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 파스타도 포기" 여유부리던 유럽이 맞이한 최후 (유럽 특파원 손진석 기자 3부)

  Рет қаралды 276,002

머니인사이드

머니인사이드

Күн бұрын

📌추천 영상 보러 가기 - • 끝없이 추락하는 위기의 독일, 더 이상 ...
끝없이 추락하는 위기의 독일, 더 이상 호화로운 유럽은 없다 (유럽 특파원 손진석 기자 2부)
📗손진석 기자님 저서 ‘부자 미국 가난한 유럽’ 구매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
오늘은 손진석 기자님을 모시고
유럽인들의 실제 삶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영상이 유익했다면 구독!! 영상이 재밌으셨다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영국 #프랑스 #미국
00:00 영상요약
00:33 “직접 보니 더 심각하다” 유럽의 실제 분위기
02:48 유럽 사람들이 돈이 없어서 와인도 끊었다?
07:27 가난한 유럽의 절규 “제발 투잡 뛰고 싶어요..”
10:01 과연 유럽 경제가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14:16 유럽이 무너지면 전 세계에 벌어지는 일

Пікірлер: 726
@moneyinside7
@moneyinside7 16 күн бұрын
📌추천 영상 보러 가기 - kzfaq.info/get/bejne/kN-IZNCavbXKqoU.html 끝없이 추락하는 위기의 독일, 더 이상 호화로운 유럽은 없다 (유럽 특파원 손진석 기자 2부) 📗손진석 기자님 저서 ‘부자 미국 가난한 유럽’ 구매 링크 www.yes24.com/Product/Goods/124219684
@user-jc3gw4hj7d
@user-jc3gw4hj7d 13 күн бұрын
목소리눈 부드럽고 좋은데요 ~, 명확하게 천천히 분명하게 말씀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 신경을 세우고 최고 집중하지 않으면 , 우물우물 무슨 말인지 정확하게 들리지가 않습니다 ~!😰 아나운서 처럼 명확하게 말하는 연습을 하시길 바랍니다 ~!
@Eirysmsidn
@Eirysmsidn 12 күн бұрын
이민자는 최소화해야하고, 특히 이슬람,중국계는 경계해야한다.
@JaeHyunPark
@JaeHyunPark 8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이민 파트에서 NO는 없음 안 하면 전반적인 체계가 붕괴됨
@user-by9mj6dt7n
@user-by9mj6dt7n 8 күн бұрын
유럽 다문화 실패했는데. .. 우리도 다문화 도입중. 청산 안된 친일매국노의 후예가 하고 있음. 우리나라 망하게 할려구요. 토왜와 수박이 하고 있죠. 사병월급 올려 우리나라 군대 망하게 하고 있고요.
@isgodtnt7292
@isgodtnt7292 4 күн бұрын
중국계, 인도계가 세계 뺑뺑 돌면서 자본 점령해나가는데 이거이거 유대인 행님들이 어케좀 해줘야 하는거 아니냐아
@sj-qx2gu
@sj-qx2gu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이민을 받을 필요가 없는게 분단 국가라서 탈북자만으로 충분해요 더 이민자를 받으려는건 남한 인구가 줄어드니까 정치인들이 표 얻으려고 받으려는거지
@user-by9mj6dt7n
@user-by9mj6dt7n Күн бұрын
@@sj-qx2gu 토왜와 수박이 다문화로 민족말살 하고 있죠. 다문화 유럽에선 실패했다고 결론 난 정책입니다. 프랑스 이슬람 폭동 일으키고 참수하죠. 독일은 이슬람 이민자 분산시켜 그나마 낫다구 하네요.
@user-up3wc4hx2m
@user-up3wc4hx2m 12 күн бұрын
제조업을 포기하게 돼면 저렇게 됍니다. 절대 포기하면 안돼요
@user-hf7bc9ec1m
@user-hf7bc9ec1m 6 күн бұрын
+농업
@user-vr2zf9zz6l
@user-vr2zf9zz6l 2 күн бұрын
현실은 제조업 지원은 없음
@user-gs6if8hb7k
@user-gs6if8hb7k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이민자 정책! 정말 정말 조심스럽게 다뤄야할 것입니다.. 함부로 정책 입안하고 시행했다가는 큰일나는겁니다.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13 күн бұрын
당연히 아무런 능력이없는 무슬림같은 자들 받으면 안되죠 그건 다 아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한국인 인재 순 유출국입니다 인재가 빠져나가기만 하고 들어오지않는 나라입니다 나라에 인재가 씨가 마르고있어요 능력있는 외국인은 큰절을 해서라도 받아야되는게 한국입니다 저출산 시대 하향평균화의 시대 인재유출의 시대에 이민을 함부로 거부했다가는 큰일나는겁니다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13 күн бұрын
이민과 난민을 혼동하는 착각에서 벗어나세요 현재 한국은 연봉 1억이상이 될정도로 능력있는 외국인만 귀화자격을 줄정도로 빡센나라입니다 능력있는 이민자가 엄청나게 많이 필요해요 그거아니면 님 자신이 지금보다 앞으로 계속해서 가난해질 예정이라는 사실만 깨달아도 생각이 달라지실겁니다
@user-gs6if8hb7k
@user-gs6if8hb7k 13 күн бұрын
@@controlmind-wn2ft이민자와 난민을 혼동한건 아닙니다. 외노자 정책을 말한다는 것이 이민자 정책으로 잘못 기재했습니다.
@user-yp3iv1nl8p
@user-yp3iv1nl8p 10 күн бұрын
​@@controlmind-wn2ft이민을 받으면 그 속도가 더 빨라질 겁니다. 아무것도 모르면 입을 다무세요
@alexanderdavila5840
@alexanderdavila5840 10 күн бұрын
​@@controlmind-wn2ft연봉 1억이라는 착각에서 벗어나시길 바랍니다. 연봉1억은 옛날말이고 연봉 4천으로 낮아졌습니다. 막말로 누구나 한국 평균잡+배달알바하면 소득조건 충분히 가능하고요. 이민자와 난민. 정말로 진짜 가난한사람들은 해외 난민 신청 생각도 못합니다. 오히려 난민이나 이민자나 수준은 정도의 차이지 비슷합니다. 이민자는 갈등을 더 시킬뿐 갈등을 줄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정치인들이 이민자들을 좋아합니다.
@fivestar7289
@fivestar7289 12 күн бұрын
독일 프랑크푸르트서 살고있는데 10년전만 해도 거지 노숙자 난민들 이렇게 많지 않았아요. 그런데 요즘은 시내에 10분만 서있어도 거지가 돈달라고 옵니다. 시내에는 마약파는 아프리카인들 득시글거리고 시내 지하철 역에는 노숙자들 누워자는데 오줌 지린내, 어떨땐 똥까지 한무더기... 물가 너무 많이 올랐는데 월급은 오르지 않고. 어제 3인이 스시집 갔는데 100유로 이상(15만원) 나와서 이제 레스토랑도 못가겠어요. 올해부터 음식비 부가세가 7프로에서 19프로로 다시 올라가서 식당 가격표도 많이 오르고. 호텔비도 코로나 이후 너무 올라서 놀러가기도 망설여지네요. 딱 2019년까지가 좋았던 것 같아요.
@DubistdasBeste
@DubistdasBeste 10 күн бұрын
정말 10년 전이랑 너무 달라졌죠… 난민들땜에 중소도시로 이사했는데도 더 시골로 이사하고싶을정도에요.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14 күн бұрын
이민자는 인재를 받아야지 난민을 받으면 짐덩어리나 되는거지.
@werdxsdc
@werdxsdc 1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란 인재가 넘쳐요. 그 인재성을 뛰이넘는 인재는 미국 갈테고.., 있는 자국민인재도 내쫓는 판국에 타국인재가 필요할까요?
@northbynorthwest999
@northbynorthwest999 14 күн бұрын
@@werdxsdc "우리나라"는 한국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한국이 인재가 넘치는지 어떤지는 잘 모르겠네요. 외국 살아서 한국은 잘 몰라요. 유럽이 미국이나 다른 국가에 비해 이민정책이 잘못되었다는 것이죠. 그런데 정말 한국에 인재가 넘쳐나요? 인도나 대만이 아니고 한국이? 완전 의외네요. 그럼 왜 그 인재들은 한국에 있는거죠? 한국에 뭐 좋은게 있나? 미국을 가야지. 거기는 좋은 일자리는 넘치는데 그 것을 채울 일손부족해서 난리인데.
