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살다 오랜만에 한국 와서 느낀 점들, 한국 대만 비교

  Рет қаралды 129,697

The way a foreigner lives in Taiwan

The way a foreigner lives in Taiwan

Жыл бұрын

#외국인 #한국특징 #외국생활
오랜만에 돌아온 한국, 이렇게 변해있었네요.
한국에 있어서 모르는 한국 모습들
👉영상 오른쪽 하단 Super Thanks 버튼을 눌러보세요 😎🙏
🌟채널 멤버쉽으로 라이브 다시 보기, 독점 영상 보기 🌟
/ @barunlife
🚨알림 설정하셔셔 라이브에서도 만나요🚨

Пікірлер: 532
@hyunjinlee2230
@hyunjinlee2230 20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창문이 작다는게 이해가 안되는게 포베이식 아파트등 거이 방마다 벽 하나가 아중 창문인데 아침마다 눈부셔서 힘든데 어느 단지 아파트를 보신건지요
@urozin
@urozin 13 күн бұрын
캐나다에 거의 거주하다싶이하는 사람으로써 한국은 지난 20여년간 급격하게 발전됬습니다. 20여년전 아니 한 10여년전 지방만 내려가도 서울과 갭이 확 느껴졌는데. 이젠 어떤 지방도시를 가도 도시구조니 새롭게 지어진 건물.아파트들 보면 서울과 별 차이가 없을정도. 서울 바로근변 의정부만 봐도 63빌딩 좀 안되는 건물들이 몇개나 있는거에 놀라자빠짐.
@user-ec8tn1ui6e
@user-ec8tn1ui6e 7 күн бұрын
난 지방 망한 도시 탐방한다는 어느 유튜버의 경북 의성편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도로가 약간 작을 뿐.. 도시가 너무나 깨끗하고, 차들도 많고 깨끗하고.. 이게 망한 도시야? 하고.. 그전에 필라델피아.. 보고 왔는데.. 우중충하고 우울한 느낌 드는게 그 정도는 되어야 망한거지..
@jyh7379
@jyh7379 10 күн бұрын
저도 외국 여기저기 나가봤지만 우리나라만큼 일상을 살기 편한 나라는 아직 못봤습니다~ 시스템적으로나 모든면에서 최고라고 자부합니다❤
@one.two.three.
@one.two.three. Жыл бұрын
다른 걸 몰라도 편의나 속도는 한국에서 살다가 다른 나라 가서 살기 힘듬.. 일본만 해도 공공기관 업무 뭐 좀 보려고 하면 기간 엄청 걸리더라고요.. 한국에선 걍 정부24 같은데서 뚝딱 될 것도 안됨..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 한국 진짜 너무 잘하긴 해요 ㅠㅜㅜㅜㅎㅎ
@user-dn8mc8ip9d
@user-dn8mc8ip9d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느린데 심지어 불친절하고 뻔뻔하죠ㅠㅠ
@user-kp9qn6uc6e
@user-kp9qn6uc6e Жыл бұрын
대만은 모르겠는데 한국과 중국의 경우 국가가 국민에 대한 정보를 철저히관리하고 있어서 공공기관 일처리속도에선 유리하죠. 서구국가나 일본에선 개인정보침해로 상상도할 수 없어요.
@Gunaka
@Gunaka Жыл бұрын
​@@BG-hi6bm 대한민국 관리정책이 서구에서 들여온 거라고 단정 짓는 근거좀 대주세요. 일본은 우리와 행정이 완전히 다르고 미국에 가서는 행정절차 경험하진 못했고 서유럽만 해도 시스템 완전히 달라요. 케나다 이민한 친구들도 한국인으로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행정체계라던데. 무슨 근거가 있기에 단정지으시는지 듣고 싶네요.
@seromekim7798
@seromekim7798 Жыл бұрын
중국몽정권 5년에 국민소득 대만보다 낮아졌다
@user-zk6tr9ml3o
@user-zk6tr9ml3o Жыл бұрын
ㅎ 대만하고 비교 ! 비슷해야 비교도하는거다 !
@riversideu
@riversideu Жыл бұрын
일단 한국은 줄이 형성되면 새치기가 어렵습니다. 거의 불가능이죠. 단 유동적일 경우 느린 사람을 제치고 앞을 치고 나가는 경우가 많죠. 이 경우는 추월차선으로 옆 차를 제친다는 느낌이죠. 느릿하게 움직이는 사람은 통행을 방해한다고 생각하지 그 사람을 새치기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 거 같아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하 ~!!! 이렇게 보는것도 맞는것 같아요 ㅎㅎㅎ
@thetree6768
@thetree6768 Жыл бұрын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부터 확실히 체감물가가 높아졌죠.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너무 장난 아니죠 ㅜㅜㅜㅜㅜㅜ
@user-to8dl5yx2j
@user-to8dl5yx2j Жыл бұрын
너무 올랐어요
@hong3840
@hong3840 Жыл бұрын
그 침공으로 원재료 가격 올랐던 것들, 다른 나라에선 그 가격이 내려감에 따라 가격안정된 품목도 한국은 그렇지 못하지요.. 한국은 물가관리가 안되요 기업이 돈버는게 시민들 삶의 질보다 우선인 나라라..
@TV-pc9ri
@TV-pc9ri Жыл бұрын
달러가 너무 풀렸고 무역수지 적자 이게 더 큰 이유죠
@crys1984
@crys1984 Жыл бұрын
러우전쟁전에 최저임금을 급격히 올릴 때 그 때도 한번 물가가 크게 올랐었죠.
@zptmxmkim1209
@zptmxmkim1209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감사합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인데 재밌게 보셨나 모르겠ㅇ요 ㅎㅎ
@carribianjoy8056
@carribianjoy8056 Жыл бұрын
팬데믹 이후에 정말 많이 바뀌었지요. 늦게 장사하는곳이 거의 없어졌다고 해야하나요. 장사를 하는분도 이용하는 분들도 바이오리듬이 깨질정도의 생활패턴을 지양하며, 건강을 많이 생각하는것 같아 오히려 좋습니다. 제가 사는곳은 시골이 아닌데도, 편의점 새벽 2시면 문닫고 다들 아침 7시나 되어야 문여는 곳이 5군데는 보이네요.
@unka2007
@unka2007 8 ай бұрын
저희 본가 있는데는 12시면 편의점 무인으로 돌리고 , 주말에는 아침 10시 넘어서 열더라두요 ㅋㅋㅋ
@pretty4884
@pretty4884 Жыл бұрын
날씨가 덥지도 않는데 벌써 에어컨을 켜진 않죠.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저날 얼마나 더웠는지 ㅜㅜㅜ
@user-qd4ge8xb6j
@user-qd4ge8xb6j Жыл бұрын
더울수 있어요. 가게 내부와 외부 기온차이가 커요. 저도 글케 느꼈는데...
@user-hl1jk5jr7q
@user-hl1jk5jr7q Жыл бұрын
되게 차분하게 말씀을 잘 하시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졸은 아침입니다 ~!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이번주도 화이팅입니다 ㅎㅎ
@user-dn6yg9vt9z
@user-dn6yg9vt9z 8 күн бұрын
세밀하고 정확한 보기드문 귀한 영상이네요❤
@jesseharper5598
@jesseharper5598 11 ай бұрын
새치기나 타인과 부딪치고 그냥 지나가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연령대 높은 층들이 아직도 예전 공중 매너 인지가 떨어져서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반면 젊은분들은 그와는 반대인 경우가 대부분이고요.
@teagreen4377
@teagreen4377 Жыл бұрын
핸드폰 액정 수리를 어디서 하셨나요? 엄청 싸게 하셨네요. 삼성전자 서비스센터에서 노트8 작년에 수리했는데 거의 20만원 돈 나왔습니다.
@toumasou3830
@toumasou3830 Жыл бұрын
어서오세요. 한국에. 오신김에 맛난것도 드시지요ㅎㅎ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토우마님 ~!!!! ㅎㅎㅎㅎ
@byeongilkim8128
@byeongilkim8128 9 ай бұрын
그리고 채널이 재밌어여 !!
