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변화하는 부탄, 그곳을 가다 -1편

  Рет қаралды 328,003

제이크루콘텐츠

제이크루콘텐츠

5 жыл бұрын

히말라야 산맥 동쪽 끝 숨은 듯 자리잡아 지구상 마지막 샹그리라고 불리는 곳, 부탄
개인의 행복보다 인간관계의 행복을 더 중시하고 푸른 하늘과 천혜의 자연, 깨끗한 공기에 감사하며 살아가는 부탄 사람들을 취재한 다큐멘터리 제이크루콘텐츠 제작

Пікірлер: 139
@user-to8yc7kp2s
@user-to8yc7kp2s 4 жыл бұрын
순박하고 해맑은 미소가 아름다운 나라~ 사람은 부유해서 행복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가난 하지만 나눌수있는 마음의 여유가 있을때 행복합니다
@AgelessOn
@AgelessOn 5 жыл бұрын
부탄 여행 갔었는데 너무 좋았어요.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느낄수 없던 모든것들.. 아 또 가고 싶네요. 한번 살아보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user-eo3re9hq9c
@user-eo3re9hq9c 5 жыл бұрын
사람에게서 욕심을 버리면 천하가 발아래로 보인다 했습니다.
@sangroksuh8469
@sangroksuh8469 4 жыл бұрын
가난 하지만 행복한 나라 부탄. 이 영상을 보니 생각나는 분이 떠 오르네요. 부탄에서 한국인으로 언어를 연구하고 있는 연구원님이 생각 나네요. 작년 여름 부탄을 방문했을 때 우리들에게 부탄의 문화,역사,... 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하시며 안내해 주신 연구원님은 부탄인 처럼 행복해 보였습니다. 은둔의 왕국에서 한국을 빛내고 계시는 연구원님께 감사와 박수를 보내 드립니다.
@khachabchoden603
@khachabchoden603 2 жыл бұрын
I am Bhutanese 🇧🇹 and living in Japan,I like your amazing videos.thank you
@vaughansung
@vaughansung 5 жыл бұрын
두번 가서 부탄젊은들과 생활해본 저의 생각과는 완전 다르네요. 모두 행복하다고 하니 그렇게 생각하는게 좋을것 같다.
@jonyjungs
@jonyjungs 5 жыл бұрын
국민이 행복한 세상이 최고입니다.
@Skyunji02
@Skyunji02 5 жыл бұрын
새는 둥지를 떠나야 하늘을 날수있고 물은 강을 떠나야 바다를 만나고 나무는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는다. 저렇게 욕심을 버린 검소한생활이 행복의 비결이 아닌가 싶다.
@user-tx2no8nj4c
@user-tx2no8nj4c 4 жыл бұрын
멋진 말. 행복은 쉽지 않네요.
@user-hj2wz8po3c
@user-hj2wz8po3c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아이들있는 시골 모습보는거 같네요. 사람들이 한국 사람같아요.
@user-zr1xu4kr8t
@user-zr1xu4kr8t 3 жыл бұрын
부탄! 우리와 같은 동족 입니다 같은 조상 이란 말입니다 아주옛날에 그쪽으로 갔겟죠~ 가보고 싶어요 그래도 대한민국이 젤살기좋죠
@user-qb9md5rk5t
@user-qb9md5rk5t 2 жыл бұрын
어쩐지 우리나라 사람들과 외모가 똑같이 생겨서 놀랬어요.
@user-rh3uu1xr9p
@user-rh3uu1xr9p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랑 정반대의 모습 가난하지만 행복한 나라 경쟁을 안하고 자기가 하고싶은거 하니까 정말 이런게 천국아니까 생각합니다
@Fggyig9012
@Fggyig9012 5 жыл бұрын
쏘남 아가 너무 이쁘구 착하네요..이쁘게 할머니 할아버지 말잘들으렴
@josephsong469
@josephsong469 5 жыл бұрын
교육중에 가장 귀한 것은 인성교육이다..우리나라 교육은 오직 입시위주로 경쟁력만 강조하다보니 인간성이 결여되어 참 인간을 양성하지 못하는 아주 파괴적인 교육이다.. 교육이 백년대계라고 했는데 나라의 미래가 매우 어둡고 염려스럽다.. 인성교육을 반드시 병행해야할 것이다.