@user-kb8sc7sk9g
@user-kb8sc7sk9g 14 күн бұрын
​@@werdxsdc 한국인이 아닌신것 같아요.
@hyuns142
@hyuns142 14 күн бұрын
​@@northbynorthwest999 이공계 실력있는 인재들은 한국에서도 대접 잘받아요. 굳이 불편하게 외국에 나가고 싶어하지 않는 사람도 많아요. 한국이 요새는 공원이니 자전거도로니 문화시설이니 쇼핑몰이니 식당이니 잘 되어있고 치안도 좋아서 눈높고 성격 급한 한국사람한테는 외국보다 한국이 더 살기도 좋아요.
@user-sj1dp6zk4i
@user-sj1dp6zk4i 14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이 머리는 좋은데 최상위 인재들이 의대가서 건보 빨아먹느라 정신없음. 최상위인재가 공대로 몰려야 나라가 사는데 의대가서 건보랑 실비 빨아먹느라 정신이 없음.
@user-bc3ri9rl5s
@user-bc3ri9rl5s 11 күн бұрын
독일에 있을 때 경험은 이사를 해서 인터넷 회선도 옮기는데 정확하게 42일 걸렸습니다.
@kaycorea8229
@kaycorea8229 8 күн бұрын
맞아요, 2015년에 저희도 한달쯤 걸린듯 합니다
@ky992
@ky992 13 күн бұрын
유럽걱정할때가 아이다. 우리나라 현실을 비판할 수 있는 사람이 없는 상황이 걱정이다.
@Bkrtyfgptbzx
@Bkrtyfgptbzx 13 күн бұрын
그리고 진짜 남걱정할 필요 없음. 물이 비싸니 와인 마시는거고 과일 채소 빵이 너무 싸서 굶을 걱정은 없음.
@travelholic729
@travelholic729 14 күн бұрын
다문화정책은 철처히 실패ㅡ 융화정책이 옳은정책(이민자에게 자국언어 자국문화이식시키고 이게 안될시 사회적 불이익을 주어 철저히 융화시켜야 함)
@user-ms4rr7cy4d
@user-ms4rr7cy4d 13 күн бұрын
맞아 한국은 이민오기 힘들지. 살고 싶으면 배워야지
@skycjs870
@skycjs870 13 күн бұрын
생각이 없나? 숲을 봐라~
@user-tj5pl8ok5v
@user-tj5pl8ok5v 13 күн бұрын
??? 스웨덴 부터가 융화책 안쓰고 놔두다가 갱단이 천지사방에 생겨나서 군대 동원​하는 지경인데. 현실을 봐라.@@skycjs870
@SYS-pr8df
@SYS-pr8df 13 күн бұрын
말에 쉽지 이식됐는지 어떻게 알아요
@wod2136
@wod2136 12 күн бұрын
​@@SYS-pr8df모여사는데를 관심갖고 지켜봐야함
@hwkang5371
@hwkang5371 14 күн бұрын
20년 전부터 그랬다 누군가의 눈에 중새의 탄탄한 건물과 화려한 가구를 짊어지고 살고 있으니 잘 사는 곳 처럼 보였을뿐. 독일서 액자하나 맡기는데 2주 걸리고 프랑스에서 티비 연결에 일주일 걸리고.. 이렇개 여유롭게 일하는 곳에 어떤 기업이 남아 있나.
@user-bw9fw6ku4h
@user-bw9fw6ku4h 14 күн бұрын
그러니 방산 분야에서 한국에게 밀리는 추세가 될 수 밖에 없죠. 빠르게 만들 생각을 못하니까요.
@user-wp4oi7bt9r
@user-wp4oi7bt9r 14 күн бұрын
결국 국력은 인력이고 각 개인이 얼마나 열심히 사느냐가 국가의 힘을 좌우하죠
@whitepiglee4224
@whitepiglee4224 14 күн бұрын
한국은 빠르게 만들어서 번 돈이 일하는 사람에게 적게 갈 뿐
@user-pt2wc7xg6i
@user-pt2wc7xg6i 14 күн бұрын
유럽 여유롭게 살다보니 생산선 삶에 질이 나아질수가 없어요 앞으로드 가난하게 살일만 남았어요
@kkr807
@kkr807 14 күн бұрын
중새 x 중세 o
@wood-ob9cg
@wood-ob9cg 14 күн бұрын
이민자는 언발에 오줌누기 일까요. 서유럽의 문제인줄로만 알았는데, 최근에 보니 스웨덴이 가장 심각하더군요. 이민정책은 실패했고 되돌릴 수도 없고, 도저히 해결이 불가능해서 유럽 사회는 서서히 갈등과 범죄로 파괴될듯 합니다. 덴마크나 헝가리 폴란드... 이런 나라들은 그래도 상대적으로 그럭저럭 그런 문제에서는 괜찮을듯...
@seongmin.kr7
@seongmin.kr7 13 күн бұрын
이민자 수 자체가 중요하다기 보다는 인구수 대비 이민자 수가 중요하죠. 특히나 프랑스 같은 경우에는 식민지에 프랑스식 교육을 어느정도 제공해서 문화적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북아프리카 지역은 이슬람이지만 전통 와인이 있다든지) 스웨덴의 경우에는 시리아 같은 문화적 유사성이 아예 없는 곳에서 난민을 받은 이유가 큽니다. 현지 인구비율 대비 많이 받은 영향도 있고요.
@anbayo1
@anbayo1 13 күн бұрын
얘들은 먹고살기 편한것만 좋아해서 나라가 망하는거임.
@user-vw9kb5ko3s
@user-vw9kb5ko3s 12 күн бұрын
그 나라의 문화도 한몫함.
@momochoice2657
@momochoice2657 12 күн бұрын
@@anbayo1 ㅇㅇ 그들은 대체적으로 게으르죠.. 미국인들도 그닥 부지런하진 않지만..거긴 국력이 워낙에 쎄니깐... 글고보면 우리 한국인이 가장 부지런하고 일본인들도 좀 부지런한 편이죠..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12 күн бұрын
게으른 놈들이 잘사는 나라에 와서 열심히 일을 안하니 망해가는거야
@JW-rj6dx
@JW-rj6dx 12 күн бұрын
와인이랑 파스타가 제일싼데 뭐라는거지.. 저 유럽생활 25년차인데요, 식재료는 한국에 비해 훨씬 쌉니다. 외식이 비싼거지 집에서 해먹으면 음식값 별로 안나와요.. 진짜 문제는 렌트비와 여가비에요, 이민자들은 느는데 고층은 안지으니 집들이 모자라고 인건비가 계속 올라 서비스업 운영이 제대로 되질 않아요. 젊은애들은 밤에 할일없고 불법체류자는 제대로된 노동비를 못받으니 범죄가 늘어나는것도 문제고. 웃긴게 고물가와 범죄증가는 전세계적으로 같은데 유럽과 동아시아는 종류가 정 반대임
@machikr
@machikr 13 күн бұрын
예전 유럽 놀러갔을때 사람들이 너무 척박하게 살고있어 놀랐음. 한국은 가난한척 하면서 다 외식이나 배달음식 즐기고, 미국은 가난한척 하면서 다 자기만의 공간, 원룸 원배스 있고, 유럽은 가난한척 하면 진짜 가난 - 샤워도 못해 지하철에 딸린 공공샤워시설 일주일에 한두번 이용할 정도로 가난함.