@barunlife
@barunlife 9 ай бұрын
다 여러분 덕분입니다 ㅜ ㅎㅎ
@Seduce_S
@Seduce_S Жыл бұрын
사장님 영상 보고 있으니 삔랑 씹으면서 오토바이 뒤에 타고 타이페이~ 라라산,이란?,화련?라이딩 따라가서 좋았던 추억이 생각나네요.😊 조만간 지인들 만나러 한번 가야겠어요! ㅋㅋㅋㅋㅋ 잘 봤습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반짝님 안녕하세요 ㅎㅎ 조만간 들어오세요 !ㅎㅎ 여름만 피하면 아주 좋을것 같아요 ㅎㅎ
@Seduce_S
@Seduce_S Жыл бұрын
@@barunlife 트럭에 파는 펑리도 먹고 싶네요. 한국에서 먹는거랑 차원이 다르게 맛있더라구요.ㅋㅋㅋ 예~ 그리고 기회가 된다면 식사 한번 대접 하고 싶습니다.^^
@beijinghanliang
@beijinghanliang Жыл бұрын
와우 저도 코로나때문에 4년만에 한국 다녀왔는데 다 차가 새차? 같아 보여서 저만 그런게 아니었군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오호 !!! 그죠 그죠 ㅎㅎㅎ 다 새차 ㅜㅜㅜ
@Gunaka
@Gunaka Жыл бұрын
요즘 제 직장이나 주위만 봐도 핸드폰은 2년 주기 차는 5년 주기로 바꾸는 게 대세 같습니다. 예전에는 한국 사회가 보여주기 식 과소비가 많았었다고 단언하는데 요즘은 스트레스를 풀거나 나에게 주는 일상의 변화정도로 그렇게 소비하는 듯 해요. 여러모로 심심하거나 루즈한건 안참는 사회같죠..십년 전 부터는 빡세게 살다 여행을 엄청 다니는 형태로 바뀌어서 세상에서 가장 활발히 움직이는 것 사회 같기도 해요.
@user-po5yi4kq2j
@user-po5yi4kq2j Жыл бұрын
생각 못했었는데, 그러고보니 주위에 대만 친구들 대화가 다들 먹는 이야기 위주네요 ㅋㅋ 물가 비싸긴 해도 한국 가신 김에 마음껏 누리다 오세요 ㅎㅎ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예전엔 누리다 와야지 생각했는데 ㅜㅜㅜㅜ 이번엔 정말 빡센 물가입니다 ㅜㅜㅜㅜ ㅎㅎㅎㅎㅎ
@soyoung5020
@soyoung5020 Жыл бұрын
썸네일 표정부터 행복해보이세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기차표 끊을줄 몰라서, 정상가에서 50% 더내고 현타온 그림이에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soyoung5020
@soyoung5020 Жыл бұрын
@@barunlife 😂😂😂😂 대만사람 다 되어서…적응하기 빡셉니다
@changsoonyoung
@changsoonyoung Жыл бұрын
대화주제가 다양하다는 건 흥미롭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밖에서 보면 그런것 같아요 ㅜㅜㅎㅎㅎ
@user-lo4ey6ho4x
@user-lo4ey6ho4x Жыл бұрын
키오스크 진짜 많이 는거는 한국에서 사는 저도 많이 느끼는 부분이에용 외국인은 언어지원없으면 어렵긴하겠어요! 구글번역기 켜야하나..😂 갑자기든 생각이 바생님은 앞으로는 대만에서 살며 지내실 날이 더 길어지시겠네요..
@wantongman
@wantongman Жыл бұрын
영상 간만에 올리셔서 잘 봤습니다 근데 새치기 하는것 같다고 하신 에스컬레이터 올라갈때 영상은 우측은 그냥 올라가고 좌측은 더 빨리 올라가려는 사람들이 성큼성큼 걸어 올라가려는게 불문율입니다. 오해하지 말아줬으면 해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완석님 안녕하세요 ㅎㅎㅎ 넵넵 ! 저기 오른쪽 왼쪽이 형성되기전에 조금 혼란이 있더라구요 ㅎㅎ
@kbsmd0
@kbsmd0 21 күн бұрын
에스컬레이터 같이 기다리는 시간보다 혼란을 줄이려 머뭇거리는 사람을 앞 질러 가는경우는 있습니다. 물론 많은 사람으로 정체되어 있다면 바쁜 사람들이 서두를 수는 있겠지만 대체로 문제를 일으킬 정도는 아니구요.
@hjk5567
@hjk5567 14 күн бұрын
출퇴근 지하철로 하는데 퇴근하고 지하철 내려서 에스컬레이터 탈때 새치기 엄청 많이 해요. 줄이 이미 있는데도 즐끝으로 가서 기다려 타는게 아니고 에스컬레이트 탑승위치 바로 옆에 서서 새로운줄을 만들어 내면서 끼어들어 새치기하먼서 타요. 한두사람이 아니고 많은 사람이 그래요. 줄끝으로 가서 타는 사람이 몇 없어요. 외국인들이 그 모습 보면 당연하게 저런소리 나오죠. 사실인데. 임산부석에도 멀쩡한 사람들이 다 앉아있고 임산부는 거의 못봄. 진짜 사람들이 왜 저럴까 싶은게 우리나라 수준이 이랬던가 내가 너무 높게 생각하고 살았나 싶음.
@user-rp6yn1co3y
@user-rp6yn1co3y Жыл бұрын
엘리베이터 줄 잘 섰네요...영상보니 오른쪽으로는 서서 잘가고 있고 왼쪽으로는 급한 사람들 걸어서 올라가고 있고.. 뭐가 줄을 잘 서지 않는다고 하는지 모르겠다...
@user-mg4ts3mi6p
@user-mg4ts3mi6p 11 күн бұрын
저도 그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네요.새치기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는데.
@sonyeonkeuri5470
@sonyeonkeuri5470 Жыл бұрын
역시 바깥에 있을 때 내부를 더 잘 관찰할 수 있는 것 같네요. 그리고 양안전쟁에 관한 한국 대중의 인식은 확실히 바뀌긴 했어요. 전에는 "전쟁이 날 수도 있지만 반반이다" 같은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전쟁이 나는 건 이미 확정된 사실이고 다만 개전 시점이 언제인지 불확실하다" 같은 느낌이네요. 근데 다들 근시일 내에 전쟁이 날 거라고 보지는 않아서 여행에 영향을 준다는 건 의외네요.
@choe3528
@choe3528 Жыл бұрын
양안전쟁은 중국과 대만의 문제고 한반도의 상황도 한국인들의 문제지만 대만은 좀 다르죠. 만약 전쟁이 터지면 한국인 입장에선 귀국이 어렵습니다. 중국이 대만 인근 해역을 봉쇄하고 일본이나 한국으로 가는 비행항로는 무조건 자르기에 사실상 귀국이 막히게 돼죠. 그 위험성이 있기에 한국인들이 대만여행을 꺼리는 겁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이고 ㅜㅜㅜㅜ
@user-vy1um6fj6r
@user-vy1um6fj6r 11 ай бұрын
@@choe3528 비행항로를 막는다는건 중국국적의 비행기도 전세계 어디도 못다닌다는걸 중국스스로도 잘알고 잇을건데요. 그런 바보짓은 안할겁니다.
@user-ex5fn6jk2r
@user-ex5fn6jk2r 11 ай бұрын
@@user-vy1um6fj6r 전쟁이란 그런거 안따져요 뭔일이 생길지 어케알아요? 바봅니까?
@havanacigars
@havanacigars 10 ай бұрын
​@@user-vy1um6fj6r뭐든지 하는게 전쟁입니다. 일본이 강점기에 우리에게 했던 그 모든 짓이 전쟁중에는 반드시 발생하죠. 인류 전쟁역사에서 도덕이 지켜진 적은 없어요. 전쟁은 애국자와 매국노 둘만 남는겁니다. 세칭 한남 한녀 같은 머저리들은 매국노 자리에 서있을 것이고 건실한 이들은 애국자 자리에 있게 되죠.