@user-cg1jc3vp3u
@user-cg1jc3vp3u 4 жыл бұрын
맞음...일본 따라가는중 ^ ㅡ^
@user-cb2xy9sc2d
@user-cb2xy9sc2d 3 жыл бұрын
교육을 가르치는 선생두 인성을 장담못하는데 인성교육을 한다 그 전에 가정의 부모님들 인성이 그대로 반영된다고 본다
@Leecy6311
@Leecy6311 4 жыл бұрын
요즘 갇쳐 지내며 저 못가본세상 다큐 너무 흥미롭게 보내요👍👍👍
@user-bf6sk9li4t
@user-bf6sk9li4t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최고랍니다!!^~^* 세계 어디를가도 대한민국보다 좋을까요
@user-jy4gt6ek8p
@user-jy4gt6ek8p 4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영상, 예전의 부탄 자료는 많지만 요즘 모습이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도덕 수업 자료로 활용하겠습니다.
@user-lo1gv3zf9l
@user-lo1gv3zf9l 3 жыл бұрын
어릴적 공기좋고 농촌에선 이기심이없어 이웃간 평화로운삶에선 불행을못느끼고살지만 문명의 발달로 경쟁과 이기심의 사회로 들어선 순간 행복지수는 떨어진다 부탄나라도 아직은괜찮지만 문명을 따라가다보면 행복지수는 낮아질수 있다
@anarchist2626
@anarchist2626 3 жыл бұрын
영화 교실 안의 야크 때문에 부탄에 급관심이 생겨 부탄에 대해 공부했는데 국왕이 국민들의 행복을 위해 스스로 왕권을 내려놓고 민주주의체제로 전환했고 얼마나 정치를 잘 했으면 국민들이 반대해서 일일히 찾아다니며 설득시켰고 왕위를 물려받은 왕자도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어 열심히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있는 정말 인간이 아닌 신이 아닐까 의심될 정도로 역사상 그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정말 경이로울 정도로 순수한 민족임을 알고 보니 영화가 더 진심으로 느껴졌던...
@jjames7578
@jjames7578 4 жыл бұрын
부탄, 국민행복도 1위의 나라. 남태평양의 몇몇 섬나라와 더불어 지구상에 멋진 곳이 아직 남아있는데 부탄도 그 중의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꼭 한번 가보고 싶군요. 아직도 일처다부제가 유지되고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user-ze2ce8fk4w
@user-ze2ce8fk4w 3 жыл бұрын
천국이네 ..!! 근데 살으라면 못 살듯 ㅠ. 이미 썩은 세상에 적응해버려서..
@gksdldb7247
@gksdldb7247 5 жыл бұрын
자연환경 자체가 행복하구만. 시골집인데도 깔끔, 번듯하고.....한류고 뭐고 외부 문화 안들어가고 지금처럼 살면 좋겠다.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5 жыл бұрын
진짜 은둔의 왕국답게 부탄은 미지의 나라같다. 저 나라가 잘 사는 나라는 아닌데 왜 행복지수가 높은지 알 것 같다. 가보고 싶다.
@aramis229
@aramis229 5 жыл бұрын
사이다팩트폭격기 은둔
@user-sj5ki3hf8t
@user-sj5ki3hf8t 4 жыл бұрын
하빕누르고마구패 오타 난거야~짜샤!
@NADOYAGANDA
@NADOYAGANDA 5 жыл бұрын
어느 곳을 둘러보아도 녹지율이 높은 것 같습니다. 낙원이란 바로 자연을 곁에두고 사는 삶이라고 생각합니다.
