고 자기말만 맞다고 하지 마세요.
@user-ph9qi7bt9z
@user-ph9qi7bt9z 17 күн бұрын
해주는것있으면 참견해도 되나?
@nyx3439
@nyx3439 18 күн бұрын
대화가 안통하는 사람이 저희집에도 있는데 전 포기하고 안 보고삽니다... 전에는 내가 좀 참지 하는 생각도 있었는데 어느순간보니 다른가족은 참지도 않고 아무 노력도 안하는데 나혼자 왜 참아야하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내인생도 한번인데 무늬만 가족인 사람들땜에 무작정 참아가며 살 필요없겠단 생각에 안봅니다
@user-du6xd5im5h
@user-du6xd5im5h 18 күн бұрын
자식을 위해서라도 먼저 연락하면 안 되네요. 경제적인 자립심과 책임감을 키워주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오늘 메시지 꼭 기억할게요!
@nr5112
@nr5112 14 күн бұрын
가족 사이에도 예의를 갖춰야 하는데 그러지 않는 가정이 많음. 우리집 포함..
@hoya012
@hoya012 18 күн бұрын
가정이 정원이군요 정원은 2틀만 무심해도 잡초가 자라지요 고맙습니다
@van8114879
@van8114879 18 күн бұрын
저원을 가꾸는 방법도 여러가집니다 모든 풀은 다뽑아주고 아주 깔끔하게 해주는 집도잇고 적당히 자연스럽게 관리하는 집도잇음니다 한국식 정원과 일본식 혹은 영국식 정원의 차이랄까... 지나가는 정원사가...
@user-qz3iz6ek5z
@user-qz3iz6ek5z Күн бұрын
​​@@van8114879 인생의 모든함의가 되어 있는 글 감사 합니다.!!!! 정원에 잡초는 없습니다 이름을 모르는 야생화 ! 깊은 사고를 주는
@cats-diary
@cats-diary 13 күн бұрын
"한쪽만 착해도 싸우고나서 친해진다고 느낀다" 최명기원장님!! 저도 싸움보다 무관심이 낫다고 느껴요 .원장님 따스하게 맘을 쓰다듬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gq3sp5lh4q
@user-gq3sp5lh4q 19 күн бұрын
가족도 작은 사회랍니다..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고 서로 입장을 바꿔 생각하고 행동해야 해요.. 물론 부모가 더 많이 희생하고 양보해야 하는 건 당연하죠
@Sal_love
@Sal_love 6 күн бұрын
언니는 학원갔는데 나는 못가니까 너무 부럽더라 나는 부모님이 개차반이어도 좋으니 공부 좀 맘껏 시켜주셨으면... 돈 걱정없이 책사고 학원다녀보고싶당 ㅜ
@estherj.4069
@estherj.4069 19 күн бұрын
4분 조합 너무 좋고 늘 감사히 잘 듣고 있어요 ❤
@user-kg6dd8wc9c
@user-kg6dd8wc9c 19 күн бұрын
가족이 힘들었던 이유를 학창시절때부터 생각해왔었어요 부모님들은 본인의 방식으로 저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키우셨겠지만 학습을 통해 배워왔던 부분과 부합하지않는 순간들이 있었어요 거기에 의문을 가지면 늘 제가 혼나더라구요..그래서 내가 배운것과 다르게 부모님의 의견을 무조건 쫓아가야하나? 라는 생각을 해오면서 자랐어요 전 부모님의 어린시절을 알지못하잖아요 듣는 얘기도 한쪽에 편중된 얘기고 오롯이 느끼지 못하는 막연한 이해지.. 살가운 설명없고 무조건 그렇다고 믿으라는 강요때문에 더 힘들었던거같아요 가족에게 필요한건 권위만도 아니고 자식을 소유물이라 생각하는 책임감만이 아니라 애정을 담은 마음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얼마나 똑똑한지 아시죠? 서로의 마음이 그랬다는걸 솔직히 말해주면 다 이해해요…
@stellakim1680
@stellakim1680 18 күн бұрын
정말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가족관계에 대해 진짜 많이 공감되고 세분 모두 한 말씀 한 말씀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sohamoon3493
@sohamoon3493 18 күн бұрын
오늘 영상은 정말 한 마디도 흘려들을 것이 없이 다 좋네요ㅠ 많이 배워갑니다.
