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성심당 빵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 인생내컷 | 2023년 10월 8일

  Рет қаралды 271,663

대전MBC

대전MBC

Күн бұрын

#성심당 #대전 #빵집
전국 각지에서 빵집을 찾는 하루 방문객이 약 17,000명, 시그니처 메뉴 튀김소보로는 약 9천만 개 판매. 1956년 설립되어 연 매출 800억 원을 달성하며 단일제과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매출 기록한 성심당.
하지만 성심당의 임영진 대표는 성공한 빵집 사장보다는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고 합니다. 1등 빵집보다는 모두가 행복한 경제를 실천하고, 세상의 건강한 발효를 꿈꾸는 빵장수 임영진의 인생내컷을 돌아봅니다.
00:00 인트로
01:37 성심당 본점 개점 시작
05:36 성심당만의 경영 철학
06:53 튀김소보로, 어떻게 대전의 명물이 됐을까
10:24 지역 고유의 맛과 정서를 담은 빵들
10:52 창업주의 아들(현 대표)이 들려주는 성심당의 역사
14:01 나눔을 실천하는 성심당
16:55 성심당 법인 사무실, 임영진 대표의 인터넷 서칭
20:04 성심당 신메뉴가 나오는 방식
21:37 화재가 준 선물
27:37 원도심을 함께 지켜온 태화장
30:27 포장빙수 40주년
32:27 성심당 주간신문 한가족신문
34:04 직원들의 빵집 창업(도안동 라블랑제 la boulange)
36:37 향토기업 성심당
37:30 성심당 문화원
40:18 임영진 대표의 집
47:02 임영진 대표의 지향점

Пікірлер: 463
@user-ln2xq3ti1e
@user-ln2xq3ti1e 10 күн бұрын
성심당 은 옛날 부터 직원들 복지가 최고로 좋았습니다
@graciousdignity7547
@graciousdignity7547 4 ай бұрын
악덕기업 이미지가 남은 SPC가 보고 배워야하는 선량한 제괴점이 제과업계의 귀감을 보여주고 있음
@hanacampstudio
@hanacampstudio 4 ай бұрын
대전 은행동은 "성심당"이 없었으면 다른 도시 구도심처럼 몰락했을 겁니다. 대전 분들은 "성심당"을 소중히 여기셔야 합니다. 성심당 대표님의 선한 영향력과 경영 철학이 오늘의 성심당을 만드셨다고 봅니다. 청결한 위생관리. 친절한 직원분들. 최고의 맛~ 자영업자들이 배워야 할 점이 너무 많아요 성심당 더 번창하시길 늘 응원합니다. 2023년 5월까지 5년간 은행동에서 장사하면서 지켜본 사람으로서 몇 자 올렸습니다. (전주한옥마을에서 )
@user-mj3it9rc4d
@user-mj3it9rc4d Ай бұрын
라도 사람특답네 무슨 성심당이없었으면두둔하냐 무슨근거로?ㅋㅋㅋ대전사람들은 가지도않는다 은행동은 대전인의 추억동이지 무슨 성심당 어쩌고ㅋㅋㅋ썩들이지마라 전라인간아😂
@marble2565
@marble2565 Ай бұрын
님은 일베답네요^^ 쭉 그렇게 하타치 인생 사세요^^ ​@@user-mj3it9rc4d
@ruind.8511
@ruind.8511 Ай бұрын
@@user-mj3it9rc4d 중구 촌놈이면 고마워할줄 알아야지 웃기노 ㅋㅋㅋㅋ 서구랑 유성구에서만 살다가 중구 가니까 뭔 필리핀 간 줄 알았다🤣🤣🤣
@user-pq9ew8by9c
@user-pq9ew8by9c Ай бұрын
@@user-mj3it9rc4d엥 나 20년간 대전 살다가 대학때매 서울왔는데 본가 내려갈때마다 5만원씩 사오는데?무슨 대전사람이 전라도 이러고있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vk4tn7mf3k
@user-vk4tn7mf3k 28 күн бұрын
@@user-mj3it9rc4d 대전사람들도 성심당에 일부러 찾아가서 먹어요.. 다만 대전 동네 개인 빵집들의 빵맛이 성심당만큼 괜찬으니 횟수가 많지 않을뿐이죠,,,
@user-cn5tz9sn9p
@user-cn5tz9sn9p 9 күн бұрын
66년생 대전토박이입니다 대흥동 카톨릭성당앞 작은 빵집이었을때 집안 사정이 어려워 고등학교 진학을 못 한 동네 친구를 성심당 직원으로 만났던 그림이 떠오르네요 내 추억과 함께 흐른 역사 무척 자랑스럽네요 대전시민이라는것이..
@infinitechallenges4818
@infinitechallenges4818 4 ай бұрын
내 성심당에 대한 첫기억은.. 91년 7월 유럽베낭여행 갔다가 만난, 성심당 직원.. 어찌나 자랑을 하던지, 회사에서 유럽베낭여행 보내줬다고 하길래, 더 놀랐고. 그 시절에 그런회사가??!! 독일 쾰른인가 뮌헨쯤에서 밤에 야외에서 같이 대화했던 그 기억이 생생.. 대전에 성심당 하면서, 참 기억이 좋았다는.. 물론 빵도 맛도 좋더라는..나중에 먹으니. 이런 다큐보니, 참 멋진 회사 맞네요. 지금도 일하고 있을까나? 당시, 20대초중반의 직원분.. 이제 거의 50대중반일듯..
