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between Seoul University and Harvard University by her who experienced both

  Рет қаралды 310,376

Heechulism

Heechulism

Жыл бұрын

Thank you for watching!
She graduated summa cum laude from Seoul University, one of the most prestigious universities Korea.
and she completed the master's course and went on for a doctorate in Harvard University.
Check out her KZfaq!
/ sunnylab

Пікірлер: 1 000
@SunnyLab
@SunnyLab Жыл бұрын
대화가 굉장히 길었는데, 핵심만 콕콕 찝어서 잘 편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상에서 나눈 대화는 서울대와 하버드를 대표하는 의견이 아니라 제 개인적인 견해라는 점 다시 한 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긴 인터뷰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사 박영선으로 돌아오겠습니다!
@user-gr9oo1wb9p
@user-gr9oo1wb9p Жыл бұрын
와 찐이다!! 너무 멋있는 가치관 갖고 계시네요 응원하겠습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영선님 최고!!😀
@user-zq3ty7ly9r
@user-zq3ty7ly9r Жыл бұрын
와 인터뷰영상 끝까지 다 봤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영상을 보고 느끼는바가 많을거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
@doflwhskwhy8064
@doflwhskwhy8064 Жыл бұрын
영선님 가치관이 정말 너무 멋지십니다!!ㅎㅎ
@klawrence6599
@klawrence6599 Жыл бұрын
자 이제 브이로그 다시 시작해주세요 !
@user-bc3ig3gr8i
@user-bc3ig3gr8i Жыл бұрын
62세 40년 직장생활을 해본 사람이 듣는 청년들의 대화에서 감명을 깊이 받았네요
@user-yc6zx4oc9c
@user-yc6zx4oc9c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인재를 뽑는게 아니라 최고의 인재를 만드는것이 진짜 대학교구나..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그쵸. 좋은관점이었어요
@user-yn7dq6vr1o
@user-yn7dq6vr1o Жыл бұрын
근데 최고의 인재를 뽑고 그 학생들을 데리고 최고의 인재를 만드려는 생각은 못함ㅋㅋ
@Park-iz3sd
@Park-iz3sd Жыл бұрын
@@user-yn7dq6vr1o 정답
@aq5933
@aq5933 Жыл бұрын
지리는 관점이네요
@user-zk8ik9tv1f
@user-zk8ik9tv1f Жыл бұрын
@@user-yn7dq6vr1o 저의 부족한 소신으로는, 최고의 인재가 아닌 사람을 최고의 인재로 만드는 학교야말로, 최고의 학교가 아닐지... 개발도상국을 선진국으로 만든 국가지도자야말로 대단한 것처럼... (그렇다고, 특정 인물을 무조건적으로 추앙하는 것은 아니니까, 오해하시지 말기를...)
@user-vp2ns8zb1i
@user-vp2ns8zb1i Жыл бұрын
와우~지덕미인이시네요~지식, 덕, 미모, 인격까지~~이 넷을 다가진 분은 태어나서 몇 못봤는데^^ 끝까지 건강하게 지내시며 좋은 성과들 얻으시고 또 그 과정에서 얻은 더 큰 깨달음들을 널리 공유 전파해주세요~!! 응원합니다~~!!
@user-vj2jw7nm3o
@user-vj2jw7nm3o Жыл бұрын
희철씨에대해서 많은 생각합니다. 교육을 많이 받은 사람과 수준 높은 대화를 이어 간다는 것이 쉽지 않은데, 대화를 이끌고 상대가 말한 내용을 정리해서 어떤 가치가 있는지 정리를 해주셔서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인상 깊었던 것은 겸손 입니다. 유튜브를 하면서 많은 인맥과 경제적 여유를 가져서 자랑하실 수도 있고, 그들과만 어울릴 수도 있지만, 그리고 우리가 흔히들 말하는 "초심"을 잃었을 수도 있지만, 전부 잃지 않고 겸손한 자세로 인터뷰하셔서 본 받고 갑니다. 항상 영상 마지막에 자신의 견해를 영상으로 남겨 주셔서 많은 생각하며 영상 보곤 합니다. 앞으로 응원 하겠습니다.
@headnuclear
@headnuclear Жыл бұрын
대학생 때 대통령 장학금 받으시면서 다니고 고등학생 때 연구하려고 무려 러시아 가보셨다는 말씀에 충격받았어요 얼마나 특출나셨으면 그러셨을까요 게다가 얼굴에 웃음이 떠나지 않는게 공부를 즐겁게 하신 것 같아요ㅋㅋㅋ 인간적으로 부러워요 앞날이 기대되는 분이세요
@schmarkopskie8432
@schmarkopskie8432 Жыл бұрын
예쁘고 착하고 똑똑하고... 부채의식까지... 그래요 주어진 탤런트를 잘 다듬어서 나라와 세계의 장래에 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user-hv3ts3ju5j
@user-hv3ts3ju5j Жыл бұрын
우와..진짜 대화의 내용이 어느교육방송보다 귀에쏙쏙~들어옵니다...진짜 희철잉 사랑해ㅋ 진짜 쵝오다 여성분 눈이 똘망똘망 지식과 지혜가 넘치는듯 미모도^^~~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굿굿😀
@user-lq9zm1xt1x
@user-lq9zm1xt1x Жыл бұрын
" 처음 입학 시 교육의 차이가 나더라도 졸업때 수준이 비슷해 진다" 는 말이 매우 충격적이네요 우리나라 대학 그리고 교육적 정책이 본받아야 할 부분이네요 (부럽다.........치.......)
@pushup100time
@pushup100time Жыл бұрын
전국 대학 총장연합회 모임에 이영상 23200% 틀어줘야함
@user-wp5ur7lo1m
@user-wp5ur7lo1m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학에서 배우면서 공부해야할걸 고등학교때 단기간 미리배우는 느낌입니다. 공부하는 과와 별개로 모든 과목을 잘하는 성적순은 비상식적 이라 생각합니다.
@user-lx7ns2xo9f
@user-lx7ns2xo9f Жыл бұрын
왜 초중고때 국영수를 배우는지 노이해 차라리 초중고때 주식 부동산 민법 형법 이런걸 가르치면 훨씬 실전적이고 미래에 훨씬 도움될텐데 대학을 왜감 결국 돈벌기위함인데
@user-ys6rg2xt4w
@user-ys6rg2xt4w Жыл бұрын
@@user-lx7ns2xo9f 그래도 초중은 국수영사과 필수적으로 해야한다고 생각함 경제 민법 이런건 고딩때하고 공부는 미국처럼 약하게 하고.. 기본적인 국수영사과 모르면 ㄹㅇ국평구임 ㅋㅋㅋㅋ
@lucyy1323
@lucyy1323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말에 너무 공감해요. 제딸이 캐나다 예고 입학시 가장 그림실력이 뛰어났는데 다른 학생들 그림은 정말 형편없었다고 해요. 기초 뎃생이나 수채화의 기본도 안되어있는 수준..그래서 내가 이런애들과 공부하는게 좀 자존심 상하기도 했다고..하지만 졸업할때는 다들 최고의 실력으로 졸업했고, 오히려 그들의 작품이 더 창의력 측면에서 훌륭했대요. 제딸도 1등으로 입학은 했지만 졸업할땐 상위권이지만 1등은 아니었어요. 1등한 친구의 그림은 정말 제가 봐도 넘 독특하고 그 어린 나이에 자기만의 화풍을 이미 가졌더라구요. 결국 제아이는 창의력에 한계를 느껴 화가(순수미술)는 포기하고 지금은 디자이너로서 공부를 하네요.
