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유럽을 지배하게 된 진짜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1,621,119

지식한잔

지식한잔

5 жыл бұрын

#독일 #유럽연합 #브렉시트 #EU #프랑스
오늘날 독일은 유럽의 실질적인 리더로서 유럽연합과 각 국가들의 정책 과정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독일은 어떻게 과거 1, 2차 세계대전의 전범국이라는 꼬리표를 가지고도
유럽 국가들 사이에서 리더십을 인정받게 되었으며,
또 어떻게 전쟁의 폐허 속에서 오늘날 세계 4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설 수 있게 된 것일까요?
참고문헌:
Paul Lever. (2019). 독일은 어떻게 유럽을 지배하는가(이영래 역). 서울: 메디치.
안순권, 김필헌. (2007). 독일경제의 회복현황과 시사점. 정책연구, 6(0), 1-75.
윤성원. (2002). 유로화와 유럽정체성. EU연구, 40(0), 67-99.
이상호. (2015). 독일 하르츠 개혁에 관한 평가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노동저널, 2015(3), 18-37.
Michael Huther. (2014). 하르츠 개혁과 독일의 고용기적. 국제노동브리프, 12(7), 4-17.
-------------------------------------------------------------------------------------------------------
🙂 지식한잔 후원: toon.at/donate/63699140881877...
🙂 지식한잔 인스타그램: / jisikdrink

Пікірлер: 3 500
@jisikdrink
@jisikdrink 5 жыл бұрын
한달동안 감기에 시달리다가 드디어 회복했습니다..!! 이번 영상은 감기가 심할 때 녹음한 음성이어서 목소리가 조금 어색하네요 키키 조만간 구독자 10만 기념하여 직접 등장하는 영상도 짤막하게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도 한참 부족한 제게 많은 관심 가져주신 구독자분들께 정말로 감사합니다ㅠㅠㅠ
@ThePen9963
@ThePen9963 5 жыл бұрын
아프지말고 조급해하지도 마세요...ㅠㅠ
@user-yn7dd3uy2y
@user-yn7dd3uy2y 5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ㅎㅎ
@user-dl7zc9gu9r
@user-dl7zc9gu9r 5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 있어요 내용이 너무 알찹니다
@user-ph6dh8ft4u
@user-ph6dh8ft4u 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잘보고 있으니 힘내세요! 그리고 좋은 컨텐츠 만들어주세요!
@user-ur8mr9gz1y
@user-ur8mr9gz1y 5 жыл бұрын
한참을 기다렸네요 좋은 영상들 다시 기대하겠습니다~
@ScienceDream
@ScienceDream 5 жыл бұрын
역시 오늘도 개꿀잼이네요. 믿고 보는 지식한잔! 지나가던 이과생도 문과생으로 만들어버릴 것 같은 실력 어쩌실 겁니까!!ㅋㅋㅋ 10만 찍고 20만 가즈아~!!👍
@고양이365만원
@고양이365만원 4 жыл бұрын
찐이네...
@rb240710
@rb240710 3 жыл бұрын
찐이다
@MilanoFrog
@MilanoFrog 3 жыл бұрын
그렇게 지식한잔은 35만을 찍었다고 한다..
@issuxark9788
@issuxark9788 3 жыл бұрын
문과와 이과의 만남.
@i9294
@i9294 3 жыл бұрын
....?뭐임 1년전인데 댓이4개?
@flouends795
@flouends795 3 ай бұрын
미대 탈락자 없도록 정원 더 늘려주세요
@bastian71balthazare
@bastian71balthazare Жыл бұрын
독일의 기본적인 힘은 시스템입니다. 유년기부터 성인까지 각 지역들에 연령별 축구 모임처럼 종적인 시스템과 같은 분야를 아우르는 행정 교육 연구 분야의 각 단체들이 횡적으로 서로 같이 일을 하면서 결과들을 만들어내는 사회 경제 시스템이여서 개인 하나하나의 혹은 어느 집단에 어떤 문제가 있다하더라도 대처하고 대응이 빠르게 가능하게 일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즉 기업을 한예로 보면 우리나라는 대충 대충 감사만 통과하고 이름 딱지 받는 ISO9001 의 인증과 이후 감사를 하는 경우에도 독일 산업현장에선 매우 중요한 절차이며 그것에 따라 각 사업장의 특수성을 감안한 유연성까지 고민하며 인증과 감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작은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어떤 큰 리스크가 있지 않는 한 흔들림없는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것이 인상적이였고 그런 처음엔 좀 귀찮고 시간이 걸릴지라도 잘 구축한 시스템으로 인해 더 경쟁력있고 강건한 국가가 된 것이라 하겠죠. 파견근무를 가 있는 동안 그 아주 작은 마을에서 급한 일로 한 5분을 주차잘못한 것에 대해 전 여지없이 어느 주민의 신고에 의한 주차위반 벌금을 내야 했었고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앞에선 그 누가 건너려 하는 의도가 보이는 것을 살펴 미리 정지하며 마을에 들어서면 모두 시속 50키로 특별히 위험한 지역 30키로 일반 국도 80키로 어느 하나 모두 잘 지키는 운전매너로 인해 파견근무하는 동안 독일에서 운전하는 일은 정말 한국에서 스트레스 받는 것에 비하면 천국이였을 뿐만 아니라 아우토반 고속도로의 경우 속도무제한 고속도로를 달리는 것이 위험하고 힘들지 않겠는가라는 걱정이 있었지만 웬걸요... 추월차선과 주행차선을 정확히 지키고 아무리 180 200키로로 달리건 우측 주행차선이 비면 바로 주행차선으로 들어가며 운전하는 것을 모두 지키기 때문에 한국의 고속도로를 운전하는 것보다 훨 쉽고 안전한 느낌이였습니다. 독일과 한국의 공통점도 있습니다. 슈넬 슈넬~ 바로 빨리 빨리! 독일사람들도 성미가 급하죠. 일관련하여 미팅을 하는 것을 보면 기질을 들어내며 논쟁하는 것 마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국사람들처럼 공사 구별안하며 얼버무린다거나 대책없이 빨리 빨리!!! 를 하는 것이 절대 아니기 때문에 근본적으론 큰 차이이기도 하겠네요. 아무튼 그런 독일이 현 우리나라의 경제력보다 훨 수준이 낮을 때부터 먼저 한 것은 복지시스템 근로 시스템 그리고 교육에 있어 사회에 나가기전 충분한 금융과 근로 사회직무들에 대한 경험을 하게 하는 점까지... 정말 배울것이 많은 나라임은 분명합니다.
@user-dx9oy9mp9g
@user-dx9oy9mp9g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이 글에서 독일이 왜 성공하는지가 좀 보이네요. 위에 엉터리같은 댓글에는 좋아요가 많고 이런 제대로 된 댓글에는 좋아요가 적다니...
@user-ps7pq3hy6t
@user-ps7pq3hy6t 5 жыл бұрын
'유럽이 제안하면, 메르켈이 결정한다.' 타임지의 헤드라인 인상적이네요.
@user-tn1zd1pp3p
@user-tn1zd1pp3p 5 жыл бұрын
@우튜브 기민당이 공산당인가요? 우파에 가까울건디ㅋ
@user-ie8vt4lm1l
@user-ie8vt4lm1l 5 жыл бұрын
?? 메르켈이 공산당이라는 말에 웃고갑니다
@hurtsoo3951
@hurtsoo3951 5 жыл бұрын
@우튜브 메르켈이랑 박근혜랑 친한디요. 공산당 아님요.
@Jay-vy8eo
@Jay-vy8eo 5 жыл бұрын
@@hurtsoo3951 박씨가 왜나옴?
