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마트 물가는 왜 이렇게 저렴할까? 현지인에게 물어봤습니다 | 돈스토리

  Рет қаралды 75,507

BNK금융그룹

BNK금융그룹

5 ай бұрын

세계 3위 경제 대국이지만, 장바구니 물가는 오히려 한국보다 낮은 편인 독일.
생활 물가 근황부터 독일 생필품 가격이 유독 저렴한 이유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독일 #마트 #물가

Пікірлер: 299
@ohhappydaygermany
@ohhappydaygermany 5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 영상에서 말씀드렸듯이 독일에서 쭉 살아온 저에게 물가가 ’올랐다‘ 느껴진다 라고 한 말이지 다른 의미로 말씀드린건 절대 아닙니다! 어디나 그렇듯 마트마다 같은 물건일지라도 가격이 다르고 BIO 물품 같은 질 높은 물건은 영상에 나온 값보다 비쌉니다! 한 영상에 독일 모든 물가를 담아내기는 역부족이지 않을까 하는 의견 남겨봅니다 그런 시선으로 영상봐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노하지마시고 오해 없으시길 바라며 😊 좋은 기회주셔서 재미있게 쵤영해봤네요~ 추억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모두 행복한 연말 되셔요❤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5 ай бұрын
BIO 식품이야 몸에 좋은 보약이니 비싸도 먹음.
@Bolee8499
@Bolee8499 4 ай бұрын
좋은 소식 감사합니다 😊
@jeh2023
@jeh2023 5 ай бұрын
독일서 3개월 살아봤는데 동네 마트에 파는 냉동빵도 엄청 맛있더군요. 한국은 물론이고 10년넘게 살고 있는 미국에서도 찾기 힘든 수준이었어요. 독일이 원체 농업이 강하고 주변 국가에서도 질좋은 곡물이나 식재료를 쉽게 수입할 수 있어서 그런거 군요. 독일가서 놀란 게 밭이 엄청 많습니다. ㅋㅋ
@user-zj4nd8sq4z
@user-zj4nd8sq4z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대기업이 어떻게 바가지를 씌울까 생각 하는거 같음~캔맥주 500 =475=375 이딴식으로 가격 헷갈리게 속여 파는 쓰레기들~
@YJ--
@YJ-- 5 ай бұрын
수향미 쌀밥맛있음
@Generallee85
@Generallee85 4 ай бұрын
미국살면서 독일에 밭이 많다고 놀라시다니.. 차로 3시간동안 밀밭,콩밭,옥수수밭만 보이는 미국이 흔한데여?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Generallee85 아르헨티나, 브라지우, 메히꼬, 카자흐스탄 이런데 가도 4~5시간 밭때기가 계속 펼쳐져 있는데 많음. 미국도 멕시코에서 저렴하게 농산물 수입하고 있음. 난 4년전 우크라이나에서 놀란게 버스가 3시간을 달리는데 계속 흑토만 나오는거임
@user-ou4vl4pj1t
@user-ou4vl4pj1t 2 ай бұрын
​@@Generallee85미쿡은 3시간이 뭐임? 30시간가도 말밭인나란데 ㅋ 호남평야만해도 2시간이상 달려야 지평선이 보인다 아가야 ㅋ
@JW-jb2zl
@JW-jb2zl 5 ай бұрын
독일은 빈곤청(?)이 있어서 리들같은 전문 저가상점은 정말 생필품 가격이 쌉니다. 알고 지내던 빵공장에 IT책임자로 일하시던분 얘기론 그런 저가 상점에 들어가는게 똑같은 품질이고 그냥 가격만 싸게 나갈 뿐임. 대신 파는 제품의 종류가 작기때문에 귀찮아서 거의 kaufland만 다녔슴. 다른곳과 달리 재활용 병을 사람이 직접 받아주기 때문에 정말 빠르게 처리할 수 있었다는게 제일 컸슴. 10년전쯤 얘기입니다.
@user-ds9tp9th1n
@user-ds9tp9th1n 5 ай бұрын
얼마전 한달동안 독일에서 휴가보냈는데 다른 유럽대비해도 정말 살기 좋은 나라였습니다.
@tkew3831
@tkew3831 5 ай бұрын
미국에 사는데 여기도 알디가 있어요. 가격이 독일과 비슷하며 정말 저렴합니다. 유기농제품도 팔고 공산품도 같은 제품이 다른마트에 비해 저렴해요. 품질 전혀 딸리지 않아요. 주거비는 비싸지만 마트 물가가 한국보다 매우 저렴해서 그나마 숨통이 트여요. 저도 알디 왕팬입니다. ㅎㅎ
@sebyeoky
@sebyeoky 3 ай бұрын
호주에도알기잇어요
@user-vd3kd4vp9y
@user-vd3kd4vp9y 5 ай бұрын
독일은 일부븐 마트물가도 나라 에서 컨트롤 합니다 . 그반면 한국은 유통 과정이 너무 많아 가격이 비싸지는거구요.한국은 정부에서 아무것도 하는게 없구요. 전세계에서 PB 상품 가격도가장 비싼나라가 한국이구요.가장 이해가지 않는점입니다 한국은 유통과정만 축소 해도 지금 말도않되는 마트물가가 되지 않을겁니다
@bowankim4185
@bowankim4185 5 ай бұрын
그놈에 유통 ㅋㅋㅋㅋ 사람사는데 다 똑같다 쥐뿔 사업한번 안해본 놈이 ㅋㅋ
@user-sf3ph4ts3s
@user-sf3ph4ts3s 5 ай бұрын
생산성이 떨어진다 들었습니다..인구도 적구요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5 ай бұрын
답은 쿠팡이 농산물 유통에 뛰어드는 것밖에 없죠. 님 말처럼 유통과정 줄여보겠다고 지원금 지급하면서 농어업인 직배송하고 있는데도 가격이 낮아지지 않았죠. 농어업인들이 지원금 받으면서 직배송하면 가격을 더 낮춰서 팔아야 하는데 조금이라도 더 마진을 남기고자 시장가에 파니까 변한 것은 없었습니다. 인간의 욕심이라는 것을 간과한 것죠. 결국에는 가격을 더 낮게 팔아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한 거였어요. 가격을 더 낮게 팔아도 쿠팡같이 유통과정을 혁신해서 그것을 상쇄해서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소비자 효익도 늘리는 그런 것이 필요한 거에요. 유통과정축소는 이미 현실적이지도 효과적이지도 않다고 결론난 고리타분한 대책입니다.
