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 만에 1억 떨어졌다…영끌족 성지 '끝없는 하락' / SBS 8뉴스

  Рет қаралды 448,935

SBS 뉴스

SBS 뉴스

Ай бұрын

〈앵커〉
서울 아파트 값이 6주 연속 오른 걸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그 가운데 노원구와 도봉구 또 강북구는 여전히 가격이 하락세입니다. 이 지역은 은행 금리가 낮았던 몇 년 전에 대출을 끼고 집을 산 사람이 많았던 곳입니다.
현장을 이호건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노원구의 2천여 세대 규모 아파트 단지.
지난 3월 전용 41제곱미터가 2억 5천만 원에 팔려 한 달 전보다 1억이 떨어졌습니다.
[공인중개사 : (서울 집값 계속 오르고 있다 그런 얘기 있는데?) 뻥 치지 말라 그래요. 그냥 급매만 어쩌다 한 번씩 나가는 거죠.]
도봉구의 이 아파트도 두 달 만에 1억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공인중개사 : 매매는 거의 안 해요. 서울 강남이나 송파구, 한강 이남 지역하고는 전혀 달라요.]
이번 주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보다 0.03% 올라 6주 연속 상승했습니다.
약세지역으로 불리는 금천 관악 구로도 2주 연속 올랐는데, 노원 도봉 강북은 유일하게 계속 하락세입니다.
[고종완/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 둘 다 경기도와의 관문지역인데 '금관구'는 양천 강서구 등 서남권 집값 영향을 받는 데 비해 '노도강'은 동북권과 경기 북부 지역 영향을 받기 때문에 (차이가 납니다.)]
노도강 지역은 3~4년전 저금리 부동산 호황기 당시 이른바 3~40대 영끌족들이 많이 몰렸던 곳입니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아 첫 내집 마련 수요에 갭투자 수요도 많았는데,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더 버티지 못하고 급매를 내놓고 있는 겁니다.
[박원갑/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 : 영끌족을 중심으로 집주인들이 매물을 싸게 내놓는 데다가 재건축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면서 투자 수요 역시 감소한 게 주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그런데 최근 이 지역 갭투자가 다시 고개를 드는 모양새입니다.
9억 이하 대상인 신생아 특례대출도 영향을 미쳐 올 1분기 서울에서 노원구의 거래량이 가장 많았습니다.
[공인중개사 : 요새 3월에 갭투자 하려고 하는 사람 문의가 좀 늘었어요. '저점이 아닌가?' 이런 생각들을 하는 사람들이 움직이는 거고.]
당분간 약세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거래량 증가에 급매물이 소화되면 하락 움직임을 멈출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영상편집 : 김종미, 디자인 : 김규연, VJ : 박현우)
☞더 자세한 정보
news.sbs.co.kr/y/?id=N1007635252
☞[부동산 정책 · 시장 동향] 기사 모아보기
news.sbs.co.kr/y/i/?id=100000...
#아파트 #영끌족 #노도강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n.sbs.co.kr/youtube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premium.sbs.co.kr
▶SBS 뉴스 라이브 : n.sbs.co.kr/youtubeLive , n.sbs.co.kr/live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n.sbs.co.kr/inform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n.sbs.co.kr/App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pf.kakao.com/_ewsdq/chat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 sbs8news
이메일: sbs8news@sbs.co.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news.sbs.co.kr/
페이스북: / sbs8news
트위터: / sbs8news
카카오톡: pf.kakao.com/_ewsdq
인스타그램: / sbsnews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Пікірлер: 968
@seonshin9020
@seonshin9020 Ай бұрын
도데체가 집값이 2배~3배 오른건 생각안하고 찔끔 내렸다고 집값떨어졌다고 난리치는게 이해가 안감. 거품으로 널뛴 집값 이젠 내려가야 하는게 당연한거 아닌가..
@bbokdoong
@bbokdoong 29 күн бұрын
예전에 구매한 사람들은 상관없는데 요 4-5년내에 영끌해서 구매한 사람들은 망한거지. 막차탓으니. 무슨 투자든 지금처럼 내려갈때 사는거지 불붙어서 올라갈때 사면 망하는 지름길.
@seonshin9020
@seonshin9020 29 күн бұрын
@@bbokdoong 뭐 본인의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질 수밖에 없죠 주식이나 마찬가지 아니겠습니까
@user-op4tu4xt8i
@user-op4tu4xt8i 29 күн бұрын
@@user-nb3zs5zr2i 몇살 이길래... 틀딱이??
@gungari8
@gungari8 29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말도안되게 오른후 말도안되게 안내려가니까 물가가 계속 오를수밖에 없다 시급까지 오르니...
@user-fz3yq2el6s
@user-fz3yq2el6s 29 күн бұрын
@@user-nb3zs5zr2i할배요...
@user-ju6kk6pq3q
@user-ju6kk6pq3q Ай бұрын
7억이던게 15억 되더니 14억에 내놓던데 이건 투기라고 합니다
@user-ox1nx4wd2d
@user-ox1nx4wd2d 29 күн бұрын
그니까 사지 ㅋㅋㅋㅋ돈 버억~~~ 달다 달아
@bonobono3810
@bonobono3810 29 күн бұрын
투기가 아니라 원화가치하락을 헷지 한거라고 보면 빠릅니다 한국은 언제나 빚으로 선택과집중을 해왔고 위기시마다 양적완화를 해왔습니다 적당한 근로소득 벌면 예금해서->은행에 적금을 넣으면 빨리 실물자산이나 소유권취득을 해야됩니다 미국이나 일본 유로존 들보다 더 빠르게 움직여야 재산을 지킬수있어요 이해하셨나요???