@zyqlxs
@zyqlxs Жыл бұрын
영선님을 이렇게 훌륭하게 키워주신 영선님의 부모님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단순히 공부 잘하고 똑똑하기만한게 아니라 인성까지 훌륭하게 갖춘 영선님.. 건강하고 행복한 유학생활되시길 기도합니다.
@ChanChan-bj7ko
@ChanChan-bj7ko Жыл бұрын
너무 자랑스런 젊은 두 분.. 세상의 발전은 물론 세상의 발전 가운데서 소외되는 사람들을 도우는데도 크게 기여하는 사람이 되길..
@shawnkim8542
@shawnkim8542 Жыл бұрын
유투브에 예수 님 관렴 드라마 The Chosen 이 나온지 꽤 됐습니다. 하나님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면 한두편만이라도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모든 영광 참된 하나님께 돌리겠습니다. 아멘
@user-nw1vd5jc3m
@user-nw1vd5jc3m Жыл бұрын
두분 다 생각하시는게 올바르고 현명하다고 밖에 표현이 안되네요. 참 훈훈함과 따쓰함이 돋보이는 인터뷰입니다. 희망을 봐서 정말 좋았습니다.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Жыл бұрын
"기회는 처음부터 불균등하다" 정말 와닿는 말입니다. 아시안이 교육열이 높아 사회전체 기반을 장악하여 다양성이 없어진다면.. 큰 문제가 된다.. 저도 동의합니다.. 다양성, 기회의 균형, 존중, 협동심, 포용성 개인적으로 저도 이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user-qu7pz3xy9s
@user-qu7pz3xy9s Жыл бұрын
정말 대한민국의 훌륭한 지성의 청년이네요 우리나라를 위해 크게 쓰임받기 바랍니다
@kdh0518
@kdh0518 Жыл бұрын
그냥 하시는말이아니라 평소에도 자신의 진로와 행복에 대해서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하셨던게 말씀에서 느껴지네요 ! 너무 훌륭하신거같아요. 같은 한국인으로서 자랑스럽습니다 !! 앞으로도 좋은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되셨으면 좋겠어요. 응원할게요 !
@dreamkakao
@dreamkakao Жыл бұрын
하버드가 무조건 똑쟁이들만 가는 줄 알았는데 다양성을 보고 환경을 보는진 몰랐네요 ,,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저도 전혀 몰랐던 사실!
@Ghysv-32g-zoed
@Ghysv-32g-zoed Жыл бұрын
하버드 입학이 어려운 이유중에 하나가 다양성과 환경 때문이에요. 공부 잘하는 것은 흔하다고 보는거죠. 게다가 입학 성적 몇 점 차이는 별게 아니라고 학교에서 평가함. 공부는 기본. 이들이 생각하는 기준을 넘으면 성적 점수 가지고 붙고 떨어지고 하지 않아요. 따라서, 어떤 고등학교에서, 어떤 지역에서, 어떤 인종으로, 어떤 경제상황속에서 어떤 활동들을 했고, 어떻게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학생이며, 이걸 하버드에서 도와줄 경우 어느정도까지 발전 가능한지를 봅니다. 이걸 다 평가하는 것이 입학 사정관 그리고 인터뷰. 그래서 아시안이 어려워요. 일단, 아시안들은 공부가 최상위. 활동도 뛰어나거든요. 결국 이들끼리의 경쟁임. 매해 아시안은 입학생의 20%를 뽑고, 그 20%에 중국, 인도, 한국, 베트남등 서남아시아 들어가는데, 베트남등 서남 아시아는 소수인종 혜택이 있고, 중국, 인도, 한국은 없죠. 이들끼리 경쟁해서 들어가는 거에요. 그러니 아시안으로 하버드 입학을 하려면 하버드 상위 25% 성적이 되어야 한다는 소리가 있고요.
@samanthakang2656
@samanthakang2656 Жыл бұрын
생각이 훌륭한 박사과정 하시는 분이네요. 이런 분이 한국인인 게 자랑스럽고 앞으로 우리나라에 유능한 인재로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freedomkoreasmile
@freedomkoreasmile Жыл бұрын
정말 큰 인물이 될 것 같은 느낌이 크게 듭니다. 이런 특출나게 뛰어난 인재인 박 선생님은 꼭 한국으로 돌아와서 큰 일을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user-ce8br3nn2f
@user-ce8br3nn2f 10 ай бұрын
노노 한국에서 있으면 망해요 저런 사람들은 미국에 있는게 맞음. 한국와서 사업을 하든 뭘 도와주는 식으로 하면 태클오고 남 까고 망하게 하려고 할거임. 그게 한국 사람들임. 받기만 쳐 받지 고마워 하는 사람들도 없고 그저 해줘 마인드는 극혐임.
@youn233
@youn233 Жыл бұрын
얘기도 재미있고 학업적으로 뛰어나신분의 경험이나 생각을 듣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당. 화이팅!
@SHSH-rp9mb
@SHSH-rp9mb Жыл бұрын
좋은 학교이기 때문에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면 입학당시 학생의 수준이 어땠든간에 졸업할때는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졸업이 가능하게 된다는 부분에서 머리가 띵해지네요ㅋㅋㅋㅋ 생각해보니 그렇네 진짜
@user-fp6zu7yu1q
@user-fp6zu7yu1q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도 그래요 연고대 , 포스텍 카이스트 입학 전에는 포텐이 비슷해 보여도 졸업 후에는 포텐 차이가 많이 나긴해요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저도 저부분이 새로운 관점이라 느꼈어요
@user-bk1uv9dy7f
@user-bk1uv9dy7f Жыл бұрын
@Young Young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그 친구는 제곱센티미터가 얼마일까가 궁금한게 아니라 왜? 그렇게 되는지 매커니즘을 알고 싶은 거죠. 또한 산수가 아니라 자기 연구 분야에서 뛰어난 학생일 수 있고요.
@user-bk1uv9dy7f
@user-bk1uv9dy7f Жыл бұрын
@Young Young 그래요? 그래서 졸업 유예가 있겠죠.