@econandpower
@econandpower 5 ай бұрын
​이 점에 대해서 반론이 있는데요, 쿠팡과 같이 유통시장 지배적으로 되려고 하는 기업의 문제는 독과점 문제가 발생한다는 거죠. 아마존이 가격이 떨어져서 소비자들이 이득을 본다고 규모의 경제를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후에 소비자들은 효용을 보지만, 아마존으로 망해버린 기업들, 낮은 임금으로 근로하는 노동자들에게 발생하는 문제가 가격이 낮아지면서 소비자들이 얻는 이득보다 나쁘다. 그래서 독과점은 여전히 나쁘다는 식으로 결론났다고 들었습니다. 또한 낮은 가격 또한 유지할지 장담할 수 없습니다. 시장지배적 기업이 되는 동안 유지하면서 적자를 많이 봤기 때문에 주주들은 손해 돌려받고 싶잖아요. ott 서비스들이나 유튜브만 해도 가격 은근슬쩍 올리고 있죠. 유통시장도 그러지 말란 법 없습니다. 그리고 자유경쟁이라는 대안이 있죠. 품목 수 혹은 경쟁자를 많이 늘리면 자연스럽게 가격은 낮아질겁니다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5 ай бұрын
@@econandpower 정부규제 때문에 독과점은 생각보다 쉽지 않고 독과점으로 가격을 올린다고 해도 무분별하게 올리지 않고 경쟁자가 나타나지 않을 정도로 올릴 것입니다. 그리고 유튜브가 독과점이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기술과 자본만 된다면 언제든지 경쟁자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을 틱톡이 보여주고 있잖아요. 또, 광고 본다면 무료정책은 유지하고 있으니까 가격 올렸다는 것에서도 소비자 효익이 줄었다고 보기 애매하고요. 또 넷플릭스의 경우도 호시탐탐 자기 자리를 노리고 있는 아마존, 디즈니.. 등 쟁쟁한 경쟁자들 때문에 독과점도 아니고 가격을 올리는 것에 한계가 있을 것입니다. 카카오뱅크가 고인물 은행들이 개답답한 은행앱들을 개선하도록 환경을 조성해서 소비자 효익이 늘어나듯이 쿠팡의 혁신을 보고 기존의 유통업체들도 따라하겠죠. 이미 다른 이커머스 기업들이 쿠팡 따라하듯이 말이에요. 경쟁자를 늘린다고 제2의 농협을 만들어도 유통시장에 변하는 것은 없을 거에요. 어느 나라나 똑같이 조직이 늙어버리면 유연성이 떨어져서 변화하지 않습니다. 또, 경쟁자를 늘리는 효과를 주고있는 농민에게 직배송하게 하거나 대형마트 견제한다고 전통시장에 정부지원 늘리는 쪽으로 하면 안 된다는 거에요. 기술과 자본이 있는 곳에서 하게 해야죠..
@javaxerjack
@javaxerjack 5 ай бұрын
1. 일단 제가 이 지방에서 경악했던건 미국만큼은 아니지만(비행기 타고 하루 밤 내내 날랐는데도 아직도 동부에 도착 못했어) 이 지방도 밭이 끝이 없이 이어져 있습니다. 그 수준이 거의 100km 단위 수준?(고속도로로 1시간 주행 하는데 양쪽으로 밭, 밭, 밭 가다 가끔 도시 하나 있는 수준) 2. 이 거대 평야를 기업농들이 대단위로 기계화 경작을 하니 가능한 생산성이지 그냥 되는건 아닙니다. 3. 18~19세기 부터 순수 과학 뿐만 아니라 응용 과학에도 꾸준히 투자를 한 결과. 4. 복잡한 유통 과정 없이 수매. 한국에서 이게 제대로 지켜지는건 '쌀'뿐이죠.
@seaname1
@seaname1 5 ай бұрын
90년대 초반부터 유통과정 줄여야한다고 이야기나왔는데 안됬음
@javaxerjack
@javaxerjack 5 ай бұрын
@@seaname1 90년대? 80년대 부터 그 이야기 나왔어요.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5 ай бұрын
수매가 어떻게 가격을 낮추는 요인이죠? 일정량을 시장에 격리하여 가격 떨어지는 거 방어하는 기능 아닌가요?
@javaxerjack
@javaxerjack 5 ай бұрын
@@declinedtosignonstagnant5402 쌀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쌀은 국가가 쌀 때 구매를 해서 가격이 올랐을 때 저장미를 시장에 풀어 가격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식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johanninekim6390
@johanninekim6390 5 ай бұрын
유럽은 사실 거의 하나의 경제 공동체입니다. 물가가 저렴한 가장 큰 이유일 겁니다. 바나나 같은 역외 생산품도 EU의 유로 화라는 단일 화폐로 구매하니 저렴할 수 밖에 없습니다. 대신 포르투갈 그리스 같은 산업 중진국은 후진국으로 꼴아박게 돼죠. 아일랜드 처럼 작심하고 나라 전체를 면세점처럼 운영해야 살아남는 거구요
@twk1033
@twk1033 5 ай бұрын
역시 세계최고 우유가격 한국 ㅋㅋ
@user-mir9711-no.1
@user-mir9711-no.1 5 ай бұрын
우유 ㅈㄴ싸게팔고 외식물가 2배 올리면되겠네 독일처럼? ㅇㅋ???
@Buildinglord
@Buildinglord 5 ай бұрын
​@@user-mir9711-no.1어차피 저는 외식 별로 안해서 상관없긴 함. 그리고 외식물가 비싸지면 어차피 소비자들은 안가면 되는데 우유같은간 안살 수가 없음 ㅇㅅㅇ
@user-nd7vn5hh5t
@user-nd7vn5hh5t 5 ай бұрын
@@user-mir9711-no.1ㅇㅇ 차라리 그렇게 해라 기초생필품가격을 잡는게 먼저지 외식가격은 알바냐
@rafina2276
@rafina2276 5 ай бұрын
한국도 노브랜드 우유는 그런대로 쌉니다. 유통이 제일 문제
@soso-ii5ns
@soso-ii5ns 5 ай бұрын
빵값도 최고비쌈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저게 정답이지 서민들이 주로 집에서 만들어 집밥먹게 하고 외식을 줄이는 방향으로 마트물가를 싸게 하는게 정답이지 근데 한국은 반대임 물가 비싸니 집에서 건강한 밥을 만들어 먹어야 하는데 오히려 외식을 하게 만들 정도로 마트물가가 ㅈㄴ 비싸니... 심지어 그 외식 조차도 가면 갈수록 비싸져.... 그러니 당장 밥을 못먹는 경우도 한번씩은 나오고 괜히 한국이 망해가고 있는게 아냐...
@summ3r736
@summ3r736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농업에 투자를 더 해야합니다. 의식주 그 중에서 특히 식은 가장 원초적인 욕구이자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아니겠습니까? 더군다나 유사시 양안문제가 발발하면 말라카 해협으로 수입하는 식량과 에너지도 부족할 수 있기에 식량안보는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거 같습니다.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IIilliiLiiiLi.lIiiiLlil1lliIII 5 ай бұрын
농민들이 거부함. 기업농 대농하자하면 발작함
@user-nd7vn5hh5t
@user-nd7vn5hh5t 5 ай бұрын
토지문제도 있어서 자급자족은 못함
@TTL-oe5yz
@TTL-oe5yz 5 ай бұрын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중국도..선진국은 다 기본이 농업국가임..한국에서 농업을 무시하고 발전의 장애물처럼 생각하는 게 이해가 안 됨..그놈의 토건족 때문에..농지 풀어서 아파트, 공장 지으려고 발광..
@playercembalo8248
@playercembalo8248 4 ай бұрын
투자하면 뭐함. 국가 시스템이 사기이고 국민성이 멍멍꿀꿀. 백약이 무효. 그냥 포기하고 헬조선에 태어난 죄로 할수없이 삽니다.
@user-xu4vy3mm5m
@user-xu4vy3mm5m 4 ай бұрын
​@@TTL-oe5yz우리나라와 사정이 비슷하게 태생적으로 농지면적이 좁은 일본도 기업농으로 전환했는데도 쌀을 제외하면 자국 곡물 메이커가 해외에서 수입하는 방법을 선택했을 정도라 섵불리 생각하는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농업기술과 토지당 생산성은 좋은편이나 앞에 나열한 국가들처럼 대규모의 농지가 존재하지는 않아서 규모자체가 제한되니까요.
@eyeofbong
@eyeofbong 5 ай бұрын
옛날 영국 곡물법 논쟁과 비슷한 겁니다. 만약 우리나라도 대기업이 농지를 대규모로 사들여서 농사를 지을 수 있게 전면적으로 허용하고, 수입농축산물에 관세를 안 물리면 최소 절반 이하로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그 대가로 지금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실업자 되거나 최저임금 받고 대기업 농장에서 일하게 되겠지요.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5 ай бұрын
독일의 농업 경영자는 대학을 나와 10년 이상의 경력을 쌓고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하는데다가 조합이 모든 것을 사회에 맞게 조절합니다. 한국 대기업은 정부와 짜고 올리는데 여념이 없습니다.
