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가난한 나라 라오스의 유일한 자원인 밀림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밀림이 허락한 생존, 라오스 벌목공│극한직업ㅣ

  Рет қаралды 1,221,829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2 жыл бұрын

인도차이나 반도 중심에 위치한 세계 10대 빈민국, 라오스.
유엔생태환경보존지구로 지정된 라오스의 밀림은 전 세계 15%의 산소를 배출하며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고 있다. 국토 면적의 무려 70%를 차지하고 있는 울창한 산림은 메콩강과 함께 라오스의 유일한 자원이기도 하다.
사람의 발길조차 거부한 밀림 속에서 오직 머릿속 나침반에 의지한 채 밀림을 누비는 라오스의 벌목공을 소개한다.
세계적인 고급 가구나 고가의 인테리어 재료로 쓰이며 한그루에 5000달러 이상을 호가하는 라오스산 원목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한 치 앞도 예상할 수 없는 밀림 속에서 최소한의 식량과 도구로 일주일을 버텨야만 한다.
시시각각 변하는 밀림의 날씨, 언제 덮칠지 모르는 야생동물과 해충의 위협 등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위험은 당연히 감내해야할 작업 환경일 뿐이다.
거친 밀림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그들이 살아온 삶의 방식과 이야기를 들어본다.
▶ "밀림이 부여한 생존권한, 벌목" - 둘레 2m, 높이 20m 거목과의 사투
총 200km 반경의 밀림이 들어서 있는 라오스 캄모안주의 타켁시. 벌목작업이 한창 이뤄지고 있는 밀림이다. 하지만 벌목을 하러 가기 위해서는 마을 강어귀에 있는 작은 나무배를 이용해 30분 이상 노를 저으며 건너가야 한다.우선 작업 전, 나무가 쓰러지는 장소를 정해놓고 그 주변의 잔가지와 나무들을 칼로 쳐내기 시작하는데. 벌목한 나무가 쓰러지면서 주변의 잔가지나 나무가 사람을 덮쳐 사람에게 큰 사고를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둘레 2m, 높이 20m의 마이캔. 열대성 나무로 고가의 가구 자재로 쓰이며 한그루에 무려 4000달러 이상을 호가하는 나무이다. 하지만 하루에 한 그루 조차 찾기 힘들며 거친 밀림 속을 3~4km 이상을 뒤져서야 겨우 찾아 볼 수 있는 희귀한 나무이다. 엔진톱의 요란한 소리와 함께 거목, '마이캔' 벌목 작업이 시작되는데. 2m가 넘는 나무 밑동은 날카로운 엔진톱으로도 쉽게 벨 수 없을 만큼 단단하다. 시끄러운 소음과 뿌연 톱밥 먼지에 눈을 뜰 수조차 힘든 상황. 땀범벅이 된 온 몸에 톱밥이 달라붙어 긁히는가 하면 눈으로 들어가 망막에 상처를 내기도 한다. 오랜 사투 끝에 꿈쩍도 하지 않던 나무에서 미동이 느껴지면 작업 내내 침묵을 지키던 벌목공들의 목소리가 커진다. 주변 동료들에게 가장 중요하면서도 위험한 순간을 알리는 신호이다. 하지만 피할 사이도 없이 벌목공을 덮치는가 하면 주변 나무와 엉켜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도 하는데...
▶ 쉴 새 없이 쏟아져 내리는 비! 발조차 빠지지 않는 진흙탕에서의 운반 작업!
매년 6~9월은 어김없이 찾아오는 라오스의 우기철이다. 하지만 벌목만이 유일한 생계 수단인 그들에겐
우기라고 해서 작업을 멈출 수가 없다. 아침 내내 상냥했던 밀림은 오후가 되자 하늘이 뚫린 듯 폭우를 쏟아낸다. 2시간가량 계속된 폭우에 진흙탕이 되어버린 밀림. 어제 잘라 두었던 나무를 운반하기 위해 20톤 트럭이 밀림 진입을 시도하는데 비로 인해 여기저기 지반이 내려앉아버린 진입로. 결국 크레인 로프를 이용해 나무를 끌어내기로 하지만 물을 흡수한 무게 4톤가량의 나무는 쉽게 밀림 밖으로 제 몸을 허락하지 않는다. 로프를 끌던 차량도 나무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좌우로 흔들리고. 나무를 지탱하던 크레인 또한 덩달아 흔들리면서 로프가 꼬여버린다. 끌어올리던 나무를 다시 풀어 크레인부터 수리해야하는 상황인데. 이때! 또 다시 내리는 폭우. 작업장 주변이 순식간에 늪으로 변해 버렸다. 황급히 거목을 트럭 위에 선적하는 벌목공들. 이미 트럭의 바퀴가 빠져버려 꼼짝없이 밀림에 갇혀버렸는데. 과연 이들은 무사히 운반 작업을 끝낼 수 있을까?