@goldenroot-qg1lo
@goldenroot-qg1lo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청년이네요~ 진정한 가치를 알고 나이에 비해 인생에 대한 통찰력이 뛰어나군요. 부디 학업을 잘마치고 국가와 인류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가 되길 바랄께요. 그리고 이런 친구와 인터뷰를 진행시켜준 희철씨에게도 감사드립니다. 희철씨의 영상들을 보면서 솔직히 좀 가벼운 사람이 아닌가 생각했는데 두사람의 대화중에 희철씨의 삶에 대한 진지한 태도와 생각들이 묻어나와 좋았습니다. 희철씨도 세계각지를 다니면서 배운 지식과 쌓은 경험들은 앞으로 인생 행로에 있어서 훌륭한 자양분이 될 것입니다. 두 젊은 친구들에게 밝은 미래가 펼쳐질 것을 기대하면서...!!
@ianlian7
@ianlian7 Жыл бұрын
지식적으로만 똑똑한 게 아니라 스스로 많이 사색하고 고민하면서 공동체에 기여하고자 하는 건강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한 귀한 젊은이시네요 앞날을 축복하고 응원합니다
@devinmulder6485
@devinmulder6485 Жыл бұрын
사람 개인개인의 똑똑함은 어디든 엇비슷하다고 봅니다. 아프리카 사람, 북한 사람, 방글라데시 사람도 개인별로 보면 엄청 똑똑함. 왜냐하면 human 이라는 비슷한 유전자를 갖고 있기때문이죠. 중요한 것은 개인이 자유롭고 다양한 사고를 할 수있는 환경과 구성원들의 다양한 사고를 구조화시켜주는 협업시스템이 얼나마 잘 갖추어져 있는가가 그가 속한 그룹의 경쟁력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Unfortunately 하게도 한국 학생들의 치명적인 단점이 있죠. 교수님 말을 너무 잘 들어서 교수가 시키는 것만 잘한다. 정해진 길만 가려고 한다. 자기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 지 모르고, 궁금해 한 적도 없어서, 자기 생각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학문에 대한 순수한 열정보다는 하바드, 예일같은 간판 따기에 더 관심이 많다. 반면, 한국 학생들의 단점이 곧 미국 학생들의 장점입니다. 교수님 말 별로 신경안쓴다. 자기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잘 알고 있어서, 교수가 시키는 것 보다는 자기 생각데로 한다. 사물의 본질적인 물음에 충실한다. 세상의 새로운 것들은 왜 계속해서 미국에서 탄생하는지, 피타고라스 정리, 베르누이 법칙 등, 모든 수학적 과학적 법칙들의 이름에서는 왜 우리 조상들의 이름은 발견할 수 없는지, 다 이유가 있겠죠. 미국사람들이 한국학생들 수학 잘한다고 이야기하곤 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칭찬이 아닙니다. '수학 잘한다' 라는 말 앞에 '쓸데없이' 가 포함되어 있는 시니컬이죠. 그들이 보기에 수학은 한국에서 가르치는 포뮬라 암기식 문제풀이가 아니라, 사물의 현상에 대한 질문을 찾아가는 과정인데, 한국에서는 질문 하는 법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답을 찾는 것만 가르치죠. 수학이란 것이 질문을 찾는 과정일까요? 답을 찾은 과정일까요? 뉴턴은 사과가 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 아닙니다. 사과가 떨어지는 원리가 무엇일까 라는 질문을 찾아낸 것이죠. 써니님이 예로 말씀하신 기본적 수학적 수식도 모르는 하버드 대학교 3학년생은, 미국에서 하버드에 입학하는데 그런 계산은 알 필요가 없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오히려 거기에서 조차 질문을 찾아낸 것입니다. 누가 더 똑똑한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가 더 먼저 하느냐가 중요합니다. 하바드가 서울대보다 더 똑똑한 것이 아니라, 하바드가 서울대보다 더 먼저 가치있는 연구를 하는 것입니다. 서양이 개방적이고, 동양은 보수적인 것이 아니라, 서양이 먼저하고, 동양은 나중에 따라한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먼저 한다는 것은 남들이 해보지 않은 것을 한다는 것이고, 이것이 곧 다양성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제 서양 따라하기는 그만하고, 우리가 더 먼저, 더 자유롭게 사고하고, 우리의 환경을 더 많은 자유와 다양성이 허용되도록 해야 하며, 호박씨 까지 않고 솔직하게 의견 표명하는 문화가 정착되어야 합니다. 지금도 대치동에서 관심도 없는 온갖 쓸데없는 지식들로 머리를 채우고 있으면서, 1등 성적표에 자기가 똑똑하다고 믿고 있는 수험생들 생각에 안타까워서 적다보니 너무 길어졌네요.
@romancecruise
@romancecruise Жыл бұрын
구구절절 옳은말씀에 감탄하고갑니다
@OliVE337
@OliVE337 Жыл бұрын
작년까지 대치동에 박혀서 수능공부하다가 이번에 sky들어갔는데 제 공부와 진로, 학습마인드에 다시 되돌아보게되었네요 감사합니당
@user-fr6op8nw6m
@user-fr6op8nw6m Жыл бұрын
대단한 사람입니다. 좋은기운이 넘치고 생각과 행동이 얼굴에 묻어나네요. 훌륭한 박사님 되셔서 나라와 세계에 이바지 하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user-jt6xn7xl5d
@user-jt6xn7xl5d Жыл бұрын
제목보고 예상했던 답이 아니라 이런 이유가 있을줄몰랐어요. 희철리즘은 내용이 진짜 고퀄이에요. 여기서만 볼수있는 좋은내용입니다!!
@jiwonlee4072
@jiwonlee4072 Жыл бұрын
희철님이 소름끼친다고 하신 부분에서 저도 똑같이 소름끼쳤어요 .... 배움의 연속에서 내적으로 엄청 성숙하신분 같고 저도 그경지에 이르도록 계속 공부하고 세상을 알아가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영상감사해요 히철님!!!! 그리고 인스타 스토리 올리실때마다 항상 신난 마음으로 눈팅합니다 😆😆 ㅎㅎ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10월부터 스리랑카갈건데 그때부턴 더더 자주올릴게요!ㅎㅎ
@user-go6il2tm4b
@user-go6il2tm4b Жыл бұрын
@@HeechulismTV 오 갑자기 스리랑카를?