@user-jo6kf7fw2q
@user-jo6kf7fw2q 4 жыл бұрын
내가알기로는메르켈은동독사람이었다
@thepunisher2988
@thepunisher2988 5 жыл бұрын
기본이 잘되있으면 여러번 개털려도 탈탈털고 다시일어난다
@user-lq4qg5ko3y
@user-lq4qg5ko3y 5 жыл бұрын
ThePunisher ㅇㄱ ㄹㅇ
@user-um6cc1pr6k
@user-um6cc1pr6k 5 жыл бұрын
근본
@happy-lj9ql
@happy-lj9ql 5 жыл бұрын
진짜 민족에 뭔가 있긴 있는거 같음ㅋㅋ 전세계 상대로 두번이나 전쟁하고 다른나라같으면 그대로 멸망했을수도 있는데 계속 일어나서 글로벌 국가가 됨 인재들이 많긴한데 2차후에 인재들 죄다 미국으로 빠져나가고 전세계에서 가장우월하던 군사기술력 정보도 러시아나미국이 가져가고 본토공격 초토화됬는데도 현재 경제력 손가락안에들고..차원이 다른새끼들인건 확실하다
@roofrangers2033
@roofrangers2033 5 жыл бұрын
걍 성실하고 크게볼줄알면 성장하기 마련이죠. 한국도 그래서 이만큼 성장한거고
@riretf
@riretf 5 жыл бұрын
전세계에 이스라엘 독일 한국만이 역사적으로 모든걸 잃고도 일어나는 유일한 국가죠
@user-nr5er4tq3r
@user-nr5er4tq3r 5 жыл бұрын
키야 유로화덕에 독일총리는 통화정책 걱정도 없었겠네 ㄷㄷ
@wkqcoekd
@wkqcoekd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맞지 미국이 일본엔화절상처럼 마르크절상할려다가 프랑스가뜨금없이 유로화쓰자고해서 살아남음 프랑스는 독일견제할려고 유로화할려고했는데 독일살려줌
@user-ln2wh9ne2y
@user-ln2wh9ne2y 3 жыл бұрын
@@wkqcoekd 잘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마르크화 가치가 올라가면 프랑스는 수출하기 좋은거 같은데, 마르크화 강세가 되면 프랑스한테 무슨 일이 생기는 건가요?
@iris2sz
@iris2sz 3 жыл бұрын
@@wkqcoekd 일본은 플라자합의 이후로 잃어버린20년을 맞았죠ㅋㅋㅋ
@user-sm4iz4nj8c
@user-sm4iz4nj8c 3 жыл бұрын
@@iris2sz 님아 일본 독일 다같이 당했어요 미국이 일본 독일불러서 한일임
@yunghoonchun4388
@yunghoonchun4388 3 жыл бұрын
@@iris2sz 플라자 합의때는 독일 마르크도 절상되었고 이후 통일로 힘들다가 유로화가 독일을 다시 살려주었죠 ㅇㅇ
@user-ro3pn3je8r
@user-ro3pn3je8r 4 жыл бұрын
몇 번을 봐도 유익하고 좋은 영상이네요 진짜! 이 영상 뿐만 아니라 모든 영상들이요!! 고맙습니다!!
@choirasch
@choirasch 5 жыл бұрын
2번의 시도(전쟁)는 실패했지만 3번째에 비로소 유럽을 지배하게 되었다
@Wayne-tm8wq
@Wayne-tm8wq 5 жыл бұрын
가장 원할때(1차, 2차대전)에는 얻지 못하였지만, 원치 않았을때 비로소 얻게 되었네요.... 아니 이거 무슨 마법사의 돌인가....
@user-mf8qv9ob9u
@user-mf8qv9ob9u 4 жыл бұрын
오직 온화한 힘으로서만 달성가능한 목표였네요
@user-pk7wg3hf1j
@user-pk7wg3hf1j 4 жыл бұрын
전쟁은 손해임 ㅋㅋ 저렇게 경제적으로 지배하는것이 나을듯
@paulhwang9646
@paulhwang9646 4 жыл бұрын
@싸인 소련 안치면 자원없어서 어차피 스탈린이나 히틀러나 싸울거 다 알곤 있었는데 뭔 소리임;
@user-ih5rj8vr3x
@user-ih5rj8vr3x 4 жыл бұрын
@싸인 멍청하면 용감하다더니 에휴
@user-es5cy5xy6c
@user-es5cy5xy6c 5 жыл бұрын
영상이 처음부터 끝까지 적절한 긴장감 유지하면서 정말 재미지네요~~ㅎㅎ
@Mountain369
@Mountain369 5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유용한 영상 감사합니다.ㅎㅎㅎ빨리 쾌차 하시길~
@izumihiyorilove
@izumihiyorilove 5 жыл бұрын
독일의 기본력이 탄탄하기에 두차례 세계대전을 일으키고도 다시한번 일어나서 유럽연합의 맹주가 되었죠. 갠적으로 독일의 국민성을 보면 존경합니다.
@user-cf1oz1ww8c
@user-cf1oz1ww8c 2 жыл бұрын
@@user-cv9ki1nx3k1.독일의 내실을 다진건 히틀러가아니고.. 2.이토 히로부미는 독재자도아닌데요..
@cheawonjeon2717
@cheawonjeon2717 Жыл бұрын
@@user-cf1oz1ww8c 독재자 맞는데요 ㅋ ㅂㅅ이라 그러지
@user-pb2mf2uz4c
@user-pb2mf2uz4c Жыл бұрын
@user-ss7wt3hk8xㄴㄴ 대공황 이전에는 일본은 내지 한정으로 의원내각제가 잘 정착된 나라였음. 대공황이후 국가안정성을 위해 군부와 내각이 눈 딱 감고 군국과 국가주의로 달린거지
@user-pb2mf2uz4c
@user-pb2mf2uz4c 11 ай бұрын
@user-ss7wt3hk8x 대공황전에는 일제의 민주가 잘 작동하는걸로 알고 있었는데 틀렸나보네요.. 근데 지금 일본도 선거구제도 때문에 결함있는 민주주의로 불린다는게 함정..
@the_cosmos_
@the_cosmos_ 5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이런 꿀같은 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jimmy__sung
@jimmy__sung 5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잔님 정말 많이 배웁니다. 그 어떤 유튜브채널보다 유익하고 무엇보다 쉽게 이해돼서 보기가 좋습니다. 화이팅!
@username0318
@username0318 4 жыл бұрын
독일 국기 사람화한거 보고 짱구 생각났네
@jisuw2747
@jisuw2747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도요 상단 = 짱구 머리 중간 = 짱구 상의 하단 = 짱구 하의
@user-qp1py1im4e
@user-qp1py1im4e 4 жыл бұрын
헐 저 독일국기랑 벨기에 등등 구분 못했는데 이제 할수있겠음ㅋㅋㅋ 미키마우스같기도하고 (검:머리 빨:바지 노:신발)
@user-jc7fx8nc3w
@user-jc7fx8nc3w 4 жыл бұрын
@@user-go7lh6jf5s 어우 ㅈ노잼 뇌절
@user-ef3hm2xn1l
@user-ef3hm2xn1l 4 жыл бұрын
@@user-jc7fx8nc3w ㄹㅇㅋㅋ
@user-kq6zz8xw9j
@user-kq6zz8xw9j 4 жыл бұрын
게르만은 못말려
@story8888
@story8888 4 жыл бұрын
와우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 영상 퀄리티가 너무 좋네요!
@yyyy-qm4pm
@yyyy-qm4pm 5 жыл бұрын
영상 진짜 잘보고 있어요~역사 너무 재밌네요~ ^^
@user-vv6ch8zb8z
@user-vv6ch8zb8z 5 жыл бұрын
참 아이러니한게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은 유럽의 맹주가 됐고 일본은 아시아의 최강대국이며 세계경제 2위에 달성했었고 지금은 3위... 그리고 그 배경엔 미국이 있었고...
@wondaejang
@wondaejang 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미국이 끌어주는데로만 한다면 충분이 가능함. 삼성이라는 글로벌 기업도 있고... 그런데 그걸 가로막는 내부의적이 있으니...젠장할.