@user-lo4zn4dh2l
@user-lo4zn4dh2l 14 күн бұрын
유럽에 소득이 줄어 든게 아니라 물가가 올라서 그런겁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요 미국물가도 물가가 장난 아닙니다 유럽ㆍ미국 모두 치안이 불안하고 이민자들을 받아 들이는 것은 정말 신중해야 합니다
@user-zl4lb6no7z
@user-zl4lb6no7z 13 күн бұрын
이래서 예전에 무슬림들이민자들반대했던거임 정우성같은애들이 이민자들받자고 꼴깝떨때 거기동조한인간들이 엄청많았음
@user-do4ov7tc7v
@user-do4ov7tc7v 13 күн бұрын
무슨 소리 전라민주당 찍었자나 스스로 무너진 한국 늦었어
@ohcho-fg4co
@ohcho-fg4co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은 20세기에 정체해 있음. 더가난해 지는 것만 남아 있음.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이 기술이 정체되진 않았으나 가치관이 20세기 후진국형으로 정체 되있어 욕심만 많은 느낌이며 가난한 거지근성이 아직도 남아있어 보임은 한국은 더해 큰일. 강남좌파가 거지근성있다면 마음이 가난하다는 뜻으로 강남좌파가 집권하면 모두가 위험해질. 미국도 마음이 가난한 후진국형근성이지만 좌파는 아니니 세계 영향은 덜해 견제를 유럽보다는 덜 받아서일.
@chaostar88
@chaostar88 14 күн бұрын
한국도 산업 다 붕괴되고 있어서 미래 모른다.
@mimipnl
@mimipnl 9 күн бұрын
4등급애가 의대 떨어지고 치대 가는 최상위권 훈수두네 ㅎㅎ
@spark1807
@spark1807 14 күн бұрын
지금 남 걱정할 때가 아님…
@user-ld9zg4wm4m
@user-ld9zg4wm4m 14 күн бұрын
우리가 포퓰리즘 복지사회주의 유럽 따라가는 중임 ㅋㅋㅋㅋ
@user-vb6bu9fb6s
@user-vb6bu9fb6s 13 күн бұрын
​@@user-ld9zg4wm4m포퓰리즘 복지 땜에 유럽이 흔들린다고? ㅋㅋ 무슨 말도 안되는 논리... 유럽이 성장 동력을 못찾는 게 이유지.
@ilhokwon1397
@ilhokwon1397 13 күн бұрын
포퓰리즘 그것을 감당하기 위한 높은 소득세. 이게 맞지
@user-ni9hi6ys5r
@user-ni9hi6ys5r 13 күн бұрын
언제쯤 이런 멍청한 댓글들이 없어질까?
@funcoolsec7967
@funcoolsec7967 13 күн бұрын
그냥 분석 좀 하는걸로 봅시다..
@jiyaparkmezzo
@jiyaparkmezzo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나 파스타가 비싸지 유럽에서는 파스타나 빵이 주식이예요. 😅 와인도 한국의 5배는 저렴한 질 좋은게 많아서.. 여기 와인 3유로짜리도 질 좋아요. 와인이 비싸서 맥주 마시는게 아니라 그냥 젊은 애들이 와인보다 맥주를 좋아해요. 고기는 요즘 채식하는게 더 부자들 사이에서 유행이구요. 너무 수박 겉핥기 식으로 아시네요. 프랑스 17년째 거주중인데 파리만 보고 프랑스를 판단하시기에는 🤭 프랑스 사람들도 파리는 안살려고 하는데 지방에 살아보면 삶의 질이 완전히 다릅니다. 경제는 요즘 다 안좋아요. 당연히 유럽이 예전같지는 않고 브렉시트 이후 영국은 완전 힘들구요. 하지만 여전히 중산층이나 퇴직금은 한국보다 훨씬 탄탄하다고 봅니다. 미국이랑 비교하기엔 보험이나 이런거 생각하면 과연요… 한국식으로 생각하시면서 유럽을 보면 이해가 안되실지도. 여기서 일하고 세금내고 살다보면 다릅니다.
@user-ck1mw6ht2u
@user-ck1mw6ht2u 9 күн бұрын
저도 동감입니다 ㅋㅋㅋ
@frankenthal3458
@frankenthal3458 14 күн бұрын
와인소비 줄고 맥주소비가 느는게 추세임. 가격 때문은 아님. 슈퍼가면 테이블 와인 3-4천원함.
@user-el8wr8mf9d
@user-el8wr8mf9d 10 күн бұрын
맞아요, 예전에 파비앙이 말하길 프랑스 젊은사람들은 와인 많이 마시지 않는다고.
@machikr
@machikr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걸핏하면 배민 주문해서 치킨 먹을 정도로 부유하면서 다들 "어짜피 나같은 사람에겐 공산주의가 차라리 낫겠다" 생각하는 기괴한 나라임.
@momochoice2657
@momochoice2657 12 күн бұрын
울나라 사람들 특징이 남과 비교해서 처지는 꼴을 못 견뎌 함.. 남을 인정 해줄줄 모르기때문이죠..
@taeseongjo4506
@taeseongjo4506 12 күн бұрын
한국사람은 공산주의나 사회주의는 못함. 남들과 비교하길 좋아하고 자기가 더 잘살아야해서 생리적으로 사회주의.공산주의에서는 못삼.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11 күн бұрын
국민 전체가 좌파 선동가들에게 오랫동안 ''가스라이팅'' 당해서 완전히 세뇌되어있습니다 ''나는 가난해'' ''나는 피해자야, 나는 착취당하고있는거야'' ''부자들, 대기업은 나쁜놈들이야 그놈들이 나를 착취해서 내가 가난한거야'' 대국민 가스라이팅으로 국민들이 자신들이 가난하다 피해자다라는 극도의 ''피해망상'' 에 빠져서 부자를 죄악시하고 ''적''으로 간주하고있습니다 도대체 뭐가 가난하다는걸까요? 가장 능력이 없는 한국인조차 일만하면 월급200만원이 보장되있는 나라에서 도대체 뭐가 가난하다는것인지 알수가없습니다 아프리카, 남미, 동남아, 러시아, 중국에는 한국인 보다 가난한 사람이 수십억명이며 한국에서 태어난것 자체가 전세계 상위10%의 삶이 보장되있는것인데 인류역사상 지금의 한국인이 가장 잘먹고 잘살며 첨단과학기술의 혜택을 다 누리고있는것인데 그런데도 자신들이 가난하다고 외치며 부자들의 돈을 빼앗아서 자신들이 나눠가져야 정의라고 외쳐댑니다 스스로 사고하는 능력이없는 대중들이 오랫동안 좌파선동가들에 의해 세뇌당해 자신들이 가난하다고 착각하고 불행하다고 착각하고 자신들이 노예라고 착각합니다 이것은 스스로 불행을 자처하고있는것입니다 나는 피해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행복해지는것은 애초에 불가능하죠 그냥 충분히 행복하게 즐겁게 살수있는 인생을 아에 쓰잘데기없는 피해의식과, 분노를 조장하여 스스로 불행하게 살고있는것입니다 좌파 선동가들은 그 가스라이팅으로 인해 전국민이 쓸데없이 불행해져도 아무상관없습니다 자신들이 부와 권력만 얻으면 되니까요
@user-vj5md2yq3o
@user-vj5md2yq3o 9 күн бұрын
@@taeseongjo4506 북한같이 사는 거지. 못 사는 게 어딧어. 망하면 그렇게 되는 거지. 자신하지 마세요. 지금 신나게 그 쪽으로 달려가고 있으니까
@user-tu8tz6th5b
@user-tu8tz6th5b 8 күн бұрын
공산주의가 차라리나? 끔찍한생각
@user-kr6dc4wh8l
@user-kr6dc4wh8l 11 күн бұрын
이민자를 받아 머릿수를 채우겟다는것은 한계가 있다 문화도 인종도 다른 이민자들이 융화가 잘되겠나 땅만 빌려 사는것 뿐이지,인력이 부족하면 노동인력만 들여오고 국적을 주는것엔 신중해야한다.이민자들이 들어와서 물흐르고 그나라가 망해가면 또 다른 곳으로 옮겨가겠지.
@VettingFK
@VettingFK 14 күн бұрын
자신들의 부와 여유가 언제까지나 유지되리라 자만한 결과인가? 한국도 인재들이 공대보다는 의예과에 집중되고, 힘든 일들은 300만명 외노자들이 담당하고 있으니, 20~30년 이후에는 비슷한 상황이 될 듯.
@smithjack3497
@smithjack3497 14 күн бұрын
외노자 1000만명으로 늘리면 간단히 해결!!