@hmjeon8609
@hmjeon8609 5 ай бұрын
생산자에게 직접 사도 엄청 비쌈.. 친구 가 과수원 햐서 백화점 납품하는데.. 납품가가 판매가의 70%정도..
@hwangs87
@hwangs87 5 ай бұрын
경쟁이 중요한 이유죠 독일은 그렇게 신경 쓸 수 밖에 없는게 바로 옆 프랑스가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농업 강국 이다 보니…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hwangs87 프랑스나 독일도 실제적으로 농산물은 동유럽 최빈국들에서 나오는 농산물 수입합니다. 몰도바,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세르비아.... 이런데서 재배되는 작물들 밭떼기로 구입해요. 까르뿌, 까우플란드나 리들도 다 그짓하고 있는거죠
@user-hm8hz7wb5v
@user-hm8hz7wb5v 5 ай бұрын
팬이에요 잘보고갑니당ㅋ
@user-ch6op1xe3h
@user-ch6op1xe3h 3 ай бұрын
저도 독일살구요. 슈트트가르트가 강남으로 비교되다니 웃고갑니다. 하하
@cp-sb6cp
@cp-sb6cp 5 ай бұрын
독일 빵은 맛있지요. 그러나 독일 장바구니 물가가 코로나 이후부터 너무 올라서 독일도 예전의 독일이 아니더군요. 지난 12월달에 3주 갔다왔는데 집값도 너무 올랐지만 월세도 같이 너무 올라서 ㅜㅜㅜㅜ ( 현재 집값은 조금 내리려는 추세..) 현재 베를린에서는 직장구하는 것보다 방구하기가 더 어렵다고 한답니다....
@econandpower
@econandpower 5 ай бұрын
독일이 농업 보조금 지급하는 것에 대해서 통상문제는 없나요? wto 농업부분이 합의가 안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보조금 문제는 국제통상에서 priority로 다뤄지는 주제 중 하나라고 배웠는데요
@houstoncity
@houstoncity 5 ай бұрын
독일은 한국과 달리 농업시장 개방국이라서;;
@user-hv2rz2gh9d
@user-hv2rz2gh9d 5 ай бұрын
세계 최고 빵 "가격 독인지인 한국와서 파리바게트"가격보고 기절 할뻔 했다고 하더군요 ㅋㅋㅋ밀가루 최저가격인데 이해불가라고 ㅋㅋㅋㅋ
@user-bl6rp8dk1e
@user-bl6rp8dk1e 2 ай бұрын
그마저도 쓰레기같은 공장빵들..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심지어 수재도 아니고 공장빵임ㅋㅋㅋㅋ 이런데도 과연 기업들 제제를 없애고 감세 하는게 맞는지 모르겠다.... 부자들이 혁신은 별로 일으키지 않고 돈욕심만 과하고 자국민들을 호구로만 보는데...
@vivioolet5218
@vivioolet5218 2 ай бұрын
잘 정리해서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
@user-ru3zs1yc3f
@user-ru3zs1yc3f 5 ай бұрын
독일가서 농사 짓고 싶네요. 우리나라는 농업을 홀대하는데.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그전에 아시안이라고 사람취급 못받음. 독일이 나름 아시안에 대해 인종차별이 꽤 있음
@user-sb8ve3ew2h
@user-sb8ve3ew2h 4 ай бұрын
독일에 살고있는데, 여기서 또 언급하지 않는것중 하나는 바로 종자에 대한 권리입니다. 독일이 세계에서 종자에 대한 권리를 제일 많이 가지고 있으며, 아스피린으로 잘 알려진 바이엘이라는 제약회사가 종자에 대한 권리가 많습니다. 심지어 우리가 먹는 청양고추 종자에 대한 권리도 독일에게 있습니다(IMF때 한국 기업이 소유한 청양고추 종자에 대한 권리를 넘겼죠). 한국이 가지고 있는 종자에 대한 권리는 매우 낮습니다. 농업에 근간이 되는 종자에 대한 투자도 잘 이루어져야 합니다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IMF 때 유명한 종묘회사들이 미국이나 스위스, 일본 종묘회사에게 전부 팔렸음. 청양고추 특허권은 멕시코 종묘회사인 세미니스한테 넘어갔는데 이 세미니스 지분을 미국 공룡 종묘회사인 몬산토가 사버림. 근데 이 몬산토도 바이엘한테 먹힘 ㅋㅋㅋㅋㅋㅋ
@user-rh2vt8cy2t
@user-rh2vt8cy2t 5 ай бұрын
아..독일살이 10년차.처음엔 독일물가 싸다 좋아 했습니다. 물론 주변국가에 비해 싼거 맞습니다. 독일물가가 싼이유는 두가지입니다 부자들이 백종원형님처럼 경영합니다. 돈으로 마진적게 남기고 팔기. 자체 농장에사 고기키우고 야채키워서 수급하기등등으로요. 그게 독일 순위 10위부자들이 세운 Lidl혹은 Aidi라는'수퍼마켓이구요 '독일 월급이 많지 않아서.. 독일 1000유로가 한국물가 100만원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간호사 월급'세전 400 세후 220. sk같은 vodafone 세전 460 세후 250. 일반큰기업이 350. 독일 시립교향악단하시는분들은 월급 300만원이 안되시더군요. 이게 현실입니다 주변에 시립악단에 다니며 아이3명키우셨던 노부부는 아직집한채 없으십니다. 여기가 북한인가 싶을정도로 가난한분들밖에 없어서 정말 놀랐습니다. 한국은 10만원이상 친구들이나'지인 선물이 당연한데요. 여긴 2만원이상 선물이 부담스어울정도로 가난하시더군요. 동독아니고 서독지역인데도요. S전자' 맞벌이 다니다가 독일로 이직하고 외벌이로 바뀐 주변인은 40%이상되는 의료비 세금빼고나니 4인가족 살려면 빠듯해 한국못간지'3년된분도 봤습니다. 부모님'도움없이 외벌이 4인가족. 한국이든 독일이든 돈없는건 매한가지. 또한 독일도 월급이 작아 벨기에 혹은 스위스 국경에 살며 벨기에로 스위스로 일하는사람 많아요. 그리고 삶은 물가싼 독일에서 살죠. 그래도 치안이 다른유럽에 비해 안전하고 물가싼건 감사하죠. 그렇다고 살기좋다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
@user-mb5xu3oq8l
@user-mb5xu3oq8l Ай бұрын
너무 정확하게아시네
@KrMorgan12
@KrMorgan12 18 күн бұрын
그냥 2016년 까지 집값이 저렴해서 식품물가가 비싸도 훨씬 윤택했음. 지금은 집값이 올라가서 병신됬고
@noolie98
@noolie98 4 ай бұрын
독일 사는데 반대로 물어보고 싶다. 한국 외식비, 국밥, 제육, 돈까스, 백반은 왜케 싸냐? 왜케 유독 쌈? 계란 10개 2500원은 한국도 한판 30개 7천원짜리 천지임.
@ah_sex_hagoshipda
@ah_sex_hagoshipda 5 ай бұрын
마트 물가는 싸죠. 근데 독일은 거둬들이는 세금이 박살나는것도 아셔야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솔로면 그냥 월급의 절반이 세금이에요
@Jakala837
@Jakala837 5 ай бұрын
이제 곧 한국의 ㅁ래😢
@Space-gw3yj
@Space-gw3yj Ай бұрын
한국도 연봉 높으면 40프로 가량 세금 으로 때려 맞아요. 물가는 다 비싸구용
@user-lw2jg7nl8w
@user-lw2jg7nl8w 5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
@James-tv-
@James-tv- 5 ай бұрын
저도 지금 독일 살고 있는데 확실히 한국보다 마트 물까 저렴 합니다
@user-lw2jg7nl8w
@user-lw2jg7nl8w 5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xu4vy3mm5m
@user-xu4vy3mm5m 4 ай бұрын
우리나라의 높은 식료품 물가가 좁은 농지면적에 너무 영세한 농가들이 대다수를 차지해서 어쩔 수 없이 발생되는 문제이기는 합니다. 대규모로 규모의 경제를 십분 활용해서 생산비를 줄이고 효율성을 극한으로 올리거나 개도국들처럼 인건비가 낮아서 생산비가 적은 방식으로 식료품의 가격이 저렴한 경우가 대부분인데 너무 작은 농가규모로 인한 비효율성 + 높은 생산비 때문에 운송비가 더 드는 외국농산물하고도 경쟁이 불가능할 정도로 가격이 너무 높습니다.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거기다 너무 비리적으로 많이 남겨먹을라는 중간유동들도 문제가 많죠 괜히 나라가 망해가고 있는게 아닌듯 합니다...