@studioHR1508
@studioHR1508 Жыл бұрын
4:07 대만 기차역이나 고속철역에는 검표기가 있어서 한국에서 ktx나 srt, 기차 탈 때 당황할 때가 생기더라고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제말이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전 뭐 가다보면 언젠간 돈 내겠지 했어요 ㅎㅎㅎㅎㅎ
@user-xt7lg3sk3v
@user-xt7lg3sk3v Жыл бұрын
공감가고 재밌네요 대만살이 6개월차 😅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헉 6개월차 ㅜㅜㅜ 공과금 내러 편의점 많이 가셨겠 ㅜㅜㅜㅜㅜ ㅎㅎㅎㅎ
@Kyle-sn4hd
@Kyle-sn4hd Жыл бұрын
공감합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ㅎ
@user-kt2yy9di1w
@user-kt2yy9di1w 27 күн бұрын
에어콘을 안킨다고..이상하네요 한국에서..
@minikei7292
@minikei7292 14 күн бұрын
그 버스만 그랬던듯
@Rick_territory
@Rick_territory 12 күн бұрын
지방 마을버스 같이 영세한 버스는 안켜는 경우도 있긴하는데 요즘엔 거의 없을텐데요..
@user-ql6ir3lx5b
@user-ql6ir3lx5b 9 күн бұрын
기사님이 감기가 드신듯
@magu9950
@magu9950 Жыл бұрын
타이중에서 3개월째 현지인 체험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 제 생각은 코로나전에 대만 환율이 35~36정도였는데, 지금은 43정도라서 ... 환율에서 일단 많이 올랐고, 여기에 물가 까지 올라서... 대만 물가가 상당히 많이 오른 느낌이 듭니다. " 제일 아쉬운건 대만 마사지가 가성비좋았는데.... 마사지 가격이 한국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한국보다 비싸다는점이 아쉽습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ㅎㅎㅎ 우와 3개월째 있기 쉽지않은데 ㅎㅎ 맞아요 예전에 35 36이었는데 이제 40이상이....... 뉴 노멀이 됐나봐요 ㅜㅜㅜㅜ ㅎㅎㅎㅎ 대만 마사지 그래도 열심히 이 가격에 해줘서 좋은것 같아요 ㅎㅎ
@haho4wk3sunb1uqz
@haho4wk3sunb1uqz Жыл бұрын
1년 사이 한국도 물가가 많이 올랐어요. 한국에서 즐거운 시간되세요 2:14 4월말 5월초에 버스 에어컨 켜는 기사님은 드물어요. 기사님 따라서 달라요 30도 이상 4~5일 유지되는 6월, 7월이후에나 되어야지 켜줄거에요. 올핸 엄청 더울걸로 예상되어서 빨리 켜줄지는 모르겠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유 정말 물가가 엄청 올라가지고 전 물가가 무서운적은 처음이었던것 같아요 ㅜㅜ ㅎㅎㅎ 기사님 따라 다르군요 대만은 여름겨울 다 켜는데 ㅜㅜㅜ ㅎㅎ
@user-ck8zw8yi1p
@user-ck8zw8yi1p 11 ай бұрын
꽃가루는 봄에만 일시적이긴 해요 봄 되면 저는 재채기하느라 살기 힘들어요 ㅜㅜ
@naiadk
@naiadk Жыл бұрын
창문차이는 기온 차이가 있기때문인것같네요. 대만은 겨울이 없지 않나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겨울 온도는 다르지만 대만도 엄청 추워요 ㅜ ㅎㅎ kzfaq.info/get/bejne/jbN9ZcKH1MrUo30.html
@slime7104
@slime7104 10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창문 작다는거 혹시 주방창 인가요? 이해가 안가서 아파트 전면 유리창인데
@jessiej3171
@jessiej3171 5 ай бұрын
한국사람들의 자가용 사랑은 정말 각별한것 같아요 ㅎㅎㅎ 옆나라 일본만 해도 사람들 대부분이 경차를 타는데 한국은 진짜 어딜가더라도 삐까뻔쩍한 새차, 세단들이 엄청나게 많이 보이니
@user-bo9bo8dw3k
@user-bo9bo8dw3k 19 күн бұрын
일본인은 축소지향의 민족이기 때문~~
@eunan9621
@eunan9621 Жыл бұрын
한국 물가 특히 외식 진짜 많이 올랐어요. 그리고 코로나 때문에 비대면으로 주문이 바뀌어졌고 인건비 상승으로 직원 안쓰고 기계로 대체 해서 더 늘어난거로 보입니다. 오늘도 자주가던 국밥 집도 8000원이었는데 9000원으로 올라 있더군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물가가 겁나긴 제가 처음이었어요 ㅜㅎㅎㅎㅎ
@user-ko3eu8mb6d
@user-ko3eu8mb6d 10 ай бұрын
천원에 벌벌? 재밌구만.
@eunan9621
@eunan9621 10 ай бұрын
@@user-ko3eu8mb6d벌벌은 아닌데 근 1년만에 몇번이 올라간적은 없으니 하는 소리임. 처음에 7000원 이었던게 8000원 지금 현재 11천원임. 사람이 아 다르고 어 다른데 살다보면 참 밉게 말하는 사람있는거 같아요? 지금 여기서 말하는 포인트 몰라서 그런 말 하는거 아니죠? 그냥 밉쌀맞게 하는 사람이죠? 말은 한번 뱉으면 주워담지 못해요. 그 못된 말이 언젠가는 본인한테 갑니다.
@unka2007
@unka2007 9 ай бұрын
@@eunan9621일년 사이에 2천원 오른데 많던디 ㅠ
@byeongilkim8128
@byeongilkim8128 9 ай бұрын
물가 요게 만나면 자주 오르내리는 얘기거리입니다.특히 외식 물가가 엄청 올랐네요.친구 와이프가 대만분이라 친근합니다 .먼가 생각을 많기 가기게 하는 채널이네요 그래서 댓글도 많네요 화이팅하세요!
@barunlife
@barunlife 9 ай бұрын
우와 이렇게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힘주셔서 감사합니다 !
@ggg-vo3ug
@ggg-vo3ug Жыл бұрын
무임으로 기차탔다는데서 놀람... 그렇게 타는 사람이 진짜 있구나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과정은 무임이었지만 정당하게 다시 요금 지불했습니다 :) 기차 타러가는동안 결제하는 곳이 없어서, 언제 결제하지 하면서 간게 기차였어요 ㅎㅎ
@user-ex5fn6jk2r
@user-ex5fn6jk2r 11 ай бұрын
@@barunlife 앱으로 얼마던지 표예매나 바로 구매 가능한데...... 모르셨나?
@ba4694
@ba4694 20 күн бұрын
모를 수도 있지요. 저 몰랐어요
@user-go2wt5bp7c
@user-go2wt5bp7c 20 күн бұрын
앱이나 인터넷으로 안해도 기차역에서라도 표 사는게 당연한거 아닌가요. 아무리 못사는 나라 가도 역에서는 표 다 파는데..왜 그런 생각을 하셨는지;;
@user-dq8jh7ui5v
@user-dq8jh7ui5v 18 күн бұрын
모를수도 있지 실수할수도 있지
@user-ux1ek5qe2p
@user-ux1ek5qe2p Жыл бұрын
줄 안서거나, 부딪혀도 그냥 지나가는 것, 새치기..? 이 부분은 30년이상 서울 토박이인 저는 잘 못느끼는 부분인데 신기하네요.. 아! 지하철에서 나이 많은 어르신들이 자리 차지하실려고 그런경우는 왕왕 있네요ㅠㅠㅠㅠㅠ 이 부분은 정말 ....후 근데 그 외 장소에서는 경험해본적이 없어서 주로 어떤 장소에서 불편을 느끼셨는지 궁금해집니다! ㅎㅎ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ㅜㅜㅜ ㅎㅎㅎ 제가 제가 외지인(?)이라 잘못 보는것 같기도해요 ㅎㅎㅎ
@assaassa7663
@assaassa7663 8 ай бұрын
지나가다가 부딪쳐도 미안하다는 말하는 사람이 거의 없음. 그냥 당연하다고 생각함...