@shawnkim8542
@shawnkim8542 Жыл бұрын
@@HeechulismTV 유투브에 예수 님 관렴 드라마 The Chosen 이 나온지 꽤 됐습니다. 하나님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면 한두편만이라도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모든 영광 참된 하나님께 돌리겠습니다. 아멘
@sangwontae6653
@sangwontae6653 Жыл бұрын
@@shawnkim8542 어이 적당히해라
@shawnkim8542
@shawnkim8542 Жыл бұрын
@@sangwontae6653 저도 진짜 하나님을 사랑하고 또 두려워해서 이렇게 행동한겁니다. 성경 말씀대로 복음을 전파한거니 이해해주세요.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멘
@mjin1774
@mjin1774 Жыл бұрын
잠재력+다양성 vs 학업성취도
@Kaleo1386
@Kaleo1386 Жыл бұрын
서울대가 원하는 인재 : 이명박, 이재명, 윤석열 / 하버드가 원하는 인물 : 오바마
@movinggo3
@movinggo3 Жыл бұрын
박영선 연구원님 건강하게 연구원 생활 잘 마무리하시길~ 1편에 이어 2편도 정독합니다. 5년, 10년뒤 어떤 모습으로 세상을 살아가고 있으실지 기대됩니다. 응원합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user-sb6zq5tr8n
@user-sb6zq5tr8n Жыл бұрын
다양성 이야기를 반복적으로 하지만 HMS쪽에서 publication하는 논문 퀄리티 보면 장난 아닙니다.. 괜히 노벨상 수상자가 단과대 내에 2-3명씩 포진해 있는게 아닙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그것도맞는말같아요ㅎㅎ
@user-bq9vk6hm4u
@user-bq9vk6hm4u Жыл бұрын
정말 칭찬합니다.. 훌륭하신 학자되셔서 많은 사람들을 위해 헌신하시는 삶이 되시기를..^^♡
@AZ-yl5wl
@AZ-yl5wl Жыл бұрын
너무 밝은 에너지와 생각을 이해가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재밌게 봤습니다. 지식의 생산자의 시점의 이야기 ^^ 잘 들었습니다.
@ehgusek99
@ehgusek99 Жыл бұрын
선남선녀님들의 말씀 .. 단 한말씀이라도 놓치면 안되겠다는 마인드로 경청해 들었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하는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어요!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넘 좋은시간이었어요 저두~!ㅎㅎ
@gabrielC4493
@gabrielC4493 Жыл бұрын
전에 먼나라 이웃나라 그리신 이원복 화백이 독일에서 공부할때 친구가 변호사였는데 어머어마한 세금을 정부로부터 뜯기는걸보고 화 안나냐고 물으니 “이웃이 불행한데 나혼자 잘먹고 잘살면 뭐하냐?” 란 말이 생각나네요!! 요즘 같은 세상에 특히 노블리스 오블리제 없는 한국 상류층과 권력층이 곰곰히 되집어보고 지녀야할 지성인것 같네요!!!!
@allerbeste8443
@allerbeste8443 Жыл бұрын
독일 교육의 저력 입니다. 현재의 한국 교육을 보면 안타까울 뿐이고 솔직히 우리 사회의 미래가 암담합니다.
@creamchoco
@creamchoco Жыл бұрын
각종 수시에 사시 없애고 로스쿨, 의전원으로 머리 나쁜 자기 자식들 꾸역꾸역 입학시킨 좌빨들은 반성해야죠.
@user-wx8sq6re5k
@user-wx8sq6re5k Жыл бұрын
지금 고소득자는 독일보다 한국이 더 세금많이내고 있어요
@user-wx8sq6re5k
@user-wx8sq6re5k Жыл бұрын
독일의 경우에는 사업자산은 상속세율이 0%이구요, 괜히 삼성일가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상속세를 낸게 아니지요
@user-rj7jg4dr1w
@user-rj7jg4dr1w Жыл бұрын
​@@allerbeste8443 그러는 님은 세금 얼마냅니까? 우리나라 국민의 50%가 근로소득세 안내고 고소득자에 대한 세금은 의료보험료까지 합하면 독일보다 높아요..뭘 좀 알고 얘기하길..
@klawrence6599
@klawrence6599 Жыл бұрын
말에서 인품이 느껴지네요 . . 멋있다그냥
@ijein
@ijein Жыл бұрын
박영선님 훌룡하십니다. 한국인 이라는게 정말 뿌듯하고 행복합니다. 응원할께요.^^
@embargo7069
@embargo7069 Жыл бұрын
여태 유튜브채널 보면서 하버드와 서울대의 차이부터 시작해서 다양성.역차별. 한국대학 교육의 현주소 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까지 포괄적으로 고민하고 생각할 수 있게 느끼게 해주는 영상이였다. 너무 유익함 질의응답의 티키타카 수준이 식자층냄새가 폴폴 👍👍👍
@user-nx4ug2ms6g
@user-nx4ug2ms6g Жыл бұрын
참 ~! 존경받을 가치관을 가지고 계시네요! 앞으로도 잘 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linachoi2237
@linachoi2237 Жыл бұрын
두분의 진솔하고 명석한 대화에 감명을 받았습니다. 두분의 대화속에서 우리나라 나아가 우리사회가 더욱 건실하고 바르게 발전할 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EricYang1000
@EricYang1000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인터뷰네요. 사회에 영향을 주는 사람들이네요 ~~ 앞으로 더욱 발전하길 기원합니다.
@user-mb6fx2yf7p
@user-mb6fx2yf7p Жыл бұрын
나이든 사람으로 박선영씨로 부터 많은 걸 느끼고 배웁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미래가 갑자기 더 밝아지는 것 같아 기쁩니다.
@user-kc3gc9rs4w
@user-kc3gc9rs4w Жыл бұрын
희철리즘님 컨텐츠 중에 젤 좋았어요👍👍많이 배워갑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tarek7451
@tarek7451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인터뷰…ㅜㅜ 부모빨로 어설프게 잘난 사람들 중에 오로지 탐욕으로 가득찬 인간들을 너무 많이 봐서 환멸을 느끼던 찰나 영선님 마인드를 듣고 이게 바로 초일류구나 하는 생각이 들며 힐링이 됐습니다ㅜㅜ 세상에 이런 분들만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user-gy2is7td8z
@user-gy2is7td8z Жыл бұрын
ㅈㄹ
@svv7503
@svv7503 Жыл бұрын
그냥 칭찬만 하고 남 까내리지마세요 제발 .. 제3자가 봤을때는 그쪽보고도 환멸 느낄수있어요
@user-th4ry8zv1m
@user-th4ry8zv1m Жыл бұрын
부모빨로 어설프게 잘난 인간들 중에 오로지 탐욕으로 가득찬 인간을 봐서 환멸... 뭘 어느정도의 부모빨을 얼마나 본건지 모르겠는데 인식에 부자는 무조건 악하고 약자는 선하다는 기본 베이스가 깔려있는게 너무 티나네요. 오히려 사람들이 탐욕이라고 부르는, 본인이 원하는것을 가지려는 지독한 집착과 욕망이 그 '부모와 부모빨 가진 애들'이 가진 스탠스이고, 그것이 아닌 사람들과의 결정적인 차이입니다. 뭐 일제강점기때 나라팔아먹은게 아닌이상에야. 부모는 돈과 지위가 하늘에서 떨어졌고 가지고 애들은 누워있다가 꽁으로 좋은 학교가는줄 아시는지ㅋㅋ 오히려 어중간한 부모빨'만' 가지고 무엇을 하는 것은 그 한계가 명확해요. 부모빨만 믿고 처놀다가는 막말로 '노력하는 없는 애들'한테 먹히는거 한순간입니다.