@sangroksuh8469
@sangroksuh8469 4 жыл бұрын
녹지율이 높은 이유는 전국토의 65%를 절대 산림화 지역으로 헌법에 명시하고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singaydorji5717
@singaydorji5717 2 жыл бұрын
Proud to be Bhutanese,pelden drukpa 🇧🇹
@prcjhk
@prcjhk 5 жыл бұрын
정말 좋구나... *.*
@user-wg4oi8ej9u
@user-wg4oi8ej9u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jinodo1766
@jinodo1766 5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운 나라 아름다운 사람들
@slclo6911
@slclo6911 3 жыл бұрын
평화롭게 사는 순수한 국가에 악마심리가 들어가면 안될텐데. 우리 나라는 술 담배 마약부터 금지 시켜야 한다.
@danielkim5218
@danielkim5218 5 жыл бұрын
" 나그네와 마술사 " 라는 영화가 생각 납니다~
@user-fp8vt8hv7b
@user-fp8vt8hv7b 3 жыл бұрын
명언입니다
@najoeun
@najoeun 5 жыл бұрын
미세먼지 없는 청정 지역이네.. 중국산 중금속 미세먼지 때문에 우리는 고통받고 있는데..
@user-wl1hi5cb3r
@user-wl1hi5cb3r 5 жыл бұрын
@@user-hw3is2zp4w ?0ㅐㅣㅛ
@pokjunam2163
@pokjunam2163 2 жыл бұрын
정말 무슨동화나 애니메이션에서나 볼법한 나라이네요.~
@32dhkdrhfwo46
@32dhkdrhfwo46 5 жыл бұрын
나라가 이쁘네 깨끗해보이고
@vaughansung
@vaughansung 5 жыл бұрын
지상천국이라 하는데 왜 많은 젊은이들은 인도의 노예로 살까?
@onesimo9858
@onesimo9858 5 жыл бұрын
ㅇㅁㄱㅅㅇ~
@user-et2uc2kf2g
@user-et2uc2kf2g 5 жыл бұрын
내가 어렸을때 저랬었지 그땐 다못살았으니까 하지만 산업화가 진행되고 빈부의 격차가 생기면서 상대적인 박탈감이 풍요속에 빈곤을 느끼게하고.... 곧 치열한경쟁에 정신적인 불행이 시작되지 부탄도 예외가 될수없다
@FlowerSan
@FlowerSan 5 жыл бұрын
적이 없다면. 주변 국가가 침범 할 이유가 없다면..그렇다면. 우리도 돈보다 삶의 질에 투자를 하겟지요. 하지만. 우린 옆에 일본 뒤에 중국 그리고 그옆에 러시아. 코앞에 북한. 우린 돈이 필요 합니다. 우릴 지키기 위해서. 돈이 없으면 날 지킬 수 없읍니다. 우리보다 아름다운 나라들 많습니다. 하지만 우린 아주 안 좋은 곳에 터를 잡고 나라를 만들 었읍니다. 이젠 이곳을 지켜야 합니다
@theclown571
@theclown571 5 жыл бұрын
응원해줄께~ 한글부터 다시 배워~
@FlowerSan
@FlowerSan 5 жыл бұрын
@@theclown571 예 다시 배우죠. 그런데. 당신의 그런 작은 것에 신경을 쓰는 사람이군요. 댓글 다는 것 좋은데. 댓글 다는 사람을 지적하지 말고. 빗대지 말며 자신의 소견을 말하면 더 좋을텐데. 남을 기분상하게 하는 것은 좋지 않을 까 하는데요.
@user-ml1of2tm5d
@user-ml1of2tm5d Жыл бұрын
부탄은 은둔의 왕국이다 외국문화를 차단하고 부탄문화를 지키며 사는게 제일 행복한 인생이될것이다
@user-kn9bv4cc5o
@user-kn9bv4cc5o 4 жыл бұрын
혹시나하는 마음에 왔더니 본 거네 ㅠㅠ
@user-yx2jv6hy4j
@user-yx2jv6hy4j 4 жыл бұрын
행복지수도 의식주 해결 되야 나오는거지 시리아 나 예맨 방글라데시 가보면 답도 안나옴.. 방글라데시 행복지수 세계1위 라는거 다 뻥임.. 봉사활동 으로 방글라데시 가신분 있는데 비상금 으로 500달러 가져갔음. 근데 너무 가난해서 5인가족한테 100달러씩 주고 옴. 차고 있던 시계 랑 모자도 다 주고 옴.. 그냥 한국 가면 죄책감 들꺼같아서 우리에게 500달러 가치와 그들에게 500달러 가치는 너무 다름.... 기본적인 의식주는 되야 행복지수 가 나오는거임.