@bonobono3810
@bonobono3810 29 күн бұрын
글쓴분처럼 예금과 적금으로 신용을 찍어낼 환경을 만들어주셔서 다른 이들이 그돈을 레버리지 해서 실물자산과 사유재산을 취득 했죠 은행에는 1에 본원통화로 9에가짜돈이 팽창하게 되며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겁니다^^
@bonobono3810
@bonobono3810 29 күн бұрын
시중에 돈이 안돌고 불경기며 한국은행에서 1에 본원통화를 시중은행에 뿌려 9에 가짜돈이 탄생하며 악순환에 악순환으로 커지죠 금리인상을 장기적으로 오랫동안 해야지만 통화량을 흡수해서 화폐가치를 지키고 물가를 안정시키는 건데 한국경제체질상 한계기업이30프로고 코로나로인한 자영업자들에 대출 생계형 대출 카드 리볼빙 마이너스통장등 고금리 기조를 오래 유지할수 없는 구조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폭락론자들은 기준금리를 올라라고 하는겁니다 나라가 망해도 나는 아파트를 사야겠다 라는 거죠 ㅋㅋㅋㅋㅋㅋㅋ
@bonobono3810
@bonobono3810 29 күн бұрын
그럼 이 시중통화량 (m2)가 계속해서 늘어나면 30년전에 강남에 집을 살려고 빌린 1억이 껌값이 되는겁니다 ^^
@user-lv8fj6bv4b
@user-lv8fj6bv4b Ай бұрын
세금 투입 반대...
@mylogic8413
@mylogic8413 28 күн бұрын
여기 투입 안하면 멀쩡한곳에 투입할것 같지?ㅋㅋ
@user-ys6pk6bn4j
@user-ys6pk6bn4j Ай бұрын
그동안 너무 급등했어요 2~3배 급등했어요. 더이상 살 사람이 없어요.이자에 임대료에 감당이 안 됩니다.
@user-qj7cd6nv8b
@user-qj7cd6nv8b 29 күн бұрын
저출산, 초고령화 , 인구감소 = 부동산 끝났다. 이번에 주택 19만호 누락 시켜 놓고 주택 공급 부족하다는 쇼 봤지???
@scolpion1
@scolpion1 29 күн бұрын
태영건설 SBS 직원여러분 언론의 자존심과 양심을 지켜내시길 바랍니다.
@user-vo1ys6rg5x
@user-vo1ys6rg5x 29 күн бұрын
부동산 아저씨 뉴스에세 가격오른다니까 뻥치지말라고 그러는데 뉴스 마지막에 갭투기 증가된다고 하네요 역시 태영 sbs
@newtonisaac3769
@newtonisaac3769 Ай бұрын
상승이라고?? 또, 공기관이 사기치는군요.
@user-ik1uk2xm1o
@user-ik1uk2xm1o 29 күн бұрын
언론이 문제지 ㅡ 미분양이 많은데 무슨 상승 ㅋ
@taesookim4831
@taesookim4831 29 күн бұрын
한국부동산원은 진짜 문제임.. kb 민간통계는 내린걸로 나옴
@user-hi2go1mp2c
@user-hi2go1mp2c 29 күн бұрын
강남, 서초, 반포 등은 올랐음. 거지들이 또또 찾아보지도 않고 하락무새
@lalakim744
@lalakim744 29 күн бұрын
이제 언론에 또 속는 것도 문제 아닌가? ㅋㅋㅋㅋ
@hamiltonruise4503
@hamiltonruise4503 29 күн бұрын
Sbs잖어. 태영건설 죽쓰고 있어서 그런듯
@user-pg8pr2xy1x
@user-pg8pr2xy1x Ай бұрын
SBS=> 기억합니까? 아파트가격이 하락함에도 뉴스말미에 강남불패라느니-특정지역은 오른다
@scolpion1
@scolpion1 29 күн бұрын
태영건설이 사주입니다
@user-mi7zh2sv9n
@user-mi7zh2sv9n 29 күн бұрын
ㅎㅎ 100억하루에 올라요 태영건설사 앞잡이 전문가 괴수 내세워 광고비는 챙기고 좋겠다 언론은
@user-ue3sb1yv9k
@user-ue3sb1yv9k 29 күн бұрын
태영건설 ㅋㅋ이 아버지라서
@user-dz4qj5bw7k
@user-dz4qj5bw7k 29 күн бұрын
SBS정권 노예. ㅋ
@jamiejj368
@jamiejj368 29 күн бұрын
태영건설ㅋㅋㅋ
@user-pb8rm9gr3n
@user-pb8rm9gr3n Ай бұрын
지금은 아파트잘못사면 영원히안팔릴수도있어 진짜신중히구입해야됩니다 아파트매수수요가 거의없어요 특히지방은요
@chc0482
@chc0482 Ай бұрын
지금 출산율 아작나고 지방 소멸이 심해서 지방에서 비싼 집 사겠다는건 사실상 끌어 안고 죽을 때까지 있겠다는것
@andrew4885
@andrew4885 29 күн бұрын
무주택 부동산 ㅈ문가
@user-mt3ry7el8d
@user-mt3ry7el8d 29 күн бұрын
임장 블로그충들 꼬시다 ㅋㅋㅋㅋㅋ
@user-mo1gn2jx2y
@user-mo1gn2jx2y 29 күн бұрын
긍게 이 영상 얘기가 서울인데 지방이랑 서울이랑 같냐고.
@Sugarmom._.
@Sugarmom._. 29 күн бұрын
서울은 매매 되죠 ㅋㅋ
@MissTerry709
@MissTerry709 29 күн бұрын
갭투자좀 금지시켜라 갭투자로 자본금 없이 몇십채씩 사는게 정상이냐?
@user-ut6rm8ux1s
@user-ut6rm8ux1s 29 күн бұрын
또또 여론몰이. 인구는 절벽이고 다들 새집 살고 싶어함. 수십억짜리 네임드 아파트 제외하면 아파트 가격은 떨어지게 되어있다. 오르기 전 가격을 향해.. ㅋㅋㅋㅋ
@newtonisaac3769
@newtonisaac3769 Ай бұрын
자산관리원장이란 분이 왜 나오나요?? 투기꾼들과 호가띄우기 전문홍보꾼들은 가능하면 자제하시기를...
