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5분‘ 기차도 후진을 하나요? 지금은 사라진 국내 유일의 거꾸로 가는 기차에 관한 이야기│사소한 것들의 소중함│후진하는 기차│

  Рет қаралды 149,909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2년 4월 26일에 방송된 <한국기행 - 영동선 4부 거꾸로 달리는 열차>의 일부입니다.
‘숨이 꼴딱꼴딱, 험준한 산간지대를 오가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산악열차’
빠른 것이 곧 가치로 여겨지는 속도의 시대에 평균 속력 48km. 느려서 정답고, 느려서 그 안에 품고 있는 아름다움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철로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험준한 산악지대로 꼽히는 경상북도 영주와 강원도 강릉, 그 사이를 잇는 193.6km의 ‘영동선’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가난한 산골 사람들에겐 세상으로 향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자, 도시 사람들에겐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낭만의 길이기도 한 영동선.
1940년 첫 개통을 시작으로 70여 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변함없는 풍경을 간직한 채 국토의 대동맥으로서 오늘도 쉼 없이 길을 이어가는 영동선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을 함께 담아본다.
-
일제 강점기, 탄광수송을 위해 설치했던 인클라인.
인클라인은 레일 위에 설치된 차량을 밧줄을 통해 견인하여 운행하는 철도이다.
이 철도는 화물열차에만 해당이 되며, 현재 국내에선 유일하게 도계에 위치한 장성광업소에서 광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옛 시절, 사람들은 인클라인을 이용할 수 없었기에 이 구간을 걸어서 다녀야 했다.짐과 사람을 나르는 지게꾼, 겨울에는 새끼줄 장수들이 등장할 정도로 진풍경이 연출되기도 했던 길.
인클라인 철거 후, 설치된 것이 바로 ‘스위치백’(흥전역~나한정역).
스위치백은 자세를 반대로 바꾼다는 뜻으로, 열차가 갈 지(之)자로 이동하는 방식의 국내 유일의 구간이다.
스위치백과 함께 영동선으로 통합 되었고, 강원도 산악지대 일대에 광대하게 매장된 지하자원을 수송하기 위해 달리고 또 달렸던 그 시절 기차.
통리저탄장에서 근무 중인 이동남씨와 함께 광산에 대한 추억을 들어본다.
한 편, 길이 험해 인적의 발길이 끊어진 흥전역 주변에는, 3가구 주민이 살고 있다.
신옥여 할머니에게는 흥전역 역무원이 자식 그 이상이라는데-
국내 최대 길이의 솔안터널의 개통으로 올 7월을 끝으로 사라지게 될 스위치백, 서로 함께 지냈던 시간과,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아쉬워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 프로그램명 : 한국기행 - 영동선 4부 거꾸로 달리는 열차
✔ 방송 일자 : 2012.04.26
#한국기행 #기차 #철도 #열차 #영동산 #잊혀진것들 #옛날 #과거 #추억 #여행

Пікірлер: 134
@EBSDocumentary
@EBSDocumentary Жыл бұрын
※ 이 영상은 2012년 4월 26일에 방송된 <한국기행 - 영동선 4부 거꾸로 달리는 열차>의 일부입니다.
@user-wi4mq8we4q
@user-wi4mq8we4q Жыл бұрын
터널이 생기면서 시간은 엄청 단축되었지만 저런 재미와 추억을 더이상 쌓을수가 없네요. 고등학교 졸업 여행으로 정동진 가던 시절에 참 즐거웠는데여
@higarihaha7952
@higarihaha7952 Жыл бұрын
감성 따진다고 공구리 바닥에서 커피도 마시는 세상에서 이런 감성 하나정도는 남겨놔도 좋을텐데
@pih7053
@pih705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말 공감됨 이성적으로 따진다면 적자가 크겠지만 이젠 공구리 뼈대도 감성으로 따지는 시대가 왔는데.. 영상도 이젠 10년전 얘기라 아쉬울따름
@YDSnim_
@YDSnim_ Жыл бұрын
아죠띠
@YDSnim_
@YDSnim_ Жыл бұрын
@@pih7053 아죠띠
@whhgshsn7221
@whhgshsn7221 Жыл бұрын
시장성이 없잖음
@hyungsookim8982
@hyungsookim8982 Жыл бұрын
@@YDSnim_ 꼬마는 저리가서 니들끼리 노니라.
