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 창업부터 3조 유니콘 스타트업이 되기까지

  Рет қаралды 357,670

EO 이오

EO 이오

4 жыл бұрын

국내 푸드테크 업계를 리딩하고 있는 서비스 배달의민족으로 유명한 우아한형제들의 창업자이자 CEO인 김봉진 대표의 이야기입니다.
직원이 적었던 시절부터 현재 기업가치 3조, 직원 1,000명이 넘어간 현재까지 주로 했던 조직관리, 비즈니스 모델, 비즈니스 이해관계들과의 이익 균형 등 고민들과 느낀점, 앞으로 그리고 있는 비전 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보았습니다. 과거 수수료 과다 논란 이슈부터 일본 시장 진출 실패 등에 관한 이야기도 솔직하게 답변해주셨는데요, 우아한형제들이 시장을 리딩해나가고 또 직원들이 가장 만족하는 스타트업 중 한 곳이 되기까지의 과정이 잘 담겨 있습니다.
사업을 하시는 분들, 우아한형제들에 취업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 예비 창업가분들을 포함한 스타트업의 모든 관계자 분들께 이 영상을 추천드립니다.
*이 영상은 2019년 11월 27일 수요일부터 29일 금요일까지 열릴 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ComeUP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김봉진 대표는 ComeUP의 조직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Пікірлер: 617
@mirok4229
@mirok4229 2 жыл бұрын
하림님 음악도 사업도 항상 응원합니다.
@DP-official
@DP-official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뭔말하나했네 ㅋㅋㅋㅋㅋ
@user-sv3qw8my6q
@user-sv3qw8my6q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
@minsungkim6626
@minsungkim6626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izianohan5695
@tizianohan5695 4 жыл бұрын
진짜 많은 영감이 오네요. 태용님덕분에 좋은 인터뷰를 볼수있어서 너무감사드립니다!!
@tommung
@tommung 4 жыл бұрын
가까운 문제는 부정적으로, 먼 미래는 긍정적으로
@papeya27
@papeya27 4 жыл бұрын
귀한 인터뷰, 내용.. 감사합니다 😭
@chiyo8175
@chiyo8175 4 жыл бұрын
와..태용님 클라스... 배민 사장님 인터뷰까지.. 섭외력이랑 이렇게 양질의 내용을 얻을 수 있게 유도해주시는 능력이 정말 대단하신 거 같네요 뛰어난 사람들은 그 어떤 것보다 대의에 의해서 움직인다더니 정말 맞는 말 같아요 섭외력 오져부려요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ut4qp6kp8j
@user-ut4qp6kp8j 4 жыл бұрын
11월달 배달만으로 월8200찍었습니다 부부운영에 직원6명 알바1명 이렇게해서 세금빼고순수익 800정도남더라고요 배민에 광고수수료 220만원 냈었는데 4월달부터 수수료로바뀌니 계산해보니 총수수료가 850정도 나오네요... 연중무휴에 부부가일만하는데 8200을팔아도 순익이 400이안남을거같습니다 부부운영인데요 한명당 200만원 벌게생겼네요... 처음부터창업할때 1억2천정도 쓰고 배민만믿고 손님들한테서비스도 엄청 뿌리고 이게 남나요 라는말을 제일많이들을정도로 아낌없이 드렸는데 이제는 못할거같습니다 건당판매수수료가 오르니 당장 재료비부터아낄생각이드네요 배달팁도따로 없었는데 이제배달팁도 붙혀야되겠네요 2년동안장사하면서 제대로수익낸지 이제 6개월가량... 아직 투자금의절반도 회수못했는데 앞으로어떻해야될지 정말막막하네요 꼭 이렇게 수수료로 올리면서 사장님과 함께 성장하기위한 정책입니다 라는 말은 어떻게 이해해야되는건가요 배민만믿고 열심히 고객님들께 서비스드렸는데 ... 뒷통수 제대로 맞고 쓰러지네요 직원들도 몇명감축해야겠죠 사장인저희들은 하루16시간씩 쉬는날도없이 다시일해야되겠죠 그래야 투자금이라도 회수할수있으니깐요.. 눈물나네요.. 와이프한테 너무도미안하고요
@chaechae7447
@chaechae7447 4 жыл бұрын
으아 광고수수료가 220이요?
@IloveTsi3
@IloveTsi3 4 жыл бұрын
어떤 광고 이용하시길래 수수료가 그렇게 나오나요? 말이 안되는데...