▶ 오랜 시간과 인내의 싸움! 재래식 숯 제조 작업 하루
밀림에서 얻은 원목은 제재소에서 쓰임새에 맞게 가공돼 베트남을 거쳐 유럽과 미국으로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수출된다. 가공된 뒤 남겨진 잡목은 숯 제조 공장으로 옮겨지는데 힘들게 벌목된 만큼 밀림의 나무는 허투루 버려지지 않는다. 타켁시의 한 전통숯공장. 그 어떤 작업보다 오랜 시간과 인내가 필요한 숯 제조 작업! 가장 중요한 건 숯을 구워내는 동안 숯가마의 계속해서 온도를 맞춰주어야 하는 것. 숯가마 입구에 뚫려 있는 구멍으로 들어가는 바람의 세기까지 고려해 온도를 조절해야 한다. 7~80도가 넘는 뜨거운 열기를 밤낮없이 이겨내며 숯이 완성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4일가량. 숯 굽는 작업이 끝나면 90도가 넘는 가마로 들어가 숯에 물을 뿌려가며 남아 있는 숯을 손으로 빼내는 작업을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숯은 가난한 라오스 국민들에게 더없이 소중한 연료가 된다.
▶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하게 벌목이 허용된 나라 라오스!
한해 라오스에서 벌목되는 나무만 10만에서 20만 그루. 동남아시아의 대부분의 국가가 자연 환경보존을 위해 벌목을 금지하고 있지만, 유엔보건환경기구의 통제 속에 라오스는 벌목, 가공, 반출을 허용하고 있다. 벌목된 나무만큼 다시 심는다는 조건이다. 자연에서 취한 만큼 다시 돌려놓는 작업도 벌목공들의 몫. 밀림을 지킨다는 자부심이 있기에 힘든 작업도 그들에겐 보람으로 다가온다. 그들에게 밀림은 과거이자 현재이며 소중한 미래이기에 감사히 여기며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 프로그램명 : 극한직업 - 라오스 벌목공
✔ 방송 일자 : 2011.07.06
#극한직업 #해외극한직업 #세계3대빈민국 #라오스 #벌목공 #작업환경

Пікірлер: 247
@user-no4bb1po6b
@user-no4bb1po6b Жыл бұрын
밀림의 맨발이라니 헉! 이 세상의 아버지들은 정말 위대합니다 흘리는 땀방울마다 귀한 열매 맺기를 바랍니다 극한 노동에 맞는 정당한 댓가를 받기를 바랍니다
@user-zj3tc7sq6b
@user-zj3tc7sq6b Жыл бұрын
위대하다기 보단 멍청한거에 좀 가까운듯... &^^
@user-wn6ye4qr7o
@user-wn6ye4qr7o 2 жыл бұрын
엄청난 고난의 노동을 가족을 위해 묵묵히 견뎌내는 라오스 🇱🇦 밀림속의 벌목공들- 좋은 영상 자알 시청하고 좋아요 꾸욱 누르고 갑니다♥
@user-zo5qm7wm9j
@user-zo5qm7wm9j 2 жыл бұрын
4
@sanglee8938
@sanglee8938 2 жыл бұрын
P,y
@wanggeyokim5400
@wanggeyokim5400 2 жыл бұрын
라오스 좋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나라입니다. 라오스 말이 정겹게 들리네요. 잘 봤 습니다.
@Ba-ui3ik
@Ba-ui3ik Жыл бұрын
다치지 않게 항상 조심하세요. 안전이 제일 중요합니다!!
@hsi1593
@hsi1593 2 жыл бұрын
트럭 상태가 말이 아닌데... 움직이는게 대단하네요
@user-hr7ot8gb1q
@user-hr7ot8gb1q 2 жыл бұрын
1" #^
@muktongx
@muktongx 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새로운 트럭 사자면 고치기 어려워하죠;;; 저런 차량이 고장나면 즉각 고칠 수 있을 정도
@davidtaylor1305
@davidtaylor1305 Жыл бұрын
이거 어떻게 찍었냐 진짜..... EBS 극한직업 제작팀이 ㄹㅇ 극한직업이다
@KimKwonYool
@KimKwonYool Жыл бұрын
보급팀이 따로 있어요. 그리고 교대로 촬영을 합니다. 현지 호텔에서 숙식하고 가드 및 팀닥터 항시 동행이구요.