@user-hd9db7wb3j
@user-hd9db7wb3j 14 күн бұрын
보다가 울었어요ㅜㅜㅜ 이런기업이 있다는게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대표님 만수무강하세요 대전의자랑입니다💗
@queen77579
@queen77579 12 күн бұрын
이런기업을 임대료문제로 힘들게하는정부
@user-jq5lu5nj6f
@user-jq5lu5nj6f 10 күн бұрын
대전역점 높은 임대료로 걱정이라더군요 잘해결돼서 유지하기보다 역근처 건물매입 입점하는게 적당할듯요
@user-vg9fd1dv3z
@user-vg9fd1dv3z 28 күн бұрын
겨우 4개만 있는 빵집이 전국에 4천개가 다 되가는 파리바게트보다 영업이익이 높은게 진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갯수만 천배 차이가 나는데
@nessenty
@nessenty 5 ай бұрын
군산,부산,대구의 유명 빵집들은 서울에 분점을 내는 선택을 했는데 그 때문에 굳이 지방을 가서 사먹어야 하나 라는 생각도 들지만 성심당은 대전에만 가야 만날수 있어서 꼭 가게됩니다 그게 맞는 결정이라고 봐요 분점을 늘리기보다는
@user-se3od5ce2z
@user-se3od5ce2z 4 ай бұрын
미국의 인앤아웃이 해외지점을 내지 않는 이유와 같음
@user-hk3eu5ss4j
@user-hk3eu5ss4j 4 ай бұрын
그것조차도 사업적 선택이 아니라 대전이라는 지역 발전이 이바지하기 위한 선택이라네요...
@user-op8mm2fu5i
@user-op8mm2fu5i 12 күн бұрын
대전을 위해선 좋을지언정, 소비자를 편의를 위한건 분점내는 쪽이죠. 단 제품 품질이 바뀌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youngsukhong9120
@youngsukhong9120 12 күн бұрын
자랑스럽습니다♡♡♡ 성심당 하느님의사랑을실천하시는분들 천주교인으로서 무척자랑스럽니다 무궁히발전하시길~~~
@prosumermeber
@prosumermeber 3 ай бұрын
임영진 사장은 양심적인 천주교 신자, 자랑스러운 순교자정신. 장하다.순교자.
@user-yt3iw5zz2n
@user-yt3iw5zz2n 10 күн бұрын
대표님 얼굴이 참 선하시네요. 그리고 실례일수도 있지만 제빵사셔서 그런가 호빵맨 같으….셬ㅋㅋㅋㅋㅋ
@user-ln2xq3ti1e
@user-ln2xq3ti1e 10 күн бұрын
내가 90년 초에 제과제빵사 였습니다 그때 당시 에도 제빵사 들이 꼭 가봐야지 되는곳이 성심당 입니다 성심당 사장님 제과협회 회장님도 오랫동안 했는데 아시아 에서 제일 큰 베이커리 매장 입니다
@user-wp2ns9ob7i
@user-wp2ns9ob7i 16 күн бұрын
성심당 대표님~진심으로 존경하게 됐습니다~건강 잘 챙기셔서 오랫동안 지켜주세요
@user-se5po1dg1g
@user-se5po1dg1g 18 күн бұрын
이런 경영자분은 진짜 늙지않고 오래오래 계시면 좋겠어요 대전을 무지무지 사랑하시는것으로도 유명하신것으로 알고있어요 건강하세요 사랑합니다
@DJcopylee
@DJcopylee 3 ай бұрын
난 성심당이 정말 좋은 이유가 이 정도의 유명세면 가격을 더 올려도 충분히 잘 팔릴 것 같은데, 가격 조차 요즘 초보 베이커리들의 말도 안되는 가격보다 착하다는것
@Jin-ci2od
@Jin-ci2od 4 ай бұрын
케익마저 당일만든거라니!!! 파리바게트 몇달전에 만들어서 냉동시킨 케익하고 차원이 다르네… 이래서 대전가면 무조건 들러서 오는구나…
@user-dx2qt1db1m
@user-dx2qt1db1m 13 күн бұрын
성심당 ㅡ 직원들이 웃고 일하는 모습 어려울때 힘모아만들어낸 결실입니다 대전사람으로 자랑스럽습니다❤❤❤
@solenoon
@solenoon 4 ай бұрын
회의 하시는 직원분들이 사업가나 회사원의 얼굴이 아니라 왜이렇게 종교인이나 수행 하시는 분들의 인상이지 ㄷㄷ 놀랍다...
@vnvnqvn9063
@vnvnqvn9063 23 күн бұрын
대전에서는 진짜 목숨걸고 지켜라 나도 성심당 때문에 가끔 대전간다
@july7th
@july7th 12 күн бұрын
대전은 성심당 뿐만 아니라 신기하게 로컬 빵집들이 많고 프렌차이즈 보다 장사가 잘 됨 하지만 이런 현상엔 대전에서만 60년 가까이 한 성심당 덕분이라고 생각함 대전의 역사를 함께한 기업이라고 보면 됨
@Victoria-yr2us
@Victoria-yr2us 10 күн бұрын
성심당 부모님부터 남달랐네요 대전의 자랑 입니다 우리집 둘째아들~ 성심당 빵~마니아 되었어요 맛나는 빵 🍞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ghtyrdfvvgi
@ghtyrdfvvgi 4 ай бұрын
직장이 대전 이전해서 모든 게 불만인데 성심당 만은 만족한다. 성심당 인정합니다.