@user-wo2hf1xs1m
@user-wo2hf1xs1m 4 жыл бұрын
아직 고기맛을 보지 못해서 그렇지 중이 고기맛을 보면 절에 빈대도 남아나지 않는법 북유럽이나 부탄이나 기후나 자연환경이 좋지 않은곳에서 살려면 제정신으로 살기 어렵지 불평불만도 배가 불러야 할 수 있는법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5 жыл бұрын
행복해보입니다. 감자...저 콩알 감자 크기는 우리나라에서는 땅에 갈아버리는 처지인데 저거하나 소중하다니....
@user-cp5hd5fz9b
@user-cp5hd5fz9b 5 жыл бұрын
부탄의정신적지도자 지그메케사르남기엘용왕 모습이멋있어
@ubay1670
@ubay1670 5 жыл бұрын
부탄 사람 상당수가 한국인과 매우 닮았네요. 인종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user-on9eh4jc7h
@user-on9eh4jc7h 4 жыл бұрын
같은 나라에 사는 사람들보다 더 한국인 같은 부탄, 발음 의복 문화 음악이 한국하고 같아. 스키타이가 우리민족이라고 우기는 짓이 부탄에서 박살나지.
@kayakdm52
@kayakdm52 5 жыл бұрын
돈맛을 보면 저곳도 각박해 질 껄.
@user-rb6bi4ic9w
@user-rb6bi4ic9w 5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국왕들이 정치를 잘하는 중요.
@user-rm5zq5wt8u
@user-rm5zq5wt8u 4 жыл бұрын
부탄 하루에 숙박비 포함 지불해야 하는 금액이 너무 비싸~ 100달러이면 몰라도 200 달러 정도 내야 된다던데~그리고 그만큼 뱅기 값도 노선이 적어서 개 비쌈~ 내가 인도 네팔 여행할때 옆나라 네팔에서 부탄 넘어갈때도 왕복 뱅기 60만원이던데 ㅋㅋ 거리는 엄청 가까운데 뱅기랑 6일 여행 하려니 비용이 200만원 잡여서 포기함 ㅋㅋ 가보고는 싶어도 가격 때문에 안가는 사람들 생각하면 이게 더 큰 손실이다~이런거 시민들 투표로 정해진다면 더욱더 개방적인 나라가 될텐데 ~ 부탄에 안태어난게 정말 다행~ 똑같은 일상 지루해서 미쳐 버릴거 같다 저기선 ㅋ
@MF-fj5hs
@MF-fj5hs 4 жыл бұрын
숙박비싸면 안감 태국이나 베트남이 쌈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5 жыл бұрын
행복지수는 개인판단마다 다르지만 동양이나 서양이나 춤과 노래 안좋아하는 사람 없죠^^ 무슨 유교사상인지 잘못된 세뇌교육이죠... 예절은 남을 배려하는데 있는데 양반처럼 멀뚱한게 있는다고 예전이 아니죠 선비는 자기가 나가서 일을 해야 선비지 갓만 쓴다고 선비가 아니죠 상대방에게 자기의 정보를 전달이 목적이지 지휘하는게 목적이 아니죠... 청정자연 좋죠 깨끗한 공기에 살아가며 감사는 부탄사람들의 다양한 정보영상도 같이 취재포인트가 좋기도 합니다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5 жыл бұрын
부탄 사람들 영어 잘하시네요.....
@michaelpark5681
@michaelpark5681 4 жыл бұрын
어느나라처럼 문법과 단어장을 앵무새처럼 줄줄이 외우지도 않고 어린아이가 어미의 말을 따라하듯 배우니까 그런것같네요.
