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에 왜 명태 떼가?…알고 보니 '인간이 초래한 결과' / SBS 8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135,900

SBS 뉴스

SBS 뉴스

Жыл бұрын

〈앵커〉
요즘 우리가 먹는 명태는 모두 러시아산입니다. 동해에서 이제 명태 보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정부는 명태를 살리겠다면서 많은 사업을 진행했는데 그 성과가 있던 건지, 김희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강원도 고성군 아야진항.
수온 10도, 수심 150m, 명태 서식의 최적 조건입니다.
언젠가부터 동해에서 사라진 명태, 있기는 한 걸까.
그물을 당겨봅니다.
한참을 겨울 생선 대구가 올라오더니,
[양재형/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 : 명태. 명태. 이건 큽니다. 50cm 정도 됩니다. 이 정도면 5년 이상 지난 개체입니다.]
굵은 점선, 날렵한 몸매, 뾰족한 주둥이.
2019년 정부가 명태 포획을 전면 금지한 이후 모처럼 보는 동해 명태, 44마리가 확인됐습니다.
[한동희/고성군 아야진 어민 : 과거 30~40년 전에 명태 날 때 그 크기와 같아요.]
그렇다면 명태가 돌아온 걸까.
동해 명태는 1970~80년대만 해도 한 해 10만 톤을 오르내릴 만큼 많이 잡혔습니다.
그러다가 1990년대 들면서 연간 어획량이 1만 톤 아래로 뚝 떨어지더니, 2000년대엔 사실상 무의미한 수치가 됐습니다.
지난 2014년 정부는 '명태 살리기' 사업을 국정과제로 선정했고, 2020년까지 동해 명태를 식탁에 올리겠다고 공언했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정석근/제주대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 과학이라는 것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발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건 그냥 실패했다고 인정하면 됩니다.]
해양수산부가 세계 최초라고 홍보한 명태 양식 기술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치어 방류 사업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충일/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교수 : 몇 년 뒤에 우리가 식탁에 올리겠다는 방향보다는 왜 이렇게 됐는지, 제2 제3의 명태가 나타나지 않도록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쩌다 어민들의 그물에 걸리는 경우도 있지만, 명태 자원이 회복되고 있다기보다 범동해권에서 자생하는 소수의 개체군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어린 명태의 남획, 기후 변화가 가져온 해수 온도 상승, 다 인간이 초래한 결과입니다.
(VJ : 안민신)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067451
☞[신음하는 지구, 위기의 인류]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y/i/?id=100000...
#SBS뉴스 #8뉴스 #강원도 #고성 #명태 #러시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Пікірлер: 1 300
@user-um6fr5ym6d
@user-um6fr5ym6d Жыл бұрын
교수님..짧은순간 강한 임팩트👍 언젠간 꼭 동해에 명태가 다시돌아오게 해주시길
@cjfdlskfkche5162
@cjfdlskfkche5162 Жыл бұрын
석근교수님 거기가 없네 없어
@fatboy2147
@fatboy2147 Жыл бұрын
사람눈은 다 똑같네요 ㅋ
@user-gm6ir1yo2m
@user-gm6ir1yo2m Жыл бұрын
교수 맞아??? 이태원에서 모셔왔나
@dpa3472
@dpa3472 Жыл бұрын
찿아본사람손.
@user-ys3vr8ji7n
@user-ys3vr8ji7n Жыл бұрын
교수 머꼬 롹커가
@user-pe9mu9cz3s
@user-pe9mu9cz3s Жыл бұрын
인터뷰하는 교수님보고 놀라기는 처음이네 ㅋㅋㅋ 교수님 화이팅
@rockksc0
@rockksc0 Жыл бұрын
다른냉수성어종은 멀쩡한거봐서 온난화는아니고 너무필요이상으로잡았고 특히 양심에 찔려서 새끼명태라고안하고 별도어종처럼 여겨지도록 노가리라는 이름으로 씨를말려버렸으니 어민들은 경각심을 가져야한다
@youp7964
@youp7964 Жыл бұрын
수온상승은 구라맞음요ㅋㅋ 봄 쭈꾸미 알베기라고 쳐잡아대고 쭈꾸미씨말랐다 징징. 불과 2 3년전에 새끼오징어를 총알오징어라 남획할때. 오징어 씨마를뻔했다가 금지체장 올리자마자 바로 다음해 어획량상승함
@wng321
@wng321 Жыл бұрын
어종마다 온도가 민감한 종도 있고 아닌 종도 있는데 어민 탓이 아님
@yams507
@yams507 Жыл бұрын
@@wng321어민탓 맞아요.