@user-lf6kz2kf3l
@user-lf6kz2kf3l 18 күн бұрын
사랑받지못한사람이 약자라는말 정말 공감됩니다~ 가족의아픔을 근본적으로 터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yomiyomi1997
@yomiyomi1997 19 күн бұрын
저 이 멤버의 영상이 제일 좋아요. 저도 계속 배워가고 지식인 되는 느낌이에요 영상 자주 올려주세요❤
@ciaosoyeon
@ciaosoyeon 18 күн бұрын
한석준 아나운서 말씀 들으니 현실적으로 구구절절 와닿네요
@kd3645kd
@kd3645kd 16 күн бұрын
이조합의 대화.. 너무너무 유익합니다. 완죤 꿀 팁입니다 공감200 %하고 갑니다. 늘~~~감사합니다
@user-ip5kv6ig3d
@user-ip5kv6ig3d 18 күн бұрын
이번회 너무너무 좋은거 같아요!?😊
@user-bg9dy2ju3r
@user-bg9dy2ju3r 17 күн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말씀들 잘 들었습니다. 선생님들 감사합니다.
@Fabi484
@Fabi484 14 күн бұрын
부모자식도 절대적 관계아니다. 인간은 누구나 이기적이고 부모도 무조건 자식에게 희생하는 사람들 아니고 그럴 필요도 없다. 나와 안맞는 부모자식관계는 남보다 못하고 계속 대립된 관계라면 서로 안보고 사는게 서로에게 좋다고 본다. 난 부모자식에게 너무 스트레스 받고 살아서 자식이 대학가면 성인으로 간주하고 신경끊고 내 인생 살거다. 같이 사는거 자체가 스트레스다.
@user-pb1pj4jj6g
@user-pb1pj4jj6g 19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습니다. 네 분 케미도 좋고 물 흐르듯 쉽게 말하지만 정말 고퀄의 대화였습니다. 시간가는줄 몰랐네요.
@user-oe8og2rq6n
@user-oe8og2rq6n 19 күн бұрын
딱 3분 조합이 어밴져스인 거 같아요^^ 여기서 다른 분 잘못 끼면 채널 돌리게 되더라구요. 그렇게 되요^^;; 세분이서 오래오래 해주셨으면 합니다. 뻔한 내용이 아니라 넘넘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user-mp4pr6ks7b
@user-mp4pr6ks7b 18 күн бұрын
최고의 토크입니다. 감사합니다. 용서를 빌며 앞으로 조금씩 노력하겠습니다.