@user-tl6dx8ep6s
@user-tl6dx8ep6s 4 ай бұрын
성심당.믿음이가는 빵 초대 사장님부터 천주교신자 집안이시고 좋은일 많이 하시는 분 빵도 정말 맛있습니다
@doit156
@doit156 5 ай бұрын
성심당은 제가 아주 어렸을때부터 은행동에서 하루 팔고 남은 빵은 모두 취약시설에 기부하는걸로 유명한 빵집이었어요 부모님이 항상 샌드위치며 고로케같은 빵을 한봉다리로 사오면 행복했던 기억이 있네요 벌써 30대가 됬지만 아직도 성심당을 들어설때면 마음이 들뜹니다! 대전에 성심당이라는 빵집이 있어서 한편으론 참 마음이 참 푸근해지기도 따뜻해지기도 하는 것 같아요
@Studio_6
@Studio_6 4 ай бұрын
​@@hanba5 기부용 빵 따로 만듭니다.
@munzajomba
@munzajomba 4 ай бұрын
궂이.. 일이있어 가면 모를까.. 빵쟁이들 대단하다.ㅎ 자기 사는 지역 빵가게 널렷을텐제.. 하여튼 한가한 사람들 많음..
@Studio_6
@Studio_6 4 ай бұрын
@@munzajomba 굳이
@kimhar5789
@kimhar5789 4 ай бұрын
여행삼아 .. 정신내려놓고 가볼만…
@user-ts7eh8mn4n
@user-ts7eh8mn4n 28 күн бұрын
​@@Studio_6팔고 남은게 없어서 기부용으로 또 만드는겁니다. 당일 만든빵은 다음날 팔지 않구요
@mayablue1981
@mayablue1981 28 күн бұрын
성심당은 단순히 성공한 지역 빵집이 아니라 대전의 변천사와 더불어 대전인들의 추억을 소환하는 고향같은 곳입니다. 그리고 초창기의 창업이념을 지금까지 변함없이 유지 실천해 온 모든 기업의 모범사례라고도 할 수 있어요.
@goodjob2352
@goodjob2352 5 күн бұрын
맞습니다 정말, 다들 알겠지만 사람이 많아진 것 빼고는 90년대부터 지금까지 크게 달라진 건 없었던 것 같아요. 경양식이 나름 귀했던 시절 어머니랑 성심당에 가면 꼭 돈까스를 먹고 왔었죠.
@dohyunkim6584
@dohyunkim6584 12 күн бұрын
번창하세요
@user-rk9qh5ke5m
@user-rk9qh5ke5m 4 ай бұрын
대전의 빛과 같은곳..가격만 봐도 다른 빵집들과 다른 착한기업 성심당...비싼 태극당, 전국에 지점낸 삼송, 이성당은 성심당에 비빌곳이 아니다.. 빵 그이상의 감동을 파는곳 성심당
@user-ek5gz2sr5t
@user-ek5gz2sr5t 12 күн бұрын
대전 대신고 출신입니다. 고3때 어느날? (90년) 고3 모든 학생에게 성심당에서 무료로 지원하는 찹쌀떡 먹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참 맛있는 단팥이 기억됩니다. 고마웠어요!!!
@user-lr4rc4wr1r
@user-lr4rc4wr1r 3 ай бұрын
지금은 수녀가 되신 막내 고모가 대전에 올때면 항상 성심당에 갔었다. 90년대 후반.. 그때도 사람이 많았지만, 밖까지 줄을 서서 기다리는 수준은 아니었다. 아마 고모는 종교적인 이유로 성심당을 찾은게 아닌가 싶다. 외식이 힘들었던 IMF 시절의 나는 외출에 설레지 않았다. 하지만 '성심당'에 간다는건 '외식'을 뜻하는 것이기에 성심당에 가자고 할때마다 설레었다. 항상 고모가 빵을 사는 동안 시식 코너에 있는 빵들을 몇 조각 먹었고, 빵을 사는게 끝나면 2층에 올라가서 밥을 먹었다 그게 우리의 소소한 루틴이었다. 그래서 성심당하면 특이하게 튀김소보로나 부추빵과 같은 대표적인 '빵'이 아닌 검정색깔 씨앗이 씹히는게 재미있었던 2층의 키위쥬스가 먼저 떠오르곤 한다. 나는 대학 때문에 타지에 나가게 되었고, 그 뒤로 군 생활을 제외하곤 대전에 돌아올 일이 없었다. 친구나 가족을 보러 대전에 들렸을때 굳이 빵집을 찾을 이유도 없었기에, 거의 10년을 찾지 않았다. 그런데 어느샌가 성심당이 엄청나게 유명해져 있더라. 한 번 찾아가보니 이제는 매장을 빙글빙글 돌면서 빵을 구경하고 담던 감성은 사라져서 낮설었다. 튀김소보로가 그정도로 유명한지도, 타 도시의 친구들에게 들었다. 그래도 기왕 온 김에 이것저것 사서 먹어봤는데, 객관적으로 봐도 맛있는 빵집이더라. 이젠 대전에 올때 '굳이' 성심당에 들린다. 아직 파는지 모르겠지만... 이번 설에는 키위쥬스를 다시 맛보고 싶다..