@user-so8uj9tk5c
@user-so8uj9tk5c 4 жыл бұрын
저도 배민을 이용하는 자영업자입니다. 오픈리스트를 사용하면 안되겠더라구요.. 때이는게 너무 과하고 울트라콜까지 사용하니 저는 거의 한달에 100을 내고 있더라고요.. 아쉬우시겠지만 고객들이 오픈리스트를 거치지 않고 울트라콜을 통해 주문하도록 해야할거 같더라구요, 오픈리스트를 내려도 다음달 매출도 크게 차이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광고효과가 더 좋게 나더라구요. 우리 가게를 아는 고객인데 오픈을 통해 오게하여 굳이 6.8%수수료 낼 필요가 없더라구요.. 저가 겪었던 상황들을 그냥 말씀 드려봅니다..
@jwindance6961
@jwindance6961 4 жыл бұрын
이해갑니다..ㅜㅜ
@user-me8rc9nn3b
@user-me8rc9nn3b 4 жыл бұрын
자영업자 등처먹고 팔아치우고 토낀겁니다
@sungheejung7419
@sungheejung7419 2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morningkim7066
@morningkim7066 4 жыл бұрын
아무리 포장을 잘해도 결과로 판단하는 것이 정답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kwangchae
@kwangchae 4 жыл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zynastor1
@zynastor1 4 жыл бұрын
스타트업은 오로지 실행뿐이다. 실행은 곧 과정이며 과정은 곧 실행이다. 무엇인가를 함에 있어서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누군가는 생각을 할 때 누군가는 실행을 한다. 생각으로는 아무것도 배울 수가 없지만 실행으로는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다. 김봉진 창업주가 얼마나 맨땅에 헤딩하는 정신으로 들이대 를 시전했는가를 알면 자연스레 존경할 수 밖에 없다.
@daniel1st833
@daniel1st833 4 жыл бұрын
Zynastor 그런 방식의 스타트업을 린업방식의 스타트업 이라고합니다 장기적인 목표가 아닌 초단기 목표를 빠르고 많이 설정하고 빠르게 검증하는 방법입니다 , 하지만 스타트업을 경영하는 여러방법중 하나일뿐이죠. 어차피 그렇게 린 업으로 치고나가도 추후에가면 장기적인 목표를 그리며 계획하고 수정하고 나가야합니다 "스타트업이 오로지 실행뿐"일때는 초창기때라고 말할 수 있죠 물론 그것도 어느정도 장기적인 목표와 단기적인 목표에서 단기적인 부분에 중심이 된것이구요, 후에가면 그 비율은 얼마든지 달라질수있습니다 시점마다 취해야하는 전략이 다르죠 무조건은 존재하지않ㅅ흡니다
@mondogrosso1127
@mondogrosso1127 3 жыл бұрын
좋은.플랫폼 서비스도 좋지만 배달로 인해 생기는 환경 문제에도 꼭 대책을 세워주시기 바랍니다.
@tv-ti3uv
@tv-ti3uv 4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채널입니다 특히나 저같이 성장해나가는 창업자에겐 김봉진 대표님 만난적도 있지만 이런 디테일한 스타트업 얘기들을 듣는 건 처음이네요 감사히 잘봤습니다!
@naughty2boysmom
@naughty2boysmom 4 жыл бұрын
김자가티비에서 인터뷰보고 구독하러왔어요ㅎ 구독하고 첫 영상을 배민을 선택해서 봤는데.. 개인적으로 공부가 많이 되는 채널인 것 같아요. 너무 좋은 채널을 만난 것 같아 기분좋아용ㅎ 감사합니다!!^^
@user-qn8kp6mj8f
@user-qn8kp6mj8f 4 жыл бұрын
회사의 목적은 이익 창출이 아니라 고객 창출에 있다. 높은 곳에서 정체되는 것보다 작은 성장이 계속되는 것이 좋다. 지금 내린 결론이나 생각들이 지금은 정답이지만 6개월 뒤, 1년 뒤에는 틀릴 수 있다. 실패를 용납하는 문화, 실패를 하더라도 계속해서 도전할 수 있게 하는 조직문화 단기적인 문제, 가까운 미래는 부정적으로 장기적인 미래는 긍정적으로 바라보자
@son9291
@son9291 4 жыл бұрын
이익을 창출하기보단 고객을 창출해라 100번 맞는 말 같습니다. 페이스북도 그렇고 카카오도 그렇고 비즈니스모델을 못 만들어서 적자로 고생했는데 결국 사용자가 많으니까 이익 내는건 별거 아니더라구요. 카카오나 토스만 봐도 고객만 확보되면 이익을 내는 방법은 세상에 널리고 널린거같아요.