@anilys
@anilys 7 күн бұрын
마무리 말씀이 너무 좋네요 ㅠ 곱씹어보겠습니다
@joycekim6837
@joycekim6837 15 күн бұрын
무엇보다도 예의를 지켜야해요~
@rarah1757
@rarah1757 3 күн бұрын
최명기원장님 말씀은 정말 주옥같아요..모두 감사합니다!좋은 프로같아요❤
@reonsuny
@reonsuny 6 күн бұрын
너무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도 항상 밖에서는 세상 좋은 호인이었지만 집에서는 아내를 쥐잡듯이 잡고 가족을 다 자기 통제 아래 두어야만 했던 아버지가 있습니다. 결혼하고는 꼭 만나야 할 때 아니면 거리를 두고 살았는데 평생 의처증, 폭언, 막말을 당하던 엄마가 병으로 먼저 떠났어요. 지금 문제가 아버지가 뇌졸중으로 요양 병원에 있어서 2주에 한번씩 방문하는데 그게 너무 고역이에요 숨이 막혀요. 2주에 한번씩 가는 건데도 갈 때마다 매일 가는 느낌이에요. 멀쩡했으면 정말 연끊고 살았을 거예요. 멀쩡했을 때 연을 끊었어야 했는데.... 잘 지내려고도 해봤고 이래저래서 힘들다 토로도 해봤어요. 그때마다 돌아오는 건 얼굴이 벌겋게 달아올라 폭발하는 것 뿐이었고요, 사과는 기대도 안했고 인정?정도는 바랬는데 그것도 불가능한 거였더라고요. 지금은 반신 마비에 요양병원에 있고 기억도 잘 못할 때도 있고 말도 잘 못하는 것도 같지만 저와 엄마를 평생 숨 막히게 했던 성격은 신기하게도 변하지가 않더라고요. 이 사람한테 전화해서 고맙다고 해라 저 사람이 온다니 너도 와서 점심을 사라 나를 집으로 데리고 가서 모셔라 등등등 자기가 원하는 방식으로 저를 움직이고 싶어해요. 정말 보고 싶지 않은데 병원에 입원 중이니 그럴수가 없고 하지만 그 사람은 똑같으니 숨이 막히고 그럼 가기가 싫은데 그럼 죄책감이 들고 그래서 또 가면 사람을 미치게 만들고 정말 너무 고통스러워요. 이걸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 자체가 생각만 하면 그냥 갑자기 숨이 턱 막힙니다 정말 답답하네요
@SP-di6gw
@SP-di6gw 17 күн бұрын
항상 마음의 위로 얻고갑니다. 큰힘됩니다.
@user-ib1co6yg2m
@user-ib1co6yg2m 19 күн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배우고 뒤돌아보게 됩니다
@user-ts6nm1qp2h
@user-ts6nm1qp2h 19 күн бұрын
이 네 분 조합 모지?? ㅎㅎㅎㅎ 왜이리 잘 어울려 ㅎㅎㅎㅎ
@lris-nd6vv
@lris-nd6vv 19 күн бұрын
제가 가장 존경하는 분들의 조합이군요~~❤❤너무너무 감사합니다 ~~~❤❤❤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저도 이 원칙을 중시합니다~
@user-ns4he4ue3h
@user-ns4he4ue3h 19 күн бұрын
참는 사람이 늘 참아야만 관계가 유지 되는, 몇십년 참다 보니 신체적 고통으로 가슴이 콱 막혀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맞는 관계유지인지?
@user-ep7ic1ef4m
@user-ep7ic1ef4m 19 күн бұрын
일방적으로 참는건 좋지않아요 참지말고 본인의 의견을 말하세요 더 좋아질거예요
@user-ce3ms6if9e
@user-ce3ms6if9e 18 күн бұрын
본인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을 시 손절도 괜찮음. 사람이 살고봐야 함.
@user-gd9iw4cp4e
@user-gd9iw4cp4e 17 күн бұрын
의견을 말했을 때, 바로 인정하고 수용ㆍ타협을 해준다면 좋겠지만, 그런 경우는 별로 없더라구요.
@user-db3ur5zg4m
@user-db3ur5zg4m 17 күн бұрын
저랑 같으시다 ㅠㅠ 그래서 전 가슴에 한이 쌓였어요 ㅠㅠ
@hasunu2273
@hasunu2273 16 күн бұрын
참으면 병됩니다 나만 아파요~~
@user-ls3bz9fm2l
@user-ls3bz9fm2l 4 күн бұрын
큰팁이 됐습니다 지금 새로운 경험으로 희망을 쌓고... 정신과 신체모두 건강한 가족이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sd1in3ii7x
@user-sd1in3ii7x 18 күн бұрын
수틀리면 막말하는 시어머니랑 대화 단절해여... 맘 편해여 일년에 4번만 시댁 가려구여 아프거나 병원 갈 때 신랑으로 대체 하려구요...