@user-hk7og5fu4m
@user-hk7og5fu4m 5 ай бұрын
독일에 쭉 살았는데 발음 너무좋네 퍼팩트
@mn04147
@mn04147 4 ай бұрын
사람들이 말하는 유통마진에 대해서도 영상 만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항상 우리나라 물가 이야기할때는 유통과정에서 뻥튀기가 너무 심하다라는 말이 항상 나오는데 그게 어느정도까지가 사실인건지 모르겠어요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5 ай бұрын
밀이 아니고 고기가 주식. 05년도에 와인 1.2아이였는데 많이 몰랐군요. 슈투트가르트 이발요금 12-3유로. 모든 업종이 경영자가 되려면 대학을 나와 수습기간을 거쳐 마스터 자격시험을 통과해야 하다못해 리어카 장사도 할 수 있다.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근데 솔직히 그게 맞는거 같습니다 한국은 근본도 없는 사람들이 너무 무지성으로 쉽게 장사하는지라.... 그래서 수도권 빼곤 수재명인 음식점들이 적고 그놈의 지루한 프챠들만 널렸죠
@jonykim7382
@jonykim7382 5 ай бұрын
샴푸도 7천원이 아니라 리터당 7천원꼴이고 제품가격은 약 2천원이었네요
@sukholmes1066
@sukholmes1066 2 ай бұрын
독일의 서비스가 비싸지만, 제가 사는 캘리포니아에서는 시골에서도 도시같이 service업이 아주 비쌉니다. 예를들어 뭐 고치려고, handyman 한테 한시간에 40불을 주어야 합니다. 뭐든지 비싸지요. 그래도 집에서 음식을 해먹으면 됩니다.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그쪽은 월급이랑 비교하면 만들어 먹는 물가는 괜찮은 편인가요?
@munkilee4105
@munkilee4105 5 ай бұрын
간략하게 말하면 한국처럼 유통마진이 거의 없음. 그래서 싼거임.
@onedirectionniall8381
@onedirectionniall8381 5 ай бұрын
슈투트가르트가 강남이에요? 프푸나 뮌헨 아닌가 ㅋㅋㅋㅋ
@leej2729
@leej2729 5 ай бұрын
독일은 시장 사회주의 국가 입니다. 따라서 시장 경제의 국가 개입이 있습니다. 아울러 국가 기본 마인드가 먹고사는 것에 있어서는 부자든 아니든 다들 평등(?)하게 먹고 살게 만들고 그 이외 기호/사치 물품에 관해서는 우리나라 보다 아주 높은 실정입니다.
@lifelogbyj
@lifelogbyj 5 ай бұрын
aldi과 lidl은 costco처럼 한품목에 대한 여러 브랜드가 아니라 가장 싸게 공수할수 있는 한두개 브랜드만 놓고 팔고 (그마저 메이저브랜드는 아닌점이 costco와 다름), 창고형으로 놓고 팔며 계산하는 사람도 적어 줄도 길게 섭니다. 이런 유통 타입이 한국에 없을 뿐입니다. (하지만 독일인들도 메이저브랜드 제품을 사려면 다른 마트로 감 즉 aldi만 가는 사람은 없음) 그리고 독일 잡화/화장품점 dm은 여기는 차로 다 이동할수 있기때문에 유럽 주변국들에서 건너와서 막 쓸어담아갑니다. 실제 국경근처에 dm매장이 엄청나게 많음 유럽에 제조업다운 제조업을 하는 나라는 독일뿐이라 그런지 성분도 좋고 PB상품도 많아 가격이 저렴해서겠는데 아무래도 워낙 구매자가 많다보니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즉, 한국은 규모의 경제 안됨. 규모의 경제가 안되니 aldi같은 유통타입을 만들 유인이 적음 즉, 이러나저러나 인구가 적고 섬나라라 이렇게 살수밖에 없는게 아닌가 싶음. 그 상황에 더 인구 줄어들음.. ㅋㅋ 하
@playercembalo8248
@playercembalo8248 4 ай бұрын
뭔 개소리, 유럽 다른 나라도 헬조선보다 쌈. 그냥 사기의 민족이라 비싼 거임.
@leesunwu5025
@leesunwu5025 5 ай бұрын
심지어 엄청난 물가의 스위스에서도 알디 마트에 가면 한국 보다 훨씬 저렴했었죠 ;; 미국의 홀푸드나 영국의 웨이트로즈 같은 좋은 마트들도 한국의 미친 가격에 비하면 혜자임. 한국은 사실상 중국과 붙어 있는 수준이고 저런 나라들보다 인건비도 훨씬 낮은데 식자재 가격은 정말 개같이 높은 이상한 나라
@jiseo6298
@jiseo6298 5 ай бұрын
중국과 바다 건너 붙어있지. 배로 넘어오는거 차로 오는거 어느게 더 쌀까?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솔직히 그래서 물가 그나마 낮추는 좋은 방법이 물량 풍부한 중국, 러시아산 식재료를 수입하는건데 하필 지금 대통분이 손절치며 수출도 바로 적자 40% 만들었죠 ㄸ리고 싶은 놈...
@sjyang3442
@sjyang3442 4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 농업을 키워야합니다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한국에 토지가용율이나 보고나서 농업키우자고 하세요 ㅋㅋㅋㅋ 한국은 땅덩이 크고 인건비 저렴한 멕시코나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태국, 카자흐스탄 농업 못이겨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CereJYP08
@CereJYP08 5 ай бұрын
한국도 소규모 농장들 줄이고 대규모 농지를 만들어야하는데 조선시대 마인드를 벗어나지 못해서.
@jambread848
@jambread848 4 ай бұрын
여기는 호주인데 여기도 고기 과일 우유 치즈 버터 이런거 한국보다 훨씬 쌉니다.
@dr.9650
@dr.9650 5 ай бұрын
알디는 저가형 마트지만 그로 인해 제품의 품질도 저가형임. 보통은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위해 rewe나 edeka에 가는 편이고 그럴경우 가격은 저렇게까지 낮진 않음. 차라리 비교할거였으면 가장 격차가 큰 과일로 했어야함. 슈투트가르트면 나름 큰 도시이긴 하지만 강남이라고 말하기엔 어폐가 있고 10평 풀옵션에 100만원이면 조금 비싼 수준일 뿐 강남권에 비교할만한 독일 대도시 시내라면 월세는 더 비쌈.
@JW-jb2zl
@JW-jb2zl 5 ай бұрын
품질이 낮은 제품도 팔고저가형 제품만 팔긴 하지만 공산품이나 빵같은 경우는 같은 품질의 제품을 반가격 이하로 팝니다. 소득이 어느정도 되는 사람이야 REWE나 KAUFLAND가지만 소득이 낮은 사람들을 위해 다른 가게의 정상포장(상표) 반이하 가격으로 판다는건 정말 도움이 되지요.