@ymlee5504
@ymlee5504 29 күн бұрын
니도 투기하세요. 집못사서 뿔난 거지새끼들이 투기꾼 욕하는것만큼 웃긴게 없음. 사회주의 사상에 찌든건지, 자본주의에서 도태된 새끼라 지능수준이 그런건지 모르겠네.
@user-hr3rn6cd5w
@user-hr3rn6cd5w 29 күн бұрын
누가 나오던 뭔상관 참으로
@bin885
@bin885 26 күн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heejeungcho4901
@heejeungcho4901 Ай бұрын
Sbs가 이 뉴스에서 진정 하고 싶었던 말은 1분 53초이후 부터였네 ㅋㅋ
@ballfoot5527
@ballfoot5527 29 күн бұрын
대주주 태영건설의 방송사 답네
@user-pk2zg5xr2z
@user-pk2zg5xr2z Ай бұрын
지금이라도 빨리 팔아야 사는길이다
@user-tb4dt3do1z
@user-tb4dt3do1z 29 күн бұрын
집값은 앞으로 떨어질거다 집 값이 오를거라 생각하는 바보들은 생각 좀 하고 살아라 앞으로 인구는 계속 줄어들고 예전처럼 자녀가 있어서 무리 해서 빛내서 집 사는 경우도 없으며 대출 이자는 높고 앞으로 부모님이나 친척들에 의한 사망으로 집을 상속으로 받으면 세금 낼려고 파는 집이 많이 나올텐데 오를 이유보다는 앞으로는 떨어질 이유밖에 없다 물론 강남은 제외
@kkk-yb5lo
@kkk-yb5lo 29 күн бұрын
외국인들 수입해서라도 팔겁니다 그런나라예요 이나란 지금도 중국인들이 집들 겁나 갖고있는데
@t-dm3kl
@t-dm3kl 27 күн бұрын
와.. ㅋㅋ 생각 많이 하셨네요 님ㅋㅋ 생각을 너무 잘 하셔서 꼭 부자 되실거에요 파이팅!
@user-tb4dt3do1z
@user-tb4dt3do1z 27 күн бұрын
@@t-dm3kl 알았으면 형 말 잘 새겨 들어
@t-dm3kl
@t-dm3kl 27 күн бұрын
@@user-tb4dt3do1z 넵!! 근데 혹시 현재 재산이 어느정도인지 물어봐도 되나요?? 저보다 돈 없으면 나이가 10살 많아도 형 취급은 못해줘서..
@user-tb4dt3do1z
@user-tb4dt3do1z 17 күн бұрын
@@t-dm3kl 형이 집하고 사업 다 정리하면 30억쯤 될거 같은데 울 동생은 얼마 있니?
@mastekwan
@mastekwan Ай бұрын
니네가 그렇지 ㅋㅋㅋ 핵심은 "서울 아파트 가격, 6주연속 상승"을 알리고 싶어서 노도강을 취재해 봤습니다. 아냐?? ㅋㅋㅋㅋ
@user-neobelle
@user-neobelle 29 күн бұрын
빙고..sbs 태영건설 ㅎㅎ
@user-xt2ub6ub8j
@user-xt2ub6ub8j 29 күн бұрын
혜안이 대단하세요
@cjminam
@cjminam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이 뒤늦게 영끌족이 뛰어든 지역이라 아직 더 빠질 여지가 있죠.
@user-bd9hz3cg3f
@user-bd9hz3cg3f 29 күн бұрын
고 정주영 회장 말씀 ,아파트 값의 60%는 거품이다. 정부의 세금을 위해 건설회사와의 거래일 뿐이다.
@user-fe1sd3oh8t
@user-fe1sd3oh8t 26 күн бұрын
베스트 댓글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parksanghyun1992
@parksanghyun1992 29 күн бұрын
인구는 줄어드는데 높으면 뭐하노 어짜피 나중에 살사람도 없을텐데
@user-badababo
@user-badababo 29 күн бұрын
아직 시작도 안했고 오늘 파는게 가장 비싸게 팔수있는 기회라는거... 초급매 아니면 거래안됨
@user-dw7cx7jd1c
@user-dw7cx7jd1c Ай бұрын
구로, 노도강은 하급지라서 오르기가 쉽지 않음
@user-ox1nx4wd2d
@user-ox1nx4wd2d 29 күн бұрын
알면서 사는사람은 모다?ㅋ
@kentplus8122
@kentplus8122 29 күн бұрын
구로는 진짜 동네가 구림 차도 ㅈㄴ 막히고..
@kentplus8122
@kentplus8122 17 күн бұрын
@@user-lo5wq2qk4j 80년도 부터 살아 있지만 망하는것도 쉽진 않음....
@youngtaeahn7638
@youngtaeahn7638 Ай бұрын
아파트 가격 오르면 뭐하냐??? 팔려야지. 바보냐?
@Twosonfa
@Twosonfa Ай бұрын
오른다는 의미가 호가 같냐? 거래된 가격인거지 집거지 바보새기 ㅋ
@user-hr3qr2ou3o
@user-hr3qr2ou3o Ай бұрын
카페인 고마무라😊😊
@user-bm5jw9fd7w
@user-bm5jw9fd7w Ай бұрын
수요가 증가하니까 가격이 오르는거 아닌가요?
@youngtaeahn7638
@youngtaeahn7638 29 күн бұрын
수요가 증가하는데 거래량이 평균에도 못 미치나요?
@jeongchanpark1577
@jeongchanpark1577 29 күн бұрын
실거래가 올라서 오른거 아님? 호가로만 하면 집주인들이 폭등시킬 수도 ㅎ. 새로 짓는게 어렵다보니 새아파트는 오르고 있는 현상은 맞는듯
@user-jy5cq3xe9y
@user-jy5cq3xe9y 29 күн бұрын
재개발이 매력적이지 않다는걸 사람들이 눈치챗고 구축아파트에 투자를 안하는거지
@user-tc5oc9dx8t
@user-tc5oc9dx8t 29 күн бұрын
당연 떨어져야 맞는거지 200% 올랐는데 조금 내린걸 날리네
@Vlrhsgkekzzz
@Vlrhsgkekzzz 29 күн бұрын
이자 감당 안되는 넘들이 계속 급매로 저렴하게 팔고! 급매로 나오는 곳이 좋은 위치고, 저렴하면 돈 있는 넘들이 줍줍 중국인이 줍줍 하겠지. 정부는 또 자유시장 경제 시장 개입해서 부동산 가격이 다시 폭등 할꺼고. 저렴할땐 관심도 없던 인간들이 폭등하는거 비싼 가격에 구매 및 영끌 하겠지 ㅎㅎ
@SHKim-uv4wo
@SHKim-uv4wo Ай бұрын
19만세대 누락인데 왜 가격이 오르죠 ???