@user-we1go1wk4g
@user-we1go1wk4g Жыл бұрын
영선씨 말중에 젤 공감하는 말은 교육의 환경이 모든것을 지배한다는 말이 와닿네요 학부과정은 좋은 편이지만 연구과정은 우리나라가 많이 부족한것은 사실입니다
@shawnkim8542
@shawnkim8542 Жыл бұрын
유투브에 예수 님 관렴 드라마 The Chosen 이 나온지 꽤 됐습니다. 하나님에 대해서 더 알고 싶으시면 한두편만이라도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모든 영광 참된 하나님께 돌리겠습니다. 아멘
@hs7652
@hs7652 Жыл бұрын
긍정 에너지 너무 좋습니다. 이분 삶의 철학에서도 많은걸 느끼고 갑니다. 유투브 보면서 항상 시간 낭비했구나 느끼는데 이런 컨텐츠 만들어 주셔서 감사해요 :)
@user-px3jx6nc7o
@user-px3jx6nc7o Жыл бұрын
머리가 띵 하는 느낌의 여운이 떠나지를 않네요. 대단한 영감 얻고 갑니다. 하버드 원생 분의 말씀이 깊이가 정말 다르다는 게 느껴지고 저 또한 대의를 향해 나아가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ordinarygroovyvibes
@ordinarygroovyvibes Жыл бұрын
다양성의 존중과 기회라는 단어가 더 큰 울림을 주네요. 너무 대단하세요 🙏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저도 처음으로 깊게생각해보는 관점이었어요!
@taewonahn6880
@taewonahn6880 Жыл бұрын
그동안 본 희철리즘 중 최고의 인터뷰.. 보고 느낀게 많네요 감사합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좋게보셨다니 저도 기분좋네요~!!
@pisceskr
@pisceskr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알고 익혀 배워 행하지 않으면 모르는것만 못하다.는 말도 있듯이 꼭 말씀하신대로 행하시길 기원합니다.
@stc9866
@stc9866 Жыл бұрын
말씀하신대로 본인의 노력과 능력만으로 성취한 건 없죠. 다 부모님과 선생님과 주변에 도움을 주는 환경이 필요한 때에 손을 내밀어줬기 때문에 가능한것이지. 말씀에 깊이가 있으시네요.
@sunguklee956
@sunguklee956 Жыл бұрын
회사 근무 중 점심 먹고 컨텐츠가 링크 되길래... 그냥 무심결에 봤는데... 너무 재미 있게 봤습니다... 배울점이 너무 많았습니다..!! 구독 좋아요 !!
@keepingroutine
@keepingroutine Жыл бұрын
정말 인상깊은 인터뷰네요 어떤 가치를 추구하면서 살 지에 대해 명확한 기준점을 설명해주시는 게 감동스럽네요
@diddle119
@diddle119 Жыл бұрын
저렇게 높은 수준의 여성분과 대화를 이끌어가시다니 희철님 대단하시네요!
@user-kv6uw9xx3z
@user-kv6uw9xx3z Жыл бұрын
참으로 훌륭하고 대단하고 자랑스런 한국인입니다.
@user-oz9lb5py4p
@user-oz9lb5py4p Жыл бұрын
두분 서로 바라보는 눈빛이 하트가 뿅뿅인데여...❤😂
@jink5065
@jink5065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인터뷰입니다. 그래도 서울대 힘내라고 하고 싶네요. 하버드는 기부금 몰려드는데, 서울대는 1억 기부하고 흉상 세워 달라고 하고... 대학적립금 하버드의 1%로 그래도 세계랭킹 30위 하니...하지만 연구 영향력은 147위. 연구 재원이 없으니 서울대를 떠나는 교수님들 많습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맞아요
@jeongcheonki
@jeongcheonki Жыл бұрын
젊은 친구들의 대화가 참 밝네요 우리에 미래가 보이는듯해 기쁩니다
@april9997
@april9997 Жыл бұрын
우선 귀중한 시간 내주신 두분 감사해요! 한국에서 중고등교육을 마치고 아이비리그에서 학부를 나왔던 학생으로써 한가지 덧붙이고싶어서요. 학생수준차이를 설명하시면서 터무니없게 쉬운 질문을 했던 학생의 예시를 드셨는데, 미국과 한국의 교육문화차이를 짚고 넘어가는것도 중요한것 같아서요. 기본적으로 질문에 대한 문화가 미국과 한국은 확연히 다릅니다. 본인이 생각하기에 아무리 쉬운 질문들이여도 질문을 하기 두렵지않은 문화가 미국이고, 제가 느끼기에 한국은 학생들이 질문을 하기 비교적 어려운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너무나도 쉬운 질문들은 수업 흐름을 깨는 등 악영향을 끼칠수 있겠지만, 그런 질문들이 또 다른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수도 있는것이고, 겉보기에 쉬워보이는 질문들이 그 분야를 더 발전시키는 질문이 될수도있는것입니다. 많은분들이 보고 영감을 받은 영상인만큼,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고자 댓글달아요. 소중한 경험과 견해 공유해주셔서 감사해요! 응원합니다!
@MK-py5ow
@MK-py5ow Жыл бұрын
백프로 공감합니다. 쉬운질문 이라는 것을사실전제하는것이 어불성설일것입니다. 그질문을한학생의출신국에서는 길이, 넓이의 단위가 전혀다를수있고, 그때문에 그 쉽다고 생각하는 그 표기하나에대한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개념과 통용에대한약속을 곱씹으면서 새로운 응용과 파생을하는것이, 그리고 그러한 너무쉬운질문하나로 학생끼리, 교수와 학생간에 몇시간을 토론하는 문화가 '미국의힘'이지않을까생각합니다...^^
@dkdkksk
@dkdkksk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 거 같네요 질문 하는 것이 두려운 환경이냐 아니냐의 차이... 한국은 정답이 있는 교육을 하고 있다 보니 그 정답에서 벗어나는 질문을 하면 바보가 되어버리니까요...가끔은 그런 멍청하고 기초적인 질문도 필요한데 말이죠..
@user-on2en5nj3q
@user-on2en5nj3q Жыл бұрын
글쎄.. 백센치 × 백센치 = 만센치^2 를 몰라서 질문한거 가지고 무슨 근본을 탐구하고 그런 생각이었다는건 지나친 포장이지.. 이건 한국에선 초중딩들도 "이해"하는 내용임. 이걸 암기하라고 시키는 수학선생은 없음. 외우는거보다 이해하는게 훨씬 쉬우니까.. 저 사례 속 학생은 진짜 수준 낮은 학생이었을뿐인데 제3자들이 알아서 확대해석하고 찬양해주네 ㅋㅋㅋ
@moiya75
@moiya75 Жыл бұрын
생각을 한정하는것.. 무한확장 하는것에 엄청난 차이.. 한국학생들 질문이 없죠. 이상한 질문하면 이런식으로 찍히니까.. 미국은 아무리 시덥잖아도 존중해서 끝까지 답변해줍니다.