@VettingFK
@VettingFK 14 күн бұрын
@@smithjack3497 고부가가치산업은 미국같은 국가들이 선점하고 있는데 한국은 의사들만 있고, 저부가가치산업은 외노자 1000만명이 종사하면, 한국 젊은이들은 어떻게 먹고살려나? 있는돈 없는돈 다 모아서, 주식 펀드 코인 도박 노름으로 한탕주의로 인생을 멋있게 살고 싶기는 할텐데...
@smithjack3497
@smithjack3497 14 күн бұрын
@@VettingFK 아들 일 안해서 가게 셧다운 하는것보단. 외노자 써서 가게 매출 늘리고 돈으로 아들은 걍 밖에서 놀라고 하는게 좋음
@VettingFK
@VettingFK 14 күн бұрын
@@smithjack3497 개인적으로는 문제가 없지요. 그 아들이 부모없이 홀로 자립이 가능할지는 제쳐놓고. 문제는, 그렇게 자식교육을 시켜놓은 부모들이 많아서, 그것이 사회풍조화되고 국가발전을 저해함으로써, 그 자녀들과 후손들의 미래가 불안하다는 것이겠지요.
@smithjack3497
@smithjack3497 14 күн бұрын
@@VettingFK 미래는 스스로 감당해야할 몫임. 현재는 당장 해결해야할 사안. 외노자라도 일만 잘하고 불법체류만 안한다면 10억명 받을수 있으면 받아야 한다고 봅니다. 그들이 만들어낼 부가가치가 얼마나 큰지 감도 안오네요. 10억명이 한국에 오면 100명당 1개 인사 행정 마케팅 법무 재무 관련 일자리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하면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사무직 일자리 1천만개가 만들어지는겁니다. 관련산업 파생은 말할것도 없고요.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14 күн бұрын
일본 총무성이 소프트뱅크를 끼고 네이버에게 라인을 헐값 매각 압박하는 이유도 디지털 플랫폼이 없기 때문이다.
@joh5918
@joh5918 14 күн бұрын
소프테뱅크에 지분 50퍼센트 내준게 소프트뱅크 회장 손정의가 문제안대통령만난후에 이루어졌음 지분 50퍼센트 내줄때 이런걸 예상 하지 못했을까?
@werdxsdc
@werdxsdc 14 күн бұрын
​@@joh5918못했든 했든 지나간 잘못보다 현재 다 넘길려는 넘이 문제인거 아닌가?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14 күн бұрын
@@joh5918 프로듀스101 재팬 시즌1을 했을 때 한국의 보이그룹이었던 헤일로 출신 연습생들은 일본 연습생들을 잘 지도해주어 보컬, 안무 실력을 올려주었으나 최종회 전까지 데뷔권 안에 들어갔었는데 모두 최종회 전에 사퇴했었다. 당시 일본의 네티즌들은 한국인 연습생들이 데뷔하게 되면 병역문제, 일본광고주 섭외에 지장이 있다고 악플테러를 했었다. 프로듀스101 재팬 시리즈는 CJ ENM이 일본의 요시모토흥업과 합작으로 진행해 왔다. 프로듀스101 재팬 시즌1, 시즌2의 메인 스폰서가 라인의 합작사인 소프트뱅크였다. 이처럼 일본은 배신의 나라다.
@user-ts6sm1hs4n
@user-ts6sm1hs4n 14 күн бұрын
@@joh5918 네이버가 일본 먹으려고 원했다는 말도 있음. 문대통령이 하라고 했겠나? 네이버가 마사요시한테 통수 당했겠지. 통수의 나라 일본 아닌가.
@Kokko862
@Kokko862 14 күн бұрын
친일 윤석열에게 준 보답
@X-file_1993
@X-file_1993 1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빨리 대응해야한다. 초고령 사회때문에 심각하다. 수도권 일자리 집중화 빨리 대응해야한다.
@elle8062
@elle8062 14 күн бұрын
현재 독일 이민 규제가 많이 풀려서 이민자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추세던데 앞으로도 경제적으로 계속 어려울지 아니면 앞으로는 좋아질지 궁금하네요
@simontempler5094
@simontempler5094 13 күн бұрын
기업을 홀대하고 사회주의를 지향한 결과임. 한국의 미래.... 이대로 가면 수년이후 저리 된다. 저들은 식민지에 그동안 쌓아논 부가 있어서 저정도인 것이지만, 우리는 순식간에 무너진다.
@dee_7h
@dee_7h 14 күн бұрын
영국 기부문화가 우리나라보다 보편화 되어 있습니다. 적더라도 거의 대부분 사람들이 관심가지고 푸드뱅크 기부하고 노숙자들이 운영하는 카페 갑니다. 울나라보다 삶의 만족도높고. 남의 나라 걱정할때가 아님. 울나라가 더 잘먹고 살아도 안행복함. 빵 파스타 엄청싸고 와인도 쌉니다유럽은 ㅎ.
@user-tf5pq2kl7t
@user-tf5pq2kl7t 13 күн бұрын
식민지에 빨대꽂아 먹고놀던것이 바닥을 보여 한계에 이른게 가장 큰이유임
@mshi5658
@mshi5658 14 күн бұрын
30년 전 이민, 당시엔 노숙자를 구경을 못했다.단지 어쩌다 다운 타운에 가도 노숙자는 없었고, 국립도서관 앞에 서성대는 사람들을 보았을 뿐, 알고 봤더니, 그 사람들이 노숙자, 잠은 나라에서 제공하는 도서관에서 잔다고, 그런데, 어느날 보니 길에서 텐트치고 길에서 자는 자들이 생겨나기 시작, 씨애틀 갔을 때도,노숙자 한 명도 구경 못했음..이제는 멀쩡한 젊은백인들이 무지 많고,심지어 다리 밑에서도 탠트 치고 자더라.왜?? 이런 형상?? 20년 전,TV 에서 미국의 노동청 장관왈," 해마다 미국의 기업체들이,1000 개씩 문을 닫는다고, 처음엔 중국산 품질이 나빠서 사지 않았는데,점점 품질이 좋아져서, 이제는 미국인들이 산다고...결국, 미국의 부가 중국으로 갔다는 결과..한국도 정신 차려야 함..
@user-dz3xi2en7w
@user-dz3xi2en7w 14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알리 태무 규제하는건데 국민들은 반대라며 아우성. 공산당 보조금 받은 막가파식 저가중국산 그냥 놔두면 결국 국민들이 가난해지는겁니다.
@Imyourbigbrother
@Imyourbigbrother 12 күн бұрын
미국 사는 사람이 한국에 이래라 저래라 하지 마세요.
@hdsl13181
@hdsl13181 10 күн бұрын
@@Imyourbigbrotherㅉㅉ 피해의식. 한국 이민자들이 미국에서 한국 위상을 올려주는 것도 알아야지요.
@heovan0910
@heovan0910 14 күн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판이 달라지고 있는게 느껴지네요...!!
@user-iy4gb9nn2z
@user-iy4gb9nn2z 7 күн бұрын
국가는 이민자를 최소화 해야하며 자국내 제조업을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user-hx3lv1ix1o
@user-hx3lv1ix1o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의 실험적 사회로 많은게 증명되었지....인구 고령화를 해결하기 위해 문화적 사회적 변화없이 이민자로 채워버리면 그건 또다른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이나
@jamieim1
@jamieim1 12 күн бұрын
이민자들 받아들이지 않으면?
@user-uv9hv4cy4j
@user-uv9hv4cy4j 2 күн бұрын
유럽은 분명히 저력이 있기때문에 쉽게 망하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국뽕에 빠져 정신 못차리는 한국이 걱정된다
@user-zp6gl2mc3y
@user-zp6gl2mc3y 14 күн бұрын
지금 출산율 보면, 유럽걱정하때가 아닌데..
@user-jj5uv5vn1q
@user-jj5uv5vn1q 14 күн бұрын
휴가를 한달씩 가고 정해진 시간 외에는 절대 일을 안하는데 발전할리가??