@user-un4gb6sh5t
@user-un4gb6sh5t 5 ай бұрын
진짜 이가 갈리는 플랫폼중 하나
@user-ky7yy7it3o
@user-ky7yy7it3o 2 жыл бұрын
이 채널 진짜 대단해
@eo_studio
@eo_studio 2 жыл бұрын
크 감사합니다!
@user-ky7yy7it3o
@user-ky7yy7it3o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채널 탑
@KIMKIWANGable
@KIMKIWANGable 4 жыл бұрын
여태까지 본 인터뷰중 가장 유익했다. 스타트업부터 시작해 나름 성공에 반열에 오른 유니콘이 어떤 우여곡절과 극복을 했는지 구체적이고 디테일한 액션까지 완벽한 인터뷰라고 생각한다
@mr.collin1418
@mr.collin1418 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user-wg1gt1hn8g
@user-wg1gt1hn8g 4 жыл бұрын
규율 성장 변화 밸런스 /가까운 미래 부정적 장기적 미래 긍정적
@seaottersbookshop
@seaottersbookshop 4 жыл бұрын
업계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데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user-xw9pi7kv7x
@user-xw9pi7kv7x 3 жыл бұрын
얼마전 배민다움을 읽었는데요. EO 에서 보는 것은 또 새롭네요!
@user-ym4nw6zf1m
@user-ym4nw6zf1m 3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AyoungKima
@AyoungKima 3 ай бұрын
사회 악을 만든 악마 대표
@user-hq8hw9jy4k
@user-hq8hw9jy4k 4 жыл бұрын
ㅌㅇ 에게 제가 궁금한건 저런 인터뷰의 내용을 어떻게 끌어냈는지 입니다. 다른 인터뷰랑은 분명한 차별성이 있어요. CEO들이 말하고자 하는걸 이끌어내는 힘이 있습니다.
@jejulife3127
@jejulife3127 4 жыл бұрын
어시스트레치 마쟈요...
@user-dc6sk8bl8s
@user-dc6sk8bl8s 4 жыл бұрын
이미 성공한 사업가들은 본인의 성공을 자랑하고 싶어 안달난 사람들입니다. 그냥 입만 열 자리만 마련해주면 멋들어진 수사와 함께 2시간 3시간이고 본인의 업적을 떠벌릴 수 있죠.
@user-hq8hw9jy4k
@user-hq8hw9jy4k 4 жыл бұрын
@@user-dc6sk8bl8s 불편하시면 다른데 가서^^;; 직접 글을 남기세요.
@user-dc6sk8bl8s
@user-dc6sk8bl8s 4 жыл бұрын
@@user-hq8hw9jy4k 불편하다고 한 적 없는데요
@TONYBOTTLE
@TONYBOTTLE 3 жыл бұрын
@@user-dc6sk8bl8s 글쎄요. 떠벌릴 시간에 일을 할거같은데
@hilee9628
@hilee9628 3 жыл бұрын
배민이 한국 음식배달문화에 한 획을 그었지.. 소상공인들 배민 말고도 새로운 루트도 개척해야하는데 그게 쉽지않음..수수료 하마말고 상생할 수 있는 무언가가 탄생하기를 바랍니다
@user-mt6fq1dm5b
@user-mt6fq1dm5b 4 жыл бұрын
김봉진 대표님 존경합니다! 그리고 항상 멋진 컨텐츠를 만들어주시는 EO 감사해요~~!
@artisoot3525
@artisoot3525 4 жыл бұрын
1일 1EO 매일아침 삶에대해 생각을 많이하게됩니다 ㅎㅎ 리더 직원 구성원 규율 ... 세상모든 성실한분들에게 발전의답이오길 , 성장의기반을 다져두고 장기적인미래는 긍정적으로!