@tkew3831
@tkew3831 5 ай бұрын
유기농도 있고 품질 좋아요
@onedirectionniall8381
@onedirectionniall8381 5 ай бұрын
슈투트가르트보고 강남이라그래서 웃었음 ㅋㅋㅋㅋ 뮌헨이나 프랑크푸르트지 ㅋㅋㅋㅋㅋ 그리고 독일엔 강남만큼 부유한곳 없다!
@onedirectionniall8381
@onedirectionniall8381 5 ай бұрын
심지어 배를린도 요즘 혼자 살면 원룸 1200 유로임
@playercembalo8248
@playercembalo8248 4 ай бұрын
​@@onedirectionniall8381강남이 부유해? 공구리 사기 개거품 빼면 아무것도 없는 3류 저질 동네.
@user-fb3zv9be7x
@user-fb3zv9be7x 5 ай бұрын
한국은 토지가 좁으니 농산물 가격을 내리기 위한 방법은 팜 팩토리 가 적합할듯. 농부들이 반발 하겠지만 농부들에게 일정 직불금을 지원하고 대기업이 팜 팩토리를 활성화 시켜야 함
@user-vm8yn4hb4w
@user-vm8yn4hb4w 5 ай бұрын
슈투트가르트가 독일의 강남이라구요? 뮌헨이 아닐까요
@user-ji2oo8oz2u
@user-ji2oo8oz2u 5 ай бұрын
다이소가 마트 사업, 주택 건설업도 진출해줬으면 좋겠음...
@grx1988
@grx1988 5 ай бұрын
다이소가 주택건설하면 불량 넘쳐남 ;; 지금건설사들 건축단가로도 정상적 시공이 불가능한 단가인데 더싸게?ㅋㅋ
@user-ji2oo8oz2u
@user-ji2oo8oz2u 5 ай бұрын
@@grx1988 다이소가 집 만들면 불량 넘쳐나는걸 니가 봤어요? 안 봤으면 씨부리지 마세요.
@hyejeongcho2447
@hyejeongcho2447 5 ай бұрын
원래 다이소가 한국 들어왔을때 일본 기업이었음 . 2020년쯤 한국기업으로 전환되긴 했지만 2대 주주가 일본인이고 한국매출에서 일정부분이 로열티로 일본으로 감. 한국은 일본제품 불매한답시고 유니클로는 내쫒고, 왜 다이소는 찾는지 이해가 안갔음.
@yongsunlee9451
@yongsunlee9451 5 ай бұрын
6:40 모든 물건을 생산할 수 있는 노하우와 기술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율, 관세, 통관의 영향을 받지않고 필요한만큼 자체 생산 역량을 갖춤! EU경제동맹체 국가들이 상품, 서비스의 이동에 있어 무관세 혹은 낮은 관세 적용! 평지와 구룽지가 약 85% 농업용 토지비율 47.5%
@eriyayu7026
@eriyayu7026 5 ай бұрын
음 요즘 택시비 미용실비 월세비 따지면 크게 비싸다고 생각 못하겠음 우리나라 물가가 정상이 아닌거 같음
@bukhansan9483
@bukhansan9483 5 ай бұрын
한국에서 대량으로 농사를 지으면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국제경쟁력도 떨어지고 내수시장이 작아 망하게 됍니다 한국산 쌀은 동남아 시장에 내다팔수없는조건이고 밀 낙농은 게임자체가 안됌. 단 한국산 과일은 경쟁력이 있다고 보이긴 하나 인건비 국제운송 유통에 가격상승 리스크가 커 쉽지않음
@user-bb9je4fe8b
@user-bb9je4fe8b 5 ай бұрын
썸네일에 들고있는 호프브로이 요즘 한잔에 만5천원정도 할듯 ㅋㅋ
@user-zp3gg7nr7r
@user-zp3gg7nr7r 5 ай бұрын
계란 그럼 30개 7500원이면 우리나라도 그쯤함..우유는 싸긴하네..
@user-zm4xy6bl7j
@user-zm4xy6bl7j 5 ай бұрын
4년전 독일마트 Idol이었나 거기 장보면서 엄청싸다고 느꼇는데 우유 1.5리터 700원이었나... 그리고 고기랑 빵값쌋음 마트입구에는 빈병 패티병버리면 몇백원씩주는 기계있었고
@Buildinglord
@Buildinglord 5 ай бұрын
근데 독일은 현재 GDP 3위 4위 하는 국가고 최저임금도 우리나라보다 높음...
@denovo365
@denovo365 Ай бұрын
​@@Buildinglord 세금은 보통 40% 떼어감
@JW-jb2zl
@JW-jb2zl 5 ай бұрын
월세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우리 나라가 월세가 싼데는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는 부동산 세금이 거의 없다시피한게 첫번째 이유고 두번째는 월세가 집 가격이 아닌 전세가격을 기준해서 산정된다는겁니다. 위 두가지 요인과 각 나라의 평균 이자율계산해보면 크게 차이 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큰 의문인건 왜 우리나라 월세는 전세가 기준인가? 그럼 그 집의 실제 가치는 전세가인가 판매가인가? 아리송할뿐입니다.
@julja2699
@julja2699 5 ай бұрын
매매는 미래가치 전세는 현재가치일때가 많죠. 재건축제외
@user-ei3gt2mt6e
@user-ei3gt2mt6e 1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축산농가들이 담합해서 우유가격 올리는거임.그래서 우유가공식품이 너무 비싸요,치즈 버터 요플레 등
@sasu5035
@sasu5035 5 ай бұрын
계란 10개에 2500원이면 30구로 주로파는 한국과 같은수준인데.. 7500원
@user-mo4qe3zv5i
@user-mo4qe3zv5i 5 ай бұрын
국민수준 차이를 절감합니다
@giulialee465
@giulialee465 5 ай бұрын
관리비 포함 900유로가 뭐가 비싼건지.. 그것도 한국 강남 같은곳이면 무지 싼 가격인듯, 실리콘벨리 덜렁 방하나에 공용 화장실 사용이 2000불인데..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동유럽도 40평대 괜찮은 집은 월세 2000 유로 넘어감 ㅋㅋㅋㅋㅋㅋ 900유로면 거진 꽁짜네
@user-db7uy6xv8f
@user-db7uy6xv8f 5 ай бұрын
통계보면 독일의 수입의존 빵이나 고기가 터키쪽에 많이 있던데 그거에 대한 영향은 없나?
@user-cr1gu7zq4v
@user-cr1gu7zq4v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토양의 질도 별로고 그나마 농업 할 만한 곳이 호남평야 정도 있는데 거기서 스마트농업 같은거 극렬하게 반대해서 무산
@user-ri8hq1jb9s
@user-ri8hq1jb9s 5 ай бұрын
맞죠 ㅋㅋ 토질도 구리고 그나마 있는평야도 외국에비해 개작죠.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이래서 북한을 우리가 먹어야 하는 이유임 일단 통일비용이네 뭐내를 다 집어 치우고 농업만 보면 일단 땅이 넓어지니 당연히 생산량도 늘거고 그애따라 잘하면(?) 식품물가도 줄겠죠
@user-zn4gp4vk4s
@user-zn4gp4vk4s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계란이랑 우유 왜케 비싸냐
@GHYI-mv5ll
@GHYI-mv5ll 5 ай бұрын
독일 계란 싼거사면 맛 더럽게 없어요.. 비린내나고 사이즈도 엄청 작고요. 싸보이지만 실상은 다릅니다
@user-em4sh7qr3c
@user-em4sh7qr3c 5 ай бұрын
@@GHYI-mv5ll현재 독일 거주중입니다. 저 알디 계란 품질 신선합니다. 노른자가 탱탱합니다.
@GHYI-mv5ll
@GHYI-mv5ll 5 ай бұрын
@@user-em4sh7qr3c 저도 독일 살고 있는데 제일 저렴한 10개 M 사이즈 크기 1,99유로 라인이랑 방목해서 키운 닭 계란 10개 L사이즈 3,99유로사보면 차이 확 납니다.. 전 제일 저렴한 계란은 좀 비싼 마트인 에데카, 레베에서 산것도 못먹겠더라고요. 물론 제가 예민한 걸 수도 있겠네요.