@Therefore75
@Therefore75 14 күн бұрын
이제 그 시절도 다갔음. 더 지나면 연간 40일의 유급 휴가는 꿈도 못꾸게 됨.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14 күн бұрын
우리도 머지 않았음 현대차 노조는 주4.5일제 주장 하던데 이재명이 대통령되면 주4일제 한다고 할 것임
@smithjack3497
@smithjack3497 14 күн бұрын
휴가 많이 가는데도 한국은 아직도 못따라 잡고 일본도 개인 소득은 못따라 가던데 이정도면 유럽이 잘하고 있는거 아니냐? 놀면서도 2000시간 일하는 한국보다 소득 높은데??
@Therefore75
@Therefore75 14 күн бұрын
@@smithjack3497 생각은 하면서 사나? 그동안 잘 해먹었지만 이제 더 이상 불가능하다는 거잖아? 그동안 가능했던 것도 세계가 냉전으로 분절화되어 있었고 다른 지역과 차이가 컸었기에 가능했었는데 이제는 동아시아가 다 따라잡았음.
@smithjack3497
@smithjack3497 14 күн бұрын
@@Therefore75 따라잡긴 ㅋㅋㅋ 인구빨로 규모만 키운거지. 1:1 소득 비교 해봐라. 산수 못함?? 2차대전후 70년동안 유럽 여유롭게 살동안 노오오오력 해서 이정도면 앞으로 유럽이 70년 더 여유롭게 살고 극동은 노오오오력 해야 비슷해지는건가?? ㅋㅋㅋ
@user-ig3wq2vp2f
@user-ig3wq2vp2f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세계 자원 약탈, 제조업, 국방 미국 의존으로 잘살았으나 자원 약탈 급감, 제조업 붕괴로 현 상황은 당연 앞으로 국방비 급증, 제조업 해외의존으로 개선도 힘들다
@hiroshi641
@hiroshi641 14 күн бұрын
정답!
@viff_aventure
@viff_aventure 13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배낭여행족 명품족 덕분에 먹고는 살듯
@ccj2254
@ccj2254 3 күн бұрын
기자님 말씀들 모두 공감하는 부분들입니다. 프랑스에서 오랫동안 살면서 느꼈던 것들을 기자님의 인터뷰로 한번 더 확인하게 되네요... 뭔가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user-ys5pi4dn8j
@user-ys5pi4dn8j 14 күн бұрын
지구촌 전체가 가난해지고 있음.. 최고 권력자들만 잘쳐먹고 살테지 역사는 늘 그래왔다
@supercjh
@supercjh 6 күн бұрын
바로 이거지
@user-hl8eu7em5i
@user-hl8eu7em5i 12 күн бұрын
벌써 거의 20여년 가까이 됐는데, 프랑스나 벨기에 출신 애들과 얘기하면 기본적으로 우월감과 함께 타국에 대한 경멸이랄까? 그런 느낌을 받을 정도의 언행을 보였었는데 그 중 가장 충격적이었던 게 휴가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프랑스 애가 자기들은 휴가를 겨울에 거의 한 달 내내 갖는다고 하더라. 그래서 그 때는 회사나 사람들이 일을 안 하냐니깐 요점은 자국의 회사와 같이 일하는 타국 사람들이 하지 않냐고 어깨를 으쓱이던 모습이 아직도 눈앞에 선하다. 자기네가 누리는 것들을 위해 타국인들이 일하는 게 아주 당연하고 타국인들은 그래야만 하는 게 당연하다는 식의 태도... 그런 시스템이 아주 당연하다는 태도... 그래서인지 타국인들은 지들을 위해 존재하는 거라는 식의 태도가 저들 스스로 판단을 흐리고 아집을 보이는 것도 꽤 있더라.
@boradori3776
@boradori3776 14 күн бұрын
프랑스에서 와인이 비싸서 안 먹는게 아니라 풀코스 식단 문화가 점점 사라지며 와인도 덩달아 소비가 줄어드는거에요. 와인 수퍼에서 5천원이면 괜찮은거 삽니다.
@user-ms4rr7cy4d
@user-ms4rr7cy4d 13 күн бұрын
안 팔리면 가격을 낮취서 한국에 보내주면 잘 팔리지
@user-dv8nm6go3g
@user-dv8nm6go3g 13 күн бұрын
@@user-ms4rr7cy4d 관세는 안붙더냐?
@user-ms4rr7cy4d
@user-ms4rr7cy4d 13 күн бұрын
@@user-dv8nm6go3g 중국 물품은 뭐 관세 안 붙어서 싸게 오냐? 안 팔리면 팔릴 때 까지 낮춰야지
@user-dv8nm6go3g
@user-dv8nm6go3g 13 күн бұрын
@@user-ms4rr7cy4d 그 낮춘게 지금가격이란거 모르냐?
@user-ms4rr7cy4d
@user-ms4rr7cy4d 13 күн бұрын
@@user-dv8nm6go3g 그걸 모르겠냐? 싸게 넘겨도 안 팔리면 더 낮춰야지 중국처럼~ 아까우면 그냥 안 팔고 지들까리 먹든지 하겠지.
@os-rb2xb
@os-rb2xb 10 күн бұрын
캐나다도 지금 장난아니죠..... 다문화도 위험합니다
@lexigone
@lexigone 14 күн бұрын
마구잡이 이민정책으로 사회 불안과 불효용 저하된 생산성으로 늙은 유럽이 됨.
@user-bo9by5zc3s
@user-bo9by5zc3s 14 күн бұрын
마구잡이 이민정책이 시행된건 인구구조 역전이 일어나니 이민정책이 시행된거죠 전후관계를 분명히해야해요 산업구조 개선 및 교육의 방향성 잘못되서 인구구조가 역전되고 그래서 마구잡이식 이민정책이 나온거라고봐야죠 인구구조가 건강한 피라미드식이고 산업구조가 건강하면 이민 안받죠
@hanpyulkong3676
@hanpyulkong3676 14 күн бұрын
@@user-bo9by5zc3s 대만은 임금이 한국의 절반수준 밖에 안되어서 외국인노동자들의 취업기피 대상이 되었습니다.
@drstephanjang
@drstephanjang 12 күн бұрын
공감 잘 할수있게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haeunepark1553
@haeunepark1553 1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외노자 이민자 많아지면 어쩔 수 없음 특히 이슬람. 경제는 좀 후퇴해도 단일 민족, 인종이 좋은 거임
@Therefore75
@Therefore75 14 күн бұрын
이게 핵심.
@user-zp6gl2mc3y
@user-zp6gl2mc3y 14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지금 출산율상태가 경제 좀 후퇴하는 수준을 아득히 넘어.....ㅋ
@Therefore75
@Therefore75 14 күн бұрын
@@user-zp6gl2mc3y 그렇게 비관적으로만 볼 필요 없어요. 미래 시대에는 인구가 감소하는 나라가 축복받았다 라고 할 수 있어요. 실제로 미국의 석학이 한국이 가장 축복받은 나라가 될 거라고 했었죠. 출생률 저하 보고 말입니다. 사람들은 대세에 휩쓸립니다. 본인이 따져보지도, 생각해 보지도 않고 그냥 똑같은 목소리를 내죠. 앞으로 인구 감소하는 나라가, 정말 여기저기서 떠드는 것처럼 재앙일까요? 그럴 거라 생각합니까? 당연하다 생각하는 것에 대한 질문이 필요합니다.
@user-zp6gl2mc3y
@user-zp6gl2mc3y 14 күн бұрын
@@Therefore75 인구가 주는게 문제가 아니라 엄청난 부양인구의 증가가 재앙인겁니다. 현실을 직시하세요.
@Therefore75
@Therefore75 14 күн бұрын
@@user-zp6gl2mc3y 미래엔 젊은이 두 명이 노인 한 명 부양해야 한다고 난리입니다. 헌데 십 년, 이십 년 뒤를 얘기하면서 어떻게 각종 로봇과 a.i.를 빼놓고 논의하죠? 앞으론 두 명의 젊은이가 노인 한 명을 여유있게 부양할 겁니다. 가사 도우미 로봇들과 각종 a.i. 기기들과 함께 말이죠. 이렇게 되면, 미래엔 직업이 사라진 미래에는 잉여 인력이 문제가 됩니다.
@LightKnight2020
@LightKnight2020 14 күн бұрын
손기자 책을 읽어서 대충은 알고 잇엇지만 충격적이네요.
