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부유했던 미얀마가 세계 빈곤국 중에 하나가 된 이유 [미얀마 2부]

  Рет қаралды 1,162,218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3 жыл бұрын

세상의 모든 일이 궁금한 호기심대마왕 최준영 박사와 함께 떠나보는 지구본 여행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

Пікірлер: 808
@joonlee1968
@joonlee1968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지금 현재는 아시아에서 빛나는 선진국이지만 100년 후에는 어떻게 될지 모릅니다... 그래서 과학기술 연구에 게을러지지 말고 사회의 부정부패를 일소하고 국제정치에서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늘 경계해야 합니다.
@user-gb5we6zb8z
@user-gb5we6zb8z 5 ай бұрын
적극 동의합니다!
@user-dl8ox4lt3k
@user-dl8ox4lt3k 2 ай бұрын
응 r&d 삭감 ㅋㅋㅋ 의대 2000명 증원 ㅋㅋㅋㅋ
@Waterflow333
@Waterflow333 24 күн бұрын
댓글로 겨우 훈장질 하면서 뿌듯해하지
@namja2yagi
@namja2yagi 13 сағат бұрын
부정부패는 솔직히 잘모르겠다. 우리나라만해도 과거 부정부패가 더 심할 때 더 빠른 발전을 이뤄냈으며, 중국을 보면 엄청난 부정 부패가 만연하지만 세계 경제대국 2위다. 물론 부정부패는 나쁜거고 나아져야할점이겠지만 그게 나라 발전하고 관계가 있나 싶다. 못사는 나라중 부정부패가 심한 나라들이 많지만 과연 부정부패가 없어야 발전하나?는 의문점이다.
@s.b.k9725
@s.b.k9725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가서 느낀 건 금이 젤 많이 보유한 나라 아닌가 싶을 정도로 불상에 금박을 붙이는데 크기가 엄청납니다 그런데 미얀마 도로나 국민들 생활은 너무 열악해서 불쌍한 생각이 들더군요 미얀마에서는 한국 드라마가. 인기를 끌며 한국인 여행자만 봐도 따뜻하게 대해주던 사람들 생각이 나는데 미얀마 사태를 보니 걱정이 됩니다
@user-fm8wu4id6f
@user-fm8wu4id6f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잘 듣고 있는 팬 입니다 좋은 지식을 이렇게 전달 해 주셔서 항상감사 합니다
@MrGsj1968
@MrGsj1968 3 жыл бұрын
제가 지리교사지만 최고의 지리전문가 최준영 박사로 인정합니다.
@user-hv5jb8bf4k
@user-hv5jb8bf4k 3 жыл бұрын
박사남 지리교사면 수업시간 푹 빠지죠ㅋㅋ 그러나 진도 못나감
@spogolfer
@spogolfer 3 жыл бұрын
근데 왜요, ?ㅎ
@user-hv5jb8bf4k
@user-hv5jb8bf4k 3 жыл бұрын
교과서에 없는 이야기 정말 재미나게 해주시는 역사과목 은사님 떠올랐습니다 항상 시험치기 전에 진도 뺀다고 후다닥했던 기억이~
@user-ik8jb8nw9w
@user-ik8jb8nw9w 3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님 보유국입니다^^ 최준영박사님~감사드립니다 ♡
@redsun4227
@redsun4227 3 жыл бұрын
문죄인 보유국이라고 배구하던 영선이가 한말이죠
@user-rp2mm9hr3k
@user-rp2mm9hr3k 3 жыл бұрын