@cem605
@cem605 Жыл бұрын
@@KimKwonYool 가드는 왜 필요함?ebs 세금인데 세금 아깝네...vip도 아니고
@KimKwonYool
@KimKwonYool Жыл бұрын
@@cem605 길잡이라고 하죠.. 근데 그 현지인이 총까지 들고 있어서 가드라고 합니다. 정글은 매우 위험해요. 야생동물이 아닌 불법 야생동물 포획이나, 나무 벌목 등등 하는애들이 총 들고 다녀서 사람 죽이고 그럽니다.
@cem605
@cem605 Жыл бұрын
@@KimKwonYool 아하!!깊은 깨달음 얻고 갑니다
@user-xq4yc7sh4z
@user-xq4yc7sh4z 9 ай бұрын
​@@cem605가드 위험하잔니 너도 참 저런곳은 외국인하면 돈을 갈취할려고 납치하잔아
@soo530
@soo530 22 күн бұрын
난 행복하네.이삶을 감사해야지~
@loltube444
@loltube444 2 жыл бұрын
초보 벌목인들 열정이 살아있네. 비양은 진짜 든든하다
@user-mi5eu2zq3d
@user-mi5eu2zq3d Жыл бұрын
현재 벌목업에 종사하는사람이지만 우리나라 벌목현장 환경도 비슷합니다. 물론 장비 안전장비등은 더 좋은환경이지만 인력으로 해야하는작업이라 라오스벌목공이랑 다를게 없는 환경입니다... 산재율도 높은편이구요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존경합니다~다치지마시고 안전작업하세요~~
@user-wn6ye4qr7o
@user-wn6ye4qr7o 2 жыл бұрын
그냥 가볍게 시청하려 했더니 Thrill과 Suspense의 아슬아슬한 영상이네요- 흥미진진한 영상 재미있게 시청했습니다- 다음 영상을 기대하며 좋아요 꾸욱 누르고 갑니다♥
@user-bo4fp3pf8j
@user-bo4fp3pf8j Жыл бұрын
세상에....최소한의 보호도구도 없이 저렇게 위험하고 힘든일을 하는걸 보니 진짜 너무너무 안쓰럽고 마음이 아프네요.. 부디 다치지 마시고 안전하시고 모두 행복하시길 빕니다🙏
@user-cg5yi7rz2r
@user-cg5yi7rz2r Жыл бұрын
불편해도 정겹고 훈훈하고 행복해 보인다
@amaing12
@amaing12 2 жыл бұрын
라오스랑 우리나라하고 비슷한점이 있네요 전국토 70프로가 산지...하지만 남은 30프로가 워낙 비옥한 땅이라 엄청난 량의 쌀이 생산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user-zs3ce5fm6k
@user-zs3ce5fm6k Жыл бұрын
박정희 산업화 안하고 김대중 김영삼 농업화했음 우리도 저꼴이었을듯
@user-ux4sc4ce4f
@user-ux4sc4ce4f 2 жыл бұрын
11년 영상이지만. 언제 봐도 새로움
@ddhome1004
@ddhome1004 2 жыл бұрын
저는 가구를 만드는 목수입니다..벌목공 없이 목수는 존재하지 않습니댜..노고에 감사드리며 경의를 표합니다..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жыл бұрын
목공인도 존경합니다~잘만든 목제품접하면 늘행복합니다~~
@jessyj855
@jessyj855 Жыл бұрын
백성없는 정치인은 존재할수 없는데도, 정치인은 백성을 무시하고 본인 뇌물챙기기에 급급한 현실이지요.
@user-jw9xo1yx6m
@user-jw9xo1yx6m Жыл бұрын
훌륭한 일을 하고 계신겁니다~👍.자부심을 가지셔도 됩니다~~~,,,
@user-yp1pw8td4b
@user-yp1pw8td4b Жыл бұрын
@@user-dc6kt1xl9y veryGood
@user-jn3qx5rz1p
@user-jn3qx5rz1p Жыл бұрын
이야 진짜 극한이네요. 존경스럽네요.
@hanawonpark4103
@hanawonpark4103 Жыл бұрын
열심히 사는 모습이 보기 좋네요
@네이트리버
@네이트리버 2 жыл бұрын
비양좌...너무 멋있다
@user-et1ky7og3r
@user-et1ky7og3r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수고하세요
@user-pp9si5te2g
@user-pp9si5te2g Жыл бұрын
열악한 벌목공들의 삶을 보면서 마음이 아프다
@khj7452
@khj7452 Жыл бұрын
이런 거 보면 내가 진짜 편하게 사는구나 싶으면서도 왤케ㅡ힘드냐 ㅋㅋㅋ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상대성 원리~~
@mintia35
@mintia35 Жыл бұрын
3분15초 장면에 질:스텝 빠이 짝나티? (몇분정도 더 가야하냐?) 밀림 목적지까지 30분 더 가야한다고 자막에 쓰였지만, 현지인 답:버만 하(숫자5)나티(분),혹(숫자6)나티(분) (대략 5분에서 6분정도 더 가야할거 같다.) 라고 합니다 이게 뭡니까 부풀리기 방송인가요? 오류이길 바랍니다.