@0706cozy
@0706cozy 29 күн бұрын
발표전에 촬영한거라..
@user-qq6ie3fq3r
@user-qq6ie3fq3r 29 күн бұрын
지금 공기관장 거의 문쟤인이 알박기해둔거몰라?
@user-ns7bz9tm8g
@user-ns7bz9tm8g 29 күн бұрын
누락된 19만채 중에 서울 물량은 없어요
@user-dm5vp4qb4c
@user-dm5vp4qb4c 29 күн бұрын
???????
@wdyw..
@wdyw.. 29 күн бұрын
왜 장사가 잘되는데?
@swkang2019
@swkang2019 Ай бұрын
이젠 재건축하면 큰돈들어가니 팔수밖에 ㅋㅋ
@GlongkerV
@GlongkerV 29 күн бұрын
집이 거주목적이면 집값내리면 오히려 좋음 보유세가 줄어드니까
@user-oz7li8he7m
@user-oz7li8he7m 29 күн бұрын
누가 지금 가격의 집을 살까요? 그리고 일본 1990년 후반 ~지금의 상황을 보면 답나오네요
@oos1367
@oos1367 29 күн бұрын
인건비와 건축비등이 비싸니 마음껏 올라봐라 ~~~
@user-tw7sv3ft6l
@user-tw7sv3ft6l Ай бұрын
일평생 빛의노예로 평생거지같이 살고 다 욕심 내려놓고 살아야 혀
@tittittit
@tittittit Ай бұрын
내말이 추천꾸욱 ^^
@HAMBBOONGE
@HAMBBOONGE 29 күн бұрын
slave of light
@Eun_Deeng
@Eun_Deeng 29 күн бұрын
빛의노예!!
@madebyone
@madebyone 29 күн бұрын
그저 빚
@tubeyou9635
@tubeyou9635 29 күн бұрын
출생률이 0.6인데 부동산이 더 오르는 게 말이 돼냐 ㅋㅋ
@user-bd3ed5nx2b
@user-bd3ed5nx2b 29 күн бұрын
노원 상계주공은 닶이 없어보입니다 들어가는 순간 망 하는거죠
@user-xk1ub5uz3x
@user-xk1ub5uz3x 29 күн бұрын
금리 올리라
@user-qg9sj2yc6y
@user-qg9sj2yc6y 29 күн бұрын
빛투하지말고 다들 정신차리자
@udod342
@udod342 29 күн бұрын
각 지역마다 매물 나온거봐라 웃기게도 매물대비 거래량은 10%도 안되는데 가격은 고점기준 호가를 고수하는 이상한현상. 다들 은행 이자감당 가능할만큼 벌고 있는듯
@user-mo3ns4hx2g
@user-mo3ns4hx2g 29 күн бұрын
오르긴 사기치네 서울8만7천 매물 역대 최다야
@user-hd2rn5zc5k
@user-hd2rn5zc5k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 32평 기준 5억도 비싸요
@user-uo5lk5rv7x
@user-uo5lk5rv7x 29 күн бұрын
3억이면 적당해요~그것도 괜찮은 입지로
@love-bh7kp
@love-bh7kp 29 күн бұрын
​@@user-uo5lk5rv7x아니요 강남도5억대가 좋아요
@user-tx8or2br5y
@user-tx8or2br5y 29 күн бұрын
​@@love-bh7kp땅값이 얼마고 거기들어간 자재가 얼마인데...
@user-yu9mf2nb9c
@user-yu9mf2nb9c 29 күн бұрын
거지들은 평생 이러고 살듯 ㅋㅋㅋㅋㅋㅋㅋ
@user-qw4ob6us1v
@user-qw4ob6us1v 29 күн бұрын
평생 임대나 전전하면서 살 팔자군 ㅋㅋㅋ3억까지떨어져도 못살거 같은데 언제 살래
@user-tv2ub5qi6p
@user-tv2ub5qi6p 29 күн бұрын
봄 이사철 반짝이지 뭐 한 10월쯤 되면 다시 끝없는 하락 할 것임 아직은 멀었음
@user-of4tz2cf8v
@user-of4tz2cf8v Ай бұрын
에이~뭐 시작이지 살살 말려죽이겠지
@koontaman77
@koontaman77 29 күн бұрын
19만호 입주 물량 누락시켜서 전세가 요동치게 만들고 경제지들은 연신 고가 갱신 기사 띄우고 진짜...이게 뭐하는거야....
@jonglaelim6036
@jonglaelim6036 29 күн бұрын
부동산에 속지맙시다.속지맙시다 인구급감 공급과잉 고금리 에 무슨 집값오른다고.다 대국민시기극입니다
@ksh3561
@ksh3561 29 күн бұрын
닭장들 보기만 해도 숨막히고 답답….
@like9614
@like9614 29 күн бұрын
국민들은 집 값이 미친듯이 올랐던 때를 기억한다 묻지마 투자와 여러 곳에서 부동산에 투자를 부추겼던 걸 기억한다.
@southkorea5208
@southkorea5208 Ай бұрын
노도강은 경기도권이지.... 너무변두리...