@user-te6gm8ec8e
@user-te6gm8ec8e Жыл бұрын
@@yams507 어민소비자정부 다잘못입니다 소비가있으니 팔죠 정부가제한해야죠
@yams507
@yams507 Жыл бұрын
@@user-te6gm8ec8e 님이 말씀하신 부분은 2차적인 문제 입니다. 어민분들 스스로가 어족자원 고갈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노력에는 관심없고 본인 소득을 위해 멍청한 짓들을 저지른 거죠. 1차적 문제은 애초애 어린 개체들 잡아 노가리,총알오징어..이런식 유통을 시킨게 문제라고 봅니다.
@ceylonlove17
@ceylonlove17 Жыл бұрын
이제 해양부 취재인터뷰 단골손님이 되어버렸네 ㅋㅋㅋ 자주 나와서 친근해졌으면 좋겠네요
@ConorMcGregor1090
@ConorMcGregor1090 Жыл бұрын
단 5초 였지만 그 임팩트는 강했다.
@club2-take-117
@club2-take-117 Жыл бұрын
눈을 의심하고 10초 뒤로돌려서 다시봤다....교수님 자기주장이 참 철저하실듯
@hainetkorea
@hainetkorea Жыл бұрын
해양학자로서 매우 풍부 하신분이십니다
@mpark2190
@mpark2190 Жыл бұрын
쿨내 진동..ㅋ
@susoo6753
@susoo6753 Жыл бұрын
한참 명태에 빠져있는데 갑자기 교수님 시강 ㅋㅋㅋ
@practice2698
@practice2698 Жыл бұрын
명태가 핵심이 아니라 교수님이 핵심이네 ㄷㄷㄷ
@user-lv1fs6yn3z
@user-lv1fs6yn3z Жыл бұрын
앙드레김과 길태미를 능가하는 명태미
@user-wg3dx9zb7l
@user-wg3dx9zb7l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진짜 뜸금없이. 뭐. 뭐지?했음
@user-eu4ip2wx7o
@user-eu4ip2wx7o Жыл бұрын
명태 조심해야 한다 명태한테 빠지면 저렇게 된다
@Erichan495
@Erichan495 Жыл бұрын
ㅎㅎㅎ 깜놀
@user-jx8vy6ck1q
@user-jx8vy6ck1q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ok4sn3zo8h
@user-ok4sn3zo8h Жыл бұрын
갑자기 인텨뷰보고 놀라서 되돌려 봤슴 검색해볼려고 찾아봤는데 대단한 교수님인데?
@dragon.j8972
@dragon.j8972 Жыл бұрын
지금 거제 외포항에는 대구가 많이 잡히던데, 이것도 몇십년 꾸준히 정부와 지자체 어민들의 노고로 생긴일입니다! 중국어선을 막고 모든 수산물은 산란철 금어기를 정해 관리한다면 후손들의 귀어인구가 늘것으로 생각되네요!
@user-ou9uz8ug9x
@user-ou9uz8ug9x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께서 인터뷰 하는 장면 보자마자 네이버 검색창으로 들어가봤어요 대단한 분이시네요^~
@user-ip1ny5dy7q
@user-ip1ny5dy7q Жыл бұрын
교수 깜놀 ㅋㅋㅋㅋ
@user-pv3eo3mv1l
@user-pv3eo3mv1l Жыл бұрын
총알오징어 총알000등 총알이라고 이름 붙어서 파는것도 지금음 거의 해수부에서 포획금지 체장입니다. 사지않으면 잡지도 않습니다.
@user-hq8qs7qu7c
@user-hq8qs7qu7c Жыл бұрын
새끼 오징어를 총알오징어란 이름을 맘대로 지어 파는 행위는 근절되야하고 절대 사지도 맙시다.소비자들이 안사주어야 돈이 안되니 판매가 안되요.