@lpsand8522
@lpsand8522 Жыл бұрын
그 예시말고도 본인이 더 많이 느꼇으니 저런말하겟지
@user-pw8ns6mm1z
@user-pw8ns6mm1z Жыл бұрын
희철님 인터뷰 최고입니다~ 영선씨도 인간적이고 지성 지ㆍ덕ㆍ체 최고예요 두 분 넘 멋있어요~~ 미래가 보이네요
@got-teacher
@got-teacher Жыл бұрын
한국 과학 영재고는 우리나라에 있는 고등학교 중에서 정말 특이하고 독특한 학교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주 짧은 기간 가르칠 수 있는 기회였지만, 학생들에게 감명받을 수 있는 귀한 경험이었습니다^^
@user-fj5ij4mf1i
@user-fj5ij4mf1i Жыл бұрын
영재고 중에서 영재를 가장 잘 가려서 뽑는학교예요. 영재성과 인성을 높이사는편입니다
@alu3019
@alu3019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진 여성!! 꼭 세상에 도움이 되는 분이 될겁니다
@kimsoo1091
@kimsoo1091 Жыл бұрын
80년대 대학을 다녔던 사람으로 개인주의적 비중이 커진 현재의 대한민국 명문대 생들의 사회적 역할 인식들이 점점 희석되는것 같아 아쉬웠는데 세상을 크고 깊게 보는 이런 학생이 있다는것에 흐뭇합니다.부디 지금의 마음 끝까지 지켜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쓰여지길 바랍니다. 응원 합니다!!
@kimsoo1091
@kimsoo1091 Жыл бұрын
@@allisnumber 희생이요? 너무 나가신것 아닌가요? 저 학생 처럼 후에 경제 사회적 지도층이 되었을때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좀 더 커지고 약자들에 대한 약간의 배려를 말하고자 한것 뿐입니다. 사회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면 지도층이 된 학생들의 사회적 기여는 필요한것 아닐까요?.
@kimsoo1091
@kimsoo1091 Жыл бұрын
@@allisnumber 맞습니다 사회 지도층의 사회 기여는 의무가 아닙니다. 하지 않는다고 누가 욕하지도 않습니다. 욕해서도 안 될 일이죠.그냥 각자의 사는 방법일 뿐인데 말이죠. 님은 그냥 님의 생각대로 살아왔듯 사시면 됩니다. 하지만 님이 말씀하신 정치인이나 연예인 사회적 기여자들이 모두 개인의 이해관계로 행동한다고 매도하진 말아 주셨으면 합니다. 그누가 강요하진 않았지만 기여의 마음이 진심인 사람들이 있거든요.님의생각이 틀린 게 아니라 다름이라고 생각합니다. 임도 틀렸다고 생각지 마시고 다름이라 생각해주시기 바랍니다. 더 이상의 대화로 공감대가 이루어질 것 같지않군요.
@user-ct2hx3en3l
@user-ct2hx3en3l Жыл бұрын
와.....너무 감명깊게 봤어요....나만잘먹고잘살면 뭐하냐...라는말이. 배울게 많은 분이네요. 좋은얘기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ihoonbang3830
@jihoonbang3830 Жыл бұрын
저는 한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에 나온지 이제 2주 되었습니다. 공감되는 부분이 많네요. 말씀 한마디 한마디에서 엄청난 열정과 에너지가 느껴져요! 큰 자극 받고 갑니다!!
@saoconrado
@saoconrado Жыл бұрын
물론 하버드를 비롯한 아이비리그학교에 엘리트리즘이 있어 집안 배경, 시험 성적, 교외활동등 다양한것을 고려하지만 최고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기위해 학생들의 다양성과 열정, 가능성을 중시하여 선발하고 그들을 최고의 개개인으로 만들어준다는거에대해 의미있는것 같습니다 사실 초등학생들이 할법한 질문들은 거리낌없이 질문하는거부터 학문적 궁금증을 풀기위해 남의 시선은 신경안쓰는느낌이라 남 눈치 많이보는 한국과는 대비되는 느낌이네요 물론 종합대학인 하버드 컬럼비아 스탠포드 예일등 말고 MIT, Caltech 같은곳은 전세계 천재들을 우선적으로 선발하긴 합니다
@hani.pictures
@hani.pictures Жыл бұрын
진짜 올바른 생각을 가지고 계신 지식인분이라 너무 멋지네요!
@LeeFamTV
@LeeFamTV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사람을 뽑는 가장 큰 이유는 학생들이 다양한 사람들 만나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하기 때문이죠. 그래야 사회에 나갔을때 더 잘 적응하고 더 높은 성과를 낼수 있는 기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니까요
@user-rg5zv3ts5f
@user-rg5zv3ts5f Жыл бұрын
훌륭하고 인격적으로 성숙한 하바드 박사님! 존경합니다!!
@user-gu9sy7cm3j
@user-gu9sy7cm3j Жыл бұрын
이분을 보니깐 진짜 세금이 하나도 안 아깝고 잘 쓰였다고 봅니다. 이분이 자랑스럽네요.
@user-eh4xn8xw8u
@user-eh4xn8xw8u Жыл бұрын
젊은 친구들 진솔하고 가치관이 뚜렷한 담소를 잘 봤습니다~ 그리고 하버드대 다양성 교육에 감탄합니다~
@user-lh1jb2xm3z
@user-lh1jb2xm3z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하버드 하버드 거리는 경우가 많은데 미국 교육의 힘을 더 깊히 이해하면 스탠포드도 보일것이고 또 최고의 주립대들도 보일것이고 나중엔 lac 계열 학교들도 알게됩니다. 서울대 하버드 단순 비교보다 많은 차원이 있죠. Liberal arts school은 하버드 버클리 같은 거대 연구 학교와는 다른 학부 교육 중심 세미나 수업이고 교양과목도 많이 듣는 리더들 배출하고 사회인우로 성장시킵니다. 이재용 딸이 lac계열간 이유.. 학교는 정말 다양해서 단순 서울대 하버드 비교는 정말 큰 폭으로 해야함
@Rosie0406
@Rosie0406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인품이 말 한마디 한마디에서 느껴져요 멋있어요👍☺️
@rygssim
@rygssim Жыл бұрын
아.. 하버드가 왜 전세계 최고의 대학인지 오늘 비로소 알았네요.. 성적이 열등해도 졸업할 때 수준이 비슷해 진다라.. 진짜 소름 돋네요. 성적대로 뽑았다간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죠. 시험 성적을 순서 매기는 건 아프리카의 이름 모를 대학에서도 할 수 있는 거죠. 학생의 가능성을 보는 안목은 아무 대학이나 할 수 있는 게 아니죠. 희철님 영상 퀄리티 진짜 쩌네요. 써니랩님도 정말 똑똑하면서 올바른 생각을 가지고 계시네요. 나만 잘 먹고 잘 살아 봐야 주위에 고통스러운 모습이 보인다면 행복할 수가 없겠죠. 그런 고통이 눈에 보이지 않는 인격을 가지게 된다면 또 모든 것이 헛일일 테구요. 그런 인생은 열심히 살아 봐야 아무 의미가 없는 거겠죠.