@user-db5po6lr3n
@user-db5po6lr3n 19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들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최명기 원장님 말씀이 저에겐 특히나 많이 공감되고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
@sanghee519
@sanghee519 5 күн бұрын
저도 마찬가지지만 이런 정서적인 공감? 경험을 풀고 해석하는 영상이 많아져서 좋아요. 댓글도 옛날보다 경험을 공유하거나 본인들이 겪지 않은 일이어도 있을 수 있는 일이구나 하고 별 말 없고 본인 생각이나 이야기 풀어놓는 이 댓글환경이 좋습니다,
@Jenna-mp9tp
@Jenna-mp9tp 15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새겨 듣겠습니다~! 이번 자리 세팅 편안하네요!
@hoya012
@hoya012 18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축복을 기원합니다❤
@user-ee4rm9cc4d
@user-ee4rm9cc4d 19 күн бұрын
노력의 방식도 유연성, 융통성이라는 말 너무 공감되네요
@user-jh2wr8ls3m
@user-jh2wr8ls3m 19 күн бұрын
찾아오면 너무 반가워서 맛있는 거 준비하게 되네요❤부모인 내가 자기의 일,취미,친구...자기의 세계가 있으니까 자식한테 연락할 겨를이 없네요😂
@Sky-rh2bh
@Sky-rh2bh 19 күн бұрын
공감❤
@user-pp7cj8xh9r
@user-pp7cj8xh9r 18 күн бұрын
정답이네요 이런가정들이 늘어야해요 부모가 너무 자식들에게 의존하면 서로 지쳐요
@ssoo9201
@ssoo9201 13 күн бұрын
최명기 원장님 말씀 너무 좋아요.
@brilliant0514
@brilliant0514 14 күн бұрын
같은 주제에 대해 다양한 분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이 시간 너무~~~ 좋네요. 많은 영상 볼 수 있음 좋겠어요🎉
@user-mi1fl8cs6m
@user-mi1fl8cs6m 12 күн бұрын
옛날에는 가족회의해야 한다고 교육자들이 피를 토하며 강조하더니
@ks-op7ee
@ks-op7ee 3 күн бұрын
품안의 자식이라구 별개의 가정 꾸렸으니 가정사 좋은일 나쁜일 말없이 연락없는것을 고맙게 생각하기로 하고 우리부부도 병원 하루이틀 정도 입원하고 퇴원하는건 연락도 안합니다 걸어서 10분거리에 살아도 남처럼 생각하고 명절이나 생일 그것도 여러번 이니 잘살기만을 바랄뿐 입니다 손주들 초등3까지는 돌보았으니 할일은 했구 내생활 바쁘게하니까 무소식이 희소식 이라 생각합니다 아이들 하고 한가정 꾸리고 살기가 쉽지 않은 세상이니 연락없는걸 감사하기로~
@user-oq1ul8ir2w
@user-oq1ul8ir2w Күн бұрын
현명하시네요😊
@user-gh3ye2kf9h
@user-gh3ye2kf9h 19 күн бұрын
융통성 진짜공감합니다😊
@bighand1023
@bighand1023 17 күн бұрын
사춘기 아들을 키우는 입장에서나 여러모로 너무 배울게 많은 영상입니다~~~ 감사드립니다
@JJJJLFOREVER
@JJJJLFOREVER 19 күн бұрын
21:55 바로 제가 부모님께 벗어나고 싶어서 모은돈 다 싸들고 무작정 외국로 이민 왔습니다. 십대초반부터 얼마나 자살시도를 숱하게 했는지... 매일 오늘밤 날 좀 죽게 해달라고 기도했어요. 부모님과 함께 있으면 스스로가 아무 가치가 없는 인간처럼 느껴집니다. 제가 아무리 화내고 울고 설득을 해도 뭐가 문제인지 전혀 모르십니다. 주위 사람들에게는 자식에게 버림받았다고 말하고 다니시더라구요. 전 이제 부모님 포기할려구요. 재산 많이 모으셨으니 돌아가시기 전까지 당신께서 전부 쓰시고 남은인생 평안히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aptfac
@aptfac 19 күн бұрын
본인의 행복이 가장중요합니다. 성인대 성인이고, 결국 부모도 남이죠. 참 잘하셨고, 건강하십시요~
@schubitz5769
@schubitz5769 19 күн бұрын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사는게 어차피 누구나 힘든것 같습니다. 우리모두 각자의 짐을 지고 가고 있지만. 모두 힘내서 삽시다
@user-eq8qh6zl1i
@user-eq8qh6zl1i 19 күн бұрын
잘했네요 본인행복은 스스로 선택해야합니다
@user-cj9bs8jx4d
@user-cj9bs8jx4d 19 күн бұрын
지쳐서 더 나빠지기전에 잘하셨네요~
@younghee7411
@younghee7411 18 күн бұрын
십대 초반부터 자살시도를 했다고하니 마음이 아프네요.. 이제부터 라도 본인의 삶을 행복하게 살았으면 좋겠어요. 만약 힘든일이 생기더라도 당신은 소중한 인간 이라는걸 잊지 마세요.