두번 보유했다 패가망신이 아니라 패국망신이다
@user-os3tb9gw8f
@user-os3tb9gw8f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 보면서 느끼는건데 우리나라 처럼 물적 자원이 없는 나라도 없는듯해요. 그래서 뭐든 열심히... 텅스텐이 있다고하지만. 우리를 원조 안해줬던 나라가 없네요. 미얀마 다녀온적 있는데 요즘 뉴스보면 마음이 안좋습니다 얼른 안정화 되길.... 늘 잘듣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jink9319
@jink9319 3 жыл бұрын
불자가 대부분이라 군부가 불심을 제대로 이용하는 바람에 이런 사태까지 온거죠
@user-lb5qj1nu5s
@user-lb5qj1nu5s 3 жыл бұрын
자원은 저기 위쪽 돼지새끼가 갖고있음
@user-go8ur6pp3n
@user-go8ur6pp3n Жыл бұрын
물적자원도없는 그러나라를 세계10대 경제대국으로 발전시키는 업적을 이룬 박정희 대통령은 정말 위대한 사람이다👍👍👍👍👍
@user-ix4ep4yn9r
@user-ix4ep4yn9r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 정말 좋은 프로입니다. 집중해서 잘 보고 또 보고 잠깐 놓친부분 있으면 꼭 되돌려서 빠짐없이 듣고보는 유일한 프로입니다. 최박사님 오래 오래 유지해주시고 건강하세요.감사드립니다
@heakim8087
@heakim8087 2 жыл бұрын
ㅃㅃㅃㅃㅉ!!ㅁ!ㅁ!@@@@@!@매
@3000cc
@3000cc 3 жыл бұрын
자원도 많고 발전가능성이 다분한데, 현재 미얀마를 보면 너무 안타깝습니다. 조금 전에도 총을 맞아서 죽은 어린아들을 안고 울고있는 아버지를 뉴스에서 보면서 같이 울었네요. 세계여러나라들이 왜 이걸 지켜만 보는지 모르겠습니다. 어서 빨리 평화를 찾았으면 좋겠습니다.
@user-hv5jb8bf4k
@user-hv5jb8bf4k 3 жыл бұрын
베트남 다음이 미얀마, 스리랑카 이런 나라라는 말을 몇번 들었는데 이번 어려움을 넘기면 발전할게 눈에 보이네요 기대됩니다
@pansy-hc6kx
@pansy-hc6kx 3 жыл бұрын
@@user-hv5jb8bf4k '
@user-xz3ub2to5j
@user-xz3ub2to5j 3 жыл бұрын
스스로 해결만이 답이다
@user-rh5mx4qc2k
@user-rh5mx4qc2k 2 жыл бұрын
@@xxkjc6977 뭔 군부 대가리 찬양 안해서 군부 들어설거란 개소리 하고있냐.
@Space-gw3yj
@Space-gw3yj 2 жыл бұрын
각국 나라들이 다른 나라의 전쟁과 평화에 개입하는 이유는 결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이 있나 이것과 관련이 있다고 하더라구요. 자국의 이득이 전혀 없으면 개입을 안한다고 하더라고요.
@user-hf9dx5lh7d
@user-hf9dx5lh7d 3 жыл бұрын
일요일 아침 최박사님의 이야기가 참 상쾌합니다 물론 지금의 미얀마사태가 슬프지만 ~
@user-hi7kv4fu2g
@user-hi7kv4fu2g 3 жыл бұрын
@Mortytown Loco 미얀마 군부가 민간인 학살하는게 슬프다 하시는거에요 지금도 미얀마에서 누군가는 피흘리고 있을거에요
@user-rq2to8dm1j
@user-rq2to8dm1j 3 жыл бұрын
@@user-hi7kv4fu2g 개꿀잼은 좀
@diomedeaalbatross1479
@diomedeaalbatross1479 3 жыл бұрын
@Mortytown Loco 개꿀잼... 이런 것도 숨쉬고 사는 구나... 인간은 참 다양해...