@user-zv1xo4yq8r
@user-zv1xo4yq8r 4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ropaxropa
@ropaxropa 4 жыл бұрын
역시.... 배울 게 너무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yk5ew8pq7i
@user-yk5ew8pq7i 4 жыл бұрын
중간에 나온 소상공인과 고객과 투자자와 직원들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다는 문제는 사실상 독점 시장을 만들어준 현 상황에서는 완전히 무너졌다고 생각드는게 아쉽네요. 투자자에 압박이라든지 거부하기 힘든 액수를 핑계로 삼더라도. 독점시장으로 인한 고객과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생각해보면 분명히 비윤리적인 부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gq4qw7vn9s
@user-gq4qw7vn9s 4 жыл бұрын
나의 우상. 존경합니다 늘 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
@KINGAREU
@KINGAREU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naeshhh
@user-naeshhh 4 жыл бұрын
배달앱 제일많이쓰는 배민!! 쿠폰이나 그런것들좀 더 많이주면 좋을거같아여
@enlightenmentnow2130
@enlightenmentnow2130 3 жыл бұрын
혁신과 성장도 중요하지만 보편적 중산층과 동반할수 있는 속도였으면 좋겠습니다. 보편적인 노동계층은 하루하루가 달라지는 노동생태계를 감당할수 없습니다. 그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사람들은 몰락하는게 당연하다고 보시는분들도 계시지만 2020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인재들은 아무리 객관적으로 따져봐도 노동생산가능인구 인구구성비율중 20~30%가 맥시멈입니다. 모든노동자들이 생산가능인구에 참여할수 있도록 노동생태계 재균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tititititititititititib
@tititititititititititib 4 жыл бұрын
태용님 투자받아서 불행한 사례들도 인터뷰 해주세요. 투자가 꼭 좋은건 라니다 라는것도 유익할거같아서요
@user-ne1rk2gj2k
@user-ne1rk2gj2k 3 жыл бұрын
스타트업 입장에서 투자가 꼭 좋은 건 아니다 라는 예시가 뭐가 있을까염
@tv-dn8wq
@tv-dn8wq 4 жыл бұрын
^^~ 성공한 분들은 다르긴 다르다. 좋은 영상 잘보았습니다.
@user-js3kg9kr5c
@user-js3kg9kr5c 4 жыл бұрын
결국 대기업되고 시장장악하자마자 배신의민족행 ㅋㅋㅋ 배달가격인상으로 결국 소비자만 피해봄
@user-st1mc8jq2v
@user-st1mc8jq2v 3 жыл бұрын
소비자의 피해보단 기존 누렸던것보다 '혜택'이 줄어드는 정도로 체감하겠지만 딜리버리인수넘어가고 정작 피해보는건 자영업 사장님들일듯.. 음식가게에서 떼가는 수수료 늘어서 조정할거라는 뉴스봤는데..
@user-cv4de5wm2c
@user-cv4de5wm2c 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우리는 현실을 알아야 합니다 겉보기에 좋은것들에 휘둘리지 않도록
@joecho1427
@joecho1427 Жыл бұрын
잘한점도 있음.
@kyma8047
@kyma8047 4 жыл бұрын
정말 치믈리에는 어마 어마한 발상의 전환이었지요.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배달욕구의 증대를 잘 파악한 분이시고 다만 엑시트 이후에도 스타트업 많은 후배들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해 주셨으면 합니다.
@tv-wb8ik
@tv-wb8ik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멋진방송 시청잘하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대박나시길 기원합니다 화이팅요 좋은 이웃맺고 삼종셋트 선물 🎁🎁🎁🌹⚘⚘⚘🌻놓고갑니다
@cok9033
@cok9033 4 жыл бұрын
우아한형제 백엔드개발자 목표로 공부하고 있습니다ㅜ 꼭 가고싶습니다
@happy2_world
@happy2_world 4 жыл бұрын
진짜 미쳤다 감사합니다!!!
@CapyCapie
@CapyCapie 4 жыл бұрын
딜리버리히어로:꺼억 잘먹었다~
@lhk0186
@lhk0186 3 жыл бұрын
멋져요.항상 응원합니다.힘내세요.^^
@sypak1587
@sypak1587 4 жыл бұрын
배민은 수수료 내는 사장님을 대하는 태도가 다른 배달플랫폼 기업과는 차원이 다르다. (부모님이 야식배달업을 하셔서 잘 압니다, 제가 배민사장님사이트 관리를 도와드려서요.) 인수합병과 코로나로 상황이 다이나믹하게 벌어졌지만 상생하려고 늘 노력한다는 것은 여전한데... 만약 내가 투자자라면 배민대표님이 속한 회사에 투자할 듯. 우린 이익을 추구하는 사기업에 공기업도 제대로 못하는 공익추구를 강요하고 있진 않은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배민이 긴 시간 노력으로 만들어온 노하우를 베껴 공익을 위한다며 공공앱으로 만들자는 생각. 과연 옳다고 볼수 있는가.