@user-re3vj5go5z
@user-re3vj5go5z 5 жыл бұрын
@@wondaejang 국제외교에 일방적도움이 어딨어요 다 지들 속내가있어서 도와주고 손절하고하는거지
@kanadaramaba
@kanadaramaba 5 жыл бұрын
머리가 모자라면 입이라도 열지말자 친구들 ㅋㅋㅋㅋ
@user-zv8ck2ki8t
@user-zv8ck2ki8t 5 жыл бұрын
@@user-lk6ur8ki4n 그건 시발 당연한거고요. 우리도 이익이 있고 그쪽도 이익이 있으니까 그런겁니다. 미국이 유니셰프인가요? 누구든 다 도와주게? 세계에서 동맹은 그냥 형성되지 않아요. 서로간의 이익이 있기때문에 형성되는거지 근데 우리가 미국이랑 엮여서 더 좋을까요 아니면 미국이 우리랑 엮여서 다 좋을까요? 미국이 군사데주죠. 그리고 기본적으로 우리를 성장시킨 배경도 미국 아닌가요?
@user-eh5gw2xx2h
@user-eh5gw2xx2h 5 жыл бұрын
@@user-lk6ur8ki4n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고 있고 우리는 미중 사이에서 선택할때 시기가 왔습니다 우리나라는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주변국과 같은 수준의 강대국이 아닙니다, 또한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이면서 사이에 끼어 있는 형국이라 강대국의 대리전 형식으로 전쟁이 벌어지기 좋은 위치에 있죠 중국편을 들었다간 경제가 거덜날것이고 미국편을 들었다간 중국이 싫어하겠죠
@martincho7398
@martincho7398 5 жыл бұрын
아주 유익하고 흥미로운 지식정보입니다. 깔끔한 나레이션은 첨화이고요. 많이 칭찬합니다. 감사.
@San-gr3vl
@San-gr3vl 5 жыл бұрын
독일이 하르츠개혁 성공 이후 저질의 일자리를 어떻게 해결해나갔는지 떨어진 노동권을 어떻게 회복하였는지에 대한 영상도 올려주세요~
@sayyone9014
@sayyone9014 4 жыл бұрын
어떻케 회복되긴요 시장에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고용주가 임금를 자발적으로 임금를 더 지불하면서 전체 고용시장의 페이가 시장의 힘에의해 자동으로 꾸준히 부작용 없이 올라가죠... 정부가 해고를 법으로 못하게하면 사업할려는 사람이 늘까요? 줄어 들까요?? 최저임금이라는 어처구니없는 커트라인 만들어 놓고 강제로 올려버리면 이역시 사업자가 늘까요>? 줄어들까요? 시장에서 자연적으로 오르고 내리고 해야 부작용이 없는데
@sanae412
@sanae412 4 жыл бұрын
시장에서 고용주가 자발적으로 임금을 올리는게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요..?
@sayyone9014
@sayyone9014 4 жыл бұрын
창업자가 많아지면 고용이 늘어나겠죠.. 우수한 직원를 고용할려면 다른 회사보다 더 나은 조건를 제시해야 ...너도 나도 창업해서 사업 할려는 사람이 늘어나면 시장에 구직자보다 직원채용하는 회사들이 많아져서 인력난이 발생하면 각 회사들은 사람 체용 할려고 임금를 올릴수밖에...이런 걸 설명해야 되나 답답
@sanae412
@sanae412 4 жыл бұрын
@@sayyone9014 그건 특수한 경우고요, 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사업자는 최대한 임금을 줄여서 이익을 추구하므로 '시장의 힘에 의해 자엽스럽게' 사업자는 최대한 적은 임금으로 노동자를 부려먹으려 들겠죠. 임금이 줄어들면서 노동자이며 소비자인 이들의 소비가 침체되면서 경제대공황이 일어났고, 이 때문에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게 된게 경제학 기초이론 아닌가요? 이런것도 설명드려야 하나 참..
@sayyone9014
@sayyone9014 4 жыл бұрын
무슨 특수한 경우인가요? 어디가서 소득주도 같은 경제학교과서에도 없는거 배워나요?본동영상에 하르츠개혁도 단기일자리라도 일자리 늘리고 해고를 쉽게해서 창업를 활성화 시키는게 주목적인데 아직도 이해가??? 안되나요..참고로 지금 하르츠가 취한정책 비슷하게 제일 잘하는 대통령은 트럼프인듯함;;;
@Moajo_s.p
@Moajo_s.p 5 жыл бұрын
빌헬름 2세도 망나니 히틀러도 이루지 못한 독일의 유럽 주도를 단 한방의 경제 상황으로 이루어 졌다. 지옥에 있는 이 분들은 어이가 없을 겁니다. 우리가 피 뿌리며 하지 못한 일을 그저 돈 하나로 끝낸 것이...
@Moajo_s.p
@Moajo_s.p 5 жыл бұрын
@빅파이원조 예 몰라서 미안합니다. 세계정복과 경제주도의 클라스 차이가 있다. 라고 생각하죠
@user-yw3bx9js8o
@user-yw3bx9js8o 5 жыл бұрын
@@Moajo_s.p 미안하면 다 입니까.
@user-cq7cb2em6v
@user-cq7cb2em6v 4 жыл бұрын
@@Moajo_s.p 사퇴하세요!
@Moajo_s.p
@Moajo_s.p 4 жыл бұрын
@@user-cq7cb2em6v 닥치세요
@leeahcl6942
@leeahcl6942 4 жыл бұрын
뭐야 반응들 왜이래
@user-jq9kd7rv4r
@user-jq9kd7rv4r 5 жыл бұрын
히틀러는 강제로 통일시키려 했는데 패망하고 알아서 동화되네ㅋㅋㄱㄱㄱㅋ
@user-du3ps7so2x
@user-du3ps7so2x 3 жыл бұрын
......
@Kudok-zakzak-plz
@Kudok-zakzak-plz 3 жыл бұрын
@@user-du3ps7so2x 얜 뭐야 ㅋㅋ
@jisuw2747
@jisuw2747 3 жыл бұрын
@@user-du3ps7so2x 흠........ 요즘엔 지옥에서도 유튜브 볼 수 있나보네 ㅋㅋㅋㅋㅋㅋㅋ
@karlmarx4574
@karlmarx4574 3 жыл бұрын
@@jisuw2747 시대 좋아짐
@jisuw2747
@jisuw2747 3 жыл бұрын
@@karlmarx4574 ㅋㅋㅋㅋㅋㅋㅋ 그러게요
@oooo6394
@oooo6394 4 жыл бұрын
오늘날 독일의 위치가 이정도였다니 새삼 놀랐네요 ㅎ
@HJ-je7iv
@HJ-je7iv 4 жыл бұрын
메르켈이 결정하고 마크롱이 공표한다. 그게 유럽연합이라고 독문학과 교수님이 말하시더군요...
@zinod7988
@zinod7988 3 жыл бұрын
실질(실무)적인 부분은 독일 외교(권위)적인 부분은 프랑스군요
@qwer1641
@qwer1641 3 жыл бұрын
해석 좀 해주실수있나요
@waterplant01
@waterplant01 3 жыл бұрын
@@qwer1641 앙겔라 메르켈 독일 연방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각각 현세대 독일과 프랑스를 대표하여 공식석상에 나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독일이 유럽연합의 실무를 담당하고 프랑스가 그에 대한 대외활동을 담당한다는 비유적인 표현이죠.
@dgl3283
@dgl3283 3 жыл бұрын
걍 경제는 독일이 짱이고 국방은 핵보유국인 프랑스가 짱이라는 뜻
@user-kt5mr6rr9h
@user-kt5mr6rr9h 3 жыл бұрын
@@dgl3283 대영제국은 어쩌다가 이렇게 됐노...