@user-hi7kv4fu2g
@user-hi7kv4fu2g 3 жыл бұрын
@@user-gz6ju8uy3v 광주에서 있었던 일도 쌈구경이니 재밋다고 할 수 있나요? 전아니라고 보는데 군부학살에 간신히 저항하는거에요
@user-hi7kv4fu2g
@user-hi7kv4fu2g 3 жыл бұрын
@@user-gz6ju8uy3v 철 없는 잼민이였네 ㅋㅋ부모님 말씀 잘듣고 생각하고 말하렴 잼민이가 아니라면 그거대로 문제네
@dawnbluish2106
@dawnbluish2106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가 민주화 되어 안정된 정치 체제를 이루기를 기원합니다 생각해 보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나라입니다. 우리나라와 함께 서로 도우면서 성장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user-fo3yc1ur5d
@user-fo3yc1ur5d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 청년들 똑똑 하더라고요..유일하게 군쿠테타 민주화 운동했던 한국에 sos를 많이 보냈는데,현재는 인터넷 끊겼다고 하면서 머리 터진 동영상을 보내 왔어요ㅜㅜ
@lim6208
@lim6208 3 жыл бұрын
최준영 박사님은 지식 인간문화재로 지정되어도 손색이 없을것 같네요 말씀하시는데 집중도 너무 잘되고 듣다보면 그냥 빠져들수밖에 없게 만드는 지구본연구소 덕분에 상식도 점점 늘어나고 재미와 유익함을 모두 얻게하는 방송 항상 고맙게 잘듣고 있습니다 전국민이 구독할때까지 오래오래 해주세요~^^
@kennethlim7146
@kennethlim7146 3 жыл бұрын
별소리.
@user-be9mk3sb9o
@user-be9mk3sb9o 2 жыл бұрын
@@kennethlim7146 .
@girl-hj7ed
@girl-hj7ed 2 жыл бұрын
두분이 대화하듯 이야기하시는 모습이 아름다워 더 열심히 세계사 배웁니다ㅎ 미얀마는 언니네 가족모두가 살고있어 길게 여행했는데 정말 순수하고 친절합니다. 서민들이 금종이 사서 불상에 계속 붙이는 모습이 신기했습니다.
@lboard321
@lboard321 3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 최고야 박식 공부많이하신 깊은 박식
@SHJeon-xf3dr
@SHJeon-xf3dr 3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 아버님도 지분 드려야해요~ 신발주머니 ㅋ 에피소드 너무 아름답다 ~^^
@SHJeon-xf3dr
@SHJeon-xf3dr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 정치만이 아닌 다양한얘기 너무즐겁게 잘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
@DldirzhB
@DldirzhB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미얀마가 왠지 친근하게 느껴지네요.
@user-uz9ww3xb2o
@user-uz9ww3xb2o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가 하루빨리 안정화되길바라고, 꼭 가보고싶네요. 박사님 사랑합니다^^
@SC-ms3yz
@SC-ms3yz 3 жыл бұрын
애타게 기다리다가 😍 드뎌 😆최박사님 덕분에 행복한 일요일 아침😘 좋은 영상 항상 감사드려요🥰
@user-ex2fi9kx5k
@user-ex2fi9kx5k 3 жыл бұрын
세계사 한국 근 현대사 세계지리 대한민국지리 다 자신 있는데 박사님 발끝도 못 가네 끝까지 보고 또보고 최박사님 지식을 꼭 훔쳐갈께요ㅡㅡㅎ
@est6104
@est6104 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지식인 최박사닝 찐팬입니다 덕분에 공부 잘합니다
@user-vt8zl2qw4c
@user-vt8zl2qw4c 3 жыл бұрын
정프로님 최박사님 고마우신분들..건강하세요..
@mhj7715
@mhj7715 2 жыл бұрын
여행은 못 가지만 여행가서 보는 것보다 더 많은 걸 배우고 이해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jhchoi3575
@jhchoi3575 3 жыл бұрын
최준영박사님 예전부터 팬이예요~~ 박사님은 어려운 이야기들을 이해가 쏙쏙되게 쉽게 풀어 설명해주셔서 넘 좋아요. 앞으로도 좋은 콘텐츠 부탁드려요!
@user-qy4gs7st6k
@user-qy4gs7st6k 3 жыл бұрын
혼자는 외로워 보이셨는데 두분이 같이 하시는 모습이 좋습니다. 정프로님 삼프로의 보석 최준영박사님 잘 보필해 주세요~~^^
@cheunting
@cheunting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에 더이상 안타까운 희생이 없길 기원합니다.