@heyv6366
@heyv6366 3 жыл бұрын
귀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지금 제 상황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함양하고 있겠습니다. ※※배민대표님 인터뷰인데, 중간 광고 요기요! 멋지네요ㅋ
@user-lu6uo7vc9h
@user-lu6uo7vc9h 4 жыл бұрын
라이더 생각도 좀 해주셨음하는 바램입니다
@handp
@handp 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봤습니다 ~
@kimchi_taco
@kimchi_taco 4 жыл бұрын
게르만 민족 이야기 잘 듣고 많이 배웠습니다.
@Hey.RollUp
@Hey.RollUp 4 жыл бұрын
한마디 한마디가 공감이 되네요.
@617studio
@617studio 4 жыл бұрын
너무 감사합니다.
@morningkim7066
@morningkim7066 4 жыл бұрын
배다른 민족이 될 줄 몰랐네요.
@user-ls1hn1yp3v
@user-ls1hn1yp3v 3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whathe.
@whathe. 3 жыл бұрын
으으 미개하고 촌스러 ㄷㄷㄷ
@simplelife5786
@simplelife5786 2 жыл бұрын
배달의민족은 가장 한국적인 플랫폼 성공사례.. 급격한 산업시대의 성장으로 인구수가 많고 직업시장에서 궁지에 내몰린 베이비부머 세대의 경제적 어려움을 플랫폼 모델 도입으로 해결함 배달의 민족은 식문화가 발달한 한국의 지역적특색과 경제발전 상 세대갈등, 계층갈등 리스크를 플랫폼적 상생의 가능성으로 엮어서 해결한 모범사례
@user-sb6qc4ce1p
@user-sb6qc4ce1p 11 ай бұрын
비약 아닌가요
@user-jb3xm3ue1k
@user-jb3xm3ue1k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배민 욕 존나 쳐먹어야함 이게 사람이 할 수수료임..미친거지 음식 쳐먹을려다가 배달수수료는 존나 비싸지고 배달하는 업소들은 존나 머갈통 날아간듯이 클린봇 내세워서 불편사항 못쓰게 설정하고 미친거지 ㅘㄹ려면 끝까지 똑바로 쳐하야지
@kseun449
@kseun449 4 жыл бұрын
연예인과 일반이 쿠폰 차별주는 정책등 문제도 많은 건 사실입니다.
@santiago0730
@santiago0730 4 жыл бұрын
썸네일 보고 하림인줄 알고 들어왔는데........
@eo_studio
@eo_studio 4 жыл бұрын
jihwan kim ㅋㅋㅋㅋㅋㅋㅋㅋ
@youngwonseo
@youngwonseo 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odanisunflower
@modanisunflower 4 жыл бұрын
나도 ㅋㅋㅋ
@pl58422
@pl58422 4 жыл бұрын
치킨?
@holdmeeetight
@holdmeeetight 4 жыл бұрын
배달은 다른 배달으로 잊혀지죠...
@user-xk1lm5tk9y
@user-xk1lm5tk9y 9 ай бұрын
배민 곧 망할거 같던데 오늘 어플 지움. 2시간동안 배달원 안잡혀서 가지러가려는데 시스템이 막혀서 배민에서 취소를 해줘야하는데 전화도 채팅 상담도 안됨.
@AI-mg1cc
@AI-mg1cc 4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9018jhy
@9018jhy 3 жыл бұрын
배달이라는 문화는 크지도 작지도 않은 나라에 수출로 번돈을 내수로 나눠 쓰는 내수업종들과, 다른 나라와는 다른 자영업 비율 등에 따라서 인구대비 독보적인 부분을 차지하던 시장이다. 전세계에 이런나라가 없다고 하면서 한국에서 살면 이런점이 좋다는 이야기가 오래전부터 있었던 사항이기도 하고 아직까지도 나오는 이야기다. 그런 배달의 문화는 한국의 정체성 같은 측면도 있었고 토종스타트업이었던 배달의 민족이 잘되길 바랐다. 그러나 초기 규모가 작을 땐 상생을 위하는 척 하더니 시장을 잠식하고 대체가 불가한 존재가 되었을 때 폭탄같은 수수료를 쏟아내기 시작했고, 그렇게 단기간에 고속성장을 이룬 배민은 외국자본에 팔렸다. 외국 자본의 시장 독점을 허용했다. 이제 이렇게 된 이상 배달의 민족같은 서비스 앱 시장은 더 이상 스타트업의 전유물이 아니라고 생각이 된다. 대기업이 나서서 시장에 진출해도 될 것 같다.