@user-yy7qu3dt6s
@user-yy7qu3dt6s 12 күн бұрын
손직석 기자님, 우리나라가 더 심해요.
@user-et6ij8lt6d
@user-et6ij8lt6d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의 주식과 부동산 등 자산시장만 보면 유럽경제가 좋은 것처럼 보이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네요. 지난 코로나 팬데믹 시국에 유동성은 엄청하게 풀렸지만 실물경제로는 거의 흘러들어가지 않았지요. 소수의 기득권 계층에만 사회의 부와 소득이 몰리고 있다는 방증이지요. 유럽국가들도 일본처럼 국가는 아직 부유한데 국민들은 점점 소득이 줄고 가난해지는, 그러면서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산층이 빠르게 붕괴되고 있다고 하지요. 사회의 거의 모든 영역이 양극화되는 현상은 전세계적으로 공통적인 현상이네요. 속도의 차이가 있을 뿐. 안타깝게도 대한민국은 상대적으로 더 빠른 속도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고, 중산층이 더 빠르게 붕괴되고 있다고 합니다.
@user-wr6ei9zu9k
@user-wr6ei9zu9k 14 күн бұрын
유럽 복지 하면 알아 줬는데 최저임금상승으로 자영업자 몰락되고 세금이 올라 근로자들이 의욕이 떨어져서 제조업 많이 망했지. 민주당 뽑혀서 우리도 따라가고 있는중이다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14 күн бұрын
​@@user-wr6ei9zu9k바퀴벌레 뇌피셜말고 역대 보수와 진보 대톰령중 어느 시대가 가장 성장율이 높고 주가는 사상 최고치를 찍었는지만 보면 되는데....2찍 수준은 김호중 광팬 수준이라 다화가 안됨
@dakdito4663
@dakdito4663 14 күн бұрын
복지로 돈을 풀면 풀수록 인플레가 발생하고 빈부격차는 심해진다 왜? 높은 세율로 중산층은 투자해서 부를 불릴 시드머니를 잃고 복지에 종속되지만 고소층은 복지로 뿌린돈이 시장선택결과 좋은 서비스 좋은 제품만드는 고소득층에 몰려들고 인플레로 자산가격도 상승하거든. 복지가 좋은줄 알지만 지들목에 지들이 족쇄를 채우는거지.
@user-bs6qz1iw3j
@user-bs6qz1iw3j 14 күн бұрын
@@dakdito4663 극단적인 예로 들면 뭔 말을 못하겠냐? 아마 돼지도 그렇게 말할수 있을듯. 그런데 자본주의는 그 속성상 계속해서 부익부 빈익빈이 될수 밖에 없음. 중산층이 무너지면 누가 물건을 사냐? 복지는 그것을 최대한 늦춰주는 안전장치지. 대부분이 가난해지면 누가 세금을 냄? 부자들이 세금을 잘 낼꺼같음? 부자들이 그렇게 착해보임?
@dakdito4663
@dakdito4663 14 күн бұрын
@@user-bs6qz1iw3j 내가 어디에 극단적 사례? 복지도 부익부빈익빈임. 차이는 일반시장경제는 부분배가 능력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니지만 복지제도는 대부분의 극빈층만 면한 서민과 소수의 대부자로 분화됨. 복지체제야 말로 중산층이 무너짐 지들이 중산층이라고 착각하는거지. 그리고 이미 이나라에서 부자들은 소득의 절반을 내고 있음. 반면 하위 30%는 거의 안냄. 상위20%가 전체 소득세의 90%내고 있음.
@jwoon2000
@jwoon2000 14 күн бұрын
지금 유럽 걱정할때가 아닙니다. 2008년 부터 미국은 달러를 마구 찍어내면서 위기를 모면하고 있는데 그로인해 전세계가 초인플레이션 시대로 이미 진입했고 이런식의 막가파식 재정운영이 임계치를 넘는 순간 미국은 일순간에 폭망합니다. 지금 경제지표 이쁘다고 미국 상태가 좋은게 아니예요.. 첨단 산업에 강점이 있는건 맞지만 달러가 무너지면 다른나라도 마찬가지지만 미국이 젤 큰 타격을 받고 무너집니다. 구제금융받는 다른나라한테만 허리띠 졸라매라고 강요할게 아니라 미국이야말고 금융 대개혁을 해야됩니다. 터뜨릴건 미리 터뜨리고 프라이머리 뱅크 체인도 끊고..
@hiroshi641
@hiroshi641 14 күн бұрын
권력에 눈이 멀어 그짓 못합니다. 딱 폭주하다 자멸각임,, 암튼 좋은 글 잘봤습니다
@maykim8916
@maykim8916 8 күн бұрын
규제 많고, 노동자 인건비 단가 올라간 곳은 한국인데, 곧 미국처럼 의료 민영화, 한전 민영화한다는 말도 계속 나오고~ 우리는 어떤가요😢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13 күн бұрын
유럽은 한마디로 그냥 피땀흘려 열심히 노력해 부자가 되는 사람들을 악마화하고 그들이 이룬것을 강제로 강탈해 복지 복지를 해대니 이제 진짜 큰꿈을 가진 인재들은 전부다 미국으로떠나고 부자들마저 계속해서 미국으로 떠나며 유럽내에서는 피땀흘려 노력해봤자 악마화되고 이룬것을 강탈당할뿐이며 일안하고 복지 타먹고사는것이 훨씬 나은삶이 되어버리니 경쟁하고 노력하는 사람이 사라지고 그러면 당연히 사회에 인재가 씨가마르고 부자가 씨가마르고 기업이 씨가마른다 부자들 돈빼앗아서 나눠가지면 잘살게된다고 생각하는 허황된 사람들이 스스로 자기 사회를 붕괴시키는겁니다
@Alqpwordjxbza21
@Alqpwordjxbza21 13 күн бұрын
좌파정책이 이론적으로만 좋지 실행에 옮기고난 후엔 복구 불가능하게 나라가 망하죠, 거의 항상 예외 없이.
@user-cr9nd3px9v
@user-cr9nd3px9v 14 күн бұрын
유럽 와인소비가 줄은 이유가 있었구나
@sckstory6774
@sckstory6774 13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유럼의 현 상황이 멀지 않았음...엄격히 따지면 세상은 제로섬 게임. 유럽이 소득이 올라가면 다른 나라에서 타격을 받고 한국도 더 팍팍한 삶이 될 것..
@ohhappyday4868
@ohhappyday4868 14 күн бұрын
이민자 수용과 다문화는 망국의 지름길.. 😢😢 한국인이 성실한 편인데. 최근 다문화 많아져서 시간 지나면 국제경쟁에서 ... 뒤쳐지지 않을까?? 😢
@joonyparks
@joonyparks 10 күн бұрын
절대적으로 옳은 말씀.
@Felipe-pe6ce
@Felipe-pe6ce 10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이 살기 좋은 국가임
@nigimibbonm
@nigimibbonm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은 이민자를 많이 받으면서 복지도 제공하려고 하니 똑똑한 인간들은 미국으로 튄다고함
@vetym02
@vetym02 14 күн бұрын
이걸보고 나는 웃을수가 없네 ㅠㅜ
@rucola6243
@rucola6243 Күн бұрын
어느 유럽에 사셨나요. 유럽에 25년 살았는데 전반적으로 경제 상황이 안좋지만 말씀하시는것처럼 극단적인 상황은 아닙니다.
@seungh1287
@seungh1287 10 күн бұрын
곧 다가올 우리의 모습..
@ysllee6197
@ysllee6197 14 күн бұрын
산업혁명전으로 Back to Normal. 근데 유럽은 모르겠지만 미국에서의 푸드뱅크, 푸드스템프는 식료품 보조금의 의미가있슴다.
@walkaroundagain
@walkaroundagain 13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여름휴가 한 달. 병원 교육 공짜. 평생 연금. 일부 국가는 집도 제공. 지금 누가누굴 걱정해. 30년 전부터 늙은 유럽 타령. 그래서 G7이 바뀌었나? 이 영상의 결론 더 일해라.
@ses3273
@ses3273 12 күн бұрын
병원 공짜긴한데 병원업무보다가 죽을지도...