@butterand
@butterand 3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은 정프로님과 함께 할때 더더 빛을 발하시는거 같아요 두분 건강하세욥 100년동안 하셔야 해용
@user-xc9im7wt3h
@user-xc9im7wt3h 3 жыл бұрын
와~~~재밌으면서 안타깝다.저리 자원이 많은데~~~
@ccecce4112
@ccecce4112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를 듣다보면 깔고앉은게 많은 나라는 기본적으로 아주 잘살지도 못하고, 너무 없어도 잘 살수 없지만. 나라가 아닌 사람에 적용해도 마찬가지지만. 듣다보면 맨날 우리만 없어, 우리만. 그래도 우린 자원이 없으니까 사람이 노력해야 한다는걸 아는거죠. 요즘 미얀마사태를 보면서 또 느끼네요. 지구본연구소 흥하자.
@user-ns7yy4ll7n
@user-ns7yy4ll7n 3 жыл бұрын
북유럽 봐요 자원 많으면 좋아요 미국도 봐요 자원이 얼마나 많은지 미국은 진짜 다 가진 나라 소위 선진국이라고 하는 나라 중에 자원 없는 나라는 일본이랑 한국 정도인 듯
@gounsan
@gounsan 3 жыл бұрын
영국은 석유 석탄 밀 다 자급 가능하다지요?
@jink9319
@jink9319 3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인재가 중요합니다. 미얀마도 교육열이 너무 낮아요.
@user-vf9pz5ws6h
@user-vf9pz5ws6h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 2차 정주행 중^^ 오늘도 따뜻한 신간 감사합니다 😀
@user-ir6pk7rh9d
@user-ir6pk7rh9d 3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과 정프로 기다리다가 숨넘어감.^^
@answernew7266
@answernew7266 3 жыл бұрын
Me too....
@user-xj1uz5lc4q
@user-xj1uz5lc4q 3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
@user-qo2cd7by5v
@user-qo2cd7by5v 3 жыл бұрын
최준영 선생이 나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두텁게 해줌니다ㅎ감사
@user-qw1et2yk8g
@user-qw1et2yk8g 3 жыл бұрын
역시 일요일엔 지본과 함께♡ 넘나 좋은 방송!! 함께할 수 있어 영광입니다^^
@user-cz1zn8hb5l
@user-cz1zn8hb5l 3 жыл бұрын
지리, 인문, 역사, 정치, 경제 상황등을 핵심만 요약하여 쉽게 설명하는게... 한마디로 최고다 👍😍💕
@user-xs4jo3ut8t
@user-xs4jo3ut8t 3 жыл бұрын
세계사 보는눈이 최고의박사 최준영
@kookcho7438
@kookcho7438 3 жыл бұрын
나라가 가난한게 국민들이 게으르고 나태해서가 아니라 "도둑놈"들이 많아서 그렇습니다 저희 회사에 미얀마 근로자들 근무하는데 부지런하고 좋은 사람들 입니다
@bang3199
@bang3199 3 жыл бұрын
정치하는 나쁜 놈들과 더 나쁜 놈들 때문에 선량한 국민은 삶이 힘들지요
@k-3030
@k-3030 3 жыл бұрын
이주 노동자는 그 나라의 평균이상으로 부지런한 사람들이고요. 종교나 문화와 정치의 영향이 크죠. 불교는 자본주의와는 거리가 머니까요. 쇄국정책 또한 그러하죠. 자원이 많으니 굳이 열심히 일할 필요성 또한 없을테고요. 불교의 태평천하가 번성할 만한 요건을 갖추었네요. 우리네 역사에서도 박정희 말고 김대중 같은 인물이 그 당시에 대통령을 했더라면 농업국가를 지속하고 있었을테니까요.