@user-dm5me1zv5f
@user-dm5me1zv5f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고국오셨으니 잘즐기다가 가셨겠군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간만에 아주 즐거운 시간 보내려구요 ! ㅎㅎㅎ
@hyuniee7353
@hyuniee7353 4 күн бұрын
키오스크는 외국인들은 더쉬울듯.영어,일본,등등으로 되있어서 주인이 영어를 못하면 편할수있어요
@user-yh8cp9fp8t
@user-yh8cp9fp8t Жыл бұрын
버스 에어컨이 안켜져있던게 여름때였다면 에어컨 자체가 꺼져있진않을겁니다. 바람나오는곳을 돌리셨는데도 바람이 안나온건지 궁금하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그냥 안켜놔서 더워죽는줄 알았어요 ㅜㅜㅜㅜㅜ ㅎㅎㅎㅎㅎ
@user-yh8cp9fp8t
@user-yh8cp9fp8t Жыл бұрын
@@barunlife 아 그럼 지들 춥다고 꺼달라는 여자들이 간혹있어서 그거때문에 껐을 가능성도 있겠네요
@mi-fc8bo
@mi-fc8bo Жыл бұрын
​@@barunlife 기사분께 켜달라고하시면 되는데 오히려 추워서 끈적도 많음
@user-oj7mo3dg8m
@user-oj7mo3dg8m Жыл бұрын
전 직원이랑 말 안해도 되고 키오스크가 더 편한 것 같아요ㅋㅋ한국에 잘 오셨어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오호 ㅎㅎㅎㅎ 맞아요 ㅎㅎㅎㅎㅎㅎ 제가 촌스러워가지고 괜히 ㅜㅜㅜㅜ ㅎㅎㅎ
@user-oj7mo3dg8m
@user-oj7mo3dg8m Жыл бұрын
​@@barunlife 아니요. 익숙하지 않으면 불편하실 수도 있죠ㅎㅎ
@Gunaka
@Gunaka Жыл бұрын
식당에 가는 횟수가 팍 줄었습니다.제가 자주 가던 8,000 순대 국밥이 반년 사이에 1만원, 돼지 갈비 200그램에 14,000 이던게 100그램에 14,000원 ㅋㅋ 집에서 고기 사다가 구어 먹습니다. ㅎㅎ
@Shushus_
@Shushus_ Жыл бұрын
마자요 진짜 외식 횟수가 확줄었어요 정말 특별한 맛집 아니면 국밥같은 서민음식도 이젠 구천원 만원에 먹어야된다니... 이래서 다들 지하철 타면 도시락가방들을 들고다니나봐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삼겹살 셋이 먹었는데 와.......진짜 지갑거덜나가지고 ㅜㅜㅜ
@Gunaka
@Gunaka Жыл бұрын
@@barunlife 월급쟁이들 낙이 저녁에 동료들이랑 상겹살에 소주 한잔 하는 거였는데...이젠 그 문화도 사라지고 24시간 식당 영업도 옛말이 되어 10시면 문 닫죠..그런 밤문화의 시절은 지나간듯 합니다..
@user-gq5px3wg2q
@user-gq5px3wg2q Жыл бұрын
노란 꽃가루는 송아가루입니다. 송아가루로 떡을 해먹었지요. 인체에 해롭나요? 세차하는데 귀찮기는 해도...
@kbsmd0
@kbsmd0 21 күн бұрын
송화=소나무 꽃가루입니다. 그 때 장 담그면 멋 있다고 대장금에 나왔어죠. ㅎㅎ
@kimheesoo4320
@kimheesoo4320 4 ай бұрын
여행갈때는 친절도 도로청결(꽁초) 위생수준 등이 여행만족도를 결정한다
@user-li2rg5bz5r
@user-li2rg5bz5r Жыл бұрын
창문크기는 단열과 관련있지 싶어요. 한 때 거실 창문을 큰 통문으로 하던 때도 있었는데, 겨울에 단열 문제가 있어요. 아마도 그래서 창문 크기를 줄였지 않았나 합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우와 기파랑님 오 이런 이야기 너무 좋아요 ㅜㅜㅜㅜ
@Levis502tpd
@Levis502tpd Жыл бұрын
요즘 거실통합형 아파트 베란다 유리창 엄청 크던데 단열때문이면 그렇게 안할듯?
@user-qm5fw4tf1l
@user-qm5fw4tf1l Жыл бұрын
창문이 크면 시공비가 적게 들지 않을까요?!!
@user-tw5fo1ng9y
@user-tw5fo1ng9y Жыл бұрын
한국 아파트나 주택 창문 작지 않아요. 요즘 아파트가 워낙 고층,초고층에 동수가 많고 밀집돼 있어서 외부에서 보면 작아보이는것 아닐까요? 대부분 거실한쪽면은 통창인데~글고 한국샷시는 3중~적어도 2중창에 단열도 으뜸~
@shs6794
@shs6794 Жыл бұрын
요즘아파트는 창 크게만드는게 대세에요 신축아파트 보면 방 창틀도 커요
@MyPlaus
@MyPlaus Жыл бұрын
한국창문이 작은것은 5,6년전부터 친환경 규제심의받으면서 창문이크면 인증을안해줍니다 강제로 창을 작게합니다 너무 과도하다싶을정도로 규제....좋은건지나쁜건지..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헛 ㅜㅜㅜㅜㅜㅜㅜ역시 ㅜㅜㅜㅜㅜㅜㅜㅜ 그렇지 않고서야 밖에서 볼때 왜 그렇게 닺답할만큼 작던지 ㅜㅜㅜ
@user-tw5fo1ng9y
@user-tw5fo1ng9y Жыл бұрын
한국창 작지않아요~요즘 아파트가 워낙 고층, 초고층에 동수가 많고 밀집되어 있어서 밖에서 볼때 작아 보일뿐이죠. 한국은 개방감을 중시해서 작게 뺀다고해도 결코 작지않음.
@MyPlaus
@MyPlaus Жыл бұрын
@@user-tw5fo1ng9y 아파트말고 일반건축입니다 5,6년전부터 일반건축은 작아지기 시작했습니다
@changkeunlee9425
@changkeunlee9425 Жыл бұрын
사시는데가 시골이다 보니 상점이 일찍 닫을 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사는 고양시는 밤에 갈려고 하면 얼마든지 갈 수 있네요 아직까지는요 그리고 서울이 워낙 사람이 많다 보니 남에 대해서 신경을 안쓰는게 있지요 특히 경상도에서 올라 오신 분들은 서울 너무 정이 없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하신 분들도 보았네요 제가 중국 광저우 가봤을때는 지하철에서 사람들이 내리지도 않았는데 들어 올려고 해서 적응이 안된게 있었네요 그때가 2017년이었네요. 그에반해 옆동네 홍콩은 확실히 질서가 잘 잡혀있어서 대조가 되었죠
@user-dn8mc8ip9d
@user-dn8mc8ip9d Жыл бұрын
저는 홍콩 갔을 때 정말 질서없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질서있는 편이었군요ㅠㅠ아직 가본 적은 없지만 나중에 중국 놀러 가면 어느 정도 예상은 하고 가야겠네요ㅠㅠ
@changkeunlee9425
@changkeunlee9425 Жыл бұрын
@@user-dn8mc8ip9d 중국 친구에게 물어 보았더니 자기들은 사람이 많아서 어쩔 수 없다라고 하더군요
@michael66naver
@michael66naver Жыл бұрын
@@changkeunlee9425 그냥 핑계죠 "사람이 많아서 어쩔 수 없다" 서울, 토쿄, 싱가폴, 홍콩, 타이페이...... 인구밀도로 보면 중국에 전혀 밀리지 않는 도시들과 비교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중국인민이 무질서한 이유는 1. 교육정도가 낮아서 2. 늦은 도시화 (높은 지방출신비율) 3. 이기주의 4. 천민자본주의 5. 빈곤(마음에 여유가 없음) 6. 중국인 특유의 무감각 7. 도시체계의 불합리 8. 학교에서 공중도덕시간이 없음
@user-ob7qt9rx7x
@user-ob7qt9rx7x Жыл бұрын
중국 본토가면 기절할겁니다.. ㅋㅋㅋㅋㅋ많은 경험이 있었지만 특히 떵처우인가 ktx같은거 타러가는데 좁은 입구에 수백명이 달려들어서 밀고 타려고 난리를 쳤을때는 진짜.. ㅋㅋㅋㅋㅋ 방콕 돈무앙 공항에서 중국인 사이에서 같은 일을 또 겪었는데 입국장에 태국 공무원 여자 하나가 소리지르다가 서류 던지고 나가버렸다는ㅋㅋ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시골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greenswan8386
@greenswan8386 Жыл бұрын
대만은 아이 출산 후 동료간에 축하금을 언제 어느정도 수준으로 주나요 ?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오호 ...... 동료간에는 ......... 정말 이게 쉽지 않네요 ㅜㅜㅜㅜㅜㅜ
@kwansikkim8712
@kwansikkim8712 Жыл бұрын
버스에 에어컨 잘나오는데요? 수도권 밖에 안다녀봤지만.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제 버스만 안나왔나봐요 ㅋㅋㅋㅋ 총 4번 탔지만 ㅜㅜㅜㅋㅋㅋ
@user-iz7uy9hu1l
@user-iz7uy9hu1l 11 ай бұрын
​@@barunlife 한국기준 온도에 안되서 안튼걸겁니다. 한국에서 사는 한국인들한테는 아주 덥지는 않은 온도였을겁니다. 에너지정책때문에 기준이 높은점도 있고요.