@user-em4sh7qr3c
@user-em4sh7qr3c 5 ай бұрын
@@GHYI-mv5ll 저의 의도는 우리나라에서 방목하지 않은 계란과 말씀해주신 방목한 달걀 가격을 독일과 비교하였을때, 둘다 한국의 가격이 비싸다는 겁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저렴하게 파는 계란의 품질은, 깨트리면 노른자가 봉긋하게 있지 않고 바로 퍼져버린다는겁니다. 하지만 독일의 저렴한 계란은 그렇지 않더라구요. 그리고 날계란은 어느 나라 계란이나 비려요. 그것은 님이 예민하신건 아니어요. 멋진 한해 잘 마무리하시고요.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5 ай бұрын
농사 급이 다른 나라하고 가격 경쟁 기대하다니...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5 ай бұрын
농업 포기한 나라에서 싼거 찾네요 ㅎㅎ 농민들이 피 눈물로 저렴하게 판매되고있는데 수입산 덕에 싼거를 모름. 유럽은 농업에 몸 담고 있는분들 꽤 있고 대형 기계로 대규모 경작한다. 산뿐인 우리나라 땅 생산량으로 싸게 생각하다니.😅
@honggu1111
@honggu1111 4 ай бұрын
독일은 자동차산업이 경제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해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user-lh3cu4rn3x
@user-lh3cu4rn3x 5 ай бұрын
우유값. 사과값.빵값 이세개는 우주에서 제일 비쌈^^^
@EN_-bn2cw
@EN_-bn2cw 5 ай бұрын
우유는 수입멸균 쿠팡에서 사먹어라 ㅎ ㄹㅇ 영양면 차이 ㅈ도 얼마 안남 거기에 보관면.유통기한에서도 멸균이 압도적
@user-go6lu1dw5c
@user-go6lu1dw5c 5 ай бұрын
맛이 없자낭
@EN_-bn2cw
@EN_-bn2cw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 야아 너 머 우유로 와인 갬성 느낄라하니 한달만 마셔봐 별 차이 없어 ​@@user-go6lu1dw5c
@jbkim4745
@jbkim4745 5 ай бұрын
땅이 좁고 없는데 어떻게?
@user-iw3lb4hq8r
@user-iw3lb4hq8r 5 ай бұрын
매일 외식 밖에서 사먹을수밖에 없는데.. 한국인이 먹는 한식은 너무 비쌈..한정식 기본15000원. 반찬10개전후. 찌개.국.생선구이.고기반찬 쌈 고작 이정도주고 대부분 15000원이상 ㅎㄷㄷ
@Ju_Tube23
@Ju_Tube23 4 ай бұрын
그정도면 싼겁니다. 사람값 싼 나라라서 그나마 그정도 유지되는 것.
@user-hc8do4wo5y
@user-hc8do4wo5y 5 ай бұрын
우유 말고는 뭐 대단히 싼건지 모르겠음. 계란30구 6000~9000인데 내알빠
@stefan0310
@stefan0310 5 ай бұрын
독일, 마트 물가들 저렴하지만 한국이나 일본에서 사먹는 품질이 절대 아닙니다. 고기를 질기고 냄새납니다. 야채나 과일들도 덜 싱싱하고 달지않습니다.
@stefan0310
@stefan0310 5 ай бұрын
그에 반해 한국은 가면갈수록 고품질의 깨끗하고 싱싱하고 달고 부드러운 식품들을 아주 쉽개 구할수있죠.
@frankenthal3458
@frankenthal3458 5 ай бұрын
고기 질기고 냄새나는거 맞고요, 과일도 작고 당도가 떨어져요. - 독일생활 8년차
@user-ri8hq1jb9s
@user-ri8hq1jb9s 5 ай бұрын
솔직히 우리나라사람들이 과일을 너무달게 먹는거임.. 물론 맛있긴한데.... 초콜릿 사탕먹는건지 헷갈릴정도임ㅋㅋㅋ 그래서 비쌀수밖에 없다고 생각은함. 외국과일 싼건 싼이유가있음..
@Jakala837
@Jakala837 5 ай бұрын
@@stefan0310저는 지금 한국와서 울었어요 마트가 너무 안 좋아서
@petercc107
@petercc107 5 ай бұрын
유통구조만 바꿔도 독일처럼 될수 있다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독일가서 차 끌라면 기절촐풍 할껄? ㅋㅋㅋㅋㅋ 현대 투싼 새차가 차값만 5천만원(5년된 투싼 중고차가 4600만원)에 휘발유가 리터당 2500원 ㅋㅋㅋㅋㅋ 투싼 책임보험 기본 년 180만원 정도 내야 하고 차량 수리비가 한국에 2배 수준임. 등록비도 한국보다 비쌈. 근데 아우토반은 정말 잘딱아 놨음. 미국보다 자동차 강국임 떡볶이 기본 3만원임. 짜장면 최저가 2만원임. 외식비 장난 아님. 그랴서 마트가서 재료사다가 해먹는거임 그리고 독일 농산물 싼거 대부분이 발칸반도에서 싸게 재배돠는 거임. 몰도바, 불가리아, 세르비아 이런데서 싸게 재배되서 EU에 파는거임. 양배추나 당근, 양파 ,,, 이런거 보니까 세르비아산 이라고 씌여있드만 ㅋㅋㅋㅋㅋ
@deadshot-id7772
@deadshot-id7772 5 ай бұрын
Guten Tag meine Freunde
@hsk3035
@hsk3035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농업강국이 됐으면 좋겠어요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5 ай бұрын
희박함. 종자도 없는데 ㅎ
@hwangs87
@hwangs87 5 ай бұрын
세종시에 농민들이 와서 시위하는거 보면 농민에 대한 연민 싹 사라짐 그분들이 있는한 대기업 농업 진출 힘듬 최근에 중고차에 현대 기아가 진출 하면서 시장이 투명해 지고 있죠? 농업이야 말로 대기업이 진출 하여 아파트식 농업 등으로 농업 혁신을 하지 않는 한 한국의 물가는 안 잡힙니다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hwangs87 농경사회가 사회주의라서 그럽니다. 두레, 품앗이도 따지고 보면 전부 사회주의 시스템이에요. 농사꾼들 대부분이 사회주의자들이고요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땅덩어리부터 노답이라 답 안나옴 통일을 해서 우리가 북쪽땅을 먹지 않는 이상 답 안나옴 솔직히 걍 이 나라가 이정도로 발전한것도 기적임 지금 점점 저출산, 빛덩이 등등 망해가고 있는거도 난 이 나라가 수명을 다 했다고 봄
@user-em1ykh1bt3
@user-em1ykh1bt3 5 ай бұрын
일본처럼 마트물가가 저렴한 국가의 특징 세금이나 의무적으로 내야하는 연금 보험 그리고 인건비, 사회 인프라 이용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싸죠. 그러니 마트물가라도 저렴해야 먹고 살 수 있습니다.
@schwij
@schwij 5 ай бұрын
쟤들 소득 우리보다 한참 높습니다
@jiseo6298
@jiseo6298 5 ай бұрын
@@schwij어이구 일본 독일 서민들이 어떻게 사는지 유투브 영상이라도 찾아보고 하든가. 소득이 높은만큼 그만큼 나가는거도 많은거. 어떤 선진국이라도 일반 서민이 살기 만만한데 절대 없음.