@user-fi2hy6mf8k
@user-fi2hy6mf8k 2 күн бұрын
지금살아오니 지금 말씀해주신 그대로 저도 느껴서 깜짝놀랬어요 가족관계 자년관계 너무 진심으로 울림으로 좋은이야기 감사합니다 잘배우고갑니다
@user-nw1dm3wn3g
@user-nw1dm3wn3g 19 күн бұрын
부모 가족! 환경이 젤 중요함
@zeajoo5720
@zeajoo5720 10 күн бұрын
인간도 동물이다 일정한나이가 되면 독립시키고 만나지않는걸 당연하게 생각해야되는데 독립을 시켜놓고 오니안오니 연락이있니 없니하니문제다 보고싶고 그리워도 잘사려니 하고 생각하고 자신의 삶을 묵묵히살다 가는것이 후대를 위하는길인데 인류는 유전자를 보존하기위해 다른유전자보다 우위를 점하기위해 환경조성을 해주려 재산을 남기는짓을하지만 결국 그재산으로 좋은환경이아니라 유전자를 나태하게 만들어 마약이나 타락으로 도태되게 만드는걸 보면 동물들이 왜 좋은환경에 집착하지않고 힘든환경에 유전자들을 아주 혹독히 독립시키는지를 알것같기도 함 요즘 푸바오가족을 보면서 배우는게 더 많은 인간도 자연속에 하나의 개체이므로 그냥 자연스럽게 살면되는데 너무 인위적으로 가족주의 효도 유교적사고를 주입시키면 안된다고 본다 자연을 거스르는것임
@missing274
@missing274 17 күн бұрын
심난한주제 소상히알려주셔서도움되고 고맙습니다.
@user-kq9yc1xj6b
@user-kq9yc1xj6b 15 күн бұрын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영상이네요. 두번 이어서 다시 들어 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Ellie3035
@Ellie3035 1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l6xc9kj4u
@user-nl6xc9kj4u 15 күн бұрын
좋은주제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user-vv1gf6jg8x
@user-vv1gf6jg8x 11 күн бұрын
내용 너무 좋으네요❤
@user-pt2rl8ux2s
@user-pt2rl8ux2s 18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jh5ny8jp1x
@user-jh5ny8jp1x 19 күн бұрын
정말좋은프로그램이예요최고의패널들의주옥같은말씀들이너무너무도움이돼요그래서지식인아이드가최고예요~
@user-zi5zd4dq9s
@user-zi5zd4dq9s 18 күн бұрын
정말 귀중한말씀 잘들엇읍니다
@missqlinedance3216
@missqlinedance3216 19 күн бұрын
한석준님ㆍㆍ❤ 멋진 말씀이시네요 정원관리로 가족간의 행복감 확 느껴지네요 ㆍ ㆍ 예전 남자는 결혼한후 변하지요 잡은 물고기라 ~~ ㅋㅋ 요즘 이런 사고로 결혼생활은 이혼으로 가는 지름길ㆍㆍ
@gugugugu9871
@gugugugu9871 19 күн бұрын
제가 배워야 할 게 융통성이네요
@user-fs3xr3rj6b
@user-fs3xr3rj6b 4 сағат бұрын