@jok3ror0
@jok3ror0 5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잔님의 '그러나'가 너무 그리웠습니다
@CalmDain
@CalmDain 5 жыл бұрын
헤에에에엑~~~??! 이것도 그리웠음
@user-hg7vm5ku3r
@user-hg7vm5ku3r 4 жыл бұрын
독일이 보면볼수록 진짜멋있는국가네 어떤국가는 한번도 못겪을 전성기를 여러번격고 어떤국가는 반망할정도의 위기에서도 살아남고 세계를 선도하는기술력ㅇ까지
@owalldal
@owalldal 2 жыл бұрын
다른 걸 떠나서 실수를 인정하는 자세가 멋있긴 함. 이건 인간사회에서도 마찬가지고.. 나를 비롯해서 '사과 하길 힘들어하는' 부류보다는 잘못을 했을 때 깔끔하게 사과하는 사람이 정말 멋있지..
@sdsda9162
@sdsda9162 Жыл бұрын
@@owalldal 유태인을 학살하고 유럽을 초토화 시켰으니 사과하지. 일본도 조선인이 아니라 유태인 학살하고 유럽을 초토화 시켰으면 매년 도개자 박음. 독일의 사과는 멋있는 게 아니라 그냥 힘의 논리임.
@insooceo
@insooceo Жыл бұрын
@@니애미1차 세계대전은 독일이 일으킨거라곤 보기 힘들죠
@hall_of_fame_
@hall_of_fame_ Жыл бұрын
​@@sdsda9162 이게 맞지
@user-gd4yt4pu9b
@user-gd4yt4pu9b Жыл бұрын
@@insooceo 독일이 일으킨거 맞는데요 뭐 직접적으로 보이지만 않을뿐
@khg6572
@khg6572 3 жыл бұрын
전쟁에서 지던 이기던 상관없이 유럽을 지배할 운명이었던 국가였다니 ...
@user-is6tc3tj3q
@user-is6tc3tj3q 2 жыл бұрын
트루 신성 로마제국 진정한 로마의 후계자 ㅋㅋㅋㅋㅋ.
@parkaustin5660
@parkaustin5660 2 жыл бұрын
@@user-is6tc3tj3q카이사르 오열
@user-dr8wv9vk3s
@user-dr8wv9vk3s 2 жыл бұрын
@@user-is6tc3tj3q 아 어쨌든 로마 제국 후계자는 독일이라고 ㅋㅋㅋㅋ
@user-jm6iw9nn7e
@user-jm6iw9nn7e 4 жыл бұрын
와 넘 잼있고 간결한 설명 감사합니다
@jklee746
@jklee746 5 жыл бұрын
일단 독일은 제조업이 깡패죠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리고 독일의 제조업은 가격이 경쟁력의 대부분인 다른 나라들과 다르고...
@yunghoonchun4388
@yunghoonchun4388 3 жыл бұрын
대신 IT, 서비스업은...
@NeeAmy
@NeeAmy 2 жыл бұрын
@@yunghoonchun4388 독일의 IT는 미국,일본,한국,싱가폴,중국,영국에는 안되지만 그래도 상위권을 차지하고있고 서비스업 의학같은 경우엔 아직도 독일이 1위임
@xodndwlq
@xodndwlq 2 жыл бұрын
독3사 말다했지 ;;
@user-dr8wv9vk3s
@user-dr8wv9vk3s 2 жыл бұрын
벤츠 bmw 폭스바겐만 봐도..
@ivantube377
@ivantube377 5 жыл бұрын
우리 아들과 함께보며 이야기 하고 있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b
@kimjin9349
@kimjin9349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항상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jaehyun6800
@jaehyun6800 4 жыл бұрын
설명도 재미있고 그림도 아기자기 귀여워요ㅎㅎ
@user-ik1ff4xy2p
@user-ik1ff4xy2p 5 жыл бұрын
너무 기다렸어요 ㅠㅠ 나중에 '미연준'에대해서도 다뤄주세요!
@user-fr6ms2bc7h
@user-fr6ms2bc7h 4 жыл бұрын
내용도 괜찮지만..... 그림이 너무 귀여워요 !!!!
@user-xf8lr6vf3f
@user-xf8lr6vf3f 4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밌어요 ㅜㅜ
@user-np4ym1ye4m
@user-np4ym1ye4m 5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좋은 동영상 봤습니다. 지식한잔님 구독버튼 눌렀어요 ㅋㅋ
@smilekang3300
@smilekang3300 3 жыл бұрын
예전부터 궁금했던 내용인데, 과거 프로이센, 독일 영토였다가 지금은 폴란드 땅이 되어버린 동프로이센 지역에 관한 영상 부탁드립니다. 그 지역이 원래부터 독일영토였는지, 그 땅에 잃으면서 그 지역에 살고 있던 독일인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등등. 감사합니다.
@NewRepublic4137
@NewRepublic4137 2 жыл бұрын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을 포함해, 해외에 있던, 특히 중동부 유럽의 "모든 독일계"의 절대다수는 독일로 강제 추방되었습니다.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우며 마구 먹어치웠던 나치 독일의 행태를 비롯해, 학살까지, 곱게 보일래야 보일 수가 없었고, 다시는 이런 명분을 들먹이는 일이 없도록 말이죠. 그래서 현재까지도 그 영토 내에 존재하는 독일인은 지역 인구에서 과반수는 커녕 10%도 차지하지 못하는 극소수만이 남아있습니다.
@user-zr6en4gq9e
@user-zr6en4gq9e 5 жыл бұрын
참고로 왜 제'4'제국이냐면 신성 로마 제국 (독일 제1제국) (962~1806) 독일 제국 (독일 제2제국) (1871~1918) 나치 독일 (독일 제3제국) (1933~1945)
@followyourleader3989
@followyourleader3989 5 жыл бұрын
총만큼 무서운 '약한 정책'들.
@and1807
@and1807 5 жыл бұрын
비스마르크는?? 안 처주는 건가요?
@user-rr8ev3xn2c
@user-rr8ev3xn2c 5 жыл бұрын
독일은 빛나던 시대가 많았구나
@user-kn9zd5bi6t
@user-kn9zd5bi6t 5 жыл бұрын
@@user-rr8ev3xn2c 빛나던 시대를 스스로 말아먹은게 문제죠. 제1제국이야 실권없는 간지만 남은 제국일뿐이고, 제2제국은 비스마르크가 공들인 프랑스 고립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아들 황제가 일을 그르치면서 결국 전쟁이 나서 망했고. 제3제국은 뭐 아시다시피 히틀러가 영국 정리 안하고 소련 밀다가 망하고 ㅡ.ㅡ 이번에는 잘하고 있네요. 떠맏듯이 받은 제국이라 ㅎㅎㅎ
@dd-cw8zb
@dd-cw8zb 5 жыл бұрын
로마제국이 독일에서 시작되었음???
@user-nh8ph2cb3m
@user-nh8ph2cb3m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r-jl5qf
@Mr-jl5qf 4 жыл бұрын
이거 완전히 히틀러의 독일몽 아니냐?
@noprcyesroc6383
@noprcyesroc6383 3 жыл бұрын
그래도 중국몽보다는 나은 결과네요
@user-ee2ky8zq6k
@user-ee2ky8zq6k 3 жыл бұрын
낙지몽
@karlmarx4574
@karlmarx4574 3 жыл бұрын
그리스, 작은 나라지만 독일몽 함께하기로...
@plethodon4830
@plethodon4830 3 жыл бұрын
독일몽 지지하겠다
@user-tz9vi5rj3s
@user-tz9vi5rj3s 3 жыл бұрын
@@noprcyesroc6383 훠훠훠
@hongkong917
@hongkong917 5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 ☺😊😀😁
@glaring-dog
@glaring-dog 5 жыл бұрын
와 형 동영상퀄리티 보고 구독 눌렀어요 사랑해요
@okhankim5512
@okhankim5512 4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LuciusKiBrutes
@LuciusKiBrutes 3 жыл бұрын
기술력이라는 베이스가 탄탄하니까 다시 일어난거임
@euler2.71
@euler2.71 3 жыл бұрын
???:독일의 기술력은 세계 최고오오오오오오오!
@Lepin_145
@Lepin_145 3 жыл бұрын
새해복 많이 받으새요~!