@jangyun6868
@jangyun6868 5 жыл бұрын
한국인 모습과 비슷하게 생겼네 부탄, 네팔은 남서쪽 히말라야산으로 진출한 몽골리안 후예
@user-cg1jc3vp3u
@user-cg1jc3vp3u 4 жыл бұрын
말도 비슷한거같음 ㅋㅋㅋ
@user-zc4nf4ft2x
@user-zc4nf4ft2x 4 жыл бұрын
진짜 가장 비슷하게 생긴 사람이 부탄사람들이야. 아마도 뭔가 오래 전에 우리와 유사성이 있었을 거 같아. 유전학적으로는 어떨지 모르지만..... 보통 비슷하게 생기면 유전자도 비슷한 계열아닐까.... 먼 옛날 우리네가 저기까지 건너간걸지도 모른다.
@user-lz1mj8im1e
@user-lz1mj8im1e 3 жыл бұрын
@@user-zc4nf4ft2x 오지로 쫒겨난 부족은 1전쟁에서 패배한 나라의 왕과 귀족들 2종교적 이유 3 천재지변으로 식량난 4 사냥용 짐승을 따라 이와같은 이유로 살기좋은 땅에서. 척박한 땅으로 인류는 이동했음
@user-xs5yh7gl6k
@user-xs5yh7gl6k 3 жыл бұрын
팝은 한국, 행복은 부탄
@user-ll9jb6ox5v
@user-ll9jb6ox5v 5 жыл бұрын
부탄의 마약실태를 아신다면 저곳이 천국이 아니라 지옥이라는것을 아실탠대....
@MF-fj5hs
@MF-fj5hs 4 жыл бұрын
나도 얼핏들음 어떰?대마말고 ?
@maybe0110
@maybe0110 3 жыл бұрын
마리
@user-rb6bi4ic9w
@user-rb6bi4ic9w 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로 보자면 의료비,교육비 걱정없이 자연인 생활한다 보면 되겠네요.
@aseptic_soap3501
@aseptic_soap3501 3 жыл бұрын
11:47
@user-rp4vd5nu9f
@user-rp4vd5nu9f 3 жыл бұрын
한국정서하고 비슷하네요 밥도 수저로 먹네 이 나라가 잘됬으면 합니다
@o1032888989
@o1032888989 4 жыл бұрын
영어 다들 잘하네..
@user-qh2pw9db8c
@user-qh2pw9db8c 3 жыл бұрын
부탄 사람들 영어 잘하는게 신기하네요.
@user-hd7zg5dw2c
@user-hd7zg5dw2c 2 жыл бұрын
영어가 공용어이기 때문이지요. 한국도 이승만때부터 영어 공용어로 지정했으면 전 국민이 영어 다 했을텐데 참 아쉽네요. 지금 영어에 들이는 돈과 시간이 막대하지요
@user-qu9lr8se9x
@user-qu9lr8se9x 2 жыл бұрын
영국 식민지지배 영향으로 영어를 잘하는 겁니다. 인도처럼요.
@aseptic_soap3501
@aseptic_soap3501 3 жыл бұрын
와칸다 포에버
@user-zc4nf4ft2x
@user-zc4nf4ft2x 4 жыл бұрын
영국의 스털링이란 경제학자는 일인당 소득이 15000불 넘어가면 더 이상 소득증가가 행복을 가져다 주지 못한다고 하는 게 그 유명한 스털링의 역설이라 부른다. 아이러니하게도 대부분의 개발도상국 중 소위 중가소득의 함정에 빠지는 국가들은 이 소득에서 더 이상 경제성장이 더디고 정체되면서 퇴행하여 경제선진국으로 진입하지 못했고 그 이후경제적 어려움을 겪게 된다. 아마도 짐작컨대 돈벌어봐야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기에 그냥 그 삶의 수준에 머루르지 않았나하는 생각도 든다. 물질이 지배하는 세상은 더 많은 부를 얻기위해 힘들고 부족한 사회는 빈곤해서 걱정이다. 결국 세상의 행복은 물질만도 정신만도 아닌 그 사이 어딘가에 인간을움직이게 해주는 수준의 결핍과 또한 인간을 만족케 해주는 풍요를 결정하는 최적점을 찾는 문제아닐까 생각한다. 완벽한 행복이 있다면 그건 더 이상 행복이 아니기에 늘 인간은 어쩌면 신기루같은 행복을 쫓고 있는지 모른다. 그러니 덜 불행하다고 느끼는 삶 혹은 행복의 민감도를 높이는 방법을 통해서 소소한 행복을 자주 느끼며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볼 수 있는 삶 그게 인간이 인갇운 행복을 추구할 수 잇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유토피아는 없다.