유투부 최고의 내용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bz3mk3gr2p
@user-bz3mk3gr2p 7 күн бұрын
와우! 참좋은 대화였어요🎉🎉🎉
@user-qb5iy6ds1d
@user-qb5iy6ds1d 2 күн бұрын
유익합니다.알수없는 내심리상태를 잘이해할수있게 설명해주셔서 정신적 혼란이 줄어들었어요
@Jina.0228
@Jina.0228 18 күн бұрын
잘 듣고가요 감사합니다❤
@user-rr5dm2md6t
@user-rr5dm2md6t 10 күн бұрын
싫어하는것만 안해도 가족 사이은 좋아질듯해요
@user-ke6mi4yp1g
@user-ke6mi4yp1g 17 күн бұрын
가족은 각자가 두는 가치에 보상을 받든 그 가치가 최소한은 훼손받지않을때도 잘 살 수 있죠ㆍ교과서적이지만은 않은 인간관계죠ㆍ본인 희생으로 인한 행복이 느껴지면 억울할수도 있지만 자존감이 옿라갈수도 있고요 ㅡ핵공감입니다
@user-ue3vo3be5v
@user-ue3vo3be5v 14 күн бұрын
듣다보면 정말 유익해요!
@syh0476
@syh0476 Сағат бұрын
자식의 입장에서 부모님께 서운했던 감정을 되뇌여보고 부모로써 자식을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감사합니다
@tarra9893
@tarra9893 4 күн бұрын
아~~~ 어디서도 들을 수 없었던 명답입니다. 부모도 자녀를 만들지만 자녀도 부모를 만든다는 말이요. 항상 자녀와 갈등이 생기고 자녀에게 문제가 생기면 부모가 잘못이라는 말을 해주는 분들이 많은데 그 말을 수긍하고 받아들이려 하다가도 죄책감과 우울함이 생기면서 마음 속 깊은 곳에선 인정하고 싶지 않은 면이 있었거든요..부정적인 감정이 휩싸일 뿐이예요. 관계는 결코 일방적인 게 아닌 것을..어른이라 부모이기 때문에 더 참고 더 견딜 뿐이죠. 어른이기 전에 부모도 약한 인간이라는 걸 자녀들이 알아줬음 하는 건 욕심일지 모르겠지만 일찍 깨닫는 분들이 있길 바랍니다.
@jbs3257
@jbs3257 2 күн бұрын
이헌주 교수님의 말씀에 완전 공감입니다. 어린 시절에 학습과 출석은 인생에서 헤쳐가야 할 험난한 삶을 헤쳐 나가도록 힘쓰는 성실성을 키우는 거지요.
@dongguel_dolmeng
@dongguel_dolmeng 14 күн бұрын
저는 30대이지만 31:15 쯤부터 한석준 아나운서 님이 말씀하시는 내용들이 마음에 참 위로가 되네요 ㅠㅠ
@user-bj9eo3jf2o
@user-bj9eo3jf2o 16 күн бұрын
좋은영상감사합니다 🙏 👍 😍
@user-jh5ny8jp1x
@user-jh5ny8jp1x 19 күн бұрын
이헌주교수님 어쩌면그렇게깊은울림의것들을꺼내주시는지너무좋아요예리하고깊은얘기너무감사합니다
@user-dc6iv6sk9m
@user-dc6iv6sk9m 2 күн бұрын
한석준님 말씀 공감합니다. 상대방의 잘못 인정보다 더 높은 가치가 있기에 참는것이 아니다. 공감 100입니다
@user-ei4bq2zg2d
@user-ei4bq2zg2d 6 сағат бұрын
14살,11살 아이를 둔 엄마 입니다.이영상을 보는 아침 왜이리 눈물만 나는 걸까요..? 또 한번 깊게 느끼고 갑니다.