@gony799
@gony799 18 күн бұрын
가장이란..힘들군 응원한다. 숯을 손으로 잡다니..
@user-fo8qb2se2k
@user-fo8qb2se2k 2 жыл бұрын
방송 일자 : 2011.07.06 11년 지난 방송입니다
@idxvjdcvy5270
@idxvjdcvy5270 Жыл бұрын
라오스 가봤나요
@user-fo8qb2se2k
@user-fo8qb2se2k 7 ай бұрын
@@idxvjdcvy5270 네 팍세는 가봤고 지금 우본차타니에 있습니다ㅎ
@user-qx1db4wk6p
@user-qx1db4wk6p Жыл бұрын
우기철이 아니라 우기가 맞겠죠. 우기라 는 단어에 이미 철또는 기한의 의미가 있으니까요
@user-km1vk7bj7m
@user-km1vk7bj7m Жыл бұрын
저도 선물로 아디다스 신발 줘도 잘 안신대요 게다나 슬리퍼를 선호하더라구요 ㅎㅎㅎ
@user-kt6vp3bk8q
@user-kt6vp3bk8q 2 жыл бұрын
라오스는 순수하고 불교의 영향인지 사람들이 선하고 빈곤하지만 범죄가 상대적으로 적은 나라임. 내륙국이고 중국의 강한 개입과 영향을 받아야하는 환경요소로 어쩔수 없이 국가의 정책이 중국의 의도에 끌려가는 면이 있음. 라오스에 중국인 관광객들은 현지인들을 마치 속국이나 한단계 낮은 사람처럼 특권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경우가 많은데도 공무원이나 그런쪽도 어쩔수 없이 묵인하는 그런 분위기가 있음. 행정관서 업무볼때 현지인들이 줄을 서있다면 중국인들은 줄도 안서고 맨앞으로 가서 일처리함.
@kennethkim1
@kennethkim1 2 жыл бұрын
역시 개판 쭝꾹~~~~
@user-ni7tq8ek5e
@user-ni7tq8ek5e 2 жыл бұрын
사람도 고생 ..트럭도 고생!~~
@lupinman
@lupinman 2 жыл бұрын
이걸 보고도 헬조선 헬조선 거리는 놈들은 반성해야 됩니다. 한국에서 태어나고, 먹고 즐기는걸 뼛속 깊이 감사하게 생각해야함
@samsebun1405
@samsebun1405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할아버지 아버지가 저들과 비슷한 환경에서 우리를 키워냈슴을 잊어서는 안되는 거요.
@Alnica1788
@Alnica1788 Жыл бұрын
배가 쳐불러서들 그럼. 월세방 이라도 몸 뉘일 내 공간이 있고 밥 세끼 안굶으면 행복한 줄 알아야 하는데 말이야 인류 역사상 이렇게 배부른 고민을 하는 세대가 또 있을까 싶다~
@user-vb4mr6zr9c
@user-vb4mr6zr9c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50.60년전 님들의 할아버지 아버지들은 어떻게 살았는지들 아시는가요? 중동의 땡벼ㅆ아래서 한국의 강원도 화전민들 지금 배가너무불러서 행복을노래하며 애기도 안낳겠다는 젊은이들 ㅡㅡㅡ😢 !
@damon9827
@damon9827 2 жыл бұрын
이거 본 기억이 있는데 예전에 올린 영상 다시 올리신거죠?
@charlieshin9513
@charlieshin9513 2 жыл бұрын
요즘에 보는 사람이 없으니 유튜브가 주수입원이에요...
@user-ms1rc6ql5x
@user-ms1rc6ql5x 2 жыл бұрын
역시 장비는 힐트군요!