@user-yh1gg9ht4s
@user-yh1gg9ht4s Жыл бұрын
형 형네동네 아파트 창문이 작은거 같은데어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제가 잘 몰라서 그런말했나봐요 ㅜㅜ ㅎㅎㅎㅎ
@soonan9392
@soonan9392 Жыл бұрын
새치기는 아마 에스칼레이터 에서만 일어나는 일일거예요 두줄로 서서 가는데 라서 그냥저냥 끼어드는것 같아요 하지만 다른 줄서기 에서는 그런일이 없죠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제 개인 경험이니 또 모르겠습니다 사실이 어떠닞 ㅋㅋ
@exo10anniversary5
@exo10anniversary5 Жыл бұрын
버스에도 새치기한다
@user-rg7xc2vq8h
@user-rg7xc2vq8h Жыл бұрын
저번달에 처음 대만 갔는데 우리나라에선 자전거 거치대에 몇년 방치되서 안타는 자전거 같은걸 많이 타고 다는게 신기했음 자이언트, 메리다 같은 대형 자건거 회사가 있는데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ㅜㅜㅜㅜ 자전거뿐만이 아니라 오토바이 자동차 ㅜㅜ ㅎㅎ
@user-qm5fw4tf1l
@user-qm5fw4tf1l Жыл бұрын
창문이 크면 클수록 시공비적게 들것같은데...단열문제!!! 환경 지역기후문제드등도 있겠죠 (우리나라 사계절이 특 겨울여름의격차가 크니...)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좋은 아침입니다 ㅎ 아하 오히려 돈이 더 들더라도 단열때문에 그렇게 시공하는거군요 !
@user-demo_crabdes
@user-demo_crabdes Жыл бұрын
에스컬레이터를 한줄서기를 새치기로 보는건 신박하네요 키오스크는 진짜 영어정도는 언어선택이나 중복표기 설정좀하자 이제 다문화다
@daein4859
@daein4859 Жыл бұрын
삼성휴대폰 액정이 깨져서 가는데 2만5천원 들었다구요? 저는 2년쯤전에 삼성서비스센터에서 깨진 액정 교체하는데 5만5천원 정도 냈던 기억이 나는데 제품에 따라 다른가 봅니다. 🤔 (좋은 휴대폰은 아닙니다. 몇십만원 하는정도, 통화되고 인터넷은 됨)
@nochannel1657
@nochannel1657 18 күн бұрын
요즘은 나라별 물가는 코로나때 돈 푼 나라순이어여. 돈을 많이 푼 나라일수록 물가 많이 올랐어요. 키오스크는 최저임금 많이 올라서그래요.
@unuzin
@unuzin Жыл бұрын
눈치껏 빨리빨리 행동해야 하는 것...여유롭게 행동해서 남의 빠른행동(?)을 방해하면 욕먹는 것........
@kong420ws
@kong420ws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소비자의 천국 소비자 한 사람이 기업의 위상과 맞먹고,, 국민 한 사람의 민원이 국가와 맞먹는 나라,,
@koreanpapa
@koreanpapa Жыл бұрын
머리 귀엽게 하셨네용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머리...... 데 이미 또 다 풀렸 ㅜㅜㅜㅜ
@user-rp6yn1co3y
@user-rp6yn1co3y Жыл бұрын
그리고 몇가지를 보니 한두가지 경험한것을 일빈화 시킨것이 많이 있네요.아파트 창문이 작게 보인다고 하는것 ..엘리베[이터 줄 이야기 하는것도 그렇고 커피값 이야기 하는것도 그렇고 액정 수리비도 그렇고 다 오류 투성이 시각으로 봤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제가 잘 몰라가지고 ㅜ
@stlee8021
@stlee8021 8 ай бұрын
줄서기는 모르겠지만, 아파트창문 작은건 주방이나 실외기쪽이라면 그럴수있고, 수리비 혜자에 커피값 개창렬인건 사실이잖아. 본인도 지 생각대로 말하면서 사람 엄청 무안주고 있네.
@ronee2913
@ronee2913 5 күн бұрын
근데 잘은 모르겠지만 저도 한국 아파트 창문이 외국에 비해서 작다고 느끼긴 했어요. 한국은 통창인건 배란다 거실정도만 그런데, 방 창문들은 신축 아파트여도 작은편이고 호주나 미국 이런데 가면 방도 통창인 경우들도 꽤 되고 일단 샷시가 한국처럼 두껍지 않아서 더 개방감을 주는 창문이 많은 것 같거든요.
@YOON-fu1jg
@YOON-fu1jg Жыл бұрын
현명한 아날로그는 대박의 정석^^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 역시 ! ㅎㅎㅎㅎ 너무 다들 키오스크니까 이게 뭔가 싶었어요 ㅋㅋㅋㅋ
@user-jf4do4bm5s
@user-jf4do4bm5s Жыл бұрын
대민의 회색빛 도시가 웬지 어두운 도시풍이 느껴 졌는데 다양한 먹거리가 좋았던 느낌 이었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조금 회색빛이죠 ㅜㅜㅜㅜㅎㅎㅎ
@pj7244
@pj7244 Жыл бұрын
중공의 사회주의 영향을 받아서 그런거 아닌가요. 한국도 중국인 250 만 명 유입으로 범죄도 늘어나고 질서가 흐트러지는 느낌이 들어요.
@user-hq5yi9mm3d
@user-hq5yi9mm3d 11 ай бұрын
기후가 너무 덥다 보니 외관 도색을 새로하더라도 오래가지 못하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아마도 그런 영향이 아닌가 싶습니다.
@unka2007
@unka2007 9 ай бұрын
일본도 오키나와는 그렇더라구요. 기후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user-bs6sj7ml8r
@user-bs6sj7ml8r Жыл бұрын
세계 유일하게 트렌드에 민감하고 바뀌는 싸이클이 빠른 나라죠..다른 나라들이야 천천히 간다지만 그래서 해외에서 몇달 살고오면 뭔가 많이 바뀌어있죠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 정말 한국전체가 시간의 방인것 같아요 ㅜㅜㅜ
@user-yeh0226
@user-yeh0226 Жыл бұрын
한국의 부딪침에 대한 대처문화 한국의 부딪침에 대한 대처문화에 대해 모른 척 하더라는 하나만 아시는것 같아 몇 자 적습니다. 한국에서 부딪칠 때 사과에티켓문제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조금 다릅니다. 그리고 부딪쳤을 떄의 에티켓문제는 한국의 바쁜 생활에 의한 관행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바쁘지 않는 시간대에 길거리나 일반장소에서 부딪쳤을 때 한국인은 전부 다 예외없이 정중하게 '죄송합니다'하고 사과를 합니다. 이 때 부딪쳤는데 출근시지하철상황으로 인식하여 사과도 없이 그냥 지나가다보면 어쩌면 따지고 드는 상대에 의해 시비가 붙을 수도 있어 신경써야 합니다. 다만 출근시의 지하철은 서로 묵인하는 특수관행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어차피 서로 바쁘고 지하철시간 때문에 많은 사람이 동시에 뛰는 경우도 많은 관계로 부딪침이 일상입니다. 그래서 이 떄의 부딪침은 특별히 심하게 부딪쳐 어디 다치거나 무언가 떨어지고 깨지는 정도에 이르르는 경우가 아니면 그냥 서로 부딪침을 못 느낀 척 해주고 각자 갈길 가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습니다. 물론 일부는 그냥 예의상 죄송합니다 하기는 합니다만 그것 뿐 반응여부확인도 없이 갈길 가고 있는게 일반적이구요. 이런 부딪침에 대한 한국적 관행에 아직 익숙하지 못하여 출근시 지하철에서 부딪쳤는데 모른 척 했다고 불쾌해하는 외국인이 종종 있습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 뭐 좀 느리게간다고 부딪히고나서 그냥가는게 문화라면 딱히 좋은것 같진 않아요 ㅎㅎㅎ 근데 뭐 크게 신경안쓰는 내용이라 ㅋㅋ
@jonghyukpark6528
@jonghyukpark6528 12 күн бұрын
어쨋든 보편적으로 외국인들이 제일 안좋게 보는 한국 문화 대표적인 3가지 1. 부딪침 문화에 사과할줄 모른다. 2. 길거리 침뱉기 3.알면 좋으나 낯선 사람에대한 경계심.