@user-og9ev7zv6y
@user-og9ev7zv6y 3 ай бұрын
배달 대행에 대해서는 부정적 여론이 더 심한 듯 하네요. 사회적으로는 배달대행 비용이 점점 문제로 자리잡고 있거든요 팁 문화에 대해서는 다시 생각해 봐야 해요
@ghdopop
@ghdopop 4 жыл бұрын
한 사업가는 생존이 되고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분야의 1위였다 이제 1위에 수익이 나니 그 안에 있던 돈욕심이 났고 치열한 경쟁을 통해 세계 시장에 나가는것 보단 새로운 시장에 쉽게 진출하고 싶었다. 먼저 새로 무혈입성하고 싶었던 그 시장은 한국인이 동남아에서 제일 많은 나라중 하나에 가장 발전가능성이 높은 베트남이었고 그 대신 나머지 동남아 시장에 대한 진출 하지 않기로 하였다 한국기업의 전형적 특징인데 전세계시장보단 실패하지 않는선에 안주한다 두번째는 개인적으로 사모펀드에 넘긴것에 대해 이렇게 생각한다 인간 김봉진을 이해하지만 국민의 신뢰를 얻고 그 바탕으로 성정한 배달의 민족 ceo라면 역겹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인간 김봉진은 원래 사업가로써 돈을 좋아했었고 그걸 숨긴적도 없었겠지만 우리가 무슨 민족입니까 배달의 민족 이라는 카피로 성장한 배달의 민족의 ceo라면 국민의 신뢰를 저버린것 아닐까? 공정위의 판결이 어떻게 나던 본인이 스스로 만들어 나갔던 가치를 돈에의해 깨는것을 보고 안타까운느낌보단 원래 저런 사람이라는게 지금이라도 보여서 다행이라고 생각드는 이유는 뭘까?
@user-vr5sp8yh3z
@user-vr5sp8yh3z 4 жыл бұрын
저도 예전에 배달의민족 서포터즈 활동했었어요 ㅋㅋ 추억돋네요
@monte6255
@monte6255 Жыл бұрын
자영업자 입장, 소비자 입장, 심지어 배달원 입장에서도 가장 쓰레기 같은 기업이 아닐까 싶음
@Skssjdd-rm8rt
@Skssjdd-rm8rt 4 жыл бұрын
매니지먼트 굿투그레이트 읽어야징
@user-px7bp9xh7y
@user-px7bp9xh7y Жыл бұрын
신은 존재할까요? 김봉진대표님께 신은 얼마만큼의 축복을 주신거 같으신가요? 성공은 타이밍과 꾸준한 노력일까요?
@Mangosa
@Mangosa 4 жыл бұрын
이제는 배달앱보다, 앱을 통한 주문에서 얻어지는 소비자 데이터 분석및 활용으로 승부를 봐야하지 않을까?
@q010p
@q010p 4 жыл бұрын
이제 일회용품 줄이는 방법도 연구해봅시다
@user-vz9tx9of4k
@user-vz9tx9of4k 4 жыл бұрын
쳐먹지말아야지 줄이려면
@ehc8546
@ehc8546 4 жыл бұрын
@@user-vz9tx9of4k 말하는 뽄새하고는..쯔쯔
@skb3597
@skb3597 4 жыл бұрын
배달해서 오면 라이더가 직접 고객입에 먹여주는거 어때요?
@user-kc8rh7gy5j
@user-kc8rh7gy5j Жыл бұрын
직접가서 직접 픽업해오는 것만이 답이죠, 아니면 가게에 다회용용기를 미리 맡겨서 거기에 담아서 라이더들에게 가져오게하고, 다 먹고 다시 그 가게근처로 갈때, 다회용용기 가져가고요.