@user-ln2yz3dl9s
@user-ln2yz3dl9s 29 күн бұрын
그래도 비싸요 변두리가 요즘 어있남 서울인데
@user-ff9qx6sh9q
@user-ff9qx6sh9q 28 күн бұрын
노도강이 서울인가요? 서울도 서울 나름이죠~
@coralspyww
@coralspyww 29 күн бұрын
지방은 앞으로도 수요가 적을거임.. 이번 사이클 지나려면 10년은 있어야하는데 그때되면 주 구매층이 인구가 확 줄어든 지금의 1~20대들.. 지방 빈집은 더 늘어날거고 수도권은 어찌저찌 버티겠지만 서울도 중단기적으론 이러다 다시 좀 하락할거같음..
@user-lc4ei1xn2t
@user-lc4ei1xn2t 29 күн бұрын
내 지인들 영끌하지마라고 그렇게 말렸건만 쵸해가지고 눈 뒤집어지면 아무것도 안보이지요😢
@user-qe9wh5vy2q
@user-qe9wh5vy2q 29 күн бұрын
영끌당시 20년21년 지금 영끌해서 집안사면 평생집못산다 하지만 그때당시 영끌했던가격으로 다시는 집을 못판다는 함정을 건설사는속이고있었음
@user-id3ix3em4j
@user-id3ix3em4j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 노도강 서글픈 노래 가슴치며 불러본다~
@yuhanlee9938
@yuhanlee9938 29 күн бұрын
사기꾼들을 투표하는 지역에 뭘 바라... 평생 그러고 살아야지...
@user-cx3yl4mq2j
@user-cx3yl4mq2j 29 күн бұрын
끝없이 올라라~거품의 끝을 보리라
@islamunion4163
@islamunion4163 29 күн бұрын
끝은 이미 봣는데요
@user-ft9mh4xs1n
@user-ft9mh4xs1n 29 күн бұрын
기후이상으로 폭우 엄청 오면 강남서초송파는 끝장날것같은데
@user-xf4kh2ol2z
@user-xf4kh2ol2z 29 күн бұрын
아니 21년도 최고점대비 지금 내린게 내린건가???
@user-dl1rk2dv7z
@user-dl1rk2dv7z 29 күн бұрын
내가볼때 지방은가격엉청 떨어질거같음
@user-sg2fw6ze7n
@user-sg2fw6ze7n 29 күн бұрын
지방은 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있어서 더 빨리 크게 내리는중이다. 언론에서 기사를 안 쓸뿐이지.
@user-nr9lw8xi7n
@user-nr9lw8xi7n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도 결국 오릅니다 보통 오르는 순서가 강남-마용성-중급지-노도강금관구 순서로 시간차이 때문에 그래요 강남 마용성이 전고점 가까이와서 3달안에 노도강도 어느정도 올라가있을겁니다 오래 투자를 해보면 알아요 금관구는 +로 먼저들어섰으니 노도강도 1-2주안에 올라가요 서울 부동산은 절대 분리될수 없습니다 땅의가치란게 있기때문에 그래요
@user-zw5en9zt6m
@user-zw5en9zt6m 29 күн бұрын
겨우 1억??? 지역에 따라 최소 70%이상에서 90%이상 빠지며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에 맞게 가격 정상화가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빚진 사람만 사람이고 빚 안진 사람은 대우도 못받는 아주 이상한 나라가 되어 있어, 경제위기가 안 터질래야 안 터질 수가 없는 나라이기도 합니다.
@user-ro5vl4gx3y
@user-ro5vl4gx3y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은 서울이라기보다 경기북도에 가까움~~~요즘 말하는 평화누리특별자치도 생활권~~~ㅋㅋㅋ
@user-ks9eu6zu8s
@user-ks9eu6zu8s 29 күн бұрын
아파트는 90퍼센트 가 떨어져야 정상이다
@user-rf3kk2eo9m
@user-rf3kk2eo9m 29 күн бұрын
애초에 노도강이 뭐 이유가 있어서 오른것도 아니고 다른곳들 다 오르고 나중에 오른건데 당연히 떨어질때도 제일 먼저 떨어지는게 맞지
@user-qq8kb3ut2m
@user-qq8kb3ut2m 29 күн бұрын
아니 분양가 5억주고 산담에 2년살고 7억에 팔고 이사가면 2억 이득이라고 얼렁 사라는데.. 나라면 7억에 안살건데 누가 사준다고... ㅡ.ㅡ
@TIGER13701
@TIGER13701 Ай бұрын
미래에 인구 감소로 콘크리트 덩어리 아파트가 슬럼화 되면 볼 만 할 듯. 나는 아파트 숲을 보면 숨이 막히는데...한국 사람들 참 희한하네.
@TV-ih8wc
@TV-ih8wc 29 күн бұрын
ㄹㅇ.. 나중에 우리나라 도시 풍경 진짜 기괴할거같음 사람은없고
@moed0
@moed0 29 күн бұрын
님 죽기전에는 그런일 보기힘들죠 2070년도에 인구3600만이니까요
@laranjeiravermelha
@laranjeiravermelha 29 күн бұрын
당장 슬럼화되기보단 2030년대까진 어찌어찌 버티며 마지막 모래성을 거하게 쌓아올린 뒤, 출산율 0점대 세대가 본격적으로 주택시장에 참여하는 2040~50년대 무렵부터 대재앙이 시작되지 않을까 합니다
@user-sp9yn3ol8t
@user-sp9yn3ol8t 29 күн бұрын
@@moed0 3600만이라고 잡아도 지금에서 1400만정도가 사라진거예요. 적은숫자가 아님. 슬럼화는 과장일수도 있지만 지금 사람많이 빠져나간 지동 중소도시정도 모습은 될수있음. 심각한거임
@user-zi9eo4lq9w
@user-zi9eo4lq9w 29 күн бұрын
@@user-sp9yn3ol8t병신 ㅋㅋ 서울 경기는 무적이지
@user-lx8gv1uw6e
@user-lx8gv1uw6e 29 күн бұрын
주식도 그렇고 뭐가됐든 영끌한건 투자가 아닌 투기다
@2586-
@2586- 29 күн бұрын
거주 목적이면 상관 없지만 투기 목적이면 막대한 손해
@kmc9520
@kmc9520 29 күн бұрын
저라면 거주 목적도 차라리 월세 살고 미국 주식을 사겠음 망한민국 콘크리트는 노노
@user-wm6hk8nb3r
@user-wm6hk8nb3r 28 күн бұрын
굿 ~ 차익보려는 진짜많아요 ᆢ 현실을 모르네요
@sl2999
@sl2999 29 күн бұрын
구축에 소형평수가 많고 용적율은 또 낮은것도 아니고.. 이동네 재건축 쉽지 않을텐데..