@user-pl5bw3tj4n
@user-pl5bw3tj4n Жыл бұрын
나무 진짜 좋다....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고급 원목가구용인데 엄청무거워요~~
@user-sz4ss6dv8g
@user-sz4ss6dv8g Жыл бұрын
너무 위험해서 두통 ❤
@333movie
@333movie 2 жыл бұрын
그곳은 예전 그대로인 듯
@ihwaful
@ihwaful 2 жыл бұрын
'가장 가난한 나라'라고 적은걸 라오스 사람들이 보면 얼마나 기분나쁠까, 너무 교만한 표현은 아닐까. 제목을 보고 그런 불편한 기분을 느꼈지마, 영상속에서 열심히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모습은 정말 존경스러웠습니다. 촬영한 제작진도 대단하네요
@muktongx
@muktongx 2 жыл бұрын
헌데 가난한 거 맞아요...이웃 태국이나 베트남도 그리 풍족한 나라가 아님에도 이들이 라오스나 캄보디아,미얀마에서 여기로 가서 일하는 게 많을 판국....미얀마와 더불어 동남아에서도 가장 가난한 나라입니다... 벼농사조차 베트남과 달리 2모작밖에 못 지을 정도로 관개시설이 안 돼 있으며 인구도 적고, 교통이 불편하며 항구도 적으며 2020년 도시인구 1/4과 농촌인구 절반이 절대빈곤층이고, 아동 중 반 이상이 영양실조로 성장이 멈춘 데다가 국민 1/4 정도가 까막눈. 그나마 오랜 내전으로 아직도 더 엉망인 캄보디아보단 조금은 낫다 정도
@EllyBori
@EllyBori Жыл бұрын
@@muktongx 맞음, 심지어 태국에서 관광 후 미얀마/라오스 돈으로 환전해서 미얀마/라오스 관광하고 다시 태국으로 돌아갈 땐, 여기 나라들 돈은 휴지조각임, 환전도 안될만큼 가치가 없어서 태국에서 조차도 재환전을 안해줌 그래서 관광 끝나면 동전이든 지폐든 그냥 사람들 줘버리던가 해야함
@blackholeabc3998
@blackholeabc3998 Жыл бұрын
사실적 표현임 다큐에선 사실 정보를 알려줘야 보는 사람이 더 몰입할수있음
@exteelaveo3749
@exteelaveo3749 11 ай бұрын
사실전달 목적의 제목을 같잖은 선민의식이랑 깨시민 코스프레로 호도하는게 너무 역겹내요
@user-ci8zj7vh3g
@user-ci8zj7vh3g 7 ай бұрын
항구가 어딨어 아는척은 ㅂㅅ들이ㅋ
@yeongheo3600
@yeongheo3600 2 жыл бұрын
정말 고급 가구들 보면 열대원목으로 제작이 되여서 그런지 튼튼하고 조립도 간단하고 재 조립에도 문제 없이 가능하고 오래동안 사용이 가능하더라고요. 얼마나 나무가 촘촘한지 톱니가 안들어가 보이는군요. 문제 손이나 얼굴에 안전장치 없이 작업을 한다는게 안따갑습니다. 사정이 잇겟지만 안전도 습관인데 말이죠. 안전이 왜 필요하냐고요. 인간은 실수라는게 잇다라는거죠. 전 그렇게 살아감니다. 맞나? ㅎㅎ
@user-oj4oy6th6c
@user-oj4oy6th6c 2 жыл бұрын
좋은말은 감사한데 맞춤법이 엉망이시네요
@user-oz5zi4dr2p
@user-oz5zi4dr2p 2 жыл бұрын
나이 드신분 이해 하렴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жыл бұрын
@@user-oj4oy6th6c 엉망은 아니고 받침몇개가 틀리네요~내용은상당히 좋네요~문장력도좋고~~
@yangnam3532
@yangnam3532 Жыл бұрын
새상에 몸으로 하는 일치고 극한 직업이 아닌게 없는거 같네요.
@user-rt3pe2mt2o
@user-rt3pe2mt2o 2 жыл бұрын
국가 사업인데 너무 열악하네. 하루 5그루 나무값이 2천만원인데 월급이 30만원. 한국에 벌목공도 저 정도되는 돈이 되는 나무는 자르지도 못하는데 중간에서 다 해처먹나..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жыл бұрын
원래 재주는 곰이하고 돈은뗏놈이 먹는다 하잖아요~~
@busa11jo11
@busa11jo11 Жыл бұрын
그렇게요.
@Koreanrose
@Koreanrose Жыл бұрын
저 나라는 30만원이 우리나라로 따지면300만원 입니다
@goodfeel557
@goodfeel557 Жыл бұрын
사회주의 국가 랍니다.
@blackholeabc3998
@blackholeabc3998 Жыл бұрын
일 수입. 국가 2천만원. 노동자 만원
@mkllmk88
@mkllmk88 Жыл бұрын
적재량이 2톤인데 4톤짜리 거목에 추가로 거목을 올려?!?!
@jessyj855
@jessyj855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다 쓴 군화를 모아 보냈으면 좋겠어요. 저기서 맨발이면 상처나겠어요.