@user-kn9bv4cc5o
@user-kn9bv4cc5o 5 жыл бұрын
예전에 네팔갔을 때 부탄 가고 싶었는데 그때 단체관광 밖에 안된다고 갈생각을 못했는데 지금도 단체만 가능한가요? 푸나카 저곳 엄청 가보고 싶네요
@sangroksuh8469
@sangroksuh8469 4 жыл бұрын
부탄 관광은 개인, 단체 구분 없이 할 수 있습니다. 다만 1일 경비 약250$을 납부해야 여행비자가 나옵니다. 물론 이 경비 안에는 숙박. 숙식, 가이드, 차량, 입장료 등 모든 경비가 포함된 금액 입니다.
@user-ds8un8ho2k
@user-ds8un8ho2k 4 жыл бұрын
@@sangroksuh8469 ㅇ
@user-yg9my5ff3w
@user-yg9my5ff3w 3 жыл бұрын
정말 살고싶지않은 나라....
@singaydorji5717
@singaydorji5717 2 жыл бұрын
Then go to India better for you
@Konamagicsand
@Konamagicsand 2 жыл бұрын
한국도 이제 정치하는 사람들 특히 대통령은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분이 하셨으면 하네요
@jdkimusm4506
@jdkimusm4506 5 жыл бұрын
부탄깨스, 안 터져요.
@user-xz7um1us6r
@user-xz7um1us6r 5 жыл бұрын
C4H10
@ggdheud
@ggdheud 4 жыл бұрын
뭐 그래서 재기 차던 시절로 돌아가잔거야 머야
@kenspow
@kenspow 2 жыл бұрын
와 샌즈 개꿀잼
@theclown571
@theclown571 5 жыл бұрын
설마..설마..이곳이 그 전설로만 듣던 부탄가스 채취하는 곳!?
@sonsydney
@sonsydney 3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가 문제야
@Ggg-iw9xg
@Ggg-iw9xg 5 жыл бұрын
어케 부탄 영어?
@trekhimal
@trekhimal 5 жыл бұрын
부탄인은 티베트와 복장과 인물이 비슷하고 티베트는 북쪽 히말라야의 고원에 부탄은 그 아래 히말라야 기슭에 삽니다. 추정하기에 몽골인이 남하하여 정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웃 네팔이나 인도도 북쪽 히말라야 기슭에는 전부 남하한 몽골인의 후예들이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 민족과도 같은 뿌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user-co2wn4xb3y
@user-co2wn4xb3y 5 жыл бұрын
세상은 발전하는데 언제까지 고립된 문화를 이어 갈 수 있을까? 또 언제 까지나 그걸 누가 통제 할 수 있을까? 보편적인 세상과 어울리지 못하면 결국 동물원 원숭이 된다.
@user-ny6ie9xp6m
@user-ny6ie9xp6m 5 жыл бұрын
모두들 부탄이 유토피아인 것처럼 묘사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이 저곳에 가면 행복할까? 특히 여성들에게 저런 생활을 하라고 한다면 몇달이나 살 수 있을까?