@js1968
@js1968 29 күн бұрын
3억이 7억되고 1억 떨어진거면 총 3억이 오른거지! 좀 제대로 ;;
@DsKim_
@DsKim_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은 차있어도 인생 빡쎈 동네 아닌가.. 동부간선 개막혀...
@HSkim-km3xo
@HSkim-km3xo 29 күн бұрын
7억이 18억이 되더니 14억으로 내려간게 떨어진거냐??ㅋㅋ
@siennao8960
@siennao8960 29 күн бұрын
너희들끼리 올리고 사고 팔고 다 해라!
@user-tj3jo2pl8g
@user-tj3jo2pl8g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은 뒤에 산이막고 있는게 크지... 지리적으로 사통팔달이 불가하고 심지어 서울 중심에서 밀려있어서 대중교통이든 자차든 어딜 가려해도 답없는 곳
@ianhwang1909
@ianhwang1909 29 күн бұрын
원래 강남 먼저 오르고 노도강 뒤늦게 오르지만 떨어질 땐 노도강 먼저 떨어짐. 곧 강남도 떨어집니다
@Vghnmkouytrew
@Vghnmkouytrew 29 күн бұрын
아파트 이제는 영원히 내리막길이다. 지금이라도 팔아라. 대출부터 해결해라
@tube5914
@tube5914 Ай бұрын
양쪽다 그냥.. 보합이네 뭘
@user-ho9pj8ep7t
@user-ho9pj8ep7t 29 күн бұрын
한강 이북 지역은 마용성 빼면 투자하는거 아니다 경기도 북부 지역도 마찬가지고
@user-oj5gi7wh2e
@user-oj5gi7wh2e 29 күн бұрын
강남 아파트 가격 떨어져봐야 정신차릴텐데...
@Jong99999
@Jong99999 29 күн бұрын
어차피 지역별로 아파트 가치는 피라미드 구조라서 상위지역의 부동산은 맨 나중에 떨어짐 ㅅㄱ
@user-cq6jr7pk9x
@user-cq6jr7pk9x 27 күн бұрын
전문가라고 인터뷰 할 사람들이 고종완 박원갑 밖에 없냐?
@SatisInternationalCoLtdJustin
@SatisInternationalCoLtdJustin 28 күн бұрын
풀인테리어를 해서 주변시세보다 3000만원을 올려서 내놨는데 중개업자가 준공후 최고가라고 안된다고 하더군요. 근데 하루만에 팔렸고 그날부터 우리 판매가격이 최저가가 되는 기적이.. 인테리어 안한 저층도 그 가격보다 높게 팔림.
@jhk1356
@jhk1356 29 күн бұрын
현 시세에서 80%로는 떨어져야지
@user-ox1nx4wd2d
@user-ox1nx4wd2d 29 күн бұрын
구석기임?
@everyuim
@everyuim 29 күн бұрын
80은 양심뒤졌네ㅋㅋㅋㅋ
@ymlee5504
@ymlee5504 29 күн бұрын
니 희망사항이지 거지새끼얔ㅋㅋ
@ymlee5504
@ymlee5504 29 күн бұрын
니 희망사항이지 그지색갸 ㅋㅋ
@user-vy1ub7fs2w
@user-vy1ub7fs2w 29 күн бұрын
​@@everyuim ㅋㅋㅋㅋㅋ
@user-zs2gg6ri5d
@user-zs2gg6ri5d 29 күн бұрын
노원 신축 단지는 매매도 잘되고 가격도 올랐던데ㅋㅋㅋ
@user-ei9yi2me1f
@user-ei9yi2me1f 24 күн бұрын
부동산 나팔수들이 하는 얘기 관심없다. 태영건설 나팔수 sbs. 고종완. 박원갑. 라인업이 상투적이지? 갭투기로집이 또 오른댄다. ㅋㅋ 아직도 그런 말이 나오는게 신기하다.
@Happyhan
@Happyhan 29 күн бұрын
일부 정상적인 부동산업자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가격을 쥐락펴락 입으로 관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매도인이 급매로 싸게 내놓으려면 "아, 언니 왜 그래? 그렇게 싸게 내놓으면 안된다니까ㅠㅠ"라며 부동산 시장을 조종하고 있음. 영끌족이나 고점 매수인들은 '부동산중개업자'들의 투기 부추김에 넘어간 것. 묻지마 부년회장들 가격담합 중심에도 직간접적으로 이들의 농간이 작용하고 있음. 돈에 눈 먼 사람들에게는 물론 그게 중요한 것은 아니겠지. "내가 내놓은 아파트를 과연 이 가격에 누가 사서 얼마의 이득을 내가 챙길 수 있을 지"에 대해서만 관심이 집중되어 있음. 사실 넓게 보면 남의 뒤통수를 치는 투기 행위인데 낯두껍게도 투자라는 이름으로 버젓이 말하지. "이건 경제행위야~! 자본주의 사회에서 행해지는 사회적 약속 상행위. 그러니 이런 걸 못하는 네가 이상한 거야!"라고.'
@user-jy3yk6vi8k
@user-jy3yk6vi8k 29 күн бұрын
집값이 비누 거품도 아니고 본래 가격대로 돌아감 ^ 청년들 결혼하고 좋은 현상이네요.