@joonyparks
@joonyparks 10 күн бұрын
모든 사람이 한달 휴가? 무상의료 실상은 한국에서도 잘 알고 있습니다.
@seungsooyoon169
@seungsooyoon169 12 күн бұрын
남일아니다…
@jamieim1
@jamieim1 12 күн бұрын
이태리 파스타 제일 싸요! 천원에 6인분 파스타 구매가능. 좀 오르긴 했지만 요새 뭔들 안올랐을까?
@user-yh3zz5fk4d
@user-yh3zz5fk4d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이 그래도 아직은 우리보단 훨 낫네요.
@joonyparks
@joonyparks 10 күн бұрын
낫긴 뭐가나요?
@user-rk2yd5dy2f
@user-rk2yd5dy2f 14 күн бұрын
엔지니어로서 유렵 90년초 하고 지금 차이 뭔지 아세요? 차이가 많지만 휴대폰 공용와이파이가 거의 없음..국가별 혁신지수 유럽이 상위권임 기술보면 우린 지금 설계할때 cad 기본 catia,inventor 우린 기본임 근대 이탈리아나 독일 자료 전산화 아직 부족함
@andrewbk3333
@andrewbk3333 10 күн бұрын
복지와 노동당 사회당이 득세하면서 맛탱이 가는중 모두가 평등한 세상 자체가 현실불가능
@user-bo9by5zc3s
@user-bo9by5zc3s 14 күн бұрын
물고기 잡는법을 알려줘야지 물고기를 주기만하면 거기에 안주하고 앞으로 나아가질 안는다
@user-mu9hr6cy4w
@user-mu9hr6cy4w 14 күн бұрын
않는것과 못하는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음
@jeongranim6186
@jeongranim6186 14 күн бұрын
독일슈퍼에선 탐스런 애플망고도 하나에 2000원
@jihochoi57779
@jihochoi57779 13 күн бұрын
싼디. 좋으네
@jamieim1
@jamieim1 12 күн бұрын
2000 원이면 싼거 아닌가?
@user-wk9oy2qv7w
@user-wk9oy2qv7w 11 күн бұрын
유럽이 생활물가는 우리보다 훨씬 낮습니다. 망고는 유럽도 수입과일인데도~
@user-ib6kg7zi6i
@user-ib6kg7zi6i 14 күн бұрын
와인 싼데. 우리나라나 비싸지
@user-ms4rr7cy4d
@user-ms4rr7cy4d 13 күн бұрын
싸? 프랑스서 한병에 쏘주값 정도여?
@user-ku7bq1uk2i
@user-ku7bq1uk2i 13 күн бұрын
​@@user-ms4rr7cy4d 하우스와인은 정말 싸요 .......
@DeviLalshammar
@DeviLalshammar 14 күн бұрын
너무 여유로운 국민성이 부러웠지만 그 여유로움이 게으름을 낳아 이런 시대를 맞이했군ᆢ백인은 부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과거가 요즘엔 오리엔탈을 부의 축으로 여기는 세계정세ㅡ인지하나 인정하기 싫은 백인들의 잣대가 어찌 흘러갈지ᆢ
@boksoonkim9174
@boksoonkim9174 Күн бұрын
50년 유럽에 산사람으로서!!! 이분 껍데기만보고 ...... 보고 배워야 할것은 못 본것같네요 ㅠㅠ
@fisnotf
@fisnotf 14 күн бұрын
성장보다 복지, 기업보다 노조를 우선한 댓가죠. 인재들은 죄다 미국으로 빠져나가고 기업들의 경쟁력은 미국은 고사하고 아시아에게도 밀리고. 그나마 다른 유럽국가들과 반대로 행동한 아일랜드가 쭉쭉 뻗어나가고 있습니다.
@user-gd8jb3yk2y
@user-gd8jb3yk2y 12 күн бұрын
유럽 걱정해 줄 때냐? 우리나라가 더 무섭다.
@user-kp8zk1xg6b
@user-kp8zk1xg6b 14 күн бұрын
중국 러시아에 의존하면서 패망의 길로 들어섬
@litgune_driving_lover
@litgune_driving_lover 12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사람 자체가 악한데 이민자를 분별없이 받으니 결국 터지는거지..
@56himawari
@56himawari 13 күн бұрын
유럽 포플리즘 돈퍼주기식으로 가망없음요. 실업급여 1980년부터 파리 ..젊은애들 일 안함 5시에칼 퇴근 한다고 절래절래 현지사는 사람이야기.🎉
@sjl9511
@sjl9511 14 күн бұрын
반기업, 규제, 인권, 다양성..사회가 좌경화되면서 망해가는 모양새가 우리랑 똑같내.
@EverJedi
@EverJedi 14 күн бұрын
그렁 우좀개상도는 왜 못사니? 극우 자민당이 장기집권하는 일본은 왜 못살고?
@user-zx8xq5dr3f
@user-zx8xq5dr3f 13 күн бұрын
​@@EverJedi경상도가 못산다니 웃기네. 잘살고있다.
@sang3655
@sang3655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의 부자들이 모나코등으로 다 도망가서 유럽이 살기어려워 졌어요. 이민자 영향도 있구요. 한국도 부자들이 싱가폴등으로 도망가니까,, 한국도 어려워집니다.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14 күн бұрын
부자 쫓아내는 멍청한 진보들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4 күн бұрын
바이든이 또 이기면 미국의 부자들은?
@user-go3uh1xv4v
@user-go3uh1xv4v 14 күн бұрын
웃고 갑니다..싱가폴로 이민?
@sang3655
@sang3655 14 күн бұрын
@@trali1853 부자에게 증세를 해야죠. 그래야 양극화가 덜 해집니다. 대신 국민 투표권을 세금과 비례해서 더 주면 될것 같습니다. 세금을 기쁘게 내도록 해야죠. 지금과 같이 세금 탈세에 눈이 멀어있으면 사회가 어떻게 발전하겠습니까.
@jamsjo4980
@jamsjo4980 14 күн бұрын
​@@user-go3uh1xv4v모르고 무식하면 웃지요.
@0lee184
@0lee184 14 күн бұрын
유럽에대한 환상을 버려야함. 특히 서유럽. 저들이 하면 다 좋아보이고 공정해보이고 선진화된것 같지만 알고보면 질투심많고 위선적임. 옆집이 내는 세금도 다 알수있는 나라도 있고. 발전보단 평등을 우선시하다 뒤처진거지. 자원이 풍부한것도 아니고. 우리나라는 잘살게된지 얼마 되지도않았는데도 지금이 영원할것처럼 나눠라,풀어라. 공부하지마라. 열심히 일하지마라. 돈은 죄악이다. 행복한게 최고다, 위선떨지만 가난한 나라되면 고생은 일반인들만 하지. 삼성같은 기업이 뿌듯하긴한데 삼성같은 기업에 혜택주는건 싫은 위선? 미국은 유럽의 위선을 실컷 이용한거고. 우리나라도 적재적소에 써먹을려고 하겠지. 게다가 이민정책. 사람은 자기랑 닮은것에 익숙하기 마련이다. 인종이 다르고,문화가 다른데 싸움이 안날수가 없지. 지구인구 전체적으로 줄어들건데 다문화로 안전위협 받느니 ai로 대신하는게 나을듯. 첨단산업. 그리고 자원풍부한 나라랑 외교 잘하기.
@sinzzang2848
@sinzzang2848 14 күн бұрын
민주당 절대뽑으면안되는거네
@Joonkor8
@Joonkor8 14 күн бұрын
ㄹㅇ. 유럽 규제 덩어리임. 그러니 기업들이 다 떠나지 ㅋㅋ
@user-sv4bj4bl3m
@user-sv4bj4bl3m 13 күн бұрын
​@@sinzzang2848 필리핀 선창 씨맨하우스 출신 필리핀산 결혼이민자를 ㅡ 대한민국 헌법기관 비례의원 시켜준 당이 국민의 힘(벌써 16년전?)
@junjibhwang7693
@junjibhwang7693 14 күн бұрын
지금이라도 s&p500 들어가야 하나요?
@ahnys1134
@ahnys1134 12 күн бұрын
과학기술로 잠시 식민지 때문에 잠시 잘살았을 뿐... 단물 다 빠짐...