@hainetkorea
@hainetkorea Жыл бұрын
제주대학교 해양학 정석근 교수님'' 정확하게 교수님을 대신하여 프로필 소개 합니다
@user-zk8gr9bn9i
@user-zk8gr9bn9i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개성이 강하신 분인듯~~~
@huhahaho5756
@huhahaho5756 Жыл бұрын
이 교수 유명함 치마에 힐 신음
@user-ff9vp7eh1f
@user-ff9vp7eh1f Жыл бұрын
다들 생각이 같구나 ㅋㅋ
@user-lo5vs4fe4x
@user-lo5vs4fe4x Жыл бұрын
@@huhahaho5756 레이디 보이같음..잦이는 안빼내고..
@jeddnabi7625
@jeddnabi7625 Жыл бұрын
앙드레김인줄
@user-fu6ht4xq5t
@user-fu6ht4xq5t Жыл бұрын
트젠임 립스틱 발랏음
@Shrimp_TUBE
@Shrimp_TUBE Жыл бұрын
교수님ㅋㅋㅋㅋ 순간 해리포터 화면 송출된줄 알았네요
@geniuspianist
@geniuspianist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스네이프
@Arina_ring
@Arina_ring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핵심이래서 세계적인 연구 개발 성과 이루셨나 했는데 전혀 다른방향이라 ㅋㅋㅋㅋ깜놀
@user-wh8uk6zk9l
@user-wh8uk6zk9l Жыл бұрын
생태가 버릴것 하나도 없는데 안타깝네요 옛날 처럼 풍족 하게 잡히는 날이 오길
@user-om4vq2ms4c
@user-om4vq2ms4c Жыл бұрын
그냥 실패했다고 하면 됩니다 하는데, 무조건 수긍하게 된다.
@koreajunkim
@koreajunkim Жыл бұрын
정석근 교수? 앙드레 김 돌아온줄 ㄷㄷ
@user-id1xd6xs1t
@user-id1xd6xs1t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존재감이 ㄷㄷ
@gigihadid4195
@gigihadid4195 Жыл бұрын
많이 잡으니 뭐든 개체수가 줄어들긴 하지 옛날이야 어업의 기술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서 개체수가 많았지만 기술이 발달되면서 많이 잡히고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개체수가 줄어드는 원리 그래서 금어기 등 몇 몇 정책이 생겼죠
@kicheollee7857
@kicheollee7857 Жыл бұрын
뉴스보고 깜놀했는데,,, 그 것이,,,, 제주대 교수님 대단하심
@user-cu9ui7gk4k
@user-cu9ui7gk4k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보고 놀랬넹
@user-bd9tg6qt4u
@user-bd9tg6qt4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보고 다양성, 개성 이란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겠어요 멋있다
@15xxrcn
@15xxrcn Жыл бұрын
너는 위선자
@JM-py2vd
@JM-py2vd Жыл бұрын
니 아버지가 저러고 다녀고 드러겠냐. 위선자네
@user-hd1sh9cc1p
@user-hd1sh9cc1p Жыл бұрын
다양성을 인정하는 사회 자기의 아름다움을 시인하는 삶... 저도 수박님의견에 동의합니다
@user-vw8wf7rr4n
@user-vw8wf7rr4n Жыл бұрын
@@JM-py2vd 어떤모습이던 나를 낳아주고 키워주신 멋진 아버지라면 존중, 존경하는게 마땅합니다 당신은 그리 말하는걸보니 아무리 멋진 아버지라도 외모나 개성이 강하면 별로면 부끄러운가보죠?
@y0urmomismine
@y0urmomismine Жыл бұрын
지랄들을 하세요 아주;;
@user-xq7vg8pk4n
@user-xq7vg8pk4n Жыл бұрын
아 깜짝이야.. 명태가 문제가 아니잖아. 장석근 교수님.
@CaptJack-bq1pc
@CaptJack-bq1pc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어떠하길래 기대하면서 봤는대 상상이상임!!
@user-ez4ph1su4e
@user-ez4ph1su4e Жыл бұрын
<a href="#" class="seekto" data-time="102">1:42</a> 명태 이야기 들으러 봤다가 깜짝이야!
@user-uc9po3sz4k
@user-uc9po3sz4k Жыл бұрын
분명 명태 뉴스 봣는데... 5초만에 내 생각에서 지워버리네 멋찜!!!