@user-gd2hf4sv4y
@user-gd2hf4sv4y 29 күн бұрын
부자들 걱정말어라ㄱ
@martho6606
@martho6606 27 күн бұрын
[1986-1994] 86년도의 은행 금리는 18%였다. 94년도까지 금리는 9.46%까지 인하되었고, 이 시기에 전국 부동산가격지수는 상승하였다. [1994-1997] 94년도부터 IMF 외환위기가 터진 97년까지 금리는 25.63%까지 상승하였으며 이 시기에 전국 부동산가격지수는 하락하였다. [1998-2007] 외환위기 이후 경기를 살리기 위해 98년부터 07년까지 금리는 4~5%까지 획기적인 저금리가 유지되었고 부동산 가격 상승이 완만하게 이루어졌다. [2008-2021] 08년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함께 금융위기가 찾아왔고, 금리는 기존의 5%에서 2%까지 인하되며 양적완화 정책, 무차별 현금 살포가 시작된다. 그 이후로 10년이 넘게 1%대 초저금리가 유지되며 2018년부터 과열되는 시장을 잠재우기 위해 미국과 한국 대부분의 국가가 기준금리를 조금씩 올리는 찰나, 2019년 유례없는 코로나가 창궐, 다시금 세계 경제는 0% 금리, 무제한 양적완화를 실시한다. 경기 흐름에 맞게 금리를 올려야 할 시점에 금리를 내리는 현상이 20년이 넘게 쌓였고, 그 결과, 세계 경제는 인류 역사에 있어 가장 악덕한 인플레이션 위기를 맞닥뜨렸다. 자산 가격은 폭등하고, 현금의 가치는 떨어졌다. 노동 의지는 꺾였고, 성실함과 근검절약의 정신을 가진 사람들은 벼락 거지가 되었고, 남의 돈으로 돈 먹고 돈 먹는 투기판이 되어버렸다. [2022-2024] 10%를 찍는 CPI에 연준은 2022년 0.25%에서 5.5%까지 연속 10차례 금리 인상의 카드를 선보이게 되었다. 한국 또한 21년 8월부터 24년까지 3.5% 연속 금리 인상과 동결을 유지하고 있으며 22년, 23년 부동산 가격은 하락하였다. 모든 투자의 잣대가 되는 기준 금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 해야 한다. 현재 금리는 물가에 따라 중앙은행이 조절을 하고 있다. 앞으로 금리의 향방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 파악할 수 있는 법. 그렇다면 물가는 잡히고 있는가? 잡히고 있다면, 금리가 인하될 것이고 물가가 다시 튄다면, 금리는 높은 상태로 동결되거나 인상될 것이다. 24.4.10. 일주일 전 미국의 CPI 지수이다. ‘2%’ 목표 물가지수를 가지고 있는 연준 입장에서 ‘3.5%’ 물가 재상승을 확인했다. 미국채 금리는 하루에 3%가 튀었고, FED WATCH는 하다못해 25BPS 금리 인상의 가능성마저 비추고 있다. 다이먼 JP 모건 CEO는 군사 갈등과 지속적인 고유가로 인한 인플레 압력으로 미국 금리 8% 상승을 전망했고, 8% 금리 인상이 없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될 것이라 예측했다. 결국 금리를 올리지 않는다면, 고금리뿐만 아니라 신용손실, 낮아진 비즈니스 규모, 더 어려운 시장을 초래할 것이라 내다봤다. 여기서 한국물가를 봐야지, 왜 미국 물가를 쳐다보냐고 묻는 혹자가 있을 수 있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 역전 상황에서 미국의 물가 상승으로 미국금리가 올라간다면, 한국과 금리 역전 차이가 더 커지면서 미국으로 외화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다. (같은 돈을 맡기는데, 5.5% 이자를 주는 미국 달러 예금통장에 맡길까 3.5% 이자를 주는 한국 원화 예금통장에 맡길까 생각해 보라)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각하다. 지금 동향을 지속 유지한다면, 2072년, 지금으로부터 48년 후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절반이 된다. 인구는 내년 5175만 명에서 3622만 명으로 -30% 인구가 사라짐. 3622만 명 중에서도 반이 65세 노인이라는 이야기. 지금 한국 국민들의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등 비금융 자산이 80%를 차지한다. 그 부동산을 차지하는 대다수는 50-60세대이다. 베이비 부머 세대는 경제활동에서 이제 한걸음 물러나 은퇴하는 시기가 도래했다. 은퇴를 할 때 통계학적으로 노인들에게 남아있는 자산이라곤 부동산 자산 80%밖에 없다는 이야기. 노인들은 이 하나뿐인 부동산을 팔아, 각종 연금 및 금융 자산으로의 전환을 통해 생활비를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오를 대로 오른 부동산 자산 가격을 30,40세대들이 받아내기 버거운 상태. 현 정부는 젊은 세대에게 대출을 늘려주고, 상환 기간도 50년 60년으로 늘려 미래의 빚을 끌어줄 수 있게 도와주고 지금 부동산의 오른 가격을 살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그렇다, 30,40세대들은 이렇게라도 집을 마련할 수 있지만, 20세대들은 더 오른 가격의 부동산을 짊어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아마도 대출 상환 기간을 200년은 족히 늘리고, 0% 금리로 대출해 준다면 가능할 지도. 인구구조 개선이 안된다면, 결국 대한민국의 부동산이 우상향에 의문을 가지게 된다. 39세 이하 부동산 자산은 75% 금융자산 비중은 18% 불과하다. 50대보다도 낮아 '쏠림' 심각하고 부동산 침체 땐 노후 절벽 우려된다고 본다. 5060세대 부자들은 대부분 부동산 투자로 성공했다. 부모 세대의 경험은 3040세대로 이어져 ‘부동산 몰빵’을 더 심화시켰다. 퇴직연금을 비롯한 노후를 뒷받침할 재원을 헐어 부동산에 쏟아붓고 있다는 것. 하지만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와 부동산시장 둔화 영향으로 이들의 재산 증가율은 부모 세대에 크게 뒤지는 상태. 자본주의가 태어난 역사적 이래 금리 고점에서 피벗 하여 금리 인하가 되는 시기에 단 한 번도 자산 가격이 올라간 적이 없다. 경제 흐름을 꼼꼼하게 체크하자. CPI, PPI, Core CPI가 적어도 2%대로 안정되는 기간을 살피고, 그전까지는 절대 부동산 매매는 하지 않는 것이 추천되겠다. 전세는 2년의 계약기간 때문에 빠르고 긴밀한 경제 변화에 따른 대응이 불가능하므로 절대 비추천. 전세로 산다는 것은 나의 목돈을 집주인에게 투자비용으로 빌려주고 나의 투자 기회비용을 모두 잃는 것이다. 무주택자라면 반드시 지방, 외곽의 가격이 낮은 월세로 시드를 불려가고 물가가 낮아지는 시기까지 금융자산으로 리밸런싱 해야 한다. 부동산은 물론 장기적으로 우상향할테지만, 고금리 상황에 이자비용과 세금 손해가 훗날 물가가 정상으로 돌아왔을 때 다른 자산의 상승 비용폭보다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 그리고 지속적으로 인구구조를 파악하면서, 출산율과 고령화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다면 부동산보다는 금융 자산의 포지션을 늘려가며 주식, 채권, 암호화폐, 리츠, 원자재 등으로 다변화시켜 노후자산을 대비해야 하자.