@user-pp9mn5ti8r
@user-pp9mn5ti8r Жыл бұрын
영동선 12년후 여행중 뒷걸음하는 기차길 지그재그 태백여행 밤구경 얼마나 즐거웠는지요.거기다 기장님께서 방송으로 전경 아래방송 해주셔서 최고의 여행의 즐거움이남아 있는데 없어진다해서 아쉽고 서운하고 없어 지지 않았음 했는데 또 가보고 싶었는데 세계적인 펜데믹으로 발묶여 여행못다녀 아쉽습니다. 현재도 운행 한다면 가볼 기회 만들겁니다 안전하게 수고하세요.
@user-pp9mn5ti8r
@user-pp9mn5ti8r Жыл бұрын
영동 지그재그 기찻길 사라졌다니 아쉽습니다
@hellofubao
@hellofubao Жыл бұрын
11:36 백구넘귀여운거 아님?ㅋㅋ 할머니눈썰미대단하세요ㅎㅎ 식당칸ㅋ 그림이다달랐다니ㅋㅋ 몰랐음ㅋ
@user-li2pt4nr1g
@user-li2pt4nr1g Жыл бұрын
스위치백 무궁화호 많이 탔었는데 이젠 추억이네요 제천에서 강릉 갔을때요^^
@user-rx9lv6gt4g
@user-rx9lv6gt4g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없어졌겠어요. 요즈음 새삼 한국의 아름다움에 감탄합니다. 감사합니다.
@user-eq1sh3ly1g
@user-eq1sh3ly1g Жыл бұрын
운행해요 관광용
@user-ye6gg6ow9t
@user-ye6gg6ow9t 12 күн бұрын
남아있긴 있지만 정규열차는 다른 경로로 다닙니다
@choi177
@choi177 Жыл бұрын
추억이 돋네요. 동해에서 대구까지 오갈 때 6시간 넘게 걸렸는데 저렇게 왔던 길을 뒤돌아 가느라 시간이 더 많이 걸렸다고 불평했던 기억이 나네요.
@seoseo7978
@seoseo7978 Жыл бұрын
25살 내일로 여행에서 탄 기억이 나네요 ㅎㅎ 10년전이네 시간 빠르다
@huristick.logically
@huristick.logically Жыл бұрын
한 번도 타 본적 없고 가 본적도 없는 곳인데 왠지 모르게 그리워지네요. 상술로 점철된 레트로를 향유하는 시대에 진짜 옛 감성의 뜻깊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한번 방문해보고 싶으나 10년 전 이야기인게 아쉬울 따름입니다.
@YDSnim_
@YDSnim_ Жыл бұрын
아죠띠
@user-kn3kb5ls6c
@user-kn3kb5ls6c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츄츄파크로 바뀌어서 거기 관광열차가 운행합니다. 선로도 남아있고요.
@user-zv6ie2iv7p
@user-zv6ie2iv7p Жыл бұрын
아~~그리운 영동선 내고향 분천 찾아 할배 묘소 찾아 그 기차길이 사라진다니 언제나 가볼까 했는데 이젠 볼 수가 없구나 어른들 목소리에 울할매 목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 우리 손주 왔구나
@user-do4rm6yu1w
@user-do4rm6yu1w Жыл бұрын
해돋이 열차 ㅎㅎ 기억나네용
@ez2dj81
@ez2dj81 Жыл бұрын
스위치백 마지막 운행하던날... 갑자기 스위치백 열차운행 스케줄이 바뀌어서 나한정역에 남은 마지막 일반인으로서... 어쩌다가 마지막이라는 타이틀이 붙게 된 마지막 열차(화물열차)를 촬영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가끔 강원도 출장갈때 나한정역을 꼭 들려보는데... 방금이라도 열차가 다녔던 느낌이 날 정도의 분위기가 참 많은 생각을 갖게 합니다.