@tylerhong4759
@tylerhong4759 Жыл бұрын
뛰어난 사람의 생각은 관점부터가 다르다는걸 느꼈네요. 제 사고의 틀이 깨지는 인터뷰 감사합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저도 비슷하게 느꼈습니다ㅎㅎ
@funky0423
@funky0423 Жыл бұрын
저도 비슷한 생각을 합니다. 학위를 하다보면 국가에서 지원하는 돈이 알게 모르게 상당히 많습니다.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신 국민들의 세금을 알뜰하고 적절하게 쓰겠습니다. 계속적으로 다시 환원하도록 하겠습니다.
@user-gz3nt8zc5e
@user-gz3nt8zc5e Жыл бұрын
인터뷰 해주신 것도 응해주신 것도 너무 감사하다는 생각이 드는 영상이네요 많은 것을 얻어갑니다
@Dancing_gogo
@Dancing_gogo Жыл бұрын
희철님 덕분에 저도 견문을 넓혀가네요😊 유익한 인터뷰 영상이었습니다 감사해요❤️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기분좋네요😀
@Sisun_arumdaum
@Sisun_arumdaum Жыл бұрын
학부생 기준보면 서울대애들이 훨씬 공부빡세세해서 온 애들이라 공부질하고.. 그런데 대학원 연구 성과 기준으로보면 하버드가 훨씬 위입니다. 그이유가 영상 내용 처럼 서울대는 단순 대학 입시 수험을 위해서 달달 외워서 온 서울대 온 애들이 대학원 연구 성과에서는 힘을 못내죠... 또한 연구지원 정도도 미국이랑 그외 일본 영국 독일 유학파랑 국내 한국이랑 비교도 안될정도고요..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user-dy8yp2kx6u
@user-dy8yp2kx6u Жыл бұрын
하버드의 학생을 뽑는 기준이 마음에 듭니다... 두 분 사회에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삶 사시길 기원합니다...^^
@스벅
@스벅 Жыл бұрын
한국인의 위상을 높혀주셔서 감사합니다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서울대 아이들 똑똑합니다. 그런데 그후 월가, 실리콘밸리, 노벨상, 바이오텍등등 전쟁터에선 전혀 힘들 못써요. 이유가 뭘까요? 미국의 명문대 또는 우수대학 출신들이 꽉 잡고 있지요. 똑똑하다는 것이 뭘까요?? 안다는 것이 뭘까요?? 암기지식일까요?? 무의식에서 나오는 실행가능한 행동들 일까요?? 교육의 방향이 다르다는 것이지요..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좋은말씀이네요
@justway2012
@justway2012 Жыл бұрын
한국을 앞으로 이끌어갈 지금세대 젊은 친구들이 저런 생각을 갖고 있는것만으로 뿌듯합니다. 미래가 밝을것 같네요. 저도 제가 할만큼의 역할을 해왔다고 생각하는데, 다음세대를 넘길수 있어서 뿌듯합니다.
@telljskim
@telljskim Жыл бұрын
입학시에는 서울대 학생들의 학습 관련 지식이 출중할 지는 몰라도, 3년 뒤 , 4년 뒤 졸업과 동시에 역전되는 현실 ㅎㅎ 대한민국 교육의 문제점이 바로 이게 아닌가 싶네요. 미국 아이비 리그 대학원에서 공부하는 서울대 출신과 이야기 해보면 우리나라 대입 교육에 문제가 많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telljskim
@telljskim Жыл бұрын
@@drtysexyculture 대학원 생들은 교수 시다바리 ㅎㅎ 그렇다고 대학교수들은 뭐 다르나요?? ㅋㅋㅋ 아직도 교수 사회 술 문화가 심각해서 한국에서 교수하기를 포기하는 박사들도 있더군요. 대한민국 대학은 심각한 수준인 듯....
@telljskim
@telljskim Жыл бұрын
@@qwertyu6744 님같이 단순하게 인생 사는 것도 능력입니다 ^^ 화이팅 ~~~
@user-qt8lu6qv9w
@user-qt8lu6qv9w Жыл бұрын
@@telljskim 와 꼽주는거봐 ㅋㅋㅋ
@operationsavekorea627
@operationsavekorea627 Жыл бұрын
@@qwertyu6744 삼성이 아이폰을 따라 잡았어요? 그렇게 까지는 아닌 것 같은데... 뭐 좋습니다만...휴대폰 자동차 첨단 병원 등등 돈과 인력을 집어 넣으면 결과가 나오는 그런 분야는 한국이 이제 제법 수준급에 올라가 있는 것 같습니다만.. 시선을 약간만 돌려 보시죠.. 멕도날드 스타박스, 코스트코,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 소프트 등등 단순한 커피나 햄버거, 도소매 유통업... 또는 컴과 아이디어만 있으면 할 수 있는그런 분야.. 미국이 휩쓸고 있죠? 단순기술 하나만으로 삼성을 능가하는 돈을 버는 기업들이 엄청 많은 나라... 한국은 아직 한참 멀었습니다. ㅎㅎㅎ
@user-hz3lq1fh5o
@user-hz3lq1fh5o Жыл бұрын
@@qwertyu6744 애플 시가총액이 삼성 시가총액의 10배입니다 국뽕 그만두시죠 그 국뽕이 현실에 대한 눈과 귀를 가리는 장애물입니다
@user-tu3rk8wu8n
@user-tu3rk8wu8n Жыл бұрын
이런 영상 내용을 끝까지 보고 감동 받고...댓글까지 달 줄은 몰랐네요. 그녀의 철학도 지금까지 이룬 성과들도 정말 멋지네요. 앞으로도 응원합니다
@user-we1lh3wc1m
@user-we1lh3wc1m Жыл бұрын
희철님 이번 영상 너무 좋아요👍 유익하고 많은 생각과 관점을 가지게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ir4eh8ee3z
@user-ir4eh8ee3z Жыл бұрын
난 저런분들보면 하루에 밥 세끼 나랑 똑같이 먹는데 저렇게 다를까싶다…그냥 존경스럽다ㅋㅋㅋㅋ
@Dreamer-rv2jb
@Dreamer-rv2jb Жыл бұрын
'똑똑하다'의 기준이 뭔지에 따라 다르죠. 기능적으로는 보통 한국 학생들이 뛰어나요. 꼭 서울대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전반적으로 한국 사람들이 기능적으로 뛰어납니다. 하지만 전체를 보는 능력, 장기적인 안목, 인문학과 자연과학을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논리력, 질문을 통해 배우는 능력, 문맥 이해능력으로 가면 많이 떨어집니다. (기본적으로 수학/과학-철학-신학 이 어떤 원리에서 이어지는 지조차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분위기죠.) 한마디로 기능적으로 똑똑하지만 편협/편향된 사고력으로 능력에 한계를 보이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user-ex4jw9fn7y
@user-ex4jw9fn7y Жыл бұрын
병신임? 그냥 전반적인 지적 능력 자체가 미국 < 한국임, 그냥 러프하게 추정해서 평균 지능 1위가 한국이라고 해도 무방함. 미국 살아보지도 않고, 뭔 지능 운운하노 ㅋㅋㅋ 개웃기노. 미국이 지금 저렇게 잘 사는 이유는 일부 특수한 유태인들과 믿을 수 없을 만큼 돌아버린 자원의 힘이 적절히 결부되었기 때문 이상 이하도 아님
@centum1241
@centum1241 Жыл бұрын
👍
@7mmalltheway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국내 3대 로펌에서 파트너인 친구에 의하면 설대 로스쿨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부하 변호사들 중 논리력과 작문이 딸려서 사건을 맞기지 못하고 영업에 투입 시키는 인원들이 무척 많다고 합니다 . 주어 동사 서술어가 일치하지 않는 난해한 글에 참담함을 느낀다 하네요.