@user-sn9qt9qk8j
@user-sn9qt9qk8j 4 жыл бұрын
감동입니다
@handp
@handp 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taerimkim1976
@taerimkim1976 4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대표적인 성공사례가 된 것은 분명하죠! 엄청난 노력을 통해 성취를 이룬 것을 존경합니다👍🏻
@user-po5um2ou8y
@user-po5um2ou8y 4 жыл бұрын
플랫폼 노동자 신경 잘 써주라
@FootBS
@FootBS 4 жыл бұрын
현재 한국 스타트업의 대장주 중 하나인 배민이 등장... 소상공인들을 앞으로도 좀 더 케어해주면서 커 나가는 배민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korchl
@korchl 2 жыл бұрын
혁신을 가지온 것처럼 이야기했지만 실상은 자영업자와 고객들의 돈만 충내고 물가만 더 올려놓았으며 본인은 회사 팔고 돈 챙기셔서 어디론가 숨으셨고 ;;;;; 이게 봉진님이 원하시는 세계였나요? 이게 혁신인가요? 이게 선한 영향력이신가요? 이게 가치있는 삶인가요? 그냥 자기만을 위한 삶뿐인데요. 말만 거창하지요. 라이더들 교통위반은 밥 먹듯이 하게 되었고 여기가 동남아 국가인지 한국인지 당최 모르겠음.
@user-undefined-nm
@user-undefined-nm Жыл бұрын
ㄹㅇㅋㅋ
@ne8055
@ne8055 11 ай бұрын
ㅇㅈ
@user-xk6yo4gt1n
@user-xk6yo4gt1n 4 жыл бұрын
배달의 민족 좋은 아이템이지만 아직부족한 제눈에는많이 보이네요 그런문제가 해결되 지 않는다면 오래가지 못함니다 단점을 보안하기을 바랍니다
@user-de4xt6rp1g
@user-de4xt6rp1g 4 жыл бұрын
ㄹㅇ 애증의 배민 ㅡㅡ
@jooholee2285
@jooholee2285 4 жыл бұрын
레전드다~!!
@user-uu4gk6po9u
@user-uu4gk6po9u 3 жыл бұрын
댓글에 제대로 된 비판이 하나 없다.메시지가 아닌 '메신저' 공격이 대부분. 배울게 많은 기업인이다. 한국에서 5조짜리 회사를 만든 것부터 정말 엄청난 일임에는 여지가 없다. 이분이 이룬 세상의 최적화에 1/1000 만큼이나 세상에 기여하고 싶다. 글구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ys6fu7tc7l
@user-ys6fu7tc7l 2 жыл бұрын
아놔 무뇌충들
@ygchoi2421
@ygchoi2421 4 жыл бұрын
개나 소나 테크 기업이래,,, 걍 배달원 연결시켜주는 에이젼시 기업,, 그 이상 이하도 아님,,
@user-fu2vw6bd1n
@user-fu2vw6bd1n 4 жыл бұрын
애증의 배민 ㅠ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에게만 쿠폰 주지말고 돈 많이 쓴 사람한테도 쿠폰좀 많이 줘라 ㅠㅡㅠ
@user-cb7zb4tz9l
@user-cb7zb4tz9l 4 жыл бұрын
고객 창출에 해당하는 고객을 연예인 인플루언서 정해두는 멋있는 우아한 형제들?!
@user-ox9zi6fu7u
@user-ox9zi6fu7u 4 жыл бұрын
배민한테 돈좀주세요. 집에서 편하게 손가락 까딱까딱만으로 주문하게 만들어줬잖아요 ㅎ
@ehsbhzuehehs
@ehsbhzuehehs Жыл бұрын
적자는 무슨ㅋㅋㅋ 서민들 피같은돈 빨아먹는 사회에 암적인존재ㅉㅉ 당신이 물가올리는데 한몫했다는 생각은 안드나?
@user-wy9sv5fi6y
@user-wy9sv5fi6y 4 жыл бұрын
푸드플라니는 왜 안되고 배민만 되나...그차이가 무엇인가를 고민하던 배달꾼입니다.