@hhhjjj8162
@hhhjjj8162 Жыл бұрын
잼있네요~ 차가 새거다…건물이새거다.. 사람들스타일이 세련됐다 모두 외관을 중시하는 우리 사회의 특징아닐까 싶은데~ 생활수준이 높아져서 라는 말이 듣기 좋기는 하지만 씁쓸하기도 합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넵넵 보기좋고 수준도 올라온것 같은데 ㅎㅎㅎ 또 그런것 유지하려면 열심히 해야되니 ㅎㅎㅎ
@guysyg7663
@guysyg7663 Жыл бұрын
세계에서 공장자동화율이 한국이 압도적으로 세계 1위이고 키오스크 사용도 압도적임 이렇게 된게 어쩔수 없는게 한국의 임금이 급격히 인상되면서 현재는 대만의 2배 일본보다는 10%이상 높아진 상태이고 최저임금도 일본보다 더 높아진 상태인데 사람 구하기도 쉽지 않고 구한다고 해도 임금이 높다 보니 사람을 최소로 쓸려고 하다 보니 공장이나 식당들이 다 자동화되는거 같음 앞으로 더 심해질거 같음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와 정말 키오스크는 전 아직 적응안되는것 같아요 ㅜㅜㅜ 서로 말 한마디 안하고 다 되는것 같아서 뭔가 좀 무서움 ㅜㅜㅜ
@williamjeong7651
@williamjeong7651 Жыл бұрын
인권, 임금 주장했는데 알바, 직장이 사라지네요 이상과 현실은 ... 시장을 못이겨 누가 나에게 돈을 주나 ?
@Gunaka
@Gunaka Жыл бұрын
그냥 사라질 직업이 사라지고 있는 거에요 근래에 미국밖에 안나가서 미국의 예로 들면 개네도 불과 4년 만에 키오스크 천지가 됐습니다. 발전하는 거죠. 초고도의 발전된 상태라는 것이 인간이 손 하나 까닥하지 않는 것이 잖아요 ㅎㅎ 인건비는 같은 경제수준의 국가중 아직 적은 편이죠.
@Gunaka
@Gunaka Жыл бұрын
​@@williamjeong7651 그냥 사라질 직업이 사라지는 거에요. 사회가 발전될 수록 인공지능에 의지하게 되고 모든 공장 시스템이 자동화되듯 다른 직업도 인간의 손을 덜 타게 되는 거죠 앞으로 십년이 지나면 인간이 서빙하던 직업은 다 사라지고 병원 접수나 수납 심지어 입원절차도 100프로 기계가 하는 세상이 옵니다. 과학이 어느 수준에 도달하면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해서 그야말로 오늘과 내일이 다른 지경이 된다고 연구원인 지인이 얘기해 주더군요..그런 세상에 들어 선 거니 인간이 변해야 하고 직업을 얻으려면 이젠 그런 직업은 사라지니 다른 공부해야 합니다 ㅋㅋㅋ
@williamjeong7651
@williamjeong7651 Жыл бұрын
@@Gunaka 글쎄요. 업종에 따라서는 님 주장은 그럴싸 합니다만, 가게에서 점원 수만 줄은 것은 뭡니까 ? 현장에서는 원가절감을 위해 키오스크라도 시도를 해보는데 주문은 다양하고 복잡해요. 인건비가 매출에 부담안되면 당연 사람을 더 쓰려합니다.
@user-uz5nr7od2d
@user-uz5nr7od2d 11 ай бұрын
그래서 대만에 맛있는게 많나봐요. 지저분하거나 무질서한거 딱 질색이지만 대만놀러가고싶어요
@stevenjo6046
@stevenjo6046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극한 개인주의 사회 맞습니다. ㅜ 최근들어 더 신해져서 남에대한 관심이 없어요. 오로지 본인과 가족. 물가... 비싸요. 정말 많이 올랐습니다. 일본보다 교통비만 저렴할뿐..나머지는 동일하거나 비싸요.
@barunlife
@barunlife 10 ай бұрын
물가 진짜 엄청 올라가지고 ㅜㅜㅜ
@bmk4779
@bmk4779 Жыл бұрын
한국 아파트 창문이 작다구요? 오히려 대만이 작지 않나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제가 잘 몰라서 그런것 같아요 ㅎㅎㅎㅎ
@gumncondom
@gumncondom Жыл бұрын
의도적이진 않겠지만 무임승차 했다는게 충격이네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아유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user-zm5fm3wl8u
@user-zm5fm3wl8u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를 떠나있으면 다 애국자가 된다고하잖아요. 전 대만여행할때 카드 못쓰는거 빼고 전혀불편함이 없었는데. 나라마다 국민성이 다 다르지만 부딪치고 그냥가는건 저도 화나더라구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수현님 안녕하세요 ! ㅎㅎㅎ 저도 이번에 한국 다녀와서 또 더 애국자가 되갑니다 ㅎㅎㅎ 수현님 언제 한번 놀러안오시나요 ! ㅎㅎ
@serviceel8713
@serviceel8713 Жыл бұрын
대만은 한번도 안가봤는데 가보고싶어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재밌어요 한번도 안 와보셨으면 꼭 한번 다녀가세요 ~~ ㅎㅎ
@jessiej3171
@jessiej3171 5 ай бұрын
양안관계 문제 때문에 대만 여행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는거 저도 공감해요. 요새 뉴스에서 시진핑이 대만을 침공한다느니 뭐니 긴장감을 조성하는 안좋은 뉴스들을 워낙 내보내니 ㅠ 그렇게 따지면 당장에 전쟁위험이 큰 국가는 한국인데 ㅠ 대만 저도 몇번 가봤지만 사람들이 진심으로 친절하고 안전하고 여행하기 편한 국가도 없었어요. 솔직히 요즘 엔저 현상 때문에 사람들이 대부분 일본으로 여행가는게 현실인데 대만에도 많이 가줘서 대만의 훌륭함을 느꼈으면 좋겠네요😅
@barunlife
@barunlife 5 ай бұрын
아유 대만도 좋고 일본도 좋고 한국도 좋고 ! ㅎㅎ
@sonj.w5819
@sonj.w5819 Жыл бұрын
한국에 꽃가루가 많은 건 바생님을 통해 처음 알았어요. 일본처럼 마스크 잘 쓰고 다니면 괜찮을 겁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번에 와서 노란색 꽃가루보고 얼마나 놀랐던지 ㅜㅜㅜㅜㅜㅜ
@williamjeong7651
@williamjeong7651 Жыл бұрын
송화가루 일겁니다. 바람불면 장난이 아니죠. 지금 황사 시즌이기도 하구요.