@hannah-s
@hannah-s Жыл бұрын
공감해요. 차원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Jay5100
@Jay5100 Жыл бұрын
백만배 공감합니다
@user-we9zd7bv6q
@user-we9zd7bv6q Жыл бұрын
선영님의 사려깊은 사고에 감동입니다. 자랑스럽기도하구요. 앞으로 더욱 정진하시길 기원드립니다.~
@gamunstory
@gamunstory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정말 귀한 것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vd6jq8tx6m
@user-vd6jq8tx6m Жыл бұрын
영상을 보다보니 게스트분이 말한것에 동의하게 되네요 저는 하버드의 그런측면이 아무래도 학생의 potentiol을 터트릴수있게 해주는 요소라고 생각해요 아무래도 현재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된지 얼마 안됐고 불과 100년전까지만해도 일제강점기 시대에다가 해방후 급속도로 발전한 나라다보니 아직까지는 학생들의 창의적인 측면을 지향하기 어려운것 같아요. 그래도 요즘은 학생의 창의성을 바라보는 학교들도 조금씩 생겨가고 남자학생들 같은경우에는 예전에는 무조건 안정적인 직업만 원했다면 요즘에는 경제•경영 학과가 핫하고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친구들도 많아져가서 아무래도 창의적인 부분들이 조금씩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제가 문화 사대주의라 미국을 따라가야 한다는건 아니지만 이제 시험문제만 잘 푸는 나라가 아니라 미국처럼 다양성과 창의성을 중요시하는 나라가 된다면 더 발전할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bw-ee2of
@bw-ee2of Жыл бұрын
옛날 사례긴 한데 한국계 하버드생이 서울대에 교환학생와서 공부량이 너무적은거보고 놀라서 책까지 냈었죠. 서울대생들은 놀거 다놀더라.. 하면서ㅋㅋ 현재는 얼마나 바뀌었을까 의문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헉. .그런일이있었어요?
@user-ds8sy5kc1v
@user-ds8sy5kc1v Жыл бұрын
지랄 좀..
@zhffkdi
@zhffkdi Жыл бұрын
오예 2편 너무너무 기다렸습니다ㅠㅜㅜ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TVLagom
@TVLagom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인상깊은 주옥같은 말들이 많네요! 제자신이 부끄럽네요.. 박영선님의 가치관과 철학은 마음속 깊히 새겨넣겠습니다!
@clarakim9458
@clarakim9458 Жыл бұрын
똑똑하고 생각도 깊고 올바른 영선님의 훌륭한 인터뷰 잘 들었습니다. 긍정적인 부채의식으로 우리 사회에 좋은 영향을 주시리라 봅니다. 희철님도 감사합니다!
@HeechulismTV
@HeechulismTV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2 ай бұрын
​@@HeechulismTV저여성분 꼬셔 보세요
@Jayquan22
@Jayquan22 Жыл бұрын
와우 좋은 교육기관의 역할에 대한 의견이 참 인상깊네요! .. 대의까지 생각하시는 마인드가 참 멋지십니다. 한 두명쯤은 차이가 많이 느껴지지 않겠지만 정말 사회 구성원 다수가 나만 잘 먹고 잘 살면 되지 한다면 극단적으로는 극심한 양극화 현상으로 높은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결국 내 삶의 질도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xz6lj3ft3v
@user-xz6lj3ft3v Жыл бұрын
요즘 희철리즘 영상에 빠진 나^^새로운 세상에서 좋은 가치 배울 점을 찾는 소중한 영상들과 시간들입니다. 제가 제 돈과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요^^아이 넷 다둥이 맘으로써 넘 좋은 간접경험과 교육의 기회를 주시네요~저희 아이들도 희철씨랑 영선씨 같은 좋은 가치관을 물려 받았으면 좋겠어요♡♡♡
@eunselee5710
@eunselee5710 Жыл бұрын
좋은 방송 감사하고, 영 박사님 건강하고 건승하세요.
@user-qo4oi8cd6w
@user-qo4oi8cd6w Жыл бұрын
역시 생각의 깊이와 높이가 보통사람들과 다름이 느껴지네요, 큰사람이 될 인재들입니다 기대됩니다, 하버드 역시 봉사정신과 투철한 사명감과 세계관을 가지고계신분을 뽑는다던데 역시 다르네요 멋지십니다,
@NA-cs7gx
@NA-cs7gx Жыл бұрын
8:10 진짜 치열하게 공부 하셨을텐데... 저런 생각과 이해가 가능하시다니........멋지시다
@user-eu9uy6dg6g
@user-eu9uy6dg6g Жыл бұрын
모든 사람이 이 분처럼 생각한다면 세상이 더 나아지겠네요
@user-pl1gp1qj4t
@user-pl1gp1qj4t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지식인이네요. 마지막에 감동받았습니다ㅜㅠ
With a Harvard student from Seoul
18:52
희철리즘Heechulism
Рет қаралды 547 М.
A Korean lawyer in New York City
18:38
희철리즘Heechulism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6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ИРИНА КАЙРАТОВНА - АЙДАХАР (БЕКА) [MV]
02:51
ГОСТ ENTERTAINMENT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We Got Expelled From Scholl After This...
00:10
Jojo Sim
Рет қаралды 68 МЛН
How to react when ignored in France
18:34
wineking 와인킹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미국미용실에서 미용사가 쓸 만한 영어문장표현 (헤어컷 위주)
31:55
A vivid review by acrhitecture professor of Harvard and MIT campuses!
15:10
A Korean nurse in New york
19:42
희철리즘Heechulism
Рет қаралды 876 М.
🤷🏻‍♂️She Took His Skittles And Discolored Him😲🥴
0:33
BorisKate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когда повзрослела // EVA mash
0:40
EVA mash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