@user-lh7cg5cw9y
@user-lh7cg5cw9y 3 жыл бұрын
@@bang3199 .ㄴ
@user-kl8ci3wf2z
@user-kl8ci3wf2z 3 жыл бұрын
지금정권
@user-bd9dd6qq7b
@user-bd9dd6qq7b 3 жыл бұрын
@@k-3030 김대중 이없고 박정희가 계속했다면 공산독제 속에살겠지
@justinkim126
@justinkim126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최고!
@user-ik8yt3vj8d
@user-ik8yt3vj8d 3 жыл бұрын
이 방송을 싫다고 누르는 인간은 도대체 왜 이걸듣는지 항상 응원하고 감사하게 잘듣고 있습니다
@earthday798
@earthday798 3 жыл бұрын
많은 사람들에게 지식을 나눠주시는 최박사님 깨우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복 많이 받으십시오!
@user-cq3vk3tt2p
@user-cq3vk3tt2p 3 жыл бұрын
다음 이야기가 벌써 기다려집니다. 오늘도 감사히 잘들었습니다
@tundratiger9473
@tundratiger9473 3 жыл бұрын
샤워할때 틀어놓고 듣습니다. 😄😀 그런데 30분은 너무 짧아요. 😤😤
@user-zk8pf5ny8w
@user-zk8pf5ny8w 3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noelkim3188
@noelkim3188 3 жыл бұрын
지금 현재 미얀마군경의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 발포는 반드시 몇배로 값을 치뤄야 한다고
@katelee7421
@katelee7421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편 왠지 조회수 대박날 듯!!! 너무 재밌어요. 박사님 늘 감사해요
@user-li9wy4fw4z
@user-li9wy4fw4z 3 жыл бұрын
계속 찾아봤는데.... 와호! 정말 반갑고 기뻐요. 최준영박사님 존경하고 감사합니다. 최준영호 여행선 승선에 늘 행복합니다. 😍
@user-ip3rn7br6w
@user-ip3rn7br6w 3 жыл бұрын
늘 기다려지는 감사하고 유익한 컨텐츠입니다~^^ 주말편히쉬세요
@user-xt8vr2ez4h
@user-xt8vr2ez4h 3 жыл бұрын
유일한 알람 ㅋㅋㅋ 오늘도 잘들었습니다
@user-vs1kj4bj4z
@user-vs1kj4bj4z 3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얀마란 나라를 이렇게 흥미진진하게 듣고 있는 내모습을 상상조차 못함!
@iroiz
@iroiz 3 жыл бұрын
전에도 한번 유사한 댓글을 쓴적 있는데요 ㅎㅎ 최준영 박사님 지구본 연구소를 들으면서 어제 인생 처음으로 마라톤 풀코스를 한강을 뛰어서 완주했습니다. 새벽 네시에 출발해서 5시간 30분 좋은 기록은 아닌데요 ㅎㅎ 아르헨티나편이랑 미얀마 노르웨이 등등 들었어요. 지구본 연구소 아니면 불가능했어요 감사합니다!
@user-le7jr5bf3z
@user-le7jr5bf3z 3 жыл бұрын
재미난 미얀마 이야기 잘 듣고 두손 꼭잡고 응원드립니다. 👍👍🎼🎁💘💖🙏🙏
@user-qt1rx8gl6s
@user-qt1rx8gl6s 3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응원 합니다.
@englishmutton
@englishmutton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에 관심도 없고 가고싶은 마음도 없었는데 1,2부 초집중해서 듣는 나 뭔데..ㅋㅋ
@user-hx9il2hn9e
@user-hx9il2hn9e 3 жыл бұрын
역시 삼프로 티비 최고 아웃풋
@user-sj3yv6yo2y
@user-sj3yv6yo2y 3 жыл бұрын
우와 !!
@juheelee7590
@juheelee7590 2 жыл бұрын
삼프로tv에서 뵙고 찾아왔습니다. 지구 곳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가 참 재미있습니다. 세상은 넓고 그 모습은 참 다양하네요.
@tinayeon6435
@tinayeon6435 2 жыл бұрын
그저 보고또봐도빠저드네요
@nbirdman1
@nbirdman1 3 жыл бұрын
예전 버마시절엔 동남아 최강 축구팀이었던 기억도 떠오릅니다. 버마 국가대표축구팀하면 한국도 버거워 했던 시절이 있었디고....