@cornell3792
@cornell3792 Жыл бұрын
정석근교수님 말씀과 외모가 임팩트 있습니다.👍명태실패 교수님성공
@sjjeong941
@sjjeong941 Жыл бұрын
유튜브 시사채널 보다가 멈춰서 뒤돌려본건 교수님이 처음이예요.
@user-ki7pl9db9e
@user-ki7pl9db9e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너무 강렬하시다 깜짝이야
@zeus3955
@zeus3955 Жыл бұрын
정말 반가운 명태네요~ 다시 우리나라 동해안에 명태풍년이 되길 바랍니다~
@blackpopcat239
@blackpopcat239 Жыл бұрын
bhai, 가장 높으신 분, 위대한 분, 알라 외에는 힘이 없습니다 그를 모욕하지 마십시오.
@SongMaeryuk
@SongMaeryuk Жыл бұрын
머래 알이나 낳아라
@badrukkkaptin902
@badrukkkaptin902 Жыл бұрын
@@blackpopcat239 네 다음 서구문물에서 알라거리는 분탕
@bv7o_
@bv7o_ Жыл бұрын
@@blackpopcat239 여물고 히잡이나 쓰세요
@kindlykindly559
@kindlykindly559 Жыл бұрын
@@blackpopcat239 ㄴㄱㅁㅊㄴ
@bluesky5110
@bluesky5110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보는눈이... 다행이다
@DK-ej8zw
@DK-ej8zw Жыл бұрын
교수님보는순간 명태가 잊혀졌다
@Vi-og6gf
@Vi-og6gf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교수님 인상보셈 ㅋㅋㅋ 표정 살벌함 ㅋㅋㅋ
@user-lv1fs6yn3z
@user-lv1fs6yn3z Жыл бұрын
저거 길태미 화장법 아닌가?
@heyya2261
@heyya2261 Жыл бұрын
ㅋㅋ 깜놀
@guaaaak
@guaaaak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user-jx3dh3xu6c
@user-jx3dh3xu6c Жыл бұрын
명태미
@user-cr2mj7fw9q
@user-cr2mj7fw9q Жыл бұрын
와! 제주대학교 정말 개방적이네 ㅎㅎㅎ 교수님 보고 명태기사가 눈에 안들어온다 ㅎㅎ
@user-ui7bc7qw6f
@user-ui7bc7qw6f Жыл бұрын
전 제눈이 잘못됐나 ........화면 크게 하고 교수님 이름 확인하고.......미쳐요
@user-df9lr7id9d
@user-df9lr7id9d Жыл бұрын
댓글때문에 교수님보기위해 끝까지 시청함.. 아!!
@sky12763
@sky1276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얘기를 다들해서 보다가 깜놀했네요 ㅋㅋㅋㅋ
@okjhp226
@okjhp226 Жыл бұрын
명태...보다.....교수보고 놀람.........
@user-wh6cb5dw4c
@user-wh6cb5dw4c Жыл бұрын
동감 ㅎ 명태보다 강한 ㅎㅎ
@user-zr4gj5lq2u
@user-zr4gj5lq2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멋있어~ 몇 번을 돌려봤네요
@user-lv1fs6yn3z
@user-lv1fs6yn3z Жыл бұрын
안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 본 사람은 없다
@kimchi_man
@kimchi_man Жыл бұрын
내가 잘못본줄
@2best988
@2best988 Жыл бұрын
나도 지금 2번 확대해서 봤음..ㅎㅎㅎ
@user-oz9kt2yg2d
@user-oz9kt2yg2d Жыл бұрын
저두요~깜놀~ㅎ
@hwangyoungha6182
@hwangyoungha6182 Жыл бұрын
@@2best988 ²222222222
@user-zx7kr7mw8t
@user-zx7kr7mw8t Жыл бұрын
교수님 ㅋ 예전에 영화 하이힐인가 거기서 차승원 여장한 모습이 생각나요
@P.K.P_YANGYANG
@P.K.P_YANGYANG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 내 눈을 확인해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sososo851
@sososo851 Жыл бұрын
와 뉴스보다 교수님만 몇번 돌려본듯 난 잘못 봤나했네 놀랏음
@PFGvrGO7AHkokNw
@PFGvrGO7AHkokNw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멋있어요. 화이팅.