@user-if9kb9km8x
@user-if9kb9km8x 10 күн бұрын
우리도 이민정책 잘 만들어야 합니다!
@user-xe6yx7zf2k
@user-xe6yx7zf2k 14 күн бұрын
어떤 이익집단이 . 난민을 들였는지 ㅋㅋ 착한척하다 자기밥그릇 위험해진 간당간당한순간되도 착한척할수있을까?
@Lee-tc7nn
@Lee-tc7nn 14 күн бұрын
그래도 유럽이 잘되기를 바라고 있군~~
@Fiuvenn-0619
@Fiuvenn-0619 14 күн бұрын
솔직히 한국이 유럽 걱정할 처지가 아님.
@user-fm1tk5mw9j
@user-fm1tk5mw9j 14 күн бұрын
그럼 수출몰빵한 우리나라가 최대 수출시장 중 하나가 유럽인데 그짝이 망하면 우리도 같이 타격받으니까 중국 수출도 점점 예전만 못한데 유럽까지 망하면 미국 수출만으로 우리 경제 지탱 못함
@user-gx8oj8sv1l
@user-gx8oj8sv1l 12 күн бұрын
다른나라 걱정말고 대한민국 문제해결 먼저생각하시길
@user-ld9zg4wm4m
@user-ld9zg4wm4m 5 сағат бұрын
유럽의 길을 리짜이밍과 지지자들이 따라가니 타산지석으로 삼아야지 ㅇㅇ
@user-cg2ox3bh2n
@user-cg2ox3bh2n 14 күн бұрын
유럽의 현재 모습이 한국의 미래일 수도 있다. 최저임금 상승, 주간 근로시간 단축은 직업이 안정적인 사람에게는 천국을 만들어 주지만 반면에 극빈층을 양산하는 지름길이 된다. 한국의 노조 활동이 대기업 근로자의 이익을 키우는데 열중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악화가 될 것이다.
@user-rn8kc3wl4v
@user-rn8kc3wl4v 14 күн бұрын
부시나 바이든이 계속 집권하면 우선 미국의 미래일.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14 күн бұрын
딱 맞는 밀씀이네요
@user-pm6sl9wu9p
@user-pm6sl9wu9p 14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이 중국수준 정도되면 우리나라가 살아날수 있을까요 ?
@user-xt5op3nb6e
@user-xt5op3nb6e 14 күн бұрын
ㄴ중국보다 훨씬 눞아요ㅠㅠ ​@@user-pm6sl9wu9p
@kongnamulworld
@kongnamulworld 14 күн бұрын
최저임금 낮추면 소비재가격을 내려준다는 보장이 없는데?
@shushuhan
@shushuhan 12 күн бұрын
단일민족이 좋구나
@joonyparks
@joonyparks 10 күн бұрын
100프로 동의합니다. 널리 홍보합시다.
@controlmind-wn2ft
@controlmind-wn2ft 10 күн бұрын
그 단일민족이 이웃간에 인사한번 안하고 먼저 관심가져주면 오히려 치를 떨며 서로를 싫어하고 서로를 불신하고 평균올려치기로 서로가 서로를 무가치하게 여깁니다 단일민족이라서 좋은점이 뭘까요
@hodokwaja
@hodokwaja 14 күн бұрын
파스타는 원래 싼 저가 음식인데 무슨…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12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에선 가성비 쓰레기 음식으로 유명하죠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12 күн бұрын
근데 우리나라에선 왜 그렇게 비싼지 점심으로 파스타 먹었더니 속이 더부룩
@welcometomyworld507
@welcometomyworld507 3 күн бұрын
ㅡ..ㅡ 아무리 무너졌다 해도 한국처럼 광속으로 미친듯이 무너졌을까? 한국은 지금 미친듯이 무너지고 있다 인간들 뇌부터
@user-yp9zu2hp7v
@user-yp9zu2hp7v 9 күн бұрын
유럽 걱정할때 아니다. 우리나라도 현정부들어 고물가 고금리 저성장에 국민들 삶은 고달프고 힘들다.
@one.two.three.
@one.two.three. 14 күн бұрын
너무 잘들었습니다
@smy200
@smy200 14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의 미래임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14 күн бұрын
굳이 뭐 저러면서까지.. 이러면서 삶의 여유를 즐기다 서서히 가난해지는. 헝그리 정신이 있을 수 없는 부자 자손들에게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14 күн бұрын
우리도 닮아가고 있는데요
@user-rz9tx1bx5f
@user-rz9tx1bx5f 14 күн бұрын
@@user-pu4fq2lf6e 그래서 하는 말이죠
@user-cy3yl9ys4f
@user-cy3yl9ys4f 14 күн бұрын
개인 복지에 너무치중하다 보니 국가운영에 필요한 다른 부분은 예산배정등, 신경쓸 여력이 없는 것 아뉴? 얼추 보니 그런 느낌이 오는 데유~~
@user_Naeng-sue
@user_Naeng-sue 12 күн бұрын
그것이 노약자 복지가 생산성, 안락사 위주로 주어져야 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x6x9802
@x6x9802 12 күн бұрын
와인이랑파스타는 그냥소주랑라면같은건데;;
@johangyul
@johangyul 7 күн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이 와인가격이 비싸서 맥주를 마신다? 취향이 변해서라는 느낌이 더 강합니다. 실제로 와인가격이 맥주보다 부담스럽다는 느낌을 아직까진 프랑스에서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의 유럽 젊은층은 건강을 목적으로 과거보다 치즈소비와 알콜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라고 보여집니다. 이 경향과는 또 다르게 소득에 비해 물가가 많이 올라 전체적인 소비가 위축된 건 사실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물가가 급격히 오르는 게 참 문제네요..
@loa3420
@loa3420 14 күн бұрын
어느나라나 하위층은 있음. 쓸 사람들은 다 잘 쓰고 뎅김.
@user-hp3zl9wv1f
@user-hp3zl9wv1f 14 күн бұрын
그럽게 와인과 파스타도 포기할정도인데 유럽선진국들은 대학까지무상교욕하고 있으며 스페인은 무상의료하고 있고 유럽인들 여름휴가가 한달씩 가나? 진심궁금하다
@user-ev6qe5gh6n
@user-ev6qe5gh6n 12 күн бұрын
무상의료? 의사 만나지도 못하고 기다리다 죽는다는 무상의료? ㅎㅎㅎ
@joonyparks
@joonyparks 10 күн бұрын
영국은 무료아닙니다.
@DubistdasBeste
@DubistdasBeste 10 күн бұрын
@@user-ev6qe5gh6n뭔 오바에요 ㅋㅋ 아침 8시 전에 전화하면 주치의한테 당일 진료가능하고 정 급하면 응급실가면되는데… 유럽살면서 보험비로 뽕뽑는데 병원에서 진료 못받는다는사람들이 오히려 이해가 안갈정도..
@yckim7609
@yckim7609 10 күн бұрын
영국 유럽이 그렇게 힘들다면, 왜 대한민국과 유럽/영국 환율은 역대 최고로 비싸지요? 그 만큼 대한민국의 경제가 힘든가요....유럽과 영국을 너무 부정적으로 분석한 경향이 있다.
@user-pu4fq2lf6e
@user-pu4fq2lf6e 14 күн бұрын
잘난 조상덕에 게을러졌으니까 망하는게 당연하죠. 그런데 우리도 주4일제 주장하는 자들이 늘어나니 가난해질 날이 머지 않은 듯.
WHY DOES SHE HAVE A REWARD? #youtubecreatorawards
00:4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Vowel]물고기는 물에서 살아야 해🐟🤣Fish have to live in the water #funny
00:53
ПЕЙ МОЛОКО КАК ФОКУСНИК
00:37
Masomk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브렉시트 이후 영국 경제 더 심각해졌습니다 (조선일보 손진석 기자)
1:16:52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68 М.
매우 치명적인 뇌출혈 예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
1:06:41
언더스탠딩 : 세상의 모든 지식
Рет қаралды 264 М.
Remote control lawn mower, lawn mower, orchard weeding, weed removal, weed removal tool #54
0:16
أكلت كل الشعريه❤️
0:49
Body__7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