@jink9319
@jink9319 3 жыл бұрын
70년전만해도 아시아에서 두번째 잘사는 나라였죠. 군꼴통들만 아니었어도.
@mctb5905
@mctb5905 3 жыл бұрын
오래전 미얀마 여행갔을때 버스에서 자기가 캤다고 하는 루비를 보여주던 아저씨가 생각나네여. 그때도 군부의 억압으로 사람들이 전부 말조심을 했던게 생각나요. 그리고 거기서도 중국애들이랑 말싸움 했던 기억이.....한국이 중국의 속국이라 해서...2007년이었나
@Kim-ig3qq
@Kim-ig3qq 3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중국속국이라고 시진핑도 그랬죠. 문재인은 중국은 큰산 한국은 작은 봉우리라고 기뻐했습니다.
@mctb5905
@mctb5905 3 жыл бұрын
@@Kim-ig3qq 중국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중국은 정부가 나서서 공산당을 위해 민족주의를 심하게 이용하죠. 걔들이 정신차리긴 좀 힘든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kimdoojeen
@kimdoojeen 10 ай бұрын
​@@Kim-ig3qq문제인이 그런소리했다는 근거좀
@Kim-ig3qq
@Kim-ig3qq 10 ай бұрын
@@kimdoojeen 친중사대매국노이며 북 독재정권의 괴뢰종늠 문재인이 그런 말을 당당히 하셨습니다. 네이버검색 요망...
@Kim-ig3qq
@Kim-ig3qq 10 ай бұрын
@@kimdoojeen 서울시장이시며 성범죄자 박원순은 ''말궁디파리론'' 파리(한국)은 말(중국) 궁디에 붙어 힘들이지 않고 천리를 간다.
@chonghuncho3275
@chonghuncho3275 3 жыл бұрын
정말 갖은게 많아서 나라의 문을 닫고 자존심을 세울수 있는 몇 안되는 축복 받은 나라죠. 사람들도 너무 평화롭고! 다음편 기대하겠습니다!
@user-eh3xf7ht8d
@user-eh3xf7ht8d Жыл бұрын
좌향좌네.
@muchsoso8468
@muchsoso8468 Жыл бұрын
@@user-eh3xf7ht8d 미쳤나?
@user-vr5jb7fc7h
@user-vr5jb7fc7h 3 жыл бұрын
실력있으신 분. 최준영선생님^^
@kimsunghee2637
@kimsunghee2637 3 жыл бұрын
쌀 3모작관련해서, 제가 본 바를 잠시 공유하자면, 1마지기에서 쌀이 3개월마다 심고,자라고, 수확하는게 아니고, 1마지기를 4구역으로 나눠서 A구역에 모를 심고, B구역에는 자라고, C구역에는 물을 줄여서 여물게 하고, D구역은 수확하고 이런 방식으로 풍차돌아가는 방식으로 해서 지속적으로 수확하는 겁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직접 봤습니다. 저도 국민학교 시절 동남아 3모작으로 배웠는데, 정말 쌀이 3개월마다 그렇게 빨리 자라나? 더운나라라 그럴수도 있겠다하며 그냥 넘어 갔는데, 직접보니 그렇지 않더라구요.
@user-fx7hx7eh2y
@user-fx7hx7eh2y 3 жыл бұрын
감사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Жыл бұрын
한꺼번에 동시로 돌리면 더수확량이 많을텐데 궁굼하네요
@kyungchanahn65
@kyungchanahn65 Жыл бұрын
3모작은 실제로 4 개월만에 수확합니다. 베트남 2모작은:3월에 씨 뿌리고, 6 월에 수확및 다시 씨뿌리고 9 월에 수확하고, 그후는 우기철 (9월- 다음해 2 월)은 휴경임.