@user-yq3cm1pj2z
@user-yq3cm1pj2z 5 ай бұрын
독일의 국민 약 50%가 막노동자임. 막노동자의 일당이 전문기술자의 70%정도임. 막노동자는 연중 일하고 싶은 날짜만큼 일할 수 있으나 전문기술자는 쉬는 날 반드시 쉬어야 함. 그래서 소득은 비슷할 수 있는데 쓰는 돈은 차이가 남. 즉 구두쇠, 수전노란 10000원 버는 자가 5000원 소득만큼 쓰면 구두쇠요 3000원 소득자만큼 쓰면 수전노인 것임. 10000원 짜리 2개를 사야 보통인데 하나로 쓰면 절약임.
@HT-of7nw
@HT-of7nw 5 ай бұрын
독일은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저렴한 농산물 수입 가능함. 우린? 어디서 수입하냐. 중국산 믿을수 있냐? 일본산이랑 경쟁 가능하냐?
@wolfk3893
@wolfk3893 5 ай бұрын
답은 역시 자유무역과 시장경쟁 기업형영농 국수주의자들이 반대하는 그것
@candleloverok
@candleloverok 2 ай бұрын
1 dozen of eggs=12, not 10. 미국에서 5불 달걀 한 줄 cvs4불 쿠폰으로 사면 1불임😊
@TV-pc9ri
@TV-pc9ri 5 ай бұрын
한국은 농축산업자들 보호하기 위해서 대기업 진출을 막아서 규모의 경제를 만들수 없기 때문인데, 왜 이런 근본 원인은 다들 모른척 하나요?
@user-cw3vp3cy6k
@user-cw3vp3cy6k 5 ай бұрын
한국은 나라가 작아서 규모의경제가 안됨 대기업이 돈이 됐음 벌써 진출했지 그리고 농협단위로 계약제배 콩 고추 오이 등등 이미 규모의경제 비슷하게 하고 있음
@user-cw3vp3cy6k
@user-cw3vp3cy6k 5 ай бұрын
피자먹을때 피클 같은거 기업이 농민에 계약재배로 하고 있고 배추도 다양하게 계약재배 사과 과일같은건 지역 특산물로 농협이 수매해서 팔아주고 있고 자꾸 유통구조 개선해야된다는데 대형마트들 대기업이 바보도 아니고 돈 많이 남기려 혈안인데 품목이 한두개도 아니고
@niji002
@niji002 5 ай бұрын
부럽.......
@aaronmochachacampaign5357
@aaronmochachacampaign5357 5 ай бұрын
독일은 수확철에만 근처 동유럽에서 저임금노동자들이 반짝하고 일하고 다시 돌아갑니다. 그래서 싼거에요
@iamgeoji
@iamgeoji 5 ай бұрын
이럴거 같았음ㅎ
@user-xn3ne3ee3q
@user-xn3ne3ee3q 5 ай бұрын
북한 인력 이용할 수 있으면 우리도 가능할까?
@eyedy1
@eyedy1 5 ай бұрын
한국도 수확철에 인력에서 외국인노동자 데리고 와서 일함. 농촌에 7080이 대부분이라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몰도바,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세르비아 애들 와서 3개월 빠싹 일하고 사라짐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5 ай бұрын
한국은 농민이 가난하고 없던 예산 마저 삭감해버리고 물량 딸리면 수입해버리고... 우리나라 직불금으로는 비료 사면 끝이다. 영상 잘 봣어요.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심지어 그 수입조차도 미국이 협력이라는 이름 뒤에 반강제로 사게 만들어서 사는 거임 당장 밀만 봐도 즈그들 밀을 수입 안하면 반도체 제제 때리겠단 식으로 협박하는데 어찌보면 지금 세계의 양아치는 미국인거 같음....
@user-go6vc1ln9s
@user-go6vc1ln9s Ай бұрын
@@marue2051 625때 밀 공짜로 나눠주더니
@marue2051
@marue2051 Ай бұрын
@@user-go6vc1ln9s 그때는 누가 와도 당연히 꽁자로 줄수밖에 없음 전세계가 그때당시 극빈국인 한국을 거의 공짜로 주던 시절이니 미국이 돈 받고 주겠다! 이러면 다른 강대국들한테 몰매 맞았을거임 그러니 한국이란 협력국을 얻기위해(좀 나쁘게 말하면 경재적으로 이용해 먹기 위해) 꽁으로 준거 그러니 지금 이용해 먹는 효과 나오잖음 반도체 공장을 반강제로 미국에 짖게 한다든지등
@iolalife8707
@iolalife8707 5 ай бұрын
뉴욕도 마트물가는 싸다 알디는 인정임 진짜 쌈
@nicksgg
@nicksgg 5 ай бұрын
단순 몇몇 가격 비교보단 전체 living cost와 소득세 부가세 같은것을 따져서 방송을 내보내주면 좋을듯합니다.
@user-uw4ki5dl3x
@user-uw4ki5dl3x 5 ай бұрын
한국 기업들은 양심이 럾음
@sonialee8944
@sonialee8944 5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우리나라 기업들이 얼마나 날강도인지 느껴진다.. 물 1.5리터가 500원이 안 넘다니..ㅎㅎ.. 우리나라에 알디나 리들이 들어오면 독일의 1.5배 이상 비싸지겠지?.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3 ай бұрын
인구밀도를 생각해야죠.
@Tothepast_1
@Tothepast_1 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가 이상한 거죠 잘 팔리면 잘 팔린다고 프리미엄 붙고 안 팔리면 안 팔린다고 가격 올려놓고 이게 무슨.. 그리고 비교자체가 독일이랑 우리나라 GDP 가 얼마나 차이 나는데....
@user-jm8sk9nh6p
@user-jm8sk9nh6p 4 ай бұрын
축산물 싸게 생산 하는 나라가... 옆에 있어서 그래요.
@user-xf1xc2go2z
@user-xf1xc2go2z 5 ай бұрын
인건비가 비싼데도 마트의 상품은 저렴하다는데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싼 우리나라 마트의 상품들은 왜 더 비싼거야?
@Aventura12
@Aventura12 3 ай бұрын
월세가 비쌈
@user-dw5pq5ce8x
@user-dw5pq5ce8x 5 ай бұрын
독일이 비싸다고 하는 품목들이나 서비스 설명해주는데 저게 비싸다고? 라고 생각함 한국도 그만큼 하는곳이 많기 때문에 소득에 비해 물가는 독일이 진짜 저렴한거고, 한국이 소득에 비해 너무 물가 높다고 보이네요.
@mosesl3105
@mosesl3105 5 ай бұрын
2~30% 저렴하다 수준이 아니고 반값 반에 반값이네 ㄷㄷㄷ
@user-tc7cj3qg9s
@user-tc7cj3qg9s 5 ай бұрын
스트라스부르에서 담배사고 독일넘어가면 2유로 싸짐 1보루면 20유로 ㅋ
@jn21jk21
@jn21jk21 5 ай бұрын
일본 수도권에 사는데 달걀가격 정상화되서 요즘 10개에 215엔에 살수있습니다 ^ ^
@songshow3
@songshow3 5 ай бұрын
지금도 빚이 천조인데 가랑이 찟어집니다 장기적으로 보면야 맞는 말이지만 지금으로선 포풀리즘 같네요
@user-dp6hz8br7d
@user-dp6hz8br7d 2 ай бұрын
독일 부럽다
@user-vl4ez9pl1s
@user-vl4ez9pl1s 4 ай бұрын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독일 덕분에 발전할 수 있었다.