@RDC-jg9qo
@RDC-jg9qo Жыл бұрын
무궁화호 어릴때도탔었는데 추억이다...
@user-yi6lc7rs4j
@user-yi6lc7rs4j Жыл бұрын
안타까운 점 코레일에서 관광상품화 했으면 상징적인 의미와 함께 관광객 유치와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었을겁니다
@user-mr4hc9vh2z
@user-mr4hc9vh2z Жыл бұрын
아 과거 강릉 여행가면서 이 구간 지나갈때 정말 신기했는데 😂
@is7985
@is7985 Жыл бұрын
예전 심포리역과 통리역 사이는 선로가 없어서 통리역쪽에서 기계로 끌어올렸었지 사람들은 걸어서 올라가고 50년전 이야기
@rollko2769
@rollko2769 Жыл бұрын
중앙선 영동선에 아름다운 구간이 많은데 전부 복선화니 전철화니 해서 없어지고 평범한 풍경으로 바뀌는게 너무나 아쉬워요 ㅜㅜ
@grbc6204
@grbc6204 9 ай бұрын
옛 전라선 단선도 그랫어요
@user-rh4mv3jv6o
@user-rh4mv3jv6o 2 ай бұрын
더욱 너무한건, 그 남은 영동 태백 경북 정선선 마저 죄다 직선화 개량대상으로 잡혀있죠. 쉽게말해 한마디로 남한에는 옛 단선노선은 죄다 지하터널로 사라진다는 뜻...
@user-kb8kt2cv9f
@user-kb8kt2cv9f Жыл бұрын
88년도 영주에서 동해로 징병검사 받으러갈때 한번타봤었는데 정말 신기했었죠 그때가 아련하게 생각납니다
@user-zs8jy7br1o
@user-zs8jy7br1o Жыл бұрын
5:53 이게 누구야~~우리 연느님^^
@hsbyun
@hsbyun 6 ай бұрын
2007년 10월에 탔던게 처음이자 마지막이네요~^^
@Hyunjae-hc6rq
@Hyunjae-hc6rq Жыл бұрын
2022년 12월 기준,영동선 구간의 정기 열차로서는 동대구 ~ 동해 , 영주 ~ 동해 , 부전 ~ 동해 , 청량리 ~ 태백선 경유 동해행 등이 있죠
@kijoonsong886
@kijoonsong886 Жыл бұрын
영동선 복선전철이 완공되면 추억의 舊.영동선 철길은 어떻하나요? ㅠㅠ ㅠㅠ
@tv-es5ud
@tv-es5ud Жыл бұрын
스위치백 거기 기차 박물관인가 거기서 타봤는데
@chj8010
@chj8010 Ай бұрын
과거 기술 성숙도가 낮고 철도 예산이 충분치 않았을 때는 기차를 통햏하게 하려고 이러한 흥미로운 방법들이 쓴 것 같네요. 지금은 긴 터널 하나로 한번에 해결했다는데 해외의 경우 아직 이러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국가들도 있는 것 같네요. 흥미로운 영상이었습니다.