@bushwick4241
@bushwick4241 Жыл бұрын
명태 궁금증이 쏙 들어가고 교수님이 더 궁금하기 시작했어요!
@user-ej8gs2ct8u
@user-ej8gs2ct8u Жыл бұрын
교수님개성넘치네요 응원합니다
@user-hk2vh3wc2t
@user-hk2vh3wc2t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개성 멋지십니다 응원합니닷
@user-ec2ui3lv7d
@user-ec2ui3lv7d Жыл бұрын
트렌스젠더같네요.
@chaem838
@chaem838 Жыл бұрын
@@user-ec2ui3lv7d 보고 판단하는 습관은 버리길
@-qqsmartww4503
@-qqsmartww450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멋진분이시네요
@nuclear1945.8six
@nuclear1945.8six Жыл бұрын
@참피 사람을 외모로 평가해선 큰일나요. 원빈 사진 보시고 거울 함 보세요~😅
@ruru3567
@ruru3567 Жыл бұрын
@참피 야야 팩트는 니는 평생 살아도 교수님처럼 전문가로 뉴스타겠농~ ㅋㅋ 사고 내서 나올 수는 있겠다 ㅋㅋ
@user-mn5nl8ls1w
@user-mn5nl8ls1w Жыл бұрын
와..교수님...개쩔어쩔...순간 눈을 의심했다...명태 얘기들으러왔다가ㅋㅋ 임팩트 지렸음..
@user-rg8bg7po7e
@user-rg8bg7po7e Жыл бұрын
한동안 금태였는데... 정말 제 1의 명태만 살수 있는 바다가 올수가 있게 인류가 만들수 있기를 바랍니다.......
@user-us7mz9xc5n
@user-us7mz9xc5n Жыл бұрын
그걸위해 위대한 일본이 오염수를 투입하는거 해양물 먹고 방사능에 노출될지 아니면 안먹던지 ㅋㅋ
@user-rg8bg7po7e
@user-rg8bg7po7e Жыл бұрын
@@user-us7mz9xc5n 이런 놈 왜 안나오나 했다...
@user-us7mz9xc5n
@user-us7mz9xc5n Жыл бұрын
@@user-rg8bg7po7e 언제나올지 궁금해서 사회생활 못하실까봐 달아드렷어요 ^^ 글수준이 너무 처참하셔서요 인류가 만들수있기를바랍니다라니 마치 자기는 인류가 아닌줄 알겟어요 ㅋ
@user-rg8bg7po7e
@user-rg8bg7po7e Жыл бұрын
@@user-us7mz9xc5n 한심하네. 한심해...
@user-rg8bg7po7e
@user-rg8bg7po7e Жыл бұрын
@@user-us7mz9xc5n 지가 쓴건 왜 삭제가 되있을까
@user-xyz58ifhv3tc
@user-xyz58ifhv3tc Жыл бұрын
뉴스보다가 기겁할뻔.....순간 내가 뭘 잘못봤나 했다....
@user-my8up6zw1x
@user-my8up6zw1x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짱입니다요
@han002k
@han002k Жыл бұрын
명태 양식은 기술적으로 가능하지만 낮은 수온을 만들기 위한 에너지가 많이 필요해서,사실상 불가능 하다고 하네요.
@user-mz9qv6ug3h
@user-mz9qv6ug3h Жыл бұрын
많은 어종들이 무분별한 어획으로 줄어들었습니다.. 괜히 수입산들이 밥상을 차지한게 아니죠~
@kds0564
@kds0564 Жыл бұрын
명태교수 폼 미쳤따리 ㄷㄷ
@user-kb8yi5mt1g
@user-kb8yi5mt1g Жыл бұрын
순간 뉴스 잘보다가 짧고 굵은 멋진 교수님 봐버렸당;;;
@zzZ-iamyou
@zzZ-iamyou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짧게 나오셔서 아쉬워요 ㅠㅠ
@user-ob3mo8px6f
@user-ob3mo8px6f Жыл бұрын
정석근 교수님 저분 뭐죠?? 영상이 바뀐건가요??