@user-nb9tu4qs9w
@user-nb9tu4qs9w 29 күн бұрын
인구. 절벽시대인데 인구보다 아파트가 더욱많을걸?
@user-ss2wr1fd3e
@user-ss2wr1fd3e 29 күн бұрын
재건축도 않돼는데 안떨어질수가없지😊
@user-tc3ef6ls9g
@user-tc3ef6ls9g Ай бұрын
국토부에서 누락시킨19만체 .오른다.?
@user-wq6mx1mx2r
@user-wq6mx1mx2r 29 күн бұрын
국토부 통계 정정된게 며칠전이다.
@user-yk8ls8pe9p
@user-yk8ls8pe9p 29 күн бұрын
서울에서도 양극화가 심하다
@prollejazz
@prollejazz 29 күн бұрын
태영 건설을 파산 시켰어야 .. 이런 뉴스.. 다시는 안 보는건데 .. ...
@shk9732
@shk9732 29 күн бұрын
앞으로 아파트는 안오른다. 인구가 없는데 안오르지
@jky-zp9hf
@jky-zp9hf 29 күн бұрын
아파트값이 반등할거라 믿고 대출이자만 꾸역꾸역 내고 있는 사람들이 멍청한 짓. 은행들만 돈잔치. 개꿀.
@jky-zp9hf
@jky-zp9hf 29 күн бұрын
헤드라인만 보고 들어왔는데 기사보니 노도강이었네 ㅡㅡ 서울이 이정도인데 지방은 처참하네...
@user-lv2cx2uw4p
@user-lv2cx2uw4p 29 күн бұрын
투기꾼들은 다 개털돠야제
@jhk1356
@jhk1356 29 күн бұрын
2000년도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가 10억 이상이니 말 다했지 좀있으면 재건축해야할 아파트들일텐데
@tH0Ma5_1Una
@tH0Ma5_1Una 29 күн бұрын
이게 호재라고 저렇게 쳐 올린거에요. 연식이 되서 재건축 될 아파트라 재건축되면 분양 차익으로 10억 이상 번다고 바람 넣으면서 거품 만드는거죠. 실상은 은마아파트 시즌2 납골당...ㅋ
@hugokim2244
@hugokim2244 29 күн бұрын
영끌은 투기이며, 본인 책임입니다. 뉴스에서 다뤄주고 언급할 필요도 없습니다.
@user-xs6xy5cf3n
@user-xs6xy5cf3n 28 күн бұрын
대주주가 태영건설이니 언론사 안 믿겨지네...
@user-ep5ow2wj4q
@user-ep5ow2wj4q 29 күн бұрын
노도강 은 서울 지도 로 만봐도 별로임 물론 관악 금천 구로 도 중국인 유입많아서 노도강보단 조용한편이긴한데 뭔가 접근성으로 보면 별로임 오히려 서울 중앙기점으로 서남 서동 서남 쪽이 회사들이많음 판교쪽은 이미 좋은회사가많아서 그사람들이 노도강을가진않음
@inbaenam9949
@inbaenam9949 Ай бұрын
0.01 ? 0.02 ? 장난하냐? ㅋㅋ
@sanghyeonkim7071
@sanghyeonkim7071 29 күн бұрын
0.01 떨어진게 5억에서 500만원 떨어진게 아니예요 0.01 부동산 하락했다 이건 예를들면 노원에 100채있다치면 5채가 팔렸고 그게 5억하던게 10프로빠지면 4억5천에 했다치고 100채 총합 500억에서 5천 5채 2억5천 빠진거니 500억에어서 2억5천 나갔다해서 0.5프로빠젔다 이거예요 ㅠ 폭락이 그만하시고 부동산 공부해보세요
@user-pe9fq5hq9o
@user-pe9fq5hq9o Ай бұрын
ㅋㄱㅋㄱㄱ대학도 그렇고 부동산도 그렇고 서울,경기 버블,거품 열라 꼈지 ㅋㅋㅋ 반토막은 기본이지, 과거 일본 따라서 개박살 나보자
@ymlee5504
@ymlee5504 29 күн бұрын
그건 그냥 니가 못사서 뿔난거잖아 그지새끼애
@user-cj3qq9zf2e
@user-cj3qq9zf2e 29 күн бұрын
ㅁㅊ 몇해전 말도안되게 아파트값이 올랐는데 앞으로 반도막 이상 떨어져야지..
@user-rq9dx1bt5p
@user-rq9dx1bt5p 29 күн бұрын
국토부의 19만채 공급누락 사건때문에 모든것이 지금 다꼬인것같은데 정부는 뭐하냐 입장발표해야할 중대한 사건 아닌가? 190채도 아니고 1900채도 아니고 19만채를???
김정숙 여사 이용한 전용기 기내식비 6292만 원 | 뉴스TOP 10
10:20
I Need Your Help..
0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42 МЛН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La final estuvo difícil
00:34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I Need Your Help..
00:33
Stokes Twins
Рет қаралды 14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