@user-jf9eu5tk4q
@user-jf9eu5tk4q 5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잔님 영상이 좋은게 모랄까 영상에서 말씀하실때 말할때 자신감이 있어보여서 더좋음 ㅎ
@parkstourgolf
@parkstourgolf 5 жыл бұрын
목소리 그래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wootaekjeong5027
@wootaekjeong5027 4 жыл бұрын
어려운 시기가 닥치더라도 기반기술과 제조업을 가지고 있는 나라는 망하지 않는다. 오히려 호기를 만났을 때 독일처럼 급격한 성장을 이루게 된다. 한국이 본받아야 할 점이 많은 나라다.
@adelheidriedel2444
@adelheidriedel2444 5 жыл бұрын
I have no clue what he is saying but I love it
@user-mx4kw3yi9t
@user-mx4kw3yi9t 5 жыл бұрын
기다렸습니다 ㅠㅠ 늘 좋은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user-zs8iq7cf4d
@user-zs8iq7cf4d 4 жыл бұрын
제목 보자마자 바로 좋아요 구독ㅎㅎㅎㅎ~~~~
@jhlee203
@jhlee203 4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채널입니다.
@S1Ba1nom
@S1Ba1nom 5 жыл бұрын
독일은 자기의 주제를 알고있음 자기 자신의 본 모습을 알고 발전하러고 노력함 4차 산업 혁명 또한 독일 가장 빠르게 움직이고 있고
@yunghoonchun4388
@yunghoonchun4388 4 жыл бұрын
4차 산업 혁명은 독일이 아니라 미국이 가장 빠르게 움직입니다 오히려 독일은 아날로그라 4차에선 별로인편
@vonbismarckotto8139
@vonbismarckotto8139 4 жыл бұрын
@완다완다튜브 도쿄가 뒤지게 큼
@NeeAmy
@NeeAmy 4 жыл бұрын
@완다완다튜브 원폭쳐맞고 석기시대인 땅이였는데 6.25덕분에 성장한거잖음
@user-ok5zs8vk3r
@user-ok5zs8vk3r 4 жыл бұрын
현재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독일은 IT쪽 최신기술이라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양자기술 연구수준이 거의 탑5안에 듭니다. 독일이 핸드폰 안만든다고 디지털이 아닌게 아닙니다.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등 현재의 일상생활과 거리가 있는 분야에서 유명하다보니 아날로그라고 오해하기 쉽지만 연구성과를 보면 확실히 앞서나가는 중입니다. 로봇산업도 마찬가지고요. 지멘스를 이유없이 외계인고문기업이라고 하는게 아닙니다. 또한 DLR은 세계적인 로봇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yunghoonchun4388
@yunghoonchun4388 4 жыл бұрын
A BC 독일이 4차산업에서 두각을 드러내는건 스마트팩토리인데 이것도 ‘근소’한 우위입니다. 그러나 4차산업의 ‘핵심’은 바로 인공지능인데 정작 독일 정부는 현 독일이 이 ‘인공지능’ 분야에 있어서 뒤쳐져있다고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비상대책반까지 만드는 상황인데 뭔 탑 5에 듭니까? 독일 현지 언론까지 갈 것도 없이 당장 영자신문만 검색해봐도 우려를 표하는 기사가 한둘이 아닌데 말이죠. 한국처럼 온 나라가 독일 환상에 푹 빠져있지 않은 이상 저런 소리 못합니다
@user-rd5ls1vu2p
@user-rd5ls1vu2p 5 жыл бұрын
10만 명 얼마 안 남았네요 ㅎㅇㅌ!
@user-yz2vu5pd9z
@user-yz2vu5pd9z 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40 만명인데 그때는 10 만명이었나보군요
@user-lg5mt4oj3g
@user-lg5mt4oj3g 5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처음와서 구독신청합니다
@koo6108
@koo6108 4 жыл бұрын
독일에 살았을때 독일은 정말 인성 교육을 잘받은 사람이 많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정이 많은 사람들이 많아서 길거리에서 곤란한 사람이 있으면 서로 도와주고, 전쟁에 대해서도 도시마다 유대인 박물관을 지어 놓고 교육을 하는걸로 들었습니다. 전쟁을 두번이나 격고 많은 일이 있었지만 다시 강국으로 자리를 잡을수 있었던데는 실패에서 배운 점들을 교육으로 해결한점이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러한 면들에서 독일사람들을 왜 합리적인 사람들이라고 하는지 이해가 되었었습니다.
@user-kk9eb3rn5b
@user-kk9eb3rn5b Жыл бұрын
파시스트 정권이 부활해서 영국, 프랑스 완전히 조져버려야하는데 말입니다..
@haticeturkmen5331
@haticeturkmen5331 Жыл бұрын
도와준다?ㅋㅋㅋㅋㅋ얼마나 살았나요?
@koo6108
@koo6108 Жыл бұрын
@@haticeturkmen5331 2년 살았는데요? 얼마나 살았나요?
@koo6108
@koo6108 Жыл бұрын
​@@haticeturkmen5331 인성이 별로 않좋으셨나봐요 아무도 도와주신 분이 없는걸 보면 저는 도움 많이 받았습니다. 좋은 분들도 많이 만났고요. 자신을 바꿔보시는것도 나쁘진 않을것 같아요 내가 좋아야 다른 사람들도 나를 좋게 대하죠
@user-sp6oq8nw8w
@user-sp6oq8nw8w Жыл бұрын
저 궁금한게 그렇게 인성좋고 합리적인 독일 사람들이 히틀러라는 미친놈을 대통령으로 뽑았나요 유태인 학살,슬라브 학살,집시 학살 유럽에서 어마어마한 학살을 저질렀거든요
@user-pb3tm4hl7k
@user-pb3tm4hl7k 5 жыл бұрын
유럽에 관해 흥미가 많은데 독일말고도 프랑스,이탈리아에 대해서도 다뤄주실 수 있나요?
@AlexanderPizzaro
@AlexanderPizzaro 5 жыл бұрын
Runald루널드 유럽 한국 = 폴란드
@JonSnow-uw2km
@JonSnow-uw2km 5 жыл бұрын
Runald루널드 유럽은 가보고 하는말임?
@user-ks7wo6pf7r
@user-ks7wo6pf7r 5 жыл бұрын
이테리 역사만 제대로 알아도 유럽역사의 뿌리를 배우는거라던데..
@junsulee4561
@junsulee4561 5 жыл бұрын
@@user-ks7wo6pf7r 고대로마에서 나온것들 이라서ㅋㅋ 로마가 대단하긴 함ㅋㅋ
@user-oq7sx6lx6m
@user-oq7sx6lx6m 5 жыл бұрын
@@tannedpotato5375 뭐야 이사람 여기도있네 신기하네
@user-sb3rn4oz8t
@user-sb3rn4oz8t 5 жыл бұрын
유럽연합에서의 독일! 이번 영상을 보니 더 강렬하게 다가오는 거 같습니다.
@youngminlim9151
@youngminlim9151 4 жыл бұрын
알수없는 youtube의 알고리즘이 나를 이곳으로... 구독..
@hisonicii1149
@hisonicii1149 5 жыл бұрын
구독함 ㅎㅎ
@user-dk2hs4tx3n
@user-dk2hs4tx3n 5 жыл бұрын
독일 저때 경제 개혁과 더불어 유로화의 도입은 정말.. 말도 안됐죠 끊임 없는 흑자를 기록해도 유로화는 유럽전체에 묶여있어서 가치가 쉽사리 변동하지 않아 경기 순환을 거슬러가고.. 어찌보면 한강의 기적보다 더 기적같은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gmi2053
@gmi2053 4 жыл бұрын
이 동영상을 보고 지식 한잔 유튜버가 굉장히 해박한 분임을 자각합니다 이런 류의 컨텐츠는 정치 역사 경제 등등 정말 해박한 지식이 없으면 만들기 어려운 것입니다 한국에 이런 뛰어난 사람들이 있다는게 자랑스럽습니다
@user-ks5zy4of1r
@user-ks5zy4of1r 3 жыл бұрын
이영상이 벌써 2년전이라니.. 엊그제 신규영상 알림 울린거 같은대ㅠㅜ
@user-mw7gm1zw5b
@user-mw7gm1zw5b 5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잔 채널 너무 좋네요ㅎㅎ 귀에 잘들어오는 느낌이고 기억도 오래남는 것 같아요
@user-si5jr1me4n
@user-si5jr1me4n 5 жыл бұрын
하지만 독일이 EU에서 선두적인 위치에 있다는게 큰 부담으로 오기 시작한지 제법 됐습니다. 그리스 사태,스페인/이탈리아 경제난, 동유럽 EU가입국 등 천문학적인 금액의 원조가 필요한 곳에 독일이 모른채 하지 못하고 뭉탱이로 유로를 쏟아 부어야 했고 시리아 난민문제도 타국에 비해 많은 부분을 감내해야 했죠. 지금 이 화면자료에 나오는 내용과 달리 독일 분위기가 지금 마냥 썩 좋지는 않아요..