@loseweight9404
@loseweight9404 Жыл бұрын
이 교수님 자주 나오셔서 문제 심각성 많이 알려지면 좋겠네요. *^^*
@heedae111
@heedae111 Жыл бұрын
명태보다 교수님이 더 기억에 남아요..ㅎㅎ
@user-dq8rq4el1j
@user-dq8rq4el1j Жыл бұрын
올해날씨가 너무추워서 명태어장 일부가 남쪽으로 내려왔는가 봅니다 명태살리기 치어방류를 한다고 기후변화 때문에 추운곳에서 사는 명태가 오지는 않을것같습니다
@user-fl8ih1ls9h
@user-fl8ih1ls9h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임펙트 아주 강했습니다.
@hainetkorea
@hainetkorea Жыл бұрын
오직 한국에 유일하게 임펙트가 강한 분'''
@user-jt5vz2rz2o
@user-jt5vz2rz2o Жыл бұрын
뉴스를 세네번 돌려보긴 처음이네ㅎㅎㅎ
@ITHINKIISH
@ITHINKIISH Жыл бұрын
한 입에 쏘옥~ 총알오징어 총알문어 마케팅 수법들 전부 치어 잡아 파는 겁니다 불법이 아니기 때문이죠..문제는..금지체장(중)이 있는 어종의 경우에도 시장에 유통 되고 있다는 것…누가 잡아 팔까요? 일반인은 판매도 불법이고 팔 수있는 만큼 잡지도 못하는데..
@user-em9jl2nu9c
@user-em9jl2nu9c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이 씬스틸러 입니다. 몇번을 돌려 봤네요
@cacarote12
@cacarote12 Жыл бұрын
<a href="#" class="seekto" data-time="102">01:42</a> 교수님 말씀이 맞네요
@user-pinkcola
@user-pinkcola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너무 강렬하신데. 영상을 멈추고 한참봤음 ㅇㅅㅇ
@gae
@gae Жыл бұрын
걱정해야 되는데 ... 머릿속은 코다리찜이 계속 생각나넨
@user-vg7jc7hy6z
@user-vg7jc7hy6z Жыл бұрын
70년대가 풍요로운 시대였다는거
@science-q1697
@science-q1697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인스타하세요?
@cornell3792
@cornell3792 Жыл бұрын
아무것도 생각 안나고 오직 교수님만 생각남👍👍👍👍😅💯
@user-yb3rn6qj8d
@user-yb3rn6qj8d Жыл бұрын
명태는 실패했지만 교수님은 성공하셨구나 ..
@user-tg7wo5tf7l
@user-tg7wo5tf7l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저 놀랬어요 ㅠㅠㅠ
@boringman8388
@boringman8388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력
@user-vq5xn6or6q
@user-vq5xn6or6q Жыл бұрын
비아냥이 아니고 진심으로 멋지십니다 교수님.
@aramis7773
@aramis7773 Жыл бұрын
아 교수 깜짝이야
@user-wh6rm8ik9y
@user-wh6rm8ik9y Жыл бұрын
계속 진행해보면 되겠네… 그래도 늘긴 늘었으니
@sulhee6258
@sulhee6258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니 노고의 감사합니다
@GraceMHahm
@GraceMHahm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짱 멋짐❤
@ssy6249
@ssy6249 Жыл бұрын
깜놀! 스네이프 교수님이 살아돌아오신줄..
@user-si3zx2yg7s
@user-si3zx2yg7s Жыл бұрын
명태보러 왔다가 교수님 개성에 놀라고 갑니다 ㅋㅋㅋㅋ
@user-iq1hs1np4e
@user-iq1hs1np4e Жыл бұрын
정석근교수님.... 명태보다가 명태는 잊고 교수님만 기억에 남았습니다..
@user-ce5hs5eb5n
@user-ce5hs5eb5n Жыл бұрын
아 깜짝이야 놀래라~~
@HusbandFather
@HusbandFather Жыл бұрын
와 교수님 기타 개잘치게 생겼다
@RE0.o
@RE0.o Жыл бұрын
그냥 멍하니 보다가 교수님 보고 임펙트 씨게 받음
@dj_semmo
@dj_semmo Жыл бұрын
<a href="#" class="seekto" data-time="104">1:44</a> 강렬한 인터뷰
@kes167340
@kes167340 Жыл бұрын
뉴스 주인공이 명태가 아니라 교수님이시네
@leegonggonguser-nz2ns9gr7h
@leegonggonguser-nz2ns9gr7h Жыл бұрын
내가 지금 뭘본거냐? 기사가 기억이 안난댜?ㅋ
@jude84
@jude84 Жыл бұрын
왜 인간은 환경을 자신이 편한데로 맞추려고 할까.. 환경과 어복자원이 바뀌면 바뀌는데로 거기에 입맛을 맞추고 살면 되지.. 결국 그럴수밖에 없을텐데..