@user-yg4pr4qo7j
@user-yg4pr4qo7j Жыл бұрын
최신기술이냐,갬성이냐 가장어려운 선택이네요
@user-tr7df9ps7t
@user-tr7df9ps7t Жыл бұрын
네 기차도 후진합니다 대구에서 강릉까지 가는 기차는 봉화 춘양지나서 삼척중간지점에서 후진하더라고요~
@user-br6sw4dt1j
@user-br6sw4dt1j Ай бұрын
2008년 초. 스무살 기념으로 친구와 강원도 3박 4일 여행 마지막 일정으로 여행 복귀차 정동진 - 동대구 구간을 탑승했다. 열차에서 기차가 거꾸로 가는 스위치백이 어쩌고 저쩌고 방송 하길래 친구한테 이게 머선 소리고? 하니까 바로 옆에 있던 승무원 아저씨께서 기차가 고도차 극복하기 위해 지그재그로 거꾸로 가는 구간이고 조만간 터널 뚫리면 이제 추억속으로 사라진다고 조목조목 설명해줬던 기억이 난다 ㅎㅎㅎ 다큐에서 보니까 새롭네.
@ActOfValor235
@ActOfValor235 Жыл бұрын
2001년, 청량리역에서 정동진에 해돋이 보러 간다고 밤기차 타고 가면서 앞뒤로 움직이는거 처음 경험해봤는데 신기했었어요^^
@djh6750
@djh6750 Жыл бұрын
1992년 대학교 1학년 여름방학때 친구랑 설악산 놀러간다고 청량리역에서 밤기차 타고 강릉으로 출발하는 통일호를 탔었는데 중간에 후진했었죠. 밤 11시에 청량리역 떠나면 아침 8시 조금 넘어서 강릉에 도착했었죠. 30년이 흘렀네요. 그당시 그 기차타고 강릉가는 것이 대학생들에게는 낭만 여행이었습니다. 입석표 사서 기차 바닥에 앉아서 기타치고 노래부르다가 졸다가. 이제는 추억이네요.
@aza0714
@aza0714 Жыл бұрын
스위치백구간. 청량리출발 영주경유 강릉행 무궁화호는 영주역까진 정방향. 기관차방향 바꾼뒤 역방향운행하다 스위치백구간에서는 뒤로가는게 아니라 정방향운행했죠.
@yeongminware1035
@yeongminware1035 Жыл бұрын
와...그런 근성열차가 있었군요ㄷㄷㄷ
@aza0714
@aza0714 Жыл бұрын
@@yeongminware1035 겨울엔 해돋이 시간을 맞출수 있는 열차였죠. 영주우회다보니 요금도 조금 더 나왔구요.
@mkkwon5016
@mkkwon5016 Жыл бұрын
저 구간 7살때 타봤었는데
@user-gj5tb8xb8f
@user-gj5tb8xb8f Жыл бұрын
아마 한국에서 제일 보존이 잘 된 폐선의 사례일듯 아무리 관광자원으로 사용한다 하더라도 전기설비나 신호 통신 등은 철거를 진행하는데,스위치백 구간은 일부 건널목 설비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철거되지않고 보존되고있음(울론 관리가 안되서 시설이 점점 노후화 되고있긴하지만..) 그 때 그 시절 열차 감성은 아니지만 스위치백 트레인이 관광열차로 운행 중이니 그시절 뒤로가는 열차가 그리운 사람들은 한 번 타볼만 할듯.
@user-nu2mx2mi1d
@user-nu2mx2mi1d Жыл бұрын
부침개 할머니 건강하시죠..?
@xx_reng
@xx_reng Жыл бұрын
묵호에서 외가집인 태박갈때 항상 신기해 했던 구간이네요....이젠 없어졌구나....
@YDSnim_
@YDSnim_ Жыл бұрын
아죠띠
@Biren4242
@Biren4242 Жыл бұрын
와 무척이나 신기하네요! 언젠가 여행하러 가봐야 겠어요 불편해도 옛날의 방식이라도, 그대로 남겨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gongsandang
@gongsandang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저거 없어요 새로 터널 뚫었습니다
@neomttue
@neomttue Жыл бұрын
@@gongsandang 안없어졌습니다. 현재 하이원츄츄파크로 운행되고 있습니다.