@user-ol1up8zn4d
@user-ol1up8zn4d Жыл бұрын
서울은 뭐 6만 7만달러 수준도 아마 넘을지도 몰라요 통계수치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생활수준 당연히 엄청 높죠. 다 모르겠고 난 무조건 차. 이러면 진짜 외제고급차도 충분히 살수 있는 소득수준이어서요. 평범한 직딩도요 76년생인대 정말 깜짝 깜짝 놀랄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는 나라가 대한민국이죠
@user-lc3zp1yn7l
@user-lc3zp1yn7l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지하주차장이 발달되서 차를 외부에 노출될일이 별로없어요 그래서 외국인들이 보면 깨끗하다고 느낄꺼 같아요 ㅎㅎ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오 그럴수도 있겠어요 ㅎㅎㅎㅎ 오호 !!!
@user-ue5lq2on9o
@user-ue5lq2on9o Жыл бұрын
ㅇㅇ•님 일본은 더 놀래요 길거리 차들이 전부다 새것같아요 심지아 어딜가나 도쿄 오사카등 트럭차들이 이쁘고 신차뽑은것 같이 외관이 깨끗해서 신기하더라구요
@maknaecats
@maknaecats Жыл бұрын
@@user-ue5lq2on9o 일본은 사회곳곳에 이지메문화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만약에 차량외부가 지저분한데 세차안하고 타고 다니면 이웃한테 따돌림당함
@user-hq5yi9mm3d
@user-hq5yi9mm3d 11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길거리가 많이 깨끗해졌지만 일본과의 결정적인 차이는 주차문화인 것 같습니다. 불법주차가 길거리를 더럽게 만들고 있어요.
@user-ko3eu8mb6d
@user-ko3eu8mb6d 10 ай бұрын
지진이 많아서 지하로 들어간다는건 죽으러 가는거죠. 일본인들이 지하를 싫어하고 혐오하는거랑 비슷.
@meronmilk
@meronmilk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나중에는 중국가셔서 대만과 다른점같은거 해보시면 또 재밌을꺼같아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앗 중국이요 ㅜㅜㅜㅜㅜㅋㅋㅋㅋㅋ 아 가기 쉽지 않은데 ㅜㅜㅜㅜㅜ ㅎㅎㅎ
@hpius.1158
@hpius.1158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재밌게 잘 시청했네요. 한가지 제 경험으로 일본 친구가 말씀하신 일본의 꽃가루와 한국의 꽃가루는 조금 다를겁니다. 봄철 거의 일본의 풍토병?? 국민 질환처럼 심각한 스기(삼나무) 알러지로 많이들 힘들어 하세요. 이시기엔 일기예보에서 우리나라 미세먼지 지수처럼 꽃가루 많고 적음이 예보되구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pius님 안녕하세요 ! 재밌게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ㅎㅎ 아하 일본은 삼나무 알러지라 한국이랑은 좀 다르죠 ㅜㅜㅜ ㅎㅎ 그런데 제가 이번에 한국와서 느낀건데 이게 한국도 꽃가루라기보다 어떤 나무에서 떨어지는것 같은데 뭔지 모르겠어요 ㅜㅜ 조금 ..... 뭐랄까 흰색비슷한 꽃이 엄청 달린 나무였는데 ㅜㅜ
@gildonghong8069
@gildonghong8069 Жыл бұрын
일본인들 삼나무때문에 알러지 심한거 알고있어도, 제약회사에서 자기들 밥벌이때문에 알러지약 팔려고 로비해서 삼나무 유지중인걸로 알고있어요
@assaassa7663
@assaassa7663 8 ай бұрын
7:35 한국사람들이 다 좋은데, 지나가다가 사람에게 부딪치면 미안하다는 말 좀 하자.. 외국인들이 제일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 대만인들이 자기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한국인도 똑같음..
@SNIPER-XYZ
@SNIPER-XYZ 17 күн бұрын
4분10초쯤 1초 이강인이 보입니다
@user-ko6mn9jj5r
@user-ko6mn9jj5r 19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어깨빵은 고쳐야 함. 부딪혔을때 미안하다라는 말이 자동으로 나와야함. 한국은 유독 어깨빵 하고 그냥 지나가는경우가 90%는 되는듯함. 오죽하면 한국 여행시 주의사항으로 어깨빵당할때 쏘리 원래 안하니까 주의하라고함
@user-bo9bo8dw3k
@user-bo9bo8dw3k 19 күн бұрын
이런건 고쳐나가야 함~~
@user-rh2jt2px7z
@user-rh2jt2px7z 11 күн бұрын
동감합니다
@slowmi3162
@slowmi3162 12 күн бұрын
키오스크는 어르신들하고 젊은분들하고의 갭을 더 크게하는 안좋은 부분도많은것같네요. 2030이야 편하다고생각하겠지만 60이상인분들은 키오스크가 무섭고 어려워서 접근이힘든분들이많아요. 그랬다고 주변분들한테 매번 부탁할수도없고. 뭔가 어르신들을 위한 보완장치가 필요한듯. 아파트 창문작은것은 무슨말인지는 잘모르겠고 아파트창문 요즘 가보면 그냥 벽면하나가 통창인데.. 물가는 정말 많이올랐죠. 코로나와 전쟁이후로 처음엔야금야금오르더니 1년사이에 훅오름. 새치기는 아마 줄 애매하게섯을때 답답한분들이 그런분들 제끼고 서는게 대부분일겁니다. 대놓고 새치기하는것은 극히드뭄. 부딪힘은 극렬 부딪힘은 기분이 나쁘지만 바쁠때의 부딪힘은 적당히 이해하고넘어가는듯. 그렇게 크리티컬한 부분은 솔직히 아니라서.
@PPongPong
@PPongPong Жыл бұрын
대만 전쟁은 피할 수 없어요. 시간 문제일 뿐...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 !
@mansoo2256
@mansoo2256 Жыл бұрын
중국지도부도 빠가들만 있는게 아닙니다... 동북아 4강(한국 일본 대만 중국)이 원시시대로 돌아가고 또 서구세력들이 무인지경 군림할지도 모르는 모험을 한다구요? 그깢 중국에게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조그만 섬땜시... 그게 서구가 가장 바라는 시나리오지요... 대만정도는 봉쇄만 해도 자지러집니다... 오히려 전쟁 레드라인을 넘나들며 긴장을 놨다 풀었다 중국이 국내외 정치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훨 많읍니다...
@johnbillon7757
@johnbillon7757 Жыл бұрын
왜 피할 수 없죠?
@user-eu3gr5dd6m
@user-eu3gr5dd6m Жыл бұрын
@@johnbillon7757 미국이 전쟁날때까지 계속 빌드업 할꺼니까요..궁금하긴 합니다..대만사람들도 우크라처럼 멍청한 행동을 할것인지...
@noserune
@noserune Жыл бұрын
​@@johnbillon7757 ​중국공산당의 오랜 숙원이 하나의 중국이라 공산당이 망하지 않는 한 태평양 진출을 위해서 기회만 되면 대만을 차지하려고 할 겁니다...
@user-hz3vq4wi3s
@user-hz3vq4wi3s Жыл бұрын
정말. 물가 엄청 올랐습니다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엄청 ㅜㅜㅜㅜㅎ
@user-px2lh2dg7m
@user-px2lh2dg7m Жыл бұрын
내부에선 못 느끼겠지만 확실히 양안전쟁의 확률이 올라갔습니다 시진핑이 시기만 저울질 중인듯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
@hong3840
@hong3840 Жыл бұрын
그런건.. 그냥 저질 유튜브들에서나 하는 말들이에요..
@user-nu5pn5tj1l
@user-nu5pn5tj1l Жыл бұрын
요즘 한국도 현대기아차를 중심으로 전기차들이나 신차들이 워낙많이 출시되서 길거리에 새차들이 많은느낌이긴해요. 와이프가 타이베이 출신 대만사람이라 가끔대만 가보지만 서울에 살지않은 지방중도시 사는데도 타이베이 가보면 건물외벽이나 건물계단등을 보면 많이 낙후되있다란 느낌을 많이 받는게 사실이예요. 그만큼 한국이 요근래들어서 건설붐이 일어난것도있고 새건물들이 많이 들어서고있거든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맞아요 ㅎㅎㅎ
@minkyukim7354
@minkyukim7354 8 ай бұрын
아파트 대단지는 생활수준이 올라오고 어쩌기 전에 이미 1980년대에도 즐비했는데;; 강남 개발로 지금도 있는 오래된 대단지 아파트들 이제 재건축 들어가네 마네 할 정도인데
@stephen2717
@stephen2717 11 ай бұрын
중국인들의 성향이 의식주중 " 유독 "식"에 대한 집착이 심한것 아닌가를 오래전부터 느꼈습니다. 저는 직장생활하면서 여러번 대만방문으로 느낀점은 의/주는 확실히 한국보다 제법 뒤떨어졌으나 "식"은 대륙보다는 못해도 확실히 중국스러움을 느꼈습니다.