@user-vu1wd1li6z
@user-vu1wd1li6z Жыл бұрын
성우목소리. 너무좋음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안전화랑 헬멧 작업용 장갑 지원 하고싶네요~작업복이랑~~
@user-pd4yf5mb3n
@user-pd4yf5mb3n 7 ай бұрын
밀림에서 맨날이라니 대단하다
@mymyr
@mymyr 9 ай бұрын
와 숯을 맨손으로 잡다니 철사장 고수다
@user-ft1bq6uf6q
@user-ft1bq6uf6q 2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user-hl6vx3ex9b
@user-hl6vx3ex9b 2 жыл бұрын
라오스 공기 좋고 물 맑고 사회주의국가라고 하기엔 좀 그렇고 왜냐 4박 6일동안 경찰을 못 봤고 매우 자유롭고 활기차 보였다 못살긴했어도 감기로 제대로 관광을 못한게 후회스러워 다시 가보고 싶었지만 코로나19로 그만....
@seokjinshin2266
@seokjinshin2266 2 жыл бұрын
길거리에 널린게 경찰이고 혀팍해대는게 라오승경찰이죠. 어제도 시속70킬로 도로에서 잡혀서 서류전부다 있어서 흠잡을게 없으니 시속 50킬로인데 과속했다고 우기더군요.. 10년을 살아도 모르겠는데 정말 안당해보면 모르는거죠.
@spamdeny
@spamdeny 2 жыл бұрын
먹고 살기 위해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라오스의 원시림 벌목은 참... 안타깝습니다. 특히 베트남 국경 쪽에 가면 그런 곳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서울 이름이 '한성'이나 '경성'(일제 때)이 아니라 '서울'인 것처럼 라오스 서울은 '위앙짠'입니다.('비엔티안'은 영어식 발음)
@user-qm6iv2di7w
@user-qm6iv2di7w 2 жыл бұрын
다 우리나라 생각하고 ㅠㅠ 1년에서 십년동안 다 자라는 나무부터 여러종류인디
@user-sk7tv1xn5g
@user-sk7tv1xn5g 2 жыл бұрын
쩌~~
@user-cv5qv2ds4j
@user-cv5qv2ds4j Жыл бұрын
왜 쿠팡을 안가지? 일당 10만원 주는데
@scottcello418
@scottcello418 Жыл бұрын
사고날까봐 조마조마하다. 안전장비가 거의 없네.
@user-jd1gz7vt2q
@user-jd1gz7vt2q Жыл бұрын
참 안스럽습니다. 엔진톱날의 상태를 보니 톱을 다룰줄 모르는 듯 톱이 정상이면 잠깐이면 끝날것을 다섯 시간 사투? 톱밥상태가 먼지로 보이네 나무를 베는게 아니라, 나무를 달퀴서 넘어뜨리네
@notsecure
@notsecure 2 жыл бұрын
람파이 나라!
@KK-oi7nh
@KK-oi7nh 2 жыл бұрын
자막 번역 오류가 심하고 현지 코디 언어 수준이 완전초보네요 어렵게 촬영한 것 같은데 아쉽네요
@yonglee5147
@yonglee5147 Жыл бұрын
동감합니다 아마 10년 전 방송이라서 그런지 현지 코디 통역과 번역이 많이 부족하네요..
@user-bp4hy6dx8f
@user-bp4hy6dx8f 2 жыл бұрын
그래도 북한 보다는 훨씬 자유롭고 잘먹고 잘살더라고요
@user-tf1eo6ic6g
@user-tf1eo6ic6g 2 жыл бұрын
나무가 단단하면 톱이 안들어감 우리나라 박달 굴참 물푸레 이런 나무 힘듬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жыл бұрын
페인트도 안먹히고,못도 잘 안들어감~~
@user-hn6my7ez4z
@user-hn6my7ez4z Жыл бұрын
24:15 벌목트럭 : 이젠 날.. 죽여줘...
@user-ly9ty7cu4n
@user-ly9ty7cu4n 5 ай бұрын
저게 각목이구나
@chickpark
@chickpark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잇음
@Koreanrose
@Koreanrose Жыл бұрын
라오스 한달30만원 베트남 한달43만원 태국 한달45만원 이렇게 받다가 한국에서 일하면250만원 개꿀이지 나도 한국에서 250만 받다가 다른나라가서 5배 즉 한달에 1000만원 넘게 주는 나라있으면 무조건 간다
@user-rk7wq9sp1o
@user-rk7wq9sp1o Жыл бұрын
라오한을 봐서 그런가... 일단 떳길래 보긴하겟슴다...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벌목한 목재를 어떻게 제재소까지 끌고 가나? 밑으로 내려가서 물에 띄워(운반 트럭이 왔네, 산판) 끌고 간다?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저도 이동경로가 궁금합니다~~
@user-wv5ht2pf6k
@user-wv5ht2pf6k 6 күн бұрын
차에 싣는 게 船積이라고?...ㅋㅋㅋ
@user-xj4qn2nw8j
@user-xj4qn2nw8j Жыл бұрын
와..🚚트럭이 폐차해야 수준인데.. 저 걸로.. 벌목운반 하네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 나무가 600만원 정도?