@gongsandang
@gongsandang Жыл бұрын
@@neomttue 실제 영동선 철도거리표상에서 사라진 것은 맞죠 솔안터널이 개통해서
@user-ye6gg6ow9t
@user-ye6gg6ow9t 8 ай бұрын
없어진건 아니지만 일반 기차들은 스위치백쪽으로 가질 않고 동백산역에서 바로 터널로 진입하에 산 내부를 크게 돌아 도계역으로 나옵니다
@user-gh9yw5uz4o
@user-gh9yw5uz4o Жыл бұрын
건설된 지 오래된데다가, 고속운전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스위치백이 사라졌죠. 전진-정지-후퇴-정지-전진을 해야 하는 구조 때문에 표정속도를 깎아먹을 수밖에 없었죠. 반면, 루프터널은 달리면서 지형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표정속도를 깎아먹지 않고요.
@palima3rd267
@palima3rd267 Жыл бұрын
나한정역에서 흥전역까지 걸어서 가본지도 벌써 꾀 시간이 지났네////
@outasura
@outasura Жыл бұрын
70년대에 많이 타고 다녔는데.. 특히 군에서 휴가올때 이용한 기차이지요. 청량리에서 강릉까지 갔지요. 통리역.... 철암역 인가로 기억 됩니다. 추억이 새롭네요...
@YDSnim_
@YDSnim_ Жыл бұрын
아죠띠
@user-kn3kb5ls6c
@user-kn3kb5ls6c Жыл бұрын
흥전에서 나한정이 사위치백 구간이죠. 통리 심포리 흥전 나한정 도계 구간인데.
@leejaekoo7436
@leejaekoo7436 Жыл бұрын
비둘기호 타고 학교 다니던 시절이 생각나네..
@Thethinker75007
@Thethinker75007 Жыл бұрын
역대급 영지 설계사 보다가 찾아왔습니다
@tkdwns1998
@tkdwns1998 Жыл бұрын
스위치백
@hwan2285
@hwan2285 3 ай бұрын
하이원 추추파크에 가면 스위치백 트레인 탈 수 있음
@user-lp3fx3zt4d
@user-lp3fx3zt4d Жыл бұрын
여기가 지그재그구간이군요 ㅋㅋ이제야찾네요 이구간없어졌나요??
@user-qp8bn6eb5e
@user-qp8bn6eb5e Жыл бұрын
네 없어진지 10년 되었어요.
@Wpyr82563
@Wpyr82563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없어졌겠네요 스위치빽
@runalex
@runalex Жыл бұрын
라이터를켜라에서 술집배라고 하던거 기억이…
@K55A1howitzer
@K55A1howitzer Жыл бұрын
초등고학년떄 탄게 마지막인데 그떄이미 스위치백이 없어지는게 확정나서 아쉬워하는 코레일 직원분들이 많았었습니다........ 관광열차용 라인으로 남겨두면 좋을텐데 윗놈들이 고속철 역건설에만 눈이 돌아가서 크게 적자나지도않는 라인까지 다 떄려부수는군요
@G55AX
@G55AX Жыл бұрын
사라져서 추억이라 미화되는거지 현실은 직원도 힘들고 고객도 오래걸려 싫어했는데 ㅋㅋ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Жыл бұрын
당신 추억을 위해 보존할 가치가 있나요? 그럼 추억값을 매달 주든가
@K55A1howitzer
@K55A1howitzer Жыл бұрын
@@G55AX 뭐래 ㅋㅋㅋ 영동선은 오지산골이라 기피한거지 철덕 코레일직원들은 오지산골인거빼면 ㅈㄴ만족하는데 ㅋㅋㅋㅋㅋㅋ
@user-kn3kb5ls6c
@user-kn3kb5ls6c Жыл бұрын
하이원 추추파크 관광열차 다닙니다.
@user-rh4mv3jv6o
@user-rh4mv3jv6o 2 ай бұрын
그래도 뭔가 할 예정인지는 모르겠는데 철도공사 신호체계에서는 스위치백 구간을 살려두었더군요. 도계역 신호 현시에도 솔안터널로 가는 "솔안", 스위치백으로 가는 "나한"으로 신호현시가 분류되어있습니다. 그 말은 스위치백이 한국철도공사의 수하에 아직까지도 살아있기에 언제든지 열차가 스위치백으로 다시 올라갈 수 있다는 증거죠.