@61yunhr
@61yunhr 4 ай бұрын
아직도 기억납니다. 선대 사장님께서 영업 끝날쯔음 남은 빵들을 주변 아이들에게 나누셨던 것을요... 아직도 그 정신이 이어지고 있다는게 너무나 감사하고 따뜻하기만 합니다.
@qweasdzxc-im2pl
@qweasdzxc-im2pl 26 күн бұрын
대표님 얼굴에 복이 많으시네요 30대가 넘어서면서 제빵에 관심을 갖게되었습니다 성심당은 제빵에 꿈을가진 청년들에게 희망이자 꿈입니다 저도 열심히 준비해서 꼭 성공해서 제 가게를 차리는날 제가 만든빵을 사러 오시는분들께 웃게하고싶고 삶의 원동력이 되고싶어요 행복하세요
@Yorido_jua
@Yorido_jua Ай бұрын
이 영상을 초.중.고등학교 인성 교육 영상 소재로 써야함 ❤❤❤❤
@user-my7wr8hp9z
@user-my7wr8hp9z Ай бұрын
한 번 사먹어봤는데, 터키여행 가서 먹은 현지 빵과 맛이 똑같았음. 방부제 안 쓴 그 맛. 하루 이틀 지나면 곰팡이가 슬어서 신선할 때만 팔 수 있는 빵맛이었음.
@user-ps2ih9st5l
@user-ps2ih9st5l 4 ай бұрын
성심당' 이집 빵이 결코 조선 제일의 맛은 결코 아닙니다,, 성심당 맛'으로도 세게적 이지만 성심당 인류사 최초 완벽한 제과점 입니다, 성심당 가서 구매 해 보세요,, 맛'보다 성심당 직원들 맛? 소비자, 소핑이 즐거워 집니다,, 이 설명 결코 장난 아닙니다,,,
@user-up7jm7rd9o
@user-up7jm7rd9o 4 ай бұрын
정말 아름답습니다.....가슴이 뭉클 해집니다 하느님의 축복이, 하시는 모든 일과 직원분들에게 가득하시길 기도 하겠습니다.
@user-gq9ud2kr6z
@user-gq9ud2kr6z 15 күн бұрын
사장님 얼굴에 사랑이 배어나오는듯 합니다
@user-pt8ik1bq4h
@user-pt8ik1bq4h 13 күн бұрын
멋진대표세요 우리 회사랑 질이다르네요 부럽습니다
@user-bi1hq8xf9c
@user-bi1hq8xf9c 12 күн бұрын
"여기 빵집은 매일 만드는 신선한 빵이래...전날에 남은 빵은 모두 보육원이나 양로원에 보내주어서래" 라고 부모님께서 저에게 말씀해주셨습니다. 그게 성심당(지금 쁘띠끄자리)에 처음 간거였는데 벌써 40년전이네요.
@user-se4kg5tu7y
@user-se4kg5tu7y 4 ай бұрын
빵이 크고 저렴하고 맛있어요. 속을 아끼지 않고 재료도 신선해요. 아휴 이거 아낄려고 속을 많아보이게 넣었구나, 오래된 재료를 썼구나 싶은게 단 하나도 없습니다. 기본에 충실하고 고객을 속이려 하지 않는게 느껴집니다.
@gna2454
@gna2454 4 ай бұрын
저는 오래전 고향 대전을 떠나서 미국 캘리포니아에 이민와서 살고있어요 ~ 제 고향 대전 그리고 제가 자주다니던 성심당에 대해서 이렇게 다큐멘터리로 시청하게되니 너무나 감격스럽고 제 어깨가 괜히 으쓱하네요^^ 회장님 인상도 너무좋으시고 성품또한 인자한것을보니 모든것들이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말처럼 직원분들도 다 회장님성품 닮았나봐요^^ 한국에 나가게되면 무조건 꼭 성심당가서 튀김소보로 영접하고 말거에요 ㅋㅋㅋ ❤😊😂😅🎉
@young-hikim2689
@young-hikim2689 4 ай бұрын
대전 사람도 아나고 미국에서 47년 살았는데 스토리를 들어보니 가슴이 찡 하네요 한국에 오면 꼭 한번 들려서 소보로 꼭 먹어 봐야 겠네요 감사 합니다
@bennykim6573
@bennykim6573 4 ай бұрын
반갑습니다 저도 1989년 대전을 떠나 캘포냐에 살고 있습니다. 당시 고1이었는데 추억이 많이 떠오르네요. 80년대만 해도 성심당 그냥 동내빵집 싸이즈로 기억나는데 이렇게 중견기업으로 성장한거 보니 신기하고 대단하네요. 캘포냐 소스몰에있는 베이커리라는 빵집이 튀소를 판매하고 있는데 성심당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참 궁금하네요.