@user-jm8sk9nh6p
@user-jm8sk9nh6p Жыл бұрын
해수 온도가 올라가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 한 건대 어쩔수 없는것 가지고.. 그럴까.
@andymion8786
@andymion8786 Жыл бұрын
명태보다 교수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Dunmaghlasss
@Dunmaghlasss Жыл бұрын
올해 동쪽이 계속 추워져서 돌아온거 아닐까
@user-gk3zn1ch7w
@user-gk3zn1ch7w Жыл бұрын
쩐다 교수님 최고
@user-gc6sl9be9v
@user-gc6sl9be9v Жыл бұрын
옴마 교수님을 보며 내가 너무 고정관념에 빠져 살앗엇구나 정말 두랄을 탁치고감니다
@user-up5wv9ei2j
@user-up5wv9ei2j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대단한 분이네요~ 멋지십니다 ~~
@AJ-xb2pk
@AJ-xb2pk Жыл бұрын
내 눈을 의심 했음....😮
@koreav863
@koreav863 Жыл бұрын
유치원생이던 80년초 아버지가 강원도 출장다녀오시면 많이사오셨던 기억이난다
@koabounga
@koabounga Жыл бұрын
무서워요!!!
@hyunjongchoi121
@hyunjongchoi121 Жыл бұрын
정석근 교수 개성은 넘치지만… ‘어업인의 대변자’리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권위자로 통함 해양수산부차관으로 거론 될 정도로 실력자 입니다. 개성은 많이 넘치시지만…
@user-nm7tj2jh3t
@user-nm7tj2jh3t Жыл бұрын
명태를 남획멸종시킨 어민들은 반성해라
@user-dy9cx3sj6s
@user-dy9cx3sj6s Жыл бұрын
남획보다 수온상승이 주된 요인입니다.
@TV-hx1dr
@TV-hx1dr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다 그당시 북한에서 엄청난 양을 폭획했음 동네 개도 명태는 안먹는다할정도고 결국 잡은 것도 썩어서 버릴만큼이였음 상상초월
@user-rx1fh2rp2i
@user-rx1fh2rp2i Жыл бұрын
@@TV-hx1dr 그건80년 이전의 이야기입니다
@TV-hx1dr
@TV-hx1dr Жыл бұрын
@@user-rx1fh2rp2i 멀모르시면서 확답좀 안하셨으면 87년부터93년 7년 수산물 계획에 어류 3백만톤에 이르고 명태 정어리가 어획에 70%였음 훈장에 혜택줘가며 더잡으라 독려했음 그때양이 엄청나 길거리에 썩어나는정도였다고함 그래도 더잡아드렸다는거임
@user-bi7lj3nz9t
@user-bi7lj3nz9t Жыл бұрын
@@user-dy9cx3sj6s 이미 남획이 더 큰 문제라고 밝혀진지가 언젠데 수온상승으로 명태가 멸종할정도면 애초에 우리나라에서 잡히던 고기 싹다 없어지고 열대성어종으로 바꼇어야 정상이다 ㅋㅋㅋㅋㅋ
@XX-wf2bk
@XX-wf2bk Жыл бұрын
어부님에 얼굴에서 반가움이 진심으로 보인다 명태야 반갑다
@asnfchan
@asnfchan Жыл бұрын
교수님보고 깜짝 놀랐어요
@daeeun2
@daeeun2 Жыл бұрын
모나리자가 명태의 교수님이셨군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90 М.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Did you find it?! 🤔✨✍️ #funnyart
00:11
Artistomg
Рет қаралды 126 МЛН
CPU는 어떻게 작동할까?
21:48
bRd 3D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극한직업/Extreme JOB] 전통 숭어잡이 제2부
25:54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1,3 МЛН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6 СЕРИЯ
21:57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490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