@jisikdrink
@jisikdrink 5 жыл бұрын
독일 내부의 여론에 대해서도 좀 더 다뤘어야 했는데, 시간상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히 언급하지 못했네요. 영상 말미에 소개된 '마지못해 자리를 맡은 패권국가'라는 별명도 이러한 맥락에서 나온 말이 맞습니다.
@iscariotjudas7349
@iscariotjudas7349 5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통일하고 강대국은 되어서 우리나라도 독일처럼 되었으면 좋겠어요
@user-zz3mn3cs5m
@user-zz3mn3cs5m 5 жыл бұрын
@@iscariotjudas7349 과연 독일처럼될수있을까요 ㅠㅠ 통일비용보다 문제인게 세뇌되어있는 북한주민들을 어떻게 할지가문제일텐데 또 인권문제 남북차별 독일에 비해 더 힘든 문제가 생길듯해요
@user-xc4wg7lz3t
@user-xc4wg7lz3t 5 жыл бұрын
갓지노 서독, 동독은 갑작스런 통일에 경제 불화가 일어나긴 했지만 점차 극복해 나갔죠 서독 지도 아래 동독 지역에 많은 일자리와 공장 등이 생겨났구요 경제난 겪은것도 준비가 안되서 그런겁니다 만약 남,북도 서로 국가가 빈곤하면 통일은 멀리봐야하는 일이죠 하지만 우리나라 GDP도 11위 꾀 높은수준이고 점차 시간을 갖고 한쪽 지원 하에 통일이 된다면 똑같이 독일처럼 경제난이 생기지 않을꺼에요 무조껀 통일은 안된다 경제 개박살 난다 생각하지 마시고 점차 점차 양국이 어떤 조건하에 준비된상태면 가능할껍니다
@user-pt5mu8vn3s
@user-pt5mu8vn3s 5 жыл бұрын
@@jisikdrink 영상내리세염..
@ayj4759
@ayj4759 5 жыл бұрын
2:40 귀여워ㅠㅠㅋㅋㅋㅋㅋ
@user-pk7wg3hf1j
@user-pk7wg3hf1j 4 жыл бұрын
허억~! :O
@user-qe9tf7so2m
@user-qe9tf7so2m 4 жыл бұрын
잘봣음다!
@youtuberguy88
@youtuberguy88 5 жыл бұрын
지식한잔님 저는 어떠한 사상에 대해 편견 선입견이 없는데 개인적으로 영상의 흥미를 느끼며 열심히보는데 문득 의문이들어 궁금증을 적어봅니다. 결론에 파생된 과정의 결과가 팩트나 올바른것이냐 하기에는 뭔가 결과여 취중된것 같아보여서요. 결론에 파생된 스토리보다 모든 국가에서 다양한 입장에서의 의견이 객관적인 관점으로 영상제작이 되길 바랍니다.
@youtuberguy88
@youtuberguy88 5 жыл бұрын
편견과 선입견이 없다는것 거짓이지겠네요 다만 객관적 시각을원합니다.ㅎㅎ
@dshur
@dshur 5 жыл бұрын
아주 흥미진진했습니다. 우리가 지금 독일의 통일 이후 시점 같은 느낌이네요... 우리와 고용에 관한 정책의 질적인 차이가 있군요..
@44fladnag94
@44fladnag94 5 жыл бұрын
Steven Marvel 비정규직 양산 저임노동력 활용 이런건 다 비슷한데. 다만 한국은 실업급여 감축이나 자유로운 해고 같은건 아직 못하고 있지
@wnsgur1141
@wnsgur1141 5 жыл бұрын
말도안되는소리; 독일처럼 하려면 지금 노동조합 전부 박살내야됨.., 한국은 그냥 수렁속으로 빠지고 있는거 ㅇㅇ
@user-co9mw5lz8l
@user-co9mw5lz8l 5 жыл бұрын
김김김 니는 진짜 현실을 모른다 노동조합박살내면 니가 이득볼것같나?
@khk843
@khk843 5 жыл бұрын
@@wnsgur1141 노동조합의 경영 참여 권리나 권익은 독일이 더 노조편 들어주는데요;; 쟤넨 의무적으로 노조가 회사경영에 참여하게함..
@user-pb2mf2uz4c
@user-pb2mf2uz4c Жыл бұрын
@@wnsgur1141ㄴㄴ 오히려 아일랜드와 같이 사회적 파트너십이 잘 맺어져서 그런거임
@jeongminpark99
@jeongminpark99 5 жыл бұрын
독일이 없는 EU는 배터리없는 스마트폰.
@user-nx3td3bp6j
@user-nx3td3bp6j 5 жыл бұрын
오 비유 오진다
@invink6716
@invink6716 5 жыл бұрын
서울 없는 대한민국하고도 비슷함.. 한국은 사실상 서울공화국. 지방은 계속 씨가 마르고 있고 답이 없어보임.
@user-ff8in7fb3z
@user-ff8in7fb3z 5 жыл бұрын
@@invink6716 서울은 매년 8만명의 서울 유학생이 생기죺ㅋㅋㅋㅋㅋ
@daerang77
@daerang77 5 жыл бұрын
@@frk9900 이 좁은 나라에서 벌레니 뭐니 하는 니가 더 벌레같음 지역차별주의자 같으니라고
@frk9900
@frk9900 5 жыл бұрын
@@daerang77 우리나라가 좁은나라? 세계에서 중간인데.. 그리고 전라도가 범죄 많이 저지르고 다니는건 팩트
@user-jr8gv7gf9b
@user-jr8gv7gf9b 5 жыл бұрын
재밌는 영상 엄청 올려주시네요 감사합니당
@tkschannel9973
@tkschannel9973 4 жыл бұрын
I wish the google translate was more correct. Very interesting line of thought.
@lsynavy
@lsynavy 4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에 우선 감사~~...이런 자료들 만들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가만히 편히 앉아서 손가락 까딱하고 지식 습득을 하네요... 덕분에 심심하지 않게 많은 자료를 보고 듣게 해주셔서 정말 고맙습니다.
@San-gr3vl
@San-gr3vl 5 жыл бұрын
미국과 독일의 국가비교 영상도 궁금합니다
@deokhwahong7925
@deokhwahong7925 4 жыл бұрын
3:00 이거 무슨 영상이예요?? 직접 풀로보고싶은데요
@pink_dang
@pink_dang 2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본거 다시 보려고 들어왔는데 영상 중간에 자꾸 독일이 아닌 벨기에가 나오네요... 예를 들면 6:12 같은 장면에 있네요.