@user-if2ez1cl5t
@user-if2ez1cl5t Жыл бұрын
이건 좋은 관광 열차 구간인데...
@user-fk1md5ux6o
@user-fk1md5ux6o Жыл бұрын
내고향........
@aloview8954
@aloview8954 Жыл бұрын
도계초등학교?
@user-il1my2rt8w
@user-il1my2rt8w Жыл бұрын
내고향 이기도....... 도계 국민학교 없어졌지요. ㅜㅜ
@aloview8954
@aloview8954 Жыл бұрын
@@user-il1my2rt8w 없어졌나요?😱
@user-il1my2rt8w
@user-il1my2rt8w Жыл бұрын
@@aloview8954 고향이 도계고 폐교는 흥전 국민학교 제가 글을 이상하게 썼네요 ㅇ,.ㅇ;;;
@aloview8954
@aloview8954 Жыл бұрын
@@user-il1my2rt8w 흥전이시구나.. 그시절 장원 도계 모여서 도계중으로 다모였는데 인구가줄어드니.도계하나 남았을것같네용 93년에졸업했네요저는.ㅎ
@user-or6ms5uh3x
@user-or6ms5uh3x Жыл бұрын
이제는 강릉까지 가는게 2시간도 안 걸리니...
@pattayathailand1172
@pattayathailand1172 Жыл бұрын
1970년도 가정 문제로 1년간 황지 국민 학교 다녔던적이 있었다. 서울 토박이라 황지는 탄광에서 근무 하던 시커먼 아저씨들이 기억과 저 기차를 기억 하고 있다. 청량리 역에서 출발하여 강릉까지 운행 하던 영동선이 었던가? 뒤로가던 구간도 기억나고 황지역에서 시내까지 구블거리며 달리던 미니 버스도 기억난다. 당시 11살이었는데 아직도 기억 나는 장면들이 많은거 보니 내 인생에 중요한 장면이 되었던거 같다.
@user-zv6ie2iv7p
@user-zv6ie2iv7p Жыл бұрын
78년 서울로 이사 나왔지 동기시네..황지 국민학교
@pattayathailand1172
@pattayathailand1172 Жыл бұрын
@@user-zv6ie2iv7p 혹시 몇년생 이세요? 같이 학교 다녔을수도 있겠네요. 전 1년 다니다 다시 서울로 전학 왔습니다.
@user-zi8np9tx7g
@user-zi8np9tx7g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의소중한관광자원을없애는지아쉽읍니다.
@tuba3805
@tuba3805 Жыл бұрын
96년에 대구에서 강릉갈때 후진 하는대 있던대 거긴가?
@user-rh4mv3jv6o
@user-rh4mv3jv6o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sobluebear
@sobluebear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부터 대학교때까지 겨울에 눈 많이오면 무조건 탔던 기차입니다….이제는 안다녀서 아이들 대리고 못가네요 😂
@simonjeyou
@simonjeyou 9 ай бұрын
민자로 관광열차가 운행한다지만... 근데 전철화 로 인한 이설도 아니고 이미 전철화 공사가 끝난 구간이면 별도 지선으로 두고 운행을 해도 될법 한데 폐선이라니 조금은 아쉽네요 , 전철화가 안된 구간이면야 그러려니 하는데 이미 전철화 공사도 다하고 다시 터널구간 이설이라니.. 조금은 .. 이중 금액이 들어간 느낌도 있고 궅이 전철화 끝난 구간이 폐선 되는 것도 아쉽네요
@user-ye6gg6ow9t
@user-ye6gg6ow9t 8 ай бұрын
전철화도 되었는데 폐선인게 아깝다고 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이곳은 의외로 전철화가 빨리 이뤄졌습니다. 영동선 구간에 따라 다르지만 해당 지역은 1975년에 철암~동해 구간이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철화가 이뤄졌습니다. 그 이유가 이 지역에 자원들을 많이 캐던 시절 석탄, 시멘트 같은 자원을 수송해야하는데 디젤기관차로도 힘이 벅차다 보니 전기기관차를 굴려야 했고 그러려면 전철화는 필수였기 때문이지요. 이곳을 위해서 라기보단 공업지역들을 위해서 였다고 봅니다.