@gna2454
@gna2454 Ай бұрын
​​@@bennykim6573 우와~ 고향분이시네요^^ 너무너무 반갑습니당~♡ 저 소스몰가서 그 빵집 봤어요 ㅋ 저도 똑같은 생각했었어요 ㅋ 제생각엔 튀김소보로 먹어보고 비슷하게 만들어서 파는거 같은느낌? ㅋ워낙 튀김소보로 모르는 사람 없을정도니까요^^
@bennykim6573
@bennykim6573 Ай бұрын
@@gna2454 고향분을 같은동네에서 뵙는군요 반갑습니다 ㅎㅎ
@twinkle1109
@twinkle1109 3 ай бұрын
지금도 그런지 모르겠는데 15년전에 대전고 신축하기전에 학교 매점 빵을 성심당에서 대줬었어요, 매점 빵중에 참치빵이라고 학생들한테 인기 있는 빵이 있었는데 졸업하고 한참 지나고 혹시나 성심당 가서 참치빵 있냐고 물어보니까, 그빵은 단종됐다고 하더니 직원분이대번에 대고나왔냐고 하시더라고요. 그때 느꼈습니다. 역시 성심당이구나.. 여기는 직원들도 오래 다니고 확실히 자기 빵들에 대해 자부심이 있구나.. 빵하나로 고향향수와 옛 기억들이 떠올라서 참 좋았던 기억입니다.
@user-qu7wy9yf8e
@user-qu7wy9yf8e 7 ай бұрын
조회수 258회 .. 대전인들아 힘을 모아줘 !
@user-yg2ee2ej9s
@user-yg2ee2ej9s 4 ай бұрын
10만회가 넘었네요 ㅎㅎ
@user-sd4qt6ph7q
@user-sd4qt6ph7q 4 ай бұрын
인천사람 입니다. 잘보고 가요
@fascinaty
@fascinaty 4 ай бұрын
서울사람 왓다가용
@eunjucho8155
@eunjucho8155 3 ай бұрын
경주사람도 왔다갑니다.
@Patatano
@Patatano 3 ай бұрын
성심인이라고 해주세요
@user-im1go1oi2k
@user-im1go1oi2k 4 ай бұрын
정말 훌륭하시네요 밀가루 2포대로 일군 성심당 영원히 자자손손 이어 나가시길 빕니다 대표님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user-kp7zn7id8w
@user-kp7zn7id8w 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최고의 빵 대전 성심당 😊
@user-zv6tq3lp9w
@user-zv6tq3lp9w 4 ай бұрын
아...성심당 고교때부터 너무 좋아했는데.. 요즘은 바쁘기도하지만....아침부터 너무 ~~긴줄이 부담이 되어 한편으론 서운하기도 하지만 대전의자랑 성심당이 잘 되어 너무 기쁩니다.... 정말 대전 은행동은 성심당이 아니었다면 과연 지금은 어찌되었을까....상상도 하기 싫어지네요 오늘보니 그동안 소문으로만 들어왔던 직원들과의 행복한 교류.,,,잘보았습니다 이제 앞으로제3세대 대표님께서 부디 가업을 더욱더 잘 굳건하게 다져가시길 기원합니다~!
@user-cn5gi5vp5q
@user-cn5gi5vp5q 4 ай бұрын
아버님이 함경북도 피난민이어서, 같은 피난민 출신이라고 어머니 손에 이끌려 가끔 성심당 어머니하고 담소를 나누고 돌아온 기억이 있네요. 그때만 해도 평범한 동네 빵집이었는데.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user-ks7po8sp8i
@user-ks7po8sp8i 4 ай бұрын
34년전 성심당에 가서 튀김 소보루에 팥빙수 먹는게 유행이었던 시절이 있었죠 입구에서 아이스크림 팔던 할아버지가 계셨는데 그분이 진짜 사장이다 아니다 말도 많았었는데 ... 여름에 지나가면 가끔 공짜로 아이스크림을 주시던 지금의 사장님과 많이 닮았던 할아버지가 생각 납니다 ㅎㅎㅎ 나중에 알게된사실은 그분이 현역에서 물러나시고 빵집 문앞에서 하드파는 일을 하신 사장님이었어요
@user-oz8yb8du8h
@user-oz8yb8du8h 3 ай бұрын
성심당 삼십년 단골로서 정말 칭찬합니다 대전의 자랑입니다 요즘 전국구가 되어 접근어려운게 흠이지만 그정도는 충분히 감수 합니다
@user-to2cn9pc8p
@user-to2cn9pc8p 4 ай бұрын
현충원 갈때마다 들레는데 너무 맛있더라 이런 기업은 항상 잘되서 전통이 오래오래 되길👍
@user-rq6sv3vr2m
@user-rq6sv3vr2m 4 ай бұрын
영원히 흥해라 성심당 💜 💙 💚
@user-rv6qn6nt9d
@user-rv6qn6nt9d 4 ай бұрын
저는 아들이 계룡대에 근무하고 있어 대전역에서 성심당에 들러 빵을 많이 사왔는데 특히 추석때 사온 약과는 시중에 파는것 보다 일품이었습니다.
@KIM_HS_0228
@KIM_HS_0228 4 ай бұрын
계룡대라 다행이네요. 무사히 군복무 마치시기를.