@user-zg8db7qo6h
@user-zg8db7qo6h 5 жыл бұрын
*"독일의 결정이 곧 유럽의 결정이다."*
@dykim8118
@dykim8118 5 жыл бұрын
@A UG 레알투르임
@user-ir8pd8ko5m
@user-ir8pd8ko5m 5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노란딱지가 붙습니다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5 жыл бұрын
@소비에트 러시아공화국 연방 군사력은 영국이 훨씬쌔고 핵보유 세계 4위임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5 жыл бұрын
@소비에트 러시아공화국 연방GDP 세계 5위 영국인데 무슨
@user-yw3si4vw2w
@user-yw3si4vw2w 5 жыл бұрын
@소비에트 러시아공화국 연방 영국이랑 독일이랑 한순위 차인데 뭔 돈차이 타령이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
@daeseongklm1651
@daeseongklm1651 2 жыл бұрын
독일은 2차대전 패전시 핵심공업지역이었던 루우르공업 지역이 기적적으로 거의 피해가 없었으며 전쟁중 소련군의 만행으로 동독지역의 피난민들이 대규모로 서독으로 이주하여 이후 독일 경제부흥의 초석이 되죠. 유입 되어
@messi4goalsinfrenchleague
@messi4goalsinfrenchleague Жыл бұрын
전쟁에서 지고 800만명이 강간당하고 학살당한 독일..
@WingedHussar-mo8ld
@WingedHussar-mo8ld Жыл бұрын
근데 핵심공업지대이며 철생산지인 알자스-로렌을 1차세계대전 이후 빼았기고 2차세계대전때 다시 뺐었지만 종전후 뺏기지 않았나요?
@U2HS1D
@U2HS1D Жыл бұрын
07:10 총통각하.. 🇩🇪 독일은 마침내 다시 일어섰습니다. 2023년 현재 유럽 GDP 1위, 세계 GDP 4위 1939년: 독일🇩🇪 GDP > 소련🇷🇺 GDP 2023년: 독일🇩🇪 GDP > 러시아🇷🇺 GDP
@dong-yisasmrsasmr1459
@dong-yisasmrsasmr1459 4 жыл бұрын
왘ㅋㅋ 오늘 첨봣는데 재밌게 잘 정리한것같아요 굿굿굿 !
@user-ul1iq5nh1x
@user-ul1iq5nh1x 4 жыл бұрын
캐릭터가 귀엽고,유튜브 닉값해주네요^^구독 누르고 갑니다
@user-py9tk6nm7u
@user-py9tk6nm7u 5 жыл бұрын
서독 동독 통일하고도 4위 유지라.. 대단한 경제력인듯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3 жыл бұрын
동독도 나름 공산권에서는 잘사는 국가여서 망정이였죠. 우리가 독일처럼 급작스러운 통일을 맞이한다면 독일의 몇배는 심한 경제적 후폭풍이 밀려올겁니다. 지금부터 통일 준비해도 20년은 봐야되요. 최소한 인프라랑 기반산업 정도는 깔아놔야되니까요.
@user-qm5xb9jw4i
@user-qm5xb9jw4i 3 жыл бұрын
통일전 단독 서독으로 GDP 2위였던 국가임
@user-qm5xb9jw4i
@user-qm5xb9jw4i 3 жыл бұрын
@화가괴물 원래 2위였다가 인구수 2배많은 일본에 추월돼서 3위.
@Tootootootool
@Tootootootool 3 жыл бұрын
Gdp보다 독일 8000만 인구가 1년 2000조 예산 쓰는 게 소오름
@user-qm5xb9jw4i
@user-qm5xb9jw4i 3 жыл бұрын
@@Tootootootool 2020년 미국은 980만 달러의 예산을 사용했음 1경 1300조에 달하는 예산임..
@oddie1427
@oddie1427 4 жыл бұрын
진짜 역사는 알면 알수록 소름돋네
@xodndwlq
@xodndwlq 2 жыл бұрын
소름보다는 재밌지 모지라
@ZIzonbubsa._.23
@ZIzonbubsa._.23 3 жыл бұрын
영상속 bgm좀 알려주세요 ㅠㅠ
@user-sk7qf6cp2z
@user-sk7qf6cp2z 5 жыл бұрын
그냥 잘나니 왕이된 케이스네 독일 진짜 대단하네
@finalsuccess575
@finalsuccess575 5 жыл бұрын
진짜 PPT발표 짱 잘하실 듯...
@andrewtyson9551
@andrewtyson9551 3 жыл бұрын
오프닝부터 울려퍼지는 독일국가로 독뽕이 차오른다.... ㅎㅎ
@Collaintp
@Collaintp Жыл бұрын
신성 유럽연합 제국 🇪🇺 🇩🇪
@user-uf9lp3gg6b
@user-uf9lp3gg6b 5 жыл бұрын
썸네일 엄청 귀엽네요
@user-rn6sd7rb5t
@user-rn6sd7rb5t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독일의 현대의 발전의 원동력에 대해 좋은 말씀을 해주고 있네요. 그런데 제가 보기엔 독일은 예전부터 유럽의 리더가 될 자실이 있던 나라였습니다. 대단한 인적자원 (인구, 전방위적 학문과 기술)과 국토를 가로지르는 커다란 라인강과 유럽치고는 넓은 땅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그 전에는 1류가 되기 힘들었던 것은 영국과 프랑스 등 주변국의 분열책과 견제 때문이었죠. 이건 좀 장기적으로 바라보는 이야기인데, 지금의 유로를 보면 과거 중국의 춘추전국시대를 떠올리게 됩니다. 그런 분열과 견제를 일찍 통일한 국가가 중국이었다면 유럽은 그런 분열이 계속 된거죠. 중국과 한족도 사실 따져보면 서로 다른 민족들이었고 서로 다른 세력들이 주류로 인정받기 위해 통합되는 과정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렇게 얼기설기 만들어진 것이 지금의 중국이고 한족이죠. 하지만 통치자들이 하나의 언어를 사용하고 하나의 사상을 받아들인 결과 지금의 중국이 되었죠. 그 반면 인도는 억지스럽게 통합이 되었지만 여전히 얼기설기 서로 다른 이질감을 가진 집단들이 도처에 있습니다. 그래서 중앙정부가 지방에 강력한 행정력을 미치지 못하죠. 유럽도 장기적으로는 이 둘 중의 하나의 길을 가게 될 거 같습니다. 그런데 확실히 주도하는 세력이 없다는 점에서 인도와 같은 고된 길을 어느 정도는 거쳐야 하지 않을까 하네요.
@user-kh3sp9mm7z
@user-kh3sp9mm7z 5 жыл бұрын
세계대전을 두번 일으킨거만 빼면 독일은 정말 전 분야에서 대단한 나라라는걸 느낍니다. 유대인들 만큼이나 게르만민족도 대단한거같아요!!! 유럽의 실질적인 리드는 독일인거같아요!!