@azita6566
@azita6566 4 жыл бұрын
여성들에 국한하지않고.. 사람의 성격에 따라 다르겠지요
@xcvfhjkk
@xcvfhjkk 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시골가면 저렇게 사는데. 저렇게 살기시러서 서울로 올라오잔아. 알면서 모르는척들 하셔^
@illpark651
@illpark651 5 жыл бұрын
청정한 부탄 불국토를 한국이 오염시키고 있다닌 통탄할 일이로다~
@KIM-qv6hd
@KIM-qv6hd 4 жыл бұрын
우리랑 똑같이 생겼네
@user-zr1xu4kr8t
@user-zr1xu4kr8t 3 жыл бұрын
우리 동족이니까요
@maybe0110
@maybe0110 3 жыл бұрын
@@user-zr1xu4kr8t 동족은 개뿔
@user-zr1xu4kr8t
@user-zr1xu4kr8t 3 жыл бұрын
@@maybe0110 이름 답지않게 말은 참! 거시기하게 하네~
@aldebaran666
@aldebaran666 4 жыл бұрын
이런 정치적인 의도가 다분한 영상들이 최근들어 더 많이 제작이 되는군요. 평소에 별 관심도 없었던 듣지도 못했던 나라들에 대한 다큐들의 방영이 2017년 후반부터 많아지는 건 우연의 일치 일까요? 이 세상을 움직이는 거대한 자본주의의 본질은 모두 배제 시킨채 저런 식의 행복만이 인간이 추구 해야할 가치인양 말하고 국민들을 우민화 시키며 자신들의 권력의 정당성을 부여하려 미디어의 악마적인 단편을 이용하는 저들의 본질을 꿰둟어 국민들이 깨어나길.
@aldebaran666
@aldebaran666 4 жыл бұрын
그립다 그래 그렇게 살어 너같은 인간이 걱정이 되서 하는 말은 아니었으니까.
@hcjoe1937
@hcjoe1937 4 жыл бұрын
저걸 선진국에서 배워 온걸까? 스스로 배움으로 깨우친 걸까?
@summerbreezep6872
@summerbreezep6872 4 жыл бұрын
좋은 것만 나열했네요. 대대로 국왕이 통치하는 나라. 기득권만 유학 갈 수있고 기득권만 첨단문물을 누리는 나라 입니다. 마약문제도 그렇고.. 겉만 행복하지요. 남미처럼.
@user-hp1cq5os3q
@user-hp1cq5os3q 4 жыл бұрын
부탄이영어를 쓰는구나
@user-kvcv4d8bmg6b
@user-kvcv4d8bmg6b 4 жыл бұрын
종카어, 영어 두개 씀.
@aseptic_soap3501
@aseptic_soap3501 3 жыл бұрын
25:14 부럽다
@j.jinlee6772
@j.jinlee6772 4 жыл бұрын
스웨덴에서 집단면역을 찬성하는 여론을 보고 깨달았다... 행복지수 = 세뇌지수 임....
@yellow82811
@yellow82811 4 жыл бұрын
Ideal theme park... India + China= Butan. China+America/ Russia= Mongolia and Korea. Japanese= Butanese= under the England colonialists...well groomed school dormitory kingdom. Want to study there.
@joesimon2241
@joesimon2241 5 жыл бұрын
북한에 비하면 천국이구나
@user-et3xh7hs5o
@user-et3xh7hs5o 4 жыл бұрын
가난해서 정신승리로 행복하다는건 개소리죠,,,, 관광개발하고 일자리 늘여 국민소득 올리는게 부탄국민들을 위해 국가 정확히 말하면 부탄왕이 할일입니다. 부탄사람들도 핸드폰과 화장품에 행복해 하는군요,,,
@TheHanja
@TheHanja 3 жыл бұрын
가난한 불교국 가 ...사람이 사람답게 살 곳은 아닌듯 ...
@Chodenfood
@Chodenfood 5 ай бұрын
Who care about your rich country……we don’t cares,' working in the field doesn’t mean that it’s poor.your notion is poor….fix it 😅that why rich country like your having too much suicide rate .we are happy with what we have.😊question…….what you need in your life…rich or happy?