@user-bs6lg2xl3u
@user-bs6lg2xl3u 4 ай бұрын
좋은분들이 만들어서 빵이 맛있었구나 항상 응원합니다
@shushulog6205
@shushulog6205 4 ай бұрын
아 갑자기 성심당 빵 먹고 싶네
@love_yourself0228
@love_yourself0228 4 ай бұрын
댓글을 안달수가 없네요ㅠㅠ 정말 성심당 한번 꼭 가보고 싶어요..이렇게 선한 기업이 있구나 한결같은곳이네요
@cjfflgkr
@cjfflgkr 4 ай бұрын
불행한 사람을 옆에 두고 혼자서는 행복해질 수 없다 ㄷㄷ
@user-mg2mo6wp9u
@user-mg2mo6wp9u 3 ай бұрын
그러면서 정작 내부직원은 안챙기고 본점 엘베는 툭하면 고장에 체계도 없고 바쁘면 사람을 더 뽑아야지 퇴사인원만 충당해서 최소인원으로 최대이익을 내는곳임 남들보다 직원들이나 잘 해주지 내부사정 다 알면서 저렇게 웃는거 보면 가식같아서 소름이 돋아요
@user-sr6cg7qh5v
@user-sr6cg7qh5v 25 күн бұрын
30:34 맞습니다 너무 멋있고 공감되는 명언입니다 불행한사람들이 옆에 있으면 마음이 아프지요
@yoonjohnbap.j.5534
@yoonjohnbap.j.5534 22 күн бұрын
​@@user-mg2mo6wp9u뮌 일로 심성이 이리 꼬였나? ㅉㅉ
@Chonghyeon-fw1kz
@Chonghyeon-fw1kz 17 күн бұрын
​@@yoonjohnbap.j.5534He is telling us truth, I believe you. There's many employers treating employees bad 😞 ( sorry writing in English) from USA
@vfgj972
@vfgj972 5 ай бұрын
성심당 흥해라👍🏻👍🏻👍🏻👍🏻
@user-bw5ts3uh1t
@user-bw5ts3uh1t 4 ай бұрын
맞아요. 성심당의 국민의 것인 것 같습니다. 가르침이 아주 따뜻합니다. 성공한 빵집이 아니라는 거요.
@ahyun488
@ahyun488 5 ай бұрын
왜인지 요즘 성심당에 관심이 확 생겨서 근 한 달간 성심당 영상보고 사진보다가 여기까지 왔네요 비행기도 타고 기차도 타고 가야해서 고민이 많았는데 결국 성심당 가려고 표 끊었어요ㅎㅎ 대전을 성심당 덕분에 가보는데, 두근두근 설레네요
@perfectperfect2151
@perfectperfect2151 4 ай бұрын
빵도 맛있고 정직하고 기부도 하고, 성심당 흥하세요,항상 응원합니다~~^^
@user-ip6ek3cv5e
@user-ip6ek3cv5e 14 күн бұрын
저런분들이 있어서 대한민국이 살아가고 힘이생기는겁니다 정치인들 공무원들 제발 저런마음으로 일하라고 국민이 뽑아주는거아닌가요시험보고 공무원되면 해처먹고 권력에 군림하는게아니라 진짜로 반성좀하고 살아가자
@user-gu9rw9uq6p
@user-gu9rw9uq6p 11 күн бұрын
@user-wo6yv2oj7n
@user-wo6yv2oj7n 4 ай бұрын
아들이대전근무, 저는 송파. 자주선물로 사오는 소보루 , 보문산,,여러종류 빵들 .. 참으로 맛나고,대전역점,엑스포점,가보았습니다.대표님의 대전지역사랑실천을 존경합니다
@kisoopark4306
@kisoopark4306 5 ай бұрын
이게 진정한 장인이지 SPC같은 쓰레기 말고
@vfgj972
@vfgj972 5 ай бұрын
맞아요 SPC는 식품업계의 개쓰레기 양아치 기업임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7 ай бұрын
여기가 제빵사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은빵집인가
@user-ud6wq1xq1p
@user-ud6wq1xq1p 4 ай бұрын
사람이 너무 몰리니깐 너무 힘들다고 아오지탄광이라고 불리죠...ㅋㅋㅋ
@hyooon9504
@hyooon9504 4 ай бұрын
진정한 장인이십니다. 훌륭한 어르신이 세우시고, 현명한 아드님이 잘 지켜가시는 모두가 보고 배울 본보기가 되는 모습입니다. 성심당은 대전의 명물이 아니라 대전의 자랑이라고 생각합니다. 인터뷰 보면서 생각했는데, 성심당 열차표가 생겨야 합니다. 성심당에서 빵을 사고 싶은 사람은 직행과 동일한 금액으로 표를 구매하지만, 대전역에서 하차하여 성심당 빵을 구매한 다음 다른 열차를 타고 목적지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마치 항공회사에서 하듯이 말입니다.
@Yorido_jua
@Yorido_jua Ай бұрын
진짜 존경하는 기업 ❤ 갓심당 영원하라.! 💕🎉😊 진심으로 축복합니다🙏🙏😊😊🍀
@user-qs7yh6qo1v
@user-qs7yh6qo1v 4 ай бұрын
저도 대전에서 초,중,고를 졸업하고 파주에서 살고 있지만 가끔 은행동을 들려 보면 오직 성심당만 그 자리에 있어서 반갑더라구요 동양 백화점 ,김지미,나훈아가 운영했던 초* 식당 ,대전극장 골목,등등 청춘이 깃들었던 그 시절이 새록 새록 떠 올라요~정치꾼들이 임대표님 마인드를 갖고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user-ts7eh8mn4n
@user-ts7eh8mn4n 28 күн бұрын
초정식당 ..새롭네요
@user-cq7by4qn9u
@user-cq7by4qn9u 4 ай бұрын
88학번 대학시절 딸기팥빙수 먹던 기억들. ... 이층이로 된 ~ 그때도 사람들이 꽉찼지 그시절이 그립다
@gracelee5322
@gracelee5322 4 ай бұрын
대전이 고향인데 고국 방문할 기회가 생기면 꼭~~ 들려 보겠습니다.