@kyungchanahn65
@kyungchanahn65 Жыл бұрын
@@user-ub1dx6fp7g 정부에서 통제합니다.쌀이 너무 많으면 값 폭락해서 입니다.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Жыл бұрын
@@kyungchanahn65 궁굼증이 해소됐네요 ㄱㅅㄱㅅ
@user-hd5hr6ts6s
@user-hd5hr6ts6s 2 жыл бұрын
지구본 연구소 열심히 시청하고 있는 구독자입니다. 외국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알아가고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옛날 우리 학교 다닐 때보다 많이 달라진 부분이 있어서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 아쉽다고 그럴까 아님 제 개인적인 생각이랄까 하는 욕심이 있는데요. 강의 하면서 마지막에 그 나라와 우리 대한민국과의 관계를 설명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상대국이 우리나라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역시 궁금합니다. 최준영 박사님을 비롯한 관계자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TY-yk1ku
@TY-yk1ku 3 жыл бұрын
너무 즐겁네 잘 보고 있습니다 최준영 박사님^^
@user-xb4rc1hk6b
@user-xb4rc1hk6b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 정말 짱이에요👍 이런 장대한 스토리를ㄷㄷㄷ 매번 잼나게 듣고 있습니다 😊
@user-ug2el2mr5k
@user-ug2el2mr5k 3 жыл бұрын
주말에 몰아보기 딱 좋네요~😀👍👍👍
@-bikelife
@-bikelife 3 жыл бұрын
최박사님 덕에 즐거운 주말이 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bw3zn4fn3b
@user-bw3zn4fn3b 2 жыл бұрын
늦잠자는 식구들 땜시~개울가로 피서와서 재미나게 듣습니다~자원이 풍부하고 자연이 아름다운 나라 미얀마~지구에서 전쟁이 사라지기를 기원합니다
@ms.h2245
@ms.h2245 3 жыл бұрын
작업하면서 항상 잘듣고 있습니다!! Save Myanmar!
@user-ii9wt9tp8c
@user-ii9wt9tp8c 3 жыл бұрын
그냥 믿고보는 지구본연구소~~~~~~
@Meun1987
@Meun1987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덕분에 지리에 관심이 폭발합니다 시간이 넘 짧아용~~~~
@user-ec2zh5on9o
@user-ec2zh5on9o 3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미있고 유익합니다 두분 케미도 좋고요^^
@walkingmom1302
@walkingmom1302 3 жыл бұрын
아기다리 고기다리입니다요 감사히 잘들었습니다
@user-hs5xy4zc2t
@user-hs5xy4zc2t 3 жыл бұрын
잼나게 잘들었습니다
@user-iy4vu6dw2y
@user-iy4vu6dw2y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감사합니다
@user-nite
@user-nite 3 жыл бұрын
유익하게잘들었습니다~두분에게감사드립니다^^♡♡
@user-qg5xm4yk6u
@user-qg5xm4yk6u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 2부 재미있게 봤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sn1rf5xx6w
@user-sn1rf5xx6w 2 жыл бұрын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를 알기쉽게 알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en3sy9og9m
@user-en3sy9og9m 3 жыл бұрын
2빠^^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onginvestor8364
@honginvestor8364 3 жыл бұрын
세상은 넓고 내 지식은 더 넓어
@user-dp7hd4yc3t
@user-dp7hd4yc3t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user-nr7ns1nf5h
@user-nr7ns1nf5h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요번 편도 너무 좋아요 마음같아선 날마다 해주셨슴 ㅋㅋ
@shinetosh
@shinetosh 3 жыл бұрын
늘 최고셔요 박사님
@user-fx5lm8mn3e
@user-fx5lm8mn3e 3 жыл бұрын
늘 잘듣고 있어요
@TEDAJ
@TEDAJ 3 жыл бұрын
듣다보면 내가 똑똑해지는 느낌이 들어 너무 좋습니다. 계속 갑시다 쭉~
@user-vt1hg6ki6q
@user-vt1hg6ki6q 3 жыл бұрын
매번 정말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KoDongUi
@KoDongUi 3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아요 영상올라오기만을 고대하고있네요 박사님 감사합니다^^!