@zsysk8083
@zsysk8083 2 жыл бұрын
안전보호구는 다른행성 이야기네..
@user-bv4ld7pk5i
@user-bv4ld7pk5i 2 жыл бұрын
저기서는 일하는 사람들끼리 싸우면 안되겠네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땅 육지의 절반은 물에 잠긴듯하네
@user-yf3re1yc9z
@user-yf3re1yc9z Жыл бұрын
한말 또 하고 한말 또하고 ㅋㅋ
@gjo1542
@gjo1542 Жыл бұрын
전 세계의 15% 산소를 배출하는 러오스 자연 보호에 국제사회에서 부담하는 비용이 있나? 산소 배출 비용? 있다면 연간 얼마나 부담해 주나?
@user-nn1fz8jz9z
@user-nn1fz8jz9z 2 жыл бұрын
나무를 베고나서 작은 나무를 심어줘야 하는데 오로지 베어내기만 하니간 밀림이 사라지지 브라질 아마존도 이제 밀림이 얼마 없더만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2 жыл бұрын
손자 나무가 또자랄걸요~~
@user-nn1fz8jz9z
@user-nn1fz8jz9z 2 жыл бұрын
@@user-dc6kt1xl9y 브라질 밀림이 벌목으로 지금은 허허 벌판 되버렸죠. 나무 안심어주면 자연적으로 퍼칠려면 수백년은 걸리죸ㅋ
@user-kl6up6hn7t
@user-kl6up6hn7t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미래 다무나
@user-po9ip2ce5i
@user-po9ip2ce5i Жыл бұрын
열악하다 환경이 장갑도 신발도 없이 안타깝네 한달에 30만원 이라고 하는것 보니 빈국 맞네
@aihe1315
@aihe1315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도 예전 산업화를. 못 이루었으면 저나라와. 같을 텐데
@dyk1292
@dyk1292 2 жыл бұрын
목수중에 한분 눈이..
@yzr-m1102
@yzr-m1102 2 жыл бұрын
저분들은 짤라만 놓고 그냥 가면 수거팀이 따로 있나보죠?
@Revolution-mg
@Revolution-mg 2 жыл бұрын
라오스오지마을한국인 유튜버 진짜 재미있어요 보러오세요~~😍😍😍😍
@user-ud1gm8iw8b
@user-ud1gm8iw8b 2 жыл бұрын
🪓 쓰야지
@user-dt5yb6zy8m
@user-dt5yb6zy8m 2 жыл бұрын
저 사람들에게 유튜브와 인스타를 보여주면 엄청 현타오겠다
@raypars
@raypars 2 жыл бұрын
카메라맨 극한직업..
@Pandemic_CBDC_Great_Reset-Hell
@Pandemic_CBDC_Great_Reset-Hell Жыл бұрын
이런게 진짜 맨와일드임. 벌목 대장 저 분 다이소 천원짜리 보안경만 있었으면 눈 안다치셨을 텐데 안타깝내요. 근데 라오스 지들 나라 나무 자르는 걸 왜 유엔 한테 허락받냐? 국민주권은 어디에 있는 건가?
@user-ng1hf1lq5w
@user-ng1hf1lq5w Жыл бұрын
세계환경기구는 왜있음?? 그럼 너도나도 탄소배출왕창해서 다같이 공멸하게?
@user-jr5li5be6g
@user-jr5li5be6g Жыл бұрын
대신 유엔에서 보조금이라든지 어떤 혜택을 주지 않을까요?
@user-dl2wh8mu5x
@user-dl2wh8mu5x Жыл бұрын
과연 생존 아니 실존은 무엇인지 자문해보고 싶다, 삶은 고해인 것인가,그래도 저런 열악한 환경에서 일해야 한다니,
@Mr.ShimGG
@Mr.ShimGG 2 жыл бұрын
라오스얘들 2022년현재 한국 외노자 하면서 일당 13만원씩 받고있음.
@user-hr2uv4ee6d
@user-hr2uv4ee6d 2 жыл бұрын
그건 별거 아님 ㅋㅋㅋㅋ 조선족들 월 900가까이 벌거나 몇천씩 버는 것들 많음
@user-cr1se1pc3u
@user-cr1se1pc3u Жыл бұрын
도대체 한국의 개구리 군복은 없는 곳이 없네
@soulpaladin7866
@soulpaladin7866 Жыл бұрын
흔히 우드랜드라고도 불리는 패턴으로 다른 국가에서도 필요에따라 많이 쓰이는 무늬입니다
@yesmen9184
@yesmen9184 2 жыл бұрын
번역이 제대로 된게 없네...라오스말 누가 번역했나?