@user-cy6cc7bh8w
@user-cy6cc7bh8w 4 ай бұрын
유튜브로만 봤었을때는 그렇게 까진가? 생각했었는데 오늘 대전 여행차 성심당에서 빵을 사와 먹고나니 충분히 이해되더라고요. 정말로 한 지역의 자랑이 되는 훌륭한 빵집이라 생각합니다. 가격도 가격이지만 품질과 맛도 잡은 점에서 빵집으로써 훌륭하고, 선한 영향력을 널리 전하려 한다는 점에서 지역사회의 구심점으로써 훌륭했습니다. 딸기크림 튀김소보로를 다시 생각하니 대전 주민들이 부러워집니다.
@sujinkim2244
@sujinkim2244 4 ай бұрын
대전고향은 아니지만 언니네가 살고있고 가까운 충남인으로써 ㅎ 성심당 사랑합니다 ~ 기업 가치도 존경스러워요. 세대가 바뀌어도 변치않는 가치 지켜주세요 ~~ 언제나 먹고싶은 성심당 🥲
@user-ki6rf5ql9o
@user-ki6rf5ql9o 4 ай бұрын
대전에만 있는데 그 직원이 800명 이상. 정말 대단합니다.
@sjk8544
@sjk8544 4 ай бұрын
성심당이 십몇년전엔 빵이 그냥 그랬는데 맛없었단건 아니고 뭐 굳이,, 싸고 맛있는빵집같은 포지션 느낌이어서 대전살면서도 안 갔는데. 세월이 지나서 최근에 가보니..그 사이 빵이 엄청 발전해있었음..빵도 수준급인데 가격은 여전히 착하더라 호텔이 바로앞이라 출장중에 매일 사먹었는데 행복했다
@suelee8706
@suelee8706 4 ай бұрын
와~ 80년대 고등학교 다닐 때 대전 선화동 살았는데 성심당이 잘 생각은 나지 않지만 이 다큐을 끝까지 보며 임대표님을 존경합니다. 저도 비지니스를 하지만 이런 품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배우고 깨닫습니다. 넘 감사합니다. 한국에 가면 대전에 아니, 성심당을 꼭 가 볼 것으로 결심해봅니다.
@okjeayi7009
@okjeayi7009 4 ай бұрын
저도78학번. 대전에서 여고를 나왔습니다만 모르고 있다가 요즘 알게되서 뿌듯하고 자랑스럽습니다 대표님 경영스타일 학습하고 반성해봅니다 한국가면 꼭 가야할곳 추가입니다.
@BD-sv5cx
@BD-sv5cx 5 ай бұрын
대전은 갈일이 없었는데 성심당 가봐야겠어요 대표님 부모님의 경영 철학이 있었기에 오늘의 성심당 빵맛이 최고인가 봅니다
@heesalmond211
@heesalmond211 4 ай бұрын
오랜세월 꾸준한 연구와 투자로 우리나라 많은 제빵사들도 키우시고 좋은일도 이어온 기업입니다 여전히 케잌 맛나요❤ 80 년대 부터 단골였는데 새로운 빵도 갈때마다 보이고 맛도여전 가격도 좋아요 구도심에 그대로 본점유지하고 전통있어요 단 전국알려져 줄이긴게 흠이죠 😂
@user-qx3xf4yd3k
@user-qx3xf4yd3k 4 ай бұрын
사랑하는 마음. 좋은마음을 가지고 만드는 빵을 사람들이 느끼는거다. 그래서 와주시는거다. .. 대단하다. 저 믿음. 저 굳건함. 의견 하나! 김인중신부님에 스테인글라스를 뉴오픈매장에 인테리어요소로 녹여내는것도 아주 멋질것 같아요!
@sgr1999
@sgr1999 Күн бұрын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진정한 명문가이네요. 12:30 정말 쉽지않아요. 대단히 감동적입니다.
@jhk9324
@jhk9324 16 күн бұрын
임영진 대표님 멋있다..
@user-vz5xt2md7x
@user-vz5xt2md7x 4 ай бұрын
성심당의 기업 정신과 그 실천은, 국내의 그 어떤 대기업보다, 더 위대하고 크다고 믿어집니다.
@user-mg3iw6bn1w
@user-mg3iw6bn1w 20 күн бұрын
대전 토박이로써 운영하시는분들이랑 개인적으로 친분도 있고 성심당은 뚝심있게 열심히 한 결과이지 대기만성임 도중에 말아먹기도 하고 내부적으로 문제도 생기고 하고 매출도 떨어지고 했는데 워낙 운영하시는분들이 독실한 천주교 신자이시고 소신있고 사회에 공헌도 많이 하시는분들이라 복이 돌고 돌아서 크게 맞은거 같다. 몇년전부터 성심당 인기끄는데 예전처럼 빵도 못사고 2층에서 팥빙수도 못먹지만 만족한다.