@user.aod4_ov16_98
@user.aod4_ov16_98 Жыл бұрын
한국지리에서 스위치백 배운 것이 이거인가
@samuelkim1236
@samuelkim1236 Жыл бұрын
88년도에 처음으로 저 열차를 타고 창량리역 에서 동해에 갔어요 이제는 기차를타고 갈수는 없지만 가끔 생각이 나네요
@aza0714
@aza0714 Жыл бұрын
네. 맞아요. 태백산맥을 넘기위해 지그재그로 운행하는. 하얀 눈이 내릴때 상하행선열차가 교행하는 장면..... 어둠이 내린뒤 상하행선 열차 실내등이... 이젠 기억 저 넘어... 영상속에서만 남았네요.
@RR-un3bh
@RR-un3bh Жыл бұрын
차비 안낼려는게 추억
@user-rv9px8yc5x
@user-rv9px8yc5x Жыл бұрын
돈이 너무 귀하던 시절이 있었어요 지금은 이해못하겠지만.. 그 땐 대다수가 돈이 귀했어요. 그래서 몰래 타기도 했던거죠.
@mungtanglee
@mungtanglee Жыл бұрын
아 스위치백인가?
@user-jt8zr9kq2h
@user-jt8zr9kq2h Жыл бұрын
군시절 군수송열차가 후진하는게 마지막이였는데...
@user-ds3dr8bv6d
@user-ds3dr8bv6d Жыл бұрын
현재이 스위치백의 근황이 궁금합니다
@user-my1977
@user-my1977 Жыл бұрын
하이원추추파크 스위치백트레인 관광상품으로 예약해서 타는 거네요
@user-id3gw4uy9p
@user-id3gw4uy9p Жыл бұрын
솔안터널이라고 스위치백 지하에 꽈배기 모양으로 굴 만들어서 거기로 열차 오가고 있습니다.
@user-vj3wc1ew4w
@user-vj3wc1ew4w Жыл бұрын
관광상품이되기에는 거리도 짧고 이거말고는 상품이없다 그리고 스위치백은 어쩔수없는 선택이었지 어떤 이유가 있었던것도 아니었다
@choidragon6417
@choidragon6417 Жыл бұрын
으잉? 스위치백 열차 아직 존재합니다.ㅋㅋㅋ 하이원 추추파크라고 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때 그 느낌은 아니겠지만.. 체험은 좋을듯 싶습니다.ㅋ
@5guang6xian2cui8
@5guang6xian2cui8 Жыл бұрын
첨천우
@user-tn1dz4sk7o
@user-tn1dz4sk7o Жыл бұрын
아직 연무역에 후진하는 기차 옵니다....
@user-xb2uq3se7d
@user-xb2uq3se7d 8 ай бұрын
20대 초반남성들은 스위치백으로 오는 열차 타볼 수 있죠… 최고의 혜택..
@user-il1my2rt8w
@user-il1my2rt8w Жыл бұрын
그리운곳........
@user-gw3wx7uy4w
@user-gw3wx7uy4w 3 ай бұрын
스위치백을 폐선하고 솔안터널을 만들 수밖에 없었을까? 솔안터널이 필요했는지 물음표임
@user-rh4mv3jv6o
@user-rh4mv3jv6o 2 ай бұрын
시간단축과 선로등급문제 때문입니다. 통과시간은 솔안터널이 말 할것도 없이 빠르고, 선로 또한 스위치백이 문제였죠. 스위치백 구간은 전원 50k 이하의 작은 레일에 목침목으로 이루어진 구간이라, 안정성이 좀 약했죠. 그래서 공사에서는 비효율로 판단, 솔안터널을 공사 하게 된 이유구요. 물론 경치도 좋고 아름다운 스위치백 정규운행구간을 없앤건 아쉽긴 합니다.