@user-se1nh9ey5f
@user-se1nh9ey5f 18 күн бұрын
지식인사이드 감사해요 더 흥하시길!
@KoreaHoop
@KoreaHoop Күн бұрын
캬❤지린다 말씀들
@user-rh9px9hh6y
@user-rh9px9hh6y 4 күн бұрын
법륜스님 말씀 만 들었을때 제탓을 많이 하고 있는데 쌤말씀도 맞는거같네요
@user-eq8qh6zl1i
@user-eq8qh6zl1i 18 күн бұрын
반복으로듣고있답니다. 부모는자식에게 자꾸 가르칠려고하는대화를하려고랍니다 저는 아이들이 성인이되고난후 아이들에게지고살자 고다짐했답니다
@user-dp5sb3lr9m
@user-dp5sb3lr9m 1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속담에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잖아요
@tleegen9708
@tleegen9708 18 күн бұрын
37분이 10분처럼 느껴지는 네 분의 대화~ 최고의 조합입니다😂
@user-cj9bs8jx4d
@user-cj9bs8jx4d 19 күн бұрын
성실성 규율 어느정도 필요함 쉬운방향으로 가려고 하는게 인간이라 적기에 공부해야할 때가 있기때문에 그 시기를 현명하게 잘 보내야♡ 엄마들의 한을 아이에게 투영시키믄 안됨 ㅋ
@parkmira7044
@parkmira7044 11 күн бұрын
너무 공감가는 이야기들 입니다. 우리집도 대화라고 해서, 결국은 싸우고 있더라구요.감사합니다.
@user-eg6gf1hj8r
@user-eg6gf1hj8r 2 күн бұрын
와 인사이트가 엄청 나네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user-sj8ci7fy1q
@user-sj8ci7fy1q 7 күн бұрын
지금까지 보았던 가족간의 소통영상중 젤 맘에 와 닿습니다 자식으로서도 부모로서도 살고있는 제겐.. 부모에게 있는 감정도 지금 자녀가 제게 가질 감정을 객관적으로 깨닫고 ..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해되고 노력하렵니다 제 아이와 더 악화되기전 잘본거 같습니다 한석준님 말씀 울아이도 이 영상 꼭 봐줌 좋겠네요ㅡ 이미 성인이된 .. 불우한 아이가 어른되고 부모되서 사랑만이 다인줄 알았는데 그게 .. 몰랐던거 .. 제 부모와는 다른줄 알았는데 저도 요즘 제아이에게서 제가 울 부모께 가졌던 감정을 ...알게되고 무척 충격을.....더 늦기전 노력하렵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37:08
@user-ip5bj9gi6p
@user-ip5bj9gi6p 14 күн бұрын
자신들부터 잘 돌아보시길~~ 아들로서 딸로서 부모로서~ 잘 이해하고 배려하고 존중하고 소통하려고 하는지~
@the_best_fruit
@the_best_fruit 19 күн бұрын
결국 케바케, 사바사, 결과론 ^^; 강압적으로 키웠는데 잘 자라면 부모덕이고, 이상한 놈 되면 부모탓이죠. 오냐오냐 키웠는데 잘 자라면 부모덕, 개망나니 되면 부모탓이죠. 정답은 없고 결과를 봐야 뒤늦게 깨달을뿐... 원래 인생사가 이런가봅니다
NO NO NO YES! (50 MLN SUBSCRIBERS CHALLENGE!) #shorts
00:26
PANDA BOI
Рет қаралды 102 МЛН
다 큰 자녀와 사이가 틀어지는 부모들의 특징 (김경일 교수)
13:44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Рет қаралды 57 М.
속 마음을 쉽게 드러내면 안되는 이유
51:33
지혜의 씨앗
Рет қаралды 2,5 М.
매우 치명적인 뇌출혈 예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
1:06:4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68 М.
🇮🇩Let’s go! Bali in Indonesia! 5GX Bali
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Đào sắn trên rừng rất vui nhé
0:14
Nhung Phan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