@user-ot3kv9ey1w
@user-ot3kv9ey1w 10 күн бұрын
친절봉사.은행직원보다.더스마일로 고객을 맞이하는 직원들.감동입니다. 대전에 성심당이 없다면 큰일. 대전 시민 모두는 성심당을 사랑하고 임직원을 존경합니다..
@yongsukchon1425
@yongsukchon1425 5 ай бұрын
우연히 딸기시루란 단어를 보고 들어왔다가 좋은 다큐도 보게 됐습니다. 한국에 가면 꼭 들러 보고 싶습니다~~
@201kdr
@201kdr 4 ай бұрын
참 마음 따스해지는 영상 감사히 보았습니다. 성심당 가려고 대전 들리는 그날까지.😊💪🏻👍🏻
@multilife_
@multilife_ 5 ай бұрын
대구에 살아서 성심당 빵을 한번도 먹어보지 못했지만 성심당이 오랜 긴세월동안과 여러사람들과 sns 글들을 볼때 어떻게 경영하셨는지 확인이 되네요 직원들 복지뿐만 아니라 학자금까지 지원하며 직원들을 대하는 태도의 모습이 깊은 감동으로 다가 옵니다 저렇게 나눔과 선한 경영을 쉽게 할수 없는데 존경스럽네요 많이 배우고 느끼고 갑니다
@estherholliday9071
@estherholliday9071 4 ай бұрын
훌륭한분을 통하여 선한영향을 크게 하시는분 감사드립니다!
@yeonmiseo5636
@yeonmiseo5636 22 күн бұрын
일부러 대전한번 가봐야겠어요… 빵도 빵이지만 선한영향력의 기업 마인드 ! 보고 배우고 싶습니다
@user-ip6dn1vb7x
@user-ip6dn1vb7x 4 ай бұрын
몇일전 한국 방문해서 대전역 들렀는데 성심당 빵집 왠사람들이 했는데 이방송 보고 이해가네요 호주에서
@user-xz9xf2pj4d
@user-xz9xf2pj4d 4 ай бұрын
대전 유성에 직장이 있어서 주말마다 집에 올때 대전역 성심당 들러서 빵 사오는게 낙이였는데...정년퇴직하고 나니 방문할 일이 없어서 아쉬워요~~~
@IIIlllIlIlllI
@IIIlllIlIlllI 4 ай бұрын
이번 봄되면 성심당 갈 예정인데 기대된다 ㅋㅋ
@user-gn9fn9np6s
@user-gn9fn9np6s 4 ай бұрын
성심당 케익 너무 맛있어요~~
@replica3lalang
@replica3lalang 5 ай бұрын
처음 성심당을 안게 아마 대전역에 들어왔을때. 본가 간다고 경부선 하행 타는데 딱 대전역에서 환승해야 해서 내렸는데 왠 빵집에 줄이 긴거.. 뭐지 뭔데 나도 알려줘!!‘ 하면서 줄을 섰었고 그다음부턴 환승 시간 될때마다 샀었죠…. 대전역의 큰 즐거움이었습니다 ㅎㅎ
@user-zc1mr1gx4c
@user-zc1mr1gx4c 4 ай бұрын
대전과 함께 세월보내면서 성심당 은 시대을 앞서가고 변화하면서 성장한 것 같습니다 변하지않는건 처음 그마음과 맛입니다 늘 보면서 행복하고 오래오래 마음을 여는 빵집 입니다 .
@chk5306
@chk5306 4 ай бұрын
대표님 사랑의 배품을 존경합니다.
@artisthan822
@artisthan822 4 ай бұрын
저도 지금 성심당 소보르빵 튀소구마빵 먹었어요~~~^^ 진짜 맛 있슴~~~~^^❤❤❤
@user-sn3dr7nd8s
@user-sn3dr7nd8s 4 ай бұрын
와사장님건강하시네요저는80년90까지근무해떤사람입니다사장님벤니옛날생각나네요지금은조그만한재과점을운영하고있지요
@user-sn3dr7nd8s
@user-sn3dr7nd8s 4 ай бұрын
근무할떼초코렛과케익을만이만들어지요
@jinisu2321
@jinisu2321 5 ай бұрын
인간 미각의 한계, 풍요로 건강하고 자유로운 사고로 무장한 세대가 시장 주력인 현재는, 사실상 맛은 평준화된듯 합니다. 즉, 특장점인 맛만 유지하면 명성이 손님을 부르는 시대란 생각인데, 그럼 마케팅과 경영철학이 사회 융화적이어야 건재할텐데, 바로 그렇게 번성하는 빵집인듯 하네요🎉
@user-rl5jb2tf2n
@user-rl5jb2tf2n 3 ай бұрын
고향같은 성심당. 영원 하라.❤❤❤
@user-ti5yn7wj8l
@user-ti5yn7wj8l 13 күн бұрын
대표님 얼굴이 복이 가득😊
@hmoon5416
@hmoon5416 Ай бұрын
비행기 잡지에서 성심당의 유래를 읽고 우리나라 어려운 시기에 뜻깊은 제과점이구나 생각했습니다 사회적기업 늘 응원합니다 초심 잘 지켜주세요^^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ELE QUEBROU A TAÇA DE FUTEBOL
00:45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КАХА и Джин 2
00:36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Full] 왔다! 내 손주 - 캐나다 손주들이 만난 ’고향의 봄‘
46:46
우리가 몰랐던 산림속 길, 임도! 다큐멘터리로 쉽게 알아보세요
49:23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