@user-nq8kt3ev2q
@user-nq8kt3ev2q 4 жыл бұрын
고객을 창출하면 이익은 따라온다는말이 기억에 남네요
@skdkjjajns
@skdkjjajns 4 жыл бұрын
저 대표가 독일기업에 4조원대로 팔아넘기면서 지금 독과점 독일회사배민은 그 4조원 매꿀려고 가게 사장님 소비자들한테 열심히 수수료 뺏어가는중 ~~~
@user-mk4nb8jm8q
@user-mk4nb8jm8q 4 жыл бұрын
어플 서비스업을 테크 기업으로 만들고 있다는게 정말 대단해요 노하우만 가지고 있었던 회사가 기술까지 가진다는게;;;;
@FootBS
@FootBS 4 жыл бұрын
스타트업 생존기 배민이 동남아 진출 하고 있지만 아무래도 매출이 국내시장 위주니까 중장기적으로는 준비해야겠죠.. 라스트마일 서비스도 하지 않을까 싶어요. 이미 배민마켓 하고 있는데 나중엔 로봇이 하겠죠.. 실내자율주행쪽도 투자하고 있고 이미
@ridingboymr2407
@ridingboymr2407 4 жыл бұрын
이런부분을 보면 ceo 자질면에서 정말 대단한 분인것같습니다 개발자 초봉 5천 부를때부터 기술에 집착하는 모습을 많이보였죠
@user-tv7fv8tu5u
@user-tv7fv8tu5u 3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없던 배달비문화 잘 정착되서 배달안시켜먹게 됐습니다 ^^
@hannahlovely4388
@hannahlovely4388 3 жыл бұрын
자영업자들에게 잘하세요! 그러는거 아닙니다.
@user-dq7kq3ue3s
@user-dq7kq3ue3s 3 жыл бұрын
몰론 좋은 취지 인것 맞습니다. 하지만. 배달이라는 특성상. 오토바이는. 많아지고. 신호등 무시. 역주행. 시민들 위협. 이런것부터. 고쳐나갔으면 좋겠습니다.
@MatthewKimNJ
@MatthewKimNJ 4 жыл бұрын
"전단지나 상가책자였거든요..." 많이 죽어 나갔겠다...(어쩔수 없는 일이지만...T.T)
@adadaya2704
@adadaya2704 4 жыл бұрын
실행하시는 모습을 존경합니다
@l7story454
@l7story454 Жыл бұрын
리뷰제도 좀 개편했으면.. 솔까 5점 만점에서 3이나 4정도 나오면 그나마 준수하다고 볼수 있는거 아닌가?(너무 만점을 강요하는 것 같아 보여지는게 진정 제대로 된 데이터일찌 의문임)
@tiramisook
@tiramisook 2 жыл бұрын
쓰레기 문제와 시간에 쫓겨 어쩔 수 없이 신호무시하고 달리는 빛의 속도로 달리는 라이더들. 전 그래서 절대 안 시킴 ㅠ ㅠ
@user-kc8rh7gy5j
@user-kc8rh7gy5j Жыл бұрын
일회용품쓰레기문제에 대한 의식이 있으신거보니, 저랑 같은 분이시네요.
@user-xj8ii7lz5k
@user-xj8ii7lz5k 4 жыл бұрын
배민까지 ㄷㄷ
@user-yj4tc5ds6t
@user-yj4tc5ds6t 2 жыл бұрын
대표님 라이더 기본인상금이 올라야 성공합니다
@kimsman0337
@kimsman0337 2 жыл бұрын
정신나간놈인가..
@user-ts8sm5ds8o
@user-ts8sm5ds8o 2 жыл бұрын
배달료 떼가고 깃발 꼽는걸로 돈 빨아먹고... 인간의 욕심이란. 자영업자들의 부가 이 사람한테 이동하는구나. 잔인한 부의 재분배
@user-rf8gu2jt2f
@user-rf8gu2jt2f Жыл бұрын
요즘드는생각 예전 전단지때가 더좋았다는 생각이
@Soboroo
@Soboroo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땅덩어리도 좁은데 중간업자 사기꾼 쓰레기들이 왜 이렇게 많은지ㅋㅋㅋㅋ 공정위가 ㅂㅅ짓을 하니 중간업자가 판을치지
@sierrajuliet6254
@sierrajuliet6254 4 жыл бұрын
와우!!!
@user-jj2vi5qy5v
@user-jj2vi5qy5v 4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다 뺏어 갈려고 했구나..... 와...
@user-zy3ny4md6k
@user-zy3ny4md6k 4 жыл бұрын
현재 저는 예비중3이지만 저또한 스타트업을 하는게 꿈입니다. 이영상을 보며 많은것을 느꼈고 저또 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hx1hz7ul4c
@user-hx1hz7ul4c 3 жыл бұрын
독일기업입니다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How I prepare to meet the brothers Mbappé.. 🙈 @KylianMbappe
00:17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6 МЛН