@user-we9xp7fd2b
@user-we9xp7fd2b 5 жыл бұрын
국방비만 줄여도 무상의료 무상교육도 가능하다
@joesimon2241
@joesimon2241 5 жыл бұрын
공짜 존나 좋아하네
@1q2w3e4r.-
@1q2w3e4r.-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user-ug8un6fy6r
@user-ug8un6fy6r 3 жыл бұрын
난또뭐라고? 케이팝이 변화냐 기도안차
@user-pi6sb4kh7r
@user-pi6sb4kh7r 5 жыл бұрын
각종 방송에서 만든 영상을 마치 자기가 만든 것처럼 출처도 없이 구독자를 낚시질 하는가!!!
@jcrewcontents
@jcrewcontents 4 жыл бұрын
제이크루콘텐츠는 공중파 다큐 및 교양 정보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SJluckyguy
@SJluckyguy 4 жыл бұрын
진짜 좀 이런 국뽕 컨텐츠 역겹다. ㅋㅋ
@SJluckyguy
@SJluckyguy 4 жыл бұрын
먼 또 한류야. ㅋㅋㅋㅋㅋㅋㅋ
@user-co5gf4lq4u
@user-co5gf4lq4u 3 жыл бұрын
그놈에 한류한류 벼슬도아니고
@kendalmat1168
@kendalmat1168 5 жыл бұрын
정신병자들이네. 세계인구 모두에게 조사해봐라. 부탄에 가서 살겠다는 사람 얼마나 되는지.
@user-fv3oq2ql4l
@user-fv3oq2ql4l 4 жыл бұрын
진재스님
@user-cg1jc3vp3u
@user-cg1jc3vp3u 4 жыл бұрын
문명이 발전된거에 익숙해진 상태로 저기가서 살라고하면 누가 살겠냐? 어쩌다 태어나면 받아들이고 살면 꽤 살만할거같긴하다. 북한같이 나라도 못사는데 국민 개돼지 취급하고 행복따위는 벌레취급하는 그런 나라는 아니니깐 , 왜냐 북한은 태어나도 탈북하고싶을거같거든 ㅠ
@kbsmd0
@kbsmd0 4 жыл бұрын
실은 다 개소린거 아시죠? 부탄 사람들이 실망할까봐 장단 맞춰주는거요. 님들 중 부탄에서 저렇게 사실 분 1명도 없잖아요. ㅋ
@user-ix3hd5xl4t
@user-ix3hd5xl4t 4 жыл бұрын
나는 6.25 참전국만 좋아해. 관심없는 똥나라 놀이기구가 없기에 우리 옛날에 우리도 했다
@user-sh8fk6xv2t
@user-sh8fk6xv2t 4 жыл бұрын
돈이 많다고 잘사는것이 아니다 돈을 기준으로 행복의 가치를 말하는 자체가 그릇된것이다 행복의 가치는 타인을 배려하는것에서 출발한다
[다큐멘터리] 변화하는 부탄, 그곳을 가다 -2편
23:35
제이크루콘텐츠
Рет қаралды 82 М.
3 wheeler new bike fitting
00:19
Ruhul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51 МЛН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Vivaan  Tanya once again pranked Papa 🤣😇🤣
00:10
seema lamba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도올 김용옥의 논어특강 1부
55:22
광주MBC
Рет қаралды 409 М.
부탄에서 온 새해 인사 (KBS_2023.01.01.방송)
2:54
KBS 세계는지금
Рет қаралды 8 М.
세상과의 단절, 이란의 계단식 흙집마을 '사르아카세이예드'
10:36
EBS 컬렉션 - 라이프스타일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역사기행 - 돈황으로 가는 길, 하서회랑 (2006.11.05 방송)
48:41
KBS여행 걸어서 세계속으로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Жайдарман | Туған күн 2024 | Алматы
2:22:55
Jaidarman OFFICIAL / JCI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ОГДА БАТЯ ЗАТЕЯЛ СТРОЙКУ😂#shorts
0:59
BATEK_OFFICIAL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Random passerby 😱🤣 #demariki
0:18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ПРЕДСКАЗАТЕЛЬ БУДУЮЩЕГО
1:00
КиноХост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Қателігім Олжаспен азаматтық некеге тұрғаным”
41:03
QosLike / ҚосЛайк / Косылайық
Рет қаралды 291 М.
Все мы немного НИКА!
0:17
Привет, Я Ника!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