@user-wv9dw6pw2p
@user-wv9dw6pw2p Жыл бұрын
태백에 가면 후진하는 기차 있음
@jek60190
@jek60190 Жыл бұрын
한번 타봤지만 너무 신기했어요 없어 졌어요??? 아쉽네요 ~ 😢 😭
@user-wo2hf1xs1m
@user-wo2hf1xs1m Жыл бұрын
감성=개고생 본인이 원해서 하는거면 감성팔이라도 하지만 내가 원하지 않는 환경이라면 개고생이지 겨울에 물 길러 먹고 땔감 준비 해봐라 감성같은 소리 나오나 다 배에 기름끼니까 하는 소리야 그래놓고 사는게 힘들다고 얘기하는 애들보면 참 나약해 빠져 징징거리는거 밖에 할 줄 모름
@user-qu6cr8ug1z
@user-qu6cr8ug1z Жыл бұрын
😱😱😱😱😱😱😱😱😱😱😱😱😁😁😁😁😁😁😁😁😁😁😁😁😁😁😁😁😁😁😁😁👏👏👏👏👏👏👏👏👏👏👍👍👍👍👍👍👍👍👍👍
@user-kj2bp1gu5v
@user-kj2bp1gu5v Жыл бұрын
관굉용으로 하나 남기나라
@user-ce9fb8xb9r
@user-ce9fb8xb9r Жыл бұрын
거꾸로가는기차 박하사탕 ㅋㅋㅋㅋ
@user-dp4ts3bj8w
@user-dp4ts3bj8w Жыл бұрын
정동진 가는길 아닌겨
@jkim3171
@jkim3171 Жыл бұрын
왜우리는 자꾸있던거를없애기만할까 지금우리가경험했던거 미래세대들도 경험해주게놔두고보전하고 지키는게필요함 문화선진국들은 옛것을 잘보전한다
@user-rn1mu6oc4o
@user-rn1mu6oc4o Жыл бұрын
왜 그래야 하나요? 당신추억이 미래세대 추억을 대물림 해야하는 이유는?
@user-mr5wj3ld6u
@user-mr5wj3ld6u Жыл бұрын
어쩌라고 관심없어
@user-yu4df3ev6z
@user-yu4df3ev6z Жыл бұрын
5달전으로 후진해서 윤석열 끌어내리고 싶다
@user-ip8ri2ff5p
@user-ip8ri2ff5p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또 뽑힘 2찍들은 그냥 빨간색이면 다뽑음
@user-ty3im7lv2m
@user-ty3im7lv2m Жыл бұрын
진짜 저도요 ...
@antenna..
@antenna.. Жыл бұрын
찢이 안되서 너무 좋아요... 앞으로도 찢 될 일도 없고 ㅋㅋ
@hellodiamond
@hellodiamond Жыл бұрын
EBS가 좌파시체 방송이라 그런가 상황파악 못하는 잡스러운 것들이 많네
@user-vr9no3jc9d
@user-vr9no3jc9d Жыл бұрын
찢갈이 ㅂㄷㅂㄷ거리노?ㅋㅋㅋ
@user-bx3fj8jd4z
@user-bx3fj8jd4z 7 ай бұрын
증기 기관차 시절 차량의 동력이 약해서 설치된 철도구간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ТАМАЕВ vs ВЕНГАЛБИ. Самая Быстрая BMW M5 vs CLS 63
1:15:39
Асхаб Тамаев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누워서 전국일주 시켜주는 침대기차
27:59
원지의하루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How to bring sweets anywhere 😋🍰🍫
00:32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