@millionten7774
@millionten7774 3 жыл бұрын
계속 세계이야기 해주세요~ 넘 잼나고 좋아요. 대박나세요 👍
@user-wq9hu2um1d
@user-wq9hu2um1d 3 жыл бұрын
최진영 박사님 덕분에 일요일이 기다려집니다. 감사합니다 ~😊
@ysj454
@ysj454 3 жыл бұрын
미얀마가 생각보다 참 재밌는 나라네요. 코로나 끝나면 한번 가보고 싶네요.
@snn7065
@snn7065 3 жыл бұрын
잘보고있어요
@user-yv7jr5tt3l
@user-yv7jr5tt3l 3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seungcheollim1979
@seungcheollim1979 3 жыл бұрын
자꾸만 작은 오개념(?)이 보여서요..ㅜㅜ 쌀 3모작이 아니고 3기작입니다.(다른 작물을 연속하면 '모작', 같은 작물을 연속하면 '기작'입니다.)
@jmhan4219
@jmhan4219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ㅎ
@hesdialee4115
@hesdialee4115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 깨알같은 정보
@hyunnyp
@hyunnyp 3 жыл бұрын
방구석 좆문가 나셥네, 이게 그리 불편한 사항임? 국제 정세 얘기에 잠시 훑고 지나가는 일부 기초 지식 사항에, 기작이든, 모작이든 뭔 상관, 실제 보면 기작도하고 모작도 하는데 그중 쌀이 주요생산품이라 쌀이 많이 난다고 강조 설명하는건데, 주제에 훼손하는 오류도 아니고 ㅋ, 이런애들이 공부 열심히 하는데 성적 바닥에서 노는 애들임.
@hesdialee4115
@hesdialee4115 3 жыл бұрын
@@hyunnyp 헐.. 영양가 없는 얘기 길게도 쓰심. 몰랐으면 그렇구나하고 감사함으로 받아들이면 되쥬
@kmj7027
@kmj7027 3 жыл бұрын
@@hyunnyp 인간아 알려주면 그냥 예하고 넘어가라
@hoohoo8440
@hoohoo8440 3 жыл бұрын
세계 여러나라에 대해 몰랐던것을 알게 되어 유익한 채널이라고 새삼 느낍니다 👍👍👍
@kyung3566
@kyung3566 3 жыл бұрын
선 좋아요 후 즐감합니다^^~*
@tuckdoooly
@tuckdoooly 3 жыл бұрын
지구본연구소~👍 최준영박사님 진짜진짜 존경합니다 ㅎㅎ
@miaheinz9276
@miaheinz9276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은 말씀을 재미있게 잘하시니 왠만한 드라마보다 재미있어요 시카고 멀리서 듣고있어요. 살림하면서 듣는데 너무좋습니다....
@user-gt7gd9yd5h
@user-gt7gd9yd5h 3 жыл бұрын
박사님과 정프로의 쿵짝쿵짝 너무 재밌고 잘맞는거 같네요.
@user-ed4rm3iw1c
@user-ed4rm3iw1c 3 жыл бұрын
방구석에서 세계여행 가능케하는 박사님 고맙습니다..빨리 삼프로처럼 100만 가즈아...ㄱㄱ
@Rui35467
@Rui35467 5 ай бұрын
미얀마 연구대상이네요 자원부국이었던 나라가
@ksyouthya
@ksyouthya 3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여행 위험 국가 파키스탄. 사실은 꽤나 잘 살았었다? [파키스탄 3부]
32:13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Рет қаралды 832 М.
Just try to use a cool gadget 😍
00:33
123 GO! SHORTS
Рет қаралды 84 МЛН
La revancha 😱
00:55
Juan De Dios Pantoja 2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Burçlar hangi hayvan????
0:16
@zeyna_ankaa
Рет қаралды 5 М.
최준영 박사 "아프리카가 중요한 이유!" [코너별 다시보기]
27:02
불교의 발상지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한 원인은?
18:35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539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