@user-dn8mc8ip9d
@user-dn8mc8ip9d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빨리빨리가 강하죠ㅋㅋㅋ해외 나가서 느려 터진 거 보면 저의 속도 같이 터져요ㅋㅋㅋ 저 궁금한 게 있어요!왜 대만 연예인들 또는 관광객들 한국 오면 간장게장 먹는 거예요~?서희제, 허광한 등 한국에서 먹은 간장게장 인증샷을 인스타그램에 올렸더라구요...입에 잘 맞나 보아요~?한국에서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호잇님 안녕하세요 ㅎㅎㅎ 아 한국 간장게장이 또 외국에서 뭐랄까 엄청 특별한 음식처럼 느껴져요 ㅎㅎㅎㅎㅎ 외국엔 비슷한것도 없는 음식이라 ㅎㅎ
@user-dn8mc8ip9d
@user-dn8mc8ip9d Жыл бұрын
@@barunlife 오~~그렇군요ㅋㅋ대만인들 귀엽네요ㅋㅋㅋ답변 감사합니다!
@user-qf2kp6ey2d
@user-qf2kp6ey2d 22 күн бұрын
지금의 아파트는 고층이다 보니 옛날처럼 옆으로 길게 질을 수가 없고 타워형으로 지으니까 넓은 베란다 창이 없어요. 옛날 아파트가 더 좋죠 앞뒤 양쪽으로 베란다가 있고 훨씬 좋은 것 같아요
@barunlife
@barunlife 21 күн бұрын
아하 .... !!!! 요즘 베란다가 없다는것이 그런것이었군요 ㅜㅜ
@user-qf2kp6ey2d
@user-qf2kp6ey2d 18 күн бұрын
@@barunlife 아니 타워형으로 높이 짓는 것도 베란다는 있어요 하지만 옛날에는 베란다 창이 넓은 통창이엿잔하아요 그때는 옆으로 늘어서 지을 수 잇엇어요 층수가 20층 이하를 지을때죠 지금은 30층 50층씩 높게 지으면 바람 때문에 그렇게 지으면 안되나봐요 사각형으로 짓죠 그렇다보니 베란다 창이 옛날 아파트 같지 않아요 개인적으로 옛날 아파트가 훨씬 좋아요
@choe3528
@choe3528 Жыл бұрын
저는 서울 토박이이고 집안 대대로 서울 출생입니다. 서울에서 살다보면 암묵적인 규칙같은 것이 있어요. 혼잡한 전철역이나 거리에서 눈치빠르게 8282 이동하는 것, 아니면 좌우통행으로 빠르게 걷는 것.. 서울생활이 낯설거나 외국인이라면 불쾌하게 생각되는 상황이 많은건 사실이지만 서울사람 입장에선 답답함을 느끼는거죠. 그럴때 새치기를 하거나 일부러 밀치고 갑니다. 이태원 사고도 그 연장선에요. 갈수록 사람들이 여유를 잃어가는 느낌.. 혼잡한 도시에 사는 부작용이죠.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앗 역시 저는 외지인이라 암묵적인 룰을 몰랐군요 ㅜㅜㅜㅜㅜㅜㅜㅜ 이것참 ㅜㅜㅜㅜ
@flowery6903
@flowery6903 Жыл бұрын
새치기를 하거나 일부러 밀친다구요? 큰일날 분이네요ㅉㅉ 지하철이나 버스 탈때 새치기나 밀치면 욕먹습니다 에스컬레이터 탈때도요 전 한번도 누가 새치기하거나 밀치고 지나가는거 못봤네요 오히려 줄을 너무 잘 서서 놀람 그리고 일부러 말고 여유공간이 없는 상황에서 밀리거나 밀쳐지거나 부딪힐때는 일일이 사과를 안하고 지나가는 경우들이 많은건 맞는데 일부러가 아니기에 일부러 밀친다는 위 설명과는 다른 경우예요 서울 천만도시 지하철만원 버스만원 워낙 밀도 높은 곳에서는 서로 부딪혀도 이 상황을 이해할거라는 마음이 있어서인것같습니다
@user-ed7iz8tp4u
@user-ed7iz8tp4u Жыл бұрын
이태원 사고는 의문사 사고인데 단순 밀쳐 사고난 것 처럼 호도하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jeonghyein1
@jeonghyein1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오래산 조선족 냄새가 나는데..
@user-pj9wi7ux1t
@user-pj9wi7ux1t Жыл бұрын
어디 시건방지게 이태원사고를 갖다대냐 ㅉㅉㅉ
@user-qf2kp6ey2d
@user-qf2kp6ey2d Ай бұрын
키오스크, 인건비 때문이죠 요즘은 사람이 있는 주차장도 못봐요 다 카드로하죠 요즘은 현금을 받지 않는 시내 버스도 있어요 다 비용절감이죠
@jayykim119
@jayykim119 15 күн бұрын
앞으론 그 차이가 점차 더 더 벌어질 겁니다.두고 보세요
@Lia3349
@Lia3349 Жыл бұрын
길거리 전도는 진짜 평소엔 불쾌하고 외국 친구 오면 부끄러워 죽겠어요. 버스킹 하는거냐 데모하는거냐 왜 화난거냐 묻는데 진짜ᆢ왜 단속이 안 되는지 모르겠고 왜 특정 종교만 저러는지 모르겠네요. 할 일이 그렇게 없으면 잠이나 자지.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ㅜㅜㅜㅜㅜ 왜케 시끄럽게 그러는지 ㅜㅜㅜ 그게 삶의 이유인지 ㅜㅜㅜㅜㅜㅜ
@verda7713
@verda7713 Жыл бұрын
오 그렇게 느낄수있겠네요 계속여기서만 살아서 잘 못느꼈던건데ㅋㅋ진짜 대만 사람 다 되셨네요ㅋㅋ 근데 물가는 체감상 진짜 많이 올랐어요ㅜ 장바구니 물가가 후덜덜 합니다ㅜㅋㅋ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장바구니 물가가 후덜덜하라고 하던데....... 저도 장 한번 봐봐야겠어요 ㅎㅎㅎ
@user-di8ti4tr7i
@user-di8ti4tr7i 10 ай бұрын
한국버스에서 에어컨을 안 켜면, 기사님에게 켜달라고 얘기하세요. 그럼 대부분이 켜 줍니다.
@barunlife
@barunlife 10 ай бұрын
넵 제가 소심했나봅니다 ㅜ ㅎㅎㅎ
@fhkw
@fhkw 21 күн бұрын
길거리에 담배꽁초 등 쓰레기 버리는 것과 침뱉는 것 그리고 음료수 마시고 아무데나 놓고 가는 것 이거 정말 고쳤으면 좋겠습니다.
@JosephLeeInTW
@JosephLeeInTW Жыл бұрын
친구가 없어서... 먹는 이야기도 못하고 지냅니다 ㅎㅎㅎ
@barunlife
@barunlife Жыл бұрын
조솁님 ㅎㅎㅎㅎ 저도 제 친구는 없고 ㅜㅜ ㅎㅎㅎ 와이프 친구들 좀 품앗이로다가 ㅋㅋㅋㅋㅋㅋ
대만 여대생이 한국에 다신 오기 싫은 이유 10가지를 밝혔는데요.
10:02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Её Старший Брат Настоящий Джентельмен ❤️
00:18
Глеб Рандалайнен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Countries Treat the Heart of Palestine #countryballs
00:13
CountryZ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대만 임금이 매우 낮은 이유
7:56
지식횡단
Рет қаралды 279 М.
[ENG] 대만집 랜선집들이 l MY TAIWAN HOUSE ROOM TOUR (거실, 주방) 🏠
15:20
대만 사람이 왜 이혼을 많이 하는지 알것 같네요
9:50
바른외국생활-대만
Рет қаралды 64 М.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