@tomatozomulzomul
@tomatozomulzomul 5 жыл бұрын
세계 대전 일으킨것도 다른 의미에서는 대단한거 아닐까요 한번 패배의 쓴맛을 봤는데 두번째에는 거의 이길뻔 하다가 일본 미국 선빵 때문에 ,,,,
@user-kh3sp9mm7z
@user-kh3sp9mm7z 5 жыл бұрын
@@tomatozomulzomul 그렇게 조심스러울 필요없어요. ^^;; 인권이나 휴머니즘 사상을 떠나서 그냥 전략, 전술, 군사적인 측면에서 얘길 하자면, 님 말씀 맞아요!! 전쟁을 일으킬려면 경제력과 군사력이 바탕이 되어야 할수 있는거죠. ^^;; 스타 크래프트란 게임을 예를 들어서 말하자면, 게임을 할때 적에게 쳐들어갈려면 자원(경제력), 병력(군사력)이 충분해야 적을 칠수 있잖아요? 같은 이치입니다. 독일이란 나라도 경제력과 군사력이 되었기때문에 침략전쟁을 할수 있었던것도 사실입니다. 그런 점에서는 다른 의미로 대단하다고 할수 있죠. ^^ 그만큼 저력이 있는 나라고, 어려울때도 근면, 성실, 절제, 합심을 할줄 아는 나라같아요. 그러니까 두 차례 전쟁을 일으키고 나라가 패망했음에도 다시 일어났죠. 물론, 미국의 원조가 도움이 안되었다는 말은 결코 아닙니다. 미국의 원조가 있었고 국민들 개개인이 노력한 점도 높이 평가해야 겠죠. 운도 따랐다고 봐야겠죠.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소 양국을 기준으로 냉전체제로 돌입했기때문에 미국 입장에서 독일을 도와준것도 사실이니까... ^^ 그리고 통일이 되어서도 한동안 경제적으로 힘들었을텐데... 극복하고 유럽의 맹주, 유럽의 1등 국가가 되었잖아요. ^^ 대단한 나라, 대단한 민족이예요. ^^ 유대인만 위대한게 아니라 게르만 민족도 대단합니다. 게르만 민족이 세운 국가 중 못 사는 나라없잖아요? ^^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영국,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아이슬란드, 벨기에 일부 등...(미국도 큰 범주에서 보면 미국 인구 중 62%가 백인이고 그 백인들 중에 독일계, 영국계가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영국계와 독일계가 당연히 게르만계일 가능성이 높으니...그리고 일부 유대계 백인과 함께 미국도 게르만계 백인이 이끄는 나라이니 게르만계 국가라고 봐도 전혀 틀린 말은 아닙니다.) 다 게르만계 국가들인데... 잘 사는거보면 대단합니다. 어쩌다보니 독일 칭찬하다가 게르만민족 칭찬 게르만계 국가까지 칭찬한거같군요. ^^;; ㅎㅎ 아무튼, 앞으로는 독일에서 히틀러같은 인물은 더 이상 정치를 하면 안되겠죠!! ^^ 저는 1,2차 세계대전만 제외하고 독일이란 나라를 정말 좋아합니다!! 축구팀도 독일팀을 제일 좋아해요. ^^b
@tomatozomulzomul
@tomatozomulzomul 5 жыл бұрын
엑스리온 옹 ㅎㅎㅎㅎ 구렇죵 사실 세계 2차대전은 영국 프랑스ㅡ의 ㅡ 신분세탁 밑거름이 되었으니 ,,,, 무튼 무튼 감사합니당 !!!!
@user-kh3sp9mm7z
@user-kh3sp9mm7z 5 жыл бұрын
@@tomatozomulzomul 맞는 말입니다! 영국, 프랑스도 제국주의 국가로 약소국을 수탈하고 했었는데, 독일 나치 덕분에 영프같은 제국주의 국가 중 연합군에 속한 나라들은 자신들의 잘못들은 독일 덕에 싹 덮혔죠.;;; 그 중에서 윈스턴 처칠이 700만명을 죽게 하는것도 연합군 승리로 인해서 덮히게 되었습니다. 훗날 그 사실도 밝혀졌지만... 어릴때 위인전에서 처칠을 봤지만... 사실, 이 인간도 아주 나쁜놈이라고 생각해요.!! 그냥 인기영합주의 정치인일뿐이었습니다!! 전쟁 덕택에 영웅같은 위대한 정치인으로 포장된거죠;;; ㅡㅡ;;
@eunsung9071
@eunsung9071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2번의 세계대전에서 완패하고 저렇게 부활애 성공한것도 대단한거임
@user-go4iq1ow5v
@user-go4iq1ow5v 4 жыл бұрын
재밋다..
@FC-ot7bo
@FC-ot7bo 5 жыл бұрын
부지런한 국민성과 노력으로 바닥에서 탑티어로 오른 국가, 대단합니다! 우리나라도 비슷하죠. 조금만 더 나가면 됩니다. 화이팅!👏👏👏👏👏
@HavyOil
@HavyOil 4 жыл бұрын
1차 2차 대전 승전국 영국의 깊은 빡침이 느껴지네요.
@user-wu3bn6lb2s
@user-wu3bn6lb2s 2 жыл бұрын
영국이 개 못한것임 ㅇㅇ 영국이 세계최초로 자동차만들고 산업혁명하면 뭐해?? 독일 제조업이 더 좋음 사실상 제조업부분에서 일본이랑 비빌 수 있는 나라는 독일뿐
@user-ml6bl2wp8w
@user-ml6bl2wp8w 2 жыл бұрын
@@user-wu3bn6lb2s 독일이 일본이랑 비비는게 아니라 독일제가 비싸서 아쉬운대로 일제쓰는겁니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모든제품이 같은값이면 무조건 독일제가 좋습니다
@user-zg8db7qo6h
@user-zg8db7qo6h 2 жыл бұрын
@@user-ml6bl2wp8w ㄹㅇ
@user-dr8wv9vk3s
@user-dr8wv9vk3s 2 жыл бұрын
@@user-ml6bl2wp8w 둘다 비싼편인데 독일이 더 비싸니 그나마 일본껄 쓰는거죠 질적으론 독일제가 더 뛰어난건 맞으니
@user-nf4hs9gl9e
@user-nf4hs9gl9e 5 жыл бұрын
누가 독일 국기보고 밀대로 민 짱구라고 했던게 자꾸 생각나서 피식거리게됨
@ud35607
@ud35607 5 жыл бұрын
ㅋㅋ짱구 머리 빨간옷 바지or신발ㅋㅋ 비유 오지네
@cantspeakcantspeak79
@cantspeakcantspeak79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toyooka399
@toyooka399 4 жыл бұрын
비장한 배경음악 너무 맘에 든다
@user-ff4ng6ye2r
@user-ff4ng6ye2r 4 жыл бұрын
구독과 좋아여 누르고 갑니당 ㅎㅎ
@ThePen9963
@ThePen9963 5 жыл бұрын
네덜란드도 해주세요~
@user-vi9vs5iy1c
@user-vi9vs5iy1c 5 жыл бұрын
독일이 유로수장이 된게 그나마 다행아닌가 프랑스가 주도권잡는 것보다 훨씬 좋은 그림인듯
@invink6716
@invink6716 5 жыл бұрын
프랑스녀석들 그렇게 멍청한 놈들도 아닌거 같은데, 지도자마다 영 개판으로 뽑음 ㅋㅋㅋㅋ
@user-zv8ck2ki8t
@user-zv8ck2ki8t 5 жыл бұрын
@@invink6716 왜여? 다 좌파임? 마크롱은 우파아님?
@invink6716
@invink6716 5 жыл бұрын
아.. 지난 역사들 생각해보니, 유럽 상위국 기준으로는 좀 멍청해 보이긴 한다만... 이런 애들이 어찌 떼제베나 라팔같은 전투기를 만드는지 신기. 개신기. 영국도 다 말아쳐먹은 자동차 산업도 나름 선방하는것도 그렇고... 미스테리야.
@invink6716
@invink6716 5 жыл бұрын
@@user-zv8ck2ki8t 개인적으로 친한 프랑스 친구가 말하길 마크롱은 올랑드보다 더 거대한 똥이라던데 말입죠. 프랑스는 좌우 상관 없이 전부 똥임.
@invink6716
@invink6716 5 жыл бұрын
@@user-zv8ck2ki8t 그리고 착각하지 말아야 할게... 독일은 한국보다 훨씬 좌측의 정책을 가진 나라임. 좌파가 유럽망쳤다는 소리는 완전히 개소리. 좌파들이 만든 사회안전망이라도 있으니 그 위기에서 버티고 있는거임.
@bcj9440
@bcj9440 2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user-jl5dg5ls5m
@user-jl5dg5ls5m 4 жыл бұрын
구독할게요
메르켈은 어떻게 지지율 80%를 찍었을까?
12:53
지식한잔
Рет қаралды 384 М.
저출산 고령화로 집값 떨어지는 독일? [돈높이교육] / 스브스뉴스
7:04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7 МЛН
Khóa ly biệt
01:00
Đào Nguyễn Ánh - Hữu Hưng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이렇게 일해도 벤츠 BMW 만든다고 ㅋㅋ
11:19
지식한입
Рет қаралды 796 М.
유럽에 화장실이 없는 이유, 그리고 유료인 이유
8:22
지식 브런치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유고슬라비아는 왜 7개 국가로 찢어진 걸까?
11:27
지식한잔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우리는 정말 매트릭스 세계에 살고 있는 걸까?
21:44
리뷰엉이: Owl's Review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Super gymnastics 😍🫣
00:15
Lexa_Merin
Рет қаралды 10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