@junjeon660
@junjeon660 5 ай бұрын
벤츠 에스테이트가 택시 ㅎㄷㄷ
@user-tp2gu9gk7u
@user-tp2gu9gk7u 5 ай бұрын
하지만 재밌는 사실은 oecd에서 물가와 세금을 고려한 세후평균소득은 한국이 독일보다 높다는거.. 한국이 세율이 낮기 때문이지 oecd주요국 세후평균소득 1. Korea (50,569$) 2. Australia (50,402$) 3. United Kingdom (48,972$) 4. United States (48,793$) 5. Canada (48,313$) 6. Germany (47,013$) 7. France (43,005$) 8. Japan (41,776$) 9. Italy (38,087$) 10. Spain (36,961$) 11. Poland (29,319$) 12. Turkiye (21,638$) 13. Mexico (13,489$)
@stefan0310
@stefan0310 5 ай бұрын
ㅇㅇ 소득세는 한국이 참 낮음. 대신 다른 곳들에서 다중세를 적용해서 벨런스를 맞출뿐 (증여,부동산 등등)
@jakeb1381
@jakeb1381 5 ай бұрын
대신 한국인들이 독일인보다 1.5에서 2배는 노동시간이 길듯
@user-ri8hq1jb9s
@user-ri8hq1jb9s 5 ай бұрын
​@@stefan0310고소득소득세는 미국보다 높음. 우리나란 소득세안내는 계층이 전체50%에 육박해서 왜곡된거임. 우리나란 최고세율49.5%고 반면에 미국은 주세가8.8로 최고수준인 뉴욕도 연방세랑 합치면45%수준에 머뭄. 심지어 가족단위 과세로 가면 넘사로차이나고.
@user-ld9zg4wm4m
@user-ld9zg4wm4m 3 ай бұрын
레알. 거주나 각종 공공요금, 서비스 요금 이런 건 계산 안하고 무조건 응 일단 GDP높아, 더 많이 받아 이러고 있음 사람들은 ㅋㅋㅋㅋ 괜히 우리나라와 중국인이 전세계 여행지를 휩쓸고 다니는게 아님. 우리나라 가처분 소득 따져서 계산하면 우리나라가 더 풍족하게 사는 게 맞음. 유럽은 뭐 개나소나 저택 하나씩 들고 사는 줄 알더라
@kenmcdavison3173
@kenmcdavison3173 5 ай бұрын
이 유튜버 국뽕 이미지 강한데 독일 언급하니 참다가 올립니다 저 미국인이고 독일 거주중인데 저거 맥주는 제일 싸구려 맥주고 물도 저가격에 25센트 추가 해야 합니다. 싸구려 맥주는 독일인들도 거의 사지,읺음. 5,0 이라는 맥주는 가성비 ㅇㅈ 인데 이것도 10센트 오름.플라스틱 용기 환불 해야힘. 맥주 저거 마실바에 돈 더주고 좋은 맥주 마심. 요점은 한국보다 맥주값이 싸고 식로품 가격도 더 싸다 근데 너무 극단적인 예를 올린거고 저정도는 좀 어그로용이다 이거임. 좀 적당히 객괸적으로 분석 해줬으면 합니다 . 중국은 몰라도 독일 미국은 제가 이분보다 더 잘인다고 자부함 .
@schwij
@schwij 5 ай бұрын
값나가는것들도 쟤들 소득에 비하면 저렴할텐데요, 잘 아시면 덧글로 영상내용에 추가 보충 설명을 하시먼 되겠군요
@kenmcdavison3173
@kenmcdavison3173 5 ай бұрын
@@schwij 독일에서 안살아봤는데 저렴하게 생각하는지 안하는지 어케 알아요? 세금 생각은 안함? 독일인들 검소하게 소비하는 이유가 다 있습니다. 설명은 충분히 했고 나머진 검색을 하던가 알아서 찿아보세요.
@user-ri8hq1jb9s
@user-ri8hq1jb9s 5 ай бұрын
맥주는 우리나라 주세가 너무 높다는 점도 있죠.. 그리고 농축산물은 우리나라 땅이 워낙형편없어서 드넓은 평지가 뻗어있는 프랑스 독일 덴마크 폴란드가 붙어있는 대륙이랑 비교할수도 없긴하죠.
@kenmcdavison3173
@kenmcdavison3173 5 ай бұрын
@@user-ri8hq1jb9s 한국은 주세 특히 위스키 보드카 같은거 보면 어마어마 하죠… 수제 맥주는 아예 산업 육성 안되게 온라인 판매도 안되고 ;;;
@Jakala837
@Jakala837 5 ай бұрын
@@kenmcdavison3173근데 물가는 독일이 혜자 맞음 ㅋㅋㅋ 한국 물가는 하 ㅋㅋ
@cream6117
@cream6117 4 ай бұрын
식료품 가격이 한국보다 저렴한 것은 굉장히 부럽네요
@user-ri8hq1jb9s
@user-ri8hq1jb9s 5 ай бұрын
미국급은 아니더라도 독일 프랑스만 해도 엄청평야지대가 이어져있고 토질차이도 저기가 더 좋으니 생산성이 넘사임.. 심지어 일본처럼 관동 관서평야같이 크나큰 평아지대라도 있으면 오히려좋았겠지만 우리나란 이만한 평지가 없고 산지가 곳곳이 있어서 문제임. 진짜 똥땅인건 팩트임...
@hwangs87
@hwangs87 5 ай бұрын
100평대 마트 합니다 한국은 대기업에서 농업을 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 할 수 없어 농업 자체가 생산성이 높지 않습니다. 그리고 유통도 문제인게 가락 시장을 컨트롤 하는 5개 회사에서 가격을 정한다고 할 정도로 유통에서 다 먹고 농부와 소비자가 부담을 가지는 구조 입니다. 땅이 작고 인구는 많은데 서울에 대부분의 인구가 집중되어 서울유통을 장악하면 전국 유통을 장악하는 구조가 되어 유통 개혁이 없는 한 어렵 습니다 북한과 같이 러시아 중국이 육지로 연결 되었으면 물가가 이렇지는 않았을텐데 일본만큼 내수나 국토 규모가 안 되는 섬 나라 사이즈 이다 보니 오는 비극 이죠…
@user-jb2yx4bt1o
@user-jb2yx4bt1o 5 ай бұрын
그냥 각자의 나라 물가가 다른거임. 특정해서 물가 따져서 뭐하냐? 굴값은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저렴하다. 여기중국인데 아몬드하고 치즈값은 겁나 비싸다.
@uwho9615
@uwho9615 5 ай бұрын
데엠이지 디엠이라니ㅋ
@GHYI-mv5ll
@GHYI-mv5ll 5 ай бұрын
슈투트가르트가 강남? 뭔 소리지? 슈투트가르트가 수도도 아니고 남쪽에 위치한 대도시일 뿐인데
@Buildinglord
@Buildinglord 5 ай бұрын
ㄹㅇ 뮌휀이나 베를린 정도는 되어야지
@GHYI-mv5ll
@GHYI-mv5ll 5 ай бұрын
@@Buildinglord 베를린은 수도일 뿐 독일에서 쳐주지도 않아요. 생활수준도 낮고요. 뮌헨이 잘 살고 생활 수준이 높죠. 오히려 슈투트가르트가 베를린보다 돈 많고 생활수준 높을겁니다.
@Buildinglord
@Buildinglord 5 ай бұрын
@@GHYI-mv5ll 아항 그렇군요 감사요 ㅎㅎ
@user-tp2gu9gk7u
@user-tp2gu9gk7u 5 ай бұрын
나도 여기서 띠용? 했음 ㅋㅋㅋ 영상 속 한국여자 독일장기체류하다보니 한국에서 강남의 상징성을 까먹엇나봄.. 뮌헨에서도 최상급지랑 비교해야지 강남은 ㅋㅋㅋㅋㅋㅋㅋ
@Buildinglord
@Buildinglord 5 ай бұрын
@@user-tp2gu9gk7u 그게 아니라 한국 사람들은 적당한 대도시 살면 다 강남 취급 받고 싶어서 그런거임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세계 시가총액 1위’ 나라가 한 순간에 추락한 이유?
13:10
싱가포르인의 인생은 초6 때 결정 난다?  | 돈스토리
8:34
어른의 힘으로만 할 수 있는 버블티 마시는법
00:15
진영민yeongmin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