@yonglee5147
@yonglee5147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user-bs8km6mo7d
@user-bs8km6mo7d 2 жыл бұрын
나레이션 개빡치네 좋은 나무 찾기가 모레알 속에서 진주 찾기 정도면 저지역에서 벌목을 하겠냐 띨빡아
@jessyj855
@jessyj855 Жыл бұрын
한개 찾고 1-2킬로 이동해야 비슷한 좋은 나무 발견한다는거 못 들었냐? 흔하게 발견안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지. 뭔 말꼬리 붙잡는 더러운 인성이네. 술한잔 먹자고 하면. 한잔만 먹어야 하는거냐고 시비걸고 덤빌 인간이네?
@dusdmdtn
@dusdmdtn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초보 벌목공들을 가르치는 영상이 좀 짠하네요...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그래도 표정은 밝아보이네요~~
@user-ph6wi7sl5q
@user-ph6wi7sl5q 10 ай бұрын
우리가ㅡ이만큼ᆢ사는게ㅡ넘ᆢ고맙네요ㅡ떠드는입은ᆢ꼬매야해요ㅡ지금도ㅡ누구는ᆢ떠들고있네요ㅡ국회의원
@user-dc6kt1xl9y
@user-dc6kt1xl9y 9 ай бұрын
떠드는입 꼬맬 바늘은 있나요?
@user-ph6wi7sl5q
@user-ph6wi7sl5q 10 ай бұрын
우리의젊은이들이봐야한다ㅡ
@ureachdu
@ureachdu 2 жыл бұрын
나레이터가 잘 알지도 못하면서 미리 헛소리를 해서 재미가 반감된다
@user-sb8py6ig3s
@user-sb8py6ig3s 2 жыл бұрын
옛날 메콩강삼각지지역 히로뽕 생산지 태국 미얀마 라오스 트라이앵글 그돈으로 묵고살앗지
@user-bi9rr6iz2p
@user-bi9rr6iz2p Ай бұрын
저런 나무들을 다 잘라 버리니 온난화 현상이 오죠.....고목들 안 잘라야 합니다..전 인류들 멸망 위기를 보여 주는 드라마 화
@307signal
@307signal 2 жыл бұрын
저게 2톤밖에 안된다구?? 들어봐라 그게 2톤인지
@dongwookim6433
@dongwookim6433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 말이죠. 나무 함수율이 있는데 우기라고 2톤이 4톤이 되는게 말도 안되게 설정을 했네요. 어떻게 ×2배가 되는지? 최초 4톤쯤 되는 사이즈입니다. 무게 계산은 1루베(m3)= 강도가 큰 나무는 1루베에 0.9톤까지 가기도 합니다. 보통 1루베당 0.6~0.9톤으로 보시면 되고요.
@307signal
@307signal 2 жыл бұрын
우기라고 큰길마저도 막혀버리나???????
@user-li8xs8ct8p
@user-li8xs8ct8p Жыл бұрын
북한보다락원이네요 북한보다 열악한 나라 이세상에 없어요
@plucian85
@plucian85 2 жыл бұрын
촬영하기 힘들었겠다
@user-cc4ee8rg4i
@user-cc4ee8rg4i Жыл бұрын
진짜 열악하다.
@greatmen81
@greatmen81 2 жыл бұрын
나무야 너 오늘 죽었다...나무살려!.....수리수리마하수리
@user-xc7sw2kg9a
@user-xc7sw2kg9a Жыл бұрын
저들의 작업방식이 있겠지만 라오스나 한국이나 안전불감증이 심하긴하네요. 3M보호안경 몇천원이면 사는데 안타깝네요. 작업에 방해된다고 안전장구 벗어놓고 작업하다 다치는 일 많이 발생합니다. 다치고나서 후회하면 늦습니다. 다들 건강 잘챙기세요.
@user-ve5mk4kw3i
@user-ve5mk4kw3i Жыл бұрын
..l
@user-zm3rw1yi8i
@user-zm3rw1yi8i Жыл бұрын
한달에 버는돈이 30인데?
@user-jt7rx4tj6m
@user-jt7rx4tj6m 2 жыл бұрын
저렇게 이쁜숫 사려면 개비싼데~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MEGA BOXES ARE BACK!!!
08:53
Brawl Stars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Универ. 13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7:11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온 마을이 원유 매장지! 인도네시아 '워노졸로' 마을
11:02
EBS 컬렉션 -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653 М.
[극한직업] - 베트남 목선 제작 1~2부
49:04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479 М.
He sees meat everywhere 😄🥩
00:11
AngLov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